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3088A - 플래튼을 더럽히는 일 없이 인쇄매체의 단부까지 행하는인쇄 - Google Patents
플래튼을 더럽히는 일 없이 인쇄매체의 단부까지 행하는인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73088A KR20020073088A KR1020020008128A KR20020008128A KR20020073088A KR 20020073088 A KR20020073088 A KR 20020073088A KR 1020020008128 A KR1020020008128 A KR 1020020008128A KR 20020008128 A KR20020008128 A KR 20020008128A KR 20020073088 A KR20020073088 A KR 200200730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t
- dot forming
- print medium
- forming element
- ima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976 i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0981 turquoi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21—Collecting waste ink; Collector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65—Means for printing without leaving a margin on at least one edge of the copy material, e.g. edge-to-edge prin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6—Flat page-size platens or smaller flat platens having a greater size than line-size plat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21—Collecting waste ink; Collectors therefor
- B41J2/1742—Open waste ink collectors, e.g. ink receiving from a print head above the collector during borderless printing
Landscapes
- Ink Jet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플래튼(platen)으로 잉크 방울을 착탄(着彈)시키는 일 없이 인쇄용지의 단부(端部)까지 인쇄를 행한다.
청록색(C), 자홍색(M), 노랑색(Y)의 각 노즐군이 부주사방향(A)을 따라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각 노즐군의 부주사방향 중앙부근의 노즐(#5∼#9)과 마주 대하는 위치에는 홈부(26mC, 26mM, 26mY)가 있다. 청록색의 화상에 관해서는 청록색 노즐(#5∼#9)로부터, 인쇄용지(P) 위 및 그 외주 부근까지 잉크 방울(Ip)을 토출하여 인쇄를 행한다. 자홍색, 노랑색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화상의 인쇄를 행한다. 그리고, 각색의 화상이 인쇄용지의 상하단에 여백없이 인쇄된다. 그들의 화상이 거듭 기록되는 결과, 인쇄용지 위에 컬러 화상이 여백 없이 인쇄된다. 한편, 인쇄용지의 외주로 여백을 설치하여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는 각 노즐군의 모든 노즐을 사용하여 인쇄가 행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트 기록 헤드를 이용하여 기록매체의 표면에 도트의 기록을 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래튼을 더럽히는 일없이 인쇄용지의 단부(端部)까지 인쇄를 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년, 컴퓨터의 출력장치로서, 인쇄 헤드의 노즐로부터 잉크를 토출(吐出)하는 프린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인쇄용지는 플래튼 위에서 헤드에 마주 대하도록 지지되고, 용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순서대로 헤드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플래튼(platen) 위에서 반송된다. 인쇄 헤드 위에는,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이, 인쇄용지의 전송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헤드 위의 각 노즐로부터 잉크가 토출되면, 인쇄용지 위로 순차 도트가 기록되어 화상이 인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프린터에서 인쇄용지의 끝부분까지 화상을 인쇄하고자 하면, 인쇄용지의 끝부분이 인쇄 헤드 하방(下方), 즉 플래튼 위에 위치하도록 인쇄용지를 배치하고, 인쇄 헤드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인쇄에서는 인쇄용지의 전송 오차나 잉크 방울의 착탄(着彈) 위치 어긋남 등에 의해, 잉크 방울이 본래 착탄해야 할 인쇄용지 단부로부터 벗어나 플래튼 위에 착탄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플래튼 위에 착탄한 잉크에 의해, 그 후에 플래튼 위를 통과하는 인쇄용지가 더럽혀져 버린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의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플래튼에 잉크 방울을 착탄시키는 일없이 인쇄용지의 단부까지 인쇄를 행하는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잉크 젯 프린터의 인쇄 헤드의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인쇄장치의 소프트 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인쇄장치의 기계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인쇄 헤드(28)에서의 잉크 젯 노즐(N)의 배열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플래튼(26)의 주변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인쇄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제1의 화상인쇄모드와 제2의 화상인쇄모드의 어느 것인가를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선택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의 화상 데이터(D)와 인쇄용지(P)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제2의 화상인쇄모드에서의 화상 데이터(D2)와 인쇄용지(P)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 각 래스터 라인이 어떤 노즐에 의해 어떻게 기록되어 가는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인쇄개시시의 인쇄 헤드(28)와 인쇄용지(P)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홈부(26mC)내로부터 상류측을 본 상태에서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의 인쇄용지(P)의 좌우측 단부의 인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3은 제2의 화상인쇄모드에서 각 래스터 라인이 어떤 노즐에 의해 어떻게 기록되어 가는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4는 제2실시예에서의 인쇄 헤드(28)와 홈부(26mC, 26mM, 26mY)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제2실시예의 프린터에서의 플래튼(26)의 주변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홈부와 마주 대하는 노즐만으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도트를 기록하는 영역(Rf, Rr)과, 모든 노즐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도트를 기록하는 영역(Rm)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7은 다른 태양에서의 노즐 어레이와 홈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8은 다른 태양에서의 노즐 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9는 다른 태양에서의 노즐 블록의 배치와 홈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0은 다른 태양에서의 노즐 블록의 배치와 홈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1은 다른 태양에서의 노즐 블록의 배치와 홈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스캐너 13 : 마우스
14 : 키보드 21 : CRT
22 : 프린터 23 : 종이전송모터
24 : 캐리지 모터 25a, 25b : 상류측 종이전송롤러
25c, 25d : 하류측 종이전송롤러 26 : 플래튼(platen)
26a : 좌측 홈부 26b : 우측 홈부
26mC, 26mM, 26mY : 홈부 26sf : 상류측 지지부
26sm1, 26sm2 : 중간 지지부 26sr : 하류측 지지부
27mC, 27mM, 27mY : 흡수부재 28 : 인쇄 헤드
29a, 29b : 가이드 31 : 캐리지
32 : 조작 패널 34 : 접동축(摺動軸)
36 : 구동 밸트 38 : 풀리
39 : 위치검출센서 40 : 제어회로
41 : CPU 41a : 제1의 제어부
41b : 측단 인쇄부 41c : 제2의 제어부
42 : PROM 43 : RAM
44 : 구동용 버퍼 45 : PC 인터페이스
61∼66 : 잉크 토출(吐出) 헤드(노즐 블록) 62a∼62d : 노즐 유닛
63c∼66c : 노즐군의 부주사방향의 중심위치 71 : 카트리지
72 : 컬러 잉크용 카트리지 90 : 호스트 컴퓨터
91 : 비디오 드라이버 95 :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96 : 프린터 드라이버 97 : 해상도 변환 모듈
98 : 색보정 모듈 99 : 하프 톤 모듈
100 : 래스터라이저(rasterizer) A : 부주사방향
C : 청록색 노즐군 D : 화상 데이터
D2 : 화상 데이터 DT : 도트 형성 패턴 테이블
Ip : 잉크 방울 LUT : 색보정 테이블
M : 자홍색 노즐군 N : 잉크 젯 노즐
ORG : 컬러 화상 데이터 P : 인쇄용지
PD : 인쇄 데이터 Pa : 인쇄용지의 좌측단부
Pb : 인쇄용지의 우측단부 Pf : 인쇄용지의 상단부(전단부)
Pr : 인쇄용지의 하단부(후단부) R26m1∼17 : 홈부가 설치되어 있는 범위
R26mC, R26mM, R26mY : 홈부가 설치되어 있는 범위
Rf : 홈부와 마주 대하는 노즐로 도트를 기록하는 영역
Rm : 모든 노즐로 도트를 기록하는 영역
Rr : 홈부와 마주 대하는 노즐로 도트를 기록하는 영역
Y : 노랑색 노즐군 k : 노즐 피치
상술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주(主)주사(走査)를 행하면서 잉크 방울을 토출함으로써 인쇄매체의 표면에 도트의 기록을 행하는 도트기록장치를 대상으로 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이 도트기록장치는 각각 동일색의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도트형성요소로 구성된 복수의 도트형성요소군으로서, 주주사 방향과 엇갈리는 부주사 방향에 관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도트형성요소군을 구비한 도트기록헤드와, 도트기록 헤드와 인쇄매체의 적어도 한쪽을 구동하여 주주사를 행하는 주주사 구동부와, 주주사의 한복판에 복수의 도트형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를 구동하여 도트의 형성을 행하게 하는 헤드 구동부와, 주주사의 행로의 적어도 일부에서 도트형성요소군과 마주 대하도록, 주주사의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고, 인쇄매체를 도트기록 헤드와 마주 대하도록 지지하는 플래튼과, 주주사 중의 틈틈이 인쇄매체를 부주사 방향으로 구동하여 부주사를 행하는 부주사 구동부와, 각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 도트 기록장치의 플래튼은 각 도트형성요소군의 부주사 방향의 범위내의 일부 소정의 범위에 상당하는 폭을 가지는 복수의 홈부로서, 주주사의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복수의 홈부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태양의 도트 기록장치에서는 각 도트 형성요소군을 사용하여 홈부 위에서 인쇄매체에 도트의 기록을 행하는 것으로 잉크 방울이 인쇄매체 위에 착탄하지 않았던 경우에도 플래튼이 더렵혀지지 않을 것 같은 컬러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도트형성요소군은 복수의 홈부의 폭에 상당하는 부주사 방향의 소정의 범위에 위치하는 특정한 도트형성요소로 이루어지는 특정 도트형성요소군을 구비하는 태양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트기록장치에서, 인쇄매체의 상단(上端)과 하단(下端)의 적어도 한 쪽에 관해 여백을 설치하지 않고 끝부분까지 화상을 인쇄하는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 적어도 인쇄매체의 여백을 설치하지 않고 화상을 인쇄하는 단부에 관해서는 각 특정 도트형성요소군만을 사용하여 도트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태양으로 하면, 부주사 방향에 관해 다른 위치에 설치된 도트형성요소군을 구비하는 도트기록장치에서, 다른 위치에 설치된 도트형성요소군으로부터 토출된 잉크로, 인쇄매체의 상단 또는 하단까지 여백 없이 인쇄를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인쇄매체의 상단 또는 하단까지 여백 없이 컬러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여백 없이 인쇄를 행하는 단부의 인쇄는 홈부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있는 특정 도트형성요소군으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잉크 방울이 인쇄매체에 착탄하지 않았던 경우에도, 플래튼 상면(上面)을 더럽힐 가능성이 낮다. 또, 여기서 「특정 도트형성요소군만을 사용한다」라는 것은, 특정 도트형성요소군 이외의 도트형성요소를 사용하지 않고, 특정 도트형성요소군에 포함되는 도트형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한다고 하는 의미이다.
또, 복수의 도트형성요소군의 특정 도트형성요소군을 구성하는 도트형성요소의 수는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태양으로 하면,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 각 색은 인쇄매체 위에 같은 베이스로 기록되어 가기 때문에, 효율적인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도트형성요소군 중 적어도 하나의 도트형성요소군에서, 특정 도트형성요소군은 복수 개소로 나누어 설치되어 있고, 플래튼은 복수 개소에서 각 특정 도트형성요소군과 마주 대하는 복수의 홈부를 가지고 있는 태양으로 할 수도 있다.
또, 플래튼은 각 홈부의 부주사 방향의 상류측에서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상류측 지지부와, 각 홈부의 부주사 방향의 하류측에서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하류측 지지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태양으로 하면, 인쇄매체는 홈부 위를 통과할 때에, 상류측 지지부나 하류측 지지부에 지지되기 때문에, 단부가 홈부내로 빠지기 어렵다.
또한, 복수의 특정 도트형성요소군은 각 도트형성요소군의 부주사방향의 중앙부근 소정의 범위내에 위치하는 도트형성요소를 포함하는 태양으로 할 수도 있다. 부주사 방향의 중앙 부근의 도트형성요소 쪽이 끝부분 근처의 도트형성요소 보다도 설계값에 가까운 성능을 발휘하는 경향이 있는 도트기록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태양으로 하면, 제1의 화상기록 모드에서, 보다 고품질인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또,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 각 특정 도트형성요소군만을 사용하여, 인쇄매체 위에서 화상을 구성하는 모든 도트를 형성하는 태양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태양으로 하면, 최초부터 최후까지 일정한 패턴의 부주사로 도트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각 홈부는 주주사의 방향에 관해 인쇄매체의 주주사 방향의 폭보다도 길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플래튼에 지지된 인쇄매체의 측단부의 근방에서, 특정 도트형성요소군에 포함되는 도트형성요소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시켜, 인쇄 매체의 측단부에서 여백 없이 인쇄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태양으로 하면, 측단부에 관해서도 여백 없이 도트를 형성할 수 있고, 게다가 인쇄매체에 착탄하지 않았던 잉크 방울이 플래튼 상면을 더럽힐 가능성이 낮다.
