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1806A -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트 필름 - Google Patents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트 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21806A KR20000021806A KR1019980041078A KR19980041078A KR20000021806A KR 20000021806 A KR20000021806 A KR 20000021806A KR 1019980041078 A KR1019980041078 A KR 1019980041078A KR 19980041078 A KR19980041078 A KR 19980041078A KR 20000021806 A KR20000021806 A KR 200000218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curable composition
- hard coat
- ultraviolet curable
- part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8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1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2216 antistatic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UHESRSKEBRADOO-UHFFFAOYSA-N ethyl carbamate;prop-2-e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OC(N)=O UHESRSKEBRADO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125000001931 aliphatic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9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318 adhesion promo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588 bifunctio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4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33
- OMIGHNLMNHATMP-UHFFFAOYSA-N 2-hydroxyeth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OCCOC(=O)C=C OMIGHNLMNHATM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3999 initiato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7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7
- DAKWPKUUDNSNPN-UHFFFAOYSA-N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O)OCC(CC)(COC(=O)C=C)COC(=O)C=C DAKWPKUUDNSNP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29920002799 BoPET Polymers 0.000 description 14
- 229940096522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Drug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976 i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1723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ZWEHNKRNPOVVGH-UHFFFAOYSA-N 2-Butanone Chemical compound CCC(C)=O ZWEHNKRNPOVV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383 yel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QNODIIQQMGDSEF-UHFFFAOYSA-N (1-hydroxycyclohexyl)-phenylm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1(O)CCCCC1 QNODIIQQMGDSE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WXZMFSXDPGVJKK-UHFFFAOYSA-N penta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CO)(CO)CO WXZMFSXDPGVJK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7
- XMLYCEVDHLAQEL-UHFFFAOYSA-N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C=C1 XMLYCEVDHLAQ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YTLYLLTVENPWFT-UPHRSURJSA-N (Z)-3-aminoacrylic acid Chemical compound N\C=C/C(O)=O YTLYLLTVENPWFT-UPHRSURJSA-N 0.000 description 2
- MYWOJODOMFBVCB-UHFFFAOYSA-N 1,2,6-trimethylphenanthrene Chemical compound CC1=CC=C2C3=CC(C)=CC=C3C=CC2=C1C MYWOJODOMFBVC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956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FHFVUEXQSQXWSP-UHFFFAOYSA-N 2-hydroxy-2,2-dimethoxy-1-phen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OC(O)(OC)C(=O)C1=CC=CC=C1 FHFVUEXQSQXWS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DTQVDTLACAAQTR-UHFFFAOYSA-N Trifluoro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F)(F)F DTQVDTLACAAQT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48 UV Light-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7571 Visual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HVVWZTWDBSEWIH-UHFFFAOYSA-N [2-(hydroxymethyl)-3-prop-2-enoyloxy-2-(prop-2-enoyloxymethyl)prop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O)OCC(CO)(COC(=O)C=C)COC(=O)C=C HVVWZTWDBSEWI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252 acr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WPKYZIPODULRBM-UHFFFAOYSA-N azane;prop-2-enoic acid Chemical compound N.OC(=O)C=C WPKYZIPODULR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MQDJYUACMFCOFT-UHFFFAOYSA-N bis[2-(1-hydroxycyclohexyl)phenyl]methanone Chemical group C=1C=CC=C(C(=O)C=2C(=CC=CC=2)C2(O)CCCCC2)C=1C1(O)CCCCC1 MQDJYUACMFCO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948 isocya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13 isocyan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289 polycarbonate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749 polyuretha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KCTAWXVAICEBSD-UHFFFAOYSA-N prop-2-enoyloxy prop-2-eneperoxoate Chemical compound C=CC(=O)OOOC(=O)C=C KCTAWXVAICEBS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377 silico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9257 visi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93 visual impair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DKPFZGUDAPQIHT-UHFFFAOYSA-N Butyl acetate Natural products CCCCOC(C)=O DKPFZGUDAPQIH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98 Cellop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0 Melamin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HNWPMSKXPGLAX-UHFFFAOYSA-N N-Vinyl-2-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CN1CCCC1=O WHNWPMSKXPGLA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77 acid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80 alky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63 ammon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1 b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3 clad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386 diacrylat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23 enhanc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88 film coat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01 film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47 fine chemic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UZZWVXGSFPDMH-UHFFFAOYSA-N hex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O)=O FUZZWVXGSFPDM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49 leather substitu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DSHMPZPIAZGSV-UHFFFAOYSA-N melamine Chemical compound NC1=NC(N)=NC(N)=N1 JDSHMPZPIAZG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4 metacr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507 metal hal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309 metal hal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12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8 mi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99 nitrogen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RZJOMJEPLMPRA-UHFFFAOYSA-N olefin Natural products CCCCCCCC=C JRZJOMJEPLMP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59 organic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48 slip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29 thermal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26 ultraviolet stabiliz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1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120/10—Esters
- C08F1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트 필름을 개시한다.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30 ~ 90중량%, 자외선 반응성 희석제 1 ~ 30중량%, 광중합 개시제 0.1 ~ 10중량%, 레벨링제 0.05 ~ 20중량% 및 나머지량의 용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로서, 상기 올리고머는 2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반응성 희석제는 일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상기 레벨링제는 자외선 경화형 비실리콘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은 내스크래치성, 내약품성, 내용제성, 내열성, 엠보싱 부분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인쇄잉크에 대한 적성이 탁월하며, 표면광택이 낮고 광투과율이 높으면서 차폐성이 뛰어난 광학특성이 있으며, 대전방지성이 우수하여 내오염성도 우수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트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스크래치성, 내약품성, 내용제성, 내열성, 엠보싱 부분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각종 인쇄잉크에 대한 적성이 탁월하며, 표면광택이 낮고 광투과율이 높으면서 차폐성이 뛰어난 광학특성이 있으며, 대전방지성이 우수하여 내오염성이 뛰어난 하드코트층을 형성할 수 있는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전자수첩, 전자계산기, 리모콘, 산업기기의 콘트롤 패널을 비롯한 각종 전자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멤브레인 터치 스위치(MTS; membrane touch switch)의 최외각 부분에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MTS용으로 사용되는 필름 소재는 내약품성, 내용제성, 내열성 등을 구비해야 할 뿐만 아니라 특히 각종 잉크에 대한 인쇄적성, 엠보싱 가공시 엠보싱 부분의 내구성을 구비해야 한다.
