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81143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143B1
KR102581143B1 KR1020160104787A KR20160104787A KR102581143B1 KR 102581143 B1 KR102581143 B1 KR 102581143B1 KR 1020160104787 A KR1020160104787 A KR 1020160104787A KR 20160104787 A KR20160104787 A KR 20160104787A KR 102581143 B1 KR102581143 B1 KR 102581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polarizing element
protective layer
display devi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1274A (ko
Inventor
장재수
신기철
장대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4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143B1/ko
Priority to US15/659,983 priority patent/US10180593B2/en
Priority to CN201710694963.XA priority patent/CN107765470B/zh
Priority to EP17186677.5A priority patent/EP3285111A1/en
Priority to TW106128168A priority patent/TWI755420B/zh
Publication of KR20180021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48Wire-grid 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실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제1베이스부와, 제1갭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선형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이스부 상에 위치하는 제1편광소자와, 상기 제1편광소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실영역 내에 상기 제1갭을 노출하는 제1개구가 형성된 제1보호층을 포함하는 제1표시기판; 상기 제1표시기판과 대향 배치된 제2표시기판; 및 상기 제1표시기판과 상기 제2표시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실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개구를 커버하는 실런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경량, 박형 및 저소비 전력 등의 이점을 갖고 있어, 텔레비전, 컴퓨터, 휴대 단말기 등의 표시부에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2개의 편광판을 갖고 있으며, 액정층에 인가하는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각 화소의 휘도가 변화된다.
일반적인 편광판은, 2색성의 요오드를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의 필름에 흡착시킨 후, 일 방향으로 연신하여 분자의 배향을 일정하게 정렬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편광판은, 투과축에 평행한 편광 방향의 편광 성분을 투과하고, 투과축에 직교하는 편광 방향의 편광 성분을 흡수한다. 이러한 편광판은 내열성이 충분하지 않고, 또한,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어 버린다.
따라서, 다른 타입의 편광소자로서, 내열성이 우수한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가 알려져 있다.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는 등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금속 선형 패턴을 갖고 있고, 금속 선형 패턴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길이방향)과 수직인 편광 방향의 편광 성분은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를 투과하고, 금속 선형 패턴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편광방향의 편광 성분은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에서 반사된다. 그리고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에서 반사된 편광성분은 백라이트 유닛의 반사판 등을 통해 편광이 해소된 후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에 재입사 하게 되며 이에 따라 광 효율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의 상측에는 상기 복수의 금속 선형 패턴들을 보호하는 보호막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금속 선형 패턴들과 상기 보호막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 내에는 공기 등의 기체가 존재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 제조 과정에서 상기 기체에 의해 아웃 개싱 등이 발생되어 표시 장치의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뢰도가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실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베이스부와, 제1갭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선형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이스부 상에 위치하는 제1편광소자와, 상기 제1편광소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실영역 내에 상기 제1갭을 노출하는 제1개구가 형성된 제1보호층을 포함하는 제1표시기판; 상기 제1표시기판과 대향 배치된 제2표시기판; 및 상기 제1표시기판과 상기 제2표시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실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개구를 커버하는 실런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갭의 내부는 진공 상태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는,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상기 제1선형 패턴 및 상기 제1베이스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서브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소자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가장자리 및 제2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제1선형 패턴의 측면과 상기 제2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제1선형 패턴의 측면은 상기 제1보호층과 접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소자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3가장자리 및 제4가장자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제1선형 패턴의 측면 및 상기 제4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제1선형 패턴의 측면은 상기 제1보호층과 접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기판은, 상기 표시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보호층 상에 위치하는 화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기판은, 제2베이스부와, 제2갭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제2선형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표시기판과 대향하는 상기 제2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제2편광소자와, 상기 제2편광소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편광소자를 커버하는 제2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보호층에는 상기 실영역 내에서 상기 제2갭을 노출하는 제2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실런트는 상기 제2개구를 커버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서브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영역,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실영역 및 상기 실영역을 둘러싸는 주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베이스부와, 제1갭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선형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이스부 상에 위치하는 제1편광소자와, 상기 제1편광소자 상에 위치하는 제1보호층을 포함하는 제1표시기판; 상기 제1표시기판과 대향 배치된 제2표시기판; 및 상기 제1표시기판과 상기 제2표시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실영역 내에만 위치하는 실런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편광소자의 가장자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주변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갭의 내부에는 공기가 있을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소자는 상기 주변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가장자리 및 제2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제1선형 패턴의 측면은 상기 제1보호층과 비접촉하고, 상기 제1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갭의 일단은 상기 제1보호층의 외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제1선형 패턴의 측면은 상기 제1보호층과 비접촉하고, 상기 제2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갭의 타단은 상기 제1보호층의 외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소자는 상기 주변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3가장자리 및 제4가장자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제1선형 패턴의 측면 및 상기 제4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상기 제1선형 패턴의 측면은 상기 제1보호층과 접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변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갭의 일단을 밀봉하는 보조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층에는 상기 주변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갭을 노출하는 제1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소자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가장자리 및 제2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장자리는 상기 주변영역 내에 위치하고, 평면 시점에서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제1가장자리와 상기 실영역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선형 패턴 중 상기 제1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은 상기 제1보호층과 접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기판은, 상기 표시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보호층 상에 위치하는 화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소자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가장자리 및 제2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장자리 및 상기 제2가장자리는 상기 주변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1선형 패턴 중 상기 제1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 및 상기 제2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은 상기 제1보호층과 접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소자는 상기 주변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3가장자리 및 제4가장자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선형 패턴 중 상기 제3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 및 상기 제4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은 상기 제1보호층과 접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기판은, 상기 표시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보호층 상에 위치하는 화소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기판은, 제2베이스부와,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2갭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2선형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표시기판과 대향하는 상기 제2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제2편광소자와, 상기 제2편광소자 상에 위치하는 제2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편광소자의 가장자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주변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선형 패턴을 구비한 편광소자를 포함함에 따라, 기존의 편광판을 표시 장치에 부착하는 경우에 비해 표시 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편광소자의 