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9592B1 -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9592B1 KR102679592B1 KR1020210096120A KR20210096120A KR102679592B1 KR 102679592 B1 KR102679592 B1 KR 102679592B1 KR 1020210096120 A KR1020210096120 A KR 1020210096120A KR 20210096120 A KR20210096120 A KR 20210096120A KR 102679592 B1 KR102679592 B1 KR 1026795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ic field
- field generator
- probe
- backrest
- seat
- Prior art date
Links
- 206010046543 Urinary incontinence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1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8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0
- 210000003903 pelvic floo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4087 circ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489 abdominal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5070 sphincter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708 urethr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215 vagin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436 anu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619 diaphragma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95 fasci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872 soft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0196 Urinary abnormaliti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67 acupunc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08 connective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96 correl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872 defe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71 external anal sphinct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92 genital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92 ili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29 large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41 lig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05 lumbosacral regi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220 muscl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87 myotubu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148 non-surgical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89 pubic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027 skeletal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13 small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329 smooth muscle my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41232 sneez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35 viscer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47 volun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1542 voluntary musculoskeletal m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요실금 치료에 영향을 주는 환자의 서로 다른 근육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복수의 자기장 발생부, 복수의 자기장 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자기장 발생부와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요실금에 영향을 주는 주요 근육들을 동시에 자극함으로써 요실금의 증상을 개선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에 관한 골반저근을 포함한 내전근 또는 복횡근에 추가로 자기장에 의한 자극을 주는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요실금은 본인의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즉, 본인도 알지 못한 채 소변이 유출되는 것으로 사회적 활동이나 위생상의 문제를 유발하는 배뇨 이상 증상이다.
요실금은 주로 수술로 치료하였으나 합병증을 유발하는 문제점 등이 있어 근래에 비수술 치료 방법을 통해 주료 치료되고 있고, 증상이 심한 소수의 환자만이 수술에 의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요실금을 치료하기 위한 비수술적 방법으로는 골반저근운동(케겔운동), 바이오 피드백, 전기 자극요법, 자기장 자극 요법 등이 있다.
골반저근운동(케겔운동)은 가장 기본적이고 전통적인 방법으로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치료법이나 골반전근운동을 환자가 정확하기 수행하기 어려워 치료 효과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
바이오피드백은 올바른 골반저근운동을 할 수 있는 방법이고 골반저근운동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나 옷을 벗고 질 내에 프로브를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전기 자극요법은 전류를 흘려 골반근육을 수축시키는 수동적인 골반저근운동방법으로 골반저근운동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나 옷을 벗고 질 내에 프로브를 넣는 불편함이 있다.
자기장 자극요법은 전기자극과 같은 원리이며 감각신경보다 운동신경에 효과적인 전류가 작용하고 전기자극의 문제점을 보완한 것으로 비 수술방법 중 효과적이며 가장 비 침습적 요실금 치료방법이다.
그러나, 종래의 자기장 자극요법은 통상적으로 하나의 자기장 프로브를 구비하여 골반저근에 한하여 자기장으로 자극을 주는 방식으로 치료 효과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자기장 프로브를 이용하여 요실금에 영향을 주는 주요 근육들을 자극하는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기장 프로브에서 자극을 복합적으로 인가하는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요실금에 영향을 주는 주요 근육들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각 자기장 프로브의 위치를 환자의 근육 또는 자세에 맞게 조절하는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는 환자의 요실금 치료에 영향을 주는 환자의 서로 다른 근육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복수의 자기장 발생부, 복수의 자기장 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자기장 발생부와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환자의 골반저근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제1자기장 발생부 및 환자의 내전근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제2자기장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환자의 복횡근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제3자기장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자극 부위와 자극 순서로 따라 요실금을 치료하는 작동 모드부 및 환자 또는 시술자가 자극 부위와 자극 순서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모드부는 기설정된 자극 부위와 기설정된 자극 부위를 기설정된 순서로 작동시키는 복수의 작동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모드는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 상기 제3자기장 발생부를 임의의 순서로 순환되게 작동시키되, 각각 개별적으로만 작동되게 하는 순환 작동 모드,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 상기 제3자기장 발생부 중 적어도 2개를 복합적으로 작동시켜 복합 자극을 인가하되, 서로 다른 복합 자극이 순환되도록 하는 복합 자극 순환 모드 및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 상기 제3자기장 발생부를 임의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순차 자극 작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 상기 제3자기장 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자극 패턴을 가지는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와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가 위치되고,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와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가 위치되고,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의 후측에 세워져 환자의 등을 지지하며 상기 제3자기장 발생부가 위치되는 등받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등받이부의 양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암부재와 제2암부재, 상기 제1암부재의 단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3자기장 발생부가 위치되는 제1복횡근 커버판부재, 상기 제1암부재의 단부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3자기장 발생부가 장착되며 옆구리와 연결된 복횡근을 덮도록 위치되는 제1복횡근 커버판부재, 및 상기 제2암부재의 단부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3자기장 발생부가 장착되며 옆구리와 연결된 복횡근을 덮도록 위치되는 제2복횡근 커버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복횡근 커버판부재와 상기 제2복횡근 커버판부재를 상기 등받이부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복횡근 커버판부재와 상기 제2복횡근 커버판부재의 사이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절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등받이부의 양 측에는 상기 제1암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 암부재와 상기 제2암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 암부재가 위치되며, 상기 간격 조절 이동부는 상기 제1연결 암부재와 상기 제2연결 암부재에 각각 나사 결합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이동 스크류부 및 상기 이동 스크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시트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의 제1자기장 프로브를 이동시키는 제1프로브 이동부 및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의 제2자기장 프로브를 이동시키는 제2프로브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프로브 이동부는 상기 제1자기장 프로브가 장착되고, 장착된 상기 제1자기장 프로브를 X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제1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 및 상기 제1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를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1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프로브 이동부는 상기 제2자기장 프로브가 장착되고, 장착된 상기 제2자기장 프로브를 X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제2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 및 상기 제2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를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2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시트부에 이격되게 위치되어 환자가 앉을 때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시트 압력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시트 압력 감지 센서로부터 각각 압력값을 전달받아 앉은 환자의 체형과 자세를 확인하고, 상기 제1프로브 이동부, 상기 제2프로브 이동부를 통해 환자의 체형과 자세에 따라 상기 제1자기장 프로브, 상기 제2자기장 프로브를 각각 요실금의 치료를 위한 골반저근, 내전근에 마주보게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시트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의 제1자기장 프로브를 이동시키는 제1프로브 이동부,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의 제2자기장 프로브를 이동시키는 제2프로브 이동부 및 상기 제3자기장 발생부의 제3자기장 프로브를 이동시키는 제3프로브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프로브 이동부는 상기 제1자기장 프로브가 장착되고, 장착된 상기 제1자기장 프로브를 X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제1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 및 상기 제1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를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1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프로브 이동부는 상기 제2자기장 프로브가 장착되고, 장착된 상기 제2자기장 프로브를 X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제2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 및 상기 제2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를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2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프로브 이동부는 상기 제3자기장 프로브가 장착되고, 장착된 상기 제3자기장 프로브를 X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제3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 및 상기 제3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를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3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시트부에 이격되게 위치되어 환자가 앉을 때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시트 압력 감지 센서 및 상기 등받이부에 이격되게 위치되어 환자가 등받이부에 기댈 때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등받이 압력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트 압력 감지 센서와 상기 등받이 압력 감지 센서로부터 각각 압력값을 전달받아 앉은 환자의 체형과 자세를 확인하고, 상기 제1프로브 이동부, 상기 제2프로브 이동부, 상기 제3프로브 이동부를 통해 환자의 체형과 자세에 따라 상기 제1자기장 프로브, 상기 제2자기장 프로브, 상기 제3자기장 프로브를 환자의 골반저근, 내전근, 복횡근에 마주보게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와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가 위치되는 시트 케이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케이싱부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는 시트 본체 케이싱부재, 상기 시트 본체 케이싱부재의 개방된 상부를 덮개하는 시트 케이싱용 덮개부재 및 상기 시트 케이싱용 덮개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시트 덮개용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덮개용 탄성 지지부는 상기 시트 케이싱용 덮개부재의 하부 측으로 돌출되어 시트 본체 케이싱부재의 측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시트 덮개용 이동부재 및 상기 시트 본체 케이싱부재의 측면부 내에 위치되어 상기 시트 덮개용 이동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시트 덮개용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 덮개용 이동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시트 케이싱용 덮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조인트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제3자기장 발생부가 위치되는 등받이 케이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케이싱부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는 등받이 본체 케이싱부재, 상기 등받이 본체 케이싱부재의 개방된 상부를 덮개하는 등받이 케이싱용 덮개부재 및 상기 등받이 케이싱용 덮개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등받이 덮개용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 덮개용 탄성 지지부는 상기 등받이 케이싱용 덮개부재의 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등받이 본체 케이싱부재의 측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등받이 덮개용 이동부재 및 상기 등받이 본체 케이싱부재의 측면부 내에 위치되어 상기 등받이 덮개용 이동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등받이 덮개용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 덮개용 이동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등받이 케이싱용 덮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조인트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자기장 프로브를 이용하여 요실금에 영향을 주는 주요 근육들을 동시에 자극함으로써 요실금의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자기장 프로브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및 자극의 형태를 합성하거나 서로 다른 주파수를 생성하는 복수의 프로브를 통해 발생되는 간섭파를 이용하여 요실금의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근육에 자기장 자극을 인가하는 각 자기장 프로브의 위치를 환자의 근육 또는 자세에 맞게 조절하여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자극 패턴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간격 조절 이동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브 이동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시트부를 예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등받이부를 예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자극 패턴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간격 조절 이동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브 이동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시트부를 예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등받이부를 예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는 요실금에 영향을 주는 서로 다른 근육에 각각 자기장을 인가하는 복수의 자기장 발생부(100)를 포함한다.