PET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의 플라스틱 소재는 경량이면서 단단하고 가공성이 양호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생산성 향상 및 에너지 절약 등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그 용도가 폭넓게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플라스틱 소재는 타소재와 비교하여 표면경도가 낮아 긁히기 쉬우므로 스크래치가 발생하여 최종 전기, 전자제품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소재의 표면경도를 향상시켜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하기 위한 하드코트 방법이 다수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면, 멜라민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알키드 수지 등을 도포하여 열경화시키는 방법, 폴리실록산 구조를 갖는 열경화형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여 열경화시키는 방법, 무기계 실리콘 옥사이드를 도포하는 방법, 다관능성 아크릴 수지를 주 바인더로 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중 열경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지니고 있다. 즉, 주로 고온에서 경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열에 약한 소재에는 사용할 수 없고, 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공기오염 등의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경화시키는데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고, 경화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넓은 면적이 소요되며, 경화시키는데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자외선 경화방법은 상온에서 몇초 내에 경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높고, 환경공해가 적고, 장치의 설치면적이 작고, 경화후 숙성(aging)처리없이 바로 취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자외선 경화방법에는 표면경도가 충분하지 못하고, PET필름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에의 부착력이 충분하지 못하며, 엠보싱 가공시 에지부분에서의 크랙발생 등으로 인하여 물성저하가 발생하며, 각종 인쇄잉크에 대한 적성과 대전방지성이 불충분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스크래치성, 내약품성, 내용제성, 내열성, 엠보싱 부분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각종 인쇄 잉크에 대한 적성이 탁월하며, 표면광택이 낮고 광투과율이 높으면서 차폐성이 뛰어난 광학특성이 있으며, 대전방지성이 우수하여 내오염성이 뛰어난 하드코트층을 플라스틱 제품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는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이용한 하드코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30 ~ 90중량%, 자외선 반응성 희석제 1 ~ 30중량%, 광중합 개시제 0.1 ~ 10중량%, 레벨링제 0.05 ~ 20중량%, 광학특성조절제 0.1 ~ 50중량% 및 나머지량의 용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로서, 상기 올리고머는 2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자외선 반응성 희석제는 일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상기 레벨링제는 자외선 경화형 비실리콘계 화합물이고, 상기 광학특성조절제는 폴리우레탄 수지 분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 분말 및 콜라겐 분말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서 평균입경 0.5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 분말로서는 인조 또는 천연 콜라겐 분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반응성 희석제는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 에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은 부착력 증진제로서 1 ~ 30중량%의 메타크릴레이트화 산성 화합물(Methacrylated Acidic Compoun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비실리콘계 화합물은 변성 아크릴수지 또는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가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 케톤, α,α-디메톡시-α-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은 대전방지제로서 자외선 경화형의 아크릴화 암모늄염(acrylated ammonium salt) 화합물을 0.1 ~ 5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상에 제1항 내지 6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하드코트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은 광투과율이 70% 이상이고, 헤이즈가 60% 이하이고, 표면광택도가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 코트 필름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1 ~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은 내스크래치성, 내약품성, 내용제성, 내열성, 엠보싱 부분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각종 인쇄잉크에 대한 적성이 탁월하며, 표면광택이 낮고 광투과율이 높으면서 차폐성이 뛰어난 광학특성이 있으며, 대전방지성이 우수하여 내오염성이 뛰어난 하드코트층을 플라스틱 제품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은 위와 같은 특성을 갖는 하드코트층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MTS와 같은 전자제품의 표면에 사용되면 전자제품의 품위를 높여 줄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건물 등의 유리창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은 본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자외선 반응성 희석제, 광중합 개시제, 레벨링제 및 나머지량의 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분자량이 500 ~ 5000인 화합물로서 점도 및 물성에 따라 각각의 모노머로 희석되어 사용되기도 하는데, 최종 제품의 주요 특성을 좌우하는 성분이기도 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에 포함되는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그 말단이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주쇄의 구조에 따라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릭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미노 아크릴레이트 등으로 나누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각의 올리고머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우레탄 결합을 반복단위로 포함하며 통상적으로 유연한 물성을 지닌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종류가 아주 다양하며, 사용된 이소시아네이트의 종류에 따라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와 방향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로 나누어진다.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무황변 타입이며 2 ~ 6개의 관능기를 갖는다. 방향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황변 타입이며, 반응성이 빠른 특성을 지닌다.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주쇄에 에폭시 결합을 함유하며 황변을 일으키는 단점은 있으나, 경도, 내용제성 및 경화성이 우수하다.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는 점도가 낮고 내후성이 우수하다. 아크릴릭 아크릴레이트는 내후성 및 내수성이 좋으며 특히 모든 소재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다. 아미노 아크릴레이트는 경화촉진제로 사용되어 표면경화를 향상시키나 황변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는 습윤제, 슬립제 또는 이형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언급된 여러 가지 올리고머중 황변이 없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엠보싱 가공시 가장자리 부위에 크랙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하드코트층의 유연성(flexi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2 관능성의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30 ~ 90중량%가 바람직하다. 함량이 30중량% 미만이면 하드코트층의 표면경도가 충분하지 못하고 9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점도가 상승하여 기재에 도포시 도포막 또는 경화막의 평활성이 저하하여 균일한 광학특성을 얻기 어려울 뿐만아니라 하드코트층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엠보싱 가공시 크랙이 발생하는 등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자외선 반응성 희석제는 분자량이 500 이하인 모노머로서, 주로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의 점도를 낮추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모노머는 관능기의 수에 따라 다음과 같은 특성의 차이를 보인다.