갭 내의 기체에 의한 아웃개싱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도가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편광소자에서 아웃개싱이 발생하더라도 아웃개싱된 기체가 액정층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 이에 따라 신뢰도가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서 제1편광소자 및 제1보호층의 개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X1-X1'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X2-X2'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X3-X3'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X4-X4'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구조를 기준으로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구조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서 제2편광소자 및 제2보호층의 개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X1a-X1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X2a-X2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X3a-X3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0의 X4a-X4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0의 X5a-X5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0의 X6a-X6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1에 도시된 구조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서 제1편광소자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제1편광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Y1-Y1'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9의 Y2-Y2'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9의 Y3-Y3'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19의 Y1-Y1'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19의 Y2-Y2'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19의 Y3-Y3'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서 제1편광소자와 제1보호층의 개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Y1a-Y1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28의 Y2a-Y2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28의 Y3a-Y3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8의 Y1a-Y1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8의 Y2a-Y2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8의 Y3a-Y3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7는 도 36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서 제2편광소자와 제2보호층의 개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8은 도 37에 도시된 제2편광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6의 Y1b-Y1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6의 Y2b-Y2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1은 도 36의 Y3b-Y3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36의 Y1b-Y1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36의 Y2b-Y2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36의 Y3b-Y3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6은 도 45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서 제2편광소자와 제2보호층의 개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7는 도 45의 Y1c-Y1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8은 도 45의 Y2c-Y2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9는 도 45의 Y3c-Y3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1은 도 50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서 제1편광소자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2는 도 50의 Y1d-Y1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3은 도 50의 Y2d-Y2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4는 도 50의 Y3d-Y3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6은 도 55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서 제2편광소자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7은 도 55의 Y1e-Y1e'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8은 도 55의 Y2e-Y2e'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9는 도 55의 Y3e-Y3e'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0은 도 55의 Y4e-Y4e'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on)", "상(on)",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서 제1편광소자 및 제1보호층의 개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X1-X1'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X2-X2'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X3-X3'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X4-X4'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표시영역(DA), 표시영역(DA)을 둘러싸는 실영역(SA)을 포함하며, 실영역(SA)을 둘러싸는 주변영역(PH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영역(DA)은 후술할 화소부(160) 등이 배치되어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실영역(S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고 후술할 실런트(400)가 배치되는 영역이며, 주변영역(PH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 중 실영역(SA)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일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시적으로 표시 장치(1)는 TN(Twisted Nematic) 방식의 표시 장치, VA(Vertical Alignment) 방식의 표시 장치, PVA(Patterned Vertical Alignment) 방식의 표시 장치, IPS(in-plane switching) 방식의 표시 장치, FFS(fringe-field switching) 방식의 표시 장치 및 PLS(Plane to Line Switching) 방식의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제1표시기판(100), 제1표시기판(100)과 대향 배치된 제2표시기판(200), 제1표시기판(100)과 제2표시기판(20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300) 및 제1표시기판(100)과 제2표시기판(200) 사이에 배치되고 실영역(SA) 내에 위치하는 실런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표시기판(100)에 대해 설명한다.
제1베이스부(110)는 투명한 절연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이라 함은 100% 투명함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소정의 설계조건에서 제시된 투과도 이상을 만족하는 정도의 반투명함을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베이스부(110)는 유리 기판, 석영 기판, 투명 수지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베이스부(110)는 고내열성을 갖는 고분자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베이스부(110)는 가요성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제1베이스부(110)는 롤링(rolling), 폴딩(folding), 벤딩(bending) 등으로 형태 변형이 가능한 기판일 수 있다.
제1베이스부(110) 상에는 제1편광소자(PL)가 위치할 수 있다. 제1편광소자(PL)는 표시영역(DA)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일부가 실영역(SA) 내에 더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제1편광소자(PL)의 일부는 주변영역(PHA) 내에 더 위치할 수도 있다.
제1편광소자(PL)는 제1베이스부(110)를 투과하는 광을 편광시킬 수 있다. 제1편광소자(PL)는 제1방향(D1)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선형 패턴(1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제1선형 패턴(121)은 제1갭(123)을 사이에 두고 제1방향(D1)과 교차하는 제2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선형 패턴(121)은 가시광선의 파장보다 짧은 주기로 배열될 수 있다.
광은 진행 방향에 대하여 무질서하게 진동하면서 진행한다. 따라서 제1선형 패턴(121)에 광이 입사되면 제1선형 패턴(121)의 연장 방향(제1방향, D1)과 수직인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만 편광부(PP)를 통과하며 나머지 광은 제1선형 패턴(121)에 의해 반사된다. 즉, P 편광된 광만 제1편광소자(PL)를 투과하며, S 편광된 광은 제1편광소자(PL)을 투과하지 못하고 반사된다. 그 결과, 상부 방향으로는 P 편광된 광만 진행한다.
그리고 제1선형 패턴(121)에 의해 반사된 S 편광돤 광은 표시 장치에서 제1편광소자(PL)의 하부의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에 구비된 도광판에 의해 산란되어 편광성이 상쇄된 후,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 구비된 반사판에 의해 재반사되어 제1편광소자(PL) 로 재입사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은 반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광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광 효율 향상에 따라 표시 장치의 소비전력절감 및/또는 휘도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제1편광소자(PL)는 제1 선형 패턴(121)의 연장 방향, 즉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가장자리(E1) 및 제2가장자리(E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선형 패턴(12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즉 제2방향(D2)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3가장자리(E3) 및 제4가장자리(E4)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가장자리(E1), 제2가장자리(E2), 제3가장자리(E3) 및 제4가장자리(E4)가 사각형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편광소자(PL)의 제1가장자리(E1)와 제2가장자리(E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표시영역(DA) 이외의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편광소자(PL)의 제1가장자리(E1)와 제2가장자리(E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실영역(S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편광소자(PL)의 제1가장자리(E1)와 제2가장자리(E2)는 모두 실영역(SA)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는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제1편광소자(PL)의 제1가장자리(E1)와 제2가장자리(E2)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편광소자(PL)의 제1가장자리(E1)와 제2가장자리(E2)가 모두 실영역(SA) 내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서 제1편광소자(PL)의 제3가장자리(E3)와 제4가장자리(E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표시영역(DA) 이외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편광소자(PL)의 제3가장자리(E3)와 제4가장자리(E4)가 모두 실영역(SA)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제1편광소자(PL)의 제1선형 패턴(121)은 알루미늄(Al), 금(Au), 은(Ag), 구리(Cu), 크롬(Cr), 철(Fe) 및 니켈(Ni)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선형 패턴(121)은 상기 금속 중 상대적으로 반사율이 높은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합금(Al alloy)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제1선형 패턴(121) 사이의 제1갭(123) 내부는 진공 상태(vacuum state)일 수 있다. 제1갭(123)에 대한 보다 구체적 내용은 후술한다.
