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6506A - Container crane - Google Patents
Container cra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86506A KR19980086506A KR1019980004890A KR19980004890A KR19980086506A KR 19980086506 A KR19980086506 A KR 19980086506A KR 1019980004890 A KR1019980004890 A KR 1019980004890A KR 19980004890 A KR19980004890 A KR 19980004890A KR 19980086506 A KR19980086506 A KR 199800865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olley
- container
- trolleys
- pedestal
- boom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olley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크레인을 경량으로 하고 하역시간을 단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educing the weight of the container crane and the unloading time.
본 발명의 컨테이너 크레인은 가더(31, 32)를 주행하는 세 개의 트롤리 중, 중앙의 트롤리(60)는 양쪽의 트롤리(41, 45)의 각각의 매달기 도구(42, 46)로부터의 컨테이너를 싣는 받침대(61)를 구비하고 있다. 트롤리(60)는 받침대(61)를 로프(62)로 매달고 있다. 하역작업은 트롤리(45)로 컨테이너를 매달아올려 받침대(61)에 싣는다. 받침대(61)의 컨테이너를 트롤리(41)가 매달아올려 육지쪽에 내려놓는다. 받침대(61)의 높이위치는 컨테이너를 매달아올린 상태에서 트롤리(45)가 주행할 수 있는 최저 높이를 기준으로 한 높이이다. 하역작업의 진행에 따라 받침대(61)의 높이위치는 서서히 하강한다. 선적할 때에는 받침대(61)의 위치는 서서히 상승한다. 트롤리(60)의 주행하는 보조비임(37)은 텐션바(28)와 붐(32)의 연결점보다도 육지쪽에 있다.In the container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three trolleys that travel the guards 31 and 32, the central trolley 60 carries the container from each of the hanging tools 42 and 46 of both trolleys 41 and 45. The mounting base 61 is provided. The trolley 60 hangs the pedestal 61 with the rope 62. The unloading operation hangs the container with the trolley 45 and loads it on the base 61. The container of the pedestal 61 is suspended by the trolley 41 and lowered to the land side. The height position of the base 61 is the height based on the minimum height which the trolley 45 can run in the state which suspended the container. As the unloading operation proceeds, the height position of the pedestal 61 gradually descends. At the time of shipment, the position of the base 61 rises gradually. The auxiliary beam 37 traveling of the trolley 60 is located on the land side rather than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tension bar 28 and the boom 32.
Description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for unloading a container.
컨테이너 하역의 효율화가 요청되고 있다. 이때문에, 일본국 특공평7-68036호 공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개의 컨테이너 크레인에, 컨테이너를 매달아올리는 두 개의 트롤리와, 이 두 개의 트롤리 사이에 컨테이너를 싣는 트롤리를 설치한 크레인이 있다. 세 개의 트롤리는 크레인의 가더(붐을 포함)를 주행하게 되어 있다. 중앙의 트롤리는 컨테이너를 중계하는 것으로, 컨테이너의 받침대를 트롤리로부터 매달고 있다.There is a demand for efficient container unloading. For this reason, as shown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7-68036, there exist one container crane with two trolleys which hold | maintain a container, and the crane provided with the trolley which loads a container between these two trolleys. Three trolleys are intended to drive the crane's guards (including the boom). The center trolley relays the container, and the pedestal of the container is suspended from the trolley.
바다쪽의 트롤리가 배에서 컨테이너를 매달아올리면, 이 트롤리와 중계용 트롤리 중의 한쪽 또는 양쪽을 주행시켜, 트롤리가 매단 컨테이너의 아랫쪽에 중계용 트롤리의 받침대를 위치시켜 컨테이너를 받침대에 싣는다. 다음에, 중계용 트롤리와 육지쪽의 트롤리 중의 한쪽 또는 양쪽을 주행시켜 육지쪽의 트롤리의 아랫쪽에 중계용 트롤리의 컨테이너를 위치시켜 컨테이너를 육지쪽의 트롤리로 옮긴다. 육지쪽의 트롤리는 육지 위로 컨테이너를 내려놓는다.When the sea side trolley lifts the container from the boat, one or both of the trolley and the relay trolley are driven, and the trolley places the base of the relay trolley at the bottom of the hanging container and loads the container on the base. Next, one or both of the relay trolley and the trolley on the land side is driven to position the container of the relay trolley at the bottom of the trolley on the land side and the container is moved to the trolley on the land side. The land trolley lowers the container onto the land.
일본국 실개소 59-149889호 공보에 나타낸 것은 중계용 트롤리의 받침대를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단, 받침대와 트롤리 사이는 철골이다. 또, 육지쪽의 트롤리는 주행하지 않는다.As shown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9-149889,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base of the relay trolley is provided freely. However, the steel frame is between the base and the trolley. Also, the trolley on the land side does not run.
일본국 특개평 5-97251호 공보에 나타낸 것은 트롤리의 주행하는 붐의 아랫쪽에 붐과 동일 길이로, 컨테이너를 실은 대차(台車)가 주행하는 제 2 가더를 설치한 것이다. 트롤리로 컨테이너를 매달아올려 대차에 싣고, 대차는 크레인의 다리쪽으로 주행하여, 이것을 승강대에서 지상쪽으로 반송한다. 대차가 주행하는 제 2 가더는 승강한다.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5-97251, a second guider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om on which the trolley travels, the same length as that of the boom, on which a trolley carrying a container runs. The trolley is suspended by a trolley, loaded onto a trolley, and the trolley travels toward the legs of the crane, which is conveyed from the platform to the ground. The second guard, on which the trolley travels, moves up and down.
일본국 실공소 61-39749호 공보에 나타낸 것은, 두 개의 트롤리의 주행범위의 아랫쪽에 컨베이어를 구비한 제 2 가더를 설치하고, 그 제 2 가더를 상기 트롤리의 주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승강시키는 것이다. 제 2 가더의 끝단은 배의 컨테이너의 윗쪽에 위치한다.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61-39749 discloses that a second guide with a conveyor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travel range of two trolleys, and the second guide is mov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olley and moved up and down. . The end of the second guard is located above the ship's container.
일본국 특공평 7-68036호 공보, 일본국 실개소 59-149889호 공보의 중계용 트롤리는 컨테이너를 싣는 받침대와, 가더를 주행하는 트롤리 사이는 철골로 접속되어 있다. 받침대와 트롤리 사이는 상당한 높이 거리가 있다. 받침대에는 수십톤 중량의 콘테이너가 실린다. 특히, 중계용 트롤리는 컨테이너를 싣고 주행하므로 상기 철골은 대형이고 대중량이 된다. 이 때문에, 이것을 지탱하는 트롤리, 가더, 붐, 그의 다리도 대중량이 된다.The relay trolleys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68036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9-149889 are connected by steel frames between a pedestal for loading a container and a trolley for driving a guard. There is a significant height distance between the pedestal and the trolley. The pedestal carries tens of tons of containers. In particular, since the relay trolley carries a container and travels, the steel frame becomes large and popular. For this reason, the trolley, the guard, the boom, and the leg which support this also become a mass.
또, 상기 일본국 특공평 7-68036호 공보의 중계용 트롤리의 받침대의 높이 위치는 배의 갑판 위에 겹쳐 쌓은 컨테이너의 가장 높은 부분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중계용 트롤리를 배의 윗쪽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받침대는 철골로 매달기 때문에, 받침대의 높이는 변경할 수 없다. 일본국 실개소 59-149889호 공보의 중계용 트롤리의 받침대는 승강할 수 있으나, 배의 갑판 근처까지는 하강할 수 없다. 따라서, 하역작업이 진행되어도 바다쪽의 트롤리 및 육지쪽의 트롤리는 매달기 도구를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킬 필요가 있고 하역작업에 시간을 요하게 된다. 컨테이너를 배에 싣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Moreover, the height position of the base of the relay trolley of the said Japanese Unexamined-Japanese-Patent No. 7-68036 becomes a position higher than the highest part of the container piled up on the deck of a ship. For this reason, the relay trolley can be located above the boat. However, since the pedestal is suspended by steel frame, the height of the pedestal cannot be changed. The base of the relay trolley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9-149889 may be elevated, but not near the deck of the ship. Therefore, even when the unloading operation is carried out, the trolley on the sea side and the trolley on the land side need to raise the hanging tool to a high position and it takes time for the unloading operation. The same applies to loading a container into a boat.
