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31779B1 -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31779B1 KR102731779B1 KR1020230016597A KR20230016597A KR102731779B1 KR 102731779 B1 KR102731779 B1 KR 102731779B1 KR 1020230016597 A KR1020230016597 A KR 1020230016597A KR 20230016597 A KR20230016597 A KR 20230016597A KR 102731779 B1 KR102731779 B1 KR 1027317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housing
- battery
- joint
- battery support
- elastic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2—Construction of casings, bodies or han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6—Vibration damp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3—Portable devices, e.g. mobile telephones, cameras or pacemakers
- H01M10/6235—Power tool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에 관한 것으로, 모터를 수용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과 연결되고 하단에 돌출 결합부가 구비된 핸들 하우징 및, 상기 핸들 하우징의 돌출 결합부과 결합되는 수용 결합부를 갖는 배터리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결합부와 수용 결합부의 사이에 공기댐핑을 이루도록 탄성체가 장착되어 상기 배터리 지지체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저감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전동공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들 하우징과 배터리 지지체의 결합부에 탄성체가 구비되어 핸들 하우징에서 배터리 지지체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저감가능한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공구는 배터리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작동되는 모터가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고, 모터의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된 공구장착용 커넥터에 드릴, 드라이버, 그라인더 또는 원형 톱 등의 각종 공구를 장착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최근의 전동공구는 배터리 팩을 착탈식으로 갈아 끼워서 외부전원 없이 작업할 수 있는 휴대형 전동공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동공구는 전원 케이블을 외부전원에 연결하지 않고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지만, 작업시간이 배터리 팩의 충전용량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충전 없이 장시간 사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또한, 휴대용 전동공구는 배터리 팩의 충전용량 외에도 핸들과 배터리 연결부위에 하우징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에 의해 배터리 접촉불량으로 인해 배터리 팩의 사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원인이 되었다.
일본 등록특허 6849088(특허문헌1)에서는 전지팩의 진동을 억제하는 전자기기로서 전지팩이 장착되는 제2 하우징에 링형 탄성체가 장착되어 전지팩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 2015-033733(특허문헌2)에서는 핸디형 동력 공구로서 제2 유닛과 제3 유닛 사이의 배터리 홀더에 탄성부재가 장착되어 제2 유닛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제3 유닛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일본 등록특허 4977533(특허문헌3)에서는 가반형 전동공구로서 그립부와 전지팩 지지체 사이에 탄성체가 구비되어 그립부에서 전지팩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1에서는 일정한 형태를 갖는 링형 탄성체가 제2 하우징에 간극에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충분히 감쇠시키기 어렵다.
상기 특허문헌2, 3에서는 탄성부재(탄성체)가 분할되고 입체적 구조로 배터리 홀더(전지팩 지지체)에 장착되어 제2 유닛(그립부)로부터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탄성부재(탄성체)가 동일한 탄성재질로 되어 핸들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충분히 감쇠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2, 3에서는 탄성부재(탄성체)가 설치되는 배터리 홀더(전지팩 지지체)에 간극이 형성되어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접촉불량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핸들 하우징과 배터리 지지체 사이에 입체적으로 형태가 가변되는 탄성체가 구비되어 핸들 하우징으로부터 배터리 팩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핸들 하우징과 배터리 지지체 사이에 이중으로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는 구조를 통해 핸들 하우징으로부터 배터리 팩으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핸들 하우징과 배터리 지지체의 연결부위에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배터리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는, 모터를 수용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과 연결되고 하단에 돌출 결합부가 구비된 핸들 하우징 및, 상기 핸들 하우징의 돌출 결합부과 결합되는 수용 결합부를 갖는 배터리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결합부와 수용 결합부의 사이에 탄성체가 장착되어 상기 핸들 하우징에서 상기 배터리 지지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일정 반경을 갖고 표면을 따라 엠보싱이 형성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표면을 따라 엠보싱이 형성된 폭연장부 및, 상기 만곡부의 반대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하우징의 돌출 결합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중간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지지체의 수용 결합부는 상단에 내향하게 연장된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된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의 삽입공간부에 상기 돌출 결합부의 플랜지부가 삽입 상태로 상기 제1,2 플랜지부 사이에 결합되어 접촉면을 줄이면서 댐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엠보싱 형성부분이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강도를 갖게되어 외력에 의해 가변되고 외력제거시 복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 모터를 수용하는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과 연결되고 하단에 돌출 결합부가 구비된 핸들 하우징 및, 