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710B1 -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영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45710B1 KR102645710B1 KR1020200185992A KR20200185992A KR102645710B1 KR 102645710 B1 KR102645710 B1 KR 102645710B1 KR 1020200185992 A KR1020200185992 A KR 1020200185992A KR 20200185992 A KR20200185992 A KR 20200185992A KR 102645710 B1 KR102645710 B1 KR 1026457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smart
- consignment
- beekeeping
- beehi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원을 생육하는 생육환경을 측정하여 밀원생육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스마트팜(100)과, 내부 및 외부의 벌통영상을 생성하면서 내부환경을 측정한 스마트벌통환경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스마트벌통(200)과, 상기 스마트벌통(200)을 보호하기 위한 차광막 및 차폐막과 상기 스마트벌통(200)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레일이 포함된 스마트봉사(300)와, 위탁소비자정보 및 위탁지정정보가 포함된 위탁요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위탁소비자기기(500)와, 상기 스마트벌통(200)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가 포함된 양봉가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양봉가기기(600)와, 상기 양봉을 위수탁하기 위해 상기 위탁소비자기기(500)와 상기 양봉가기기(600)를 서로 중개하면서 계약시키기 위한 통합관리서버(700)를 포함하는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양봉을 통해 수확된 벌꿀을 포함한 1차 산물을 상품화하여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벌꿀분말가공기, 벌화분정제살균기, 건조기, 포장기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고 촬영하여 작동데이터와 제조공정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작동상태감지센서 및 촬영기기를 포함하는 스마트팩토리(400)를 포함하고, 상기 위탁소비자기기(500)는, 상기 계약된 양봉을 통해 수확되는 1차 산물이 상품화된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가격을 포함한 위탁소비자판매정보를 생성하기 우한 위탁소비자판매요청부(506)를 포함하며, 상기 양봉가기기(600)는, 상기 계약된 스마트벌통(200)을 통해 수확된 벌꿀을 포함한 1차 산물의 실제 생산량을 입력하고 택배발송데이터를 입력하여 현황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현황입력부(609)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700)는, 상기 위탁소비자정보와 양봉가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벌꿀을 구매만 하기 위한 일반소비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회원관리부(702)와, 미리 저장된 양봉가정보 중 상기 위탁요청신호의 위탁지역정보에 대응되는 양봉가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위탁소비자정보와 양보가정보와 상기 스마트팩토리(400)의 사용에 대한 계약정보를 포함한 양봉의 위수탁 계약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양봉계약부(703)와, 상기 스마트팩토리(400)의 제조공정영상 및 작동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상황을 감지하였을 경우에 이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양봉가기기(600)로 전송하기 위한 이상검출부(705)와, 미리 저장된 지역별 지역조건 중 상기 계약된 스마트벌통(200)의 위치정보에 따른 지역조건을 이용하여 벌꿀을 포함한 1차 산물의 생산과정과 꿀벌의 질병이나 말벌의 출현의 예찰 방제를 포함한 상기 스마트벌통(200)의 공정과정을 시뮬레이션하여 상기 1차 산물의 생산성과 수익성을 예측하고, 상기 스마트팩토리(400)를 통해 상기 1차 산물을 상품하는 제조공정을 시뮬레이션하여 상기 1차 산물이 상품화된 제품의 계산 및 자동 생산비 계산정보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시뮬레이션부(707)와, 상기 양봉가기기(600)로부터 상기 스마트벌통(200)에서 수확된 벌꿀을 포함한 1차 산물의 실제 생산량을 포함한 현황정보를 수집하여 통계분석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통계분석정보와 외부기관서버의 공공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양봉이 정상인지 평가하기 위한 통계분석부(708)와, 상기 위탁소비자판매정보를 리스트화하여 일반소비자정보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쇼핑몰관리부(7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실시예로, 상기 통합관리서버(700)는, 상기 스마트팜(100) 내지 스마트팩토리와 각각 통신하기 위한 서버통신부(701)와, 상기 위탁소비자기기(500)로부터 