일본국 특개평 5-97251호 공보, 일본국 실공소 61-39749호 공보의 제 2 가더는 길이가 길기 때문에 대형이고 대중량이 된다.The second guards of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5-97251 and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61-39749 are large and popular because of their long length.
일본국 특개평 5-97251호 공보의 바다쪽 트롤리의 매달기 도구는 제 2 가더를 관통하여 승강하므로, 주행하는 대차와의 충돌방지가 필요해서 하역효율의 향상에는 충분한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Since the hanging tool of the sea side trolley of JP-A-597251 goes up and down through the second guard, it is necessary to prevent collision with the traveling truck, so that sufficient control is required to improve the loading efficiency.
일본국 실공소 61-39749호 공보의 것은 제 2 가더가 수평으로 이동하므로 육지쪽의 하역위치가 한정된다.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61-39749 has a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second guard, which limits the unloading position on the land side.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중계용 트롤리를 가지는 컨테이너 크레인에 있어서, 경량으로 하는 데에 있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weight of a container crane having a relay trolley.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중계용 트롤리의 주행 컨테이너의 하역시간을 단축하는 데에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orten the unloading time of the traveling container of the relay trolle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크레인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cran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크레인의 측면도이며 하역작업 방법을 설명하는 도,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cran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iagram illustrating a unloading operation metho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크레인의 측면도이며 하역작업 방법을 설명하는 도,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cran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plaining the unloading operation method,
도 4는 도 1의 가더의 위치에서 붐쪽을 본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boom from the position of the guard of FIG. 1;
도 5는 도 1의 붐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the boom of FIG. 1;
도 6은 도 1의 트롤리의 측면도,6 is a side view of the trolley of FIG. 1;
도 7은 도 1의 가더와 붐의 연결부의 측면도,7 is a side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boom and the boom of FIG.
도 8은 도 7의 평면도,8 is a plan view of FIG.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크레인의 종단면도.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ran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31 : 가더 32 : 붐31: Garder 32: Boom
37, 37b : 보조비임 35, 38, 39 : 레일37, 37b: auxiliary beams 35, 38, 39: rail
41, 45 : 트롤리 42, 46 : 매달기 도구41, 45: trolley 42, 46: hanging tool
60, 60b : 중계용 트롤리 61 : 매달기 도구60, 60b: relay trolley 61: hanging tool
제 1 목적은, 가더 및 붐은 양쪽의 두 개의 트롤리가 주행하는 제 1 레일과, 중앙의 트롤리가 주행하는 제 2 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레일은 상기 가더 및 상기 붐의 수평방향의 바깥쪽의 양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레일의 바다쪽 끝단의 위치는 상기 끝단에 상기 중앙의 트롤리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중앙의 트롤리보다도 바다쪽에 위치하는 바다쪽의 트롤리의 상기 매달기 도구가 승강할 수 있는 위치인 것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The first purpose is that the girder and the boom have a first rail on which both two trolleys travel, and a second rail on which a central trolley travels, the second rail being outside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girder and the boom. And the position of the sea end of the second rail, the suspension of the sea trolley located at the sea side than the center trolley with the center trolley positioned at the end. This can be achieved by being in a position where the tool can be elevated.
제 2 목적은 중계용의 트롤리의 받침대를 로프에 의해 승강시키면 동시에 로프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The second object can be achieved by raising and lowering the base of the trolley for relaying by the rope and inclining the rope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1에서 도 8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에서 컨테이너 크레인(20)은 배(S)와 육지쪽의 차량(도시생략) 등과의 사이에서 하역하는 것이다. 크레인(20)은 네 개의 다리(21, 22)의 상부에 수평으로 가더(31)를 설치하고 있다. 가더(31)의 바다쪽에 수평상태로부터 윗쪽 방향으로 회동하는 붐(32)을 설치하고 있다. 다리(22)의 윗쪽에 설치한 마스트(24)의 상단과 다리(21)쪽의 가더(31)를 텐션바(27)로 접속하고 있다. 마스트(24)의 상단과 붐(32)을 텐션바(28, 29)로 접속하고 있다. 텐션바(28, 29)는 링크 또는 로프로 이루어진다. 붐을 회동시키는 로프가 있으나 도시생략하고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In FIG. 1, the container crane 20 is unloaded between the ship S and the land side vehicle (not shown). The crane 20 is provided with the guard 31 horizont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four legs 21 and 22. As shown in FIG. The boom 32 which rotates to the upward direction from a horizontal state is provided in the sea side of the guard 31. As shown in FIG. The upper end of the mast 24 provided above the leg 22 and the guard 31 of the leg 21 side are connected by the tension bar 27. As shown in FIG. The upper end of the mast 24 and the boom 32 are connected by tension bars 28 and 29. Tension bars 28 and 29 are made of links or ropes. There is a rope to rotate the boom, but not shown.
가더(31)와 붐(32)을 주행하는 세 개의 트롤리(41, 45, 60)를 가진다. 붐(32)은 가더의 하나이다. 비임이라고도 호칭하는 일이 있다. 트롤리(41)는 육지쪽에 있고, 육지쪽과 중계용 트롤리(60)의 받침대(61)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것이다. 트롤리(45)는 배(S)와 중계용 트롤리(60)의 받침대(61)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것이다. 트롤리(45)는 붐(32)의 바다쪽 끝단으로부터 가더(31)의 육지쪽 끝단 근처까지 주행한다.It has three trolleys 41, 45, and 60 that travel the guard 31 and the boom 32. The boom 32 is one of the guards. It may also be called the beam. The trolley 41 is on the land side, and unloads the container between the land side and the pedestal 61 of the relay trolley 60. The trolley 45 unloads the container between the ship S and the pedestal 61 of the relay trolley 60. The trolley 45 runs from the sea end of the boom 32 to near the land end of the guard 31.
트롤리(41)는 육지쪽 하역위치로부터 트롤리(60)와의 중계위치까지의 범위를 주행한다. 육지쪽의 하역위치는 육지쪽의 다리(21)와 바다쪽의 다리(22) 사이, 또는 육지쪽의 다리(21)보다도 육지쪽의 위치에 있다. 여기에서는 다리(21)와 다리(22) 사이가 하역위치이며, 매달기 도구(42), 컨테이너(C)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중계위치는 다리(21)와 다리(22) 사이에서 배(S)의 윗쪽까지[붐(32)의 위치]의 범위이다.The trolley 41 travels from the land side unloading position to the relay position with the trolley 60. The unloading position on the land side is located between the bridge 21 on the land side and the bridge 22 on the sea side, or on the land side than the bridge 21 on the land side. Here, the leg 21 and the leg 22 are the unloading positions, and a guide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hanging tool 42 and the container C is provided. The relay position is in the range of the position of the boom 32 to the upper side of the ship S between the legs 21 and 22.
트롤리(45)는 주로 배(S)의 윗쪽[붐(32)의 위치]과 트롤리(60) 사이를 주행한다. 트롤리(45)와 트롤리(60)의 중계위치의 범위는 다리(21)와 다리(22) 사이에서 다리(22)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배(S)의 윗쪽의 범위이다.The trolley 45 mainly runs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ship S (position of the boom 32) and the trolley 60. As shown in FIG. The range of the relay positions of the trolley 45 and the trolley 60 ranges from the position close to the leg 22 between the legs 21 and 22 and above the ship S.
