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77672B1 -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7672B1
KR102677672B1 KR1020240015681A KR20240015681A KR102677672B1 KR 102677672 B1 KR102677672 B1 KR 102677672B1 KR 1020240015681 A KR1020240015681 A KR 1020240015681A KR 20240015681 A KR20240015681 A KR 20240015681A KR 102677672 B1 KR102677672 B1 KR 102677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impedance control
magnetic flux
leakage magnetic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15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태
Original Assignee
상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기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15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7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7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7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2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urpose of modifying, or compensating for, electric characteristics of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이미 설치된 변압기의 누설 자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변압기의 외부에 누설 자속의 통과가 용이한 하나 이상의 강자성체를 설치하여 누설 자속량을 제어함으로써, 설치된 변압기를 교체하지 않고 변압기의 임피던스 조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TRANSFORMER IMPEDANC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 설치된 변압기의 누설 자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변압기의 외부에 누설 자속의 통과가 용이한 하나 이상의 강자성체를 설치하여 누설 자속량을 제어함으로써, 설치된 변압기를 교체하지 않고 변압기의 임피던스 조정이 가능한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란 전자유도작용에 의하여 한쪽의 권선에 동일 주파수의 교류전압을 가하면 다른 쪽 권선의 전압을 변환하는 유도기기로서 적어도 2개 이상의 권선들과 한 개 이상의 철심 및 절연물로 구성되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변압기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1을 참조하면, 대부분의 변압기(10)는 단상 및 3상 부하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3상 4선식을 적용하고 있으며, 고정용 구조물(20)을 통해 고정된다.
도2는 일반적인 변압기의 변압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변압기(10)의 코어(11)에 1차측 코일(12)과 2차측 코일(13)을 감고, 1차측 코일(12)에 전압을 공급하면, 1차측 코일(12)과 2차측 코일(13)에 기전력(e1, e2)이 페러데이 법칙에 의해 발생된다.
이때, 1차측 코일(12)의 기전력(e1)은 공급 전압과 반대하는 전압이 되고, 2차측 코일(13)의 기전력(e2)은 변압기 2차측 전압이 된다.
여기서, 페러데이 법칙에 따른 기전력(e)은
Figure 112024012834299-pat00001
이고,
Figure 112024012834299-pat00002
,
Figure 112024012834299-pat00003
이다.
여기서, e1은 1차측 기전력, e2는 2차측 기전력, N1은 1차측 권선수, N2는 2차측 권선수, dφ/dt는 자속의 시간적 변화이다.
또한, 전압을 승압(昇壓)하거나 또는 강압(降壓)하는 변압 작용을 통해 1차측 코일(12)에 의해 만들어진 주자기력선속(14)은 그대로 2차측 코일(13)로 지나가지 않고 일부가 다른 곳으로 새어나가는 누설 자속(Leakage Flux, 15)이 발생되며, 이러한 누설 자속(15)은 리액턴스를 발생시킨다.
한편, 기자력(Magnetomotive force)은 코일(Coil)에 전류가 흐르면 자속(φ)이 발생하는데, 코일의 권선수(N)와 코일을 흐르는 전류(I)의 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자기저항의 크기에 따라 자속의 크기가 결정되며, 코어(Core)의 재질이 자기저항이 큰 재질이면 자속의 흐름상 저항을 받아 자속 발생이 감소하고, 코어의 재질이 자기저항이 작은 재질이면 자속의 흐름이 원활하여 자속 발생이 증가한다.
여기서, 자기저항은 코어의 재질에 따라 가변되는데, 일반적으로 자기저항이 큰 재질은 비자성체,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종이, 공기 등과 같이 자석이 잘 붇지 않는 재질이고, 자기저항이 작은 재질은 강자성체, 예를 들어, 철, 규소 강판 등과 같이 자석이 잘 붙는 재질이다.
누설 자속은 변압기 임피던스 중에서 리액턴스 크기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변압기는 특정 위치에 설치되면, 변압기의 임피던스를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미 설치된 변압기는 이미 제작된 변압기의 권선수를 변경할 수 없어 계통 용량이 증가할 경우, 단락 전류가 증가하여 이에 따른 차단기 교체 등이 요구된다.
