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95760B1 -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 - Google Patents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760B1
KR102595760B1 KR1020230039542A KR20230039542A KR102595760B1 KR 102595760 B1 KR102595760 B1 KR 102595760B1 KR 1020230039542 A KR1020230039542 A KR 1020230039542A KR 20230039542 A KR20230039542 A KR 20230039542A KR 102595760 B1 KR102595760 B1 KR 102595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injection
fire extinguishing
detection senso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9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세현
남징락
엄장호
남민욱
Original Assignee
(주)세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광 filed Critical (주)세광
Priority to KR1020230039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7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760B1/ko
Priority to PCT/KR2024/002464 priority patent/WO202420504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45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olid substances, e.g. sand, ashes; using substances forming a crus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에 대한 발명으로,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분사구의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 제1 분사로의 타측에 결합되되, 소화용 분말약제가 저장되는 약제저장부, 복수 개의 감지센서가 화재를 감지하면, 복수 개의 분사구가 개방되어 소화용 분말약제가 분출되고, 소화용 분말약제는 팽창 글라스로 형성될 수 있는 화재 진압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FIRE SUPPRESSION DEVICE FORMED INSIDE SWITCHGEAR}
본 발명은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에 대한 발명으로,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분사구의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 제1 분사로의 타측에 결합되되, 소화용 분말약제가 저장되는 약제저장부, 복수 개의 감지센서가 화재를 감지하면, 복수 개의 분사구가 개방되어 소화용 분말약제가 분출되고, 소화용 분말약제는 팽창 글라스로 형성될 수 있는 화재 진압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은 한국전력공사에서 22,900[V]의 특별고압 전기를 수전을 받아 필요한 사용전압인 380[V] 또는 220[V]으로 강압 하여 사용하는 전력설비를 말한다.
수배전반은 전기사용 장소에서 전기를 공급하는 메인이 되는 전력설비로 그 역할은 매우 중요한 설비에 속한다. 만일 수배전반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건물 또는 공장에 전체적으로 정전을 수반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운용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업무 중 하나이다.
도 1을 참고하여 수배전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국전력공사의 책임분계점(재산한계점)인 전력을 보호하는 장치로부터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인 수용가에 22,900[V]의 전압을 약식설비일 경우 CH(Cable Head) - LBS(Line Breaker Switch) 또는 ASS(Auto Section Switch) - PF(Power Fuse) - MOF(Metering Out Fit)을 거쳐 TR(Transformer) 1차까지 연결되며, TR 2차부터는 380[V]와 220[V]의 저압으로 동력 전원과 전등전열 부하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수배전반 내부는 특별고압반과 저압반으로 각각의 공간에서 분리되어 있으며 공통적으로는 전기사용량의 증가에 따른 과부하(Over Load), 공기 중 부분 방전에 의한 코로나 현상(Corona phenomenon)으로 인한 불꽃의 발생, 접촉 불량에 의한 열의 발생, 단락(Short)에 의한 폭발 현상 등으로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이 있다.
전압을 낮추는데 사용되는 변압기는 종류에 따라 크게 건식과 유입식으로 나누어진다. 특히 유입식의 경우에는 변압기 내부에 철심을 두고 특별고압 코일과 저압 코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 전체는 절연(Insulation) 및 냉각 효과를 위한 절연유로 채워져 있다.
절연유가 갖추어야 하는 대표적인 조건은 절연내력이 커야 하고 인화점이 높아야 하며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높도록 요구되고 있다.
