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455B1 - 적층박리용기 - Google Patents
적층박리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41455B1 KR102641455B1 KR1020187013413A KR20187013413A KR102641455B1 KR 102641455 B1 KR102641455 B1 KR 102641455B1 KR 1020187013413 A KR1020187013413 A KR 1020187013413A KR 20187013413 A KR20187013413 A KR 20187013413A KR 102641455 B1 KR102641455 B1 KR 1026414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outer shell
- area
- layer
- external ai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2798 delamin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6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29920000089 Cyclic olefin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20000219 Ethylene vinyl alcoh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4715 ethylene 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1 styrene-ethylene butylene-styrene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6132 styrene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50000003440 styren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5
- UFRKOOWSQGXVKV-UHFFFAOYSA-N ethene;ethenol Chemical compound C=C.OC=C UFRKOOWSQGXVKV-UHFFFAOYSA-N 0.000 claims 2
- 238000004901 spalling Methods 0.000 claims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8
- 239000006196 dro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1684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702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description 9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JFNLZVQOOSMTJK-KNVOCYPGSA-N norbornene Chemical compound C1[C@@H]2CC[C@H]1C=C2 JFNLZVQOOSMTJK-KNVOCYPGSA-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1935 styrene-ethylene-butadiene-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092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707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604 random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2723 ali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125000001931 aliphat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400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71 blow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924 cycloalkane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925 cycloalkene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3
- XWJBRBSPAODJER-UHFFFAOYSA-N 1,7-octadi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XWJBRBSPAODJE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IKMAJRDDDTEIG-UHFFFAOYSA-N 1-hexene Chemical compound CCCCC=C LIKMAJRDDDTEI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753 cyclo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HGCIXCUEYOPUTN-UHFFFAOYSA-N cyclohex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HGCIXCUEYOPU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PIQUOYDBNQMRZ-UHFFFAOYSA-N cyclopentene Chemical compound C1CC=CC1 LPIQUOYDBNQMR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89 eye dro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12356 eye drops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346 polystyrene-polyisoprene block-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384 propylene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468 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PRBHEGAFLDMLAL-GQCTYLIASA-N (4e)-hexa-1,4-diene Chemical compound C\C=C\CC=C PRBHEGAFLDMLAL-GQCTYLIA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566113 Branta sandvic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MTAZNLWOLGHBHU-UHFFFAOYSA-N butadiene-styrene rubber Chemical class C=CC=C.C=CC1=CC=CC=C1 MTAZNLWOLGHBH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CFBGXYDUODCMNS-UHFFFAOYSA-N cyclobutene Chemical compound C1CC=C1 CFBGXYDUODCMN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RYYVOIYTNXXBN-UPHRSURJSA-N cyclooctene Chemical compound C1CCC\C=C/CC1 URYYVOIYTNXXBN-UPHRSURJ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3 cyclooct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511 cyclopentyl group Chemical group [H]C1([H])C([H])([H])C([H])([H])C([H])(*)C1([H])[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993 di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XOUVIIITJXIKB-UHFFFAOYSA-N ethene;styrene Chemical group C=C.C=CC1=CC=CC=C1 BXOUVIIITJXIK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62 hydr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FNLZVQOOSMTJK-UHFFFAOYSA-N norbornene Chemical compound C1C2CCC1C=C2 JFNLZVQOOSMTJ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518 norbornenyl group Chemical group C12(C=CC(CC1)C2)* 0.000 description 1
- RGSFGYAAUTVSQA-UHFFFAOYSA-N pentamethylene Natural products C1CCCC1 RGSFGYAAUTVSQ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2 resin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142 ring open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011 styrenyl group Chemical group [H]\C(*)=C(/[H])C1=C([H])C([H])=C([H])C([H])=C1[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11 α-olef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 B65D83/0055—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94—Containers having an external wall formed as, or with, a diaphragm or the like which is deformed to expel the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스퀴즈성, 낙하 균열 내성 및 수증기 비투과성 등 모든 것에 있어서 뛰어난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각과 내측 주머니를 가지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 주머니가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구비한 적층박리용기이며, 상기 내측 주머니를 구성하는 내층은 시클로올레핀 폴리머와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한 혼합 수지로 구성된 혼합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박리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각과 내측 주머니를 가지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 주머니가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구비한 적층박리용기이며, 상기 내측 주머니를 구성하는 내층은 시클로올레핀 폴리머와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한 혼합 수지로 구성된 혼합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박리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층박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외각과 내측 주머니를 갖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측 주머니가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구비하고 있는 적층박리용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 2).
(제 1 관점)
이러한 적층박리용기는 내용물을 토출시킬 때의 스퀴즈력이 작은 점(스퀴즈성), 용기를 낙하 시켰을 때 깨지기 어려운 점(낙하 균열 내성), 수증기를 투과시키기 어려운 점(수증기 비투과성) 등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적층박리용기의 내측 주머니는 내용물을 토출시킬 때 신속하게 수축하도록 일반적으로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따라서 낙하 균열 내성 및 수증기 비투과성이 양호하지 않는 문제가 생기기 쉽다. 한편, 낙하 균열 내성 및 수증기 비투과성을 높이기 위해 내측주머니의 두께를 크게 하면 스퀴즈성이 악화되기 쉽다. 따라서 스퀴즈성, 낙하 균열 내성 및 수증기 비투과성을 모두 양호하게 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스퀴즈성, 낙하 균열 내성 및 수증기 비투과성 등 모든 면에서 뛰어난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2 관점)
그런데, 적층박리용기에는 안약과 같은 의약품을 수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적층박리용기의 수증기 투과량의 상한이 약전의 규격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자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적층박리용기에 대한 실험을 실시했는데, 이러한 적층박리용기에서는 수증기 투과량이 상한을 초과하기 때문에 의약품의 용기로서는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수증기 투과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 제 1 ~ 제 2 관점의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을 설명한다. 이하에 제시하는 제 1 ~ 제 2 관점의 해결 수단은 서로 조합 가능하다.