또한,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 인쇄매체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에 관해서는 도트형성요소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도트형성요소 중, 특정 도트형성요소군과, 특정 도트형성요소군 이외의 도트형성요소를 사용하여, 또한 단부에서의 부주사의 전송량보다도 큰 전송량으로 부주사를 행하여, 인쇄매체 위에서 화상을 구성하는 도트를 형성하는 태양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태양으로 하면, 특정 도트형성요소군만으로 도트를 기록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단시간으로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하는 방식으로 도트의 기록을 행하는 경우는 복수의 홈부중, 부주사 방향의 가장 상류에 위치하는 홈부를, 해당 홈부와 마주 대하는 도트형성요소군의 부주사 방향의 중심위치에 대해 하류측에 설치하고, 복수의 홈부 중, 부주사 방향의 가장 하류에 위치하는 홈부를, 해당 홈부와 마주 대하는 도트형성요소군의 부주사 방향의 중심위치에 대해 상류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태양으로 하면, 인쇄매체에서 특정 도트형성요소군만으로 도트를 기록하지 않으면 안 되는 범위를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단시간으로 인쇄를 행할 수있다.
또, 플래튼은 그 위에 부주사 방향에 관해 복수의 도트형성요소로부터의 잉크 방울의 착탄이 가능한 범위에서, 주주사의 방향에 관해 소정의 사이즈의 인쇄매체의 폭과 거의 같은 간격을 띄워 설치된 한 쌍의 측방(側方) 홈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트기록장치는 그 위에 소정의 사이즈의 인쇄매체가 플래튼으로 지지되고, 또한 인쇄매체의 양(兩) 측단이 각각 측방 홈부의 개구 위에 있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주주사의 방향에 관해 인쇄매체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플래튼에 지지된 인쇄매체의 측단부의 근방에서 특정 도트형성요소군에 포함되는 도트형성요소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시켜, 인쇄매체의 측단부에서 여백 없이 인쇄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태양으로 하면, 인쇄매체의 측단부에 관해서도, 여백 없이 도트를 형성할 수 있고, 게다가 플래튼 상면을 더럽히기 어렵다.
그 위에, 인쇄매체의 상단 및 하단에 여백을 설치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제2의 화상인쇄모드에서, 도트형성요소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도트형성요소 중, 특정 도트형성요소군과, 특정 도트형성요소군 이외의 도트형성요소를 사용하여, 인쇄매체 위에서 화상을 구성하는 도트를 형성하는 태양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태양으로 하면, 상단 및 하단에 여백을 설치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제2의 화상인쇄모드에서는 단시간으로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여러 가지의 태양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도트기록장치, 인쇄제어장치, 인쇄장치.
(2) 도트기록방법, 인쇄제어방법, 인쇄방법.
(3) 상기의 장치나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4) 상기의 장치나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5) 상기의 장치나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반송파내에 구현화된 데이터 신호.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실시예에 의거하여 이하의 순서로 설명한다.
A. 실시형태의 개요:
B. 제1실시예:
B1. 장치의 구성:
B2. 화상인쇄모드의 선택:
B3. 인쇄:
C. 제2실시예:
D. 변형예:
Dl. 변형예1:
D2. 변형예2:
D3. 변형예3:
D4. 변형예4:
D5. 변형예5:
D6. 변형예6:
A.실시형태의 개요: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잉크 젯 프린터의 인쇄 헤드의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프린터는, 각각 13개의 노즐을 갖는 청록색(C), 자홍색(M), 노랑색(Y)의 각 노즐군이 인쇄용지의 전송 방향(부주사 방향)(A)을 따라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노즐군내의 부주사 방향 중앙 부근의 노즐(#5∼#9)과 마주 대하는 위치에는 각각 홈부(26mC, 26mM, 26mY)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프린터는 청록색(C), 자홍색(M), 노랑색(Y)의 각 노즐로부터, 각각 단색의 화상을 형성하도록 인쇄용지 위의 소정 위치로 향해 잉크 방울을 토출한다. 그리고, 그들의 화상이 인쇄용지 위에 거듭 인쇄되는 것으로, 컬러 인쇄가 실현된다. 또, 명세서 중에서는 노즐의 번호에 「#」를 붙여 각 노즐을 나타낸다.
도 1에서는, 인쇄용지(P)가 상류측 종이전송롤러에 전송되어(부주사 전송), 그 상단(Pf)이 홈부(26mC)의 개구 위에 이르고 있다. 이 때, 인쇄 헤드(28)의 청록색 노즐(#5∼#9)로부터 잉크 방울(Ip)을 토출하여 청록색의 화상 인쇄를 개시한다. 인쇄용지(P)의 상단(Pf)이 청록색 노즐(#5) 보다도 뒤(부주사 방향의 상류)에 있을 때에 인쇄를 개시하기 때문에, 다소의 종이전송오차가 있더라도, 인쇄용지(P)의 상단부(Pf)에 여백을 만드는 일없이 끝부분까지 청록색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노즐(#5∼#9)은 홈부(26mC) 위의 노즐이기 때문에, 인쇄용지(P)에 착탄하지 않았던 잉크 방울이 플래튼(26)의 상면인 지지부(26sf, 26sm1)에 부착하여, 뒤에 전송되어 오는 인쇄용지를 더럽히는 일이 없다. 이후, 노즐(#5∼#9)에 의해 인쇄용지(P)로의 청록색 잉크에 의한 인쇄가 행하여진다. 도 1에서는 단부에 여백 없이 인쇄를 행할 때에 사용되는 노즐을 백색으로 나타내고, 사용되지 않는 노즐을 흑색으로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인쇄용지의 상단(Pf)이 홈부(26mM)의 개구 위에 이르렀을 때, 자홍색 노즐(#5∼#9)로부터 잉크 방울(Ip)을 토출하여 자홍색의 화상 인쇄를 개시한다. 그 후, 인쇄용지의 상단(Pf)이 홈부(26mY)의 개구 위에 이르렀을 때, 노랑색 노즐(#5∼#9)로부터 잉크 방울(Ip)을 토출하여 노랑색 화상의 인쇄를 개시한다.
또한, 인쇄용지(P)의 하단에 관해서도, 하단이 홈부(26mC)의 개구 위에 있을 때에, 청록색 노즐(#5∼#9)로부터 잉크 방울(Ip)을 토출하여, 청록색 화상의 인쇄가 행하여진다. 마찬가지로 하여, 하단이 홈부(26mM)의 개구 위에 있을 때에, 자홍색 노즐(#5∼#9)로부터 잉크 방울(Ip)을 토출하여 하단부의 자홍색 화상의 인쇄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하단이 홈부(26mY)의 개구 위에 있을 때에, 노랑색 노즐(#5∼#9)로부터 잉크 방울(Ip)을 토출하여 하단부의 노랑색 화상의 인쇄가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하여 청록색, 자홍색, 노랑색의 모든 화상이 인쇄용지의 상하단에 여백 없이 인쇄될 수 있다. 그리고, 그들의 화상이 거듭 기록되는 결과, 인쇄용지 위에 컬러 화상이 여백 없이 인쇄된다.
한편, 인쇄용지의 외주에 여백을 설치하여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는 청록색(C), 자홍색(M), 노랑색(Y)의 각 노즐군의 모든 노즐을 사용하여 인쇄가 행하여진다. 또, 여기서는 청록색(C), 자홍색(M), 노랑색(Y)의 3색으로 컬러 인쇄를 행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검정색, 연청록색, 연자홍색 등, 다른 색의 잉크를 사용하여 컬러 인쇄를 행하는 것 같은 태양으로 할 수도 있다.
B. 제1실시예:
B1. 장치의 구성:
도 2는 본 인쇄장치의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컴퓨터(90)에서는 소정의 오프레이팅 시스템하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95)이 동작하고 있다. 오프레이팅 시스템에는 비디오 드라이버(91)나 프린터 드라이버(96)가 짜 넣어져 있다. 화상의 리터치 등을 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95)은, 스캐너(12)로부터 컬러 화상 데이터(ORG)를 판독입력하고, 이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행하면서 비디오 드라이버(91)를 거쳐 CRT(21)에 화상을 표시하고 있다. 화상 데이터(ORG)는 빨강색(R), 초록색(G), 파랑색(B)의 3색의 색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원(原) 컬러 화상 데이터이다.
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95)이 인쇄명령을 발하면, 프린터 드라이버(96)가, 화상 데이터(D)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95)로부터 수취하고, 이것을 프린터(22)가 처리 가능한 신호(여기서는 청록색, 자홍색, 연청록색, 연자홍색, 노랑색, 검정색의 각 색에 관해서의 다치화된 신호)로 변환하고 있다. 프린터 드라이버(96)의 내부에는 해상도 변환 모듈(97)과, 색보정 모듈(98)과, 하프 톤 모듈(99)과, 래스터라이저(10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색보정 테이블(LUT), 도트형성 패턴 테이블(DT)도 기억되어 있다.
해상도 변환 모듈(97)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95)이 취급하고 있는 컬러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프린터 드라이버(96)가 취급할 수 있는 해상도로 변환하는 역활을 다한다. 그 후, 색보정 모듈(98)은 색보정 테이블(LUT)를 참조하면서, RGB의 화상 데이터를, 각 화소마다 프린터(22)가 사용하는 청록색(C), 자홍색(M), 연청록색(LC), 연자홍색(LM), 노랑색(Y), 검정색(K)의 각 색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 「화소」라는 것은 잉크 방울을 착탄시키고 도트를 기록하는 위치를 규정하기 위해서, 인쇄매체 위에(경우에 의해서는 인쇄매체의 외측에 까지) 가상적으로 정해진 방안(方眼:그래프) 형상의 승목(升目:되로 된 양)이다.
색보정된 데이터는, 예컨대 256계조 등의 폭으로 계조값을 가지고 있다. 하프 톤 모듈(99)은 도트를 분산하여 형성함으로써 프린터(22)로 이 계조값을 표현하기 위한 하프 톤처리를 실행한다. 그 때, 도트형성 패턴 테이블(DT)이 참조되고, 계조값에 따라, 각각의 잉크 도트의 도트 형성 패턴이 설정된다. 그 후, 화상 데이터는 래스터라이저(100)에 의해 프린터(22)로 전송해야 할 데이터 순서대로 병체(竝替)할 수 있고, 최종적인 인쇄 데이터(PD)로서 출력된다.
다음에, 도 3에 의해 프린터(22)의 개략구성을 설명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프린터(22)는 종이전송모터(23)에 의해 용지(P)를 반송하는 기구와, 캐리지 모터(24)에 의해 캐리지(31)를 인쇄용지(P)의 반송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기구와, 캐리지(31)에 탑재된 인쇄 헤드(28)를 구동하여 잉크의 토출 및 잉크 도트의 형성을 행하는 기구와, 이들의 종이전송모터(23), 캐리지모터(24), 인쇄 헤드(28) 및 조작 패널(32)과의 신호 교환을 담당하는 제어회로(4O)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회로(40)의 내부에는 CPU(41), PROM(42), RAM(43) 외, 컴퓨터(90)와의 데이터 교환을 행하는 PC 인터페이스(45)와, 잉크 토출 헤드(61∼66)에 잉크 도트의 ON, OFF의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용 버퍼(44) 등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의 소자 및 회로는 버스로 상호 접속되어 있다. 제어회로(40)는 컴퓨터(90)로 처리된 도트 데이터를 수취하고, 이것을 일시적으로 RAM(43)에 저장하며, 소정의 타이밍으로 구동용 버퍼(44)로 출력한다. CPU(41)는, PROM(42)내에 격납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제1의 제어부(41a) 및 제2의 제어부(41c)로서 기능한다.
