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050B1 -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49050B1 KR102649050B1 KR1020160160242A KR20160160242A KR102649050B1 KR 102649050 B1 KR102649050 B1 KR 102649050B1 KR 1020160160242 A KR1020160160242 A KR 1020160160242A KR 20160160242 A KR20160160242 A KR 20160160242A KR 102649050 B1 KR102649050 B1 KR 1026490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light emitting
- group
- emitting diode
- organic compound
- Prior art date
Links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8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9
- 230000005525 hole transpor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5
- -1 diphenylmethylenefluore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5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5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150000001340 alkali metal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10052784 alkalin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50000001342 alkaline earth metal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25000001424 substituent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9
- 125000003983 fluor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2C3=CC=CC=C3CC12)*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2044 organic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25000005509 dibenzothiophe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4
- YZCKVEUIGOORGS-OUBTZVSYSA-N Deuterium Chemical compound [2H] YZCKVEUIGOORGS-OUBTZVS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YZCKVEUIGOORGS-NJFSPNSNSA-N Tritium Chemical compound [3H] YZCKVEUIGOORGS-NJFSPNSN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805 deute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50000002431 hydrogen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0843 phenylene group Chemical group C1(=C(C=CC=C1)*)*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22 trit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0732 ar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3837 (C1-C20)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125000003277 amino group Chemical group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125000004433 nitrogen atom Chemical group N*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2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8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0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0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8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7
- 239000002019 dop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MFRIHAYPQRLWNB-UHFFFAOYSA-N sodium tert-butoxide Chemical compound [Na+].CC(C)(C)[O-] MFRIHAYPQRLW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2
- CYPYTURSJDMMMP-WVCUSYJESA-N (1e,4e)-1,5-diphenylpenta-1,4-dien-3-one;palladium Chemical compound [Pd].[Pd].C=1C=CC=CC=1\C=C\C(=O)\C=C\C1=CC=CC=C1.C=1C=CC=CC=1\C=C\C(=O)\C=C\C1=CC=CC=C1.C=1C=CC=CC=1\C=C\C(=O)\C=C\C1=CC=CC=C1 CYPYTURSJDMMMP-WVCUSYJESA-N 0.000 description 20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125000001072 hetero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7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7
- AWXGSYPUMWKTBR-UHFFFAOYSA-N 4-carbazol-9-yl-n,n-bis(4-carbazol-9-yl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12=CC=CC=C2C2=CC=CC=C2N1C1=CC=C(N(C=2C=CC(=CC=2)N2C3=CC=CC=C3C3=CC=CC=C32)C=2C=CC(=CC=2)N2C3=CC=CC=C3C3=CC=CC=C32)C=C1 AWXGSYPUMWKTB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101000837344 Homo sapiens T-cell leukemia translocation-altered gene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6
- 102100028692 T-cell leukemia translocation-altered gene prote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4252 FT/ICR mass spect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IBHBKWKFFTZAHE-UHFFFAOYSA-N n-[4-[4-(n-naphthalen-1-ylanilino)phenyl]phenyl]-n-phenylnaphthalen-1-amine Chemical compound C1=CC=CC=C1N(C=1C2=CC=CC=C2C=CC=1)C1=CC=C(C=2C=CC(=CC=2)N(C=2C=CC=CC=2)C=2C3=CC=CC=C3C=CC=2)C=C1 IBHBKWKFFTZAH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BWHDROKFUHTORW-UHFFFAOYSA-N tritert-butylphosphane Chemical compound CC(C)(C)P(C(C)(C)C)C(C)(C)C BWHDROKFUHTOR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IXHWGNYCZPISET-UHFFFAOYSA-N 2-[4-(dicyanomethylidene)-2,3,5,6-tetrafluorocyclohexa-2,5-dien-1-ylidene]propanedinitrile Chemical compound FC1=C(F)C(=C(C#N)C#N)C(F)=C(F)C1=C(C#N)C#N IXHWGNYCZPISE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7983 Tris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IOJUPLGTWVMSFF-UHFFFAOYSA-N benzothiazole Chemical compound C1=CC=C2SC=NC2=C1 IOJUPLGTWVMSF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401 electrolumin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1467 poly(styrenesulfonates)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GMEQIEASMOFEOC-UHFFFAOYSA-N 4-[3,5-bis[4-(4-methoxy-n-(4-methoxyphenyl)anilino)phenyl]phenyl]-n,n-bis(4-methoxy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1=CC(OC)=CC=C1N(C=1C=CC(=CC=1)C=1C=C(C=C(C=1)C=1C=CC(=CC=1)N(C=1C=CC(OC)=CC=1)C=1C=CC(OC)=CC=1)C=1C=CC(=CC=1)N(C=1C=CC(OC)=CC=1)C=1C=CC(OC)=CC=1)C1=CC=C(OC)C=C1 GMEQIEASMOFEO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29920001609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MUALRAIOVNYAIW-UHFFFAOYSA-N binap Chemical compound C1=CC=CC=C1P(C=1C(=C2C=CC=CC2=CC=1)C=1C2=CC=CC=C2C=CC=1P(C=1C=CC=CC=1)C=1C=CC=CC=1)C1=CC=CC=C1 MUALRAIOVNYAI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DMVOXQPQNTYEKQ-UHFFFAOYSA-N biphenyl-4-amine Chemical compound C1=CC(N)=CC=C1C1=CC=CC=C1 DMVOXQPQNTYEK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XCJYREBRNVKWGJ-UHFFFAOYSA-N copper(II) phthalocyanine Chemical compound [Cu+2].C12=CC=CC=C2C(N=C2[N-]C(C3=CC=CC=C32)=N2)=NC1=NC([C]1C=CC=CC1=1)=NC=1N=C1[C]3C=CC=CC3=C2[N-]1 XCJYREBRNVKWG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481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125000005842 heteroatom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BCMCBBGGLRIHSE-UHFFFAOYSA-N 1,3-benzoxazole Chemical compound C1=CC=C2OC=NC2=C1 BCMCBBGGLRIHS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SPDPTFAJSFKAMT-UHFFFAOYSA-N 1-n-[4-[4-(n-[4-(3-methyl-n-(3-methylphenyl)anilino)phenyl]anilino)phenyl]phenyl]-4-n,4-n-bis(3-methylphenyl)-1-n-phenylbenzene-1,4-d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C(N(C=2C=CC(=CC=2)N(C=2C=CC=CC=2)C=2C=CC(=CC=2)C=2C=CC(=CC=2)N(C=2C=CC=CC=2)C=2C=CC(=CC=2)N(C=2C=C(C)C=CC=2)C=2C=C(C)C=CC=2)C=2C=C(C)C=CC=2)=C1 SPDPTFAJSFKAM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UJOBWOGCFQCDNV-UHFFFAOYSA-N 9H-carbazole Chemical compound C1=CC=C2C3=CC=CC=C3NC2=C1 UJOBWOGCFQCDN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IMKMFBIYHXBKRX-UHFFFAOYSA-M lithium;quinoline-2-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Li+].C1=CC=CC2=NC(C(=O)[O-])=CC=C21 IMKMFBIYHXBKRX-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HYZJCKYKOHLVJF-UHFFFAOYSA-N 1H-benzimidazole Chemical compound C1=CC=C2NC=NC2=C1 HYZJCKYKOHLV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VOZBMWWMIQGZGM-UHFFFAOYSA-N 2-[4-(9,10-dinaphthalen-2-ylanthracen-2-yl)phenyl]-1-phenylbenzimidazole Chemical compound C1=CC=CC=C1N1C2=CC=CC=C2N=C1C1=CC=C(C=2C=C3C(C=4C=C5C=CC=CC5=CC=4)=C4C=CC=CC4=C(C=4C=C5C=CC=CC5=CC=4)C3=CC=2)C=C1 VOZBMWWMIQGZG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ZOKIJILZFXPFTO-UHFFFAOYSA-N 4-methyl-n-[4-[1-[4-(4-methyl-n-(4-methylphenyl)anilino)phenyl]cyclohexyl]phenyl]-n-(4-methyl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1=CC(C)=CC=C1N(C=1C=CC(=CC=1)C1(CCCCC1)C=1C=CC(=CC=1)N(C=1C=CC(C)=CC=1)C=1C=CC(C)=CC=1)C1=CC=C(C)C=C1 ZOKIJILZFXPFT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DIVZFUBWFAOMCW-UHFFFAOYSA-N 4-n-(3-methylphenyl)-1-n,1-n-bis[4-(n-(3-methylphenyl)anilino)phenyl]-4-n-phenylbenzene-1,4-d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C(N(C=2C=CC=CC=2)C=2C=CC(=CC=2)N(C=2C=CC(=CC=2)N(C=2C=CC=CC=2)C=2C=C(C)C=CC=2)C=2C=CC(=CC=2)N(C=2C=CC=CC=2)C=2C=C(C)C=CC=2)=C1 DIVZFUBWFAOM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DGEZNRSVGBDHLK-UHFFFAOYSA-N [1,10]phenanthroline Chemical compound C1=CN=C2C3=NC=CC=C3C=CC2=C1 DGEZNRSVGBDHL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40031993 lithium benzoate Drugs 0.000 description 5
- LDJNSLOKTFFLSL-UHFFFAOYSA-M lithium;benzoate Chemical compound [Li+].[O-]C(=O)C1=CC=CC=C1 LDJNSLOKTFFLSL-UHFFFAOYSA-M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3852 triazo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125000001637 1-naphth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2C(*)=C([H])C([H])=C([H])C2=C1[H] 0.000 description 4
- 229910016036 BaF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MZRVEZGGRBJDDB-UHFFFAOYSA-N N-Butyllithium Chemical compound [Li]CCCC MZRVEZGGRBJDD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MWPLVEDNUUSJAV-UHFFFAOYSA-N anthracene Chemical compound C1=CC=CC2=CC3=CC=CC=C3C=C21 MWPLVEDNUUSJA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25000003710 aryl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305 bipheny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2529 biphenyl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2C3=CC=CC=C3C12)*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4820 hal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4475 heteroar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WCPAKWJPBJAGKN-UHFFFAOYSA-N oxadiazole Chemical compound C1=CON=N1 WCPAKWJPBJAG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NFHFRUOZVGFOOS-UHFFFAOYSA-N palladium;triphenylphosphane Chemical compound [Pd].C1=CC=CC=C1P(C=1C=CC=CC=1)C1=CC=CC=C1.C1=CC=CC=C1P(C=1C=CC=CC=1)C1=CC=CC=C1.C1=CC=CC=C1P(C=1C=CC=CC=1)C1=CC=CC=C1.C1=CC=CC=C1P(C=1C=CC=CC=1)C1=CC=CC=C1 NFHFRUOZVGFOO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BWHMMNNQKKPAPP-UHFFFAOYSA-L potass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K+].[K+].[O-]C([O-])=O BWHMMNNQKKPAP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125000001725 pyre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
- 125000001567 quinoxalinyl group Chemical group N1=C(C=NC2=CC=CC=C12)* 0.000 description 4
- 229910002027 silica g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41 silica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RYYKJJJTJZKILX-UHFFFAOYSA-M sodium octadecano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CCCCCC([O-])=O RYYKJJJTJZKILX-UHFFFAOYSA-M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3003 spiro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
- JYEUMXHLPRZUAT-UHFFFAOYSA-N 1,2,3-triazine Chemical compound C1=CN=NN=C1 JYEUMXHLPRZUA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UOXJNGFFPMOZDM-UHFFFAOYSA-N 2-[di(propan-2-yl)amino]ethylsulfanyl-methylphosphinic acid Chemical compound CC(C)N(C(C)C)CCSP(C)(O)=O UOXJNGFFPMOZD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HNWFFTUWRIGBNM-UHFFFAOYSA-N 2-methyl-9,10-dinaphthalen-2-ylanthracene Chemical compound C1=CC=CC2=CC(C3=C4C=CC=CC4=C(C=4C=C5C=CC=CC5=CC=4)C4=CC=C(C=C43)C)=CC=C21 HNWFFTUWRIGB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GJWBRYKOJMOBHH-UHFFFAOYSA-N 9,9-dimethyl-n-[4-(9-phenylcarbazol-3-yl)phenyl]-n-(4-phenylphenyl)fluoren-2-amine Chemical compound C1=C2C(C)(C)C3=CC=CC=C3C2=CC=C1N(C=1C=CC(=CC=1)C=1C=C2C3=CC=CC=C3N(C=3C=CC=CC=3)C2=CC=1)C(C=C1)=CC=C1C1=CC=CC=C1 GJWBRYKOJMOBH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RAPHUPWIHDYTKU-WXUKJITCSA-N 9-ethyl-3-[(e)-2-[4-[4-[(e)-2-(9-ethylcarbazol-3-yl)ethenyl]phenyl]phenyl]ethenyl]carbazole Chemical group C1=CC=C2C3=CC(/C=C/C4=CC=C(C=C4)C4=CC=C(C=C4)/C=C/C=4C=C5C6=CC=CC=C6N(C5=CC=4)CC)=CC=C3N(CC)C2=C1 RAPHUPWIHDYTKU-WXUKJITCSA-N 0.000 description 3
- KAKZBPTYRLMSJV-UHFFFAOYSA-N Butadiene Chemical group C=CC=C KAKZBPTYRLMSJ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CUJRVFIICFDLGR-UHFFFAOYSA-N acetylacetonate Chemical compound CC(=O)[CH-]C(C)=O CUJRVFIICFDLG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8 ba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1997 phen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 0.000 description 3
- 125000004592 phthalazinyl group Chemical group C1(=NN=CC2=CC=CC=C12)*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3808 silyl group Chemical group [H][Si]([H])([H])[*]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12 stront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YJTKZCDBKVTVBY-UHFFFAOYSA-N 1,3-Diphenylbenzene Chemical group C1=CC=CC=C1C1=CC=CC(C=2C=CC=CC=2)=C1 YJTKZCDBKVTVB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HXOHPVVEHBKKT-UHFFFAOYSA-N 1-(2,2-diphenylethenyl)-4-[4-(2,2-diphenylethenyl)phenyl]benzene Chemical group C=1C=C(C=2C=CC(C=C(C=3C=CC=CC=3)C=3C=CC=CC=3)=CC=2)C=CC=1C=C(C=1C=CC=CC=1)C1=CC=CC=C1 UHXOHPVVEHBKK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CCUXODGPMAHRL-UHFFFAOYSA-N 1-bromo-4-iodobenzene Chemical compound BrC1=CC=C(I)C=C1 UCCUXODGPMAHR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NCMQRWVMWLODV-UHFFFAOYSA-N 1-phenylbenzimidazole Chemical compound C1=NC2=CC=CC=C2N1C1=CC=CC=C1 XNCMQRWVMWLOD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BAJPWYDYFEBTF-UHFFFAOYSA-N 2-tert-butyl-9,10-dinaphthalen-2-ylanthracene Chemical compound C1=CC=CC2=CC(C3=C4C=CC=CC4=C(C=4C=C5C=CC=CC5=CC=4)C4=CC=C(C=C43)C(C)(C)C)=CC=C21 OBAJPWYDYFEBT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VFQEOPUXVPSLB-UHFFFAOYSA-N 3-(4-tert-butylphenyl)-4-phenyl-5-(4-phenylphenyl)-1,2,4-triazole Chemical compound C1=CC(C(C)(C)C)=CC=C1C(N1C=2C=CC=CC=2)=NN=C1C1=CC=C(C=2C=CC=CC=2)C=C1 ZVFQEOPUXVPSL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GGKVJMNFFSDEV-UHFFFAOYSA-N 3-methyl-n-[4-[4-(n-(3-methylphenyl)anilino)phenyl]phenyl]-n-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C1=CC=CC(N(C=2C=CC=CC=2)C=2C=CC(=CC=2)C=2C=CC(=CC=2)N(C=2C=CC=CC=2)C=2C=C(C)C=CC=2)=C1 OGGKVJMNFFSD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DHDHJYNTEFLIHY-UHFFFAOYSA-N 4,7-diphenyl-1,10-phenanthroli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1=CC=NC2=C1C=CC1=C(C=3C=CC=CC=3)C=CN=C21 DHDHJYNTEFLIH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VMUGTFNHXHZIP-UHFFFAOYSA-N 4-[3,5-bis[4-(n-phenylanilino)phenyl]phenyl]-n,n-di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1=CC=CC=C1N(C=1C=CC(=CC=1)C=1C=C(C=C(C=1)C=1C=CC(=CC=1)N(C=1C=CC=CC=1)C=1C=CC=CC=1)C=1C=CC(=CC=1)N(C=1C=CC=CC=1)C=1C=CC=CC=1)C1=CC=CC=C1 XVMUGTFNHXH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NPURSDMOWDNOQ-UHFFFAOYSA-N 4-methoxy-7h-pyrrolo[2,3-d]pyrimidin-2-amine Chemical compound COC1=NC(N)=NC2=C1C=CN2 CNPURSDMOWDNO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SFHYNDMGZXWXBU-LIMNOBDPSA-N 6-amino-2-[[(e)-(3-formylphenyl)methylideneamino]carbamoylamino]-1,3-dioxobenzo[de]isoquinoline-5,8-di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1C(C2=3)=CC(S(O)(=O)=O)=CC=3C(N)=C(S(O)(=O)=O)C=C2C(=O)N1NC(=O)N\N=C\C1=CC=CC(C=O)=C1 SFHYNDMGZXWXBU-LIMNOBDPSA-N 0.000 description 2
- MZYDBGLUVPLRKR-UHFFFAOYSA-N 9-(3-carbazol-9-ylphenyl)carbazole Chemical compound C12=CC=CC=C2C2=CC=CC=C2N1C1=CC(N2C3=CC=CC=C3C3=CC=CC=C32)=CC=C1 MZYDBGLUVPLRK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LXLAEXVIDQMFP-UHFFFAOYSA-N Ammonia chloride Chemical compound [NH4+].[Cl-] NLXLAEXVIDQMF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AYRUJLWNCNPSJ-UHFFFAOYSA-N Aniline Chemical compound NC1=CC=CC=C1 PAYRUJLWNCNPS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SIKJAQJRHWYJAI-UHFFFAOYSA-N Indole Chemical compound C1=CC=C2NC=CC2=C1 SIKJAQJRHWYJA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SGDYZCDUPSTQT-UHFFFAOYSA-N N-[5-bromo-1-[(4-fluorophenyl)methyl]-4-methyl-2-oxopyridin-3-yl]cycloheptane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c1c(Br)cn(Cc2ccc(F)cc2)c(=O)c1NC(=O)C1CCCCCC1 NSGDYZCDUPST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4205 SiNX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641 acridi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2=NC3=CC=CC=C3C=C12)*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178 anthrac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2=CC3=CC=CC=C3C=C12)*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828 azule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499 benzofuranyl group Chemical group O1C(=CC2=C1C=CC=C2)*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196 benzothienyl group Chemical group S1C(=CC2=C1C=CC=C2)*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609 carbazol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2C3=CC=CC=C3NC12)*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230 chromenyl group Chemical group O1C(C=CC2=CC=CC=C12)*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676 chrys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2C3=CC=C4C=CC=CC4=C3C=CC12)* 0.000 description 2
