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365U -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와 본체와의 분리구조와,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니터를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모니터용 연결장치 및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니터를 지지하기 위한 모니터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와 본체와의 분리구조와,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니터를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모니터용 연결장치 및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니터를 지지하기 위한 모니터용 스탠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14365U KR19980014365U KR2019980003355U KR19980003355U KR19980014365U KR 19980014365 U KR19980014365 U KR 19980014365U KR 2019980003355 U KR2019980003355 U KR 2019980003355U KR 19980003355 U KR19980003355 U KR 19980003355U KR 19980014365 U KR19980014365 U KR 1998001436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nitor
- main body
- portable computer
- female
- backligh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와 본체와의 분리구조와,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니터를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모니터용 연결장치 및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니터를 지지하기 위한 모니터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액정 모니터를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모니터를 탁상용 컴퓨터에 쉽게 연결할 수 있으며, 분리된 모니터를 잘 바라볼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분리구조는, 모니터(1)의 암결합부(22,22)와; 상면에 슬로트(33,33)가 형성된 본체(3)의 수결합부(32)와; 상기 결합부들을 결합하도록 수결합부에 삽입되는 양쪽 힌지핀(5,5)과; 모니터에 설치되는 제1암커넥터(21)와; 본체에 설치되는 제2암커넥터(35)와; 그리고, 상기 커넥터들을 연결하는 외장연결케이블(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1암커넥터(23) 및 제2암커넥터(24)가 암결합부들 내부에 설치되고, 각 힌지핀의 일단에 결합되어 힌지핀의 내부배선통로(52)를 통하여 배선되는 본체의 신호회선들(36,37)과 연결되는 수커넥터들(41,42)에 의하여 분리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모니터에는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모니터에는 이를 지지하기 위한 스탠드가 설치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와 본체와의 분리구조와,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니터를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모니터용 연결장치 및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니터를 지지하기 위한 모니터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니터와 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힌지부를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모니터와 본체를 연결하는 신호회선들을 절단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체 또는 모니터를 선택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와 본체와의 분리구조와, 상기 분리구조에 의하여 분리된 모니터를 데스크탑형 컴퓨터나 타워형 컴퓨터와 같은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와 연결할 수 있도록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에 설치되는 연결장치와,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니터를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에 연결하여 사용할 때 모니터를 잘 바라볼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모니터에 결합되는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휴대용 컴퓨터는 액정 모니터(81)와,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가 병설된 본체(91)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 중 모니터(81)의 내부에는 거의 전영역을 차지하는 박막액정표시장치(82)가 설치되고, 모니터(81) 내부 일측에는 박막액정표시장치(82)와 백라이트입력선(84)을 통하여 배선연결됨과 아울러 본체(91)와 백라이트신호회선(92)을 통하여 배선연결되는 백라이트발생장치(83)가 설치되고, 모니터(81)의 내부의 다른 일측에는 박막액정표시장치(82)와 디지털신호입력선(86)을 통하여 배선연결되고 본체(91)와 아날로그영상신호회선(93)을 통하여 배선연결되는 디지털영상신호변환장치(85)가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91)와 모니터(81)는 통상적인 힌지결합방법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다. 즉, 본체(91)의 후단 양쪽에 중공을 가진 다수의 결합부(94)가 각각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모니터(81)의 하단(모니터(81)를 본체(91)에 닫았을 때에는 후단임)에는 본체(91)의 결합부(94)들 사이에 삽입됨과 아울러 중공을 가진 결합부(87)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91)의 결합부(94)들 사이에 모니터(81)의 결합부(87)들을 삽입한 다음 모니터(81)의 결합부(87)들의 중공과 본체(91)의 결합부(94)들의 중공에 걸쳐 힌지핀(95)들을 삽입하면 모니터(81)가 힌지핀(95)들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91)를 여닫을 수 있게 된다. 본체(91)와 모니터(81)를 연결하는 백라이트신호회선(92)과 아날로그영상신호회선(93)은 상기 힌지핀(95)들의 내부의 배선통로를 통하여 배선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는 현재 빠른 속도로 그 기술이 향상되고 있고, 특히 본체(91)에 내장되는 하드웨어가 모니터보다는 더욱 발전속도가 빠르다. 