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772B1 -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3772B1 KR102673772B1 KR1020190091941A KR20190091941A KR102673772B1 KR 102673772 B1 KR102673772 B1 KR 102673772B1 KR 1020190091941 A KR1020190091941 A KR 1020190091941A KR 20190091941 A KR20190091941 A KR 20190091941A KR 102673772 B1 KR102673772 B1 KR 1026737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display area
- frequency
- display device
- are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02 image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101000685663 Homo sapiens Sodium/nucleoside cotransporter 1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1000821827 Homo sapiens Sodium/nucleoside cotransporter 2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1150040096 SFT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2100023116 Sodium/nucleoside cotransporter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2100021541 Sodium/nucleoside cotransporter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1150096886 sft-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01000822028 Homo sapiens Solute carrier family 28 member 3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100021470 Solute carrier family 28 member 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7571 Visual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7—Use of pixel shift techniques, e.g. by mechanical shift of the physical pixels or by optical shift of the perceived pixe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using self-shift panels with sequential transfer of the discharges from an input position to a further display posit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6—Determination of movement vectors or equivalent parameters within the imag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표시장치는,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영상의 프레임 정보를 산출하는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 상기 영상의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속도 조절부, 및 상기 영상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결정하는 시나리오 결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을 이동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영상 보정부 및 영상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등 다양한 종류의 표시장치들이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표시장치들은 구동 시간이 오래됨에 따라 특정 영상 또는 글자를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출력하므로 특정 화소가 열화되어 성능저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표시 패널 상에 일정 주기로 영상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기술(이른바 픽셀 시프트(Pixel Shift)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표시 패널 상에 일정 주기로 영상을 이동시켜 표시하면, 특정 화소에 동일한 데이터가 오랜 시간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여 특정 화소가 열화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최근, 표시장치의 구동 방식을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키고자 하였다.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구동 방식 중 하나로서 표시장치를 구동하는 주파수를 기본 구동 주파수보다 감소시키는 저속 구동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또 다른 하나로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영역들이 서로 다른 주파수로 구동하는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서로 다른 주파수로 구동하는 복수의 표시 영역들이 동일하게 영상이 이동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보정부는,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영상의 프레임 정보를 산출하는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 상기 영상의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속도 조절부, 및 상기 영상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결정하는 시나리오 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영역은 제1 주파수의 제1 주사 신호로 상기 영상을 구동하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낮은 제2 주파수의 제2 주사 신호로 상기 영상을 구동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파수는 1 Hz 내지 30 Hz이고, 상기 제2 주파수는 60 Hz 내지 250 Hz일 수 있다.
상기 제2 주사 신호는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로부터 특정 프레임의 스캔-온 신호를 오프시키는 스캔-오프 신호를 인가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스캔-오프 신호는 스캔-오프 프레임 정보와 스캔-오프 주파수 정보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는 외부로부터 상기 스캔-오프 프레임 정보, 상기 스캔-오프 주파수 정보, 및 수직 동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영상 보정부는, 상기 영상의 상기 이동 방향과 상기 이동량에 따라, 스캔-오프 신호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결정하는 스캔-오프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속도 조절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을 카운팅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을 카운팅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을 카운팅하는 속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 속도×(상기 제1 주파수/상기 제2 주파수)'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주파수보다 낮은 제3 주파수의 제3 주사 신호로 상기 영상을 구동하는 제3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을 카운팅하는 속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 속도×(상기 제1 주파수/상기 제3 주파수)'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에서 상기 영상의 이동 속도와 상기 제2 표시 영역에서 상기 영상의 이동 속도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보정부는 상기 영상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고,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에서 제1 영역을 축소 영역으로 결정하고, 제2 영역을 확장 영역으로 결정하는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영상을 다운 스케일링 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영상을 업 스케일링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표시 영역에서 영상이 이동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보정부는, 상기 영상의 이동 속도,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결정한다.
상기 복수의 화소들은 서로 인접한 제1 화소 및 제2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보정부는 상기 제1 화소의 발광량의 일정 비율만큼 프레임 단위로 감소시키고, 상기 제2 화소의 발광량의 상기 비율만큼 상기 프레임 단위로 증가시키면서 상기 영상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이전 프레임의 발광량의 1/32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은 제1 주파수의 제1 주사 신호로 상기 영상을 구동하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낮은 제2 주파수의 제2 주사 신호로 상기 영상을 구동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에서 상기 영상이 이동하는 속도와 상기 제2 표시 영역에서 상기 영상이 이동하는 속도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벤딩축을 기준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벤딩축은 상기 표시 영역을 가로지르고,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벤딩축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속도는 상기 각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을 카운팅 하여 계산하고, 상기 표시 영역은 서로 다른 주파수로 구동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속도는 상기 각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을 카운팅 하여 계산하고, 상기 각 영역의 영상의 프레임을 카운팅하는 속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역 중 대상 영역에서 상기 프레임을 카운팅하는 속도는 '최고 주파수로 구동하는 영역에서의 프레임 카운팅 속도×(최고 주파수로 구동하는 표시 영역에서의 구동 주파수/대상 표시 영역에서의 구동 주파수)'로 결정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표시장치는 서로 다른 주파수로 구동하는 복수의 표시 영역들이 동일한 속도로 영상이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는 소비전력을 저감하고, 화소의 열화가 시인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도시된 표시장치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보정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고주파수 신호를 이용해 저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개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인접한 화소 간 영상 이동의 개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주파수로 구동하는 표시 영역들의 영상 이동을 위한 속도 조절에 대한 개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X축 방향 영상 이동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보정부의 X축 방향으로 이동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표시장치에서 고주파수 신호를 이용해 저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개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표시장치에서 다른 주파수로 구동하는 표시 영역들의 영상 이동을 위한 속도 조절에 대한 개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도시된 표시장치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보정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고주파수 신호를 이용해 저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개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인접한 화소 간 영상 이동의 개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주파수로 구동하는 표시 영역들의 영상 이동을 위한 속도 조절에 대한 개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X축 방향 영상 이동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보정부의 X축 방향으로 이동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표시장치에서 고주파수 신호를 이용해 저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개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표시장치에서 다른 주파수로 구동하는 표시 영역들의 영상 이동을 위한 속도 조절에 대한 개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다는 용어는 실제 비교 대상 간 오차 없이 정확히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비교 대상 간 오차 범위 5%이내로 유사하여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도시된 표시장치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면(IS)을 포함한다.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면(IS)은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하다. 표시면(IS)의 법선 방향, 즉 표시장치(1)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상 표시장치(1)의 세로방향을 제1 방향(DR1)으로 정의하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방향을 제2 방향(DR2)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즉, 제2 방향(DR2)은 표시장치(1)의 가로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표시장치(1)의 두께 방향로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모두 교차하는 방향을 제3 방향(DR3)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언급한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방향(DR1),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은 상호 교차하는 상대적인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방향(DR1),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은 각각 X축, Y축 및 Z축을 정의하며, 또한,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표시장치(1)는 구부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1)는 폴더블 표시장치 또는 말려지는 롤러블 표시장치일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리지드(rigid)한 표시장치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표시장치(1)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휴대 전화, 테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표시장치(1)의 표시면(IS)은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1)의 표시면(IS)에는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서는 영상(IM)의 일 예로 표시장치(1)에서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모습을 도시하였다.
