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08841B1 -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08841B1 KR102708841B1 KR1020220149733A KR20220149733A KR102708841B1 KR 102708841 B1 KR102708841 B1 KR 102708841B1 KR 1020220149733 A KR1020220149733 A KR 1020220149733A KR 20220149733 A KR20220149733 A KR 20220149733A KR 102708841 B1 KR102708841 B1 KR 1027088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nge
- protection
- smartphone
- foldable
- foldable smartphon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923 long-la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제1몸체(B1)와 제2몸체(B2)로 분할 형성된 본체가 힌지부(H)로 연결되어 접을 수 있게 되고, 제1몸체(B1)와 제2몸체(B2) 간에 연결되게 디스플레이가 형성되어 본체와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접을 수 있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제1몸체(B1)를 보호하도록 제1몸체(B1)에 결합되는 제1보호부(1); 제2몸체(B2)를 보호하도록 제2몸체(B2)에 결합되는 제2보호부(2); 일단부재(31)가 제1보호부(1)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재(32)가 제2보호부(2)의 일측에 고정되며, 일단부재(31)와 타단부재(32)를 연결하는 절첩부재(33)가 구비되어 폴더블 스마트폰의 힌지부(H)를 가리는 연결부(3);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더블 스마트폰의 분할된 본체와 힌지부를 모두 보호하면서 스마트폰을 펼치거나 접을 때 연결부의 돌출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그립감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더블 스마트폰의 분할된 본체와 힌지부를 모두 보호하면서 스마트폰을 펼치거나 접을 때 연결부의 돌출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그립감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분할된 본체에 각각 결합되는 보호부와 그 보호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되 본체와 힌지부를 모두 보호하면서 스마트폰을 펼치거나 접을 때 연결부의 돌출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그립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Mobile Phone)란,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용을 목적으로 개발된 무선 전화기, 즉 개인이 쉽게 휴대할 수 있으며 휴대 상태에서 이용이 가능한 전화를 말한다.
초창기 휴대전화는 전화 통화 이외의 기능이 일절 탑재되지 않은 기기였으며, 여기에 전화 통화와 무관한 각종 기능이(계산기, 전자책, 음악 재생 등) 탑재된 기기를 피처폰이라 한다.
한편, 휴대전화는 최초 개발된 후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제품화되었는데 개발 초기에는 외형의 변형이 전혀 없이 본체에 액정과 버튼, 송수화부가 구비된 두껍고 기다란 바(Bar)형으로 제조되었다.
그 이후, 바형 휴대전화에서 보호 커버인 플립을 달아서 평소에는 플립을 닫아 버튼을 가려놓은 형태로 된 플립(Flip)형 개발되었고, 이후 본체가 반으로 접히는 형태로 되어 일측 본체의 안쪽 면에 디스플레이가 설치되고, 타측 본체의 안쪽 면에 버튼이 구비됨으로써 휴대 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디스플레이와 버튼을 보호할 수 있는 폴더(Folder)형이 개발되면서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이후, 폴더형 휴대전화와 차별화를 두기 위해 슬라이드(Slide)형이 개발되었는데, 슬라이드폰은 디스플레이가 본체의 외부에 위치하면서 키패드를 본체 일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는 형태로 되어 휴대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휴대 시 버튼을 보호할 수 있으며, 폴더형과 비교하여 좀 더 큰 디스플레이를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이후 범용 OS와 직관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오랜 시간 지속되는 음악 재생 기능, 블루투스, 터치스크린 등을 탑재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고, 키패드를 없애 물리 버튼의 수를 최소화한 얇은 바(Bar)형으로 된 아이폰이 등장하면서 피처폰의 시대가 끝나고 스마트폰의 시대가 되었다.
그리하여 터치스크린 덕에 최근까지 출시되는 거의 모든 스마트폰은 대부분 얇은 바(Bar)형으로 제조되었으나, 디스플레이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으로 인해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면서 제1몸체와 제2몸체로 분할 형성된 본체가 힌지부로 연결되어 접을 수 있게 되고, 제1몸체와 제2몸체 간에 연결되게 디스플레이가 형성되어 본체와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접을 수 있는 폴더블 스마트폰(Foldable smartphone)이 개발되었다.
