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589B1 - 두더지 퇴치 장치 - Google Patents
두더지 퇴치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6589B1 KR102666589B1 KR1020210091886A KR20210091886A KR102666589B1 KR 102666589 B1 KR102666589 B1 KR 102666589B1 KR 1020210091886 A KR1020210091886 A KR 1020210091886A KR 20210091886 A KR20210091886 A KR 20210091886A KR 102666589 B1 KR102666589 B1 KR 1026665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sound
- focus
- mole
- emitt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41001558496 Talpa caeca Species 0.000 title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984 Roden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9 erad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55 response to auditory stimulus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더지 퇴치 장치는 지상에 위치가능한 제1 초점 및 지하에 위치가능한 제2 초점을 가진 타원 형상의 측면을 지니는 하우징; 상기 제1 초점의 위치에 구비되어 음파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사운드 방출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사운드 방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 및 상기 사운드 방출부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원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음파는 상기 타원 형상의 측면에 반사되어 상기 제2 초점에 집중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두더지 퇴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두더지는 땅을 파고 다니는 설치류이다.
두더지는 땅을 파고 다니면서 농작물이나 정원수, 화초 등에 피해를 입힌다.
이와 같은 두더지를 퇴치하기 위한 여러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그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이에 따라 효과적으로 두더지를 퇴치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더지 퇴치 장치는 효과적으로 두더지를 퇴치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지상에 위치가능한 제1 초점 및 지하에 위치가능한 제2 초점을 가진 타원 형상의 측면을 지니는 하우징; 상기 제1 초점의 위치에 구비되어 음파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사운드 방출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사운드 방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 및 상기 사운드 방출부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원부를 포함하는 두더지 퇴치 장치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음파는 상기 타원 형상의 측면에 반사되어 상기 제2 초점에 집중된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및 상기 태양전지의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방출부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500Hz 내지 2kHz 사이의 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방출부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500Hz 내지 2kHz 사이의 제1 음파 내지 제n 음파(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순서대로 또는 랜덤하게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일부는 지하에 묻히며, 상기 제2 초점은 지하에 묻힌 상기 하우징의 일부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두더지 퇴치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타원 형상의 측면을 투과하는 빛을 방출하는 광방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타원 형상의 측면은 홀이 없는 내측면부와 홀이 있는 외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면부의 홀은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두더지 퇴치 장치는 상기 제1 초점에 비하여 상기 제2 초점에 가까운 상기 하우징의 측면 영역에 구비되어 지하에서 생성된 소리를 센싱하는 사운드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운드 센싱부로부터 전송된 사운드 센싱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운드 방출부가 상기 음파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더지 퇴치 장치는 타원형 측면을 지닌 하우징을 포함하여 제1 초점에 발생한 음파가 지하의 제2 초점에 모이므로 음파의 크기 감소가 크지 않으므로 효과적으로 두더지를 퇴치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더지 퇴치 장치의 하우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더지 퇴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하우징의 측면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주파수에 따른 두더지의 청력도(audiogram)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더지 퇴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하우징의 측면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주파수에 따른 두더지의 청력도(audiogram)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더지 퇴치 장치의 하우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더지 퇴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하우징의 측면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주파수에 따른 두더지의 청력도(audiogram)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더지 퇴치 장치는 하우징(110), 사운드 방출부(130), 컨트롤러(150), 전원부(17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논, 밭 또는 정원 등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지상에 위치가능한 제1 초점 및 지하에 위치가능한 제2 초점을 가진 타원 형상의 측면을 지닌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타원형 측면을 지닌다.
타원은 2개의 초점을 지니므로 타원형 하우징(110) 역시 제1 초점 및 제2 초점을 지닌다. 하우징(110)이 설치될 경우, 제1 초점은 지상에 위치하고 제2 초점은 지하에 위치한다.