복수의 자기장 발생부(100)는 환자의 요실금 치료에 영향을 주는 서로 다른 근육에 각각 자기장을 인가하도록 위치된다.
복수의 자기장 발생부(100)는 환자의 골반저근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 환자의 내전근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제2자기장 발생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복수의 자기장 발생부(100)는 복횡근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제3자기장 발생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골반저근은 골반 밑 부분에 걸쳐있는 두덩꼬리근,항문거근(levator ani), 엉덩이 근육 (coccygeus muscle) 및 관련 결합 조직의 근육 섬유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내전근은 허벅지의 안쪽에 위치되는 근육이고, 복횡근은 배의 양옆에서 세 번째 층을 이루며 가로놓여 있는 넓은 근육이다.
즉, 환자의 요실금 치료에 영향을 주는 제1근육은 골반저근인 것을 일 예로 하고, 환자의 요실금 치료에 영향을 주는 제2근육은 내전근이고, 환자의 요실금 치료에 영향을 주는 제3근육은 복횡근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더 상세하게 요실금에 영향을 주는 근육에는 골반저근(Pelvic Floor Muscle:PFM), 내전근, 복횡근이 있다.
골반저근은 이 코어근육의 하나로서 골반의 바닥에 위치한다. 골반의 영문인 pelvis는 세수대야를 어원으로 삼고 있는데 골반이 내장을 담는 세수대야와 같다고 보면 된다. 여기서 세수대야의 바닥면이 골반저근에 해당한다.
이 골반저근으로 인해 장기는 중력에 의해서 밑으로 내려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골반저근은 대소변을 볼 때 작용하는 근육으로 요실금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근육이다.
골반저근은 두개의 장골과 천골의 밑부분에 있는 근육으로 앞에는 질, 뒤에는 항문이 있다.
골반저근 부분은 내골반근막(endopelvic)과 골반가로막(pelvic diaphragm), 비뇨생식가로막(urogenital diaphragm)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최세종, 2009).
골반저근의 이 세부분 중 내골반근막은 평활근 섬유와 인대, 신경, 혈관과 연부 조직이 서로 그물처럼 요두구, 좌골해면체근, 질입구, 좌골결절, 항문괄약근, 미골이 얽혀있어 수의적인 운동을 할 수 없어 근육강화 운동을 할 수 없으며, 골반가로막은 하요도 삼각 부위에 있는 근육층으로 골반 장기들을 지지 하는 역할을 하며 , 음부 신경의 지배를 받고 기침과 재채기를 할 경우 억제를 유지하기 위해 재빨리 수축한다.
비뇨생식가로막은 요도 주위에 항문요도 고리(sphincter urethra loops)를 형성하여 배변자제를 할 수 있게 하고 수의적 조절이 가능하여 운동을 통해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최세종, 2009).
또한, 내전근은 모음근이라고도 한다. 내전근은 대퇴의 내측에 있으며 대퇴골과 고관절의 내전(內轉)4)을 담당하는 단내전근(adductor brevis), 장내전근(adductor longus), 그리고 대내전근(adductor magnus)으로 구성된다.〔그림 2〕내전근의 해부학적 형태에서 보듯이 내전근의 3가지 근육들은 해부학적으로 모두 치골 등의 골반에서 시작되어 대퇴골의 내측 또는 후면부에 연결되어 있다. 윤재량·이미숙·이문진 등(2010)이 한국운동재활학회지에 발표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내전근의 해부학적 위치는 곧 내전근이 괄약근 등의 골반저근의 수축력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나성훈·천길영·윤용발·이철원 등(2010)이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여 주간 4 ‘어덕터(adductor)’운동을 시행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중년 여성의 하지 내전근력 강화 운동이 질 수축압에 영향을 미쳐 요실금이 개선될 수 있다고 하였다.
또, Peschers, U. M., Gingelmaier, A.,Jundt, K., Leib, B., Dimpfl, T. 등(2001)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여성들은 골반저근을 수축할 때 내전근을 사용한다. 이와같은 많은 선행 연구 결과를 볼 때, 내전근은 요실금에 매우 밀접한 영향을 주는 근육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요실금 증상의 개선을 위해서는 내전근 강화가 필요하다.
복횡근은 배가로근이라고도 하며, 복부근들 중 가장 심부에 위치하여 만져볼 수 없고 유일하게 평행으로 배열(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부근이다(정진우, 2014). 복횡근은 사람의 위, 소장, 대장 등과 (단내전근) (장내전근), (대내전근), 대내전근, 단내전근, 장내전근, 대내전근 같은 장기를 코르셋처럼 둘러싸고 있으며 복부 내의 공간 크기를 결정하고 요추부의 안정성과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Hodges, P. W. & Gandervia, S. C., 2000). 복횡근의 일차적 기능은 체간(體幹)을 회전시키는 일이지만 내부의 복압을 상승시켜 분절단위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또한 체간의 부적절한 움직임을 잡아서 필요한 동작만 일어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복횡근은 팔과 다리를 움직여도 심부에서 가장 먼저 수축하는 근육이다.
복횡근의 기능이 골반저근과 연관이 있고 결과적으로 요실금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는 많이 이루어졌다. Isacowitz, R.(2006)은 신체의 근육들은 복잡하게 얽혀있어서 복횡근이 수축하면 골반저근도 함께 수축하게 된다고 하였으며, Sapsford, R. R., Hodges, P. W., Richardson, C. A., Cooprer, D. H., Markwell, S. J., Jull, G. A.(2001)등은 골반저근을 수축시켰을 때 요추의 자세와 관계없이 복횡근이 가장 많이 활성화되었으며 반대로 복근에 대한 여러 가지 등척성 수축 시험 결과 치골미골과 외항문 괄약근의 근전도 활성화가 증대되었다고 발표하였다.