한편, 스마트폰은 가격이 비싼 제품이며, 사용자가 휴대하는 특성상 다양한 사용 환경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에 쥐고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 중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떨어뜨리는 경우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외부에 결합하여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케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된 실정이다.
과거 바(Bar)형 스마트폰의 경우 본체의 후면 전체에 케이스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폴더블 스마트폰의 경우 본체가 반으로 분할되어 힌지 결합에 의해 접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케이스도 분할된 본체에 각각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체가 반으로 접히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특성상 힌지부는 케이스에 의해 보호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로 인해 폴더블 스마트폰의 장시간 사용 시 힌지부에 마모가 발생하거나, 이물질의 유입 등으로 인해 손상 및 고장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분할된 본체에 각각 결합되는 케이스 간을 연결하는 유연성 소재로 된 연결부를 가진 케이스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연성 소재로 된 연결부를 가진 케이스의 경우, 폴더블 스마트폰을 펼치면 케이스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들뜨면서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스마트폰의 파지를 방해하고, 그립감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더블 스마트폰의 분할된 본체에 각각 결합되는 보호부와 그 보호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되 본체와 힌지부를 모두 보호하면서 스마트폰을 펼치거나 접을 때 연결부의 돌출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그립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더블 스마트폰의 분할된 본체에 각각 결합되는 보호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한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는,
제1몸체(B1)와 제2몸체(B2)로 분할 형성된 본체가 힌지부(H)로 연결되어 접을 수 있게 되고, 제1몸체(B1)와 제2몸체(B2) 간에 연결되게 디스플레이가 형성되어 본체와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접을 수 있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제1몸체(B1)를 보호하도록 제1몸체(B1)에 결합되는 제1보호부(1);
상기 제2몸체(B2)를 보호하도록 제2몸체(B2)에 결합되는 제2보호부(2);
일단부재(31)가 제1보호부(1)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재(32)가 제2보호부(2)의 일측에 고정되며, 일단부재(31)와 타단부재(32)를 연결하는 절첩부재(33)가 구비되어 폴더블 스마트폰의 힌지부(H)를 가리는 연결부(3); 를 포함하여 폴더블 스마트폰을 접거나 펼칠 때 절첩부재(33)가 힌지부(H)의 외표면에 밀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절첩부재(33)는,
상기 폴더블 스마트폰을 접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힌지부(H)를 전부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힌지보호부(331);
상기 힌지보호부(331)의 일단부와, 제1보호부(1)의 일측에 고정된 일단부재(31) 간을 연결하며, 힌지보호부(331)의 타단부와 제2보호부(2)의 일측에 고정된 타단부재(32) 간을 연결하는 유연성연결부(3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보호부(331)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고, 유연성연결부(332)는 유연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보호부(331)와 유연성연결부(332)는 유연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고, 힌지보호부(331)의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탄성부재(331a)가 매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보호부(331)의 외측면에는 스마트폰의 파지 시 손가락을 끼워 스마트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링부재(331b);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보호부(331)의 외측면에는 힌지보호부(331)를 덮는 커버부재(331c);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보호부(331)의 외측면에는 결합홈(331d)이 더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331d)에는 장식부재(334)가 탈부착 가능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보호부(331)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보호부(331)의 외측면에는 수납부(331e)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폴더블 스마트폰의 분할된 본체에 각각 결합되는 보호부와 그 보호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되 본체와 힌지부를 모두 보호하면서 스마트폰을 펼치거나 접을 때 연결부의 돌출을 방지함으로써 폴더블 스마트폰의 그립감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연결부에 결합홈을 더 구비하여 다양한 종류의 장식부재를 탈부착 가능케 함으로써 상품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연결부에 수납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스마트폰용 펜 등 다양한 부속물의 효율적인 수납 및 안전한 보관이 가능케 되어 기능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와 링부재를 나타낸 사용 상태 예시도.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위치의 연결부와 커버부재를 나타낸 사용 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와 링부재를 나타낸 사용 상태 예시도.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위치의 연결부와 커버부재를 나타낸 사용 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서로 다른 구성 요소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와 링부재를 나타낸 사용 상태 예시도이며,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위치의 연결부와 커버부재를 나타낸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폴더블 스마트폰의 본체와 힌지부(H)를 모두 보호하면서 스마트폰을 펼치거나 접을 때 연결부(3)의 돌출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그립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1보호부(1), 제2보호부(2), 연결부(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보호부(1)는 제1몸체(B1)와 제2몸체(B2)로 분할 형성된 본체가 힌지부(H)로 연결되어 접을 수 있게 되고, 제1몸체(B1)와 제2몸체(B2) 간에 연결되게 디스플레이가 형성되어 본체와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접을 수 있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제1몸체(B1)를 보호하도록 제1몸체(B1)에 결합된다.
