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01126B1 - 부식되지 않는 반영구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및 이의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부식되지 않는 반영구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및 이의 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126B1
KR102601126B1 KR1020230074610A KR20230074610A KR102601126B1 KR 102601126 B1 KR102601126 B1 KR 102601126B1 KR 1020230074610 A KR1020230074610 A KR 1020230074610A KR 20230074610 A KR20230074610 A KR 20230074610A KR 102601126 B1 KR102601126 B1 KR 102601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interior space
base steel
steel plate
exterio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4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용
Original Assignee
박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용 filed Critical 박진용
Priority to KR1020230074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1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83Small buildings of the ISO container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부식되지 않는 반영구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은, 구축될 내부공간의 외부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및 복수 개가 상기 내부공간의 측부 둘레를 따라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장착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외벽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외벽 패널은, 기 설정된 면적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측부 일부를 차폐하는 패널부 및 상기 패널부의 양측에 연결되어 다른 외벽 패널과 연결되며, 상기 패널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내부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식되지 않는 반영구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및 이의 구축방법{Non-Corrosive Semi-Permanent Design Container Construc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및 이의 구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려한 디자인을 가지며, 이동식 주택의 건축 골조로서 높은 활용성을 가지는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및 이의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주택은 패널, 프레임, 모듈 등의 부품들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건물을 만드는 방법이다. 이는 전통적인 건축 방식보다 빠르고 저렴하며, 환경 친화적이며 유연하게 건축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조립식 주택은 각관골조에 징크판넬(리얼징크형태 샌드위치판넬)을 붙여만드는 방식으로서, 일반 샌드위치판넬에 대비하여 다양한 패턴의 프린팅이 가능하고, 가공이 쉬우며 우수한 심미성을 가진다.
다만, 폭 1m로 규격화된 판넬을 이어붙이기 때문에 내부 보강을 하더라도 이동 시에는 어느 정도의 뒤틀림이 발생하게 되며, 현장 시공에 따라 공기가 다소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판넬 간 이음새가 조금만 소홀함이 있어도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결로에 취약하고 단열력이 하락하여 여름에 덥고 겨울에 춥다는 단점도 있어 외부 단열을 추가로 시행하여야 만족스러운 단열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상과 같은 조립식 주택과 달리 기성 컨테이너조의 경우, 부위 별 고유의 기능을 지닌 부재들을 용접으로 이어붙이는 방식의 골조를 가진다.
컨테이너조는 지면에서 들어올릴 시 기울어짐에 대한 뒤틀림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이동식 주택의 골조로 가장 적합하며, 평단가가 낮아 저렴하게 구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컨테이너조는 공장에서 완성하여 이동 설치만 하면 되기 때문에 빠른 작업이 가능하므로, 날씨, 계절, 현장 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내부 단열 구조만으로 탁월한 성능과 기밀성을 이끌어낼 수 있다.
하지만, 컨테이너조는 골판지 형태의 외벽 형태를 가지고 있어 창고와 같은 외관을 가지므로 미관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으며, 금속 외벽 특유의 부식 발생에 대한 우려가 항상 도사리고 있어 도장면 관리가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의 부식은 불가피하기 때문에, 반영구적인 수명 보장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식 건축구조물들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이동식 건축구조물의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9730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종래 조립식 주택 및 컨테이너조의 단점들을 보완하고, 이동식 주택의 건축 골조로서 높은 활용성을 가지는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및 이의 구축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식되지 않는 반영구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은, 구축될 내부공간의 외부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및 복수 개가 상기 내부공간의 측부 둘레를 따라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장착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외벽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외벽 패널은, 기 설정된 면적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측부 일부를 차폐하는 패널부 및 상기 패널부의 양측에 연결되어 다른 외벽 패널과 연결되며, 상기 패널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내부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는, 다른 외벽 패널의 연결부와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인접한 외벽 패널의 각 연결부는 상기 내부공간 방향에서 용접되어 용접비드가 상기 내부공간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 둘레 중 장변을 형성하는 제1베이스강판, 상기 제1베이스강판과 연결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 둘레 중 단변을 형성하는 제2베이스강판, 상기 제1베이스강판 및 상기 제2베이스강판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기립 형성되는 코너 포스트, 상기 내부공간의 천장 둘레 중 장변을 형성하는 제1상부각관 및 상기 제1상부각관과 연결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천장 둘레 중 단변을 