사운드 방출부(130)는 제1 초점의 위치에 구비되어 음파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사운드 방출부(130)는 스피커나 진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파는 타원 형상의 측면에 반사되어 제2 초점에 집중된다. 즉, 사운드 방출부(130)가 제1 초점에 위치하므로 제1 초점 영역에서 발생된 음파는 타원 형상의 측면에 반사되어 제2 초점에 집중된다.
일반적인 두더지 퇴치 장치는 사운드 방출부(130)가 오픈된 지상에 설치되므로 음파가 지하까지 도달하면 그 크기가 과도하게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두더지 퇴치 장치는 소리를 이용한 두더지 퇴치하는 것에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은 타원형 측면을 지닌 하우징(110)을 포함하여 제1 초점에 발생한 음파가 지하의 제2 초점에 모이므로 음파의 크기 감소가 크지 않으므로 효과적으로 두더지를 퇴치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상측부는 평평한 형상을 지닐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는 음파의 반사를 원활히 하기 위한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파가 외부가 나갈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하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전체가 지상에 배치되고, 제2 초점은 지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일부는 지하에 묻히고, 지하에 묻힌 하우징(110)의 일부에 제2 초점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측면과 하우징(110)의 측면에서 연장된 가상 연장선은 타원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하우징(110)에 구비되어 사운드 방출부(1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150)는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동작에 필요한 로직과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전원부(170)는 사운드 방출부(130) 및 컨트롤러(15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 때 전원부(170)는 태양전지(171) 및 배터리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171)는 하우징(110)의 외부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171)는 하우징(110)의 평평한 상측부에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논, 밭 또는 정원과 같은 야외에 설치되어 장기간 동작해야 하므로 전력망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 도선, 플러그 및 콘센트 등과 같은 전원 설비의 설치, 유지, 보수 및 전기사고 등에 대한 부담이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야외에 설치되므로 눈, 비, 바람 및 먼지와 같은 외부 환경에 전원 설비가 노출되므로 설치, 유지, 보수 및 전기사고 방지 등이 어려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110)의 상측부에 설치되어 외부에 노출된 태양전지(171)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으므로 설치, 유지, 보수 및 전기사고 방지에 대한 부담을 줄이면서 야외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부(173) 및 컨트롤러(150)는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므로 눈, 비, 바람 및 먼지와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배터리부(173)는 태양전지(171)의 전기 에너지를 저장한다. 배터리부(173)는 태양전지(171)의 직류 전기를 배터리부(173)에 적합한 직류 전기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부(173)의 직류 전기를 컨트롤러(150)에 적합한 직류 전기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부(173)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운드 방출부(130)는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따라 500Hz 내지 2kHz 사이의 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500Hz 내지 2kHz 대역의 음파는 두더지가 싫어하는 주파수 대역의 음파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더지는 500Hz 내지 2kHz의 소리를 잘 들을 수 있으며, 두더지는 이와 같은 주파수 대역의 음파에 반응하여 도망갈 수 있다.