제1베이스부(110) 및 제1편광소자(PL) 상에는 제1보호층(130)이 위치할 수 있다. 제1보호층(130)은 무기 절연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SiNx)이나 실리콘 산화물(SiOx)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보호층(130)은 제1편광소자(PL)를 커버하여 제1편광소자(PL)를 보호할 수 있다. 제1보호층(130) 중 제1편광소자(PL) 상에 위치하는 부분은 제1베이스부(110)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제1보호층(130) 중 제1갭(123)과 중첩하는 부분은 제1베이스부(110)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베이스부(110), 제1선형 패턴(121) 및 제1보호층(130)에 의해 제1갭(123)에는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보호층(130)은 제1편광소자(PL)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선형 패턴(121) 중 제1편광소자(PL)의 제1가장자리(E1)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1211)은 제1보호층(130)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선형 패턴(121) 중 제1편광소자(PL)의 제2가장자리(E2)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1212)도 제1보호층(130)과 접촉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복수의 제1선형 패턴(121) 중 제1편광소자(PL)의 제3가장자리(E3)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1213) 및 제1편광소자(PL)의 제4가장자리(E4)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1214)도 제1보호층(130)과 접촉할 수 있다.
제1보호층(130)에는 실영역(SA) 내에 위치하고 제1편광소자(PL)의 제1갭(123)을 노출하는 개구(OP1, OP2)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보호층(130)에는 실영역(SA) 내에 위치하는 제1개구(OP1) 및 제2개구(OP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개구(OP1)는 제1편광소자(PL)의 제1가장자리(E1)와 인접하여 형성되고 제2개구(OP2)는 제1편광소자(PL)의 제2가장자리(E2)와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개구(OP1)는 제1선형 패턴(12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D2)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개구(OP1)는 평면 시점에서 바라볼 때, 제1편광소자(PL)의 제1갭(123) 각각과 중첩할 수 있다. 제2개구(OP2)도 제1개구(OP1)와 유사하게 제1선형 패턴(121)과 교차하는 제2방향(D2)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갭(123) 각각과 중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갭(123) 내에는 공간이 정의된다. 또한 제1보호층(130)은 제1편광소자(PL)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OP1, OP2)가 부존재하는 경우, 제1갭(123) 내의 공간은 밀폐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 제조 과정에서 제1편광소자(PL)를 형성한 후 제1편광소자(PL)를 커버하는 제1보호층(130)을 형성하면, 제1갭(123) 내의 밀폐된 공간에는 공기가 존재하거나 또는 제조과정에서 사용된 가스 등이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갭(123) 내의 공기 또는 가스 등에 의해 표시영역(DA) 내에서 아웃개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액정층(300)이 오염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경우, 제1보호층(130)에 제1개구(OP1) 및 제2개구(OP2)를 형성함으로써 표시 장치(1) 제조 과정에서 제1갭(123) 내의 공기 또는 가스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아웃개싱에 의한 액정층(30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제1보호층(130)에 제1개구(OP1)와 제2개구(OP2)가 모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예컨대,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1개구(OP1)와 제2개구(OP2)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제1보호층(130) 상에는 표시영역(DA) 내에 위치하는 화소부(160)가 위치할 수 있다. 화소부(16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각 화소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전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는 표시 장치(1)의 구동 회로의 제어에 의해 표시영역(DA)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2표시기판(200)은 제1표시기판(100) 상에 배치되어 제1표시기판(100)과 대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표시기판(200)은 공통전극(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2표시기판(200)은 차광층, 오버코트층, 색필터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액정층(300)은 제1표시기판(100) 및 제2표시기판(2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액정층(300)은 복수의 액정 분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 분자들은 액정층(300)에 형성된 전계에 따라 배열 상태를 변경하여 입사된 광의 투과도를 결정한다.
실런트(400)는 제1표시기판(100) 및 제2표시기판(2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액정층(300)을 밀봉한다. 실런트(400)는 표시 장치(1)의 실영역(SA)내에만 위치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표시 장치(1)의 실영역(SA)은 실런트(400)가 배치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실런트(400)는 광경화성 재료 또는 열경화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면 시점에서 실런트(400)는 제1편광소자(PL)와 중첩할 수 있다. 또한 평면 시점에서 제1보호층(130)의 개구(OP1, OP2)는 실런트(400)와 완전히 중첩할 수 있다. 실런트(400)는 제1보호층(130) 상에 위치하여 제1보호층(130)과 접촉할 수 있으며, 제1보호층(130)의 개구(OP1, OP2)를 커버함으로써 개구(OP1, OP2)를 밀봉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개구(OP1, OP2)는 실런트(400)에 의해 막힐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런트(400)의 일부는 개구(OP1, OP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실런트(400)의 일부는 개구(OP1, OP2)를 통해 제1갭(123)의 내부에서 제1선형 패턴(121)과 접촉할 수 있고, 제1베이스부(110)와 더 접촉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구조를 기준으로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의 단면도는 도 1의 X4-X4'을 따라 절단한 구조를 기준으로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7을 참조하면, 제1표시기판(100) 상에 방울 형상으로 액정(300a)을 적하한다. 그리고 제2표시기판(200)의 일면 중 실영역(SA)과 대응하는 부분에 실링재(400a)를 도포한다. 이후 제1표시기판(100) 상에 제2표시기판(200)을 배치하고 제2표시기판(200)에 압력을 가하여 제1표시기판(100)과 제2표시기판(200)을 합착한다. 이때 액정(300a)은 상기 압력에 의해 제1표시기판(100)과 제2표시기판(200) 사이에 퍼지게 되며, 이에 따라 액정층(도 3의 300)이 형성된다.