수신받은 위탁요청신호의 위탁지역정보에 대응되는 양봉가정보를 매칭하여 양봉의 위수탁 계약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위탁소비자기기(500)와 양봉가기기(600)로 전송하기 위한 양봉계약부(703)와, 상기 계약된 스마트벌통(200)으로부터 벌통영상 및 스마트벌통환경정보와 상기 스마트팜(100)으로부터 밀원생육정보를 수신받아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스마트팩토리로부터 작동데이터와 제조공정영상을 수신받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부(704)와, 상기 계약된 스마트벌통(200)으로부터 수신받은 스마트벌통환경정보와 상기 스마트팜(100)으로부터 수신받은 밀원생육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벌통(200)의 내부환경과 상기 스마트봉사(300)의 봉사환경과 상기 스마트팜(100)의 생육환경을 제어하도록 각각 환경제어신호와 봉사제어신호와 생육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스마트벌통(200)과 스마트봉사(300)와 스마트팜(100)으로 전송하기 위한 원격제어부(706)와, 상기 수집된 현황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확된 1차 산물을 상품화한 제품의 생산이력과 택배발송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생산관리부(709)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검출부(705)는, 상기 모니터링부(704)를 통해 상기 벌통영상을 분석하여 말벌감지나 꿀벌질병을 판단하여 이상상황을 감지하였을 경우에 이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양봉가기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위탁소비자기기(500)는, 상기 통합관리서버(700)와 통신하기 위한 위탁소비자통신부(501)와, 양봉을 위탁하는 위탁소비자의 정보를 입력하여 위탁소비자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위탁소비자정보부(502)와, 상기 위탁소비자정보와 위탁지역정보가 포함된 위탁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700)로 전송하기 위한 위탁요청부(503)와, 상기 통합관리서버(700)로부터 상기 양봉의 위수탁 계약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기 위한 위탁계약저장부(504)와, 상기 통합관리서버(700)를 통해 상기 계약된 스마트벌통(200)의 벌통영상을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505)를 포함하고, 상기 양봉가기기(600)는, 상기 통합관리서버(700)와 통신하기 위한 양봉가통신부(601)와, 상기 스마트벌통(200)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스마트벌통DB부(602)와, 상기 양봉을 수탁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벌통(200)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 및 양봉가의 정보를 포함하여 양봉가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양봉가정보부(603)와, 상기 통합관리서버(700)로부터 상기 양봉의 위수탁 계약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기 위한 수탁계약저장부(604)와, 상기 통합관리서버(700)로부터 상기 계약된 스마트벌통(200)의 벌통영상과 스마트벌통환경정보 및 상기 스마트팜(100)의 밀원생육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양봉가감시부(605)와, 상기 통합관리서버(700)로부터 이상신호를 수신받을 경우에 비상알림하기 위한 비상알림부(606)와, 상기 스마트벌통(200)의 내부환경 및 상기 스마트봉사(300)의 봉사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스마트벌통환경조절신호 및 스마트봉사환경조절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700)로 전송하기 위한 스마트벌통관리부(607)와, 상기 스마트팜(100)의 생육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생육환경조절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700)로 전송하기 위한 스마트팜관리부(608)와, 상기 1차 산물이 상품화된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양봉가판매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양봉가판매요청부(610)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700)의 쇼핑몰관리부(701)는, 상기 양봉가기기(600)로부터 수신받은 양봉가판매정보를 리스트화하여 일반소비자정보를 통해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봉을 위탁하기 위한 위탁소비자기기(500)에서 위탁소비자정보와 위탁지역정보를 포함한 위탁요청신호를 통합관리서버(700)로 전송하는 위탁요청단계와, 상기 통합관리서버(700)에서 미리 저장된 양봉가정보 중에서 상기 위탁요청신호의 위탁지역정보와 대응되는 양봉가정보를 추출하여 양봉의 위수탁 계약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위탁소비자기기(500)와 양봉가기기(600)로 전송하는 위수탁계약단계와, 상기 통합관리서버(700)에서 상기 계약된 스마트벌통(200)으로부터 벌통영상과 스마트벌통환경정보와 스마트팜(100)으로부터 밀원생육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단계와, 