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982A - 스프링 접점부를 구비한 대 기판을 정주시키기 위한 접점 캐리어(타일) - Google Patents
스프링 접점부를 구비한 대 기판을 정주시키기 위한 접점 캐리어(타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21982A KR19990021982A KR1019970708457A KR19970708457A KR19990021982A KR 19990021982 A KR19990021982 A KR 19990021982A KR 1019970708457 A KR1019970708457 A KR 1019970708457A KR 19970708457 A KR19970708457 A KR 19970708457A KR 19990021982 A KR19990021982 A KR 199900219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tile
- electronic component
- elements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0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20/004—Wire weld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01R1/06738—Geometry aspects related to tip por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55—Material aspec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42—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the body of the probe being at an angle other than perpendicular to test object, e.g. probe car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64—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with provisions for altering position, number or connection of probe tips; Adapting to differences in pitch
- G01R1/07371—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with provisions for altering position, number or connection of probe tips; Adapting to differences in pitch using an intermediate card or back card with apertures through which the probes pas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단일 및 복합 상호 접속 소자를 포함하는 접점 범프 또는 자유 직립성 스프링 접점부와 같은 다수의 접속 소자들은 비교적 큰 전자 부품 기판에 차례로 장착 및 접속된 비교적 작은 타일 기판에 장착됨으로써, 접점 소자들을 직접 전자 부품 상에 제조하는 필요성을 제거하면서 전자 부품에 다수의 접점 소자들을 정주시킨다. 비교적 큰 전자 부품은 적합하게는 프로브 카드 조립체의 공간 변환기 부품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웨이퍼-레벨 번-인 등이 제공되도록 가압 접속이 전체 반도체 웨이퍼에 즉시 이루어질 수 있다. 땜납 볼, z-축 전도성 접착제 또는 순응성 접속물들이 타일 기판과 전자 부품 사이의 전기 접속을 이루기 위해 적절하게 이용된다. 반도체 웨이퍼 상의 다수 다이 사이트는 개시된 기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프로빙되고, 타일들은 전체 웨이퍼의 프로빙을 최적화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탄성 접점 구조물과 같이 비교적 경질 쉘로 오버코팅된 비교적 연질 코어를 갖는 복합 상호 접속 소자들이 개시되어 있다. 대 기판에 대한 타일들의 x-y 및 z축 정렬을 유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배경
복합 상호 접속 소자들을 갖는 가압 접속물의 제조 기술은 공동 소유로 계속 중인 1995년 5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08/450,255호[모출원(parent case)]에 개시되어 있다.
공동 소유로 계속 중인 1995년 11월 9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08/554,90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개개의 반도체(집적 회로) 장치(다이)는 사진 석판술, 침전법 등의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몇 개의 확인 장치를 반도체 웨이퍼 상에 만들어서 전형적으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공정들에서는 개개의 다이를 반도체 웨이퍼로부터 단일화(절단)하기 전에 다수의 완전한 기능의 집적 회로 장치를 만들고자 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웨이퍼 자체의 어떤 물리적인 결함들 및 웨이퍼의 공정에서의 어떤 결함들은 필연적으로 일부의 다이들을 양호한(good)(완전한 기능의) 상태로 또 다른 일부의 다이들을 불량한(bad)(비기능적인) 상태로 되게 한다.
일반적으로 웨이퍼 상의 다수의 다이들은 그 팩키징 전에, 양호하게는 웨이퍼로부터 단일화되기 전에 양호한 다이인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다이 상에 다수의 불연속 가압 접속물을 유사한 다수의 불연속 접점 패드(본드 패드)에 대해 만들기 위해 웨이퍼 시험기 또는 프로버가 유용하게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반도체 다이는 웨이퍼로부터 다이를 단일화하기 전에 시험 및 작동될 수 있다.
웨이퍼 시험기의 종래 부품은 다수의 프로브(probe) 소자들이 접속된 프로브 카드로서, 상기 프로브 소자들의 팁은 반도체 다이들의 각각의 본드 패드에 가압 접속을 수행한다.
어떤 단점들은 본질적으로 반도체 다이를 프로빙(probing)하는 기술 상에 있다. 예를 들어, 현대의 집적 회로는 상호 밀접하게(예를 들어, 중심 대 중심이 5 mils) 배치된 수백의 본드 패드를 필요로 하는 수천의 저항 소자들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드 패드들의 배열은 다이의 외주에 밀접하게 배치된 단일 열의 본드 패드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453,583호 참조).
프로브 소자와 반도체 다이 사이에 신뢰성 있는 가압 접속을 수행하기 위해, 몇 개의 매개 변수를 중시하여야 하나, 그러한 매개 변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얼라인먼트, 프로브 힘, 오버드라이브, 접점력, 평형 접점력, 스크러브(scrub), 접점 저항 및 평면성. 이러한 매개 변수들의 논의 내용은 본문에서 참조로서 구체화되어 설명된 발명의 명칭이 고밀도 프로브 카드(HIGH DENSITY PROBE CARD)인 미국 특허 제4,837,622호에서 발견될 수 있고, 상기 특허는 프로브 소자의 미리 성형된 에폭시 링 배열부를 수용하도록 제조된 중심 개구를 구비한 단일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고밀도 에폭시 링 프로브 카드를 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의 프로브 카드 조립체는 프로브 카드의 표면으로부터 캔틸레버 형태로 연장된 다수의 텅스텐 바늘(needle)(프로브 소자)을 포함한다. 텅스텐 바늘은 전술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에폭시 링의 중간부에 의해 적절한 방식으로 프로브 카드에 장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떤 경우에, 바늘을 프로브 카드의 단자에 접속해 주는 분리되고 별개의 전선의 중간부를 통해 바늘은 프로브 카드의 단자에 연결된다.
프로브 카드는 전형적으로 원형 링으로 형성되고, 수백의 프로브 소자(바늘)들은 링의 내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그리고 프로브 카드의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회로 모듈 및 바람직하게는 동등한 길이의 전도성 트레이스(라인)는 프로브 소자의 각각과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링형 배열은 특히 각각의 반도체 다이의 본드 패드가 반도체 다이의 2개의 반대 모서리를 따라 2개의 선형 배열부 이외로 배열될 때에 다수의 비단일화된 반도체 다이(다수 영역)를 웨이퍼 상에 프로브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고, 어떤 경우에는 불가능하게 만들기도 한다.
본문에서 참조로서 구체적으로 설명되고 있고 발명의 명칭이 초고 핀 카운트를 이용한 시험하의 반도체 장치용 대규모 돌출 멤브레인(LARGE SCALE PROTRUSION MEMBRANE FOR SEMICONDUCTOR DEVICES UNDER TEST WITH VERY HIGH PIN COUNTS)인 미국 특허 출원 제5,422,57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웨이퍼 시험기들은 대안으로서 중심 접점 범프(프로브 소자) 영역을 갖는 프로브 멤브레인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특허에서 주지된 바와 같이, 시험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일련의 시험 프로그램을 실행 및 제어하는 시험 제어기와, 시험 준비 과정에서 웨이퍼를 기계적으로 처리 및 위치 선정하는 웨이퍼 분배 시스템과, 장치-언더-테스트(device-under-test, DUT)와 정확한 기계적 접점을 유지시키는 프로브 카드를 포함한다.(칼럼 1, 라인 41-46).
본문에서 참조로서 구체화되고 있고 반도체 장치를 시험하는 본 기술 분야를 나타내는 부가적인 참조예들로서 다음의 특허들이 포함된다 : 미국 특허 제5,442,282호(웨이퍼 상의 개개의 비단일화된 다이의 시험 및 실행); 제5,382,898호(전기 회로 시험용 고밀도 프로브 카드); 제5,378,982호(패널 접점부에 인접한 중첩된 보호 부재를 갖는 패널용 시험 프로브); 제5,339,027호(IC 시험 프로브로서 상승된 특징을 갖는 강성-가요성 회로); 제5,180,977호(멤브레인 프로브 접점 범프 컴플라이언시 시스템); 제5,066,907호(장치 및 회로 시험용 프로브 시스템); 제4,757,256호(고밀도 프로브 카드); 집적 회로 웨이퍼용 프로브 장치); 및 제3,990,689호(진공 척을 위치 설정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홀더 조립체).
대개, 전자 부품들 사이의 상호 접속은 비교적 영구적인 것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 등 두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비교적 영구적인 것의 일례로는 납땜 결합이 있다. 두개의 부품이 일단 납땜되면 이들 부품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납땜을 제거하는 공정을 사용해야 한다. 와이어 결합도 비교적 영구적인 접속의 일례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의 일례로는 하나의 전자 부품의 탄성 소켓 소자에 의해 수용되는 다른 하나의 전자 부품의 강성 핀이 있다. 소켓 소자는 전자 부품들 사이에 신뢰성 있는 전기 접속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접점력(압력)을 핀들 상에 작용시킨다.
전자 부품의 단자들과의 가압 접속을 이루기 위한 상호 접속 소자를 스프링 또는 스프링 소자라 한다. 일반적으로, 전자 부품(예를 들어, 전자 부품들 상의 단자)에의 신뢰성 있는 가압 접속을 수행하는 데에는 일정한 최소 접점력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접점 당 2 gram 이하이고 최대 150 gram 이상인) 약 15 gram의 접점력(하중)은 표면 상에 필름과 함께 오염되거나 표면 상에 부식 또는 산화물을 갖는 전자 부품의 단자에 신뢰성 있는 전기 접속부를 만드는 것을 보장하는 데 필요하다. 각 스프링에 요구되는 최소 접점력은 스프링 재료의 항복 강도 또는 스프링 소자의 크기가 증가될 것을 요한다. 일반적으로, 재료의 항복 강도가 높아질수록 그 작업(천공 및 절곡 등)이 어려워지게 된다. 대안으로서, 스프링을 소형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스프링들의 단면적을 크게 하여야 하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멤브레인 프로브의 접점 범프 이외의) 프로브 소자들은 본 발명과 특히 연관된 스프링 소자의 일종이다. 통상적으로 종래 기술의 프로브 소자들은 상대적으로 강성(고인장 강도)의 재료인 텅스텐으로 제조된다. 그러한 상대적으로 강성의 재료를 전자 부품의 단자에 장착하고자 할 때, 납땜과 같은 상대적으로 대항적인(hostile) (예를 들어, 고온) 공정이 요구된다. 그러한 대항적인 공정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와 같은 어떤 상대적으로 취약한(fragile) 전자 부품들의 한도 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반대로, 전선 접합은 상대적으로 친화성(friendly) 공정의 한 예로서, 취약한 전자 부품들에 손상을 가할 가능성이 납땜보다 훨씬 적다. 땜납(soldering)도 상대적으로 친화성 공정의 또 다른 예이다. 그러나, 땜납 및 금은 상대적으로 연성인(낮은 항복 강도인) 재료이어서 스프링 소자보다 더 잘 기능하지 못할 것이다.
스프링 접점부를 포함하는 상호 접속 소자와 관련된 난해한 문제점은 바로 전자 부품의 단자들이 종종 완전한 동일 평면 상에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공차(큰 비평면성)를 수용하기 위해 합체된 일부 기구가 부족한 상호 접속 소자는 전자 부품의 단자와 접촉하는 지속적인 접점 압력을 만들어 내기 위해 강하게 가압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어 합체된 이하의 미국 특허는 전자 소자에 대해 접속하는 것, 특히 가압 접속하는 것에 관한 일반적인 관심 사항인 것으로서 인용된다. 미국 특허 제5,386,344호(플렉스 회로 카드 탄성 중합체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 제5,336,380호(전기 커넥터 및 집적 회로 팩키지용 스프링 편의식 테이퍼형 접점 소자), 제5,317,479호[도금된 가요성 리드(lead)], 제5,086,337호(전자 부품의 접속 구조물 및 상기 구조물을 사용하는 전자 장치), 제5,067,007호(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에 장착하기 위한 리드를 갖는 반도체 장치), 제4,989,069호(지지체로부터 이탈한 도선을 갖는 반도체 팩키지), 제4,893,172호(전자 부품용 접속 구조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제4,793,814호(전기 회로 기판 상호 접속), 제4,777,564호[표면 장착형 소자들과 사용되는 리드폼(leadform)], 제4,764,848호(표면 장착형 어레이 변형 완화 장치), 제4,667,219호(반도체 칩 인터페이스), 제4,642,889호(가요성 상호 접속 및 그 제조 방법), 제4,330,165호(가압 접점식 상호 접속 커넥터), 제4,295,700호(상호 접속 커넥터),제4,067,104호(미세 전자 소자들을 결합시키는 가요성 금속 상호 접속부 어레이의 제조 방법), 제3,795,037호(전기 커넥터 장치), 제3,616,532호(다중 층 인쇄 회로 전기 상호 접속 장치), 및 제3,509,270호(인쇄 회로용 상호 접속부 및 그 제조 방법).
전술한 모출원에서, 전자 부품 상에 복합 상호 접속 소자들(탄성 접점 구성부, 스프링 소자)을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다수의 그러한 스프링 소자들이 필요한 경우에, 대부분의 다수 스프링 소자들 중 하나를 제외하고 (성공적으로 제조된) 항복에 대한 실패는 전체 부품에 (사용 불가능하거나 혹은 최상으로는 광범위한 재작업을 요구하는) 결함을 유발할 수도 있다.
더욱이, 예를 들어 한번 통과에서 전체 반도체 웨이퍼에 대한 시험을 제공하기 위해, 상당히 많은 스프링 접점부들을 대 기판(larger substrate) 영역 상에 제조하는 것이 요구되어지는 경우에, 상당히 많은 스프링 접점부들이 성공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적절한(예를 들어, 열 팽창 계수에 부합되는) 기판을 찾는 것이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전자 부품들 사이에 임시적인 가압 접속물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팩키징 전에, 바람직하게는 개개의 반도체 장치가 반도체 웨이퍼로부터 단일화되기(singulated) 전에 반도체 장치에 대한 시험 및 번-인(burn-in) 공정을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특허 출원은 1995년 5월 26일자 출원된 공동 소유의 출원 계속 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08/452,255호(상태: 출원 계속 중)(이하, 모출원이라 한다)의 일부 계속 출원이며, 상기 모출원은 1994년 11월 15일자 출원된 공동 소유의 출원 계속 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08/340,144호(상태: 출원 계속 중)와 이에 대응하는 1994년 11월 16일자 출원된 PCT 특허 출원 제PCT/US94/13373호(WO 95/14314로서 1995년 5월 26일자로 공개됨)의 일부 계속 출원이며, 상기 두 개의 출원 모두는 1993년 11월 16일자 출원된 공동 소유의 미국 특허 출원 제08/152,812호(1995년 12월 19일 미국 특허 제5,476,211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또한, 본 특허 출원은 공통 소유의 계속 중인 다음의 미국 특허 출원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1995년 9월 21일에 출원된 제08/526,246호 (PCT/US95/14843, 1995.11.13);
1995년 10월 18일에 출원된 제08/533,584호 (PCT/US95/14842, 1995.11.13);
1995년 11월 9일에 출원된 제08/554,902호 (PCT/US95/14844, 1995.11.13);
1995년 11월 15일에 출원된 제08/558,332호 (PCT/US95/14885, 1995.11.15);
1995년 12월 18일에 출원된 제08/573,945호;
1996년 1월 11일에 출원된 제08/584,981호;
1996년 2월 15일에 출원된 제08/602,179호;
1996년 2월 21일에 출원된 제60/012,027호;
1996년 2월 22일에 출원된 제60/012,040호;
1996년 3월 5일에 출원된 제60/012,878호;
1996년 3월 11일에 출원된 제60/013,247호; 및
1996년 5월 17일에 출원된 제60/005,189호.
모든 특허 출원은 전술된 모출원의 일부 계속 출원이며, 본문에 참조로서 기재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 제시된 측면도에서 그 일부분들은 도시의 명확성을 위해 종종 단면으로 제시된다. 예를 들어 많은 도면에서 와이어 스템(코어 소자)은 굵은 선으로 완전히 도시되고, 오버 코트는 (종종 빗금 없이) 실단면으로 도시된다.
여기 제시된 도면에서 특정 소자들의 크기는 도시의 명확성을 위해 (도면 중의 다른 소자들과 비교하여 척도가 맞지 않게) 종종 과장되었다.
도1A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상호 접속 소자의 일단을 포함하는 종방향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상호 접속 소자의 일단을 포함하는 종방향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상호 접속 소자의 일단을 포함하는 종방향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1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상호 접속 소자의 일단을 포함하는 종방향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1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상호 접속 소자의 일단을 포함하는 종방향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2A는 본 발명에 따라 전자 부품의 단자에 장착되고 다층 쉘을 갖는 복합 상호 접속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2B는 본 발명에 따라 중간층이 유전 재료로 되어 있는 다층 쉘을 갖는 복합 상호 접속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2C는 본 발명에 따라 복합 상호 접속 소자일 수 있는 전자 부품(프로브 카드 삽입체)에 장착된 다수개의 상호 접속 소자의 사시도이다.
도2D는 본 발명에 따라 만곡된 팁들을 구비한 상호 접속 소자를 제조하는 기법의 예시적 제1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E는 본 발명에 따라 상호 접속 소자를 제조하는 도2D의 기법의 예시적 부가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F는 본 발명에 따라 상호 접속 소자를 제조하는 도2E의 기법의 예시적 부가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G는 본 발명에 따라 도2D 내지 도2F의 기법에 따라 제조된 예시적인 다수의 개별 상호 접속 소자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H는 본 발명에 따라 도2D 내지 도2F의 기법에 따라 제조되고, 서로 소정의 공간 관계로 관련된 예시적인 다수의 상호 접속 소자들의 단면도이다.
도2I는 본 발명에 따라 한 소자의 한 단부를 도시하는, 상호 접속 소자 제조의 한 대체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인터포저 부품의 개략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공간 변환기 부품의 개략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프로브 카드 조립체의 단면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5A는 본 발명에 따라 도5의 프로브 카드 조립체 내에서 이용되기에 적합한 공간 변환기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5B는 본 발명에 따라 도5의 프로브 카드 조립체 내에서 이용되기에 적합한 또 다른 공간 변환기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부품의 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6A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타일 부품들을 공간 변환기 부품(대 기판)에 장착하는 기술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라 반도체 웨이퍼와 같은 전자 부품처럼 대 기판에 하나 이상의 타일 부품을 도포하는 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8A은 본 발명에 따라 타일 부품을 제조하는 기술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8B은 본 발명에 따라 도8A의 기술에서 부가적인 단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8C 및 도8D는 본 발명에 따라 상호 접속 소자의 팁들에 나중에 장착되는 팁-구성물이 마련된 희생 기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8E는 본 발명에 따라 타일 희생 부품들을 제조하는 또 다른 기술의 전체 중 일부를 부분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8F는 본 발명에 따라 도8C 내지 도8D의 미리 제조된 팁 구조물과 합체된 도8C의 타일 부품의 전체 중 일부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8G은 본 발명에 따라 도8D의 타일 부품 상의 스프링 소자들에 팁 구조물을 결합하는 부가 단계의 전체 중에 일부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9A은 본 발명에 따라 대 기판과 적절하게 정렬된 다수의 타일 기판을 유지하는 기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9B은 본 발명에 따라 대 기판과 적절하게 정렬된 다수의 타일 기판을 유지하는 또 다른 기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9C은 본 발명에 따라 대 기판과 적절하게 정렬된 다수의 타일 기판을 유지하는 또 다른 기술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9D는 본 발명에 따라 대 기판과 적절하게 정렬된 다수의 타일 기판을 유지하는 또 다른 기술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0A은 본 발명에 따라 특히 프로브 소자를 위한 스프링 접점 캐리어(타일)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0B은 본 발명에 따라 도10A의 타일의 단면도이다.