이와 같이 기능이 개선된 새로운 하드웨어나 모니터(81)가 시장에 나온 경우 하드웨어의 특성이나 하드웨어의 조립방법을 잘 아는 사람의 경우에는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중인 휴대용 컴퓨터에 새로운 하드웨어를 교체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기능이 대폭적으로 개선되어 본체(91)나 액정 모니터(81)를 선택적으로 교체하고자 할 경우 본체(91)와 모니터(81)를 연결하는 백라이트신호회선(92)과 아날로그영상신호회선(93)이 힌지핀(95)들을 관통하여 배선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91)와 모니터(81)를 분리하려면 필연적으로 상기 회선(92,93)들을 절단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체(91) 및 모니터(81)의 분해 및 조립에 능통하지 않은 비전문가들로서는 본체(91)와 모니터(81)를 교체장착하는 작업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컴퓨터 하드웨어나 이의 조립방법을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은 물론 잘 아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휴대용 컴퓨터를 신규로 구입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종전에 사용하던 휴대용 컴퓨터는 폐기하거나 중고시장에 내놓게 됨으로써 경제적인 손실이 클 뿐만 아니라 자원도 낭비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나 액정 모니터를 선택적으로 교체하고자 할 경우 이들 상호간의 분리 및 결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와 본체와의 분리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니터를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에 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모니터에 설치되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니터를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에 연결장치에 의하여 연결하여 사용할 때 모니터를 잘 바라볼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모니터에 결합되는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분리구조가 설치된 휴대용 컴퓨터를 나타내는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분리구조에 있어서 힌지핀에 손잡이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분리구조가 설치된 휴대용 컴퓨터를 일부 절취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분리구조가 설치된 휴대용 컴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분리구조에 의하여 본체와 모니터가 결합된 휴대용 컴퓨터의 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분리구조에 의하여 본체와 모니터가 분리된 휴대용 컴퓨터의 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분리구조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분리구조가 설치된 휴대용 컴퓨터를 일부 절취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 4에 따른 연결장치가 설치된 모니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 4에 따른 연결장치에 의하여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와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 5에 따른 스탠드에 의하여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를 지지한 상태에서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와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 6에 따른 스탠드에 의하여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를 지지한 상태에서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와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4는 종래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와 모니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휴대용 컴퓨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 3 :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
5 : 힌지핀 11 : 박막액정표시장치
12 : 백라이트발생장치 13 : 백라이트입력선
14 : 디지털영상신호변환장치 15 : 디지털신호입력선
16, 36 : 백라이트신호회선 17, 37 : 아날로그영상신호회선
21, 23, 24, 35, 39, 41, 42, 63 : 커넥터
22, 32 : 결합부 25 : 개폐문
31 : 입력장치 33 : 슬로트
38 : 케이블 51 : 손잡이
52 : 내부배선통로 61 : 통합장치
62 : 전원공급용 소켓 71 : 연결부재
72 : 지주 73 : 받침판
74 : 파지채널 75 : 고정볼트손잡이
76 : 협지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분리구조는, 모니터의 하단 양쪽에 차례로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양쪽 암결합부와; 상기 양쪽 암결합부 사이에 삽입되도록 입력장치가 병설된 본체의 후단 중앙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횡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상면 양측에 슬로트가 차례로 형성된 수결합부와; 좌우이동에 따라 대략 절반이 양측 암결합부의 중공에 삽입되도록 수결합부의 중공 양쪽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슬로트에 놓이는 손잡이가 외주면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양쪽 힌지핀과; 상기 모니터 내부의 백라이트발생장치로부터 인출되는 제2백라이트신호회선과 모니터 내부의 디지털영상변화장치로부터 인출되는 제2아날로그영상신호회선과 동시에 연결됨과 아울러 모니터의 일측 하단부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제1암커넥터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선되는 제1백라이트신호회선 및 제1아날로그영상신호회선과 동시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암커넥터와 대응하여 본체의 일측 후단부에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제2암커넥터와; 그리고, 상기 암커넥터들과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커넥터가 양단에 차례로 설치된 외장연결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분리구조에 따르면, 양쪽 힌지핀의 손잡이를 잡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각 힌지핀이 암결합부의 중공 및 수결합부의 중공에 걸쳐 위치한 상태로부터 수결합부의 중공에만 위치하는 상태로 이동되므로 양쪽 암결합부와 수결합부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암커넥터들 및 수커넥터들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외장연결케이블을 분리한다. 