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19386B1 - 광 제어 장치 및 광 제어 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 제어 장치 및 광 제어 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19386B1 KR102719386B1 KR1020190167733A KR20190167733A KR102719386B1 KR 102719386 B1 KR102719386 B1 KR 102719386B1 KR 1020190167733 A KR1020190167733 A KR 1020190167733A KR 20190167733 A KR20190167733 A KR 20190167733A KR 102719386 B1 KR102719386 B1 KR 1027193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control device
- pattern mold
- light control
- load patter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1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723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007 heat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UQSXHKLRYXJYBZ-UHFFFAOYSA-N Iron oxide Chemical compound [Fe]=O UQSXHKLRYXJY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14332 N(SO2CF3)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SZVJSHCCFOBDDC-UHFFFAOYSA-N ferrosoferric oxide Chemical compound O=[Fe]O[Fe]O[Fe]=O SZVJSHCCFOBDD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96 quantum d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QPLDLSVMHZLSFG-UHFFFAOYSA-N Copper oxide Chemical compound [Cu]=O QPLDLSVMHZLS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RTOMJZYCJJWKI-UHFFFAOYSA-N Titanium nitride Chemical compound [Ti]#N NRTOMJZYCJJWK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08 n-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H])C([H])([H])*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PUBBGLMJRNUCC-UHFFFAOYSA-N oxygen(2-);tantalum(5+) Chemical compound [O-2].[O-2].[O-2].[O-2].[O-2].[Ta+5].[Ta+5] BPUBBGLMJRNU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453 quaternary ammonium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HBMJWWWQQXIZIP-UHFFFAOYSA-N silicon carbide Chemical compound [Si+]#[C-] HBMJWWWQQXI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5 tantal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UVRBAGPIYLISA-UHFFFAOYSA-N tantalum atom Chemical compound [Ta] GUVRBAGPIYLI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23—Arrangements for providing a switchable viewing angle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 및 광 제어 장치의 제조방법은, 제1 필름, 제1 필름과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2 필름, 제1 필름과 제2 필름 사이에서 제1 필름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광을 흡수하는 복수개의 로드, 및 로드들과 제2 필름을 이격시키면서 로드들을 감싸는 로드 패턴 몰드를 포함하고, 로드 패턴 몰드는 로드들에 전계를 인가시키는 전도성 향상 첨가제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으로써, 로드가 양극과 음극 중 어느 한쪽에 접촉되지 않더라도 로드 패턴 몰드를 통해 전계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임프린팅 방식으로 광 제어 장치를 제조할 수 있어서 제조 비용 및 택트 타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광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광 제어 장치 및 광 제어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 발광표시장치, 유기 발광 표시장치, 마이크로 발광 표시장치, 양자점 발광 표시장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사용자가 다양한 각도 방향에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넓은 시야각을 갖도록 개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표시장치의 시야각이 넓은 경우 오히려 제품의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좁은 시야각을 요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은행의 입출금장치(ATM)의 경우,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될 때 주위의 다른 사람이 개인정보를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므로 표시장치의 시야각이 좁은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경우 표시장치의 시야각이 넓은 경우, 야간 운행시 차량의 전면 유리창(Wind Shield)에 빛이 반사되어 운전자의 안전운행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나 휴대폰의 경우, 사용자가 프라이버시가 노출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표시장치의 시야각이 넓은 것이 오히려 사용자의 요구와 상반된다.
따라서, 요구되는 상황에 적합하게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광 제어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출원은 제조 비용 및 택트 타임을 줄일 수 있는 광 제어 장치 및 광 제어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는 제1 필름, 제1 필름과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2 필름, 제1 필름과 제2 필름 사이에서 제1 필름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광을 흡수하는 복수개의 로드, 및 로드들과 제2 필름을 이격시키면서 로드들을 감싸는 로드 패턴 몰드를 포함하고, 로드 패턴 몰드는 로드들에 전계를 인가시키는 전도성 향상 첨가제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2 베이스 필름 상에 제2 전극과 접착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접착층 상에 복수개의 공간을 포함하는 로드패턴몰드를 형성하는 단계, 로드패턴몰드의 가장자리에 씰링층을 형성하는 단계, 씰링층과 이격되도록 로드패턴몰드 상에 제1 접착층, 제1 전극, 및 제1 베이스 필름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씰링층과 제1 접착층 사이에 구비된 공간에 로드를 주입하는 단계, 및 제2 씰링층을 도포하여 씰링층과 제1 접착층 사이에 구비된 공간을 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광 제어 장치 및 광 제어 장치의 제조방법은 로드를 감싸는 로드 패턴 몰드에 전도성 향상 첨가제를 혼합시킴으로써, 로드가 양극과 음극 중 어느 한쪽에 접촉되지 않더라도 로드 패턴 몰드를 통해 전계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임프린팅 방식으로 광 제어 장치를 제조할 수 있어서 제조 비용 및 택트 타임을 줄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전계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의 광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일부 도면이다.
도 4는 전계가 형성된 경우의 광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일부 도면이다.
도 5는 전계가 형성된 경우의 전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Q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광 제어방법에 따른 시간과 휘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그래프이다.
도 7a 내지 도 7h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제조 공정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전계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의 광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일부 도면이다.
도 4는 전계가 형성된 경우의 광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일부 도면이다.
도 5는 전계가 형성된 경우의 전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Q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광 제어방법에 따른 시간과 휘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그래프이다.