도10C은 본 발명에 따라 특히 프로브 소자를 위한 스프링 접점 캐리어(타일)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10D는 본 발명에 따라 특히 프로브 소자를 위한 스프링 접점 캐리어(타일)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10E는 본 발명에 따라 특히 프로브 소자를 위한 스프링 접점 캐리어(타일)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11A는 본 발명에 따라 웨이퍼 레벨 번-인을 수행하는 기술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1B는 본 발명에 따라 웨이퍼 레벨 번-인을 수행하는 기술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1C는 본 발명에 따라 웨이퍼 레벨 번-인을 수행하는 기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2A는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타일을 대 기판(예를 들어, 본 발명의 프로브 카드 조립체의 공간 변환기)에 장착하는 한 기술을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a) (예를 들어, 반도체 웨이퍼와 같은 프로빙된 바람직한 부품에 부합되도록) 이러한 조립체의 전체 열 팽창 계수를 변경하는 것과, (b) (본 발명의 프로브 카드 조립체의 인터포저와 같이) 대 기판에 접속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12B는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타일을 대 기판(예를 들어, 본 발명의 프로브 카드 조립체의 공간 변환기)에 장착하는 다른 기술을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a) (예를 들어, 반도체 웨이퍼와 같은 프로빙된 바람직한 부품에 부합되도록) 이러한 조립체의 전체 열 팽창 계수를 변경하는 것과, (b) (본 발명의 프로브 카드 조립체의 인터포저와 같이) 대 기판에 접속하는 것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간단한 설명(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브 카드와 같이 큰 영역을 커버하고 (성공적으로 제조된) 프로브 소자의 항복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피하면서 전자 부품 상에 다수의 프로브 소자들, 특히 전자 부품 상에 바로 장착된 스프링 소자인 프로브 소자들을 장착하는 개선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 부품 상에 스프링 접점부를 제조하는 데 발생하는 문제점(예를 들어, 항복)을 해결하면서 공간 변환기 및 반도체 장치와 같은 전자 부품에 스프링 접점부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 접점부와 같은 프로브 소자들은 개개의 스프링 접점 캐리어(타일, tile) 상에 미리 제조된다. 다수의 이러한 타일들은 상호 한정된 관계로, 양호하게는 스프링 접점부들의 팁이 상호 동일 평면에 있도록 (공간 변환기 기판 또는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다른 부품에 장착된다. 타일 기판은 비교적 저렴하고 스프링 접점부를 항복시키도록 전도성이다. 타일의 반대 면 상의 단자들은 땜납, z-축 전도성 접착 등에 의해 공간 변환기 또는 하나 이상의 반도체 장치(비단일화된 반도에 장치들을 포함함)와 같은 전자 부품의 단자들에 접합된다.
스프링 접점부들은 양호하게는 복합 상호 접속 소자들이다. 그러나, 어떤 적합한 스프링 접점이 단일(monolithic) 스프링 접점부 및 멤브레인 프로브 섹션과 같은 본 발명의 방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문에 사용된 바와 같이, 프로브 소자(probe element)라는 용어는 한 전자 부품(예를 들어, 반도체 웨이퍼 상에 위치한 비단일화 반도체 다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다이)의 단자(예를 들어, 단자 패드)들에 가압 접속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복합 상호 접속 소자, 스프링 접점부, 스프링 소자, 접점 범프 등과 같은 어떤 임의의 소자를 포함한다.
본문에 사용된 바와 같이, 타일(tile)이라는 용어는 표면 상에 프로브 소자들을 구비한 어떤 부품을 포함하며, (양호하게는 동일한) 다수의 타일들이 대 기판에 장착될 수 있어서 대 기판 상에 직접 상기 프로브 소자들을 제조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본문에 사용된 바와 같이, 타일 기판(tile substrate)이라는 용어는 프레임(예를 들어, 1002, 1002a, 1002b, 1002c) 뿐만 아니라 고상 기판(예를 들어, 602, 902, 922, 942, 962) 등을 포함한다.
본문에 사용된 바와 같이, 대 기판(a larger substrate)은 다수의 타일들이 그 표면에 장착될 수 있는 기판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4개의 타일들이 대 기판에 장착되고, 대 기판의 표면 영역은 개개의 타일의 표면 영역보다 적어도 4배의 영역을 갖는다. 이것은 특히 프로브 카드 조립체의 공간 변환기(space transformer)를 포함한다.
본문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파크(spark)는 전기 방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그러한 다수의 타일들은 웨이퍼 레벨 (다수 영역)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브 카드 조립체의 단일 공간 변환기 부품에 부착 및 연결될 수 있고, 전체 반도체 웨이퍼들은 반도체 웨이퍼 상에 위치한 반도체 장치들의 다수의 본드 패드(단자)들과 다수의 프로브 소자들 사이에 동시 가압 접속을 행함에 의해 번-인 및/또는 시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타일들은 단일 층 기판일 수 있고, 또는 상당한 공간 변환을 수행하는 다중 층 기판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표면 상에 제조된 스프링 접점 소자들을 갖는 다수의 타일들은 세라믹 웨이퍼와 같은 단일의 저렴한 기판으로 제조될 수 있고, 그 이후에 공간 변환기의 표면 또는 반도체 웨이퍼 또는 다른 전자 부품의 표면에 개별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양호하게는 동일한 다수의 분리형 타일들로 다이스(dice)된다.
본 발명의 한 일면에 의하면, 장착된 전자 부품의 대응 표면에 하나 이상의 타일의 자동 정렬성을 고양시키기 위해, 전자 부품 및 타일(들)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땜납 가능한 특징부들이 제공되며, 상기 특징부들은 땜납이 그 사이에 제공되고 역류 가열 중에 타일 기판의 자동 정렬을 수행하는 상승된 운동량을 전자 부품에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이점은 반도체 웨이퍼로부터의 단일화 이후 또는 이전에 타일들이 활성 장치를 갖는 완전히 정주된(populated) C4 다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 접점 소자들은 반도체 장치에 용이하게 장착되고, 스프링 접점 소자들을 반도체 장치 상에 바로 제조하는 단점을 해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스프링 소자들이 제조되는 타일들이 스프링 소자들의 반대면 상에 땜납 범프를 구비한 실재의 C4 팩키지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타일들은 역류 가열에 의해 전자 부품(예를 들어, 공간 변환기, 반도체 웨이퍼 등)의 표면에 장착될 수 있다.
스프링 소자를 전자 부품의 표면 상에 직접 제조하기 보다는 타일을 이용하는 기술에 대한 이점은 부착/접속된 하나 이상의 타일들 중 선택된 것들을 단순히 교체함으로써 전자 부품이 용이하게 재작업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대 기판을 집적하도록 타일을 이용하는 데 적용될 수 있고, 타일 상의 프로브 소자는 멤브레인 프로브 내에 설치된 접점식 범프 유형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의하면, 전술한 방식으로 장착된 스프링 접점 소자를 갖는 반도체 장치는 스프링 접점 소자들의 팁과 (압력 접점에 의해) 결합하도록 배열된 단자(패드)들을 구비한 인쇄 회로 기판(PCB)과 같이 단순한 시험 고정물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시험 및/또는 번-인된다.
타일이 장착된 공간 변환기 기판은 상부면, 하부면 및 상부면 상의 다수의 단자를 구비한 프로브 카드(전자 부품)와, 상부면, 하부면, 하부면 상의 단자로부터 연장된 제1 다수의 탄성 접점 구조물 및 상부면 상의 단자로부터 연장된 제2 다수의 접점 구조물을 구비한 인터포저(전자 부품)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 조립체의 한 부품으로서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인터포저는 공동 소유로 계속 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08//554,90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 카드 및 공간 변환기 사이에 위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설명 전체를 통하여 복합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그 용어의 포괄적 의미(예를 들면, 2개 이상의 부재로 이루어짐)와 동일하고, 다른 분야에서 복합 단어의 어떠한 사용, 예를 들면, 글라스, 카본 또는 수지 등의 매트릭스에 지지된 다른 섬유와 같은 재료에 적용되는 것과 혼동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인 스프링 형상은 긴 소자의 단부(선단부)가 이 선단부에 작용된 힘에 대하여 탄성(복원) 이동을 나타내게 되는 긴 소자의 임의의 형상을 의미한다. 이는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갖는 형상의 긴 소자 및 실질적으로 직선형인 긴 소자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것으로, 용어 접점 영역, 단자, 패드 등은 상호 접속 소자가 장착되거나 또는 접촉하는 어떠한 전자 부품 상의 어떤 도전 영역을 언급한다.
또한, 코어 소자는 전자 부품에 장착하기 전에 형상화된다.
또한, 코어 소자는 전자 부품이 아닌 희생 기층에 장착되거나 또는 일부이다. 상기 희생 기층은 성형 후 그리고 오버코팅 전 또는 후에 제거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다양한 거친 표면 마무리를 갖는 선단들이 상호 접속 소자의 접점 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또한, 모출원의 도11A 내지 11F 참조).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코어는 비교적 낮은 항복 강도를 갖는 연질 재료로 되고, 비교적 높은 항복 강도를 갖는 경질 재료로 오버코팅된다. 예를 들어, 금 와이어 등의 연질 재료가 (와이어 결합 등에 의해) 전자 부품의 단자에 부착되며, (전기화학 도금 등에 의해) 니켈 및 그 합금 등의 경질 재료로 오버코팅된다.
코어 대면 오버코팅, 단일 및 다층 오버코팅, 미세 돌기를 갖는 거친 오버코팅(모출원의 도5C 및 도5D 참조) 및 코어의 전체 길이 또는 일부만에 걸친 오버코팅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코어의 전체 길이 또는 일부만을 오버코팅하는 경우에, 코어의 선단부는 전자 부품에의 접속부를 만들기 위해 적절하게 노출될 수도 있다 (모출원의 도5B 참조).
일반적으로, 여기에 기재된 내용 중에서 도금은 코어를 오버코팅하기 위한 여러 방법 중 일례로 사용된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수용액으로부터 재료의 침전, 전해 도금, 무전해 도금, 화학 증착(CVD), 물리적 증착(PVD), 액체, 고체 또는 기체의 분리를 일으키는 공정 및 재료를 침전시키는 공지의 모든 방법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공정에 의해 코어를 오버코팅 할 수 있다.
대개, 니켈 등의 금속 재료로 코어를 오버코팅하기 위해서는 전기화학 공정, 특히 전해 도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코어는 근본적으로 스프링 소자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 경질 재료로 된 긴 소자이며, 일단에서 전자 부품의 단자에 장착된다. 코어 및 단자의 적어도 하나의 인접 영역은 코어를 단자에 고정하는 것을 도와주게 되는 재료로 오버코팅된다. 이 방식에서, 코어가 오버코팅 전에 단자에 양호하게 장착될 필요가 없으며, 전자 부품에 실질적으로 손상을 덜 미치는 공정이 후속 오버코팅을 위해 코어를 제위치에 고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친화성 공정은 납땜, 접착제 접착 및 경질 코어의 일단을 단자의 연질 부분에 관통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코어는 전서 형태이다. 대안으로서, 코어는 평평한 탭(전도성 금속 리본)이다.
코어 및 오버코팅용 재료로서 대표적인 것들이 설명된다.
주로 다음에는, 일반적으로 매우 작은 치수[예를 들어, 0.0762 mm(3.0 mil) 이하]인 비교적 연질인 (낮은 항복 강도) 코어로 실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반도체 장치에 용이하게 부착되는 금 등의 연질 재료는 스프링으로서 기능하기에 충분한 탄성을 갖는다. (이러한 연질 금속 재료는 탄성 변형보다는 주로 소성을 나타낸다.) 반도체 장치에 용이하게 부착되고 적절한 복원성을 갖는 다른 연성 재료는 대부분의 탄성 중합체 재료의 경우에서처럼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을 나타낸다. 양 경우에, 필요로 하는 구조 및 전기적 특성은 코어 위에 도포된 오버코팅에 의해 복합 상호 접속 소자에 부과될 수 있다. 복합 접속 소자는 적절한 접점력을 나타내면서도 매우 작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상기 복합 접속 소자는 인접한 복합 접속 소자로의 거리(인접하는 접속 소자들 사이의 거리를 피치라고 한다.)보다 매우 더 큰 길이[예를 들어, 2.54 mm(100 mil)]를 갖더라도 미세 피치[예를 들어, 0.254 mm(10 mil)]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복합 상호 접속 소자는 25 ㎛ 이하의 단면 치수를 갖는 커넥터 및 소켓용의 예를 들어 초소형 스프링으로서 초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는 밀(mil)보다는 미크론(micron)으로 측정된 치수를 갖는 신뢰성 있는 상호 접속 소자를 제조할 수 있게 해주며, 상호 접속 방법 및 더 나아가서는 영역 어레이 방법에서의 필요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복합 상호 접속 소자는 전도성, 납땜성, 및 낮은 저항을 포함하여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많은 경우에, 작용된 힘에 반응하는 상호 접속 소자의 변형은 와이핑 접점을 일으키며, 이는 신뢰성 있는 접속을 이루는 것을 도와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본 발명의 상호 접속 소자로 만들어진 접속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자 부품의 단자에 상호 접속부를 만들기 위해 납땜하는 것은 선택적인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시스템 수준에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제어식 임피던스를 갖는 상호 접속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방법은 전도성 코어 또는 전체 복합 상호 접속 소자를 유전 재료(절연층)로 코팅(예를 들어, 전기 영동 코팅)하고, 유전체 재료를 전도성 재료의 외부 층으로 오버코팅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외부 전도성 재료층을 접지함으로써 상호 접속 소자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고 그 임피던스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모출원의 도10K 참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상호 접속 소자는 전자 부품에의 후속 부착을 위하여 개개의 유니트로서 미리 제조할 수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특별히 기재되지는 않았으나 이는 다수개의 개개의 상호 접속 소자를 기층에 장착하거나 다수개의 개개의 상호 접속 소자를 탄성 중합체 또는 지지 기층 상에 현수하기 위하여 취급하게 되는 기계를 제조하도록 비교적 직선형을 취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상호 접속 소자는 도전 특성을 증진시키고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도록 코팅되는 종래 방법의 상호 접속 소자와는 매우 다름이 명백히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오버코팅은 특히 상호 접속 소자를 전자 부품의 단자에 고정하는 것을 증진시키고 그리고/또는 필요로 하는 탄성 특성을 복합 상호 접속 소자에 부과하기 위한 것이다. 응력(접점력)은 이 응력을 흡수하도록 된 상호 접속 소자의 부분들에 안내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 구조를 제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스프링의 작동식 구조는 절곡 및 형상 작업보다는 도금에 의한 제품이다. 이는 스프링 형상을 형성하는 데 여러 재료를 사용하고 코어의 비계를 전자 부품에 부착하기 위해 친화성 공정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오버코팅은 코어의 비계 위에 상부 구조로서 기능하며, 이들 두가지 용어는 원래는 토목 공학 분야에 사용되는 용어이다.
본 발명의 한 일면에 의하면, 탄성 접점 구조물은 적어도 2개의 복합 상호 접속 소자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히 유용하게 응용되는 것은 다수의 스프링 접점 소자를 전자 부품의 시험 가능한 영역에 프로빙하는(전기 접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것은 다수의 접점 캐리어(타일 기판)를 대 기판에 정주(장착 및 접속)시키고 대 기판 및 전자 부품을 서로를 향해 가압함으로써 타일 기판의 표면에서 연장된 스프링 접점 소자들이 전자 부품의 시험 가능한 영역 상의 대응 단자와 접점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전자 부품은 반도체 웨이퍼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시험 가능한 영역은 반도체 웨이퍼 상의 다수의 다이 사이트(site)가 된다. 갑자기 다수의 다이 사이트와 접촉하게 되는 모든 스프링 접점부의 성능은 웨이퍼-레벨 번-인과 같은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 전자 부품이 즉시 접점될 필요는 없다. 적어도 전자 부품의 반도와 같이 실질적인 부분만이 즉시 접점될 때에 이점이 발생된다. 또한, 전자 부품은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PCB)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패널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후의 설명에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공동 소유로 계속 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08/554,902호는 프로브 카드 조립체, 그 부품 및 이들을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전자 부품의 단자들에 압력 접점을 수행하는 탄성 접점 구조물을 이용하는 것을 필수적이다. 탄성 접점 구조물(스프링 소자, 스프링 접점부, 프로브 소자)은 본문에서 참조로서 구체화되고 있고 공동 소유로 계속 중인 1995년 5월 26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08/452,255호(모출원)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복합 상호 접속 소자로서 적절하게 이용되고, 그러나 (고 항복 강도 재료의 오버코팅에 대한 필요 없이도) 본질적으로 고 항복 강도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복합에 반대되는) 단일 스프링 소자들일 수도 있다.
다음의 기술 내용은 도1A 내지 도1E 및 도2A 내지 도2I의 개시 내용에서 모출원에서 개시된 다수의 기술을 요약하여 개시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일면은, (단일에 반대되는) 복합 상호 접속 소자가 (전자 부품의 단자에 장착되는) 코어로 개시하고, 그 후에 (1) 복합 상호 접속 소자의 기계적 특성을 이루도록 그리고/또는 (2) 상호 접속 소자가 전자 부품의 단자에 장착될 때 상호 접속 소자를 단자에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코어를 적절한 재료로 오버코팅 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방식으로, 스프링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되고 전자 부품의 가장 취약한 부분에도 용이하게 부착되는 연질 재료의 코어로 개시함으로써 탄성 상호 접속 소자(스프링)를 제조할 수 있다. 연질 재료가 스프링 소자의 기부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은 경질 재료로부터 스프링 소자를 형성하는 종래 기술의 방법에서는 쉽게 발견할 수 없고 직관적으로도 알 수 없다. 이와 같은 복합 상호 접속 소자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탄성 접점 구조의 양호한 형태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프링 접점부는 복합보다는 오히려 단일 형태일 수도 있다.
도1A, 도1B, 도1C 및 도1D는 일반적인 방식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상호 접속 소자의 여러 형상을 도시한다.
주로, 이후에는 탄성을 나타내는 복합 상호 접속 소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그러나, 비탄성 복합 상호 접속 소자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경질(스프링) 재료에 의해 오버코팅된 (용이하게 형상을 형성할 수 있고 친화성 공정에 의해 전자 부품에 부착할 수 있는) 연질 코어를 갖는 복합 상호 접속 소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코어는 경질 재료로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오버코팅은 주로 상호 접속 소자를 전자 부품의 단자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도1A에서 전기적 상호 접속 소자(110)는 2,812 kg/cm2(40,000 psi) 미만인 항복 강도를 갖는 연질 재료로 된 코어(112)와, 5,624 kg/cm2(80,000 psi)를 초과하는 항복 강도를 갖는 경질 재료로 된 쉘(114)을 포함한다. 코어(112)는 실질적으로 직선형인 캔틸레버 비임과 같은 형상(외형)을 취하는 긴 소자이며, 0.00127 - 0.00762 cm (0.0005 - 0.0030 inch), [0.001 inch = 1 mil ≒ 25 micron(㎛)]의 직경을 갖는 와이어로 될 수도 있다. 쉘(114)은 적절한 도금 공정(예를 들어, 전기화학 도금) 등의 적절한 공정에 의해 미리 형성된 코어(112) 위에 도포된다.
도1A은 본 발명의 상호 접속 소자용 스프링 형상의 간단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 직선형 캔틸레버 비임은 그 선단부(110b)에 작용된 힘(F)에 대하여 각을 이루고 위치하여 있다. 이러한 힘이 상호 접속 소자가 가압 접점을 이루게 되는 전자 부품의 단자에 의해 작용될 때 선단부의 하향 편향(도면에서 보았을 때)은 단자를 가로질러 이동하는 선단부(와이핑 이동)에서 확연히 나타난다. 이러한 와이핑 접점은 상호 접속 소자와 전자 부품의 접점된 단자 사이에서의 접속을 신뢰성 있게 해준다.
쉘(114)은 자체의 경도 및 그 두께(0.00064 - 0.0127 cm (0.00025 - 0.00500 inch))를 제어함으로써 전체 상호 접속 소자(110)에 소정의 탄성을 부과한다. 이 방식에서, 전자 부품(도시 생략)들 사이의 탄성 상호 접속 소자는 상호 접속 소자(110)의 두개의 단자(110a, 110b) 사이에 형성된다. (도1A에서, 부호 110a는 상호 접속 소자(110)의 단부 부분을 나타내고, 단부(110b)의 반대쪽 단부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전자 부품의 단자를 접속시킬 때 상호 접속 소자(110)는 화살표(F)로 도시된 것처럼 접점력(압력)을 받게 된다.