실링재(400a)가 열경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표시기판(100)과 제2표시기판(200)을 합착하는 과정은 고온의 핫 프레스 공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고온의 베이킹(baking) 공정 또는 고온의 큐어링(curing) 공정이 더 진행될 수 있다. 즉, 제1표시기판(100)과 제2표시기판(200)은 합착 공정 중에 고온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표시기판(100)과 제2표시기판(200)의 합착 공정 중에, 제1갭(123) 내에 공기 또는 가스 등이 갇혀있는 경우, 고온에 의해 상기 공기 또는 상기 가스가 팽창하여 제1보호층(1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액정층(300)이 오염되거나 타 구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1갭(123) 내의 공기 또는 가스로 인해 아웃개싱이 발생하여 표시 장치(1)의 신뢰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반면, 본 발명의 경우 제1표시기판(100)과 제2표시기판(200)의 합착 공정을 진공 상태, 예컨대 진공챔버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 제1보호층(130)에는 제1갭(123)을 노출하는 개구(OP1, OP2)가 형성된 바, 진공 상태에서 합착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제1갭(123) 내부의 공기 또는 가스는 개구(OP1, OP2)를 통해 방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갭(123) 내부는 진공 상태로 바뀔 수 있다. 그리고 제1갭(123) 내부가 진공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제1표시기판(100)과 제2표시기판(200)은 합착될 수 있으며, 개구(OP1, OP2)는 실링재(400a) 또는 실런트(도 3의 400)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갭(123) 내의 기체로 인해 아웃 개싱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이에 따라 제조 과정에서 표시 장치(1)에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감소되고 신뢰도가 향상된 표시 장치(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도 8을 참조하면, 제2표시기판(200) 상에 액정(300a)을 적하하고 제1표시기판(100)의 일면 중 실영역(SA)과 대응하는 부분에 실링재(400a)를 도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실링재(400a)는 개구(OP1, OP2)를 막지 않도록 도포될 수 있다. 이후 제2표시기판(200) 상에 제1표시기판(100)을 배치하고 진공 상태에서 제1표시기판(100)에 압력을 가하여 제1표시기판(100)과 제2표시기판(200)을 합착할 수도 있다. 제1갭(123) 내부의 공기 또는 가스는 개구(OP1, OP2)를 통해 방출될 수 있으며, 실링재(400a)는 압력에 의해 일부 퍼짐으로써 개구(OP1, OP2)를 밀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표시기판(100)과 제2표시기판(200)의 합착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진공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갭(123)의 내부도 진공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보호층(130)의 개구(OP1, OP2)는 실링재(400a) 또는 실런트(도 3의 400)에 의해 밀봉되는 바, 제1갭(123)의 내부는 진공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구조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1개구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1보호층의 제1개구(OP1a)는 도 2에 도시된 제1개구(도 2의 OP1)와는 달리,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서브개구(OP11, OP12, OP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개구(OP1a)는 제1서브개구(OP11), 제1서브개구(OP11)와 이격된 제2서브개구(OP12), 제1서브개구(OP11) 및 제2서브개구(OP12)와 이격된 제3서브개구(OP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서브개구(OP11, OP12, OP13)는 제1선형 패턴(12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예시적으로 제2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제2 방향(D2)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보호층의 제2개구(OP2a)는 도 2에 도시된 제2개구(도 2의 OP2)와는 달리,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서브개구(OP21, OP22, OP23)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서브개구(OP21, OP22, OP23)는 제1선형 패턴(12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예시적으로 제2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제2방향(D2)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제1개구(OP1a) 및 제2개구(OP2a) 각각이 3개의 서브 개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서브 개구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표시 장치(1)의 내부에 제1편광소자(PL)를 구비함에 따라, 별도의 편광판을 표시 장치에 부착하는 경우에 비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제1편광소자 내에 갇힌 기체(공기, 가스 등) 에 의해 아웃개싱이 발생하고, 아웃개싱에 의해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 및 이에 따라 신뢰도가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서 제2편광소자 및 제2보호층의 개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도 10의 X1a-X1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3은 도 10의 X2a-X2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4는 도 10의 X3a-X3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5는 도 10의 X4a-X4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6은 도 10의 X5a-X5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7은 도 10의 X6a-X6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a)는 제1표시기판(100), 제1표시기판(100)과 대향 배치된 제2표시기판(200a), 제1표시기판(100)과 제2표시기판(200a)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300) 및 제1표시기판(100)과 제2표시기판(200a) 사이에 배치되고 실영역(SA) 내에 위치하는 실런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a)는 제2표시기판(200a)이 제2편광소자(PLh) 및 제2보호층(230)을 포함하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6의 설명에서 상술한 표시 장치(도 1 내지 6의 1)와 가장 큰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이하 제2표시기판(200a)에 대해 설명한다.
제2베이스부(210)는 투명한 절연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베이스부(210)는 유리 기판, 석영 기판, 투명 수지 기판, 고내열성을 갖는 고분자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베이스부(210)는 가요성을 가질 수도 있다.
제1표시기판(100)을 향하는 제2베이스부(210)의 일면 상에는 제2편광소자(PLh)가 위치할 수 있다. 제2편광소자(PLh)는 표시영역(DA)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일부가 실영역(SA) 내에 더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제2편광소자(PLh)는 일부가 주변영역(PHA) 내에 더 위치할 수도 있다.
제2편광소자(PLh)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제2선형 패턴(2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제2선형 패턴(221)은 제2갭(223)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선형 패턴(221)은 가시광선의 파장보다 짧은 주기로 배열될 수 있다.
제2편광소자(PLh)의 제2선형 패턴(221)은 알루미늄(Al), 금(Au), 은(Ag), 구리(Cu), 크롬(Cr), 철(Fe) 및 니켈(Ni)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선형 패턴(221)은 제1선형 패턴(12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예컨대 제1방향(D1)과 교차하는 제2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액정층(30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1편광소자(PL)와 액정층(3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편광소자(PLh)는 그 편광축이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이는 액정층(300)의 하측 및 상측에 채용되는 통상적인 편광판의 편광축이 서로 직교하는 것과 동일한 이치이다. 이하에서는 제2선형 패턴(221)이 제2방향(D2)을 따라 연장되며, 제2갭(223)을 사이에 두고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된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제2편광소자(PLh)는 제2 선형 패턴(221)의 연장 방향, 즉 제2방향(D2)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가장자리(E1h) 및 제2가장자리(E2h)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제2 선형 패턴(22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즉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3가장자리(E3h) 및 제4가장자리(E4h)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2편광소자(PL)의 제1가장자리(E1h), 제2가장자리(E2h), 제3가장자리(E3h) 및 제4가장자리(E4h)가 사각형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편광소자(PLh)의 제1가장자리(E1h)와 제2가장자리(E2h)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표시영역(DA) 이외의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2편광소자(PLh)의 제1가장자리(E1h)와 제2가장자리(E2h)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실영역(S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편광소자(PLh)의 제1가장자리(E1h)와 제2가장자리(E2h)는 모두 실영역(SA)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는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제2편광소자(PLh)의 제1가장자리(E1h)와 제2가장자리(E2h)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편광소자(PLh)의 제1가장자리(E1h)와 제2가장자리(E2h)가 모두 실영역(SA) 내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서 제2편광소자(PLh)의 제3가장자리(E3h)와 제4가장자리(E4h)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표시영역(DA) 이외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2편광소자(PLh)의 제3가장자리(E3h)와 제4가장자리(E4h)가 모두 실영역(SA)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제2베이스부(210)의 일면 및 제2편광소자(PLh) 상에는 제2보호층(230)이 위치할 수 있다. 제2보호층(230)은 무기 절연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SINx)이나 실리콘 산화물(SiOx)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보호층(230)은 제1보호층(130)과 유사하게 제2편광소자(PLh)의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하여 제2편광소자(PLh)를 보호할 수 있다. 제2보호층(230)은 표시영역(DA) 및 실영역(SA)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주변영역(PHA) 내에 더 위치할 수 있다. 제2보호층(230) 중 제2편광소자(PLh) 상에 위치하는 부분은 제2베이스부(210)의 일면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베이스부(210), 제2선형 패턴(221) 및 제2보호층(230)에 의해 제2갭(223)에는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갭(223)의 내부는 진공 상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보호층(230)은 제2편광소자(PLh)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2선형 패턴(221) 중 제2편광소자(PLh)의 제1가장자리(E1h)에 위치하는 제2선형 패턴의 측면(2211)은 제2보호층(230)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선형 패턴(221) 중 제2편광소자(PLh)의 제2가장자리(E2h)에 위치하는 제2선형 패턴의 측면(2212)도 제2보호층(230)과 접촉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복수의 제2선형 패턴(221) 중 제2편광소자(PLh)의 제3가장자리(E3h)에 위치하는 제2선형 패턴의 측면(2213) 및 제2편광소자(PLh)의 제4가장자리(E4h)에 위치하는 제2선형 패턴의 측면(2214)도 제2보호층(230)과 접촉할 수 있다.