상기 핸들 하우징의 돌출 결합부과 결합되는 수용 결합부를 갖는 배터리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하우징의 하단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열의 연장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지지체의 상단면과 접촉되며, 상기 돌출 결합부와 수용 결합부의 사이에 탄성체가 장착되어 상기 핸들 하우징에서 상기 배터리 지지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일정 반경을 갖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폭연장부와, 상기 만곡부의 반대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공간부 및 상기 만곡부와 삽입공간부의 표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철부는 만곡부에서 폭연장부까지 연장되게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장돌기는 상기 핸들 하우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강도를 갖게되어 외력에 의해 가변되고 외력제거시 복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는, 모터를 수용하는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과 연결되고 하단에 돌출 결합부가 구비되며 선단 가장자리를 따라 덮개부가 연장 형성된 핸들 하우징 및, 상기 핸들 하우징의 돌출 결합부과 결합되는 수용 결합부를 갖고 상단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덮개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배터리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결합부와 수용 결합부의 사이에 탄성체가 장착되어 상기 핸들 하우징에서 상기 배터리 지지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에 따르면, 핸들 하우징의 돌출 결합부와 배터리 지지체의 수용 결합부 사이에서 탄성체의 엠보싱을 통해 부분 접촉하면서 공기층을 형성하여 댐핑을 이루어낼 수 있다. 또한, 탄성체는 엠보싱 형성부분이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강도를 갖게 되어 본체 하우징과 핸들 하우징으로부터 배터리 지지체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에 의하면, 연장돌기가 배터리 지지체의 상단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핸들 하우징의 축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고, 핸들 하우징의 돌출 결합부와 배터리 지지체의 수용 결합부 사이에서 탄성체를 통해 추가적으로 댐핑을 이루냄으로써 본체 하우징과 핸들 하우징으로부터 배터리 지지체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장돌기 또는 덮개부를 통해 핸들 하우징과 배터리 지지체의 결합부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핸들 하우징과 배터리 지지체의 부분 종결합단면도,
도 4는 전동공구의 핸들 하우징과 배터리 지지체 횡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탄성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핸들부와 배터리 지지체의 부분 종결합단면도,
도 8은 전동공구의 핸들 하우징과 배터리 지지체 횡결합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탄성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핸들부와 배터리 지지체의 부분 종결합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핸들 하우징과 배터리 지지체의 부분 종결합단면도,
도 4는 전동공구의 핸들 하우징과 배터리 지지체 횡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탄성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핸들부와 배터리 지지체의 부분 종결합단면도,
도 8은 전동공구의 핸들 하우징과 배터리 지지체 횡결합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탄성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핸들부와 배터리 지지체의 부분 종결합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전동공구의 핸들 하우징과 배터리 지지체 종결합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110), 핸들 하우징(120), 배터리 지지체(130), 탄성체(140), 배터리 팩(15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110)은 내부에 미도시한 모터, 동력전달기구 등 구동수단이 수용되어 있고, 전방으로 커넥터(112)가 돌출되어 사용하기 위한 공구를 선택하여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하우징(110)은 상기 핸들 하우징(120)과의 연결부분에 버튼을 눌러서 공구를 작동시키거나 작동해제시키는 버튼 스위치(1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핸들 하우징(120)은 상기 본체 하우징(110)과 배터리 지지체(130)에 각각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표면에 사용자의 손으로 감싸서 잡는 그립부(120a, 120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 하우징(1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상기 배터리 지지체(130)와 결합되는 돌출 결합부(122)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 결합부(122)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4)와, 상기 연장부(124)의 중간에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부(126)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 결합부(122)의 연장부(124)와 플랜지부(126)에 상기 탄성체(140)의 내면이 부분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지지체(130)는 상기 핸들 하우징(120)과 상기 배터리 팩(150)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배터리 지지체(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연결구조이고, 상기 핸들 하우징(120)의 돌출 결합부(122)를 수용하는 수용 결합부(13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용 결합부(132)는 상단에 내향하게 연장된 제1 플랜지부(134)와, 상기 제1 플랜지부(134)에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된 제2 플랜지부(136)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결합부(132)의 제1 플랜지부(134)와 제2 플랜지부(136) 사이에 상기 돌출 결합부(122)의 플랜지부(126)와 탄성체(140)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 하우징(120)의 돌출 결합부(122)와 배터리 지지체(130)의 수용 결합부(130)가 상호 연결되면서 탄성체(140)를 통해 핸들 하우징(120)에서 배터리 팩(15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체(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을 따라 제1 엠보싱(142a)이 형성된 만곡부(142)와, 상기 만곡부(14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폭연장부(144) 및, 상기 만곡부(142)의 반대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공간부(146)를 포함한다.