캐리지(31)를 왕복 운동시키는 기구는 인쇄용지(P)의 반송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가설(架設)되고, 캐리지(31)를 접동가능으로 보지(保持)하는 접동축(34)과, 캐리지(31)와 캐리지모터(24) 사이에 무단(無端)의 구동밸트(36)를 장설(張設)하는 풀리(38)와, 캐리지(31)의 원점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3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캐리지(31)에는 검정색(K) 잉크용의 카트리지(71)와 청록색(C), 연청록색(LC), 자홍색(M), 연자홍색(LM), 노랑색(Y)의 5색의 잉크를 수납한 컬러 잉크용 카트리지(72)가 탑재 가능하다. 캐리지(31) 하부의 인쇄 헤드(28)에는 계 6개의 잉크토출 헤드(61 내지 66)가 형성되어 있고, 캐리지(31)에 검정색(K) 잉크용의 카트리지(71) 및 컬러 잉크용 카트리지(72)를 상방(上方)으로부터 장착하면, 각 잉크 카트리지로부터 토출 헤드(61 내지 66)로의 잉크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도 4는 인쇄 헤드(28)에서의 잉크 젯 노즐(N)의 배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들의 노즐 배치는 검정색(K), 청록색(C), 연청록색(LC), 자홍색(M), 연자홍색(LM), 노랑색(Y) 각 색마다 잉크를 토출하는 6조의 노즐 어레이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 13개의 노즐이 일정한 노즐 피치(k)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의 6조의 노즐 어레이는 부주사 방향으로 2열로 배열되어 있다. 한 쪽의 열은 부주사 방향 상류로부터 청록색(C), 자홍색(M), 노랑색(Y)이고, 다른 쪽 열은, 검정색(K), 연청록색(LC), 연자홍색(LM)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들의 각 노즐 어레이는 각각 다른 토출 헤드(61∼66)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동일한 토출 헤드내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그와 같은 경우도 포함시키고, 본 명세서에서는 각 색의 노즐 어레이 모두 포함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개념으로서「인쇄 헤드」의 언어를 쓴다. 또, 「노즐피치」라는 것은 인쇄 헤드 위에 배열되는 노즐의 부주사 방향의 간격이 몇 래스터 라인분(즉, 몇 화소분) 인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또, 「래스터 라인」이라는 것은, 주주사 방향으로 나란히 서는 화소의 열이고, 「주주사 라인」이라고도 한다.
이들 각 색의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의 열(노즐 어레이)이 특허청구의 범위에 말하는 「도트형성요소군」이다. 그리고, 각 노즐열의 노즐 중 도 4에 파선으로 나타낸 범위(R26mC, R26mM, R26mY) 내에 설치되어 있는 노즐이, 특허청구의 범위에 말하는 「특정 도트형성요소군」이다. 도 4에 파선으로 나타낸 범위(R26mC, R26mM, R26mY)는 각 노즐 어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범위 중 부주사 방향의 중앙부근의 소정의 범위이다. 인쇄 헤드(28)와 마주 대하는 플래튼(26)에서, 이 범위(R26mC,R26mM, R26mY)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홈부(26mC, 26mM, 26mY)(도 1참조)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이들 각 색 노즐열의 「특정 도트형성요소군」은 홈부(26mC, 26mM, 26mY)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중앙부근의 소정의 범위(R26mC, R26mM, R26mY)는, 부주사 방향의 양단의 노즐을 포함하지 않은 범위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부주사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부주사 방향에 설치되어 있는 노즐 어레이 중의 1/2이하의 노즐을 포함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주사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부주사 방향에 설치되어 있는 노즐 어레이 중의 1/3이하의 노즐을 포함하는 범위로 할 수도 있다. 또, 부주사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노즐을 하나로 특정할 수 없고, 2개의 노즐이 중앙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경우, 이 「중앙부근의 소정의 범위」는 그들의 노즐을 양방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제1실시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헤드(28)에는 청록색(C), 자홍색(M), 노랑색(Y)의 노즐열과 병행하게 검정색(K), 연청록색(LC), 연자홍색(LM)의 노즐열이 배치되어 있지만, 측면에서 본 상태는 도 1과 같다. 이 때문에, 앞에 3색으로 컬러 인쇄를 하는 경우의 설명으로 사용한 도 1을 제1실시예의 설명에서도 사용한다.
도 5는 플래튼(26)의 주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플래튼(26)은 주주사의 방향으로, 이 프린터(22)로 사용 가능한 인쇄용지(P)의 최대폭 보다도 길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래튼(26)의 상류에는 상류측 종이전송롤러(25a, 25b)가 설치되어 있다. 상류측 종이전송롤러(25a)가 하나의 구동 롤러인 데 대하여, 상류측 종이 전송롤러(25b)는 자유롭게 회전하는 복수의 소(小)롤러이다. 또한, 플래튼의 하류에는 하류측 종이전송롤러(25c, 25d)가 설치되어 있다. 하류측 종이전송롤러(25c)가 구동축으로 설치된 복수의 롤러이고, 하류측 종이전송롤러(25d)는 자유롭게 회전하는 복수의 소롤러이다. 하류측 종이전송롤러(25d)의 외주면에는 회전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홈이 설치되어 있다. 즉, 하류측 종이전송롤러(25d)는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톱니(홈과 홈 사이의 부분)를 가지고 있고, 회전축 방향에서 본 경우에 톱니 바퀴형 형상으로 보인다. 이 하류측 종이전송롤러(25d)는 통칭「깔죽이 롤러」라고 하고, 인쇄용지(P)를 플래튼(26) 위로 꽉 누르는 역활을 한다. 또, 하류측 종이전송롤러(25c)와 상류측 종이전송롤러(25a)라는 것은 외주의 속도가 같게 되도록 동기하여 회전한다.
플래튼(26)에는 주주사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홈부(26mC, 26mM, 26mY)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홈부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 헤드(28) 위의 각 노즐 어레이의 노즐(#5∼#9)과 마주 대하는 위치이다. 홈부(26mC)의 상류측의 플래튼 상면을 상류측 지지부(26sf)라고 하고, 홈부(26mY)의 하류측의 플래튼 상면을 하류측지지부(26sr)라고 한다. 그리고, 홈부(26mC)와 홈부(26mM) 사이의 플래튼 상면을 중간지지부(26sm1)라고 하고, 홈부(26mM)와 홈부(26mY) 사이의 플래튼 상면을 중간지지부(26sm2)라고 한다.
홈부(26mC, 26mM, 26mY)는 각각 주주사 방향을 따라, 이 프린터(22)로 사용가능한 인쇄용지(P)의 최대폭 보다도 길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저부(低部)에는각각 잉크 방울(Ip)을 받아 이것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27mC, 27mM, 27mY)가 배치되어 있다(도 1참조).
인쇄용지(P)는 상류측 종이전송롤러(25a, 25b) 및 하류측 종이전송롤러(25c, 25d)에 보지되고, 그 사이의 부분을 플래튼(26)의 상면에 의해 인쇄 헤드(28)의 노즐열과 마주 대하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상류측 종이전송롤러(25a, 25b) 및 하류측 종이전송롤러(25c, 25d)에 의해 부주사 전송을 실시하게 된다. 인쇄 헤드(28)는 플래튼(26) 위를 주주사에서 왕복운동하면서, 잉크 방울을 토출함으로써 화상을 기록한다.
인쇄용지(P)는 상류측 종이전송롤러(25a, 25b) 및 하류측 종이전송롤러(25c, 25d)의 양방(兩方)에 의해 부주사 전송을 실시하게 되어 있을 때에는 상류측 지지부(26sf), 중간 지지부(26sm1, 26sm2) 및 하류측 지지부(26sr)에 지지되어, 홈부(26mC, 26mM, 26mY)의 개구 위를 통과하여 간다. 인쇄용지(P)의 전단(前端)(Pf)이 홈부(26mC) 위를 지날 때에는 인쇄용지(P)의 뒤쪽의 부분이 상류측지지부(26sf)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전단(Pf)이 홈부(26mC) 내로 빠지기 어렵다. 또한, 인쇄용지(P)의 후단(後端)(Pr)이 홈부(26mC)를 지날 때에는, 인쇄용지(P)의 앞쪽의 부분이 중간지지부(26sm1)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후단(Pr)이 홈부(26mC) 내로 빠지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각 홈부는 그 상류측 및 하류측에 지지부(26sm1, 26sm2, 26sr)를 가지기 때문에, 인쇄용지가 홈부의 개구 위를 통과할 때에, 홈부내로 빠져 버리기 어렵다.
또, 홈부(26mC)에 관해서는 상류측 지지부(26sf)가, 특허청구의 범위에 말하는 「상류측 지지부」에 상당하고, 중간 지지부(26sm1)가 특허청구의 범위에 말하는 「하류측 지지부」에 상당한다. 홈부(26mM) 에 관해서는 중간 지지부(26sm1)가, 특허청구의 범위에 말하는 「상류측 지지부」에 상당하고, 중간 지지부(26sm2)가 특허청구의 범위에 말하는 「하류측 지지부」에 상당한다. 홈부(26mY)에 관해서는 중간 지지부(26sm2)가, 특허청구의 범위에 말하는 「상류측 지지부」에 상당하고, 하류측 지지부(26sr)가 특허청구의 범위에 말하는 「하류측 지지부」에 상당한다.
B2. 화상인쇄모드의 선택:
도 6은 인쇄처리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프린터(22)는 인쇄용지(P)의 외주, 즉 상하좌우의 끝부분에 여백을 설치하지 않고 인쇄를 행하는 제1의 화상 인쇄모드와, 인쇄용지(P)의 외주에 여백을 남겨 인쇄를 행하는 제2의 화상인쇄모드를 가지고 있다. 프린터(22)는 제2의 화상인쇄모드에서 모든 노즐을 사용하여 인쇄를 행하는 데 대해,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는 홈부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있는 노즐(#5∼#9)만으로 인쇄를 행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인쇄에 있어서 우선 제1의 화상인쇄모드와 제2의 화상인쇄모드 중 어느 것인가를 선택한다. 선택결과는 마우스(13)나 키보드(14)(도 2참조)를 통해 컴퓨터(90)으로 입력된다. 스텝(S2)에서 제1의 화상인쇄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컴퓨터(90)는 스텝(S4)에서 화상 데이터(D)를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 따라 처리하고, 스텝(S6)에서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 따라 인쇄를 실행한다. 한편, 스텝(S2)에서 제2의 화상인쇄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컴퓨터(90)는 각각 제2의 화상인쇄모드에 따라 스텝(S8)에서 화상 데이터(D)를 처리하고 스텝(S10)에서 인쇄를 실행한다.
도 7은 제1의 화상인쇄모드와 제2의 화상인쇄모드 중 어느 것인가를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선택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인쇄시에는 CPU(41)에서 실행되는 프린터 드라이버(96)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선택화면을 CRT(21)로 나타낸다(도 1 및 도 2참조). 사용자는 마우스(13)를 사용하여 화면 상단(上段)의 「용지 설정」태그(tag)를 선택하고, 우측 위의 「4변 테두리 없음(M)」으로 체크를 넣는 것으로 「제1의 화상인쇄모드를 선택했다」라고 하는 정보를 컴퓨터(90)로 입력한다. 한편, 사용자가 「4변 테두리 없음(M)」으로 체크를 넣지 않았던 경우에는 「제2의 화상인쇄모드를 선택했다」라고 하는 정보가 컴퓨터(90)로 입력된다. 또, 사용자는 마우스(13) 이외에도 컴퓨터(90)로 접속된 키보드(14) 등의 다른 입력 기기를 통해 프린터 드라이버(96)에 대해 화상인쇄모드의 선택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프린터 드라이버(96)는 선택된 화상인쇄모드에 따라 인쇄 데이터(PD)를 준비한다. 또 제1의 화상인쇄모드는 제1의 제어부(41a)(도 3참조)에 의해 실행되고, 제2의 화상인쇄모드는 제2의 제어부(41c)에 의해 실행된다.
