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6380Y1 -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보호회로 - Google Patents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보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380Y1
KR200156380Y1 KR2019970021226U KR19970021226U KR200156380Y1 KR 200156380 Y1 KR200156380 Y1 KR 200156380Y1 KR 2019970021226 U KR2019970021226 U KR 2019970021226U KR 19970021226 U KR19970021226 U KR 19970021226U KR 200156380 Y1 KR200156380 Y1 KR 200156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otection circuit
overload protection
outpu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704U (ko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1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380Y1/ko
Publication of KR199900077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7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3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3/2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for dc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개시된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보호회로는 스위칭 변압부의 출력측 전원라인이 단락되는 경우 스위칭 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스위칭 변압부의 2차측에 전압이 유기되지 않도록 펄스폭 변조부의 펄스발생기능이 다운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원 입력부, 정류부 및 스위칭 변압부를 통해 캠코더의 내부 블록에 적당한 직류전압이 출력전원라인을 통해 공급될 때 출력전원라인중 어느하나라도 단락되는 경우 과부하 검출부의 회로정수값을 적절히 설정하여 펄스폭 변조부의 펄스발생기능을 다운하여 스위칭 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스위칭 변압부의 2차측 출력전원라인을 통해 캠코더의 카메라 및 복합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로 공급되던 전원이 중단되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과부하보호회로는 종래의 과부하보호회로보다 부품수를 줄여 과부하보호기능과 더불어 기판 패턴상의 노이즈 발생율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보호회로
본 고안은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보호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캠코더의 카메라 및 복합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이 단락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펄스폭변조부의 펄스발생기능을 다운하여 스위칭 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스위칭 변압부의 2차측에 전압이 유기되지 않아 카메라 및 복합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로 흐르는 과도한 전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에 의해 캠코더 내부의 각 구성블록에 각각 그에 알맞은 구동전압을 공급한다.
전술한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 SMPS)는 도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전원 입력부(10)를 통해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정류하여 교류분이 제거된 직류전압으로 출력하는 정류부(20)와, 정류부(20)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을 서로 다른 권선비를 갖는 각각의 부하를 통해 서로 다른 소정의 전압으로 변압하여 캠코더 내부의 각 회로블럭으로 공급하는 스위칭 변압부(30)와, 소정의 듀티비를 갖는 펄스에 응답하여 스위칭 변압부(30)의 2차측에 전압이 유기될 수 있도록 구동하는 스위칭 출력부(40)와, 스위칭 변압부(30)의 출력전압에 따라 소정의 듀티비를 갖는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폭 변조부(50)와, 상기 스위칭 변압부(30)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을 카메라 및 복합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로 공급하는 전원라인이 단락되는 경우 펄스폭 변조부(50)의 펄스발생기능을 다운하는 과부하 보호회로부(60)로 구성된다.
도2 는 도1에 적용된 과부하 보호회로부의 상세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과부하 보호회로부(60)는 다이오드(D1∼D4), 저항(R1∼R5), 콘덴서(C1∼C3), 트랜지스터(Q1∼Q6)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인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보호회로의 동작은 전원입력부(10)에서 입력된 교류전원을 정류부(20)로 입력하면 정류부(20)를 직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스위칭 변압부(30)의 1차측으로 공급한다.
그러면 스위칭 변압부(30)의 2차측 권선비에 따라 각기 다른 직류전압이 유기되어 캠코더의 카메라 및 복합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에 알맞은 전원전압을 공급해 준다.
이때 스위칭 변압부(30)는 스위칭 출력부(40)의 구동에 따라 2차측에 전압이 유기되는데, 스위칭 출력부(40)는 펄스폭 변조부(50)에서 발생되는 소정의 듀티비를 갖는 펄스에 응답하여 구동된다.
이때 출력측의 전원공급라인이 단락되면 과부하 보호회로부(60)에서는 이를 인지하여 펄스폭 변조부(50)의 펄스발생기능을 다운시켜 스위칭 출력부(40)로 구동펄스가 입력되지 않아 오프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기술인 과부하보호회로는 많은 회로소자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기판 패턴상 노이즈 발생율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과부하보호회로의 구성 부품수를 줄여 기판 패턴상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 발생율을 낮추도록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보호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기술인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보호회로의 개략적인 구성블록도,
도2는 도1에 적용된 과부하 보호회로부의 상세회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보호회로의 개략적인 구성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전원 입력부 20 : 정류부
30 : 스위칭 변압부 40 : 스위칭 출력부
50 : 펄스폭 변조부 60 : 과부하 검출부
70 : 반전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캠코더에 있어서, 본 고안의 장치는 스위칭 변압부의 2차측에 유기된 직류전압이 제1, 제2, 제3 출력전원라인에 의해 출력되는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 보호회로에 있어서, 제1, 제2, 제3 출력전원라인이 정상상태인 경우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출력전원라인 중 일부의 출력전원라인이 단락되는 경우 로우신호로 출력하는 과부하 검출부와, 과부하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대해 반전된 신호를 출력하는 반전부를 구성되어 스위칭변압부의 출력측 전원라인 중 하나라도 단락되면 펄스폭변조부의 펄스발생기능을 다운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보호회로의 개략적인 구성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보호회로의 다른 구성블록도인 전원 입력부(10), 정류부(20), 스위칭 변압부(30), 펄스폭 변조부(50)는 종래와 같으므로 생략하고, 종래와 달라진 과부하보호회로의 구성을 설명하면 스위칭 변압부(30)의 2차측 제1, 제2, 제3 출력전원라인이 정상상태인 경우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출력전원라인 중 일부의 출력전원라인이 단락되는 경우 로우신호를 출력하는 과부하 검출부(60)와, 과부하 검출부(60)의 출력신호에 대해 반전된 신호를 출력하는 반전부(70)로 구성된다.
