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4377A - 1-rotor sorting roll mill with air separator and such sorter - Google Patents
1-rotor sorting roll mill with air separator and such sor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44377A KR19990044377A KR1019980701621A KR19980701621A KR19990044377A KR 19990044377 A KR19990044377 A KR 19990044377A KR 1019980701621 A KR1019980701621 A KR 1019980701621A KR 19980701621 A KR19980701621 A KR 19980701621A KR 19990044377 A KR19990044377 A KR 199900443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rting
- sorter
- air
- wheel
- mandre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8—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 B07B7/083—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rotating vanes, discs, drums, or brus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6—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defining termination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e.g. screen denying egress of oversiz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4—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두 개의 바람직한 해결책은 작동 단계시 선별기 휠(1a, 4, 6, 7)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동안 선별기 볼밀에 있는 선별기의 절단지점을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들 해결책들중 하나에 따라서 미세 재료 출구가 조절가능한 다이아프램으로서 실현되고 그리고 다른 하나의 해결책에 따라서 선별실의 높이가 자유롭게 조절된다.Two preferred solutions relate to a method of changing the cutting point of the sorter in the sorter ball mill while keep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sorter wheels 1a, 4, 6, 7 constant during the operating step. According to one of these solutions the fine material outlet is realized as an adjustable diaphragm and according to the other solution the height of the sorting chamber is freely adjusted.
Description
제분과정이 끝나면 일반적으로 제분재료는 입자 크기가 여러 가지임으로 분류 내지는 선별이 필요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롤 제분기와 선별기가 하나의 기능 단위로 통합되어 있다. 원료재료가 롤 제분기에 투입되고, 제분과정이 끝나면 조선재(粗選材)를 분리해 낸 제분재료는 선별기에 도달하고, 거기서 굵고 가는 입자를 가진(질량이 크고 작은) 제분재료 부분이 서로 분리된다.At the end of the milling process, the milling material generally needs to be classified or sorted due to its various particle sizes. Thus, roll mills and sorters are usually integrated into one functional unit. The raw material is put into a roll mill, and when the milling process is finished, the milling material from which the shipbuilding material is separated arrives at the sorting machine, where the parts of the milling material having thick and thin particles (large and small mas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do.
롤 제분기와 선별기는, 구조적으로 서로 독립되어 있을 경우, 갑자기 참작되거나 갑자기 조성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작업환경의 영향을 받게 된다.Roll mills and sorters, when structurally independent of one another, are subject to a variety of working environments that can be suddenly taken into account or created suddenly.
선별기에서 공기선별기가 문제가 될 경우, 선별기의 실질적인 평가기준은 분리도(분리한계) dT인데, 이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If the air separator is a problem in the sorter, the practical criterion for the sorter is the degree of separation (separation limit) d T.
여기서,here,
dT는 분리도 (분리한계) 내지는 입자의 크기d T is the degree of separation (separation limit) or particle size
ρ는 두께 (kg/m3)ρ is the thickness (kg / m 3 )
Vr는 선별휠의 반경속도 (m/s)V r is the radial velocity of the sorting wheel (m / s)
Vu는 선별휠의 원주속도 (m/s)V u is the circumferential speed of the selector wheel (m / s)
r은 반경 (m)r is the radius (m)
η은 동적점도(動的粘度) (Ns/m2)η is the dynamic viscosity (Ns / m 2 )
이다.to be.
따라서, 선별기의 분리도는 무엇보다도 두 가지의 속도 성분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는 다시 무엇을 의미하느냐 하면, 선별기의 작업범위가 적지 않아서 선별기 가동이 비경제적일 경우, 선별휠의 회전수를 바꿀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Thus, the degree of separation of the sorter depends, among other things, on the two speed components, which in turn means that if the sorter's working range is small and the sorter operation is uneconomical, the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sorting wheel should be changed. will be.
롤 제분기에 대한 결과도 마찬가지이다. 회전하는 원판 주위에 때리는 도구가 달린 비터(beater) 롤 제분기의 경우, 이러한 롤 제분기가 경제적으로 가동되려면 그 원판의 회전수를 바꿀 수 있어야 한다.The same is true for the roll mill. In the case of beater roll mills with a slap tool around a rotating disc, this roll mill must be able to chang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isc in order to operate economically.
비터 롤 제분기와 공기선별기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중요한 관점은 롤 제분기와 선별기의 회전수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선별기와 롤 제분기의 회전수는 서로 독립적으로 정하고 바꿀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선별기와 롤 제분기가 서로 독립된 구동장치를 가진 서로 독립된 장비일 경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음을 의미한다.In installing a beater roll mill and an air separator, one important aspect is that there is no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ll mill and the sorter.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sorter and roll mill should be able to be determined and chang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is means that there is no problem when the sorting machine and the roll mill are independent equipments having independent driving devices.