트롤리(41, 45)는 컨테이너를 윗쪽으로부터 착탈하는 매달기 도구(42, 46)를 로프를 개재하여 매달고 있다. 매달기 도구(42, 46)는 감아올림장치(도시생략)로 승강한다.The trolleys 41 and 45 suspend the hanging tools 42 and 46 which attach and detach a container from the top via a rope. Suspension tools 42 and 46 are elevated by a reel device (not shown).
중계용 트롤리(60)는 컨테이너를 싣는 받침대(61)를 로프(62)를 개재하여 매달고 있다. 받침대(61)는 컨테이너가 그 밑면에 스태킹콘을 붙이고 있는 경우에도 실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받침대(61)는 승강할 수 있다. 받침대(61)는 로프의 교환을 생각하여 지상으로 내려놓을 수 있다.The relay trolley 60 hangs the base 61 which mounts a container through the rope 62. As shown in FIG. The pedestal 61 allows the container to be loaded even when the container has a stacking cone attached to its bottom surface. The pedestal 61 can be elevated. The pedestal 61 can be lowered to the ground in consideration of the rope exchange.
도 4, 도 5에 있어서, 트롤리(41, 45)는 붐(32) 및 가더(31)의 안쪽 측면에 설치한 레일(47)을 주행한다.4 and 5, the trolleys 41 and 45 run on rails 47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boom 32 and the guard 31.
가더(31) 및 붐(32)은 각각 병렬인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두 개의 부재는 복수의 가로빔(33)으로 연결되어 있다. 가더(31) 및 붐(32)의 각각의 부재의 안쪽 측면의 하부에는 트롤리(41, 45)가 주행하는 레일(35)이 있다. 가더(31) 및 붐(32)의 각각의 부재의 바깥쪽 측면에는 트롤리(60)용의 보조비임(37)을 고정되어 있다. 보조비임(37)의 각각의 부재의 윗면 및 바깥쪽 측면의 하부에 레일(38, 39)을 설치하고 있다. 보조비임(37)은 가더(31), 붐(32)과 일체이므로, 가더이며 붐이나, 여기에서는 편의상 나누어 부르고 있다. 또, 보조비임(37)을 가더(31)나 붐(32)에 포함하여 부르는 일이 있다. 보조비임을 단순히 비임으로 호칭하는 일이 있다.The guard 31 and the boom 32 each consist of two members in parallel. Two members ar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transverse beams 33. Below the inner side of each member of the guard 31 and the boom 32 is a rail 35 on which the trolleys 41 and 45 run. The auxiliary beam 37 for the trolley 60 is fixed to the outer side surface of each member of the guard 31 and the boom 32. The rails 38 and 39 are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each member of the auxiliary beam 37, and the lower part of the outer side surface. Since the auxiliary beam 37 is integrated with the guard 31 and the boom 32, the auxiliary beam 37 is called a boom and is divided here for convenience. In addition, the auxiliary beam 37 may be included in the guard 31 and the boom 32. An assistant beam may simply be called a beam.
트롤리(60)는 보조비임(37)의 바깥쪽에 설치하고 있고, 좌우로 분할되어 있다. 각각의 트롤리(60)는 레일(38, 39)을 주행한다. 트롤리(60)는 레일(38)의 윗면에 싣는 차륜, 레일(38)의 안쪽 측면[다른쪽의 트롤리(60)쪽 면]에 접하는 차륜 및 레일(39)의 측면에 접하는 차륜(모두 도시생략)을 각각 가진다. 이에 의해, 트롤리(60)의 전도를 방지하면서 주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트롤리(60)의 프레임은 세로단면이 L형상이다. 프레임은 차륜 등을 가지는 수직조각(81)과, 하기의 주행장치나 감아올림장치(70)를 싣는 수평조각(82)과, 양자를 접속하는 경사부재(83)로 이루어진다. 즉, 컨티레버식이다. 이 때문에, 수평조각(82)의 윗쪽에는 큰 공간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감아올림장치(70) 등의 기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감아올림장치(70) 등의 기기를 기계실(50)에 설치한 방식(로프트롤리식이나 세미로프트롤리식)에서도 윗쪽의 큰 공간을 이용하여 로프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The trolley 60 is provided outside the auxiliary beam 37, and is divided in left and right. Each trolley 60 runs on rails 38 and 39. The trolley 60 is a wheel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38, a wheel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rail 38 (the other side of the trolley 60), and a wheel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rail 39 (not shown in the drawings). Have each). This enables traveling while preventing the trolley 60 from falling. The frame of the trolley 60 is L-shaped in longitudinal section. The frame consists of a vertical piece 81 having wheels and the like, a horizontal piece 82 carrying the following traveling device and a winding device 70, and an inclined member 83 connecting both. That is, it is a contiever type. For this reason, a large space can be obtained above the horizontal piece 82. For this reason, apparatuses, such as the take-up apparatus 70, can be installed easily. In addition, even in a system in which a device such as a take-up device 70 or the like is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50 (a rope trolley or a semi rope trolley), the rope can be easily arranged using a large space on the upper side.
각각의 트롤리(60)는 트롤리(60)를 주행시키는 주행장치(전동기 등을 포함) 및 매달기 도구(61)를 승강시키는 감아올림장치(전동기 등을 포함)(70)를 가진다. 트롤리(60)의 제어장치는 가더(31)에 설치한 기계실(50)에 있고, 두 개의 트롤리(60)의 주행(정지를 포함)이 동기하고, 또, 매달기 도구(61)의 승강이 동기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트롤리(60)에는 각종 검출기를 설치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륜의 회전량검출기, 주행위치검출기, 감아올림장치의 회전량검출기 등이다. 트롤리(60)와 기계실(50)은 다른 트롤리(41, 45)와 마찬가지로 커튼케이블(도시생략)로 접속하고 있다.Each trolley 60 has a traveling device (including an electric motor or the like) for driving the trolley 60 and a reeling device (including an electric motor or the like) 70 for elevating the hanging tool 61. The control device of the trolley 60 is located in the machine room 50 installed in the guard 31, and the traveling (including stopping) of the two trolleys 60 is synchronized,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hanging tool 61 is synchronized. I'm trying to. For this reason, the trolley 60 is equipped with various detectors. For example, a rotation amount detector of a wheel, a travel position detector, a rotation amount detector of a take-up device, and the like. The trolley 60 and the machine room 50 are connected with the curtain cable (not shown) similarly to the other trolleys 41 and 45.
트롤리(60)의 주행방향에서 보았을 때, 한쪽의 트롤리(60)의 로프(62a, 62b)와 다른쪽의 트롤리(60)의 로프(62a, 62b)의 간격은, 매달기 도구(42, 46) 및 컨테이너의 길이보다도 크다. 이 로프(62a, 62b)의 바깥쪽에 다리(22)가 있다. 각각의 트롤리(60)의 감아올림장치(70)로부터 풀어낸 로프(62a, 62b)는 시브(63a, 63b)를 거쳐 그 끝단부를 받침대(61)의 각각의 끝단부의 한 점에 고정하고 있다. 도 6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하나의 트롤리(60)에 있어서, 로프, 시브는 각각 네 개 있다. 또, 상기 「한 점에 고정하고 있다」라는 것은 트롤리(60)의 주행방향에서 보았을 때이며, 실제의 고정점은 네 점이다. 도 6에서, 시브(63a, 63b)의 위치가 동일위치이면 로프(62a, 62b)의 받침대(61)로의 고정점은 동일 위치로 할 수 있다.As seen from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olley 60, the distance between the ropes 62a and 62b of one trolley 60 and the ropes 62a and 62b of the other trolley 60 is the hanging tools 42 and 46. ) And the length of the container. There is a leg 22 on the outside of these ropes 62a and 62b. The ropes 62a and 62b released from the take-up device 70 of each trolley 60 are fixed to one end of each end of the pedestal 61 via the sheaves 63a and 63b. As is apparent from Fig. 6, in one trolley 60, there are four ropes and four sheaves each. In addition, said "fixing to one point" is when it sees from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olley 60, and an actual fixed point is four points. In Fig. 6, when the positions of the sheaves 63a and 63b are the same position, the fixing points of the ropes 62a and 62b to the pedestal 61 can be the same position.