예컨대 본체를 교체할 때에는 새로운 본체의 수결합부를 모니터의 양쪽 암결합부 사이에 삽입한 다음 힌지핀의 손잡이를 잡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각 힌지핀이 수결합부의 중공에만 위치한 상태으로부터 이동하여 암결합부의 중공 및 수결합부의 중공에 걸쳐 위치하게 되므로 모니터와 새로운 본체가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분리된 외장연결케이블의 양쪽 수커넥터를 제1암커넥터 및 제2암커넥터에 차례로 연결하면 모니터 및 새로운 본체의 연결이 완료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분리구조는, 모니터의 하단 양쪽에 차례로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양쪽 암결합부와; 상기 양쪽 결합부 사이에 삽입되도록 입력장치가 병설된 본체의 후단 중앙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횡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상면 양측에 슬로트가 차례로 형성된 수결합부와; 좌우이동에 따라 대략 절반이 양측 암결합부의 중공에 삽입되도록 수결합부의 중공 양쪽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슬로트에 놓이는 손잡이가 외주면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방향의 내부배선통로를 가지는 양쪽 힌지핀과; 상기 오른쪽 힌지핀의 내부배선통로를 통하여 인출되는 본체의 제1백라이트신호회선과 연결되어 오른쪽 힌지핀의 암결합부쪽 단부에 결합되는 제1수커넥터와; 상기 왼쪽 힌지핀의 내부배선통로를 통하여 인출되는 본체의 제1아날로그영상신호회선과 연결되어 왼쪽 힌지핀의 암결합부쪽 단부에 결합되는 제2수커넥터와; 그리고, 오른쪽 힌지핀이 오른쪽 암결합부쪽으로 이동할 때 제1수커넥터와 결합되도록 오른쪽 암결합부의 중공에 고정설치됨과 아울러 백라이트발생장치와 연결되는 제2백라이트신호회선과 연결되는 제1암커넥터와; 그리고 왼쪽 힌지핀이 왼쪽 암결합부쪽으로 이동할 때 제2수커넥터와 결합되도록 왼쪽 암결합부의 중공에 고정설치됨과 아울러 디지털영상신호변환장치와 연결되는 제2백라이트신호회선과 연결되는 제2암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힌지핀들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암커넥터들로부터 수커넥터들이 분리됨과 아울러 힌지핀들이 암결합부의 중공 및 수결합부의 중공에 걸쳐 위치한 상태로부터 수결합부의 중공에만 위치하는 상태로 이동되므로 암결합부들과 수결합부들과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모니터와 본체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를 교체할 경우에는 새로운 모니터의 암결합부들 사이에 본체의 수결합부가 삽입되도록 한 다음 힌지핀들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힌지핀들이 수결합부의 중공 및 암결합부들의 중공에 각각 걸쳐 위치하면서 힌지핀들의 수커넥터들이 모니터의 암커넥터들에 결합됨으로써 모니터와 본체와의 결합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분리구조는, 전술한 분리구조에 있어서, 암커넥터들을 유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암커넥터의 설치위치와 대응하여 양쪽 암결합부에 개폐문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따른 연결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분리구조에 의하여 분리되는 모니터를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니터의 후측에 백라이트발생장치 및 디지털영상신호변화장치의 통합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박막액정표시장치용 통합장치와; 상기 통합장치의 일측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디지털신호입력선과 연결되는 전원공급용 소켓과; 상기 통합장치의 일측에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와 외장연결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백라이트입력선과 배선연결되는 아날로그영상신호입력용 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용 스탠드는, 모니터 교체시 본체와 분리된 모니터를 탁상용 컴퓨터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모니터를 잘 바라볼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니터의 배면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자유단에 상단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하단에 설치되는 받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용 스탠드는, 상기 받침판 대신 지주의 하단에 설치되는 파지채널과, 상기 채널의 하부플랜지에 결합됨으로써 회동에 따라 승강하는 고정볼트손잡이와, 상기 고정볼트손잡이의 상단에 결합되는 협지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분리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조부호 1은 액정 모니터로서, 모니터(1)의 내부에는 거의 전영역을 차지하는 박막액정표시장치(11)가 설치되고, 모니터(1) 내부 일측에는 박막액정표시장치(11)와 백라이트입력선(13)을 통하여 배선연결되는 백라이트발생장치(12)가 설치되고, 모니터(1) 내부의 다른 일측에는 박막액정표시장치(11)와 디지털신호입력선(15)을 통하여 배선연결되는 디지털영상신호변환장치(14)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 1에 따르면, 모니터(1)의 일측 하단부에는 제2백라이트신호회선(16)을 통하여 백라이트발생장치(12)와 배선연결되고 제2아날로그영상신호회선(17)을 통하여 디지털영상신호변환장치(14)와 동시에 배선연결되는 제1암커넥터(2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모니터(1)의 하단 양쪽에는 암결합부(22)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고, 이 암결합부(22)들에 의하여 모니터(1)의 하단 중앙부는 요입되어 있다. 상기 암결합부(22)들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공들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은 개구되고 반대쪽은 막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부호 3은 본체로서, 상부에 입력장치(31)가 병설되며, 본체(3)의 후단에는 모니터(1)의 양쪽 암결합부(22,22) 사이, 즉 모니터(1)의 하단 요입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수결합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결합부(32)에도 상기 암결합부(22)들의 중공과 대응하여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결합부(32)의 중공은 암결합부(22)들의 중공과 통하도록 양쪽이 모두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암결부(22)들과 수결합부(32)는 양쪽 힌지핀(5,5)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서로 결합된다. 힌지핀(5)은 본체(3)의 수결합부의 중공 양쪽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차례로 설치된다. 예컨대 좌측 힌지핀(5)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좌측 힌지핀(5)의 좌단부가 모니터(1)의 좌측 암결합부(22)의 중공에 삽입되고 힌지핀(5)의 우단부는 수결합부(32)의 중공에 놓임으로써 좌측 암결합부(22)와 수결합부(32)의 좌측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힌지핀(5)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결합부(32)의 상면 양쪽에는 횡방향으로 슬로트(33)가 차례로 형성되고, 힌지핀(5)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슬로트(33)에 삽입되는 손잡이(51)가 설치된다. 손잡이(5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5)의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힌지핀(5)의 외주면 일측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손잡이(51)의 하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면 상기 수나사부가 체결공에 삽입됨으로써 손잡이(51)가 힌지핀(5)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51)와 슬로트(33)의 채용에 의하여 힌지핀(5)의 좌우이동거리는 슬로트(33)의 길이만큼 제한된다. 또한, 힌지핀은 내부에 길이방향의 중공을 가져도 좋다.