한편, 사운드 방출부(130)는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따라 500Hz 내지 2kHz 사이의 제1 음파 내지 제n 음파(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순서대로 또는 랜덤하게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 방출부(130)는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따라 600Hz 음파, 900 Hz 음파 및 1500 Hz 음파를 순서대로 또는 랜덤하게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주파수를 지닌 음파만을 이용할 경우 두더지가 특정 음파에 익숙해져 음파를 통한 두더지 퇴치 효과가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의 제1 음파 내지 제n 음파를 사용하여 두더지 퇴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제1 음파 내지 제n 음파 각각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제어할 수 있다. 듀티 사이클은 음파의 한 주기(period)에서 음파가 출력되는 시간의 비율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1주기가 10초이고 듀티 사이클이 60%인 경우, 제1 음파 내지 제n 음파 각각은 6초 동안 출력되고 4초 동안은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음파 내지 제n 음파 각각의 듀티 사이클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은 듀티 사이클에 대한 정보는 컨트롤러(15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일부는 지하에 묻힐 수 있다. 이 때 제2 초점은 지하에 묻힌 하우징(110)의 일부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초점에 집중된 음파가 지하로 보다 쉽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타원 형상의 측면을 투과하는 빛을 방출하는 광방출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방출부(190)는 LED, 백열등, 및 형광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타원 형상의 하우징(110) 측면은 음파의 반사를 원활히 하기 위하여 홀이 없는 표면을 지닐 수 있다. 빛은 이러한 하우징(110) 측면을 투과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두더지 퇴치 장치는 밤에 은은한 빛을 방출하는 조명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110)은 플라스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하우징(110)은 세라믹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타원 형상의 측면은 홀이 없는 내측면부(111)와 홀이 있는 외측면부(113)를 포함하며, 외측면부(113)의 홀은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앞서 빛이 하우징(110)의 측면을 투과하여 조명 장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하였다. 내측면부(111)는 음파의 반사를 원활히 하기 위하여 홀이 없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외측면부(113)는 패턴(예를 들어, 동물 모양, 꽃모양 등)에 따른 홀을 통하여 빛이 나올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10) 외부에서 사람이 볼 때 상기 패턴에 해당되는 빛을 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5의 내측면부(111)와 외측면부(113)를 포함하는 하우징(110) 구조는 도 3 및 도 4의 하우징(110)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더지 퇴치 장치는 사운드 센싱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센싱부(210)는 제1 초점에 비하여 제2 초점에 가까운 하우징(110)의 측면 영역에 구비되어 지하에서 생성된 소리를 센싱할 수 있다. 사운드 센싱부(210)는 소리를 센싱하기 위한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의 메모리에는 두더지의 울음 소리나 땅을 파는 소리 특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사운드 센싱부(210)로부터 전송된 사운드 센싱 정보에 따라 사운드 방출부(130)가 음파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더지가 근처에 다가왔을 경우 자동적으로 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하우징(110)
내측면부(111)
외측면부(113)
사운드 방출부(130)
컨트롤러(150)
전원부(170)
태양전지(171)
배터리부(173)
광방출부(190)
사운드 센싱부(210)
내측면부(111)
외측면부(113)
사운드 방출부(130)
컨트롤러(150)
전원부(170)
태양전지(171)
배터리부(173)
광방출부(190)
사운드 센싱부(210)
Claims (8)
- 지상에 위치가능한 제1 초점 및 지하에 위치가능한 제2 초점을 가진 타원 형상의 측면을 지니는 하우징;
상기 제1 초점의 위치에 구비되어 음파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사운드 방출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사운드 방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 및
상기 사운드 방출부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파는 상기 타원 형상의 측면에 반사되어 상기 제2 초점에 집중되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초점은 지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더지 퇴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및
상기 태양전지의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더지 퇴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방출부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500Hz 내지 2kHz 사이의 음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더지 퇴치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방출부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500Hz 내지 2kHz 사이의 제1 음파 내지 제n 음파(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순서대로 또는 랜덤하게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더지 퇴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부는 지하에 묻히며,
