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07379B1 -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379B1
KR102607379B1 KR1020180118735A KR20180118735A KR102607379B1 KR 102607379 B1 KR102607379 B1 KR 102607379B1 KR 1020180118735 A KR1020180118735 A KR 1020180118735A KR 20180118735 A KR20180118735 A KR 20180118735A KR 102607379 B1 KR102607379 B1 KR 102607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ayer
color
ligh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9859A (ko
Inventor
이현범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8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379B1/ko
Priority to US16/534,908 priority patent/US10847586B2/en
Priority to CN201910948179.6A priority patent/CN111009560B/zh
Publication of KR20200039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Coatings
    • H01L27/14621Colour filt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83Processes or apparatus peculiar to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parts thereof
    • H01L27/14685Process for coatings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10K59/1315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compris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lowering the resistan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26Top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중심 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층, 개구부가 정의된 화소 정의막, 및 상기 베이스층을 커버하는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봉지층은 상기 중심 영역과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며 두께가 상이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 정의막과 중첩하는 차광부 및 상기 개구부와 중첩하는 컬러 필터부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부는, 상기 제1 부분과 중첩하고 상기 컬러 필터부에 의해 커버되는 제1 차광 패턴 및 상기 제2 부분과 중첩하고 상기 컬러 필터부 상에 배치되는 제2 차광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을 감소 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양자점 표시 장치(Quantum Dot Display Device), 전계방출표시장치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PD)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공통적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평 판 표시 패널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하는 바, 평판 표시 패널은 고유의 발광 또는 편광 혹은 그 밖의 광학 물 질층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투명 절연기판을 대면 합착시킨 구성을 갖는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별도의 광원을 요구치 않고, 내부에 서브 화소 단위로 자발광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표시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광원 및 이를 표시 패널과 조립하기 위한 구조물이 생략되는 이점이 있어 박형 경량화의 이점이 커 차세대 표시 장치로 고려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에 반사성 금속을 포함하고 있어, 외광 반사에 취약 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편광판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편광판은 약 150㎛ 이상의 두께를 가지며, 고가이며,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전체 투과율을 저하 시키는 요소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광 반사 기능을 하는 반사 방지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비용이 감소된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중심 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인접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층,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개구부가 정의된 화소 정의막, 상기 개구부를 통해 광을 표시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화소 정의막 및 상기 발광소자를 커버하는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봉지층은 상기 중심 영역과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개구부와 비중첩하며, 상기 표시 패널 상에서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되는 도전 패턴들 및 상기 도전 패턴들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입력 감지 유닛, 및 입력 감지 유닛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화소 정의막과 중첩하는 차광부 및 상기 개구부와 중첩하는 컬러 필터부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부는, 상기 제1 부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컬러 필터부에 의해 커버되는 제1 차광 패턴, 및 상기 제2 부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컬러 필터부 상에 배치되는 제2 차광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2 부분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제1 차광 패턴까지의 거리는,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제2 차광 패턴까지의 거리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컬러 필터부는, 서로 상이한 개구부들 각각에 중첩하고, 서로 다른 컬러를 갖는 제1 컬러 패턴, 제2 컬러 패턴, 및 제3 컬러 패턴, 및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화소 정의막과 중첩하여 배치되는 격벽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 패턴은 상기 제1 컬러 패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색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 패턴들 중, 상기 중심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컬러 패턴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에 배치된 제2 및 제3 컬러 패턴들 각각은 상기 격벽 패턴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에 배치된 상기 제1 컬러 패턴은 상기 격벽 패턴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차광 패턴은, 상기 제2 및 제3 컬러 패턴과 각각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차광층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차광층 및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격벽 패턴 상에 배치되고 상기 격벽 패턴과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컬러 패턴들 중 상기 비표시 영역과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컬러 패턴은 상기 컬러 패턴의 일부가 제거된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와 중첩하는 영역의 상기 컬러 패턴의 두께는 인접한 컬러 패턴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중심 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인접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층,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개구부가 정의된 화소 정의막, 상기 개구부를 통해 광을 표시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화소 정의막 및 상기 발광소자를 커버하는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봉지층은 상기 중심 영역과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개구부와 비중첩하며, 상기 표시 패널 상에서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되는 도전 패턴들 및 상기 도전 패턴들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입력 감지 유닛, 및 상기 입력 감지 유닛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화소 정의막과 중첩하는 차광부 및 상기 개구부와 중첩하는 컬러 필터부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감지 유닛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화소 정의막과 중첩하는 차광부 및 상기 개구부와 중첩하는 컬러 필터부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부는, 상기 제1 부분과 중첩하고 상기 컬러 필터부에 의해 커버되는 제1 차광 패턴 및 상기 제2 부분과 중첩하고 상기 컬러 필터부 상에 배치되는 제2 차광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제1 차광 패턴까지의 거리는,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제2 차광 패턴까지의 거리와 같다.
상기 제1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2 부분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컬러 필터부는, 서로 상이한 개구부들 각각에 중첩하고, 서로 다른 컬러를 갖는 제1 컬러 패턴, 제2 컬러 패턴, 및 제3 컬러 패턴, 및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화소 정의막과 중첩하여 배치되는 격벽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 패턴은 상기 제1 컬러 패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색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 패턴은 상기 중심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컬러 패턴들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제2 차광 패턴은 상기 격벽 패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차광 패턴은, 서로 적층되는 제1 차광층 및 제2 차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차광층은 상기 제2 컬러 패턴과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제3 컬러 패턴과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차광 패턴은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인접한 상기 제2 차광 패턴들 사이의 너비는 상기 인접한 개구부들 사이의 최대 너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 패턴들 중, 상기 중심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컬러 패턴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에 배치된 제2 및 제3 컬러 패턴들 각각은 상기 격벽 패턴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격벽 패턴의 두께는, 상기 제2 부분과 중첩하는 제1 컬러 패턴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중심 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층 상에 복수의 개구부들을 정의하며 형성된 화소 정의막, 및 상기 개구부들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발광소자들이 형성된 예비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층을 커버하며 유기물을 포함하는 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1 마스크 상에 광 차단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물을 도포하여 상기 중심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정의막 상에 차광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제2 마스크 상에 제1 유기물 도포하여, 상기 중심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들 중 일부 및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들 중 일부와 중첩하는 제1 컬러 패턴, 및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정의막에 중첩하는 격벽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제3 마스크 상에 상기 제1 유기물과 다른 컬러를 갖는 제2 유기물을 도포하여, 상기 제1 컬러 패턴과 이격되고, 상기 중심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들 중 일부 및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들 중 일부와 중첩하는 제2 컬러 패턴 및 상기 격벽 패턴 상에 제공되는 제1 차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4 마스크 상에 상기 제1 및 제2 유기물들과 다른 컬러를 갖는 제3 유기물을 도포하여, 상기 제2 컬러 패턴과 이격되고, 상기 중심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들 중 일부 및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들 중 일부와 중첩하는 제3 컬러 패턴 및 상기 제1 차광층 상에 제공되는 제2 차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 패턴들은 상기 차광 패턴을 커버하며 형성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 컬러 패턴 및 상기 격벽 패턴은 연결된 하나의 패턴으로 동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봉지층 상에 직접 형성되고, 상기 화소 정의막과 중첩하고 상기 개구부들과 비중첩하며, 도전 패턴들을 포함하는 입력 감지 유닛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봉지층에 형성된 단차를 컬러 필터부의 두께에 의해 보상해 줌으로써, 표시 패널의 전 영역에 배치되는 차광부의 위치를 동일하게 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의 전 영역에서 동일한 휘도비를 가질 수 있으며, WAD(white angle difference) 산포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광 반사 기능을 하는 반사 방지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외광 차폐율 및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슬림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의 제조 비용을 감소 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b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9는 서로 다른 컬러를 갖는 차광 패턴의 투과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됩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표시면(DD-IS)을 통해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면(DD-IS)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다. 표시면(DD-IS)의 법선 방향, 즉 표시 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리지드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핸드폰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는 표시 장치(DD)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메인보드에 실장된 전자모듈들, 카메라 모듈, 전원모듈 등이 표시 장치(DD)과 함께 브라켓/케이스 등에 배치됨으로써 핸드폰 단말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테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활성 영역(DD-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활성 영역(DD-NDA)은 활성 영역(DD-DA)을 에워싸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활성 영역(DD-DA)의 형상과 비활성 영역(DD-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도 1a와 달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2개의 벤딩영역들(BA1, BA2) 및 비벤딩 영역(NBA)을 포함할 수 있다. 비벤딩 영역(NBA)의 제2 방향(DR2)에서 마주하는 2개의 주변 영역들이 중심영역으로부터 벤딩되어 제1 및 제2 벤딩영역(BA1, BA1)이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벤딩 영역(NBA)은 제2 방향(DR2)에서 마주하는 제1 및 제2 벤딩영역(BA1, BA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리지드한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한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b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표시 패널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입력 감지 유닛(ISL), 반사 방지 유닛(CFL), 및 윈도우층(WL)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 감지 유닛(ISL)은 표시 패널 상에 직접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B의 구성이 A의 구성 상에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A의 구성과 B의 구성 사이에 별도의 접착층이나 접착부재 등 별도의 추가 구성이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B 구성은 A 구성이 형성된 이후에 A구성이 제공하는 면 상에 연속공정을 통해 직접 형성된다.