한편, 본체(3)의 일측 후단부에는 모니터(1)의 제1암커넥터(21)와 대응하여 제2암커넥터(35)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제2암커넥터(35)는 본체(3) 내부에 배선되는 제1백라이트신호회선(36) 및 제1아날로그영상신호회선(37)과 동시에 배선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된 제2암커넥터(35)는 양단에 수커넥터(39)가 각각 설치된 외장연결케이블(38)을 통하여 제1암커넥터(21)와 연결된다.
또한, 실시예 1의 분리구조에 따르면, 모니터(1)를 여닫을 때의 마찰에 의하여 힌지핀(5)이 모니터(1)의 암결합부들의 선회에 따라 회동함으로써 슬로트(33)에 손잡이(51)가 걸려 모니터(1)를 여닫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각 슬로트(33)의 암결합부(22)쪽 끝에 수직슬로트(34))가 각각 더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1)를 여닫을 때 마찰에 의하여 힌지핀(5)들이 회동할 경우에는 손잡이(51)들이 각 수직슬로트(33)를 따라 선회하게 됨으로써 힌지핀(5)들이 회동하여도 모니터(1)를 여닫는 데에는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1의 분리구조에 의하여 모니터(1)와 본체(3)를 분리할 경우, 먼저 양쪽 힌지핀(5,5)의 손잡이(51)를 잡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슬로트(33)의 길이만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각 힌지핀(5)은 도 1과 같이 각 암결합부(22)의 중공 및 수결합부(32)의 중공에 걸쳐 위치함으로써 각 암결합부(22) 및 수결합부(32)를 결합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수결합부(32)의 중공에만 위치하는 상태에 놓이므로 양쪽 암결합부(22,22)와 수결합부(32)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장연결케이블(38)의 양쪽 수커넥터(39,39)를 모니터(1)의 제1암커넥터(21)와 본체(3)의 제2암커넥터(35)로부터 분리하면 모니터(1)와 본체(3)의 결합이 완전히 해제된 상태에 놓이므로 모니터(1)의 양쪽 암결합부(22,22) 사이에서 본체(3)의 수결합부(32)를 빼냄으로써 모니터(1)와 본체(3)를 서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니터(1)와 본체(3)를 분리한 상태에서 예컨대 본체(3)를 교체할 때에는 새로운 본체(3)의 수결합부(32)를 기존 모니터(1)의 양쪽 암결합부(22,22) 사이에 삽입하고, 예컨대 모니터(1)를 교체할 때에는 새로운 모니터(1)의 양쪽 암결합부(22,22) 사이에 기존 본체(3)의 수결합부(32)를 삽입한 다음 양쪽 힌지핀(5,5)의 손잡이(51)를 잡고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로트(33)의 길이만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좌측 힌지핀(5)은 수결합부(32)의 좌측 중공에만 놓인 상태로부터 이동하여 좌측 암결합부(22)의 중공 및 수결합부(32)의 중공 좌측에 걸쳐 놓이게 되므로 좌측 암결합부(22)와 수결합부(32)의 좌측이 결합된다. 또한, 우측 힌지핀(5)은 수결합부(32)의 우측 중공에만 놓인 상태로부터 이동하여 우측 암결합부(22)의 중공 및 수결합부(32)의 중공에 걸쳐 놓이게 되므로 우측 암결합부(22)와 수결합부(32)의 우측이 결합된다. 다음에 분리된 외장연결케이블(38)의 양쪽 수커넥터(39,39)를 모니터(1)의 제1암커넥터(21) 및 본체(3)의 제2암커넥터(35)에 차례로 결합하면 모니터(1)와 본체(3)와의 결합이 간단하게 완료된다.