(제 1 관점)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르면, 외각과 내측 주머니를 갖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 주머니가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구비한 적층박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 주머니를 구성하는 내층은 시클로올레핀 폴리머와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혼합 수지로 구성된 혼합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내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대하여 다양한 검토를 실시했는데, 내측 주머니를 구성하는 내층이 시클로올레핀 폴리머와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혼합 수지로 구성된 혼합 수지층을 포함한 경우에 스퀴즈성, 낙하 균열 내성 및 수증기 비투과성이 모두 양호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제 2 관점)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 외각과 내측 주머니를 갖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 주머니가 상기 외각에서 박리되고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구비한 적층박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각은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 주머니 사이의 중간 공간과, 상기 용기본체의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외기도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외기도입공을 둘러싸도록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 주머니가 박리되지 않은 비박리영역이 설치되는 적층박리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은 적층박리용기의 수증기 투과량이 많아지는 원인에 대해 조사한 결과, 특허문헌 1과 같이 예비 박리를 실시하고 있는 용기에서는 예비 박리 시에 내층과 외층 사이에 간극이 생겨 이 간극 및 외기도입공을 통해 내층이 외부 공간과 연통되기 때문에, 용기의 내용물의 수분이 내층, 간극, 외기도입공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어 수증기 투과량이 많아지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이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외기도입공을 둘러싸도록 비박리영역을 설치함으로써 외부 공간과 연통하고 있는 내층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수증기 투과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다음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주머니를 구성하는 내층은 시클로올레핀 폴리머와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혼합 수지로 구성된 혼합 수지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 수지에서, 상기 시클로올레핀 폴리머에 대한 상기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중량비는 0.1 ~ 2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수소가 첨가된 스틸렌계 공중합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소가 첨가된 스틸렌계 공중합체는 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층은 상기 혼합 수지층보다 용기 외측에 EVOH 수지로 구성된 EVOH층을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기도입공을 폐쇄하도록 설치된 피복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 공간과 상기 외부 공간 사이의 공기의 출입을 조절하는 밸브 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박리영역과 상기 외기도입공 사이에,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 주머니가 박리되어 있는 구멍 주변의 박리영역이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 주머니의 계면영역 중, 상기 구멍 주변의 박리영역 이외의 영역이 상기 비박리영역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 주머니가 박리되어 있는 이간(離間) 박리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이간 박리영역과 상기 외기도입공 사이에 상기 비박리영역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멍 주변 박리영역의 면적)/(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 주머니의 계면영역의 면적)의 값은 0.8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본체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외기도입공은 상기 수용부에 설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인 적층박리용기(1)의 용기본체(3)의 사시도이다.
도 2는 (a) ~ (b)는 각각 도1의 용기본체(3)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c)는 (a)중 A-A 단면도이고, (d )는 용기본체(3)에 밸브 부재(4)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a)중 B-B 단면도이다.
도 3은 (a)는 통체(5)의 정면도, (b)는 통체(5) 의 저면도, (c)는 (b)중 A-A 단면도, (d)는 (c) 중의 B-B 단면도, (e)는 밸브 부재(4)의 단면도, (f)는 밸브 부재(4)를 외각(1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g)는 이동체(6)가 스토퍼부(5h)에 당접하여 공동부(空洞部)(5g)를 폐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피복부재로서 밀봉 부재(8)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뚜껑(23)을 피복부재로서 사용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내층(13)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의 용기본체(3)의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각각 도 7의 용기본체(3)의 정면도이고, (b)는 용기본체(3)에 밸브 부재(4)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a)중 B-B 단면도이다.
도 9는 용기본체(3)의 입구부(9)에 장착하는 뚜껑(23)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8 (c)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밑바닥 돌출부(27)가 절곡되고 내측 주머니(14)가 수축한 상태에서의 도 8 (c)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내층(13)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a) ~ (b)는 각각 도1의 용기본체(3)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c)는 (a)중 A-A 단면도이고, (d )는 용기본체(3)에 밸브 부재(4)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a)중 B-B 단면도이다.
도 3은 (a)는 통체(5)의 정면도, (b)는 통체(5) 의 저면도, (c)는 (b)중 A-A 단면도, (d)는 (c) 중의 B-B 단면도, (e)는 밸브 부재(4)의 단면도, (f)는 밸브 부재(4)를 외각(1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g)는 이동체(6)가 스토퍼부(5h)에 당접하여 공동부(空洞部)(5g)를 폐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피복부재로서 밀봉 부재(8)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뚜껑(23)을 피복부재로서 사용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내층(13)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의 용기본체(3)의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각각 도 7의 용기본체(3)의 정면도이고, (b)는 용기본체(3)에 밸브 부재(4)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a)중 B-B 단면도이다.
도 9는 용기본체(3)의 입구부(9)에 장착하는 뚜껑(23)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8 (c)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밑바닥 돌출부(27)가 절곡되고 내측 주머니(14)가 수축한 상태에서의 도 8 (c)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내층(13)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다음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중에서 나타내는 각종 특징사항은 서로 조합 가능하다. 또한 각 특징에 대해 독립적인 발명이 성립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층박리용기(1), 용기본체(3)와 밸브 부재(4)를 포함한다. 용기본체(3)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7)와, 수용부(7)로부터 내용물을 토출하는 입구부(9)를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본체(3)는 수용부(7)와 입구부(9)에 있어서 외층(11)과 내층(13)을 구비하고 있고, 외층(11)에 의해 외각(12)이 구성되며 내층(13)에 의해 내측 주머니(14)가 구성된다.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층(13)이 외층(11)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내측 주머니(14)가 외각(12)으로부터 박리되어 수축한다.
입구부(9)에는, 도 9에 예시하는 뚜껑(23)과 계합(係合) 가능한 계합부(9d)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구부(9)에는 마개식 뚜껑이 장착되어 있다고 가정되고, 계합부(9d)는 뚜껑의 계합부에 결합되어있는 링 모양의 돌기(突起)이다. 단, 입구부(9)에는 암나사를 갖고 있는 뚜껑과 펌프 등을 장착 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계합부(9d)는 암나사부로 구성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23)은 본체부(23a)와 본체부(23a)에 설치된 토출구(23b)와, 본체부(23a)로부터 원통 모양으로 연장된 외주부(23f)의 거의 선단에 설치된 계합부(23c)와, 외주부(23f) 의 내측에 있어서 본체부(23a)로부터 원통 모양으로 연장된 이너링(23d)과 이너링(23d)의 내측에 설치되고 또한 토출구(23b)에 연통하는 유통로(23g)와 유통로(23g)에 설치된 체크 밸브(23e)를 갖춘다. 뚜껑(23)의 입구부(9)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용부(7) 내의 내용물은 유통로(23g)를 통해서 토출구(23b)로부터 토출된다. 한편, 체크 밸브(23e)가 토출구(23b)로부터의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때문에, 용기본체(3)의 내측 주머니(14)내에는 외기가 침입하지 않고 내용물의 열화(劣化)가 억제된다. 또한, 여기서 나타내는 뚜껑(23)의 구조는 일례로서, 예를 들면 다른 구성의 체크 밸브를 갖춘 뚜껑(23)을 채용해도 된다.
수용부(7)는 도1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타원 형상에 가까운 통 형상의 통 형상부(7b) 및 통 형상부(7b)의 일부가 움푹 파여 형성된 패널부(7c)가 있다. 용기본체(3)는 통 형상 (예: 원통 형상)의 적층 파리손(Parison)을 블로우 성형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용기본체(3)의 각 부분의 두께는 블로우비가 큰 부위일수록(중심 축 C으로부터의 거리가 큰 부위일수록) 작아진다. 패널부(7c)는 통 형상부(7b)보다 중심축 C에 가깝기 때문에, 통 형상부(7b)보다 두께가 커진다. 따라서 패널부(7c)의 강성이 통 형상부(7b)보다 높아진다. 또한, 수용부(7)은 도7 ~도 8 및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타원형상에 가까운 통형의 통 형상부(7b)와, 통 형상부(7b)의 일부가 움푹 파여 형성된 패널부(7c)를 갖고 있는 모양이어도 된다.