도 7a 내지 도 7h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제조 공정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전계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의 광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일부 도면이고, 도 4는 전계가 형성된 경우의 광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일부 도면이며, 도 5는 전계가 형성된 경우의 전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Q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제1 필름(2), 제2 필름(3), 로드(4), 로드패턴몰드(5), 및 접착층(6)을 포함한다. 상기 로드패턴몰드(5)는 로드(4)들에 전계를 인가시키는 전도성 향상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결합되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광이 출사되는 쪽에 결합되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일정 각도 범위 내로만 출사되도록 하고 상기 일정 각도 범위를 벗어나는 광은 차폐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일정 각도 범위 이상으로 출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일정 각도 범위 내로만 출사되도록 하는 것을 협시야각 모드(또는 프라이버시(Privacy) 모드)라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일정 각도 범위 이상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것을 광시야각 모드(또는 퍼블릭(Public) 모드)라 정의한다. 즉,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협시야각 모드(또는 프라이버시 모드), 및 광시야각 모드(또는 퍼블릭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을 출사하는 장치 예컨대, 액정표시장치, 발광표시장치, 유기 발광 표시장치, 마이크로 발광 표시장치, 양자점 발광 표시장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을 출사하는 장치이면 다른 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필름(2)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에서 가장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1 필름(2)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2)은 투명 접착제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2) 상에는 로드(4), 로드패턴몰드(5), 접착층(6), 및 제2 필름(3)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필름(2)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지지되어서 상기 로드(4), 로드패턴몰드(5), 접착층(6), 및 제2 필름(3)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사각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필름(2)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광이 출사되는 부분의 형태에 따라 원형, 타원형 등 다른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그 두께도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2)은 제1 베이스 필름(21), 및 제1 전극(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필름(21)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입사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출사시킬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투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필름(2)은 아크릴계 수지물질,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2)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에서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써, 음극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2)은 상기 제1 베이스 필름(21)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어서 상기 제1 베이스 필름(2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전극(22)은 전압공급부(미도시)에 연결되어서 전압공급부가 공급하는 전압에 따라 전계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2 필름(3)은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제1 필름(2)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필름(3)과 상기 제1 필름(2) 사이에는 로드(4), 로드패턴몰드(5), 및 접착층(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필름(3)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에서 가장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사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출사시켜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제2 필름(3)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최종적으로 통과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2 필름(3)은 상기 제1 필름(2)과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필름(2)과 제2 필름(3) 사이에 수분, 이물질 등이 침투되지 않으면 다른 형상과 다른 두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필름(3)은 제2 베이스 필름(31), 및 제2 전극(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 필름(31)은 제1 베이스 필름(21)을 통과한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출사시킬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투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베이스 필름(31)은 제1 베이스 필름(21)과 동일한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32)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에서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써, 양극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32)은 상기 제2 베이스 필름(31)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어서 상기 제2 베이스 필름(31)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 전극(32)은 전압공급부(미도시)에 연결되어서 전압공급부가 공급하는 전압에 따라 제1 전극(22)과 함께 전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압공급부가 공급하는 전압에 따라 제2 전극(32)과 제1 전극(22)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면, 도 4와 같이 광시야각 모드(또는 퍼블릭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압공급부가 전압을 공급하지 않으면 제2 전극(32)과 제1 전극(22)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도 3과 같이 협시야각 모드(또는 프라이버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로드(4)는 광을 차폐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른 로드(4)는 광을 흡수함으로써 광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로드(4)는 금속 물질, 금속 산화물질 혹은 질화 물질과 같은 불투명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본(Carbon), 질화 실리콘(SiN), 질화 티타늄(TiN), 탄화 실리콘(SiC), 탄탈륨(Ta), 티타늄(Ti), 텅스텐(W), 산화 구리(CuO), 산화 알루미늄(Al2O3), 산화 철(Fe3O4) 그리고 산화 탄탈륨(Ta2O5)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4)는 광 흡수성이 우수한 유기 물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로드(4)는 오일(Oil)에 복수개의 카본(Carbon) 입자가 포함된 물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카본 입자들이 광을 흡수함으로써 광을 차폐할 수 있다. 이 경우, 협시야각 모드(프라이버시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로드(4)가 카본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로드(4)는 복수개가 제1 필름(2)과 제2 필름(3)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드(4)들은 제1 필름(2)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드(4)들이 제1 필름(2)을 따라 배치된다는 것은, 상기 제1 필름(2)의 가로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가로 방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방향일 수 있다. Y축방향(도 1에 도시됨)은 상기 X축방향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며 X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Z축방향(도 1에 도시됨)은 상기 X축방향과 Y축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방향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를 거쳐서 외부로 출사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X축방향은 협시야각 모드(또는 프라이버시 모드) 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광 중 일부를 차폐하는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협시야각 모드(또는 프라이버시 모드) 시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사되는 광 중 정면으로 출사되는 정면 광(L)과 로드(4)들에 차폐되지 않으면서 경사지게 출사되는 경사 광(L1)만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를 통과해서 외부로 출사될 수 있고, 로드(4)들에 차폐된 차폐 광(L2)은 외부로 출사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X축방향으로 협시야각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상기 로드(4)들이 Y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구현됨으로써, Y축방향으로 협시야각 모드를 구현할 수도 있고, 상기 로드(4)들이 X축방향과 Y축방향 모두에 이격 배치되도록 메쉬(mesh)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X축방향과 Y축방향으로 협시야각 모드를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정면 광(L)은 Z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경사 광(L1)은 로드(4)들에 차폐되지 않으면서 Z축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협시야각 모드(또는 프라이버시 모드)에서 차폐되었던 차폐 광(L2)까지 외부로 출사될 수 있도록 광시야각 모드(또는 퍼블릭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로드(4)는 하면(41), 상면(42), 및 측면들(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면(41)은 상기 제1 필름(2)에 결합되는 면이다. 