KR200265990Y1 - 철근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이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65990Y1 KR200265990Y1 KR2020010037354U KR20010037354U KR200265990Y1 KR 200265990 Y1 KR200265990 Y1 KR 200265990Y1 KR 2020010037354 U KR2020010037354 U KR 2020010037354U KR 20010037354 U KR20010037354 U KR 20010037354U KR 200265990 Y1 KR200265990 Y1 KR 20026599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amp
- reinforcing bar
- coupling
- peripheral surface
- deformed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두 개의 철근을 연결하는 통상의 철근이음장치에 있어서,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마다 리브가 형성된 이형철근과; 상기 이형철근의 외주면의 리브간을 덮어씌우도록 원통형 부재를 축방향으로 분할 형성되며, 2개가 1조를 이루며 좌우측에 배치되는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로 이루어지는 클램프와; 상기 제1클램프가 견고히 밀착되도록 삽입되며,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된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클램프가 견고히 밀착되도록 삽입되며,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커플링과; 상기 제1연결부재의 숫나사에 대응되게 나사결합되며,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단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제2연결부재로 구성됨으로써, 연결부위의 부피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어서, 콘크리트의 타설을 용이하게 하고, 피복두께를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품제작에 따른 비용상승 및 조립공정의 단순화로 공사비의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철근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설 공사중 시공물의 골조를 형성하는 철근의 길이가 짧을 경우 철근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철근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은 건축이나 토목공사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성보강을 위해 사용되는 바, 상기 철근은 구조물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대직경 철근이 사용되고, 작을 경우에는 소직경 철근이 사용되며, 이 외에도 구조물의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철근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철근은 그 크기(길이, 직경)가 제한되기 때문에, 구조물의 높이 및 크기가 클 경우에는 통상 2개 이상의 철근을 이어서 사용한다.
이와 경우, 종래의 철근이음은 2개의 철근을 겹쳐서 철사로 결속하는 겹이음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철근 겹이음 방식은 그 결속력이 취약하기 때문에 겹친 부위의 길이를 철근직경의 25배 이상이 되도록 강제로 시방서에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철근 겹이음은 공사비용이 저렴하나 수작업에 의존하는 관계로 인하여 많은 인력과 시간이 요구되며, 아울러 겹친 부위의 직경이 비이음부의 직경에 비해 2배 이상 커지기 때문에 철근을 조밀하게 설치할 경우에는 철근 겹이음 부위에 콘크리트의 타설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구조물의 전체적인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이 출원되었다.
첫째,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특허 제 0240099 호(1999. 10. 25, 등록)의 철근 연결구조로 중앙부에 둘레 턱을 두고 그 양측 외경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내경부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확개되는 형태의 테이퍼 면으로 형성되는 중간부재와 원통형 부재로서 축방향으로 분할되어 2개 1조로 이루어져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선단부에 가압 고정되어 그의 선단부가 상기 중간부재의 양측 테이퍼면에 의해 가압되는 제1, 2잭과, 상기 제 1, 2잭의 일측 외주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그의 전단부분이 중간부재의 양측 숫나사부에 체결되는 제1, 2 커플러로 되어 2개의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제1, 2잭은 원통형 부재를 축방향으로 분할 형성한 형태로서 각각 2개 1조로 이루어지되, 이들의 내경부는 철근 외주면의 길이방향 리브와 원주방향 리브를 수용할 수 있는 리브 홈이 각각 형성되고, 외경부는 중앙부분을 기점으로 양단부가 소경부로 이루어지고, 중앙부가 대경부로 이루어져 양측으로 상기 중간부재의 양테이퍼면과 대응하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철근 연결구조는 연결되는 2개의 철근 외측에 중간부재와 테이퍼잭 및 커플러 등의 많은 부품이 조립되어 이 부분의 부피(외경)가 지나치게 커지므로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를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철근은 피복두께가 25㎜이상이 되어야 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은 철근 연결구조에서는 철근에 비해 연결부위의 외경이 훨씬 크기 때문에 피복두께를 맞추기가 어렵고, 또한 다수의 부품이 나사 조립되는 관계로 인하여 이들 부품의 제작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어 함께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둘째,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특허 제 220173 호(1999. 