표시 패널(DP)은 이미지를 생성하고, 입력 감지 유닛(ISL)은 외부 입력의 좌표정보를 획득한다. 외부 입력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은 사용자의 손 등 신체의 일부에 의한 접촉은 물론 표시 장치(DD)와 근접하거나, 소정의 거리로 인접하여 인가되는 외부 입력(예를 들어, 호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힘, 압력, 광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 패널(DP)의 하면에 배치된 보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재와 표시 패널(DP)은 접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 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 패널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 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 패널로 설명한다.
반사 방지 유닛(CFL)은 입력 감지 유닛(ISL) 상에 배치된다. 반사 방지 유닛(CFL)은 윈도우층(WL) 상층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윈도우층(WL)은 유리 기판 및/또는 합성수지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b에는 단층의 윈도우층(WL)를 도시하고 있으나, 접착부재로 결합된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윈도우층(WL)은 전면에 배치된 기능성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은 지문 방지층, 반사 방지층, 및 하드 코팅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베이스층(BL), 회로 소자층(DP-CL), 표시 소자층(DP-OLED), 및 절연층(TFL)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영역(DP-DA)는 중심 영역(CA) 및 주변 영역(EA)를 포함한다. 주변 영역(EA)는 중심 영역(CA)를 에워 싸을 수 있다. 따라서, 중심 영역(CA)은 주변 영역(EA)를 사이에 두고 비표시 영역(DP-NDA)과 이격되어 정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표시 영역(DP-DA) 및 비표시 영역(DP-NDA)은 도 1a 및 1b에 도시된 표시 장치(DD)의 활성 영역(DD-DA) 및 비활성 영역(DD-NDA)에 각각 대응한다.
주변 영역(EA)은 중심 영역(CA)에 비해 상대적으로 표시 패널(DP)의 중심부로부터 먼 영역에 정의될 수 있다. 주변 영역(EA)은 도 1b에 도시된 벤딩영역들(BA1, BA2)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영역(DP-DA)은 표시 패널(DP)의 구성 중 베이스층(BL) 상에 정의된 것으로 설명된다.
베이스층(BL)은 표시 패널(DP)의 다른 구성들이 배치되는 기저층일 수 있다. 베이스층(BL)은 합성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제조 시에 이용되는 작업기판 상에 합성수지층을 형성한다. 이후 합성수지층 상에 도전층 및 절연층 등을 형성한다. 작업기판이 제거되면 합성수지층은 베이스층(BL)에 대응한다. 합성수지층은 플렉서블한 폴리이미드계 수지층일 수 있고, 그 밖에 베이스층(BL)은 리지드한 유리 기판, 금속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로 소자층(DP-CL)은 배이스층(BL) 상에 배치된다. 회로 소자층(DP-CL)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과 회로 소자를 포함한다. 이하, 회로 소자층(DP-CL)에 포함된 절연층은 중간 절연층으로 지칭된다. 중간 절연층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 무기막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유기막을 포함한다. 회로 소자는 신호라인, 화소의 구동회로 등을 포함한다. 코팅, 증착 등에 의한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 형성공정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한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층의 패터닝 공정을 통해 회로 소자층(DP-CL)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회로 소자층(DP-CL) 상에 배치되어 회로 소자층(DP-CL)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발광소자로써 발광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화소 정의막과 같은 유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절연층(TFL)은 표시 소자층(DP-OLED)상에 배치된다. 상부 절연층(TFL)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회로 소자층(DP-CL)을 커버하는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절연층(TFL)은 캡핑층, 굴절률 조절층 등과 같은 기능성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의 베이스층(BL)은 평면상에서 표시 영역(DP-DA)과 비표시 영역(DP-NDA)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표시 영역(DP-NDA)은 표시 영역(DP-DA)의 테두리를 따라 정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표시 영역(DP-DA) 및 비표시 영역(DP-NDA)은 도 1a 및 1b에 도시된 표시 장치(DD)의 활성 영역(DD-DA) 및 비활성 영역(DD-NDA)에 각각 대응한다.
표시 패널(DP)은 주사 구동부(GDC), 데이터 구동부(DDC), 복수 개의 스캔 라인들(SL), 복수 개의 발광제어 라인들(ECL),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복수 개의 전원 라인들(PL), 및 복수 개의 화소들(PX, 이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PX)은 표시 영역(DP-DA)에 배치된다. 화소들(PX) 각각은 발광소자(OLED, 도 3c 참조)와 그에 연결된 화소회로(CC, 도 3c 참조)를 포함한다.
주사 구동부(GDC)는 스캔 구동부 및 발광제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는 스캔 신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스캔 신호들을 스캔 라인들(SL)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발광제어 구동부는 발광제어 신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발광제어 신호들을 발광제어 라인들(ECL)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주사 구동부(GDC) 내에서 스캔 구동부 및 발광제어 구동부가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주사 구동부(GDC)는 화소들(PX)의 구동회로와 동일한 공정, 예컨대 LTPS(Low Temperature Polycrystaline Silicon) 공정 또는 LTPO(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 공정을 통해 형성된 복수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DDC)는 데이터 신호들을 데이터 라인들(DL)에 출력한다. 데이터 신호들은 영상 데이터들의 계조값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전압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구동부(DDC)는 표시 패널(DP)에 직접적으로 실장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 구동부(DDC)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실장되고,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데이터 라인들(DL)의 일단에 배치된 패드들과 연결될 수 있다.
스캔 라인들(SL)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에 교차하는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방향(DR2) 과 제1 방향(DR1)은 직교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제어 라인들(ECL)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될 수 있다. 즉, 발광제어 라인들(ECL) 각각은 스캔 라인들(SL) 중 대응하는 스캔 라인에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DR1)에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나열된다. 데이터 라인들(DL)은 데이터 신호들을 대응하는 화소들(PX)에 제공할 수 있다.
전원 라인들(PL)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으로 나열된다. 전원 라인들(PL)은 제1 전원(ELVDD)을 대응하는 화소들(PX)에 제공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화소들(PX) 각각은 스캔 라인들(SL) 중 대응하는 스캔 라인, 발광제어 라인들(ECL) 중 대응하는 발광제어 라인, 데이터 라인들(DL) 중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 및 전원 라인들(PL) 중 대응하는 전원 라인에 접속된다.