- 125000005584 chrysen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259 cinnolinyl group Chemical group N1=NC(=CC2=CC=CC=C12)*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96 coordination complex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39 density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DKHNGUNXLDCATP-UHFFFAOYSA-N dipyrazino[2,3-f:2',3'-h]quinoxaline-2,3,6,7,10,11-hexacarbonitrile Chemical compound C12=NC(C#N)=C(C#N)N=C2C2=NC(C#N)=C(C#N)N=C2C2=C1N=C(C#N)C(C#N)=N2 DKHNGUNXLDCA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81 excite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914 fluoranth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2C=CC=C3C4=CC=CC=C4C1=C23)* 0.000 description 2
- 125000005843 halogen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25000005549 heteroar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25000006588 heterocycloalk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770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group [H]*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427 indace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453 indazolyl group Chemical group N1N=C(C2=C1C=CC=C2)*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454 ind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2=CC=CC=C12)*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406 indolizinyl group Chemical group C=1(C=CN2C=CC=CC12)*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041 indol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904 isoindolyl group Chemical group C=1(NC=C2C=CC=CC12)*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183 isoquinolinyl group Chemical group C1(=NC=CC2=CC=CC=C12)* 0.000 description 2
- 125000005647 link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768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624 naphth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933 pentac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2=CC3=CC4=CC5=CC=CC=C5C=C4C=C3C=C12)* 0.000 description 2
- JQQSUOJIMKJQHS-UHFFFAOYSA-N pentaph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2=CC3=CC=C4C=C5C=CC=CC5=CC4=C3C=C12 JQQSUOJIMKJQ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5327 perimidinyl group Chemical group N1C(=NC2=CC=CC3=CC=CC1=C23)*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828 phenal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2=CC=CC3=CC=CC1=C23)*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792 phenanthr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2C3=CC=CC=C3C=CC12)*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934 phenanthridi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2=NC=C3C=CC=CC3=C12)*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625 phenanthrolinyl group Chemical group N1=C(C=CC2=CC=C3C=CC=NC3=C12)*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27 potass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042 pteridinyl group Chemical group N1=C(N=CC2=NC=CN=C12)*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561 purinyl group Chemical group N1=C(N=C2N=CNC2=C1)* 0.000 description 2
- 125000005550 pyrazin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076 pyrid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25000005551 pyrid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714 pyrimidi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25000005576 pyrimidin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294 quinazolinyl group Chemical group N1=C(N=CC2=CC=CC=C12)*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943 quinolinyl group Chemical group N1=C(C=CC2=CC=CC=C12)* 0.000 description 2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935 tetrac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2=CC3=CC4=CC=CC=C4C=C3C=C12)* 0.000 description 2
- 125000005730 thiophen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25000005033 thiopyra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DQQMDUNOVOLBEK-UHFFFAOYSA-L tin(iv) 2,3-naphthalocyanine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N1=C(C2=CC3=CC=CC=C3C=C2C2=NC=3C4=CC5=CC=CC=C5C=C4C(=N4)N=3)N2[Sn](Cl)(Cl)N2C4=C(C=C3C(C=CC=C3)=C3)C3=C2N=C2C3=CC4=CC=CC=C4C=C3C1=N2 DQQMDUNOVOLBEK-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834 xanth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2OC3=CC=CC=C3C(C12)* 0.000 description 2
- CXNIUSPIQKWYAI-UHFFFAOYSA-N xantphos Chemical compound C=12OC3=C(P(C=4C=CC=CC=4)C=4C=CC=CC=4)C=CC=C3C(C)(C)C2=CC=CC=1P(C=1C=CC=CC=1)C1=CC=CC=C1 CXNIUSPIQKWYA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YVTHLONGBIQYBO-UHFFFAOYSA-N zinc indium(3+) oxygen(2-) Chemical compound [O--].[Zn++].[In+3] YVTHLONGBIQY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RZIJNVZMJUGTK-UHFFFAOYSA-N 1,1,2-trifluoro-2-(1,2,2-trifluoroethenoxy)ethene Chemical compound FC(F)=C(F)OC(F)=C(F)F RRZIJNVZMJUG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QJQYILBCQPYBI-UHFFFAOYSA-N 1-bromo-4-(4-bromophenyl)benzene Chemical group C1=CC(Br)=CC=C1C1=CC=C(Br)C=C1 HQJQYILBCQPY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PFGGYIWNDCEJM-UHFFFAOYSA-N 1-n,1-n,3-n,3-n,5-n,5-n-hexakis-phenylbenzene-1,3,5-triamine Chemical compound C1=CC=CC=C1N(C=1C=C(C=C(C=1)N(C=1C=CC=CC=1)C=1C=CC=CC=1)N(C=1C=CC=CC=1)C=1C=CC=CC=1)C1=CC=CC=C1 DPFGGYIWNDCE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PDUPGAVXNALOL-UHFFFAOYSA-N 1-n,1-n,4-n,4-n-tetraphenylbenzene-1,4-diamine Chemical compound C1=CC=CC=C1N(C=1C=CC(=CC=1)N(C=1C=CC=CC=1)C=1C=CC=CC=1)C1=CC=CC=C1 JPDUPGAVXNALO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ERKMBVPWKXOHM-UHFFFAOYSA-N 12h-[1]benzofuro[3,2-a]carbazole Chemical group O1C2=CC=CC=C2C2=C1C=CC1=C2NC2=CC=CC=C12 DERKMBVPWKXOH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LYYLMBVQZMMMS-UHFFFAOYSA-N 12h-[1]benzothiolo[3,2-a]carbazole Chemical group S1C2=CC=CC=C2C2=C1C=CC1=C2NC2=CC=CC=C12 GLYYLMBVQZMMM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FTIPCRZWILUIY-UHFFFAOYSA-N 2,5,8,11-tetratert-butylperylene Chemical group CC(C)(C)C1=CC(C2=CC(C(C)(C)C)=CC=3C2=C2C=C(C=3)C(C)(C)C)=C3C2=CC(C(C)(C)C)=CC3=C1 BFTIPCRZWILU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TTGYIUESPWXOW-UHFFFAOYSA-N 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roline Chemical compound C=12C=CC3=C(C=4C=CC=CC=4)C=C(C)N=C3C2=NC(C)=CC=1C1=CC=CC=C1 STTGYIUESPWX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EQBRULPNIVQPP-UHFFFAOYSA-N 2-[3,5-bis(1-phenylbenzimidazol-2-yl)phenyl]-1-phenylbenzimidazole Chemical compound C1=CC=CC=C1N1C2=CC=CC=C2N=C1C1=CC(C=2N(C3=CC=CC=C3N=2)C=2C=CC=CC=2)=CC(C=2N(C3=CC=CC=C3N=2)C=2C=CC=CC=2)=C1 GEQBRULPNIVQP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RXNZMALJHMQTC-UHFFFAOYSA-N 2-[4-(9,10-dinaphthalen-2-ylanthracen-2-yl)phenyl]-1-phenylbenzimidazole Chemical compound C1=C(C=CC2=CC=CC=C12)C=1C2=CC=CC=C2C(=C2C=CC(=CC12)C1=CC=C(C=C1)C1=NC2=C(N1C1=CC=CC=C1)C=CC=C2)C2=CC1=CC=CC=C1C=C2.C2=C(C=CC1=CC=CC=C21)C=2C1=CC=CC=C1C(=C1C=CC(=CC21)C2=CC=C(C=C2)C2=NC1=C(N2C2=CC=CC=C2)C=CC=C1)C1=CC2=CC=CC=C2C=C1 URXNZMALJHMQT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BHPOBSZPYEADG-UHFFFAOYSA-N 2-bromo-9,9-dimethylfluorene Chemical compound C1=C(Br)C=C2C(C)(C)C3=CC=CC=C3C2=C1 MBHPOBSZPYEAD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JICRIUYZZESMW-UHFFFAOYSA-N 2-bromodibenzothiophene Chemical compound C1=CC=C2C3=CC(Br)=CC=C3SC2=C1 IJICRIUYZZESM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TCARZDHUIEYMB-UHFFFAOYSA-N 2-bromofluoren-9-one Chemical compound C1=CC=C2C(=O)C3=CC(Br)=CC=C3C2=C1 MTCARZDHUIEY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WNCDHYYJATYOG-UHFFFAOYSA-N 2-phenylquinoxali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1=CN=C(C=CC=C2)C2=N1 QWNCDHYYJATYO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WNGZPYALGWORF-UHFFFAOYSA-N 4-n,4-n-bis[4-(diethylamino)phenyl]-1-n,1-n-diethylbenzene-1,4-diamine Chemical compound C1=CC(N(CC)CC)=CC=C1N(C=1C=CC(=CC=1)N(CC)CC)C1=CC=C(N(CC)CC)C=C1 HWNGZPYALGWO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JEQVQJWXVHKGT-UHFFFAOYSA-N 9,9-dimethyl-2-n,7-n-dinaphthalen-1-yl-2-n,7-n-diphenylfluorene-2,7-diamine Chemical compound C1=C2C(C)(C)C3=CC(N(C=4C=CC=CC=4)C=4C5=CC=CC=C5C=CC=4)=CC=C3C2=CC=C1N(C=1C2=CC=CC=C2C=CC=1)C1=CC=CC=C1 KJEQVQJWXVHKG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SDKKRKTDZMKCH-UHFFFAOYSA-N 9-(4-bromophenyl)carbazole Chemical compound C1=CC(Br)=CC=C1N1C2=CC=CC=C2C2=CC=CC=C21 XSDKKRKTDZMK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NFKHBDVQJIAKL-UHFFFAOYSA-N 9-[4-(4-carbazol-9-ylphenyl)phenyl]carbazole Chemical group c1ccc2c(c1)n(-c1ccc(cc1)-c1ccc(cc1)-n1c3ccccc3c3ccccc13)c1ccccc21.c1ccc2c(c1)n(-c1ccc(cc1)-c1ccc(cc1)-n1c3ccccc3c3ccccc13)c1ccccc21 FNFKHBDVQJIAK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FRFHWQYWJMEJN-UHFFFAOYSA-N 9h-fluoren-2-amine Chemical compound C1=CC=C2C3=CC=C(N)C=C3CC2=C1 CFRFHWQYWJMEJ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IKQWKRRHZRYKQ-UHFFFAOYSA-N C1(=CC=C(C=C1)N(C1=CC=2C(C3=CC=CC=C3C2C=C1)(C)C)C1=CC=C(C=C1)C=1C=CC=2N(C3=CC=CC=C3C2C1)C1=CC=CC=C1)C1=CC=CC=C1.C1(=CC=C(C=C1)N(C1=CC=2C(C3=CC=CC=C3C2C=C1)(C)C)C1=CC=C(C=C1)C=1C=CC=2N(C3=CC=CC=C3C2C1)C1=CC=CC=C1)C1=CC=CC=C1 Chemical compound C1(=CC=C(C=C1)N(C1=CC=2C(C3=CC=CC=C3C2C=C1)(C)C)C1=CC=C(C=C1)C=1C=CC=2N(C3=CC=CC=C3C2C1)C1=CC=CC=C1)C1=CC=CC=C1.C1(=CC=C(C=C1)N(C1=CC=2C(C3=CC=CC=C3C2C=C1)(C)C)C1=CC=C(C=C1)C=1C=CC=2N(C3=CC=CC=C3C2C1)C1=CC=CC=C1)C1=CC=CC=C1 YIKQWKRRHZRYK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HHRQZZIJZZHQW-UHFFFAOYSA-N C1(=CC=C(C=C1)N(C1=CC=C(C=C1)C)C1=CC=C(C=C1)C)C.C1(=CC=C(C=C1)N(C1=CC=C(C=C1)C)C1=CC=C(C=C1)C)C Chemical compound C1(=CC=C(C=C1)N(C1=CC=C(C=C1)C)C1=CC=C(C=C1)C)C.C1(=CC=C(C=C1)N(C1=CC=C(C=C1)C)C1=CC=C(C=C1)C)C HHHRQZZIJZZHQ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UMNJCZISRJWHZ-UHFFFAOYSA-N CC1=CC=C(C=C1)N(C1=CC=C(C=C1)N(C1=CC=CC=C1)C1=CC=C(C=C1)C)C1=CC=CC=C1.CC1=CC=C(C=C1)N(C1=CC=C(C=C1)N(C1=CC=CC=C1)C1=CC=C(C=C1)C)C1=CC=CC=C1 Chemical compound CC1=CC=C(C=C1)N(C1=CC=C(C=C1)N(C1=CC=CC=C1)C1=CC=C(C=C1)C)C1=CC=CC=C1.CC1=CC=C(C=C1)N(C1=CC=C(C=C1)N(C1=CC=CC=C1)C1=CC=C(C=C1)C)C1=CC=CC=C1 SUMNJCZISRJW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BODOQNBZHWZCV-UHFFFAOYSA-N COC1=CC=C(C=C1)N(C1=CC=C(C=C1)C1=CC=C(N(C2=CC=C(C=C2)OC)C2=CC=C(C=C2)OC)C=C1)C1=CC=C(C=C1)OC.COC1=CC=C(C=C1)N(C1=CC=C(C=C1)C1=CC=C(N(C2=CC=C(C=C2)OC)C2=CC=C(C=C2)OC)C=C1)C1=CC=C(C=C1)OC Chemical compound COC1=CC=C(C=C1)N(C1=CC=C(C=C1)C1=CC=C(N(C2=CC=C(C=C2)OC)C2=CC=C(C=C2)OC)C=C1)C1=CC=C(C=C1)OC.COC1=CC=C(C=C1)N(C1=CC=C(C=C1)C1=CC=C(N(C2=CC=C(C=C2)OC)C2=CC=C(C=C2)OC)C=C1)C1=CC=C(C=C1)OC ZBODOQNBZHWZC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FXPMWWXUTWYJX-UHFFFAOYSA-N Cyanide Chemical group N#[C-] XFXPMWWXUTWYJ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DTMQSROBMDMFD-UHFFFAOYSA-N Cyclohexa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XDTMQSROBMDM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34984 D3 compound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1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61 Mg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44 PEDOT:PS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CXOFVDLJLONNDW-UHFFFAOYSA-N Phenytoin Chemical group N1C(=O)NC(=O)C1(C=1C=CC=CC=1)C1=CC=CC=C1 CXOFVDLJLONND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ZWLAAWBMGSTSO-UHFFFAOYSA-N Thiazole Chemical compound C1=CSC=N1 FZWLAAWBMGSTS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RSXMVQXAKTVLS-UHFFFAOYSA-N [Cu]=O.[In] Chemical compound [Cu]=O.[In] PRSXMVQXAKTVL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054 acenaphthyl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2=CC=CC3=CC=CC1=C23)* 0.000 description 1
- HXGDTGSAIMULJN-UHFFFAOYSA-N acetnaphthylene Natural products C1=CC(C=C2)=C3C2=CC=CC3=C1 HXGDTGSAIMULJ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723 ali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REDXJYDRNCIFBQ-UHFFFAOYSA-N aluminium(3+) Chemical compound [Al+3] REDXJYDRNCIFB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NAAJJQQZSMGQD-UHFFFAOYSA-N aluminum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Al] SNAAJJQQZSMG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70 ammon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17 amorph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54 anthrac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653 anthracen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104 aryl sil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04 aryl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DSAJWYNOEDNPEQ-UHFFFAOYSA-N barium atom Chemical compound [Ba] DSAJWYNOEDNP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50390 benzo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UMIVXZPTRXBADB-UHFFFAOYSA-N benzocyclobute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2=C1 UMIVXZPTRXBAD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PYMKLBDIGXBTP-UHFFFAOYSA-N 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 WPYMKLBDIGXB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267 biphe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UFVXQDWNSAGPHN-UHFFFAOYSA-K bis[(2-methylquinolin-8-yl)oxy]-(4-phenylphenoxy)alumane Chemical compound [Al+3].C1=CC=C([O-])C2=NC(C)=CC=C21.C1=CC=C([O-])C2=NC(C)=CC=C21.C1=CC([O-])=CC=C1C1=CC=CC=C1 UFVXQDWNSAGPHN-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ZCJVWCMJYNSQO-UHFFFAOYSA-N butyl pbd Chemical compound C1=CC(C(C)(C)C)=CC=C1C1=NN=C(C=2C=CC(=CC=2)C=2C=CC=CC=2)O1 XZCJVWCMJYNS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2 ca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TVFDJXOCXUVLDH-UHFFFAOYSA-N caesium atom Chemical compound [Cs] TVFDJXOCXUVLD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915 carbonyl group Chemical group [*:2]C([*:1])=O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093 cyano group Chemical group *C#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753 cyclo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993 cycloalk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704 dec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ZXHUJRZYLRVVNP-UHFFFAOYSA-N dibenzofuran-4-ylboronic acid Chemical compound C12=CC=CC=C2OC2=C1C=CC=C2B(O)O ZXHUJRZYLRVV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ZZYITDELCSZES-UHFFFAOYSA-N diphenylmetha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C1=CC=CC=C1 CZZYITDELCSZ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IDFEIDMIKSJSV-UHFFFAOYSA-N dipropoxyphosphinothioyloxy-dipropoxy-sulfanylidene-$l^{5}-phosphane Chemical compound CCCOP(=S)(OCCC)OP(=S)(OCCC)OCCC IIDFEIDMIKSJ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567 fluoren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153 fluoro group Chemical group F*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541 fu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3 groun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RBTKNAXYKSUFRK-UHFFFAOYSA-N heliogen blue Chemical compound [Cu].[N-]1C2=C(C=CC=C3)C3=C1N=C([N-]1)C3=CC=CC=C3C1=NC([N-]1)=C(C=CC=C3)C3=C1N=C([N-]1)C3=CC=CC=C3C1=N2 RBTKNAXYKSUF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46 heteroaryl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241 heteroarylamino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92 heterocyclo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883 imidazol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945 imidazopyrid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PFVFJFRJDLVQX-UHFFFAOYSA-N indium atom Chemical compound [In] APFVFJFRJDLVQ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ZOUSPYUWWUPPK-UHFFFAOYSA-N indole Natural products CC1=CC=CC2=C1C=CN2 PZOUSPYUWWUPP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KJUIXBNRJVNHR-UHFFFAOYSA-N indolenine Natural products C1=CC=C2CC=NC2=C1 RKJUIXBNRJVNH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1 iri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DCZNSJVFOQPSRV-UHFFFAOYSA-N n,n-diphenyl-4-[4-(n-phenylanilino)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1=CC=CC=C1N(C=1C=CC(=CC=1)C=1C=CC(=CC=1)N(C=1C=CC=CC=1)C=1C=CC=CC=1)C1=CC=CC=C1 DCZNSJVFOQPSR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BFXFIPIIMAZPK-UHFFFAOYSA-N n-[4-[4-(n-phenanthren-9-ylanilino)phenyl]phenyl]-n-phenylphenanthren-9-amine Chemical compound C1=CC=CC=C1N(C=1C2=CC=CC=C2C2=CC=CC=C2C=1)C1=CC=C(C=2C=CC(=CC=2)N(C=2C=CC=CC=2)C=2C3=CC=CC=C3C3=CC=CC=C3C=2)C=C1 LBFXFIPIIMAZP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957 naphth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449 nitro group Chemical group [O-][N+](*)=O 0.000 description 1