롤 제분기와 선별기가 기능적일 뿐 아니라, 건설비를 줄이거나 단순히 설치에 필요한 장소를 작게 하기 위하여 구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면, 상기한 상황에서 문제들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한 경우 두 장비를 위해 하나의 공통적인 구동모터를 갖추어 주고, 한 쪽에는 모터 그리고 다른 쪽에는 롤 제분기 및 선별기 사이에 성능분기(分岐)전동장치를 갖추어 주고, 그리고 또 한 쪽에는 성능분기전동장치와 롤 제분기 그리고 다른 쪽에는 성능분기전동장치와 선별기 사이에 각각 하나의 회전수조절기를 갖추어 주어야 한다는 것이 분명해진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롤 제분기와 선별기와 더불어 전 기계가 너무 비싸져서, 구조적인 통합에서 기대되는 또하나의 장점은 상쇄되어 버린다. 그렇기 때문에 롤 제분기와 선별기가 통합적으로 조립되어 있어도 실제적으로는 분리된 구동장치와 각각 다른 회전수조절기를 선별기와 롤 제분기에 여전히 설치해 주었던 것이다.If roll mills and sorters are not only functional, but must also be structurally connected to one another in order to reduce construction costs or simply reduce the pl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problems arise in the above situations. In such a case, one common drive motor is provided for the two machines, a motor for one side and a motor for the branch between the roll mill and the sorter on the other side, and the motor for the other. It is evident that the device, the roll mill and the other side must be equipped with a single speed controller each between the performance branch motor and the separator. But this makes the whole machine too expensive, with roll mills and sorters, to offset another advantage of structural integration. Therefore, even though the roll mill and the sorter were assembled together, in practice, separate drive units and different speed controllers were still installed in the sorter and the roll mill.
도 1은 로터가 하나 있는 선별 롤 제분기를 중간종단면으로 보여 준 것으로, 여기서 발명에 적합하게 선별기의 두 상원판 중의 하나가 조절 가능한 조리개로서 만들어져 있고 또 두 상원판 중의 하나와 정선재 배출구 쪽의 상원판이 그러한 조리개를 가리키고 있고;Figure 1 shows a sorting roll mill with one rotor in an intermediate longitudinal section, in which one of the two upper plates of the sorter is made as an adjustable aperture suitable for the invention, and one of the two upper plates and the upper side of the rectifier outlet The plate points to such an aperture;
도 1a는 도 1에 근거한 하나의 상세도이고,FIG. 1A is a detail view based on FIG. 1;
도 2는 같은 표현 방식으로 선별 롤 제분기를 표시한 것으로서, 여기서 선별기의 유일한 상원판이, 이 상원판의 조절을 통하여 선별실의 내부 높이를 변경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높게 조절될 수 있다.FIG. 2 shows the sorting roll mill in the same representation, where the only upper plate of the sorting machine can be adjusted high in order to be able to change the internal height of the sorting chamber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upper plat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합목적적인 방식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의도에 기초를 두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선별 롤 제분기라고 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하나의 비터 롤 제분기와 하나의 선별기를 하나의 구동장치를 갖는 한 단위의 장비로 통합될 수 있지만, 적정한 비용으로 롤 제분기와 선별기가 서로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의 해결을 위한 출발점은 위에서 인용한 수학적인 관계가 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intention to solve this problem in a purposeful way. 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ing from what is called a sorting roll mill, can be integrated into one unit of equipment having one beater roll mill and one sorter with one drive, but at a reasonable cost It is intended to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and selectors can be controll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starting point for solving this task should be the mathematical relationship cited above.
전술한 선별 롤 제분기의 문제점에서 출발하여, 본 발명이 기초를 두고 있는 문제점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Starting from the problem of the sorting roll mill described above, the problem o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can be generally defined as follows.
공기선별기의 실질적인 평가기준으로서의 분리도는 실제적으로 선별기휠의 회전수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공기선별기를 경제적으로 설치하려면, 선별기휠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전제조건이다. 그러나 바라는 분리도가 적정한 방식으로 도달되도록 선별기휠의 회전수를 결정하기가 그렇게 간단하지 않은 경우를 상상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선택적으로 혹은 추가적으로 분리도를 변경하는데 있어서 선별기휠의 회전수를 변경함으로써 분리도를 변경할 수 있고, 내지는 하나의 적정한 분리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선별기를 실현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분리도"는 "분리한계를 정하는 것"과 같은 의미로서, 다시 말하면, 어느 정도로 조선재(粗選材)가 선별기휠의 원심력의 영향하에 거절되고 정선재(精選材)가 선별공기와 함께 원심력의 작용에 반(反)하여 중앙의 정선재배출구를 거쳐 선별기휠을 떠나는가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도 위에서 인용한 수학적 관계가 출발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The degree of separation as a practical evaluation criterion of the air separator actually depends o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sorter wheel. Therefore, in order to economically install the air separator, it is a prerequisite that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separator wheel must be adjustable. However, it can be imagined that it is not so simple to determin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sorter wheel so that the desired degree of separation is reached in an appropriate manner. Accordingl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an air sorter which can change the degree of separation by selectively or additionally changing the degree of separation, and can achieve a suitable degree of separation. In this context, "degree of separation" has the same meaning as "delimiting the separation limit", that is, to some extent shipbuilding materials are reject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selector wheel, and At the same time, it means whether to leave the sorter wheel through the center line of re-discharge and against the action of centrifugal force. Again, the mathematical relationship cited above should be the starting point.