이 절연유는 평상시에는 변압기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 필요한 물질이지만 여러 가지 이유에 따른 사고 발생 시에는 화재로 이어지게 되는데, 폭발로 인한 화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경우에는 내부에 있는 기름이 외부로 분출되기 때문에 대형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진화 작업에도 매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수배전반 내 전기화재는 기름으로 인한 화재로 이어지고 수배전반을 이루는 외함이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어 달구어진 개폐문의 개방에 접근성이 매우 힘든 이유 등으로 화재의 진압은 더욱더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한 수배전반 내 화재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최소한의 시간 내에 화재를 진압함으로써 대형화재를 최대한 극소화 시킬 수 있는 화재진압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9203호
본 발명은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에 대한 발명으로,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분사구의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 제1 분사로의 타측에 결합되되, 소화용 분말약제가 저장되는 약제저장부, 복수 개의 감지센서가 화재를 감지하면, 복수 개의 분사구가 개방되어 소화용 분말약제가 분출되고, 소화용 분말약제는 팽창 글라스로 형성될 수 있는 화재 진압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분사로; 상기 제1 분사로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분사구; 상기 복수 개의 분사구의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 상기 제1 분사로의 타측에 결합되되, 소화용 분말약제가 저장되는 약제저장부; 상기 복수 개의 감지센서가 화재를 감지하면, 상기 복수 개의 분사구가 개방되어 상기 소화용 분말약제가 분출되고, 상기 소화용 분말약제는 팽창 글라스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사구는, 상기 분사구의 타측에 형성되는 전자석코일; 상기 분사구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소화용 분말약제가 외부로 분출될 수 있는 제2 분사로; 상기 제2 분사로의 일 지점에 형성되는 가동부; 및 상기 제2 분사로의 타측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전자석코일이 상기 가동부를 끌어당겨 상기 가동부의 타단이 상기 전자석코일과 맞닿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분사로의 하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형성되는 제1-1 분사구; 상기 제1 분사로의 하부의 타측에 형성되되, 일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형성되는 제3-1 분사구; 상기 제1-1 분사구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감지센서; 및 상기 제3-1 분사구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3 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1 분사구의 하부 부근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3 감지센서가 상기 제1-1 분사구의 하부 부근에 발생한 화재를 감지하고, 상기 제3-1 분사구를 통해 상기 소화용 분말약제가 분출되고, 상기 소화용 분말약제는 상기 제1-1 분사구가 위치되어 있는 부분을 향해 분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3-1 분사구의 하부 부근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1 감지센서가 상기 제3-1 분사구의 하부 부근에 발생한 화재를 감지하고, 상기 제1-1 분사구를 통해 상기 소화용 분말약제가 분출되고, 상기 소화용 분말약제는 상기 제3-1 분사구가 위치되어 있는 부분을 향해 분사된다.
본 발명은 화재발생영역에 따라 상이한 분사구가 작동하여 소화약제를 방출함으로써 기존 가스계 소화약제 분사구에서 나타나는 불필요한 약제 분사의 교차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는 최소한의 시간 내에 화재를 과학적이고 능동적인 메커니즘과 시스템을 구성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만일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 수배전반 내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일지라도 가능한 국지적인 화재 진압이 이루어져 대형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사전에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구에 감지센서가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분사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코일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가동부(114)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코일(112)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가동부(114)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제1 감지센서 내지 제3 감지센서의 작동 과정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X축 방향이고, '폭 방향'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수직 방향'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본 발명에서 '일측'이란 제1 분사구(110)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며, '타측'이란 제3 분사구(130)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구(100)에 감지센서(400)가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는 복수 개의 분사구(100), 제1 분사로(210), 제2 분사로(220), 약제저장부(300), 복수 개의 감지센서(400), 전원공급부(500)로 구성되며, 먼저, 복수 개의 분사구(100)는 제1 분사구(110), 제2 분사구(120) 및 제3 분사구(130)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수배전반의 내부에는 제1 분사로(21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1 분사로(210)의 하부의 일측에는 제1 분사구(11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2 분사구(120)는 제1 분사구(110)의 하부의 일 지점에 형성되되, 제1 분사구(110)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3 분사구(130)는 제2 분사구(120)의 하부의 일 지점에 형성되되, 제2 분사구(120)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복수 개의 감지센서(400)는 제1 감지센서(410), 제2 감지센서(420) 및 제3 감지센서(430)로 구성되고, 제1 감지센서(410)는 제1 분사구(110)의 일측에 결합되고, 제2 감지센서(420)는 제2 분사구(120)의 일측에 결합되고, 제3 감지센서(430)는 제3 분사구(130)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어부(미도시)는 제1 감지센서(410), 제2 감지센서(420) 및 제3 감지센서(430)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 개의 제어부는 제1 감지센서(410), 제2 감지센서(420) 및 제3 감지센서(430)의 작동을 각각 컨트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분사로(210)에 형성된 분사구(100)가 3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제1 분사로(210)에 형성되는 분사구(100)의 개수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3개 이상일 수도 있고 이하일 수도 있다.