상호 접속 소자(예를 들어 110)는 작용된 접점력에 반응하여 편향하게 되고, 이 편향(탄성)은 상호 접속 소자의 전체 형상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정되고 오버코팅 재료의 (코어에 대하여) 우수한(높은) 항복 강도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정되며 오버코팅 재료의 두께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여기 사용된 용어 캔틸레버 및 캔틸레버 비임은 [예를 들어 오버코팅된 코어(112)와 같은] 신장된 구조가 한 단부에 장착(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통상적으로 신장된 소자의 종축에 대체로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응답하여 자유로이 이동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이 용어들의 사용에 의해 다른 특정한 또는 제한적 의미가 부여되는 것은 아니다.
도1B에서 전기적 상호 접속 소자(120)는 연질 코어(122) 및 경질 쉘(124)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코어(122)는 두개의 절곡부를 갖는 형상을 취하고, 따라서 S형을 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1A의 실시예에서처럼 이 방식에서도 전자 부품(도시 생략)들 사이의 탄성 상호 접속 소자는 상호 접속 소자(120)의 두개의 단부(120a, 120b)들 사이에 형성된다. (도1B에서, 부호 120a는 상호 접속 소자(120)의 단부 부분을 나타내고, 단부(120b)의 반대쪽 단부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전자 부품의 단자를 접속시킬 때 상호 접속 소자(120)는 화살표(F)로 도시된 것처럼 접점력(압력)을 받게 된다.
도1C에서 전기적 상호 접속 소자(130)는 연질 코어(132) 및 경질 쉘(134)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코어(132)는 하나의 절곡부를 갖는 형상을 취하고, 따라서 U형을 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1A의 실시예에서처럼 이 방식에서도 전자 부품(도시 생략)들 사이의 탄성 상호 접속 소자는 상호 접속 소자(130)의 두개의 단부(130a, 130b)들 사이에 형성된다. (도1C에서, 부호 130a는 상호 접속 소자(130)의 단부 부분을 나타내고, 단부(130b)의 반대쪽 단부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전자 부품의 단자를 접속시킬 때 상호 접속 소자(130)는 화살표(F)로 도시된 것처럼 접점력(압력)을 받게 된다. 이와 달리, 상호 접속 소자(130)는 화살표(F')로 도시된 것처럼 그 단부(130b)가 아닌 다른 위치에 접속부를 형성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다.
도1D는 연질 코어(142) 및 경질 쉘(144)을 갖는 탄성 상호 접속 소자(14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호 접속 소자(140)는 자체의 종축을 가로지르는 접점력(F)을 받는 만곡 선단부(140b)를 갖춘 간단한 캔틸레버(도1A와는 다름)를 반드시 포함한다.
도1E는 연질 코어(152) 및 경질 쉘(154)을 갖는 탄성 상호 접속 소자(15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호 접속 소자(150)는 약간 만곡된 선단부(150b)를 갖춘 C형을 취하고 화살표(F)로 도시된 것처럼 가압 접속부를 만드는 데 적합하다.
연질 코어는 임의의 스프링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데, 즉 상기 형상은 선단부에 작용된 힘에 반응하여 탄성적으로 편향되는 상호 접속 소자를 형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코어는 종래의 코일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코일 형상은 상호 접속 소자의 전체 길이 및 이와 관련한 인덕턴스 등에 기인하여 고주파수(속도)에서 작동하는 회로에서는 나쁜 영향을 미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쉘의 재료 또는 다층 쉘(나중에 설명함) 중 적어도 하나의 재료는 코어의 재료보다 현저하게 높은 항복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쉘은 상호 접속 구조의 기계적 특성(예를 들어, 탄성)을 이루는 데 영향을 미친다. 쉘 대 코어의 항복 강도의 비는 적어도 3:1, 5:1, 가장 높게는 10:1을 포함하여 바람직하게는 2:1 이상이다. 이는 쉘 또는 다층 쉘의 적어도 외층이 전도성을 갖는 것이 확실하며, 이는 쉘이 코어의 단부를 덮는 경우에 더욱 확연하다. (그러나, 모출원의 경우에는 코어의 단부가 노출되고 코어가 전도성을 가져야 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학술적인 관점에서, 경질 재료로 오버코팅되는 복합 상호 접속 소자의 스프링(형상) 부분만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오버코팅될 코어의 두개의 단부들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전체 코어를 오버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부품에 고정(부착)되는 코어의 단부를 오버코팅 함에 따른 특별한 이유 및 이점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코어(112, 122, 132, 142)에 적합한 재료는 금, 알루미늄, 구리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들 재료는 필요로 하는 물리적 특성을 얻기 위하여 베릴륨, 카드뮴, 실리콘 및 마그네슘 등의 다른 금속을 적은 양으로 갖는 합금이다. 또한, 백금 군으로 된 금속 등의 은, 팔라듐, 백금 또는 그 합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납, 주석, 인듐, 비스무스, 카드뮴, 안티몬 및 이들의 합금을 사용하여 땜납을 형성할 수도 있다.
코어를 전자 부품의 단자에 대면 부착(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함)함으로써 결합을 위해 (절곡을 수행하는 온도, 압력 및/또는 초음파 에너지를 사용하는) 절곡 가능한 임의의 재료로 된 와이어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적합하다. 오버코팅(예를 들어, 도금)하도록 비금속 재료를 포함하여 절곡 가능한 임의의 재료를 코어에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쉘(114, 124, 134, 144)에 적합한 재료(및 나중에 설명하는 것처럼 다층 쉘의 개개의 층에 적합한 재료)는 니켈 및 그 합금, 구리, 코발트, 철 및 그 합금, 우수한 전류 반송 능력 및 양호한 접점 저항 특성을 나타내는 금(특히, 경질 금) 및 은, 백금 군의 소자, 희귀 금속, 반희귀 금속 및 그 합금, 특히 백금 군의 소자 및 그 합금, 텅스텐 및 몰리브덴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납땜형 마무리부가 필요한 경우에는 주석, 납, 비스무스, 인듐 및 이들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여러 코어 재료 위에 상기 코팅 재료를 도포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방법은 나중에 설명하는 것처럼 매 경우마다 다르다. 전해 도금 및 무전해 도금은 일반적으로 양호한 방법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금 코어 상에 도금하는 것이 직관에 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금 코어 위에 니켈 쉘을 도금(특히, 전해 도금)할 때에는 도금 개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금 와이어 스템 위에 얇은 구리 개시 층을 먼저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A 내지 도1E에 도시된 것처럼 예시적인 상호 접속 소자는 약 0.00254 cm (0.001 inch)의 코어 직경 및 0.00254 cm (0.001 inch)의 쉘 두께를 가지며, 따라서 상호 접속 소자는 약 0.00762 cm (0.003 inch; 즉, 코어 직경 + 쉘 두께의 2배)의 전체 직경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상기 쉘의 두께는 코어 두께(직경)의 0.2 - 5.0배로 된다.
복합 상호 접속 소자의 몇몇 파라미터의 예는 다음과 같다.
(a) 0.0381 mm(1.5 mil)의 직경을 갖는 금 와이어는 전체 1.016 mm(40 mil)의 높이를 갖고 0.2286 mm(9 mil)의 반경으로 된 C형 곡선(도1E와 다름)을 갖는 형상을 취하며, 0.01905 mm(0.75 mil)의 두께로 니켈 도금되고(전체 직경 = 1.5 + 2 × 0.75 = 3 mil), (접점 저항을 낮추고 증진시키도록) 50 마이크로인치 두께로 금으로 된 최종 오버코팅을 선택적으로 수용한다. 이렇게 형성된 복합 상호 접속 소자는 약 3 - 5 gram/mil의 스프링 상수(k)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용어 스프링 상수는 단위 변형당 힘을 의미한다.) 사용 시에, 3 - 5 mil의 편향량은 9 - 25 gram의 접점력을 일으킨다. 이 실시예는 인터포저용 스프링 소자의 경우에 유용하다.
(b) 0.0254 mm(1.0 mil)의 직경을 갖는 금 와이어는 전체 35 mil의 높이를 갖고 만곡 캔틸레버 형상을 취하며, 0.03175 mm(1.25 mil)의 두께로 니켈 도금되고(전체 직경 = 1.0 + 2 × 1.25 = 3.5 mil), 50 마이크로인치 두께로 금으로 된 최종 오버코팅을 선택적으로 수용한다. 이렇게 형성된 복합 상호 접속 소자는 약 3 gram/mil의 스프링 상수(k)를 나타내고, 프로브용 스프링 소자의 경우에 유용하다.
다음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코어 소자는 둥근 단면을 가질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시트로부터 연장되는 (장방형 단면을 갖는) 평평한 탭(리본)으로 될 수도 있다. 본문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탭(tab)은 TAB(Tape Automated Bonding)과는 다른 용어이다.
또한, 전선 스템의 단면은 직사각형 또는 다른 비원형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것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다층 쉘
도2A는 단자(214)를 갖춘 전자 부품(212)에 장착된 상호 접속 소자(210)의 구체적인 예(200)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연질(예를 들어, 금) 와이어 코어(216)는 일단에서 단자(214)에 결합(부착)되고, 단자로부터 연장되고 스프링 형상(도1B에 도시된 형상과 다름)을 취하고, 자유단(216b)을 갖도록 절단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와이어를 결합, 형상 형성 및 절단하는 것은 와이어 결합 설비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코어의 단부(216b)에서의 결합으로 단자(214)의 노출된 표면의 비교적 작은 부분만 덮게 된다.
쉘(오버코트)은 이 실시예에서는 다층으로 되고 도금 공정에 의해 적절하게 도포되는 내층(218) 및 외층(220)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 와이어 코어(216) 위에 배치된다. 다층 쉘의 하나 이상의 층들은 필요로 하는 탄성을 상호 접속 소자(210)에 부과하도록 경질 재료(예를 들어, 니켈 및 그 합금)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외층(220)은 경질 재료로 되고, 내층은 코어 재료(216) 상에 경질 재료(220)를 도금하면 버퍼 또는 차단층(또는 활성층 또는 접착층)으로서 작용하는 재료로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내층(218)은 경질 재료로 될 수 있고, 외층(220)은 전도성 및 납땜성을 포함하여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재료(예를 들어, 연질 금)로 될 수 있다. 납땜 또는 납땜형 접속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호 접속 소자의 외층을 납-주석 땜납 또는 금-주석 납땜 재료로 각각 될 수 있다.
단자에의 고정
도2A는 일반적인 방식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핵심 특징을 도시한 것으로, 탄성 상호 접속 소자가 전자 부품 상의 단자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상호 접속 소자의 부착단(210a)은 현저한 기계식 응력을 받게 되어 상호 접속 소자의 자유단(210b)에 작용된 압축력(F)을 일으킨다.
도2A에 도시된 것처럼 오버코팅(218, 219)은 코어(216)를 덮으며, 연속(비중단) 방식으로 코어(216)에 인접한 단자(214)의 전체 잔여 노출면(즉, 결합부(216a) 이외의 부분)도 덮는다. 이는 상호 접속 소자(220)를 단자에 견고하고 신뢰성 있게 고정하며, 오버코팅 재료는 상호 접속 소자를 단자에 고정하는 데 (예를 들어, 50% 이상) 기여한다. 일반적으로, 오버코팅 재료는 코어에 인접한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것만 요구된다. 그러나, 오버코팅 재료는 단자의 전체 잔여면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쉘의 각층은 금속성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코어가 단자에 부착(결합)되게 되는 비교적 작은 영역은 상호 접속 소자 상에 부과된 접점력(F)으로부터 일어나는 응력을 수용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 (단자에의 코어단(216a) 부착부를 포함하는 비교적 작은 영역 이외의) 단자의 전체 노출된 표면을 덮는 쉘에 의해 전체 상호 접속 구조는 단자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오버코팅의 부착 강도 및 접점력에 반응하는 능력은 코어단 자체에서의 능력에 비해 매우 우수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인 전자 부품(예를 들어, 212)은, 상호 접속 및 인터포저 기층, 실리콘(Si) 또는 갈륨 아르센나이드(GaAs) 등의 임의의 적절한 반도체 재료로 된 반도체 웨이퍼 및 다이, 상호 접속 소켓, 테스트 소켓, 희생 부재, 모출원에 기재된 것과 같은 소자 및 기층, 세라믹 및 플라스틱 팩키지와 칩 캐리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팩키지, 커넥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상호 접속 소자는 다음 용도에 특히 적합하다.
- 반도체 팩키지를 가질 필요성이 없이 실리콘 다이에 직접 장착된 상호 접속 소자,
- 전자 부품을 시험하기 위해 기층으로부터 프로브로서 연장되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함) 상호 접속 소자,
- 인터포저의 상호 접속 소자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함).
본 발명의 상호 접속 소자는 독특한 것으로, 경질 재료에서의 전형적인 나쁜 결합 특성에 의한 제한을 갖지 않고 경질 재료의 기계적 특성(예를 들어 높은 항복 강도)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모출원에 기재되어 있는 것처럼 이는 쉘(오버코팅)이 코어의 폴스워크 위에 중첩되는 구조로서 기능할 가능성을 제공하며, 상기 두 용어는 토목 공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이다. 이는 도금이 보호성(예를 들어, 내식성) 코팅으로서 사용되고 상호 접속 소자에 소정의 기계적 특성을 부과할 수 없었던 종래 기술로 도금된 상호 접속 소자와는 매우 다르다.
본 발명의 여러 이점 중에서, 다수개의 자유 직립형 상호 접속 구조는 이들의 자유단들이 서로 공통 평면에 위치하도록 기층 위의 공통 높이와는 다른 높이에서 분리 커패시터를 갖는 PCB 등의 기층 상에 용이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호 접속 소자의 전기적·기계적 특성(예를 들어, 소성 및 탄성)은 특별한 용도에서 쉽게 얻어진다. 예를 들어, 소정 용도에서는 상호 접속 소자가 소성 및 탄성 변형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성 변형은 상호 접속 소자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부품들을 비평면 형태로 전체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특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호 접속 소자가 신뢰성 있는 접속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최소의 접점력을 생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호 접속 소자의 선단은 접속 표면 상에 간혹 오염 필름이 있는 것에 기인하여 전자 부품의 단자와의 와이핑 접점을 이룬다.
여기 사용된 용어 탄성적은 접점 구조에 응용되는 것으로서, 인가된 부하(접점력)에 응답하여 주로 탄성 행동을 나타내는 탄성 구조(상호 접속 소자)를 의미하고, 용어 추종적(compliant)은 인가된 부하(접점력)에 응답하여 탄성 및 소성 행동을 모두 나타내는 접점 구조(상호 접속 소자)를 의미한다. 여기 사용된 추종적 접점 구조는 탄성적 접점 구조이다. 본 발명의 복합 상호 접속 소자는 추종적 또는 탄성적 접점 구조의 어느 하나인 특별한 경우이다.
모출원에는 여러 특징, 즉 희생 기층 상에 상호 접속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다수개의 상호 접속 소자를 전자 부품에 단체로 이송하는 방법, 상호 접속 소자에 거친 표면 마무리부를 갖춘 접속 선단부를 마련하는 방법, 전자 부품에 일시적인 접속부를 만들고 그 후에 영구 접속부를 만들도록 전자 부품 상에 상호 접속 소자를 사용하는 방법, 대향 단부들보다는 일단부들에서 상이한 공간을 갖도록 상호 접속 소자를 배열하는 방법, 상호 접속 소자를 제조하는 것과 동일한 공정 단계로 스프링 클립을 제조하고 배열하는 방법, 접속된 부품들 사이의 열팽창에 의한 차이를 수용하도록 상호 접속 소자들을 사용하는 방법, 반도체 팩키지(SIMM용)를 분리할 필요성을 없애는 방법, 탄성 상호 접속 소자(탄성 접속 구조)를 선택적으로 납땜하는 방법 등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어식 임피던스
도2B는 다층을 갖는 복합 상호 접속 소자(220)를 도시한다. 상호 접속 소자(220)의 최내측부(내측의 긴 전도성 소자, 222)는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비코팅 코어 또는 오버코팅된 코어이다. 최내측부(222)의 선단부(222b)는 적절한 마스킹 재료(도시 생략)로 마스킹 된다. 유전층(124)은 무전해 공정 등에 의해 최내측부(222) 위에 도포된다. 전도성 재료의 최외측부(226)는 유전층(124) 위에 도포된다.
사용 시에, 외층(226)을 전기적으로 접지하면 상호 접속 소자(220)가 제어식 임피던스를 갖게 된다. 유전층(124) 재료의 일례로는 중합체 재료가 있으며, 임의의 적절한 방법 및 두께[예를 들어, 0.00254 - 0.0762 mm(0.1 - 3.0 mil)]로 도포된다.
외층(226)은 다층으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내측부(222)가 비코팅된 코어인 경우에 전체 상호 접속 소자가 탄성을 가질 필요가 있으면 외층(226)의 적어도 하나의 층은 스프링 재료로 된다.
변화하는 피치
도2C는 다수개(6개만 도시)의 상호 접속 소자(251, …, 256)가 프로브 카드 인서트(종래의 방식으로 프로브 카드에 장착된 조립체) 등의 전자 부품(260)의 표면 상에 장착된 실시예(250)를 도시한다. 프로브 카드 인서트의 단자 및 전도성 트레이스는 도시의 명확성을 위해 상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다. 상호 접속 소자(251, …, 256)의 부착단(251a, …, 256a)은 0.127 - 0.254 cm (0.05 - 0.10 inch) 등의 제1피치(공간)를 이룬다. 상호 접속 소자(251, …, 256)는 그 자유단(선단부)들이 0.0127 - 0.0254 cm (0.005 - 0.010 inch) 등의 제2의 더 미세한 피치로 되도록 하는 형상 및 방향을 취한다. 하나의 피치로부터 다른 피치로 상호 접속을 이루는 상호 접속 조립체를 공간 변환기(space transformer)라 한다.
도시된 것처럼, 상호 접속 소자의 선단부(251b, …, 256b)들은 결합 패드(접점)의 두개의 평행 열을 갖는 반도체 장치에의 접속을 이루기 위해(테스트 및/또는 발화를 위해) 두개의 평행 열로 배열된다. 상호 접속 소자는 어레이로서 다른 접점 패턴을 갖는 전자 부품에의 접속을 이루기 위해 다른 선단부 패턴을 갖도록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접속 소자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다수개의 상호 접속 소자를 제조하고 다수개의 상호 접속 소자를 주연 패턴 또는 장방형 어레이 패턴처럼 서로 소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열하는 데에도 적용할 수 있다.
희생 기층의 사용 기법
상호 접속 소자를 전자 부품의 단자에 직접 장착하는 것에 대해서는 상기에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상호 접속 소자는 희생 기층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기층의 적절한 표면 상에 제조 또는 장착할 수 있다.