Neumann, P., Gill, V.(2002)은 골반저근과 복근의 활성도를 근전도로 검사하여 두 근육을 동시 수축시키는 간접적 근육 강화 운동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Dumoulin, C., Lemieux, M. C., Bourbonnais, D., Gravel, D.,Bravo, C., Morin, M.(2004) 등은 복근운동을 동시에 하는 골반저근 운동방법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Hung, H. C., Hslao, S. M. Chif, S. Y., Lin, H. H., Tsauo, J. Y.(2010) 등은 요실금 개선 방법으로 횡격막과 심부근, 골반저근이 결합된 기능을 훈련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Bo, K., Morkved, S., Frawley, H., Sherbum, M.(2009) 등은 골반저근과 복횡근을 병용한 근육강화 방법이 요실금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즉, 골반저근(Pelvic Floor Muscle:PFM), 내전근, 복횡근은 요실금의 치료에 관련된 주요 근육들임을 여러 연구의 결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자기장 발생부(110)는 환자의 골반저근에 자기장을 인가하도록 위치되고, 제2자기장 발생부(120)는 환자의 내전근에 자기장을 인가하도록 위치되고, 제3자기장 발생부(130)는 환자의 복횡근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 즉, 복수의 자기장 발생부(100)는 각각 자기장을 인가하는 전극 즉, 자기장 프로브를 포함하고, 자기장 프로브는 전원부(30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흐르는 전류를 통해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의 주파수 값을 가지는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자기장 프로브는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전류가 흘러 주파수값을 갖는 펄스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펄스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공지의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복수의 자기장 발생부(100) 즉,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는 제어부(2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그리고, 제어부(200)와 복수의 자기장 발생부(100)는 전원부(30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는 각각 전원부(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고, 제어부(2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어 각각 개별적으로 펄스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자기장 발생부(100)와 제어부(200)로 공급되는 충전전압을 생성하는 복수의 충전 전압 생성부와 복수의 자기장 발생부(100)와 제어부(200)로 공급되는 충전전압을 피드백하는 복수의 충전 전압 피드백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자기장 제어부(210), 제2자기장 발생부(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자기장 제어부(220), 제3자기장 발생부(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3자기장 제어부(230), 제1자기장 제어부(210), 제2자기장 제어부(220)와 제3자기장 제어부(230)의 작동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240), 환자가 치료 정보를 입력하고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250),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60)를 포함한다.
즉, 제어부(200)는 복수의 자기장 발생부(100)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자기장 제어부(210, 220, 230)를 구비하고, 복수의 자기장 제어부(210, 220, 230)를 통합하여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240), 환자가 치료 정보를 입력하고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250),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60)를 포함한다.
또한, 더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와 제어부(200)에 전원부(300)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전압을 생성하는 제1충전 전압 생성부(310)와 제1자기장 발생부(110)와 제어부(200)로 공급되는 충전전압을 피드백하는 제1충전 전압 피드백부(320), 제2자기장 발생부(120)와 제어부(200)에 전원부(300)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전압을 생성하는 제2충전 전압 생성부(330)와 제2자기장 발생부(120)와 제어부(200)로 공급되는 충전전압을 피드백하는 제2충전 전압 피드백부(340), 제3자기장 발생부(130)와 제어부(200)에 전원부(300)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전압을 생성하는 제3충전 전압 생성부(350)와 제3자기장 발생부(130)와 제어부(200)로 공급되는 충전전압을 피드백하는 제3충전 전압 피드백부(360)를 더 포함한다.
제1자기장 발생부(110)와 제1자기장 제어부(210)는 제1충전 전압 생성부(310)와 제1충전 전압 피드백부(32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고, 제1자기장 발생부(110)는 제1자기장 제어부(21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2자기장 발생부(120)와 제2자기장 제어부(220)는 제2충전 전압 생성부(330)와 제2충전 전압 피드백부(34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고, 제2자기장 발생부(120)는 제2자기장 제어부(22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3자기장 발생부(130)와 제3자기장 제어부(230)는 제3충전 전압 생성부(350)와 제3충전 전압 피드백부(36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고, 제3자기장 발생부(130)는 제3자기장 제어부(23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0)는 기설정된 자극 부위와 자극 순서로 따라 기설정된 순서로 작동시키는 작동 모드부, 환자가 자극 부위와 자극 순서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모드부를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부(250)를 통해 작동 모드부와 사용자 모드부를 선택해서 작동시킬 수 있다.
작동 모드부는 기설정된 자극 부위와 기설정된 자극 부위를 기설정된 순서로 작동시키는 복수의 작동 모드를 포함하고, 환자는 복수의 작동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작동 모드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를 임의의 순서로 순환되게 작동시키되, 각각 개별적으로만 작동되게 하는 순환 작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작동 모드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고, 이를 순환되게 작동시키는 제1순환 작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순환 작동 모드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 후 정지하고, 제1자기장 발생부(110)가 정지된 후 제2자기장 발생부(12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 후 정지하고, 제2자기장 발생부(120)가 정지된 후 제3자기장 발생부(13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 후 정지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즉, 제1순환 작동 모드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되, 제3자기장 발생부(130)의 작동 후 다시 제1자기장 발생부(110)부터 제3자기장 발생부(130)까지 차례로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가 순차적으로 순환 작동되게 하고, 이로써 골반저근, 내전근, 복횡근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순환되어 자극이 발생되게 된다. .
또한, 작동 모드는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3자기장 발생부(13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고, 이를 순환되게 작동시키는 제2순환 작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순환 작동 모드는 제2자기장 발생부(12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 후 정지하고, 제2자기장 발생부(120)가 정지된 후 제1자기장 발생부(11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 후 정지하고, 제1자기장 발생부(110)가 정지된 후 제3자기장 발생부(13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 후 정지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즉, 순환 작동 모드는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3자기장 발생부(13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되, 제3자기장 발생부(130)의 작동 후 다시 제2자기장 발생부(120)부터 제3자기장 발생부(130)까지 차례로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가 순차적으로 순환 작동되게 하고, 이로써 내전근 골반저근, 복횡근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순환되어 자극이 발생되게 된다.
또한, 작동 모드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 중 적어도 2개를 복합적으로 작동시켜 복합 자극을 인가하되, 서로 다른 복합 자극이 순환되도록 하는 복합 자극 순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작동 모드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와 제2자기장 발생부(120)를 동시에 작동시킨 후 제1자기장발생부와 제3자기장 발생부(130)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것을 순환 작동시키는 제1복합 자극 순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복합 자극 순환 모드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와 제2자기장 발생부(12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 후 정지하고, 제1자기장발생부와 제3자기장 발생부(13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 후 정지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제1복합 자극 순환 모드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와 제2자기장 발생부(120)를 동시에 작동시켜 골반저근과 내전근에 동시에 자극을 준 후 제1자기장 발생부(110)와 제3자기장 발생부(130)를 동시에 작동시켜 골반저근과 복횡근에 동시에 자극을 주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작동 모드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를 작동시킨 후 제2자기장발생부와 제3자기장 발생부(130)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것을 순환 작동시키는 제2복합 자극 순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복합 자극 순환 모드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 후 정지하고, 제2자기장발생부와 제3자기장 발생부(13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 후 정지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제2복합 자극 순환 모드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를 작동시켜 골반저근에 자극을 준 후 제2자기장 발생부(120)와 제3자기장 발생부(130)를 동시에 작동시켜 내전근과 복횡근에 동시에 자극을 주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작동 모드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를 동시에 작동시킨 후 정지하는 것을 반복하는 제3복합 자극 순환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복합 자극 순환 순환 모드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를 동시에 기설정시간 동안 작동시킨 후 정지하는 것을 반복하여 골반저근, 내전근, 복횡근에 기설정된 시간동안 동시에 자극을 주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에서 치료 초기에는 순환 작동 모드로 골반저근, 내전근, 복횡근에 각각 개별적으로 자극을 주어 환자가 치료 초기에 각 치료 부위에 대한 자극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복합 자극 순환 모드는 순환 작동 모드에 환자가 익숙해진 후 선택되어 복수의 근육에 동시에 자극을 주어 요실금의 증상을 개선한다.