상기 통합관리서버(700)에서 상기 계약된 스마트벌통(200)의 내부환경과 상기 스마트팜(100)의 생육환경과 스마트봉사(300)의 봉사환경을 원격제어하는 원격제어단계를 포함하는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을 이용한 운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단계는, 모니터링하면서 벌꿀분말가공기, 벌화분정제살균기, 건조기, 포장기를 포함한 스마트팩토리의 생산지시에 따른 작동데이터 및 제조공정영상을 수신받아 모니터링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700)에서 상기 스마트팩토리(400)의 작동데이터 및 제조공정영상을 분석하여 이상상황을 감지할 경우에 이상신호를 검출한 후 상기 양봉가기기(600)로 전송하는 이상검출단계와, 상기 통합관리서버(700)에서 상기 양봉가기기(600)로부터 상기 양봉을 통해 수확된 벌꿀을 포함한 1차 산물의 실제 생산량을 포함한 현황정보를 수신받아 수집하고, 상기 현황정보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통계분석정보와 외부기관서버의 공공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양봉이 정상인지 평가하여 상기 양봉가기기(600)나 상기 위탁소비자기기(500)로 전송하는 통계분석단계와, 상기 통합관리서버(700)에서 상기 양봉가기기(600)나 상기 위탁소비자기기(500)로부터 상기 1차 산물을 상품화한 제품의 판매를 위한 판매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여 리스트화하여 미리 저장된 일반소비자정보로 제공하는 쇼핑몰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의 스마트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의 스마트벌통,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의 위탁소비자기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의 양봉가기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의 통합관리서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을 이용한 이용한 운영방법.
102: 스마트팜통신부 103: 생육환경조절부
104: 관수부 105: 관비부
200: 스마트벌통 201: 촬영부
202: 내부환경측정부 203: 스마트벌통통신부
204: 내부환경조절부 300: 스마트봉사
400: 스마트팩토리 500: 위탁소비자기기
501: 위탁소비자통신부 502: 위탁소비자정보부
503: 위탁요청부 504: 위탁계약저장부
505: 디스플레이부 506: 위탁소비자판매요청부
600: 양봉가기기 601: 양봉가통신부
602: 스마트벌통DB부 603: 양봉가정보부
604: 수탁계약저장부 605: 양봉가감시부
606: 비상알림부 607: 스마트벌통관리부
608: 스마트팜관리부 609: 현황입력부
610: 양봉가판매요청부 700: 통합관리서버
701: 서버통신부 702: 회원관리부
703: 양봉계약부 704: 모니터링부
705: 이상검출부 706: 원격제어부
707: 시뮬레이션부 708: 통계분석부
709: 생산관리부 710: 쇼핑몰관리부
Claims (5)
- 밀원을 생육하는 생육환경을 측정하여 밀원생육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스마트팜(100)과, 내부 및 외부의 벌통영상을 생성하면서 내부환경을 측정한 스마트벌통환경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스마트벌통(200)과, 상기 스마트벌통(200)을 보호하기 위한 차광막 및 차폐막과 상기 스마트벌통(200)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레일이 포함된 스마트봉사(300)와, 위탁소비자정보 및 위탁지정정보가 포함된 위탁요청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위탁소비자기기(500)와, 상기 스마트벌통(200)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가 포함된 양봉가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양봉가기기(600)와, 상기 양봉을 위수탁하기 위해 상기 위탁소비자기기(500)와 상기 양봉가기기(600)를 서로 중개하면서 계약시키기 위한 통합관리서버(700)를 포함하는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양봉을 통해 수확된 벌꿀을 포함한 1차 산물을 상품화하여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벌꿀분말가공기, 벌화분정제살균기, 건조기, 포장기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고 촬영하여 작동데이터와 제조공정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작동상태감지센서 및 촬영기기를 포함하는 스마트팩토리(400)를 포함하고,
상기 위탁소비자기기(500)는, 상기 계약된 양봉을 통해 수확되는 1차 산물이 상품화된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가격을 포함한 위탁소비자판매정보를 생성하기 우한 위탁소비자판매요청부(506)를 포함하며,
