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51248A - 시험측정용 다방향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시험측정용 다방향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1248A
KR19980051248A KR1019960070122A KR19960070122A KR19980051248A KR 19980051248 A KR19980051248 A KR 19980051248A KR 1019960070122 A KR1019960070122 A KR 1019960070122A KR 19960070122 A KR19960070122 A KR 19960070122A KR 19980051248 A KR19980051248 A KR 19980051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plate
support plate
wheel
spira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0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5778B1 (ko
Inventor
조규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70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778B1/ko
Publication of KR19980051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7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97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5/00Self-propelled projectiles or missiles, e.g. rockets; Guided missiles
    • F42B15/01Arrangements thereon for guidance o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Measuring And Other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군사용 장비의 시험측정용 다방향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레이저광을 송수신하는 미사일 등의 장비가 탑재되고, 레이저광이 목적물인 반사체에 투사되는 위치를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호 직각으로 고정되는 구조를 지니는 밑판(11) 및 고정지지판(13), 상기 고정지지판(1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나선축(31)이 베벨기어(41)를 개재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상하운동휠(21), 상기 고정지지판(13) 상에 리니어웨이(25)를 개재하여 미끄럼 운동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나선축(31)에 맞물리는 너트(35)가 고정되는 상하운동판(14), 상기 상하운동판(14)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나선축(32)이 회전되도록 하는 좌우운동훨(22), 상기 상하운동판(14) 상에 리니어웨이(26)를 개재하여 미끄럼 운동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나선축(32)에 맞물리는 너트(36)가 고정되는 좌우운동판(15), 상기 좌우운동판(15)상에 요크(27)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면에 기어박스(18)가 장착되는경사지지판(17), 상기 경사지지판(17)이 상기 요크(27)의 연결핀(37)을 증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운동휠(23), 상기 기어박스(1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나선축(34)이 베벨기어(44)를 개재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경사운동휠(24), 상기 상하운동횔(21), 좌우운동휠(22), 회전운동휠(23), 경사운동휠(24) 등에 의해 다방향운동이 가능한 테이블(12), 그리고 상기 테이블(12)의 다방향 운동량을 각각 표시하는 위치확인 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미사일 등과 같이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군사용 장비에있어서 반사체인 목표물에 투사하고 입사하는 시험을 위해 대상체를 소정의 위치 및 각도로 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험측정용 다방향 운동장치
본 발명은 시험측정용 다방향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미사일 등과 같이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군사용 장비에 있어서 반사체인 목표물에 투사하고 입사하는 시험을 위해 대상체를 소정의 위치 및 각도로 운동시킬 수 있는시험측정용 다방향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군사용 장비가 첨단화되면서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각종 정밀 제어장치가 장착되고 있으므로 개발 및 시험과정에서 그러한 장비를 다방향으로 정밀하게조정하는 장치가 필요로 된다.