- JFNLZVQOOSMTJK-KNVOCYPGSA-N norbornene Chemical compound C1[C@@H]2CC[C@H]1C=C2 JFNLZVQOOSMTJK-KNVOCYPG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524 organometal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866 oxadiazo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715 oxadiazol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565 oxadiazol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971 oxazol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564 oxazol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SJHHDDDGXWOYOE-UHFFFAOYSA-N oxytitamium phthalocyanine Chemical compound [Ti+2]=O.C12=CC=CC=C2C(N=C2[N-]C(C3=CC=CC=C32)=N2)=NC1=NC([C]1C=CC=CC1=1)=NC=1N=C1[C]3C=CC=CC3=C2[N-]1 SJHHDDDGXWOYO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XNAVEXFUKBNMK-UHFFFAOYSA-N palladium(II) acetate Substances [Pd].CC(O)=O.CC(O)=O LXNAVEXFUKBN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JVFFLUZDVXJQI-UHFFFAOYSA-L palladium(ii) acetate Chemical compound [Pd+2].CC([O-])=O.CC([O-])=O YJVFFLUZDVXJQI-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MHAUGLFOVCQYNR-UHFFFAOYSA-N pentaphenylene Chemical group C1=CC=C2C3=CC=CC=C3C3=CC=CC=C3C3=CC=CC=C3C3=CC=CC=C3C2=C1 MHAUGLFOVCQYN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80 peryl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2C=CC=C3C4=CC=CC5=CC=CC(C1=C23)=C45)*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563 perylen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560 phenanthren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EQIEDJGQAUEQZ-UHFFFAOYSA-N phthalocyanine Chemical compound N1C(N=C2C3=CC=CC=C3C(N=C3C4=CC=CC=C4C(=N4)N3)=N2)=C(C=CC=C2)C2=C1N=C1C2=CC=CC=C2C4=N1 IEQIEDJGQAUE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36 poly(norbornen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96 polystyrene sulf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70 polystyrene sulf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924 primary amino group Chemical group [H]N([H])*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373 pyrazi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226 pyrazol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220 pyr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548 pyren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98 pyridazi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168 pyrrol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5 r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HCWPIIXVSYCSAN-UHFFFAOYSA-N radium atom Chemical compound [Ra] HCWPIIXVSYCSA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IOAGBVUUVVLOB-UHFFFAOYSA-N strontium atom Chemical compound [Sr] CIOAGBVUUVVLO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42 sulfonic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36 terphen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KTQYWNARBMKMCX-UHFFFAOYSA-N tetraphenylene Chemical group C1=CC=C2C3=CC=CC=C3C3=CC=CC=C3C3=CC=CC=C3C2=C1 KTQYWNARBMKMC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247 tetrazinyl group Chemical group N1=NN=NC(=C1)*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557 thiazol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544 thie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JOXIMZWYDAKGHI-UHFFFAOYSA-N toluene-4-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CC1=CC=C(S(O)(=O)=O)C=C1 JOXIMZWYDAKG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306 triazi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558 triazin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425 triazol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559 triazol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AJSTXXYNEIHPMD-UHFFFAOYSA-N triethyl borate Chemical compound CCOB(OCC)OCC AJSTXXYNEIHP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960 triphenylenyl group Chemical group C1(=CC=CC=2C3=CC=CC=C3C3=CC=CC=C3C12)* 0.000 description 1
- LENZDBCJOHFCAS-UHFFFAOYSA-N tris Chemical compound OCC(N)(CO)CO LENZDBCJOHFCA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TYHJXGDMRRJCRY-UHFFFAOYSA-N zinc indium(3+) oxygen(2-) tin(4+) Chemical compound [O-2].[Zn+2].[Sn+4].[In+3] TYHJXGDMRRJCR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96 zinc oxide Drug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56—Ring systems containing three or more rings
- C07D209/80—[b, c]- or [b, d]-condensed
- C07D209/82—Carbazoles; Hydrogenated carbazo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07/91—Dibenzofurans; Hydrogenated dibenzofura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5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33/76—Dibenzothiophen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8—Carrier blocking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4—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oxy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cumarine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1개의 아민기를 구성하는 질소 원자에 적어도 1개의 다이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기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유기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은 정공 주입 특성 및/또는 정공 수송 특성이 우수하며, 열 안정성이 뛰어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을 발광 소자의 정공층, 전자 차단층 및/또는 전하생성층에 사용하면, 저-전압에서 충분한 전류 밀도를 확보하여 발광 소자를 구동할 수 있다. 발광 소자의 구동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변형되거나 열화되지 않으며, 저-전압 구동에 의하여 발광 소자에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을 적용하여 양호한 발광 효율을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및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사용되는 유기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공 주입 특성과 수송 특성이 우수하며 열 안정성이 뛰어난 유기 화합물과, 이 유기 화합물을 이용하여 발광 특성이 향상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장치의 대형화에 따라 공간 점유가 적은 평면표시소자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데, 이러한 평면표시소자 중 하나로서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ELD)라고도 불리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의 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발광다이오드는 전자 주입 전극(음극)과 정공 주입 전극(양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에 전하를 주입하면 전자와 정공이 쌍을 이룬 후 소멸하면서 빛을 내는 소자이다. 플라스틱 같은 휠 수 있는(flexible) 투명 기판 위에도 소자를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낮은 전압에서 (10V 이하) 구동이 가능하고, 또한 전력 소모가 비교적 적으며, 색순도가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서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는 전자 주입 전극(음극)과 정공 주입 전극(양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 소재의 발광층에 전하를 주입하면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이 쌍을 이룬 후 소멸하면서 빛을 내는 소자이다. 유기발광층에서 전자와 정공이 만나서 엑시톤(Exciton)을 형성되고 이 에너지에 의하여 유기발광층에 포함된 유기 화합물이 여기 상태(excited state)가 되는데, 유기 화합물이 여기 상태에서 바닥상태(ground state)로 에너지 전이가 발생하고, 발생한 에너지를 빛으로 방출하여 발광한다.
유기발광층은 발광물질층의 단일층 구조를 갖거나, 발광 효율 향상을 위해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발광층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발광물질층(emitting material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으로 구성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발광다이오드의 성능을 더욱 개선시키고 백색 발광다이오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복수의 단위 소자들을 적층시킴으로써 제조되는 탠덤(tandem)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탠덤 구조의 발광다이오드는, 각 단위 소자에 양전하 및 음전하를 각각 공급하기 위하여 각 단위 소자들 사이에 배치되는 전하생성층(charge generation layer, CGL)을 포함한다.
탠덤 구조의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에 사용되는 유기 소재는 크게 발광 소재와 전하 수송 소재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전하 수송 소재는 정공 주입 소재, 정공 수송 소재, 전자 수송 소재, 전자 주입 소재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에서 높은 구동 전압과 전류 밀도는 소자를 구성하는 소재에 강한 스트레스를 인가하므로 소재의 안정성 및 소자의 수명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구성하는 전하 수송층이나 전하 주입층의 에너지 준위를 조절하여 발광다이오드의 효율을 높이고 소비 전력을 낮추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103837호에서는 카바졸 측쇄를 가지는 노르보넨 단량체로부터 얻어지는 폴리(노르보넨) 중합체를 용액 공정을 이용하여 정공수송층에 적용할 수 있다고 기술한다.
하지만, 발광 소자의 전류 밀도를 향상시키고 구동 전압을 감소시키며,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소재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킴으로써,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재에 대한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정공 주입 특성 및/또는 정공 수송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열 안정성이 향상된 유기 화합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전압에서 구동 가능하며,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소재에 대한 스트레스가 적고, 발광 소자의 수명 개선 및 발광 효율이 향상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1개의 아민기를 구성하는 질소 원자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다이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기가 연결되어 있는 유기 화합물을 제공한다.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아민기에 연결되는 다른 하나의 치환기는 축합 방향족 고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유기 화합물이 유기물층, 일례로 정공층, 전하생성층 및/또는 엑시톤 차단층과 같은 공통층에 적용된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발광 소자로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정공 결합 능력이 우수한 적어도 하나의 아민기를 가지고 있어서 정공 주입 특성 및 정공 수송 특성이 우수하다.
적어도 하나의 아민기를 구성하는 질소 원자에 다이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기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다른 축합 방향족 고리가 연결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의 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발광다이오드에서 정공 주입 및/또는 정공 수송 특성, 정공 생성 특성 및/또는 전자 차단 특성이 요구되는 유기물층에 단독으로 또는 호스트로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정공층 및/또는 전자차단층을 포함하는 단층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와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전류 밀도가 양호하여 저-전압에서도 구동될 수 있기 때문에, 발광다이오드 또는 표시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저-전압 구동 특성에 기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된 발광다이오드에 대해서 높은 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발광다이오드를 구성하는 소재에 대하여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열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발광다이오드가 구동하여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이 변형되거나 열화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된 발광 소자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으며,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전하생성층 및/또는 전자차단층을 포함하는 탠덤 구조의 발광다이오드와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저-전압 구동에 의해 소비 전력 감소, 소자 수명 개선 및 발광 효율이 향상되며, 고 순도의 백색 구현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는 단층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는 단층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는 탠덤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는 탠덤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합성된 유기 화합물에 대한 NMR 분석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합성된 유기 화합물에 대한 FT-MS(푸리에 변환 질량 분광법)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단층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의 전압-전류 밀도, 전류 밀도-발광 효율 및 파장- 전계발광(EL) 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탠덤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의 전압-전류 밀도, 전류 밀도-발광 효율 및 파장- 전계발광(EL) 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는 단층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는 탠덤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는 탠덤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합성된 유기 화합물에 대한 NMR 분석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합성된 유기 화합물에 대한 FT-MS(푸리에 변환 질량 분광법)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단층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의 전압-전류 밀도, 전류 밀도-발광 효율 및 파장- 전계발광(EL) 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탠덤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의 전압-전류 밀도, 전류 밀도-발광 효율 및 파장- 전계발광(EL) 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필요한 경우에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기 화합물]
본 발명은 정공 결합 특성이 우수한 적어도 1개의 아민기를 구성하는 질소 원자에 적어도 1개의 다이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기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유기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화학식 1에서 L1 내지 L5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1~C20 알킬렌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3~C30 사이클로알킬렌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3~C30 헤테로 사이클로알킬렌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아릴렌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헤테로 아릴렌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아랄킬렌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헤테로 아랄킬렌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옥시아릴렌기 또는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헤테로 옥시아릴렌기이고, a, b, c, d, e, m은 각각 0 또는 1이며, A1 내지 A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1~C20 알콕시기, 치환되지 않거나 C1~C20 알킬기, C5~C30 아릴기 또는 C5~C30 헤테로 아릴기로 치환된 아민기, 치환되지 않거나 C1~C20 알킬기, C5~C30 아릴기 또는 C5~C30 헤테로 아릴기로 치환된 실릴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아릴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헤테로 아릴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아랄킬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헤테로 아랄킬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옥시아릴기 및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헤테로 옥시아릴기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고, A1 내지 A4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치환기임)
화학식 2
(화학식 2에서 R1 내지 R1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삼중수소, 하이드록시기, 시아나이드기, -CF3, 치환되지 않거나 불소로 치환된 C1~C20 알킬기, 할로겐,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1~C20 알콕시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아릴기 및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헤테로 아릴기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됨)
본 명세서에서 '치환되지 않은' 또는 '치환되지 않거나'란, 수소 원자가 치환된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수소 원자는 경수소, 중수소 및 삼중수소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된'에서 치환기는 예를 들어, 치환되지 않거나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20 알킬기, 치환되지 않거나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20 알콕시기, 할로겐, 시아노기, -CF3, 하이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카르보닐기, 아민기, C1~C10 알킬치환 아민기, C5~C30 아릴치환 아민기, C4~C30 헤테로아릴치환 아민기, 니트로기, 하이드라질기(hydrazyl group), 술폰산기, C1~C20 알킬 실릴기, C1~C20 알콕시 실릴기, C3~C30 사이클로알킬 실릴기, C5~C30 아릴 실릴기, C4~C30 헤테로아릴 실릴기, C5~C30 아릴기, C4~C30 헤테로 아릴기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헤테로 방향족 고리', '헤테로 사이클로알킬렌기', '헤테로 아릴렌기', '헤테로 아릴알킬렌기', '헤테로 아릴옥실렌기', '헤테로 사이클로알킬기', '헤테로 아릴기', '헤테로 아릴알킬기', '헤테로 아릴옥실기', '헤테로 아릴 아민기' 등에서 사용된 용어 '헤테로'는 이들 방향족(aromatic) 또는 지환족(alicyclic) 고리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 중 1개 이상, 예를 들어 1 내지 5개의 탄소 원자가 N, O, S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1에서 A1 내지 A4 중에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다이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기로 치환되지 않은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아릴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헤테로 아릴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아랄킬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헤테로 아랄킬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옥시아릴기 및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헤테로 옥시아릴기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다이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기로 치환되지 않은 치환기는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아릴기 또는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헤테로 아릴기이다.
