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06646B1 - 기판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06646B1 KR102706646B1 KR1020210092328A KR20210092328A KR102706646B1 KR 102706646 B1 KR102706646 B1 KR 102706646B1 KR 1020210092328 A KR1020210092328 A KR 1020210092328A KR 20210092328 A KR20210092328 A KR 20210092328A KR 102706646 B1 KR102706646 B1 KR 1027066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grounding
- ground
- contacts
- shiel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7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08000032365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2 die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Radio Frequency)신호 전송을 위한 복수개의 RF컨택트; 상기 RF컨택트들을 지지하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전송컨택트; 상기 절연부가 결합된 접지하우징;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고, 상기 RF컨택트들 중에서 제1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를 차폐하는 제1접지컨택트; 및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고, 상기 RF컨택트들 중에서 제2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를 차폐하는 제2접지컨택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접지컨택트는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를 차폐함과 아울러 상기 제1축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를 차폐하는 제1차폐부재를 포함하는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판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Connector)는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것이다. 예컨대, 커넥터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전자기기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 중에서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 무선통신 기기의 내부에는 RF 커넥터, 및 기판 대 기판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 이하 '기판 커넥터'라 함)가 구비된다. RF 커넥터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다. 기판 커넥터는 카메라 등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RF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는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된다. 기존에는 한정된 PCB 공간에 다수의 부품과 함께 여러 개의 기판 커넥터와 RF 커넥터가 실장되므로, PCB 실장 면적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RF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를 일체화하여 적은 PCB 실장 면적으로 최적화하는 기술이 필요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제1커넥터(110), 및 제2커넥터(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넥터(110)는 제1기판(미도시)에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커넥터(110)는 복수개의 제1컨택트(111)를 통해 상기 제2커넥터(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120)는 제2기판(미도시)에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커넥터(120)는 복수개의 제2컨택트(121)를 통해 상기 제1커넥터(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제1컨택트(111)들 및 상기 제2컨택트(121)들이 서로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컨택트(111)들 및 상기 제2컨택트(121)들 중에서 일부의 컨택트들을 RF신호 전송을 위한 RF컨택트들로 사용하는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RF컨택트를 통해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간에 RF신호가 전송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컨택트들(111, 121) 중에서 비교적 가까운 거리로 이격된 컨택트들을 상기 RF컨택트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RF컨택트들(111', 111", 121', 121") 상호 간에 RF신호간섭으로 신호전달이 원활이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커넥터 최외곽부에 RF신호 차폐부(112)가 있어, RF신호의 외부에 대한 방사는 차폐할 수 있으나, RF신호간의 차폐는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에 있어서 RF컨택트들(111', 111", 121', 121")은 각각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들(111a', 111a", 121a', 121a")을 포함하는데, 상기 실장부들(111a', 111a", 121a', 121a")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0)는 상기 실장부들(111a', 111a", 121a', 121a")에 대한 차폐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RF컨택트들 간에 RF신호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기판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RF(Radio Frequency)신호 전송을 위한 복수개의 RF컨택트; 상기 RF컨택트들을 지지하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전송컨택트; 상기 절연부가 결합된 접지하우징;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고, 상기 RF컨택트들 중에서 제1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를 차폐하는 제1접지컨택트; 및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고, 상기 RF컨택트들 중에서 제2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를 차폐하는 제2접지컨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는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를 차폐함과 아울러 상기 제1축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를 차폐하는 제1차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RF(Radio Frequency)신호 전송을 위한 복수개의 RF컨택트; 상기 RF컨택트들을 지지하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전송컨택트; 상기 절연부가 결합된 접지하우징;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고, 상기 RF컨택트들 중에서 제1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를 차폐하는 제1접지컨택트; 및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고, 상기 RF컨택트들 중에서 제2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를 차폐하는 제2접지컨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와 상기 제2접지컨택트에는 상대커넥터의 접지컨택트와 접속되어서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접지암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지하우징과 접지컨택트를 이용하여 RF컨택트들에 대한 신호, 전자파 등의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RF컨택트들로부터 발생된 전자파가 전자기기에서 주변에 위치된 회로부품들의 신호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자기기에서 주변에 위치된 회로부품들로부터 발생된 전자파가 RF컨택트들이 전송하는 RF신호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접지하우징과 접지컨택트를 이용하여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차폐 성능,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RF컨택트와 제2RF컨택트가 제1축방향 및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비대칭되도록 배치됨으로써, RF컨택트들 상호간 RF신호간섭 발생가능성을 감소시키면서 그 크기가 소형화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접지루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평면도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접지컨택트와 제2접지컨택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차폐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평면도
도 8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와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0은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12는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커넥터에 있어서 접지루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평면도
도 13은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접지컨택트와 제2접지컨택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4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접지컨택트와 제2실시에에 기판 커넥터의 접지컨택트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5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접지컨택트와 제2실시에에 기판 커넥터의 접지컨택트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6은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제1접지암이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접지돌기에 접속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접지루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평면도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접지컨택트와 제2접지컨택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차폐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평면도
도 8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와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0은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12는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커넥터에 있어서 접지루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평면도
도 13은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접지컨택트와 제2접지컨택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4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접지컨택트와 제2실시에에 기판 커넥터의 접지컨택트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5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접지컨택트와 제2실시에에 기판 커넥터의 접지컨택트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6은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제1접지암이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접지돌기에 접속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에는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도 3에 도시된 방향을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결합된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복수개의 기판(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판들은 인쇄회로기판(PCB, Pri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예컨대,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및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가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가 서로 접속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모두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구현된 실시예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로 규정하고,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 구현된 실시예를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으로 규정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되고,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가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모두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출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복수개의 RF컨택트(210)들, 복수개의 전송컨택트(220)들, 접지하우징(230), 및 절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210)들은 RF(Radio Frequency)신호 전송을 위한 것이다. 