도 8은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의 화상 데이터(D)와 인쇄용지(P)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는 인쇄용지(P)의 상단(Pf)을 넘어 인쇄용지(P)의 외측까지 화상 데이터(D)가 설정된다. 또한, 하단(Pr), 좌측단 (Pa), 우측단(Pb)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인쇄용지(P)의 끝부분을 넘어 인쇄용지 (P)의 외측까지 화상 데이터(D)를 설정한다. 따라서,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는 화상 데이터(D)와 인쇄용지(P)의 크기 및 인쇄시의 화상 데이터(D)의 상정위치와 인쇄용지(P)의 배치의 관계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는 이 화상 데이터(D)에 의거하여, 인쇄용지의 끝부분까지 여백 없이 화상이 인쇄된다. 또, 좌측단(Pa), 우측단(Pb)의 좌우의 명칭에 관해서는, 프린터(22)의 좌우 명칭과 대응시켰기 때문에, 인쇄용지(P)에서는 실제의 좌우와 좌측단(Pa), 우측단(Pb)의 명칭이 역으로 되어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인쇄용지(P)에 기록하는 화상 데이터의 상하에 대응시켜 인쇄용지(P)의 끝부분을 부르는 경우는 「상단(부)」, 「하단(부)」의 언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프린터(22) 위에서의 인쇄용지(P)의 부주사 전송의 진행방향에 대응시켜 인쇄용지(P)의 끝부분을 부르는 경우는, 「전단(부)」, 「후단(부)」의 언어를 사용하는 일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인쇄 용지(P)에서 「상단(부)」가 「전단(부)」에 대응하고, 「하단(부)」가 「후단(부)」에 대응한다.
도 9는 제2의 화상인쇄모드에서의 화상 데이터(D2)와 인쇄용지(P)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화상인쇄모드에서 화상 데이터(D2)는 인쇄용지(P) 보다도 작은 영역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그리고, 화상은 인쇄용지(P) 위에 상하좌우에 여백을 설치하여 인쇄된다.
B3. 인쇄:
제1의 화상인쇄모드와 제2의 화상인쇄모드에서는 인쇄시의 부주사 전송의 패턴이 다르다. 이하에서는 제1의 화상인쇄모드와 제2의 화상인쇄모드로 나누어 인쇄시의 부주사 전송에 관해 설명한다.
(1)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의 부주사 전송:
도 10은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 각 래스터 라인이 어떤 노즐에 의해 어떻게 기록되어 가는 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복수 존재하는 노즐열 중 청록색 노즐열만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각 노즐은 3 래스터 라인분의 간격을 띄워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 사용되는 것은 13개의 노즐 중 중앙의 5개 노즐{노즐(#5∼#9)}이다.
도 10에서, 종(縱)으로 나란히 서는 1열의 승목은 인쇄 헤드(28)를 나타내고 있다. 각 승목 중의 5∼9의 숫자가 노즐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서는 시간과 동시에 부주사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전송되는 인쇄 헤드(28)를, 순서대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비켜 놓아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는 5 도트씩 정칙(定則)전송을 행한다. 그 결과, 각 래스터 라인은 각각 하나의 노즐에 의해 도트를 기록하게 된다.
또, 부주사 전송량의 단위의 「도트」는 부주사 방향의 인쇄 해상도에 대응하는 1 도트분의 피치를 의미하고 있고, 이것은 래스터 라인의 피치와도 같다. 도 10에서 굵은 테두리로 둘러싸인 노즐이 래스터 라인으로 도트를 기록하는 노즐이다.
도 10에서 최상단으로부터 2∼4번째, 7, 8번째, 12번째의 래스터 라인은 노즐이 한번도 통과하지 않는다. 즉, 이들의 래스터 라인에는 도트를 기록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이들 최상단으로부터 12번째까지의 래스터 라인은 화상을 기록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은 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래스터 라인은 인쇄 헤드(28) 위의 노즐이도트를 기록할 수 있는 래스터 라인 중, 부주사 방향 상류의 끝부분으로부터 l3번째 이후의 래스터 라인으로 한다. 이 화상을 기록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래스터 라인의 영역을 「인쇄가능영역」이라고 한다. 또한, 화상기록를 위해 사용하지 않는 래스터 라인의 영역을 「인쇄불가영역」이라고 한다. 도 10에서는, 인쇄 헤드(28) 위의 노즐이 도트를 기록할 수 있는 래스터 라인에 관해, 위로부터 순서대로 붙인 번호를, 도면의 좌측에 기재하고 있다. 이후, 상단 처리의 도트의 기록을 설명하는 도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1은 인쇄개시시의 인쇄 헤드(28)와 인쇄용지(P)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여기서는 홈부(26mC)는 인쇄 헤드(28)의 #5의 청록색 노즐로부터 세어서 2 래스터 라인분 앞의 위치로부터, #9의 청록색 노즐로부터 세어서 2 래스터 라인분뒤의 위치까지의 범위(R26mC)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인쇄용지가 없는 상태로 각 노즐로부터 잉크 방울(Ip)을 토출 시킨 경우라도, #5∼#9의 노즐로부터의 잉크 방울은 플래튼(26) 상면{상류측지지부(26sf), 중간지지부(26sml)}에 착탄하는 일은 없다.
인쇄개시시에서, 인쇄용지(P)의 상단(Pf)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헤드(28) 위의 노즐이 도트를 기록할 수 있는 래스터 라인 중, 부주사 방향 상류의 끝부분으로부터 23번째의 래스터 라인의 위치에 있다. 즉, 인쇄용지(P)의 상단은 #9의 노즐의 6 래스터 라인분 상류(#10의 노즐의 2 래스터 라인분 상류)의 위치에 있는 것으로 된다(도 11참조). 따라서, 이 상태로부터 인쇄를 개시하는 것으로 하면, 인쇄가능영역의 최상단의 래스터 라인(도 10에서, 위에서 13번째의 래스터 라인)이 #8의 노즐에 의해 기록되고, 5번째의 래스터 라인(도 10에서, 위에서 17번째의 래스터 라인)이 #9의 노즐에 의해 기록될 것이지만, 그들 노즐의 하방에는 아직 인쇄용지(P)가 없다. 따라서, 인쇄용지(P)가 상류측 종이전송롤러(25a, 25b)에 의해 정확히 전송되어 있으면, 노즐(#8, #9)로부터 토출된 잉크 방울(Ip)은 그대로 홈부(26mC)로 낙하하는 것으로 된다. 인쇄가능영역의 위로부터 10번째까지의 래스터 라인(도 10에서, 위로부터 22번째까지의 래스터 라인)을 기록하는 경우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이유에 의해, 인쇄용지(P)가 본래의 전송량 보다도 많이 전송되어 버린 경우에는 인쇄용지(P)의 상단이 인쇄가능영역의 위로부터 11번째(상정상단위치. 도 10에서, 위로부터 23번째의 래스터 라인) 보다도 위의 래스터 라인의 위치에 와 버리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와 같은 경우라도, 그들의 래스터 라인에 대해 잉크 방울(Ip)을 토출하고 있기 때문에, 인쇄용지(P)의 상단에 화상을 기록할 수 있고, 여백이 생겨 버리는 일이 없다. 즉, 인쇄용지(P)가 본래의 전송량보다도 많이 전송되어 버린 경우라도, 그 여분의 전송량이 10 래스터 라인분(도 11에서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이하인 경우에는 인쇄용지(P)의 상단에 여백이 생기어 버리는 일이 없다.
역으로, 어떠한 이유에 의해, 인쇄용지(P)가 본래의 전송량보다도 적게 전송되어 버리는 일도 생각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본래 인쇄용지가 있어야 할 위치에 인쇄용지가 없는 것으로 되어, 잉크 방울(Ip)이 하방의 구조물에 착탄하여 버리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화상기록 모드에서 각 래스터 라인은, #5∼#9의 노즐로 기록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노즐의 하방에는 홈부(26mC)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령 잉크 방울(Ip)이 인쇄용지(P)에 착탄하지 않았다고 해도, 그 잉크 방울(Ip)은 홈부(26mC)로 낙하하고, 흡수부재(27mC)에 흡수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잉크 방울(Ip)이 플래튼(26) 상면부로 착탄하여, 후에 인쇄용지를 더럽히는 일은 없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개시시에 인쇄용지(P)의 상단(Pf)이 상정 상단위치보다도 뒤에 있는 경우라도, 잉크 방울(Ip)이 플래튼(26) 상면부{상류측 지지부(26sf), 중간지지부(26sml)}에 착탄하여, 후에 인쇄용지(P)를 더럽히는 일은 없다.
인쇄용지(P)의 하단의 인쇄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단을 넘어 설치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D)(도 8참조)에 의거하여, 홈부(26mC) 위의 노즐(#5∼#9)에 의해 인쇄용지(P) 위에 도트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인쇄용지(P)의 하단의 인쇄에 관해서도, 플래튼(26)을 더럽히지 않고, 여백 없이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도 12는 홈부(26mC)내로부터 상류측을 본 상태로,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의 인쇄용지(P)의 좌우측단부의 인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부(26mC, 26mM, 26mY)는 각각 주주사 방향으로 인쇄용지(P)의 폭 보다도 길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인쇄용지(P)는 가이드(29a, 29b)(도 5참조)에 의해 각 홈부(26mC, 26mM, 26mY)의 주주사 방향의 거의 중앙에 위치 결정되어 전송되어 온다. 그 결과, 주주사 방향에 관해 인쇄용지(P)는 각 홈부가 설치되어 있는 범위내에 배치되어 전송되어지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인쇄용지(P) 위로의 도트의 형성에 있어서는 좌우의 끝부분을 넘어 설치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D)(도 8참조)에의거하여, 홈부 위의 노즐(#5∼#9)에 의해 도트가 형성된다. 그 때,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이 인쇄용지(P)의 측단부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있을 때 및 인쇄용지(P)의 외측의 영역에서 또한 각 홈부(26mC)의 양단부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도트의 기록을 행한다. 따라서, 인쇄용지(P)의 좌우의 끝부분에 관해서도, 플래튼(26)을 더럽히지 않고 여백 없이 인쇄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쇄용지의 측단부에서의 인쇄는 제1의 제어부(41a) 내의 측단 인쇄부(41b)(도 3참조)에 의해 실행된다.
다른 노즐 어레이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인쇄가 행하여진다. 즉,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는 각 노즐 어레이의 #1∼#13의 노즐 중, 홈부와 마주 대하는 #5∼#9의 노즐만을 사용하여 인쇄가 행하여진다. 또,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정색의 노즐열(K)에 관해서는 청록색의 노즐열(C)과 주주사 방향에 나란히 서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청록색 노즐열(C)과 같은 주주사에서 잉크 방울의 토출이 행하여진다. 또한, 자홍색 노즐열(M)과 연청록색 노즐열(LC)에 관해서는 청록색 노즐열(C) 보다도 부주사 방향 하류에 위치하기 때문에, 청록색 노즐열(C)의 뒤에 인쇄가 개시되고 인쇄를 종료한다. 그 위에, 노랑색 노즐열(Y)과 연자홍색 노즐열(LM)에 관해서는 자홍색 노즐열(M), 연청록색 노즐열(LC) 보다도 부주사 방향 하류에 위치하기 때문에, 자홍색 노즐열(M), 연청록색 노즐열(LC) 보다도 뒤에 인쇄가 개시되고, 후에 인쇄를 종료한다.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의 인쇄에서는 부주사 방향에 관해 홈부 위에 있는 노즐만을 사용하여 인쇄를 행한다. 또한, 주주사 방향에 관해서는 주주사에서 노즐이 홈부 위에 있을 때에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인쇄용지의 측단부의 인쇄를 행한다. 따라서, 플래튼을 더럽히는 일 없이 인쇄매체의 끝부분까지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상기 효과는 플래튼 위에서 인쇄매체가 적정한 방향으로 전송되지 않고, 단부의 라인이 주주사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되어 버린 경우도 마찬가지로 발휘된다. 그리고, 인쇄매체가 적정하게 부주사 전송되더라도, 단부의 라인이 주주사 방향으로 평행으로는 되지 않는다, 사다리꼴의 인쇄매체나, 단부의 형상이 직선적이지 아닌 인쇄매체의 경우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 위에, 인쇄매체에 일부 구멍이 뚫려 있거나, 인쇄매체가 그물코 형상의 것으로서, 일부의 잉크 방울이 인쇄매체를 통과하여 버리는 경우이더라도, 플래튼 상면을 더럽히는 일이 없다. 또한, 잉크 방울이 인쇄매체에 착탄하였을 때에 인쇄매체의 뒤 쪽에까지 침투한 경우에도, 홈부를 통과할 때까지 잉크가 마르면, 플래튼 상면을 더럽히는 일이 없다.