제1 분사로(210)의 하부의 타측에는 제2 분사로(22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분사로(220)의 하부에는 약제저장부(300)가 형성된다.
약제저장부(300)의 내부에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약제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소화약제는 다공성 공중체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팽창 글라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배전반 내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화재 자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장시간의 정전 사태로 인해 많은 사람에게 또 다른 피해를 유발하게 되고 물기를 사용하는 작업으로 인해 복구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반면, 다공성 공중체로 형성된 팽창 글라스는 재료의 특성이 규소(Si)이기 때문에 전혀 물기를 수반하지 않고 빠르게 소화를 시킬 수 있으므로 정전에 따른 회복과 복구에 필요한 소요 시간을 훨씬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공성 공중체로 형성된 팽창 글라스는 다공성(多孔性, Porosity) 공중체(空中體, Hollow body)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부피 대비 가벼운 특징을 지니고 있고, 열(熱)에는 매우 강하다.
또한, 주변의 산소(O)를 자체적으로 함유하여 화재대상물에 직접 닿으면 약간 액상화되면서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산소를 차단하는 원리로 결국 빠른 속도로 질식 소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팽창 글라스는 화재의 발생 감지에 따라 변압기 또는 케이블 등에 즉각적으로 쌓이게 함으로써 상호 간의 열 전달을 차단하고, 약 850[
Figure 112023034062824-pat00001
] 이상에서 액상화되어 금속 및 절연유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산소를 차단할 수 있는 질식 소화 방법으로 화재를 진압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분사구(11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코일(112)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의 제1 분사구(110)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코일(112)에 전원이 공급될 경우의 제1 분사구(110)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분사구(110)는 공급유로(111), 전자석코일(112), 고정부(113), 가동부(114), ()(115)로 구성되며, 공급유로(111)는 제1 분사구(110)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공급유로(111)를 통해 소화약제가 이동하여 외부를 향해 분출된다.
공급유로(111)를 기준으로 공급유로(111)의 타측의 일 지점에는 고정부(113)가 형성되고, 고정부(113)의 위치는 고정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113)의 일측에는 가동부(114)가 형성되고, 가동부(114)는 이동통로(115)의 일 지점에 형성되어 이동통로(115)를 통해 이동하는 소화약제를 분출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가동부(114)가 이동통로(115)의 일 지점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아 감지센서(400)가 화재를 감지하지 않았을 경우, 소화약제가 이동통로(115)를 향해 외부로 분출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고정부(113)의 타측에는 전자석코일(112)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며, 전자석코일(112)의 상부에는 공급유로(111)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가동부(114)는 고정부(113)의 내부에 형성되는 홈을 통해 이동하여 전자석코일(112)과 맞닿을 수 있으므로 가동부(114), 고정부(113) 및 전자석코일(112)은 길이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유로(111)는 제1 분사구(110)의 외부에 형성된 전원공급부(5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500)를 통해 전원이 전자석코일(112)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전원공급부(500)를 통해 전자석코일(112)에 전원이 공급되는 구체적인 과정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분사구(110)만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였지만, 제1 분사구(110)의 내부 구성은 제2 분사구(120) 및 제3 분사구(130)의 내부 구성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고하면, 수배전반의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여 감지센서(400)가 화재를 감지할 경우, 감지센서(400)의 내부에 형성된 제어부를 통해 전원공급부(500)로 감지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500)로 감지정보가 전달되면 전자석코일(112)로 전원이 공급되고, 전자석코일에 전류가 흘러 전자석코일(112)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된다.