상기 제1몸체(B1)를 보호하기 위한 제1보호부(1)의 결합 방식은, 부착, 접착, 조립, 끼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몸체(B1)의 형상 및 결합 방식에 따라 제1보호부(1)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서, 제1몸체(B1)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되고, 제1보호부(1)를 제1몸체(B1)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하는 경우에 제1보호부(1)의 외형은 폴더블 스마트폰의 분할된 제1몸체(B1)의 형상에 대응되면서 제1몸체(B1)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제1몸체(B1)의 후면(디스플레이의 반대쪽 면)과 측면에 접하는 벽면이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은 연질의 플라스틱 소재나, 우레탄이나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경질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로서, 제1몸체(B1)의 일면이 평탄한 형상으로 되고, 제1보호부(1)를 제1몸체(B1)에 부착 또는 접착 방식으로 결합하는 경우에 제1보호부(1)의 외형은 평탄한 면을 가지면서, 그 평탄한 면에
제1몸체(B1)와 제1보호부(1)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제1몸체(B1)의 평탄한 면에 부착되는 점착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점착부재는 제1보호부(1)의 일면에 고정 또는 분리가 반복 가능한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보호부(2)는 제1몸체(B1)와 제2몸체(B2)로 분할 형성된 본체가 힌지부(H)로 연결되어 접을 수 있게 되고, 제1몸체(B1)와 제2몸체(B2) 간에 연결되게 디스플레이가 형성되어 본체와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접을 수 있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제2몸체(B2)를 보호하도록 제2몸체(B2)에 결합된다.
상기 제2몸체(B2)를 보호하기 위한 제1보호부(1)의 결합 방식은, 부착, 접착, 조립, 끼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몸체(B2)의 형상 및 결합 방식에 따라 제2보호부(2)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서, 제2몸체(B2)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되고, 제2보호부(2)를 제2몸체(B2)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하는 경우에 제2보호부(2)의 외형은 폴더블 스마트폰의 분할된 제2몸체(B2)의 형상에 대응되면서 제2몸체(B2)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제2몸체(B2)의 후면(디스플레이의 반대쪽 면)과 측면에 접하는 벽면이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은 연질의 플라스틱 소재나, 우레탄이나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경질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로서, 제2몸체(B2)의 일면이 평탄한 형상으로 되고, 제2보호부(2)를 제2몸체(B2)에 부착 또는 접착 방식으로 결합하는 경우에 제2보호부(2)의 외형은 평탄한 면을 가지면서, 그 평탄한 면에
제2몸체(B2)와 제2보호부(2)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제2몸체(B2)의 평탄한 면에 부착되는 점착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점착부재는 제2보호부(2)의 일면에 고정 또는 분리가 반복 가능한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보호부(2)는 제1보호부(1)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제1보호부(1)와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는 제1보호부(1)와 제2보호부(2)를 연결하도록 일단부재(31), 타단부재(32), 절첩부재(33)를 포함한다.