이 과제의 해결은 본 특허 청구에서 얻어지는데, 보다 일반적인 부분에 관해서는 공기선별기에만 관계되지만, 보다 특별한 부분에 관해서는 선별 롤 제분기에 관계된다.The solution of this problem is obtained from the present patent claim, which relates only to an air separator for a more general part, but to a sorting roll mill for a more specific part.
실용적인 전환을 위해서 본 발명은 두 가지의 해결방안에 도달하게 되는데, 두 가지가 모두 위에 인용한 수학적 관계에 근거를 두고 있다. 한 해결방안에서는 공기선별기의 선별실의 내부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또 한 해결방안에서는 선별기의 정선재 배출구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리개를 만든다. 아래에 기술한 도면의 두 개의 도의 각각에 표시되어 있는 두 가지의 수행방식의 설명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해결 가능한 방식은 본 발명에 따라 비교적 적은 조립 비용으로 실현될 수 있다. 두 경우에서 모두 롤 제분기와 선별기가 하나의 단위에서 출발하는데, 여기에서 모터구동은 필요한 롤 제분기의 회전수를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고, 선별기도 마찬가지로 이 회전수로 구동되지만, 선별기의 작업환경은 롤 제분기로부터 독립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설명은 또한 공기선별기만이 문제일 경우 그 분리도가 일정한 회전수에도 불구하고 변경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전문가가 알 수 있게 되어 있다.For practical conversion, the present invention arrives at two solutions, both based on the mathematical relationship cited above. One solution is to adjust the internal height of the sorting chamber of the air sorter, and another solution is to create an aperture to control the sorter outlet of the sorter. As can be seen from the description of the two implementation manners indicated in each of the two figures of the figures described below, two possible solutions can be realized with relatively low assembly cos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both cases, the roll mill and the sorter start at one unit, where the motor drive can be changed to take into account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ll mill required and the sorter is driven at this speed as well, The environment can be changed independently from the roll mill. The explanation also allows the expert to know that if only the air selector is the problem, the degree of separation should be able to be changed despite a constant number of revolutions.
로터가 하나 있는 선별 롤 제분기의 도 1에서 로터(1)가 알기 쉽게 표시되어 있는데, 이 로터는 그의 외주(外周)에 비터(2)가 붙어 있는 하나의 원판(2a)과 그에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는 선별블레이드(4)가 달려 있는 선별기의 상원판(1a)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비터들은 장비의 케이스 안쪽에 있는 재료통로(3)와 함께 협력하여 작용한다. 한 쪽에 비터(2) 그리고 다른 쪽에 가루통로(3) 간의 협력으로 잘게 부서진 제분재료는, 선별공기와 함께 밖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선별블레이드(4), 상원판(1a), 그리고 두 번째의, 배출구 쪽에 있는 선별기의 상원판(7) 사이에 있는 경로를 통해 선별기에 도달하고, 선별기에서는 굵고 가는 재료로 선별된다. 가는 재료, 즉, 비교적 적은 질량의 가루 제품은, 선별공간으로부터 원심력에 따라 밖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선별휠을 통해, 즉, 선별블레이드(4)와 상원판들(1a, 7) 사이에 있는 선별휠의 블레이드경로를 통해, 끌려져서, 제2의 상원판(7)으로 둘러싸여 있는 중앙 정선재배출구(6)를 통해, 선별 롤 제분기 밖으로 나가서, 하나의 필터안에서 가는 재료와 선별공간으로 분리되는 것이 대부분인 처리를 받게 된다. 조선재, 즉, 비교적 큰 질량의 가루 제품은 선별휠에서 원심력의 영향하에 거절되어 다시 비터(2)와 가루통로(3)의 영향영역에 도달하고, 이런 식으로 입자가 비교적 작은 질량으로 생성될 때까지 여러번 되돌려져서, 이미 기술된 방식으로 선별 롤 제분기에서 밖으로 배출된다.In Fig. 1 of the sorting roll mill with one rotor, the rotor 1 is clearly shown, which is firmly connected to one disc 2a having a beater 2 attached to its outer periphery. It comprises one of the upper plate (1a) of the sorting machine attached to the sorting blade (4). The beaters work in cooperation with the material path (3) inside the case of the equipment. The milling material, which is finely pulverized by the cooperation between the beater (2) on one side and the powder passage (3) on the other side, radially from the outside with the sorting air (4), the upper plate (1a), and the second, on the outlet side The sorter is reached through the path between the upper plates 7 of the sorter, which is sorted by coarse and thin material. Fine material, i.e. a relatively small mass of flour product, is sorted through the sorting wheel from the sorting space outwardly and radially inwards according to the centrifugal force, ie between the sorting blade 4 and the upper plates 1a, 7 Pulled out through the blade path of the wheel, through the central straight line outlet 6 enclosed by the second upper plate 7, out of the sorting roll mill, and separating into a material and sorting space in one filter. Most of them are treated. Shipbuilding materials, i.e., relatively large mass products, are rejected under the influence of centrifugal forces on the sorting wheel and again reach the influence zones of the beater 2 and the powder passage 3, whereby particles are produced with a relatively small mass. It is returned several times until discharged out of the sorting roll mill in the manner already described.