모출원을 보면, 도11A 내지 도11F를 참조하여 전자 부품에의 연속 장착을 위한 분리 및 분할 구조로서 다수개의 상호 접속 구조(예를 들어, 탄성 접속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과, 도12A 내지 도12C를 참조하여 다수개의 상호 접속 소자를 희생 기층(캐리어)에 장착하고 그 후에 이들을 전자 부품에 한꺼번에 이송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도2D 내지 도2F는 희생 기층을 사용하여 미리 형성된 선단 구조를 갖는 다수개의 상호 접속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2D는 마스킹 재료(252)의 패턴층을 희생 기층(254)의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의 제1단계를 도시한다. 희생 기층(254)은 예를 들어 얇은 [0.0254 - 0.254 ㎜(1 - 10 mil)] 구리, 알루미늄 포일 또는 실리콘 기판으로 되고, 마스킹 재료(252)는 통상의 감광성 내식막으로 된다. 마스킹 층(252)은 위치(256a, 256b, 256c)에서 상호 접속 소자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다수개의 개구(3개만 도시)를 갖도록 하는 패턴을 취한다. 위치(256a, 256b, 256c)는 전자 부품의 단자에 비교된다. 위치(256a, 256b, 256c)는 거친 또는 형상을 갖는 표면 조직을 갖도록 이 단계에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방법은 위치(256a, 256b, 256c)에서 포일(254)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엠보싱 공구(257)에 의해 기계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이들 위치에서 포일의 표면은 표면 조직을 갖도록 화학적으로 에칭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체적인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예를 들어 샌드 블라스팅 및 피닝 등의 임의의 방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 다음에, 다수개(하나만 도시)의 전도성 선단부 구조(258)가 도2E에 도시된 방법으로 각 위치(예를 들어, 256b)에 형성된다. 이는 전해 도금 등의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되며, 다층 재료를 갖는 선단부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단부 구조(258)는 희생 기층 상에 도포된 얇은(예를 들어, 10 - 100 마이크로인치) 니켈 차단층을 갖고, 얇은(10 마이크로인치) 연질 금층, 얇은(20 마이크로인치) 경질 금층, 비교적 두꺼운(200 마이크로인치) 니켈층, 최종적으로 얇은(100 마이크로인치) 연질 금층으로 도포된다. 일반적으로, 니켈의 제1의 얇은 차단층은 기층(254)의 재료(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에 의해 무력화되는 후속 금층을 보호하며, 비교적 두꺼운 니켈층은 선단부 구조에 강도를 부여하고, 최종적인 얇은 연질 금층은 용이하게 결합되게 하는 표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도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 선단부 구조가 희생 기층 상에 형성되는 특정 방법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2E에 도시된 것처럼, 상호 결합 소자용 다수개(하나만 도시)의 코어(260)는 연질 와이어 코어를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전자 부품의 단자에 결합하는 임의의 방법 등에 의해 선단부 구조(258)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코어(260)가 상기에 설명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경질 재료(262)로 오버코팅되고, 마스킹 재료(252)가 제거되어 도2F에 도시된 것처럼 희생 기층의 표면에 장착된 다수개(3개만 도시)의 자유 직립 상호 접속 소자(264)가 형성된다.
도2A와 관련하여 설명한 단자(241)의 적어도 인접 영역을 덮는 오버코팅 재료와 유사하게, 오버코팅 재료(262)도 코어(260)를 이들의 각 선단부 구조(258)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호 접속 소자(264)에 탄성 특성을 부과한다. 모출원에 기재되어 있는 것처럼 희생 기층에 장착된 다수개의 상호 접속 소자는 전자 부품의 단자에 한꺼번에 이송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두개의 넓게 분기되는 통로를 취할 수도 있다.
실리콘 웨이퍼가 선단 구조가 제조되는 희생 기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과, 그와 같이 제조된 선단 구조들이 전자 부품에 이미 장착된 탄성 접점 구조에 (예를 들어 연납땜 또는 경납땜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범주내이다. 이러한 기술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다음의 도8A 내지 도8E에서 한정된다.
도2G에 도시된 것처럼, 희생 기층(254)은 선택적 화학 에칭 등의 임의의 적절한 공정에 의해 간단하게 제거될 수도 있다. 대부분의 화학 에칭 공정이 다른 재료보다 훨씬 더 많은 비율로 된 하나의 재료로 에칭되기 때문에 다른 재료는 이 공정에서 약간만 에칭되며, 이러한 현상은 희생 기층을 제거하는 동시에 선단부 구조의 얇은 니켈 차단층을 제거하는 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얇은 니켈 차단층을 각각의 후속 단계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는 다수개(3개만 도시)의 개개의 분리된 단일 상호 접속 소자(264)가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되게 하며 그 후에 전자 부품 상의 단자에 (납땜 또는 납땜 등에 의해) 장착되게 한다.
오버코팅 재료는 희생 기층 및/또는 얇은 차단층을 제거하는 공정에서 약간 얇아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버코팅이 얇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얇은 금층 또는 약 20 마이크로인치의 경질 금 위에 도포된 예를 들어 10 마이크로인치의 연질 금층을 오버코팅 재료(262) 위에 최종층으로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으로 된 외부층은 우수한 전도성, 접점 저항 및 납땜성을 갖게 하기 위한 것이며, 얇은 차단층 및 희생 기층을 제거하는 데 사용하도록 된 대부분의 에칭 용액에 대하여 높은 불투과성을 나타낸다.
이와 달리, 도2H에 도시된 것처럼 희생 기층(254)을 제거하기 전에 다수개(3개만 도시)의 상호 접속 소자(264)를 희생 기층(254)의 제거 시에 다수개의 구멍을 자체에 갖는 얇은 판 등에 의해 임의의 적절한 지지 구조(266)에 의해 서로 소정의 이격 관계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지지 구조(266)는 유전 재료 또는 유전 재료로 오버코팅된 전도성 재료로 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다수개의 상호 접속 소자들을 실리콘 웨이퍼 또는 인쇄 회로 기층 등의 전자 부품에 장착하는 등의 후속 공정 단계(도시 생략)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용도에서는 상호 접속 소자(264)의 선단부(선단부 구조의 반대쪽)가 특히 이에 접점력이 작용될 때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정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유전 재료로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을 갖는 메쉬 등의 적절한 시트(268)로 상호 접속 소자의 선단부의 이동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상기에 설명한 방법(250)의 또 다른 이점은 선단부 구조(258)가 임의의 필요로 하는 재료 및 임의의 필요로 하는 조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금은 전도성이 우수한 전기적 특성, 낮은 접점 저항, 납땜성 및 내식성을 나타내는 희귀 금속의 일례이다. 또한, 금은 양호한 재료이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상호 접속 소자, 특히 탄성 상호 접속 소자 위에 도포된 최종 오버코팅에 매우 적합하다. 다른 희귀 금속도 마찬가지로 바람직한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로듐 등의 몇몇 재료는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기는 하지만 전체 상호 접속 소자를 오버코팅하는 데에는 부적합하다. 예를 들어, 로듐은 취성이 크고, 탄성 상호 접속 소자 상에 최종 오버코팅으로 수행하기 어렵다. 이러한 관점에서, 방법(250)에 의해 예시된 방법은 이러한 제한을 쉽게 해결한다. 예를 들어, 다층 선단부 구조(258 참조)의 제1층은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금보다는) 로듐으로 제조할 수 있어서 상호 접속 소자의 기계적 특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전자 부품에 접속부를 만들기 위한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도2I는 상호 접속 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변경 실시예(270)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마스킹 재료(272)는 희생 기층(274)의 표면에 도포되고, 도2D와 관련하여 상기에 설명한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다수개(하나만 도시)의 개구(276)를 갖도록 패턴화 된다. 개구(276)는 자유 직립 구조로서 제조되게 되는 상호 접속 소자의 영역을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 전반적으로 설명한 것처럼, 상호 접속 소자는 전자 부품의 단자 또는 희생 기층에 결합된 일단을 갖고 상호 접속 소자의 반대쪽 단부는 전자 부품 또는 희생 기층에 결합되지 않을 때 자유 직립형으로 된다.)
개구 내의 영역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형상을 갖추게 되어 희생 기층(274)의 표면으로 연장되는 단일 오목부(278)로 도시된 것처럼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갖게 된다.
코어(와이어 스템, 280)는 개구(276) 내의 희생 기층의 표면에 결합되어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취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시의 명확성을 위해 상호 접속 소자의 일단만이 도시되어 있다. 타단(도시 생략)은 전자 부품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방법(270)은 코어(280)가 선단부 구조(258)보다는 희생 기층(274)에 직접 부착된 것이 상기에 설명한 방법(250)과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로써, 금 와이어 코어(280)는 종래의 와이어 결합 방법을 사용하여 알루미늄 기층(274)의 표면에 용이하게 결합된다.
방법(270)의 다음 단계에서, 금층(282)이 코어(280) 위에 (도금에 의해) 도포되고, 오목부(278) 내에 포함된 개구(276) 내에서 기층(274)의 노출 영역 상에 도포된다. 이 층(282)의 주된 목적은 (희생 기층이 일단 제거된 후에) 상호 접속 소자의 단부에서 접속면을 형성하려는 것이다.
그 다음에, 니켈 등으로 된 비교적 경질인 재료로 된 층(284)이 층(282) 위에 도포된다.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상기 층(284)의 하나의 주된 목적은 복합 상호 접속 소자에 소정의 기계적 특성(탄성)을 부과하려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층(284)의 다른 목적은 상호 접속 소자의 하단에 제조되는 접속면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려는 것이다. 금으로 된 최종층(도시 생략)이 층(284)에 도포되어 상호 접속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증진시키게 된다.
최종 단계에서, 마스킹 재료(272) 및 희생 기층(274)이 제거되고, 이로써 다수개의 단일화된 상호 접속 소자(도2G와는 다름) 또는 서로 소정 관계로 이격된(도2H와는 다름) 다수개의 상호 접속 소자를 형성하게 된다.
이 실시예(270)는 상호 접속 소자의 단부 상에 형상을 갖춘 선단부를 제조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서 니켈 위에 금이 있는 우수한 예를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에 설명한 방법에 따라 상호 접속 소자의 단부에 다른 유사한 접속 선단부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270)의 또 다른 특징은 접속 선단부가 이전의 실시예(250)에서처럼 희생 기층(254)의 표면 내에 제조되기보다는 희생 기층(274) 상부에 전체적으로 제조된다는 것이다.
인터포저 및 공간 변환기에 관한 일반 사항
이상에서 설명한 기술은 일반적으로 복합 상호 접속 소자를 조립하는 신규한 기술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그 물리적 특성은 소정의 탄성을 발현하도록 맞추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전자 부품의 단자와 가압 접속되게 하는 데 있어 잘 맞는 표면 조직을 갖는 선단 구조와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복합 상호 접속 소자는 인터포저로서 기능하는 기판에 용이하게 장착(또는 조립)되고, 인터포저의 각 측면에 하나씩 배치되는 2개의 전자 부품들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호 접속된다. 인터포저 내에서의 복합 상호 접속 소자의 조립과 사용은 공식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동시 계속 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08/526,426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와 같은 모출원은 반도체 장치를 정밀 검사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술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호 접속 소자를 인터포저 내에서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이상에서 설명되었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인터포저(interposer)는 2개의 전자 부품을 상호 접속하기 위해 2개의 전바 부품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서 2개의 대향면 상에 접점부를 갖는 기판이다. 때에 따라서는, 인터포저는 2개의 상호 접속 전자 부품 중 적어도 하나가 (일례로, 교체, 업그레이드, 기술적 변화의 이행 등을 위하여) 제거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3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공식적으로 소유하는 특허 출원들 중 여러 특허 출원에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여러가지의 인터포저 중에서 임의의 어느 하나의 인터포저와 같은 일반적인 인터포저(300)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PCB형 기판과 같은 절연 기판(302)에는 다수의(도면에는 2개만 도시됨) 단자(304, 306)가 한 표면(302) 상에 마련되고 또한 이와 동일하게 다수의 단자(308, 310)가 상기 표면과 대향되는 표면(302b) 상에 마련된다. 스프링 접점부(312, 314)(도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 코팅부의 도시는 생략) 각각은 단자(304, 306) 각각에 장착되고, 스프링 접점부(316, 318)(도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 코팅부의 도시는 생략) 각각이 단자(308, 310) 각각에 장착된다. 이러한 스프링 접점부들은 이미 도2A에서 개시한 것과 같은 형태의 복합 상호 접속 소자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 스프링 접점부들은 통일형 스프링 소자이다.
공식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동시 계속 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08/554,902호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인터포저는 그 각각의 측면 상에 서로 다른 세트의 스프링 소자들(상기 미국 특허 출원 제08/554,902호의 도3A 참조)을 포함하거나, 지지 기판(302)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구멍 내에 (일례로, 땜납 또는 일래스토머에 의해) 지지되는 하나의 스프링 소자(상기 미국 특허 출원 제08/554,902호의 도3B 및 도3C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3의 스프링 소자(312, 314, 316, 318)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합 상호 접속 소자로서 적절하게 형성되는데, 도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상부 코팅부의 도시는 생략했다.
인청동 및 베릴륨 동과 같은 고유하게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 통일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임의의 탄성 상호 접속 부재(스프링)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복합 상호 접속 부재를 예시하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여러 실시예에서도 그러하다.
본 발명은 또한 (압인 또는 에칭에 의해) 패턴화 된 연성 금속판으로 형성된 상호 접속 부재를 평탄하고 긴 부재(탭, 리본)로 성형하여서 경성 금속으로 상부 코팅된다. 이러한 사항은 공식적으로 소유하는 동시 계속 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08/526,246호에서 밝혀졌다.
공간 변환(때에 따라서 피치 전개라고도 함)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중요한 개념이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탄성 접점 구조의 선단(말단부)은 접속부가 기부에 인접하는 것보다도 더 근접하게 (비교적 미세한 피치로) 서로에 대해서 이격된다는 점은 종종 중요하다. 위에서 언급한 도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사항은 각각의 스프링 부재(251 내지 256)를 서로에 대해 수렴하도록 성형하고 배향시킴으로써 달성되는데, 그 결과 각각의 탄성 접점 구조는 다른 길이를 갖는 경향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프로브 카드 조립체에 있어서, 모든 프로브 부재(탄성 접점 구조)가 다른 것과 동일한 길이를 갖게 되어서 포함되어 있는 다수의 단일 경로 내에서의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도4는 공간 변환기 부품(400)(도시를 명확히 하기 위해 스프링 부재의 도시는 생략함) 예시적 구성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소정의 공간 변환은 거기에 부착되는 (도시되지 않은) 각각의 탄성 접점 구조의 형상보다는 공간 변환기의 기판(402)에 의해서 달성된다.
공간 변환기 기판(402)은 (투시 방향에서의) 상부면(402a)과 하부면(402b)을 구비하는데, (일례로, 세라믹과 같은) 절연 재료와 전도성 재료가 번갈아 위치하는 층을 구비하는 다중 층 부품으로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배선 층이 (여러 전도성 트레이스 중에서도) 2개의 전도성 트레이스(404a, 404b)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수의 단자(406a, 406b)(여러 개 중에서 2개만 도시됨)가 공간 변환기 기판(402)의 상부면(402a) 상에서 비교적 미세한 피치로(비교적 서로에 대해 근접하게) 배치(혹은 그 안에서 리세스)된다. 다수의 단자(408a, 408b)(여러 개 중에서 2개만 도시됨)가 공간 변환기 기판(402)의 하부면(402b) 상에서 (단자(406a, 406b)에 대해서 서로 멀리 떨어지게) 조대한 피치로 배치(혹은 그 안에서 리세스)된다. 일례로, 바닥 단자(408a, 408b)는 (인쇄 회로 기판의 피치 제한과 필적하는) 1.27mm 내지 2.54mm의 피치로 배치되고, 상부 단자(406a, 406b)는 (반도체 다이 본드 패드의 중심간 이격 거리에 필적하는) 0.127mm 내지 0.254mm의 피치로 배치되고, 이 결과 10:1의 피치 변환이 이루어진다. 상부 단자(406a, 406b) 각각은 부속된 전도체(410a, 412a, 410b, 412b)에 의해 대응하는 바닥 단자(408a, 408b) 각각에 접속되어서 이들 단자는 전도성 트레이스(404a, 404b) 각각에 접속된다. 이러한 것은 모두 다중 층 랜드 그리드 배열(LGA: land grid array) 지지 기판 등의 내용에서 잘 알 수 있다.
프로브 카드 조립체
다음의 도5, 도5A, 및 도5B는 공식적으로 소유하는 동시 계속 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08/554,902호로부터 바로 취해진 것이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국 특허 출원 제08/554,902호의 공간 변환기와 관련하여 아주 유용한데, 용도는 그러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5는 프로브 카드(502), 인터포저(504) 및 공간 변환기(504)를 주요 기능 부품으로서 포함하고 반도체 웨이퍼(508)에 대해 임시로 상호 접속시키는 데 사용하기에 적절한 프로브 카드 조립체(500)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분해 단면도에서, 특정 부품의 특정 부재는 도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었다. 그러나, 여러 부품들의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직 정렬은 도면에 점선으로 적절히 나타내었다. 상호 접속 부재(514, 516, 524)(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함)는 부분이 아닌 전체가 도시되었다.
프로브 카드(502)는 일반적으로 상부면(도시된 바와 같음) 상에 배치된 다수의 접점 영역(단자)(510)(여러 개 중에서 2개만 도시됨)을 구비하는 종래의 회로 기판이다. 능동 및 수동 전자 부품 및 커넥터 등과 같은 추가의 부품(도시되지 않음)이 프로브 카드에 장착될 수도 있다. 회로 기판 상의 단자(510)는 일반적으로 피치(피치에 대해서는 위에서 정의되었음) 당 2.54mm로 배열될 수 있다. 프로브 카드(502)는 30.5cm(12 인치) 정도의 직경을 갖는 원형인 것이 적절하다.
인터포저(504)는 (기판(302)에 필적하는) 기판(512)을 포함한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탄성 상호 접속 부재(514)(여러 개 중에서 2개만 도시됨)가 (그것의 말단부에 의해) 기판(512)의 하부면(도시된 바와 같음)에 장착되어서 그로부터 하향으로(도시된 바와 같음) 연장되고, 그에 상응하는 다수의 탄성 상호 접속 부재(516)(여러 개 중에서 2개만 도시됨)가 (그것의 근접 단부에 의해) 기판(512)의 상부면(도시된 바와 같음)에 장착되어 그로부터 상향으로(도시된 바와 같음) 연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프링의 형상은 어떠한 것이라도 탄성 상호 접속 부재(514, 516)용으로 적절한데, 본 발명의 복합 상호 접속 부재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제안으로서, 다수의 하부 상호 접속 부재(514)와 다수의 상부 상호 접속 부재(516) 모두의 선단(말단부)은 프로브 카드(502)의 단자(510)의 피치에 상응하는 피치, 일례로 2.54mm의 피치로 배치된다. 상호 접속 부재(514, 516)는 명확한 예시를 위해서 과장된 크기로 도시되었다. 통상적으로, 상호 접속 부재(514, 516)는 인터포저 기판(512)의 하부면과 상부면 각각으로부터 0.51mm 내지 2.54mm의 총 높이로 연장된다. 일반적으로, 상호 접속 부재의 높이는 소정의 컴플라이언스 크기로 설명되었다.
공간 변환기(506)는 하부면(도시된 바와 같음) 상에 배치된 다수의 단자(접점 영역, 패드)(520)(여러 개 중에서 2개만 도시됨)와 상부면(도시된 바와 같음) 상에 배치된 다수의 단자(접점 영역, 패드)(522)(여러 개 중에서 2개만 도시됨)를 구비하는 다중 층 세라믹 기판과 같은 적절히 회로화 된 기판(518)(앞에서 설명한 바 있는 기판(402)과 비교됨)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다수의 하부 접점 패드(520)는 상호 접속 부재(516)의 선단의 피치(일례로, 2.54mm)로 배치되고, 다수의 상부 접점 패드(522)는 보다 미세한(근접한) 피치(일례로, 1.27mm)로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 상호 접속 부재(514, 516)는 본 발명의 복합 상호 접속 부재(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부재(210)와 비교됨)가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다수의 탄성 상호 접속 부재(프로브, 프로브 부재)(524)(여러 개 중에서 2개만 도시됨)가 (그것의 말단부에 의해) 단자(접점 패드)(522)에 직접적으로(즉, 프로브 부재를 단자에 접속시키는 배선이나 프로브 부재와 단자와의 납땜 또는 납땜과 같은 추가 재료를 중간에 개재함이 없이) 장착되어서 공간 변환기 기판(518)의 상부면(도시되 바와 같음)으로부터 상향으로(도시된 바와 같음)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탄성 상호 접속 부재(524)는 그 선단(말단부)이 그 근접 단부보다 균일하고 미세한 피치(일례로, 0.254mm)로 이격되도록 배열하는 것이 적절한데, 이에 의하면 공간 변환기(506)의 피치 감소가 증대된다. 이와 같은 탄성 접점 구조(상호 접속 부재)(524)는 본 발명의 복합 상호 접속 부재(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부재(210)와 비교)가 바람직한데,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프로브 부재(524)가 전기 방식용 표면(도2D 내지 도2F 참조) 상에 제조되고 이어서 공간 변환기 부품(506)의 단자(522)에 장착(도2G 참조)되거나 혹은 무리로 전달되는(도2H 참조) 것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알고 있는 바와 같이, 반도체 웨이퍼(508)는 사진 석판술, 부착, 확산 등에 의해 전방 면(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부면) 상에 형성된 다수의 다이 사이트(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다이 사이트는 서로 동일하게 제조된다. 그러나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웨이퍼 자체에 있어서나 혹은 웨이퍼가 다이 사이트를 형성하도록 처리하는 임의의 공정에서의 결함은 잘 확립된 시험 조건에 따르면 특정의 다이 사이트가 비기능적이게 한다. 종종 반도체 웨이퍼로부터 반도체 다이를 특이화 하기에 앞서 다이 사이트를 프로빙하는 것과 관련된 어려움으로 인해 시험은 반도체 다이를 특이화 및 팩키징 한 후에 수행된다. 반도체 다이를 팩키징 한 후에 결함이 발견된 경우, 순 손실은 다이를 팩키징 하는 것과 관련된 비용에 의하여 악화된다. 반도체 웨이퍼는 통상적으로 적어도 20.32cm의 직경을 포함한 적어도 15.24cm의 직경을 갖는다.