형성하는 제2상부각관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제1베이스강판 사이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력을 제공하는 크로스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코너 포스트, 상기 제1상부각관, 상기 제2상부각관 간을 서로 연결하는 코너 캐스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가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를 따라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장착되어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외벽 패널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벽 패널에 대한 보강력을 제공하는 보강 구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 구조체는, 상기 외벽 패널의 내측에 접하여 설치되는 제1보강구조체 및 상기 외벽 패널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제1보강구조체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보강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보강구조체는, 상하 방향으로 기립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1보강각관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보강각관의 내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2보강각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1보강구조체는, 상기 외벽 패널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보강각관을 매립하도록 탄성폼을 충진하여 경화시킨 탄성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보강구조체는, 상기 제1보강구조체로부터 상기 외벽 패널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제1보강각재 및 상기 제1보강각재와 동일한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기립된 형태로 구비되는 제2보강각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2보강구조체는, 상기 제1보강각재 및 상기 제2보강각재의 내측에 접하여 구비되는 벽체용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구축방법은, 구축될 내부공간의 바닥 둘레 중 장변을 형성하는 제1베이스강판 및 상기 제1베이스강판과 연결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 둘레 중 단변을 형성하는 제2베이스강판을 구축하는 (a)단계, 상기 제1베이스강판 및 상기 제2베이스강판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기립 형성되는 코너 포스트를 설치하는 (b)단계, 상기 내부공간의 천장 둘레 중 장변을 형성하는 제1상부각관 및 상기 제1상부각관과 연결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천장 둘레 중 단변을 형성하는 제2상부각관을 구축하는 (c)단계,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를 따라 천장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천장 패널을 설치하는 (d)단계, 상기 제1베이스강판과 상기 제1상부각관 사이, 및 상기 제2베이스강판과 상기 제2상부각관 사이에, 기 설정된 면적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측부 일부를 차폐하는 패널부 및 상기 패널부의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패널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내부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외벽 패널을 설치하는 (e)단계 및 서로 인접한 외벽 패널의 연결부 간을 서로 용접하는 (f)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f)단계는, 서로 인접한 외벽 패널의 연결부 간을 상기 내부공간 방향에서 용접하여 용접비드가 상기 내부공간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a)단계 및 상기 (b)단계 사이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제1베이스강판 사이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력을 제공하는 크로스멤버를 설치하는 (ex1)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b)단계 및 상기 (c)단계 사이에는, 상기 코너 포스트 상에 코너 캐스팅을 설치하는 (ex2)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f)단계 이후에는, 상기 외벽 패널의 내측에 접하도록 제1보강구조체를 설치하는 (ex3)단계 및 상기 외벽 패널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제1보강구조체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제2보강구조체를 설치하는 (ex4)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x3)단계는, 상하 방향으로 기립 형성된 제1보강각관을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 접하도록 설치하는 (ex3-1)단계,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제2보강각관을 상기 제1보강각관의 내측에 접하도록 설치하는 (ex3-2)단계 및 탄성폼을 상기 외벽 패널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보강각관을 매립하도록 충진 및 경화시켜 탄성폼층을 형성하는 (ex3-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ex4)단계는, 상기 제1보강구조체로부터 상기 외벽 패널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제1보강각재를 설치하는 (ex4-1)단계, 상기 제1보강각재와 동일한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기립된 형태로 구비된 제2보강각재를 설치하는 (ex4-2)단계 및 벽체용 보드를 상기 제1보강각재 및 상기 제2보강각재의 내측에 접하도록 설치하는 (ex4-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식되지 않는 반영구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및 이의 구축방법은, 부위별 고유의 기능을 지닌 부재들을 용접으로 이어붙이는 방식을 적용하여 지면에서 들어올릴 시 기울어짐에 대한 뒤틀림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이동식주택 골조로 가장 적합하며, 외벽 패널이 복합판넬, 컬러강판 등의 익스테리어 연출을 한 듯한 역징크형 형태를 가지고 있어 우수한 심미성을 자랑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부재를 공장에서 완성하여 이동 설치만 하면 되기 때문에 빠른 작업이 가능하며, 날씨, 계절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더불어 단열력은 기존 컨테이너조와 같이 우수하면서도, 추가로 페인트 도장면 탈색 시 재도장 등의 관리가 즉시 이루어지지 않아도 부식되지 않으므로, 기존 컨테이너조의 단점을 보완하여 사후관리가 매우 쉽고 종래의 이동식 주택들에 비해 50% 이상의 긴 수명을 보장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외벽 패널의 형태 및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를 구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내부 보강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외벽 패널의 형태 및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은 프레임 어셈블리, 외벽 패널(100) 및 천장 패널(200)을 포함한다.