선별 롤 제분기의 기타 실질적인 구성요소는 선도(先導)블레이드들(8), 문(9)을 통하여 작동 중에 닫히는 케이스출구가 있는 케이스(13), 압축공기식 제품투입구(10), 선별공간입구(11), 그리고 구동모터(12)이다.Other substantial components of the sorting roll mill include leading blades (8), a case (13) with a case outlet closed during operation through the door (9), a compressed air product inlet (10), and a sorting space inlet. 11, and the drive motor 12.
로터(1)가 모터(12)에 의해 정지상태인 선별 롤 제분기의 케이스(13)에서 문(9)이 닫혀지고 회전이 시작되면, 배출제품은 제품입구(10)를 통해서 비터(2)의 작용영역으로 들어가서, 배출제품은 굵고 가는 재료로 분쇄되고, 굵고 가는 재료는 이미 기술된 방식으로 처리된다.When the door 9 is closed and rotation starts in the case 13 of the sorting roll mill where the rotor 1 is stopped by the motor 12, the discharged product is transferred to the beater 2 through the product inlet 10. Entering the working zone of, the discharged product is ground into coarse and fine materials, and the coarse and fine materials are treated in the manner previously described.
가정된 비터 롤 제분기가 구조와 작동방식에 있어서 완전히 통례적임으로 여기서는 더 자세히 언급할 필요가 없다.The hypothesized beater roll mill is completely customary in structure and manner of operation and therefore need not be discussed in greater detail here.
제품에 관련되는 비터의 작동방식은, 원판(2a)과 거기에 붙어 있는 비터가 달린 롤 제분기 부분의 회전수에 의거한다. 이 회전수는 모터(12)의 회전수에 따라 변하고, 따라서 롤 제분기의 회전수는 모터의 회전수 자체를 통해서, 또는 모터의 회전수가 일정할 경우에는 전동(傳動)장치를 아래 또는 위로 바꿈으로써 변환시킬 수가 있다. 롤 제분기의 회전수에 따라 선별휠의 회전수도 원판(2a)와 직접 연결된 상원판(1a), 선별블레이드(4), 그리고 상원판(7)로 정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바꿀 수 있다. 이러한 종속성에도 불구하고 이제 선별기의 분리도를 바꿀 수 있게 하기 위해, 상원판(7)을 그 자체로는 잘 알려진 아이리스 조리개와 같은 모양으로 만든다. 조리개를 조절함으로써 배출구 횡단면(6)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 아이리스 조리개는, 롤 제분기의 적정한 작업을 보장할 수 있도록 정해진 내지는 선정된 롤 제분기 회전수로부터 독립적으로, 서두에 인용한 수식을 참작하여 롤 제분기의 적정한 분리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정선재의 원주속도를 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선호되는 하나의 수단이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beater related to a product is based on the rotation speed of the disc 2a and the roll mill part with a beater attached to it. This rotational speed varies with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12, and thu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ll mill is changed by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lling mill itself or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s constant. Can be convert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ll mill,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sorting wheel can also be determined by the upper plate 1a, the sorting blade 4, and the upper plate 7 which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original plate 2a. . Despite these dependencies, in order to be able to change the degree of separation of the sorter, the upper plate 7 is shaped like an iris aperture well known per se. By adjusting the aperture, the outlet cross section 6 can be adjusted, which is independent of the prescribed or selected roll milling revolutions to ensure proper operation of the roll mill, the formula cited at the outset. In consideration of this, it is one of the preferred means for determining the circumferential speed of the wire in order to enable proper separation of the roll mill.