또, 이들 소정의 인쇄매체에 끝부분까지 여백 없이 인쇄를 행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인쇄매체의 종류(사이즈, 형상, 재질 등에 의해 결정되는 종류)를 지정하여, 단부까지 여백 없이 인쇄를 행하는 취지를 지정하여, 인쇄를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인쇄매체의 종류의 지정은 미리 준비된 선택지(選擇肢)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형식으로 할 수도 있고, 또한 여러 가지 파라미터(사이즈, 형상, 재질 등)를 사용자 스스로가 설정하여, 인쇄매체의 종류를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각 노즐열 중에서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 사용하는 노즐의 수가 같기 때문에, 쓸데없는 주주사를 행하는 일 없이 일정한 전송을 행하여, 효율적으로 도트를 기록할 수 있다.
(2) 제2의 화상인쇄모드에서의 부주사 전송:
여기서도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복수 존재하는 노즐열 중 청록색 노즐열만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2의 화상인쇄모드에서는 청록색 노즐 어레이의 #1∼#13까지의 모든 노즐이 사용된다. 또, 여기서 말하는 「모든 노즐이 사용된다」라는 것은 「모든 노즐이 필요에 따라 사용 가능하다」라고 하는 의미이다. 따라서, 인쇄하는 화상의 데이터에 의해서는 어떤 노즐이 사용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
도 13은 제2의 화상인쇄모드에서, 각 래스터 라인이 어떤 노즐에 의해 어떻게 기록되어 가는 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화상인쇄모드에서는 13 도트의 정칙 전송이 행하여진다. 그 결과, 각 래스터 라인은 하나의 노즐로 도트를 기록하게 된다. 제2의 화상인쇄모드에서는 인쇄용지(P)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 비해 넓은 인쇄불가영역이 생긴다. 예컨대, 도 10에서는 상단측의 인쇄불가영역은 상단으로부터 12 래스터 라인분이지만, 도 13에서는 36 래스터 라인분이다. 인쇄 헤드가 도트를 형성할 수 있는 최상단의 래스터 라인의 위치가 인쇄용지(P)의 상정상단위치라고 하면, 이 36 래스터 라인분의 영역이 인쇄용지(P)의 상단에서의 여백으로 된다. 제2의 화상인쇄모드에서는 홈부(26mC) 위에 위치하는 노즐(#5∼#9)로 도트를 형성하게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인쇄용지(P)의 단부에 여백을 남겨 인쇄를 행하는 제2의 화상인쇄모드에서는 인쇄용지(P)의 여백을 넘어 외측으로 잉크 방울이 토출될 가능성은 적기 때문에 불편함은 없다. 한편, 제2의 화상인쇄모드에서는 #1∼#13까지의 모든 노즐을 사용하기 때문에, 한정된 노즐로 인쇄를 행하는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 비해, 고속인 인쇄를 실현할 수 있다.
C. 제2실시예:
도 14는 제2실시예에서의 인쇄 헤드(28)와 홈부(26mC, 26mM, 26mY)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여기서는 홈부(26mM)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홍색 노즐열의 노즐(#5∼#9)과 마주 대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만, 홈부(26mC)는 청록색 노즐열의 노즐(#1∼#5)과 마주 대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홈부(26mY)는 노랑색 노즐열의 노즐(#9∼#13)과 마주 대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홈부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있는 노즐은 청록색 노즐열과 검정색 노즐열에 관해서는 노즐(#1∼#5), 자홍색 노즐열과 연청록색 노즐열에 관해서는 노즐(#5∼#9), 노랑색 노즐열과 연자홍색 노즐열에 관해서는 노즐(#9∼#13)이다. 즉, 부주사 방향의 가장 상류에 위치하는 홈부(26mC)는 홈부(26mC)와 마주 대하는 노즐열(C, K)의 부주사 방향의 중심위치에 대해,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고, 부주사 방향의 가장 하류에 위치하는 홈부(26mY)는 홈부(26mY)와 마주 대하는 노즐열(Y, LM)의 부주사 방향의 중심위치에 대해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 각 노즐열에서 홈부와 마주 대하는 노즐의 수는 동수이다.
도 15는 제2실시예의 프린터에서의 플래튼(26)의 주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플래튼(26)에는 홈부(26mC, 26mM, 26mY)의 각각의 양단의 위치에서 부주사 방향으로 연장된다, 좌측 홈부(26a)와 우측 홈부(26b)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 홈부(26a) 및 우측 홈부(26b)는 노랑색 노즐열 및 연자홍색 노즐열의 노즐(#1)이설치되어 있는 위치보다 하류로부터 청록색 노즐열 및 검정색 노즐열의 노즐(#13)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보다 상류까지 설치되고 있다. 즉, 좌측 홈부(26a)와 우측 홈부(26b)라는 것은 인쇄 헤드 위의 전(全) 노즐열로부터의 잉크 방울의 착탄범위 보다도 길게 부주사 방향의 범위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홈부(26a)와 우측 홈부(26b)는 각각의 중심선 끼리의(주주사 방향의) 간격이 프린터(22)로 기록 가능한 인쇄용지(P) 중, 주주사 방향에 관해서의 폭이 최대의 인쇄용지(P)의 폭으로 같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좌측 홈부(26a)와 우측 홈부(26b)는 프린터(22)로 사용 가능한 최대폭의 인쇄용지(P)가 가이드(29a, 29b)에 의해 가이드되는 소정의 주주사 위치에 있을 때, 인쇄용지(P)의 주주사 방향의 한쪽의 측단부(Pa)가 좌측 홈부(26a) 위에 위치하고, 다른쪽의 측단부(Pb)가 우측 홈부(26b) 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인쇄용지(P)가 정위치에 있을 때, 그 측단부가 좌측 홈부(26a)와 우측 홈부(26b)의 중심선 위에 있는 태양 이외에, 인쇄용지(P)의 측단부가 좌측 홈부(26a)와 우측 홈부(26b)의 중심선 보다도 내측이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들 좌측 홈부(26a)와 우측 홈부(26b)의 저부에도 흡수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다른 점은 제1실시예의 프린터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도 16은 홈부와 마주 대하는 노즐만으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도트를 기록하는 영역(Rf, Rr)과, 모든 노즐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도트를 기록하는 영역(Rm)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 인쇄용지(P)의 상단(Pf) 부근의 영역(Rf) 및 하단(Pr) 부근의 영역(Rr)에 도트를 기록할 때는 각각 홈부와 마주 대하는 노즐만을 사용하여, 5 도트의 정칙 전송을 행하여, 도트를 기록한다(도 10참조). 그러나, 인쇄용지(P)의 중간부의 영역(Rm)에 도트를 기록할 때는 모든 노즐을 사용하여 13 도트의 정칙 전송을 행하며 도트를 기록한다(도 13참조).
구체적으로는 인쇄용지(P)의 전단(Pf)이 상류측의 홈부(26mC) 위에 있을 때에 청록색 노즐열 및 검정색 노즐열의 노즐(#1∼#5)로부터 잉크 방울의 토출을 개시한다. 그 후, 전단(Pf)이 홈부(26mM) 위에 이르렀을 때에 자홍색 노즐열 및 연청록색 노즐열의 노즐(#5∼#9)로부터 잉크 방울의 토출을 개시하고, 전단(Pf)이 홈부(26mY) 위에 이르렀을 때에 노랑색 노즐열 및 연자홍색 노즐열의 노즐(#9∼#13)로부터 잉크 방울의 토출을 개시한다. 그 사이, 5 도트씩의 부주사 전송이 반복된다(도 10참조).
그 후, 인쇄용지(P)의 전단(Pf)이 하류측의 홈부(26mY)를 통과하고 나서 소정의 거리만큼 부주사 전송이 행하여진 후에는 각 노즐 어레이의 모든 노즐을 사용하여, 13 도트씩의 부주사 전송을 행하여 영역(Rm)에 관해 인쇄가 행해진다(도 13및 도 16참조).
그 후, 인쇄용지의 후단(Pr)이 상류측의 홈부(26mC)에 가까이 갔을 때에는 다시, 5 도트씩의 부주사 전송이 행하여져 각 노즐 어레이의 홈 위에 위치하는 노즐로 범위(Rr)에 관해서의 인쇄가 행하여진다. 즉, 노랑색과 연자홍색에 관해서는 #9∼#13, 자홍색과 연청록색에 관해서는 #5∼#9, 청록색과 검정색에 관해서는 #1∼#5로 인쇄가 행해진다.
또, 인쇄용지(P)의 측단부의 인쇄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노즐이 인쇄용지(P)의 측단부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있을 때 및 인쇄용지(P) 외측의 영역에서 또한 좌측 홈부(26a){또는 우측 홈부(26b)}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도트의 기록이 행하여진다(도 12참조).
제2실시예에서는 인쇄용지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에 관해서는 홈부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있는 특정한 노즐(도트형성요소군)과, 그 이외의 노즐을 사용하여, 또한 단부에서의 부주사의 전송량보다도 큰 전송량으로 부주사를 행하여, 인쇄용지 위에서 화상을 구성하는 도트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일정한 노즐을 사용하여, 일정한 패턴으로 부주사를 행하는 경우에 비해, 인쇄를 행하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노즐로 인쇄가 행하여지는 것은 인쇄용지(P)가 중간부분이기 때문에, 토출된 잉크 방울이 인쇄용지의 상하단으로부터 벗어나 플래튼을 더럽히는 걱정은 적다. 또한, 좌측 홈부(26a) 및 우측 홈부(26b)는 노랑색 노즐열 및 연자홍색 노즐열의 노즐(#1)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보다 하류에서 청록색 노즐열 및 검정색 노즐열의 노즐(#13)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보다 상류까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도 5참조), 인쇄용지의 측단부에 관해서, 모든 노즐을 사용하여 인쇄를 행하더라도 플래튼(26) 상면을 더럽히는 일이 없다.
인쇄용지의 상하단의 인쇄를 행할 때에는 홈 위에 위치하는 노즐만을 사용하여, 비교적 작은 부주사 전송(여기서는 5 도트 전송)을 행할 필요가 있다. 즉, 인쇄용지의 전단부(Pf)가 홈부(26mC) 위를 통과하기 시작하고 나서 홈부(26mY) 위를 통과하기 끝날 때까지는 비교적 작은 부주사 전송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인쇄용지의 후단부(Pr)가 홈부(26mC) 위를 통과하기 시작하고 나서 홈부(26mY) 위를 통과하기 끝날 때까지의 동안도, 비교적 작은 부주사 전송을 행할 필요가 있다. 한편, 그 사이의 인쇄용지의 중간부의 영역(Rm)의 인쇄에서는 모든 노즐을 사용하여 비교적 큰 부주사 전송(여기서는 13 도트)을 행할 수 있다. 이 제2실시예에서 각 홈부(26mC, 26mM, 26mY)는 제1실시예에 비해 서로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비교적 작은 부주사 전송을 행해야 하는 거리가 작고, 비교적 큰 부주사전송을 행할 수 있는 범위가 크다. 이 때문에, 전체의 인쇄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 제2실시예의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프린터에서, 제1실시예와 같이, 홈부와 마주 대하는 노즐만을 사용하여, 인쇄용지 전체의 인쇄를 통해 일정 패턴의 부주사 전송(예컨대, 5 도트의 정칙 전송)을 행하여 인쇄를 행할 수도 있다.
한편, 제1실시예의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에서, 제2실시예와 같이, 단부 부근의 영역(Rf, Rr)의 인쇄에서는 홈부와 마주 대하는 노즐만을 사용하여 비교적 작은 부주사 전송을 행하고, 중간부의 영역(Rm)의 인쇄에서는 보다 많은 노즐을 사용하여 비교적 큰 부주사 전송을 행할 수도 있다(도 16참조). 그와 같은 인쇄를 행하면,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에서도, 보다 단시간에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다만, 제2실시예의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와 같이, 홈부가 부주사 방향에 관해 보다 좁은 범위에 설치되어 있는 쪽이, 보다 단시간에 인쇄를 행할 수 있다.