더 상세하게 치료 초기에 순환 작동 모드로 환자가 골반저근, 내전근, 복횡근에 대한 자극에 익숙하게 한 후 치료 중기에 복합 제1복합 자극 순환 모드 또는 제2복합 자극 순환 모드로 적어도 2개의 근육에 복합적으로 자극을 주어 적응시킨 후 치료 말기에 제3복합 자극 순환 모드로 3개의 근육 즉, 골반저근, 내전근, 복횡근에 기설정된 시간동안 동시에 자극을 주어 요실금의 증상을 개선한다.
한편, 작동 모드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를 임의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순차 자극 작동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순차 자극 작동 모드는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3자기장 발생부(130),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의 순서로 작동시키는 제1순차 자극 작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순차 작동 모드는 제2자기장 발생부(12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 후 정지하고, 제2자기장 발생부(120)가 정지된 후 제1자기장 발생부(11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 후 정지하고, 제1자기장 발생부(110)가 정지된 후 제3자기장 발생부(13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 후 정지하고, 제3자기장 발생부(130)가 정지된 후 제1자기장 발생부(11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 후 정지하고, 제1자기장 발생부(110)가 정지된 후 제2자기장 발생부(12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 후 정지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즉, 제1순차 작동 모드는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3자기장 발생부(130),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의 순서로 작동시켜 내전근, 골반저근, 복횡근, 골반저근, 내전근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자극이 발생되게 된다.
또한, 순차 자극 작동 모드는 제3자기장 발생부(130),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3자기장 발생부(130)의 순서로 작동시키는 제2순차 자극 작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순차 작동 모드는 제3자기장 발생부(13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 후 정지하고, 제3자기장 발생부(130)가 정지된 후 제1자기장 발생부(11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 후 정지하고, 제1자기장 발생부(110)가 정지된 후 제2자기장 발생부(12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 후 정지하고, 제2자기장 발생부(120)가 정지된 후 제1자기장 발생부(11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 후 정지하고, 제1자기장 발생부(110)가 정지된 후 제3자기장 발생부(130)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 후 정지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즉, 제2순차 작동 모드는 제3자기장 발생부(130),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3자기장 발생부(130)의 순서로 작동시켜 복횡근, 골반저근, 내전근, 골반저근, 복횡근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자극이 발생되게 된다.
또한, 사용자 모드는 환자 또는 의사 등의 시술자가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의 작동 순서와 작동 시간을 선택하여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 즉, 환자 또는 의사 등의 시술자가 선택한 작동 순서와 작동 시간에 따라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를 각각 작동시킬 수 있어 환자의 증상과 증상의 정도에 따라 환자에게 맞는 개별적인 시술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에서 이용되는 자기장 발생부의 자극 패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의 (a)는 계단식 자극 패턴을 예시한 그래프이고, 도 2의 (b)는 사다리꼴 자극 패턴을 예시한 그래프이고, 도 2의 (c)는 시간 대비 주파수와 강도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는 제1직각 삼각형 자극 패턴을 예시한 그래프이고, 도 2의 (d)는 시간 대비 주파수와 강도의 크기가 점차 커지는 제2직각 삼각형 자극 패턴을 예시한 그래프이고, 도 2의 (e)는 파형 자극 패턴을 예시한 그래프이다.
더 상세하게 계단식 자극 패턴은 시간 대비 주파수와 강도의 크기가 계단식으로 점차 커진 후 다시 계단식으로 점차 작아지는 자극 패턴이다.
또한, 사다리꼴 자극 패턴은 시간 대비 주파수와 강도의 크기가 점차 커진 후 주파수와 강도의 크기가 일정시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된 후 주파수와 강도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는 자극 패턴이다.
또한, 제1직각 삼각형 자극 패턴은 최초 시작 지점에서 최고 주파수와 최고 강도를 가지고 시간이 흐르면서 주파수와 강도의 크기가 점차 작아져 주파수와 강도가 0이 되는 자극 패턴이다.
또한, 제2직각 삼각형 자극 패턴은 최초 시작 지점에서 주파수와 강도가 0에서 최초 시작되고, 시간이 흐르면서 주파수와 강도의 크기가 점차 커져 기설정된 최종 지점에서 주파수와 강도가 기설정된 최대 크기를 가지는 자극 패턴이다.
또한, 파형 자극 패턴은 주파수와 강도의 크기가 파형을 형성하는 자극 패턴이다.
자극 패턴은 상기한 바와 같이 주파수 자극 패턴과 강도 자극 패턴으로 구분되고, 제어부(200), 즉, 제1자기장 제어부(210), 제2자기장 제어부(220)와 제3자기장 제어부(230)는 각각 제어되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자극 패턴을 주파수 자극 패턴과 강도 자극 패턴으로 구분하여 복합 자극 패턴을 발생시킴으로써 요실금의 증상을 개선한다.
즉,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머지 2개와 다른 자극 패턴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키되, 주파수 자극 패턴과 강도 자극 패턴으로 구분하여 발생시킬 수 있고,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가 모두 다른 자극 패턴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키되 주파수 자극 패턴과 강도 자극 패턴으로 구분하여 모두 다른 자극 패턴으로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는 주파수 자극 패턴을 서로 동일한 자극 패턴 즉, 계단식 자극 패턴으로 형성하고, 강도 자극 패턴을 서로 다른 자극 패턴 즉, 사다리꼴 자극 패턴, 제1직각 삼각형 자극 패턴, 파형 자극 패턴으로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는 주파수 자극 패턴을 서로 다른 자극 패턴 즉, 계단식 자극 패턴, 사다리꼴 자극 패턴, 파형 자극 패턴으로 발생시킬 수 있고, 강도 자극 패턴을 서로 동일한 자극 패턴 즉, 제2직각 삼각형 자극 패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계단식 자극 패턴, 사다리꼴 자극 패턴, 직각 삼각형 자극 패턴, 파형 패턴을 주파수 자극 패턴과 강도 자극 패턴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2개가 복합되도록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는 계단식 자극 패턴, 사다리꼴 자극 패턴, 직각 삼각형 자극 패턴, 파형 패턴 중 적어도 2개의 자극 패턴이 복합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되, 주파수 자극 패턴과 강도 자극 패턴으로 구분하여 적어도 2개의 자극 패턴이 복합되는 자기장이 복합되는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요실금의 증상을 개선한다.
한편, 제어부(200)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로 서로 다른 주파수값을 가지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되, 자기장으로 자극되는 해당 근육에 적합한 주파수 범위 내의 주파수값(일 예로 10Hz 또는 50HZ)을 발생시킨다.
즉, 제어부(200)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에 의해 자극을 받는 해당 근육에서 요실금의 증상 개선에 적합한 주파수 범위 내의 주파수값을 각 자기장 프로브에서 발생될 수 있도록 각 자기장 프로브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에서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값을 가지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되, 간섭파가 발생될 수 있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자기장을 발생시켜 간섭파를 통해 요실금의 증상을 개선한다.
간섭파는 통증 완화, 신경밸런스 효과, 혈류증가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고, 간섭파 치료는 중주파의 높은 체내 침부성과 저주파의 효과적인 조직 자극의 이점을 동시에 살린 치료으로써 통증 완화, 부종과 염증 감소, 근 수축 촉진, 뼈와 연부조직의 치유 촉진등의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와 제2자기장 발생부(120)가 위치되고,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부(400)를 포함한다.
골반저근은 항문의 주면에 위치되는 근육이므로, 제1자기장 발생부(110)는 환자가 앉는 시트부(400)의 중앙부분에 위치되어 골반저근으로 제1자기장을 발생시켜 골반저근에 전기적 자극을 주게 된다.