일관능성 모노머는 기재에 대한 부착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지만 반응성이 낮고 과량 사용하면 점성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다. 2 관능성 모노머는 점도, 반응성 및 유연성이 적당하여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3 관능성 모노머는 경도 및 반응성이 높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4 ~ 6관능성 모노머는 반응성이 뛰어나고 가교밀도가 높아 경도가 우수한 반면, 유연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는, 하드코트층의 유연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가교밀도 및 경화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외선 반응성 희석제로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3 관능성의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와 4 관능성의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를 혼용하거나, 상기 혼합물에 3 관능성의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여 사용함으로써 하드코트층의 가교밀도 및 경화속도를 향상시켰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에서는 일관능성 모노머로서 경화성이 뛰어난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도 첨가하여 사용하여 기재에 대한 부착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자외선 반응성 희석제로서 사용되는 일/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1 ~ 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희석효과가 거의 없어 고점도의 문제가 야기되며, 함량이 30중량%를 초과하면 하드코트층의 유연성이 저하되고 수축이 발생하며 기재에 대한 부착력이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자유 라디칼을 생성함으로써 경화반응을 개시시키는 역할을 한다. 광중합 개시제는 종류에 따라 흡수하는 자외선의 파장영역을 달리하며 황변 타입과 저황변 타입이 있다. 일반적으로 300 ~ 360nm의 파장을 흡수하는데, 2종 이상을 혼합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파장을 흡수하여 반응성을 촉진시킨다. 또한, 도포 두께가 얇은 경우는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높을수록 반응성이 좋아지며 도포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오히려 함량이 감소할수록 전체 경화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저황변 타잎의 개시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α-하이드록시알킬페논계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 케톤 또는α,α-디메톡시-α-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 10중량%가 바람직하다.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경화반응의 반응속도가 느리고 10중량%를 초과하면 경화반응의 반응속도는 표면경도가 저하된다.
한편, 자외선 경화방법은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같은 플라스틱 기재와의 부착력을 바람직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문제는 필름 표면에 프라이머 처리를 함으로써 해결하여 왔다. 그러나, 프라이머층 형성 공정이 추가됨으로 인한 생산성의 저하 및 생산비용의 증대가 불가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은 기재 필름에 대한 하드 코팅층의 부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부착력 증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력 증진제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프라이머층 형성없이도 기재 필름에 대한 우수한 부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부착력 증진제로는 270 ~ 330mgKOH/g의 산가를 갖는 메타크릴레이트화 산성 화합물(Methacrylated Acidic Compound)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크릴레이트화 산성 화합물의 함량은 1 ~ 30중량%가 바람직하다. 1중량% 미만이면 부착력 증진효과가 불충분하며, 30중량%를 초과하면 하드코트층이 끈적거리는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드코트층의 평활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레벨링제(leveling agent), 하드코트층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기재 필름에 대한 습윤성을 향상시키는 습윤제(wetting agent), 자외선 안정제 또는 기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제는 변성 아크릴 수지 또는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경화형 비실리콘계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의 비실리콘계 화합물 즉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는 올리고머 주쇄와 직접 경화반응을 일으키는 특성 때문에 필름표면으로의 이동(migration)없이 레벨링성 뿐만 아니라 습윤성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경화형의 비실리콘계 화합물은 비실리콘계이므로 자외선 경화형 잉크에 대한 인쇄적성이 탁월하다.실리콘계를 사용하게 되면 경화도막의 표면장력이 저하되어 인쇄 잉크가 충분히 습윤되지 못 할 뿐만아니라, 인쇄 잉크와 경화도막간 접착력이 나빠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레벨링제로서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형 비실리콘계 화합물의 함량은 0.05 ~ 20중량%가 바람직하다. 자외선 경화형 비실리콘계 화합물의 함량이 0.05중량% 미만이면 레벨링 효과가 미미하고, 20중량%를 초과하면 하드코트층의 표면경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표면광택, 광투과율, 차폐성 등의 광학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무기 실리카, 산화타타늄 등의 무기미립자, 또는 올레핀 왁스, 아크릴계 수지 분말 등의 유기첨가제를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에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에서는 표면광택을 낮추고, 광투과율과 차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폴리우레탄 수지 분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 분말 및 인조가죽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서 평균입경 0.5 ~ 10㎛인 광학특성조절제를 0.1 ~ 50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특성조절제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광학특성 조절효과가 미미하며 50중량%를 초과하면 차폐성은 증가하나 광투과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은 하드코트증 표면에 정전기 발생으로 인하여 공기중의 먼지 등이 달라 붙어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대전방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대전방지제는 조성물 각각의 성분들과의 상용성, 용해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계면활성제 계통의 대전방지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표면으로 이동하여 수분을 흡수하게 되면 백화현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그 선택에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에 함유되는 대전방지제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이 없고 내후성이 우수한 아크릴화 암모늄염이 바람직하다. 그 함유량은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1 ~ 5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화 암모늄염의 함유량이 0.1중량% 미만이면 대전방지성이 미미하고 5중량%를 초과하면 다습한 조건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백화현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에 함유되는 용제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필름 코팅에 사용하는 용제로서 조성물 성분과의 상용성 및 용해성을 고려하여 선택하며, 특별한 종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기재 위에 도포하여 하드코트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 나이프(air knife) 방법, 그라비아(gravure) 방법, 리버스 롤(reverse roll) 방법, 키스 롤(kiss roll) 방법, 스프레이(spray) 방법 또는 블레이드(blade) 방법 중에서 기재 의 형상 및 재질에 따라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드코트층의 두께는 1 ~ 50㎛ 정도가 바람직하다. 하드코트층의 두께가 1㎛ 미만이면 충분한 경화 도막을 얻기 어렵고, 50㎛를 초과하면 경화도막의 유연성이 떨어져 부서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기재 필름에 도포한 다음, 열풍, 적외선, 원적외선 등에 의하여 도막을 건조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이러한 건조 공정없이 곧 바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도막(하드코트층)을 얻을 수 있다. 자외선 조사에 사용되는 자외선 램프의 종류 역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압수은등, 초고압수은등, 무전극 램프, 금속할라이드 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출력 60 ~ 240W/cm의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벨트 컨베이어 상에서 이동하는 상기의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이 도포된 기재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도막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은 산소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므로 질소 분위기와 같은 불활성 환경이 필요없이 공기중에서 경화가 가능하다. 자외선 램프와 기재 필름간의 거리는 30 ~ 300mm에서 광량을 조절하여 사용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하드코트 필름에 대한 성능평가는 다음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 부착력
1mm 간격으로 도막을 크로스해치(crosshatch)하여 1mm2의 크기를 갖는 100개의 격자 셀을 만든 후 셀로판 테이프를 부착한 후 박리하였을 때 박리되지 않고 남아 있는 격자 셀의 갯수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이 불량, 양호로 평가한다.