트롤리(60)의 주행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상기 고정점을 중심으로한 수직선에 대하여 로프(62a, 62b)는 좌우 대상에 경사져 있다. 상기 수직선에 대한 로프(62a, 62b)의 각각이 이루는 각도(θ2)는 동일하다. 이 때문에,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으로부터의 바람에 의한 받침대(61)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When viewed from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olley 60, the ropes 62a and 62b are inclined to the left and right object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centered around each of the fixed points. The angle θ2 made by each of the ropes 62a and 62b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is the same. For this reason, the shake of the base 61 by the wind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container can be suppressed.
또한, 트롤리(60)의 주행 및 받침대(61)의 승강을 행하는 장치는 트롤리(60)에 설치하지 않고 기계실(50)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로프(62a, 62b)의 고정점은 받침대(61)에는 없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traveling of the trolley 60 and lifting the pedestal 61 can be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50 without being installed in the trolley 60. In this case, the fixing points of the ropes 62a and 62b are not in the pedestal 61.
트롤리(41, 45)의 주행 및 매달기 도구(62, 66)의 승강의 각각을 행하는 장치에 대해서도, 트롤리(41, 45)에 설치해도 좋고, 가더(32)의 기계실(50)에 설치해도 좋다.Also for the apparatus which performs traveling of each of the trolleys 41 and 45 and the lifting of the hanging tools 62 and 66, it may be provided in the trolleys 41 and 45, or may be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50 of the guard 32. FIG. good.
도 6은 트롤리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인 수평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감아올림장치(70)의 드럼(71)으로부터 풀어낸 네 개의 로프(62a, 62b)는 시브(63a, 63b)를 거쳐 받침대(61)에 고정하고 있다. 트롤리(60)의 주행방향에 있어서, 트롤리(60)로부터 로프를 매다는 간격은 받침대(61)로의 고정점의 간격[받침대(61)의 달아올림 간격]보다도 충분히 크다. 각각의 고정점의 수직선에 대한 각각의 로프의 경사각도(θ1)는 동일하다. 「62a, 62b」를 「62」로 표기하고 「63a, 63b」를 「63」으로 표기하는 일이 있다. 로프(62)는 체인이어도 된다.6 is a view seen in a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trolley. Four ropes 62a and 62b released from the drum 71 of the take-up device 70 are fixed to the base 61 via sheaves 63a and 63b. I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trolley 60, the interval for hanging the rope from the trolley 60 is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interval of the fixing point to the pedestal 61 (the spacing of the pedestal 61). The angle of inclination θ1 of each rop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of each fixed point is the same. "62a, 62b" may be described as "62", and "63a, 63b" may be described as "63". The rope 62 may be a chain.
이에 의하면, 트롤리(60)와 받침대(61) 사이의 로프(62a, 62b)를 경사지게 하고 있으므로, 트롤리(60)의 주행에 의한 받침대(61)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로프(62a, 62b)를 받침대(61)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받침대(61)의 흔들림을 억제하기 쉽다. 더욱이 2계통 설치하고 있으므로, 받침대(61)의 흔들림을 억제하기 쉽다. 또, 각각의 로프(62a, 62b)의 경사각도(θ1)는 동일하므로, 드럼(71)의 로프의 감아들임량을 동일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is, since the rope 62a, 62b between the trolley 60 and the base 61 is inclined, the shake of the base 61 by running of the trolley 60 can be suppressed. Moreover, since the rope 62a, 62b is being fixed to the base 61, the shake of the base 61 is easy to be suppressed. Furthermore, since two systems are provided, it is easy to suppress the shaking of the pedestal 61. Moreover, since the inclination angle (theta) 1 of each rope 62a, 62b is the same, the amount of winding of the rope of the drum 71 can be made the same.
도 7, 도 8에서, 가더(31, 37)와 붐(32, 37)은 핀(30)으로 연결되어 있다. 가더(31, 37)와 붐(32, 37)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한 브래킷을 핀(30)으로 연결하고 있다. 핀(30)보다도 아랫쪽으로 모든 레일(35, 38,39)을 설치하고 있다. 핀(30)은 레일(35, 38, 39)보다도 윗쪽에 있으므로, 브래킷의 구성이 단순해진다. 또, 레일끼리의 연결부를 수직으로 할 수 있다. 레일(38)의 윗면의 수평면에 트롤리(60)의 차륜이 실려 있으나, 레일(38)은 안쪽으로 경사진 것이라도 좋다.In FIGS. 7 and 8, the guards 31, 37 and the booms 32, 37 are connected by pins 30. The pins 30 connect the brackets 31 and 37 and the brackets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oms 32 and 37. All the rails 35, 38, 39 are provided below the pin 30. Since the pin 30 is located above the rails 35, 38, and 39, the configuration of the bracket is simplified. Moreover, the connection part of rails can be made vertical. Although the wheel of the trolley 60 is carried on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38, the rail 38 may be inclined inward.
레일(38)보다도 아랫쪽에 핀(30)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가더(31)의 레일(38)과 붐(32)의 레일(38)의 접속부는 핀(30)보다도 가더(31)쪽, 또는 핀(30)보다도 붐(32)쪽에 설치한다. 이 접속부는 수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접속부를 가더(31)쪽에 설치한 경우는 가더(31)쪽의 레일의 끝단부의 경사면이 붐(32)쪽의 레일의 끝단부의 경사면의 윗쪽에 위치한다. 접속부를 붐(32)쪽에 설치한 경우는 경사면의 관계는 반대로 된다.The pin 30 can be provided below the rail 38.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art of the rail 38 of the guard 31 and the rail 38 of the boom 32 is provided in the side of the guard 31 rather than the pin 30, or in the side of the boom 32 rather than the pin 30. As shown in FIG. This connection par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waterline. W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guard 31,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nd of the rail on the side of the guard 31 is located above the inclined surface of the end of the rail on the boom 32 side. W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boom 32 sid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lined surfaces is reversed.