도1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각(12)에는 수용부(7)에서 외각(12)과 내측 주머니(14) 사이의 중간 공간(21)과, 용기본체(3)의 외부 공간 S를 연통하는 외기도입공(15)이 설치되어 있다. 외기도입공(15)은 구체적으로 패널부(7c)에 인접한 위치(보다 구체적으로는 패널부(7c)와 입구부(9) 사이의 영역)에 설치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기도입공(15)의 주변에서는 외각(12)과 내측 주머니(14)가 박리되어 구멍 주변 박리영역(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각(12)과 내측 주머니(14)의 계면영역 I 가운데 구멍 주변 박리영역(33) 이외의 영역에서는 외각(12)과 내측 주머니(14)가 박리되지 않고, 비박리영역(34)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비박리영역(34)이 구멍 주변 박리영역(33) 및 외기도입공(15)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서는 비박리영역(34)을 설치하는 것이 필수이지만, 본 발명의 제1관점에서는 비박리영역(34)은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서는 비박리영역(34)에서는 수용부(7)에 내용물을 수용하기 전에 내층(13)을 외층(11)으로부터 박리하는 예비 박리공정을 실시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서는 비박리영역(34)은 필수가 아니기 때문에, 임의의 부위에서 예비 박리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비 박리후 수용부(7) 내에 공기를 불어 넣거나 또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것을 통하여 내층(13)을 외층(11)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층(13)이 외층(11)으로부터 떨어진다. 한편, 예비 박리공정을 진행하지 않을 경우 내용물을 토출할 때 내층(13)이 외층(11)으로부터 박리되어 외층(11)으로부터 떨어진다.
구멍 주변 박리영역(33)은 외각(12)과 내측 주머니(14)가 박리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 중간 공간(21)이 설치된다. 한편, 비박리영역(34)은 외각(12)과 내측 주머니(14)가 박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사이에 중간 공간(21)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외각(12)과 내측 주머니(14)가 박리되지 않은」 상태란, 내측 주머니(14)와 외각(12)에 대응하는 적층 구조를 가진 적층 파리손을 이용하여 용기본체(3)를 블로우 성형을 통해 제조한 대로의 외각(12)과 내측 주머니(14)의 상태이다. 「외각(12)과 내측 주머니(14)가 박리되어 있는」 상태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된 용기본체(3)에 대해 어떠한 외력을 가하여 내측 주머니(14)를 외각(12)으로부터 두께의 방향으로 변위시켜 떼거나 또는 내측 주머니(14)와 외각(12)을 면내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내측 주머니(14)와 외각(12) 사이의 접착 상태를 해제시킨 상태이다.
중간 공간(21)은 외기도입공(15)을 통해 외부 공간S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내용물로부터의 수분이 내측 주머니(14)를 투과하면 이 수분은 쉽게 외부 공간S로 방출된다. 내측 주머니(14)는 일반적으로 외각(12)보다 두께가 작기 때문에 외각(12)보다 수분을 투과시키기 쉽다. 따라서, 구멍 주변 박리영역(33)의 면적이 클수록 내측 주머니(14)가 중간 공간(21)에 대해 노출되는 면적이 커지고, 용기본체(3)의 내부로부터 외부 공간 S로 향한 수증기의 투과량이 커진다.
따라서, 계면영역 I의 면적에 대한 구멍 주변 박리영역(33)의 면적의 비율이 작을수록 수증기 투과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멍 주변 박리영역(33)은 불필요한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구멍 주변 박리영역(33)의 면적은 0이다. (구멍 주변 박리영역(33)의 면적)/(계면영역 I의 면적)의 값 P는 0.8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값 P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0, 0.01, 0.05, 0.1, 0.2, 0.3, 0.4, 0.5, 0.6, 0.7, 0.8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두 개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수증기 투과량을 감소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P의 값은 작을수록 바람직하지만, 밸브 부재(4)를 외기도입공(15)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P의 값이 너무 작으면 밸브 부재(4)를 삽입할때 밸브 부재(4)와 내측 주머니(14)의 충돌에 의해 내측 주머니(14)에 상처가 생기기 쉽기 때문에 P의 값은 0.01 이상이 바람직하고, 0.0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멍 주변 박리영역(33)은 수용부(7)에 내용물을 주입하기 전에 외기도입공(15)으로부터 외각(12)과 내측 주머니(14) 사이에 유체(기체·액체)를 주입하거나, 외기도입공(15)에 삽입한 막대기로 내측 주머니(14)를 밀어넣거나 하여, 내측 주머니(14)를 외각(12)으로부터 이간시키는(예비 박리함) 것으로 형성할 수 있다. 유체의 주입량과 막대기의 밀어 넣는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P의 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계면영역 I 가운데 구멍 주변 박리영역(33) 이외의 영역이 비박리영역(34)으로 되어 있지만, 구멍 주변 박리영역(33) 이외에, 또는 구멍 주변 박리영역(33) 대신에 외각(12)과 내측 주머니(14)가 박리된 이간 박리영역을 설치해도 된다. 이간 박리영역은 외기도입공(15)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설치되고, 이간 박리영역과 외기도입공(15) 사이에 비박리영역(34)이 배치된다. 구멍 주변 박리영역(33)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구멍 주변 박리영역(33)과 이간 박리영역이 비박리영역(34)에 의해 분단된다. 이와 같이, 이간 박리영역은 비박리영역(34)에 의해 외기도입공(15)으로부터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이간 박리영역에서 내측 주머니(14)를 투과한 수분은 쉽게 외부 공간S로 방출되지 않는다.
계면영역 I에 대한 비박리영역(34)의 비율이 너무 커지면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토출시킬 때 내측 주머니(14)가 외각(12)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간 박리영역을 설치하면 계면 영역 I에 대한 비박리영역(34)의 비율이 작아 지기 때문에 내측 주머니(14)가 외각(12)으로부터 박리되기 쉬워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간 박리영역은 예를 들어, 외기도입공(15)과는 다른 관통공을 형성하여 그 구멍으로부터 유체(기체·액체)를 주입하거나 외기도입공(15)에 막대기를 밀어 넣거나 하여 내측 주머니(14)를 외각(12)으로부터 이간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이간 박리영역의 형성 후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용기본체(3)에 외력을 가하여 내측 주머니(14)와 외각(12)을 면내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이간 박리영역을 형성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 외기도입공(15)에는 중간 공간(21)과 외부 공간S 사이의 공기의 출입을 조절하는 밸브 부재(4)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 부재(4)는 수용부(7)에 설치된 밸브 부재 설치오목부(7a)에 장착된다. 밸브 부재(4)는 수용부(7)를 압축 할 때 닫혀 중간 공간(21)으로부터 외부 공간S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중간 공간(21) 내의 압력을 높여 외각(12)에 가해진 압력이 내측 주머니(14)에 전해지기 쉽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한편, 밸브 부재(4)는 수용부(7)에 가해진 압축력이 제거 될 때에 열려 외부 공간S로부터 중간 공간(21)으로 향하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중간 공간(21) 내에 외기가 도입되어 외각(12)이 원활하게 원래의 모양으로 복귀한다.