양호 : 전체 격자 셀의 90% 이상이 박리되지 않고 남아 있을 경우
불량 : 전체 격재 셀의 90%미만이 박리되지 않고 남아 있을 경우
(2) 연필 경도
JIS-K5400의 조건하에서, Sheen사의 연필경도계(모델명: 720) 및 Steadler사의 6B ~ B, HB, F, H ~ 9H 연필을 사용하여 평가한다.
(3) 내스크래치성
직경 10㎛의 강철 솜으로 도막을 문질러 스크래치 발생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아래와 같이 불량 또는 양호로 평가한다.
양호 : 하드코트층에 1mm 이상의 스크래치가 1개도 발생되지 않을 경우
불량 : 하드코트층에 1mm 이상의 스크래치가 하나라도 발생될 경우
(4) 내약품성
실온에서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및 5% 염산 수용액에 각각 4시간 동안 침적시킨후, 도막의 물성변화 여부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불량 또는 양호로 평가한다.
양호 : 침적 후 하드코트층의 본래 특성(부착력, 연필경도,내스크래치성 등)이 변하지 않고 유지될 경우
불량 : 침적 후 하드코트층의 본래 특성(부착력, 연필경도,내스크래치성 등)이 변할 경우
(5) 내용제성
실온에서 톨루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아세테이트 등에 48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도막의 물성변화 여부에 따라 불량 또는 양호로 평가한다.
양호 : 침적 후 하드코트층의 본래 특성(부착력, 연필경도,내스크래치성 등)이 변하지 않고 유지될 경우
불량 : 침적 후 하드코트층의 본래 특성(부착력, 연필경도,내스크래치성 등)이 변할 경우
(6) 내열성
경화도막(하드코트층)이 형성된 필름을 히트그레디언트(heatgradient)로 1kg의 하중을 가하여 2초간 압착시켰을 때 경화도막이 용융되는 온도를 측정하였다.
(7) 인쇄적성
경화도막이 형성된 필름상에 자외선 경화형 인쇄 잉크(동양잉크사, 4700 또는 4500)를 프린팅한 다음 자외선을 조사하여 인쇄잉크를 경화시킨 후 습윤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고,상기 (1)의 부착력 평가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한다.
양호 : 프린팅한 잉크가 표면장력차로 인해 인쇄접촉면적의 감소없이 90% 이상의 격자 셀이 박리되지 않고 남아 있을 경우
불량 : 프린팅한 잉크가 표면장력차로 인해 인쇄접촉면적이 감소하거나, 90% 미만의 격자 셀이 박리되지 않고 남아 있을 경우
(8) 광학특성
ASTM D 1003에 정의된 방법에 따라 헌터랩(HunterLab)사의 측색계(모델명: ColorQUEST II)를 사용하여 헤이즈와 광투과율을 측정하였다.
(9) 표면광택도
일본 전색공업사의 글로스미터(Glossmeter, 모델명: PG-1)을 사용하여 ASTM D 523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10) 표면저항
ASTM D257-92에 정의된 방법에 따라 일본 동아전파사의 표면저항 특정기(모델명 DSM-8103)를 사용하여 온도 23±2℃, 상대습도 50±5%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아래와 같은 조성을 갖는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0.4mm의 메이어 바를 이용하여 100㎛ 두께의 PET 필름(Skyrol, SKC사 제품)상에 도포하였다. 이어서, 상기 도포 필름을 50℃에서 20초간 건조한 후, 자외선 조사장치(미국 Fusion사 제품, F450)와 자외선 램프(미국 Fusion사 제품, 무전극형의 H-bulb)를 이용하여 상기 도포필름의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거리는 50mm로 하고, 적산광량이 200mJ/sq.cm가 되도록 상기 도포 필름이 놓여 있는 벨트의 스피드를 조절하였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하드코트층의 도막 두께는 10㎛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하드코트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냈다.