표시 영역(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에워싸는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 영역(DA)의 형상과 비표시 영역(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표시장치(1)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표시장치(1)의 외곽에 배치되며, 내부에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표시장치(1)는 벤딩축(BX)을 기준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축(BX)은 표시 영역(DA)을 가로지를 수 있다.
도 2와 같이, 표시장치(1)는 인-폴딩 상태(1a)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가 벤딩축(BX)을 중심으로 인-폴딩 됨에 따라, 표시장치(1)의 표시면(IS)이 벤딩축(BX)을 중심으로 접혀, 벤딩축(BX)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표시장치(1)의 표시면(IS)이 마주하도록 접히고, 표시면(IS)에 대향하는 배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아웃-폴딩 상태(1b)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가 벤딩축(BX)을 중심으로 아웃-폴딩 됨에 따라, 표시장치(1)의 표시면(IS)이 외부로 노출되고, 표시면(IS)에 대향하는 배면이 벤딩축(BX)을 중심으로 접혀, 벤딩축(BX)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배면의 양 측이 마주하도록 접히는 것일 수 있다.
표시장치(1)는 벤딩축(BX)을 기준으로 인-폴딩 되거나 아웃-폴딩 되는 이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폴딩되거나 롤링될 수도 있다.
한편, 표시장치(1)의 표시 영역(DA)은 서로 다른 주파수로 구동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표시장치(1)는 벤딩축(BX)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은 벤딩축(BX)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접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표시장치가 아웃-폴딩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표시장치를 바라보는 위치에 기인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2 표시 영역(DA2)은 제1 표시 영역(DA1)보다 낮은 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1)는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이 모두 제1 표시 영역(DA1)과 동일한 주파수로 구동하는 경우 대비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영역(DA1)은 60Hz 내지 250 Hz의 제1 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고, 제2 표시 영역(DA2)은 1 Hz 내지 30 Hz의 제2 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표시 영역(DA2)이 영상(IM)이 오프된 상태로 제1 표시 영역(DA1)만 구동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프로세서(100), 표시 구동부(200), 및 표시 패널(3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PX)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PX)는 미리 설정된 색을 발광하는 발광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화소(PX)들은 적색, 녹색, 청색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상술한 표시 영역(DA)은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및 상기 각 발광 영역을 구분하는 비발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화소(PX)들은 매트릭스 형태로 행방향, 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화소(PX)들이 정의하는 복수의 발광 영역은 매트릭스 형태로 행방향, 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각 발광 영역의 위치에 각 화소(PX)의 위치가 대응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표시 구동부(200)로 제1 영상 데이터(DI1)와 제어신호(CS)를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신호(CS)는 수직 동기 신호(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수평 동기 신호(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Signal), 클럭 신호(Clock Signa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00)는 표시 구동부(200)로 스캔-오프 프레임 정보(SOFM) 및 스캔-오프 주파수 정보(SOFQ)를 더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00)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IC)),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모바일(mobile) AP, 또는 표시 구동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구동부(200)는 영상 보정부(210), 타이밍 제어부(220), 주사 구동부(240), 및 데이터 구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보정부(210)는 프로세서(100)로부터 공급되는 제1 영상 데이터(DI1)와 제어신호(CS)를 이용하여 제2 영상 데이터(DI2)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보정부(210)는 제1 영상 데이터(DI1), 제2 영상 데이터(DI2), 및 제어신호(CS)를 타이밍 제어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영상 데이터(DI2)는 영상 이동(픽셀 시프트) 기술을 이용하여 제1 영상 데이터(DI1)를 이동한 영상 데이터를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 보정부(210)는 타이밍 제어부(220)를 통하지 않고 직접 제1 영상 데이터(DI1), 제2 영상 데이터(DI2), 및 제어신호(CS)를 데이터 구동부(230)로 공급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 보정부(210)는 표시 구동부(200)와 별개로 분리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 보정부(210)는 타이밍 제어부(220)에 통합될 수 있고, 타이밍 제어부(220)는 제1 영상 데이터(DI1)를 제2 영상 데이터(DI2)로 변환할 수도 있다.
타이밍 제어부(220)는 영상 보정부(210)로부터 제1 영상 데이터(DI1), 제2 영상 데이터(DI2), 및 제어신호(CS)를 수신받을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20)는 제어신호(CS)에 기초하여 주사 구동부(240)와 데이터 구동부(230)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타이밍 제어신호는 주사 구동부(240)를 제어하기 위한 주사 타이밍 제어신호(SCS)와, 데이터 구동부(23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CS)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20)는 주사 타이밍 제어신호(SCS)를 주사 구동부(240)로 공급하고,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230)로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20)는 제1 기간 동안에 제1 영상 데이터(DI1)를 데이터 구동부(230)에 공급하여 제1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기간 동안에 제2 영상 데이터(DI2)를 데이터 구동부(230)로 공급하여 제2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230)는 타이밍 제어부(220)로부터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CS),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DI1, DI2)를 입력받아, 데이터 신호(DS)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230)는 생성된 데이터 신호(DS)를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230)는 별도의 구성 요소를 통해 표시 패널(300)에 위치한 데이터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 구동부(230)는 표시 패널(300)에 직접 실장될 수도 있다.