다이 사이트 각각은 통상적으로 다수의 접점 영역(일례로, 본드 패드)들을 구비하는데, 이들은 다이 사이트의 표면 상에서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패턴으로 배치된다. 어느 한 다이 사이트의 (여러 개의 본드 패드 중에서) 2개의 본드 패드(526)가 도면에 도시되었다.
다이 사이트를 각각의 반도체 다이로 특이화 하기 전에 다이 사이트를 시험하는 기술은 많지 않은 수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대표적인 종래의 기술은 세라믹 기판 안에 함입되어서 그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텅스텐 바늘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바늘이 소정의 어느 한 본드 패드에 임시적인 접속을 이루게 되는 구성의 프로브 카드 삽입체를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브 카드 삽입체는 고가이며 제조함에 있어서도 다소 복잡하며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이 비교적 고가이고 얻는 데까지의 소요 시간이 상당하다. 반도체 다이에 사용 가능한 널리 다양한 본드 패드 장치가 주어진 경우, 프로브 카드 삽입체를 다르게 하기 위해서는 본드 패드 장치 각각이 특이해야 한다.
특이한 반도체 다이의 제조에 있어서의 신속성은 바로 공정 소요 시간을 짧게 하면서도 제조하기에 간단하고 저렴한 프로브 카드 삽입체에 대해 급속을 요하는 요구를 나타내는 것이다. 인터포저(504)와 공간 변환기(506)를 프로브 카드 삽입체로서 사용한다는 것은 이와 같이 억제할 수 없는 요구를 정확히 나타내 주는 것이다.
사용 시에, 인터포저(504)는 프로브 카드(502)의 상부면(도시된 바와 같음) 상에 배치되고, 공간 변환기(506)는 인터포저(504) 최상부(도시되 바와 같음)에 적층되므로 상호 접속 부재(514)는 프로브 카드(502)의 접점 단자(510)와 신뢰성 있는 가압 접점을 이루게 되고 상호 접속 부재(516)는 공간 변환기(506)의 접점 패드(520)와 신뢰성 있는 가압 접점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부품들을 적층시키고 신뢰성 있는 가압 접점을 이루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기구를 이용할 수 있는 데, 그 중 한가지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프로브 카드 조립체(500)는 인터포저(506)와 공간 변환기(506)를 프로브 카드(502) 상에 적층시키는 다음과 같은 주요 부품들 즉,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강성 재료로 제조된 후방 장착 판(530)과,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강성 재료로 제조된 작동기 장착 판(532)과,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강성 재료로 제조된 전방 장착 판(534)과, 외부 차동 나사 소자(536)와 내부 차동 나사 소자(538)를 포함하는 다수의 차동 나사(여러 개 중에서 2개만 도시되었는데, 3개가 바람직함)와, 인청동과 같은 탄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신으로부터 연장되는 (도시되지 않은) 탄성 탭의 패턴을 갖는 장착 링(540)과, 공간 변환기(506)를 사이에 개재시킨 상태에서 장착 링(538)을 전방 장착 판(534)에 유지시키기 위한 다수의(여러개 중에서 2개만 도시됨) 나사(534)와, 제조 공차를 수용하기 위하여 장착 링(540)과 공간 변환기(506) 사이에 배치된 선택적인 공간 링(544)과, 차동 나사 최상부에(도시되 바와 같음)(일례로, 내부 차동 나사 소자(538)의 최상부에) 배치된 다수의(여러개 중에서 2개만 도시됨) 피봇 구(546)를 포함한다.
후방 장착 판(530)은 프로브 카드(502)의 하부면(도시되 바와 같음) 상에 배치된 금속 판 또는 링이다(도면에는 링으로 도시됨). 다수의(여러 개 중에서 2개만 도시됨) 구멍(548)이 후방 장착 판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작동기 장착 판(532)은 후방 장착 판(530)의 하부면(도시되 바와 같음) 상에 배치된 금속 판 또는 링이다(도면에는 링으로 도시됨). 다수의(여러 개 중에서 2개만 도시됨) 구멍(550)이 작동기 장착 판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사용 시에, 작동기 장착 판(532)은 나사로 하는 것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후방 장착 판(530)에 고정된다(도시를 명확히 하기 위해 도면에서는 도시를 생략함).
전방 장착 판(534)은 강성으로서, 바람직하기로는 금속 링인 것이 좋다. 사용 시에, 전방 장착 판(534)은 프로브 카드(502)를 관통하는 대응하는 구멍(도시를 명확히 하기 위해 도면에서는 도시를 생략함)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나사로 하는 것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후방 장착 판(530)에 고정되고(도시를 명확히 하기 위해 도면에서는 도시를 생략함), 이에 의해 프로브 카드(520)는 전방 장착 판(534)과 후방 장착 판(530)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전방 장착 판(534)은 프로브 카드(502)의 상부면(도시된 바와 같음)에 대해 배치된 평탄한 하부면(도시된 바와 같음)을 갖는다. 전방 장착 판(534)은 이를 관통하는 큰 중앙 구멍을 구비하는데, 이 구멍은 내부 가장자리(552)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그 크기는 프로브 카드(502)의 다수의 접점 단자(51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장착 판(534)의 중앙 구멍 내에 존재하게 하는 크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방 장착 판(534)은 평탄한 하부면(도시된 바와 같음)을 구비하는 링형 구조이다. 전방 장착면(534)의 상부면(도시된 바와 같음)은 계단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전방 장착면의 외부 영역에서의 두께(도면에서 수직 범위)는 내부 영역에서의 두께보다 두껍다. 계단부 또는 견부는 점선(554)의 위치에 위치되고 그 크기는 공간 변환기(5506)가 전방 장착 판의 외부 영역과 간극을 이루어서 전방 장착 판(534)의 내부 영역 상에 놓이도록 하는 크기이다(그러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간 변환기는 실질적으로 피봇 구(546) 상에 놓임).
다수의(여러 개 중에서 하나가 도시됨) 구멍(554)이 전방 장착 판(534)의 상부면(도시된 바와 같음)으로부터 전방 장착 판(534)의 외부 영역 안으로 전방 장착 판(53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여 연장되는데(도면에서는 이들 구멍들이 전방 장착 판(534)을 부분적으로만 관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음),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에 대응하는 다수의 나사(542)의 단부를 수용한다. 이를 위해서 구멍(554)에는 나사가 형성된다. 이러한 것에 의해 공간 변환기(506)가 장착 링(540)에 의해 전방 장착 판에 고정되게 되고 이에 의해 프로브 카드(502)에 대해 가압된다.
다수의(여러 개 중에서 하나만 도시됨) 구멍(558)이 전방 장착 판(534)의 얇은 내부 영역을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되어서 프로브 카드(502)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대응하는 다수의(여러 개 중에서 하나만 도시됨) 구멍(560)과 정렬되고, 결국은 후방 장착 판 내의 구멍(548) 및 작동기 장착 판(538) 내의 구멍(550)과 정렬된다.
피봇 구(546)는 내부 차동 나사 소자(538)의 상단부(도시된 바와 같음)에서 정렬된 구멍(558, 560) 내에 느슨하게 배치된다. 외부 차동 나사 소자(536)는 작동기 장착 판(532)의 (나사 형성) 구멍(550) 내에 나사 체결되고 그리고 내부 차동 나사 소자(538)는 외부 차동 나사 소자(536)의 나사 형성 구멍 내에 나사 체결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피봇 구(546)의 위치를 아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외부 차동 나사 소자(536)는 인치 당 72 나사의 외부 나사를 갖고, 내부 차동 나사 소자(538)는 인치 당 80 나사의 외부 나사를 갖는다. 외부 차동 나사 소자(536)를 작동기 장착 판(532) 안에 1회전으로 전진시키고 그에 대응하는 내부 차동 나사 소자(538)를 (작동기 장착 판(532)에 대해) 고정 유지시키게 되면 대응하는 피봇 구(546)의 위치에 있어서의 정미 변화는 (+) 1/72(0.0139)인치(0.3531mm), (-) 1/80(0.0125)인치(0.3175mm) 또는 0.0014인치(0.0356mm)가 된다. 이러한 것에 의해 공간 변환기(506)의 평면성을 프로브 카드(502)에 비해서 용이하고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프로브(상호 접속 부재)(524)의 선단(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단부)의 위치는 프로브 카드(502)의 방향을 변경시키지 않고도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특징과, 프로브 선단의 정렬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과, 공간 변환기의 평면성을 조정하기 위한 선택적인 기구(수단)는 공식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동시 계속 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08/554,902호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분명히, 인터포저(504)는 인터포저의 양쪽 표면 상에 배치된 탄성 접점 구조 또는 컴플라이언트 접점 구조에 의해서 공간 변환기의 조정 범위에 걸쳐서 공간 변환기(506)와 프로브 카드(502) 간에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게 한다.
프로브 카드 조립체(500)는, 상호 접속 부재(514)의 선단이 프로브 카드(502)의 접점 단자(510)와 접촉하도록 인터포저(504)를 전방 장착 판(534)의 구멍(552) 내에 배치시키고, 상호 접속 부재(516)의 선단이 공간 변환기(506)의 접점 패드(520)와 접촉하도록 공간 변환기(506)를 인터포저(504)의 상부에 배치시키고, 선택적으로는 스페이서(544)를 공간 변환기(506)의 최상부에 위치시키고, 장착 링(540)을 스페이서(544) 위에 위치시키고, 또한 스페이서(544)를 관통해서 장착 링(540)을 관통하여 전방 장착 판(534)의 구멍(554) 안으로 삽입시키고, 그리고 나사(하나만이 부분적으로 도시됨)(555)를 후방 장착 판(530) 및 프로브 카드(520)를 관통시켜서 전방 장착 판(534)의 하부면(도시된 바와 같음) 내의 나사 형성 구멍(도시되지 않음) 안으로 삽입시킴으로써 이와 같은 예비 조립체를 프로브 카드(502)에 장착시킴으로써, 간단히 조립될 수 있다. 이어서 작동기 장착 판(538)은 (일례로, 도면에는 부분적으로만 도시된 나사(556)에 의해) 후방 장착 판(530)에 조립되고, 피봇 구(560)는 작동기 장착 판(532)의 구멍(550) 안으로 떨어지게 되어서, 차동 나사 소자(536, 538)가 작동기 장착 판(532)의 구멍(550) 안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반도체 웨이퍼로부터의 특이화에 앞서 오늘날의 본드 패드 공간에 어울리는 미세한 피치로 반도체 다이 상의 다수의 본드 패드(접점 영역)와 접점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여 자신으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탄성 접점 구조(524)를 구비하는 프로브 카드가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사용 시에 조립체(500)는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반전시켜서 사용될 수 있는데, 이 때 반도체 웨이퍼는 탄성 접점 구조(524)의 선단 상으로 (도시되지 않은 외부의 기구에 의해) 밀려들어 가게 된다.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장착 판(기부판)(524)은 프로브 카드(502)에 대해서 인터포저(504)의 위치를 결정한다. 프로브 카드(502)에 대한 전방 장착 판(534)의 위치를 정확히 하기 위해서, 전방 장착 판으로부터 연장되는 핀과 같은 다수의 정렬 장치(도시를 명확히 하기 위해 도면에서는 도시가 생략됨)와 프로브 카드(502) 안으로 연장되는 구멍이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인터포저나 혹은 공간 변환기 상의 접점 영역에 납땜되거나 혹은 납땜된 인청동 재료 등으로 이루어진 탭(리본)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탄성 접점 구조(514, 516, 524)를 인터포저(504) 및/또는 공간 변환기(506)에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공식적으로 소유하는 동시 계속 중인 국제 특허 출원 제PCT/US94/13373호의 도29의 소자(486)로서 설명된 것으로 인터포저 기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프링 클립 등과 같은 것에 의해 인터포저(504)와 공간 변환기(506)를 서로 사전 조립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인터포저(504)를 생략하고 그 대신에 부재(514)에 필적하는 다수의 탄성 접점 구조를 공간 변환기의 하부면 상에서 접점 패드(520)에 바로 장착시키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그러나 프로브 카드와 공간 변환기 간의 동일 평면성을 유지시키는 것은 어렵다. 인터포저의 기본적인 기능은 그와 같은 동일 평면성을 보장하기 위한 컴플라이언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공간 변환기 기판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로브 조립체의 구성 부품인 공간 변환기와 관련하여 사용할 때에 아주 유리하다.
반면에, 공식적으로 소유하는 동시 계속 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08/554,902호에 설명된 프로브 조립체의 공간 변환기(506)는 그 상부면에 (직접적으로 조립되어) 장착되는 스프링 (프로브) 소자를 구비하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스프링 소자를 공간 변환기 구성 부품의 상부면에 결합시키는 문제점을 피할 수 있고 전체 프로브 조립체의 활용성의 범위를 신장시킨다.
도5A는 도5의 프로브 카드 조립체(500)용으로 적절한 공간 변환기 기판(518)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변환기 기판(518)은 길이가 L이고 폭이 W이며 두께가 T인 직사각형의 중실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도면에는 공간 변환기 기판(518)의 상부면(518a)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상부면에는 프로빙 상호 접속 소자(524와 비교됨)가 장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일례로, 수백 개) 접점 패드(522)가 공간 변환기 기판(518)의 상부면(518a) 상에 소정의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소정의 영역은 점선(570)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점 패드(520)는 소정의 영역(570) 내에 임의의 적절한 패턴으로 배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간 변환기 기판(518)은 세라믹 층과 패턴화 전도성 재료가 번갈아 적층된 층을 구비하는 다중 층 세라믹 기판으로 적절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다중 층 세라믹 기판의 제조는 공지되어 있으며 일례로 랜드 그리드 어레이(LGA: land grid array) 반도체 팩키지의 제조에 이용된다. 상기와 같은 다중 층 기판 내의 패턴화 전도성 재료의 경로를 적절히 결정함으로써, 접점 패드(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고, 520과 비교됨)를 기판(518)의 하부면(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상에 기판(518)의 상부면(518a) 상에서의 접점 패드(522)의 피치와는 다른 피치(일례로, 그보다 큰 피치)로 간단하고 직접적으로 배치시켜서 접점 패드(522)와 함께 접점 패드(520)를 기판(518) 내에 서로 일체가 되게 접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기판 상의 접점 패드(522)들 간의 피치를 약 0.254mm(10mil)로 하는 것은 아주 용이하다.
도5A는 공간 변환기 기판(518)의 양호한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설명한 바와 같이, 기판(518)은 상부면(518a), 하부면(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음), 4개의 측면 가장자리(518b, 518c, 518d, 518e)를 구비하는 직사각형의 중실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572b, 572c, 572d, 572e)가 측면 가장자리(518b, 518c, 518d, 518e) 각각을 따라서 마련되고 기판(518)의 상부면(518a)은 측면 가장자리(518b, 518c, 518d, 518e) 각각의 (코너는 제외한) 전 길이를 따라서 마련된다. 이러한 노치(572b, 572c, 572d, 572e)는 일반적으로 공간 변환기 기판(518)을 다중 층 세라믹 구조로 제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데, 도5에도 도시되어 있다. 노치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판(518)의 4개의 코너에는 노치가 형성되지 않으므로(세라믹 다중 층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에 의해 기본적으로 설명되어 있음), 장착 판(540)(도5 참조)은 분명히 이와 같은 코너 구성을 수용해야 한다.
도5B는 앞에서 예시한 공간 변환기 기판(518)과 비교되는 공간 변환기 기판(574)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도5의 프로브 카드 조립체(500)에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다수의(여러 개 중에서 4개만 도시됨) 영역(570a, 570b, 570c, 570d)이 한정되는데, 그 각각의 영역 안에는 다수의 접점 패드(522a, 522b, 522c, 522d)가 소정의 패턴으로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역(570a, 570b, 570c, 570d)의 간격은 반도체 웨이퍼의 다이 사이트의 간격에 대응하므로 다수의 다이 사이트가 프로브 카드의 1회 통과에 의해 동시에 프로브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반도체 웨이퍼 상에 존재하는 다중 메모리 칩을 프로빙하는 데 있어 특히 유용하다.) 통상적으로, 접점 패드(522a, 522b, 522c, 522d)를 기판(574)의 영역(570a, 570b, 570c, 570d) 각각에 패턴화 하는 것은 서로 동일한데, 이러한 것은 절대적으로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공식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동시 계속 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08/526,426호의 내용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5B의 예시는 단일 공간 변환기에 다수의(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4개) 인접 다이 사이트를 반도체 웨이퍼 상에 프로빙하기 위한(가압 접점시키기 위한) 프로브 소자가 마련된다는 것을 명확하게 설명해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많은 다이 사이트 혹은 모든 다이 사이트를 웨이퍼 상에 프로브시키는 데 필요한 장착(단계)의 수를 줄이는 데 유리하다. 일례로, 웨이퍼 상에 백 개의 다이 사이트가 있고, 4세트의 프로브 소자가 공간 변환기 상에 있는 경우, 웨이퍼는 공간 변환기에 대해서 25회를 위치시키기만 하면 된다(이 실시예의 목적을 위해서, 웨이퍼의 가장자리(주변부)에서의 효율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은 무시함). 전체 웨이퍼를 프로브하는 데 필요한 접점(통과) 횟수를 최소화 하기 위해 프로브 사이트(일례로, 570a 내지 570d)의 배열과 각 프로브 소자의 배향(일례로, 어긋나게 배열하는 것)을 최적화시키는 것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선택적인 프로브 소자가 웨이퍼 상의 2개의 인접하는 다이 사이트 중 서로 다른 사이트와 접촉하게 하는 방식으로 공간 변환기의 표면 상에 프로브 소자를 배열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프로브 소자 모두가 동일한 전체 길이를 갖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경우에, 프로브 소자를 공간 변환기의 2차원 표면 상의 임의의 지점에 바로 부착(장착)시키는 비제한적 방식은 프로브 소자를 프로브 카드(일례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링 배열)에 부착시키는 위치를 제한하는 임의의 기술에 비해 우수하다는 것은 명확하다. 또한, 웨이퍼 상의 인접하지 않은 다수의 다이 사이트를 이와 같은 방식으로 프로브시키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본 발명은 특이화 하지 않은 메모리 장치를 웨이퍼 상에 프로빙시키는 데 있어 특히 유리하며 또한 임의의 가로세로비를 갖는 다이 사이트를 프로빙하는 데 있어서도 유용하다.
공간 변환기 기판(574)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표면에 배치된 스프링 접점부 또는 프로브 소자 등을 갖는 작은 타일형 기판에 의해 정주시킬 수 있는 것보다도 더 큰 기판의 일례인 것이다.
공식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동시 계속 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08/526,426호의 도5C, 도6A, 도6B, 도7, 도7A, 도8A 및 도 8B의 예시 및 설명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참고로 포함하기는 한다.