표시 패널(DP)의 비표시 영역(DP-NDA)은 벤딩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이 벤딩영역(BA)을 기준으로 벤딩되는 경우,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상에서, 비표시 영역(DP-NDA)의 면적이 작아져서 베젤이 얇은 표시장치(DD)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 비표시 영역(DD-NDA)의 면적이 작은 표시장치(DD)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화소들(PX) 각각은 발광소자(OLED) 및 화소회로(CC)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회로(CC)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T1~T7) 및 커패시터(CP)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회로(CC)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발광소자(OLED)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발광소자(OLED)는 화소회로(CC)로부터 제공되는 전류량에 대응하여 소정의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전원(ELVDD)의 레벨은 제2 전원(ELVSS)의 레벨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트랜지스터들(T1~T7)은 각각 입력전극(또는, 소스 전극), 출력전극(또는, 드레인 전극) 및 제어전극(또는, 게이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편의상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 중 어느 하나는 제1 전극으로 지칭되고, 다른 하나는 제2 전극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은 제5 트랜지스터(T5)를 경유하여 제1 전원(ELVDD)에 접속되고, 제2 전극은 제6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발광소자(OLED)의 애노드전극에 접속된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본 명세서 내에서 드라이빙 트랜지스터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어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발광소자(OLED)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데이터 라인(DL)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어전극은 i번째 스캔 라인(SLi)에 접속된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i번째 스캔 라인(SLi)으로 i번째 스캔 신호(Si)가 제공될 때 턴-온되어 데이터 라인(DL)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제어전극 사이에 접속된다. 제3 트랜지스터(T3)의 제어전극은 i번째 스캔 라인(SLi)에 접속된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i번째 스캔 라인(SLi)으로 i번째 스캔 신호(Si)가 제공될 때 턴-온되어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제어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따라서, 제3 트랜지스터(T3)가 턴-온될 때 제1 트랜지스터(T1)는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된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노드(ND)와 초기화 전원생성부(미도시) 사이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4 트랜지스터(T4)의 제어전극은 i-1번째 스캔 라인(SLi-1)에 접속된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i-1번째 스캔 라인(SLi-1)으로 i-1번째 스캔신호(Si-1)가 제공될 때 턴-온되어 노드(ND)로 초기화전압(Vint)을 제공한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전원 라인(PL)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된다. 제5 트랜지스터(T5)의 제어전극은 i번째 발광제어 라인(ECLi)에 접속된다.
제6 트랜지스터(T6)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발광소자(OLED)의 애노드전극 사이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6 트랜지스터(T6)의 제어전극은 i번째 발광제어 라인(ECLi)에 접속된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초기화 전원생성부(미도시)와 발광소자(OLED)의 애노드전극 사이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7 트랜지스터(T7)의 제어전극은 i+1번째 스캔 라인(SLi+1)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7 트랜지스터(T7)는 i+1번째 스캔 라인(SLi+1)으로 i+1번째 스캔신호(Si+1)가 제공될 때 턴-온되어 초기화전압(Vint)을 발광소자(OLED)의 애노드전극으로 제공한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화소(PX)의 블랙 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7 트랜지스터(T7)가 턴-온되면 발광소자(OLED)의 기생 커패시터(미도시)가 방전된다. 그러면, 블랙 휘도 구현시 제1 트랜지스터(T1)로부터의 누설전류에 의하여 발광소자(OLED)가 발광하지 않게되고, 이에 따라 블랙 표현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3c에서는 제7 트랜지스터(T7)의 제어전극이 i+1번째 스캔 라인(SLi+1)에 접속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7 트랜지스터(T7)의 제어전극은 i번째 스캔 라인(SLi) 또는 i-1번째 스캔 라인(SLi-1)에 접속될 수 있다.
도 3c에서는 PMOS를 기준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화소(PX)는 NMOS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화소(PX)는 NMOS와 PMOS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커패시터(CP)는 전원 라인(PL)과 노드(ND) 사이에 배치된다. 커패시터(CP)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저장한다. 커패시터(CP)에 저장된 전압에 따라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가 턴-온 될 때 제1 트랜지스터(T1)에 흐르는 전류량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소(PX)의 구조는 도 3c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화소(PX)는 발광소자(OLED)를 발광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d에는 도 3c의 화소들(PX)의 일부 구성들이 위치하는 표시 패널(DP)의 부분 단면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영역(DP-DA)는 발광영역(PXA)과 발광영역(PXA)에 인접한 비발광영역(NPXA)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상에서 비발광영역(NPXA)은 발광영역(PXA)을 에워 쌀수 있다.
베이스층(BL)은 플렉서블 하거나 리지드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층(BL) 상에 회로 소자층(DP-CL), 표시 소자층(DP-OLED), 및 봉지층(TFE)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로 소자층(DP-CL)은 무기막인 버퍼막(BFL), 제1 중간 무기막(10) 및 제2 중간 무기막(20)을 포함하고, 유기막인 중간 유기막(30)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 및 유기막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버퍼막(BFL)은 선택적으로 배치/생략될 수 있다.
버퍼막(BFL) 상에 제1 트랜지스터(T1)의 반도체 패턴(OSP1: 이하 제1 반도체 패턴), 제2 트랜지스터(T2)의 반도체 패턴(OSP2: 이하 제2 반도체 패턴)이 배치된다. 제1 반도체 패턴(OSP1) 및 제2 반도체 패턴(OSP2) 각각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아몰포스 실리콘, 폴리 실리콘, 금속 산화물 반도체에서 선택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턴(OSP1) 및 제2 반도체 패턴(OSP2) 상에 제1 중간 무기막(10)이 배치된다. 제1 중간 무기막(10) 상에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어전극(GE1: 이하, 제1 제어전극) 및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어전극(GE2: 이하, 제2 제어전극)이 배치된다.
제1 중간 무기막(10) 상에는 제1 제어전극(GE1) 및 제2 제어전극(GE2)을 커버하는 제2 중간 무기막(20)이 배치된다. 제2 중간 무기막(20) 상에 제1 트랜지스터(T1)의 입력전극(DE1: 이하, 제1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SE1: 제1 출력전극), 제2 트랜지스터(T2)의 입력전극(DE2: 이하, 제2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SE2: 제2 출력전극)이 배치된다.
제1 입력전극(DE1)과 제1 출력전극(SE1)은 제1 중간 무기막(10) 및 제2 중간 무기막(20)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CH1)과 제2 관통홀(CH2)을 통해 제1 반도체 패턴(OSP1)에 각각 연결된다. 제2 입력전극(DE2)과 제2 출력전극(SE2)은 제1 중간 무기막(10) 및 제2 중간 무기막(20)을 관통하는 제3 관통홀(CH3)과 제4 관통홀(CH4)을 통해 제2 반도체 패턴(OSP2)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2 트랜지스터(T2)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제어 전극(GE1, GE2)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반도체 패턴 하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1, 제2 출력 전극들(SE1, SE2) 및 제1, 제2 입력 전극들(DE, DE2) 중 어느 하나는 관통홀 없이 반도체 패턴에 직접 적속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1, T2)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1, T2)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중간 무기막(20) 상에 중간 유기막(30)이 배치된다. 중간 유기막(30)은 제1 입력전극(DE1), 제2 입력전극(DE2), 제1 출력전극(SE1), 및 제2 출력전극(SE2)을 커버한다. 중간 유기막(30)은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중간 유기막(30) 상에는 표시 소자층(DP-OLED)이 배치된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화소 정의막(PDL) 및 발광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유기막(30) 상에 제1 전극(AE)이 배치된다. 제1 전극(AE)은 중간 유기막(30)을 관통하는 제5 관통홀(CH5)을 통해 제2 출력전극(SE2)에 연결된다. 화소 정의막(PDL)에는 개구부(OP)가 정의된다. 화소 정의막(PDL)의 개구부(OP)는 제1 전극(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킨다.
정공 제어층(HCL)은 발광영역(PXA)과 비발광영역(NPX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정공 제어층(HCL)과 같은 공통층은 화소들(PX, 도 3b 참조)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은 정공 수송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공 수송층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및 정공 주입 기능 및 정공 수송 기능을 동시에 갖는 단일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정공 수송층은 정공 주입 물질 및 정공 수송 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정공 주입 물질 및 정공 수송 물질은 각각 공지된 물질들일 수 있다.