밸브 부재(4)는 외기도입공(15)을 개폐 가능한 기능을 갖는 것이면 되고, 그 구성예로는 밸브 부재(4) 자체에 관통공 및 개폐 가능한 밸브를 설치하고, 이 밸브의 작동에 의해 관통공을 개폐하여 외기도입공(15)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나, 외기도입공(15)의 가장자리와 밸브 부재(4)사이의 간극을 밸브 부재(4)의 이동을 통해 개폐함으로써 밸브 부재(4)가 외기도입공(15)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 수있다. 전자인 밸브 부재(4)는 외기도입공(15)의 크기에 다소 차이가 있는 경우라도 밸브 부재(4)가 제대로 작동하기 때문에 특히 의약품(예: 안약) 용기 등의 소형 용기에 호적하게 적용된다.
여기서, 도 3을 이용하여 밸브 부재(4)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밸브 부재(4)는 외부 공간S와 중간 공간(21)을 연통시키도록 설치된 공동부(5g)를 갖는 통체(5), 공동부(5g)에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된 이동체(6)를 구비한다. 통체(5) 및 이동체(6)는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되며, 후술하는 스토퍼부(5h)를 극복하도록, 이동체(6)를 공동부(5g)에 밀어넣음으로써 이동체(6)는 공동부(5g)의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동부(5g)는 원기둥 모양에 가깝고, 이동체(6)는 구형에 가깝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모양이면 다른 모양이어도 된다. 공동부(5g)의 횡단면 (도 3 (d)의 단면)의 직경은 이동체(6)에 대응하는 단면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고, 이동체(6)가 도 3 (c)의 화살표 D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모양으로 되어 있다. 공동부(5g)의 횡단면의 직경/이동체(6)에 대응하는 단면의 직경으로 규정되는 비의 값은 1.01 ~ 1.2가 바람직하고, 1.05 ~ 1.15가 더 바람직하다. 이 값이 너무 작으면 이동체(6)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하고 이 값이 너무 크면 공동부(5g)를 둘러싼 면(5j)과 이동체(6) 사이의 간극이 너무 커져 용기본체(3)를 압축할 때 이동체(6)에 가해지는 힘이 부족해지기 쉽기 때문이다.
통체(5)는 외기도입공(15) 내에 배치되는 축부(5a)와, 축부(5a)의 외부 공간S 측에 설치되고 또한 통체(5)가 중간 공간(21)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계지부(5b), 및 축부(5a)의 중간 공간(21) 측에 설치되고 또한 통체(5)가 용기본체(3)의 외측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팽경부(5c)를 갖는다. 축부(5a)는 중간 공간(21) 측을 향해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축부(5a)의 외주면이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축부(5a)의 외주면이 외기도입공(15)의 변두리에 밀착함으로써, 통체(5)가 용기본체(3)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기도입공(15)의 가장자리와 통체(5) 사이의 간극을 줄일 수 있으며, 그 결과, 용기본체(3)를 압축할 때 중간 공간(21) 내의 공기가 외기도입공(15)의 변두리와 통체(5)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통체(5)는 축부(5a)의 외주면이 외기도입공(15)의 변두리에 밀착함으로써 용기본체(3)에 장착되기 때문에 팽경부(5c)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공동부(5g)를 둘러싸고 있는 면(5j)은 이동체(6)가 중간 공간(21) 측으로부터 외부 공간 S 측을 향해 이동할 때 이동체(6)를 계지하는 스토퍼부(5h)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부(5h)는 고리 모양의 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체(6)가 스토퍼부(5h)에 당접하면 공동부(5g)를 통한 공기의 유통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통체(5)의 선단은 평탄면(5d)이고, 평탄면(5d)에는 공동부(5g)에 연통하는 개구부(5e)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5e)는 평탄면(5d)의 중앙에 설치된 원형에 가까운 중앙개구부(5e1)와, 중앙개구부(5e1)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복수의 슬릿부(5e2)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이동체(6)가 공동부(5g)의 바닥부에 당접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공기의 흐름을 방해할 수 없다.
밸브 부재(4)는 도 3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경부(5c) 측으로부터 외기도입공(15) 내에 삽입되어 계지부(5b)가 외각(12)의 외면에 당접하는 위치까지 삽입되면, 축부(5a)의 외주면이 외기도입공(15)의 가장자리에 밀착한 상태에서 외각(12)에 유지된다. 중간 공간(21)에 공기가 들어있는 상태에서 외각(12)을 압축하면 중간 공간(21) 내의 공기가 개구부(5e)를 통해 공동부(5g)에 들어가 이동체(6)를 밀어 올려 스토퍼부(5h)에 당접시킨다. 이동체(6)가 스토퍼부(5h)에 당접하면 공동부(5g)를 통한 공기의 흐름이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외각(12)을 더 압축하면 중간 공간(21)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고, 그 결과 내측 주머니(14)가 압축되어 내측 주머니(14)의 내용물이 토출된다. 또한 외각(12)에 대한 압축력을 해제하면 외각(12)이 스스로의 탄성에 의해 복원하려고 한다. 외각(12)의 복원에 따라 중간 공간(21) 내부가 감압됨으로써, 도 3 (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6)에 대하여 용기 내측 방향의 힘 FI이 가해진다. 이에 따라 이동체(6)가 공동부(5g)의 바닥으로 이동하여 도 3 (f)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어 이동체(6)와 면(5j)의 간극 및 개구부(5e)를 통해 중간 공간(21) 내부에 외기가 도입된다.