상기 제2 초점은 지하에 묻힌 상기 하우징의 일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더지 퇴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타원 형상의 측면을 투과하는 빛을 방출하는 광방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더지 퇴치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타원 형상의 측면은 홀이 없는 내측면부와 홀이 있는 외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면부의 홀은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더지 퇴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초점에 비하여 상기 제2 초점에 가까운 상기 하우징의 측면 영역에 구비되어 지하에서 생성된 소리를 센싱하는 사운드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운드 센싱부로부터 전송된 사운드 센싱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운드 방출부가 상기 음파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더지 퇴치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1886A KR102666589B1 (ko) | 2021-07-13 | 2021-07-13 | 두더지 퇴치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1886A KR102666589B1 (ko) | 2021-07-13 | 2021-07-13 | 두더지 퇴치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1183A KR20230011183A (ko) | 2023-01-20 |
KR102666589B1 true KR102666589B1 (ko) | 2024-05-16 |
Family
ID=85108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1886A KR102666589B1 (ko) | 2021-07-13 | 2021-07-13 | 두더지 퇴치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6589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89586B2 (ja) | 1991-04-22 | 2000-09-18 | 清水建設株式会社 | 構造物の躯体構造 |
US20110002196A1 (en) | 2007-01-03 | 2011-01-06 | Exhort Environmental Systems, Inc. | Electronic Rodent Repeller |
KR101494079B1 (ko) * | 2013-05-03 | 2015-02-17 | 강완배 | 대지매립형 동물퇴치용 진동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403146C2 (de) * | 1984-01-31 | 1986-08-07 | DEKUR Elektronic Geräte Vertriebs-GmbH, 5400 Koblenz | Vorrichtung zur Schädlingsbekämpfung |
JPH06245683A (ja) * | 1993-02-25 | 1994-09-06 | Nissei Giken:Kk | もぐら撃退器 |
JP3089586U (ja) * | 2002-04-25 | 2002-10-31 | 志賢 呉 | 照明機能を具えたもぐら駆逐器 |
KR102220866B1 (ko) | 2019-03-11 | 2021-02-25 | 박미진 | 멧돼지 및 두더지 퇴치 장치 |
KR102251468B1 (ko) * | 2019-04-18 | 2021-05-12 | 임종민 | 비닐하우스에 부착 가능한 야생동물 퇴치기 |
-
2021
- 2021-07-13 KR KR1020210091886A patent/KR1026665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89586B2 (ja) | 1991-04-22 | 2000-09-18 | 清水建設株式会社 | 構造物の躯体構造 |
US20110002196A1 (en) | 2007-01-03 | 2011-01-06 | Exhort Environmental Systems, Inc. | Electronic Rodent Repeller |
KR101494079B1 (ko) * | 2013-05-03 | 2015-02-17 | 강완배 | 대지매립형 동물퇴치용 진동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1183A (ko) | 2023-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04518A (ko) | 조류 퇴치 장치 | |
CN103688915B (zh) | Led杀虫灯发光器及太阳能led杀虫灯 | |
KR102666589B1 (ko) | 두더지 퇴치 장치 | |
KR101537441B1 (ko) | 조류 퇴치 시스템 | |
US20170127664A1 (en) | Ultrasonic bat deterrent system | |
KR101752609B1 (ko) | 유해조수 퇴치용 스카이댄서 | |
US20090278669A1 (en) | Device for Protecting a Photovoltaic Plant Against Rodent Bite Damage | |
KR102130631B1 (ko) | 두더지 퇴치 장치 | |
KR101343414B1 (ko) | 복합 야생동물 퇴치 장치 | |
JPH08126176A (ja) | 鳥害防止具 | |
JP3189808U (ja) | 鳥獣撃退装置 | |
KR200173141Y1 (ko) | 조류퇴치기 | |
CN205321005U (zh) | 一种驱鸟器 | |
KR200242896Y1 (ko) | 초음파를 이용한 조류퇴치기 | |
KR20110131423A (ko) | 해충 퇴치용 전등 소켓 | |
KR101061484B1 (ko) | 중계기 설치 구조물 | |
US20180139950A1 (en) | Line Electric Fence Light Gas Discharge Lamps | |
KR101289753B1 (ko) | 야생동물 퇴치기 | |
JP3589114B2 (ja) | 殺虫装置 | |
JP2014140307A (ja) | 鳥害防止装置 | |
KR101571000B1 (ko) | 거미 퇴치기능을 가진 led 조명장치 | |
KR102015964B1 (ko) |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 |
KR20160025928A (ko) | 퇴치 장치 | |
JP3215293U (ja) | 害鳥獣防除具 | |
KR200175799Y1 (ko) | 지상 설치형 조류 퇴치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