6. 18, 등록)의 철근 연결구조로 2개의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상호 연결되는 철근의 양 선단부를 단부 유효직경이 대직경부로 이루어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연결부를 각각 성형하고, 일측 철근의 연결부 테이퍼 면을 전체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잭과, 내경부 후측부분이 상기 철근과 연결되는 다른 철근의 연결부의 테이퍼면을 가압하면서 내경부 전측부분이 상기 잭과 나사 체결되는 커플러에 의하여 2개의 철근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철근 연결구조는 철근의 연결부위를 대직경으로 형성하여야 하는 제조상의 문제점과 함께 이 또한 2개의 철근이 잭과 커플러에 의하여 나사 결합됨으로 연결부위의 부피가 지나치게 커져 콘크리트의 타설을 어렵게 만들고, 피복두께의 어려움과 함께 부품제작에 따른 비용상승 및 조립공정의 추가로 인하여 공사비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선행기술은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 1998-020421 호(1998. 7. 15, 공개)의 철근 연결장치로 반원형 접속구의 외면은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내면의 중간부위에는 넓은공간요홈을 형성하여 넓은공간요홈 상하에는 좁은공간요홈을 다수개 형성시켜 반원형 접속구를 상하철근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밀착시킨 후 내면에 테이퍼면으로 된 외부결합체를 삽입 일체로 결합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철근 연결장치는 반원형 접속구 및 외부결합체의 접속면이 테이퍼지기 때문에 얇은 면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일정두께가 유지되어야 함으로 이에 따라 두터운 면이 더욱 굵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연결부의 전체적인 부피가 커져 시방서 규정의 피복두께를 맞추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철근과 철근간의 간격도 연결부에 의해서 그 간격이 차단되어 미세한 간격이 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타설을 방해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종래의 철근 연결장치는 그 조립시 외부결합체의 타격면이 원형이므로 균일한 힘으로 타격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반원형 접속구 및 외부결합체의 접속면이 원형이어서 마찰면이 큰 관계로 인하여 그만큼 큰 타격력을 요하게 되는 등 효율적인 결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철근의 이음작업이 간단하면서도 강도가 확실하게 보장되고, 연결부위의 부피가 감소되어 콘크리트의 피복두께의 조절이 용이하며, 조립 및 시공이 편리한 철근 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는 두 개의 철근을 연결하는 통상의 철근이음장치에 있어서,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마다 리브가 형성된 이형철근과; 상기 이형철근의 외주면의 리브간을 덮어씌우도록 원통형 부재를 축방향으로 분할 형성되며, 2개가 1조를 이루며 좌우측에 배치되는 제1클램프와제2클램프로 이루어지는 클램프와; 상기 제1클램프가 견고히 밀착되도록 삽입되며,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된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클램프가 견고히 밀착되도록 삽입되며,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커플링과; 상기 제1연결부재의 숫나사에 대응되게 나사결합되며,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단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제2연결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를 도시한 분리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형철근 12 : 리브
22 : 제1클램프 22a : 제1클램프 경사면
22b : 리브홈 24 : 제2클램프
24a : 제2클램프 경사면 24b : 리브홈
30 : 커플링 30a : 커플링 경사면
32 : 제1커플링 32a : 제1커플링 경사면
34 : 제2커플링 34a : 제2커플링 경사면
42 : 제1연결부재 42a : 제1연결부재 경사면
43 : 숫나사 44 : 제2연결부재
44a : 제2연결부재 경사면 45 : 암나사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를 도시한 분리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는 두 개의 철근을 연결하는 통상의 철근이음장치에 있어서,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마다 리브(12)가 형성된 이형철근(10)과;
상기 이형철근(10)의 외주면의 리브(12)간을 덮어씌우도록 원통형 부재를 축방향으로 분할 형성되며, 2개가 1조를 이루며 좌우측에 배치되는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로 이루어지는 클램프와;
상기 제1클램프(22)가 견고히 밀착되도록 삽입되며,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숫나사(43)가 형성된 제1연결부재(42)와;
상기 제2클램프(24)가 그 내측으로 견고히 밀착되도록 삽입되며,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커플링(30)과;
상기 제1연결부재(42)의 숫나사(43)에 대응되게 나사결합되며,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단 내주면에 암나사(45)가 형성된 제2연결부재(4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는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로 이루어지되, 이들 외주면에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에 걸쳐 소정의 각도로 제1, 2클램프 경사면(22a, 24a)이 형성되고, 이들 내주면에는 이형철근(10)의 리브(12)에 대응되도록 리브홈(22b, 24b)이 형성된다.