상기 로드(4)의 하면(41)은 제1 접착층(2')을 통해 제1 필름(2)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접착층(2')은 OCA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로드(4)와 제1 필름(2)을 결합시킬 수 있으면 다른 물질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접착층(2')은 제1 필름(2)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광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도록 투명한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면(42)은 상기 제2 필름(3)과 이격되는 면이다. 상기 로드(4)의 상면(42)은 상기 제2 필름(3)과의 사이에 로드패턴몰드(5)의 일부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 필름(3)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면(42)의 길이는 상기 하면(41)의 길이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가 포토레지스트(PR)를 이용한 포토 패터닝 방식이 아닌 임프린팅(Imprinting)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이다. 임프린팅 방식은 일정 패턴이 외주면에 형성된 롤러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형태를 구현하기 때문에 로드(4)의 상면(42)의 길이가 로드(4)의 하면(41)의 길이보다 짧게 구비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4)는 상면(42)이 하면(41)보다 짧은 사다리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공 노하우에 따라 로드(4)는 상면(42)과 하면(41)의 길이가 동일한 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측면들(43)은 상기 하면(41)과 상면(42)을 연결하는 면이다. 도 2에서는 좌측면과 우측면만을 도시하였지만, 평면 상에서 봤을 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이기 때문에 측면들(43)이 상면(42)과 하면(41) 사이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임프린팅 방식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정면에서 봤을 때 로드(4)는 사다리꼴 형태로 구비될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측면들(43)은 제1 필름(2)과 제1 각도(θ1)를 이룰 수 밖에 없다. 여기서, 측면들(43)은 로드(4)들 사이에 위치된 측면들 즉, 도 2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θ1)는 약 9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θ1)가 90° 미만일 경우, 로드(4)의 상면(42)의 길이가 하면(41)의 길이보다 더 길게되고 이렇게 되면 로드(4)의 전체적인 형태가 역사다리꼴 형태가 되어서 로드(4)들 상면(4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이 경우, 제1 필름(2)을 통해 입사된 광이 로드패턴몰드(5)를 통해 통과될 수 있는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정면 투과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정면 투과율은 로드패턴몰드(5)로 입사되는 광 중 로드패턴몰드(5)를 통해 외부로 출사되는 광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협시야각 모드에서 정면 투과율은 로드패턴몰드(5)로 입사되는 광에 대한 정면 광(L)과 경사 광(L1)의 비율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각도(θ1)가 90° 미만이면, 정면 투과율이 저하되므로 휘도가 저하되어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영상을 명확하게 볼 수 없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임프린팅 방식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제1 각도(θ1)가 최소 90°이상이 될 수 밖에 없다.
상기 제1 각도(θ1)가 100°를 초과할 경우, 로드(4)의 측면들(43)이 Z축방향에 대해 너무 눕기 때문에 로드(4)의 상면(42)의 길이가 너무 짧게 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로드(4)의 하면(41)에서 상면(42)으로 갈수록 로드(4)의 폭(W, 도 2에 도시됨)이 너무 얇아지기 때문에 광을 차폐하는 효과가 저하되어서 협시야각 모드(또는 프라이버시 모드)를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상기 제1 각도(θ1)를 약 90° 이상 100° 이하로 구비함으로써, 정면 투과율 저하를 방지하면서 협시야각 모드(또는 프라이버시 모드)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로드(4)들의 피치(P)는 100um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로드(4)들의 피치(P)가 100um을 초과하게 되면, 로드(4)들 사이의 간격(D)이 너무 넓어져서 경사 광(L1)의 광량이 차폐 광(L2)의 광량에 비해 증가하게 되므로, 협시야각 모드(또는 프라이버시 모드)를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로드(4)들의 피치(P)는 로드(4)들의 폭(W)과 로드(4)들 사이의 간격(D)을 합산한 값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에 있어서, 로드(4)들의 폭(W)은 약 30um이고, 로드(4)들 사이의 간격(D)은 약 70um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로드(4)들의 폭(W)과 로드(4)들 사이의 간격(D)은 정면 투과율과 로드(4)의 차폐율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드(4)들과 제2 필름(3)은 소정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패턴몰드(5)와 제2 필름(3)이 접착층(6)(또는 제2 접착층(6))을 이용하여 결합될 경우, 상기 로드(4)들의 상면(42)은 상기 접착층(6)의 하면과 제1 길이(H1, 도 2에 도시됨)로 이격될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가 임프린팅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로드(4)들과 접착층(6) 사이에 로드패턴몰드(5) 중 일부가 배치되기 때문이다. 상기 로드(4)들과 접착층(6) 사이에 배치된 로드패턴몰드(5)의 일부가 후술할 기저층(51)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1 길이(H1)는 50u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길이(H1)가 50um을 초과하면 로드(4)의 상면(42)과 제2 전극(32) 간의 거리가 너무 멀어지기 때문에 제1 전극(22)과 제2 전극(32) 간의 전계 형성이 어려울 수 있고, 기저층(51)을 통해 외부로 출사되는 경사 광(L1)의 광량이 증가되므로, 협시야각 모드(또는 프라이버시 모드)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에 있어서, 상기 로드(4)들 각각의 높이는 제2 길이(H2, 도 2에 도시됨)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길이(H2)는 200u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 길이(H2)가 200um을 초과하면 제1 전극(22)과 제2 전극(32) 간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전계 형성이 어려울 수 있고, 광시야각 모드(또는 퍼블릭 모드) 시 로드(4)를 투과하는 광량이 증가되어 제2 길이(H2)가 200um이하로 구비될 경우에 비해 전체적인 휘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1 길이(H1)는 제2 길이(H2)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길이(H1)가 제2 길이(H2)와 같거나 더 길게 구비되면, 로드(4)에 의한 광 차폐율이 저하되어서 협시야각 모드(또는 프라이버시 모드) 구현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길이(H1)와 상기 제2 길이(H2)를 합산한 값은 상기 로드패턴몰드(5)에서 Z축방향으로 가장 긴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로드패턴몰드(5)는 상기 로드(4)들과 제2 필름(3)을 이격시키면서 로드(4)들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드패턴몰드(5)는 로드(4)의 상면(42)과 측면들(43)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드패턴몰드(5)는 상기 로드(4)의 전체적인 형태를 형성할 수 있는 틀로써, 협시야각 모드(또는 프라이버시 모드) 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 제어 장치는 로드가 제1 필름과 제2 필름 모두에 이격되지 않고 결합되기 때문에 로드를 통해서만 전계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광 제어 장치는 로드가 제1 필름과 제2 필름 중 어느 한쪽과 이격되면 제1 필름과 제2 필름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지 않아서 광시야각 모드(또는 퍼블릭 모드)가 구현될 수 없다.