이러한 구성에서 배(S)의 컨테이너(C)를 육지쪽으로 하역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계용 트롤리(60)는 하역작업하는 컨테이너(C)의 위치와 육지쪽의 짐 내리는 위치 사이에 정지한다. 트롤리(45)는 컨테이너(C)를 잡은 매달기 도구(46)를 상승하게 한다. 트롤리(60)를 향하여 주행할 수 있는 높이까지 컨테이너의 밑면이 상승하였으면 상승을 정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트롤리(60)는 중계용 트롤리(60)를 향하여 주행을 개시한다. 정지한 트롤리(60)의 위치에 트롤리(45)가 정지하였으면, 매달기 도구(46)를 받침대(61)로 하강시키고 컨테이너(C)를 내려놓는다. 이와 같이 하여 배(S)로부터의 반송이 행하여진다. 이어서, 매달기 도구(46)를 약간 상승시키고, 트롤리(45)는 다음의 컨테이너(C)의 위치를 향하여 바다쪽으로 이동한다. 트롤리(45)는 매달기 도구(46)의 승강과 주행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와 같이 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case where the container C of the ship S is unloaded to the land side will be described. The relay trolley 60 stops between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C for unloading and the unloading position on the land side. The trolley 45 raises the hanging tool 46 holding the container C. As shown in FIG. If the bottom of the container has risen to a height that can travel toward the trolley 60, the ascending stops. In this state, the trolley 60 starts traveling toward the relay trolley 60. When the trolley 45 is stopped at the position of the stopped trolley 60, the hanging tool 46 is lowered to the base 61, and the container C is put down. In this way, conveyance from ship S is performed. Then, the hanging tool 46 is raised slightly, and the trolley 45 moves toward the sea toward the position of the next container C. The trolley 45 does so when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hanging tool 46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트롤리(45)가 배(S)쪽으로 이동을 개시하면, 트롤리(41)가 이동해 와서 트롤리(60)의 위치에서 정지한다. 트롤리(41)는 매달기 도구(42)의 높이를 받침대(61) 위의 컨테이너의 윗면의 높이를 기준으로 한 높이로 유지하여 주행하고, 받침대(61)의 윗쪽에 이른다. 그리고, 트롤리(41)는 매달기 도구(42)를 하강시켜서 받침대(61)의 컨테이너(C)를 잡아 상승시켜 달아올려서 육지쪽을 향하여 주행하고, 가이드(35)의 위치에서 하강시켜 지상의 차량 등에 컨테이너(C)를 내려놓는다. 트롤리(41)는 주행과 매달기 도구(42)의 하강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경우는 그와 같이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육지쪽으로의 반송이 행하여진다.When the trolley 45 starts moving to the ship S side, the trolley 41 moves and stops in the position of the trolley 60. As shown in FIG. The trolley 41 keeps the height of the hanging tool 42 at a height based o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on the pedestal 61, and reaches the top of the pedestal 61. Then, the trolley 41 lowers the hanging tool 42, grabs the container C of the pedestal 61, lifts it up, runs up and runs toward the land side, and descends from the position of the guide 35, thereby lowering the vehicle on the ground. The container C is put down on the back. When the trolley 41 can carry out the descent | fall of the running tool and the hanging tool 42, it does so. In this way, conveyance to the land side is performed.
중계용 트롤리(60)의 정지위치 및 받침대(61)의 높이위치는 배(S)에서 받침대(61)까지의 트롤리(45)의 하역시간과, 받침대(61)에서 육지쪽의 하역위치까지의 트롤리(41)의 하역시간이 대략 동일하게 되는 위치로 정한다. 어느 한쪽의 트롤리(41, 45)의 기다리는 시간이 커지지 않도록 한다. 이 때문에, 트롤리(45)와 트롤리(60)의 중계위치는 배(S)의 윗쪽으로 되는 일이 있다. 일반적으로, 배(S)의 갑판 위의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경우는, 트롤리(60)는 다리(22) 근처에서 바다쪽으로 위치한다. 선창 내의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경우는, 트롤리(60)는 배(S)의 윗쪽에 위치한다. 트롤리(60)의 정지위치는 선창 내로 매달기 도구(46)가 승강하는 위치 근처가 된다.The stop position of the relay trolley 60 and the height position of the pedestal 61 are the unloading time of the trolley 45 from the ship S to the pedestal 61 and the unloading position of the pedestal 61 from the land side. The unloading time of the trolley 41 is determined to be approximately the same position. The waiting time of either trolley 41 or 45 is not increased. For this reason, the relay positions of the trolley 45 and the trolley 60 may become the upper side of the ship S. FIG. In general, when unloading the container on the deck of the ship (S), the trolley 60 is located near the bridge 22 toward the sea. When unloading the container in the dock, the trolley 60 is located above the ship (S). The stop position of the trolley 60 is near the position at which the hanging tool 46 is elevated into the dock.
중계용 트롤리(60)의 정지위치 및 받침대(61)의 높이위치는 트롤리(60)의 운전자로부터의 다음 컨테이너 하역위치의 지정에 의해 계산되어 정해진다. 또는 최초의 컨테이너의 하역계획에 의해 차례로 정해진다. 트롤리(60)는 자동운전한다.The stop position of the relay trolley 60 and the height position of the pedestal 61 are calculated and determined by designation of the next container unloading position from the driver of the trolley 60. Or it is decided in turn by the unloading plan of the first container. The trolley 60 automatically operates.
중계용 트롤리(60)의 받침대(61)의 높이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트롤리(45)는 컨테이너(C)를 매달아올려 받침대(61)를 향하여 주행할 수 있는 높이까지 컨테이너(C)를 상승시킨다. 상기 주행할 수 있는 높이는 최저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생각한다. 다음에, 매달기 도구(46)의 높이를 그 높이로 유지한 상태에서 받침대(61)를 향하여 주행시킨다. 받침대(61)의 윗쪽에서 트롤리(45)를 정지시키고 매달기 도구(46)를 하강시킨다. 받침대(61)의 높이위치는 컨테이너(C)를 매단 상태에서 이 컨테이너(C)의 높이를 바꾸지 않고 트롤리(45)를 주행할 수 있는 높이이다. 받침대(61)의 높이는 매달아올린 컨테이너(C)의 밑면보다도 약간 낮다. 이 때문에, 받침대(61)가 배(S)의 갑판의 컨테이너 위에 있으면 받침대(61)의 높이보다도 컨테이너의 밑면이 높다. 트롤리(45)가 받침대(61)의 윗쪽에 정지하면 매달기 도구를 하강시킨다.The height position of the base 61 of the relay trolley 60 is demonstrated. The trolley 45 raises the container C to a height capable of hanging up the container C and traveling toward the pedestal 61. The height which can run is considered on the basis of the minimum height. Next, it runs toward the base 61 in the state which hold | maintained the height of the hanging tool 46 at that height. Stop the trolley 45 at the top of the pedestal 61 and lower the hanging tool 46. The height position of the base 61 is the height which can run the trolley 45 in the state which hung the container C, without changing the height of this container C. As shown in FIG. The height of the pedestal 61 is slightly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hanging container C. For this reason, when the base 61 is on the container of the deck of ship S, the bottom surface of a container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ase 61. As shown in FIG. When the trolley 45 stops above the pedestal 61, the hanging tool is lowered.
배(S)의 갑판에 쌓아올린 컨테이너의 상부의 컨테이너를 하역작업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은 하역작업이 초기인 상태에서, C1의 위치의 컨테이너를 하역작업하는 경우이며, C1의 위치의 컨테이너를 매달아올리고 있다. 받침대(61)의 높이위치는 C1의 위치보다도 받침대(61)쪽의 가장 높은 부분의 컨테이너(C2)의 윗면보다도 약간 윗쪽의 높이위치이다. 매달기 도구(46)로 달아올린 컨테이너(C)의 밑면은 받침대(61)보다도 높다. 컨테이너(C2)의 높이가 트롤리(45)의 주행에 있어서 장해가 되는 높이이다.The case of unloading the container of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piled up on the deck of ship S is demonstrated. 1 is a case where the container at the position of C1 is unloaded while the unloading operation is initial, and the container at the position of C1 is suspended. The height position of the pedestal 61 is a height position slightly above the top surface of the container C2 of the highest portion on the pedestal 61 side than the position of C1.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C lifted up by the hanging tool 46 is higher than the base 61. The height of the container C2 is the height which becomes an obstacle in the running of the trolley 45. FIG.
만약, 도 1에서 C2의 위치의 컨테이너보다도 트롤리(60)쪽의 컨테이너가 없으면, 받침대(61)의 높이위치는 컨테이너(C2)의 윗면보다도 아랫쪽이다. 이 경우, 트롤리(46)는 컨테이너(C2)를 넘으면 받침대(61)를 향하여 주행과 매달기 도구(46)의 하강을 동시에 행한다.If there is no container on the trolley 60 side than the container at the position C2 in FIG. 1, the height position of the pedestal 61 is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C2. In this case, when the trolley 46 passes over the container C2, the trolley 46 travels toward the base 61 and descends at the same time as the hanging tool 46.