즉, 상기 클램프는 원통형 부재를 축방향으로 분할하여 형성된 형태로서 각각 2개가 1조를 이루어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의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의 내경부에는 이형철근(10)의 외주부에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리브(12)를 수용할 수 있는 리브홈(22b, 24b)이 각각 형성되며, 이들 리브홈(22b, 24b)은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22, 24)의 길이에 따라 리브홈(22b, 24b)의 개수도 달라지며, 그 개수에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님을 밝혀두며, 리브홈(22b, 24b)의 단면형상은 특정형상에 국한하지 아니함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의 외주면에는 이에 대응되는 제1연결부재(42)와 커플링(30)의 내주면 경사면(42a, 30a)에 삽입토록 하기 위하여 그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에 걸쳐 소정의 각도로 제1, 2클램프 경사면(22a, 24a)을 형성시킨다.
이는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의 내주면에 삽입된 이형철근(10)을 견고히 물려주기 위해, 이형철근(10)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클램프(22)와제2클램프(24)를 제1연결부재(42)와 커플링(30)에 각각 끼우는 방식인데, 이형철근(10)이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에 삽입되어 있고, 이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를 제1연결부재(42)와 커플링(30)이 물고 있는 단면형상이므로, 궁극적으로 이형철근(10)이 삽입된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가 벌어지는 것을 제1연결부재(42)와 커플링(30)의 경사면(42a, 30a)에서 수용토록 하여 외부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를 이형철근(10)의 외주연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이형철근(10)에 형성된 리브(12)간에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의 리브홈(22b, 24b)이 결합됨으로 인하여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와 이형철근(10)의 결합이 견고하게 밀착되어 이형철근(10)이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로부터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커플링(30)은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되, 이 내주면에 삽입되는 제2클램프 경사면(24a)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일측단으부터 타측단에 걸쳐 소정의 각도로 커플링 경사면(30a)이 형성되며, 또한 이 외주면에는 커플링(30)이 제2연결부재(44)에 결합시 그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2연결부재(44)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역시 그 외주면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에 걸쳐 소정의 각도로 커플링 경사면(30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플링(32)을 그 내외주면에 걸쳐 테이퍼식으로 커플링 경사면(30a)을 형성시킨 이유는 이와 결합되는 제2클램프(24)와 제2연결부재(44)를 용이하게 수용토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연결부재(42)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외주면 일측단에 숫나사(43)가 형성되고, 그 내주면은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에 걸쳐 소정의 각도로 제1연결부재의 경사면(42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재(42)에 경사면(42a)을 형성시킨 이유는 제1클램프(22)에 의해 삽입된 이형철근(1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제1클램프(22)를 삽입하여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제1연결부재의 숫나사(43)는 이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의 암나사(45)에 나사결합식으로 결합하여 제1연결부재(42)와 제2연결부재(44)간을 견고히 연결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부재(44)는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단 내주면에 암나사(45)가 형성되며, 암나사에 인접된 내측면에는 일측단으로터 타측단에 걸쳐 제2연결부재 경사면(42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재(42)에 그 내주면에 경사면(42a)을 형성시킨 이유는 제2클램프(24)에 의해 삽입된 이형철근(1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커플링(30)을 잡아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커플링(30)을 삽입하여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제2연결부재의 암나사(45)는 이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의 숫나사(43)와 나사결합식으로 결합되어 제1연결부재(42)와 제2연결부재(44)간을 견고히 연결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연결과정을 설명한다.