상기 RF컨택트(210)들은 초고주파 RF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210)들은 상기 절연부(24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210)들은 조립공정을 통해 상기 절연부(2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210)들은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절연부(240)와 일체 성형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RF컨택트(210)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210)들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210)들은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RF컨택트들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상대커넥터가 실장된 상기 제2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가 리셉터클 커넥터인 경우, 상기 상대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일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가 플러그 커넥터인 경우, 상기 상대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210)들 중에서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RF컨택트(210)들 중에서 제2RF컨택트(212)는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절연부(24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210)들 중에서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RF컨택트(210)들 중에서 제2RF컨택트(2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절연부(240)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지컨택트는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를 차폐함과 아울러 상기 제1축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를 차폐하는 제1차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이에 따라,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 간에 RF신호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를 이격시킨 공간에,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가 서로 이격된 거리를 늘림으로써 RF신호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이격공간에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절연부(240)에 대한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가 제1축방향(X축 방향)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모두에 대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가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RF컨택트(210)간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RF컨택트(210)간의 RF신호간섭 발생가능성을 줄이면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의 크기가 소형화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서 대향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서 비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211)는 제1RF실장부재(2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RF실장부재(2111)는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RF컨택트(211)는 상기 제1RF실장부재(2111)를 통해 상기 제1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211)는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RF컨택트(211)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211)는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RF컨택트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제2RF실장부재(2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RF실장부재(2121)는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상기 제2RF실장부재(2121)를 통해 상기 제1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RF컨택트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상기 절연부(24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신호(Sinal), 데이터(Data), 전원(Power) 등을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조립공정을 통해 상기 절연부(2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절연부(240)와 일체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송컨택트(220)들 각각이 갖는 전송실장부재(2201)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전송컨택트들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상대커넥터가 실장된 상기 제2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제1전송컨택트(221)들, 및 제2전송컨택트(2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송컨택트(22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RF컨택트(212)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송컨택트(22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송컨택트(221)들과 상기 제2전송컨택트(222)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전송컨택트(221)들 중의 일부와 상기 제2전송컨택트(222)들 중의 일부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일부분만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전송컨택트(221)들 중의 일부와 상기 제2전송컨택트(222)들 중의 일부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이격된 위치에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송컨택트(22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송컨택트(32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송컨택트(221)들은 제1-1전송컨택트(221a), 1-2전송컨택트(221b), 및 제1-3전송컨택트(22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전송컨택트(221a), 제1-2전송컨택트(221b), 및 제1-3전송컨택트(221c)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RF컨택트(212)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1전송컨택트(221a)는 상기 제2RF컨택트(212)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가장 먼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1-2전송컨택트(221b)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1전송컨택트(221a)가 상기 제2RF컨택트(212)와 이격된 거리보다 짧은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3전송컨택트(221c)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2전송컨택트(221b)가 상기 제2RF컨택트(212)로부터 이격된 거리보다 짧은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전송컨택트(221b)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1전송컨택트(221a)와 상기 제1-3전송컨택트(221c)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3전송컨택트(221c)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2전송컨택트(221b)와 상기 제2RF컨택트(2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송컨택트(221)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에 대해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1전송컨택트(221a)는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에 대해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전송컨택트(221)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에 대해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1전송컨택트(221a)는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에 대해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그 크기가 소형화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송컨택트(222)들은 제2-1전송컨택트(222a), 제2-2전송컨택트(222b) 제2-3전송컨택트(22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전송컨택트(222a), 제2-2전송컨택트(222b), 및 제2-3전송컨택트(222c)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1전송컨택트(222a)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로부터 가장 먼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2전송컨택트(222b)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1전송컨택트(222a)가 상기 제1RF컨택트(211)로부터 이격된 거리보다 짧은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3전송컨택트(222c)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2전송컨택트(222b)가 상기 제1RF컨택트(211)로부터 이격된 거리보다 짧은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2전송컨택트(222b)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1전송컨택트(222a)와 상기 제2-3전송컨택트(222c)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3전송컨택트(222c)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2전송컨택트(222b)와 상기 제1RF컨택트(21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송컨택트(222)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1전송컨택트(222a)는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해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전송컨택트(222)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향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1전송컨택트(222a)는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해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그 크기가 소형화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전송컨택트(221)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전송컨택트(222)들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3전송컨택트(221c)와 상기 제2-3전송컨택트(222c)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전송컨택트(221)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전송컨택트(222)들 중 적어도 하나와 대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3전송컨택트(221c)와 상기 제2-3전송컨택트(222c)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전송컨택트(221)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전송컨택트(222)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전송컨택트(221)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전송컨택트(222)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가 서로 이격된 거리를 늘림으로써 RF신호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이격공간에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절연부(240)에 대한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에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가 제1-1전송컨택트(221a), 제1-2전송컨택트(221b), 및 제1-3전송컨택트(221c)로 구현된 3개의 제1전송컨택트(221)들과 제2-1전송컨택트(222a), 제2-2전송컨택트(222b), 및 제2-3전송컨택트(222c)로 구현된 3개의 제2전송컨택트(222)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각각 4개 이상의 제1전송컨택트(221)들, 및 제2전송컨택트(2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절연부(240)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접지(Ground)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RF컨택트(210)들에 대한 신호, 전자파 등의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RF컨택트(210)들로부터 발생된 전자파가 상기 전자기기에서 주변에 위치된 회로부품들의 신호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전자기기에서 주변에 위치된 회로부품들로부터 발생된 전자파가 상기 RF컨택트(210)들이 전송하는 RF신호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접지하우징(230)을 이용하여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차폐 성능,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내측공간(230a)의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230a)에는 상기 절연부(24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211), 상기 제2RF컨택트(212), 