상기 전자석코일(112)은 원통 모양의 철심(鐵心)에 코일을 감아서 만든 솔레노이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으로 감은 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자기장이 형성되며, 그 속에 철심을 넣으면 더 강한 자기장을 얻는다. 솔레노이드는 제조과정이 간단하고 경제성이 있어 일상 생활용품, 사무용품, 자동차부품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인다.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전자석코일(112)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자석코일(112)이 가동부(114)를 끌어당겨 이동통로(115)의 일 지점에 형성되어 있던 가동부(114)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동부(114)의 타단이 전자석코일(112)과 맞닿게 된다. 즉, 가동부(114)는 자성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동통로(115)의 일 지점을 막고 있던 가동부(114)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통로(115)가 개방되고 소화약제가 이동통로(115)를 통하여 외부로 분출될 수 있게 된다.
가동부(114)는 고정부(113)의 내부에 형성된 홈을 통과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코일(112)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가동부(114)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로(115)의 일측의 일 지점에는 제1 가동부 홈(1141)이 형성되고, 고정부(113)의 내부에는 고정부 홈(1131)이 형성된다.
전자석코일(112)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가동부(114)의 일단은 제1 가동부 홈(1141)의 내부에 삽입되고 가동부(114)의 타단은 고정부 홈(1131)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제1 가동부 홈(1141)과 고정부 홈(1131)의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는 가동부(114)가 제1 가동부 홈(1141) 및 고정부 홈(1131)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을 만큼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1 가동부 홈(1141), 고정부 홈(1131)의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와 가동부(114)의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의 차이는 10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동부(114)의 일단은 이동통로(115)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가동부 홈(1141)과 결합되어 있고, 가동부(114)의 타단은 이동통로(115)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부(113)와 결합되어 있어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동부(114)의 위치가 이동통로(115)의 일 지점에 고정되어 형성되므로 소화약제가 외부로 분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코일(112)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가동부(114)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과 달리, 도 7에 도시된 가동부(114)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형상을 볼 수 있다.
고정부(113)의 타측에는 제2 가동부 홈(1142)이 형성되고, 제2 가동부 홈(1142)의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는 전술한 제1 가동부 홈(1141)의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화재가 발생한 후 감지센서(400)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고, 전원공급부(500)가 감지센서(400)의 내부에 형성된 제어부로부터 화재감지정보를 전달받으면 전원공급부(500)가 전자석코일(112)의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전자석코일(112)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석코일이 제1 가동부 홈(1141)에 삽입되어 있던 가동부(114)를 끌어당기게 되고, 가동부(114)가 타측을 향해 이동하여 가동부(114)의 타단이 전자석코일(112)과 맞닿게 된다.
이때, 가동부(114)는 고정부(113)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부 홈(1131)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가동부(114)의 일단은 고정부 홈(1131)에 삽입되어 형성되고 가동부(114)의 타단은 제2 가동부 홈(1142)의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된다.
즉, 제1 가동부 홈(1141), 고정부 홈(1131), 제2 가동부 홈(1142)은 연통되어 형성되므로, 제1 가동부 홈(1141), 고정부 홈(1131) 및 제2 가동부 홈(1142)은 길이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동부(114)는 전자석코일(112)의 전원공급 여부에 따라 제1 가동부 홈(1141), 고정부 홈(1131), 제2 가동부 홈(1142)의 내부를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가동부(114)의 타단이 전자석코일(112)과 맞닿음에 따라 이동통로(115)를 막고 있던 가동부(114)가 타측으로 이동하여 이동통로(115)가 개방되고, 약제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던 소화약제가 제1 분사로(210) 및 제2 분사로(220)를 통해 제1 분사구(110), 제2 분사구(120), 제3 분사구(130)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제1 분사구(110), 제2 분사구(120), 제3 분사구(130)의 내부에 형성된 이동통로(115)를 통해 소화약제가 제1 분사구(110)의 외부, 즉 수배전반의 내부로 분출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부(5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원공급부(500)는 AC 공급부(510), AC/DC 컨버터(520), DC 공급부(530), 충전부(540), ATS로 구성되며, AC 공급부(510)를 이용하여 고전압/저전류로 AC 전압을 먼저 송전하고, AC/DC 컨버터(520)를 이용하여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압한다.