선별 롤 제분기의 기본 구조와 롤 제분기 겸 선별기로서의 작동 방식은 도 2와 같다. 롤 제분기는 실질적으로 제분원판(2a)과 거기에 붙어 있는 비터(2)가 달린 로터(1)로 만들어져 있고, 선별기 내지는 선별휠은 실제적으로, 바닥(15), 실린더벽(16), 배출구 쪽의, 조절할 수 있는 상원판(17) 그리고 선별블레이드(4)가 달린, 망원경식으로 종으로 조절할 수 있는 실린더(14)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원판(2a)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닥(15)과 내부 실린더벽단편(16a)을 있는 실린더(14)의 한 부분(14a)은, 실린더벽단편(16a)의 자유로운 끝에 선별블레이드관의 블레이드(4)를 갖고 있다. 상원판(17)과 외부 실린더벽단편(16b)을 가진 실린더의 다른 한 부분(14b)은, 망원경식으로 이중화살표(19) 방향으로 중간단계 없이 조절할 수 있게 내부 실린더벽단편(16a)을 거쳐 외부 실린더벽단편(16b)의 자유로운 끝과 맞물려 있고, 중앙에 선별휠에 배치되어 있는 정선재배출구(6)가 있는 케이스벽(13)의 상원판(17)과, 자유로운, 즉, 외부 실린더벽단편(16b)으로 덮여 있는 부분들 내지는 블레이드(4)의 단편들 사이에서, 상원판(17)과 더불어 선별실(20)에 접하고 있다. 실린더(14)의 다른 부분(14b)의 일부로서의 상원판(17)을 조절함으로써, 선별실(20)의 내부 높이 H를 변경할 수 있다. 블레이드들(4)은 상원판(17)의 조절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고 될 수 있는 대로 매끄럽게 틈새를 통하여 상원판(17) 안으로 빠져들어 가야하며, 16a와 16b 부분 사이에는 마모되지 않는 유동(流動)개스킷이 있다. 이렇게 16a와 16b 부분들은, 망원경식으로 서로 맞대고 조절할 수 있는 두 개의 고리조리개와 더불어, 블레이드를 둘러싸고 있는 고리조리개를 형성하고 있다.The basic structure of the sorting roll mill and the operation manner as the roll mill and the sorter are shown in FIG. 2. The roll mill is substantially made of a rotor 1 with a milling disc 2a and a beater 2 attached thereto, where the sorter or sorting wheel is actually a bottom 15, a cylinder wall 16, an outlet. It features a telescopically adjustable cylinder 14 with a side, adjustable upper plate 17 and a selective blade 4. One portion 14a of the cylinder 14 having the bottom 15 connected to the disc 2a and the inner cylinder wall piece 16a has a blade 4 of the sorting blade tube at the free end of the cylinder wall piece 16a. Has The other part 14b of the cylinder with the upper plate 17 and the outer cylinder wall piece 16b passes through the inner cylinder wall piece 16a so that it can be adjusted telescopically in the direction of the double arrow 19 without intermediate steps. The upper cylinder plate 17 of the case wall 13, which is in engagement with the free end of the outer cylinder wall piece 16b and has a regular wire discharge outlet 6 disposed at the sorting wheel in the center, is free, that is, the outer cylinder wall piece Between the portions covered with (16b) or the fragments of the blade 4, it is in contact with the sorting chamber 20 together with the upper plate 17. By adjusting the upper plate 17 as part of the other portion 14b of the cylinder 14, the internal height H of the sorting chamber 20 can be changed. The blades 4 should sneak into the upper plate 17 through the gaps as smoothly as possibl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adjustment movement of the upper plate 17 and between the portions 16a and 16b there will be no wear and tear. There is a gasket. The 16a and 16b sections thus form a ring stopper that surrounds the blade, with two ring stops that can be telescoped and adjusted to each other.
도 1에 따른 선별기의 작업수행방식에서 정선재출구(6)의 자유로운 횡단면이 아이리스 조리개의 조절을 통하여 변경될 수 있고 따라서 총흐름의 속도를 변경할 수 있는 반면에, 도 2에 따른 작업수행방식에서는 케이스벽(13)으로 둘러싸인 정선재출구(6)의 횡단면은 일정하지만 상원판(17)은 축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공기선별기의 내부 높이가 변경될 수 있고, 따라서 방사상 총흐름의 속도를 변경할 수 있어서, 롤 제분기의 작동방식과 선별기의 작동방식을 기능적으로는 서로 일치하지만 건설적인 종속성에는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고 적정화 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orting machine according to FIG. 1, the free cross section of the selection line exit 6 may be changed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iris aperture, and thus the speed of the total flow may be changed, whereas in the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FIG. The cross section of the jeongseonjae exit 6 surrounded by the wall 13 is constant, but the upper plate 17 can be adjuste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the internal height of the air separator can be changed, and thus the speed of radial total flow can be changed In other words, the operation of the roll mill and the operation of the sorter can be functionally matched with each other, but can be optimized without any restrictions on constructive dependencies.