제2보호층(230)에는 실영역(SA) 내에 위치하고 제2편광소자(PLh)의 제2갭(223)을 노출하는 개구(OP3, OP4)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보호층(230)에는 실영역(SA) 내에 위치하고 제2편광소자(PLh)의 제1가장자리(E1h)와 인접한 제3개구(OP3) 및 실영역(SA) 내에 위치하고 제2편광소자(PLh)의 제2가장자리(E2h)와 인접한 제4개구(OP2)가 형성될 수 있다.
제3개구(OP3)는 제2선형 패턴(22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예컨대 제1방향(D1)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평면 시점에서 바라볼 때 제2편광소자(PLh)의 제2갭(223) 각각과 중첩할 수 있다. 제4개구(OP4)도 제3개구(OP3)와 유사하게 제1방향(D1)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갭(223) 각각과 중첩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3개구(OP3)와 제4개구(OP4)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실런트(400)는 제1편광소자(PL) 및 제2편광소자(PLh)와 중첩할 수 있다. 또한 평면 시점에서 제1보호층(130)의 개구(OP1, OP2)는 실런트(400)와 완전히 중첩할 수 있으며, 실런트(400)는 제1보호층(130)과 접촉하여 제1보호층(130)의 개구(OP1, OP2)를 밀봉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편광소자(PL)의 개구(OP1, OP2)는 실런트(400)에 의해 막힐 수 있다. 유사하게 평면 시점에서 제2보호층(230)의 개구(OP3, OP4)는 실런트(400)와 완전히 중첩할 수 있으며, 실런트(400)는 제2보호층(230)과 접촉하여 제2보호층(230)의 개구(OP3, OP4)를 밀봉할 수 있다. 즉, 제2보호층(230)의 개구(OP3, OP4)는 제1보호층(130)의 개구(OP1, OP2)와 마찬가지로 실런트(400)에 의해 막힐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런트(400)의 일부는 제2보호층(230)의 개구(OP3, OP4)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보호층(230)의 개구(OP3, OP4)를 통해 제2갭(223)의 내부에서 제2베이스부(210)의 일면 및 제2선형 패턴(221)과 접촉할 수 있다.
상술한 표시 장치(1a)는 내부에 제1편광소자(PL) 및 제2편광소자(PLh)를 구비함에 따라, 앞서 설명한 표시 장치(도 1 내지 6의 1)뿐만 아니라 표시 장치(1a)의 두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한편,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제1표시기판(100)이 제1편광소자(PL)와 제1보호층(130)을 포함하지 않고 제2표시기판(200a)이 제2편광소자(PLh)와 제2보호층(23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8은 도 11에 도시된 구조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2보호층의 개구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제2보호층의 제3개구(OP3a)는 도 11에 도시된 제3개구(도 22의 OP3)와는 달리, 제2선형 패턴(22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예시적으로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서브개구(OP31, OP32, OP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제2보호층의 제4개구(OP4a)는 도 11에 도시된 제4개구(도 11의 OP4)와는 달리,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서브개구(OP41, OP42, OP43)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서브개구(OP41, OP42, OP43)는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제3개구(OP3a) 및 제4개구(OP4a) 각각이 3개의 서브 개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서브 개구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서 제1편광소자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제1편광소자의 사시도, 도 22는 도 19의 Y1-Y1'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23은 도 19의 Y2-Y2'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24는 도 19의 Y3-Y3'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b)는, 제1표시기판(100a), 제1표시기판(100a)과 대향 배치된 제2표시기판(200), 제1표시기판(100a)과 제2표시기판(20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300) 및 제1표시기판(100a)과 제2표시기판(200) 사이에 배치되고 실영역(SA) 내에 위치하는 실런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b)는 제1편광소자(PLa)의 가장자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하는 점, 제1보호층(130)에 별도의 개구가 형성되지 않은 점에서 도 1 내지 도 6의 설명에서 상술한 표시 장치(도 1 내지 6의 1)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제1베이스부(110) 상에는 제1편광소자(PLa)가 위치할 수 있다. 제1편광소자(PL)는 표시영역(DA), 실영역(SA) 뿐만 아니라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편광소자(PLa)는 제1방향(D1)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선형 패턴(121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제1선형 패턴(121a)은 제1갭(123a)을 사이에 두고 제1방향(D1)과 교차하는 제2방향(D2)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갭(123a) 내에는 공기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제1편광소자(PLa)는 제1 선형 패턴(121a)의 연장 방향인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가장자리(E1a) 및 제2가장자리(E2a)와, 제1 선형 패턴(121a)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방향(D2)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3가장자리(E3a) 및 제4가장자리(E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편광소자(PLa)의 제1가장자리(E1a)와 제2가장자리(E2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편광소자(PLa)의 제1가장자리(E1a)와 제2가장자리(E2a)는 모두 주변영역(PHA)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편광소자(PLa)의 제1가장자리(E1a)와 제2가장자리(E2a)가 모두 주변영역(PHA)내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제1편광소자(PLa) 상에 위치하는 제1보호층(130)은 제1편광소자(PLa)를 부분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선형 패턴(121a) 중 제1편광소자(PLa)의 제1가장자리(E1a)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1211a)은 제1보호층(130)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선형 패턴(121a) 중 제1편광소자(PLa)의 제2가장자리(E2a)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1212a)도 제1보호층(130)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보호층(130)은 제1방향(D1)을 따라 제1편광소자(PLa)를 완전히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가장자리(E1a)에서 제1갭(123a)의 일단부(1231a)는 개방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가장자리(E2a)에서 제1갭(123a)의 타단부(1232a)는 개방될 수 있다. 또는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제1편광소자(PLa)의 제1가장자리(E1a)와 제2가장자리(E2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만이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1갭(123a)의 일단부(1231a)와 제1갭(123a)의 타단부(1232a) 중 어느 하나만이 개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편광소자(PLa)의 제3가장자리(E3a)와 제4가장자리(E4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표시영역(DA) 이외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편광소자(PLa)의 제3가장자리(E3a)와 제4가장자리(E4a)가 모두 실영역(SA)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선형 패턴(121a) 중 제1편광소자(PLa)의 제3가장자리(E3a)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1213a) 및 제1편광소자(PLa)의 제4가장자리(E4a)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1214a)은 제1보호층(130)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제1보호층(130)은 제2방향(D2)을 따라 제1편광소자(PLa)를 완전히 커버할 수도 있으며, 제1방향(D1)을 따라 제1편광소자(PLa)를 완전히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외 제1편광소자(PLa)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6의 설명에서 상술한 제1편광소자(도 1 내지 6의 PL)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생략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표시기판(100a)과 제2표시기판(200)은 합착 공정 중에 고온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표시기판(100a)과 제2표시기판(200)의 합착 공정 중에, 제1갭(123a) 내에 공기, 제조 과정에서 사용된 가스 등의 기체가 갇혀있는 경우, 제1갭(123a) 내의 기체로 인해 아웃개싱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b)의 경우, 제1갭(123a)의 일단부(1231a)와 제1갭(123a)의 타단부(1232a)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된 바, 제1갭(123a) 내부의 기체는 갇힌 상태에 있지 않게 되며, 제1갭(123a)의 일단부(1231a) 또는 타단부(1232a)를 통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갭(123a) 내부의 기체로 인해 아웃개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뢰도가 향상된 표시 장치(1b)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19의 Y1-Y1'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19의 Y2-Y2'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19의 Y3-Y3'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c)는 보조실링부(50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도 19 내지 도 24의 설명에서 상술한 표시 장치(도 19 내지 도 24의 1b)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보조실링부(500)는 표시 장치(1c)의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보조실링부(500)는 제1가장자리(E1a)에서 제1갭(123a)의 일단부(1231a)와 제2가장자리(E2a)에서 제1갭(123a)의 타단부(1232a)를 밀봉할 수 있다. 또한 보조실링부(500)는 제1가장자리(E1a)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1211a) 및 제2가장자리(E2a)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1212a)을 커버할 수도 있다.
