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455Y1 -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 - Google Patents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53455Y1 KR200253455Y1 KR2020010022399U KR20010022399U KR200253455Y1 KR 200253455 Y1 KR200253455 Y1 KR 200253455Y1 KR 2020010022399 U KR2020010022399 U KR 2020010022399U KR 20010022399 U KR20010022399 U KR 20010022399U KR 200253455 Y1 KR200253455 Y1 KR 20025345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rter
- rechargeable battery
- power supply
- voltage
- mobile phon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류(AC : Alternating Current) 전원이나 직류(DC : Direct Current) 전원을 입력받아 휴대폰의 사용 및 이동 중에 관계없이 충전용 배터리(Battery)를 충전시키되, 일반 가정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시키거나, 일반 8V 건전지 등의 직류전원을 입력받아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휴대폰의 사용 및 이동 중에 관계없이 충전용 배터리(Battery)를 충전시킬 수 있는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교류전원 공급부로부터 인가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 또는 직류전원 공급부로부터 인가된 직류전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에 적합한 크기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로부터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류(AC : Alternating Current) 전원이나 직류(DC : Direct Current) 전원을 입력받아 휴대폰의 사용 및 이동 중에 관계없이 충전용 배터리(Battery)를 충전시킬 수 있는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언제, 어디서나 이동 서비스를 받고 싶어하는 현대인의 욕망이 고조되고 있는 것에 부응하여 핸드폰이 등장한 이래 그 사용이 많이 보편화되었다. 핸드폰은 기지국과 무선 고주파신호를 송수신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핸드폰은 사용자가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전화를 걸거나 받도록 되어 있으므로 충전용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충전용 배터리는 그 충전용량에 따라 충전된 전원으로 사용이 가능한 시간의 차이만 있지만 주기적으로 재충전을 시켜야 계속 사용할 수 있고, 재충전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계속 사용하게 되면 방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핸드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핸드폰을 판매할 때는 기본적으로 핸드폰 충전장치도 같이 판매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시로 충전을 시키면서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종래의 충전장치로는 가정에서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교류용 충전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교류용 충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교류전원 입력부(11), 교류/직류 변환부(12), 직류/직류 변환부(13), 충전용 배터리(14)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교류용 충전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교류전원 입력부(11)로부터 약 110V 또는 220V의 교류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12)는 인가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13)로 인가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12)에서 변환된 직류전압은 곧바로 충전용 배터리(14)로 인가하기에는 너무 높기 때문에,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13)는 이 직류전압을 충전용 배터리(14)에 적합한 크기의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상기 충전용 배터리(14)로 인가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종래의 교류용 충전장치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압은 충전용 배터리(14)를 충전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교류용 충전장치의 경우는, 교류 전원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폰의 휴대 중에는 충전을 할 수가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직류전원에서 사용 가능한 충전장치를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직류용 충전장치의 구입에 따른 비용이 많이 지출되고, 교류용 및 직류용 2가지를 소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일반 가정에 공급되는 교류(AC : Alternating Current) 전원을 입력받아 충전용 배터리(Battery)를 충전시키거나, 일반 8V 건전지 등의 직류(DC : Direct Current) 전원을 입력받아 충전용 배터리(Battery)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몸체에 건전지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인 건전지 안착부를 형성하고, 일반 가정의 전원 소켓에 끼울 수 있는 플러그를 구비하며, 휴대폰의 전원입력 커넥터에 결합되는 케이블 커넥터를 구비함으로써 휴대폰의 사용 및 이동 중에 관계없이 충전용 배터리(Battery)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장소의 전원공급이 110V 또는 220V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플러그 어댑터를 사용하여 공급전원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교류용 충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 충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 충전기가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 충전기가 교류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교류전원 공급부 22 : 교류/직류 변환부
23 : 직류전원 공급부 24 : 스위칭부
25 : 직류/직류 변환부 26 : 충전 회로부
31 : 몸체부 32 : 건전지
33 : 건전지 안착부 34 : 플러그
35 : 케이블 커넥터 36 : 플러그 어댑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교류전원 공급부 또는 직류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아 핸드폰의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에 있어서,
교류전원 공급부로부터 인가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 또는 직류전원 공급부로부터 인가된 직류전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에 적합한 크기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로부터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를 제공한다.