밸브 부재(4)는 팽경부(5c)가 외기도입공(15)을 확대시키면서 팽경부(5c)를 중간 공간(21) 내에 삽입함으로써 용기본체(3)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팽경부(5c) 선단은 테이퍼 모양으로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밸브 부재(4)는 용기본체(3)의 외측으로부터 팽경부(5c)를 중간 공간(21) 내에 밀어 넣는 것만으로도 장착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뛰어나다. 또한, 통체(5)의 선단에 평탄면(5d)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 부재(4)를 중간 공간(21) 내에 밀어 넣었을 때 밸브 부재(4)의 선단이 내측 주머니(14) 에 충돌해도 내측 주머니(14)가 손상 받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외기도입공(15)의 주변에 구멍 주변 박리영역(33)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 부재(4)를 중간 공간(21) 내에 밀어 넣을 때 밸브 부재(4)의 충돌에 의한 내측 주머니(14) 의 손상이 더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그런데 내측 주머니(14) 내부의 내용물의 수분은 내측 주머니(14), 중간 공간(21) 및 외기도입공(15)을 경유하여 외부 공간S로 방출된다. 때문에 내용물이 충전된 적층박리용기(1)를 보관할 때에는 외기도입공(15)이 폐쇄되도록 피복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중간 공간(21) 내의 수분이 외부 공간 S로 방출되는 것이 억제되고, 상기 적층박리용기(1)의 수증기 투과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적층박리용기(1)를 사용할 때에는, 피복부재를 제거함으로써 외기도입공(15)을 개통시켜 중간 공간(21)에 외기를 도입할 수 있다. 피복부재는 수분투과성이 낮은 재료 (예: 알루미늄 등의 금속)로 형성된 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부재의 구체적인 구성예로서는 도 4 (a) ~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부재(4) 및 외기도입공(15)의 주위에 접착되는 밀봉 부재(8)를 설치하는 예를 들 수 있다. 도 4 (a)의 예에서는 밸브부재 설치오목부(7a) 주위에 밀봉 부재(8)을 부착하였다. 도 4 (b)의 예에서는 밸브부재 설치오목부(7a)에 밸브 부재(4) 및 외기도입공(15)을 둘러싸도록 설치한 환상(環狀) 돌출부(7d)에 밀봉 부재(8)를 부착하였다. 도 4 (c)의 예에서는 밸브 부재(4)에 밀봉 부재(8)를 부착하여 밸브 부재(4)의 공동부(5g)를 폐색하고 있다. 피복부재의 다른 구성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23)으로 밸브 부재(4) 및 외기도입공(15)의 주위를 덮는 예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뚜껑(23)이 피복부재로 된다. 도 4 (c)의 구성예를 제외하고 밸브 부재(4)는 생략 가능하다.
도1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7)의 바닥면(29)에는 오목영역(29a)과 오목영역(29a)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주변영역(29b)이 구비되고, 오목영역(29a)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면(29)으로부터 돌출되는 바닥 밀봉 돌출부(27)가 구비된다. 바닥 밀봉 돌출부(27)를 절곡함으로써, 용기본체(3)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용기본체(3)의 자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다음, 용기본체(3)의 층구성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용기본체(3)는 외층(11)과 내층(13)을 구비한다. 외층(11)은 복원력을 높이기 위해 내층(13)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층(13)은 용기 외면측에 설치된 EVOH층(13a)과 EVOH층(13a)의 용기 내면측에 설치된 내면층(13b)과 EVOH층(13a)과 내면층(13b) 사이에 설치된 접착층(13c)을 구비한다. EVOH층(13a)을 설치함으로써 산소 차단성 및 외층(11)으로부터의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층(13c)은 생략해도 된다.
EVOH층(13a)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EVOH) 수지로 이루어진 층이며, 에틸렌과 초산비닐공중합물의 가수분해에 의해 얻을 수 있다. EVOH 수지의 에틸렌 함량은 예를 들어 25 ~ 50mol%이고, 산소 차단성의 관점으로부터 32mol% 이하가 바람직하다. 에틸렌 함량의 하한은 특별히 규정되지 않았지만, 에틸렌 함량이 적을수록 EVOH층(13a)의 유연성이 저하되기 쉽기 때문에 25mol%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EVOH층(13a)은 산소 흡수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 흡수제를 EVOH층(13a)에 함유시킴으로써, EVOH층(13a)의 산소 차단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내면층(13b)은 적층박리용기(1)의 내용물과 접촉하는 층이며, 예를 들면, 저밀도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폴리에틸렌, 고밀도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그의 혼합물 등의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되고 저밀도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상 저밀도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내면층(13b)을 구성하는 수지의 인장탄성률은 50 ~ 300MPa이 바람직하고, 70 ~ 200MPa이 바람직하다. 인장탄성률이 이러한 범위의 경우, 내면층(13b)이 특히 유연하기 때문이다. 인장탄성률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50, 100, 150, 200, 250, 300Mpa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두개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접착층(13c)은 EVOH층(13a)과 내면층(13b)과 접착하는 기능을 갖는 층이며, 예를 들어 상술한 폴리올레핀에 카르복실기를 도입한 산변성 폴리올레핀(예: 무수말레인산 변성폴리에틸렌)을 첨가한 것이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이다. 접착층(13c)의 일례로는 저밀도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상 저밀도폴리에틸렌과 산변성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이다.
외층(11)은, 예를 들면, 저밀도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폴리에틸렌, 고밀도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 공중합체 및 그의 혼합물 등으로 구성된다. 외층(11)은 용기본체(3)의 성형 시에 나온 버(burr)를 재활용하여 사용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리플로우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층(11)은 리플로우층의 양측을 피복층에 끼워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층은 예를 들어, 저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고밀도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그의 혼합물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용기의 직경이 30mm 이하가 될 경우에는 외층(11)에 저밀도폴리에틸렌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용액을 토출시키기 위한 스퀴즈가 쉬워진다. 예를 들면, 외층(11)은 저밀도폴리에틸렌의 단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층(11)은 저밀도폴리에틸렌과, 성형 시의 버를 사용한 재활용재료와의 다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외층(11) 또는 내층(13)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블록 공중합체 중의 임의의 것이어도 되지만, 프로필렌랜덤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블록 공중합체에 비해 투명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투명성이 중요시되는 적층박리용기에서 특히 호적하게 사용된다. 프로필렌랜덤 공중합체는 프로필렌과 다른 모노머의 사이의 랜덤 공중합체이며, 프로필렌 이외의 모노머의 함량이 50mol% 미만이며, 5 ~ 35mol%가 바람직하다. 이 함량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5, 10, 15, 20, 25, 30mol%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프로필렌과 공중합되는 모노머로는 에틸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의 경우, 에틸렌의 함량은 5 ~ 30mol %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5, 10, 15, 20, 25, 30mol %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층(13)은 용기 외면측에 설치된 EVOH층(13a)과, EVOH층(13a)의 용기 내면측에 설치된 혼합 수지층(13d)과, EVOH층(13a)과 혼합 수지층(13d) 사이에 설치된 접착층(13c)을 구비해도 된다. EVOH층(13a)과 접착층(13c)의 설명은 상기와 같다.
혼합 수지층(13d)은 시클로올레핀 폴리머와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혼합 수지로 구성된다. 이러한 혼합 수지를 사용하여 구성된 혼합 수지층(13d)을 내층(13)에 포함되게 함으로써, 적층박리용기의 스퀴즈성, 낙하 균열 내성 및 수증기 비투과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는 약제흡착성이 낮기 때문에 혼합 수지층(13d)을 내층(13)의 가장 내층으로 사용하여 내층(13)에 대한 약제흡착을 억제할 수 있다.