이와 같은 방향족 치환기는 예를 들어,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페닐기, 바이페닐기, 터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펜탄레닐기, 인데닐기, 인데노인데닐기, 헵탈레닐기, 바이페닐레닐기, 인다세닐기, 페날레닐기, 페난트레닐기, 벤조페난트레닐기, 디벤조페난트레닐기, 아줄레닐기, 파이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트리페닐레닐기, 크라이세닐기, 테트라페닐기, 테트라세닐기, 플레이다에닐기, 파이세닐기, 펜타페닐기, 펜타세닐기, 플루오레닐기, 인데노플루오레닐기 또는 스파이로 플루오레닐기와 같은 축합되지 않거나 축합된(fused) 호모 아릴기, 및/또는 피롤릴기, 피리디닐기, 피리미디닐기, 피라지닐기, 피리다지닐기, 트리아지닐기, 테트라지닐기, 이미다졸일기, 피라졸일기, 인돌일기, 이소인돌일기, 인다졸일기, 인돌리지닐기, 피롤리지닐기, 카바졸일기, 벤조카바졸일기, 디벤조카바졸일기, 인돌로카바졸일기, 인데노카바졸일기, 벤조퓨로카바졸일기, 벤조티에노카바졸일기, 퀴놀리닐기, 이소퀴놀리닐기, 프탈라지닐기, 퀴녹살리닐기, 시놀리닐기, 퀴나졸리닐기, 퀴노졸리닐기, 퀴놀리지닐기, 퓨리닐기, 프탈라지닐기, 퀴녹살리닐기, 벤조퀴놀리닐기, 벤조이소퀴놀리닐기, 벤조퀴나졸리닐기, 벤조퀴녹살리닐기, 아크리디닐기, 페난트롤리닐기, 페리미디닐기, 페난트리디닐기, 프테리디닐기, 신놀리닐기, 나프타리디닐기, 퓨라닐기, 파이라닐기, 옥사지닐기, 옥사졸일기, 옥사디아졸일기, 트리아졸일기, 디옥시닐기, 벤조퓨라닐기, 디벤조퓨라닐기, 티오파이라닐기, 잔테닐기, 크로메닐기, 이소크로메닐기, 티오아지닐기, 티오페닐기, 벤조티오페닐기, 디벤조티오페닐기, 디퓨로피라지닐기, 벤조퓨로디벤조퓨라닐기, 벤조티에노벤조티오페닐기, 벤조티에노디벤조티오페닐기, 벤조티에노벤조퓨라닐기, 벤조티에노디벤조퓨라닐기 또는 N-치환된 스파이로 플루오레닐기와 같은 축합되지 않거나 축합된 헤테로 아릴기일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1에서 링커(연결기)인 L1 내지 L5는 방향족 연결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1에서 L1 내지 L5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렌기(phenylene), 바이페닐렌기(biphenylene), 터페닐렌기(terphenylene), 테트라페닐렌기(tetraphenylene), 인데닐렌기(indenylene), 나프틸렌기(naphthylene), 아줄레닐렌기(azulenylene), 인다세닐렌기(indacenylene), 아세나프틸렌기(acenaphthylene), 플루오레닐렌기(fluorenylene), 스파이로-플루오레닐렌기, 페날레닐렌기(phenalenylene), 페난트레닐렌기(phenanthrenylene), 안트라세닐렌기(anthracenylene), 플루오란트레닐렌기(fluoranthrenylene), 트리페닐레닐렌기(triphenylenylene), 파이레닐렌기(pyrenylene), 크라이세닐렌기(chrysenylene), 나프타세닐렌기(naphthacenylene), 피세닐렌기(picenylene), 페릴레닐렌기(perylenylene), 펜타페닐렌기(pentaphenylene), 헥사세닐렌기(hexacenylene), 피롤릴렌기(pyrrolylene), 이미다졸일렌기(imidazolylene), 피라졸일렌기(pyrazolylene), 피리디닐렌기(pyridinylene), 피라지닐렌기(pyrazinylene), 피리미디닐렌기(pyrimidinylene), 피리다지닐렌기(pyridazinylene), 이소인돌일렌기(isoindolylene), 인돌일렌기(indolylene), 인다졸일렌기(indazolylene), 푸리닐렌기(purinylene), 퀴놀리닐렌기(quinolinylene), 이소퀴놀리닐렌기(isoquinolinylene), 벤조퀴놀리닐렌기(benzoquinolinylene), 프탈라지닐렌기(phthalazinylene), 나프티리디닐렌기(naphthyridinylene), 퀴녹살리닐렌기(quinoxalinylene), 퀴나졸리닐렌기(quinazolinylene), 벤조퀴놀리닐렌기, 벤조이소퀴놀리닐렌기, 벤조퀴나졸리닐렌기, 벤조퀴녹살리닐렌기, 시놀리닐렌기(cinnolinylene), 페난트리디닐렌기(phenanthridinylene), 아크리디닐렌기(acridinylene), 페난트롤리닐렌기(phenanthrolinylene), 페나지닐렌기(phenazinylene), 벤즈옥사졸일렌기(benzoxazolylene), 벤즈이미다졸일렌기(benzimidazolylene), 퓨라닐렌기(furanylene), 벤조퓨라닐렌기(benzofuranylene), 티오페닐렌기(thiophenylene), 벤조티오페닐렌기(benzothiophenylene), 티아졸일렌기(thiazolylene), 이소티아졸일렌기(isothiazolylene), 벤조티아졸일렌기(benzothiazolylene), 이소옥사졸일렌기(isoxazolylene), 옥사졸일렌기(oxazolylene), 트리아졸일렌기, 테트라졸일렌기, 옥사디아졸일렌기(oxadiazolylene), 트리아지닐렌기(triazinylene), 벤조퓨라닐렌기, 디벤조퓨라닐렌기(dibenzofuranylene), 벤조퓨로디벤조퓨라닐렌기, 벤조티에노벤조퓨라닐렌기, 벤조티에노디벤조퓨라닐렌기, 벤조티오페닐렌기, 디벤조티오페닐렌기(dibenzothiophenylene), 벤조티에토벤조티오페닐렌기, 벤조티에노디벤조티오페닐렌기, 카바졸일렌기, 벤조카바졸일렌기, 디벤조카바졸일렌기, 인돌로카바졸일렌기, 인데노카바졸일렌기, 벤조퓨로카바졸일렌기, 벤조티에노카바졸일렌기, 이미다조피리미디닐렌기(imidazopyrimidinylene) 및 이미다조피리디닐렌기(imidazopyridinylene)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이때, L1 내지 L5을 구성하는 방향족 고리의 개수가 많아지면, 전체 유기 화합물에서 공액화(conjugated) 구조가 지나치게 길어진다. 이에 따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의 밴드갭이 줄어들어 정공 주입 특성, 정공 수송 특성 및/또는 정공 생성 특성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L1 내지 L5를 구성하는 방향족 고리의 개수는 1 내지 2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개이다.
또한 정공의 주입 및 이동 특성과 관련해서, L1 내지 L5는 각각 5-원자 고리(5-membered ring) 내지 7-원자 고리(7-membered ring)일 수 있으며, 특히 6-원자 고리(6-membered ring)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1 내지 L5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렌기, 바이페닐렌기, 피롤릴렌기, 이미다졸일렌기, 피라졸일렌기, 피리디닐렌기, 피라지닐렌기, 피리미디닐렌기, 피리다지닐렌기, 퓨라닐렌기 또는 티오페닐렌기일 수 있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정공에 대한 결합 특성이 우수한 적어도 1개의 아민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정공 주입 특성 및/또는 정공 수송 특성이 뛰어나다. 또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아민기를 구성하는 질소 원자에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다이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기가 적어도 1개 치환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열 안정성이 우수하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발광 소자의 유기물층에 적용하면, 발광 소자에서 정공 주입 특성 및 정공 수송 특성이 향상되므로, 정공의 주입 지연으로 인하여 발광 소자의 구동 전압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낮은 전압에서도 충분히 발광 소자가 구동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유기물층에 적용되는 경우,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유기물층에서 정공과 전자가 균형 있게 주입될 수 있어서 소자의 발광 효율을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높은 열 안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광 소자의 구동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열화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정공 주입 특성 및/또는 정공 수송 특성이 요구되는 유기물층에 적용하면 우수한 발광 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발광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이처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정공 결합 특성이 우수한 적어도 1개의 아민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을 발광 소자의 정공층이나 엑시톤 차단층 등에 적용하면, 발광물질층으로의 정공 주입이나 정공 수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정공이 주입되는 영역으로 전자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정공 주입 능력 및 정공 수송 능력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유기물층에 인접하여, 깊은 최저 비점유 분자궤도 함수(deep LUMO)를 가지는 화합물이나 정공 주입 물질을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에 도핑하여 전하생성층으로 사용하는 경우, 전자를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유기물층의 반대 방향(예를 들어 양극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로 인하여 발생한 정공은 유기발광층 방향인 음극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하 생성 특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발광 소자의 유기물층, 예를 들어 정공수송층 및/또는 정공주입층과 같은 정공층, 엑시톤 차단층 및/또는 P타입 전하생성층에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1개의 아민기로 구성되며, 아민기를 구성하는 질소 원자에 방향족 고리가 치환되어 있으며, 치환된 방향족 고리 중에서 적어도 1개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다이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기일 수 있다. 이러한 유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2개의 아민기로 구성되며, 각각의 아민기를 구성하는 질소 원자에 방향족 고리가 치환되어 있으며, 치환된 방향족 고리 중에서 적어도 1개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다이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기일 수 있다. 이러한 유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
화학식 4
(화학식 3과 화학식 4에서, L1 내지 L5, a, b, c, d, e는 각각 화학식 1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하고, 화학식 3에서 A11 내지 A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아릴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헤테로 아릴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아랄킬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헤테로 아랄킬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옥시아릴기 및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헤테로 옥시아릴기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고, A11 내지 A13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며, 화학식 4에서, A21 내지 A2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아릴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헤테로 아릴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아랄킬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헤테로 아랄킬기,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옥시아릴기 및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5~C30 헤테로 옥시아릴기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고, A21 내지 A24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치환기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3을 구성하는 A11 내지 A13 중에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다이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기로 치환되지 않은 나머지 방향족 치환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가 축합된 아릴기 또는 헤테로 아릴기일 수 있다.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다이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기로 치환되지 않은 방향족 치환기일 수 있는 축합 아릴기 또는 축합 헤테로 아릴기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펜탄레닐기, 인데닐기, 인데노인데닐기, 헵탈레닐기, 바이페닐레닐기, 인다세닐기, 페날레닐기, 페난트레닐기, 벤조페난트레닐기, 디벤조페난트레닐기, 아줄레닐기, 파이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트리페닐레닐기, 파이레닐기, 크라이세닐기, 테트라페닐기, 테트라세닐기, 플레이아데닐기, 파이세닐기, 페이레닐기, 펜타페닐기, 펜타세닐기, 플루오레닐기, 인데노플루오레닐기, 또는 스파이로 스파이로 플루오레닐기와 같은 축합된 호모 방향족 고리 및/또는 인돌일기, 이소인돌일기, 인다졸일기, 인돌리지닐기, 피롤리지닐기, 피리딜기, 이미다조피리딜기, 피리미딜기, 카바졸일기, 벤조카바졸일기, 디벤조카바졸일기, 인돌로카바졸일기, 인데노카바졸일기, 퀴놀리닐기, 이소퀴놀리닐기, 프탈라지닐기, 퀴녹살리닐기, 시놀리닐기, 퀴나졸리닐기, 퀴노졸리닐기, 퀴놀리지닐기, 퓨리닐기, 퀴녹살리닐기, 벤조퀴놀리닐기, 벤조이소퀴놀리닐기, 벤조퀴나졸리닐기, 벤조퀴녹살리닐기, 아크리디닐기, 페난트롤리닐기, 페리미디닐기, 페난트리디닐기, 프테리디닐기, 신놀리닐기, 나프타리디닐기, 디옥시닐기, 벤조퓨라닐기, 디벤조퓨라닐기, 티오파이라닐기, 잔테닐기, 크로메닐기, 이소크로메닐기, 벤조티오페닐기, 디벤조티오페닐기, 벤조티에노벤조티오페닐기, 벤조티에노디벤조티오페닐기, 벤조티에노카바졸기, 벤조퓨로벤조티오페닐기, 벤조퓨로디벤조티오페닐기, 벤조퓨로벤조퓨라닐기, 벤조퓨로디벤조퓨라닐기, 벤조퓨로카바졸기, 디퓨로피라지닐기 또는 N-치환된 스파이로 플루오레닐기와 같은 축합된 헤테로 방향족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4에서 A21과 A22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다이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기로 치환되어 있으며, A23과 A24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다이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기로 치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화학식 4에서 아민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질소 원자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다이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기가 치환될 수 있다.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아민기를 가지고 있어서 정공 주입 특성 및/또는 정공 수송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아민기를 구성하는 질소 원자에 축합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다이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기가 치환되어 있기 때문에, 열 안정성 또한 매우 뛰어나다. 따라서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정공층, 전자차단층 및/또는 전하생성층에 적용하면, 발광물질층으로의 정공 주입 특성 및/또는 정공 수송 특성이 향상되어 발광 소자의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으며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소재에 인가되는 스트레스가 감소한다. 또한, 고온에서도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열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발광 소자에 적용하여, 발광 소자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고,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 및 표시장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정공 주입 특성, 정공 수송 수송 특성 및 이러한 특성에 기인하는 전자 차단 특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발광 소자의 정공층, 전자차단층 및/또는 전하생성층 등과 같은 유기물층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유기물층에 적용된 발광다이오드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다이오드(100)는 서로 마주하는 제 1 전극(110) 및 제 2 전극(120)과, 제 1 및 제 2 전극(110, 120)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 유닛(130)을 포함한다. 발광 유닛(130)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150) 및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160)으로 이루어지는 정공층(140)과, 발광물질층(emitting material layer; EML, 170)과,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180)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190)을 포함한다.