또한, 증가된 단락 전류의 대응을 위해 이미 설치된 전기설비를 교체할 경우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하고, 전기설비의 교체에 따른 정전이 불가피하게 발생되며, 교체 작업 시간에 따라 정전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75508호(발명의 명칭: 변압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미 설치된 변압기의 누설 자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변압기의 외부에 누설 자속의 통과가 용이한 하나 이상의 강자성체를 설치하여 누설 자속량을 제어함으로써, 설치된 변압기를 교체하지 않고 변압기의 임피던스 조정이 가능한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로서, 코어, 상기 코어에 권선되는 1차측 코일 및 2차측 코일을 구비한 변압기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변압기에서 발생되는 누설 자속이 통과하도록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변압기의 누설 자속량이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동작함으로써, 상기 누설 자속량의 변동에 기반한 변압기 임피던스를 제어하는 임피던스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제어 모듈은 상기 변압기의 일측에 추가 임피던스 제어 모듈을 적층하여 누설 자속량이 가변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제어 모듈은 상기 변압기에서 발생되는 누설 자속이 통과하도록 경로를 형성하는 임피던스 제어부; 및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가 상기 변압기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제어 모듈은 일측이 변압기를 고정하는 구조물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조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와 조정부가 상기 변압기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 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제어부 및 조정부는 상기 변압기의 용량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제어부 및 조정부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미 설치된 변압기의 누설 자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변압기의 외부에 누설 자속의 통과가 용이한 하나 이상의 강자성체를 설치하여 누설 자속량을 제어함으로써, 설치된 변압기를 교체하지 않고 변압기의 임피던스 조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변압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2는 일반적인 변압기의 변압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도3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5는 도3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6은 도5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흩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한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5는 도3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6은 도5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3 내지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는, 이미 설치된 변압기의 누설 자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변압기의 외부에 누설 자속의 통과가 용이한 하나 이상의 강자성체를 설치하여 누설 자속량을 제어하는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은 코어(210)와, 코어(210)에 권선되는 1차측 코일(220) 및 2차측 코일(230)을 구비한 변압기(2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은 변압기(200)에서 발생되는 누설 자속이 통과하도록 경로를 형성하여 변압기(200)의 누설 자속량이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동작함으로써, 누설 자속량의 변동에 기반한 변압기 임피던스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은 임피던스 제어부(110)와, 조정부(120)와, 고정 가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임피던스 제어부(110)는 변압기(200)에서 발생되는 누설 자속이 통과하도록 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임피던스 제어부 몸체(111)와, 임피던스 제어부 몸체(111)의 양측 말단에 형성된 임피던스 제어부 결합홈(112)과, 임피던스 제어부 결합홈(112)에 형성된 임피던스 제어부 결합공(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임피던스 제어부 몸체(111)는 변압기(200)의 길이방향 크기에 대응하여 장방형상으로 이루어진 판 형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임피던스 제어부 몸체(111)는 철, 규소 강판 등과 같이 자기저항(Magnetic reluctance)이 작은 강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 1.0㎜ 두께의 규소 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임피던스 제어부 몸체(111)는 변압기(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변압기(200)로부터 발생되는 누설 자속이 잘 통과하도록 누설 자속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누설 자속량이 증가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임피던스 제어부 몸체(111)는 변압기(200)의 용량에 따라 설치되는 임피던스 제어부 몸체(111)의 길이방향 크기, 폭방향 크기 또는 임피던스 제어부 몸체(111)의 설치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누설 자속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즉, 누설 자속은 변압기 임피던스 중에서 리액턴스(L)의 크기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고, 하기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24012834299-pat00004