예컨대 특정의 미사일은 목표물에 레이저광을 투사시키고 그 반사광으로 목표물의 위치, 거리 등을 인식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미사일의송신부를 통해 송출되는 레이저광이 시험대상인 반사체에 도달되고 수신부로 입력되는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90。각도 범위에서 선형적으로 송출되는 레이저광이 반사체의 일지점을 정 중앙에 수용하면서 수평으로 투사되도록 하기 위해 미사일을 전후(x축 방향), 좌우(y축 방향), 상하(z축 방향), 회전(z축 중심), 경사(x축 또는 y축 중심)운동 등 적어도 5방향으로 조정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레이저 등 유해 광선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면서 조사(照射)하고 반사되는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눈금이 표시된 방안지와 시료를 회전시키는 회전대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각도측정이 부정확하고 시험시간도 길어질 뿐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사일 등과 같이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군사용 장비에 있어서 반사체인 목표물에 투사하고 입사하는 시험을 위해 대상체를 소정의 위치 및 각도로 운동시킬 수 있는 시험측정용 다방향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구성을 부분 생략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 장치 구성을 부분 생략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3a,3b,3c는 도 1 및 도 2의 각각 A, B, C 방향에서 나타내는 상세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11 : 밑판 12 : 테이블
13 : 고정지지판 14 : 상하운동판
15 : 좌우운동판 16 : 회전지지판
17 : 경사지지판 18 : 기어박스
21 : 상하운동휠 22 : 좌우운동휠
23 : 회전운동휠 24 : 경사운동휠
25,26 : 리니어웨이 27 : 요크
28,29 : 링크 31,32,33,34 : 나선축
37,38 : 연결핀 35,36 : 너트
41,44 : 베벨기어 51,52,53,54 : 눈금지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레이저광을 송수신하는 미사일 등의 장비가 탑재되고, 레이저광이 목적물인 반사체에 투사되는 위치를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호 직각으로 고정되는 구조를 지니는 밑판(11) 및 고정지지판(13), 상기고정지지판(1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나선축(31)이 베벨기어(41)를 개재하어 회전되도록 하는 상하운동휠(21), 상기 고정지지판(13) 상에 리니어웨이(25)를 개재하여 미끄럼 운동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나선축(31)에 맞물리는 너트(35)가 고정되는상하운동판(14), 상기 상하운동판(14)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나선축(31)이 회전되도록 하는 좌우운동휠(22), 상기 상하운동판(14) 상에 리니어웨이(26)를 개재하여 미끄럼 운동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나선축(32)에 맞물리는 너트(36)가 고정되는좌우운동판(15), 상기 좌우운동판(15) 상에 요크(27)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면에 기어박스(18)가 장착되는 경사지지판(17), 상기 경사지지판(17)이 상기 요크(27)의 연결핀(37)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운동휠(23), 상기 기어박스(1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나선축(34)이 베벨기어(44)를 개재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경사운동휠(24), 상기 상하운동휠(21), 좌우운동횔(22), 회전운동휠(23), 경사운동휠(24) 등에 의해 다방향운동이 가능한 테이블(12), 그리고 상기 테이블(12)의 다방향 운동량을 각각 표시하는 위치확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측정용 다방향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회전운동휠(23)은 상기 좌우운동판(15)에 고정되는 회전지지판(16)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경사지지판(17) 상에 링크(28)률 개재하여 장착된다.
또, 상기 테이블(12)은 상기 경사지지판(17) 및 나선축(34) 상에 각각의 링크(29)를 개재하여 장착된다.
또, 상기 위치확인수단은 상기 고정지지판(13) 및 상하운동판(14) 상에서 그상대운동을 표시하도록 장착되는 눈금지침(51)과, 상기 상하운동판(14) 및 좌우운동판(15) 상에서 그 상대운동을 표시하도록 장착되는 눈금지침(52)과, 상기 상기요크(27) 및 좌우운동판(15) 상에서 그 상대운동을 표시하도록 장착되는 눈금지침(53)과 상기 테이블(12) 및 경사지지판(17) 상에서 그 상대운동을 표시하도록 장착되는 눈금지침(54)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상하운동휠(21), 좌우운동휠(22), 회전운동휠(23), 경사운동휠(24)등은 각각 미세한 각도로 조정되는 스테핑모터를 추가적으로 연결하여 원격에서 운동시킨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구성을 부분 생략하여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고, 도 2는 도 1 장치 구성을 부분 생략하여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된다.
도 1은 편의상 x축 및 z축 방향에서 도시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도 2는 x축 및 y축방향에서 도시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본 발명은 레이저광을 송수신하는 미사일 둥의 장비가 탑재되고, 레이저광이 목적물인 반사체에 투사되는 위치를 조정하는 장치에 적용하는 바, 밑판(11) 및 고정지지판(13)의 고정구조에서 상하운동휠(21), 좌우운동휠(22), 회전운동휠(23), 경사운동휠(24)을 회전시킴에 따라 테이블(12)을 다방향으로 운동시키기 위해 상하운동판(14), 좌우운동판(15), 회전지지판(16), 경사지지판(17), 기어박스(18) 등을 나선축(31)(32)(33)(34), 리니어웨이(25)(26), 요크(27), 링크(28)(29) 등을 이용하여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일체의 조립 구조를 지닌다.
이때, 본 발명의 밑판(11) 및 고정지지판(13)은 상호 직각으로 고정되는 구조를 지닌다.