하역작업이 진행되어, 도 2와 같이, 컨테이너의 산의 높이가 낮아져 C3의 위치의 컨테이너를 하역작업하는 경우는, 받침대(61)의 높이위치는 컨테이너(C3)보다도 받침대(61)쪽의 가장 높은 부분의 컨테이너(C4)의 윗면보다도 약간 윗쪽의 높이위치이다. 컨테이너(C4)의 높이가 트롤리(45)의 주행에 있어서 장해가 되는 높이이다. 도 2는 컨테이너(C3)를 달아올린 상태를 나타낸다.In the case where the unload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 height of the container is lowered as shown in FIG. 2 and the unloading operation of the container at the position of C3 is performed, the height position of the pedestal 61 is closer to the pedestal 61 than the container C3. It is a height position slightly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C4 of the high part. The height of the container C4 is the height which becomes an obstacle in the running of the trolley 45.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C3 is lifted up.
또한 하역작업이 진행되어, 도 3과 같이, 갑판 위의 컨테이너가 없어져 선창 내의 컨테이너(C5)를 하역작업하는 경우는, 달아올린 컨테이너(C5)를 주행시킬 수 있는 높이는 갑판 위를 주행할 수 있는 높이이다.In addition, when the unloading operation is carried out, and the container C5 in the dock is unloaded because the container on the deck disappears as shown in FIG. 3, the height at which the loaded container C5 can be driven can run on the deck. Height.
이와 같이 컨테이너의 하역작업의 진행에 맞추어 받침대(61)의 높이위치를 하강시키고 있으므로, 트롤리(45)의 매달기 도구(46)를 상승시키는 운전이 불필요하게 되어 하역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받침대(61)의 높이위치가 하강하므로, 트롤리(41)의 매달기 도구(42)의 높이위치도 하강한다. 이 때문에, 트롤리(41)에 의한 하역시간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height position of the pedestal 61 is lowered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container unloading operation in this way, the operation of raising the hanging tool 46 of the trolley 45 becomes unnecessary, so that the unloading time can be shortened. In addition, since the height position of the pedestal 61 is lowered, the height position of the hanging tool 42 of the trolley 41 is also lowered. For this reason, the unloading time by the trolley 41 can also be shortened.
트롤리(41)의 매달기 도구(42)의 높이와 트롤리(45)의 매달기 도구(46)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단, 받침대(61)에 놓여진 컨테이너를 집으러 가는 매달기 도구(42)의 높이는 잡는 법에 따라서는 아랫쪽인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트롤리(41)의 주행방향에 있어서 후방의 플리퍼를 아랫쪽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받침대(61)를 향하여 트롤리(41)를 주행시키고, 상기 플리퍼를 받침대(61)의 컨테이너에 대는 경우이다. 이 경우, 받침대(61)가 흔들리나 로프(62)가 비스듬히 뻗어 있으므로 억제된다.The height of the hanging tool 42 of the trolley 41 and the height of the hanging tool 46 of the trolley 45 are substantially the same. However, the height of the hanging tool 42 which picks up the container put on the base 61 may be lower depending on the holding method. For example,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olley 41, when the rear flipper is projected downward, the trolley 41 is driven toward the pedestal 61, and the flipper is placed against the container of the pedestal 61. . In this case, since the base 61 is shaken, but the rope 62 extends at an angle, it is suppressed.
받침대(61)의 높이위치는 트롤리(45)가 주행할 때의 컨테이너의 밑면보다도 윗쪽이어도 되나, 그렇게 할 필요는 없다. 하역작업할 때의 트롤리(60)의 받침대(61)의 높이위치는 컨테이너를 매단 트롤리(45)가 받침대(61)를 향하여 주행할 수 있는 높이를 기준으로 한 높이이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매달기 도구(46)가 매단 컨테이너를 하강시켜 받침대(61)에 실을 수 있는 높이를 기준으로 한 높이이다. 받침대(61)의 높이위치는 트롤리(45)의 주행과 매달기 도구(46)의 하강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경우에 매달기 도구(46)의 컨테이너의 밑면보다도 충분히 아랫쪽이어도 좋다.The height of the pedestal 61 may be higher tha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when the trolley 45 runs, but it is not necessary to do so. The height position of the base 61 of the trolley 60 at the time of the unloading operation is a height based on the height which the trolley 45 which hangs a container toward the base 61 can run. More specifically, the hanging tool 46 is a height based on the height that the hanging container can be lowered and placed on the pedestal 61. The height position of the pedestal 61 may be sufficiently lower tha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of the hanging tool 46 when the traveling of the trolley 45 and the lowering of the hanging tool 46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짐을 내리는 위치에서 받침대(61)를 향하여 주행하는 트롤리(41)는 짐을 내리는 위치에서 매달기 도구(42)를 상승시키고, 받침대(61)의 높이의 약간 윗쪽에서 상승을 정지시킨다. 다음에, 트롤리(41)의 주행을 개시하여 받침대(61)의 윗쪽에서 주행을 정지시키고, 매달림도구(42)를 하강시킨다. 받침대(61)의 컨테이너를 집은 트롤리(41)는 매달기 도구(42)를 약간 상승시키고, 짐을 내리는 위치를 향하여 주행시킨다. 짐을 내리는 위치에서 트롤리(41)의 주행을 정지시키고 매달기 도구(42)를 하강시킨다.The trolley 41 traveling toward the pedestal 61 at the unloading position raises the hanging tool 42 at the unloading position and stops the ascension slightly above the height of the pedestal 61. Next, the travel of the trolley 41 is started, the travel is stopped from above the pedestal 61, and the suspension tool 42 is lowered. The trolley 41 which picks up the container of the pedestal 61 raises the hanging tool 42 a little, and runs toward the load unloading position. The trolley 41 stops running and the hanging tool 42 is lowered at the load unloading position.
트롤리(41, 45)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운전한다. 트롤리(41, 45)는 주행과 승강을 동시에 행하여도 좋다. 주행과 승강을 동시에 행하지 않으면, 주행시의 매달기 도구의 흔들림멈춤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배(S)의 컨테이너로부터 받침대(61)까지의 높이는 낮으므로, 트롤리(45)가 주행과 승강을 동시에 행하는 효과는 적다. 트롤리(41)는 주행과 승강을 동시에 행할 가능성이 높다. 트롤리(60)는 자동으로 주행 및 승강한다.The trolleys 41 and 45 operate manually or automatically. The trolleys 41 and 45 may travel and lift at the same time. If traveling and lifting are not performed at the same time, control of the shaking stop of the hanging tool at the time of running can be made easy. In addition, since the height from the container of the ship S to the pedestal 61 is low, the effect of the trolley 45 running and lifting at the same time is small. The trolley 41 has a high possibility of simultaneously running and lifting. The trolley 60 runs and lifts automatically.
상기 실시예에서는 트롤리(60)의 주행방향의 정지위치는 배에서 짐을 올린 다음의 컨테이너의 위치에 따라 변화시키고 있으나, 복수의 컨테이너에 대하여 하나의 주행위치로 할 수 있다. 이것은 받침대(61)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받침대(61)의 승강의 정지위치도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top position in the travel direction of the trolley 6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after the load is lifted from the ship, but it can be set to one travel position for a plurality of containers. This is to prevent shaking of the pedestal 61. The stop position of lifting and lowering of the base 61 can be similarly performed.
받침대(61)는 트롤리(60)로부터 로프(62)로 매달려 있으므로, 철골에 비하여 경량소형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pedestal 61 is suspended from the trolley 60 by the rope 62, it can be made light in weight compared with steel frame.