주사 구동부(240)는 주사 타이밍 제어신호(SCS)에 응답하여 주사 라인들에 주사 신호(SS)들을 공급한다. 주사 구동부(240)는 표시 패널(300)에 위치한 주사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각 화소(PX)를 구성하는 화소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주사 라인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주사 구동부(240)는 제1 표시 영역에 배치된 화소(PX)들에 제1 주파수를 가진 제1 주사 신호(SS1)를 공급하고, 제2 표시 영역에 배치된 화소(PX)들에 제2 주파수를 가진 제2 주사 신호(SS2)를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주사 구동부(240)는 표시 패널(300)에 직접 실장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을 통해 데이터 신호(DS)를 공급받은 표시 패널(300)의 화소(PX)들은 주사 신호(SS)가 공급될 때, 데이터 신호(DS)에 대응되는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예컨대, 타이밍 제어부(220) 또는 영상 보정부(210)가 제1 영상 데이터(DI1)를 공급하는 경우, 데이터 구동부(230)는 제1 영상 데이터(DI1)에 대응되는 데이터 신호(DS)를 화소(PX)들로 공급함으로써 제1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220) 또는 영상 보정부(210)가 제2 영상 데이터(DI2)를 공급하는 경우, 데이터 구동부(230)는 제2 영상 데이터(DI2)에 대응되는 데이터 신호(DS)를 화소(PX)들로 공급함으로써 제2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230)는 주사 구동부(240)와 별개로 분리되어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주사 신호(SS) 및 데이터 신호(DS) 등을 공급하는 표시 구동부(200)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패널(300)은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액정 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보정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고주파수 신호를 이용해 저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개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인접한 화소 간 영상 이동의 개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주파수로 구동하는 표시 영역들의 영상 이동을 위한 속도 조절에 대한 개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영상 이동에 따른 업-다운 스케일링에 대한 개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보정부(210)는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211), 속도 조절부(212), 시나리오 결정부(213),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214), 및 스캔-오프 위치 조절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211)는 표시 영역(DA)에 제공되는 영상(IM)의 프레임 정보(CI)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211)는 프로세서(100)로부터 공급되는 수직 동기 신호와 같은 제어신호(CS)를 이용함으로써, 현재 공급되는 제1 영상 데이터(DI1)가 몇 번째 프레임에 해당되는지를 산출할 수 있다.
표시장치는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에서 각각 서로 다른 제1 주파수 및 제2 주파수로 구동하므로,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211)가 산출하는 제1 표시 영역(DA1)의 프레임 정보와 제2 표시 영역(DA2)의 프레임 정보는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저주파수인 제2 주사 신호(SS2)는 제1 주사 신호(SS1)와 동일한 프레임 및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이용해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이하에서, 제1 주파수는 60 Hz이고, 제2 주파수는 30 Hz인 것을 예로서 설명하나, 주파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제1 주사 신호(SS1)가 제2 주사 신호(SS2)로의 변환에는 스캔-오프 신호(SO)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스캔-오프 신호(SO)는 스캔-오프 프레임 정보(SOFM) 및 스캔-오프 주파수 정보(SOFQ)를 포함한다.
도 6에서 하이 논리 레벨인 프레임을 스캔-온 프레임이고, 로우 논리 레벨인 프레임을 스캔-오프 프레임인 것을 가정했다.
제2 주사 신호(SS2)는 상대적으로 고주파수를 갖는 제1 주사 신호(SS1)의 일부 구간에서 스캔-오프 신호(SO)를 인가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스캔-오프 신호(SO)를 인가'라 함은 주사 신호의 특정 스캔-온 프레임을 오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 Hz의 제1 주사 신호(SS1)에 짝수번째 스캔-온 프레임을 오프하는 스캔-오프 신호(SO)를 인가해 30 Hz의 제2 주사 신호(SS2)를 생성할 수 있다. 스캔-오프 신호(SO)는 상술한 스캔-오프 프레임 정보(SOFM) 및 스캔-오프 주파수 정보(SOFQ)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211)는 공급된 스캔-오프 프레임 정보(SOFM) 및 스캔-오프 주파수 정보(SOFQ)를 통해, 제2 주사 신호(SS2)가 생성되기 위해 오프된 스캔-온 프레임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211)는 수직 동기 신호를 통해 제1 주사 신호(SS1)가 제공되는 제1 표시 영역(DA1)의 프레임 정보와 제2 주사 신호(SS2)가 제공되는 제1 표시 영역(DA1)의 프레임 정보가 포함된 제1 프레임 정보(FI1)를 산출하고, 이를 속도 조절부(212)에 제공할 수 있다.
속도 조절부(212)는 제1 프레임 정보(FI1)를 제공받아, 서로 다른 주파수로 구동하는 각 표시 영역(DA1, DA2)의 영상(IM)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영상 이동은 인접한 화소(PX) 간 발광량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7에서 인접한 제1 화소(PX1)로부터 제2 화소(PX2)로 영상 이동됨을 가정했다.
일 실시예로, 영상 이동은 제1 화소(PX1)의 발광량을 일정 비율 낮추고, 제2 화소(PX2)의 발광량을 일정 비율로 높이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PX1)가 비율이 1(32/32)인 초기 발광량을 갖고, 제2 화소(PX2)가 비율이 0(0/32)인 초기 발광량을 가질 때, 한 프레임당 제1 화소(PX1)는 1/32 만큼 발광량을 감소하고, 제2 화소(PX2)는 1/32만큼 증가할 수 있다. 첫 프레임동안 각 초기 발광량 대비, 제1 화소(PX1)는 31/32인 발광량을 갖고(PX1_1 참조), 제2 화소(PX2)는 1/32인 발광량을 가질 수 있다(PX2_1 참조). 32번째 프레임이 지나면서, 각 초기 발광량 대비, 제1 화소(PX1)는 0(0/32)인 발광량을 갖고(PX1_32 참조), 제2 화소(PX2)는 1(32/32)인 발광량을 가질 수 있다(PX2_32 참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 화소(PX1)가 표시하는 영상(IM)이 제2 화소(PX2)에 옮겨질 수 있다.