기 설치되어 콘크리트로 타설된 이형철근(10)에 연결할 이형철근(10)을 철근이음장치로 연결할 때는 각각의 이형철근(10)의 외주면을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로 감싸되,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의 리브홈(22b, 24b)에 각각의 이형철근(10)의 리브(12)가 맞물리도록 감싼다.
그 후 상기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를 그 경사면(22a, 24a)을 이용하여 제1클램프(22)는 제1연결부재의 경사면(42a)을 따라 밀착 삽입토록 하는 한편, 제2클램프(24)는 제1클램프(22)와는 달리 한번 더 커플링의 경사면(30a)을 따라 밀착 삽입토록 한 후, 상기 커플링(30)을 제2연결부재의 경사면(44a)을 따라 삽입토록 한다.
이와 같이, 제1연결부재(42)와 제2연결부재(44)로 각각으로 나뉘어 제1, 2클램프(22, 24)와 커플링(30)으로 감싸인 것을 제1연결부재의 숫나사(43)를 제2연결부재의 암나사(45)에 나사 결합시키면, 기 설치된 이형철근(10)과 연결할 이형철근(10)과의 이음작업은 완료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는 두 개의 철근을 연결하는 통상의 철근이음장치에 있어서,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마다 리브(12)가 형성된 이형철근(10)과;
상기 이형철근(10)의 외주면의 리브(12)간을 덮어씌우도록 원통형 부재를 축방향으로 분할 형성되며, 2개가 1조를 이루며 좌측에 배치되는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로 이루어지는 클램프와;
상기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가 그 내주면에 각각 견고히 밀착되도록 삽입되며,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제1커플링(32)과 제2커플링(34)으로 이루어지는 커플링과;
상기 제1커플링(32)이 견고히 밀착되도록 삽입되며,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숫나사(43)가 형성된 제1연결부재(42)와;
상기 제1연결부재의 숫나사(43)에 대응되게 나사결합되며,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단 내주면에 암나사(45)가 형성된 제2연결부재(4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는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로 이루어지되, 이들 외주면에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에 걸쳐 소정의 각도로 제1, 2클램프 경사면(22a, 24a)이 형성되고, 이들 내주면에는 이형철근(10)의 리브(12)에 대응되도록 리브홈(22b, 24b)이 형성된다.
즉, 상기 클램프는 원통형 부재를 축방향으로 분할하여 형성된 형태로서 각각 2개가 1조를 이루어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의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의 내경부에는 이형철근(10)의 외주부에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리브(12)를 수용할 수 있는 리브홈(22b, 24b)이 각각 형성되며, 이들 리브홈(22b, 24b)은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22, 24)의 길이에 따라 리브홈(22b, 24b)의 개수도 달라지며, 그 개수에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님을 밝혀두며, 리브홈(22b, 24b)의 단면형상은 특정형상에 국한하지 아니함을 밝혀둔다.
그리고, 이들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의 외주면에는 이에 대응되는 제1커플링(32)과 제2커플링(34)의 내주면의 경사면(32a, 34a)에 삽입토록 하기 위하여 그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에 걸쳐 소정의 각도로 제1, 2클램프 경사면(22a, 24a)이 형성된다.