프레임 어셈블리는 본 발명에 의해 구축될 내부공간의 외부 골격을 형성하는 구조로서,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어셈블리는 세부적으로 제1베이스강판(10), 제2베이스강판(20), 코너 포스트(40), 제1상부각관(50), 제2상부각관(60)을 포함한다.
제1베이스강판(10)은 내부공간의 바닥 둘레 중 장변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베이스강판(20)은 이와 같은 제1베이스강판(10)과 연결되며, 내부공간의 바닥 둘레 중 단변을 형성한다.
즉 제1베이스강판(10) 및 제2베이스강판(20)은 서로의 단부가 소정 각도를 이루어 용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베이스강판(10) 및 제2베이스강판(20)이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베이스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다만, 제1베이스강판(10) 및 제2베이스강판(20)에 의해 형성되는 베이스 구조의 형태는 본 실시예만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위에서는 제1베이스강판(10)은 장변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2베이스강판(20)은 단변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베이스강판(10) 및 제2베이스강판(20)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베이스 구조가 정사각형 형태를 가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어셈블리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1베이스강판(10) 사이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력을 제공하는 크로스멤버(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너 포스트(40)는 제1베이스강판(10) 및 제2베이스강판(20)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기립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베이스강판(10) 및 제2베이스강판(20)이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베이스 구조를 형성하므로, 코너 포스트(40)는 직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대응되는 지점마다 구비되어 총 4개가 구비된다.
제1상부각관(50)은 내부공간의 천장 둘레 중 장변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상부각관(60)은 제1상부각관(10)과 연결되며, 내부공간의 천장 둘레 중 단변을 형성한다.
즉 제1상부각관(50) 및 제2상부각관(60)은 서로의 단부가 소정 각도를 이루어 용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상부각관(50) 및 제2상부각관(60)이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상부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다만, 제1상부각관(50) 및 제2상부각관(60)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구조의 형태는 본 실시예만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어셈블리는, 코너 포스트(40), 제1상부각관(50), 제2상부각관(60) 간을 서로 연결하는 코너 캐스팅(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코너 캐스팅(70)은 각 코너 포스트(40)의 상부마다 구비되어 총 4개가 배치된다.