제 1 전극(110)은 일함수(work function) 값이 비교적 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양극(anode)이다. 예를 들어, 제 1 전극(110)은 인듐-주석-산화물(indium-tin-oxide; ITO), 인듐-아연-산화물(indium-zinc-oxide, IZO), 인듐-주석-아연-산화물(indium-tin-zinc oxide; ITZO), 인듐-구리-산화물(indium-copper-oxide; ICO), 알루미늄:산화아연(Al:ZnO; AZO)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전극(120)은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음극(cathode)이다. 예를 들어, 제 2 전극(120)은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칼슘(Ca), 은(Ag),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 유닛(130)을 구성하는 발광물질층(170)은 호스트(host)에 도펀트(dopant)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발광물질층(170)이 청색(B) 광을 발광할 경우, 발광물질층(170)은 안트라센(anthracene) 유도체, 파이렌(pyrene) 유도체 및 페릴렌(perylene)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형광 호스트 물질에 형광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색 형광 호스트 물질은 4,4'-비스(2,2'-디페닐비닐)-1,1'-바이페닐(4,4'-bis(2,2'-diphenylyinyl)-1,1'-biphenyl; DPVBi), 9,10-디-(2-나프틸)안트라센(9,10-di-(2-naphtyl)anthracene; ADN), 2,5,8,11-테트라-t-부틸페릴렌(tetra-t-butylperylene; TBADN), 2-터르-부틸-9,10-디(2-나프틸)안트라센(2-tert-butyl-9,10-di(2-naphthyl)anthracene), 2-메틸-9,10-디(2-나프틸)안트라센(2-methyl-9,10-di(2-naphtyl)anthracene; MADN), 및/또는 2,2',2"-(1,3,5-벤자인트리일)-트리스(1-페닐-1-H-벤즈이미다졸(2,2',2"-(1,3,5-benzinetriyl)-tris(1-phenyl-1-H-benzimidazole; TBPi) 등을 포함한다.
또한, 청색 형광 도펀트 물질로서 4,4'-비스(9-에틸-3-카바조비닐렌)-1,1'-바이페닐(4,4'-bis(9-ethyl-3-carbazovinylene)-1,1'-biphenyl; BCzVBi) 및/또는 디페닐-[4-(2-[1,1;4,1]테트라페닐-4-일-비닐)-페닐]-아민(diphenyl-[4-(2-[1,1;4,1]terphenyl-4-yl-vinyl)-phenyl]-amine; BD-1)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물질층(170)이 녹색(G) 광을 발광할 경우, 상기 발광물질층(170)은 카바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인광 호스트 물질에 금속 착화합물로 이루어진 인광 도펀트(예를 들어, dp2Ir(acac), op2Ir(acac) 등)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물질층(170)이 적색(R) 광을 발광할 경우, 상기 발광물질층(170)은 카바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인광 호스트 물질에 금속 착화합물로 이루어진 인광 도펀트(예를 들어, Btp2Ir(acac) 등)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펀트 소재는 호스트 소재를 기준으로 대략 1 내지 30 중량%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전자수송층(180)은 발광물질층(170)과 제 2 전극(120) 사이에 위치하고, 전자주입층(190)은 전자수송층(180)과 제 2 전극(120) 사이에 위치한다. 전자수송층(180)은 옥사디아졸(oxadiazole), 트리아졸(triazole), 페난트롤린(phenanthroline), 벤족사졸(benzoxazole), 벤조티아졸(benzothiazole), 벤즈이미다졸, 트리아진 등의 유도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수송층(180)은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 Alq3), 2-바이페닐-4-일-5-(4-터셔리-부틸페닐)-1,3,4-옥사디아졸(2-biphenyl-4-yl-5-(4-t-butylphenyl)-1,3,4-oxadiazole; PBD), 스파이로-PBD, 리튬 퀴놀레이트(lithium quinolate; Liq), 2-[4-(9,10-디-2-나프탈레닐-2-안트라세닐)페닐]-1-페닐-1H-벤즈이미다졸(2-[4-(9,10-Di-2-naphthalenyl-2-anthracenyl)phenyl]-1-phenyl-1H-benzimidazol), 3-(바이페닐-4-일)-5-(4-터르부틸페닐)-4-페닐-4H-1,2,4-트리아졸(3-(biphenyl-4-yl)-5-(4-tertbutylphenyl)-4-phenyl-4H-1,2,4-triazole; TAZ), 4,7-디페닐-1,10-페난트롤린(4,7-diphenyl-1,10-phenanthroline; Bphen), 트리스(페닐퀴녹살린)(tris(phenylquinoxaline; TPQ) 및 1,3,5-트리스(N-페닐벤즈이미다졸-2-일)벤젠(1,3,5-tris(N-phenylbenzimiazole-2-yl)benzene; TPBI)과 같은 전자 수송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한 경우에, 전자수송층(180)은 전술한 유기 물질에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토금속과 같은 금속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은 전술한 유기 화합물을 기준으로 대략 1 내지 20 중량%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수송층(180)의 도펀트로 사용될 수 있는 알칼리 금속 성분은 리튬(Li), 나트륨(Na), 칼륨(K) 및 세슘(Cs)와 같은 알칼리 금속 및/또는 마그네슘(Mg), 스트론튬(Sr), 바륨(Ba), 라듐(Ra)과 같은 알칼리토금속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요한 경우, 전자수송층(180)은 단층 구조가 아니라 2개 이상의 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주입층(190)의 소재로는 LiF, CsF, NaF, BaF2 등의 알칼리 할라이드계 물질 및/또는 Liq(lithium quinolate), 리튬 벤조에이트(lithium benzoate), 소듐 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 등의 유기금속계 물질이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전극(110)과 발광물질층(170) 사이에 정공층(140)이 위치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정공층(140)은 제 1 전극(110)과 발광물질층(170)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주입층(150)과, 정공주입층(150)과 발광물질층(170)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수송층(160)을 포함한다.
정공주입층(150)은 무기물인 제 1 전극(110)과 유기물인 정공수송층(160) 사이의 계면 특성을 향상시킨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주입층(150)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의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주입층(150)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의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정공 주입 물질은 4,4',4"-트리스(3-메틸페닐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4,4',4"-tris(3-methylphenylphenylamino)triphenylamine; MTDATA), 프탈로시아닌구리(copper phthalocyanine; CuPc), 트리스(4-카바조일-9-일-페닐)아민(Tris(4-carbazoyl-9-yl-phenyl)amine; TCTA), N,N'-디페닐-N,N'-비스(1-나프틸)-1,1'-바이페닐-4,4"-디아민(N,N'-diphenyl-N,N'-bis(1-naphthyl)-1,1'-biphenyl-4,4"-diamine; NPD, α-NPB), 1,4,5,8,9,11-헥사아자트리페닐렌헥사카보니트릴(1,4,5,8,9,11-hexaazatriphenylenehexacarbonitrile; HATCN), 1,3,5-트리스[4-(디페닐아미노)페닐]벤젠(1,3,5-tris[4-(diphenylamino)phenyl]benzene; TDAPB),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 술포네이트(poly(3,4-ethylenedioxythiphene)polystyrene sulfonate; PEDOT/PSS), 2,3,5,6-테트라플루오로-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2,3,5,6-tetrafluoro-7,7,8,8-tetracyanoquinodimethane; F4TCNQ) 및/또는 N-(바이페닐-4-일)-9,9-디메틸-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H-플루오렌-2-아민(N-(biphenyl-4-yl)-9,9-dimethyl-N-(4-(9-phenyl-9H-carbazol-3-yl)phenyl)-9H-fluoren-2-amine)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일 수 있다. 이때, 정공 주입 물질은 약 0.1 내지 50 중량%로 도핑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요한 경우에, 정공주입층(150)은 2개의 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 1 전극(110) 쪽에 위치하는 제 1 정공주입층(미도시)은 전술한 정공 주입 물질로만 이루어질 수 있고, 제 1 정공주입층(미도시)과 정공수송층(160)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의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정공수송층(160)은 발광물질층(170)과 인접하여 위치한다. 정공수송층(160)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수송층(160)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의 유기 화합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수송층(160)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의 유기 화합물에 다른 정공 수송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정공수송층(160)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정공 수송 물질은 NPB, TCTA, 트리스(트리플루오비닐에테르)-트리스(4-카바조일-9-일-페닐)아민(tris(trifluorovinyl ether)-tris(4-carbazoyl-9-yl-phenyl)amine; TFV-TCTA), 트리스[4-(디에틸아미노)페닐]아민(tris[4-(diethylamino)phenyl]amine), N-(바이페닐-4-일)-9,9-디메틸-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H-플루오렌-2-아민, 트리-p-톨릴아민(tri-p-tolylamine), 1,1-비스(4-(N,N'-디(p-톨릴)아미노)페닐)사이클로헥산(1,1-bis(4-(N,N'-di(ptolyl)amino)phenyl)cyclohexane; TAPC), 4,4',4''-트리스(3-메틸페닐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4,4',4''-tris(3-methylphenylphenylamino)triphenylamine; m-MTDATA), 1,3-비스(N-카바졸릴)벤젠(1,3-bis(N-carbazolyl)benzene; mCP), 4,4'-비스(N-카바졸릴)-1,1'-바이페닐(4,4'-bis(N-carbazolyl)-1,1'-biphenyl), 1,4-비스(디페닐아미노)벤젠(1,4-bis(diphenylamino)benzene), N,N'-비스(3-메틸페닐)-N,N'-디페닐벤지딘(N,N'-bis(3-methylphenyl)-N,N'-diphenylbenzidine; TPD), N,N'-비스(페난트렌-9-일)-N,N'-비스(페닐)-벤지딘(N,N'-bis(phenanthren-9-yl)-N,N'-bis(phenyl)-benzidine), CuPC, 2,2'-디메틸-N,N'-디-[(1-나프틸)-N,N'-디페닐]-1,1'-바이페닐-4,4'-디아민(2,2'-dimethyl-N,N'-di-[(1-naphthyl)-N,N'-diphenyl]-1,1'-biphenyl-4,4'-diamine), 9,9-디메틸-N,N'-디(1-나프틸)-N,N'-디페닐-9H-플루오렌-2,7-디아민(9,9-dimethyl-N,N'-di(1-naphthyl)-N,N'-diphenyl-9H-fluorene-2,7-diamine), N,N'-디-[(1-나프틸)-N,N'-디페닐]-1,1'-바이페닐)-4,4'-디아민(N,N'-di-[(1-naphthyl)-N,N'-diphenyl]-1,1'-biphenyl)-4,4'-diamine), N,N'-디페닐-N,N'-디-p-톨릴벤젠-1,4-디아민(N,N'-diphenyl-N,N'-di-p-tolylbenzene-1,4-diamine), N,N'-비스[4-[비스(3-메틸페닐)아미노]페닐]-N,N'-디페닐-[1,1'-바이페닐]-4,4'-디아민(N,N'-bis[4-[bis(3-methylphenyl)amino]phenyl]-N,N'-diphenyl-[1,1'-biphenyl]-4,4'-diamine; DNTPD), N,N,N',N'-테트라키스(4-메톡시페닐)벤지딘(N,N,N',N'-tetrakis(4-methoxyphenyl)benzidine), N,N,N',N'-테트라키스(3-메틸페닐)-3,3'-디메틸벤지딘(N,N,N',N'-tetrakis(3-methylphenyl)-3,3'-dimethylbenzidine), N,N,N',N'-테트라키스(2-나프틸)벤지딘(N,N,N',N'-tetrakis(2-naphthyl)benzidine), 테트라-N-페닐벤지딘(tetra-N-phenylbenzidine), N,N,N',N'-테트라페닐나프탈렌-2,6-디아민(N,N,N',N'-tetraphenylnaphthalene-2,6-diamine), 틴(IV) 2,3-나프탈로시아닌 디클로라이드(tin(IV) 2,3-naphthalocyanine dichloride), 티타닐 프탈로시아닌(titanyl phthalocyanine), 1,3,5-트리스(디페닐아미노)벤젠(1,3,5-tris(diphenylamino)benzene; TDAB), 및/또는 4,4',4''-트리스[페닐(m-톨릴)아미노]트리페닐아민(4,4',4''-tris[phenyl(m-tolyl)amino]triphenylamine) 등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전술한 정공 수송 물질은 정공수송층(160)의 도펀트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도펀트로 사용되는 전술한 정공 수송 물질은 정공수송층(160)에 약 0.1 내지 50 중량%로 도핑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수송층(160)은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정공주입층(150)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1 정공수송층(미도시)은 전술한 정공 수송 물질로 이루어지고, 발광물질층(170)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 2 정공수송층(미도시)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만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수송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정공층(140)이 정공주입층(150)과 정공수송층(160)으로 구분되어 있다. 하지만, 정공층(140)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전술한 정공 주입 물질, 예를 들어, MTDATA, CuPc, TCTA, NPB(NPD), HATCN, TDAPB, PEDOT/PSS, F4TCNQ 및/또는 N-(바이페닐-4-일)-9,9-디메틸-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H-플루오렌-2-아민이 도핑된 1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정공 주입 능력 및 정공 수송 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지는 정공층은 정공주입층과 정공수송층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전극(110)과 발광물질층(170) 사이에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된 1층의 정공층(140)만 존재하더라도 정공 주입과 정공 수송 특성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이때, 정공 주입 물질은 예를 들어 약 0.1 내지 50 중량%로 도핑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다이오드(100)는, 서로 마주하는 제 1 및 제 2 전극(110, 120)과, 제 1 및 제 2 전극(110, 120)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 유닛(130)으로서, 제 1 전극(110)과 발광물질층(170)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는 정공층(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정공 주입 특성, 정공 수송 특성 및 열 안정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을 정공층(140)에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적절한 정공 주입 물질 및/또는 정공 수송 물질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저 전압에서 발광다이오드(100)를 구동시켜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으며, 발광다이오드(100)의 수명을 개선하고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다이오드(200)는 서로 마주하는 제 1 전극(210) 및 제 2 전극(220)과, 제 1 및 제 2 전극(210, 220)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 유닛(230)을 포함한다. 발광 유닛(230)은 발광물질층(270)을 포함하며, 제 1 전극(210)과 발광물질층(270)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층(240)과, 정공층(240)과 발광물질층(270)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차단층(electron blocking layer; EBL, 266), 발광물질층(270)과 제 2 전극(220)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수송층(280) 및 전자주입층(290)을 포함한다. 정공층(240)은 정공주입층(250)과 정공수송층(260)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전극(210)은 양극이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 2 전극(220)은 음극이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발광물질층(270)은 호스트(host)에 도펀트(dopant)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물질층(270)과 제 2 전극(220)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수송층(280)은 옥사디아졸(oxadiazole), 트리아졸(triazole), 페난트롤린(phenanthroline), 벤족사졸(benzoxazole), 벤조티아졸(benzothiazole), 벤즈이미다졸, 트리아진 등의 유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수송층(280)은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토금속과 같은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수송층(280)과 제 2 전극(220)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주입층(290)은 LiF, CsF, NaF, BaF2 등의 알칼리 할라이드계 물질 및/또는 Liq(lithium quinolate), 리튬 벤조에이트(lithium benzoate), 소듐 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 등의 유기금속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공주입층(250)은 무기물인 제 1 전극(210)과 유기물인 정공수송층(260) 사이의 계면 특성을 향상시킨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주입층(250)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주입층(250)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 일례로 MTDATA, CuPc, TCTA, NPD(α-NPB), HATCN, TDAPB, PEDOT/PSS, F4TCNQ 및/또는 N-(바이페닐-4-일)-9,9-디메틸-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H-플루오렌-2-아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주입층(250)은 정공 주입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정공주입층(미도시)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지는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정공수송층(260)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수송층(260)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수송층(260)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수송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정공 수송 도펀트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은 NPB, TCTA, TFV-TCTA, TAPC, m-MTDATA, mCP, TPD, CuPC, DNTPD 및/또는 TDAB 등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수송층(260)은 정공주입층(250)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전술한 정공 수송 물질로만 이루어지지는 제 1 정공수송층(미도시)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만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수송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지는 제 2 정공수송층(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정공이 발광물질층(270)을 지나 제 2 전극(220)으로 이동하거나, 전자가 발광물질층(270)을 지나 제 1 전극(210)으로 가는 경우, 소자의 수명과 효율에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다이오드(200)는 발광물질층(270)의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 엑시톤 차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공층(240)과 독립적으로 제 1 전극(210)과 발광물질층(270) 사이에 전자의 이동을 제어, 방지할 수 있는 전자차단층(265)이 위치할 수 있다.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정공 주입 특성 및 정공 수송 특성은 우수하지만, 전자 결합 특성은 낮기 때문에 전자 차단 능력이 뛰어나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전자차단층(265)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발광물질층(270)과 전자수송층(280) 사이에 다른 엑시톤 차단층으로서 정공차단층(hole blocking layer; HBL, 미도시))이 위치하여 발광물질층(270)과 전자수송층(280) 사이에 정공의 이동을 방지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차단층(미도시)의 소재로서 전자수송층(280)에 사용될 수 있는 옥사디아졸(oxadiazole), 트리아졸(triazole), 페난트롤린(phenanthroline), 벤족사졸(benzoxazole), 벤조티아졸(benzothiazole), 벤즈이미다졸, 트리아진 등의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공차단층(미도시)은 최고준위 분자점유궤도(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 레벨이 낮은 2,9-디메틸-4,7-디페닐-1,10-페난트롤린(BCP) 및/또는 비스(2-메틸-8-퀴놀리노라토)(4-페닐페놀라토)알루미늄(Ⅲ)(BAlq)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정공 주입 특성, 정공 수송 특성 및 열 안정성이 우수한 반면, 전자 결합 특성은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을 정공층(240) 및/또는 전자차단층(265)에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적절한 정공 주입 물질 및/또는 정공 수송 물질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저 전압에서 발광다이오드(200)를 구동시켜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으며, 발광다이오드(200)의 수명을 개선하고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전술한 단층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이외에도 탠덤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에 적용되어 저 전압에서 화이트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3 실시형태에 따라 탠덤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다이오드(300)는 서로 마주하는 제 1 전극(310) 및 제 2 전극(320)과, 제 1 및 제 2 전극(310, 320)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발광 유닛(하부 발광 유닛, 330)과, 제 1 발광 유닛(330)과 제 2 전극(320)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발광 유닛(상부 발광 유닛, 340)과, 제 1 및 제 2 발광 유닛(330, 340) 사이에 위치하는 전하생성층(350)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전극(310)은 양극이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 2 전극(320)은 음극이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제 1 발광 유닛(330)은, 정공층(331)과, 제 1 발광물질층(하부 발광물질층, 336)과, 제 1 전자수송층(하부 전자수송층, 338)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정공층(331)은 정공주입층(332)과 제 1 정공수송층(하부 정공수송층, 33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공주입층(332)은 제 1 전극(310)과 제 1 발광물질층(336) 사이에 위치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주입층(332)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주입층(332)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MTDATA, CuPc, TCTA, α-NPB, HATCN, TDAPB, PEDOT/PSS, F4TCNQ 및/또는 N-(바이페닐-4-일)-9,9-디메틸-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H-플루오렌-2-아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인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정공 주입 물질은 약 0.1 내지 50 중량%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정공주입층(332)은 정공 주입 물질로 일루어지는 정공주입층(미도시)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지는 별개의 정공주입층(미도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 정공수송층(334)은 정공주입층(332)과 제 1 발광물질층(336)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발광물질층(336)은 제 1 정공수송층(334)와 제 1 전자수송층(338)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전자수송층(338)은 제 1 발광물질층(336)과 전하생성층(350) 사이에 위치한다.