제1편광소자(PLa)는 금속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편광소자(PLa)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 부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c)는 제조 과정에서 아웃개싱 발생을 방지하여 제조 과정에서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 및 보조실링부(500)를 더 포함함으로써 제1편광소자(PLa) 중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커버하여 제1편광소자(PLa)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 이에 따라 표시 장치(1c)의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서 제1편광소자와 제1보호층의 개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30은 도 28의 Y1a-Y1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1은 도 28의 Y2a-Y2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2는 도 28의 Y3a-Y3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8 내지 도 3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d)는 제1표시기판(100b), 제1표시기판(100b)과 대향 배치된 제2표시기판(200), 제1표시기판(100b)과 제2표시기판(20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300) 및 제1표시기판(100b)과 제2표시기판(200) 사이에 배치되고 실영역(SA) 내에 위치하는 실런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d)는 제1표시기판(100b)의 제1보호층(130)에 개구(OP1b, OP2b)가 형성된 점에서 도 19 내지 도 24의 설명에서 상술한 표시 장치(도 19 내지 도 24의 1b)와 가장 큰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이하 제1표시기판(100b)에 대해 설명한다.
제1베이스부(110) 상에는 제1편광소자(PLb)가 위치할 수 있다. 제1편광소자(PLb)는 표시영역(DA), 실영역(SA) 뿐만 아니라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편광소자(PLb)는 제1방향(D1)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선형 패턴(121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제1선형 패턴(121b)은 제1갭(123b)을 사이에 두고 제1방향(D1)과 교차하는 제2방향(D2)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갭(123b) 내에는 공기 등의 기체가 존재할 수 있다.
제1편광소자(PLb)는 제1 선형 패턴(121b)의 연장 방향인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가장자리(E1b) 및 제2가장자리(E2b)와, 제1 선형 패턴(121b)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방향(D2)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3가장자리(E3b) 및 제4가장자리(E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편광소자(PLb)의 제1가장자리(E1b) 및 제2가장자리(E2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편광소자(PLb)의 제1가장자리(E1b)와 제2가장자리(E2b)가 모두 주변영역(PHA)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제1베이스부(110) 및 제1편광소자(PLb) 상에는 제1보호층(130)이 위치할 수 있다.
제1보호층(130)은 제1편광소자(PLb)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선형 패턴(121b) 중 제1편광소자(PLb)의 제1가장자리(E1b)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1211b)은 제1보호층(130)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선형 패턴(121b) 중 제1편광소자(PLb)의 제2가장자리(E2b)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1212b)도 제1보호층(130)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선형 패턴(121b) 중 제1편광소자(PLb)의 제3가장자리(E3b)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1213b) 및 제1편광소자(PLb)의 제4가장자리(E4b)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1214b)은 제1보호층(130)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제1보호층(130)은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을 따라 제1편광소자(PLb)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제1보호층(130)에는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하고 제1편광소자(PLb)의 제1갭(123b)을 노출하는 개구(OP1b, OP2b)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보호층(130)에는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하고 제1편광소자(PLb)의 제1가장자리(E1b)와 인접하여 형성된 제1개구(OP1b) 및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하고 제1편광소자(PLb)의 제2가장자리(E2b)와 인접하여 제2개구(OP2b)는 제1편광소자(PL)의 제2가장자리(E2b)와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보호층(130)의 개구(OP1b, OP2b)는 실영역(SA) 내에는 위치하지 않고 실런트(400)와는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평면 시점에서 제1보호층(130)의 제1개구(OP1)는 제1편광소자(PLb)의 제1가장자리(E1b)와 실영역(SA)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보호층(130)의 제2개구(OP2)는 제1편광소자(PLb)의 제2가장자리(E2b)와 실영역(S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개구(OP1b, OP2b)를 통해 제1선형 패턴(121b)의 상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1베이스부(110)의 상면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1개구(OP1b) 및 제2개구(OP2b)는 제2방향(D2)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갭(123b) 각각과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개구(OP1b) 및 제2개구(OP2b)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d)의 경우 제1표시기판(100b)과 제2표시기판(200)의 합착 과정에서 제1갭(123b) 내부의 기체는 제1개구(OP1b) 또는 제2개구(OP2b)를 통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갭(123b) 내부의 기체는 제1편광소자(PLb) 내에 갇히지 않는다. 따라서 제1표시기판(100b)과 제2표시기판(200)의 합착 과정에서 제1갭(123b) 내부의 기체로 인해 아웃개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뢰도가 향상된 표시 장치(1d)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7의 Y1a-Y1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7의 Y2a-Y2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7의 Y3a-Y3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3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e)는 보조실링부(50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도 28 내지 도 32의 설명에서 상술한 표시 장치(도 28 내지 도 32의 1d)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보조실링부(500)는 표시 장치(1e)의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보조실링부(500)는 제1표시기판(100b)과 제2표시기판(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보호층(130)의 개구(OP1b, OP2b)를 밀봉할 수 있다. 보조실링부(500)는 부분적으로 개구(OP1b, OP2b) 내에 위치하여 제1베이스부(110) 및 제1선형 패턴(121b)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편광소자(PLb)의 부식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이점, 이에 따라 표시 장치(1e)의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 도 37는 도 36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서 제2편광소자와 제2보호층의 개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38은 도 37에 도시된 제2편광소자의 사시도, 도 39는 도 36의 Y1b-Y1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0은 도 36의 Y2b-Y2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1은 도 36의 Y3b-Y3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f)는 제1표시기판(100a), 제1표시기판(100a)과 대향 배치된 제2표시기판(200b), 제1표시기판(100a)과 제2표시기판(200b)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300) 및 제1표시기판(100a)과 제2표시기판(200b) 사이에 배치되고 실영역(SA) 내에 위치하는 실런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f)는 제2표시기판(200b)이 제2편광소자(PLha) 및 제1보호층(230)을 포함하는 점에서 도 19 내지 도 24의 설명에서 상술한 표시 장치(도 19 내지 도 24의 1b)와 가장 큰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이하 제2표시기판(200b)에 대해 설명한다.