발광층(EML)은 정공 제어층(HCL) 상에 배치된다. 발광층(EML)은 개구부(OP)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발광층(EML)은 화소들(PX) 각각에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유기물질 및/또는 무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제1 전극(AE)과 제2 전극(CE) 사이의 전위차에 대응하는 소정의 유색 컬러광을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제어층(ECL)은 발광층(EML) 상에 배치된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제어층(ECL)은 화소들(PX, 도 3b 참조)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층(ECL)은 전자 수송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수송층은 전자 수송 물질 및 전자 주입 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수송층은 전자 수송 물질을 포함하는 전자 수송층이거나, 전자 수송 물질 및 전자 주입 물질을 포함하는 전자 주입/수송 단일층일 수 있다.
제2 전극(CE)은 전자 제어층(ECL) 상에 배치된다. 제2 전극(CE)은 화소들(PX)에 공통적으로 배치된다.
상부 절연층(TFL)은 제2 전극(CE) 상에 배치된다. 상부 절연층(TFL)은 복수 개의 무기막 및/또는 유기막을 포함하는 박막들일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복수 개의 박막들을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봉지층(TFE)과 캡핑층(CPL)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TFE)은 표시 영역(DP-DA)에 전면적으로 중첩하게 배치된다. 봉지층(TFE)은 표시 영역(DP-DA)에 배치된 발광소자(OLED)을 커버한다. 봉지층(TFE)은 무기막, 유기막, 및 무기막 순으로 적층된 봉지막일 수 있다. 도 3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일층의 봉지층(TFE)을 도시였다.
봉지층(TFE) 중 무기막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 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TFE) 중 유기막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캡핑층(CPL)은 표시 영역(DP-DA)과 비표시 영역(DP-NDA)에 전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캡핑층(CPL)은 봉지층(TFE)을 커버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에는 입력 감지 유닛(ISL)의 적층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표시 패널(DP)이 단순하게 도시되었다. 입력 감지 유닛(ISL) 상에 배치될 수 있는 반사 방지 유닛(CFL)과 윈도우층(WL)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하였다.
입력 감지 유닛(ISL)은 예컨대, 정전용량 방식으로 외부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입력 감지 유닛(ISL) 동작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 감지 유닛(ISL)은 전자기 유도방식 또는 압력 감지방식으로 외부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감지 유닛(ISL)은 제1 도전층(IS-CL1), 제1 절연층(IS-IL1), 제2 도전층(IS-CL2), 및 제2 절연층(IS-I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 각각은 단층구조를 갖거나, 제3 방향(DR3)을 따라 적층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단층구조의 도전층은 금속층 또는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투명 도전층은 전도성 고분자,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다층의 금속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의 금속층들은 예컨대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 및 적어도 하나의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IS-CL1) 및 제2 도전층(IS-CL2) 각각은 복수 개의 패턴들을 포함한다. 이하, 제1 도전층(IS-CL1)은 제1 도전패턴들을 포함하고, 제2 도전층(IS-CL2)은 제2 도전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제1 도전패턴들과 제2 도전패턴들 각각은 감지전극들 및 신호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IS-IL1) 및 제2 절연층(IS-IL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 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IS-IL1) 및 제2 절연층(IS-IL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 감지 유닛(ISL)은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에 연결된 제1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5),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 및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에 연결된 제2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입력 감지 유닛(ISL)은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과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 사이의 경계영역에 배치된 광학적 더미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및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은 메쉬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및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이 메쉬 라인들을 가짐으로써 제2 전극(CE, 도 3d 참조)과의 기생 커패시턴스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및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이 메쉬 라인들을 가짐으로써 플렉서블한 입력 감지 유닛(ISL)을 형성할 수 있다.
입력 감지 유닛(ISL)은 뮤추얼 캡 방식 또는 셀프 캡 방식으로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입력 감지 유닛(ISL)은 제1 구간 동안에 뮤추얼 캡 방식 이나 셀프 캡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외부 입력의 좌표를 산출한 후 제2 구간 동안에 다른 하나의 방식으로 외부 입력의 좌표를 재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및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은 발광영역(PXA, 도 3d 참조) 비 중첩하므로 표시 장치(DD)의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는다.
입력 감지 유닛(ISL)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고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된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 및 절연층들(IS-IL1, IS-IL2)을 포함한다.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과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은 서로 교차한다.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 각각은 제1 센서부들(SP1) 및 제1 연결부들(CP1)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부들(SP1)은 메쉬 라인들을 포함한다.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 각각은 제2 센서부들(SP2) 및 제2 연결부들(CP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서부들(SP2)은 메쉬 라인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제1 감지전극 내에서 제1 센서부들(SP1)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나열되고, 하나의 제2 감지전극 내에서 제2 센서부들(SP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나열된다. 제1 연결부들(CP1) 각각은 인접한 제1 센서부들(SP1)을 연결하고, 제2 연결부들(CP2) 각각은 인접한 제2 센서부들(SP2)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들(CP1)은 제1 및 제2 센서부들(SP1, SP2) 및 제2 연결부들(CP2)과 다른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센서부들(SP1)은 및 제2 센서부들(SP2) 및 제2 연결부들(CP2)과 평면상에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절연층(IS-IL1)을 관통하여 컨택홀들(CNT)들을 통해 제1 연결부(CP1)과 접속될 수 있다. 제1 연결부(CP1)은 제1 센서부들(SP1)보다 저항이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1 연결부들(CP1)이 절연층 상에 배치되거나,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과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들이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5)은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의 일단에 각각 연결된다. 제2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4)은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의 양단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5) 역시 제1 감지전극들(IE1-1 내지 IE1-5)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4)은 제2 감지전극들(IE2-1 내지 IE2-4)의 일단에만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5) 및 제2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4)은 라인부(SL-L)와 패드부(SL-P)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SL-P)는 패드영역(NDA-PD)에 정렬될 수 있다. 입력감지유닛(ISL)은 신호패드들(DP-PD)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패드들(DP-PD)은 패드영역(NDA-PD)에 정렬될 수 있다. 신호패드들(DP-PD)은 도 3b에 도시된 신호라인들(SGL)의 패드부들에 중첩할 수 있고,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5) 및 제2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4)은 별도로 제조되어 결합되는 회로기판 등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4c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b 내지 도 5c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윈도우층(WL) 및 표시 패널(DP)의 일 구성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에는 표시 장치(DD)에 정의된 영역들만을 점선으로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영역(DP-DA)은 중심 영역(CA) 및 중심 영역(CA)를 에워싸는 주변 영역(EA)를 포함한다. 비표시 영역(DP-NDA)은 주변 영역(EA)를 사이에 두고 중심 영역(CA)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5b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입력 감지 유닛(ISL), 및 반사 방지 유닛(CFL)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DP)은 베이스층(BL), 회로 소자층(DP-CL), 표시 소자층(DP-OLED), 및 상부 절연층(TFL)을 포함한다. 입력 감지 유닛(ISL)은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다.
상부 절연층(TFL) 봉지층(TFE) 및 캡핑층(CPL)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지층(TFE)은 중심 영역(CA)과 중첩하는 제1 부분(TFP1) 및 주변 영역(EA)과 중첩하는 제2 부분(TFP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지층(TFE)은 무기막, 유기막, 및 무기막 순으로 적층된 봉지막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봉지층(TFE)을 단층으로 도시하였다.