상기 고정지지판(13)은 본 발명의 운동기구가 장착되는 곳으로서 벤딩 모멘트가 작용하므로 휨을 방지할 수 있는 두께(예컨대 10mm 이상)의 강판재를 이용하여 밑판(11)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으로 고정한다.
또, 본 발명의 상하운동휠(21)은 상기 고정지지판(1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나선축(31)이 베벨기어(41)를 개재하여 회전되도록 장착한다.
상기 나선축(31)은 고정지지판(13)과 평행을 유지하며 수직으로 장착되는데, 고정지지판(13)의 하단에는 베벨기어(41)를 장착하여 나선축(31)과 상하운동휠(21)이 직각으로 운동되도록 한다.
상기 상하운동휠(21)은 후술하는 테이블(12)을 z축 방향으로 상하운동시키기 위한 수동작동 손잡이 구조이다.
또, 본 발명의 상하운동판(14)은 상기 고정지지판(13) 상에 리니어웨이(25)를개재하여 미끄럼 운동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나선축(31)에 맞물리는 너트(35)가 고졍된다.
상기 상하운동판(14)은 일종의 가이드레일(guide rail) 역할을 하는 리니어웨이(25)를 사용하여 고정지지판(13)과 상대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데, 그 운동력은 나선축(31)과 너트(35) 사이의 맞물림 운동에 의해 전달된다.
또, 본 발명의 좌우운동휠(22)은 상기 상하운동판(14)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나선축(32)이 회전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좌우운동휠(22)은 후술하는 테이블(12)을 y축 방향으로 수평운동시키기 위한 수동작동 손잡이 구조로서, 나선축(32)에 직접 연결하여 동일축 상에서 회전되도록한다.
또, 본 발명의 좌우운동판(15)은 상기 상하운동판(14) 상에 리니어웨이(26)를 개재하여 미끄럼 운동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나선축(32)에 맞물리는 너트(36)가 고정 된다.
상기 좌우운동판(15)은 일종의 가이드레일 역할을 하는 리니어웨이(26)를 사용하여 상하운동판(14)과 상대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데, 그 운동력은 나선축(32)과 너트(36) 사이의 맞물림 운동에 의해 전달된다.
또, 본 발명의 경사지지판(17)은 상기 좌우운동판(15) 상에 요크(27)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면에 기어박스(18)가 장착된다.
상기 요크(27)는 하나의 연결핀(37)을 중심으로 관절운동되는 2개의 링크를 의미하는데, 그 링크는 각각 상기 좌우운동판(15) 및 경사지지판(17)에 연결한다.
상기 기어박스(18)는 경사지지판(17)의 일면에 고정되고, 그 내부에는 한 쌍의 베벨기어(44)가 맞물려 장착된다.
또, 본 발명의 회전운동휠(23)은 상기 경사지지판(17)이 상기 요크(27)의 연결핀(37)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회전운동휠(23)은 후술하는 테이블(12)을 z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수동작동 손잡이 구조로서, 상기 좌우운동판(15) 및 경사지지판(17) 사이의 상대운동을 유도한다.
이때, 상기 회전운동휠(23)은 상기 좌우운동판(15)에 고정되는 회전지지판(16)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경사지지판(17) 상에 링크(28)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나선축(33)에 맞물린다.
이러한 구성은 도 2에서 더욱 명확히 표현되는 바, 2개의 연결핀(38)을 이용하여 나선축(33) 및 경사지지판(17)을 연결하는 링크(28)가 장착된다.
상기 회전지지판(16)은 좌우운동판(15)과 일체로 고정되는데, 회전지지판(16)에는회전운동휠(23)이 그 외면에서 부싱을 개재하여 회전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회전운동횔(23)은 후술하는 테이블(12)을 z축 중심으로(실제로는 연결핀(37)을중심으로)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수동작동 손잡이 구조로서, 상기 회전운동휠(23) 일단에는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나선축(33)과 맞물려 운동하도록 결합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운동휠(23)을 돌리면 나선축(33)이 y축 방향으로 왕복 직선운동되고, 테이블(12)의 일지지점 역할을 하는 경사지지판(17)이 링크(28)의 매개에 의해 왕복 회전운동된다.