및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전부가 상기 내측공간(230a)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RF실장부재(2111), 상기 제2RF실장부재(2121), 및 상기 전송실장부재(2201)들 또한 전부가 상기 내측공간(230a)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5에서도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RF컨택트(210)와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은 상기 접지하우징(230)에 둘러쌓여 완전히 가려지게 되고 실장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 전부에 대한 차폐벽을 구현함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한 차폐기능을 강화하여 완전차폐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230a)에는 상기 상대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내측공간(230a)을 기준으로 하는 모든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230a)은 상기 접지하우징(2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이 전체적으로 사각 고리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내측공간(230a)은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내측공간(230a)을 기준으로 하는 4개의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이음매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금속 다이캐스팅(Die Casting), MIM(Metal Injection Molding) 공법 등과 같은 금속 사출 공법에 의해 이음매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가공, MCT(Machining Center Tool) 가공 등에 의해 이음매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240)는 상기 RF컨택트(210)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240)에는 상기 RF컨택트(210)들과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40)는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40)는 상기 RF컨택트(210)들이 상기 내측공간(230a)에 위치하도록 상기 접지하우징(2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제1접지컨택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상기 절연부(24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조립공정을 통해 상기 절연부(2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절연부(240)와 일체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함께 상기 제1RF컨택트(211)에 대한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230a)에 상기 상대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접지컨택트에 접속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제2접지컨택트(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상기 절연부(24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조립공정을 통해 상기 절연부(2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절연부(240)와 일체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함께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한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송컨택트(220)들과 상기 제2RF컨택트(2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e)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230a)에 상기 상대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접지컨택트에 접속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전송컨택트(222)들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RF컨택트(212)와 상기 제1전송컨택트(221)들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1전송컨택트(221)들의 사이를 차폐할 수 있고,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전송컨택트(222)들의 사이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RF컨택트(212)와 상기 제2전송컨택트(222)들의 사이를 차폐할 수 있고,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RF컨택트(212)와 상기 제1전송컨택트(221)들의 사이를 차폐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가 서로 비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가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의 사이에서 차폐기능을 구현함과 아울러 기판 커넥터(200)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간에 전송컨택트(220)들을 배치함으로써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의 크기가 소형화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상기 제1차폐부재(2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부재(25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1-1전송컨택트(221a)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RF컨택트(211)는 상기 제1차폐부재(251)를 이용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1-1전송컨택트(221a)의 사이를 차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상기 제1차폐부재(251)를 이용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1-1전송컨택트(221a) 간에 신호 등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부재(251)는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1-1전송컨택트(221a)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제1차폐돌기(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돌기(252)는 상기 제1차폐부재(251)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상기 제1차폐돌기(252)는 상기 절연부(240)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상기 제1차폐돌기(252)를 통해 상기 절연부(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1-1전송컨택트(221a)의 사이에 대한 차폐성능을 강화하여 완전차폐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돌기(252)는 상기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돌기(252)는 상기 절연부(24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53), 및 제1접지실장부재(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53)는 상기 제1차폐부재(251)와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54) 각각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차폐부재(251)와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54)는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53)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53)는 상대커넥터가 갖는 접지컨택트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53)를 통해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접지컨택트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접지컨택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1-1전송컨택트(221a)의 사이는,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가 제1접지접속부재(253)를 통해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접지컨택트에 접속됨에 따라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53)에는 상기 제1차폐부재(25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부재(25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53)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차폐돌기(25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차폐부재(25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54)는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54)는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접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54)를 통해 상기 제1기판에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5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53)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5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1전송컨택트(221)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5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접지하우징(230)에 접속될 수 있는 길이로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53)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접지실장부재(254)와 상기 제1차폐부재(251)는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53)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접지하우징(230)이 갖는 서로 다른 측벽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와 상기 접지하우징(230)이 상기 제1RF컨택트(211)의 모든 측방을 둘러싸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제1RF컨택트(211)에 대한 차폐성능을 더 강화하여 완전차폐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54)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제1접지돌기(2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돌기(255)는 상기 제1차폐부재(251)로부터 돌출될 것이다. 상기 제1접지돌기(255)는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되는 면적을 늘릴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를 이용한 차폐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돌기(255)는 상기 절연부(240)를 관통하여 상기 절연부(240)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돌기(255)는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54)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돌기(255)는 상기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제1차폐부재(25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돌기(255)는 상기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접지돌기(255)와 상기 제1접지돌기(255)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차폐부재(251)에서 발생된 전자파 등이 상기 제1접지돌기(255)를 통해 접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를 이용한 차폐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파가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54)로 우회하지 않고 상기 제1접지돌기(255)를 통해 접지됨으로써,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전자파 등이 차폐되는 차폐거리가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전자파가 신속히 접지됨으로써, 기판 커넥터(200)의 차폐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차폐부재(251)에서 발생한 전자파가 제1접지돌기(255)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접지되는 경로를 제1경로(A)로 정의할 수 있다. 