제3 방향(DR3)에서 제1 부분(TFP1)의 두께(H1)는 제2 부분(TFP2)의 두께(H2)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중심 영역(CA)에 중첩하여 배치된 봉지층(TFE)의 두께는 주변 영역(EA)에 중첩하여 배치된 봉지층(TFE)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부분(TFP1)의 두께(H1) 및 제2 부분(TFP2)의 두께(H2)는 봉지층(TFE)의 유기막에 대응되는 구성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봉지층(TFE)의 유기막의 영역에 따른 두께 차이는 봉지층(TFE)의 형성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다. 즉, 봉지층(TFE) 중 유기막을 형성하는 공정은 잉크젯 방식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유기막의 유동성에 따라 중심 영역(CA)와 주변 영역(EA)의 충진율이 상이할 수 있으며, 중심 영역(CA)에 도포된 유기막의 물질들이 주변 영역(EA)으로 이동되면서 봉지층(TFE)을 형성하는 경우, 봉지층(TFE)의 유기막의 두께는 영역 별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분(TFP1) 및 제2 부분(TFP2)은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부분(TFP1) 및 제2 부분(TFP2)은 실질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봉지층(TFE)을 이루는 구성들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분(TFP1)의 두께(H1)와 제2 부분(TFP2)의 두께(H2) 차이는 실질적으로 유기막의 두께 차이와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방지 유닛(CFL)은 입력 감지 유닛(IS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방지 유닛(CFL)은 차광부(BM, CF-BM) 및 컬러 필터부(CF-CA, CF-EA, CBM)를 포함한다.
컬러 필터부(CF-CA, CF-EA, CBM)는 중심 컬러 필터부(CF-CA), 주변 컬러 필터부(CF-EA), 및 격벽 패턴(CBM)을 포함한다. 차광부(BM, CF-BM)는 제1 차광 패턴(BM) 및 제2 차광 패턴(CF-BM)을 포함한다.
중심 컬러 필터부(CF-CA)는 제1 중심 컬러 패턴(CF1), 제2 중심 컬러 패턴(CF2), 및 제3 중심 컬러 패턴(CF3)을 포함한다. 중심 컬러 필터부(CF-CA)는 중심 영역(CA)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중심 컬러 필터부(CF-CA) 중 제1 내지 제3 중심 컬러 패턴들(CF1, CF2, CF3)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내지 제3 중심 컬러 패턴들(CF1, CF2, CF3) 각각의 측면은 가장 인접한 패턴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중심 컬러 패턴들(CF1, CF2, CF3) 각각은 화소 정의막(PDL)에 정의된 개구부들 중 대응되는 개구부에 중첩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중심 컬러 필터부(CF-CA)는 발광소자(OLED)와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중심 컬러 패턴(CF1), 제2 중심 컬러 패턴(CF2), 및 제3 중심 컬러 패턴(CF3)은 서로 상이한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주변 컬러 필터부(CF-EA)는 제1 주변 컬러 패턴(CF1-A), 제2 주변 컬러 패턴(CF2-A), 및 제3 주변 컬러 패턴(CF3-A)을 포함한다. 주변 컬러 필터부(CF-EA)는 주변 영역(EA)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주변 컬러 필터부(CF-EA) 중 제2 내지 제2 주변 컬러 패턴들(CF2, CF3)은 격벽 패턴(CBM)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주변 컬러 패턴(CF1-A)은 격벽 패턴(CBM)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며,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동일 공정에 의해 형성된 패턴일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주변 컬러 패턴(CF1-A), 제2 주변 컬러 패턴(CF2-A), 및 제3 주변 컬러 패턴(CF3-A)은 서로 상이한 컬러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중심 컬러 패턴(CF1)과 제1 주변 컬러 패턴(CF1-A)은 동일한 컬러를 가지며, 제2 중심 컬러 패턴(CF2)과 제2 주변 컬러 패턴(CF2-A)은 동일한 컬러를 갖는다. 또한, 제3 중심 컬러 패턴(CF3)과 제3 주변 컬러 패턴(CF3-A)은 동일한 컬러를 갖는다. 즉,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는 컬러 패턴들은 동일 공정에 의해 형성된 컬러 패턴들일 수 있다.
컬러 필터부(CF-CA, CF-EA, CBM)는 표시 패널(DP)의 외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별도의 필름 또는 기판의 형태로 부착되는 편광판 대신 외광 반사기능을 하는 컬러 필터부(CF-CA, CF-EA, CBM)를 배치시킴으로써 외광 차폐율 및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차광 패턴(BM)은 제1 부분(TFP1)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제1 차광 패턴(BM)은 화소 정의막(PDL)과 중첩하여 배치된다. 제1 차광 패턴(BM)은 개구부(OP)와 비 중첩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차광 패턴(BM)은 비 발광 영역을 차광시킨다.
또한, 제1 차광 패턴(BM) 입력 감지 유닛(ISL)의 제1 연결부들(CP1) 및 제2 연결부들(CP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차광 패턴(BM)은 광을 투과시키지 않는 물질, 예를 들어 크롬(Cr), 은(Ag), 몰리브덴(Mo), 니켈(Ni), 티타늄(Ti), 탄탈륨(Ta) 등의 금속 입자, 상기 금속 입자의 산화물, 또는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광 패턴(BM)은 표시 장치(DD)의 빛 샘 현상을 방지하고, 콘트라스트(contrast)를 향상시킨다.
주변 컬러 필터부(CF-EA)는 주변 영역(EA)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주변 컬러 필터부(CF-EA) 중 제1 내지 제3 주변 컬러 패턴들(CF1-A, CF2-A, CF3-A)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내지 제3 중심 컬러 패턴들(CF1, CF2, CF3) 각각은 화소 정의막(PDL)에 정의된 개구부들 중 대응되는 개구부에 중첩하여 배치된다.
격벽 패턴(CBM)은 주변 영역(EA)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격벽 패턴(CBM)은 제1 컬러 패턴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한다. 제2 주변 컬러 패턴(CF2-A) 및 제3 주변 컬러 패턴(CF3-A)은 격벽 패턴(CBM)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5b에는 주변 영역(EA)과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된 제1 주변 컬러 패턴(CF1-A)과 격벽 패턴(CBM)의 경계를 점선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동일 물질로 이루어진 하나의 패턴일 수 있다.
제2 차광 패턴(CF-BM)은 제2 부분(TFP2)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제2 차광 패턴(CF-BM)은 화소 정의막(PDL)과 중첩하여 배치된다. 제2 차광 패턴(CF-BM)은 개구부(OP)와 비중첩하게 배치된다. 제2 차광 패턴(CF-BM)은 격벽 패턴(CFM)과 중첩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차광 패턴(CF-BM)은 복수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광층(CF1-BM) 및 제2 차광층(CF2-BM)을 포함한다. 제2 차광층(CF2-BM)은 제1 차광층(CF1-BM)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격벽 패턴(CBM) 및 제2 차광 패턴(CF-BM)은 서로 다른 컬러를 포함하며 적층됨으로써 외광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차광 패턴(BM)은 중심 컬러 필터부(CF-CA)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차광 패턴(CF-BM)은 격벽 패턴(CBM) 상에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9에는 서로 다른 컬러 갖는 패턴들의 투과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X축은 파장을 나타내며, 그래프의 Y축은 광에 다른 투과율을 도시하였다. 제1 패턴(TL1)은 대략 380nm 내지 550nm의 파장 영역대의 광을 투과시킨다. 예를 들어, 제1 패턴(TL1)은 청색광을 투과시키는 패턴일 수 있다. 제2 패턴(TL2)은 대략 460nm 내지 620nm의 파장 영역대의 광을 투과시킨다. 예를 들어, 제2 패턴(TL2)은 녹색광을 투과시키는 패턴일 수 있다. 제3 패턴(TL3)은 대략 580nm 이상의 영역대의 광을 투과시킨다. 예를 들어, 제3 패턴(TL3)은 적색광을 투과시키는 패턴일 수 있다.
제4 패턴(TL4)은 제1 내지 제3 패턴들(TL1, TL2, TL3)이 갖는 색을 모두 포함한 패턴일 수 있다. 제4 패턴(TL4)은 380nm 내지 780nm 범위의 광의 투과율을 저감시킨다. 따라서, 제4 패턴(TL4)의 광 투과율은 제1 내지 제3 패턴들(TL1, TL2, TL3)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컬러 패턴(CF1, CF1-A) 및 격벽 패턴(CBM)은 제2 패턴(TL2)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컬러 패턴(CF1, CF1-A)은 녹색 안료(pigment) 또는 녹색 염료(dye)를 포함하며 백색 광이 입사되면 적색 파장 영역의 빛과 청색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고 녹색 파장의 빛을 투과시킨다.