이후, DC 전압으로 변환된 전압을 DC 공급부(530)를 이용하여 DC 전압을 전자석코일과 감지센서(400)에 공급하게 된다. 즉, 전자석코일(112)과 감지센서(400)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수배전반의 내부의 구성요소에 오류나 이상이 없는 상태에서 화재를 진압하고자 할 경우는 전원공급부(500)를 통해 전자석코일(112)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와 달리, 수배전반의 내부의 구성요소에 오류나 이상이 생겨서 상용전원인 220[V]을 공급할 수 없는 상태가 될 경우는 자칫 화재 진압을 위한 감지센서(400) 및 분사구(100)의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상상태를 해결하기 위해 비상시를 대비하여 평소 컨버터 내에 충전이 가능한 전원공급 회로를 추가함으로써 비상시에는 컨버터 내부에 형성된 충전부(540)에 충전된 전원을 자동 절환 스위치(Automatic Transfer Switch)(550)를 통해 지속적으로 DC12[V]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자동 절환 스위치(Automatic Transfer Switch)(550)는 상용전원과 비상전원 사이에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을 부하 측과 연결하여 사용하다 상용전원의 이상이나 정전 시 비상전원 측으로 절체하여 연결해 주는 장치이다. 즉, 비상시에 비상발전기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자동으로 한전선로에서 비상발전기로 스위칭 해주는 장치이다.
상용전원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상용전원을 차단하고 자동 절환 스위치(550)를 이용하여 비상전원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원활한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긴급상황 발생시 상용전원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차단시킬 수 있어 대형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 분사로(210)의 하부의 일측에는 제1-1 분사구(14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1-1 분사구(140)의 하단은 후술할 제2-1 분사구(150)가 위치되어 있는 부분을 향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형성된다.
즉, 제1-1 분사구(140)의 하단은 제1-1 분사구(140)의 타측을 향해 소화약제가 분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1 분사구(140)의 일측에는 제1 감지센서(410)가 형성된다.
제1-1 분사구(140)의 일측에는 제2-1 분사구(15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2-1 분사구(150)는 제1 분사로(210)의 하부의 일 지점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분사로(210)의 하부의 타측에는 제3-1 분사구(16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3-1 분사구(160)의 하단은 제2-1 분사구(150)가 위치되어 있는 부분을 향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형성된다.
즉, 제3-1 분사구(160)의 하단은 제1-1 분사구(140)의 타측을 향해 소화약제가 분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3-1 분사구(160)의 타측에는 제3 감지센서(43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1 분사구(140)와 제3-1 분사구(160)의 하단의 각도는 30 - 45°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화재 발생 부근을 향해 분사를 시작할 때 소화약제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낙하할 때 분사가 골고루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3 감지센서(430)가 위치되어 있는 부분, 즉 제3 감지센서(430)의 하부 부근에 화재가 발생하면 제1 감지센서(410)가 이를 감지한 후 제1-1 분사구(140)를 통해 소화약제가 분출되고, 이때, 제1-1 분사구(140)를 통해 분출되는 소화약제는 포물선을 그리며 분출되어 제3 감지센서(430) 하부 부근에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감지센서(410)가 위치되어 있는 부분, 즉 제1 감지센서(410)의 하부 부근에 화재가 발생하면 제3 감지센서(430)가 이를 감지한 후 제3-1 분사구(160)를 통해 소화약제가 분출되고, 이때, 제3-1 분사구(160)를 통해 분출되는 소화약제는 포물선을 그리며 분출되어 제1 감지센서(410) 하부 부근에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즉, 화재발생영역에 따라 상이한 분사구(100)가 작동하여 소화약제를 방출함으로써 기존 가스계 소화약제 분사구(100)에서 나타나는 불필요한 약제 분사의 교차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수배전반 내에 설치되어야 하는 소화약제 방출노즐의 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비용 및 기타 손실을 최소화하여 소화설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제1-1 분사구(140) 및 제3-1 분사구(160)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기계적 작동에 비해 화재진압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제1 감지센서(410) 내지 제3 감지센서(430)의 작동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수베전반의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제1 감지센서(410), 제2 감지센서(420), 제3 감지센서(430)가 화재 발생구역을 감지하기 시작한다.