상기 일단부재(31)는 제1보호부(1)의 일측에 고정된다.
일단부재(31)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으나, 두께가 얇은 판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보호부(1)의 내면 또는 외면에 고정되거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일단부재(31)는 제1보호부(1)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어 일체로 성형되는 방식을 통해 제1보호부(1)에 고정되거나, 제1보호부(1)와 동일 또는 다른 소재로 형성되어 제1보호부(1)에 부착, 접착, 조립, 끼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1보호부(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단부재(32)는 제2보호부(2)의 일측에 고정된다.
타단부재(32)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으나, 두께가 얇은 판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보호부(2)의 내면 또는 외면에 고정되거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타단부재(32)는 제2보호부(2)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어 일체로 성형되는 방식을 통해 제2보호부(2)에 고정되거나, 제2보호부(2)와 동일 또는 다른 소재로 형성되어 제2보호부(2)에 부착, 접착, 조립, 끼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2보호부(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절첩부재(33)는 일단부재(31)와 타단부재(32)를 연결하도록 힌지보호부(331), 유연성연결부(332)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보호부(331)는 폴더블 스마트폰을 접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힌지부(H)를 전부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유연성연결부(332)는 힌지보호부(331)의 일단부와, 제1보호부(1)의 일측에 고정된 일단부재(31) 간을 연결하며, 힌지보호부(331)의 타단부와 제2보호부(2)의 일측에 고정된 타단부재(32) 간을 연결하게 형성된다.
유연성연결부(332)의 형상은, 힌지보호부(331)가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1보호부(1) 및 제2보호부(2)의 절첩이 가능케 하기 위해서 파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힌지보호부(331)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유연성연결부(332)는 상호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크기, 다른 형상으로 비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를 폴더블 스마트폰과 결합한 상태에서 폴더블 스마트폰을 접거나 펼칠 때 제1몸체(B1)에 결합된 제1보호부(1)와 제2몸체(B2)에 결합된 제2보호부(2)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3)의 힌지보호부(331)가 폴더블 스마트폰의 힌지부(H)에서 외향으로 돌출되지 않고, 힌지부(H)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유연성연결부(332)에 의해 제1보호부(1)와 제2보호부(2)의 회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힌지부(H)를 효과적으로 보호함과 동시에 안정적인 그립감의 유지가 가능케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보호부(331)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고, 유연성연결부(332)는 유연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거나, 힌지보호부(331)와 유연성연결부(332)는 유연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고, 힌지보호부(331)의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탄성부재(331a)가 매립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스마트폰을 접거나 펼칠 때 제1몸체(B1)에 결합된 제1보호부(1)와 제2몸체(B2)에 결합된 제2보호부(2)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3)의 힌지보호부(331)는 탄성에 의해 힌지보호부(331)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힌지부(H)에서 외향으로 돌출되지 않고, 힌지부(H)에 밀착된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제1보호부(1)와 제2보호부(2)의 회동은 유연성을 가진 유연성연결부(332)에 의해 더욱 유연하게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보호부(331)의 외측면에는 스마트폰의 파지 시 손가락을 끼워 스마트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링부재(331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스마트폰을 손에 쥐고 있거나, 손에 쥔 상태에서 접거나 펼칠 때 손가락을 링부재(331b)에 삽입한 상태로 폴더블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스마트폰의 낙하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보호부(331)의 외측면에는 힌지보호부(331)를 덮는 커버부재(331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331c)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으나, 소정 두께의 판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힌지보호부(331)와 동일한 소재로 되거나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우레탄이나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경질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부재(331c)는 