그러나,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임프린팅 방식으로 인해 로드(4)와 제2 필름(3)이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긴 하지만, 로드패턴몰드(5)가 로드(4)들에 전계를 인가시키는 전도성 향상 첨가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1 필름(2)과 제2 필름(3) 사이에 전계가 형성될 수 있어서 광시야각 모드(또는 퍼블릭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드패턴몰드(5)는 레진(Resin)과 전도성 향상 첨가제가 혼합되어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패턴몰드(5)는 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영역이므로, 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드패턴몰드(5)를 구성하는 레진은 광에 의해 경화되는 UV 레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도성 향상 첨가제와 혼합되어 경화될 수 있으면 다른 물질일 수도 있다.
상기 전도성 향상 첨가제는 전계 형성 방향으로 저항을 낮춰 줄 수 있는 재료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계 형성 방향은 제1 전극(22)과 제2 전극(32)이 배치된 방향으로서, Z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계 형성 방향은 제1 전극(22)에서 제2 전극(32)을 향하는 제1 방향(D1) 또는 상기 제1 방향(D1)과 반대되는 제2 방향(D2)일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방향에서 로드(4)가 배치된 영역(또는 제1 영역)에서는 제1 전류(A1)만큼 전계가 형성될 수 있고, X축방향에서 로드(4)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또는 제2 영역)에서는 제2 전류(A2)만큼 전계가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전극(22)과 제2 전극(32) 사이에 형성된 총전류 값은 제1 영역의 제1 전류(A1)값과 제2 영역의 제2 전류(A2) 값을 합산한 값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향상 첨가제는 예를 들어, Salt of quaternary ammonium cation and fluorinated imide anion인 (n-Bu)3MeN+ -N(SO2CF3)2, R4N+ -N(SO2CF3)2 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계 형성 방향으로 저항을 낮출 수 있는 물질이면 다른 물질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전도성 향상 첨가제는 상기 로드패턴몰드(5) 뿐만 아니라, 제1 접착층(2') 및 접착층(6)(또는 제2 접착층(6))에도 혼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압공급부가 전압을 인가하면 제1 접착층(2')과 접착층(6)(또는 제2 접착층(6))을 통해서 제1 전극(22)과 제2 전극(32) 사이에 전계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에 있어서, 로드패턴몰드(5)에 대한 전도성 향상 첨가제의 혼합 비율은 1% 이상 10%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향상 첨가제의 혼합 비율이 1% 미만이면, 로드패턴몰드(5)를 통해 전계가 잘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로드패턴몰드(5)에서 로드(4)들에 전계가 잘 인가되지 않아서 광시야각 모드가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 향상 첨가제의 혼합 비율이 10%를 초과하면, 로드패턴몰드(5)에 전도성 향상 첨가제가 포함되지 않거나 더 적게 포함되는 경우에 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로드패턴몰드(5)를 통해 외부로 출사되는 광의 투과율이 저하되므로, 전체적인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로드패턴몰드(5)에 대한 전도성 향상 첨가제의 혼합 비율이 1% 이상 10% 이하로 구비됨으로써, 로드패턴몰드(5)를 통한 로드(4)의 전계 형성을 용이하게 하면서 광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드패턴몰드(5)가 전도성 향상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제1 전극(22)과 제2 전극(32)에 전압이 인가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름(3)과 로드(4)가 이격된 부분 즉, 기저층(51)에서도 전하(E)가 쉽게 이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하(E)는 제2 전극(32)의 표면을 따라 X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동시에 전도성 향상 첨가제가 혼합된 로드패턴몰드(5)의 내부에 혼입되어 Z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22)과 제2 전극(32) 간에 전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2)과 제2 전극(32) 간에 전계가 형성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4)들 각각에 포함되어 있던 카본 입자가 양극인 제2 전극(32) 쪽으로 집중됨으로써, 광시야각 모드(또는 퍼블릭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본 입자는 음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계 형성 시 양극인 제2 전극(32) 쪽으로 집중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협시야각 모드(또는 프라이버시 모드)에서는 로드(4)에 의해 차폐되었던 차폐 광(L2)이 광시야각 모드(또는 퍼블릭 모드)에서는 로드(4)에 차폐되지 않고 로드(4)를 통과하여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드패턴몰드(5)에는 전도성 향상 첨가제가 1% 이상 10% 이하의 비율로 혼합되기 때문에 소정의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로드패턴몰드(5)의 저항은 106Ω·㎝ 이상 109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로드패턴몰드(5)의 저항이 109Ω·㎝를 초과하면 제1 전극(22)과 제2 전극(32) 간에 전계 형성이 잘 일어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로드패턴몰드(5)의 저항이 106Ω·㎝ 미만이면 로드(4)보다 로드패턴몰드(5)를 통한 전계 형성이 더 크기 때문에 로드(4)에 포함된 카본 입자가 제2 전극(32) 쪽으로 집중되지 못해서 광시야각 모드(또는 퍼블릭 모드)가 구현되기 어려울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로드패턴몰드(5)는 기저층(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저층(51)은 상기 로드(4)들과 제2 필름(3)을 이격시키는 위치에 배치된 로드패턴몰드(5)의 일부이다. 