2 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60.0 중량부
(Ebecryl 294, UCB Chemicals사 제품)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14.0 중량부
(SR 350, Sartomer사 제품)
메타크릴레이트화 산성 화합물 3.0 중량부
(Ebecryl 169, UCB Chemicals사 제품)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HEA, UCB Chemicals사 제품)
α-하이드록시-케톤 6.0 중량부
(Irgacure 184, Ciba-geigy사 제품)
레벨링제(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 1.0 중량부
(HS-70, UCB Chemicals사 제품)
평균입경 0.5㎛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분말 10.0 중량부
(KTL-500F, Kitamura사 제품)
대전방지제(Aminemodified Polyesteracrylate) 1.0 중량부
(HS-600, UCB Chemicals사 제품)
이소프로필 알코올 50.0 중량부
실시예 2
아래와 같은 조성을 갖는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200 메쉬의 그라비아 롤을 이용하여 125㎛ 두께의 PET 필름상에 도포하였다. 이어서, 상기 도포 필름을 50℃에서 20초간 건조한 후, 자외선 조사장치(미국 Fusion사 제품, F450)와 출력 80W/cm의 고압수은등 4개로 구성되어 있는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상기 도포필름의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거리는 150mm로 하고, 적산광량이 400mJ/sq.cm가 되도록 상기 도포 필름이 놓여 있는 벨트의 스피드를 조절하였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하드코트의 도막 두께는 20㎛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하드코트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냈다.
2 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5.0 중량부
(Ebecryl 284, UCB Chemicals사 제품)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9.5 중량부
(TMPTA, UCB Chemicals사 제품)
펜타에리트리톨 트리/테트라 아크릴레이트 혼합물 9.5 중량부
(PETA, UCB Chemicals사 제품)
메타크릴레이트화 산성 화합물 3.0 중량부
(Ebecryl 169, UCB Chemicals사 제품)
α-하이드록시-알킬 페논 6.0 중량부
(Darocure 1173, Ciba-geigy사 제품)
레벨링제 1.0 중량부
(HS-70, UCB Chemicals사 제품)
평균입경 8㎛의 콜라겐 분말 15.0중량부
(CX260-1, 소화전공사 제품)
대전방지제 1.0 중량부
(HS-600, UCB Chemicals사 제품)
이소프로필 알코올 50.0 중량부
실시예 3
아래와 같은 조성을 갖는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3본 리버스 롤을 이용하여 100㎛ 두께의 PET 필름상에 도포하였다. 이어서, 상기 도포필름을 50℃에서 20초간 건조한 후, 자외선 조사장치(미국 Fusion사 제품, F450)와 출력 120W/cm의 고압수은등 4개로 구성되어 있는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상기 도포필름의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거리는 150mm로 하고, 적산광량이 400mJ/sq.cm가 되도록 상기 필름이 놓여 있는 벨트의 스피드를 조절하였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하드코트층의 도막 두께는 30㎛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하드코트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냈다.
2 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0.0 중량부
(Ebecryl 284, UCB Chemicals사 제품)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TMPTA, UCB Chemicals사 제품)
펜타에리트리톨 트리/테트라 아크릴레이트 혼합물 9.5 중량부
(PETA, UCB Chemicals사 제품)
메타크릴레이트화 산성 화합물 3.0 중량부
(Ebecryl 169, UCB Chemicals사 제품)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HEA, UCB Chemicals사 제품)
α-하이드록시-케톤 3.0 중량부
(Irgacure 184, Ciba-geigy사 제품)
α-하이드록시-알킬 페논 3.0 중량부
(Darocure 1173, Ciba-geigy사 제품)
레벨링제 1.0 중량부
(HS-70, UCB Chemicals사 제품)
평균입경 5㎛의 우레탄 분말 20.0중량부
(Art Pearl C-800T, Negami Chemical사 제품)
대전방지제 0.5 중량부
(HS-600, UCB Chemicals사 제품)
이소프로필 알코올 50.0 중량부
실시예 4
아래와 같은 조성을 갖는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0.4mm의 메이어 바를 이용하여 100㎛ 두께의 PET 필름상에 도포하였다. 이어서, 상기 도포필름을 50℃에서 20초간 건조한 후 자외선 조사장치(미국 Fusion사 제품, F450)와 출력 120W/cm의 고압수은등 4개로 구성되어 있는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상기 도포필름의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거리는 150mm로 하고, 적산광량이 400mJ/sq.cm가 되도록 상기 필름이 놓여 있는 벨트의 스피드를 조절하였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하드코트층의 도막 두께는 17㎛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하드코트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냈다.
2 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43.0 중량부
(Ebecryl 284, UCB Chemicals사 제품)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4.6 중량부
(TMPTA, UCB Chemicals사 제품)
펜타에리트리톨 트리/테트라 아크릴레이트 혼합물 4.6 중량부
(PETA, UCB Chemicals사 제품)
메타크릴레이트화 산성 화합물 10.0 중량부
(Ebecryl 169, UCB Chemicals사 제품)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HEA, UCB Chemicals사 제품)
α-하이드록시-케톤 3.0 중량부
(Irgacure 184, Ciba-geigy사 제품)
α-하이드록시-알킬 페논 3.0 중량부
(Darocure 1173, Ciba-geigy사 제품)
레벨링제 1.0 중량부
(HS-70, UCB Chemicals사 제품)
평균입경 5㎛의 우레탄 분말 10.0중량부
(Art Pearl HT800W, Negami Chemical사 제품)
대전방지제 0.8 중량부
(HS-600, UCB Chemicals사 제품)
이소프로필 알코올 50.0 중량부
실시예 5
아래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SR 350)의 함량이 14.0 중량부에서 15.0 중량부로 증가되고, 대전방지제(HS-600)가 함유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ET 필름위에 하드코트층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하드코트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냈다.
2 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60.0 중량부
(Ebecryl 294, UCB Chemicals사 제품)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15.0 중량부
(SR 350, Sartomer사 제품)
메타크릴레이트화 산성 화합물 3.0 중량부
(Ebecryl 169, UCB Chemicals사 제품)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HEA, UCB Chemicals사 제품)
α-하이드록시-케톤 6.0 중량부
(Irgacure 184, Ciba-geigy사 제품)
레벨링제 1.0 중량부
(HS-70, UCB Chemicals사 제품)
평균입경 0.5㎛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분말 10.0 중량부
(KTL-500F, Kitamura사 제품)
이소프로필 알코올 50.0 중량부
실시예 6
아래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와 펜타에리톨 트리/테트라 아크릴레이트 혼합물(PETA)의 함량이 각각 9.5 중량부에서 10.0 중량부로 증가되고, 대전방지제(HS-600)가 함유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조성물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PET 필름위에 하드코트층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하드코트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냈다.