제3 감지센서(430)가 제1 감지센서(410)의 하부 부근에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감지하면, 제3 감지센서(430)에 형성된 제어부가 전원공급부(500)에 감지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전원공급부(500)가 제3-1 분사구(160)의 내부에 형성된 전자석코일에 전원을 공급하고, 이동통로(115)가 개방되어 제3-1 분사구(160)를 통해 소화약제가 분출되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3-1 분사구(160)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어, 제1-1 하부 부근에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감지센서(410)의 하부 부근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고, 제3 감지센서(430)의 하부 부근에 화재가 발생하였다면 이를 제1 감지센서(410)가 감지하게 된다.
이때, 제1 감지센서(410)에 형성된 제어부가 전원공급부(500)에 감지정보를 전달하게 되고, 전원공급부(500)가 제1-1 분사구(140)의 내부에 형성된 전자석코일에 전원을 공급하고, 이동통로(115)가 개방되어 제1-1 분사구(140)를 통해 소화약제가 분출되게 된다.
또한, 제3 감지센서(430)의 하부 부근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고, 제2 감지센서(420)의 하부 부근에 화재가 발생하였다면 이를 제2 감지센서(420)가 감지하게 된다.
이때, 제2 감지센서(420)에 형성된 제어부가 전원공급부(500)에 감지정보를 전달하게 되고, 전원공급부(500)가 제2-1 분사구(150)의 내부에 형성된 전자석코일에 전원을 공급하고, 이동통로(115)가 개방되어 제2-1 분사구(150)를 통해 소화약제가 분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화재발생영역에 따라 상이한 분사구(100)가 작동하여 소화약제를 방출함으로써 기존 가스계 소화약제 분사구(100)에서 나타나는 불필요한 약제 분사의 교차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는 최소한의 시간 내에 화재를 과학적이고 능동적인 메커니즘과 시스템을 구성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만일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 수배전반 내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일지라도 가능한 국지적인 화재 진압이 이루어져 대형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사전에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덧붙여, 수배전반에서 발생하는 화재사고에 한정적으로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이를 화재사고로 인하여 많은 애로를 겪고 있는 다른 분야에 적용할 경우는 기하급수적으로 응용된 방법들을 도출시키는 계기가 됨으로써 화재사고에 따른 진압 방법의 개선과 안전분야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분사구,
110 : 제1 분사구,
120 : 제2 분사구,
130 : 제3 분사구,
140 : 제1-1 분사구,
150 : 제2-1 분사구,
160 : 제3-1 분사구,
200 : 분사로,
210 : 제1 분사로,
220 : 제2 분사로,
300 : 약제저장부,
400 : 감지센서,
410 : 제1 감지센서,
420 : 제2 감지센서,
430 : 제3 감지센서,
500 : 전원공급부.

Claims (5)

  1. 수배전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분사로;
    상기 제1 분사로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분사구;
    상기 복수 개의 분사구의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
    상기 제1 분사로의 타측에 결합되되, 소화용 분말약제가 저장되는 약제저장부;
    상기 복수 개의 감지센서가 화재를 감지하면, 상기 복수 개의 분사구가 개방되어 상기 소화용 분말약제가 분출되고,
    상기 소화용 분말약제는 팽창 글라스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분사구는,
    상기 분사구의 타측에 형성되는 전자석코일;
    상기 분사구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소화용 분말약제가 외부로 분출될 수 있는 제2 분사로;
    상기 제2 분사로의 일 지점에 형성되는 가동부; 및
    상기 제2 분사로의 타측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전자석코일이 상기 가동부를 끌어당겨 상기 가동부의 타단이 상기 전자석코일과 맞닿는 것인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사로의 하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형성되는 제1-1 분사구;
    상기 제1 분사로의 하부의 타측에 형성되되, 일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형성되는 제3-1 분사구;
    상기 제1-1 분사구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 감지센서; 및
    상기 제3-1 분사구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3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분사구의 하부 부근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3 감지센서가 상기 제1-1 분사구의 하부 부근에 발생한 화재를 감지하고,
    상기 제3-1 분사구를 통해 상기 소화용 분말약제가 분출되고, 상기 소화용 분말약제는 상기 제1-1 분사구가 위치되어 있는 부분을 향해 분사되는 것인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1 분사구의 하부 부근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1 감지센서가 상기 제3-1 분사구의 하부 부근에 발생한 화재를 감지하고,