따라서, 상기 로드(4)들의 상면(42)과 제2 필름(3)의 하면이 이격된 제1 길이(H1)가 기저층(51)의 Z축방향 길이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임프린팅 방식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상기 기저층(51)이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접착층(6)(또는 제2 접착층(6))은 제2 전극(32)과 로드패턴몰드(5)를 접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착층(6)은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착층(6)은 프라이머(Primer)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6)은 제2 전극(32)과 로드패턴몰드(5)가 떨어지지 않는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층(6)은 제2 전극(32)과 로드패턴몰드(5) 사이에 배치되므로,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로드(4)나 로드패턴몰드(5)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함께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광 제어방법에 따른 시간과 휘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선은 로드패턴몰드(5)에 혼합되는 전도성 향상 첨가제가 5% 비율인 경우의 시간과 휘도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점선은 로드패턴몰드(5)에 혼합되는 전도성 향상 첨가제가 3% 비율인 경우의 시간과 휘도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실선과 점선 모두 전압공급부가 공급하는 구동전압은 30V인 경우이다. 가로 축은 시간을 나타낸 것이고, 세로 축은 휘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휘도는 협시야각 모드일 경우, 광이 출사되지 않는 영역에서 측정한 휘도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휘도가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휘도가 증가한다는 것은 도 4와 같이 제1 전극(22)과 제2 전극(32) 간에 전계가 형성되어 광시야각 모드(또는 퍼블릭 모드)로 구현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극(22)에는 음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2 전극(32)에는 양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휘도 변화는 초기 0~5초 구간에서 비슷하나, 5초~20초 구간에서는 전도성 향상 첨가제가 3% 비율인 점선의 휘도 증가가 더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50초를 넘겨 역전압이 걸리기 전까지는 전도성 향상 첨가제가 5% 비율인 실선의 휘도가 약 11.3 정도로 점선의 휘도인 약 10.8보다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역전압이 걸리는 지점(S)은 광시야각 모드(또는 퍼블릭 모드)에서 협시야각 모드(또는 프라이버시 모드)로 전환되는 지점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광시야각 모드에서 협시야각 모드로 전환 시 제1 전극(22)과 제2 전극(32) 각각에 역전압을 걸어줌으로써, 도 4와 같이, 제2 전극(32) 쪽에 집중되었던 카본 입자들을 제1 전극(22) 쪽으로 더 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극(22)에는 양의 전압이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극(32)에는 음의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2초만에 광시야각 모드에서 협시야각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역전압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면, 카본 입자들이 제1 전극(22) 쪽으로 집중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역전압은 카본 입자들이 로드(4) 내부에 고르게 분포되는 범위까지만 공급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h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제조 공정 단면도이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아래와 같은 임프린팅 방식의 제조 공정을 통해 로드(4)와 제2 필름(3)을 이격시키면서도 로드패턴몰드(5)를 통해 로드(4)에 전계를 인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임프린팅 방식으로 제조됨으로써, 포토레지스트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일반적인 경우에 비해 포토레지스트 미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포토레지스트를 미사용함으로써 광 제어 장치의 제조를 완료하기까지의 택트 타임을 줄일 수 있어서 광 제어 장치의 수율이 향상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따른 광 제어 장치는 도 7h의 제조 공정이 완료된 광 제어 장치를 Z축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반전시킨 것이다. 이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제조 공정은 임프린팅 방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 제어 장치의 제조 공정에서 설명하는 상면은 도 2의 광 제어 장치(1)의 하면일 수 있고, 광 제어 장치의 제조 공정에서 설명하는 하면은 도 2의 광 제어 장치(1)의 상면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은 도 7h에서 씰링층(7)이 나타나지 않은 부분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2 베이스 필름(21)의 상면에 제2 전극(32)을 전면 증착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베이스 필름(21)의 두께는 제2 전극(32)의 두께보다 두껍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32)은 금속물질을 포함해서 불투명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2 전극(32)이 박막으로 얇게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 전극(32)의 두께는 제2 베이스 필름(21)의 두께보다 얇게 구비될 수 있다.