도 3에서 제 1 발광 유닛(330)을 구성하는 정공층(331)이 정공주입층(332)과 제 1 정공수송층(334)으로 구분되어 있다. 하지만, 정공층(331)은 1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발광 유닛(340)은 제 2 정공수송층(상부 정공수송층, 342)과, 제 2 발광물질층(상부 발광물질층, 344)과, 제 2 전자수송층(상부 전자수송층, 346)과, 전자주입층(348)을 포함한다.
제 2 발광물질층(344)은 제 2 정공수송층(342)과 제 2 전극(320) 사이에 위치하고, 제 2 전자수송층(346)은 제 2 발광물질층(344)과 제 2 전극(320) 사이에 위치하며, 전자주입층(348)은 제 2 전자수송층(346)과 제 2 전극(320)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2 발광물질층(336, 344) 각각은 호스트(host)에 도펀트(dopant)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한다. 일례로, 제 1 발광물질층(336)은 청색(B), 적색(R), 녹색(G) 또는 황색(Yellow, Y)을 발광하고, 제 2 발광물질층(344)은 적색(R), 녹색(G), 청색(B), 황록색(YG) 발광물질층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발광물질층(336)은 청색을 발광하고, 제 2 발광물질층(344)은 청색보다 장파장인 녹색, 황록색(yellow-green; YG) 또는 오렌지색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발광물질층(344)이 황록색 발광물질층을 구성하는 경우, 제 2 발광물질층(344)의 호스트 물질로서 CBP가 사용될 수 있고, Ir(2-phq)3와 같은 도펀트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정공수송층(334, 342) 각각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정공수송층(334, 342) 각각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정공수송층(334, 342) 각각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이 정공 수송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정공 수송 도펀트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은 α-NPB, TCTA, TFV-TCTA, TAPC, m-MTDATA, mCP, TPD, CuPC, DNTPD 및/또는 TDAB 등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정공수송층(334, 342)은 각각 전술한 정공 수송 물질로만 이루어지는 정공수송층(미도시)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만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수송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지는 별개의 정공수송층(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정공수송층(334, 342)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자수송층(338, 346) 각각은 옥사디아졸(oxadiazole), 트리아졸(triazole), 페난트롤린(phenanthroline), 벤족사졸(benzoxazole), 벤즈티아졸(benzthiazole) 또는 벤지이미다졸(예를 들어, 2-[4-(9,10-Di-2-naphthalenyl-2-anthracenyl)phenyl]-1-phenyl-1H-benzimidazole)과 같은 전자 수송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자수송층(338, 346)은 각각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토금속과 같은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자수송층(338, 346)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주입층(348)은 LiF, CsF, NaF, BaF2 등의 알칼리 할라이드계 물질 및/또는 Liq(lithium quinolate), 리튬 벤조에이트(lithium benzoate), 소듐 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 등의 유기금속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하생성층(350)은 제 1 발광 유닛(330)과 제 2 발광 유닛(340)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발광 유닛(330)에 인접하는 N타입 전하생성층(N-CGL, 352)과 제 2 발광 유닛(340)에 인접하는 P타입 전하생성층(P-CGL, 354)을 포함한다. N타입 전하생성층(352)은 제 1 발광 유닛(330)으로 전자(electron)를 주입해주고, P타입 전하생성층(354)은 제 2 발광 유닛(340)으로 정공(hole)을 주입해준다.
N타입 전하생성층(352)은 Li, Na, K, Cs와 같은 알칼리 금속 및/또는 Mg, Sr, Ba, Ra와 같은 알칼리토금속으로 도핑된 유기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N타입 전하생성층(352)에 사용되는 호스트 유기물은 4,7-디페닐-1,10-페난트롤린(4,7-dipheny-1,10-phenanthroline; Bphen), MTDATA와 같은 물질일 수 있으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은 약 0.01 내지 30 중량%로 도핑될 수 있다.
P타입 전하생성층(354)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타입 전하생성층(354)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P타입 전하생성층(354)의 도펀트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은 MTDATA, CuPc, TCTA, α-NPB, HATCN, TDAPB, PEDOT/PSS, F4TCNQ 및/또는 N-(바이페닐-4-일)-9,9-디메틸-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H-플루오렌-2-아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일 수 있다. P타입 전하생성층(354)이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과 정공 주입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정공 주입 물질은 약 0.1 내지 50 중량%로 도핑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P타입 전하생성층(354)과 제 2 정공수송층(342) 사이 및/또는 N타입 전하생성층(352)과 P타입 전하생성층(354) 사이에 제 2 정공주입층(상부 정공주입층; 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제 2 정공주입층을 채택하는 경우, P타입 전하생성층(354)에서 생성된 정공을 제 2 발광 유닛(340)으로 효율적으로 주입, 전달할 수 있다.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의 유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 일례로 MTDATA, CuPc, TCTA, α-NPB, HATCN, TDAPB, PEDOT/PSS, F4TCNQ 및/또는 N-(바이페닐-4-일)-9,9-디메틸-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H-플루오렌-2-아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 1 정공주입층(332)과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정공 주입 특성, 정공 이동 특성이 우수하고, 열 안정성이 뛰어나다. 특히 P타입 전하생성층(354)으로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에, 정공을 제 2 발광 유닛(340)으로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다른 적절한 정공 주입 물질 및/또는 정공 수송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 정공수송층(334, 342), P타입 전하생성층(354), 정공주입층(332) 및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이 채택된 탠덤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300)는 저-전압에서 구동 가능한 백색 발광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을 사용하여, 저 전압에서 발광다이오드(300)를 구동할 수 있으며, 발광다이오드(300)의 수명을 개선하고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다이오드(400)는 서로 마주하는 제 1 전극(410) 및 제 2 전극(420)과, 제 1 및 제 2 전극(410, 420)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발광 유닛(하부 발광 유닛, 430)과, 제 1 발광 유닛(430)과 제 2 전극(420)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발광 유닛(상부 발광 유닛, 440)과, 제 1 및 제 2 발광 유닛(430, 440) 사이에 위치하는 전하생성층(450)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전극(410)은 양극이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 2 전극(420)은 음극이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제 1 발광 유닛(430)은, 정공층(431)과, 제 1 전자차단층(하부 전자차단층, 435)과, 제 1 발광물질층(하부 발광물질층, 436)과, 제 1 전자수송층(하부 전자수송층, 438)을 포함한다.
정공층(431)은 정공주입층(432)과, 제 1 정공수송층(하부 정공수송층, 43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공주입층(432)은 제 1 전극(410)과 제 1 발광물질층(436)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정공수송층(434)은 제 1 정공주입층(432)과 제 1 발광물질층(436)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전자차단층(435)은 제 1 정공수송층(434)과 제 1 발광물질층(436) 사이에 위치한다. 즉, 제 1 전극(410)과 제 1 발광물질층(436) 사이에 정공층(431)과 독립적으로 전자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 1 전자차단층(435)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발광물질층(436)은 제 1 전자차단층(435)과 제 1 전자수송층(438)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전자수송층(438)은 제 1 발광물질층(436)과 전하생성층(450) 사이에 위치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1 발광물질층(436)과 제 1 전자수송층(438) 사이에 정공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하부 정공차단층이 위치할 수 있다.
도 4에서 제 1 발광 유닛(430)을 구성하는 정공층(431)이 정공주입층(432)과 제 1 정공수송층(434)으로 구분되어 있다. 하지만, 정공층(431)은 1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발광 유닛(440)은 제 2 정공수송층(상부 정공수송층, 442)과, 제 2 전자차단층(상부 전자차단층, 443)과, 제 2 발광물질층(상부 발광물질층, 444)과, 제 2 전자수송층(상부 전자수송층, 646)과, 전자주입층(648)을 포함한다. 제 2 정공수송층(442)은 전하생성층(450)과 제 2 발광물질층(444) 사이에 위치하고, 제 2 전자차단층(443)은 제 2 정공수송층(442)과 제 2 발광물질층(444) 사이에 위치한다. 즉, 전하생성층(450)과 제 2 발광물질층(444) 사이에 제 2 정공수송층(442)과 독립적으로 전자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 2 전자차단층(443)이 위치할 수 있다.
제 2 전자수송층(446)은 제 2 발광물질층(444)과 제 2 전극(420) 사이에 위치하고, 전자주입층(448)은 제 2 전자수송층(446)과 제 2 전극(420) 사이에 위치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2 발광물질층(444)과 제 2 전자수송층(446) 사이에 정공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상부 정공차단층이 위치할 수 있으며, P타입 전하생성층(454)과 제 2 정공수송층(442) 사이 및/또는 N타입 전하생성층(452)과 P타입 전하생성층(454) 사이에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발광물질층(436, 444) 각각은 호스트(host)에 도펀트(dopant)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한다. 일례로, 제 1 발광물질층(436)은 청색(B), 적색(R), 녹색(G) 또는 황색(Yellow, Y)을 발광하고, 제 2 발광물질층(444)은 적색(R), 녹색(G), 청색(B), 황록색(YG) 발광물질층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발광물질층(436)은 청색을 발광하고, 제 2 발광물질층(444)은 청색보다 장파장인 녹색, 황록색(yellow-green; YG) 또는 오렌지색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발광물질층(444)이 황록색 발광물질층을 구성하는 경우, 제 2 발광물질층(344)의 호스트 물질로서 CBP가 사용될 수 있고, Ir(2-phq)3와 같은 도펀트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 정공주입층(432) 및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 각각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정공주입층(432) 및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 각각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정공주입층(432) 및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 각각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MTDATA, CuPc, TCTA, α-NPB, HATCN, TDAPB, PEDOT/PSS, F4TCNQ 및/또는 N-(바이페닐-4-일)-9,9-디메틸-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H-플루오렌-2-아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이 약 0.1 내지 50 중량%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정공주입층(432) 및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 각각은 전술한 정공 주입 물질로 이루어지는 정공주입층(미도시)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지는 별개의 정공주입층(미도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 정공주입층(432) 및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정공수송층(434, 442) 각각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정공수송층(432, 444) 각각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정공수송층(434, 442)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수송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정공 수송 도펀트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은 NPB, TCTA, TFV-TCTA, TAPC, m-MTDATA, mCP, TPD, CuPC, DNTPD 및/또는 TDAB 등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정공수송층(434, 442)은 각각 전술한 정공 수송 물질로만 이루어지는 정공수송층(미도시)과,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만 이루어지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수송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지는 별개의 정공수송층(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정공수송층(434, 442)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자차단층(435, 443) 각각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전자 결합 능력이 낮기 때문에, 전자가 제 1 전극(410)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자차단층(435, 443)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자수송층(438, 446) 각각은 옥사디아졸(oxadiazole), 트리아졸(triazole), 페난트롤린(phenanthroline), 벤족사졸(benzoxazole), 벤즈티아졸(benzthiazole) 또는 벤지이미다졸(예를 들어, 2-[4-(9,10-Di-2-naphthalenyl-2-anthracenyl)phenyl]-1-phenyl-1H-benzimidazole)과 같은 전자 수송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자수송층(438, 446)은 각각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토금속과 같은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자수송층(438, 446)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주입층(448)은 LiF, CsF, NaF, BaF2 등의 알칼리 할라이드계 물질 및/또는 Liq(lithium quinolate), 리튬 벤조에이트(lithium benzoate), 소듐 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 등의 유기금속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하생성층(450)은 제 1 발광 유닛(430)과 제 2 발광 유닛(440)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발광 유닛(430)에 인접하는 N타입 전하생성층(N-CGL, 452)과 제 2 발광 유닛(440)에 인접하는 P타입 전하생성층(P-CGL, 454)을 포함한다. N타입 전하생성층(452)은 제 1 발광 유닛(430)으로 전자(electron)를 주입해주고, P타입 전하생성층(454)은 제 2 발광 유닛(440)으로 정공(hole)을 주입해준다.
N타입 전하생성층(452)은 Li, Na, K, Cs와 같은 알칼리 금속 또는 Mg, Sr, Ba, Ra와 같은 알칼리토 금속으로 도핑된 유기층일 수 있다. N타입 전하생성층(452)에 사용되는 호스트 유기물은 Bphen, MTDATA와 같은 물질일 수 있으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은 약 0.01 내지 30 중량%로 도핑될 수 있다.
P타입 전하생성층(354)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타입 전하생성층(454)은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P타입 전하생성층(454)의 도펀트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은 MTDATA, CuPc, TCTA, α-NPB, HATCN, TDAPB, PEDOT/PSS, F4TCNQ 및/또는 N-(바이페닐-4-일)-9,9-디메틸-N-(4-(9-페닐-9H-카바졸-3-일)페닐)-9H-플루오렌-2-아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일 수 있다. P타입 전하생성층(454)이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과 정공 주입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정공 주입 물질은 약 0.1 내지 50 중량%로 도핑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정공 주입 특성, 정공 이동 특성 및/또는 전자 차단 특성이 우수하고, 열 안정성이 뛰어나다. 특히, 타입 전하생성층(454)이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에, 정공을 제 2 발광 유닛(440)으로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에 다른 적절한 정공 주입 물질 및/또는 정공 수송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 정공수송층(434, 442), P타입 전하생성층(454), 정공주입층(432), 제 2 정공주입층(미도시) 및 전자차단층(435, 443)이 채택된 탠덤 구조의 발광다이오드(400)는 저-전압에서 구동 가능한 백색 발광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을 사용하여, 저 전압에서 발광다이오드(400)를 구동할 수 있으며, 발광다이오드(400)의 수명을 개선하고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4에서 P타입 전하생성층이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의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및/또는 전자차단층이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의 유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4에서 제 1 및 제 2 발광 유닛이 적층되고 그 사이에 전하생성층이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추가적인 발광 유닛과 발광 유닛들 사이에 위치하는 전하생성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를 적용한 표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500)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를 덮는 평탄화층(560)과, 평탄화층(560) 상에 위치하며 구동 소자인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에 연결되는 발광다이오드(E)를 포함한다.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는, 반도체층(540)과, 게이트 전극(544)과, 소스 전극(556)과, 드레인 전극(558)을 포함하는데, 도 5에서는 코플라나(coplanar) 구조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를 나타낸다.