부착, 접착, 조립, 끼움 등 다양한 방식으로 힌지보호부(331)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를 폴더블 스마트폰과 결합한 상태에서 폴더블 스마트폰을 접거나 펼칠 때 제1몸체(B1)에 결합된 제1보호부(1)와 제2몸체(B2)에 결합된 제2보호부(2)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3)의 힌지보호부(331)가 폴더블 스마트폰의 힌지부(H)에서 외향으로 돌출되지 않고, 힌지부(H)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경질의 플라스틱 소재로 된 커버부재(331c)가 힌지부(H)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보호부(331)의 외측면에는 결합홈(331d)이 더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331d)에는 장식부재(334)가 탈부착 가능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식부재(334)의 견고한 탈부착을 위하여 힌지보호부(331)는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은 연질의 플라스틱 소재나, 우레탄이나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경질의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식부재(334)에 의한 미감 향상을 위하여 힌지보호부(331)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331d)은 힌지보호부(3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장식부재(334)의 견고한 탈부착 및 부착 상태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하여 결합홈(331d)의 일측에는 걸림턱이나 결합돌부와 같이 장식부재(334)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식부재(334)는 결합홈(331d)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결합부를 가지며 외표면에는 색상, 패턴, 인쇄, 요철, 소재 등 장식 효과를 발휘하는 다양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장식부재(334)의 외표면에는 손가락을 끼워 스마트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링부재(331b)나, 다양한 장식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힌지보호부(331)에 다양한 형태의 장식부재(334)가 탈부착 가능케 됨으로써 상품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보호부(331)의 외측면에는 수납부(331e)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331e)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으며, 수납부(331e) 내에 수납될 수납물의 형태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수납부(331e)에는 스마트폰용 펜(335)을 수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용 펜(335)의 수납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폴더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에 스마트폰용 펜(335)의 효율적인 수납 및 안전한 보관 및 편리한 사용이 가능케 되어 기능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의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다양한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S: 폴더블 스마트폰
B1: 제1몸체
B2: 제2몸체
H: 힌지부
1: 제1보호부
2: 제2보호부
3: 연결부
31: 일단부재
32: 타단부재
33: 절첩부재
331: 힌지보호부
332: 유연성연결부
331a: 탄성부재
331b: 링부재
331c: 커버부재
331d: 결합홈
331e: 수납부
334: 장식부재
335: 스마트폰용 펜
B1: 제1몸체
B2: 제2몸체
H: 힌지부
1: 제1보호부
2: 제2보호부
3: 연결부
31: 일단부재
32: 타단부재
33: 절첩부재
331: 힌지보호부
332: 유연성연결부
331a: 탄성부재
331b: 링부재
331c: 커버부재
331d: 결합홈
331e: 수납부
334: 장식부재
335: 스마트폰용 펜
Claims (5)
- 제1몸체(B1)와 제2몸체(B2)로 분할 형성된 본체가 힌지부(H)로 연결되어 접을 수 있게 되고, 제1몸체(B1)와 제2몸체(B2) 간에 연결되게 디스플레이가 형성되어 본체와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접을 수 있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제1몸체(B1)를 보호하도록 제1몸체(B1)에 결합되는 제1보호부(1);
상기 제2몸체(B2)를 보호하도록 제2몸체(B2)에 결합되는 제2보호부(2);
일단부재(31)가 제1보호부(1)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재(32)가 제2보호부(2)의 일측에 고정되며, 일단부재(31)와 타단부재(32)를 연결하는 절첩부재(33)가 구비되어 폴더블 스마트폰의 힌지부(H)를 가리는 연결부(3);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절첩부재(33)는,
폴더블 스마트폰을 접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힌지부(H)를 전부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힌지보호부(331);
상기 힌지보호부(331)의 일단부와, 제1보호부(1)의 일측에 고정된 일단부재(31) 간을 연결하며, 힌지보호부(331)의 타단부와 제2보호부(2)의 일측에 고정된 타단부재(32) 간을 연결하는 유연성연결부(332); 및,