과부하 검출부(60)는 복수개의 저항(R1∼R3)들, 다이오드(D1) 및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다.
반전부(70)는 NPN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된다.
이때 저항(R1)과 저항(R4)의 저항값은 제1전원라인(L1)의 임피던스값보다 높게 설정되고, 또한 저항(R1)의 저항값은 제3전원라인(L3)의 임피던스값보다 높게 설정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캠코더의 과부하보호회로의 동작을 첨부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모든 전원라인(L1)(L2)(L3)이 정상적인 경우 과부하 검출부(60)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제 2 전원(VCC2)이 인가되어 턴온됨으로써 반전부(70)의 트랜지스터(Q2)로 제1전원(VCC1)이 인가되어 턴온된다.
그러면 펄스폭 변조부(50)는 스위칭 변압부(30)의 3차측에 유기되는 전압에 따라 소정의 듀티비를 갖는 펄스를 발생하여 스칭칭 출력부(40)로 출력하고, 스위칭 출력부(40)는 턴온되며 스위칭 변압부(30)의 2차측에 각기 다른 직류저압(VCC1)(VCC2)(VCC3)이 유기되어 캠코더의 카메라 및 복합영상신호기록재생장치의 각 회로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제1전원라인(L1)이 단락되면 제2전원라인(L2)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VCC2)이 과부하 검출부(60)의 저항(R1)을 거쳐 반전부(70)의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으로 공급되나 이때 저항(R1)이 저항(R2)(R4)에 비해 충분히 높은 저항값을 가지게 되므로 제 2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된다.
그러면 펄스폭 변조부(50)는 스위칭 출력부(40) 구동용 펄스발생기능은 다운되고, 이로써 스위칭 출력부(40)는 턴오프됨으로써 스위칭 변압부(30)의 2차측에 전압이 유기되지 않는다.
또한, 제3전원라인(L3)이 단락될 시에도 과부하 검출부(60)의 저항(R1)의 저항값을 제3전원라인(L3)이 임피던스값보다 높게 설정하여 트랜지스터(Q1) 및 반전부(70)의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칭 변압부(50)의 2차측에 전압이 유기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과부하 보호회로부의 부품을 종래 과부하 보호회로부에 비해 줄여줌으로써 과부하보호기능과 더불어 기판 패턴상의 노이즈 발생율을 낮출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스위칭 변압부의 2차측에 유기된 직류전압이 제1, 제2, 제3 출력전원라인에 의해 출력되는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 보호회로에 있어서, 제1, 제2, 제3 출력전원라인이 정상상태인 경우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출력전원라인 중 일부의 출력전원라인이 단락되는 경우 로우신호를 출력하는 과부하 검출부 ; 및 상기 과부하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대해 반전된 신호를 출력하는 반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보호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검출부는; 복수개의 저항들,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보호회로.
KR2019970021226U 1997-07-31 1997-07-31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보호회로 KR200156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226U KR200156380Y1 (ko) 1997-07-31 1997-07-31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보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226U KR200156380Y1 (ko) 1997-07-31 1997-07-31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보호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704U KR19990007704U (ko) 1999-02-25
KR200156380Y1 true KR200156380Y1 (ko) 1999-09-01

Family

ID=1950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226U KR200156380Y1 (ko) 1997-07-31 1997-07-31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보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38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351B1 (ko) * 1997-11-13 2005-07-07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과부하 보호기능을 갖는 펄스폭 변조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704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9507B1 (ko) 이상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기
JP3369134B2 (ja) Dc−dcコンバータ
US5973483A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with over voltage stabilizer
KR200156380Y1 (ko)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보호회로
KR950007463B1 (ko)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전류검출회로
US20040169977A1 (en) Overcurrent protection switched mode power supply
KR100520090B1 (ko) 과전압 보호회로를 갖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KR0126331Y1 (ko) 다출력 스위칭 전원공급장치의 노이즈 방지회로
KR100301834B1 (ko) 모니터의절전회로
US5689408A (en) Magnetic amplifier
JP7413754B2 (ja) 半導体駆動装置および電力変換装置
KR940006978Y1 (ko) 펄스폭 제어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의 과전류 보호회로
KR200172696Y1 (ko) 과전압보호회로
KR0122729B1 (ko)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 검출회로
KR100211247B1 (ko) 브이시알(vcr)에서의 전원부 전도 잡음 방지회로
KR100577435B1 (ko)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전원 안정화회로
JP3248623B2 (ja) 無接点開閉器
KR0129031Y1 (ko) 과전류 보호회로
JP200422247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制御回路
KR910007048Y1 (ko) 주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드라이버회로
JP3610838B2 (ja) 電源装置
KR100895014B1 (ko) 링거 전원 장치의 과전류 보호 회로
KR100275070B1 (ko) 전원공급장치의저전압보호회로
KR100314429B1 (ko) 마이크로컴퓨터의폭주방지장치
CA2292187C (en) Switching voltage reg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