제1차폐부재에서 발생한 전자파가 제1접지접속부재(253), 및 제1접지실장부재(254)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접지되는 경로를 제2경로(B)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부재(251)에 상기 제1접지돌기(255)가 형성되어 상기 기판에 접지되는 경우, 상기 전자파 등이 상기 제2경로(B)로 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상기 제1경로(A)를 통해 상기 제1기판으로 접지되어 소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파 등이 상기 기판으로 신속히 소멸됨으로써,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의 차폐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으면서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제1접속돌기(2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256)는 상기 제1차폐부재(251)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상기 제1접속돌기(256)는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지하우징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가 상기 상태커넥터의 접지하우징에 접속되는 접속면적을 늘릴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를 이용한 차폐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256)는 상기 절연부(240)를 관통하여 상기 절연부(240)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지하우징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256)는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절연부에 삽입되어서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에 접속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절연부에는 상기 제1접속돌기(256)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256)는 상기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제1차폐부재(25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돌기(256)와 상기 제1접지돌기(255)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차폐부재(25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256)는 상기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 및 상기 접지하우징(230)을 이용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에 대한 제1접지루프(Ground Loop)(250a, 도 5에 도시됨)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접지루프(250a)를 이용하여 제1RF컨택트(211)에 대한 차폐선능을 더 강화함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211)에 대한 완전차폐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제2차폐부재(261), 제2차폐돌기(262), 제2접지접속부재(263), 제2접지실장부재(264), 제2접지돌기(265), 및 제2접속돌기(2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차폐부재(261), 제2차폐돌기(262), 제2접지접속부재(263), 제2접지실장부재(264), 제2접지돌기(265), 제2접속돌기(266)는, 상기 제1차폐부재(251), 제1차폐돌기(252), 제1접지접속부재(253), 제1접지실장부재(254), 제1접지돌기(255), 및 제1접속돌기(256) 각각과 대략 일치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와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서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와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 각각을 제조하는 제조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와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대칭점(SP)을 기준으로 하여 점대칭(點對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대칭점(SP)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접지하우징(230)의 양 측벽(230b, 230c)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접지하우징(230)의 양 측벽(230d, 230e)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지점이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와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가 서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서 배치방향만 다르게 구현되므로,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와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를 제조하는 제조작업의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RF컨택트(212)와 상기 제1RF컨택트(211)가 상기 대칭점(SP)을 기준으로 하여 점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차폐부재(261), 및 상기 제1차폐부재(251)는 동일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차폐부재(261)는 상기 제1차폐부재(251)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차폐부재(261)는 상기 제1차폐부재(251)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1전송컨택트(221)들 사이에 대한 차폐력, 및 상기 제2RF컨택트(212)와 상기 제2전송컨택트(222)들 사이에 대한 차폐력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전체적인 크기를 줄임으로써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에 있어서,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접지내벽(231), 접지외벽(232), 및 접지연결벽(2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내벽(231)은 상기 절연부(240)를 향하는 것이다. 상기 접지내벽(231)은 상기 내측공간(230a)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와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각각 상기 접지내벽(231)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접지내벽(231)은 상기 내측공간(230a)을 기준으로 하는 모든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접지내벽(231)은 복수개의 서브접지내벽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접지내벽들이 상기 내측공간(230a)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다른 측방에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접지내벽(231)은 상기 내측공간(230a)에 삽입되는 상대커넥터의 접지하우징에 접속될 수 있다. 예건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내벽(231)은 상대커넥터의 접지하우징(330)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지하우징 간의 접속을 통해 차폐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지하우징 간의 접속을 통해 서로 인접한 단자 간에 서로의 용량 또는 유도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크로스토크(Crosstalk) 등과 같은 전기적 악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그라운드(Ground)로 전자파가 유입되는 경로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EMI 차폐 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접지외벽(232)은 상기 접지내벽(231)으로부터 이격된 것이다. 상기 접지외벽(232)은 상기 접지내벽(23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외벽(232)은 상기 접지내벽(231)을 기준으로 하는 모든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외벽(232)과 상기 접지내벽(231)은 상기 내측공간(230a)의 측방을 둘러싸는 이중차폐벽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상기 차폐벽에 둘러 싸인 상기 내측공간(230a)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차폐벽을 이용하여 상기 RF컨택트(210)들에 대한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차폐벽을 이용하여 EMI 차폐성능, EMC 성능을 더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접지외벽(232)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접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접지외벽(232)을 통해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접지외벽(232)의 일단이 상기 접지연결벽(233)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접지외벽(232)의 타단이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외벽(232)은 상기 접지내벽(231)에 비해 더 높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연결벽(233)은 상기 접지내벽(231)과 상기 접지외벽(232) 각각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접지연결벽(233)은 상기 접지내벽(231)과 상기 접지외벽(2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연결벽(233)을 통해 상기 접지내벽(231)과 상기 접지외벽(23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외벽(232)이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되어 접지되면, 상기 접지연결벽(233)과 상기 접지내벽(231) 또한 접지됨으로써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접지연결벽(233)은 상기 접지외벽(232)의 일단과 상기 접지내벽(231)의 일단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접지외벽(232)의 일단은 상기 접지외벽(232)의 상단에 해당하고, 상기 접지내벽(231)의 일단은 상기 접지내벽(231)의 상단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접지연결벽(233)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지외벽(232)과 상기 접지내벽(231)은 각각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연결벽(233), 상기 접지외벽(232), 및 상기 접지내벽(231)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접지연결벽(233)은 상기 내측공간(230a)에 삽입되는 상대커넥터의 접지하우징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접지외벽(232)과 상기 접지연결벽(233)이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지하우징에 접속되므로, 상기 접지하우징(230)과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지하우징 간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차폐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접지바닥(234)은 상기 접지내벽(231)의 하단에서 상기 내측공간(230a) 쪽으로 돌출된 것이다. 즉, 상기 접지바닥(234)은 상기 접지내벽(231)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접지바닥(234)은 상기 접지내벽(231)의 하단을 따라 연장되어 폐쇄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바닥(234)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접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상기 접지바닥(234)을 통해 접지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230a)에 상기 상대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접지바닥(234)은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접지하우징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접지바닥(234)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와 함께 상기 제1RF컨택트(211)에 대한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와 함께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한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하우징(230)은 제1차폐벽(230b), 제2차폐벽(230c), 제3차폐벽(230d), 및 제4차폐벽(230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벽(230b), 상기 제2차폐벽(230c), 상기 제3차폐벽(230d), 및 상기 제4차폐벽(230e)은 각각 상기 접지내벽(231), 상기 접지외벽(232), 및 상기 접지연결벽(23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벽(230b)과 상기 제2차폐벽(230c)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향(對向)되게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차폐벽(230b)과 상기 제2차폐벽(230c)의 사이에는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는 상기 제2차폐벽(230c)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비해 상기 제1차폐벽(230b)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더 짧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상기 제1차폐벽(230b)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비해 상기 제2차폐벽(230c)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더 짧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차폐벽(230d)과 상기 제4차폐벽(230e)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차폐벽(230d)과 상기 제4차폐벽(230e)의 사이에는 상기 제1RF컨택트(211)와 상기 제2RF컨택트(212)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전송컨택트(222)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RF컨택트(21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차폐벽(230b)과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의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53)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차폐벽(230d)과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의 상기 제1차폐부재(251)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 상기 제1차폐벽(230b), 및 상기 제3차폐벽(230d)을 이용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에 대한 차폐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 상기 제1차폐벽(230b), 및 상기 제3차폐벽(230d)은 상기 제1RF컨택트(211)를 기준으로 하는 4개의 측방에 배치되어 RF신호에 대한 차폐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 상기 제1차폐벽(230b), 및 상기 제3차폐벽(230d)은 상기 제1RF컨택트(211)에 대해 상기 제1접지루프(250a, 도 5에 도시됨)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1접지루프(250a)를 