제2 컬러 패턴(CF2, CF2-A) 및 제1 차광 패턴(CF1-BM)은 제3 패턴(TL3)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컬러 패턴(CF2, CF2-A)은 적색 안료(pigment) 또는 적색 염료(dye)를 포함하며 백색 광이 입사되면 청색 파장부터 녹색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고 적색 파장의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3 컬러 패턴(CF3, CF3-A) 및 제2 차광 패턴(CF2-BM)은 제1 패턴(TL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컬러 패턴(CF3, CF3-A)은 청색 안료(pigment) 또는 청색 염료(dye)를 포함하며 백색 광이 입사되면 적색 파장 영역의 빛과 녹색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고 청색 파장의 빛을 투과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 영역(EA)과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된 격벽 패턴(CBM) 및 격벽 패턴(CBM) 상에 배치된 제2 차광 패턴(CF-BM)은 서로 다른 컬러를 갖는 패턴들이 적층됨으로써 제4 패턴(TL4)와 유사한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격벽 패턴(CBM) 및 제2 차광 패턴(CF-BM)은 중심 영역(CA)에 배치된 제1 차광 패턴(BM)과 같이 표시 장치(DD)의 빛 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층(BL)의 상면(BL-U)에서부터 제1 차광 패턴(BM)까지의 거리(L1)는, 베이스층(BL)의 상면(BL-U) 제2 차광 패턴(CF-BM)까지의 거리(L2)와 같을 수 있다.
봉지층(TFE)에 형성된 제1 부분(TFP1) 및 제2 부분(TFP2)의 단차는 주변 컬러 필터부(CF-EA)의 두께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즉, 베이스층(BL)의 상면(BL-U)에서부터 제1 차광 패턴(BM)이 입력 감지 유닛(ISL) 상에 배치되는 하면(BM-B) 까지의 거리(L1)는, 베이스층(BL)의 상면(BL-U)에서부터 제2 차광 패턴(CF-BM)이 격벽 패턴(CBM) 상에 배치되는 하면(CF-BMB)까지의 거리(L2)와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차광 패턴(BM)의 하면(BM-B)과 제2 차광 패턴(CF-BM)의 하면(CF-BMB)은 동일 평면을 정의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중심 영역(CA)에 배치된 일 화소(PX, 도 3b 참조)의 제1 출광 영역(R1) 및 주변 영역(EA)에 배치된 일 화소(PX)의 제2 출광 영역(R2)를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구부(OP)의 제1 방향(DR1)에서의 최대 제1 폭(W1)은 제1 차광 패턴(BM) 사이의 제2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 폭(W1)은 제2 차광 패턴(CF-BM) 사이의 제3 폭(W3)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폭(W2) 및 제3 폭(W3)은 동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 영역(EA)에서의 제2 출광 영역(R2)은 중심 영역(CA)에서의 제1 출광 영역(R1)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봉지층(TFE)에 형성된 제1 부분(TFP1) 및 제2 부분(TFP2)의 단차는 주변 컬러 필터부(CF-EA)를 통해 보상해 줄 수 있다. 중심 영역(CA)과 주변 영역(EA)에 배치되는 차광부(BM. CF-BM)의 제3 방향(DR3)에서의 위치를 동일하게 해줌으로써, 중심 영역(CA)에 서의 제1 출광 영역(R1)과 주변 영역(EA)에서의 제2 출광 영역(R2)은 동일한 휘도비를 가질 수 있으며, WAD(white angle difference) 산포를 개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5b와 유사한 참조 부호를 이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표시 장치(DD-1)는 도 5b에 도시된 표시 장치(DD)와 달리 입력 감지 유닛(ISL, 도 5b 참조)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캡핑층(CPL1) 상에 반사 방지 부재(CFL1)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TFE1)에 형성된 제1 부분(TFP11) 및 제2 부분(TFP21)의 단차는 주변 컬러 필터부(CF-EA1)를 통해 보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심 영역(CA)에 배치되는 제1 차광 패턴(BM1) 및 제2 차광 패턴(CF-BM1)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5b와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윈도우층(WL) 및 표시 패널(DP)의 일 구성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이하,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에는 표시 장치(DD-2)에 정의된 영역들만을 점선으로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영역(DP-DA)은 중심 영역(CA) 및 중심 영역(CA)를 에워싸는 주변 영역들(EA1, EA2)를 포함한다. 비표시 영역(DP-NDA)은 주변 영역들(EA1, EA2)을 사이에 두고 중심 영역(CA)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주변 영역(EA1)은 중심 영역(CA)를 에워쌀 수 있다. 제2 주변 영역(EA2)은 제1 주변 영역(EA1)을 에워 싸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주변 영역(EA2)은 상대적으로 제1 주변 영역(EA1)에 비해 중심 영역(EA1)에서 멀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봉지층(TFE2)은 중심 영역(CA)과 중첩하는 제1 부분(TFP1), 제1 주변 영역(EA1)과 중첩하는 제2 부분(TFP2), 및 제2 주변 영역(EA2)과 중첩하는 제3 부분(TFP3)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봉지층(TFE2)의 두께는 중심 영역(CA)에서 제2 주변 영역(EA2)으로 갈수록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방향(DR3)에서 제1 부분(TFP1)의 두께(H3)는 제2 부분(TFP2)의 두께(H4)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TFP2)의 두께(H4)는 제3 부분(TFP3)의 두께(H5)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중심 영역(CA)에 중첩하여 배치된 봉지층(TFE2)의 두께는 주변 영역들(EA1, EA2)에 중첩하여 배치된 봉지층(TFE)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봉지층(TFE2)에 형성된 제1 부분(TFP1)과 제2 부분(TFP2) 단차 및 제2 부분(TFP2)과 제3 부분(TFP3)의 단차는 주변 컬러 필터부들(CF1-EA1, CF1-EA2)을 통해 보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광부(BM2, CF-BM2)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TFP2)의 두께(H4)는 제3 부분(TFP3)의 두께(H5)보다 큼으로써, 제1 주변 컬러 필터부(CF1-EA1)의 두께(G2)는 제2 주변 컬러 필터부(CF1-EA2)의 두께(G3)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주변 컬러 패턴(CF1-EA2)은 함몰부(HM)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HM)은 제2 주변 영역(EA2)에 배치된 개구부(OP)와 중첩할 수 있다. 함몰부(HM)와 중첩하는 제2 주변 컬러 필터부(CF1-EA2)의 영역의 두께(G4)는 함몰부(HM)와 비중첩하는 제2 주변 컬러 필터부(CF1-EA2)의 두께(G3)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2 주변 컬러 패턴(CF1-EA2) 내의 함몰부(HM)와 중첩하는 영역의 두께(G4)는 제1 주변 컬러 필터부(CF1-EA1)의 두께(G2)와 동일할 수 있으며, 중심 컬러 필터부(CF1-CA)의 두께(G1)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중심 영역(CA)에서 주변 영역들(EA1, EA2)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봉지층(TFE)의 단차를 주변 컬러 필터부들(CF1-EA1, CF1-EA2)을 통해 보상해 줄 수 있으며, 최 외각에 배치된 컬러 필터부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중심 영역과 균일한 휘도비를 갖는 표시 장치(DD)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a 내지 도 5b와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예비 표시 패널(DPA)이 제공될 수 있다. 예비 표시 패널(DPA)의 베이스층(BL) 상에서 복수의 증착 및 에칭 공정을 통해 형성된 표시 회로 소자층(DP-CL) 및 회로 소자층(DP-CL)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 소자층(DP-OLED)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회로 소자층(DP-CL)커버하는 상부 절연층(TFL)이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부 절연층(TFL)은 표시 소자층(DP-OLED)을 커버하는 봉지층(TFE) 및 봉지층(TFE)을 커버하는 캡핑층(CPL)을 포함한다.