2 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5.0 중량부
(Ebecryl 284, UCB Chemicals사 제품)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TMPTA, UCB Chemicals사 제품)
펜타에리트리톨 트리/테트라 아크릴레이트 혼합물 10.0 중량부
(PETA, UCB Chemicals사 제품)
메타크릴레이트화 산성 화합물 3.0 중량부
(Ebecryl 169, UCB Chemicals사 제품)
α-하이드록시-알킬 페논 6.0 중량부
(Darocure 1173, Ciba-geigy사 제품)
레벨링제 1.0 중량부
(HS-70, UCB Chemicals사 제품)
평균입경 8㎛의 콜라겐 분말 15.0중량부
(CX260-1, 소화전공사 제품사 제품)
이소프로필 알코올 50.0 중량부
실시예 7
아래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펜타에리톨 트리/테트라 아크릴레이트 혼합물(PETA)의 함량이 9.5 중량부에서 10.0 중량부로 증가되고, 대전방지제(HS-600)가 함유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조성물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PET 필름위에 하드코트층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하드코트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냈다.
2 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0.0 중량부
(Ebecryl 284, UCB Chemicals사 제품)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TMPTA, UCB Chemicals사 제품)
펜타에리트리톨 트리/테트라 아크릴레이트 혼합물 10.0 중량부
(PETA, UCB Chemicals사 제품)
메타크릴레이트화 산성 화합물 3.0 중량부
(Ebecryl 169, UCB Chemicals사 제품)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HEA, UCB Chemicals사 제품)
α-하이드록시-케톤 3.0 중량부
(Irgacure 184, Ciba-geigy사 제품)
α-하이드록시-알킬 페논 3.0 중량부
(Darocure 1173, Ciba-geigy사 제품)
레벨링제 1.0 중량부
(HS-70, UCB Chemicals사 제품)
평균입경 5㎛의 우레탄 분말 20.0중량부
(Art Pearl C-800T, Negami Chemical사 제품)
이소프로필 알코올 50.0 중량부
실시예 8
아래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와 펜타에리톨 트리/테트라 아크릴레이트 혼합물(PETA)의 함량이 각각 4.6 중량부에서 10.0 중량부로 증가되고, 대전방지제(HS-600)가 함유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의 조성물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PET 필름위에 하드코트층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하드코트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냈다.
2 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43.0 중량부
(Ebecryl 284, UCB Chemicals사 제품)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TMPTA, UCB Chemicals사 제품)
펜타에리트리톨 트리/테트라 아크릴레이트 혼합물 10.0 중량부
(PETA, UCB Chemicals사 제품)
메타크릴레이트화 산성 화합물 10.0 중량부
(Ebecryl 169, UCB Chemicals사 제품)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10.0 중량부
(HEA, UCB Chemicals사 제품)
α-하이드록시-케톤 3.0 중량부
(Irgacure 184, Ciba-geigy사 제품)
α-하이드록시-알킬 페논 3.0 중량부
(Darocure 1173, Ciba-geigy사 제품)
레벨링제 1.0 중량부
(HS-70, UCB Chemicals사 제품)
평균입경 5㎛의 우레탄 분말 10.0중량부
(Art Pearl C-800T, Negami Chemical사 제품 )
이소프로필 알코올 50.0 중량부
비교예 1
아래와 같은 조성을 갖는 열경화형 조성물을 0.3mm의 메이어 바를 이용하여 100㎛ 두께의 PET 필름(Skyrol, SKC사 제품)상에 도포하고 160℃에서 1분간 경화시켜 3㎛ 두께의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하드코트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냈다.
용제(Methylethylketone) 74.6 중량%
열경화형 아크릴 수지(Acryloid AT746, Rohm & Haas사 제품) 15 중량%
멜라민계 경화제(Uformite MM83, Rohm Chemical사 제품) 5 중량%
산촉매(Trifluoro acetic acid, Akros사 제품) 0.3 중량%
실리콘계 습윤제(Disperbyk 110, BYK사 제품) 0.1 중량%
무기 실리카(Gasil EBN, Crossfield사 제품) 5.0중량%
비교예 2
아래와 같은 조성을 갖는 열경화형 조성물을 0.3mm의 메이어 바를 이용하여 100㎛ 두께의 PET 필름(Skyrol, SKC사 제품)상에 도포하고 160℃에서 1분간 경화시켜 3㎛ 두께의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하드코트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냈다.
용제(Methylethylketone) 46.9중량%
열경화형 우레탄 수지 45중량%
(US210, SK Chemical사 제품)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Konnate L75, 화인케미컬사 제품) 3중량%
습윤제(Disperbyk 103, BYK사 제품) 0.1중량%
무기 실리카(Gasil EBN, Crossfield사 제품) 5.0중량%
비교예 3
아래와 같은 조성을 갖는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0.05mm의 메이어 바를 이용하여 100㎛ 두께의 PET 필름(Skyrol, SKC사 제품)상에 도포하였다. 이어서, 상기 도포필름을 50℃에서 20초간 건조한 후 자외선 조사장치(미국 Fusion사 제품, F450)와 출력 120W/cm의 고압수은등 4개로 구성되어 있는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상기 도포필름의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거리는 50mm로 하고, 적산광량이 400mJ/sq.cm가 되도록 상기 도포필름이 놓여 있는 벨트의 스피드를 조절하였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하드코트층의 도막 두께는 10㎛이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냈다.