상기 양봉가기기(600)는, 상기 계약된 스마트벌통(200)을 통해 수확된 벌꿀을 포함한 1차 산물의 실제 생산량을 입력하고 택배발송데이터를 입력하여 현황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현황입력부(609)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700)는, 상기 위탁소비자정보와 양봉가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벌꿀을 구매만 하기 위한 일반소비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회원관리부(702)와, 미리 저장된 양봉가정보 중 상기 위탁요청신호의 위탁지역정보에 대응되는 양봉가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위탁소비자정보와 양보가정보와 상기 스마트팩토리(400)의 사용에 대한 계약정보를 포함한 양봉의 위수탁 계약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양봉계약부(703)와, 상기 스마트팩토리(400)의 제조공정영상 및 작동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상황을 감지하였을 경우에 이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양봉가기기(600)로 전송하기 위한 이상검출부(705)와, 미리 저장된 지역별 지역조건 중 상기 계약된 스마트벌통(200)의 위치정보에 따른 지역조건을 이용하여 벌꿀을 포함한 1차 산물의 생산과정과 꿀벌의 질병이나 말벌의 출현의 예찰 방제를 포함한 상기 스마트벌통(200)의 공정과정을 시뮬레이션하여 상기 1차 산물의 생산성과 수익성을 예측하고, 상기 스마트팩토리(400)를 통해 상기 1차 산물을 상품하는 제조공정을 시뮬레이션하여 상기 1차 산물이 상품화된 제품의 계산 및 자동 생산비 계산정보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시뮬레이션부(707)와, 상기 양봉가기기(600)로부터 상기 스마트벌통(200)에서 수확된 벌꿀을 포함한 1차 산물의 실제 생산량을 포함한 현황정보를 수집하여 통계분석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통계분석정보와 외부기관서버의 공공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양봉이 정상인지 평가하기 위한 통계분석부(708)와, 상기 위탁소비자판매정보를 리스트화하여 일반소비자정보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쇼핑몰관리부(7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리서버(700)는, 상기 스마트팜(100) 내지 스마트팩토리와 각각 통신하기 위한 서버통신부(701)와, 상기 위탁소비자기기(500)로부터 수신받은 위탁요청신호의 위탁지역정보에 대응되는 양봉가정보를 매칭하여 양봉의 위수탁 계약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위탁소비자기기(500)와 양봉가기기(600)로 전송하기 위한 양봉계약부(703)와, 상기 계약된 스마트벌통(200)으로부터 벌통영상 및 스마트벌통환경정보와 상기 스마트팜(100)으로부터 밀원생육정보를 수신받아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스마트팩토리로부터 작동데이터와 제조공정영상을 수신받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부(704)와, 상기 계약된 스마트벌통(200)으로부터 수신받은 스마트벌통환경정보와 상기 스마트팜(100)으로부터 수신받은 밀원생육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벌통(200)의 내부환경과 상기 스마트봉사(300)의 봉사환경과 상기 스마트팜(100)의 생육환경을 제어하도록 각각 환경제어신호와 봉사제어신호와 생육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스마트벌통(200)과 스마트봉사(300)와 스마트팜(100)으로 전송하기 위한 원격제어부(706)와, 상기 수집된 현황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확된 1차 산물을 상품화한 제품의 생산이력과 택배발송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생산관리부(709)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검출부(705)는, 상기 모니터링부(704)를 통해 상기 벌통영상을 분석하여 말벌감지나 꿀벌질병을 판단하여 이상상황을 감지하였을 경우에 이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양봉가기기(6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탁소비자기기(500)는, 상기 통합관리서버(700)와 통신하기 위한 위탁소비자통신부(501)와, 양봉을 위탁하는 위탁소비자의 정보를 입력하여 위탁소비자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위탁소비자정보부(502)와, 상기 위탁소비자정보와 위탁지역정보가 포함된 위탁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700)로 전송하기 위한 위탁요청부(503)와, 상기 통합관리서버(700)로부터 상기 양봉의 위수탁 계약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기 위한 위탁계약저장부(504)와, 상기 통합관리서버(700)를 통해 상기 계약된 스마트벌통(200)의 벌통영상을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505)를 포함하고,