실린더 부분(14b)의 상원판(17)에는 하나의 휠통(21)이 있는데, 이 휠통에 의해 실린더부분(14b)이 굴대(22)에 회전하지 못하게 붙어 있다. 실린더부분(14b)이 망원경식으로 조절될 수 있고 따라서 상원판(17)도 망원경식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은, 두 굴대가 말하자면 그 자체적으로는 잘 알려진 쐐기홈연결(24)로 서로가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이 굴대(22)가 회전하지 못하게 모터(12)의 시동굴대(23)에 연결되어 있고, 이 시동굴대(23)가 서로 마주보면서 축 방향으로 밀 수 있기 때문이다. 두 굴대 중의 하나는 속이 빈 굴대로서 내벽 안의 세로홈 내지는 내벽 위의 세로늑골로, 두 굴대 중의 다른 하나는 속이 찬 굴대로서 외벽 위의 상응하는 세로쐐기 내지는 외벽 안의 세로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속이 빈 굴대의 형태로 만들어진 모터구동굴대의 맞은 편에서 속이 찬 굴대의 형태로 만들어진 굴대가 축 방향으로 밀어 움직여질 수 있는 것이 이중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모터구동굴대는 직접 모터(12)에서 밖으로 나오는 굴대일 수 있고, 전동장치를 거쳐 모터구동굴대와, 또는 다른 적합하고 알려진 수단, 예를 들면 하나의 피대[벨트]전동(傳動)을 거쳐 모터에서 밖으로 나오는 굴대와 연결될 수 있다. 25는 그의 매끄러운 단편 내의 두 굴대 22와 23 사이의 유동가이드이다.There is one wheel cylinder 21 on the upper plate 17 of the cylinder portion 14b, and the cylinder portion 14b is attached to the mandrel 22 so as not to rotate. The cylinder portion 14b can be telescopically adjusted and thus the upper plate 17 can also be telescopically adjusted, so that the two mandre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edge groove connection 24 which is well known per se. This is because the mandrel 22 is connected to the starting mandrel 23 of the motor 12 so that the mandrel 22 cannot rotate, and the starting mandrel 23 can be pushed in the axial direction while facing each other. One of the two mandrel is a hollow mandrel, which is formed in a longitudinal groove in the inner wall or a longitudinal rib on the inner wall, and the other of the two mandrel is a hollow mandrel, which is formed in a corresponding longitudinal wedge on the outer wall or in a vertical groove in the outer wall. Opposing the motor-driven mandrel in the form of a hollow mandrel, the mandrel made in the form of a full mandrel can be push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indicated by double arrows. The motor drive mandrel may be a mandrel coming directly out of the motor 12, and may be driven by the motor drive mandrel via an electric drive, or other suitable and known means, for example, by a belt belt drive. Can be connected with the mandrel coming out. 25 is the flow guide between two mandrel 22 and 23 in its smooth piece.
모터(12)의 구동력은 이 경우 한번은 모터시동굴대(23)를 거쳐 로터(1)로, 실린더 내지는 그것으로 만들어진 고리조리개(14)로, 선별휠 블레이드(4)로, 그리고 상원판(17)으로 들어가고, 그리고 한번은 굴대(22)를 거쳐 직접 상원판(17)으로 간다. 그러나 또한 가능한 것은, 또하나의 유동가이드를 위해서 (25에 따라서) 쐐기홈연결(24)을 포기함으로써 굴대(22)가 굴대(23)에 의하여 구동되는 상원판(17)을 거쳐 구동된다는 것이다. 휠통(21)과 굴대(22) 사이의 연결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던가, 또하나의 가이드베어링(유동가이드에 따라서 돌기 25)을 위해 쐐기홈연결(24)을, 그리고 휠통(21)과 굴대(22) 사이의 연결의 회전불능성을, 포기한다면, 굴대는 오로지 축 방향으로만 조절할 수 있고, 이 경우는 단지 굴대(22)가 축방향으로 밀어 옮겨질 때 이중화살표(19) 방향으로 굴대(22)가 상원판(17)을 같이 데리고 가도록 만 배려하면 될 것이다.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2 is in this case once via the motor starting mandrel 23 to the rotor 1, to the ring iris 14 made of a cylinder or to it, to the sorting wheel blade 4 and to the upper plate 17. ), And once through the mandrel 22 directly to the upper plate (17).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mandrel 22 is driven via the upper plate 17 driven by the mandrel 23 by giving up the wedge groove 24 for another flow guide (according to 25). Is the connection between the wheel barrel 21 and the mandrel 22 not to rotate, the wedge groove connection 24 for another guide bearing (protrusion 25 according to the flow guide), and the wheel barrel 21 and the mandrel ( If the impossibility of rotation of the connections between the two ends, the mandrel can only be adjusted in the axial direction, in this case only when the mandrel 22 is push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mandrel ( Only care must be taken to bring 22 with the Senate.