실시예 2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분리구조를 설명한다.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여기서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2의 분리구조에 있어서도 모니터(1)에는 양쪽 암결합부(22,22)가 설치되고, 본체(3)에는 수결합부(32)가 설치된다. 또한 수결합부(32)의 상면 양쪽에는 슬로트(33)가 형성되고, 수결합부(32)의 중공 양쪽에는 힌지핀(5)이 좌우이동가능하게 각각 삽입되어 있음과 아울러 힌지핀(5)의 외주면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손잡이(51)는 슬로트(33) 내에 놓인다.
실시예 2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힌지핀(5)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의 배선통로(52)가 형성되고, 이 힌지핀(5)들의 내부배선통로(52)를 통하여 본체(3) 내부에 배선되어 본체(3)로부터 발생하는 아날로그영상신호와 모니터(1)의 백라이트 신호를 모니터(1) 쪽으로 전송하는 제1백라이트신호회선(36)와 제1아날로그영상신호회선(37)이 차례로 관통삽입되고, 이 회선(36,37)들의 끝이 양쪽 힌지핀(5,5)의 암결합부(22)쪽 끝단에 차례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수커넥터(41) 및 제2수커넥터(42)와 연결된다. 상기 수커넥터들(41,42)은 결합부들(22,32)의 중공에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백라이트신호회선(36) 및 제1아날로그영상신호회선(37)중 각 힌지핀(5)에 삽입되기 전의 일부분은 힌지핀(5)들의 이동에 따라 신축될 수 있도록 전화선과 같이 신축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 2에 있어서도 각 슬로트(33) 끝에는 이와 수직으로 교차하는 수직슬로트(34)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신호회선(36,37)의 힌지핀(5) 내에 삽입된 부분은 함께 몰딩처리되어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기 몰딩피복중 각 힌지핀(5) 양쪽에 위치하는 외주면에 플랜지가 각각 형성되면 수커넥트(41,42)는 회동은 되지만 좌우유동은 방지되는 상태에 놓일 수 있다.
그리고, 각 암결합부(22)의 중공에는 수커넥터들(41,42)과 대응하여 제1암커넥터(23) 및 제2암커넥터(24)가 각각 설치되고, 실시예 2에 있어서 이 암커넥터들(23,24)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암커넥터(23)는 백라이트발생장치(12)와 제2백라이트신호회선(16)을 통하여 배선연결되고, 제2암커넥터(24)는 디지털영상신호변환장치(14)와 제2아날로그영상신호회선(17)을 통하여 배선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2의 분리구조에 의하여 본체(3)와 모니터(1)를 분리할 경우, 먼저 양쪽 힌지핀(5,5)의 손잡이를 잡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슬로트(33)의 길이만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5)들은 각 암결합부(22)의 중공 및 수결합부(32)의 중공에 걸쳐 위치한 상태로부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결합부(32)의 중공에만 위치하는 상태로 이동된다. 이 이동과정에서 고정설치된 암커넥터(23,24)들과 결합된 수커넥터(41,42)들이 분리됨으로써 양쪽 암결합부(22)와 수결합부(32)와의 결합상태가 간단히 해제되고, 따라서 모니터(1)와 본체(3)가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1)와 본체(3)가 분리된 상태에서 예컨대 모니터(1)를 교체할 경우에는 새로운 모니터(1)의 양쪽 암결합부(22) 사이에 본체(3)의 수결합부(32)가 삽입되도록 한 다음 힌지핀(5)들을 암결합부(22)쪽으로 이동시키면 수결합부(32)의 중공에만 위치하고 있던 힌지핀(5)들이 수결합부(32)의 중공 및 암결합부(22)의 중공에 걸쳐 위치하게 되고, 이 이동과정에서 각 힌지핀(5)의 일단에 결합된 수커넥터들(41,42)이 암결합부(22)들의 중공에 고정설치된 암커넥터들(23,24)에 결합됨으로써 모니터(1)와 본체(3)와의 결합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3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분리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3에 따른 분리구조는, 실시예 2에 따른 분리구조에 있어서 모니터(1)의 암결합부(22)들에 설치되는 암커넥터들(23,24)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유동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또한 암커넥터들(23,24)에 대응하여 암결합부(22)들의 상면에 암결합부(22)들의 중공으로 통하는 개폐문(25)이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그 구성 및 작용이 실시예 2와 모두 동일하므로 실시예 2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나타내고 여기서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의 분리구조에 있어서, 제2백라이트신호회선(16) 및 제2아날로그영상신호회선(17)은 전화선과 같이 신축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3에 따른 분리구조에 의하여 모니터(1) 및 본체(3)를 분리할 경우에는, 먼저 양쪽 힌지핀(5,5)의 손잡이를 잡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슬로트(33)의 길이만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힌지핀(5)들은 각 암결합부(22)의 중공 및 수결합부(32)의 중공에 걸쳐 위치한 상태로부터 수결합부(32)의 중공에만 위치하는 상태로 이동된다. 이 이동과정에서 암커넥터들(23,24)이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암커넥터들(23,24)도 함께 이동한다.