D. 변형예:
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은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태양에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Dl. 변형예1:
제1실시예에서는 각 노즐열의 노즐(#5∼#9)의 하방으로 홈부(26mC, 26mM, 26mY)를 설치하고, 노즐(#5∼#9)로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의 테두리 없음 인쇄를 행하였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서는 상류측의 노즐열에 관해서는 노즐(#1∼#5)의 하방으로 홈부(26mC)를 설치하고, 중간의 노즐열에 관해서는 노즐(#5∼#9)의 하방으로 홈부(26mM)을 설치하며, 하류측의 노즐열에서는 노즐(#9∼#13)의 하방으로 홈부(26mY)를 설치하여, 홈 위에 위치하는 노즐로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의 테두리 없음 인쇄를 행하였다. 그러나, 인쇄용지의 단부를 인쇄하는 노즐과 홈부의 관계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각 노즐열의 노즐수가 48개인 태양에서, 노즐(#17∼#32)에 상당하는 범위에 홈부(26mC, 26mM, 26mY)를 설치하여, 노즐(#17∼#32)로 제1의 화상인쇄모드의 인쇄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D2. 변형예2: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는 6색의 잉크로 컬러 인쇄를 행하였지만, 청록색, 자홍색, 노랑색의 3색으로 컬러 인쇄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청록색, 자홍색, 노랑색, 검정색의 4색으로 컬러 인쇄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도 4에서, 연청록색 노즐열(LC)과 연자홍색 노즐열(LM)을 대신하여 검정색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열을 배치하는 태양으로 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태양으로 하면, 흑백 인쇄를 행하는 단색 모드에 있어서는 다른 잉크에 비해 3배의 수의 노즐로부터 검정색 잉크를 토출하여, 고속으로 인쇄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컬러 인쇄를 행하는 컬러 모드에서 검정색 노즐에 관해서는 예컨대 부주사 방향의 가장 상류에 위치하는 13개의 노즐만을 사용하여, 인쇄를 행할 수 있다.
D3.변형예3:
도 17은 다른 태양에서의 각 노즐 어레이와 홈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에서 인쇄 헤드(28)와 마주 대하는 플래튼(26)에는 범위(R26m1∼R26m4)의 각각에 상당하는 위치에 홈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각 노즐 어레이는 하나의 홈부와 마주 대하여 있었다. 그러나,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노즐 어레이가 2 이상의 홈부와 마주 대하는 것 같은 태양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하나의 홈부가 두개 이상의 노즐 어레이와 마주 대하는 것 같은 태양으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7에서는 청록색 노즐열(C) 과 검정색 노즐열(K)은 범위(R26m1)와 범위(R26m2)에 상당하는 위치에 설치된 두개의 홈부와 마주 대하고 있다. 즉, 홈부와 마주 대하는 특정 도트형성요소군(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 사용되는 노즐군)은 복수 개소로 나누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범위(R26m2)에 상당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홈부는 부주사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는 청록색 노즐열(C)과 자홍색 노즐열(M)의 양방에 마주 대하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은 태양으로서도 홈부와 마주 대하는 노즐로 인쇄용지의 상하단부의 인쇄를 행하면, 단부에 여백을 설치하는 일 없이 인쇄를 행할 수 있다.
D4.변형예4:
도 18은 다른 태양에서의 노즐 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다른 태양에서의 노즐 블록의 배치와 홈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 및 도 20에서, R26m5∼R26m13은 인쇄 헤드와 마주 대하는 플래튼 위에서, 홈부가 설치되어 있는 범위이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는 각 토출 헤드(61∼66)에 일렬의 노즐 어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태양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노즐 유닛(62a∼62d)이 토출 헤드(62)로서의 노즐 블록(62)을 구성하여, 하나의 노즐 블록(62)이 전체로 일색(一色)의 잉크(도 18에서는 청록색 잉크)를 토출하는 것 같은 태양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태양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노즐 블록(62∼66)이 모여 인쇄 헤드(28)를 구성한다.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부의 노즐 블록(62, 63, 65, 66)을 부주사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하고, 일부의 노즐 블록(61, 62, 64)을 주주사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태양에서는 주주사 방향에 나란히 서는 다른 노즐 블록을 가지지 않은 노즐 블록(63, 65, 66)에 관해서는 노즐과 마주 대하는 홈부{각각 범위(R26m5, R26m6, R26m7)에 상당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홈부)}를 단독으로 설치하고, 주주사 방향으로 나란히 서는 복수의 노즐 블록(61, 62, 64)에 관해서는 노즐과 마주 대하는 홈부{범위(R26m8)에 상당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홈부)}를 공유하도록 홈부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주사 방향에 관해 일부만 서로 겹치 도록, 비키어 놓아 노즐 블록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각각의 노즐 블록에 관해 노즐과 마주 대하는 홈부를 단독으로 설치해도 좋고, 범위(R26m12,R26m13)에 홈부를 설치하여, 홈부를 복수의 노즐 블록으로 공유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술한 여러 가지의 실시예나 변형예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부주사 방향에 관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노즐군(도트형성요소군)인 각각의 부주사 방향의 범위내의 일부의 범위에 상당하는 폭을 가지는 복수의 홈부로서, 주주사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가 플래튼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부주사 방향에 관해 같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노즐군을 사용하여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화소에 복수의 노즐군으로부터 토출된 잉크 방울을 착탄시키는 경우에 한번의 주주사내에서 사이를 두지 않고 각 잉크 방울이 착탄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부주사 방향에 관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노즐군을 사용하여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화소에 복수의 노즐군으로부터 토출된 잉크 방울을 착탄시키는 경우에도 사이에 부주사를 끼운 복수회의 주주사로 잉크 방울을 착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탄한 잉크끼리의 번짐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사이에 부주사를 끼운 복수회의 주주사로 잉크 방울을 착탄시키는 것으로 하면 하나의 화소에 복수의 노즐군으로부터 토출하는 잉크 방울을 탄착시키는 경우에 각 노즐군 사이의 잉크 방울의 착탄 순서가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노즐군으로부터 색이 다른 잉크를 토출하여 컬러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잉크의 겹침 순서가 일정하게 되므로 빛깔이 일정해지고 인쇄 결과의 품질이 좋다.
D5. 변형예5:
도 21은 다른 태양에서의 노즐 블록의 배치와 홈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에 나타내어진 인쇄 헤드(28a)는 도 19에 나타낸 인쇄 헤드(28a)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도 21에서는 토출 헤드(66) 위에서 노랑색 노즐이 설치되어 있는 범위인 부주사 방향의 중심위치(66c)가 나타내져 있다. 마찬가지로, 토출 헤드(65, 63, 64) 위에서 각 색의 노즐이 설치되어 있는 범위인, 부주사 방향의 중심위치(65c, 63c, 64c)가 나타내져 있다. 또, 중심 위치(64c)는 검정색 노즐 및 청록색 노즐이 설치되어 있는 범위인, 부주사 방향의 중심 위치이기도 하다.
도 21에서 범위(R26m15)에 상당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홈부는 연자홍색 노즐군의 중심위치(65c) 부근의 소정의 범위내에 위치하는 연자홍색 노즐과 마주 대하여 있다. 그리고, 범위(R26m16)에 상당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홈부도 연청록색 노즐군의 중심위치(63c) 부근의 소정의 범위내에 위치하는 연청록색 노즐과 마주 대하여 있다. 이 때문에, 중앙 부근의 노즐이 끝부분 근처의 노즐보다도 잉크 방울의 크기나 도트형성위치가 설계값에 가까운 경우는 제1의 화상기록모드에서, 보다 고품질인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1에서 범위(R26m14)에 상당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부주사 방향의 가장 상류에 위치하는 홈부는 이 홈부와 마주 대하는 노랑색 노즐군(Y)의 부주사 방향의 중심위치(66c)에 대해,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범위(R26m17)에 상당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부주사 방향의 가장 하류에 위치하는 홈부는 이 홈부와 마주 대하는 자홍색 노즐군(M)의 부주사 방향의 중심위치(64c)에 대해,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태양으로 하면, 인쇄용지에서, 홈부와 마주 대하는 노즐(특정 도트형성요소군)만으로 도트를 기록해야 하는 범위를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단시간으로 인쇄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중간에 위치하는 홈부{범위(R26m15, R26m16)에 설치된 홈부)}를, 각 홈부와 마주 대하는 노즐군의 중심위치(65c, 63c)의 부근에 설치해 두어도, 마찬가지로 발휘된다.
또, 홈부가 「노즐군(도트형성요소군)의 부주사 방향의 중심위치에 대해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라는 것은 반드시 홈부가 설치되어 있는 부주사 방향의 범위전체가 그 홈부와 마주 대하는 노즐군의 중심위치 보다도 하류측에 있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홈부의 부주사 방향의 중심위치가 그 홈부와 마주 대하는 노즐군의 부주사 방향의 중심위치 보다도 하류측에 있으면 좋다. 홈부가 「노즐군의 부주사 방향의 중심위치에 대해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의 의미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D6. 변형예6:
상기 실시예에서,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 있던 구성의 일부를 소프트웨어로 바꿔놓도록 해도 좋고, 역으로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어 있던 구성의 일부를 하드웨어로 바꿔놓도록 해도 좋다. 예컨대 CPU(41)(도 3참조)의 기능의 일부를 호스트 컴퓨터(90)가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실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플로피 디스크나 CD-ROM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형태로 제공된다. 호스트 컴퓨터(90)는 그 기록매체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내부기억장치 또는 외부기억장치로 전송한다. 혹은, 통신경로를 거쳐 프로그램 공급장치로부터 호스트 컴퓨터(90)로컴퓨터 프로그램을 공급하도록 해도 좋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능을 실현할 때에는 내부기억장치에 격납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호스트 컴퓨터(90)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스트 컴퓨터(90)가 직접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호스트 컴퓨터(90)라는 것은 하드웨어장치와 오프레이션 시스템을 포함하는 개념이고, 오프레이션 시스템의 제어하에서 동작하는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고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이와 같은 호스트 컴퓨터(90)에, 상술한 각부의 기능을 실현시킨다. 또, 상술한 기능의 일부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아니고, 오프레이션 시스템에 의해 실현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발명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라는 것은 플렉시블 디스크나 CD-ROM과 같은 휴대형의 기록매체에 한하지 않고, 각종의 RAM이나 ROM 등의 컴퓨터내의 내부기억장치나, 하드 디스크 등의 컴퓨터에 고정되어 있는 외부기억장치도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래튼에 잉크 방울을 착탄시키는 일 없이 인쇄용지의 단부까지 여백 없이 컬러인쇄를 행함으로써, 고품질인 인쇄를 단시간으로 행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6)