이는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의 내주면에 삽입된 이형철근(10)을 견고히 물려주기 위해, 이형철근(10)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를 제1커플링(32)과 제2커플링(34)에 각각 끼우는 방식인데, 이형철근(10)이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에 삽입되어 있고, 이들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를 제1커플링(32)과 제2커플링(34)이 물고 있는 단면 형상이므로, 궁극적으로 이형철근(10)이 삽입된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가 벌어지는 것을 제1커플링(32)과 제2커플링(34)의 경사면(32a, 34a)에서 수용토록 하여 외부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를 이형철근(10)의 외주연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이형철근(10)에 형성된 리브(12)간에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의 리브홈(22b, 24b)이 결합됨으로 인하여 제1, 제2클램프(22, 24)와 이형철근(10)의 결합이 견고하게 밀착되어 이형철근(10)이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로부터 빠져나가는 일은 결코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커플링은 제1커플링(32)과 제2커플링(34)으로 이루어지되,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이들 내주면에는 여기에 삽입되는 제1, 제2클램프 경사면(22a, 24a)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에 걸쳐 소정의 각도로 제1,제2 커플링 경사면(32a, 34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커플링(32)과 제2커플링(34)의 내주면을 테이퍼식으로 경사면(32a, 34a)을 형성시킨 이유는 이에 결합되는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를 용이하게 수용토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 제2연결부재(42, 44)는 통상적으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이들이 나사결합식으로 결합되도록 제1연결부재(42)는 그 외주면 일측단에 숫나사(43)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제2연결부재(44)는 그 내주면 일측단에 암나사(45)가 형성되어, 이들이 용이하게 결합토록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연결과정을 설명한다.
기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된 이형철근(10)에 연결할 이형철근(10)을 철근 이음장치로 연결할 때는 각각의 이형철근(10)의 외주면을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로 감싸되,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의 리브홈(22b, 24b)에 각각의 이형철근(10)의 리브(12)가 맞물리도록 한 상태에서 감싸도록 한다.
그 후, 상기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를 그 외주면에 형성된 경사면(22a, 24a)을 이용하여 제1커플링(32)과 제2커플링(34)의 내주면 경사면(32a, 34a)으로 억지로 끼워 넣으면, 제1클램프(32)와 제2클램프(34)로 고정된 이형철근(1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이를 견고하게 밀착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각각의 제1클램프(22)와 제2클램프(24)가 삽입된 제1커플링(32)과제2커플링(34)을 제1연결부재(42) 및 제2연결부재(44)에 각각 삽입토록 한 후, 제1연결부재(42)와 제2연결부재(44)를 나사결합 시키면 일련의 철근 이음과정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는 연결하는 2개의 이형철근 외측에 클램프와 커플링 및 연결부재에 의하여 나사 결합됨으로써 연결부위의 부피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어서, 콘크리트의 타설을 용이하게 하고, 피복두께를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품제작에 따른 비용상승 및 조립공정의 단순화로 공사비의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 두 개의 철근을 연결하는 통상의 철근이음장치에 있어서,외주면에 소정의 간격마다 리브가 형성된 이형철근과;상기 이형철근의 외주면의 리브간을 덮어씌우도록 원통형 부재를 축방향으로 분할 형성되며, 2개가 1조를 이루며 좌우측에 배치되는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로 이루어지는 클램프와;상기 제1클램프가 견고히 밀착되도록 삽입되며,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된 제1연결부재와;상기 제2클램프가 견고히 밀착되도록 삽입되며,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커플링과;상기 제1연결부재의 숫나사에 대응되게 나사결합되며,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단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제2연결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로 이루어지되, 이들 외주면에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에 걸쳐 소정의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로 이루어지되, 이들내주면에 이형철근의 리브에 대응되도록 리브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내외주면에 걸쳐 일측단으부터 타측단에 걸쳐 소정의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내주면으로는 제2클램프가 삽입되고, 외주면으로는 제2연결부재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는 그 일측단 내측으로부터 타측단에 걸쳐 소정의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제1클램프가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는 그 일측단 내측으로부터 타측단에 걸쳐 소정의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커플링이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장치.