외벽 패널(100)은 복수 개가 내부공간의 측부 둘레를 따라,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프레임 어셈블리에 장착되어 측벽을 형성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외벽 패널(100)의 형태 및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외벽 패널(100)은, 패널부(110) 및 연결부(120)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지며, 아연강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패널부(110)는 기 설정된 면적을 형성하여 내부공간의 측부 일부를 차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연결부(120)는 패널부(110)의 양측에 연결되어 다른 외벽 패널(100)과 연결되며, 패널부(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부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120)는 패널부(110)의 양단부로부터 'ㄴ'자 형태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나, 연결부(120)의 형태는 본 실시예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연결부(120)의 형태에 의해, 후술할 내부 보강 구조가 완전히 밀착될 수 있어 안정성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외벽 패널(100)의 각 연결부(120)는, 서로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외벽 패널(100)의 각 연결부(120)는 내부공간 방향에서 용접되어 용접비드(M)가 내부공간 방향으로 노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용접비드(M)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려한 외부면을 가질 수 있으며, 용접비드(M)의 부식에 의한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천장 패널(200)은 복수 개가 내부공간의 상부를 따라 프레임 어셈블리에 장착되어 천장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천장 패널(200)은 외벽 패널(100)과 같이 아연강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빗물 등이 용이하게 외곽으로 이동하여 낙하되도록 하기 위해 외곽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천장 패널(200)은 소정 지점이 절곡되어 외곽 방향으로 직선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또는 전체적으로 아치 형태로 곡선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부위별 고유의 기능을 지닌 부재들을 용접으로 이어붙이는 방식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지면에서 들어올릴 시 기울어짐에 대한 뒤틀림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이동식주택 골조로 가장 적합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외벽 패널(100)이 복합판넬, 컬러강판 등의 익스테리어 연출을 한 듯한 역징크형 형태를 가지고 있어 우수한 심미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를 구축하는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를 구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축될 내부공간의 바닥 둘레 중 장변을 형성하는 제1베이스강판(10)과, 이와 같은 제1베이스강판(10)과 연결되며, 내부공간의 바닥 둘레 중 단변을 형성하는 제2베이스강판(20)을 구축하는 (a)단계가 수행된다.
또한 (a)단계 이후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1베이스강판(10) 사이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력을 제공하는 크로스멤버(30)를 설치하는 (ex1)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베이스강판(10)은 리브(11), 상부 플랜지(12) 및 하부 플랜지(13)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때 제1베이스강판(10)의 상부 플랜지(12) 및 하부 플랜지(13)는 리브(11)의 서로 다른 단부에서 각각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하부 플랜지(13)는 상부 플랜지(12)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베이스강판(20) 역시 리브(21), 상부 플랜지(22) 및 하부 플랜지(23)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상부 플랜지(22)의 단부에서 'ㄴ'자 형태로 절곡된 보조 플랜지(24)를 더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때 제2베이스강판(20)의 상부 플랜지(22) 및 하부 플랜지(23)는 리브(21)의 서로 다른 단부에서 각각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하부 플랜지(23)는 상부 플랜지(22)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크로스맴버(30)는 리브(31), 상부 플랜지(32) 및 하부 플랜지(33)를 포함하여, 제1베이스강판(10)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다만, 크로스멤버(30)의 전체적인 규격은 제1베이스강판(10)보다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베이스강판(10) 및 제2베이스강판(20)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기립 형성되는 코너 포스트(40)를 설치하는 (b)단계가 수행된다.
그리고 (b)단계 이후에는, 내부공간의 천장 둘레 중 장변을 형성하는 제1상부각관(50)과, 이와 같은 제1상부각관(50)과 연결되며, 내부공간의 천장 둘레 중 단변을 형성하는 제2상부각관(60)을 구축하는 (c)단계가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 코너 포스트(40)는 'ㅁ'자의 일부가 개구된 형태를 가지는 센터리브(41)와, 이와 같은 센터리브(41)의 양측 단부에서 절곡 형성된 지지플랜지(42)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제1상부각관(50) 및 제2상부각관(60)은 'ㅁ'자 형태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여기서 (b)단계 및 (c)단계 사이에는, 코너 포스트(40) 상에 코너 캐스팅(70)을 설치하는 (ex2)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의 상부를 따라 천장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천장 패널(200)을 설치하는 (d)단계가 수행된다.
본 과정에서 복수 개의 천장 패널(200)은 제1상부각관(50), 제2상부각관(60) 및 코너 캐스팅(70)으로 구성된 상부 구조 상에 얹힌 상태로 용접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 개의 외벽 패널(100)을 설치하는 (e)단계와, 서로 인접한 외벽 패널(100)의 연결부(120) 간을 서로 용접하는 (f)단계가 각각 수행된다.
(e)단계에서, 외벽 패널(100)은 제1베이스강판(10)과 제1상부각관(50) 사이, 그리고 제2베이스강판(20)과 제2상부각관(60) 사이에 설치되어 용접될 수 있다.