기판(501)은 유리 기판, 얇은 플렉서블(flexible) 기판 또는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구동 소자인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와, 유기발광층(520)이 형성되는 발광다이오드(E)가 위치하는 기판(501)은 어레이 기판을 이룬다.
기판(501) 상부에 반도체층(540)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반도체층(540)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층(540) 하부에는 차광패턴(미도시)과 버퍼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차광패턴은 반도체층(540)으로 빛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도체층(540)이 빛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달리, 반도체층(540)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반도체층(540)의 양 가장자리에 불순물이 도핑되어 있을 수 있다.
반도체층(540)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542)이 기판(501) 전면에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542)은 실리콘 산화물(SiO2) 또는 실리콘 질화물(SiNx)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542) 상부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544)이 반도체층(540)의 중앙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542) 상부에는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제 1 캐패시터 전극(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배선은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 1 캐패시터 전극은 게이트 전극(544)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게이트 절연막(542)이 기판(501)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게이트 절연막(542)은 게이트 전극(544)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터닝 될 수도 있다.
게이트 전극(544)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550)이 기판(501) 전면에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550)은 실리콘 산화물(SiO2) 또는 실리콘 질화물(SiNx)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형성되거나,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이나 포토 아크릴(photo-acryl)과 같은 유기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550)은 반도체층(540)의 양측 상면을 노출하는 제 1 및 제 2 반도체층 컨택홀(552, 554)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반도체층 컨택홀(552, 554)은 게이트 전극(544)의 양측에서 게이트 전극(544)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반도체층 컨택홀(552, 554)은 게이트 절연막(542) 내에도 형성된다. 이와 달리, 게이트 절연막(542)이 게이트 전극(544)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터닝 될 경우, 제 1 및 제 2 반도체층 컨택홀(552, 554)은 층간 절연막(550) 내에만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550) 상부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소스 전극(556)과 드레인 전극(558)이 형성된다. 또한, 층간 절연막(550) 상부에는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데이터 배선(미도시)과 전원 배선(미도시) 및 제 2 캐패시터 전극(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소스 전극(556)과 드레인 전극(558)은 게이트 전극(544)을 중심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각각 제 1 및 제 2 반도체층 컨택홀(552, 554)을 통해 반도체층(540)의 양측과 접촉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데이터 배선은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게이트 배선과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며, 고전위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배선은 데이터 배선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 2 캐패시터 전극은 드레인 전극(558)과 연결되고 제 1 캐패시터 전극과 중첩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캐패시터 전극 사이의 층간 절연막(550)을 유전체층으로 하여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이룬다.
한편, 반도체층(540), 게이트 전극(544), 소스 전극(556) 및 드레인 전극(558)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를 이룬다. 도 5에 예시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는 반도체층(540)의 상부에 게이트 전극(544), 소스 전극(556) 및 드레인 전극(558)이 위치하는 코플라나(coplanar) 구조를 가진다. 이와 달리,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는 반도체층의 하부에 게이트 전극이 위치하고, 반도체층의 상부에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위치하는 역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층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의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가 기판(501) 상에 더 형성된다.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게이트 전극(544)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의 드레인 전극(미도시)에 연결되고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소스 전극(556)은 전원 배선(미도시)에 연결된다. 또한,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의 게이트 전극(미도시)과 소스 전극(미도시)은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각각 연결된다.
한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500)는 발광다이오드(E)에서 생성된 빛을 흡수하는 컬러 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 필터(미도시)는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 광을 흡수할 수 있다. 이 경우, 광을 흡수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컬러 필터 패턴이 각각의 화소영역 별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컬러 필터 패턴은 흡수하고자 하는 파장 대역의 빛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E) 중의 유기발광층(520)과 각각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컬러 필터(미도시)를 채택함으로써,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500)는 풀-컬러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발광 표시장치(500)가 하부 발광 타입인 경우, 발광다이오드(E)에 대응하는 층간 절연막(550) 상부에 광을 흡수하는 컬러 필터(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유기발광 표시장치(500)가 상부 발광 타입인 경우, 컬러 필터는 발광다이오드(E)의 상부, 즉 제 2 전극(530) 상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일례로, 컬러 필터(미도시)는 2 내지 5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발광다이오드(E)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탠덤 구조를 가지는 백색 발광다이오드일 수 있다.
소스 전극(556)과 드레인 전극(558) 상부에는 평탄화층(560)이 기판(501) 전면에 형성된다. 평탄화층(560)은 상면이 평탄하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드레인 전극(558)을 노출하는 드레인 컨택홀(562)을 갖는다. 여기서, 드레인 컨택홀(562)은 제 2 반도체층 컨택홀(554) 바로 위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 2 반도체층 컨택홀(554)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발광다이오드(E)는 평탄화층(560) 상에 위치하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의 드레인 전극(558)에 연결되는 제 1 전극(510)과, 제 1 전극(510) 상에 순차 적층되는 유기발광층(520) 및 제 2 전극(530)을 포함한다.
1 전극(510)은 각 화소영역 별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제 1 전극(670)은 양극(anode)일 수 있으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510)은 인듐-주석-산화물(indium-tin-oxide; ITO) 또는 인듐-아연-산화물(indium-zinc-oxide; IZO)과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500)가 상부 발광 방식(top-emission type)인 경우, 상기 제 1 전극(510) 하부에는 반사전극 또는 반사층이 더욱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전극 또는 상기 반사층은 알루미늄-팔라듐-구리(aluminum-paladium-copper: APC)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탄화층(560) 상에는 상기 제 1 전극(510)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층(572)이 형성된다. 상기 뱅크층(572)은 상기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전극(510)의 중앙을 노출한다.
상기 제 1 전극(510) 상에는 유기 발광층(530)이 형성된다. 상기 유기 발광층(530)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지는 발광물질층(emitting material layer)의 단일층 구조일 수 있다.
유기발광층(520)은, 도 1 내지 도 4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이 정공층, 전자차단층 및/또는 전하생성층을 이루는 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유기발광층(520)은 발광물질층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전하생성층, 선택적으로 정공차단층과 전자차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530)이 형성된 상기 기판(510) 상부로 제 2 전극(53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극(530)은 표시영역의 전면에 위치하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음극(cathode)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전극(530)은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AlMg)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530) 상에는, 외부 수분이 상기 발광다이오드(E)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캡슐레이션 필름(encapsulation film, 580)이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580)은 제 1 무기 절연층(582)과, 유기 절연층(584)과 제 2 무기 절연층(586)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은 정공 결합 특성이 우수한 적어도 1개의 아민기를 가지고 있으며, 아민기를 구성하는 질소 원자에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다이페닐메틸렌플루오레닐기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열 안정성이 뛰어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다른 유기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에 적절한 정공 주입 물질 및/또는 정공 수송 무질을 도핑하는 경우에, 유기발광층(520)으로의 정공 수송 특성이 향상되어 저-전압에서 구동 가능하다. 또한, 탠덤 구조를 갖는 발광다이오드에서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을 P타입 전하생성층에 사용하는 경우, 생성된 전하를 인접한 공통층으로 이동시키는데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을 발광다이오드(E)에 적용함으로써, 저-전압에서 발광다이오드(E)를 구동할 수 있으며, 발광다이오드(E)의 수명을 개선하고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사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 A4 화합물의 합성
1) 화합물 A1 합성
25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diphenylmethane (10.00g, 59.44 mmol)을 THF (100 mL)에 녹인 후, 0℃로 냉각시킨다. 이후, 1.6M n-Butyllithium (37.2 mL, 59.44 mmol)을 천천히 넣어주고 1시간 교반을 시킨 후, 2-bromo-9H-fluorenone (13.86g, 53.50 mmol)을 넣은 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Ammonium chloride 수용액을 넣어 반응을 종료시킨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감압 증류를 실시한 후,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2) 화합물 A2 합성
5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A1을 Toluene (250 mL)에 녹인 후, Dean-Stark trap에 연결하였다. p-toluenesulphonic acid (1.84g, 10.70 mmol)을 넣고, 10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0% NaHCO3 수용액을 넣어 반응을 종료시킨 후, Tolue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감압 증류한 후, Dichloromethane과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A2 (16.85g, 41.17 mmol)을 얻었다.
3) 화합물 A3 합성
25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phenylaniline (3.29g, 19.44 mmol), 9-(4-bromophenyl)-9H-carbazole (6.05g, 18.76 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27g, 0.29 mmol), (±)-2,2'-Bis(diphenylphosphino)-1,1'-binaphthalene(BINAP) (0.36g, 0.58 mmol)과 Sodium tert-butoxide(2.62g, 27.22 mmol)를, Toluene(150 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고, silica gel column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화합물 A3 (6.80g, 16.56 mmol)을 얻었다.
4) 화합물 A4 합성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A3 (1.00g, 2.44 mmol), A2 (1.10g, 2.68 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03g, 0.04 mmol), Tri-tert-butylphosphine (0.01g, 0.07 mmol)과 Sodium tert-butoxide(0.33g, 1.52 mmol)를, Toluene(35 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고, Dichloromethane와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A4 (1.12g, 1.52mmol)을 얻었다. NMR 분석 결과는 도 6에, FT-MS(푸리에 변환 중량 분광법; Fourier Transform Mass Spectrometry) 분석 결과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FT-MS 분석에 따른 A4 화합물의 분자량은 739.31이었다.
1HNMR (500MHz, CD2Cl2) 8.14 (d, 2H), 7.63~7.20 (m, 30H), 7.08~7.00 (m, 5H), 6.59(d, 1H)
합성예 2: B3 화합물의 합성
1) 화합물 B1 합성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A3 (2.50g, 6.09 mmol), 1-bromo-4-iodobenzene (2.58g, 9.13 mmol), 4,5-Bis(diphenylphosphino)-9,9-dimethylxanthene (0.04g, 0.06 mmol), Palladium(II) acetate (0.01g, 0.06 mmol)과 Sodium tert-butoxide(0.88g, 9.20 mmol)를, Toluene(60 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고, Dichloromethane와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B1 (2.75g, 4.86 mmol)을 얻었다.
2) 화합물 B2 합성
25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A2 (3.00g, 7.33 mmol)을 Diethyl Ether (100 mL)에 녹인 후, -78℃로 냉각시킨다. 이후, 2.5M n-Butyllithium (3.52 mL, 8.80 mmol)을 천천히 넣어주고 1시간 교반시킨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시, -78℃로 냉각시킨 후, Triethylborate (1.48 mL, 8.80 mmol)을 천천히 넣어주고 1시간 교반시킨 후, 상온에서 24시간 교반시켰다. 염산 수용액을 넣어 반응을 종료시킨 후, blowing을 통해 Diethyl Ether를 제거하고,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여과하여, 화합물 B2 (1.24g, 3.31 mmol)을 얻었다.
3) 화합물 B3 합성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B1 (1.50g, 2.65 mmol), B2 (1.19g, 3.18 mmol), tetrakis(triphenylphosphine)palladium(0) (0.15g, 0.13 mmol), potassium carbonate (2.07g, 15.00 mmol)을 Toluene (28 mL), Ethanol (7 mL), water (7 mL) 혼합용액에 넣고, 10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water와 Dichloromethane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고, Dichloromethane와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B3 (1.41g, 1.73 mmol)을 얻었다. NMR 분석 결과는 도 7에, FT-MS 분석 결과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FT-MS 분석에 따른 B3 화합물의 분자량은 815.34이었다.
1HNMR (500MHz, CD2Cl2) 8.14 (d, 2H), 7.73 (m, 2H), 7.76~7.19 (m, 35H), 6.92 (t, 1H), 6.86 (s, 1H), 6.65(d, 1H)
합성예 3: C2 화합물의 합성
1) 화합물 C1 합성
25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4'-dibromobiphenyl (5.00g, 16.03 mmol), aniline (3.73g, 40.06 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29g, 0.32 mmol), Tri-tert-butylphosphine (0.03g, 0.16 mmol)과 Sodium tert-butoxide(4.62g, 48.08 mmol)를, Toluene(160 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고, Dichloromethane와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C1 (4.00g, 11.89 mmol)을 얻었다.
2) 화합물 C2 합성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C1 (0.85g, 2.53 mmol), A2 (2.28g, 5.56 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07g, 0.08 mmol), Tri-tert-butylphosphine (0.03g, 0.15 mmol)과 Sodium tert-butoxide(0.68g, 7.07 mmol)를, Toluene(40 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을 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고, Dichloromethane와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C2 (1.75g, 1.76mmol)을 얻었다. NMR 분석 결과는 도 8에, FT-MS 분석 결과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FT-MS 분석에 따른 C2 화합물의 분자량은 993.43이었다.
1HNMR (500MHz, CD2Cl2) 7.41~7.32 (m, 18H), 7.21~6.84 (m, 30H), 6.56 (d, 2H), 6.20 (s, 2H)
합성예 4: D3 화합물의 합성
1) 화합물 D1 합성
25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dibenzofuran-4-boronic acid (3.00g, 14.15 mmol), 1-bromo-4-iodobenzene (4.00g, 14.15 mmol), tetrakis(triphenylphosphine) palladium(0) (0.82g, 0.71 mmol), potassium carbonate (4.84g, 35.00 mmol)을, Toluene (80 mL), Ethanol (20 mL), water (20 mL) 혼합용액에 넣고, 10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water와 Dichloromethane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고, Dichloromethane와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D1 (3.95g, 12.22 mmol)을 얻었다.
2) 화합물 D2 합성
25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phenylaniline (1.80g, 10.64 mmol), D1 (3.78g, 11.70 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15g, 0.16 mmol), (±)-2,2'-Bis(diphenylphosphino)-1,1'-binaphthalene(BINAP) (0.20g, 0.32 mmol)과 Sodium tert-butoxide(1.43g, 14.89 mmol)를, Toluene(100 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고, silica gel column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화합물 D2 (3.05g, 7.41 mmol)을 얻었다.
3) 화합물 D3 합성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D2 (1.00g, 2.43 mmol), A2 (1.09g, 2.67 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03g, 0.04 mmol), Tri-tert-butylphosphine (0.01g, 0.07 mmol)과 Sodium tert-butoxide (0.33g, 3.40 mmol)를, Toluene(40 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고, Dichloromethane과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D3 (1.45g, 1.96 mmol)을 얻었다. NMR 분석 결과는 도 9에, FT-MS 분석 결과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FT-MS 분석에 따른 D3 화합물의 분자량은 740.29이었다.
1HNMR (500MHz, CDCl3) 8.00 (d, 1H), 7.93 (d, 1H), 7.80 (d, 2H), 7.63 (m, 6H), 7.49~6.89 (m, 25H), 6.64 (d, 1H), 6.29 (s, 1H)
합성예 5: E2 화합물의 합성
1) 화합물 E1 합성
25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phenylaniline (2.00g, 11.82 mmol), 2-bromodibenzothiophene (3.42g, 13.00 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16g, 0.18 mmol), (±)-2,2'-Bis(diphenylphosphino)-1,1'-binaphthalene(BINAP) (0.22g, 0.35 mmol)과 Sodium tert-butoxide(1.59g, 16.55 mmol)를, Toluene(110 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고, silica gel column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화합물 E1 (3.05g, 8.68 mmol)을 얻었다.
2) 화합물 E2 합성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A2 (1.28g, 3.13 mmol), E1 (1.00g, 2.85 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04g, 0.04 mmol), Tri-tert-butylphosphine (0.02g, 0.09 mmol)과 Sodium tert-butoxide(0.38g, 3.98 mmol)를, Toluene(40 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고, Dichloromethane과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E2 (1.08g, 1.59 mmol)을 얻었다. NMR 분석 결과는 도 10에, FT-MS 분석 결과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FT-MS 분석에 따른 E2 화합물의 분자량은 680.24이었다.