2 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47.7 중량부
(Ebecryl 284, UCB Chemicals사 제품)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
(SR 350, Sartomer사 제품)
n-비닐피롤리돈 20 중량부
(NVP, ISP사 제품)
습윤제(Silicone Diacrylate) 0.3 중량부
(HS-300, UCB Chemicals사 제품)
평균입경 3㎛의 무기 실리카 7.0중량부
α-하이드록시-케톤 5.0 중량부
(Irgacure 184, Ciba-geigy사 제품)
이소프로필 알코올 20.0 중량부
비교예 4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로 처리하지 않은 두께 100㎛의 PET 필름(Skyrol, SKC사 제품)에 대하여 테스트하였다.
구 분 | 연필경도 | 내스크래치성 | 내약품성 | 내용제성 | 내열성 | 인쇄적성 | 부착 력 | 광투과율(%) | 헤이 즈(%) | 표면광택도(%) | 표면저항(Ω/㎠) |
실시예 1 | 2H | 양호 | 양호 | 양호 | 240℃이상 | 양호 | 양호 | 75 | 40 | 30 | 1012 |
실시예 2 | 2H | 양호 | 양호 | 양호 | 240℃이상 | 양호 | 양호 | 70 | 53 | 22 | 1012 |
실시예 3 | 2H | 양호 | 양호 | 양호 | 240℃이상 | 양호 | 양호 | 70 | 55 | 19 | 1012 |
실시예 4 | 2H | 양호 | 양호 | 양호 | 240℃이상 | 양호 | 양호 | 73 | 49 | 24 | 1012 |
실시예 5 | 2H | 양호 | 양호 | 양호 | 240℃이상 | 양호 | 양호 | 75 | 40 | 30 | 1015 |
실시예 6 | 2H | 양호 | 양호 | 양호 | 240℃이상 | 양호 | 양호 | 70 | 53 | 22 | 1015 |
실시예 7 | 2H | 양호 | 양호 | 양호 | 240℃이상 | 양호 | 양호 | 70 | 53 | 19 | 1015 |
실시예 8 | 2H | 양호 | 양호 | 양호 | 240℃이상 | 양호 | 양호 | 73 | 49 | 24 | 1015 |
비교예 1 | F | 불량 | - | - | - | 불량 | 양호 | - | - | - | - |
비교예 2 | F | 불량 | - | - | - | 불량 | 양호 | - | - | - | - |
비교예 3 | H | 양호 | - | - | - | 불량 | 불량 | - | - | - | - |
비교예 4 | HB | 불량 | - | - | - | 불량 | - | - | - | - | - |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 1 ~ 4의 경우 연필경도가 F 수준으로 충분하지 못하고 내스크래치성 및 인쇄적성이 불량하여, 다른 특성들을 평가하는 것이 의미가 없어 내용제성, 내열성, 내약품성에 대한 평가를 하지 않았다.
반면, 실시예 1 ~ 8의 하드코트 필름은 프라이머층 없이도 부착력이 우수하고, 표면 경도가 2H 수준으로 높아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며, 내약품성, 내용제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특히, 실시예 1 ~ 8의 하드코트 필름은 자외선 경화형 잉크에 대한 인쇄적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엠보싱가공후 가장자리 부위에서 크랙이 발생하지 않으며, 광투과율이 70% 이상으로 높으면서 차폐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전기, 전자제품 등의 MTS용 최외각 플라스틱 소재 뿐만 아니라 건축물 등의 유리창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편리하다. 특히, 실시예 1 ~ 4의 하드코트 필름은 대전방지성도 양호하여 먼지 등에 의한 오염발생도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은 내스크래치성, 내약품성, 내용제성, 내열성, 엠보싱 부분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인쇄잉크에 대한 적성이 탁월하며, 표면광택이 낮고 광투과율이 높으면서 차폐성이 뛰어난 광학특성이 있으며, 대전방지성이 우수하여 내오염성이 뛰어난 하드코트층을 플라스틱 제품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트 필름은 위와 같은 특성을 갖는 하드코트층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MTS와 같은 전자제품의 표면에 사용되면 전자제품의 품위를 높여 줄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건물 등의 유리창에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30 ~ 90중량%, 자외선 반응성 희석제 1 ~ 30중량%, 광중합 개시제 0.1 ~ 10중량%, 레벨링제 0.05 ~ 20중량%, 광학특성조절제 0.1 ~ 50중량% 및 나머지량의 용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로서,상기 올리고머는 2관능성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자외선 반응성 희석제는 일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상기 레벨링제는 자외선 경화형 비실리콘계 화합물이고, 상기 광학특성조절제는 폴리우레탄 수지 분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 분말 및 콜라겐 분말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서 평균입경 0.5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은 부착력 증진제로서 1 ~ 30중량%의 메타크릴레이트화 산성 화합물(Methacrylated Acidic Compound)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은 대전방지제로서 자외선 경화형의 아크릴화 암모늄염 화합물을 0.1 ~ 5중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상에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트 필름.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트 필름은 광투과율이 70% 이상이고, 헤이즈가 60% 이하이고, 표면광택도가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트 필름.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의 두께는 1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트 필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41078A KR20000021806A (ko) | 1998-09-30 | 1998-09-30 |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트 필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41078A KR20000021806A (ko) | 1998-09-30 | 1998-09-30 |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트 필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21806A true KR20000021806A (ko) | 2000-04-25 |
Family
ID=19552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41078A KR20000021806A (ko) | 1998-09-30 | 1998-09-30 |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트 필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21806A (ko)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2016518A1 (en) * | 2000-08-25 | 2002-02-28 | Skc Co., Ltd. | Uv curable coating composition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
WO2003067593A1 (en) * | 2002-02-02 | 2003-08-14 | Skc Co., Ltd. | Optical disk |
KR100849823B1 (ko) * | 2007-09-18 | 2008-07-31 | 주식회사 거붕 | 유브이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패널 및 상기 패널에범용유브이 도료를 인쇄부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방법 및그 조성물 |
KR101067519B1 (ko) * | 2003-03-17 | 2011-09-27 |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 표면보호용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