다음, 도 7b를 참조하면, 제2 전극(32)의 상면에 접착층(6)(또는 제2 접착층(6))을 전면 증착한다. 상기 접착층(6)(또는 제2 접착층(6))은 제2 전극(32)과 로드패턴몰드(5)를 접착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제2 전극(32)과 로드패턴몰드(5)가 떨어지지 않는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6)은 열경화 타입 물질 및 광 경화 타입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6)이 열경화 타입 물질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접착층(6)은 제2 전극(32)의 상면에 도포되고 후속 공정에 의해 접착층(6)의 상면에 로드패턴몰드(5)가 임프린팅되면 가열장치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6)이 광 경화 타입 물질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접착층(6)은 제2 전극(32)의 상면에 도포되고 후속 공정에 의해 접착층(6)의 상면에 로드패턴몰드(5)가 임프린팅되면 광 조사 장치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다음, 도 7c를 참조하면, 접착층(6)의 상면에 임프린팅 방식으로 로드패턴몰드(5)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인젝션(IJ1)을 이용하여 전도성 향상 첨가제가 포함된 로드패턴몰드 용액(5a)을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착층(6)의 상면에 도포하고, 로드(4) 패턴이 형성된 롤러(R)가 제1 인젝션(IJ1)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인젝션(IJ1)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포된 로드패턴몰드 용액(5a)을 압착하면서 회전하여 로드(4)가 채워질 공간(CS)이 형성된 로드패턴몰드(5)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임프린팅 방식으로 로드패턴몰드(5)를 쉽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하여 로드가 채워질 공간을 패터닝하여 형성하는 일반적인 경우에 비해 제조 비용 및 택트 타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인젝션(IJ1)이 도포하는 것은 로드패턴몰드 용액(5a)이기 때문에 롤러(R)가 접착층(6)까지 깊게 삽입되더라도 롤러(R)가 지나가면 용액의 응집성 때문에 기저층(51)이 형성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층(51)은 공간(CS)의 아래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7c에 의해 로드패턴몰드(5)가 접착층(6)의 상면에 전면 형성된 후에 경화시키는 공정이 추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드패턴몰드(5)는 레진과 전도성 향상 첨가제가 혼합된 물질이고, 레진이 광 경화 물질과 열경화 타입 물질 중 어느 것으로 구비되는냐에 따라 경화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레진이 열경화 타입 물질로 구비될 경우, 상기 로드패턴몰드(5)는 가열장치가 발생시키는 열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상기 레진이 광 경화 타입 물질로 구비될 경우, 상기 로드패턴몰드(5)는 광 조사 장치가 조사하는 광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다음, 도 7d를 참조하면, 로드패턴몰드(5)의 가장자리 부분에 씰링층(7)을 형성한다. 상기 씰링층(7)은 후속 공정에서 로드(4)가 로드패턴몰드(5)에 형성된 공간(CS)을 넘쳐서 외부로 새지 않도록 댐(Dam)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씰링층(7)은 로드패턴몰드(5)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공간(CS)들을 채우면서 공간(CS)의 Z축방향 길이 즉, 공간(CS)의 깊이보다 더 긴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씰링층(7)의 일부는 씰링층(7)이 채워지는 공간(CS)에 인접하게 배치된 로드패턴몰드(5)의 상면 일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씰링층(7)은 제1 씰링층(71)과 제2 씰링층(7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씰링층(71)은 도 7d 공정에서 제2 인젝션(IJ2)에 의해 도포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 도 7e를 참조하면, 제1 씰링층(71)과 이격되도록 제1 접착층(2'), 제1 전극(22), 및 제1 베이스 필름(21)을 순차적으로 증착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접착층(2'), 제1 전극(22), 및 제1 베이스 필름(21)은 로드(4)가 주입되기 위한 공간(CS)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CS)들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2)은 제2 전극(32)과 마찬가지로 불투명한 물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1 베이스 필름(21)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씰링층(71)과 제1 접착층(2') 사이에는 로드(4)가 주입될 수 있도록 외부와 연통된 공간(CS)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접착층(2'), 제1 전극(22), 및 제1 베이스 필름(21)의 크기는 제2 베이스 필름(31), 제2 전극(32), 접착층(6)(또는 제2 접착층(6)), 및 로드패턴몰드(5)의 크기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다음, 도 7f를 참조하면, 제1 씰링층(71)이 채워진 공간(CS)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CS)들에 제3 인젝션(IJ3)을 이용하여 로드(4)를 채운다. 이러한 공정은 상기 제3 인젝션(IJ3)이 외부와 연통된 공간(CS) 즉, 접착층(6)과 씰링층(7)에 의해 밀폐되지 않은 공간(CS)에 로드(4) 용액을 주입하여 상기 나머지 공간(CS)들에 로드(4)를 채움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와 연통된 공간(CS)에도 로드(4)가 채워지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제3 인젝션(IJ3)이 주입하는 로드(4) 용액은 공간(CS)을 넘치지 않는 양만큼만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CS)에 채워진 로드(4)의 깊이는 모두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음, 도 7g를 참조하면, 제2 인젝션(IJ2)을 이용하여 외부와 연통된 공간(CS)을 덮도록 제2 씰링층(72)을 도포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씰링층(72)은 복수개의 로드(4) 중 최외곽에 배치된 로드(4)들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씰링층(72)은 로드패턴몰드(5)에 형성된 공간(CS) 중 최외곽에 배치된 공간(CS)에 배치된 제1 씰링층(71)의 측면 일부와 상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도 7h를 참조하면, 도 7g의 공정을 계속적으로 진행하여 제2 씰링층(72)이 제1 필름(2)의 측면들과 상면 일부 또는 전면을 덮도록 하여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의 제조 공정을 일부 완료한다.