상기 만곡부(142)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반경을 갖고 표면을 따라 볼록 엠보싱(142a)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 결합부(122)의 플랜지부(126)를 둘러싸는 부분이다. 또한 만곡부(142)는 상기 수용 결합부(130)의 제1,2 플랜지부(134, 136) 사이에서 플랜지부와 부분적으로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폭연장부(14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만곡부(14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표면을 따라 볼록 엠보싱(14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간부(146)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부(142)와 마찬가지로 일정 반경을 갖고 표면을 따라 오목 엠보싱(146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삽입공간부(136)는 상기 연장부(124)와 플랜지부(126)의 외표면과 접촉하면서 오목 엠보싱(142a)에 공기가 채워진 상태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탄성체(140)는 볼록 엠보싱(142a, 144a)의 형성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강도를 갖도록 제작되어 외력에 의해 가변되고 외력제거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체(140)는 핸들 하우징(120)의 돌출 결합부(122)와 배터리 지지체(130)의 수용 결합부(130) 사이에서 볼록 엠보싱(142a, 144a)과 오목 엠보싱(146a)을 통해서 부분 접촉하면서 공기가 채워짐으로써 댐핑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 팩(15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공구(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배터리 지지체(130)에 의해 지지되고 분리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100)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에 의하면, 핸들 하우징(120)의 돌출 결합부(122)와 배터리 지지체(130)의 수용 결합부(132) 사이에서 탄성체(140)의 엠보싱(142a, 144a)을 통해 부분 접촉하면서 공기층을 형성하여 댐핑을 이루어낼 수 있다. 또한, 탄성체(140)는 엠보싱(142a, 144a)의 형성부분이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강도를 갖게 되어 본체 하우징(110)과 핸들 하우징(120)으로부터 배터리 지지체(130)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탄성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핸들부와 배터리 지지체의 부분 종결합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2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210), 핸들 하우징(220), 배터리 지지체(230), 탄성체(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 하우징(210), 핸들 하우징(220), 배터리 지지체(230)는 도면부호를 다르게 기재하고 있으나,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을 기초로 설명한다.
상기 핸들 하우징(220)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상기 배터리 지지체(230)와 결합되는 돌출 결합부(222)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 결합부(222)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4)와, 상기 연장부(224)의 중간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플랜지부(226)를 포함한다.