또, 본 발명의 경사운동휠(24)은 상기 기어박스(1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나선축(34)이 베벨기어(44)를 개재하여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경사운동휠(24)은 후술하는 테이블(12)을 y축 중심으로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수동작동 손잡이 구조로서, 기어박스(18) 내에 장착된 한 쌍의 베벨기어(44) 중 도시에서 좌측에는 경사운동휠(24)을 도시에서 우측에는 나선축(34)을 장착한다.
상기 나선축(34)은 기어박스(18) 상부 및 도시에서 우측의 베벨기어(44)에 각각 형성된 암나사부(도시 생략) 상에 나선운동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장착된다.
또, 본 발명의 테이블(12)은 상기 상하운동횔(21), 좌우운동휠(22), 회전운동횔(23), 경사운동휠(24) 등에 의해 다방향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테이블(12)은 개발 및 시험과정에 있는 각종 정밀 제어장비를 탈착가능하게장착하는 곳으로서, 전술한 밑판(11)·고정지지판(13)보다 하중이 크게 작용하지 않으므로 그 소재 두께를 절반 정도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테이블(12)은 상기 경사지지판(17) 및 나선축(34) 상에 각각의 링크(29)를 개재하여 장착한다.
경사지지판(17) 상의 링크(29)는 하나의 연결핀을 지니는 것을 사용하고, 나선축(34) 상의 링크(29)는 두개의 연결핀을 지니는 것을 사용한다. 후자의 링크(29)는 전술한 나선축(33) 및 경사지지판(17)을 연결하는 링크(28)와 기구적 구성 및 기능이동일하다.
이에 따라 경사운동휠(24)을 돌리면 베벨기어(44)의 회전운동이 나선축(34)에 전달되고, 나선축(34)은 z축 방향으로 왕복 상하운동하게 된다. 나선축(34)의 상하운동시 도시에서 좌측의 링크(29)는 굴절되므로 테이블(12)이 우측의 링크(29)를 중심으로 경사운동(y축 방향의 회전운동)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하운동휠(21)의 회전시 상하운동판(14)·좌우운동판(15)·경사지지판(17)·테이블(12) 등이 일체로 상하운동되고, 상기 좌우운동휠(22)의 회전시 좌우운동판(15)·경사지지판(17)·테이블(12) 등이 일체로 좌우운동되고, 상기 회전운동휠(23)의 회전시 경사지지판(17)·테이블(12) 등이 일체로 회전운동되고, 상기 경사운동휠(24)의 회전시 테이블(12)만 일체로 경사운동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테이블(12)의 다방향 운동량을 각각 표시하는 위치확인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테이블(1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후(x축 방향), 좌우(y축 방향), 상하(z축 방향), 회전(z축 중심), 경사(y축 중심)운동 등 5방향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그 중에서 전후운동을 생략한 4방향운동을 도시하였고, 각각의 운동량은 후술하는 눈금지침(51∼54)으로 구성되는 위치확인수단을 이용하어 확인할 수 있다.
도 3a, 3b, 3c는 도 1 및 도 2의 각각 A, B, C 방향에서 나타내는 상세도가 도시 된다.
본 발명의 위치확인수단은 상기 고정지지판(13) 및 상하운동판(14) 상에서 그상대운동을 표시하도록 장착되는 눈금지침(51)과, 상기 상하운동판(14) 및 좌우운동판(15) 상에서 그 상대운동을 표시하도록 장착되는 눈금지침(52)과, 상기 상기요크(27) 및 좌우운동판(15) 상에서 그 상대운동을 표시하도록 장착되는 눈금지침(53)과, 상기 테이블(12) 멎 경사지지판(17) 상에서 그 상대운동을 표시하도록 장착되는 눈금지침(54)을 구비한다.
도 3a의 눈금지침(51)에서 눈금은 고정지지판(13)에 고정하고, 지침은 상하운동판(14) 상에 고정한다.
상하운동휠(21)을 돌리면 상하운동판(14)과 너트(35)의 일체구조는 고정지지판(13)의 나선축(31) 상에서 리니어웨이(25)를 개재하여 상하운동하고, 그 운동량은 눈금지침(5) 상에 표시된다.
도 3b의 눈금지침(52)에서 눈금은 상하운동판(14)에 고정하고, 지침은 좌우운동판(15) 상에 고정한다.