한편, 영상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별도 장치가 없을 때를 가정하면, 제2 주파수(예, 30 Hz)로 구동하는 경우 제1 화소(PX1)에서 제2 화소(PX2)로 영상 이동이 완료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제1 주파수(예, 60 Hz)로 구동하는 경우 대비, 2배가 걸릴 수 있다. 즉,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의 각 화소(PX)들이 영상 이동이 다른 시간에 완료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분리된 화면이 시인될 수도 있다.
다른 주파수로 구동하는 여러 표시 영역(DA)을 갖는 경우에도, 모든 표시 영역(DA1, DA2)의 영상 이동이 완료되는 시간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위해,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속도 조절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속도 조절부(212)는 영상(IM)의 프레임을 카운팅 하여 각 표시 영역(DA1, DA2)의 영상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영상(IM)의 프레임은 각 표시 영역(DA1, DA2)의 화소(PX)에 공급되는 주사 신호(SS)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주사 신호에서 스캔-온 프레임을 '1'로 표기하고, 스캔-오프 프레임을 '0'으로 표기해 넘버링했을때, 제1 표시 영역(DA1)의 화소(PX)에 인가되는 제1 주사 신호(SS1)는 프레임 순서에 맞추어 101010101010...로 넘버링될 수 있다. 이를 제1 프레임 카운팅(FR1)으로 칭하기로 한다. 제2 표시 영역(DA2)의 화소(PX)에 인가되는 제2 주사 신호(SS2)는 제1 주사 신호(SS1)에 대응하여, 프레임 순서에 맞추어 100010001000...로 넘버링될 수 있다. 이를 제2 프레임 카운팅(FR2)으로 칭하기로 한다.
속도 조절부(212)는 최고 주파수로 구동하는 표시 영역(예, DA1)의 주사 신호(예, SS1)를 기준으로 보다 낮은 주파수로 구동 하는 대상 표시 영역(예, DA2)에서의 프레임 카운팅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대상 표시 영역에서 프레임 카운팅의 속도는 아래 [수학식 1]이 적용될 수 있다.
[수학식 1]
대상 표시 영역의 프레임 카운팅 속도 = 최고 주파수로 구동하는 표시 영역에서의 프레임 카운팅 속도×(최고 주파수로 구동하는 표시 영역에서의 구동 주파수/대상 표시 영역에서의 구동 주파수)
예를 들어, 60 Hz로 구동하는 제1 표시 영역(DA1)이 최고 주파수로 구동하는 표시 영역이고, 제1 표시 영역(DA1)에서의 프레임 카운팅 속도를 1(비율 값)로 가정하면(CNT1 참조), 30 Hz로 구동하는 제2 표시 영역(DA2)에서의 프레임 카운팅 속도는 2(비율 값)일 수 있다(CNT2 참조).
제1 프레임 카운팅(FR1)인 101010101010...이 각 프레임별로 1(비율 값)의 속도로 카운팅되고(CNT1 참조), 제2 프레임 카운팅(FR2)인 100010001000...이 각 프레임별로 2(비율 값)의 속도로 카운팅될 수 있다(CNT2 참조). 이에 따라, 제1 프레임 카운팅(FR1)과 제2 프레임 카운팅(FR2)에서 각 카운팅 넘버가 '1'이 되는 주기(Ts)가 동일해질 수 있다.
각 주사 신호(SS1, SS2)의 각 프레임 카운팅(FR1, FR2) 넘버링이 '1'이 되는 시간에 맞추어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에서 각각 영상 이동을 수행하고, 각 표시 영역(DA1, DA2)에서 동일한 시간에 영상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SFT1, SFT2 참조). 즉,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은 각각 동일한 주기(Ts)를 가지고 동일한 시간에 인접한 화소(예, PX1, PX2, 도 7 참조)간 일정 비율(예, 초기 발광량의 1/32 비율)로 발광량이 조절될 수 있다(SFT1, SFT2 참조).
속도 조절부(212)는 각 표시 영역(DA1, DA2)의 프레임 정보와 프레임 카운팅(FR1, FR2)의 속도가 반영된 제2 프레임 정보(FI2)를 산출하고, 이를 시나리오 결정부(213)에 제공할 수 있다.
시나리오 결정부(213)는 영상(IM)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시나리오 결정부(213)는 X축 이동 방향, X축 이동 방향, Y축 이동량, 및 Y축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시나리오 결정부(213)는 결정된 영상(IM)의 이동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이동 방향 정보(MDI)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시나리오 결정부(213)는 결정된 영상(IM)의 이동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이동량 정보(MAI)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시나리오 결정부(213)는 결정된 영상(IM)의 이동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이동 패턴 정보(MPI)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시나리오 결정부(213)는 제2 프레임 정보(FI2)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X축 이동 방향과 Y축 이동 방향, X축 이동량과 Y축 이동량 및 이동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시나리오 결정부(213)는 영상(IM)의 이동 방향, 이동량 및 이동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룩 업 테이블을 생성하고, 생성된 룩 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영상(IM)의 이동 방향, 이동량 및 이동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시나리오 결정부(213)는 외부로부터 전송되거나, 미리 저장된 룩 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영상(IM)의 이동 방향, 이동량 및 이동 패턴을 결정할 수도 있다.
시나리오 결정부(213)는 X축 방향으로, 영상 이동 방향 정보(MDI), 영상 이동량 정보(MAI) 및 영상 이동 패턴 정보(MPI)를 이용하여 X축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X축 영역에 대한 X축 영역 정보(XAI)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X축 영역은 X축 축소 영역, X축 확대 영역 및 X축 이동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시나리오 결정부(213)는 Y축 방향으로, 영상 이동 방향 정보(MDI), 영상 이동량 정보(MAI) 및 영상 이동 패턴 정보(MPI)를 이용하여 Y축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Y축 영역에 대한 Y축 영역 정보(YAI)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Y축 영역은 Y축 축소 영역, Y축 확대 영역 및 Y축 이동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214)는 영상 이동 방향 정보(MDI), 영상 이동량 정보(MAI) 및 영상 이동 패턴 정보(MPI)를 이용하여 표시 영역(DA)의 엣지 부분에서 업-다운 스케일링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9 내지 도 11을 통해 후술된다.