또한, 환자의 내전근은 대퇴부 즉, 허벅지에 위치된 근육이므로, 제2자기장 발생부(120)는 환자가 앉는 시트부(400)에서 환자의 대퇴부가 안착되는 부분에 위치되어 각각 제2자기장을 발생시켜 내전근에 전기적 자극을 주게 된다.
제2자기장 발생부(120)는 시트부(400)에서 제1자기장 발생부(110)의 앞쪽에서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환자가 시트부(400)에 앉을 때 허벅지가 안착되는 부분에 위치된다.
제2자기장 발생부(120)는 대퇴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자기장 프로브를 포함하여 태퇴부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자기장을 인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는 시트부(400)의 후측에 세워져 환자의 등을 지지하며 제3자기장 발생부(130)가 위치되는 등받이부(500)를 더 포함한다.
등받이부(500)는 시트부(400)의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는 시트부(400)의 하부에 위치되어 시트부(400)의 높이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부(4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트 지지부(401)는 시트부(400)를 승하강시키는 시트 승하강부를 포함하여 시트부(400)의 높이를 환자의 키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시트 승하강부는 시트부(400)를 승하강시켜 환자의 키에 따라 시트부(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압축된 공기로 시트부(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압 실린더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등받이부(500)의 각도 조절 구조와 시트 승하강부의 승하강 구조는 공지의 의자 구조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는 시트부(400) 또는 시트 지지부(40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환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 받침부(4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 받침부(402)는 환자의 발이 올려져 시술 중 환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시트부(400) 또는 시트 지지부(40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환자의 자세 또는 체형에 따라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시트부(400)의 양 측에는 환자의 팔을 거치할 수 있는 팔걸이부가 위치될 수 있다.
등받이부(500)는 양 측단에 각각 환자의 옆구리 측으로 휘어지는 제1라운드부와 제2라운드부가 위치된다.
그리고, 제3자기장 발생부(130)는 제1라운드부 측과 제2라인드부 측에 각각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 프로브가 위치되어 옆구리 측에 위치되는 복횡근에 자기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복횡근은 양 옆구리에서 복부쪽으로 연장되는 위치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는 등받이부(500)의 양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암부재(501)와 제2암부재(502), 제1암부재(501)의 단부 측에 연결되고, 제3자기장 발생부(130)가 장착되며 옆구리와 연결된 복횡근을 덮도록 위치되는 제1복횡근 커버판부재(503), 제2암부재(502)의 단부 측에 연결되고, 제3자기장 발생부(130)가 장착되며 옆구리와 연결된 복횡근을 덮도록 위치되는 제2복횡근 커버판부재(504)를 더 포함한다.
제1복횡근 커버판부재(503)와 제2복횡근 커버판부재(504)는 각각 제1암부재(501)와 제2암부재(502)의 단부 측에 위치되어 제1암부재(501)와 제2암부재(502)의 회전에 의해 환자의 옆구리와 연결된 복부 앞쪽의 복횡근을 덮도록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제1복횡근 커버판부재(503)와 제2복횡근 커버판부재(504)에는 각각 제3자기장 발생부(130)의 자기장 프로브가 각각 위치되어 환자의 옆구리와 연결된 복부 앞쪽의 복횡근으로 가해지는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등받이부(500)의 양 측에는 제1암부재(50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 암부재(505)와 제2암부재(50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 암부재(506)가 위치된다.
제1복횡근 커버판부재(503)와 제2복횡근 커버판부재(504)는 제1암부재(501)와 제2암부재(502)의 회전에 의해 환자의 옆구리와 연결된 복부 앞쪽의 복횡근을 덮도록 각각 위치되어 자기장 프로브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복부 앞쪽의 복횡근에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요실금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는 제1복횡근 커버판부재(503)와 제2복횡근 커버판부재(504)를 등받이부(50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복횡근 커버판부재(503)와 제2복횡근 커버판부재(504)의 사이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절 이동부(5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조절 이동부(507)는 제1연결 암부재(505)와 제2연결 암부재(506)를 각각 개별적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부를 포함하여 제1복횡근 커버판부재(503)와 제2복횡근 커버판부재(504)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직선 이동부는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 액추에이터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랙기어와 랙기어에 맞물려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랙과 피니언 구조체 등 공지의 직선 이동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간격 조절 이동부(507)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를 참고하면 간격 조절 이동부(507)의 일 실시예는 제1연결 암부재(505)와 제2연결 암부재(506)에 각각 나사 결합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이동 스크류부(508), 이동 스크류부(508)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50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스크류부(508)는 제1연결 암부재(505)에 나사 결합되며 등받이부(500)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1스크류(508a), 제2연결 암부재(506)에 나사결합되되 제1스크류(508a)의 나사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며 등받이부(500)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2스크류(508b), 회전모터(509)의 회전력을 제1스크류(508a)와 제2스크류(508b)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는 회전모터(509)의 샤프트에 결합되는 제1베벨 기어(511), 제1스크류(508a)의 일단부 측에 위치되어 제1베벨 기어(511)에 맞물리는 제2베벨 기어(512), 제2스크류(508b)의 타단부 측에 위치되어 제1베벨 기어(511)에 맞물리는 제3베벨 기어(513)를 포함한다.
제1연결 암부재(505)와 제2연결 암부재(506)는 각각 제1이동 스크류와 제2이동 스크류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결합되어 제1이동 스크류와 제2이동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복횡근 커버판부재(503)와 제2복횡근 커버판부재(504)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벌어질 수 있다.
제1연결 암부재(505)는 제1스크류(508a)에 왼나사 방향으로 나사결합되고, 제2연결 암부재(506)는 제2스크류(508b)에 오른나사 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와 반대 방향일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제1복횡근 커버판부재(503)와 제2복횡근 커버판부재(504)는 환자의 체형에 따라 간격 조절 이동부(507)의 작동에 의해 간격이 조절되면서 환자의 옆구리와 연결된 복부 앞쪽의 복횡근을 덮도록 각각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브 이동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시트부(400)에 위치되는 제1프로브 이동부(600)와 제2프로브 이동부(700)를 예시한 것이고, 도 6은 등받이부(500)에 위치되는 제3프로브 이동부(800)를 예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는 시트부(400)에 위치되어 제1자기장 발생부(110)의 제1자기장 프로브를 이동시키는 제1프로브 이동부(600), 제2자기장 발생부(120)의 제2자기장 프로브를 이동시키는 제2프로브 이동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는 제3자기장 발생부(130)의 제3자기장 프로브를 이동시키는 제3프로브 이동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자기장 발생부(110)는 제1자기장 프로브를 통해 제1주파수값을 가지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제2자기장 발생부(120)는 제2자기장 프로브를 통해 제2주파수값을 가지는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제3자기장 발생부(130)는 제3자기장 프로브를 통해 제3주파수값을 가지는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제1주파수값, 제2주파수값, 제3주파수값은 서로 다른 주파수 값을 가지며 제1자기장 프로브, 제2자기장 프로브, 제3자기장 프로브는 서로 다른 주파수값을 가지는 자기장을 통해 간섭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1프로브 이동부(600)는 시트부(400)의 중앙 부분에 위치되어 골반저근을 자극하는 제1자기장 프로브를 이동시킨다.
제2프로브 이동부(700)는 제1프로브 이동부(600)의 양 측에 각각 위치되어 제2자기장 프로브를 이동시킨다.
제3프로브 이동부(800)는 등받이의 양 측에 각각 위치되어 제3자기장 프로브를 이동시킨다.