그리고 (f)단계에서는 서로 인접한 외벽 패널(100)의 연결부(120) 간을 내부공간 방향에서 용접하여, 용접비드가 내부공간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내부 보강 구조(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 패널(100)의 내측에는, 내부 보강 구조(300)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부 보강 구조(300)는 제1보강구조체(310) 및 제2보강구조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술한 (f)단계 이후에는, 외벽 패널(100)의 내측에 접하도록 제1보강구조체(310)를 설치하는 (ex3)단계와, 외벽 패널(100)의 내측 방향으로 제1보강구조체(310)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제2보강구조체(320)를 설치하는 (ex4)단계가 각각 수행될 수 있다.
(ex3)단계는, 세부적으로 (ex3-1)단계 내지 (ex3-3)단계를 포함한다.
(ex3-1)단계는 상하 방향으로 기립 형성된 제1보강각관(311)을 외벽 패널(100)의 연결부(120)의 내측에 접하도록 설치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ex3-2)단계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제2보강각관(312)을 제1보강각관(311)의 내측에 접하도록 설치하는 과정이다.
또한 (ex3-3)단계는 탄성폼을 외벽 패널(100)의 내면으로부터 제2보강각관(312)을 매립하도록 충진 및 경화시켜, 탄성폼층(313)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예컨대, 탄성폼은 고밀도 발포우레탄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과정에 의해, 제1보강구조체(310)가 구축된다.
다음으로 (ex4)단계는, 세부적으로 (ex4-1)단계 내지 (ex4-3)단계를 포함한다.
(ex4-1)단계는 제1보강구조체(310)로부터 외벽 패널(100)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제1보강각재(321)를 설치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ex4-2)단계는 제1보강각재(321)와 동일한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기립된 형태로 구비된 제2보강각재(322)를 설치하는 과정이다.
예컨대, 제1보강각재(321) 및 제2보강각재(322)로는 목재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ex4-3)단계는 벽체용 보드(323, 324)를 제1보강각재(321) 및 제2보강각재(322)의 내측에 접하도록 설치하는 과정이다.
벽체용 보드(323, 324)는 복수 개가 겹쳐지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제1벽체용 보드(323) 및 제2벽체용 보드(324)를 포함하는 한 쌍의 벽체용 보드(323, 324)를 설치한 것으로 예시하였다.
그리고 벽체용 보드(323, 324)는 예컨대 석고 보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즌 것은 아니다.
이상의 과정에 의해 제2보강구조체(320)가 구축되며, 제1보강구조체(310)와 제2보강구조체(320) 사이에는 단열공기층(A)이 형성된다.
이후 추가적으로 페인트 도장면 탈색 작업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가은 경우 재도장 등의 관리가 즉시 이루어지지 않아도 부식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후관리가 매우 쉽고, 종래의 이동식 주택들에 비해 50% 이상의 긴 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외벽 패널(100)의 형태 및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외벽 패널(100)의 연결부(12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연결부(120)와 다른 형태로 형성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외벽 패널(100)의 연결부(120)는 패널부(110)의 양단부로부터 내부공간 측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연결부(120)는 패널부(110)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서로 인접한 외벽 패널(100)의 연결부 간을 용접하는 과정에서 서로의 연결부(120)가 'V'자 형태를 이루도록 접하여 연결되며, 용접비드(M)는 내부공간 측으로 노출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외벽 패널(100)은 함께 'V'자를 이루는 한 쌍의 연결부(120)의 면 상에 각각 보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양면 보강이 필요한 경우 적용될 수 있으며,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연결부(120)는 각각이 보강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제1베이스강판
20: 제2베이스강판
30: 크로스멤버
40: 코너 포스트
50: 제1상부각관
60: 제2상부각관
70: 코너 캐스팅
100: 외벽 패널
110: 패널부
120: 연결부
200: 천장 패널
300: 내부 보강 구조
310: 제1보강구조체
320: 제2보강구조체
M: 용접 비드

Claims (20)

  1. 구축될 내부공간의 외부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및
    복수 개가 상기 내부공간의 측부 둘레를 따라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장착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외벽 패널;
    을 포함하며,
    상기 외벽 패널은,
    기 설정된 면적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측부 일부를 차폐하는 패널부;
    상기 패널부의 양측에 연결되어 다른 외벽 패널과 연결되며, 상기 패널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내부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외벽 패널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벽 패널에 대한 보강력을 제공하는 보강 구조체;
    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 구조체는,
    상기 외벽 패널의 내측에 접하여 설치되는 제1보강구조체; 및