이와 같이 힌지핀(5)들을 이동시킨 상태에서 개폐문(25)들을 열고 수커넥터(41,42)들로부터 암커넥터들(23,24)을 손으로 차례로 분리한 다음 모니터(1)와 본체(3)를 분리한다. 암커넥터들(23,24)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힌지핀(5)이 암결합부(22)쪽으로 이동할 우려가 있으므로 한 손은 힌지핀(5)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암커넥터(23,24)를 잡고 암커넥터(23,24)를 분리한다.
모니터(1)와 본체(3)가 분리된 상태에서 예컨대 모니터(1)를 교체할 경우에는 새로운 모니터(1)의 양쪽 암결합부(22,22) 사이에 본체(3)의 수결합부(32)가 삽입되도록 한 다음 힌지핀(5)들을 암결합부(22)들쪽으로 이동시키면 수결합부(32)의 중공에만 위치하고 있던 힌지핀(5)들이 수결합부(32)의 중공 및 암결합부(22)의 중공에 걸쳐 위치하게 된다. 다음에 개폐문(25)들을 열고 힌지핀(5)들의 각 일단에 결합된 수커넥터들(41,42)에 암커넥터들(23,24)을 손으로 잡고 결합하면 모니터(1)와 본체(3)와의 결합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에서는 모니터(1)의 양쪽에 암결합부(22)가 형성되고 본체(3)에 수결합부(32)가 형성된 것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역으로 모니터(1)에는 수결합부가 형성되고 본체(3)의 양쪽에 암결합부가 형성되어 이 결합부들의 구조에 알맞게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도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다음의 실시예 4에서는 일반적으로 모니터(1)보다는 본체(3)를 업그레이드하거나 교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의 분리구조에 의하여 분리된 모니터(1)를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에 연결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1)에 설치되는 연결장치를 설명한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 따른 연결장치를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4에 따른 연결장치는, 본체(3)와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한 바와 같은 분리구조들이 채용된 모니터(1)의 후측에 백라이트발생장치(12) 및 디지털영상신호변환장치(14)의 통합기능을 수행하는 박막액정표시장치용 통합장치(61)를 가진다.
또한, 상기 통합장치(61)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의 외장전원공급케이블(65)이 연결됨으로써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공급용 소켓(6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 소켓(62)은 디지털영상신호변환장치(14)와 배선연결되는 디지털신호입력선(15)과 배선연결된다.
또한, 상기 통합장치(61)의 다른 일측에는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3)와 외장연결케이블(66)에 의하여 연결됨과 아울러 백라이트입력선(13)과 배선연결되는 아날로그영상신호회선입력용 커넥터(63)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3)와 분리된 모니터(1)에 설치된 전원공급용 소켓(62)에 외장전원공급케이블(65)을 연결하고, 모니터(1)의 커넥터에는 본체(3)와 연결되는 외장연결케이블(66)을 연결함으로써 모니터(1)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실시예 5 및 실시예 6에서는 실시예 4의 모니터용 연결장치에 의하여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100)(도 12 및 도 13 참조)에 모니터(1)를 연결하여 사용할 때 모니터(1)를 잘 바라볼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모니터용 스탠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5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 5에 따른 모니터용 스탠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5에 따른 모니터용 스탠드는, 모니터(1)의 배면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부재(71)와, 상기 연결부재(71)의 자유단에 핀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하여 상단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주(72)와, 상기 지주(72)의 하단에 설치되는 받침판(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실시예 5에 따른 스탠드에 의하여 모니터(1)를 책상위에 지지시킨 다음 모니터(1)의 연결장치와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100)를 외장연결케이블(66)에 의하여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면 된다.