트롤리(41, 45)의 매달기 도구(42, 46)가 받침대(61)와 컨테이너를 수수할 때, 매달기 도구(42, 46)의 흔들림 등에 의하여 받침대(61)가 흔들리는 일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받침대(61)를 매다는 로프(62)의 뻗는 각도를 크게 하고 있다.When the suspending tools 42 and 46 of the trolleys 41 and 45 receive the pedestal 61 and the container, the pedestal 61 may shake due to the shaking of the suspending tools 42 and 46.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extending angle of the rope 62 which hangs the pedestal 61 is increased.
육상의 컨테이너를 배(S)에 실을 때의 트롤리(60)의 받침대(61)의 높이위치는 상기 설명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배(S)쪽의 싣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받침대(61)로부터 컨테이너를 달아올린 트롤리(45)가 배를 향하여 주행할 수 있는 높이를 기준으로 한 높이이다. 상기 주행할 수 있는 높이는 최저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생각한다. 받침대(61)는 서서히 상승한다.The height position of the pedestal 61 of the trolley 60 when loading the onshore container on the ship S is based on the loading position of the ship S side, as can be understood from the above description. It is a height based on the height that the trolley 45 to lift the container from the () can run toward the ship. The height which can run is considered on the basis of the minimum height. The pedestal 61 gradually rises.
도 1, 도 5에서, 붐(32)의 보조비임(37)[레일(38, 39)]은 붐(32)과 텐션바(28)의 연결점(28b) 부근에서 가더(31)쪽에만 있다. 트롤리(60)는 이 연결점(28b)을 넘어서는 주행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보조비임(37) 및 트롤리(60)의 하중은 텐션바(28)에는 가해지나, 텐션바(29)에는 가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텐션바(29)는 크게 할 필요가 없어, 싼 가격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붐(32)을 경량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보조비임(37)도 경량으로 할 수 있다. 트롤리(60)는 텐션바(28)와의 연결점(28b)을 넘어서 주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연결점(28b)의 위치에서 트롤리(41, 45)의 하역시간은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인 크레인에 있어서 연결점(28b)은 트롤리(41, 45)의 하역시간을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반대로 말하면, 연결점(28b)의 위치는 트롤리(41, 45)의 하역시간을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는 위치로 선정한다. 또한, 텐션바(28)에만 하중이 걸리는 범위는 트롤리(60)의 주행방향의 중심위치가 텐션바(28)의 연장선과 레일(38)이 교차하는 위치라고 말할 수 있다.1 and 5, the auxiliary beams 37 (rails 38, 39) of the boom 32 are only on the guard 31 side near the connection point 28b of the boom 32 and the tension bar 28. . The trolley 60 cannot travel beyond this connection point 28b. For this reason, the loads of the auxiliary beam 37 and the trolley 60 are applied to the tension bar 28 but not to the tension bar 29. For this reason, the tension bar 29 does not need to be enlarged and can be made cheap. Moreover, the boom 32 can be made lightweight. The auxiliary beam 37 can also be made lightweight. The trolley 60 may travel beyond the connection point 28b with the tension bar 28, but the unloading times of the trolleys 41 and 45 at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point 28b may be approximately the same. In a general crane, the connection point 28b is in a position where the unloading times of the trolleys 41 and 45 can be made approximately equal. Conversely,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point 28b is selected as the position which can make the unloading time of the trolleys 41 and 45 substantially the same. In addition, the range which load only the tension bar 28 can be said th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trolley 60 in the running direction is the position where the extension line of the tension bar 28 and the rail 38 cross | intersect.
보조비임(37)[레일(38, 39)]의 바다쪽의 끝단의 위치는 그 끝단에 트롤리(60)가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트롤리(60)보다도 바다쪽에 위치하는 트롤리(45)의 매달기 도구(46)가 승강할 수 있는 위치이다.The position of the sea end of the sub beam 37 (rails 38 and 39) is suspended by the trolley 45 located on the sea side rather than the trolley 60 in the state where the trolley 60 is located at the end thereof. This is the position where the tool 46 can move up and down.
보조비임(37)[레일(38, 39)]의 육지쪽의 끝단의 위치는 적어도 바다쪽의 다리(22)보다도 육지쪽에 트롤리(60)가 위치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육지쪽의 다리(21)보다도 육지쪽에는 보조비임(37)은 없다. 크레인의 전도의 가능성을 적게 하기 위해서이다.The position of the land end of the sub beam 37 (rails 38 and 39) requires that the trolley 60 be located on the land side at least than the bridge 22 on the sea side. There is no auxiliary beam 37 on the land side than the bridge 21 on the land side. This is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the crane falling over.
상기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를 실은 상태에서는 트롤리(60)는 주행하고 있지 않으나, 시간단축을 위하여 컨테이너를 싣고 주행해도 좋다. 이 경우, 육지쪽의 트롤리(41)는 일본국 실개소 59-149889호 공보와 같이 고정인 것으로 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trolley 60 does not travel in the state where the container is loaded, but may be loaded with the container for shortening of time. In this case, the trolley 41 on the land side can be fixed as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9-149889.
증설에 의하여 트롤리(41), 트롤리(60)를 설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트롤리(41, 60)가 주행하는 범위의 가더(31), 붐(32)은 그 수평방향의 바깥쪽의 측면에 보조비임을 용접 또는 볼트로 설치한다. 보조비임에 레일(38, 39)을 설치한다. 트롤리(41, 60)를 위한 기계실은 가더(31) 위에 따로 설치한다. 또, 가더(31), 붐(32)의 윗면에 용접하여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부재의 밑면에 보조비임을 용접한다. 보조비임은 가더, 붐의 하나이다.The case where the trolley 41 and the trolley 60 are installed by extension is demonstrated. The guard 31 and the boom 32 in the range in which the trolleys 41 and 60 travel are installed by welding or bolting the auxiliary beam on the outer side of the horizontal direction. Install the rails (38, 39) in the auxiliary beam. The machine room for the trolleys 41, 60 is installed separately on the guard 31. Further, the auxiliary beam is wel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ember which is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uard 31 and the boom 32 and protrudes outward. Auxiliary beam is one of the guards and the boom.
도 9와 같이, 트롤리(60)는 현수형이어도 좋다. 이 트롤리(60b)는 보조비임(37b)의 두 개의 레일로부터 매달려 있다. 보조비임(37b)의 하부는 가더(31), 붐(32)의 하부보다도 아랫쪽에 있고, 여기에 레일을 설치하고 있다.As shown in Fig. 9, the trolley 60 may be suspended. This trolley 60b is suspended from two rails of the auxiliary beam 37b. The lower part of the auxiliary beam 37b is lower than the lower part of the guard 31 and the boom 32, and the rail is provided here.
상기 실시예는 트롤리(41)가 크레인(20)의 주행로면 사이에서 하역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으나, 주행로면보다도 윗쪽, 예를 들어 배(S)의 갑판의 높이 정도의 기기 사이에서 하역하는 경우도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The above embodiment assumes that the trolley 41 is unloaded between the running surface of the crane 20, but is unloaded between the devices above the driving surface, for example, the height of the deck of the ship S. The same is true of cases.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각 청구항의 기재 문언 또는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의 항의 기재 문언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그것으로부터 용이하게 대치가능한 범위에도 미치는 것이다.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each claim of the claims or the description of the terms of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invention, but also to the range readily replace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계용 트롤리의 주행하는 범위를 한정할 수 있으므로, 경량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in which the relay trolley travels can be limited, so that the weight can be reduced.