더 상세하게 제1프로브 이동부(600)는 제1자기장 프로브가 장착되고, 장착된 제1자기장 프로브를 X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제1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610) 및 제1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610)를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1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610)와 제1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620)는 볼스크류 방식의 공지된 리니어 액추에이터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공지의 랙기어와 랙기어에 맞물려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랙과 피니언 구조체 등 공지의 직선 이동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제1프로브 이동부(600)는 제1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610)와 제1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620)를 통해 제1자기장 프로브의 위치를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제1자기장 프로브의 위치를 평면 상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프로브 이동부(700)는 제2자기장 프로브가 장착되고, 장착된 제2자기장 프로브를 X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제2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710)및 제2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710)를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2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710)와 제2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720)는 볼스크류 방식의 공지된 리니어 액추에이터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공지의 랙기어와 랙기어에 맞물려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랙과 피니언 구조체 등 공지의 직선 이동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제2프로브 이동부(700)는 제2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710)와 제2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720)를 통해 제2자기장 프로브의 위치를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제2자기장 프로브의 위치를 평면 상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3프로브 이동부(800)는 제3자기장 프로브가 장착되고, 장착된 제3자기장 프로브를 X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제3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810) 및 제3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810)를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3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810)와 제3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820)는 볼스크류 방식의 공지된 리니어 액추에이터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공지의 랙기어와 랙기어에 맞물려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랙과 피니언 구조체 등 공지의 직선 이동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제3프로브용 이동부는 제3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810)와 제3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820)를 통해 제3자기장 프로브의 위치를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제3자기장 프로브의 위치를 평면 상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3프로브 이동부(800)는 제1복횡근 커버판부재(503)와 제2복횡근 커버판부재(504)에 각각 위치되어 제3자기장 프로브를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환자의 옆구리와 연결된 복부 앞쪽의 복횡근에 자기장을 고르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는 요실금 치료 중 제1프로브 이동부(600), 제2프로브 이동부(700), 제3프로브 이동부(800)를 통해 제1자기장 발생부(110), 제2자기장 발생부(120), 제3자기장 발생부(130)의 각 자기장 프로브를 이동시켜 요실금에 영향을 주는 주요 근육의 전체 부분에 고르게 자기장을 통한 전기적 자극을 주어 요실금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요실금 치료 중 제1자기장 발생부(110)와 제2자기장 발생부(120)는 제1프로브 이동부(600)와 제2프로브 이동부(700)를 통해 치료 중 제1자기장 프로브와 제2자기장 프로브를 이동시켜 골반저근의 전체 부분과 내전근의 전체 부분에 각각 자기장을 고르게 인가하여 요실금의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요실금 치료 중 제3자기장 발생부(130)는 제3프로브 이동부(800)를 통해 제3자기장 프로브를 이동시켜 복횡근의 전체부분에 자기장을 고르게 인가하여 요실금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다시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는 시트부(400)에 이격되게 위치되어 환자가 앉을 때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시트 압력 감지 센서(400a), 등받이부(500)에 이격되게 위치되어 환자가 등받이부(500)에 기댈 때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등받이 압력 감지센서(50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시트 압력 감지 센서(400a)와 등받이 압력 감지센서(500a)로부터 각각 압력값을 전달받아 앉은 환자의 체형과 자세를 확인하고, 제1프로브 이동부(600), 제2프로브 이동부(700), 제3프로브 이동부(800)를 통해 환자의 체형과 자세에 따라 자기장 프로브 즉, 제1자기장 프로브, 제2자기장 프로브, 제3자기장 프로브를 각각 요실금의 치료를 위한 해당 근육 즉, 골반저근, 내전근, 복횡근에 마주보게 위치시킨다.
더 상세하게, 시트 압력 감지 센서(400a)는 시트부(400)에서 환자의 엉덩이 부분이 안착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복수의 제1압력 감지 센서부(400b), 시트부(400)에서 환자의 대퇴부가 안착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복수의 제2압력 감지 센서부(400c)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환자가 시트부(400)에 앉을 때 환자의 체형과 자세에 따라 상이하게 복수의 시트 압력 감지 센서(400a)와 복수의 등받이 압력 감지센서(500a)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값들을 기저장하며 해당 환자의 체형과 자세에서 복수의 자기장 프로브(100)의 각각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한다.
제어부(200)는 환자가 시트부(400)에 앉아 등받이부(500)에 등을 기댈 때 복수의 제1압력 감지 센서부(400b)와 복수의 제2압력 감지 센서부(400c)를 통해 감지된 압력값을 데이터 저장부에 기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 환자의 체형과 자세를 판단한다.
제어부(200)는 환자의 체형과 자세를 판단하여 제1프로브 이동부(600), 제2프로브 이동부(700), 제3프로브 이동부(800)를 통해 환자의 체형과 자세에 따라 자기장 프로브 즉, 제1자기장 프로브, 제2자기장 프로브, 제3자기장 프로브를 각각 골반저근, 내전근, 복횡근에 마주보게 위치시킨 후 이동시키면서 골반저근, 내전근, 복횡근의 전체에 고르게 자기장을 인가하여 요실금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시트부(400)를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등받이부(500)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트부(400)는 제1자기장 발생부(110)와 제2자기장 발생부(120)가 위치되는 시트 케이싱부(410, 420)를 포함하고, 등받이부(500)는 제3자기장 발생부(130)가 위치되는 등받이 케이싱부(510, 520)를 포함한다.
또한, 시트부(4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시트 케이싱부(410, 420)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천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제조되는 시트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5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등받이 케이싱부(510, 520)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천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제조되는 등받이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도시된 시트 커버와 등받이 커버는 공지의 의자에서 시트와 등받이를 감싸는 공지의 커버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시트 케이싱부(410, 420)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는 시트 본체 케이싱부재(410), 시트 본체 케이싱부재(410)의 개방된 상부를 덮개하는 시트 케이싱용 덮개부재(420), 시트 케이싱용 덮개부재(4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시트 덮개용 탄성 지지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 덮개용 탄성 지지부(430)는 시트 케이싱용 덮개부재(420)의 하부 측으로 돌출되어 시트 본체 케이싱부재(410)의 측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시트 덮개용 이동부재(431), 시트 본체 케이싱부재(410)의 측면부 내에 위치되어 시트 덮개용 이동부재(431)를 탄성 지지하는 시트 덮개용 스프링부재(432)를 포함한다.
시트 덮개용 이동부재(431)의 상단부에는 시트 케이싱용 덮개부재(4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조인트부가 위치되어 시트 케이싱용 덮개부재(420)가 환자의 앉는 자세에 따라 자유롭게 기울어지게 위치되면서 시트 덮개용 스프링부재(432)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시트 케이싱부(410, 420)는 시트 케이싱용 덮개부재(420)가 시트 덮개용 탄성 지지부(430)로 탄성 지지되어 환자가 앉을 때 쿠션감을 느끼게 하여 환자가 앉을 때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치료 중 불편함을 최소화한다.
또한, 등받이 케이싱부(510, 520)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제3프로브 이동부(800)가 위치되는 등받이 본체 케이싱부재(520), 등받이 본체 케이싱부재(520)의 개방된 상부를 덮개하는 등받이 케이싱용 덮개부재, 등받이 케이싱용 덮개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등받이 덮개용 탄성 지지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 덮개용 탄성 지지부(540)는 등받이 케이싱용 덮개부재의 후면으로 돌출되어 등받이 본체 케이싱부재(520)의 측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등받이 덮개용 이동부재(541), 등받이 본체 케이싱부재(520)의 측면부 내에 위치되어 등받이 덮개용 이동부재(541)를 탄성 지지하는 등받이 덮개용 스프링부재(542)를 포함한다.