스캔-오프 위치 조절부(215)는 영상 이동 방향 정보(MDI), 영상 이동량 정보(MAI), 영상 이동 패턴 정보(MPI), 업-다운 스케일링 정보를 이용하여, 스캔-오프 신호(SO)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서 영상 이동과 동시에 스캔-오프 신호(SO)의 위치를 조절해,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에서 설정된 주파수로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스캔-오프 위치 조절부(215)는 스캔-오프 신호(SO)의 위치를 조절하고 제2 영상 데이터(DI2)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영상(IM)의 이동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영상(IM)이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은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X축 방향 영상 이동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는 몇몇 프레임 구간동안 표시 영역(DA)에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IM)의 크기는 표시 영역(DA)과 같거나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영상(IM)은 다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IM)은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영역(A1)은 제1 표시 영역(DA1)의 일부에 걸쳐 형성되고, 제2 영역(A2)은 제2 표시 영역(DA2)의 일부에 걸쳐 형성되고, 제3 영역(A3)은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을 모두 거쳐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A1), 제3 영역(A3) 및 제2 영역(A2)의 순서로 X축 방향을 따라 순차 배열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X축 방향을 따라 순서를 결정할 경우, 제3 영역(A3)은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 사이에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의 시점에서, 제1 영역(A1)은 제3 영역(A3)의 좌측에 배치된 영역일 수 있으며, 제2 영역(A2)은 제3 영역(A3)의 우측에 배치된 영역일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의 시점에서, X축 방향은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임의의 직선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X축 방향은 표시 영역(DA)에 배치된 각각의 화소(PX)의 열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Y축 방향은, 도 9 및 도 10의 시점에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임의의 직선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Y축 방향은 표시 영역(DA)에 배치된 각각의 화소(PX)의 행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실시예가 X축 방향과 Y축 방향의 용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9에서는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표시 영역(DA)에 표시된 영상(IM)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10에서는 제2 프레임 구간 동안 표시 영역(DA)에 표시된 영상(IM)을 개략적을 도시한다. 상기 제1 프레임 구간과 상기 제2 프레임 구간은 영상의 이동이 완료되는 프레임을 의미한다. 제2 프레임 구간은 제1 프레임 구간에 연속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구간동안 표시된 영상(IM)은 제2 프레임 구간에서는 X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표시되었던 영상(IM)의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은, 제2 프레임 구간에서는 일부 영역이 변형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A1)은 제1 프레임 구간보다 제2 프레임 구간에서 X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제2 영역(A2)은 제1 프레임 구간보다 제2 프레임 구간에서 X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축소될 수 있다. 제3 영역(A3)은 제1 프레임 구간보다 제2 프레임 구간에서 X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의 전체 면적은 제1 프레임 구간 및 제2 프레임 구간에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IM)을 각 영역별로 확대, 축소 및 이동시킴으로써, 잔상 발생을 억제하고, 표시장치(1)의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X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예시하였으나, X축 방향으로의 이동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A1)이 X축 방향으로 축소되고, 제2 영역(A2)은 X축 방향으로 확장되며, 제3 영역(A3)은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보정부의 X축 방향으로 이동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소(PX)들 중에서 한 행의 화소(PX)와 연관되는 제1 X축 영상 데이터(XID1) 및 제2 X축 영상 데이터(XID2)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제1 X축 영상 데이터(XID1)는 상술한 제1 영상 데이터(DI1)의 일부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2 X축 영상 데이터(XID2)는 상술한 제2 영상 데이터(DI2)의 일부에 대응될 수 있다.
이동 전 X축 영역(XA1)은 이동 전 서브 영역들(SA1, SA2, SA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후 X축 영역(XA2)은 영상(IM)이 이동한 후에 대한 데이터에 대응되는 이동 후 서브 영역들(SB1, SB2, SB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일 좌측에 위치한 화소(PX)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5번째 위치한 화소(PX) 상에 표시되는 영상(IM)은 이동 전 제1 영역(SA1)으로 결정되고, 제일 우측에 위치한 화소(PX)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3번째 위치한 화소(PX) 상에 표시되는 영상(IM)을 이동 전 제2 영역(SA2)으로 결정되고, 이동 전 제1 영역(SA1)과 이동 전 제2 영역(SA2) 사이에 위치한 이동 전 제3 영역(SA3)을 결정될 수 있다.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214)는 이동 전 서브 영역들(SA1, SA2, SA3)을 표시하는 제1 X축 영상 데이터(XID1)가 이동 후 서브 영역들(SB1, SB2, SB3)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제2 X축 영상 데이터(XID2)로 변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214)는 이동 전 제1 영역(SA1)을 표시하는 제1 X축 영상 데이터(XID1)가 이동 후 제1 영역(SB1)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제2 X축 영상 데이터(XID2)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214)는 이동 전 제2 영역(SA2)을 표시하는 제1 X축 영상 데이터(XID1)가 이동 후 제2 영역(SB2)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제2 X축 영상 데이터(XID2)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214)는 이동 전 제3 영역(SA3)을 표시하는 제1 X축 영상 데이터(XID1)가 이동 후 제3 영역(SB3)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제2 X축 영상 데이터(XID2)로 변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영상(IM)의 축소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시나리오 결정부(213)에서 생성된 영상 이동 방향 정보(MDI) 및 영상 이동량 정보(MAI)를 이용하여,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214)는 이동 전 제1 영역(SA1)보다 축소된 이동 후 제1 영역(SB1)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이동 