- 두 개의 철근을 연결하는 통상의 철근이음장치에 있어서,외주면에 소정의 간격마다 리브가 형성된 이형철근과;상기 이형철근의 외주면의 리브간을 덮어씌우도록 원통형 부재를 축방향으로 분할 형성되며, 2개가 1조를 이루며 좌측에 배치되는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로 이루어지는 클램프와;상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가 그 내주면에 각각 견고히 밀착되도록 삽입되며,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제1커플링과 제2커플링으로 이루어지는 커플링과;상기 제1커플링이 견고히 밀착되도록 삽입되며,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된 제1연결부재와;상기 제1연결부재의 숫나사에 대응되게 나사결합되며,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단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제2연결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로 이루어지되, 이들 외주면에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에 걸쳐 소정의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장치.
- 제 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로 이루어지되, 이들 내주면에 이형철근의 리브에 대응되도록 리브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제1커플링과 제2커플링으로 이루어지되, 이들 내주면에 삽입되는 클램프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일측단으부터 타측단에 걸쳐 소정의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7354U KR200265990Y1 (ko) | 2001-12-04 | 2001-12-04 | 철근 이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37354U KR200265990Y1 (ko) | 2001-12-04 | 2001-12-04 | 철근 이음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65990Y1 true KR200265990Y1 (ko) | 2002-02-25 |
Family
ID=7311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37354U KR200265990Y1 (ko) | 2001-12-04 | 2001-12-04 | 철근 이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65990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6825B1 (ko) | 2014-05-21 | 2014-10-31 | 김용근 | 로킹편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선조립 철근망의 연결이음 공법 |
KR102010810B1 (ko) * | 2019-01-17 | 2019-08-14 | 주식회사 금화 | 철근이음용 가압식 커플러 |
-
2001
- 2001-12-04 KR KR2020010037354U patent/KR20026599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6825B1 (ko) | 2014-05-21 | 2014-10-31 | 김용근 | 로킹편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선조립 철근망의 연결이음 공법 |
WO2015178621A1 (ko) * | 2014-05-21 | 2015-11-26 | 김용근 | 로킹편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선조립 철근망의 연결이음 공법 |
KR102010810B1 (ko) * | 2019-01-17 | 2019-08-14 | 주식회사 금화 | 철근이음용 가압식 커플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66672A (en) | Method of forming concrete structures with a grout splice sleeve which has a threaded connection to a reinforcing bar | |
KR100375655B1 (ko) | 철근 연결구 | |
KR100240099B1 (ko) | 철근 연결 구조 | |
KR200286101Y1 (ko) | 철근 연결장치 | |
KR100439305B1 (ko) | 원터치식 철근이음장치 | |
KR200265990Y1 (ko) | 철근 이음장치 | |
KR100309611B1 (ko) | 철근 연결구 | |
KR100404425B1 (ko) |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 |
KR100712438B1 (ko) | 철근 커플러 | |
KR200265991Y1 (ko) | 철근 이음장치 | |
KR200286102Y1 (ko) | 철근 연결장치 | |
KR200370224Y1 (ko) | 철근 연결구 | |
KR20090009578A (ko) | 철근 연결장치 | |
KR200266002Y1 (ko) | 철근 이음장치 | |
KR200231250Y1 (ko) | 철근 연결구 | |
KR200257716Y1 (ko) |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 |
KR100308547B1 (ko) | 철근연결구 | |
KR100307569B1 (ko) | 철근이음쇠 | |
KR20050095968A (ko) | 원터치식 철근이음장치 | |
KR200210602Y1 (ko) | 슬리브결합형 철근이음쇠 | |
KR200280037Y1 (ko) | 철근이음장치 | |
KR100691756B1 (ko) | 철근 연결구 | |
CN219508998U (zh) | 钢筋快速连接装置 | |
KR20030046659A (ko) | 철근 이음방법 및 그 장치 | |
KR100445527B1 (ko) | 암나사형 철관슬리브 압착식 철근연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