한편, 도 7h에서 씰링층(7)이 형성된 씰링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에서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씰링층(7)들 간의 이격거리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영역들 간의 이격거리와 거의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씰링층(7)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광이 출사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제2 씰링층(72)이 제1 필름(2)의 측면들과 상면 일부를 덮도록 구비됨으로써, 제2 씰링층이 제1 필름의 측면들 일부에만 접촉되는 경우에 비해 제1 필름(2)과 로드패턴몰드(5) 간의 결합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결합될 경우, 상기 제2 씰링층(72)이 디스플레이 장치와 로드패턴몰드(5),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1 필름(2)의 상면을 직접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부도체층(8)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1에 따른 표시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도 1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경우, 로드(4)들과 제2 필름(3)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로드(4)들에 전계가 인가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로드패턴몰드(5)가 전도성 향상 첨가제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전극(22)과 제2 전극(32)에 전압이 인가되면 로드패턴몰드(5)에서 로드(4)들로 전계가 인가되어 광시야각 모드(또는 퍼블릭 모드)가 구현된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기저층(51)이 배치된 제1 영역에는 제1 전류(A1)가 흐르게 되고, 제2 영역에는 제2 전류(A2)가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경우, 총전류 값은 제1 전류(A1)와 제2 전류(A2)를 합산한 값이 된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협시야각 또는 광시야각을 구현하기 위해 광의 일부를 차폐시키는 것이 목적이므로, 로드(4)들이 배치된 제1 영역에만 전류가 흐르면 된다. 따라서, 제2 영역에 흐르는 제2 전류(A2)는 광을 차폐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누설 전류에 해당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도 8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경우에는, 로드(4)들 사이에서 로드패턴몰드(5)와 제1 필름(2) 사이에 부도체층(8)이 배치됨으로써, 제2 영역에 흐르는 제2 전류(A2)를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도성 향상 첨가제가 포함된 로드패턴몰드(5)를 통해 로드(4)로 전계가 인가되지 않을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착층(2')에도 전도성 향상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1 접착층(2')을 통해 로드(4)로 전계가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제2 영역에서 누설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로드(4)에 전계를 인가시킬 수 있으므로, 도 1에 따른 광 제어 장치(1)에 비해 전체적인 구동전압을 더 낮출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경우에는 총전류 값이 제1 전류(A1)와 제2 전류(A2)를 합산한 값이므로 전체적인 구동 전압이 높은데 반해, 도 8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경우에는 총전류 값이 제1 전류(A1) 값이므로 전체적인 구동 전압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부도체층(8)은 제2 영역에서 전계가 형성되지 않도록 저항이 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경우에는 제2 영역에도 제2 전류(A2)가 흐르므로, 전류가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나누어져서 제1 영역에 배치된 기저층(51)의 저항값이 낮을 수 있다. 그러나, 도 8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경우에는 제1 영역에만 제1 전류(A1)가 흐르므로 기저층(51)의 저항값이 도 1에 따른 광 제어 장치에 비해 높을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부도체층(8)의 형태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8에 따른 표시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도 8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경우, 부도체층(8)이 로드(4)들 사이에서 로드패턴몰드(5)와 제1 필름(2) 사이에만 'ㅡ' 형태로 평탄하게 배치되어서 제2 영역에 흐르는 제2 전류(A2)를 차단함으로써 도 1에 따른 광 제어 장치에 비해 전체적인 구동전압을 낮출 수 있다.
그에 반하여, 도 9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경우에는, 부도체층(8)이 'U' 형태로 형성되어서, 로드패턴몰드(5)와 제1 필름(2) 사이뿐만 아니라 로드패턴몰드(5)와 로드(4)의 측면들(43) 사이에도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따른 광 제어 장치의 경우에는, 부도체층(8)이 평탄층(81)과 경사층(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층(81)은 로드(4)들 사이에서 로드패턴몰드(5)와 제1 필름(2) 사이에 배치된 부도체층이고, 상기 경사층(82)은 로드패턴몰드(5)와 로드(4)의 측면들(43) 사이에 배치된 부도체층이다. 따라서, 도 9에 따른 광 제어 장치는 경사층(82)이 로드패턴몰드(5)와 로드(4)의 측면들(43)에도 배치되므로 도 8에 따른 광 제어 장치에 비해 제2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설전류를 더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 8의 부도체층(8)과 도 9의 부도체층(8)은 모두 도 7c의 제조공정과 도 7d의 제조공정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즉, 부도체층(8)은 제1 접착층(2')이 형성되기 전에 로드패턴몰드(5)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의 부도체층(8)은 도 7c에서 로드패턴몰드(5)가 경화된 후 이를 Z축방향으로 반전시켜서 로드패턴몰드(5)의 하면을 부도체층(8)을 이루는 물질에 접촉시킴으로써, 제2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의 부도체층(8)은 도 7c에서 로드패턴몰드(5)가 경화된 후 이를 Z축방향으로 반전시켜서 로드패턴몰드(5)의 하면을 부도체층(8)을 이루는 물질에 깊게 담궜다가 뺌으로써, 로드패턴몰드(5)와 제1 필름(2) 사이, 및 로드패턴몰드(5)와 로드(4)의 측면들(4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와 같이 로드(4)의 측면들(43)에도 경사층(82)을 배치한 또 다른 이유는, 도 7e의 제1 접착층(2')이 로드(4)가 채워지게 될 공간(CS)을 덮는 과정에서, 제1 접착층(2')이 공간(CS) 쪽으로 일부 침투되어 로드(4)가 채워지게 될 로드패턴몰드(5)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후속 공정에서 공간(CS)에 로드(4)가 채워지더라도 전도성 향상 첨가제가 포함된 제1 접착층(2')이 부도체층(8)을 회피하여 로드패턴몰드(5)의 측면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누설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는 로드패턴몰드(5)와 로드(4)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경사층(82)을 배치시킴으로써, 제1 접착층(2')과 로드패턴몰드(5)의 측면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서 제2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설전류를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장치(1)에 있어서, 경사층(82)은 로드패턴몰드(5)의 하면을 부도체층(8)을 이루는 물질에 담그는 깊이에 따라서 Z축방향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광 제어 장치
2 : 제1 필름 2' : 제1 접착층
3 : 제2 필름 4 : 로드