여기서 N은 권선수, φ11은 누설 자속, I11은 누설 자속을 발생시키는 전류로서, 누설 자속에 따라 리액턴스가 가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임피던스 제어부 몸체(111)는 자기저항이 작은 강자성체로 구성됨으로써, 자속을 잘 통과시킬 수 있어 누설 자속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임피던스 제어부 몸체(111)의 설치 수량을 가변시켜 누설 자속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임피던스 제어부 결합홈(112)은 임피던스 제어부 몸체(111)의 양측 말단에 설치되어 조정부(120)와 결합하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홈부와 결합부를 통해 조정부(120)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임피던스 제어부 결합공(113)은 임피던스 제어부 결합홈(112)에 형성되고, 체결부(140, 140a)를 통해 조정부(1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임피던스 제어부 몸체(111)가 조정부(1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조정부(120)는 임피던스 제어부(110)가 변압기(2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조정부 몸체(121)와, 조정부 결합홈(122)과, 결합홈 결합공(123)과, 조정부 결합공(1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정부 몸체(121)는 변압기(200)의 반경방향 크기에 대응하여 장방형상으로 이루어진 판 형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조정부 몸체(121)는 임피던스 제어부(110)가 변압기(200)의 외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또한, 조정부 몸체(121)는 철, 규소 강판 등과 같이 자기저항(Magnetic reluctance)이 작은 강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 1.0㎜ 두께의 규소 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규소 강판이 적층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조정부 몸체(121)는 변압기(200)의 용량에 따라 설치되는 조정부 몸체(121)의 길이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변압기(200)의 용량이 작으면, 변압기(200)와 임피던스 제어부(110) 사이의 이격 거리가 좁아지도록 작은 길이,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단위 조정부 몸체 길이의 2/3 크기, 1/2 크기, 1/3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조정부 결합홈(122)은 조정부 몸체(121)의 일측에 설치되어 임피던스 제어부(110)와 결합하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홈부와 결합부를 통해 임피던스 제어부(110)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결합홈 결합공(123)은 조정부 결합홈(122)에 형성되고, 체결부(140, 140a)를 통해 임피던스 제어부(1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조정부 몸체(121)가 임피던스 제어부(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조정부 결합공(124)은 조정부 몸체(121)의 타측에 설치되어 조정부 몸체(121)가 체결부(141)를 통해 고정 가대(130)와 결합되도록 한다.
고정 가대(130)는 조정부(120)와 결합하여 조정부(120) 및 조정부(120)와 결합한 임피던스 제어부(110)가 변압기(200)의 외측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고정 가대 몸체(131)와, 고정 가대 결합공(1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 가대 몸체(131)는 일측이 조정부(120)와 결합되고, 타측에 형성된 플랜지(131a)를 통해 변압기(200)의 외부 하우징, 변압기(200)를 고정하는 구조물(300) 및 지지부(31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고정 가대 몸체(131)는 변압기(200)의 외측 주변, 예를 들어 변압기(200)의 후측에 임피던스 제어부(110)와 조정부(120)가 변압기(2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 및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고정 가대 결합공(132)은 체결부(141)를 통해 고정 가대 몸체(131)와 조정부(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플랜지(131a)에 형성된 고정 가대 결합공(132a)은 체결부를 통해 고정 가대(131)가 변압기(200)를 고정하는 구조물(300)에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구조물(300)을 통해 고정된 복수의 변압기(200, 200a, 200b) 외부에 각각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 100a, 100b)을 개별 설치함으로써, 각 변압기(200, 200a, 200b) 별로 변압기 임피던스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
우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은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의 일측에 추가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을 적층시켜 설치한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계통 용량이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여 변압기(200)의 임피던스 조정이 필요한 경우, 이미 설치된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의 일측에 추가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을 적층하거나 또는 적층된 추가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을 제거함으로써, 변압기 임피던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추가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은 이미 설치된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에 적층할 수 있도록 임피던스 제어부(110')와 조정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제어부(110') 및 조정부(120')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제어부(110) 및 조정부(120)보다 일정 크기 증가된 구성일 수 있고, 또는 반대인 제1 실시 예에 따른 임피던스 제어부(110) 및 조정부(120)보다 일정 크기 축소된 구성일 수 있다.
즉, 변압기(200)의 운전중에 부하량이 증가하면 변압기(200)의 전압 강하가 증가하게 되고, 이때 전압 강하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낮으면 이미 설치된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에 추가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을 적층시켜 설치함으로써, 누설 자속량이 증가되도록 한다.