제1표시기판(100a)을 향하는 제2베이스부(210)의 일면 상에는 제2편광소자(PLha)가 위치할 수 있다. 제2편광소자(PLha)는 표시영역(DA), 실영역(SA) 및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편광소자(PLha)는 제2방향(D2)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제2선형 패턴(221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제2선형 패턴(221a)은 제2갭(223a)을 사이에 두고 제1방향(D1)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편광소자(PLha)는 제2 선형 패턴(221a)의 연장 방향인 제2방향(D2)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가장자리(E1ha) 및 제2가장자리(E2ha)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3가장자리(E3ha) 및 제4가장자리(E4h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갭(223a) 내부에는 공기가 존재할 수 있다.
제2편광소자(PLha)의 제1가장자리(E1ha) 및 제2가장자리(E2h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편광소자(PLha)의 제1가장자리(E1ha)와 제2가장자리(E2ha)가 모두 주변영역(PHA)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제2베이스부(210)의 일면 및 제2편광소자(PLha) 상에는 제2보호층(230)이 위치할 수 있다.
제2보호층(230)은 제2편광소자(PLha)를 부분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2선형 패턴(221a) 중 제2편광소자(PLha)의 제1가장자리(E1ha)에 위치하는 제2선형 패턴의 측면(2211a) 및 복수의 제2선형 패턴(221a) 중 제2편광소자(PLha)의 제2가장자리(E2ha)에 위치하는 제2선형 패턴의 측면(2212a)은 제2보호층(230)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가장자리(E1ha)에서 제2갭(223a)의 일단부(2231a)는 개방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가장자리(E2ha)에서 제2갭(223a)의 타단부(2232a)는 개방될 수 있다. 또는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제2갭(223a)의 일단부(2231a)와 제2갭(223a)의 타단부(2232a) 중 어느 하나만이 개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편광소자(PLha)의 제3가장자리(E3ha)와 제4가장자리(E4h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표시영역(DA) 이외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편광소자(PLha)의 제3가장자리(E3ha)와 제4가장자리(E4ha)가 모두 실영역(SA) 내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2선형 패턴(221a) 중 제2편광소자(PLha)의 제3가장자리(E3ha)에 위치하는 제2선형 패턴의 측면(2213a) 및 제2편광소자(PLha)의 제4가장자리(E4ha)에 위치하는 제2선형 패턴의 측면(2214a)은 제2보호층(230)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제2보호층(230)은 제1방향(D1)을 따라 제2편광소자(PLha)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으며, 제2방향(D2)을 따라 제2편광소자(PLha)를 완전히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f)의 경우, 제1갭(123a)의 일단부(1231a) 및 타단부(1232a)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1보호층(130)의 외부로 개방되며, 또한 제2갭(223a)의 일단부(2231a) 및 타단부(2232a)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2보호층(230)의 외부로 개방된다. 이에 따라 제1갭(123a) 및 제2갭(223a) 내부의 기체는 갇힌 상태에 있지 않게 되는 바 아웃개싱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뢰도가 향상된 표시 장치(1f)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제1표시기판(100a)이 제1편광소자(PLa)와 제1보호층(130)을 포함하지 않고 제2표시기판(200b)이 제2편광소자(PLha)와 제2보호층(23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36의 Y1b-Y1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36의 Y2b-Y2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36의 Y3b-Y3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2 내지 도 4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g)는 보조실링부(50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도 36 내지 도 41의 설명에서 상술한 표시 장치(도 36 내지 도 41의 1f)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보조실링부(500)는 표시 장치(1g)의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보조실링부(500)는 제1표시기판(100a)과 제2표시기판(200b) 가장자리 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갭(121a)의 일단부(1211a) 및 타단부(1212a)와 제2갭(221a)의 일단부(2211a) 및 타단부(2212a)를 밀봉할 수 있다. 보조실링부(500)는 부분적으로 제1갭(121a) 내에 위치하여 제1베이스부(110) 및 제1선형 패턴(121a)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보조실링부(500)는 부분적으로 제2갭(221a) 내에 위치하여 제2베이스부(210) 및 제2선형 패턴(221a)과 접촉할 수 있다.
도 4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 도 46은 도 45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서 제2편광소자와 제2보호층의 개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47는 도 45의 Y1c-Y1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8은 도 45의 Y2c-Y2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9는 도 45의 Y3c-Y3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5 내지 도 4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h)는 제1표시기판(100b), 제1표시기판(100b)과 대향 배치된 제2표시기판(200c), 제1표시기판(100b)과 제2표시기판(200c)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300) 및 제1표시기판(100b)과 제2표시기판(200c) 사이에 배치되고 실영역(SA) 내에 위치하는 실런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h)는 제2표시기판(200c)이 제2편광소자(PLhb) 및 제2보호층(230)을 포함하는 점, 제2보호층(230)에 개구(OP3b, OP4b)가 형성된 점에서 도 28 내지 도 32의 설명에서 상술한 표시 장치(도 28 내지 도 32의 1d)와 가장 큰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이하 제2표시기판(200c)에 대해 설명한다.
제1표시기판(100b)을 향하는 제2베이스부(210)의 일면 상에는 제2편광소자(PLhb)가 위치할 수 있다. 제2편광소자(PLhb)는 표시영역(DA), 실영역(SA) 뿐만 아니라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편광소자(PLhb)는 제2방향(D2)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선형 패턴(221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제2선형 패턴(221b)은 제2갭(223b)을 사이에 두고 제2방향(D1)과 교차하는 제1방향(D1)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갭(223b) 내에는 공기 등의 기체가 존재할 수 있다.