타일 및 공간 변환기 기판의 타일링(정주화)
상술된 바와 같이, 프로브 소자(예를 들어 524, 526)인 스프링 접점부는 프로브 카드 조립체(예를 들어 500)의 공간 변환기 기판(예를 들어 506, 518, 574)의 면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일정한 고유의 한계를 갖는다. 공간 변환기는 스프링(프로브) 소자를 제조를 위해 그 위에 상대적으로 값비싼 기판을 통상 포함한다. 표면 상에 복합 상호 접속 소자를 제조하는 프로세스에서 잘해도 공간 변환기 부품의 (시간이 소요되고 값비싼) 재작업(reworking)에 어려움이 야기되어 수율(성공적인 제조)에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그리고 매 번의 시험 적용을 위해 다른 공간 변환기를 설계(즉, 접촉되거나/시험될 전자 부품 상의 접착 패드/단자의 설계)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드는 방법이다. 특히, 한 번의 통과로 전체 반도체 웨이퍼를 시험할 수 있는 성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술된 설계가 제한되며 수율 문제점이 악화된 비례적으로 큰 공간 변환기를 필요로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프로브 소자는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타일(tile)로 불리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기판 상에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타일은 공간 변환기의 면에 용이하게 부착(장착, 연결)되며 납땜에 의해 또는 z축 전도성 접착제로 공간 변환기의 단자에 전기 접속된다. 다수의 이러한 타일은 웨이퍼 레벨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하나의 공간 변환기 부품에 부착되고 연결될 수 있다. 타일은 단일 층 기판일 수도 있으며, 또는 공간 변환(space transformation)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복층 기판(도4 참조)일 수도 있다. 타일(들)과 공간 변환기의 면 사이의 z축 공간은 부착부(들)/접속부(들)를 형성하도록 사용된 땜납, z축 접착제의 부피 등에 의해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표면 상에 제조된 스프링 접점부 소자를 갖는 다수의 타일이 세라믹 웨이퍼와 같은 단일의 값싼 기판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후에 다이스(dice)되어 공간 변환기의 표면에 또는 (후술되는) 반도체 웨이퍼 또는 다른 전자 부품의 표면에 별도로 장착될 수 있는 다수의 분리된 그리고 양호하게는 동일한 타일로 된다.
(번-인(burn-in)을 포함하여) 수준 시험을 위해, 한 번의 통과로 전체 반도체 웨이퍼의 수준 프로빙(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스프링(프로브) 소자가 제조되는 다수의 이러한 타일은 하나의 큰 공간 변환기 부품에 부착/연결될 수 있다.
타일 기판(예를 들어 600; 후술됨)이 C4 팩키지(산스 반도체 다이)와 같은 기존의 기판에 용이하게 납땜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이러한 C4 팩키지는 용이하게 구입 가능하다.
공간 변환기의 표면에 직접 스프링 접점부 소자를 제조하지 않고 타일을 사용하는 기술의 이점은 단지 부착/연결된 하나 이상의 타일 중 소정의 타일을 간단히 교환함으로써 공간 변환기가 용이하게 재작업된다는 점이다.
도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표면(602a)에 (또는 내에) 배치된 세라믹 단자(그 중 두 개가 도시됨)(604, 606)과 같은 절연재로 형성된 기판(602)과, 대향 하부면(602b)에 배치된 단자(그 중 두개가 도시됨)(608, 610)을 갖는 타일(600)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타일 기판(602)은 도3의 인터포저 기판(302)과 또는 도4의 공간 변환기 기판(402)과 유사하다. 단자(604, 606) 중 소정의 단자가 기판(602)을 통해 연장된 전도성 바이어스(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각각 단자(608, 610) 중 대응하는 소정의 단자에 전기 접속된다. (기판 내에 관통 또는 내부 와이어링을 통한 바이어스는 예를 들어 도4에 도시되어 있다.)
다수의 스프링 소자(그 중 두개가 도시됨)(612, 614)가 단자(604, 606)에 각각 장착되며, 상술된 바와 같은 복합 상호 접속 소자 또는 상술된 바와 같은 단일 스프링 소자(monolithic spring element)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스프링 접점부 캐리어는 한 표면에 장착된 스프링 접점부(예를 들어 612, 614)를 갖는 타일 기판(예를 들어 602)을 의미한다.
도6에서, 스프링 소자(612, 614)는 도5에서 도시된 프로브 소자(524)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임의의 구조(형상)를 갖는 임의의 스프링 소자가 타일 기판(602)의 표면(602a)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스프링 소자가 부착된 타일 기판은 프로브 카드 조립체(예를 들어 500)의 공간 변환기 부품(예를 들어 506)에 용이하게 장착되고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납땜 범프(616, 618)는 각각 단자(608, 610) 상에 용이하게 형성되어, 타일(600)은 타일 부품의 단자와 공간 변환기 부품의 단자 사이에 땜납 연결부를 재유동 가열하여 형성함으로써 공간 변환기 부품의 대응 패드(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타일 부품의 단자와 공간 변환기 부품의 단자 사이의 전기 접속을 수행하기 위해 z 전도성 접착제(도시되지 않음)가 땜납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도6A은 다수의 타일(620)(도6의 타일(600) 참조)이 공간 변환기 부품(622)(도5b)에서 도시된 공간 변환기 부품 기판(574) 참조)에 장착될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한다.
공간 변환기 부품의 상부(가시)면은 다수의 접점 패드(도시되지 않음, 522a, 522b, 522c, 522d 참조)가 소정 패턴으로 각각 배치된 다수(그 중 네 개가 도시됨)의 구역(624a, 624b, 624c, 624d)(570a, 570b, 570c, 570d 참조)을 갖는다.
도6A에서, 명확한 도시를 위해, (예를 들어) 스프링 소자에 대향한 타일 기판의 표면 상의 땜납 범프가 생략되어 있다. 공간 변환기 기판에 대해 타일 기판을 납땜하도록 재유동 가열될 때, 타일(620)은 공간 변환기(622)의 각 구역(624a, ··· 624d)에 대해 각 타일(620)의 자동 정렬을 향상시키도록 될 것이다. 그러나, (C4 범프와 같은)작은 땜납 형상은 이러한 자동 정렬을 수행할 정도의 충분한 크기의 표면 장력을 항상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각 구역(624a, ··· 624d)에 대해 각 타일(620)의 자동 정렬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간 변환기 기판(622)의 (도면에서 볼 때) 상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납땜 가능한 형상(626)이 제공되며 타일 기판(620)의 (도면에서 볼 때) 하부면에는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납땜 가능한 형상(628)이 제공된다. 재유동 가열 중, 그 위에 배치되며 이들 두 개의 대응하는 결합되는 형상(626, 628)을 적시는 땜납은 공간 변환기 기판에 타일 기판의 자동 정렬을 수행하기 위한 향상된 모멘텀을 제공할 것이다. 땜납은 재유동 가열 전 결합되는 형상을 중 어느 하나에 가해질 수 있다.
도6A은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 즉, 다수의 타일이 웨이퍼 스케일 시험을 포함하는 한 번의 통과(터치 다운)로 반도체 웨이퍼 상의 다수 다이 사이트의 다수 헤드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브 카드 조립체의 하나의 공간 변환기 부품에 장착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부착된 다수의 타일을 갖는 공간 변환기 기판은 다수 장치 시험 헤드로서 용이하게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서 그리고 후술되는 타일링된 반도체 웨이퍼 실시예에서 모두, 스프링 소자가 타일 기판의 외주를 지나 연장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도9A 내지 도9D를 참조하여, 다수의 타일과 보다 큰 부품 사이의 적절한 정렬을 유지하기 위한 논의가 기술되어 있다.
(정렬 형상(626/628)을 포함하여) 각 땜납 연결부의 부피는 타일 기판의 후방 표면과 대 기판의 전방 표면 사이에 정밀한 스탠드오프(간격)를 형성하도록 주의 깊게 제어되어야 한다. 땜납 부피에서의 임의의 편차는 받아들일 수 없는 높이(z축) 편차를 야기(promulgate)할 수도 있다. 높이 불균일성이 필요할 때, 정확한 땜납 페이스트 덩어리의 전달, 땜납 볼의 정밀한 부피 등을 위한 정밀하게 형성된 땜납 예비 형상,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땜납 부피를 제어하는 임의의 적절하게 정밀한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시험/번-인을 위한 타일 및 반도체 웨이퍼의 타일링
어떤 예에서, 어떤 반도체 장치의 표면에 직접 스프링 소자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능동 소자(active devices)를 갖는 완전히 정주된(populated) C4 다이(반도체 장치) 상에 본 발명의 복합 상호 접속 소자를 제조하는 것은 장치를 손상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어떤 형상의 장치로의 접근성을 방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본 태양에 따르면, 타일은 반도체 웨이퍼로부터 이들의 단일화(singulation) 전 또는 후에 능동 소자를 갖는 완전히 정주된 C4 다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반도체 장치 상에 직접 스프링 접점 소자를 제조하는 것을 회피하면서 스프링 접점 소자는 반도체 장치에 용이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이 본 태양의 특징에 따르면, 상술된 방식으로 장착된 스프링 접점 소자를 갖는 반도체 장치는 스프링 접점 소자의 팁과 (가압 접점에 의해) 결합되도록 된 단자 (패드)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PCB)과 같이 간단할 수도 있는 단순한 시험 치구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시험 및/또는 번-인(burned-in)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특히 반도체 웨이퍼로부터 단일화되기 전, 반도체 장치에 대한 장착 타일의 이점은 공간 변환기 기판의 상술된 타일링에 대한 이점과 유사하다. 즉, 전체 웨이퍼를 검사할 필요가 없으며, 재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며, 임의의 (즉, 복합 또는 단일) 스프링 소자가 반도체 장치에 용이하게 장착 및 연결될 수도 있다.
반도체 장치에 타일을 장착하는 이러한 기술은 어떤 예에서 1996년 2월 15일 제출된 출원 번호 미정의 공동 미국 특허 출원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소자가 반도체 장치로 제조되는 와이어 본딩 기판 기술보다 우수하다.
도7은 다수의 다이 사이트(704)를 갖는 실리콘 웨이퍼일 수도 있는(또는 실리콘 웨이퍼가 아닐 수도 있는) 대 기판(706)의 표면에 정주시키는 기술(700)을 도시한다.
각 타일 기판(702)은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된 다수(그 중 두 개가 도시됨)의 자유 직립성 상호 접속 소자(710)를 갖는다. 이러한 상호 접속 소자(710)는 단일 상호 접속 소자 또는 복합 상호 접속 소자일 수도 있으며, 자유단에 부착된 팁 구조물을 가질 수도 있으며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상호 접속 소자(710)는 양호하게는 스프링 소자이며, 적절한 프로브 소자이다. 각 타일 기판(702)은 대 기판(706)의 (도시된) 상부면 상의 대응 단자(도시되지 않음)에 땜납 연결부(708)에 의해 장착될 수도 있다. 땜납 연결부(708)는 C4 땜납 연결부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 기판(706)에는 다수의 스프링 접점 캐리어[즉, 타일 기판(702)]가 정주된다. 상호 접속 소자를 생산(성공적으로 제조)하는 임의의 문제점이 보다 작은 타일 기판(702)에만 영향을 미치며 대 기판(706)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은 이러한 기술(700)의 많은 이점 중 하나이다.
타일 기판으로 스프링 소자의 집단 전사
상술된 설명에서, 전자 부품의 단자에 와이어의 단부를 접착하며 탄성 형상을 갖는 와이어 스템으로 와이어를 성형하며 탄성(높은 항복 강도) 재질로 와이어를 오버코팅함으로써 복합 상호 접속 (탄성 접점)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기술이 설명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탄성 접점 구조물은 본 발명의 타일과 같은 전자 부품의 단자에 직접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에 (탄성 접점 구조물이 제조된 후) 전자 부품에 (예를 들어 경납땜에 의해) 장착을 위해 전자 부품에 스프링 소자(탄성 접점 구조물)를 장착하지 않으면서 다수의 스프링 소자가 미리 제조된다.
하나의 기술에 따르면, 전자 부품의 단자에 예를 들어 경납땜에 의해 후에 부착(장착)하도록 스프링 소자의 공급원(supply)(예를 들어 버킷(bucket))이 제조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2g 참조. 다른 기술에 다르면, 다수의 스프링 소자가 희생 기판 상에 미리 제조되어, 그 후, 전자 부품(예를 들어 타일)의 단자에 집단 전사(gan-transfering)될 수 있다. 이러한 두 개의 기술은 모출원에서 기술되어 있다(모출원의 도11a 내지 11f 및 12a 내지 12e 참조).
도8A 및 도8B은 (도6의 타일 부품(600)과 같은) 전자 부품(806)의 단자에 다수의 미리 제조된 접점 구조물(802)을 집단 전사하는 기술(800)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타일 부품은 약간의 공간 변환(space transformation)을 수행하나, 이는 불필요하다.
도8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도1e에서 도시된 종류의 다수의 스프링 소자(802)는 본 명세서에서 따라 또는 임의의 상술된 본 출원인 소유의 함께 계속중인 특허 출원에서 설명된 기술에 따라 희생 기판(810) 내에 형성되는 팁 구조물(808) 상에 제조된다.
도8B에서, 스프링 소자(802)는 (예를 들어 선택적인 습식 에칭에 의해) 희생 기판(810)이 용이하게 제거된 후 전자 부품(806)의 단자(804)로 예를 들어 납땜(812)에 의해 일괄적으로 장착(집단 전사)된다. 땜납 볼(814)은 타일 기판의 대향 표면 상의 단자에 용이하게 부착된다. 하나의 표면 상에 땜납 볼 및 대향 표면 상에 스프링 소자를 모두 갖는 점에서 도8B의 타일 기판은 도6의 타일과 비교될 수 있다.
상술된 본 출원인 소유의 출원 중 여러 출원에서 다른 전자 부품의 단자에 보다 신뢰성 있는 가압 접속을 수행하기 위해 스프링 소자를 위한 팁을 구성(having textured)하는 이점이 보다 상세히 기술되었다. 도8B는 타일 기판에 (필요시) 팁이 구성된 스프링 소자가 제공될 수 있는 많은 방법 중 하나를 도시한다.
평탄화 및 스프링 소자에의 팁 장착
스프링 소자의 말단부(팁)가 같은 평면에 있는 이점 및 이를 용이하게 달성하는 방법이 상술된 본 출원인 소유의 여러 특허에서 상세히 기술되었다.
도8C 내지 도8G은 희생 기판 상에 팁 구조물을 형성하며 타일 기판에 장착된 상호 접속 소자의 팁에 미리 제조된 팁 구조물을 전사하는 예시적인 기술을 도시한다.
도8C은 희생 기판 상에 팁 구조물을 제조하여, 그 후, 전자 부품(예를 들어 타일 기판)으로부터 연장된 상호 접속 소자의 팁에 부착하는 기술(820)을 도시하며, 이는, 특히, 상술된 복합 상호 접속 소자를 위해 유용하나,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예에서, (도시된) 상부면을 갖는 실리콘 기판(웨이퍼)은 희생 기판으로 사용된다. 티타늄 층(824)이 실리콘 기판(822)의 상부면에 (예를 들어 스퍼터링(sputtering)에 의해) 적층되며, 약 250 Å(1 Å = 0.1 nm = 10-10m)의 두께를 갖는다. 알루미늄 층(826)은 티타늄 층(824) 위에 (예를 들어 스퍼터링에 의해) 적층되며, 약 10,000 Å의 두께를 갖는다. 티타늄 층(824)은 선택사양이며 알루미늄 층(826)을 위한 접착 층으로서 기능한다. 동(copper) 충(828)은 알루미늄 층(826) 상부에 (예를 들어 스퍼터링에 의해) 적층되며, 약 5,000 Å의 두께를 갖는다. 마스킹 재질(예를 들어 포토레지스트) 층(830)은 동 층(828) 상부에 적층되며, 약 0.0508 mm(2 mil)의 두께를 갖는다. 마스킹 층(830)은 하부의 동 층(828)에 포토레지스트 층(830)을 통해 연장된 다수(그 중 세 개가 도시됨)의 구멍(832)을 갖도록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처리된다. 예를 들어 각 구멍(822)은 직경이 0.1524 mm(6 mil)일 수도 있으며, 구멍(832)은 0.254 mm(10 mil)의 피치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음과 같이 희생 기판(822)은 구멍(832) 내에 다수의 다수 층 접점 팁을 제조하기 위해 준비된다.
니켈의 층(834)은 동 층(828)에 예를 들어 도금(plating)에 의해 적층되며, 약 0.0254 내지 0.0381 mm(0.0254 내지 0.0381 mm(1.0 내지 1.5 mil))의 두께를 갖는다. 또는, 로듐과 같은 귀금속의 얇은 층(도시되지 않음)이 니켈을 적층시키기 전 동 층에 적층될 수도 있다. 다음, 금 층(836)이 예를 들어 도금에 의해 니켈 층(834) 상에 적층된다. 니켈 및 알루미늄(그리고, 선택적으로 로듐)의 복층 구조물은 제조되는 팁 구조물(840, 도8D에서 도시됨)로서 기능할 것이다.
다음, 도8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830)는 (임의의 적절한 용매를 사용하여) 벗겨지며, 동 층(828) 위에 안착된 다수의 제조된 팁 구조물(840)을 남긴다. 다음, 동(828)은 급속 에칭 처리를 받으며, 그에 의해 알루미늄 층(826)을 노출시킨다. 알루미늄은 땜납 및 황동 재질에 대해 대체로 웨터블(wettable)하지 않기 때문에 후속 단계에서 유용하다.
팁 구조물(840)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처리 단계에서 에르사츠(ersats) 팁 구조물(842)이 제조될 수 있는 추가의 구멍과 함께 포토레지스트를 패터닝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러한 에르사츠 팁 구조물(842)은 도금되는 표면에 대해 그들 자신을 출현(manifesting)시키는 것으로부터 급속한 변화도(불균일성)를 감소시킴으로써 공지의 방식으로 상술된 도금 단계를 균일화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구조물(842)은 로버(robbers)로서 도금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다음, 납땜 또는 경납땜 페이스트(연결 재료)(844)는 팁 구조물(840)의 (도시된) 상부면에 적층된다. (에르스츠 팁 구조물(842)의 상부에 페이스트를 적층할 필요는 없다.) 이는 스테인리스강 스크린 또는 스텐실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통상의 페이스트(연결 재료)(844)는 예를 들어 0.0254 mm(1 mil)의 구(볼) 형상의(exhibiting) (플럭스 매트릭스 내에) 금-주석 합금을 포함할 것이다.
팁 구조물(840)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복합 상호 접속 소자와 같은 사오 접속 소자의 단부(팁)에 (예를 들어 경납땜에 의해) 장착될 준비가 된다. 그러나, 상호 접속 소자는 우선 팁 구조물(840)을 수납하도록 특별히 준비(prepared)된다.
도8E는 상호 접속 소자(854)의 단부에 장착된 미리 제조된 팁 구조물(840)의 선수(anticipation)에서 다수(그 중 두 개가 도시됨)의 상호 접속 소자(854)(612, 614 참조)를 갖는 타일 기판(852)을 준비하기 위한 기술(850)을 도시한다. 상호 접속 소자(스프링 접점부)(854)는 (단면이 아니라) 완전히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상호 접속 소자(854)는 복층 복합 상호 접속 소자(도2a 참조)이며, 동의 층(도시되지 않음)으로 피막되고 니켈(양호하게는 90 : 10의 Ni : Co 비율을 갖는 니켈 코발트 합금) 층(도시되지 않음)으로 또한 도금되고 동의 층(도시되지 않음)으로 또한 피막된 금(와이어) 코어를 갖는다. 니켈 층은 소정의 최종 두께의 대부분(예를 들어 80 %)에만 적층되며, 니켈 두께의 나머지 작은 부분(예를 들어 20 %)은 후술되는 후속 단계에서 적층된다.