좌우운동휠(22)을 돌리면 좌우운동판(15)과 너트(36)의 일체구조는 상하운동판(14)의 나선축(32) 상에서 리니어웨이(26)를 개재하여 좌우운동하고, 그 운동량은 눈금지침(5) 상에 표시된다.
도 3b의 눈금지침(53)에서 눈금은 좌우운동판(15)에 고정하고, 지침은 요크(27) 상에 고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요크(27)는 연결핀(37)을 중심으로 요동운동하는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는데, 경사지지판(17)에 고정되는 좌측의 부재에 상기 지침을 고정한다.
회전지지판(16) 상에서 장착된 회전운동휠(23)을 돌리면 기어박스(18)가 고정된 경사지지판(17)은 나선축(31) 및 링크(28)를 개재하여 회전운동하고, 그 운동량은 눈금지침(53) 상에 표시된다.
이때, 상기 눈금지침(52)의 지침과 눈금지침(53)의 눈금은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c의 눈금지침(54)에서 눈금은 테이블(12)의 측면에 고정하고, 지침은 경사지지판(17)의 측면에 고정한다.
경사운동휠(24)을 돌리면 나선축(34)이 기어박스(18) 및 경사지지판(17)에 대하여 상하운동하며 테이블(12)을 경사운동시키고, 그 운동량은 눈금지침(54)은 상에 표시된다.
이러한 눈금의 범위는 장비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미사일의 송수신 시험에 적용하는 경우 상하운동훨(21) 및 좌우운동휠(22)에 의한 상하 이송거리 및 좌우 이송거리 각각 ±35mm, 회전운동휠(23) 및 경사운동휠(24)에 의한 회전 및 경사각도는 각각 ±20° 정도로 한다.
또, 도시에는 없으나 상기 눈금지침(51∼54)에서 각각의 눈금은 알루미늄등 금속재질의 박판을 사용하고, 표기 문자 및 숫자는 깊이 0.2mm 이상의 깊이로 각인한 후 실크인쇄 등으로 페인팅한다.
또, 알루미늄 재질의 부재는 흑색 아노다이징(anodizing)으로 표면처리하고, 강재는 흑색산화 피막으로 표면처리한다.
한편, 상기 상하운동횔(21), 좌우운동휠(22), 회전운동휠(23), 경사운동휠(24)등은 각각 미세한 각도로 조정되는 스테핑모터를 추가적으로 연결하여 원격에서 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스테핑모터는 하나의 펄스 신호를 입력할 때마다 소정의 각도씩 회전되는 것으로서 그 축상에 상기 운동휠(21∼24)을 직결시키거나 기어장치률 개재하여 낮은 회전비를 유지하도록 연결한다. 스테핑모터의 각도변위는 1°이하로 할 수도 있으나 더욱 미세한 조정이 필요한 경우 후자의 연결 방식을 택한다.
이와 같이 하면 시험자가 원격에서도 시험 대상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측면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험측정용 다방향 운동장치는 미사일등과 같이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군사용 장비에 있어서 반사체인 목표물에 투사하고 입사하는 시험을 위해 대상체를 소정의 위치 및 각도로 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놓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5)

  1. 레이저광을 송수신하는 미사일 등의 장비가 탑재되고, 레이저광이 목적물인 반사체에 투사되는 위치를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호 직각으로 고정되는 구조를 지니는 밑판(11) 및 고정지지판(13), 상기 고정지지판(1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나선축(31)이 베벨기어(41)를 개재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상하운동휠(21),
    상기 고정지지판(13) 상에 리니어웨이(25)를 개재하여 미끄럼 운동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나선축(31)에 맞물리는 너트(35)가 고정되는 상하운동판(14),
    상기 상하운동판(14)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나선축(32)이 회전되도록 하는 좌우운동휠(22);
    상기 상하운동판(14) 상에 리니어웨이(26)를 개재하어 미끄럼 운동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나선축(32)에 맞물리는 너트(36)가 고정되는 좌우운동판(15),
    상기 좌우운동판(15) 상에 요크(27)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면에 기어박스(18)가 장착되는 경사지지판(17),
    상기 경사지지판(17)이 상기 요크(27)의 연결핀(37)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운동횔 (23),
    상기 기어박스(1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나선축(34)이 베벨기어(44)를 개재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경사운동휠(24),
    상기 상하운동휠(21), 좌우운동휠(22), 회전운동횔(23), 경사운동훨(24) 등에 의해 다방향운동이 가능한 테이블(12), 그리고