이용하여 상기 제1RF컨택트(211)에 대한 차폐기능을 더 강화함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211)에 대한 완전차폐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RF컨택트(212)와 상기 제1전송컨택트(221)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RF컨택트(2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차폐벽(230c)과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의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263)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4차폐벽(230e)과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의 상기 제2차폐부재(261)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 상기 제2차폐벽(230c), 및 상기 제4차폐벽(230e)을 이용하여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한 차폐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 상기 제2차폐벽(230c), 및 상기 제4차폐벽(230e)은 상기 제2RF컨택트(212)를 기준으로 하는 4개의 측방에 배치되어 RF신호에 대한 차폐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 상기 제2차폐벽(230c), 및 상기 제4차폐벽(230e)은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해 상기 제2접지루프(260a, 도 5에 도시됨)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제2접지루프(260a)를 이용하여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한 차폐기능을 더 강화함으로써, 상기 제2RF컨택트(212)에 대한 완전차폐를 실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240)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40)는 절연부재(241), 삽입부재(242), 및 연결부재(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241)는 상기 RF컨택트(210)들과 상기 전송컨택트(220)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재(241)는 상기 내측공간(230a)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241)는 상기 접지내벽(23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241)는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내측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42)는 상기 접지내벽(231)과 상기 접지외벽(232) 사이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부재(242)가 상기 접지내벽(231)과 상기 접지외벽(232) 사이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절연부(240)는 상기 접지하우징(2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42)는 상기 접지내벽(231)과 상기 접지외벽(232) 사이에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42)는 상기 절연부재(24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42)는 상기 절연부재(241)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43)는 상기 삽입부재(242)와 상기 절연부재(241) 각각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243)를 통해 상기 삽입부재(242)와 상기 절연부재(241)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243)는 상기 삽입부재(242)와 상기 절연부재(241)에 비해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재(242)와 상기 절연부재(241)의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고, 해당 공간에 상기 상대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43), 상기 삽입부재(242), 및 상기 연결부재(24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연부(240)는 납땜검사창(244, 도 8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납땜검사창(244)은 상기 절연부(24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납땜검사창(244)은 상기 RF실장부재(2111, 2121)들이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검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RF컨택트(210)들은 상기 RF실장부재(2111, 2121)들이 상기 납땜검사창(244)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2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RF실장부재(2111, 2121)들은 상기 절연부(240)에 가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납땜검사창(244)을 통해 상기 RF실장부재(2111, 2121)들이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RF실장부재(2111, 2121)들을 포함한 상기 RF컨택트(210)들 전부가 상기 접지하우징(230)의 내측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RF컨택트(210)들을 상기 제1기판에 실장하는 실장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납땜검사창(244)은 상기 절연부재(24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40)는 상기 납땜검사창(244)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RF실장부재(2111, 2121)들은 서로 다른 납땜검사창(244)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납땜검사창(244)들 중에서 일부에는 상기 전송실장부재(2201)들이 위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납땜검사창(244)들을 통해 상기 RF실장부재(2111, 2121)들과 상기 전송실장부재(2201)들이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는 상기 RF실장부재(2111, 2121)들과 상기 전송실장부재(2201)들을 상기 제1기판에 실장하는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납땜검사창(244)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절연부(24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
도 2, 도 10, 도 11을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와 상대커넥터가 서로 결합되도록 조립되면,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가 실장된 제2기판 및 상기 상대커넥터가 실장된 제1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대커넥터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에서의 상대커넥터는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복수개의 RF컨택트(310)들, 복수개의 전송컨택트(320)들, 접지하우징(330), 및 절연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컨택트(310)들, 상기 전송컨택트(320)들, 상기 접지하우징(330), 및 상기 절연부(340)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에 있어서 상기 RF컨택트(210)들, 상기 전송컨택트(220)들, 상기 접지하우징(230), 및 상기 절연부(240) 각각과 대략 일치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상기 RF컨택트(310)들 중에서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RF컨택트(310)들 중에서 제2RF컨택트(3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 비대칭되는 위치에서 상기 절연부(34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311)는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1RF실장부재(3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RF컨택트(312)는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2RF실장부재(31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은 제1전송컨택트(321), 및 제2전송컨택트(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송컨택트(32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RF컨택트(312)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송컨택트(32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제1RF컨택트(31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송컨택트(321)들과 상기 제2전송컨택트(322)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전송컨택트(321)들 중의 일부와 상기 제2전송컨택트(322)들 중의 일부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일부분만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전송컨택트(321)들 중의 일부와 상기 제2전송컨택트(322)들 중의 일부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일부분만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송컨택트(32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송컨택트(32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가 각각 3개의 제1전송컨택트(321)들과 제2전송컨택트(322)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실시예에 따른 깊나 커넥터(300)는 각각 4개 이상의 제1전송컨택트(321)들과 제2전송컨택트(3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상기 절연부(340)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접지(Ground)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내측공간(330a)의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330a)에는 상기 절연부(34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311), 상기 제2RF컨택트(312), 및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은 전부가 상기 내측공간(330a)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RF실장부재(3111), 상기 제2RF실장부재(3121), 및 상기 전송실장부재(3201)들 또한 전부가 상기 내측공간(330a)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2에서도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RF컨택트(310)와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은 상기 접지하우징(330)에 둘러쌓여 완전히 가려지게 되고 실장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내측공간(330a)에는 상기 상대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공간(330a)에 상기 상대커넥터의 일부가 삽입되고,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의 일부가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내측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상기 내측공간(330a)을 기준으로 하는 모든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40)는 상기 RF컨택트(310)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340)에는 상기 RF컨택트(310)들과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40)는 상기 RF컨택트(310)들과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이 상기 내측공간(330a)에 위치하도록 상기 접지하우징(3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6를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제1접지컨택트(350), 및 제2접지컨택트(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와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에 있어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와 상기 제2접지컨택트(260) 각각과 대략 일치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상기 접지하우징(330)과 함께 상기 제1RF컨택트(311)에 대한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330a)에 상기 상대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접지컨택트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는 상기 접지하우징(330)과 함께 상기 제2RF컨택트(312)에 대한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송컨택트(320)들과 상기 제2RF컨택트(2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330a)에 상기 상대커넥터가 삽입되면,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는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접지컨택트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제2RF컨택트(3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제1접지접속부재(351), 및 제1접지실장부재(3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351)는 상대커넥터의 접지컨택트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351)를 통해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접지컨택트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접지컨택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RF컨택트(311)에 대한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의 차폐력이 