그리고, 핸들 하우징(220)은 하단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열의 연장돌기(228)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장돌기(228)는 돌출 결합부(222)에 비하여 상태적으로 높은 탄성강도를 갖게 되어 외력에 의해 가변되고 외력제거시 복원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장돌기(228)는 배터리 지지체(230)의 상단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핸들 하우징(220)의 축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연장돌기(228)는 핸들 하우징(220)과 배터리 지지체(230)의 결합부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지지체(230)는 상기 핸들 하우징(220)과 상기 배터리 팩(250)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배터리 지지체(2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 하우징(220)의 돌출 결합부(222)를 수용하는 수용 결합부(23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용 결합부(232)는 상단에 내향하게 연장된 제1 플랜지부(234)와, 상기 제1 플랜지부(234)에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된 제2 플랜지부(236)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용 결합부(232)의 제1 플랜지부(234)와 제2 플랜지부(236) 사이에 상기 돌출 결합부(222)의 플랜지부(226)가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부(226)에 상기 탄성체(240)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2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반경을 갖는 만곡부(242)와, 상기 만곡부(24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폭연장부(244)와, 상기 만곡부(242)의 반대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공간부(246) 및 상기 만곡부(242)와 삽입공간부(246)의 표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요철부(248)를 포함한다.
상기 만곡부(242)는 일정 반경을 갖고 탄성체(240)를 설치하게 될 경우 상기 제1 플랜지부(234)와 제2 플랜지부(236)의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상기 폭연장부(244)는 상기 만곡부(24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탄성체(240)를 설치하게 될 경우 1쌍의 폭연장부(244)는 서로 맞닿게 되고 양쪽 선단부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간부(246)는 내부로 상기 돌출 결합부(222)의 플랜지부(226)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삽입공간부(24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248)의 오목부가 형성에 공기가 채워지고, 오목부를 제외한 부분은 상기 플랜지부(226)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되어 댐핑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요철부(248)는 상기 만곡부(242)와 삽입공간부(246)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요철부(248)의 볼록부는 만곡부(242)에 돌출되어 상기 제1 플랜지부(234) 및 제2 플랜지부(236)와 맞닿도록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요철부(248)는 만곡부(242)에서 폭연장부(244)까지 연장되게 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탄성체(240)는 외부의 충격을 받을 경우 핸들 하우징(220)의 돌출 결합부(222)와 배터리 지지체(230)의 수용 결합부(230) 사이에서 만곡부(242), 폭연장부(244), 삽입공간부(246), 요철부(248)를 통해 부분 접촉하면서 댐핑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핸들 하우징(220)의 돌출 결합부(222)와 배터리 지지체(230)의 수용 결합부(232) 사이에 제1 실시예의 탄성체(140)를 삽입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200)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에 의하면, 연장돌기(228)가 배터리 지지체(230)의 상단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핸들 하우징(220)의 축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핸들 하우징(220)의 돌출 결합부(222)와 배터리 지지체(230)의 수용 결합부(232) 사이에서 탄성체(240)의 만곡부(242), 폭연장부(244), 삽입공간부(246), 요철부(248)를 통해 부분 접촉하면서 댐핑기능을 함으로써 본체 하우징(210)과 핸들 하우징(220)으로부터 배터리 지지체(230)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탄성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공구의 핸들부와 배터리 지지체의 부분 종결합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3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310), 핸들 하우징(320), 배터리 지지체(330), 탄성체(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 하우징(310), 핸들 하우징(320), 배터리 지지체(330), 탄성체(340)은 도면부호를 다르게 기재하고 있으나, 제2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을 기초로 설명한다.