양자의 작업수행방식에 같은 점이 있는 것은 똑같은 설명을 다시 하게 됨으로, 그런 점에 한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포기될 수 있을 것이다.The similarities in the way they work are repeated in the same way, so that detailed explanations can be given up.
도 1에 따른 작업수행 방식에서 상원판(7)의 아이리스 조리개에 관해서는 그 자체로는 잘 알려진 축조모형이지만, 부분 도 1a에 도식적으로 그러한 조리개가 그려져 있는데, 이는 보다 큰 축척으로 그리고 선별기를 떠나서 정선재가 실려진 선별공간흐름의 방향에서 본 것이다. 중요한 것은 변하는 구멍의 횡단면이 있는 조리개인데, 구멍(100)의 횡단면은 대략 6에서 대략 30 개의 초승달 모양의 얇은 금속판(101)이 그 안쪽 끝 부분(102)이 구멍 주위에 있고 그 다른 쪽 끝에는 중간단계가 없고 조절할 수 있는 조절고리(103)가 배치되어 있어 이중화살표(104) 방향으로 돌릴 수 있게 본래의 상원판(7) 안에 자리잡고 있다. 조절고리(103)를 상원판(7) 안에서 이중화살표(101) 방향으로 한 쪽 또는 다른 쪽으로 돌려서 얇은 금속판들의 선회방향을 바꿀 수 있게 되어, 구멍(100)의 횡단면이 크거나 작아지고 정선재배출구(6)의 횡단면에 상응하게 변한다. 조절고리(103)는 밖에서부터 기존의 방식, 예를 들면 서보모터나 레버 같은 것으로 해서 수작업으로 간단히 돌릴 수 있다.As for the iris aperture of the upper plate 7 in the work according to FIG. 1, it is a well-known construction model in itself, but it is shown graphically in part FIG. 1A, which is at a larger scale and apart from the sorter. It is seen from the direction of sorting space flow on which Jeong Seon-jae is loaded Of utmost importance is the aperture with the cross section of the changing hole, the cross section of the hole 100 being approximately 6 to about 30 crescent shaped thin metal plates 101 whose inner ends 102 are around the hole and at the other end are Stepless and adjustable control ring 103 is arranged in the original upper plate (7) to b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double arrow (104). By turning the adjusting ring 103 in the upper plate 7 in one or the other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double arrow 101,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thin metal plates can be changed, so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hole 100 becomes larger or smaller and the fine line discharge outlet ( Chang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6). The adjusting ring 103 can be simply rotated manually by an existing method from the outside, such as a servo motor or a lever.
두 개의 도(도 1, 2)에서 선도고리를 5로 표시했는데, 이는 선도블레이드(8)와 함께 작동한다. 선별공기입구(11)를 거쳐 들어가는 선별공기는, 고리공간에서 선도고리(5)와 케이스벽 사이로 해서 선도블레이드고리(8)로 들어가고, 거기서 상응하는 역류 속에서 선도고리(5)와 선별휠 사이에서 방향을 바꾸어, 선별재투입구(10)로 도입된 선별재와 함께 밖으로부터 흐름도관으로 들어가서 선별휠의 블레이드들 사이에 도달하고, 여기서 정선재와 조선재의 분리가 일어난다. 정선재를 포함한 선별공기는 선별기를 떠나 배출구(6)로 넘어가고, 조선재는 선별휠의 블레이드들 사이에 있는 흐름도관의 투입구 영역에서 원심력에 의해 거부되어 다시 선도고리(5)와 선별휠 사이의 고리공간을 통하여 롤 제분기의 작용영역으로 보내진다.In the two figures (Figs. 1 and 2) the leading ring is marked 5, which works with the leading blade (8). The sorting air entering through the sorting air inlet (11) enters the leading blade ring (8) in the annular space between the leading ring (5) and the case wall, and there between the leading ring (5) and the sorting wheel in the corresponding countercurrent. In the direction of change, with the sorting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sorting material inlet 10 from the outside into the flow chart tube to reach between the blades of the sorting wheel, where the separation of the Jeongseonjae and shipbuilding materials takes place. The sorting air, including the straight wire, leaves the sorting machine and passes to the outlet (6), and the shipbuilding material is rejected by centrifugal force in the inlet area of the flow tube between the blades of the sorting wheel, and again the ring between the leading ring (5) and the sorting wheel. It is sent through the space to the working area of the roll mill.