강화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351)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의 제1접지컨택트(250)가 갖는 제1접지접속부재(253)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35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와 제2전송컨택트(322)들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35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전송컨택트(320)들의 사이를 차폐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35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제1-1전송컨택트(321a)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351)는 상기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351)는 판재에 대한 굽힙(Bending) 가공을 통해 상기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352)는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352)는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접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352)를 통해 상기 제2기판에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35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35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352)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제1접지연결부재(3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353)는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35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35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35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353)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353)는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353)는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접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352)를 통해 상기 제2기판에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제1접속암(3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암(354)은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지컨택트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접속암(354)은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지컨택트에 접속됨에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상기 제1접속암(354)의 탄성력 내지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지컨택트에 접속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지컨택트에 대한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제1접속암(354)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커넥터에 대한 접속력을 강화할 수 있으므로,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지컨택트와의 접속을 통한 차폐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속암(354)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의 제1접지컨택트(250)가 갖는 제1차폐부재(251)에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암(354)은 상기 제1차폐부재(251)에 의해 밀려서 탄성적으로 이동됨으로써,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차폐부재(251)를 가압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접속암(354)은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353)에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암(354)이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지컨택트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1접속암(354)은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353)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속암(354)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353)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암(354)과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353) 간의 끼인각(Included Angle)은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353)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접속암(354)과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353)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암(354)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상기 제1접속돌기(3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355)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가 갖는 접지컨택트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접속돌기(355)는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35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355)는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지컨택트에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돌기(355)와 상기 제1접속암(354)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대커넥터의 접지컨택트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복수개의 개소에서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지컨택트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전자파 등이 상기 기판에 접지되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를 통해 상기 전자파 등이 신속히 접지되도록 함으로써 차폐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4 내지 1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가 갖는 제1접속암(354)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의 제1접지컨택트(250)가 갖는 제1차폐부재(251)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가 갖는 제1접속돌기(355)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의 제1접지컨택트(250)가 갖는 제1접지접속부재(253)에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암(354)과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가 접속되는 부분에서 발생된 전자파 등은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353)를 통해 최단거리로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돌기(355)와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253)가 접속되는 부분에서 발생된 전자파 등은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된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254)를 통해 최단거리로 접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가 갖는 상기 제1접지컨택트(250)와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가 갖는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를 통해 상기 전자파 등이 신속히 접지되도록 함으로써 차폐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접속암(354)과 상기 제1접속돌기(355)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대커넥터의 접지컨택트에 각가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접지컨택트(250, 350)의 서로 간에 접속되는 개소가 증가됨으로써, 상기 전자파 등의 접지되는 거리가 최단거리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전자파 등이 신속히 접지됨으로써, 차폐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 및 상기 접지하우징(330)을 이용하여 상기 제1RF컨택트(311)에 대한 제1접지루프(350a, 도 12에 도시됨)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제1접지루프(350a)를 이용하여 상기 제1RF컨택트(311)에 대한 차폐성능을 더 강화함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311)에 대한 완전차폐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는 제2접지접속부재(361), 제2접지실장부재(362), 제2접지연결부재(363), 제2접속암(364), 및 제2접속돌기(36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지접속부재(361), 상기 제2접지실장부재(362), 상기 제2접지연결부재(363), 상기 제2접속암(364), 및 상기 제2접속돌기(365)는,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351),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352),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353), 상기 제1접속암(354), 및 상기 제1접속돌기(355) 각각과 대략 일치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와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서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와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 각각을 제조하는 제조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와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대칭점(SP)을 기준으로 하여 점대칭(點對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대칭점(SP)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접지하우징(330)의 양 측벽(330b, 330c)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접지하우징(330)의 양 측벽(330d, 330e)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지점이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와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가 서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서 배치방향만 다르게 구현되므로,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와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를 제조하는 제조작업의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RF컨택트(312)와 상기 제1RF컨택트(311)가 상기 대칭점(SP)을 기준으로 하여 점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접속암(354)과 상기 제2접속암(364)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접속암(354)과 상기 제2접속암(364)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암(354)과 상기 제2접속암(364)은 동일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제1전송컨택트(321)들 사이에 대한 차폐력, 및 상기 제2RF컨택트(312)와 상기 제2전송컨택트(322)들 사이에 대한 차폐력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전체적인 크기를 줄임으로써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에 있어서,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접지측벽(331), 접지상벽(332), 및 접지하벽(3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측벽(331)은 상기 절연부(240)를 향하는 것이다. 