    상기 외벽 패널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제1보강구조체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보강구조체;
    를 포함하는,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다른 외벽 패널의 연결부와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외벽 패널의 각 연결부는 상기 내부공간 방향에서 용접되어 용접비드가 상기 내부공간 방향으로 노출되는,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 둘레 중 장변을 형성하는 제1베이스강판;
    상기 제1베이스강판과 연결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 둘레 중 단변을 형성하는 제2베이스강판;
    상기 제1베이스강판 및 상기 제2베이스강판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기립 형성되는 코너 포스트;
    상기 내부공간의 천장 둘레 중 장변을 형성하는 제1상부각관; 및
    상기 제1상부각관과 연결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천장 둘레 중 단변을 형성하는 제2상부각관;
    을 포함하는,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제1베이스강판 사이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력을 제공하는 크로스멤버를 더 포함하는,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코너 포스트, 상기 제1상부각관, 상기 제2상부각관 간을 서로 연결하는 코너 캐스팅을 더 포함하는,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가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를 따라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장착되어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 패널을 더 포함하는,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구조체는,
    상하 방향으로 기립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1보강각관;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보강각관의 내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2보강각관;
    을 포함하는,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구조체는,
    상기 외벽 패널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보강각관을 매립하도록 탄성폼을 충진하여 경화시킨 탄성폼층을 더 포함하는,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구조체는,
    상기 제1보강구조체로부터 상기 외벽 패널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제1보강각재; 및
    상기 제1보강각재와 동일한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기립된 형태로 구비되는 제2보강각재;
    를 포함하는,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구조체는,
    상기 제1보강각재 및 상기 제2보강각재의 내측에 접하여 구비되는 벽체용 보드를 더 포함하는,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14. 구축될 내부공간의 바닥 둘레 중 장변을 형성하는 제1베이스강판 및 상기 제1베이스강판과 연결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 둘레 중 단변을 형성하는 제2베이스강판을 구축하는 (a)단계;
    상기 제1베이스강판 및 상기 제2베이스강판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기립 형성되는 코너 포스트를 설치하는 (b)단계;
    상기 내부공간의 천장 둘레 중 장변을 형성하는 제1상부각관 및 상기 제1상부각관과 연결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천장 둘레 중 단변을 형성하는 제2상부각관을 구축하는 (c)단계;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를 따라 천장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천장 패널을 설치하는 (d)단계;
    상기 제1베이스강판과 상기 제1상부각관 사이, 및 상기 제2베이스강판과 상기 제2상부각관 사이에, 기 설정된 면적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측부 일부를 차폐하는 패널부 및 상기 패널부의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패널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내부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외벽 패널을 설치하는 (e)단계;
    서로 인접한 외벽 패널의 연결부 간을 서로 용접하는 (f)단계;
    상기 외벽 패널의 내측에 접하도록 제1보강구조체를 설치하는 (ex3)단계; 및
    상기 외벽 패널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제1보강구조체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제2보강구조체를 설치하는 (ex4)단계;
    를 포함하는,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구축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서로 인접한 외벽 패널의 연결부 간을 상기 내부공간 방향에서 용접하여 용접비드가 상기 내부공간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구축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및 상기 (b)단계 사이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제1베이스강판 사이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력을 제공하는 크로스멤버를 설치하는 (ex1)단계가 더 수행되는,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구축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및 상기 (c)단계 사이에는,
    상기 코너 포스트 상에 코너 캐스팅을 설치하는 (ex2)단계가 더 수행되는,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구축방법.