- 주주사(主走査)를 행하면서 잉크 방울을 토출함으로써 인쇄매체의 표면으로 도트의 기록을 행하는 도트기록장치로서,각각 동일색의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도트형성요소로 구성된 복수의 도트형성요소군으로서, 상기 주주사의 방향과 엇갈리는 부주사(副走査)방향에 관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도트형성요소군을 구비한 도트기록헤드와,상기 도트기록헤드와 상기 인쇄매체의 적어도 한 쪽을 구동하여 상기 주주사를 행하는 주주사 구동부와,상기 주주사의 한복판에 상기 복수의 도트형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를 구동하여 도트의 형성을 행하게 하는 헤드 구동부와,상기 주주사의 행로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도트형성요소군과 마주 대하도록 상기 주주사의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고,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도트기록헤드와 마주 대하도록 지지하는 플래튼(platen)과,상기 주주사 중의 틈틈이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부주사 방향으로 구동하여 부주사를 행하는 부주사 구동부와,상기 각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고,상기 플래튼은 상기 각 도트형성요소군의 상기 부주사 방향 범위내의 일부 소정의 범위에 상당하는 폭을 가지는 복수의 홈부로서, 상기 주주사의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복수의 홈부를 가지고 있는 도트기록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각 도트형성요소군은, 상기 복수의 홈부의 폭에 상당하는 상기 부주사 방향의 소정의 범위에 위치하는 특정한 도트형성요소로 이루어지는 특정 도트형성요소군을 구비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매체의 상단(上端)과 하단(下端)의 적어도 한 쪽에 관해 여백을 설치하지 않고 끝부분까지 화상을 인쇄하는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 적어도 상기 인쇄매체의 여백을 설치하지 않고 화상을 인쇄하는 단부(端部)에 관해서는 상기 각 특정 도트형성요소군만을 사용하여 도트를 형성하는 제1의 제어부를 구비하는도트기록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도트형성요소군의 상기 특정 도트형성요소군을 구성하는 상기 도트형성요소의 수는 서로 같은 도트기록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도트형성요소군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도트형성요소군에서, 상기 특정 도트형성요소군은 복수 개소로 나누어 설치되어 있고,상기 플래튼은 상기 복수 개소에서 상기 각 특정 도트형성요소군과 마주 대하는 복수의 홈부를 가지고 있는도트기록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플래튼은 상기 각 홈부의 상기 부주사 방향의 상류측에서 상기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상류측 지지부와, 상기 각 홈부의 상기 부주사 방향의 하류측에서 상기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하류측 지지부를 가지는 도트기록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특정 도트형성요소군은 상기 각 도트형성요소군의 상기 부주사 방향의 중앙부근의 소정의 범위내에 위치하는 도트형성요소를 포함하는 도트기록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제1의 제어부는 상기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 상기 각 특정 도트형성요소군만을 사용하여, 상기 인쇄매체 위에서 화상을 구성하는 모든 도트를 형성하는 도트기록장치.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각 홈부는 상기 주주사의 방향에 관해, 상기 인쇄매체의 상기 주주사의방향의 폭 보다도 길게 설치되어 있고,상기 제1의 제어부는 상기 플래튼에 지지된 상기 인쇄매체의 측(側)단부의 근방에서, 상기 특정 도트형성요소군에 포함되는 상기 도트형성요소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시켜, 상기 인쇄매체의 상기 측단부에서 여백 없이 인쇄를 행하는 측단 인쇄부를 구비하는도트기록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제1의 제어부는 상기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 상기 인쇄매체의 상기 상단과 상기 하단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에 관해서는 상기 도트형성요소군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도트형성요소 중, 상기 특정 도트형성요소군과, 상기 특정 도트형성요소군 이외의 상기 도트형성요소를 사용하고, 또한 상기 단부에서의 상기 부주사의 전송량보다도 큰 전송량으로 상기 부주사를 행하여, 상기 인쇄매체 위에서 화상을 구성하는 도트를 형성하는 도트기록장치.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홈부 중, 상기 부주사 방향의 가장 상류에 위치하는 홈부는 해당 홈부와 마주 대하는 상기 도트형성요소군의 상기 부주사 방향의 중심위치에 대해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고,상기 복수의 홈부 중, 상기 부주사 방향의 가장 하류에 위치하는 홈부는 해당 홈부와 마주 대하는 상기 도트형성요소군의 상기 부주사 방향의 중심위치에 대해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는도트기록장치.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플래튼은 그 위에 상기 부주사 방향에 관해 상기 복수의 도트형성요소로부터의 잉크 방울의 착탄(着彈)이 가능한 범위에서, 상기 주주사의 방향에 관해 소정의 사이즈의 상기 인쇄매체의 폭과 거의 같은 간격을 띄워 설치된 한 쌍의 측방(側方) 홈부를 가지고,상기 도트기록장치는 그 위에 상기 소정의 사이즈의 인쇄매체가 상기 플래튼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인쇄매체의 양측단이 각각 상기 측방 홈부의 개구 위에 있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주주사의 방향에 관해 상기 인쇄매체를 위치 결정하기위한 가이드부를 구비하고,상기 제1의 제어부는 상기 플래튼에 지지된 상기 인쇄매체의 측단부의 근방에서, 상기 특정 도트형성요소군에 포함되는 상기 도트형성요소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시켜, 상기 인쇄매체의 측단부에서 여백 없이 인쇄를 행하는 측단 인쇄부를 구비하는도트기록장치.
- 제 2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그 위에 상기 인쇄매체의 상단 및 하단에 여백을 설치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제2의 화상인쇄모드에서, 상기 도트형성요소군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도트형성요소 중, 상기 특정 도트형성요소군과, 상기 특정 도트형성요소군 이외의 상기 도트형성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인쇄매체 위에서 화상을 구성하는 도트를 형성하는 제2의 제어부를 구비하는 도트기록장치.
- 부주사 방향에 관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도트형성요소군을 구비한 도트기록헤드를 이용하여 인쇄매체의 표면에 도트의 기록을 행하는 도트기록장치에서, 상기 도트기록헤드와 상기 인쇄매체의 적어도 한 쪽을 상기 부주사 방향과 엇갈리는 방향으로 구동하여 주주사를 행하면서 도트의 형성을 행하고, 상기 주주사 중의 틈틈이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부주사 방향으로 구동하여 부주사를 행하는 도트기록방법으로서,(a) 상기 복수의 도트형성요소군과 마주 대하는 위치에 상기 주주사의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복수의 홈부를 가지고 있는 플래튼을 준비하는 공정과,(b) 상기 인쇄매체의 상단과 하단의 적어도 한 쪽에 관해 여백을 설치하지 않고 끝부분까지 화상을 형성하는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 적어도 상기 인쇄매체의 여백을 설치하지 않고 화상을 인쇄하는 단부에 관해서는 상기 복수의 홈부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특정한 도트형성요소군만을 사용하여 도트를 형성하는 공정을구비하는 도트기록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b)공정은 상기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 상기 특정한 도트형성요소만을 사용하여, 상기 인쇄매체 위에서 화상을 구성하는 모든 도트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도트기록방법.
- 제 14항에 있어서,상기 홈부는 상기 주주사의 방향에 관해, 상기 인쇄매체의 상기 주주사의 방향의 폭 보다도 길게 설치되어 있고,상기 도트기록방법은,(c) 상기 특정한 도트형성요소에 포함되는 상기 도트형성요소가, 상기 플래튼에 지지된 상기 인쇄매체의 측단부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플래튼에 지지된 상기 인쇄매체의 외측의 영역에서 또한 상기 홈부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도트형성요소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측단부에서의 도트의 기록을 행하는 공정을더 구비하는 도트기록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b)공정은 상기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 상기 인쇄매체의 상기 상단과 상기 하단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에 관해, 상기 도트형성요소군을 구성하는 상기복수의 도트형성요소 중, 상기 특정한 도트형성요소와, 상기 특정한 도트형성요소 이외의 상기 도트형성요소를 사용하고, 또한 여백을 설치하지 않고 화상을 인쇄하는 상기 단부에서의 상기 부주사의 전송량보다도 큰 전송량으로 상기 부주사를 행하여, 상기 인쇄매체 위에서 화상을 구성하는 도트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도트기록방법.
- 제 16항에 있어서,상기 플래튼은 그 위에 상기 부주사 방향에 관해서, 적어도 상기 복수의 도트형성요소로부터의 잉크 방울의 착탄 범위를 포함하는 범위에 설치되고, 상기 인쇄매체의 폭과 거의 같은 간격을 띄워 설치되는 한 쌍의 측방 홈부를 가지고,상기 도트기록방법은,(c)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플래튼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인쇄매체의 양측단이 각각 상기 측방 홈부의 개구 위에 있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주주사의 방향에 관해 상기 인쇄매체를 위치 결정하는 공정과,(d) 상기 특정한 도트형성요소에 포함되는 도트형성요소가, 상기 플래튼에 지지된 상기 인쇄매체의 측단부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플래튼에 지지된 상기 인쇄매체의 외측의 영역에서 또한 상기 측방 홈부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도트형성요소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시켜, 상기 인쇄매체의 측단부에서의 도트의 기록을 행하는 공정을더 구비하는 도트기록방법.
- 제 13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e) 상기 인쇄매체의 상단 및 하단에 여백을 설치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제2의 화상인쇄모드에서, 상기 도트형성요소군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도트형성요소중, 상기 특정한 도트형성요소와, 상기 특정한 도트형성요소 이외의 상기 도트형성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인쇄매체 위에서 화상을 구성하는 도트를 형성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는 도트기록방법.
- 복수의 도트형성요소를 구비한 도트기록헤드를 이용하여 인쇄매체의 표면에 도트의 기록을 행하는 도트기록장치에서, 상기 도트기록헤드와 상기 인쇄매체의 적어도 한 쪽을 구동하여 주주사를 행하면서, 상기 복수의 도트형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를 구동하여 도트의 형성을 행하고, 상기 주주사 중의 틈틈이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주주사의 방향과 엇갈리는 방향으로 구동하여 부주사를 행하는 도트기록방법으로서,(a) 각각 동일색의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상기 도트형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도트형성요소군을 구비한 상기 도트기록헤드로서, 상기 복수의 도트형성요소군은 서로 상기 부주사 방향에 관해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두개의 상기 도트형성요소군을 포함하고, 상기 각 도트형성요소군은 각각 상기 부주사 방향의 소정의 범위에 위치하는 특정한 도트형성요소로 이루어지는 특정 도트형성요소군을 구비하는 상기 도트기록헤드와,상기 주주사의 행로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도트형성요소군과 마주 대하도록, 상기 주주사의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고,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도트기록헤드와 마주 대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복수의 특정 도트형성요소군과 마주 대하는 위치에 상기 주주사의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복수의 홈부를 가지고 있는 플래튼을 준비하는 공정과,(b) 상기 인쇄매체의 상단과 하단의 적어도 한 쪽에 관해 여백을 살치하지 않고 끝부분까지 화상을 형성하는 제1의 화상인쇄모드와, 상기 인쇄매체의 상단 및 하단에 여백을 설치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제2의 화상인쇄모드 중 어느 것인가를 선택하는 공정과,(c) 상기 제1의 화상인쇄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적어도 상기 인쇄매체의 여백을 설치하지 않고 화상을 인쇄하는 단부에 관해서는 상기 특정한 도트형성요소만을 사용하여 도트를 형성하는 공정과,(d) 상기 제2의 화상인쇄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도트형성요소군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도트형성요소 중, 상기 특정한 도트형성요소와, 상기 특정한 도트형성요소 이외의 상기 도트형성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인쇄매체 위에서 화상을 구성하는 도트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도트기록방법.