상기 접지측벽(331)은 상기 내측공간(330a)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측벽(331)은 상기 내측공간(330a)을 기준으로 하는 모든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측벽(331)은 상기 내측공간(330a)에 삽입되는 상대커넥터의 접지하우징에 접속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측벽(331)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의 접지하우징(230)이 갖는 접지내벽(231)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접지하우징(330)과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지하우징 간의 접속을 통해 차폐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접지하우징(330)과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지하우징 간의 접속을 통해 서로 인접한 단자 간에 서로의 용량 또는 유도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크로스토크(Crosstalk) 등과 같은 전기적 악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그라운드(Ground)로 전자파가 유입되는 경로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EMI 차폐 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접지상벽(332)은 상기 접지측벽(33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접지상벽(332)은 상기 접지측벽(331)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지상벽(332)은 상기 접지측벽(331)으로부터 상기 내측공간(330a)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접지상벽(332)은 상기 내측공간(330a)에 삽입되는 상대커넥터의 접지하우징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접지상벽(332)과 상기 접지측벽(331)이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지하우징에 접속되므로, 상기 접지하우징(330)과 상기 상대커넥터의 접지하우징 간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차폐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상벽(332)은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200)의 접지하우징(230)이 갖는 접지바닥(234)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벽(333)은 상기 접지측벽(33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접지하벽(333)은 상기 접지측벽(331)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벽(333)은 상기 접지측벽(331)으로부터 상기 내측공간(330a)의 반대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벽(333)은 상기 접지측벽(331)을 기준으로 하는 모든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벽(333)과 상기 접지측벽(331)은 상기 내측공간(330a)의 측방을 둘러싸는 차폐벽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제2RF컨택트(312)는 상기 차폐벽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내측공간(330a)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차폐벽을 이용하여 상기 RF컨택트(310)들에 대한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차폐벽을 이용하여 EMI 차폐 성능, EMC 성능을 더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접지하벽(333)은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접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상기 접지하벽(333)을 통해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벽(333)과 상기 접지상벽(332)은 상기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지측벽(331)은 상기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하벽(333), 상기 접지상벽(332), 및 상기 접지측벽(331)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와 함께 상기 제1RF컨택트(311)에 대한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와 함께 상기 제2RF컨택트(312)에 대한 차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하우징(330)은 제1차폐벽(330b), 제2차폐벽(330c), 제3차폐벽(330d), 및 제4차폐벽(330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벽(330b), 상기 제2차폐벽(330c), 상기 제3차폐벽(330d), 및 상기 제4차폐벽(330e)은 각각 상기 접지측벽(331), 상기 접지하벽(333), 및 상기 접지상벽(33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벽(330b)과 상기 제2차폐벽(330c)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향(對向)되게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차폐벽(330b)과 상기 제2차폐벽(330c)의 사이에는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제2RF컨택트(312)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311)는 상기 제2차폐벽(330c)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비해 상기 제1차폐벽(330b)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더 짧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RF컨택트(312)는 상기 제1차폐벽(330b)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비해 상기 제2차폐벽(330c)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더 짧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차폐벽(330d)과 상기 제4차폐벽(330e)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차폐벽(330d)과 상기 제4차폐벽(330e)의 사이에는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제2RF컨택트(312)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311)와 상기 제2전송컨택트(322)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RF컨택트(31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차폐벽(330b)과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가 갖는 제1접지접속부재(351)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차폐벽(330d)과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가 갖는 제1접속암(354)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 상기 제1차폐벽(330b), 및 상기 제3차폐벽(330d)을 이용하여 상기 제1RF컨택트(311)에 대한 차폐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 상기 제1차폐벽(330b), 및 상기 제3차폐벽(330d)은 상기 제1RF컨택트(311)를 기준으로 하는 4개의 측방에 배치되어서 RF신호에 대한 차폐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지컨택트(350), 상기 제1차폐벽(330b), 및 상기 제3차폐벽(330d)은 상기 제1RF컨택트(311)에 대해 상기 제1접지루프(350a, 도 12에 도시됨)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제1접지루프(350a)를 이용하여 상기 제1RF컨택트(311)에 대한 차폐기능을 더 강화함으로써, 상기 제1RF컨택트(311)에 대한 완전차폐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RF컨택트(312)와 상기 제1전송컨택트(321)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RF컨택트(3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차폐벽(330c)과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가 갖는 제2접지접속부재(361)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차폐벽(330d)과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가 갖는 제2접속암(364)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 상기 제2차폐벽(330c), 및 상기 제4차폐벽(330e)을 이용하여 상기 제2RF컨택트(312)에 대한 차폐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 상기 제2차폐벽(330c), 및 상기 제4차폐벽(330e)은 상기 제2RF컨택트(312)를 기준으로 하는 4개의 측방에 배치되어서 RF신호에 대한 차폐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지컨택트(360), 상기 제2차폐벽(330c), 및 상기 제4차폐벽(330e)은 상기 제2RF컨택트(312)에 대해 상기 제2접지루프(360a, 도 12에 도시됨)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제2접지루프(360a)를 이용하여 상기 제2RF컨택트(312)에 대한 차폐기능을 더 강화함으로써, 상기 제2RF컨택트(312)에 대한 완전차폐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340)는 납땜검사창(3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납 상기 납땜검사창(341)은 상기 절연부(34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납땜검사창(341)은 상기 RF실장부재(3111, 3121)들이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검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RF컨택트(310)들은 상기 RF실장부재(3111, 3121)들이 상기 납땜검사창(341)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3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RF실장부재(3111, 3121)들은 상기 절연부(340)에 가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가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납땜검사창(341)을 통해 상기 RF실장부재(3111, 3121)들이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RF실장부재(3111, 3121)들을 포함한 상기 RF컨택트(310)들 전부가 상기 접지하우징(330)의 내측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RF컨택트(310)들을 상기 제2기판에 실장하는 실장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절연부(340)는 상기 납땜검사창(341)을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RF실장부재(3111, 3121)들은 서로 다른 납땜검사창(341)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납땜검사창(341)들 중에서 일부에는 상기 전송실장부재(3201)들이 위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가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납땜검사창(341)들을 통해 상기 RF실장부재(3111, 3121)들과 상기 전송실장부재(3201)들이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300)는 상기 RF실장부재(3111, 3121)들과 상기 전송실장부재(3201)들을 상기 제2기판에 실장하는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납땜검사창(341)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절연부(34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기판 커넥터
100: 종래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
200: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 210: RF컨택트
211: 제1RF컨택트 2111: 제1RF실장부재
212: 제2RF컨택트 2121: 제2RF실장부재
220: 전송컨택트 2201: 전송실장부재
221 제1전송컨택트 221a: 제1-1전송컨택트
221b: 제1-2전송컨택트 221c: 제1-3전송컨택트
222: 제2전송컨택트 222a: 제2-1전송컨택트
222b: 제2-2전송컨택트 222c: 제2-3전송컨택트
230: 접지하우징 230a: 내측공간
230b: 제1차폐벽 230c: 제2차폐벽
230d: 제3차폐벽 230e: 제4차폐벽
231: 접지내벽 232: 접지외벽
233: 접지연결벽 234: 접지바닥
240: 절연부 241: 절연부재
242: 삽입부재 243: 연결부재
244: 납땜검사창 250: 제1접지컨택트
250a: 제1접지루프 251: 제1차폐부재
252: 제1차폐돌기 253: 제1접지접속부재
254: 제1접지실장부재 255: 제1접지돌기
256: 제1접속돌기 260: 제2접지컨택트
260a: 제2접지루프 261: 제2차폐부재
262: 제2차폐돌기 263: 제2접지접속부재
264: 제2접지실장부재 265: 제2접지돌기
266: 제2접속돌기 SP: 대칭점
X: 제1축방향 Y: 제2축방향
Z: 제3축방향 A: 제1경로
B: 제2경로
300: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
310: RF컨택트 311: 제1RF컨택트
3111: 제1RF실장부재 312: 제2RF컨택트
3121: 제2RF실장부재 320: 전송컨택트
3201: 전송실장부재 321: 제1전송컨택트
321a: 제1-1전송컨택트 321b: 제1-2전송컨택트
321c: 제1-3전송컨택트 322: 제2전송컨택트
322a: 제2-1전송컨택트 322b: 제2-2전송컨택트
322c: 제2-3전송컨택트 330: 접지하우징
330a: 내측공간 330b: 제1차폐벽
330c: 제2차폐벽 330d: 제3차폐벽
330e: 제4차폐벽 331: 접지측벽
332: 접지바닥 333: 접지상벽
340: 절연부 341: 납땜검사창
350: 제1접지컨택트 350a: 제1접지루프
351: 제1접지접속부재 352: 제1접지실장부재
353: 제1접지연결부재 354: 제1접속암
355: 제1접속돌기 360: 제2접지컨택트
360a: 제2접지루프 361: 제2접지접속부재
362: 제2접지실장부재 363: 제2접지연결부재
364: 제2접속암 365: 제2접속돌기
100: 종래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
200: 제1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 210: RF컨택트
211: 제1RF컨택트 2111: 제1RF실장부재
212: 제2RF컨택트 2121: 제2RF실장부재
220: 전송컨택트 2201: 전송실장부재
221 제1전송컨택트 221a: 제1-1전송컨택트
221b: 제1-2전송컨택트 221c: 제1-3전송컨택트
222: 제2전송컨택트 222a: 제2-1전송컨택트
222b: 제2-2전송컨택트 222c: 제2-3전송컨택트
230: 접지하우징 230a: 내측공간
230b: 제1차폐벽 230c: 제2차폐벽
230d: 제3차폐벽 230e: 제4차폐벽
231: 접지내벽 232: 접지외벽
233: 접지연결벽 234: 접지바닥
240: 절연부 241: 절연부재
242: 삽입부재 243: 연결부재
244: 납땜검사창 250: 제1접지컨택트
250a: 제1접지루프 251: 제1차폐부재
252: 제1차폐돌기 253: 제1접지접속부재
254: 제1접지실장부재 255: 제1접지돌기
256: 제1접속돌기 260: 제2접지컨택트
260a: 제2접지루프 261: 제2차폐부재
262: 제2차폐돌기 263: 제2접지접속부재
264: 제2접지실장부재 265: 제2접지돌기
266: 제2접속돌기 SP: 대칭점
X: 제1축방향 Y: 제2축방향
Z: 제3축방향 A: 제1경로
B: 제2경로
300: 제2실시예에 따른 기판 커넥터
310: RF컨택트 311: 제1RF컨택트
3111: 제1RF실장부재 312: 제2RF컨택트
3121: 제2RF실장부재 320: 전송컨택트
3201: 전송실장부재 321: 제1전송컨택트
321a: 제1-1전송컨택트 321b: 제1-2전송컨택트
321c: 제1-3전송컨택트 322: 제2전송컨택트
322a: 제2-1전송컨택트 322b: 제2-2전송컨택트
322c: 제2-3전송컨택트 330: 접지하우징
330a: 내측공간 330b: 제1차폐벽
330c: 제2차폐벽 330d: 제3차폐벽
330e: 제4차폐벽 331: 접지측벽
332: 접지바닥 333: 접지상벽
340: 절연부 341: 납땜검사창
350: 제1접지컨택트 350a: 제1접지루프
351: 제1접지접속부재 352: 제1접지실장부재
353: 제1접지연결부재 354: 제1접속암
355: 제1접속돌기 360: 제2접지컨택트
360a: 제2접지루프 361: 제2접지접속부재
362: 제2접지실장부재 363: 제2접지연결부재
364: 제2접속암 365: 제2접속돌기
Claims (21)
- RF(Radio Frequency)신호 전송을 위한 복수개의 RF컨택트;