혼합 수지층(13d)을 구성하는 혼합 수지는 ISO 527에 준거하여 측정된 인장탄성률이 바람직하게는 800 ~ 2000MPa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1900MPa이다. 이 인장탄성률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800, 850, 900, 950,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1300, 1350, 1400, 1450, 1500, 1550, 1600, 1650, 1700, 1750, 1800, 1850, 1900, 1950, 2000MPa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두개 사이의 범위 이어도 된다. 혼합 수지의 인장탄성률이 너무 크면 스퀴즈성이 악화되기 쉽다.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는, 주사슬 및/또는 곁사슬에 지방족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이다. 중합체의 지방족환식 구조로는, 포화환상탄화수소(시클로알칸)구조, 불포화 환상탄화수소(시클로알켄) 구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강도, 내열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시클로알칸 구조 및 시클로알켄 구조가 바람직하고 시클로알칸 구조가 가장 바람직하다.
지방족환식 구조를 구성하는 탄소원자수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보통 4 ~ 30 개, 바람직하게는 5 ~ 20 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5 개의 범위일 때, 기계적 강도, 내열성 및 성형성의 특성이 고도로 균형되어 호적하다.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중의 지방족환식구조를 갖는 반복 단위의 비율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면 되지만, 보통 5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이다.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중의 지방족환식 구조를 갖는 반복 단위의 비율이 지나치게 적으면 투명성 및 내열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시클로올레핀 폴리머의 지방족환식 구조를 갖는 반복 단위 이외의 잔부(殘部)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시클로올레핀 폴리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노보넨계 중합체를 들 수 있다. 노보넨계 중합체는, 예를 들면 특개평3-14882호 공보 및 특개평3-122137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공지의 중합체이며, 구체적으로는 노보넨계 모노머의 개환중합체, 노보넨계 모노머의 부가중합체, 노보넨계 모노머와 비닐화합물의 부가형 공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노보넨계 모노머는 분자 내에 노보넨 고리구조를 갖는 모노머이며, 구체적으로는, 비시클로[2.2.1]-헵타-2-엔, 5-에틸리덴-비시클로[2.2.1]-헵타-2-엔, 트리시클로[4.3.0.12,5]-데카-3,7-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이 노보넨계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수 있다.
비닐화합물로서는 노보넨계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것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1-헥센 등의 탄소수가 2 ~ 20개의 에틸렌 또는 α-올레핀;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시클로옥텐 등의 시클로 올레핀; 1,4-헥사디엔, 1,7-옥타디엔 등의 비공액디엔; 등이 있다. 이러한 비닐계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는 230 ℃에서 용융지수(MFR)가 3~20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15g/10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MFR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이 MFR은 ISO 1133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는 ISO 527에 준거하여 측정한 인장탄성률이 바람직하게는 1500 ~ 2500MPa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0 ~ 2100MPa이다. 이 인장탄성률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1500, 1600, 1700, 1800, 1900, 2000, 2100, 2200, 2300, 2400, 250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는 ISO 527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인장강도가 바람직하게는 10~100MPa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80MP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60MPa이다. 이 인장강도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MPa에서 있으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는 ISO 178에 준거하여 측정 된 굽힘탄성률이 바람직하게는 1500~2500MPa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0~2100MPa이다. 이 굽힘탄성률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1500, 1600, 1700, 1800, 1900, 2000, 2100, 2200, 2300, 2400, 250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스틸렌단위를 갖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며, 스틸렌계 공중합체(예를 들어, 스틸렌-에틸렌-스틸렌블록 공중합체(SES),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블록 공중합체(SBS), 스틸렌-이소프렌-스틸렌블록 공중합체(SIS), 스틸렌-부타디엔고무(SBR) 등), 수소 첨가된 스틸렌계 공중합체(예를 들어, 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틸렌블록 공중합체(SEPS), 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블록 공중합체(SEBS), 스틸렌-부틸렌부타디엔-스틸렌블록 공중합체(SBBS), 수소 첨가된 스틸렌-부타디엔고무(HSBR) 등) 등으로부터 선택된 1 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수소 첨가 스틸렌계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SEBS가 특히 바람직하다.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블록 공중합체인 경우, 스틸렌블록에 대한 비(非)스틸렌블록 (예를 들어, SEBS 경우 에틸렌부틸렌블록)의 질량비는 바람직하게는 0.1~10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2~5, 더 바람직하게는 0.5~2이다. 이 질량비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0.1, 0.2, 0.3, 0.4, 0.5, 0.6, 0.7, 0.8, 0.9, 1, 1.5, 2, 2.5, 3, 4, 5, 6, 7, 8, 9, 1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230 ℃에서의 융용지수 (MFR) 0.3~10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4~5g/10분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0.6~3g/10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MFR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0.3, 0.4, 0.5, 0.6, 0.7, 0.8, 0.9, 1, 1.1, 1.2, 1. 3, 1.4, 1.5, 2, 3, 4, 5, 6, 7, 8, 9, 1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 사이의 범위내 이어도 된다. 이 MFR은 ISO 1133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ISO 37에 준거하여 측정한 인장강도가 바람직하게는 10~80MPa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5~60MPa이다. 이 인장강도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MPa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시클로올레핀 폴리머에 대한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질량비(엘라스토머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0.1~2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25~1이다. 이 질량비는 0.1, 0.15, 0.2, 0.25, 0.3, 0.35, 0.4, 0.45, 0.5, 0.55, 0.6, 0.65, 0.7, 0.75, 0.8, 0.85, 0.9, 0.95, 1, 1.1, 1.2, 1.3, 1.4, 1.5, 1.6, 1.7, 1.8, 1.9, 2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혼합 수지층(13d)보다 용기 내면측에 다른 내면층을 설치해도 된다. 이 내면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의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로 이루어진 층을 사용할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 폴리머는 약제흡착성이 낮기 때문에 혼합 수지층(13d)의 내측에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층을 설치함으로써 약제흡착성을 더욱 낮출 수 있다. 또한, 시클로올레핀 폴리머층의 두께를 크게 하면 스퀴즈성이 악화되기 쉽기 때문에 혼합 수지층에 대한 시클로올레핀 폴리머층의 두께의 비는 0.1~1이 바람직하고, 0.1~0.5가 더 바람직하다. 이 두께의 비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0.1, 0.2, 0.3, 0.4, 0.5, 0.6, 0.7, 0.8, 0.9, 1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형태로도 실시 가능하다.
·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외기도입공(15)은 수용부(7)에 설치했지만, 입구부(9)에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입구부(9)에 장착하는 뚜껑에 체크 밸브를 내장해도 된다. 이 경우, 구멍 주변 박리영역은 불필요하다.
· 밸브 부재(4)를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 내용물의 토출 시에 손가락 등으로 외기도입공(15)을 막거나 또는 외각(12)을 크게 변형시켜 외각(12)에서 내측 주머니(14)를 직접 압박함으로써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실시예]
다음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제 1 관점의 효과를 입증하는 것이다.