표시 소자층(DP-OLED) 중 화소 정의막(PDL)은 유기물이 도포된 후 포토 공정을 통해 복수의 개구부들(OP, 이하 개구부들)를 정의하며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들(OP)은 발광소자(OLED)를 노출시키며 형성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회로 소자층(DP-CL) 및 회로 소자층(DP-CL)의 구성은 도 3d에 도시된 회로 소자층(DP-CL) 및 회로 소자층(DP-CL)과 동일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 구성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상부 절연층(TFL)은 무기막 및/또는 유기막을 포함하는 박막들 일 수 있다. 무기막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 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TFE) 중 유기막을 형성하는 공정은 잉크젯 방식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유기막의 유동성에 따라 중심 영역(CA)와 주변 영역(EA)의 충진율이 상이할 수 있으며, 중심 영역(CA)에 도포된 유기막의 물질들이 주변 영역(EA)으로 이동되면서 봉지층(TFE)을 형성하는 경우, 봉지층(TFE) 내의 두께는 영역 별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예비 표시 패널(DPA)에는 봉지층(TFE) 중 중심 영역(CA)에 배치된 제1 부분(TFP1)과 주변 영역(EA)에 배치된 제2 부분(TFP2)가 단차(H1-H2)지게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잇다.
이후, 도 8b를 참조하면, 예비 표시 패널(DPA, 도 8a 참조) 상에 연속 공정으로 입력 감지 유닛(ISL)이 형성될 수 있다. 입력 감지 유닛(ISL)의 연결부들(CP1, CP2)은 화소 정의막(PDL)과 중첩되며, 개구부(OP)와 비중첩 되도록 패터닝 될 수 있다.
이후, 도 8c를 참조하면, 차광 패턴(BM)이 형성될 수 있다. 차광 패턴(BM)은 제1 마스크(MS1)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차광 패턴(BM)은 제1 마스크(MS1) 상에 광을 투과시키지 않는 유기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스크(MS1)는 중심 영역(CA)에 형성된 화소 정의막(PDL)과 중첩되는 부분에 개구가 정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광 패턴(BM)은 중심 영역(CA)에 형성된 화소 정의막(PDL)과 중첩하여 형성된다.
이후, 도 8d를 참조하면, 제1 컬러 패턴(CF1, CF1-A) 및 격벽 패턴(CBM)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컬러 패턴(CF1, CF1-A) 및 격벽 패턴(CBM)은 제2 마스크(MS2)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컬러 패턴(CF1, CF1-A) 및 격벽 패턴(CBM)은 제2 마스크(MS2) 상에 제1 유기물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기물은 차광 패턴(BM)에 포함된 물질과 상이한 물질일 수 있다.
제2 마스크(MS2)는 중심 영역(CA) 및 주변 영역(EA)의 개구부들(OP1)과 중첩되는 개구가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2 마스크(MS2)는 주변 영역(EA) 중 일 개구부들(OP1)과 인접한 화소 정의막(PDL)과 중첩되는 개구가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컬러 패턴(CF1, CF1-A)은 중심 영역(CA) 및 주변 영역(EA)에 형성된 개구부들(OP1)과 중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격벽 패턴(CBM)은 주변 영역(EA)에 화소 정의막(PDL)과 중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주변 영역(EA)에 형성된 제1 컬러 패턴(CF1-A)과 격벽 패턴(CBM)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도포된 제1 유기물에 의해 형성된 것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하였다.
이후, 도 8e를 참조하면, 제2 컬러 패턴(CF2, CF2-A) 및 제1 차광층(CF1-BM)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컬러 패턴(CF2, CF2-A) 및 제1 차광층(CF1-BM)은 제3 마스크(MS3)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컬러 패턴(CF2, CF2-A) 및 제1 차광층(CF1-BM)은 제3 마스크(MS3) 상에 제2 유기물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기물은 제1 유기물과 컬러를 갖는 물질일 수 있다.
제3 마스크(MS3)는 중심 영역(CA) 및 주변 영역(EA)의 개구부들(OP2)과 중첩되는 개구가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3 마스크(MS3)는 주변 영역(EA) 중 개구부들(OP2)과 인접한 화소 정의막(PDL)과 중첩되는 개구가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컬러 패턴(CF2, CF2-A)은 중심 영역(CA) 및 주변 영역(EA)에 형성된 개구부들(OP2)과 중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차광층(CF1-BM)은 격벽 패턴(CBM)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도 8f를 참조하면, 제3 컬러 패턴(CF3, CF3-A) 및 제2 차광층(CF2-BM)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컬러 패턴(CF3, CF3-A) 및 제2 차광층(CF2-BM)은 제4 마스크(MS4)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3 컬러 패턴(CF3, CF3-A) 및 제2 차광층(CF2-BM)은 제4 마스크(MS4) 상에 제3 유기물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3 유기물은 제1 유기물 및 제2 유기물 각각과 다른 컬럴를 갖는 물질일 수 있다.
제4 마스크(MS4)는 중심 영역(CA) 및 주변 영역(EA)의 개구부들(OP3)과 중첩되는 개구가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3 마스크(MS3)는 주변 영역(EA) 중 개구부들(OP3)과 인접한 화소 정의막(PDL)과 중첩되는 개구가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컬러 패턴(CF3, CF3-A)은 중심 영역(CA) 및 주변 영역(EA)에 형성된 개구부들(OP3)과 중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차광층(CF2-BM)은 격벽 패턴(CBM)과 중첩하며 제1 차광층(CF1-BM)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g은 도 5b에 상술한 표시 장치(DD)와 동일한 구성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봉지층(TFE)에 형성된 제1 부분(TFP1) 및 제2 부분(TFP2)의 단차(H1-H2)는 주변 컬러 필터부(CF-EA)의 두께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 영역(CA)과 주변 영역(EA)에 배치되는 차광부(BM, CF-BM)의 위치를 동일하게 해줌으로써, 중심 영역(CA)과 주변 영역(EA)에서 동일한 휘도비를 가질 수 있으며, WAD(white angle difference) 산포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필름 또는 기판의 형태로 부착되는 편광판 대신 외광 반사기능을 하는 컬러 필터부(CF-CA, CF-EA, CBM)를 배치시킴으로써 외광 차폐율 및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슬림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의 제조 비용을 감소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 장치 DP: 표시 패널
ISL: 입력 감지 유닛 CFL: 반사 방지 유닛
CBM: 격벽 패턴

Claims (20)

  1. 중심 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인접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층,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개구부가 정의된 화소 정의막, 상기 개구부를 통해 광을 표시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화소 정의막 및 상기 발광소자를 커버하는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봉지층은 상기 중심 영역과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개구부와 비중첩하며, 상기 표시 패널 상에서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되는 도전 패턴들 및 상기 도전 패턴들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입력 감지 유닛; 및
    입력 감지 유닛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화소 정의막과 중첩하는 차광부 및 상기 개구부와 중첩하는 컬러 필터부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부는,
    상기 제1 부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컬러 필터부에 의해 커버되는 제1 차광 패턴, 및 상기 제2 부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컬러 필터부 상에 배치되는 제2 차광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2 부분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제1 차광 패턴까지의 거리는,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제2 차광 패턴까지의 거리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컬러 필터부는,
    서로 상이한 개구부들 각각에 중첩하고, 서로 다른 컬러를 갖는 제1 컬러 패턴, 제2 컬러 패턴, 및 제3 컬러 패턴; 및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화소 정의막과 중첩하여 배치되는 격벽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 패턴은 상기 제1 컬러 패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색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 패턴들 중,
    상기 중심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컬러 패턴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에 배치된 제2 및 제3 컬러 패턴들 각각은 상기 격벽 패턴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에 배치된 상기 제1 컬러 패턴은 상기 격벽 패턴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광 패턴은,
    상기 제2 및 제3 컬러 패턴들과 각각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차광층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차광층 및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격벽 패턴 상에 배치되고 상기 격벽 패턴과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컬러 패턴들 중 상기 비표시 영역과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컬러 패턴은 상기 컬러 패턴의 일부가 제거된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와 중첩하는 영역의 상기 컬러 패턴의 두께는 인접한 컬러 패턴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중심 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인접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층,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개구부가 정의된 화소 정의막, 상기 개구부를 통해 광을 표시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화소 정의막 및 상기 발광소자를 커버하는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봉지층은 상기 중심 영역과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개구부와 비중첩하며, 상기 표시 패널 상에서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되는 도전 패턴들 및 상기 도전 패턴들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입력 감지 유닛; 및
    상기 입력 감지 유닛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화소 정의막과 중첩하는 차광부 및 상기 개구부와 중첩하는 컬러 필터부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감지 유닛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화소 정의막과 중첩하는 차광부 및 상기 개구부와 중첩하는 컬러 필터부를 포함하는 반사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부는,
    상기 제1 부분과 중첩하고 상기 컬러 필터부에 의해 커버되는 제1 차광 패턴 및 상기 제2 부분과 중첩하고 상기 컬러 필터부 상에 배치되는 제2 차광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제1 차광 패턴까지의 거리는,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제2 차광 패턴까지의 거리와 같은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2 부분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컬러 필터부는,
    서로 상이한 개구부들 각각에 중첩하고, 서로 다른 컬러를 갖는 제1 컬러 패턴, 제2 컬러 패턴, 및 제3 컬러 패턴; 및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화소 정의막과 중첩하여 배치되는 격벽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 패턴은 상기 제1 컬러 패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색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 패턴은 상기 중심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컬러 패턴들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제2 차광 패턴은 상기 격벽 패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광 패턴은,