이러한 예에서, 타일 기판(852)에는 연마 멈치로서 기능하는 (도시된)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된 다수의 필라형(pillar-like) 구조물(856)이 제공된다. 이러한 다수의 연마 멈치를 갖는 것이 필요하지는 않으며, 이들은 기판(예를 들어 세라믹)과 동일한 제질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도 있으며, (후술되는) 연마후 제거될 수도 있다.
그 후, 타일 기판(854)은 타일 기판(852)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된 상호 접속 소자(852)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예를 들어 열 용융 가능하고 용해 가능한 폴리머(thermally-meltable, solution soluble polymer)와 같은 적절한 주조재(858)로 주조(cast)된다. 그 후 오버몰딩된 기판의 (도시된) 상부면은 예를 들어 주조재의 상부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가압되는 연마 휠(860)로 연마된다. 상술된 연마 멈치(858)는 점선 라벨 P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연마 휠의 최종 위치를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호 접속 소자(854)의 팁(도시된 상단부)은 서로 대체로 완전히 같은 평면이 되도록 연마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기구(예를 들어 차동 스크루 또는 자동 기구)가, 장착된 타일로부터 연장된 탄성 접점 구조물의 팁이 시험되는 반도체와 같은 평면이 되도록 그리고 스프링(프로브) 소자의 팁이 웨이퍼와 대체로 동시에 접하도록 평탄화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공간 변환기 기판을 향하게 하는 전체 프로브 카드 조립체(500)에 제공된다. 확실히, 연마에 의해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평탄화된 팁으로 시작하는 것은 이러한 중요한 목적을 달성하는 데 기여한다. 특히, 프로브 소자(854)의 팁이 시작되는 동일 평면에 있는(coplanar to begin with) 것을 보장함으로써, 타일 부품으로부터 연장된 프로브 소자(854)의 팁 내에 (가요성(compliance)에 의해) 비 평탄도를 수용하도록 인터포저 부품(534)에 부여된 제한 조건이 완화(감소)된다.
연마에 의해 상호 접속 (예를 들어 프로브) 소자의 팁을 평탄화시킨 후, 주조재(858)가 적절한 용매로 제거된다. (연마 멈치(856)는 이 때 제거될 것이다.) 주조재는 공지되어 있으며, 용매도 그러하다. 간단히 용융되어 제거될 수 있는 왁스와 같은 주조재가 연마를 위해 프로브 소자(854)를 지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타일(852)의 스프링 소자(854)는 상술된 팁 구조물(840)을 수납하도록 준비된다.
연마 작업의 유익한 부수적인 효과는 복합 상호 접속 소자인 상호 접속 소자(854)의 금 와이어 스템(코어)을 오버코팅하는 재질이 팁에서 제거되어 금 코어가 노출될 것이라는 점이다. 복합 상호 접속 소자의 팁에 팁 구조물(840)을 경납땜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노출된 금 재질을 경납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상호 접속 소자에 소정의 전체 니켈 두께의 상술된 남아 있는 작은 부분(예를 들어 20 %)을 제공하도록 복합 상호 접속 소자(854)를 하나의 추가의 도금 단계, 즉, 니켈 도금을 우선 수행함으로써 팁 구조물(840)을 받도록 타일 기판(852)을 또한 준비하는 것이 양호하다. 필요 시, 상술된 노출된 금 팁(이전 문단 참조)은 이러한 추가의 도금 단계 중 마스킹될 수 있다.
팁 구조물(840)을 갖는 희생 기판(822)은 준비된 타일 기판(852)에 지지되도록 된다. 도8F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팁 구조물(840)(명확한 도시를 위해 도8F에서는 단지 두 개의 팁 구조물이 도시됨)은 표준 플립 칩 기술(standard flip-chip techniques, 예를 들어 스플릿 프리즘(split prism))을 사용하여 자유 직립성 상호 접속 소자(854)의 팁과 정렬되며, 조립체는 연결 재질(844)을 재유동시키도록 경납땜 로를 통과되며, 그에 의해, 접점 구조물(854)의 단부에 미리 제조된 팁 구조물(840)을 연결(예를 들어 경납땜)시킨다.
이러한 기술이 비 탄성 접점 구조물, 탄성 접점 구조물, 복합 상호 접속 소자, 단일 상호 접속 소자 등의 단부에 미리 제조된 팁 구조물을 연결(예를 들어 경납땜)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최종 단계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희생 기판(822)이 제거되어, 도8G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제조된 팁 구조물(840)을 각각 갖는 다수의 자유 직립성 상호 접속 소자(854)를 갖는 타일 기판(852)으로 된다. (연결 재질(844)은 상호 접속 소자(854)의 단부 부분 상에 필렛으로 재유동된다.)
경납땜(납땜) 페이스트(844)가 생략되며, 대신에, 공용(eutectic) 재질(예를 들어 금-주석)의 층이 접점 팁(840)을 장착하기 전 탄성 접점 구조물에 도금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대 기판 상의 타일의 정렬
상술된 바와 같이, 전체 반도체 웨이퍼와 같은 상대적으로 큰 표면 면적을 갖는 다른 전자 부품에 압력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수행될 웨이퍼 레벨 번-인(WLBI, Wafer-Level Burn-In)과 같은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하도록, 프로브 카드 조립체의 공간 변환기 기판과 같은 상대적으로 대 기판(예를 들어 622)에는 표면(예를 들어 620) 상에 스프링 접점부를 갖는 다수의 상대적으로 작은 타일이 제공될 수도 있다.
대 기판에 다수의 자유 직립성 스프링 소자를 각각 갖는 다수의 타일 장착 프로세스에서, 적절한 정렬이 유지되어야 한다.
1) z 축에서, 스프링 소자의 팁(말단, 자유단)에 대한 소정 높이(통상 같은 평면)를 유지; 그리고
2) x 및 y 축에서, 스프링 소자의 팁 사이의 소정 공간을 유지.
일반적으로, 타일 기판 상에 다수의 자유 직립성 스프링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은 개개의 타일 상에 다수의 스프링 소자의 높이(z 축) 및 간격(x 및 y 축)이 대 기판에 타일을 장착하기 전 체크(검사)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잘못된 높이 또는 간격을 갖는 스프링 소자를 갖는 타일은 재작업되거나 또는 폐기될 수 있다.
상기에서 도6A에 대해 기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타일(예를 들어 620)이 땜납을 재유동시킴으로써 대 기판(예를 들어 622)에 장착될 수 있다. 크고 주위 깊게 (예를 들어, 석판 인쇄로) 위치된 땜납 형상(예를 들어 628, 626)은 기판에 대해 타일의 x-y 정렬을 대체로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된 땜납의 양을 주의 깊게 제어함으로써, 타일의 후방(예를 들어 602b)과 대 기판(예를 들어 622)의 전방 면 사이의 공간에 대한 대체적인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 때문에 자유 직립성 스프링 소자의 팁은 타일 기판의 후방 면에 대해 결정적이다는 것으로 추정된다.
도9A은 대 기판(904)과 적절히 정렬된 다수(그 중 세 개가 도시됨)의 타일 기판(902)(620 참조)을 유지하기 위한 다른 기술(900)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 대 기판(904)의 전방(도시된 상부) 면에는 개별 타일(902)을 수납하는 크기로 되어 서로 소정의 x-y 정렬로 그들을 유지하는 다수(그 중 세 개가 도시됨)의 리세스(웰(well))가 제공된다. 도6A에서와 같이, 땜납의 부피의 주의 깊은 제어에 의해 타일의 후방 면과 기판(904)의 전방 면 사이의 반복 가능한 z 축(도면에서 수직) 간격을 보장할 수 있다. 대 기판(904)에 대해 복잡성 수준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은 일반적으로 선호되지 않는다.
도9B은 대 기판(924)(904 참조)과 적절히 정렬되어 다수(그 중 세 개가 도시됨)의 타일 기판(922)을 유지하기 위한 다른 기술(920)을 도시한다. 이 경우, 전방(도시된 상부) 면에는 소성 모드가 아닌 탄성 모드에서 주로 작동되는 방식(예를 들어 재질, 스프링 형상)으로 미리 제조되는 다수의 자유 직립성 스프링 접점부(926)가 각각 제공된다. 타일(922)의 후방(도시된 하부) 면에는 소정 변형 모드에서 대체로 작동하는 방식으로 제조된 다수(그 중 두개가 도시됨)의 접점 소자(928)가 각각 제공된다. (이러한 접점 소자(928)는 가요성 연결부(compliant connections)라 한다.) 타일(922)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기판(924)에 납땜되며, 표면 장력은 타일을 서로 x-y 정렬되게 유지할 것이다. 많은 스프링 소자(926)의 팁(도시된 상단부)의 동일 평면성(coplanarity)을 성립시키기 위해, 압력 판(930)이 모든 스프링 소자(926)와 접점이 이루어질 때까지 스프링 소자의 팁에 대해 하향으로 가압된다. 스프링 소자(928)의 소성 변형에 의해 개개의 타일이 z축에서 하향으로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스프링 소자(926)의 팁이 같은 평면에 있는 것을 보장한 후, 압력 판(930)이 제거되며, 타일(922)은 예를 들어 에폭시와 같은 포팅 컴파운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포팅 컴파운드는 타일과 기판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언더필(underfill)하여야 하며, (자유 직립성 스프링 접점부(926)의 하부가 덮일 정도로) 타일을 또한 덮을 수도 있다. 많은 타일 기판(922) 중 하나를 재작업(제거 및 교환)하는 것은 전도성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은 일반적으로 선호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9A 내지 도9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 기판(902, 922)은 (예를 들어 도9A에서) 약간의 공간 변환을 달성하며, 땜납 볼은 자유 직립성 스프링 접점부(도8A 참조)에 기초한 것보다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예에서 스프링 접점부가 땜납 볼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간격(피치)이 큰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도9C은 다수(그 중 세 개가 도시됨)의 타일 기판(942)(922 참조)을 서로 적절히 z축 정렬되어 유지하기 위한 다른 기술(940)을 도시한다. 명확한 도시를 위해, 대 기판(예를 들어 904, 924) 및 타일 기판의 후방(도시된 하부)면 상의 연결부(예를 들어 납땜 볼)는 도면에서 생략되었다.
이러한 예에서, 타일 기판(942)의 측면 모서리는 오목 형상(946)과 결합되는 볼록 형상(944)과 같은 상호 로킹되는 설부 및 홈 형상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정삭각 또는 직사각 타일 기판의 인접 측면 모서리는 오목 형상을 가지며, 남아 있는 두 개의 인접 측면 모서리는 볼록 형상을 가질 것이다. 이러한 기술은 타일 기판의 복잡성 수준과 관련되어 재작업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선호되지 않는다.
상술된 모든 기술에서, 타일 상의 스프링 접점부의 팁의 정렬을 유지하는 목표가 약간 간접적으로, 즉, 다수의 타일 기판이 장착되는 대 기판의 전방면을 마주하는 타일 기판의 후방 측면 그리고/또는 모서리의 정렬을 제어함으로써, 접근(addressed)된다.
보다 직접적인 방법은 스프링 소자의 팁이 타일 기판의 후방 면의 정렬에 관계없이 적절히 정렬되며, 타일 기판의 후방 면이 단지 대 기판과 적절한 연결성을 보장하도록 정렬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도9D는 다수(그 중 세 개가 도시됨)의 타일(962)(600 참조)이 후방 면에 의해서가 아니라 전방(도시된 상부) 면에 의해 서로 정렬된다. 각 타일(962)은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된 다수(그 중 두 개가 도시됨)의 스프링 접점부(964)를 가지며, 후방 면 상에 땜납 볼(또는 패드(966))이 제공된다. 타일 기판(962)은 스프링 접점부(964) 장착 전 주의 깊게 검사될 수 있으며, 스프링 접점부(964)는 고도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타일 기판의 표면 상에 제조(또는 특수 기판 상에 그리고 타일 기판으로 집단 장착)될 수 있으며, 또는 단지 양호한 타일이 대 기판(968)(622 참조)에 조립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스프링이 장착된 타일이 용이하게 검사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스프링 접점부를 기판(962)의 표면 상에 제작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신뢰성이 있게(반복 가능하게) 되며, 각각의 스프링 접점부(964)는 이상에서 개시된 기술(예컨대, 도2A 참조)에 따라 상기 스프링 접점부의 선단이 상호 잘 정렬된(이격된) 상태로 기판(962)의 표면 위로 소정의 높이까지 연장한다. 이러한 기술은 통상 바람직하지 않다.
스티프너 기판(970)이 제공되고, 이를 통과하는 다수의 구멍(972)을 갖는다. 상기 구멍 위치에 대한 아주 높은 정도의 정밀도는 그 위치들을 석판술 성형에 의해 달성된다. 스티프너(970)는 상대적으로 견고한 절연 재료이거나 또는 절연 재료로 덮인 금속 기판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타일 기판(962)은 전방(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부) 표면에 의해 후방(도시된 바에 의하면, 하부) 표면으로 장착되고, 각각의 스프링 접점부(964)는 스티프너 기판(970) 내의 구멍(972) 중의 대응되는 구멍을 통해 연장한다. 이는 적절한 (도시되지 않은) 접착제로써 제조될 수도 있고, 스티프너 기판에 타일을 장착하는 공정 중에 스프링 접점부의 선단이 타일간 상호 정렬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가시화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는 아주 정밀하게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모든 타일 기판(962)이 스티프너 기판과 (x-y로) 정렬되어 상기 기판에 부착된 후, 타일/스티프너 조립체는 대 기판(968)의 전방(상부 도시 방향) 표면 상의 땜납 볼(966) 및 대응 패드(976)와 같이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대 기판(968)에 장착될 수 있다.
타일(962)이 일시적인 방법으로 스티프너 기판(970)에 부착되고, 그 결과 타일(962)의 조립체가 대 기판(968)에 장착되었다면 스티프너 기판(970)이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게 된다.
재작업(개별 타일을 대 기판 상으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을 위해, 영구 장착된 스티프너 기판의 경우에 스티프너/타일의 전체 조립체는 (땜납 제거와 같이) 대 기판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개별 타일(들)이 교체될 수 있고, 상기 조립체가 대 기판 상에 재장착될 수 있다. (대 기판의 타일의) 최종 조립체의 일부가 아닌 임시 스티프너 기판의 경우, 개별 타일(들)은 제거될 수 있고, 교체 타일(들)은 스티프너 기판(970)과 동일하거나 작은(단지 몇 개의 인접 타일을 덮는) 크기의 (도시되지 않은) 재작업 스티프너 기판을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9A 내지 도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 직립 스프링은 (도1E에 비해) C자형이다. 자유 직립 스프링 소자가 임의의 형태일 수도 있고 복합 연결 소자 또는 단일 연결 소자일 수도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멤브레인 타일
그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단일 또는 복합) 스프링 접점부 외의 다른 접점부를 갖는 다수의 타일이 전술한 효과가 동일하게 발생하도록 웨이퍼-레벨 번-인 등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 기판 상에 조립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예를 들면, 전술한 미국 특허 제5,180,977호(허프) 및 제5,422,574호(키스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전형적인 멤브레인 프로브를 고려한다. 허프의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 프로브는 얇은 유전체 필름, 예컨대 멤브레인 상의 통상 접점부 범프(bump)로 불리는 미세 접점부(microcontact)의 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접점부 범프에 있어서, 미세 스트립 전달 라인은 성능 기판(프로브 카드)에 전기적 접속용 멤브레인 상에 형성된다. 접점부 범프는 금속 도금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높은 프로브 밀도로 많은 개수의 접점부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키스터에 개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 프로브는 얇은 가요성 전기 필름 멤브레인의 돌출부 상의 미세 접점부의 열을 통상 구비한다. 상기 멤브레인은 그 내부의 삼각형 릴리프(relief)에 의해 분리되는 중앙 접점부 범프 영역과 다수의 신호 접속부를 가질 수 있다. 멤브레인 내의 삼각형 릴리프의 시스템은 상기 중앙 접점부 범프 영역이 프로브 카드의 일반적인 평면 위로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멤브레인이 줄어들 수 있게 한다.
도10A 및 도10B는 본 발명의 대체 실시예(1000)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 기판(1002)은 링(예컨대, 정사각형 링) 또는 중실 기판이 아니라 중앙 개구(1004)를 갖는 프레임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예컨대, 도면 부호 902, 922, 942, 962와 비교됨) 선택적으로, 중앙 개구(1004)는 도10C에 도시된 타일 기판(1002)으로 도시된 단순히 중실 기판 내의 홈진 중앙 영역이 될 수 있다.
얇은 유전체 필름(1006)은 타일 프레임(1002)의 (도면에 도시된 방향으로) 상부면을 가로질러 장착되고 멤브레인으로 기능한다. 선택적으로, 얇은 유전체 필름(1006)은 도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 프레임(1002b)의 상반부(1008a) 및 하반부(1008b)의 2개의 반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다수의(도시된 많은 것들 중에 4개의) 접점부 범프(1010)는 멤브레인(1006)의 (도시된 방향으로) 상부면 상에 형성된다.[도10D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접점부 범프(1010)가 적절한 방법으로 상부 링(1008a)의 평면을 초과하여 연장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신호 라인(1012)(예컨대, 미세 스트립 전달 라인)은 상기 멤브레인 상에 형성되고,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성능 기판(프로브 카드)과 같은 (도시되지 않은) 대 기판으로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타일 프레임 또는 기판을 통해 연결된다. 한 실시예가 도10E에 도시되어 있는데, (1008a에 대비되는) 상부 타일 프레임 반부(1018a)를 구비한 타일 프레임(1002c)은 전도성 바이어스(1020, 1020a, 1020b; vias)와 땜납 범프(또는 패드; 1024)로 종단되는 라인(1022)을 구비한다. 도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조립체[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타일 프레임 반부(1018a), 하부 타일 프레임 반부(1018b), 멤브레인(1006)]의 최하부 특징은 전술한 임의의 방법으로 (도시되지 않은) 대 기판에 개별 타일을 연결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땜납 볼(1024) 등이다.
도10E가 양식화된 것이고 범프 접점부가 (도시된 방향으로) 최상부 특징이 되며 프로브 카드와 이들 접점부 범프 사이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한 (도10C 내지 도10E의 모든 도면에서) 일래스토머가 멤브레인(1006) 후방에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알 수 있다.
웨이퍼-레벨 번-인(WLBI)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스프링 접점부 캐리어를 갖는 큰 타일 기판의 이점은 전체 반도체 웨이퍼가 (프로브 카드 조립체와 반도체 웨이퍼 사이의 단일 압력 연결로써) 단번에 (시험 및 번-인을 위해) 접점될 수 있도록 충분한 개수의 프로브 소자가 프로브 카드 조립체 상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웨이퍼-레벨 번-인이라는 용어는 상기의 방법으로 전체 반도체 웨이퍼 상에서 수행된 임의의 전기적 기능을 포함한다.
도11A는 웨이퍼-레벨 번-인을 달성하는 기술의 실시예(1100)를 도시한다. 이것으로만 제한되지는 않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 직립 스프링 접점부 또는 멤브레인 타일의 접점부 범프(1000) 등을 포함하는 프로브 소자(1106)를 갖는 다수의 (도시된 많은 것 중 6개의) 타일(1102)은 (도5에 대비된) 프로브 카드 조립체의 공간 변환기(space transformer)일 수도 있는 대 기판(1104)에 장착된다. 다수의 (도시된 많은 것 중 6개의) 반도체 다이(1108)는 반도체 웨이퍼(1110) 상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 타일(1102)은 소정의 반도체 다이(1108)와 결합(정렬)되고, 따라서 프로브 소자(1106)는 반도체 다이 상의 관심 있는 결합 패드에 대응되는 패턴으로 배치된다.