외층(LDPE 층) / 내층(EVOH층/접착층/최내층)의 층구성을 가지고 또한 도 7과 같은 모양을 가진 적층박리용기본체를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했다. 최내층의 수지 조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기타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입구부의 직경: 18mm
적층박리용기본체의 용량: 15mL
외층의 두께: 0.45mm
내층의 두께: 0.15mm (EVOH층: 0.03mm, 접착층: 0.03mm, 최내층: 0.09mm)
LDPE: 선텍 F2206
EVOH: 소아노르 ST230
접착층: 제라스 MC721APR5
COP: 제오넥크스 5000 (주사슬에 시클로 펜탄 구조를 가지는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SEBS : 터프텍 H1051
PET: 크라펫트 KS710B-8S
PP : 엑셀렌 FH3711F6
얻어진 적층박리용기본체에 대해 다음과 같은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함께 제시했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든 실시예는 모든 평가항목에서 뛰어난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약제흡착의 관점으로 볼 때, 실시예에서 SEBS의 비율이 적을수록 약제의 흡착량이 작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SEBS의 비율이 30 % 이하일 때에, SEBS가 COP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섬(sea-island) 구조를 만들기 쉽고, 약제의 흡착량이 COP 단체의 것에 가깝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즉, 탄성비율은 0.5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인장탄성률>
최내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대해 ISO 527에 준거하여 인장탄성률을 측정했다.
<스퀴즈성>
적층박리용기본체의 내층을 외층으로부터 예비 박리하고 입구부가 하방을 향한 상태로 설치했다. 다음, 패널부(7c)의 반대측의 면에 Φ16mm 판을 고정하고, Φ16mm 판을 설치한 푸시풀 게이지(push-pull gauge)로 패널부(7c) 측으로부터 밀어 넣고, 15mm 밀어 넣는데 필요한 스퀴즈력을 측정했다. 측정된 스퀴즈력에 근거하여 다음의 기준으로 스퀴즈성을 평가했다.
◎: 스퀴즈력 ≤ 28N
○: 28N <스퀴즈력 ≤ 32N
×: 32N <스퀴즈력
<낙하 균열 내성>
적층박리용기본체 내에 물을 10mL 충전하고 알루미늄 실(seal)로 밀봉했다. 그 후, 5 ℃ 항온기에 48hr 이상 방치하고, 낙하 높이 1.5m에서 용기본체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5 회, 용기본체를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5 회 낙하시켰다. 그 후, 용기본체의 파손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낙하 균열 내성을 평가했다. 10개의 샘플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하여 1 개 이상의 용기본체에 파손이 확인된 경우의 낙하 균열 내성을 Х로, 모든 샘플에 파손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의 낙하 균열 내성을 ○로 했다. 비교예 1에서는, 1 개의 샘플에서 바닥부의 파팅 라인 부근에서 핀홀(pin hole)이 확인되고, 비교예 4에서는 3 개의 샘플 중에서 수평 낙하 후에 외기도입공 부근에서 작은 구멍이 확인되었다.
<수증기 비투과성>
적층박리용기본체 내에 물을 10mL 충전하고, 알루미늄 실로 밀봉했다. 그 후, 20 ℃ Х 65 % RH 조건의 항온조에 보관하고, 2주 보관했을 때의 수증기 투과량을 측정했다. 측정된 수증기 투과량으로부터 수증기 투과율 (= 수증기 투과량/10mL)을 계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수증기 비투과성을 평가했다.
◎: 수증기투과율 ≤ 0.025 %
○: 0.025 <수증기투과율 ≤ 0.030 %
×: 0.030 % <수증기투과율
1: 적층박리용기
3: 용기본체
4: 밸브 부재
5: 통체
6: 이동체
7: 수용부
9: 입구부
11: 외층
12: 외각
13: 내층
14: 내측 주머니
15: 외기도입공
21: 중간 공간
23: 뚜껑
27: 바닥봉인돌출부
33: 구멍 주변박리영역
34: 비박리영역
3: 용기본체
4: 밸브 부재
5: 통체
6: 이동체
7: 수용부
9: 입구부
11: 외층
12: 외각
13: 내층
14: 내측 주머니
15: 외기도입공
21: 중간 공간
23: 뚜껑
27: 바닥봉인돌출부
33: 구멍 주변박리영역
34: 비박리영역
Claims (13)
- 외각과 내측 주머니를 가지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 주머니가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구비한 적층박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 주머니를 구성하는 내층은 시클로올레핀 폴리머와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혼합 수지로 구성된 혼합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수소 첨가된 스틸렌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적층박리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수지에서 상기 시클로올레핀 폴리머에 대한 상기 스틸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질량비가 0.1 ~ 2인 적층박리용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첨가 스틸렌계 공중합체는 스틸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적층박리용기. -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은 상기 혼합 수지층보다 용기 외측에 EVOH 수지로 구성된 EVOH층을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 - 외각과 내측 주머니를 갖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 주머니가 상기 외각으로부터 박리하여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구비한 적층박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각은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 주머니 사이의 중간 공간과, 상기 용기본체의 외부 공간을 연통하는 외기도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외기도입공을 둘러싸도록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 주머니가 박리되지 않는 비박리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비박리영역과 상기 외기도입공 사이에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 주머니가 박리되는 구멍 주변 박리영역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측 주머니에 상기 내용물이 수용되기 전의 시점에서, (상기 구멍 주변 박리영역의 면적)/(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 주머니의 계면영역의 면적)의 값이 0.01 내지 0.1인 적층박리용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도입공을 폐쇄하도록 설치된 피복부재를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공간과 상기 외부 공간 사이의 공기의 출입을 조절하는 밸브 부재를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 - 삭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 주머니의 계면영역 중 상기 구멍 주변 박리영역 이외의 영역이 상기 비박리영역인 적층박리용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 주머니가 박리되는 이간 박리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이간 박리영역과 상기 외기도입공 사이에 상기 비박리영역이 설치되는 적층박리용기. - 삭제
- 제6항, 제7항, 제8항, 제10항 및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입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기도입공은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적층박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215261 | 2015-10-30 | ||
JP2015215261A JP6627428B2 (ja) | 2015-10-30 | 2015-10-30 | 積層剥離容器 |
JPJP-P-2016-062563 | 2016-03-25 | ||
JP2016062563A JP6683921B2 (ja) | 2016-03-25 | 2016-03-25 | 積層剥離容器 |
PCT/JP2016/082041 WO2017073721A1 (ja) | 2015-10-30 | 2016-10-28 | 積層剥離容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5548A KR20180075548A (ko) | 2018-07-04 |