    서로 적층되는 제1 차광층 및 제2 차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차광층은 상기 제2 컬러 패턴과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제3 컬러 패턴과 동일한 컬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광 패턴은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인접한 상기 제2 차광 패턴들 사이의 너비는 상기 인접한 개구부들 사이의 최대 너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 패턴들 중,
    상기 중심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컬러 패턴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주변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에 배치된 제2 및 제3 컬러 패턴들 각각은 상기 격벽 패턴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패턴의 두께는, 상기 제2 부분과 중첩하는 제1 컬러 패턴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중심 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층 상에 복수의 개구부들을 정의하며 형성된 화소 정의막, 및 상기 개구부들을 통해 광을 표시하는 발광소자들이 형성된 예비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층을 커버하며 유기물을 포함하는 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1 마스크 상에 광 차단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물을 도포하여 상기 중심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정의막 상에 차광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제2 마스크 상에 제1 유기물 도포하여, 상기 중심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들 중 일부 및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들 중 일부와 중첩하는 제1 컬러 패턴, 및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정의막에 중첩하는 격벽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제3 마스크 상에 상기 제1 유기물과 다른 컬러를 갖는 제2 유기물을 도포하여, 상기 제1 컬러 패턴과 이격되고, 상기 중심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들 중 일부 및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들 중 일부와 중첩하는 제2 컬러 패턴 및 상기 격벽 패턴 상에 제공되는 제1 차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4 마스크 상에 상기 제1 및 제2 유기물들과 다른 컬러를 갖는 제3 유기물을 도포하여, 상기 제2 컬러 패턴과 이격되고, 상기 중심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들 중 일부 및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들 중 일부와 중첩하는 제3 컬러 패턴 및 상기 제1 차광층 상에 제공되는 제2 차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컬러 패턴들은 상기 차광 패턴을 커버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 컬러 패턴 및 상기 격벽 패턴은 연결된 하나의 패턴으로 동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층 상에 직접 형성되고, 상기 화소 정의막과 중첩하고 상기 개구부들과 비중첩하며, 도전 패턴들을 포함하는 입력 감지 유닛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180118735A 2018-10-05 2018-10-05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07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735A KR102607379B1 (ko) 2018-10-05 2018-10-05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6/534,908 US10847586B2 (en) 2018-10-05 2019-08-07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201910948179.6A CN111009560B (zh) 2018-10-05 2019-10-08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735A KR102607379B1 (ko) 2018-10-05 2018-10-05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859A KR20200039859A (ko) 2020-04-17
KR102607379B1 true KR102607379B1 (ko) 2023-11-30

Family

ID=7005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735A KR102607379B1 (ko) 2018-10-05 2018-10-05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47586B2 (ko)
KR (1) KR102607379B1 (ko)
CN (1) CN1110095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471B1 (ko) * 2017-02-01 2019-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6556812B2 (ja) * 2017-11-28 2019-08-07 Nissha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付フィルムタイプタッチセンサとこ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ディバイス
CN108649054B (zh) * 2018-05-08 2020-1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KR20200060002A (ko) * 2018-11-22 2020-05-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64157B1 (ko) * 2018-12-03 2024-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표시장치
KR20200099630A (ko) * 2019-02-14 2020-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06046A (ko) 2020-02-19 2021-08-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20030367A (ko) * 2020-08-28 2022-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038507B (zh) * 2020-09-21 2023-04-25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的成型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356149A (zh) * 2020-10-13 2022-04-15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透明触控显示装置
KR20220049098A (ko) 2020-10-13 2022-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US12016234B2 (en) 2020-10-30 2024-06-18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having monochromatic filter layer
CN112289842B (zh) * 2020-10-30 2022-05-13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471383B (zh) * 2021-06-24 2022-08-23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移动终端
KR20230005014A (ko) * 2021-06-30 2023-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2657B1 (ko) * 2021-07-19 2022-01-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408710B1 (ko) * 2021-07-23 2022-06-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408709B1 (ko) * 2021-07-23 2022-06-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14267807B (zh) * 2021-12-15 2023-08-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
CN114256438B (zh) * 2021-12-21 2024-08-09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7693231A (zh) * 2022-09-02 2024-03-12 台州观宇科技有限公司 发光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085B1 (ko) * 2002-12-27 2004-12-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콜레스테릭 액정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KR100907479B1 (ko) * 2002-12-31 2009-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 필터 기판과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JP4910780B2 (ja) * 2007-03-02 2012-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入力機能付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096887B1 (ko) * 2013-05-30 2020-04-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EP3047359B1 (en) 2013-09-03 2020-01-01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KR102255809B1 (ko) * 2013-12-02 2021-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20150086763A (ko) * 2014-01-20 2015-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97204B1 (ko) 2015-01-15 2021-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KR20170011382A (ko) 2015-07-22 2017-02-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근육 소모성 질환과 관련된 Prmt7 유전자 및 이의 용도
KR102510915B1 (ko) * 2015-09-16 2023-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34273B1 (ko) 2016-03-25 2023-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608954B1 (ko) 2016-09-30 2023-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90264B1 (ko) * 2016-10-31 2024-07-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70712B1 (ko) 2017-11-30 2022-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88080B1 (ko) 2018-02-05 2023-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09560A (zh) 2020-04-14
CN111009560B (zh) 2024-08-06
KR20200039859A (ko) 2020-04-17
US20200111856A1 (en) 2020-04-09
US10847586B2 (en) 202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7379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05654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2606941B1 (ko) 표시장치
US11043656B2 (en)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a scattering pattern
KR102443918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38934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614061B1 (ko) 표시 장치
KR102428711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90000023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91982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63715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30033059A (ko) 표시장치
KR20220097681A (ko) 표시장치
CN218388534U (zh) 输入感测面板和显示装置
KR20210005368A (ko) 표시장치
US11579473B2 (en) Display device having uniform reflectance
CN220326173U (zh) 显示装置
US20230137129A1 (en) Display panel
KR20240120817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위치 입력 시스템
KR20240011919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44600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91649A (ko) 표시장치
KR20220021055A (ko)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8829290A (zh) 显示面板和制造该显示面板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