5 : 로드패턴몰드 6 : 제2 접착층
7 : 씰링층 8 : 부도체층
2 : 제1 필름 2' : 제1 접착층
3 : 제2 필름 4 : 로드
5 : 로드패턴몰드 6 : 제2 접착층
7 : 씰링층 8 : 부도체층
Claims (19)
- 제1 필름;
상기 제1 필름과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2 필름;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 사이에서 상기 제1 필름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광을 흡수하는 복수개의 로드; 및
상기 로드들과 상기 제2 필름을 이격시키면서 상기 로드들을 감싸는 로드 패턴 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 패턴 몰드는 상기 로드들에 전계를 인가시키는 전도성 향상 첨가제를 포함하는 광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제1 필름에 결합되는 하면;
상기 제2 필름과 이격되는 상면; 및
상기 하면과 상면을 연결하는 측면들을 포함하는 광 제어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상면의 길이는 상기 로드의 하면의 길이보다 짧은 광 제어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패턴 몰드는 상기 로드의 상면과 측면들을 감싸는 광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패턴 몰드는 상기 로드들과 상기 제2 필름의 사이에 배치된 기저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저층의 높이는 제1 길이이고,
상기 로드들 각각의 높이는 제2 길이이며,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2 길이보다 짧은 광 제어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측면들 각각은 상기 제1 필름과 제1 각도를 이루는 광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들의 피치는 100um 이하인 광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패턴 몰드에 대한 상기 전도성 향상 첨가제의 혼합 비율은 1% 이상 10% 이하인 광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패턴 몰드의 저항은 106Ω·㎝ 이상 109Ω·㎝ 이하인 광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은 제1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필름은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향상 첨가제는 상기 제1 전극에서 상기 제2 전극을 향하는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저항을 낮추는 재료로 구비된 광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패턴 몰드와 상기 제2 필름을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층을 포함하는 광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패턴 몰드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씰링층을 포함하고,
상기 씰링층은 상기 복수개의 로드 중 최외곽에 배치된 로드들에 접촉되는 광 제어 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층은 제1 필름의 측면들과 하면에 접촉되는 광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들 사이에서 상기 로드 패턴 몰드와 상기 제1 필름 사이에 배치된 부도체층을 포함하는 광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들 사이에서 상기 로드 패턴 몰드와 상기 제1 필름 사이에 배치된 평탄층, 및 상기 평탄층과 연결되며 상기 로드 패턴 몰드와 상기 로드의 측면들 사이에 배치된 경사층을 포함하는 부도체층을 포함하는 광 제어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층은 상기 로드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광 제어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7733A KR102719386B1 (ko) | 2019-12-16 | 2019-12-16 | 광 제어 장치 및 광 제어 장치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7733A KR102719386B1 (ko) | 2019-12-16 | 2019-12-16 | 광 제어 장치 및 광 제어 장치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6477A KR20210076477A (ko) | 2021-06-24 |
KR102719386B1 true KR102719386B1 (ko) | 2024-10-18 |
Family
ID=76607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7733A KR102719386B1 (ko) | 2019-12-16 | 2019-12-16 | 광 제어 장치 및 광 제어 장치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938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271721A1 (en) | 2007-12-21 | 2010-10-28 | Gaides Gary E | Light control film |
-
2019
- 2019-12-16 KR KR1020190167733A patent/KR10271938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271721A1 (en) | 2007-12-21 | 2010-10-28 | Gaides Gary E | Light control fil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6477A (ko) | 2021-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585688B (zh) | 显示面板和显示装置 | |
JP5189573B2 (ja) | 電気泳動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2550698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조명 장치 | |
EP3153916B1 (en) | Light control device for a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vice | |
US20010033356A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20180013452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20200061667A (ko) |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 | |
KR20210136603A (ko) |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CN110967884A (zh) | 一种阵列基板及显示面板 | |
EP4174565A1 (en) | Optical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 |
JP2023532908A (ja) | 光経路制御部材及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 |
CN115485615A (zh) | 光路径控制部件及包括其的显示设备 | |
KR102719386B1 (ko) | 광 제어 장치 및 광 제어 장치의 제조방법 | |
CN115666161A (zh) | 显示面板及显示装置 | |
US20230185151A1 (en) | Optical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 |
US12111533B2 (en) | Light route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CN115713905A (zh) | 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 |
JP2023539213A (ja) | 光経路制御部材及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 |
US20230185152A1 (en) | Light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 |
KR20210142449A (ko) |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JP2013045063A (ja) | 表示デバイス、および表示デバイスの製造方法 | |
US20230132725A1 (en) | Optical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20130054975A (ko) | 반사도 조절 방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US20240142846A1 (en) | Light path control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20230194947A1 (en) | Light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