KR102641455B1 true KR102641455B1 (ko) | 2024-02-26 |
Family
ID=58631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13413A KR102641455B1 (ko) | 2015-10-30 | 2016-10-28 | 적층박리용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494132B2 (ko) |
EP (1) | EP3369669B1 (ko) |
KR (1) | KR102641455B1 (ko) |
CN (1) | CN108349619B (ko) |
WO (1) | WO201707372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597562B1 (en) * | 2017-03-15 | 2021-10-13 | Kyoraku Co., Ltd. | Delamination container |
WO2018218311A1 (en) | 2017-06-02 | 2018-12-06 | Bransgrove Brandon | Diagnostic test unit for analysing body fluid |
JP7004898B2 (ja) | 2017-08-21 | 2022-02-10 | キョーラク株式会社 | 積層剥離容器及び積層剥離容器のエアリーク検査方法 |
WO2019216245A1 (ja) * | 2018-05-08 | 2019-11-14 | Mcppイノベーション合同会社 | 積層体、容器及び輸液バッグ |
JP7235947B2 (ja) * | 2018-05-28 | 2023-03-09 | キョーラク株式会社 | 積層剥離容器 |
JP7352063B2 (ja) * | 2018-08-31 | 2023-09-28 | キョーラク株式会社 | 容器 |
CN116280581A (zh) * | 2018-05-28 | 2023-06-23 | 京洛株式会社 | 容器 |
JP7037058B2 (ja) * | 2018-07-12 | 2022-03-16 | キョーラク株式会社 | 積層剥離容器の製造方法 |
JP7100252B2 (ja) * | 2018-07-12 | 2022-07-13 | キョーラク株式会社 | 積層剥離容器の製造方法 |
WO2020013222A1 (ja) * | 2018-07-12 | 2020-01-16 | キョーラク株式会社 | 積層剥離容器の製造方法及び積層剥離容器 |
JP7072999B2 (ja) * | 2018-11-30 | 2022-05-23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合成樹脂製容器、及び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
TWI753765B (zh) | 2021-02-02 | 2022-01-21 | 塞席爾商日勤包裝科技股份有限公司 | 積層剝離容器 |
US20220388739A1 (en) * | 2021-06-07 | 2022-12-08 | Brandon Bransgrove | Self-sealing container closur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16516A (ja) | 2010-11-30 | 2012-06-21 | Yoshino Kogyosho Co Ltd | 積層剥離容器 |
JP2014231392A (ja) * | 2013-04-30 | 2014-12-11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積層ボトル |
JP2015163531A (ja) * | 2014-01-28 | 2015-09-10 | キョーラク株式会社 | 積層剥離容器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92058A (en) * | 1979-12-26 | 1981-07-25 | Mitsubishi Petrochemical Co | Laminate |
US5301838A (en) * | 1991-01-23 | 1994-04-12 |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 Multilayer bottle with separable inner layer and method for forming same |
US5509738A (en) | 1994-08-05 | 1996-04-23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Composite journal and thrust bearing system |
JP3650175B2 (ja) | 1995-09-13 | 2005-05-18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積層プラスチックボトル |
DE69618399T2 (de) | 1995-03-10 | 2002-09-26 | Yoshino Kogyosho Co., Ltd. | Stanzmethode bei mehrschichtbehälter |
JPH10129792A (ja) * | 1996-11-05 | 1998-05-19 | Nippon Zeon Co Ltd | 容 器 |
JP4586223B2 (ja) * | 1999-11-19 | 2010-11-24 | 大成化工株式会社 | 吐出容器 |
JP4375704B2 (ja) * | 2003-01-27 | 2009-12-02 | 大和製罐株式会社 | 金属缶の開口カール部製造方法 |
JP4357183B2 (ja) * | 2003-02-14 | 2009-11-04 | 大成化工株式会社 | 積層剥離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
JP4232899B2 (ja) | 2003-08-29 | 2009-03-04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デラミボトル |
US7052752B2 (en) * | 2003-09-16 | 2006-05-30 | Kao Corporation | Container for oxidation dye |
US8091730B2 (en) * | 2008-12-15 | 2012-01-10 | Granola BeBe LLC | Readily cleanable spill-resistant drinking vessel and valve |
US20120021151A1 (en) * | 2010-04-15 | 2012-01-26 | Tatarka Paul D | Transparent, Flexible Products Made With Partially Crystalline Cycloolefin Elastomer |
JP5975032B2 (ja) * | 2011-06-30 | 2016-08-23 | Jnc株式会社 | 耐候性積層フィルム |
CA2908219C (en) * | 2013-03-29 | 2021-02-02 | Yoshino Kogyosho Co., Ltd. | Laminated bottle |
CN105764798B (zh) | 2013-11-27 | 2018-07-10 | 京洛株式会社 | 层叠剥离容器 |
-
2016
- 2016-10-28 WO PCT/JP2016/082041 patent/WO201707372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10-28 US US15/771,265 patent/US10494132B2/en active Active
- 2016-10-28 EP EP16859949.6A patent/EP3369669B1/en active Active
- 2016-10-28 CN CN201680062898.2A patent/CN108349619B/zh active Active
- 2016-10-28 KR KR1020187013413A patent/KR10264145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16516A (ja) | 2010-11-30 | 2012-06-21 | Yoshino Kogyosho Co Ltd | 積層剥離容器 |
JP2014231392A (ja) * | 2013-04-30 | 2014-12-11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積層ボトル |
JP2015163531A (ja) * | 2014-01-28 | 2015-09-10 | キョーラク株式会社 | 積層剥離容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369669B1 (en) | 2022-02-23 |
WO2017073721A1 (ja) | 2017-05-04 |
CN108349619A (zh) | 2018-07-31 |
EP3369669A1 (en) | 2018-09-05 |
KR20180075548A (ko) | 2018-07-04 |
US20180312290A1 (en) | 2018-11-01 |
EP3369669A4 (en) | 2019-02-20 |
CN108349619B (zh) | 2020-06-30 |
US10494132B2 (en) | 2019-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41455B1 (ko) | 적층박리용기 | |
KR102093254B1 (ko) | 적층박리용기 | |
US10046893B2 (en) | Pattenred film for forming fluid-filled blister, microfluidic blister, and kit and method of forming | |
CN109071059B (zh) | 层叠剥离容器 | |
WO2009066752A1 (ja) | 環状ポリオレフィン層を含むプラスチック容器 | |
JP5217549B2 (ja) | インモールドラベル方式プラスチック容器 | |
CN102149607A (zh) | 多层液体容器 | |
CN114585565A (zh) | 树脂制容器及树脂制容器连结体 | |
JP6683921B2 (ja) | 積層剥離容器 | |
US20210015705A1 (en) | Multilayer Body, Container and Infusion Bag | |
JP6794251B2 (ja) | 二重容器 | |
JP6627428B2 (ja) | 積層剥離容器 | |
JP7285432B2 (ja) | 二重容器 | |
CN114585566A (zh) | 树脂制容器及树脂制容器连结体 | |
JP6794252B2 (ja) | 二重容器 | |
JP7360238B2 (ja) | 樹脂製のブロー・フィル・シール成形容器 | |
KR200450674Y1 (ko) | 복수 챔버를 갖는 넌-피브이씨 의료용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