이때, 본 고안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 부를 내장하여 지지하기 위한 몸체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직류전원 공급부가 배치되어 건전지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인 건전지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다른 소정 위치에는 교류전원 공급부와 연결되어 일반 가정의 전원 소켓에 끼울 수 있는 플러그가 구비되고, 상기 충전 회로부의 출력단에서 연장되어 휴대폰의 전원입력 커넥터에 결합되는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 충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 충전기가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핸드폰 충전기가 교류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첨부도면 도 2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21은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110V 또는 220V의 교류전압을 공급하는 교류전원 공급부를 나타내고, 22는 상기 교류전원 공급부(21)로부터 인가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부를 나타내고, 23은 일반 건전지 등으로부터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직류전원 공급부를 나타내고, 24는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22)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 또는 직류전원 공급부(23)로부터 인가된 직류전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칭부를 나타내고, 25는 상기 스위칭부(24)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에 적합한 크기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부를 나타내고, 26은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25)로부터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부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첨부도면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각 부(21,22,23,24,25,26)를 내장하여 지지하기 위한 몸체부(3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31)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직류전원 공급부(23)가 배치되어 건전지(32)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인 건전지 안착부(33)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31)의 다른 소정 위치에는 교류전원 공급부(21)와 연결되어 일반 가정의 전원 소켓에 끼울 수 있는 플러그(34)가 구비되고, 상기 충전 회로부(26)의 출력단에서 연장되어 휴대폰의 전원입력 커넥터에 결합되는 케이블 커넥터(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전지 등의 직류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전지 안착부(33)에 건전지(32)를 끼우고 상기 스위칭부(24)를 조작하면, 상기 직류전원 공급부(23)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이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25)로 인가되어 상기 충전 회로부(26)를 통해 충전용 배터리에 공급됨으로써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일반 가정에서 110V 또는 220V의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부(24)를 조작하여 상기 플러그(34)를 돌출시켜 전원 소켓에 끼우면, 상기 교류전원 공급부(21)에서 출력되는 교류전압이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22) 및 스위칭부(24)를 통해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25)로 인가되어 상기 충전 회로부(26)를 통해 충전용 배터리에 공급됨으로써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사용장소의 전원공급이 110V 또는 220V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플러그 어댑터(36)를 사용하여 공급전원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에 의하면 일반 가정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시키거나, 일반 8V 건전지 등의 직류전원을 입력받아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에 건전지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인 건전지 안착부를 형성하고, 휴대폰의 전원입력 커넥터에 결합되는 케이블 커넥터를 구비함으로써 휴대폰의 사용 및 이동 중에 관계없이 충전용 배터리(Battery)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 교류전원 공급부 또는 직류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아 핸드폰의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에 있어서,교류전원 공급부로부터 인가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 또는 직류전원 공급부로부터 인가된 직류전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에 적합한 크기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로부터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각 부를 내장하여 지지하기 위한 몸체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직류전원 공급부가 배치되어 건전지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인 건전지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다른 소정 위치에는 교류전원 공급부와 연결되어 일반 가정의 전원 소켓에 끼울 수 있는 플러그가 구비되고, 상기 충전 회로부의 출력단에서 연장되어 휴대폰의 전원입력 커넥터에 결합되는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2399U KR200253455Y1 (ko) | 2001-07-24 | 2001-07-24 |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2399U KR200253455Y1 (ko) | 2001-07-24 | 2001-07-24 |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53455Y1 true KR200253455Y1 (ko) | 2001-11-23 |
Family
ID=73105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22399U KR200253455Y1 (ko) | 2001-07-24 | 2001-07-24 |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53455Y1 (ko) |
-
2001
- 2001-07-24 KR KR2020010022399U patent/KR20025345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01513A (en) |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ies and supplying backup power | |
US20050225292A1 (en) | Charger and recharger device | |
US20030231001A1 (en) | Wireless battery charging | |
JP2005518175A (ja) | 充電池を内蔵した携帯用充電装置 | |
US6821670B2 (en) | Mobile phone battery | |
US6956353B1 (en) | Universal battery charger for cellular telephones and other battery operated devices | |
US20030040344A1 (en) | Power caching pan architecture | |
US6172477B1 (en) | Apparatus for charging a battery of a portable terminal | |
KR200253455Y1 (ko) |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 | |
GB2418546A (en) | Mobile phone to mobile phone battery charging | |
RU2263384C2 (ru) |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е универсальное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рядки аккумуляторов мобильных телефонов | |
US20020190691A1 (en) | Mobile phone emergency charger | |
US20020154527A1 (en) | AC/DC PORTABLE CHARGER FOR Li-ION BATTERIES, CELLULAR TELEPHONES AND PDAS | |
US20050189914A1 (en) | Universal cellular telephone battery charger | |
JP2004015932A (ja) | 携帯電話機用携帯型充電器 | |
KR200207411Y1 (ko) | 이동 전화기용 밧데리 충전장치 | |
KR20080000027U (ko) | 휴대폰 배터리 충전용 어댑터를 이용한 멀티 디씨 충전기 | |
KR20020092859A (ko) | 충전지를 내장한 휴대용 충전장치 | |
KR20030027345A (ko) | Ac/dc겸용 휴대폰 충전 장치 | |
KR200264135Y1 (ko) | 휴대전화기용 충전장치 | |
KR200319973Y1 (ko) | 교류전원에서 직접 충전기능이 내장된 휴대전화용 배터리 | |
JP2002044881A (ja) | 充電器 | |
KR200253479Y1 (ko) | 건전지를 이용한 휴대폰 배터리 대용 및 충전장치 | |
KR200190020Y1 (ko) | 전화기의 휴대폰 충전장치 | |
JP3027605U (ja) | 携帯電話機用蓄電池の充電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