등받이 덮개용 이동부재(541)의 일단부에는 등받이 케이싱용 덮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조인트부가 위치되어 등받이 케이싱용 덮개부재가 환자의 앉아 등을 기대는 자세에 따라 자유롭게 기울어지게 위치되면서 등받이 덮개용 스프링부재(542)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등받이 케이싱부(510, 520)는 등받이 케이싱용 덮개부재(530)가 등받이 덮개용 탄성 지지부(540)로 탄성 지지되어 환자가 앉아 등을 기댈 때 쿠션감을 느끼게 하여 환자가 앉을 때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치료 중 불편함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자기장 프로브를 이용하여 요실금에 영향을 주는 주요 근육들을 동시에 자극함으로써 요실금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자기장 프로브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및 자극의 형태를 합성하거나 서로 다른 주파수를 생성하는 복수의 프로브를 통해 발생되는 간섭파를 이용하여 요실금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근육에 자기장 자극을 인가하는 각 자기장 프로브의 위치를 환자의 근육 또는 자세에 맞게 조절하여 요실금의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자기장 발생부 110 : 제1자기장 발생부
120 : 제2자기장 발생부 130 : 제3자기장 발생부
200 : 제어부 210 : 제1자기장 제어부
220 : 제2자기장 제어부 230 : 제3자기장 제어부
240 : 통합 제어부 250 : 사용자 입력부
260 : 디스플레이부 300 : 전원부
310 : 제1충전 전압 생성부 320 : 제1충전 전압 피드백부
330 : 제2충전 전압 생성부 340 : 제2충전 전압 피드백부
350 : 제3충전 전압 생성부 360 : 제3충전 전압 피드백부
400 : 시트부 400a : 시트 압력 감지 센서
400b : 제1압력 감지 센서부 400c : 제2압력 감지 센서부
401 : 시트 지지부 402 : 발 받침부
410 : 시트 본체 케이싱부재 420 : 시트 케이싱용 덮개부재
430 : 시트 덮개용 탄성 지지부 431 : 시트 덮개용 이동부재
432 : 시트 덮개용 스프링부재 500 : 등받이부
500a : 등받이 압력 감지센서 501 : 제1암부재
502 : 제2암부재 503 : 제1복횡근 커버판부재
504 : 제2복횡근 커버판부재 505 : 제1연결 암부재
506 : 제2연결 암부재 507 : 간격 조절 이동부
508 : 이동 스크류부 508a : 제1스크류
508b : 제2스크류 509 : 회전모터
510 : 동력 전달부 511 : 제1베벨 기어
512 : 제2베벨 기어 513 : 제3베벨 기어
520 : 등받이 본체 케이싱부재 530 : 등받이 케이싱용 덮개부재
540 : 등받이 덮개용 탄성 지지부 541 : 등받이 덮개용 이동부재
542 : 등받이 덮개용 스프링부재 600 : 제1프로브 이동부
610 : 제1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 620 : 제1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
700 : 제2프로브 이동부 710 : 제2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
720 : 제2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 800 : 제3프로브 이동부
810 : 제3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 820 : 제3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
120 : 제2자기장 발생부 130 : 제3자기장 발생부
200 : 제어부 210 : 제1자기장 제어부
220 : 제2자기장 제어부 230 : 제3자기장 제어부
240 : 통합 제어부 250 : 사용자 입력부
260 : 디스플레이부 300 : 전원부
310 : 제1충전 전압 생성부 320 : 제1충전 전압 피드백부
330 : 제2충전 전압 생성부 340 : 제2충전 전압 피드백부
350 : 제3충전 전압 생성부 360 : 제3충전 전압 피드백부
400 : 시트부 400a : 시트 압력 감지 센서
400b : 제1압력 감지 센서부 400c : 제2압력 감지 센서부
401 : 시트 지지부 402 : 발 받침부
410 : 시트 본체 케이싱부재 420 : 시트 케이싱용 덮개부재
430 : 시트 덮개용 탄성 지지부 431 : 시트 덮개용 이동부재
432 : 시트 덮개용 스프링부재 500 : 등받이부
500a : 등받이 압력 감지센서 501 : 제1암부재
502 : 제2암부재 503 : 제1복횡근 커버판부재
504 : 제2복횡근 커버판부재 505 : 제1연결 암부재
506 : 제2연결 암부재 507 : 간격 조절 이동부
508 : 이동 스크류부 508a : 제1스크류
508b : 제2스크류 509 : 회전모터
510 : 동력 전달부 511 : 제1베벨 기어
512 : 제2베벨 기어 513 : 제3베벨 기어
520 : 등받이 본체 케이싱부재 530 : 등받이 케이싱용 덮개부재
540 : 등받이 덮개용 탄성 지지부 541 : 등받이 덮개용 이동부재
542 : 등받이 덮개용 스프링부재 600 : 제1프로브 이동부
610 : 제1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 620 : 제1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
700 : 제2프로브 이동부 710 : 제2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
720 : 제2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 800 : 제3프로브 이동부
810 : 제3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 820 : 제3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
Claims (18)
- 환자의 요실금 치료에 영향을 주는 환자의 서로 다른 근육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복수의 자기장 발생부;
복수의 자기장 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자기장 발생부와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자기장 발생부는 자기장을 인가하는 제1자기장 발생부, 제2자기장 발생부와 제3자기장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와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가 위치되고,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후측에 세워져 환자의 등을 지지하며 상기 제3자기장 발생부가 위치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에 환자의 옆구리를 커버하도록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3자기장 발생부가 각각 위치되는 제1복횡근 커버판부재와 제2복횡근 커버판부재;
상기 등받이부의 양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암부재와 제2암부재; 및
상기 제1복횡근 커버판부재와 상기 제2복횡근 커버판부재를 상기 등받이부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복횡근 커버판부재와 상기 제2복횡근 커버판부재의 사이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절 이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복횡근 커버판부재는 상기 제1암부재의 단부 측에 연결되어 옆구리와 연결된 복횡근을 덮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2복횡근 커버판부재는 상기 제2암부재의 단부 측에 연결되어 옆구리와 연결된 복횡근을 덮도록 위치되고,
상기 등받이부의 양 측에는 상기 제1암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 암부재와 상기 제2암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 암부재가 위치되며,
상기 간격 조절 이동부는,
상기 제1연결 암부재와 상기 제2연결 암부재에 각각 나사 결합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이동 스크류부; 및
상기 이동 스크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는 환자의 골반저근에 자기장을 인가하고,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는 환자의 내전근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자기장 발생부는 환자의 복횡근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자극 부위와 자극 순서로 따라 요실금을 치료하는 작동 모드부; 및
환자 또는 시술자가 자극 부위와 자극 순서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모드부는 기설정된 자극 부위와 기설정된 자극 부위를 기설정된 순서로 작동시키는 복수의 작동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모드는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 상기 제3자기장 발생부를 임의의 순서로 순환되게 작동시키되, 각각 개별적으로만 작동되게 하는 순환 작동 모드;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 상기 제3자기장 발생부 중 적어도 2개를 복합적으로 작동시켜 복합 자극을 인가하되, 서로 다른 복합 자극이 순환되도록 하는 복합 자극 순환 모드; 및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 상기 제3자기장 발생부를 임의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순차 자극 작동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 상기 제3자기장 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자극 패턴을 가지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의 제1자기장 프로브를 이동시키는 제1프로브 이동부; 및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의 제2자기장 프로브를 이동시키는 제2프로브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브 이동부는,
상기 제1자기장 프로브가 장착되고, 장착된 상기 제1자기장 프로브를 X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제1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 및
상기 제1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를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1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프로브 이동부는,
상기 제2자기장 프로브가 장착되고, 장착된 상기 제2자기장 프로브를 X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제2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 및
상기 제2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를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2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에 이격되게 위치되어 환자가 앉을 때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시트 압력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시트 압력 감지 센서로부터 각각 압력값을 전달받아 앉은 환자의 체형과 자세를 확인하고, 상기 제1프로브 이동부, 상기 제2프로브 이동부를 통해 환자의 체형과 자세에 따라 상기 제1자기장 프로브, 상기 제2자기장 프로브를 각각 요실금의 치료를 위한 골반저근, 내전근에 마주보게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의 제1자기장 프로브를 이동시키는 제1프로브 이동부;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의 제2자기장 프로브를 이동시키는 제2프로브 이동부; 및
상기 제3자기장 발생부의 제3자기장 프로브를 이동시키는 제3프로브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브 이동부는,
상기 제1자기장 프로브가 장착되고, 장착된 상기 제1자기장 프로브를 X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제1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 및
상기 제1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를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1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프로브 이동부는,
상기 제2자기장 프로브가 장착되고, 장착된 상기 제2자기장 프로브를 X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제2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 및