실시예 6
도 13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1)용 스탠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6의 모니터(1)용 스탠드는 실시예 5에 있어서, 받침판 대신에 지주(72)의 하단에 통상적인 파지클립이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그 구성 및 작용이 전술한 실시예 4와 동일하므로 실시예 4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여기서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파지클립은 지주(72)의 하단에 상부 플랜지가 결합되는 파지채널(74)과, 상기 파지채널(74)의 하부플랜지에 회동에 따라 승강하도록 결합되는 고정볼트손잡이(75)와, 상기 고정볼트손잡이(75)의 상단에 결합되는 협지판(76)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파지채널(74)의 상,하부플랜지 사이에 책상의 모서리가 삽입되도록 한 다음 고정볼트손잡이(75)를 회동하면 고정볼트손잡이(75)가 상승함에 따라 협지판(76)이 상승됨으로써 책상의 모서리의 상하단이 파지채널(74)의 상부플랜지와 협지판(76) 사이에 협지되므로 모니터(1)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분리구조에 의하면, 본체(3)와 모니터(1)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니터(1) 또는 본체(3)의 선택적인 교체를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컴퓨터의 재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연결장치와 본 고안에 따른 스탠드에 의해서는, 모니터(1)의 교체를 위하여 본체(3)로부터 분리되어 폐기될 수밖에 없었던 모니터(1)를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100)와 연결할 수 있고, 또한 모니터(1)를 잘 바라다 볼 수 있도록 책상위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컴퓨터의 활용범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Claims (7)
- 모니터(1)의 하단 양쪽에 차례로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양쪽 암결합부(22,22)와;상기 양쪽 암결합부 사이에 삽입되도록 입력장치(31)가 병설된 본체(3)의 후단 중앙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횡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상면 양측에 슬로트(33)가 차례로 형성된 수결합부(32)와;좌우이동에 따라 대략 절반이 양측 암결합부(22,22)의 중공에 삽입되도록 수결합부(32)의 중공 양쪽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각각 삽입되고 상기 슬로트(33,33)에 놓이는 손잡이(51)가 외주면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양쪽 힌지핀(5,5)과;상기 모니터 내부의 백라이트발생장치(12)로부터 인출되는 제2백라이트신호회선(16)과 모니터 내부의 디지털영상변환장치(14)로부터 인출되는 제2아날로그영상신호회선(17)과 동시에 연결됨과 아울러 모니터(1)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1암커넥터(21)와;상기 본체 내부에 배선되는 제1백라이트신호회선(36) 및 제1아날로그영상신호회선(37)과 동시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암커넥터와 대응하여 본체의 일측 후단부에 설치되는 제2암커넥터(35)와; 그리고,상기 암커넥터들과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커넥터(39)가 양단에 차례로 설치된 외장연결케이블(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와 모니터와의 분리구조.
- 모니터(1)의 하단 양쪽에 차례로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양쪽 암결합부(22,22)와;상기 양쪽 암결합부 사이에 삽입되도록 입력장치(31)가 병설된 본체(3)의 후단 중앙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횡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상면 양측에 슬로트(33)가 차례로 형성된 수결합부(32)와;좌우이동에 따라 대략 절반이 양측 암결합부의 중공에 삽입되도록 수결합부의 중공 양쪽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슬로트들에 놓이는 손잡이(51)가 외주면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방향의 내부배선통로(52)를 가지는 양쪽 힌지핀(5,5)과;상기 오른쪽 힌지핀의 내부배선통로를 통하여 인출되는 본체의 제1백라이트신호회선(36)과 연결되어 오른쪽 힌지핀의 암결합부쪽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수커넥터(41)와;상기 왼쪽 힌지핀의 내부배선통로를 통하여 인출되는 본체의 제1아날로그영상신호회선(37)과 연결되어 왼쪽 힌지핀의 암결합부쪽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수커넥터(42)와;오른쪽 힌지핀이 오른쪽 암결합부쪽으로 이동할 때 제1수커넥터와 결합되도록 오른쪽 암결합부의 중공에 고정설치됨과 아울러 백라이트발생장치(12)와 연결되는 제2백라이트신호회선(16)과 연결되는 제1암커넥터(23)와; 그리고,왼쪽 힌지핀이 왼쪽 암결합부쪽으로 이동할 때 제2수커넥터와 결합되도록 왼쪽 암결합부의 중공에 고정설치됨과 아울러 디지털영상신호변환장치(14)와 연결되는 제2아날로그영상신호회선(17)과 연결되는 제2암커넥터(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와 모니터와의 분리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1암커넥터(23) 및 제2암커넥터(24)는 양쪽 암결합부(22,22)의 중공 내부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고,상기 암커넥터들과 대응하여 양쪽 암결합부의 상면에는 암결합부의 중공으로 통하는 개폐문(25)이 차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와 모니터와의 분리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각 슬로트(33)의 암결합부(22)쪽 끝에 수직슬로트(34)가 각각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와 모니터와의 분리구조.
-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3)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모니터(1)를 본체(3)와 분리하여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용 연결장치로서,모니터(1)의 후측에 백라이트발생장치(12) 및 디지털영상신호변환장치(14)의 통합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박막액정표시장치용 통합장치(61)와;상기 통합장치의 일측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디지털신호입력선(15)과 연결되는 전원공급용 소켓(62)과; 그리고,상기 통합장치의 일측에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와 외장연결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백라이트입력선(13)과 배선연결되는 아날로그영상신호입력용 커넥터(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용 연결장치.