상기 핸들 하우징(320)은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내부에 상기 배터리 지지체(330)와 결합되는 돌출 결합부(322)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하단 외부 가장자리를 따라 덮개부(328)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 결합부(322)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24)와, 상기 연장부(324)의 중간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플랜지부(326)를 포함한다. 여기서, 덮개부(328)는 후술하는 배터리 지지체(330)의 수용홈(338)과 단차지게 맞물려서 핸들 하우징(320)과 배터리 지지체(330)의 결합부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지지체(330)는 상기 핸들 하우징(320)과 상기 배터리 팩(350)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배터리 지지체(330)는 상기 핸들 하우징(320)의 돌출 결합부(322)를 수용하는 수용 결합부(332)가 구비되어 있고, 상단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덮개부(328)를 수용하는 수용홈(3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 결합부(332)는 상단에 내향하게 연장된 제1 플랜지부(334)와, 상기 제1 플랜지부(334)에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된 제2 플랜지부(336)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용 결합부(332)의 제1 플랜지부(334)와 제2 플랜지부(336) 사이에 상기 돌출 결합부(322)의 플랜지부(326)가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부(326)에 상기 탄성체(340)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3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반경을 갖는 만곡부(342)와, 상기 만곡부(34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폭연장부(344)와, 상기 만곡부(342)의 반대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공간부(346) 및 상기 만곡부(342)와 삽입공간부(346)의 표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요철부(348)를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체(340)는 제2 실시예의 탄성체(240)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체(340)는 외부의 충격을 받을 경우 핸들 하우징(320)의 돌출 결합부(322)와 배터리 지지체(330)의 수용 결합부(330) 사이에서 만곡부(342), 폭연장부(344), 삽입공간부(346), 요철부(348)를 통해 부분 접촉하면서 댐핑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핸들 하우징(320)의 돌출 결합부(322)와 배터리 지지체(330)의 수용 결합부(332) 사이에 제1 실시예의 탄성체(140)를 삽입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동공구(300)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에 의하면, 핸들 하우징(320)의 덮개부(328)와 배터리 지지체(330)의 수용홈(338)이) 단차지게 맞물리는 구조로 되어 핸들 하우징(320)과 배터리 지지체(330)의 결합부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핸들 하우징(320)의 돌출 결합부(322)와 배터리 지지체(330)의 수용 결합부(332) 사이에서 탄성체(340)의 만곡부(342), 폭연장부(344), 삽입공간부(346), 요철부(348)을 통해 부분 접촉하면서 댐핑기능을 함으로써 본체 하우징(310)과 핸들 하우징(320)으로부터 배터리 지지체(330)로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200, 300 : 전동공구 110, 210, 310 : 본체 하우징
112, 212, 312 : 커넥터 114, 214, 314 : 버튼 스위치
120, 220, 320 : 핸들 하우징 122, 222, 322 : 돌출 결합부
124, 224, 324 : 연장부 126, 226, 326 : 플랜지부
130, 230, 330 : 배터리 지지체 132, 232, 332 : 수용 결합부
134, 234, 334 : 제1 플랜지부 136, 236, 336 : 제2 플랜지부
140, 240, 340 : 탄성체 142, 242, 342 : 만곡부
144, 244, 344 : 폭연장부 146, 246, 346 : 삽입공간부
150, 250, 350 : 배터리팩
112, 212, 312 : 커넥터 114, 214, 314 : 버튼 스위치
120, 220, 320 : 핸들 하우징 122, 222, 322 : 돌출 결합부
124, 224, 324 : 연장부 126, 226, 326 : 플랜지부
130, 230, 330 : 배터리 지지체 132, 232, 332 : 수용 결합부
134, 234, 334 : 제1 플랜지부 136, 236, 336 : 제2 플랜지부
140, 240, 340 : 탄성체 142, 242, 342 : 만곡부
144, 244, 344 : 폭연장부 146, 246, 346 : 삽입공간부
150, 250, 350 : 배터리팩
Claims (8)
- 모터를 수용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과 연결되고 하단에 돌출 결합부가 구비된 핸들 하우징; 및
상기 핸들 하우징의 돌출 결합부과 결합되는 수용 결합부를 갖는 배터리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결합부와 수용 결합부의 사이에 장착되는 탄성체는 일정 반경을 갖고 표면을 따라 엠보싱이 형성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표면을 따라 엠보싱이 형성된 폭연장부 및, 상기 만곡부의 반대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공간부를 포함하여 상기 핸들 하우징에서 상기 배터리 지지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 하우징의 돌출 결합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중간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지지체의 수용 결합부는 상단에 내향하게 연장된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된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의 삽입공간부에 상기 돌출 결합부의 플랜지부가 삽입 상태로 상기 제1,2 플랜지부 사이에 결합되어 접촉면을 줄이면서 댐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엠보싱 형성부분이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강도를 갖게 되어 외력에 의해 가변되고 외력제거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 - 모터를 수용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과 연결되고 하단에 돌출 결합부가 구비된 핸들 하우징; 및