상기 제2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를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2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프로브 이동부는 상기 제3자기장 프로브가 장착되고, 장착된 상기 제3자기장 프로브를 X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제3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 및
상기 제3프로브용 X축 직선 이동부를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3프로브용 Y축 직선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에 이격되게 위치되어 환자가 앉을 때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시트 압력 감지 센서; 및
상기 등받이부에 이격되게 위치되어 환자가 등받이부에 기댈 때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등받이 압력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트 압력 감지 센서와 상기 등받이 압력 감지 센서로부터 각각 압력값을 전달받아 앉은 환자의 체형과 자세를 확인하고, 상기 제1프로브 이동부, 상기 제2프로브 이동부, 상기 제3프로브 이동부를 통해 환자의 체형과 자세에 따라 상기 제1자기장 프로브, 상기 제2자기장 프로브, 상기 제3자기장 프로브를 환자의 골반저근, 내전근, 복횡근에 마주보게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와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가 위치되는 시트 케이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케이싱부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는 시트 본체 케이싱부재;
상기 시트 본체 케이싱부재의 개방된 상부를 덮개하는 시트 케이싱용 덮개부재; 및
상기 시트 케이싱용 덮개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시트 덮개용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 덮개용 탄성 지지부는 상기 시트 케이싱용 덮개부재의 하부 측으로 돌출되어 시트 본체 케이싱부재의 측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시트 덮개용 이동부재; 및
상기 시트 본체 케이싱부재의 측면부 내에 위치되어 상기 시트 덮개용 이동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시트 덮개용 스프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덮개용 이동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시트 케이싱용 덮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조인트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제3자기장 발생부가 위치되는 등받이 케이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케이싱부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는 등받이 본체 케이싱부재;
상기 등받이 본체 케이싱부재의 개방된 상부를 덮개하는 등받이 케이싱용 덮개부재; 및
상기 등받이 케이싱용 덮개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등받이 덮개용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 덮개용 탄성 지지부는 상기 등받이 케이싱용 덮개부재의 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등받이 본체 케이싱부재의 측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등받이 덮개용 이동부재; 및
상기 등받이 본체 케이싱부재의 측면부 내에 위치되어 상기 등받이 덮개용 이동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등받이 덮개용 스프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덮개용 이동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등받이 케이싱용 덮개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조인트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8/017,290 US20230293901A1 (en) | 2020-07-23 | 2021-07-23 | Apparatus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using magnetic field |
PCT/KR2021/009526 WO2022019695A1 (ko) | 2020-07-23 | 2021-07-23 | 자기장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1341 | 2020-07-23 | ||
KR20200091341 | 2020-07-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2823A KR20220012823A (ko) | 2022-02-04 |
KR102679592B1 true KR102679592B1 (ko) | 2024-06-28 |
Family
ID=802682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6120A KR102679592B1 (ko) | 2020-07-23 | 2021-07-22 |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 |
KR1020210096163A KR102679593B1 (ko) | 2020-07-23 | 2021-07-22 | 자기장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기기를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6163A KR102679593B1 (ko) | 2020-07-23 | 2021-07-22 | 자기장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기기를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67959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001107A1 (en) | 2016-07-01 | 2018-01-04 | Btl Holdings Limited | Aesthetic method of biological structure treatment by magnetic field |
US11534619B2 (en) | 2016-05-10 | 2022-12-27 | Btl Medical Solutions A.S. | Aesthetic method of biological structure treatment by magnetic field |
EP4066887B1 (en) | 2019-04-11 | 2023-11-01 | BTL Medical Solutions a.s. | Devices for aesthetic treatment of biological structures by radiofrequency and magnetic energy |
US11878167B2 (en) | 2020-05-04 | 2024-01-23 | Btl Healthcare Technologies A.S. |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
WO2023062563A1 (en) | 2021-10-13 | 2023-04-20 | Btl Medical Solutions A.S. | Devices for aesthetic treatment of biological structures by radiofrequency and magnetic energy |
US11896816B2 (en) | 2021-11-03 | 2024-02-13 | Btl Healthcare Technologies A.S. |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a patient |
KR102623507B1 (ko) * | 2023-05-23 | 2024-01-15 | (주)웨버인스트루먼트 | 더블 어플리케이터용 4세대 코어근육 복합치료 자기장 발생장치의 제어방법 |
KR102645086B1 (ko) * | 2023-05-23 | 2024-03-08 | (주)웨버인스트루먼트 | 더블 어플리케이터용 4세대 복합 코어근육 치료 자기장 발생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72687B1 (ko) * | 2016-09-26 | 2017-08-29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생식 기관 자극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KR101901215B1 (ko) * | 2018-04-10 | 2018-09-21 | 전나라 |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1322B1 (ko) * | 2004-05-20 | 2004-10-07 | 햄텍코리아 주식회사 | 운동 마비 회복을 위한 휴대용 전기자극기 |
KR101121636B1 (ko) | 2009-10-12 | 2012-03-09 | 정세용 | 요실금 복합 치료장치 |
KR101428526B1 (ko) * | 2013-10-29 | 2014-08-11 | 김동수 | 자기장 프로브의 구동 궤적 및 패턴 조작이 가능한 베드형 자기장 치료 장치 |
KR102579404B1 (ko) * | 2020-02-20 | 2023-09-14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근골격계 자극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2021
- 2021-07-22 KR KR1020210096120A patent/KR10267959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7-22 KR KR1020210096163A patent/KR1026795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72687B1 (ko) * | 2016-09-26 | 2017-08-29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생식 기관 자극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KR101901215B1 (ko) * | 2018-04-10 | 2018-09-21 | 전나라 | 자기장을 이용한 국소 및 전신 자극 치료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2823A (ko) | 2022-02-04 |
KR102679593B1 (ko) | 2024-06-28 |
KR20220012825A (ko) | 2022-0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79592B1 (ko) | 요실금용 자기장 발생장치 | |
US20230293901A1 (en) | Apparatus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using magnetic field | |
US9149634B2 (en) | Device for strengthening pelvic floor muscl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227749B1 (ko) | 골반저근 강화연습용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 |
US5984854A (en) | Method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and an apparatus therefor | |
EP3508188B1 (en) | Massage apparatus providing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 |
US20140330067A1 (en) | Device for extracorporeal magnetic innervation | |
JP2018064952A (ja) | 失禁を治療又は軽減するための装置 | |
JP5153872B2 (ja) | 喉頭挙上筋リハビリテーションの方法及び装置 | |
US20170120067A1 (en) | High power time varying magnetic field therapy | |
JP5548688B2 (ja) | 排尿障害治療器 | |
CN110856758A (zh) | 能够进行按摩及刺激治疗的医疗辅助装置 | |
KR20220118693A (ko) | 저주파 자극 헬스케어기 | |
JP2010502406A (ja) | 脱出症に関連する状態を治療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
TWI587799B (zh) | A postpartum rehabilitation electrode pants | |
JP2019524412A (ja) | 機能不全又は障害を治療及び改善するために外陰部組織及び骨盤底筋を刺激するための非侵襲的機器、並びにそのために使用されるプローブユニット | |
KR20230168735A (ko) | 자기장 치료용 의자 | |
KR102700626B1 (ko) | 골반저근 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반저근 강화 방법 | |
KR102690308B1 (ko) | 케겔동작 움직임 신호 기반 바이오피드백 능동 훈련 장치 | |
TWM610428U (zh) | 脈衝磁波產生裝置及馬鞍磁波椅 | |
CN116271545A (zh) | 一种基于穴位治疗尿失禁的磁疗裤 | |
AU2011266852B2 (en) | Incontinence treatment | |
KR20230168734A (ko) | 자기장을 이용한 침대형 치료장치 | |
JP2024040009A (ja) | 音声障害用治療装置 | |
AU2011266852A1 (en) | Incontinence treat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