상기 힌지보호부(331)의 외측면에서 힌지보호부(3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합홈(331d)에 고정수단으로 탈부착 가능케 결합되는 장식부재(33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보호부(331)와 유연성연결부(332)는 유연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고, 힌지보호부(331)의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탄성부재(331a)가 매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9733A KR102708841B1 (ko) | 2022-11-10 | 2022-11-10 |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 |
PCT/KR2023/017961 WO2024101912A2 (ko) | 2022-11-10 | 2023-11-09 |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9733A KR102708841B1 (ko) | 2022-11-10 | 2022-11-10 |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68372A KR20240068372A (ko) | 2024-05-17 |
KR102708841B1 true KR102708841B1 (ko) | 2024-09-23 |
Family
ID=9103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9733A KR102708841B1 (ko) | 2022-11-10 | 2022-11-10 |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8841B1 (ko) |
WO (1) | WO2024101912A2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15120913U (zh) | 2021-07-16 | 2021-12-10 | 深圳凯德誉科技有限公司 | 一种折叠屏手机保护壳 |
KR102448048B1 (ko) * | 2021-09-30 | 2022-09-28 |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 힌지 커버가 구비된 보호케이스 |
KR200496143Y1 (ko) | 2022-06-21 | 2022-11-11 | (주)케이디랩 | 폴더블 휴대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 유닛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8916Y1 (ko) | 2000-06-09 | 2001-01-15 | 김덕영 | 폴더형 핸드폰 케이스 |
KR102643998B1 (ko) * | 2019-05-13 | 2024-03-06 | 김돈수 |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
KR20210047585A (ko) * | 2019-10-22 | 2021-04-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폴더블 전자 장치를 위한 보호 커버 |
KR200496347Y1 (ko) * | 2020-06-30 | 2023-01-06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케이스 |
-
2022
- 2022-11-10 KR KR1020220149733A patent/KR10270884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11-09 WO PCT/KR2023/017961 patent/WO2024101912A2/ko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15120913U (zh) | 2021-07-16 | 2021-12-10 | 深圳凯德誉科技有限公司 | 一种折叠屏手机保护壳 |
KR102448048B1 (ko) * | 2021-09-30 | 2022-09-28 |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 힌지 커버가 구비된 보호케이스 |
KR200496143Y1 (ko) | 2022-06-21 | 2022-11-11 | (주)케이디랩 | 폴더블 휴대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 유닛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68372A (ko) | 2024-05-17 |
WO2024101912A2 (ko) | 2024-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1854808U (zh) | 便携式手持电子设备的保护外壳和支座的组合装置 | |
EP2640042A1 (en) | Waterproof case for portable terminal | |
KR200460260Y1 (ko) | 휴대폰 보호케이스 | |
US8457702B2 (en) |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 |
KR200452011Y1 (ko) | 휴대 단말기 케이스 | |
KR101275281B1 (ko) |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 |
US7016712B2 (en) | Hingeless mobile station | |
KR101585383B1 (ko) | 단말기 보호케이스 | |
KR102708841B1 (ko) |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 | |
KR100774333B1 (ko) | 휴대 단말기용 접착식 케이스 | |
KR102626226B1 (ko) | 폴더블 휴대기기용 부착형 자동 힌지 보호 커버 | |
KR101059568B1 (ko) | 휴대용 전자기기 방수 케이스 조립 구조체 | |
JP2017046087A (ja) | 携帯端末ケース | |
KR200487167Y1 (ko) | 보호 커버 | |
KR20170002529U (ko) | 3단 분리형 휴대폰용 보호 케이스 | |
KR100466167B1 (ko) | 휴대용 전화기 케이스 | |
KR200472575Y1 (ko) | 핸드폰 부착형 보관장치 | |
KR101417854B1 (ko) |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용 2개 바디 결합 구조의 케이스 | |
KR200310426Y1 (ko) | 휴대용 전화기 케이스 | |
KR101201923B1 (ko) | 터치입력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용 보호커버 | |
KR101468989B1 (ko) |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
KR20120004714U (ko) | 이종 재질 접합형 단말기 케이스 | |
CN216531406U (zh) | 一种可折叠电子终端的保护壳 | |
KR200496744Y1 (ko) | 롤러블폰 케이스 | |
KR20130002185U (ko) | 휴대폰 보호 케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