방향 정보(MDI)가 X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설정되고, 영상 이동량 정보(MAI)가 n개(n은 양수)의 화소(PX) 이동으로 설정된 경우,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214)는 이동 전 제1 영역(SA1)보다 X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n개의 화소(PX)만큼 축소된 이동 후 제1 영역(SB1)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영상(IM)을 축소하기 위하여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214)는 이동 전 제1 영역(SA1)의 p개(p는 양수)의 화소(PX)들 상에서 표시되는 영상(IM)을 이동 후 제1 영역(SB1)의 q개(q는 p보다 작은 양수)의 화소(PX)들 상에서 표시되는 영상(IM)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214)는 p개의 화소(PX)들로 제공될 예정이었던 데이터를 q개의 화소(PX)들로 제공될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p개의 화소(PX)들 상에서 표시되던 영상(IM)이 q개의 화소(PX)들 상에서 표시되기 때문에, 이동 후 제1 영역(SB1)에서 표시되는 영상(IM)은 이동 전 제1 영역(SA1)에서 표시되는 영상(IM)보다 k의 비율(여기서, k = q/p)로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영상(IM)의 확대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시나리오 결정부(213)에서 생성된 영상 이동 방향 정보(MDI) 및 영상 이동량 정보(MAI)를 이용하여,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214)는 이동 전 제2 영역(SA2)보다 확장된 이동 후 제2 영역(SB2)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이동 방향 정보(MDI)가 X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설정되고, 영상 이동량 정보(MAI)가 n개(n은 양수)의 화소(PX) 이동으로 설정된 경우,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214)는 이동 전 제2 영역(SA2)보다 X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n개의 화소(PX)만큼 확장된 이동 후 제2 영역(SB2)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영상(IM)을 확장하기 위하여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214)는 이동 전 제2 영역(SA2)의 r개(r은 양수)의 화소(PX)들 상에서 표시되는 영상(IM)을 이동 후 제2 영역(SB2)의 s개(s는 r보다 큰 양수)의 화소(PX)들 상에서 표시되는 영상(IM)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214)는 r개의 화소(PX)들로 제공될 예정이었던 데이터를 s개의 화소(PX)들로 제공될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r개의 화소(PX)들 상에서 표시되던 영상(IM)이 s개의 화소(PX)들 상에서 표시되기 때문에, 이동 후 제2 영역(SB2)에서 표시되는 영상(IM)은 이동 전 제2 영역(SA2)에서 표시되는 영상(IM)보다 l의 비율(여기서, l = s/r)로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영상(IM)의 이동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시나리오 결정부(213)에서 생성된 영상 이동 방향 정보(MDI) 및 영상 이동량 정보(MAI)를 이용하여,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214)는 이동 전 제3 영역(SA3)보다 X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 이동 후 제3 영역(SB3)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이동 방향 정보(MDI)가 X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설정되고, 영상 이동량 정보(MAI)가 n개(n은 양수)의 화소(PX) 이동으로 설정된 경우,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214)는 이동 전 제3 영역(SA3)보다 X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n개의 화소(PX)만큼 이동된 이동 후 제3 영역(SB3)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영상(IM)을 이동하기 위하여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214)는 이동 전 제3 영역(SA3)의 t개(t은 양수)의 화소(PX)들 상에서 표시되는 영상(IM)을 이동 후 제3 영역(SB3)의 t개의 화소(PX)들 상에서 표시되는 영상(IM)으로, 그 위치를 변환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상술한 방법을 변형하여 Y축 방향으로 이동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과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표시장치에서 고주파수 신호를 이용해 저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개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표시장치에서 다른 주파수로 구동하는 표시 영역들의 영상 이동을 위한 속도 조절에 대한 개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2)는 도 1, 도 6 및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 대비, 표시 영역(DA)이 제2 표시 영역(DA2)보다 낮은 주파수로 구동하는 제3 표시 영역(DA3)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일 실시예로, 표시장치(2)는 최고 주파수로 구동하는 제1 표시 영역(DA1), 중간 주파수로 구동하는 제2 표시 영역(DA2) 및 최저 주파수로 구동하는 제3 표시 영역(DA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2)는 제1 표시 영역(DA1)에서 동영상을 표시하고, 제2 표시 영역(DA2)에서 열이나 행 단위로 움직이는 글들을 표현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제3 표시 영역(DA3)에서 정지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표시 영역(DA1)은 60 Hz의 주파수로 구동하고, 제2 표시 영역(DA2)은 30 Hz의 주파수로 구동하고, 제3 표시 영역(DA3)은 15 Hz의 주파수로 구동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나, 실시예가 상술한 주파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3 표시 영역(DA3)에 배치된 화소들은 15 Hz의 주파수를 가진 제3 주사 신호(SS3)가 공급될 수 있다. 제3 주사 신호(SS3)는 최고 주파수를 갖는 제1 주사 신호(SS1)의 일부 구간에서 스캔-오프 신호(SO_1)를 인가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0 Hz의 제1 주사 신호(SS1)에 4i-2번째, 4i-1번째, 4i번째(여기서, i는 양수) 프레임을 오프하는 스캔-오프 신호(SO_1)를 인가해 15 Hz의 제3 주사 신호(SS3)를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주사 신호(SS2)는 제1 주사 신호(SS1)에 2i번째 프레임을 오프하는 스캔-오프 신호(SO)를 인가하는 방식으로 30 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DA1), 제2 표시 영역(DA2) 및 제3 표시 영역(DA3)에서 화면 이동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영역(DA1)의 화소에 인가되는 제1 주사 신호(SS1)의 제1 프레임 카운팅(FR1)은 101010101010...고, 제2 표시 영역(DA2)의 화소에 인가되는 제2 주사 신호(SS2)의 제2 프레임 카운팅(FR2)은 100010001000...이면, 제3 표시 영역(DA3)의 화소에 인가되는 제3 주사 신호(SS3)의 제3 프레임 카운팅(FR3)은 100000001000...일 수 있다.
속도 조절부(212)는 최고 주파수로 구동하는 표시 영역(예, DA1)의 주사 신호(예, SS1)를 기준으로 보다 낮은 주파수로 구동 하는 대상 표시 영역(예, DA2, DA3)에서의 프레임 카운팅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60 Hz로 구동하는 제1 표시 영역(DA1)이 최고 주파수로 구동하는 표시 영역(DA)이고, 제1 표시 영역(DA1)에서의 프레임 카운팅 속도를 1(비율 값)로 가정하면(CNT1 참조), 30 Hz로 구동하는 제2 표시 영역(DA2)에서의 프레임 카운팅 속도는 2(비율 값)이고(CNT2 참조), 15 Hz로 구동하는 제3 표시 영역(DA3)에서의 프레임 카운팅 속도는 4(비율 값)일 수 있다(CNT3 참조).