1HNMR (500MHz, CDCl3) 7.97 (d, 1H), 7.88 (d, 1H), 7.73 (s, 1H), 7.69 (d, 1H), 7.64~7.59 (m, 4H), 7.46~7.03 (m, 20H), 6.87 (t, 1H), 6.71 (t, 1H), 6.60 (d, 1H), 6.52 (t, 1H), 6.22 (s, 1H)
합성예 6: F2 화합물의 합성
1) 화합물 F1 합성
25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4-phenylaniline (3.00g, 17.73 mmol), 2-bromo-9,9-dimethyl-9H-fluorene (5.33g, 19.50 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24g, 0.27 mmol), (±)-2,2'-Bis(diphenylphosphino)-1,1'-binaphthalene(BINAP) (0.33g, 0.53 mmol)과 Sodium tert-butoxide(2.39g, 24.82 mmol)를, Toluene(100 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감압 증류하고, silica gel column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화합물 F1 (5.24g, 14.50 mmol)을 얻었다.
2) 화합물 F2 합성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A2 (1.00g, 2.43 mmol), F1 (0.80g, 2.21 mmol), Tris(dibenzylideneacetone) dipalladium(0) (0.03g, 0.03 mmol), Tri-tert-butylphosphine (0.01g, 0.07 mmol)과 Sodium tert-butoxide(0.30g, 3.10 mmol)를, Toluene(35 mL)에 녹인 후, 100℃의 bath에서 24시간 교반시킨 후 반응이 종료가 되면 Toluene을 제거한 후 Dichloromethane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고, Dichloromethane과 n-hexane을 이용하여 column 분리하였다. 이후, Dichloromethane와 petroleum ether를 이용하여 침전액을 만든 후, 여과하여 화합물 F2 (1.13g, 1.66 mmol)을 얻었다. NMR 분석 결과는 도 11에, FT-MS 분석 결과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FT-MS 분석에 따른 F3 화합물의 분자량은 690.32이었다.
1HNMR (500MHz, CDCl3) 7.67~7.53 (m, 6H), 7.46~6.80 (m, 25H), 6.60 (d, 1H), 6.28 (s, 1H), 1.41 (s, 6H)
실시예 1: 단층 구조 발광다이오드 제작(A4)
합성예 1에서 합성된 A4 화합물을 포함하는 단층 구조의 발광다이오드 소자를 제작하였다. 인듐-주석-산화물(ITO) 글라스의 발광 면적이 3 ㎜ x 3 ㎜ 크기가 되도록 패터닝 한 후 세정하였다. 기판을 진공 챔버에 이송한 후, 베이스 압력이 10-6 Torr가 되도록 한 후 ITO 위에 정공주입층(HAT-CN, 50Å), 정공수송층(α-NPB; 500~1500Å), 엑시톤 차단층인 전자차단층(A4, 150Å), 청색 발광물질층(도펀트 BD-1이 4 중량% 도핑된 호스트 MADN, 250Å), 제 1 전자수송층 (2-[4-(9,10-Di-2-naphthalenyl-2-anthracenyl)phenyl]-1-phenyl-1H-benzimidazole, 100~300Å), 제 2 전자수송층(Li이 2 중량% 도핑된 Bphen, 100Å), 전자주입층(LiF, 5~10Å), 음극(Al, 800~1000Å)의 순서로 성막하였다.
증착 후 피막 형성을 위해 증착 챔버에서 건조 박스 내로 옮기고 후속적으로 UV 경화 에폭시 및 수분 게터를 사용하여 인캡슐레이션을 하였다. 이 유기발광다이오드는 9㎟ 의 방출 영역을 갖는다.
실시예 2: 단층 구조 발광다이오드 제작(B3)
전자차단층으로서 A4 대신에 합성예 2에서 합성된 B3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단층 구조의 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단층 구조 발광다이오드 제작(C2)
전자차단층으로서 A4 대신에 합성예 3에서 합성된 C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단층 구조의 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단층 구조 발광다이오드 제작(D3)
전자차단층으로서 A4 대신에 합성예 4에서 합성된 D3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단층 구조의 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단층 구조 발광다이오드 제작(E2)
전자차단층으로서 A4 대신에 합성예 5에서 합성된 E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단층 구조의 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6: 단층 구조 발광다이오드 제작(F2)
전자차단층으로서 A4 대신에 합성예 6에서 합성된 F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단층 구조의 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단층 구조 발광다이오드 제작(TCTA)
전자차단층으로서 A4 대신에 TCT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단층 구조의 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1: 단층 구조의 발광다이오드 특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6과, 비교예 1에서 각각 제조된 발광다이오드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과 비교예 1에서 각각 제조된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외부전력 공급원에 연결되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모든 발광다이오드들의 EL 특성(구동 전압, 전류 밀도, 전류 효율(Cd/A), 전력 효율(lm/W), 외부양자효율(EQE), 색좌표)을 일정한 전류 공급원 (KEITHLEY) 및 광도계 PR 650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평가하였다. 단층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의 전압-전류 밀도 측정 결과를 도 13a에, 전압-전류 효율 측정 결과를 도 13b에, 전계발광(EL) 강도 측정 결과를 도 13c에 각각 도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발광다이오드에 대한 구동 전압, 전류 효율, 전력 효율, 외부양자효율(EQE) 및 색좌표에 대한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실험예 1에 따르면, 전자차단층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적용된 단층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는, 전자차단층으로 TCTA를 적용한 비교예의 단층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와 비교해서, 구동 전압은 최고 13% 감소하였으며, 전류 효율은 최고 63%, 전력 효율은 최고 86%, EQE는 최고 66% 향상되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된 단층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에서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으며,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탠덤 구조의 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제작(A4)
합성예 1에서 합성된 A4 화합물을 포함하는 탠덤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인듐-틴-옥사이드(ITO) 글라스의 발광 면적이 3 ㎜ x 3 ㎜ 크기가 되도록 패터닝 한 후 세정하였다. 기판을 진공 챔버에 이송한 후, 베이스 압력이 10-6 Torr가 되도록 한 후 ITO 위에 정공주입층(HAT-CN; 50Å), 하부 정공수송층(α-NPB, 500~1500Å), 하부 엑시톤 차단층인 전자차단층(TCTA, 150Å), 청색 발광물질층(도펀트 BD-1이 4 중량% 도핑된 호스트 MADN, 250Å), 하부 전자수송층 (2-[4-(9,10-Di-2-naphthalenyl-2-anthracenyl)phenyl]-1-phenyl-1H-benzimidazole, 100~300Å), N타입 전하생성층(Li이 2 중량% 도핑된 Bphen, 100Å), P타입 전하생성층(도펀트 F4TCNQ가 10 중량% 도핑된 A4, 100Å), 상부 정공수송층(A4, 100~300Å), 상부 발광물질층인 YG 발광물질층(Ir(2-phq)3가 5~20% 도핑된 CBP, 300Å), 상부 전자수송층 (2-[4-(9,10-Di-2-naphthalenyl-2-anthracenyl)phenyl]-1-phenyl-1H-benzimidazole, 300~400Å), 전자주입층(LiF, 5~10Å), Al(800~1000Å)의 순서로 성막하였다.
증착 후 피막 형성을 위해 증착 챔버에서 건조 박스 내로 옮기고 후속적으로 UV 경화 에폭시 및 수분 게터를 사용하여 인캡슐레이션을 하였다. 이 유기발광다이오드는 9 mm2 의 방출 영역을 갖는다.
실시예 8: 탠덤 구조의 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제작(B3)
P타입 전하생성층의 호스트와 상부 정공수송층으로 A4를 대신하여 합성예 2에서 합성된 B3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의 절차를 반복하여 탠덤 구조의 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9: 탠덤 구조의 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제작(C2)
P타입 전하생성층의 호스트와 상부 정공수송층으로 A4를 대신하여 합성예 3에서 합성된 C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의 절차를 반복하여 탠덤 구조의 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0: 탠덤 구조의 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제작(D3)
P타입 전하생성층의 호스트와 상부 정공수송층으로 A4를 대신하여 합성예 4에서 합성된 D3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의 절차를 반복하여 탠덤 구조의 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1: 탠덤 구조의 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제작(E2)
P타입 전하생성층의 호스트와 상부 정공수송층으로 A4를 대신하여 합성예 5에서 합성된 E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의 절차를 반복하여 탠덤 구조의 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2: 탠덤 구조의 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제작(F2)
P타입 전하생성층의 호스트와 상부 정공수송층으로 A4를 대신하여 합성예 6에서 합성된 F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의 절차를 반복하여 탠덤 구조의 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탠덤 구조의 발광다이오드 소자의 제작(α-
NPB
)
P타입 전하생성층의 호스트와 상부 정공수송층으로 A4를 대신하여 α-NPB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의 절차를 반복하여 탠덤 구조의 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2: 탠덤 구조의 발광다이오드 특성 평가
실시예 7 내지 12와, 비교예 2에서 각각 제조된 발광다이오드의 특성을 실험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평가하였다. 탠덤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의 전압-전류 밀도 측정 결과를 도 14a에, 전압-전류 효율 측정 결과를 도 14b에, 전계발광(EL) 강도 측정 결과를 도 14c에 각각 도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발광다이오드에 대한 전류 효율, 전력 효율, 외부양자효율(EQE) 및 색좌표에 대한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표 2]
실험예 2에 따르면, P타입 전하생성층과 상부 정공수송층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된 탠덤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는, P타입 전하생성층과 상부 정공수송층으로 α-NPB를 적용한 비교예에서 제조된 탠덤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와 비교해서 구동 전압은 최고 12% 감소하였으며, 전류 효율은 최고 19%, 전력 효율은 최고 28%, EQE는 최고 24% 향상되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기 화합물이 적용된 탠덤 구조를 가지는 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과 실험예 2의 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라 합성된 유기 화합물을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엑시톤 차단층 및 P타입 전하생성층에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적절한 정공 주입/수송 도펀트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이 유기 화합물은 저-전압에서도 우수한 전류 밀도를 가질 수 있으므로 저-전압에서도 발광다이오드를 구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합성된 유기 화합물의 우수한 정공 주입 및 정공 수송 특성에 기인하여, 본 발명의 유기 화합물을 정공층, 전자차단층 및/또는 전하생성층과 같이 정공의 주입, 수송, 이동 및/또는 전하 생성이 요구되는 공통층에 적용하는 경우, 발광다이오드의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으며, 전류 효율, 전력 효율, 양자효율과 같은 발광 효율은 물론이고, 발광 휘도나 전계강도 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토대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사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화합물 및/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적용된 발광다이오드는 유기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사실은,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를 통하여 더욱 분명하다.
100, 200, 300, 400, 500, E: 발광다이오드
110, 210, 310, 410, 510: 제 1 전극
120, 220, 320, 420, 520: 제 2 전극
130, 230, 330, 430, 530: 발광 유닛(유기발광층)
140, 240, 331, 431 : 정공층
150, 250, 332, 432: 정공주입층
160, 260, 334, 342, 434, 442: 정공수송층
170, 270, 336, 344, 436, 444: 발광물질층
180, 280, 338, 346, 438, 446: 전자수송층
190, 290, 348, 448: 전자주입층
266, 435, 443: 전자차단층
350, 450: 전하생성층
352, 452: N타입 전하생성층
354, 454: P타입 전하생성층
500: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110, 210, 310, 410, 510: 제 1 전극
120, 220, 320, 420, 520: 제 2 전극
130, 230, 330, 430, 530: 발광 유닛(유기발광층)
140, 240, 331, 431 : 정공층
150, 250, 332, 432: 정공주입층
160, 260, 334, 342, 434, 442: 정공수송층
170, 270, 336, 344, 436, 444: 발광물질층
180, 280, 338, 346, 438, 446: 전자수송층
190, 290, 348, 448: 전자주입층
266, 435, 443: 전자차단층
350, 450: 전하생성층
352, 452: N타입 전하생성층
354, 454: P타입 전하생성층
500: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Claims (20)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과 마주보는 제 2 전극;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발광물질층을 포함하는 제 1 발광 유닛;
상기 제 1 발광 유닛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제 2 발광물질층을 포함하는 제 2 발광 유닛; 및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 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P타입 전하생성층
을 포함하고,
상기 P타입 전하생성층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화학식 3
(화학식 3에서, L1 내지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C6~C30 아릴렌기임;
A11은 각각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디벤조퓨라닐기, 디벤조티오페닐기 또는 플루오레닐기이임;
A12는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C6~C30 아릴기임;
A13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치환기임;
a, b는 각각 0 또는 1이고, a, b 중에서 적어도 1개는 1이고, c는 0임;
상기 치환된에서 치환기는 C1~C20 알킬기 또는 C6~C30 아릴기임)
화학식 2
(화학식 2에서 R1 내지 R1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삼중수소 및 C1~C20 알킬기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됨)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P타입 전하생성층은, 상기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지는 발광다이오드.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P타입 전하생성층과 상기 제 1 발광 유닛 사이에 위치하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이 도핑된 유기층인 N타입 전하생성층을 더욱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 유닛은,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발광물질층 사이에 위치하는 정공주입층 및 제 1 정공수송층과, 상기 제 1 발광물질층과 상기 N타입 전하생성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전자수송층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 2 발광 유닛은, 상기 제 2 발광물질층과 상기 P타입 전하생성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정공수송층과, 상기 제 2 발광물질층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을 더욱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공수송층은 상기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P타입 전하생성층과 상기 제 2 정공수송층 사이 또는 상기 N타입 전하생성층과 상기 P타입 전하생성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정공주입층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공주입층은 상기 유기 화합물에 정공 주입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지는 발광다이오드.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발광 유닛은, 상기 제 2 정공수송층과 상기 제 2 발광물질층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차단층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전자차단층은 상기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발광다이오드.
- 삭제
- 기판;
상기 기판에 위치하는 구동 소자;
상기 기판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 소자에 연결되는 제 8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발광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삭제
- 삭제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3에서 L1 내지 L3는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렌기이고, A11은 치환되지 않거나, C1~C20 알킬기 또는 C6~C30 아릴기로 치환된 디벤조퓨라닐기, 디벤조티오페닐기 또는 플루오레닐기인 발광다이오드.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유기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중에서 어느 하나인 발광다이오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0242A KR102649050B1 (ko) | 2016-11-29 | 2016-11-29 |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0242A KR102649050B1 (ko) | 2016-11-29 | 2016-11-29 |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0582A KR20180060582A (ko) | 2018-06-07 |
KR102649050B1 true KR102649050B1 (ko) | 2024-03-18 |
Family
ID=6262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0242A KR102649050B1 (ko) | 2016-11-29 | 2016-11-29 |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4905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382488B (zh) | 2017-03-08 | 2023-11-03 | 出光兴产株式会社 | 化合物、有机电致发光元件用材料、有机电致发光元件和电子设备 |
KR102264795B1 (ko) * | 2018-11-06 | 2021-06-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유기 발광 소자 |
WO2020262507A1 (ja) | 2019-06-28 | 2020-12-30 | 出光興産株式会社 | 化合物、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電子機器 |
KR102686342B1 (ko) * | 2019-12-06 | 2024-07-19 | 솔루스첨단소재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67552A (ja) * | 1988-12-21 | 1990-06-27 | Canon Inc | 電子写真感光体 |
KR101282176B1 (ko) * | 2011-03-21 | 2013-07-04 | 덕산하이메탈(주) |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전자장치 |
KR101973030B1 (ko) * | 2012-06-20 | 2019-04-30 | 덕산네오룩스 주식회사 |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
-
2016
- 2016-11-29 KR KR1020160160242A patent/KR102649050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0582A (ko) | 2018-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7756B1 (ko) |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 |
KR101944851B1 (ko) |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 |
KR102635062B1 (ko) |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
KR101891168B1 (ko) |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 |
US10700290B2 (en) | Organic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n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689943B1 (ko) | 유기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유기발광장치 | |
KR102672452B1 (ko) | 유기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장치 | |
KR102639854B1 (ko) |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
KR20240134097A (ko) |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
KR102649050B1 (ko) |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
KR20190063923A (ko) | 유기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장치 | |
KR102649051B1 (ko) |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
KR102413121B1 (ko) |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장치 | |
KR102598478B1 (ko) |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
KR102642605B1 (ko) | 유기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유기발광장치 | |
KR20190061747A (ko) | 유기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장치 | |
KR102686826B1 (ko) |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
KR20180074172A (ko) |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
KR102505168B1 (ko) | 유기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장치 | |
KR102715828B1 (ko) | 발광 효율이 개선된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 |
KR102689354B1 (ko) | 유기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장치 | |
KR102493805B1 (ko) | 유기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유기발광장치 | |
KR102630959B1 (ko) | 유기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
KR20190061748A (ko) | 유기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장치 | |
KR102451310B1 (ko) | 유기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