도11B는 웨이퍼-레벨 번-인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의 다른 실시예(1120)를 도시한다. 프로브 소자(1126; 또한 이것으로만 제한되지는 않으나 자유 직립 스프링 접점부 또는 멤브레인 타일의 접점부 범프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도시된 많은 것 중에서 3개의) 타일(1122a, 1122b, 1122c)은 (다시, 공간 변환기 또는 프로브 카드 조립체일 수도 있는) 대 기판(1124) 상에 장착된다. 다수의 (도시된 많은 것 중에서 6개의) 반도체 다이(1128a-1128f)는 반도체 웨이퍼(1130) 상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타일(1122a-1122c)은 2개의 인접 반도체 다이(1128a-1128f)와 결합(정렬)된다. 타일(1122a)은 2세트의 프로브 소자(1126)를 구비하며, 각 세트는 2개의 대응되는 반도체 다이(1128a, 1128b) 중의 하나에 관심 있는 결합 패드에 대응되는 패턴으로 배치된다. 타일(1122b)은 2세트의 프로브 소자(1126)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세트는 2개의 대응되는 반도체 다이(1128c, 1128d) 중의 하나에 관심 있는 결합 패드에 대응되는 패턴으로 배치된다. 타일(1122c)은 2세트의 프로브 소자(1126)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세트는 2개의 대응되는 반도체 다이(1128e, 1128f) 중의 하나에 관심 있는 결합 패드에 대응되는 패턴으로 배치된다.
도11C는 웨이퍼-레벨 번-인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의 다른 실시예(1140)를 도시한다. 프로브 소자(1106; 또한 이것으로만 제한되지는 않으나 자유 직립 스프링 접점부 또는 멤브레인 타일의 접점부 범프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도시된 많은 것 중에서 6개의) 타일(1142a-1142f)은 (다시, 공간 변환기 또는 프로브 카드 조립체일 수도 있는) 대 기판(1144) 상에 장착된다. 다수의 (도시된 많은 것 중에서 5개의) 반도체 다이(1148a-1148e)는 반도체 웨이퍼(1150) 상에 위치된다. 본 도면에서, 반도체 웨이퍼(1150)의 모서리가 도시되어 있고 전체 반도체 다이가 반도체 다이(1148a)의 (도시된 방향으로) 좌측으로 뿐만 아니라 반도체 다이(1148e)의 (도시된 방향으로) 우측으로 제작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1140)에서, 각각의 반도체 다이용의 타일이 (일반적으로) 존재하더라도 각 타일 상의 프로브 소자는 한 반도체 다이 상의 결합 패드의 단지 일부분만이 그리고 다른 인접 반도체 다이 상의 결합 패드의 일부분만이 접촉하도록 배치된다는 것이 배치된다. 예를 들면, 타일(1142b)의 프로브 소자는 반도체 다이(1148a)의 (도시된 방향으로) 좌측과 반도체 다이(1148b)의 (도시된 방향으로) 우측과 접점한다.
타일(1142a)은 반도체 웨이퍼의 모서리에서 사용할 수 없는 다이 지점 위로 연장하고, 반도체 다이(1148a)의 (도시된 방향으로) 좌측 부분과 단지 접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타일(1142a)은 완전한 세트의 프로브 소자를 구비할 필요는 없으나, 상기 타일의 대부분(1142b-1142e)과 상이하다. 타일(1142f)로부터 유사한 결과가 도출된다. 그러나, 타일(1142a, 1142f)은 타일(1142b-1142e)과 동일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웨이퍼-레벨 번-인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상기 예(실시예)에 있어서, 반도체 웨이퍼 상의 모든 반도체 다이는 상호 설계 및 배치의 관점에서 동일하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타일은 [원주 방향 타일(1142a, 1142f)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상호 동일하다. 그러나, 프로브 소자의 동일하지 않은 배치를 갖는 다수의 동일하지 않은 타일이 웨이퍼-레벨 번-인 및 다수의 압접 접속이 필요한 다른 적용을 위한 대 기판에 장착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열팽창 계수의 고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간 변환기 소자(622)와 같은 프로브 카드 소자는 그 표면 상의 다수의 타일(600)과 함께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각 타일은 타일 수준에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다수의 스프링 접점부 소자(612, 614)와 또한 예컨대 웨이퍼-레벨 번-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 기판(예컨대, 프로브 카드 소자)의 표면에 연결된 플립-칩(flip-chip)을 지지한다.
이러한 노력에 있어서, 프로빙되는 소자를 포함한 관계된 다양한 소자의 열팽창 계수를 고려하는(예컨대, 프로브 카드의 열팽창 계수와 반도체 웨이퍼의 열팽창 계수를 일치시키는) 것이 종종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다양한 재료의 열팽창 계수는 그리-인바르-구리 라미네이트, 알루미늄 질화 세라믹(절연 재료), 및 유리 세라믹(절연 재료)을 포함하는 실리콘의 열팽창 계수와 (충분하게) 일치된다. 몰리브덴의 열팽창 계수는 세라믹과 유사하다.
도12A는 웨이퍼-레벨 번-인을 위한 것과 같이 프로브된 (도시되지 않은) 반도체 웨이퍼의 열팽창 계수와 충분히 일치하도록 전술한 프로브 카드 조립체의 열팽창 계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적절하게는 상기 조립체의 공간 변환기 소자인 (622에 대비되는) 대 기판(1204)에 (602에 대비되는) 다수의 (도시된 많은 것 중에서 하나의) 타일(1202)을 장착하기 위한, 또한 본 발명의 프로브 카드 조립체의 (504에 대비되는) 인터포저(interposer) 소자와 같은 다른 접속 소자(1206)로써 대 기판(1204)에 꼭 필요한 접속을 하기 위한 기술(1200)의 단면도이다.
다수의 (도시된 많은 것 중 6개의) 스프링 소자(1210)는 전술한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그 상에 배치된 단자와 같이 타일 기판(1202)의 (도시된 방향으로) 상부면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타일 기판(1202)은 임의의 공간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다. 타일 기판(1202)은 일 피치(공간)의 상부면 상의 단자와 다른 큰(조악한) 피치의 (도시 방향으로) 하부면 상의 단자를 갖는 대 기판(1204)의 (도시 방향으로) 상부면에 장착된 플립-칩이다. 대 기판(1204)은 적절하게는 전술한 프로브 카드 조립체의 전술한 공간 변환기 소자와 같은 다중 층 배선 기판이다.
수동 기판(1220)은 적절한 접착제로써 대 기판(1204)의 (도시 방향으로) 하부면에 장착되고, 큰 (공간 변환) 기판(604)의 (도시 방향으로) 하부면 상의 단자와 정렬된 다수의 (도시된 많은 것 중 2개의) 개구(1226)를 구비한다. 수동 기판(1220)의 목적은 타일(1202) 조립체 및 공간 변환기(1204)의 열팽창 계수를 제어(변경)하는 것이고, 양호하게는 스프링 소자(1210)의 선단(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단부)에 의해 프로빙되는 소자의 열팽창 계수와 일치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수동 기판(1220)은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는 전기적으로 전도체인 구리/인바르/구리 라미네이트이다. 공간 변환기 기판의 하부면 상의 단자가 단락(short)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이러한 경우, 후술하는 스프링 소자(1230)의 단락을 또한 방지하기 위해], 기판(1220)은 파릴린(parylene)과 같은 적절한 절연 재료(1224)로써 코팅된다.
(큰) 공간 변환기 기판(1204)의 (도시 방향으로) 하부 단자로의 접속은 스프링 소자(1230)가 연장할 수 있고 적절한 일래스토머 화합물(1234)에 의해 보유될 수 있는 개구를 갖는 지지 기판(1232)에 의해 소정의 상호 공간 관계로 유지되는 본 발명의 (도시된) 적절한 복합 접속 소자인 스프링 소자(1230)의 선단(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단부)으로써 수행된다.
도12B는 전술한 방법으로 하기의 변형예를 갖는 대 기판(1204)에 다수의 (도시된 많은 것 중 하나의) 타일(1202)을 장착하기 위한 선택적 실시예(1250)의 단면도이다.
실시예(1250)에 있어서, 접속 소자(1230)의 (도시된 방향으로) 상단부는 대 기판(1204)의 (도시 방향으로) 하부면 상의 단자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반면에, 기판(1220) 내의 구멍(개구; 1226)은 z-축 전도성 접착제 또는 전도성(예컨대, 은 충전) 에폭시와 같은 접속 재료(1252)로써 충전된다. 이는 구멍(1226)을 통해 연장될 필요가 없는 접속 소자(1230)의 형태 및 높이에 대한 제한 조건을 완화시킨다.
이는 대 기판을 구비한 타일 조립체의 열팽창 계수가 타일 상의 스프링 접점부에 의해 접촉되는 다른 전자 부품의 열팽창 계수에 (거의) 일치할 수 있게 한다.
비록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도시되고 개시되었으나, 특성상 예시적인 것이지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즉 단지 양호한 실시예가 개시되었고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수정 및 변경은 보호받아야 한다. 명백하게는, 전술한 요지에 관한 많은 다른 변경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 변형의 몇몇은 이미 개시되었다.
예를 들면, 마스킹 재료(예컨대, 포토리지스트)가 기판에 적용되고 마스크를 통과한 광에의 노출 및 마스킹 재료의 일부를 화학적으로 제거(예컨대, 종래의 사진 석판술)하는 것과 같이 패턴화된 본원에서 개시된 임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적절히 조준된 광(예컨대, 엑시머 레이저로부터 나옴)을 제거하고자 하는 마스킹 재료(예컨대, 블랭킷 처리된 경화 포토리지스트)의 일부에 조사하여 상기 마스킹 재료의 상기 부분을 제거하거나, 또는 적절히 조준된 광으로써 마스킹 재료의 경화 부분에 직접(마스크를 사용하지 않고서) 조사하여 경화되지 않은 마스킹 재료를 세척하는 등의 선택적인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접속 소자는 단지 프로브 카드 조립체의 타일 소자의 단자에 직접 장착될 수 있는 적절한 탄성 접점부 구성의 실시예인 것으로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바늘을 납땜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소정의 패턴 내에 선택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타일의 단자 상에 납땜될 수 있도록 텅스텐과 같이 본질적으로 (상대적으로 큰 항복 강도를 갖는) 탄성 재료의 바늘은 땜납 또는 금과 같은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예를 들면, 한 표면의 단자로부터 대향 표면 상의 단자로 관통하는 전도성 바이어스를 갖는 타일 기판은 한 기판 상의 단자에 장착된 스프링 소자와 대향 표면 상의 단자에 (C4 땜납 조인트와 같이) 직접 장착된 반도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도체 칩 조립체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싸인다.
타일 기판의 대향 표면 상의 단자로부터 상기 타일 기판의 한 표면 상의 스프링 접점부의 선단의 오프셋(offset)을 결정하는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반투명(또는 투명) 재료를 상기 기판이 갖는다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또한 속한다. 또한, 이러한 결정을 위하여, 2개의 카메라를 구비한 가시화 시스템 또는 x선 등과 같은 계측 장비가 사용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타일이 존재하는 대 기판은 상기 기판 내에(묻힌) 또는 그 상의 저항체 또는 캐패시터와 같은 전자 부품, 전류 제한 소자(전형적으로는, 저항 네트워크), 및 능동 스위치 소자(예컨대, 소정의 단자에 신호를 제공하기 위함) 등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대 기판에 납땜된 타일이 전자 부품(예컨대, 반도체 웨이퍼)에 대해 압착(웨이퍼 프로빙)되고 온도가 상승되어 상기 타일을 대 기판에 결합하는 땜납 조인트를 열화시킬 때 발생될 수도 있는 현상인] 재유동 크러싱(reflow crushing)을 방지하기 위해, (856과 대비되는) 스탠드오프(standoff) 소자는 타일 기판의 후방(뒷면) 측면 상에 [또는, 선택적으로 대 기판의 전방(앞면) 측면 상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 기판에 장착된 다수의 타일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스프링의 선단은 상기 선단의 소정의 위치(간격, 정렬 위치)에 오목부를 미세 가공한 (도9B의 930과 대비되는) 정렬 기판 내로 상기 선단을 압착함으로써 정렬될 수 있다.
Claims (21)
- 다수의 스프링 접점 소자로써 전자 부품을 접점시키면서 상기 전자 부품을 프로빙하는 방법에 있어서,프로브하고자 하는 전자 부품의 시험 가능한 영역만큼 큰 상대적으로 대 기판-여기서, 상기 기판은 전방 표면을 가짐-을 제공하는 단계와,각각이 그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다수의 스프링 접점부 소자를 갖는 적어도 2개의 타일 기판 중의 다수의 것을 대 기판의 전방 표면으로 장착 및 접속하는 단계와,스프링 접점 소자가 전자 부품과 접촉하도록 상기 대 기판과 전자 부품을 상호 압착시키는 단계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전자 부품은 반도체 웨이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가능한 영역은 반도체 웨이퍼 상에 다수의 다이 측면이며, 스프링 접점부는 한번에 다수의 다이 측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전자 부품의 시험 가능한 영역은 상기 전자 부품의 전체 표면 영역의 적어도 반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전자 부품은 인쇄 회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전자 부품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 접점부 소자는 프로브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 접점부 소자는 복합 접속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 접점부 소자는 멤브레인 상에 배치된 접점부 범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타일 기판과 대 기판 사이가 땜납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대 기판은 프로브 카드 조립체의 공간 변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전자 부품은 반도체 웨이퍼이고, 각 타일 기판의 스프링 접점부 소자는 일대일 관계로 반도체 웨이퍼 상의 개별 반도체 다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전자 부품은 반도체 웨이퍼이고, 각 타일 기판의 스프링 접점부 소자는 반도체 웨이퍼 상의 적어도 2개의 반도체 다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타일 기판은 땜납 조인트에 의해 대 기판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타일 기판이 장착된 대 기판은 프로브 카드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타일 기판이 장착된 대 기판은 프로브 카드에 장착되고 인터포저에 의해 상기 프로브 카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프로브 카드와 다수의 프로브 소자를 갖는 프로브 카드 조립체에 있어서,상부면, 하부면, 상부면 상에 배치된 다수의 제1 단자, 하부면 상에 배치된 다수의 제2 단자를 갖는 공간 변환기 기판과,각각이 상부 및 하부면을 갖는 적어도 2개의 타일 기판과,타일 기판과 공간 변환기 기판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수행하는 수단과,타일 기판의 상부면 상에 배치된 다수의 프로브 소자에의해 특징 지워지는 프로브 카드 조립체.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소자는 자유 직립 공간 접점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카드 조립체.
- 제18항에 있어서, 다수의 자유 직립 스프링 접점부의 단부들에 장착된 선단 구성에 의해 특징 지워지는 프로브 카드 조립체.
- 제18항에 있어서, 자유 직립 스프링 접점부는 복합 접속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카드 조립체.
- 다수의 타일 중의 하나로서 대 기판 상에 장착되어 사용되도록 설계된 타일에 있어서,2개의 대향 표면을 갖는 타일 기판과,상기 2개의 표면 중의 하나로부터 연장하는 스프링 접점부와,상기 2개의 대향 표면 중의 다른 하나 상의 땜납 가능한 단자와,땜납 가능한 단자를 스프링 접점부에 접속시키는 상기 타일 기판 내부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8/452255 | 1995-05-26 | ||
US8/533584 | 1995-10-18 | ||
US08/533,584 US5772451A (en) | 1993-11-16 | 1995-10-18 | Sockets for electronic components and methods of connecting to electronic components |
US08/554,902 US5974662A (en) | 1993-11-16 | 1995-11-09 | Method of planarizing tips of probe elements of a probe card assembly |
US8/554902 | 1995-11-09 | ||
PCT/US1995/014909 WO1996017378A1 (en) | 1994-11-15 | 1995-11-13 | Electrical contact structures from flexible wire |
WOPCT/US95/14909 | 1995-11-13 | ||
US8/558,332 | 1995-11-15 | ||
US8/558332 | 1995-11-15 | ||
US08/558,332 US5829128A (en) | 1993-11-16 | 1995-11-15 | Method of mounting resilient contact structures to semiconductor devices |
US1202796P | 1996-02-21 | 1996-02-21 | |
US60/012,027 | 1996-02-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1982A true KR19990021982A (ko) | 1999-03-25 |
KR100266389B1 KR100266389B1 (ko) | 2000-09-15 |
Family
ID=6616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708457A KR100266389B1 (ko) | 1995-05-26 | 1996-05-24 | 스프링 접점부를 구비한 대 기판을 정주시키기 위한 접점 캐리어(타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66389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9757B1 (ko) * | 2000-03-28 | 2002-06-05 | 이억기 | 프로브 카드의 제조 방법 |
KR100691164B1 (ko) * | 2005-08-02 | 2007-03-09 | 주식회사 파이컴 | 프로브 카드 조립체 |
KR100760782B1 (ko) * | 1999-06-07 | 2007-09-20 | 폼팩터, 인크. | 세그멘트형 접촉자 |
KR100945545B1 (ko) * | 2009-08-11 | 2010-03-08 | 윌테크놀러지(주) | 프로브 카드 및 그 제조방법 |
KR200454501Y1 (ko) * | 2008-03-03 | 2011-07-08 |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 번-인 소켓 및 커넥터의 조립체 |
KR20170044361A (ko) * | 2015-10-15 | 2017-04-25 | 한국전기연구원 |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핀 제조방법 |
KR20180092027A (ko) * | 2017-02-08 | 2018-08-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프로브 카드 어셈블리 |
KR20220014940A (ko) * | 2020-07-29 | 2022-02-08 | 화인인스트루먼트 (주) | 프로브 어레이 본딩 장비 및 그를 이용한 프로브 본딩 방법 |
KR20220153661A (ko) * | 2014-12-30 | 2022-11-18 | 테크노프로브 에스.피.에이. | 테스트 헤드용 접촉 프로브 |
-
1996
- 1996-05-24 KR KR1019970708457A patent/KR10026638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0782B1 (ko) * | 1999-06-07 | 2007-09-20 | 폼팩터, 인크. | 세그멘트형 접촉자 |
KR100793506B1 (ko) * | 1999-06-07 | 2008-01-14 | 폼팩터, 인크. | 세그멘트형 접촉자 |
KR100339757B1 (ko) * | 2000-03-28 | 2002-06-05 | 이억기 | 프로브 카드의 제조 방법 |
KR100691164B1 (ko) * | 2005-08-02 | 2007-03-09 | 주식회사 파이컴 | 프로브 카드 조립체 |
KR200454501Y1 (ko) * | 2008-03-03 | 2011-07-08 |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 번-인 소켓 및 커넥터의 조립체 |
KR100945545B1 (ko) * | 2009-08-11 | 2010-03-08 | 윌테크놀러지(주) | 프로브 카드 및 그 제조방법 |
KR20220153661A (ko) * | 2014-12-30 | 2022-11-18 | 테크노프로브 에스.피.에이. | 테스트 헤드용 접촉 프로브 |
KR20170044361A (ko) * | 2015-10-15 | 2017-04-25 | 한국전기연구원 |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핀 제조방법 |
KR20180092027A (ko) * | 2017-02-08 | 2018-08-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프로브 카드 어셈블리 |
KR20220014940A (ko) * | 2020-07-29 | 2022-02-08 | 화인인스트루먼트 (주) | 프로브 어레이 본딩 장비 및 그를 이용한 프로브 본딩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66389B1 (ko) | 2000-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540577B2 (ja) | プローブカード・アセンブリ及びキット、及びそれらを用いる方法 | |
JP4150695B2 (ja) | より大きな基板にばね接触子を定置させるための接触子担体(タイル) | |
US5806181A (en) | Contact carriers (tiles) for populating larger substrates with spring contacts | |
US6741085B1 (en) | Contact carriers (tiles) for populating larger substrates with spring contacts | |
EP1092338B1 (en) | Assembly of an electronic component with spring packaging | |
US6330744B1 (en) | Customized electrical test probe head using uniform probe assemblies | |
KR20010053283A (ko) | 스프링 패키징을 이용한 전자 부품 조립체 | |
KR100707044B1 (ko) | 집적회로 웨이퍼 프로브카드 조립체의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0266389B1 (ko) | 스프링 접점부를 구비한 대 기판을 정주시키기 위한 접점 캐리어(타일) | |
EP0792462B1 (en) | Probe card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KR100278342B1 (ko) | 탐침 카드 조립체에서 탐침 요소의 배향을 변경하는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216 Effective date: 20110503 |
|
EXTG | Extingu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610 Year of fee payment: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