제1 프레임 카운팅(FR1)인 101010101010...이 각 프레임별로 1(비율 값)의 속도로 카운팅되고(CNT1 참조), 제2 프레임 카운팅(FR2)인 100010001000...이 각 프레임별로 2(비율 값)의 속도로 카운팅되고(CNT2 참조), 제3 프레임 카운팅인 100000001000...이 각 프레임별로 4(비율 값)의 속도로 카운팅될 수 있다(CNT3 참조). 이에 따라, 제1 프레임 카운팅(FR1), 제2 프레임 카운팅(FR2) 및 제3 프레임 카운팅에서 각 카운팅 넘버가 '1'이 되는 주기(Ts)가 동일해질 수 있다.
각 주사 신호 카운팅 넘버링이 ‘1’이 되는 시간에 맞추어 제1 표시 영역(DA1), 제2 표시 영역(DA2) 및 제3 표시 영역(DA3)에서 각각 영상 이동을 수행하고, 각 표시 영역(DA1, DA2)에서 동일한 시간에 영상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SFT1, SFT2, SFT3 참조). 즉, 제1 표시 영역(DA1), 제2 표시 영역(DA2) 및 제3 표시 영역(DA3)은 각각 동일한 주기(Ts)를 가지고 동일한 시간에 인접한 화소간 일정 비율(예, 초기 발광량의 1/32 비율) 대로 발광량이 조절될 수 있다(SFT1, SFT2, SFT3 참조).
이상의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A)이 여러 주파수로 구동하는 여러 영역들로 나뉘어 구동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상기 영역마다 주파수를 변환하여 구동할 수 있고, 화면 이동 시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장치
100: 프로세서
200: 표시 구동부
210: 영상 보정부
211: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
212: 속도 조절부
213: 시나리오 결정부
214: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
215: 스캔-오프 위치 조절부
220: 타이밍 제어부
230: 데이터 구동부
240: 주사 구동부
300: 표시 패널
DA1, DA2: 제1 표시 영역, 제2 표시 영역
FR1, FR2: 제1 프레임 카운팅, 제2 프레임 카운팅
IM: 영상
SS1, SS2: 제1 주사 신호, 제2 주사 신호
100: 프로세서
200: 표시 구동부
210: 영상 보정부
211: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
212: 속도 조절부
213: 시나리오 결정부
214: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
215: 스캔-오프 위치 조절부
220: 타이밍 제어부
230: 데이터 구동부
240: 주사 구동부
300: 표시 패널
DA1, DA2: 제1 표시 영역, 제2 표시 영역
FR1, FR2: 제1 프레임 카운팅, 제2 프레임 카운팅
IM: 영상
SS1, SS2: 제1 주사 신호, 제2 주사 신호
Claims (20)
-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영상의 프레임 정보를 산출하는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
상기 영상의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속도 조절부; 및
상기 영상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결정하는 시나리오 결정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표시 영역은 제1 주파수의 제1 주사 신호로 상기 영상을 구동하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낮은 제2 주파수의 제2 주사 신호로 상기 영상을 구동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주파수 및 상기 제2 주파수에 각각 기초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서 영상 이동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속도 조절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서의 제1 프레임 카운팅 속도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서의 제2 프레임 카운팅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 각각에서 상기 영상의 이동 속도를 서로 동일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표시장치.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는 60 Hz 내지 250 Hz이고,
상기 제2 주파수는 1 Hz 내지 30 Hz인 표시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사 신호는 상기 제1 주파수의 신호로부터 특정 프레임의 스캔-온 신호를 오프시키는 스캔-오프 신호를 인가하여 생성된 표시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오프 신호는 스캔-오프 프레임 정보와 스캔-오프 주파수 정보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는 외부로부터 상기 스캔-오프 프레임 정보, 상기 스캔-오프 주파수 정보, 및 수직 동기 신호를 공급받는 표시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상기 이동 방향과 상기 이동량에 따라, 스캔-오프 신호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결정하는 스캔-오프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조절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을 카운팅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을 카운팅하여 결정하는 표시장치.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을 카운팅하는 속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 속도×(상기 제1 주파수/상기 제2 주파수)'로 결정되는 표시장치.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주파수보다 낮은 제3 주파수의 제3 주사 신호로 상기 영상을 구동하는 제3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을 카운팅하는 속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 속도×(상기 제1 주파수/상기 제3 주파수)'로 결정되는 표시장치.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고,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에서 제1 영역을 축소 영역으로 결정하고, 제2 영역을 확장 영역으로 결정하는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 스케일링 조정부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영상을 다운 스케일링 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영상을 업 스케일링 하는 표시장치. - 표시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표시 영역에서 영상이 이동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보정부는, 상기 영상의 이동 속도,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결정하고,
상기 표시 영역은 제1 주파수의 제1 주사 신호로 상기 영상을 구동하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주파수보다 낮은 제2 주파수의 제2 주사 신호로 상기 영상을 구동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주파수 및 상기 제2 주파수에 각각 기초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서 영상 이동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영상 보정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에서의 제1 프레임 카운팅 속도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서의 제2 프레임 카운팅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 각각에서 상기 영상의 이동 속도를 서로 동일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표시장치.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들은 서로 인접한 제1 화소 및 제2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보정부는 상기 제1 화소의 발광량의 일정 비율만큼 프레임 단위로 감소시키고, 상기 제2 화소의 발광량의 상기 비율만큼 상기 프레임 단위로 증가시키면서 상기 영상을 이동하는 표시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은 이전 프레임의 발광량의 1/32인 표시장치. - 삭제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벤딩축을 기준으로 구부러지는 표시장치.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축은 상기 표시 영역을 가로지르고,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벤딩축에 의해 구분되는 표시장치.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속도는 상기 각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을 카운팅 하여 계산하고,
상기 표시 영역은 서로 다른 주파수로 구동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속도는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표시되는 영상의 프레임을 카운팅 하여 계산하고,
상기 각 영역의 영상의 프레임을 카운팅하는 속도는 서로 다른 표시장치. -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대상 영역에서 상기 프레임을 카운팅하는 속도는 '최고 주파수로 구동하는 영역에서의 프레임 카운팅 속도×(최고 주파수로 구동하는 표시 영역에서의 구동 주파수/대상 표시 영역에서의 구동 주파수)'로 결정되는 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1941A KR102673772B1 (ko) | 2019-07-29 | 2019-07-29 |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US16/831,033 US11289047B2 (en) | 2019-07-29 | 2020-03-26 | Display device including image corrector |