또, 중계용 트롤리로부터 받침대를 로프로 매달고 로프를 경사지게 하고 있으므로, 경량이고 받침대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으며, 하역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Further, since the pedestal is suspended from the relay trolley by the rope and the rope is inclined, the shaking of the pedestal can be suppressed and the unloading time can be shortened.
Claims (1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133200A JP3039445B2 (en) | 1997-05-23 | 1997-05-23 | Container crane |
JP9-133200 | 1997-05-2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86506A true KR19980086506A (en) | 1998-12-05 |
Family
ID=1509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04890A KR19980086506A (en) | 1997-05-23 | 1998-02-18 | Container cran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0879785A3 (en) |
JP (1) | JP3039445B2 (en) |
KR (1) | KR19980086506A (en) |
CN (1) | CN1200350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3583B1 (en) * | 2005-03-29 | 2007-02-15 | (주)해우지엘에스 | A crane establishing two transportation means on the a guide rail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2777C (en) | 2001-06-13 | 2003-12-31 | 上海振华港口机械股份有限公司 | Hanger without electric cable |
DE20207072U1 (en) * | 2002-05-03 | 2002-10-10 | Noell Crane Systems GmbH, 97080 Würzburg | Cat on cranes |
DE10244116A1 (en) * | 2002-09-12 | 2004-03-25 | Gottwald Port Technology Gmbh |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ISO-containers from ships, comprises tower crane with lifting unit mounted on swiveling seaward section of boom and rails on landward section of boom, along which grabs move |
DE10313769B4 (en) * | 2003-03-22 | 2005-10-06 | Noell Crane Systems Gmbh | More Katz container crane |
CN1297469C (en) * | 2003-07-30 | 2007-01-31 | 上海振华港口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 Container crane capable of lifting dual 40 feet box |
CN100341771C (en) * | 2004-03-31 | 2007-10-10 | 上海振华港口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 Dual-dan container crane capable of hoisting dual 40-foot box |
CN100358796C (en) * | 2004-04-09 | 2008-01-02 | 上海集装箱码头有限公司 | Safety controller for running hoist |
CN100375711C (en) * | 2005-04-06 | 2008-03-19 | 上海振华港口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 Four winding drum differential lifting mechanism of bi 40 feet shoreside container crane |
CN2811252Y (en) | 2005-04-06 | 2006-08-30 | 上海振华港口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 Dual lifting mechanism for bis-40' quayside container crane |
CN100375710C (en) | 2005-04-06 | 2008-03-19 | 上海振华港口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 Two winding drum differential lifting mechanism of bi 40 feet shoreside container crane |
CN100545065C (en) | 2006-04-20 | 2009-09-30 |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 Container wharf arrangement and loading and unloading flow process |
WO2007132416A2 (en) * | 2006-05-15 | 2007-11-22 | David Peter Dennison | The displacement of containers with respect to a ship |
CN101229883A (en) | 2008-01-24 | 2008-07-30 | 上海振华港口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 Container terminal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
CN102173365B (en) * | 2011-02-24 | 2013-01-09 | 三一集团有限公司 | Container crane |
ES2625535T3 (en) | 2011-11-29 | 2017-07-19 | Apm Terminals B.V. | A crane |
ITTV20120116A1 (en) * | 2012-06-13 | 2013-12-14 | Dario Toncelli | APPARATUS FOR HANDLING SLABS AND WAREHOUSE WITH SUCH EQUIPMENT |
CN104229630B (en) * | 2014-09-30 | 2016-03-16 | 华电重工股份有限公司 | For the transversal translation system of bank bridge dolly |
DE102017105561A1 (en) * | 2017-03-15 | 2018-09-20 | Konecranes Global Corporation | STORAGE FOR CONTAINERS AND METHOD FOR OPERATING A TRANSPORT VEHICLE IN SUCH A STORAGE |
CN108584717B (en) * | 2018-05-22 | 2023-10-10 | 江苏凯斯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 Top-hung container carrier |
EP3699135B1 (en) * | 2019-02-25 | 2024-07-24 | ABB Schweiz AG | Sensor trolley and corresponding container crane |
CN111498692B (en) * | 2020-04-23 | 2021-12-31 | 青岛港国际股份有限公司 | Automatic wharf bridge crane safety oper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13415733B (en) * | 2021-08-24 | 2021-11-02 | 新乡学院 | Large-scale storage tank jack-up lifting device of industry |
CN113979146B (en) * | 2021-10-27 | 2023-11-03 | 青岛港国际股份有限公司 | Rail type crane directly interacted with quay cra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14319966A (en) * | 2022-01-10 | 2022-04-12 | 成都建工集团有限公司 | Spatial layout structure and layout method suitable for city update construction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1553842A (en) * | 1967-10-04 | 1969-01-17 | ||
US3630390A (en) * | 1969-02-07 | 1971-12-28 | Hans Tax | Container-loading crane arrangement |
US4531647A (en) * | 1976-01-14 | 1985-07-30 | Hitachi, Ltd. | Device for stopping the swinging movement of a load hung by a crane |
DE3826274A1 (en) * | 1988-08-02 | 1990-02-08 | Tax Ingenieurgesellschaft Mbh |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ON SHIPS |
DE4040072A1 (en) * | 1990-12-14 | 1992-08-27 | Technologiepark Clausthal Gmbh | Transport carriage for heavy container loading bridge - has elevating platform allowing adjustment for different load pick=up and transfer heights |
DE4307254A1 (en) * | 1993-03-08 | 1994-09-15 | Tax Ingenieurgesellschaft Mbh | Cargo loading crane |
US5515982A (en) * | 1994-04-11 | 1996-05-14 | Paceco Corp. | Telescoping shuttle for a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 |
-
1997
- 1997-05-23 JP JP9133200A patent/JP3039445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
- 1998-02-18 KR KR1019980004890A patent/KR19980086506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8-05-01 EP EP98303465A patent/EP0879785A3/en not_active Withdrawn
- 1998-05-22 CN CN98108952A patent/CN1200350A/en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3583B1 (en) * | 2005-03-29 | 2007-02-15 | (주)해우지엘에스 | A crane establishing two transportation means on the a guide rai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879785A2 (en) | 1998-11-25 |
JPH10324493A (en) | 1998-12-08 |
EP0879785A3 (en) | 1999-11-03 |
CN1200350A (en) | 1998-12-02 |
JP3039445B2 (en) | 2000-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9980086506A (en) | Container crane | |
US4747745A (en) | Selective beam gantry crane | |
US4858775A (en) | Personnel trolley and elevator platform for a cargo container handling gantry crane | |
KR100649728B1 (en) | Anti sway apparatus for trolley | |
JP6380870B2 (en) | crane | |
JP6193170B2 (en) | Crane manufacturing method and crane overhead structure system | |
JP6393954B2 (en) | Crane overhead structure system and crane manufacturing method | |
JP2000211743A (en) | Container crane | |
JPH11189394A (en) | Container crane | |
KR101205675B1 (en) | transfer apparatus for the robot | |
WO1999040019A1 (en) | Container crane | |
JP3298488B2 (en) | Container crane | |
JP2521455B2 (en) | Construction method for tower structures | |
KR200145925Y1 (en) | Trolly device | |
JP2019023118A (en) | Bridge crane | |
JPH0958974A (en) | Quay crane device | |
JPH10182066A (en) | Vertical conveying device | |
JPH11255472A (en) | Container crane | |
JP2552338B2 (en) | Cargo handling machine | |
JP2712979B2 (en) | Lifting device | |
JPH0452248Y2 (en) | ||
SU1181981A1 (en) | Method of moving conveying car of tower crane during its transportation in assembly | |
KR20010016693A (en) | A Rubber Tired Gantry Type Mobile Harbor Crane | |
JPH09272690A (en) | Installation method and temporary bearer for installation of crane and the like | |
JPH0797182A (en) | Hoist type tower cra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