    상기 제1-1 분사구를 통해 상기 소화용 분말약제가 분출되고, 상기 소화용 분말약제는 상기 제3-1 분사구가 위치되어 있는 부분을 향해 분사되는 것인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
KR1020230039542A 2023-03-27 2023-03-27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 KR102595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9542A KR102595760B1 (ko) 2023-03-27 2023-03-27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
PCT/KR2024/002464 WO2024205040A1 (ko) 2023-03-27 2024-02-27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9542A KR102595760B1 (ko) 2023-03-27 2023-03-27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760B1 true KR102595760B1 (ko) 2023-10-30

Family

ID=88557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9542A KR102595760B1 (ko) 2023-03-27 2023-03-27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95760B1 (ko)
WO (1) WO20242050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05040A1 (ko) * 2023-03-27 2024-10-03 (주)세광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203A (ko) 2015-07-16 2017-01-25 임형규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
KR102071184B1 (ko) * 2019-06-12 2020-01-29 장봉현 배전반의 열화방지 및 화재 진압 시스템
KR102287661B1 (ko) * 2020-05-25 2021-08-10 (주)수호전력 화재진압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620B1 (ko) * 2015-02-17 2015-09-24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수/배전반용 자동소화 설비 유닛
JP2021045332A (ja) * 2019-09-18 2021-03-25 株式会社竹中工務店 配電盤の製造方法
KR102339920B1 (ko) * 2021-04-27 2021-12-16 주식회사 신의이엔지 화재 소화 모듈과 연동하는 배전선로 수배전반 제어 방법
KR102595760B1 (ko) * 2023-03-27 2023-10-30 (주)세광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203A (ko) 2015-07-16 2017-01-25 임형규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
KR102071184B1 (ko) * 2019-06-12 2020-01-29 장봉현 배전반의 열화방지 및 화재 진압 시스템
KR102287661B1 (ko) * 2020-05-25 2021-08-10 (주)수호전력 화재진압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05040A1 (ko) * 2023-03-27 2024-10-03 (주)세광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205040A1 (ko) 2024-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0659B1 (ko) 지중배전선로의 접속인자 배전반구조
KR102595760B1 (ko)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
KR101625388B1 (ko) 수배전반의 화재 제어 장치
KR102377571B1 (ko) 지중배전선로용 절연성 연결설비
US20170301489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on of switchgear against electrical arcs
CN112510731A (zh) 一种模块化的储能系统及储能柜
WO2008113742A2 (en) Compact secondary substation comprising an arcing fault protection system, a method for arcing fault protection in a compact secondary substation,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the method
CN215136222U (zh) 一种油浸变压器泡沫排油灭火装置
CN106159777A (zh) 一种金属铠装移开式开关柜
CN108773300A (zh) 一种接触网供电电源高压系统及其应用
CN105610127A (zh) 一种110kV变压器中性点水流保护间隙与避雷器并联保护系统
CN111917044A (zh) 一种具有灭弧装置的抽屉式开关柜
CN202488206U (zh) 110kV系统一主一备备自投母线区域故障闭锁装置
CN111786267A (zh) 一种模块化方舱式开关站
CN208507515U (zh) 一种高压设备防护柜门联锁系统
KR102060568B1 (ko) 확산식 소화기 및 화재감시 시스템이 적용된 수배전반 어셈블리
CH233443A (de) Elektrische Hochspannungsschaltanlage.
CN108773301A (zh) 一种接触网供电电源高压系统控制方法及其应用
KR20200001522U (ko)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CN214100871U (zh) 一种模块化的储能系统及储能柜
KR20230147821A (ko) 차단기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제거하는 모듈형 아크 제거장치
US8824109B2 (en) Disconnector for distribution transformers with dielectric liquid
KR102287268B1 (ko) VI(Vacuum Interrupter) 연동 DS 인터록 장치
CN108649434A (zh) 共箱式开关柜
KR101939050B1 (ko) 배전반의 방출부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