CN202010722938.XA CN112309302A (zh) | 2019-07-29 | 2020-07-24 | 包括图像校正器的显示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1941A KR102673772B1 (ko) | 2019-07-29 | 2019-07-29 |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4260A KR20210014260A (ko) | 2021-02-09 |
KR102673772B1 true KR102673772B1 (ko) | 2024-06-12 |
Family
ID=74258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1941A KR102673772B1 (ko) | 2019-07-29 | 2019-07-29 |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289047B2 (ko) |
KR (1) | KR102673772B1 (ko) |
CN (1) | CN112309302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33615A (ko) * | 2020-09-08 | 2022-03-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
KR102708859B1 (ko) * | 2020-11-09 | 2024-09-2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와 그 영상 처리 방법 |
KR20220129946A (ko) * | 2021-03-17 | 2022-09-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수의 주사율들에 기반하여 컨텐트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KR20220148973A (ko) * | 2021-04-29 | 2022-11-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CN115019729B (zh) * | 2022-08-04 | 2022-11-25 | 惠科股份有限公司 | 像素驱动电路、显示面板及其控制方法 |
TWI839073B (zh) * | 2023-01-12 | 2024-04-11 | 奧圖碼股份有限公司 | 顯示器、控制顯示器的方法以及顯示系統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243203A1 (en) * | 2014-02-25 | 2015-08-27 | Lg Display Co., Ltd. | Display Having Selective Portions Driven with Adjustable Refresh Rat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US20160274690A1 (en) * | 2012-04-03 | 2016-09-22 | Apple Inc. | Electronic Devices With Adaptive Frame Rate Displays |
US20180286356A1 (en) * | 2017-03-29 | 2018-10-04 | Intel Corporation | History-aware selective pixel shifting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617006B2 (en) * | 1988-09-29 | 1991-11-14 | Canon Kabushiki Kaisha | Data processing system and apparatus |
JP4172409B2 (ja) * | 2003-06-13 | 2008-10-29 | ソニー株式会社 | 画像表示制御装置、画像表示制御方法 |
US8194189B2 (en) * | 2006-01-06 | 2012-06-05 | Thomson Licensing |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displays from burn-in effect |
JP2008178075A (ja) * | 2006-12-18 | 2008-07-31 | Sony Corp |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KR102315687B1 (ko) * | 2014-04-02 | 2021-10-2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US9952642B2 (en) * | 2014-09-29 | 2018-04-24 | Apple Inc. | Content dependent display variable refresh rate |
JP5941568B1 (ja) * | 2015-02-16 | 2016-06-29 | ヤフー株式会社 |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配信装置および配信方法 |
KR102320207B1 (ko) | 2015-05-06 | 2021-11-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
US10079000B2 (en) * | 2015-08-12 | 2018-09-18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Reducing display degradation |
KR102345664B1 (ko) | 2017-07-04 | 2022-01-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
KR102400350B1 (ko) | 2017-09-19 | 2022-05-2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
US11043183B2 (en) * | 2019-05-23 | 2021-06-22 | Dell Products, L.P. | Mitigation of screen burn-in for a foldable IHS |
KR102699657B1 (ko) | 2019-07-26 | 2024-08-2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KR102629873B1 (ko) | 2019-07-26 | 2024-01-3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
2019
- 2019-07-29 KR KR1020190091941A patent/KR10267377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3-26 US US16/831,033 patent/US11289047B2/en active Active
- 2020-07-24 CN CN202010722938.XA patent/CN112309302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274690A1 (en) * | 2012-04-03 | 2016-09-22 | Apple Inc. | Electronic Devices With Adaptive Frame Rate Displays |
US20150243203A1 (en) * | 2014-02-25 | 2015-08-27 | Lg Display Co., Ltd. | Display Having Selective Portions Driven with Adjustable Refresh Rat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US20180286356A1 (en) * | 2017-03-29 | 2018-10-04 | Intel Corporation | History-aware selective pixel shift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4260A (ko) | 2021-02-09 |
US20210035524A1 (en) | 2021-02-04 |
US11289047B2 (en) | 2022-03-29 |
CN112309302A (zh) | 2021-0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73772B1 (ko) |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
CN110914891B (zh) | 显示基板及其驱动方法和显示装置 | |
US10706785B2 (en) | Rollabl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US9280950B2 (en) | Display device,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
US9153204B2 (en) | Display device | |
JP5180739B2 (ja) | バックライト装置 | |
JP2008096549A (ja) | カラー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半透過液晶表示装置 | |
JP2004529396A (ja) | カラーディスプレイ用の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KR20160130027A (ko) |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 |
US10475366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 |
KR102582841B1 (ko) | 표시 장치 | |
KR102602140B1 (ko) |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 방법 | |
US20210134926A1 (en) | Display device | |
CN115424584B (zh) | 显示驱动电路、显示屏的刷新方法、显示模组及电子设备 | |
US11670249B2 (en) | Method of controlling backlight of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determining a demanded luminance value for backlight blocks | |
JP2011075825A (ja) | 画像表示装置 | |
KR102555400B1 (ko) |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 |
KR20150029362A (ko)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 |
JP5029115B2 (ja) |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 |
US20090262064A1 (en) | Lcd and backlight module driv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 |
JP4457646B2 (ja) | 表示装置 | |
KR102701061B1 (ko) |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
JP2010191188A (ja) | バックライト、その制御方法、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 |
JP2009300810A (ja) | 液晶表示装置 | |
WO2012165234A1 (ja) |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