상기 양봉가기기(600)는, 상기 통합관리서버(700)와 통신하기 위한 양봉가통신부(601)와, 상기 스마트벌통(200)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스마트벌통DB부(602)와, 상기 양봉을 수탁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벌통(200)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 및 양봉가의 정보를 포함하여 양봉가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양봉가정보부(603)와, 상기 통합관리서버(700)로부터 상기 양봉의 위수탁 계약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기 위한 수탁계약저장부(604)와, 상기 통합관리서버(700)로부터 상기 계약된 스마트벌통(200)의 벌통영상과 스마트벌통환경정보 및 상기 스마트팜(100)의 밀원생육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양봉가감시부(605)와, 상기 통합관리서버(700)로부터 이상신호를 수신받을 경우에 비상알림하기 위한 비상알림부(606)와, 상기 스마트벌통(200)의 내부환경 및 상기 스마트봉사(300)의 봉사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스마트벌통환경조절신호 및 스마트봉사환경조절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700)로 전송하기 위한 스마트벌통관리부(607)와, 상기 스마트팜(100)의 생육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생육환경조절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700)로 전송하기 위한 스마트팜관리부(608)와, 상기 1차 산물이 상품화된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양봉가판매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양봉가판매요청부(610)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700)의 쇼핑몰관리부(701)는, 상기 양봉가기기(600)로부터 수신받은 양봉가판매정보를 리스트화하여 일반소비자정보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
- 양봉을 위탁하기 위한 위탁소비자기기(500)에서 위탁소비자정보와 위탁지역정보를 포함한 위탁요청신호를 통합관리서버(700)로 전송하는 위탁요청단계와, 상기 통합관리서버(700)에서 미리 저장된 양봉가정보 중에서 상기 위탁요청신호의 위탁지역정보와 대응되는 양봉가정보를 추출하여 양봉의 위수탁 계약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위탁소비자기기(500)와 양봉가기기(600)로 전송하는 위수탁계약단계와, 상기 통합관리서버(700)에서 상기 계약된 스마트벌통(200)으로부터 벌통영상과 스마트벌통환경정보와 스마트팜(100)으로부터 밀원생육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단계와, 상기 통합관리서버(700)에서 상기 계약된 스마트벌통(200)의 내부환경과 상기 스마트팜(100)의 생육환경과 스마트봉사(300)의 봉사환경을 원격제어하는 원격제어단계를 포함하는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을 이용한 운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단계는, 모니터링하면서 벌꿀분말가공기, 벌화분정제살균기, 건조기, 포장기를 포함한 스마트팩토리의 생산지시에 따른 작동데이터 및 제조공정영상을 수신받아 모니터링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700)에서 상기 스마트팩토리(400)의 작동데이터 및 제조공정영상을 분석하여 이상상황을 감지할 경우에 이상신호를 검출한 후 상기 양봉가기기(600)로 전송하는 이상검출단계와,
상기 통합관리서버(700)에서 상기 양봉가기기(600)로부터 상기 양봉을 통해 수확된 벌꿀을 포함한 1차 산물의 실제 생산량을 포함한 현황정보를 수신받아 수집하고, 상기 현황정보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통계분석정보와 외부기관서버의 공공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양봉이 정상인지 평가하여 상기 양봉가기기(600)나 상기 위탁소비자기기(500)로 전송하는 통계분석단계와,
상기 통합관리서버(700)에서 상기 양봉가기기(600)나 상기 위탁소비자기기(500)로부터 상기 1차 산물을 상품화한 제품의 판매를 위한 판매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여 리스트화하여 미리 저장된 일반소비자정보로 제공하는 쇼핑몰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을 이용한 운영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5992A KR102645710B1 (ko) | 2020-12-29 | 2020-12-29 |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영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5992A KR102645710B1 (ko) | 2020-12-29 | 2020-12-29 |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영방법 |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4604A KR20220094604A (ko) | 2022-07-06 |
KR102645710B1 true KR102645710B1 (ko) | 2024-03-11 |
KR102645710B9 KR102645710B9 (ko) | 2025-05-12 |
Family
ID=82400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5992A Active KR102645710B1 (ko) | 2020-12-29 | 2020-12-29 |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영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4571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624008B (zh) * | 2022-07-08 | 2023-09-05 | 珠海科艺普检测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生物信息技术的大口黑鲈鱼的鱼苗智能检测方法 |
KR102475813B1 (ko) | 2022-09-02 | 2022-12-08 | 주식회사 토브 |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팩토리 구동 시뮬레이션 방법 |