상기 핸들 하우징의 돌출 결합부과 결합되는 수용 결합부를 갖는 배터리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 하우징의 하단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열의 연장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지지체의 상단면과 접촉되며,
상기 연장돌기는 상기 핸들 하우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강도를 갖게 되어 외력에 의해 가변되고 외력제거시 복원되고,
상기 돌출 결합부와 수용 결합부의 사이에 탄성체가 장착되어 상기 핸들 하우징에서 상기 배터리 지지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 - 모터를 수용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과 연결되고 하단에 돌출 결합부가 구비되며 선단 가장자리를 따라 덮개부가 연장 형성된 핸들 하우징; 및
상기 핸들 하우징의 돌출 결합부과 결합되는 수용 결합부를 갖고 상단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덮개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배터리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결합부와 수용 결합부의 사이에 탄성체는 일정 반경을 갖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폭연장부와, 상기 만곡부의 반대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공간부 및, 상기 만곡부와 삽입공간부의 표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하여 상기 핸들 하우징에서 상기 배터리 지지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일정 반경을 갖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폭연장부와, 상기 만곡부의 반대면을 따라 형성된 삽입공간부 및, 상기 만곡부와 삽입공간부의 표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16597A KR102731779B1 (ko) | 2023-02-08 |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16597A KR102731779B1 (ko) | 2023-02-08 |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23958A KR20240123958A (ko) | 2024-08-16 |
KR102731779B1 true KR102731779B1 (ko) | 2024-11-19 |
Family
ID=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23146A (ja) * | 2004-11-01 | 2006-05-18 | Hitachi Koki Co Ltd | 動力工具 |
JP2008302457A (ja) * | 2007-06-07 | 2008-12-18 | Makita Corp | 可搬型電動工具 |
JP6627278B2 (ja) * | 2015-06-26 | 2020-01-08 | 工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電動工具 |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23146A (ja) * | 2004-11-01 | 2006-05-18 | Hitachi Koki Co Ltd | 動力工具 |
JP2008302457A (ja) * | 2007-06-07 | 2008-12-18 | Makita Corp | 可搬型電動工具 |
JP6627278B2 (ja) * | 2015-06-26 | 2020-01-08 | 工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電動工具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21818B2 (en) | Power tool having a vibration isolating handle | |
JP5124195B2 (ja) | 振動絶縁手段を有する手持ち式工具装置 | |
US9168652B2 (en) | Hand-held power tool, in particular electric hand-held power tool | |
JP5102982B2 (ja) | 手持式電動工具用電池パック | |
US7500527B2 (en) | Hand-held power tool with a decoupling device | |
US10076833B2 (en) | Electric tools | |
RU2591926C2 (ru) | Ручная машина | |
US11440176B2 (en) | Battery terminal holder for electric tools | |
JP5541444B2 (ja) | 電動工具 | |
KR102731779B1 (ko) |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 | |
KR20240123958A (ko) | 휴대용 전동공구의 배터리부 진동저감구조 | |
JP5463983B2 (ja) | 作業機械 | |
JP5961544B2 (ja) | 携帯型作業機 | |
JP6084545B2 (ja) | 電動工具 | |
CN216830113U (zh) | 一种防震砂光机及其电动工具 | |
KR101281619B1 (ko) | 자동차 동력전달용 케이블 연결장치 | |
KR102576453B1 (ko) | 전동공구의 충격완충장치 | |
JP2004261906A (ja) | 電動工具のハンドル構造 | |
CN218556995U (zh) | 电动工具 | |
US11832564B2 (en) | Brush cutter | |
CN217992426U (zh) | 电动工具的电池包减振结构 | |
CN211930372U (zh) | 电机、安装组件及减振件 | |
CN217452391U (zh) | 电动工具 | |
KR101844469B1 (ko) | 진동흡수 터미널 구조를 가지는 moc 액츄에이터 | |
CN212385405U (zh) | 一种电锤用带减震组件的手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