US9403991B2 (en) | 2012-05-31 | 2016-08-02 | Lg Chem, Ltd. | Hard coating composition |
US9567479B2 (en) | 2012-08-23 | 2017-02-14 | Lg Chem, Ltd. | Hard coating film |
US9765234B2 (en) | 2012-08-23 | 2017-09-19 | Lg Chem, Ltd. | Laminated hard coating film |
US9777186B2 (en) | 2012-08-23 | 2017-10-03 | Lg Chem, Ltd. | Hard coating film |
US9778398B2 (en) | 2012-05-31 | 2017-10-03 | Lg Chem, Ltd. | Hard coating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US9783698B2 (en) | 2012-08-23 | 2017-10-10 | Lg Chem, Ltd. | Hard coating film |
US9902868B2 (en) | 2012-08-23 | 2018-02-27 | Lg Chem, Ltd. | Hard coating film |
US9909026B2 (en) | 2012-08-23 | 2018-03-06 | Lg Chem, Ltd. | Hard coating film |
US9926461B2 (en) | 2012-05-31 | 2018-03-27 | Lg Chem, Ltd. | Hard coating film |
US10280330B2 (en) | 2012-08-23 | 2019-05-07 | Lg Chem, Ltd. | Hard coating film |
-
1998
- 1998-09-30 KR KR1019980041078A patent/KR2000002180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2016518A1 (en) * | 2000-08-25 | 2002-02-28 | Skc Co., Ltd. | Uv curable coating composition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
WO2003067593A1 (en) * | 2002-02-02 | 2003-08-14 | Skc Co., Ltd. | Optical disk |
KR101067519B1 (ko) * | 2003-03-17 | 2011-09-27 |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 표면보호용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
KR100849823B1 (ko) * | 2007-09-18 | 2008-07-31 | 주식회사 거붕 | 유브이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패널 및 상기 패널에범용유브이 도료를 인쇄부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방법 및그 조성물 |
US9884977B2 (en) | 2012-05-31 | 2018-02-06 | Lg Chem, Ltd. | Hard coating composition |
US9403991B2 (en) | 2012-05-31 | 2016-08-02 | Lg Chem, Ltd. | Hard coating composition |
US9701862B2 (en) | 2012-05-31 | 2017-07-11 | Lg Chem, Ltd. | Method of preparing hard coating film |
US10294387B2 (en) | 2012-05-31 | 2019-05-21 | Lg Chem, Ltd. | Hard coating film |
US9926461B2 (en) | 2012-05-31 | 2018-03-27 | Lg Chem, Ltd. | Hard coating film |
US9778398B2 (en) | 2012-05-31 | 2017-10-03 | Lg Chem, Ltd. | Hard coating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US9896597B2 (en) | 2012-05-31 | 2018-02-20 | Lg Chem, Ltd. | Method of preparing hard coating film |
US9567479B2 (en) | 2012-08-23 | 2017-02-14 | Lg Chem, Ltd. | Hard coating film |
US9783698B2 (en) | 2012-08-23 | 2017-10-10 | Lg Chem, Ltd. | Hard coating film |
US9902868B2 (en) | 2012-08-23 | 2018-02-27 | Lg Chem, Ltd. | Hard coating film |
US9909026B2 (en) | 2012-08-23 | 2018-03-06 | Lg Chem, Ltd. | Hard coating film |
US9777186B2 (en) | 2012-08-23 | 2017-10-03 | Lg Chem, Ltd. | Hard coating film |
US10000655B2 (en) | 2012-08-23 | 2018-06-19 | Lg Chem, Ltd. | Hard coating composition |
US10087340B2 (en) | 2012-08-23 | 2018-10-02 | Lg Chem, Ltd. | Hard coating film |
US10280330B2 (en) | 2012-08-23 | 2019-05-07 | Lg Chem, Ltd. | Hard coating film |
US9765234B2 (en) | 2012-08-23 | 2017-09-19 | Lg Chem, Ltd. | Laminated hard coating fil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51830B1 (en) | High-solid uv-curable coating composition | |
KR101355324B1 (ko) | 성형용 하드코트 필름 | |
JP5150264B2 (ja) | 樹脂積層体、その製造方法、及び樹脂積層体の製造に使用される転写フィルム | |
KR101664735B1 (ko) | 지문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지문방지 하드코팅 필름 | |
KR20000021806A (ko) |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트 필름 | |
JP2002067238A (ja) | 放射線硬化型樹脂組成物の硬化皮膜を有するフィルム | |
JP6950330B2 (ja) | 積層体、および樹脂フィルム | |
KR20140084267A (ko) |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가요적인 내스크랫치성 필름 | |
KR20000021805A (ko) | 인쇄적성이 향상된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트 필름 | |
KR20000021807A (ko) |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트 필름 | |
JP2011126165A (ja) | 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 |
KR20000021808A (ko) | 가필성이 향상된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이트보드용 필름 | |
KR20000021804A (ko) |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보호 필름 | |
KR20000021809A (ko) |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형성 필름 | |
KR100400525B1 (ko) | 내마모성이우수한광경화성아크릴계피복조성물 | |
KR100373207B1 (ko) | 광경화형 대전방지 및 내마모성 코팅 조성물 | |
KR100252032B1 (ko) |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보호필름 | |
KR20000021399A (ko) | 방담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방담성필름 | |
KR100252030B1 (ko) |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스크래치성 필름 | |
KR20000031488A (ko) | 자외선 경화용 소광성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소광성 필름 | |
KR100252029B1 (ko) |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스크래치성 필름 | |
KR100252031B1 (ko) |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보호필름 | |
KR100373205B1 (ko) | 자외선경화형안개서림방지피복조성물및이를이용한피막형성방법 | |
KR20000021803A (ko) |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스크래치 필름 | |
KR20120048080A (ko) | 백라이트용 광학 필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