도 1에 따른 작업수행방식에서 조리개를 포함하고 있는 상원판(7)을 선별기휠에 부속시켜 상부에 배치했다. 여기서 지적하고 싶은 것은, 조절할 수 있는 조리개가 달린 이 상원판(7)은 선별기휠에서 떼어 내어 케이스(13)에, 특히 뚜껑에도 부속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해결책은 합목적적일 수가 있는데, 왜냐하면 조리개가 달린 상원판(7)은 보다 간단한 상원판에 비하여 무게가 더 무거울 수 있고, 상원판이 선별기휠에서 분리되어 케이스에 부속되면 추가적인 구동에너지가 필요없기 때문이다.In the work performance method according to FIG. 1, the upper plate 7 including the diaphragm was attached to the sorter wheel and disposed on the upper part. It is pointed out here that this upper plate 7 with adjustable aperture can be removed from the sorter wheel and attached to the case 13, in particular to the lid. This solution may be useful because the diaphragm 7 with the aperture can be heavier than the simpler one and no additional driving energy is required if the senate plate is detached from the separator wheel and attached to the case. .
요약하면 본 발명은, 공기선별기에서 선별기휠의 회전수가 일정한 상태로 가동 중에 선별기의 분리한계를 변경시키는 문제에 대하여 두 가지의 선호되는 해결방안을 제시한 것이라고 간략하게 정의될 수 있다.In summar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riefly defined as providing two preferred solutions to the problem of changing the separation limit of the sorter during operation with constant rotation of the sorter wheel in the air sorter.
Claims (1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9532555 | 1995-09-04 | ||
JP19532555.9 | 1995-09-04 | ||
DE19535524.5 | 1995-09-25 | ||
DE19535524A DE19535524A1 (en) | 1995-09-04 | 1995-09-25 | Air classifier and single-rotor classifier mill with such a air classifier |
JP19535524.5 | 1995-09-2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4377A true KR19990044377A (en) | 1999-06-25 |
Family
ID=7771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701621A KR19990044377A (en) | 1995-09-04 | 1996-08-30 | 1-rotor sorting roll mill with air separator and such sort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44377A (en) |
DE (2) | DE19535524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8039724A1 (en) * | 2008-08-26 | 2010-03-04 | Hosokawa Micron Zweigniederlassung Der Hosokawa Alpine Ag | Classifier mill with driv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913741A (en) * | 1960-01-11 | 1962-12-28 | Hosokawa Tekkosho Kk | Improvements in classifiers for pulverized substances |
DE3808023A1 (en) * | 1988-03-10 | 1989-09-21 | Krupp Polysius Ag | Separator |
-
1995
- 1995-09-25 DE DE19535524A patent/DE19535524A1/en not_active Withdrawn
-
1996
- 1996-08-30 KR KR1019980701621A patent/KR1999004437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6-08-30 DE DE59609098T patent/DE59609098D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59609098D1 (en) | 2002-05-23 |
DE19535524A1 (en) | 1997-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204412B2 (en) | Separator for sorting particulate material | |
US4784634A (en) | Solid bowl centrifuge | |
EP1113882B1 (en) | A decanter centrifuge | |
CN101203318B (en) | Three-phase solid bowl screw centrifu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crew centrifuge | |
US4699324A (en) | Combined screening and reject reduction | |
EP2796203A1 (en) | Device for drawing off fluid of a centrifugation device | |
CA1297328C (en) | Method and device for refining a fibre material | |
EP0171987B1 (en) | Separator for sorting particulate material | |
EP0697922B1 (en) | Separator for sorting of particulate material | |
US4328096A (en) | Dual flow screening apparatus | |
US3081026A (en) | Centrifuge | |
FI60252B (en) | MALAPPARAT FOER TRAEMASSA ELLER MOTSVARANDE | |
US4527748A (en) | Tubular mill for grinding natural and synthetic raw materials, particularly for the cement industry | |
US5252209A (en) | Solid bowl worm centrifuge with improved discharge openings | |
US5899396A (en) | Air separator and single-rotor air separator mill with such an air separator | |
KR19990044377A (en) | 1-rotor sorting roll mill with air separator and such sorter | |
CA1163236A (en) | Dual flow screening apparatus | |
WO1994027726A1 (en) | Method of regulating the outlet flow of a liquid separated in a centrifugal separator and a centrifugal separator to carry out the method | |
US2200202A (en) | Centrifugal machine for the separation of solid and liquid materials | |
US2965232A (en) | Centrifugal screen separation apparatus | |
DE3729317C2 (en) | ||
GB2077610A (en) | Pocket centrifug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 |
US4830289A (en) | Centrifugal fluidized grinding apparatus | |
AU623940B2 (en) | Separator for sorting particulate material | |
US4536288A (en) | Pocket centrifug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