KR102475965B1 (ko) * | 2022-10-12 | 2022-12-09 | 성노현 | 사용자 맞춤형 페이지를 구성하는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FI20226170A1 (en) * | 2022-12-28 | 2024-06-29 | Beehive Id Oy | Honey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honey |
KR20250038172A (ko) | 2023-09-11 | 2025-03-19 | 김건우 | Qr 코드를 활용한 여왕벌 이력 및 꿀벌 사육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102750465B1 (ko) | 2023-10-20 | 2025-01-07 | 농업회사법인진성 유한책임회사 | 양봉 정보 제공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57379A (ko) * | 2008-11-21 | 2010-05-31 | 공경용 | 농축수산물 육성의 위탁 관리 시스템 및 그 위탁 관리 방법 |
KR101616611B1 (ko) * | 2014-03-24 | 2016-04-28 | 김현수 | 이동가능한 조립식 봉사 |
KR102159636B1 (ko) * | 2018-07-20 | 2020-09-24 | 최정심 | 수직형 농장 건물 |
KR20200057561A (ko) * | 2018-11-16 | 2020-05-26 | 이충영 | 양봉용 예측분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예측분석방법 |
-
2020
- 2020-12-29 KR KR1020200185992A patent/KR102645710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45710B9 (ko) | 2025-05-12 |
KR20220094604A (ko) | 2022-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45710B1 (ko) | 밀원 및 양봉 통합관리 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영방법 | |
KR102121734B1 (ko) | 스마트 팜 통합관리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 |
US11659826B2 (en) | Detection of arthropods | |
US20230380386A1 (en) | Agricultural monitoring system using image analysis | |
US11849705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beehive strength | |
US20200267945A1 (en) |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beehives | |
US11631475B2 (en) | Real-time projections and estimated distributions of agricultural pests, diseases, and biocontrol agents | |
CN105787801A (zh) | 精确农业系统 | |
US11612145B1 (en) | Tracking and monitoring bees pollination efficiency | |
KR102110452B1 (ko) | 농작물 수급 관리 시스템 | |
KR19980068917A (ko) | 원격통신에 의한 농장관리 시스템 | |
US20240016136A1 (en) |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presence of at least one type of insect in agricultural crops | |
KR20230004218A (ko) | 시설재배 복합환경 제어 시스템 | |
Rigakis et al. | A low-cost, low-power, multisensory device and multivariable time series prediction for beehive health monitoring | |
KR20210059070A (ko) | 농작물 재배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농작물 재배 모니터링 방법 | |
KR20230064030A (ko) | 노지 작물 재배를 위한 기상환경 및 작물 생육 분석 시스템 | |
CN111815202B (zh) | 一种蜂蜜生产的预测方法及系统 | |
KR102265790B1 (ko) | Ict를 활용한 화분매개곤충 뒤영벌의 사육 장치 및 방법 | |
KR20200121950A (ko) |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벌꿀 농장 운영 시스템 | |
KR20250038172A (ko) | Qr 코드를 활용한 여왕벌 이력 및 꿀벌 사육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RU2783299C1 (ru) | СПОСОБ УДАЛЕННОГО МОНИТОРИНГА И КОНТРОЛЯ ОПЫЛЕНИ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ВБЛИЗИ УЛЬЕВ С ПРИМЕНЕНИЕМ ИНТЕРНЕТА ВЕЩЕЙ (IoT)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KR20210121864A (ko) | 스마트 농업 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KR20200057561A (ko) | 양봉용 예측분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예측분석방법 | |
WO2024190803A1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2688267B1 (ko) | 스마트축사 및 스마트팜 컨설팅을 위한 전문가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