또한, 변압기(200)의 전압 강하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높으면 추가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을 제거하여 누설 자속량이 줄어들게 함으로써, 변압기 임피던스의 감소를 통한 변압기의 전압 강하가 감소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미 설치된 변압기의 누설 자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변압기의 외부에 누설 자속이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강자성체를 설치하여 누설 자속량을 제어함으로써, 설치된 변압기를 교체하지 않고 변압기의 임피던스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100a, 100b, 100' : 임피던스 제어 모듈
110, 110' : 임피던스 제어부 111: 임피던스 제어부 몸체
112 : 임피던스 제어부 결합홈 113 : 임피던스 제어부 결합공
120, 120' : 조정부 121 : 조정부 몸체
122 : 조정부 결합홈 123 : 결합홈 결합공
124 : 조정부 결합공 130 : 고정 가대
131 : 고정 가대 몸체 131a : 플랜지
132, 132a : 고정 가대 결합공 140, 141, 140a : 체결부
200, 200a, 200b : 변압기 210 : 코어
220 : 1차측 코일 230 : 2차측 코일
300 : 구조물 310 : 지지부

Claims (6)

  1. 코어(210), 상기 코어(210)에 권선되는 1차측 코일(220) 및 2차측 코일(230)을 구비한 변압기(200)의 외부에 상기 변압기(2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변압기(200)에서 발생되는 누설 자속이 통과하도록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변압기(200)의 누설 자속량이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동작하는 임피던스 제어부(110)와,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110)가 상기 변압기(2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조정부(120)를 구비한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 및
    상기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의 일측에 적층되어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110)를 통과하는 상기 변압기(200)의 누설 자속량이 가변되도록 설치하는 추가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을 포함하는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은 상기 변압기(200)에서 발생되는 누설 자속이 통과하도록 경로를 형성하는 임피던스 제어부(110'); 및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110')가 상기 변압기(2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조정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 및 추가 임피던스 제어 모듈(100')은 일측이 변압기(200)를 고정하는 구조물(3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조정부(120, 120')에 연결되어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110, 110')와 조정부(120, 120')가 상기 변압기(2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 가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110, 110') 및 조정부(120, 120')는 상기 변압기(200)의 용량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제어부(110, 110') 및 조정부(120, 120')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
KR1020240015681A 2024-02-01 2024-02-01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 KR102677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5681A KR102677672B1 (ko) 2024-02-01 2024-02-01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5681A KR102677672B1 (ko) 2024-02-01 2024-02-01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7672B1 true KR102677672B1 (ko) 2024-06-25

Family

ID=91710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5681A KR102677672B1 (ko) 2024-02-01 2024-02-01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76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508B1 (ko) 2006-07-12 2007-11-15 최수봉 변압기
KR20150071142A (ko) * 2013-12-18 2015-06-26 곽경민 방열 성능, 안정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변압기 케이스
KR20200100127A (ko) * 2017-12-20 2020-08-2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변압기 코어 및 변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508B1 (ko) 2006-07-12 2007-11-15 최수봉 변압기
KR20150071142A (ko) * 2013-12-18 2015-06-26 곽경민 방열 성능, 안정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변압기 케이스
KR20200100127A (ko) * 2017-12-20 2020-08-2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변압기 코어 및 변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2441B1 (en) Planar high voltage transformer device
US10068695B2 (en) Transformer
CA2789892C (en) Power supply improvements
US20120146753A1 (en) Integrated multi-phase planar transformer
KR102677672B1 (ko)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
RU2691450C1 (ru) Сглаживающе-токоограничивающий реактор фильтр-устройств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й тяговой подстанции
KR102677674B1 (ko) 변압기 임피던스 조절 장치
KR102677673B1 (ko) 변압기 임피던스 가변 제어 장치
KR102677676B1 (ko) 개량형 변압기 임피던스 제어 장치
US20080068119A1 (en) Electric reactor of controlled reactive power and method to adjust the reactive power
US10034361B2 (en) Line-frequency rotary transformer for computed tomography gantry
JP6494941B2 (ja) 電力管理のための変圧器コア磁束制御
JP5520613B2 (ja) 磁束制御型可変変圧器
US20190006096A1 (en) Transformers with integrated inductors
US5117214A (en) Integrated magnetic power converter core
JP7427512B2 (ja) 電磁機器
EP4290538A1 (en) Transformer having a tertiary winding
JP4241976B2 (ja) 電源トランス
WO2007035110A1 (en) Autotransformer device with magnetic air gap
KR101937167B1 (ko) 전력 손실 저감장치
KR20230022611A (ko) 변압장치용 철심구조
JPH05159948A (ja) 負荷時タップ切換単相単巻変圧器
CZ20001950A3 (cs) Statické elektromagnetické zařízení s vysokým výkonem
JP2019068033A (ja) 電力分配ユニット
JPH0443619A (ja) 三次巻線付変圧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