  18. 삭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ex3)단계는,
    상하 방향으로 기립 형성된 제1보강각관을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 접하도록 설치하는 (ex3-1)단계;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제2보강각관을 상기 제1보강각관의 내측에 접하도록 설치하는 (ex3-2)단계; 및
    탄성폼을 상기 외벽 패널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보강각관을 매립하도록 충진 및 경화시켜 탄성폼층을 형성하는 (ex3-3)단계;
    를 포함하는,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구축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ex4)단계는,
    상기 제1보강구조체로부터 상기 외벽 패널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제1보강각재를 설치하는 (ex4-1)단계;
    상기 제1보강각재와 동일한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기립된 형태로 구비된 제2보강각재를 설치하는 (ex4-2)단계; 및
    벽체용 보드를 상기 제1보강각재 및 상기 제2보강각재의 내측에 접하도록 설치하는 (ex4-3)단계;
    를 포함하는,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구축방법.
KR1020230074610A 2023-06-12 2023-06-12 부식되지 않는 반영구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및 이의 구축방법 KR102601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4610A KR102601126B1 (ko) 2023-06-12 2023-06-12 부식되지 않는 반영구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및 이의 구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4610A KR102601126B1 (ko) 2023-06-12 2023-06-12 부식되지 않는 반영구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및 이의 구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126B1 true KR102601126B1 (ko) 2023-11-10

Family

ID=8874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610A KR102601126B1 (ko) 2023-06-12 2023-06-12 부식되지 않는 반영구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및 이의 구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1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0889A (ja) * 1996-03-19 1997-10-03 Tomoe Corp パネル式電磁波シールドルーム
KR20090092541A (ko) * 2008-02-27 2009-09-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닛 모듈라 시스템의 연결구, 모듈라 유닛 및 그 모듈라유닛의 제작방법
KR101297303B1 (ko) 2012-12-31 2013-08-16 양경철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
JP2020020185A (ja) * 2018-08-01 2020-02-06 株式会社ピースノート コンテナハウス、コンテナハウス用パネル及びコンテナハウスの組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0889A (ja) * 1996-03-19 1997-10-03 Tomoe Corp パネル式電磁波シールドルーム
KR20090092541A (ko) * 2008-02-27 2009-09-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닛 모듈라 시스템의 연결구, 모듈라 유닛 및 그 모듈라유닛의 제작방법
KR101297303B1 (ko) 2012-12-31 2013-08-16 양경철 복층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
JP2020020185A (ja) * 2018-08-01 2020-02-06 株式会社ピースノート コンテナハウス、コンテナハウス用パネル及びコンテナハウスの組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01556A1 (zh) 一种集装箱型组合房屋及其建造方法
US20190100917A1 (en) Panelized Building System Utilizing Integrated Insulation
WO2021142958A1 (zh) 一种预制建筑单元、拼装式建筑、带屋顶的拼装式建筑及施工方法
CN205153114U (zh) 轻钢结构模块化住宅
CN105926982A (zh) 装配式轻钢吊脚楼
CN201850647U (zh) 模块化组装房屋
KR102601126B1 (ko) 부식되지 않는 반영구 디자인 컨테이너 건축구조물 및 이의 구축방법
CN112127479A (zh) 一种拼接异形钢管混凝土柱梁柱连接节点及其施工方法
CN211818417U (zh) 一种装配式混凝土水池
KR102472810B1 (ko) 현장 조립이 용이한 가설 건축물 구조
CN111088858B (zh) 一种可循环使用的预制山墙及其连接构造
CN110219376B (zh) 一种预制混凝土夹心保温外墙板水平防水结构
CN210086811U (zh) 一种用于装配式建筑主次梁节点模板装置
CN210562615U (zh) 装配式集装箱房屋
CN217175347U (zh) 一种装配式压型骨架复合墙板
CN215443276U (zh) 一种临建板房
KR100555320B1 (ko) 오픈조인트식 외벽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벽체 시공방법
CN111719738A (zh) 可拆卸式外墙板块施工方法
CN220226379U (zh) 一种美化小机房
CN216075904U (zh) 一种模块化墙板结构
CN216195657U (zh) 一种建筑用连接桥、建筑用拼接模块、模块化墙体
CN214941333U (zh) 一种外挂墙板的墙角连接节点及装配式建筑外墙
CN219710645U (zh) 一种装配式墙体的固定结构
CN217027544U (zh) 一种钢结构混凝土楼层变形缝节点构造
TWI840290B (zh) 改良式組合屋基礎與牆面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