-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3)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3)로부터 분리하여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와 연결하기 위하여, 후측에 백라이트발생장치(12) 및 디지털영상신호변환장치(14)의 통합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박막액정표시장치용 통합장치(61), 상기 통합장치(61)의 일측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디지털신호입력선(15)과 연결되는 전원공급용 소켓(62) 및 상기 통합장치의 일측에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와 외장연결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백라이트입력선(13)과 배선연결되는 아날로그영상신호입력용 커넥터(63)로 이루어지는 연결장치를 가진 모니터(1)를 책상위에 잘 바라다 볼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용 스탠드로서,상기 모니터의 배면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부재(71)와;상기 연결부재의 자유단에 상단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주(72)와; 그리고,상기 지주의 하단에 설치되는 받침판(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용 스탠드.
-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3)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3)로부터 분리하여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와 연결하기 위하여, 후측에 백라이트발생장치(12) 및 디지털영상신호변환장치(14)의 통합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박막액정표시장치용 통합장치(61), 상기 통합장치의 일측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디지털신호입력선(15)과 연결되는 전원공급용 소켓(62) 및 상기 통합장치의 일측에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와 외장연결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백라이트입력선(13)과 배선연결되는 아날로그영상신호입력용 커넥터(63)로 이루어지는 연결장치를 가진 모니터(1)를 책상위에 잘 바라다 볼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용 스탠드로서,상기 모니터의 배면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부재(71)와;상기 연결부재의 자유단에 상단이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주(72)와;상기 지주의 하단에 설치되는 파지채널(74)과;상기 채널의 하부플랜지에 결합됨으로써 회동에 따라 승강하는 고정볼트손잡이(75)와; 그리고,상기 고정볼트손잡이의 상단에 결합되는 협지판(7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용 스탠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3355U KR200223263Y1 (ko) | 1998-03-09 | 1998-03-09 |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와 본체와의 분리구조와,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니터를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모니터용 연결장치 및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니터를 지지하기 위한 모니터용 스탠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3355U KR200223263Y1 (ko) | 1998-03-09 | 1998-03-09 |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와 본체와의 분리구조와,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니터를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모니터용 연결장치 및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니터를 지지하기 위한 모니터용 스탠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14365U true KR19980014365U (ko) | 1998-06-05 |
KR200223263Y1 KR200223263Y1 (ko) | 2001-05-15 |
Family
ID=69712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03355U KR200223263Y1 (ko) | 1998-03-09 | 1998-03-09 |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와 본체와의 분리구조와,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니터를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모니터용 연결장치 및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니터를 지지하기 위한 모니터용 스탠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23263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8082B1 (ko) * | 1998-12-30 | 2007-05-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폴더 타입 휴대폰에서 메인 보드와 엘씨디 모듈간의연결장치 |
-
1998
- 1998-03-09 KR KR2019980003355U patent/KR20022326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8082B1 (ko) * | 1998-12-30 | 2007-05-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폴더 타입 휴대폰에서 메인 보드와 엘씨디 모듈간의연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23263Y1 (ko) | 2001-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60006917Y1 (ko) | 컴퓨터의 힌지 고정장치 | |
US5253139A (en) |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display unit and a socket lid | |
KR102271897B1 (ko) | 파티션 벨트라인 개폐장치 | |
KR200223263Y1 (ko) | 휴대용 컴퓨터의 모니터와 본체와의 분리구조와,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니터를 탁상용 컴퓨터의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모니터용 연결장치 및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로부터 분리된 모니터를 지지하기 위한 모니터용 스탠드 | |
CN219678501U (zh) | 一种电源模块可拆的poe交换机 | |
CN201122255Y (zh) | 显示屏可拆卸的移动计算设备 | |
KR0130782Y1 (ko) | 휴대용 컴퓨터의 힌지 착탈구조 | |
KR0114809Y1 (ko) |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와 출력장치의 결합구조 | |
TW277175B (en) | Tension member holder for the closure of optical cable connection | |
CN220042522U (zh) | 一种便携式数据线装置 | |
KR200372170Y1 (ko) | 파티션용 벨트라인 | |
CN116137770A (zh) | 一种电子装置防水门 | |
CN213715269U (zh) | 一种组合式线损排查仪 | |
CN220040830U (zh) | 一种卡扣式光纤终端盒 | |
JP4314171B2 (ja) | 折り畳み式電子機器 | |
CN217485982U (zh) | 一种便于固定分隔的开关柜结构 | |
JPH1025949A (ja) | 箱類における扉の取付機構 | |
US20230211591A1 (en) | Film-sticking box and film-sticking assembly | |
CN220855399U (zh) | 一种触摸屏面板安装结构 | |
TWI857755B (zh) | 具快拆鍵盤的筆記型電腦 | |
CN213846114U (zh) | 一种电气工程用线缆固定装置 | |
CN220173528U (zh) | 一种翻盖式医用箱体显示器 | |
CN221130952U (zh) | 一种简易开合结构及含该简易开合结构的玩具 | |
CN219802364U (zh) | 一种带有方便拆卸固定机构的交换机 | |
CN218162660U (zh) | 一种用于移动视频会议终端设备的固定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