-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복수의 도트형성요소를 가지는 도트기록헤드를 이용하여 인쇄매체의 표면에 도트의 기록을 행하는 도트기록장치를 구비한 컴퓨터에, 상기 도트기록헤드와 상기 인쇄매체의 적어도 한 쪽을 구동하여 주주사를 행하게 하면서, 상기 복수의 도트형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를 구동하여 도트의 형성을 행하게 하고, 상기 주주사 중의 틈틈이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주주사의 방향과 엇갈리는 방향으로 구동하여 부주사를 행하게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상기 도트기록장치는,각각 동일색의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상기 도트형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도트형성요소군을 구비한 상기 도트기록헤드로서, 상기 복수의 도트형성요소군은 서로 상기 부주사 방향에 관해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두개의 상기 도트형성요소군을 포함하고, 상기 각 도트형성요소군은 각각 상기 부주사 방향의 소정의 범위에 위치하는 특정한 도트형성요소로 이루어지는 특정 도트형성요소군을 구비하는 상기 도트기록헤드와,상기 주주사의 행로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도트형성요소군과 마주 대하도록, 상기 주주사의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고,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도트기록헤드와 마주 대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복수의 특정 도트형성요소군과 마주 대하는 위치에 상기 주주사의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복수의 홈부를 가지고 있는 플래튼을 구비하고 있고,상기 기록매체는 상기 인쇄매체의 상단과 하단의 적어도 한 쪽에 관해 여백을 설치하지 않고 끝부분까지 화상을 형성하는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 적어도 상기 인쇄매체의 여백을 설치하지 않고 화상을 인쇄하는 단부에 관해서는 상기 각 특정 도트형성요소군만을 사용하여 도트를 형성하는 기능을 상기 컴퓨터에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제 20항에 있어서,상기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 상기 특정한 도트 형성요소만을 사용하여, 상기 인쇄매체 위에서 화상을 구성하는 모든 도트를 형성하는 기능을 더 상기 컴퓨터에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제 21항에 있어서,상기 홈부는 상기 주주사의 방향에 관해 상기 인쇄매체의 상기 주주사의 방향의 폭 보다도 길게 설치되어 있고,상기 기록매체는상기 특정한 도트형성요소에 포함되는 상기 도트형성요소가 상기 플래튼에 지지된 상기 인쇄매체의 측단부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플래튼에 지지된 상기 인쇄매체의 외측의 영역에서 또한 상기 홈부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도트형성요소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상기 인쇄매체의 측단부에서의 도트의 기록을 행하는 기능을 더 상기 컴퓨터에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제 20항에 있어서,상기 제1의 화상인쇄모드에서, 상기 인쇄매체의 상기 상단과 상기 하단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에 관해 상기 도트형성요소군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도트형성요소 중, 상기 특정한 도트형성요소와, 상기 특정한 도트형성요소 이외의 상기 도트형성요소를 사용하고, 또한 여백을 설치하지 않고 화상을 인쇄하는 상기 단부에서의 상기 부주사의 전송량보다도 큰 전송량으로 상기 부주사를 행하여, 상기 인쇄매체 위에서 화상을 구성하는 도트를 형성하는 기능을 더 상기 컴퓨터에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제 23항에 있어서,상기 플래튼은 그 위에 상기 부주사 방향에 관해서 적어도 상기 복수의 도트형성요소로부터의 잉크 방울의 착탄 범위를 포함하는 범위에 설치되고 상기 인쇄매체의 폭과 거의 같은 간격을 띄워 설치되는 한 쌍의 측방 홈부를 가지고,상기 기록매체는,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플래튼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인쇄매체의 양측단이 각각 상기 측방 홈부의 개구 위에 있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주주사의 방향에 관해 상기 인쇄매체를 위치 결정하는 기능과,상기 특정한 도트형성요소에 포함되는 도트형성요소가 상기 플래튼에 지지된 상기 인쇄매체의 측단부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있을 때 및 상기 플래튼에 지지된 상기 인쇄매체 외측의 영역에서 또한 상기 측방 홈부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있을때에, 상기 도트형성요소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시켜 상기 인쇄매체의 측단부에서의 도트의 기록을 행하는 기능을더 상기 컴퓨터에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제 20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인쇄매체의 상단 및 하단에 여백을 설치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제2의 화상인쇄모드에서 상기 도트형성요소군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도트형성요소 중, 상기 특정한 도트형성요소와, 상기 특정한 도트형성요소 이외의 상기 도트형성요소 를 사용하여, 상기 인쇄매체 위에서 화상을 구성하는 도트를 형성하는 기능을 더 상기 컴퓨터에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복수의 도트형성요소를 가지는 도트기록헤드를 이용하여 인쇄매체의 표면에 도트의 기록을 행하는 도트기록장치를 구비한 컴퓨터에, 상기 도트기록헤드와 상기 인쇄매체의 적어도 한 쪽을 구동하여 주주사를 행하게 하면서 상기 복수의 도트형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를 구동하여 도트의 형성을 행하게 하고, 상기 주주사 중의 틈틈이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주주사의 방향과 엇갈리는 방향으로 구동하여 부주사를 행하게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상기 도트기록장치는,각각 동일색의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상기 도트형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도트형성요소군을 구비한 상기 도트기록헤드로서, 상기 복수의 도트형성요소군은 서로 상기 부주사 방향에 관해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두개의 상기 도트형성요소군을 포함하고, 상기 각 도트형성요소군은 각각 상기 부주사 방향의 소정의 범위에 위치하는 특정한 도트형성요소로 이루어지는 특정 도트형성요소군을 구비하는 상기 도트기록헤드와,상기 주주사의 행로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도트형성요소군과 마주 대하도록 상기 주주사의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고,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도트기록헤드와 마주 대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복수의 특정 도트형성요소군과 마주 대하는 위치에 상기 주주사의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복수의 홈부를 가지고 있는 플래튼을 구비하고 있고,상기 기록매체는,상기 인쇄매체의 상단과 하단의 적어도 한 쪽에 관해 여백을 설치하지 않고 끝부분까지 화상을 형성하는 제1의 화상인쇄모드와 상기 인쇄매체의 상단 및 하단에 여백을 설치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제2의 화상인쇄모드 중 어느 것인가를 선택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허용하는 선택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에 의한 상기 선택을 수취하는 기능과,상기 제1의 화상인쇄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적어도 상기 인쇄매체의 여백을 설치하지 않고 화상을 인쇄하는 단부에 관해서는 상기 특정한 도트형성요소만을 사용하여 도트를 형성하는 기능과,상기 제2의 화상인쇄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도트형성요소군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도트형성요소 중 상기 특정한 도트형성요소와 상기 특정한 도트형성요소 이외의 상기 도트형성요소를 사용하여 상기 인쇄매체 위에서 화상을 구성하는 도트를 형성하는 기능을상기 컴퓨터에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1070476A JP4110740B2 (ja) | 2001-03-13 | 2001-03-13 | プラテンを汚すことなく印刷媒体の端部まで行う印刷 |
JPJP-P-2001-00070476 | 2001-03-1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73088A true KR20020073088A (ko) | 2002-09-19 |
KR100427218B1 KR100427218B1 (ko) | 2004-04-14 |
Family
ID=18928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08128A KR100427218B1 (ko) | 2001-03-13 | 2002-02-15 | 도트기록장치, 도트기록방법, 및 그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6805440B2 (ko) |
EP (2) | EP1241015A3 (ko) |
JP (1) | JP4110740B2 (ko) |
KR (1) | KR100427218B1 (ko) |
CN (1) | CN1162277C (ko) |
AT (1) | ATE433380T1 (ko) |
DE (1) | DE60232591D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857803B2 (en) * | 2001-01-08 | 2005-02-22 | Vutek, Inc. | Printing system web guide with a removable platen |
JP4501373B2 (ja) * | 2003-02-17 | 2010-07-14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記録装置 |
JP4013909B2 (ja) * | 2003-04-10 | 2007-11-2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液体噴射装置 |
JP4018598B2 (ja) * | 2003-06-16 | 2007-12-05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
JP3922222B2 (ja) * | 2003-07-04 | 2007-05-30 | ソニー株式会社 | 液体吐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WO2005002862A1 (ja) * | 2003-07-04 | 2005-01-13 | Sony Corporation | プラテン板及び液体吐出装置 |
JP2006021390A (ja) * | 2004-07-07 | 2006-01-26 | Canon Inc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US20060007462A1 (en) * | 2004-07-09 | 2006-01-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borderless image |
JP2006027221A (ja) * | 2004-07-21 | 2006-02-02 | Seiko Epson Corp |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
US20060061610A1 (en) * | 2004-09-17 | 2006-03-23 | Fuji Photo Film Co., Ltd. | Image forming apparatus |
JP2007118502A (ja) * | 2005-10-31 | 2007-05-17 | Seiko Epson Corp | 液体噴射装置及び記録装置 |
US7717634B1 (en) * | 2006-01-11 | 2010-05-18 | Lexmark International, Inc. | Trough support ribs |
JP4251214B2 (ja) * | 2006-12-28 | 2009-04-0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
US8915187B2 (en) * | 2007-08-07 | 2014-12-23 | Xerox Corporation | Edge marking for document identification |
TWI372116B (en) * | 2008-06-06 | 2012-09-11 | Kinpo Elect Inc | Blotting fillister structure and paper carrying apparatus |
JP5577815B2 (ja) * | 2010-04-16 | 2014-08-27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記録装置 |
JP6602052B2 (ja) * | 2015-05-27 | 2019-11-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リント装置 |
JP6932982B2 (ja) * | 2017-04-28 | 2021-09-0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記録装置 |
CN110421984B (zh) * | 2019-08-17 | 2020-05-19 | 深圳市汉森软件有限公司 | 往复式扫描打印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JP2023041403A (ja) * | 2021-09-13 | 2023-03-24 | 株式会社リコー |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98642A (en) * | 1978-01-09 | 1980-04-15 | The Mead Corporation | Ink jet printer having interlaced print scheme |
EP0585923B1 (en) * | 1992-09-03 | 1998-12-09 | Canon Kabushiki Kaisha | Ink jet recording apparatus |
US6239817B1 (en) | 1998-10-20 | 2001-05-29 | Hewlett-Packard Comapny |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borderless print image |
US6964466B1 (en) * | 1999-04-06 | 2005-11-15 | Seiko Epson Corporation |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thereof |
DE60042579D1 (de) * | 1999-06-08 | 2009-09-03 | Canon Kk | Tintenstrahlaufzeichnungsgerät und -verfahren |
JP2002187261A (ja) * | 2000-10-10 | 2002-07-02 | Canon Inc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
2001
- 2001-03-13 JP JP2001070476A patent/JP411074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
- 2002-02-15 KR KR10-2002-0008128A patent/KR10042721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2-27 DE DE60232591T patent/DE60232591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02-27 EP EP02004547A patent/EP1241015A3/en not_active Withdrawn
- 2002-02-27 AT AT03030031T patent/ATE433380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2-27 EP EP03030031A patent/EP141091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03-11 US US10/094,508 patent/US6805440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03-13 CN CNB021032726A patent/CN1162277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410918B1 (en) | 2009-06-10 |
US6805440B2 (en) | 2004-10-19 |
US20020135653A1 (en) | 2002-09-26 |
JP4110740B2 (ja) | 2008-07-02 |
EP1241015A2 (en) | 2002-09-18 |
JP2002264319A (ja) | 2002-09-18 |
EP1241015A3 (en) | 2003-04-23 |
CN1375397A (zh) | 2002-10-23 |
CN1162277C (zh) | 2004-08-18 |
KR100427218B1 (ko) | 2004-04-14 |
ATE433380T1 (de) | 2009-06-15 |
EP1410918A1 (en) | 2004-04-21 |
DE60232591D1 (de) | 2009-07-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27218B1 (ko) | 도트기록장치, 도트기록방법, 및 그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
US7954923B2 (en) |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ng method | |
JP4622073B2 (ja) | プラテンを汚すことなく印刷媒体の端部まで行う印刷 | |
JP2011016377A (ja) | プラテンを汚すことなく印刷媒体の端部まで行う印刷 | |
JP3575415B2 (ja) | プラテンを汚すことなく印刷用紙の端部まで行う印刷 | |
JP4206706B2 (ja) | プラテンを汚すことなく印刷用紙の端部まで行う印刷 | |
JP2000343688A (ja) | 印刷装置、印刷方法並びに記録媒体 | |
JP3900896B2 (ja) | プラテンを汚すことなく印刷媒体の端部まで行う印刷 | |
JP2002103721A (ja) | センサにより印刷用紙の位置決めを行ってする印刷 | |
JP4635374B2 (ja) | プラテンを汚すことなく印刷媒体の端部まで行う印刷 | |
JP4656255B2 (ja) | プラテンを汚すことなく印刷媒体の端部まで行う印刷 | |
JP4165026B2 (ja) | プラテンを汚すことなく印刷媒体の端部まで行う印刷 | |
JP4211864B2 (ja) | ドット記録方法、およびドット記録装置 | |
JP4483982B2 (ja) | プラテンを汚すことなく印刷用紙の端部まで行う印刷 | |
JP4183002B2 (ja) | ドット記録装置 | |
JP2004034722A (ja) | プラテンを汚すことなく印刷用紙の端部まで行う印刷 | |
JP3956600B2 (ja) | プラテンを汚すことなく印刷用紙の端部まで行う印刷 | |
JP4172421B2 (ja) | プラテンを汚すことなく印刷用紙の端部まで行う印刷 | |
JP4370830B2 (ja) | プラテンを汚すことなく印刷用紙の端部まで行う印刷 | |
JP2004042668A (ja) | プラテンを汚すことなく印刷用紙の端部まで行う印刷 | |
JP3956599B2 (ja) | プラテンを汚すことなく印刷用紙の端部まで行う印刷 | |
JP2008221855A (ja) | プラテンを汚すことなく印刷用紙の端部まで行う印刷 | |
JP2012035636A (ja) | プラテンを汚すことなく印刷用紙の端部まで行う印刷 | |
JP2011140242A (ja) | プラテンを汚すことなく印刷用紙の端部まで行う印刷 | |
JP2009083514A (ja) | プラテンを汚すことなく印刷用紙の端部まで行う印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