상기 RF컨택트들을 지지하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전송컨택트;
상기 절연부가 결합되고, 상기 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가 내측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공간을 기준으로 하는 모든 측방을 둘러싸도록 이음매 없이 일체로 형성된 접지하우징;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고, 상기 RF컨택트들 중에서 제1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를 차폐하는 제1접지컨택트; 및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고, 상기 RF컨택트들 중에서 제2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를 차폐하는 제2접지컨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지컨택트는,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를 차폐함과 아울러 상기 제1축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를 차폐하는 제1차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는 상기 접지하우징에 완전히 가려져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제2RF컨택트는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서 대향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컨택트들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RF컨택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1전송컨택트들, 및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전송컨택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송컨택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2전송컨택트들 중 적어도 하나와 대향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송컨택트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에 대해 대향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송컨택트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RF컨택트에 대해 대향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컨택트들은 상기 제2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RF컨택트에 대해 대향되게 배치된 제1전송컨택트들, 및 상기 제2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2RF컨택트에 대해 대향되게 배치된 제2전송컨택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접지컨택트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제1전송컨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를 차폐하는 제1접지접속부재, 및 상기 제2축방향에서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제2전송컨택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를 차폐하는 제1차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는 상기 제2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전송컨택트들 중 적어도 하나와 대향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는 기판에 실장되는 제1접지실장부재, 상대커넥터의 접지컨택트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돌기, 및 상기 제1차폐부재를 접지시키기 위한 제1접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폐부재에는 상기 제1접속돌기와 상기 제1접지돌기가 결합되며,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와 상기 제1접지돌기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는 상기 제1차폐부재로부터 돌출된 제1차폐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폐돌기는 상기 절연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는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와 상기 제1차폐부재 각각에 결합된 제1접지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폐부재는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는 상기 제2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제1차폐벽과 제2차폐벽, 및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제3차폐벽과 제4차폐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차폐벽, 상기 제3차폐벽, 및 상기 제1접지컨택트는 상기 제1RF컨택트를 기준으로 하는 4개의 측방에 배치되어 RF신호에 대한 차폐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컨택트들은 상기 제2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RF컨택트에 대해 대향되게 배치된 제1전송컨택트, 및 상기 제2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2RF컨택트에 대해 대향되게 배치된 제2전송컨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지컨택트는 상기 제2축방향에서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제1전송컨택트의 사이를 차폐하는 제1차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접지컨택트는 상기 제2축방향에서 상기 제2RF컨택트와 상기 제2전송컨택트의 사이를 차폐하는 제2차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차폐부재는 상기 제1차폐부재와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대향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접지하우징의 양 측벽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접지하우징의 양 측벽 각각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대칭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지컨택트와 상기 제2접지컨택트는 점대칭(點對稱)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하우징은 상기 절연부를 향하는 접지내벽, 상기 접지내벽으로 이격된 접지외벽, 및 상기 접지내벽과 상기 접지외벽 각각에 결합된 접지연결벽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내벽과 상기 접지외벽은 내측공간의 측방을 둘러싸는 이중차폐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하우징은 상기 접지내벽으로부터 상기 내측공간 방향으로 돌출된 접지바닥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는 상기 RF컨택트들과 상기 전송컨택트들을 지지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지바닥은 상기 접지내벽과 상기 절연부재 사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접지내벽과 상기 접지외벽의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삽입부재와 상기 절연부재 각각에 결합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바닥은 상기 연결부재를 덮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 RF(Radio Frequency)신호 전송을 위한 복수개의 RF컨택트;
상기 RF컨택트들을 지지하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전송컨택트;
상기 절연부가 결합되고, 상기 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가 내측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공간을 기준으로 하는 모든 측방을 둘러싸도록 이음매 없이 일체로 형성된 접지하우징;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고, 상기 RF컨택트들 중에서 제1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를 차폐하는 제1접지컨택트; 및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고, 상기 RF컨택트들 중에서 제2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를 차폐하는 제2접지컨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지컨택트와 상기 제2접지컨택트에는 상대커넥터의 접지컨택트와 접속되어서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제1접속암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접지컨택트는,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를 차폐함과 아울러 상기 제1축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들의 사이를 차폐하고,
상기 RF컨택트와 상기 전송컨택트는 상기 접지하우징에 완전히 가려져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는 상대커넥터가 갖는 접지컨택트에 접속되는 제1접지접속부재, 및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와 상기 제1접속암 각각에 결합된 제1접지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암은 상대커넥터의 접지컨택트가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는 상대커넥터가 갖는 접지컨택트에 접속되는 제1접지접속부재, 및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와 상기 제1접속암 각각에 결합된 제1접지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암은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와의 끼인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제1접지연결부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는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로부터 돌출된 제1접속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돌기와 상기 제1접속암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대커넥터의 접지컨택트에 각각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지컨택트는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에 결합되는 제1접지실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지실장부재는 제2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접지접속부재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180078083.4A CN116569427A (zh) | 2020-11-20 | 2021-07-23 | 基板连接器 |
JP2023520385A JP2023544398A (ja) | 2020-11-20 | 2021-07-23 | 基板コネクタ |
PCT/KR2021/009552 WO2022108036A1 (ko) | 2020-11-20 | 2021-07-23 | 기판 커넥터 |
US18/037,962 US20230411911A1 (en) | 2020-11-20 | 2021-07-23 | Board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6776 | 2020-11-20 | ||
KR20200156776 | 2020-11-2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9796A KR20220069796A (ko) | 2022-05-27 |
KR102706646B1 true KR102706646B1 (ko) | 2024-09-13 |
Family
ID=81791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2328A KR102706646B1 (ko) | 2020-11-20 | 2021-07-14 | 기판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664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01801A1 (ko) * | 2022-11-07 | 2024-05-16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179564B2 (ja) * | 2015-07-29 | 2017-08-16 | 第一精工株式会社 |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
JP6628685B2 (ja) * | 2016-05-16 | 2020-01-15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プラグコネクタと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と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
JP6885730B2 (ja) * | 2017-01-06 | 2021-06-16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遮蔽シールド板付きコネクタ |
KR102590445B1 (ko) * | 2018-07-17 | 2023-10-16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리셉터클 커넥터 |
-
2021
- 2021-07-14 KR KR1020210092328A patent/KR102706646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9796A (ko) | 2022-05-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47143B1 (ko) | 기판 커넥터 | |
TWI764954B (zh) | 附帶屏蔽遮板的連接器 | |
CN106410516B (zh) | 插座电连接器 | |
KR102699386B1 (ko) | 기판 커넥터 | |
KR102675703B1 (ko) | 기판 커넥터 | |
US12107371B2 (en) | Board connector | |
KR102675705B1 (ko) | 기판 커넥터 | |
JP7430818B2 (ja) | 基板コネクタ | |
JP7446461B2 (ja) | 基板コネクタ | |
KR102706646B1 (ko) | 기판 커넥터 | |
KR102647142B1 (ko) | 기판 커넥터 | |
KR102675704B1 (ko) | 기판 커넥터 | |
JP2023544398A (ja) | 基板コネクタ | |
JP7487311B2 (ja) | 基板コネクタ | |
US20240145998A1 (en) | Board connector | |
KR102706645B1 (ko) | 기판 커넥터 | |
JP7446518B2 (ja) | 基板コネクタ | |
CN116569427A (zh) | 基板连接器 | |
CN116491031A (zh) | 基板连接器 | |
CN116325382A (zh) | 基板连接器 | |
KR20230123421A (ko) | 기판 커넥터 | |
CN116315893A (zh) | 电连接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