    상기 테이블(12)의 다방향 운동량을 각각 표시하는 위치확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시험측정용 다방향 운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휠(23)은 상기 좌우운동판(15)에 고정되는 회전지지판(16)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경사지지판(17) 상에 링크(28)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나선축(33)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측정용 다방향운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2)은 상기 경사지지판(17) 및 나선축(34) 상에 각각의 링크(29)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측정용 다방향 운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수단은 상기 고정지지판(13) 및 상하운동판(14) 상에서 그 상대운동을 표시하도록 장착되는 눈금지침(51)과, 상기 상하운동판(14) 및 좌우운동판(15) 상에서 그 상대운동을 표시하도록 장착되는 눈금지침(52)과, 상기 상기 요크(27) 및 좌우운동판(15) 상에서 그 상대운동을 표시하도록 장착되는 눈금지침(53)과, 상기 테이블(12) 및 경사지지판(17) 상에서 그 상대운동을 표시 하도록 장착되는 눈금지침(5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측정용 다방향 운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운동횔(21), 좌우운동휠(22), 회전운동횔(23), 경사운동휠(24) 등은 각각 미세한 각도로 조정되는 스테핑모터를 추가적으로 연결하여 원격에서 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측정용 다방향 운동장치.
KR1019960070122A 1996-12-23 1996-12-23 시험측정용 다방향 운동장치 KR0175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122A KR0175778B1 (ko) 1996-12-23 1996-12-23 시험측정용 다방향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122A KR0175778B1 (ko) 1996-12-23 1996-12-23 시험측정용 다방향 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248A true KR19980051248A (ko) 1998-09-15
KR0175778B1 KR0175778B1 (ko) 1999-04-01

Family

ID=1949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0122A KR0175778B1 (ko) 1996-12-23 1996-12-23 시험측정용 다방향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6653A (zh) * 2021-06-15 2021-09-17 安徽理工大学 一种矿用本安型激光测距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6653A (zh) * 2021-06-15 2021-09-17 安徽理工大学 一种矿用本安型激光测距装置
CN113406653B (zh) * 2021-06-15 2024-01-26 安徽理工大学 一种矿用本安型激光测距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5778B1 (ko) 199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8996B1 (en) Compact video inspection apparatus with Y, Z, X compounded measurement axes
EP0984297B1 (de) Einstellgerät zum Justieren eines Abstandssensors
CN111272082B (zh) 一种智能汽车车载环视摄像头自动对正装置
CN211576094U (zh) 一种智能汽车车载环视摄像头自动对正装置
KR0175778B1 (ko) 시험측정용 다방향 운동장치
US5897202A (en) Device for directing and indicating the position of an automotive headlamp reflector
CN1782654B (zh) 机动化可定向的测量头
CN106774443A (zh) 一种星载新型高精度高稳定度二维指向机构
CN111175583A (zh) 一种高速高精桌面式小型近场测试仪
CN107462399B (zh) 一种四自由度光轴平行性调校装置
US4236072A (en) Adjusting mechanism
CN211698224U (zh) 一种多功能在线便携式测谱仪
CN113030917A (zh) 一种可测量目标倾角的激光测距仪
CN110568581B (zh) 一种高精度电动反射镜架
CN116794641A (zh) 一种新型靶标
CN211147652U (zh) 一种建筑工程水平校准器
CN219437077U (zh) 图像采集装置及抬头显示器的测试设备
CN220440783U (zh) 一种摄像头测试移动装置
CN114486189B (zh) 转台综合指向精度的测试装置及方法
CN111380506A (zh) 读取式测量装置
CN221426933U (zh) 一种精密光学平台用三棱镜夹具
DE3942922C2 (ko)
SU172355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мещени приемника излучени
CN220206709U (zh) 一种激光图像测试装置
CN211085148U (zh) 一种测量仪万向可调工作台及测量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