제2편광소자(PLhb)는 제2방향(D2)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가장자리(E1hb) 및 제2가장자리(E2hb)와,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3가장자리(E3hb) 및 제4가장자리(E4h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편광소자(PLhb)의 제1가장자리(E1hb) 및 제2가장자리(E2h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편광소자(PLhb)의 제1가장자리(E1hb)와 제2가장자리(E2hb)가 모두 주변영역(PHA)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제2베이스부(210)의 일면 및 제2편광소자(PLhb) 상에는 제2보호층(230)이 위치할 수 있다.
제2보호층(230)은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을 따라 제2편광소자(PLhb)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2선형 패턴(221b) 중 제2편광소자(PLhb)의 제1가장자리(E1hb)에 위치하는 제2선형 패턴의 측면(2211b) 및 복수의 제2선형 패턴(221b) 중 제2편광소자(PLhb)의 제2가장자리(E2hb)에 위치하는 제2선형 패턴의 측면(2212b)은 제2보호층(230)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선형 패턴(221b) 중 제2편광소자(PLhb)의 제3가장자리(E3hb)에 위치하는 제2선형 패턴의 측면(2213b) 및 제4가장자리(E4hb)에 위치하는 제2선형 패턴의 측면(2214b)은 제2보호층(230)과 접촉할 수 있다.
제2보호층(230)에는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하고 제2편광소자(PLhb)의 제2갭(223b)을 노출하는 개구(OP3b, OP4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보호층(230)의 개구(OP3b, OP4b)는 실영역(SA) 내에는 위치하지 않고 실런트(400)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제2보호층(230)의 개구(OP3b, OP4b)를 제3개구(OP3b) 및 제4개구(OP4b)라 지칭하면, 평면 시점에서 제2보호층(230)의 제3개구(OP3b)는 제2편광소자(PLhb)의 제1가장자리(E1hb)와 실영역(SA)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보호층(230)의 제2개구(OP2)는 제2편광소자(PLhb)의 제2가장자리(E2hb)와 실영역(S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보호층(230)의 개구(OP3b, OP4b)는 각각 제1방향(D1)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갭(223b) 각각과 중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h)의 경우 제1표시기판(100b)과 제2표시기판(200c)의 합착 과정에서 제1갭(123b) 내부의 공기는 제1보호층(130)의 개구(OP1b, OP2b)를 통해 외부로 이동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갭(223b) 내부의 공기는 제2보호층(230)의 개구(OP3b, OP4b)를 통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표시기판(100b)과 제2표시기판(200c)의 합착 과정에서 아웃개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 도 51은 도 50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서 제1편광소자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52는 도 50의 Y1d-Y1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3은 도 50의 Y2d-Y2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4은 도 50의 Y3d-Y3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0 내지 도 5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i)는 제1표시기판(100c), 제1표시기판(100c)과 대향 배치된 제2표시기판(200), 제1표시기판(100c)과 제2표시기판(20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300) 및 제1표시기판(100c)과 제2표시기판(200) 사이에 배치되고 실영역(SA) 내에 위치하는 실런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i)는 제1표시기판(100c)의 제1보호층(130)에 개구가 형성되지 않은 점에서 도 28 내지 도 32의 설명에서 상술한 표시 장치(도 28 내지 도 32의 1d)와 가장 큰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이하 제1표시기판(100c)에 대해 설명한다.
제1베이스부(110) 상에는 제1편광소자(PLc)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제1편광소자(PLc)는 제1방향(D1)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선형 패턴(121c)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제1선형 패턴(121c)은 제1갭(123c)을 사이에 두고 제1방향(D1)과 교차하는 제2방향(D2)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갭(123c) 내에는 공기 등의 기체가 존재할 수 있다.
제1편광소자(PLc)는 제1 선형 패턴(121c)의 연장 방향인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가장자리(E1c) 및 제2가장자리(E2c)와, 제1 선형 패턴(121c)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방향(D2)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3가장자리(E3c) 및 제4가장자리(E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이스부(110) 및 제1편광소자(PLc) 상에는 제1보호층(130)이 위치할 수 있다.
제1보호층(130)은 제1편광소자(PLc)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선형 패턴(121c) 중 제1편광소자(PLc)의 제1가장자리(E1c)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1211c)은 제1보호층(130)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선형 패턴(121c) 중 제1편광소자(PLc)의 제2가장자리(E2c)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1212c)도 제1보호층(130)과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편광소자(PLc)의 제1가장자리(E1c)에 위치하는 제1갭의 일단(1231c)은 제1보호층(130)에 의해 밀봉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1편광소자(PLc)의 제2가장자리(E2c)에 위치하는 제1갭의 타단(1232c)은 제1보호층(130)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선형 패턴(121c) 중 제1편광소자(PLc)의 제3가장자리(E3c)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1213c) 및 제1편광소자(PLc)의 제4가장자리(E4c)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1214c)은 제1보호층(130)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제1보호층(130)은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을 따라 제1편광소자(PLc)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제1편광소자(PLc)의 제1가장자리(E1c), 제2가장자리(E2c), 제3가장자리(E3c) 및 제4가장자리(E4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편광소자(PLc)는 나노 임프린트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베이스부(110) 상에 금속층을 형성하고, 금속층 상에 레진을 도포하고 임프린트 몰드로 상기 레진에 패턴을 전사하고, 패턴이 전사된 레진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금속층을 식각하는 과정을 통해 제1편광소자(PLb)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나노 임프린트 공정 진행시 패턴 전사 과정에서 레진이 가장자리 측으로 밀려나거나 균일한 압력으로 패턴이 전사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제1편광소자(PLc)의 가장자리 측에는 제1선형 패턴(121c)이 불균일하게 형성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제1편광소자(PLc)를 제1보호층(130)으로 커버하면 제1편광소자(PLc)의 가장자리 측에서 제1보호층(130) 외부로 기체가 유출되는 아웃개싱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즉, 아웃개싱 발생 가능성은 제1편광소자(PLc)의 가장자리 측이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대적으로 아웃개싱 발생 가능성이 높은 제1편광소자(PLc)의 가장자리를 표시영역(DA)이 아닌 주변영역(PHA)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편광소자(PLc)의 가장자리 측에서 아웃개싱이 발생하더라도 표시영역(DA)의 액정층(300)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표시 장치(1i)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보호층(130)이 제1편광소자(PLc)를 완전히 커버함에 따라 제1편광소자(PLc)에 부식이 발생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편광소자(PLc)의 제1가장자리(E1c), 제2가장자리(E2c), 제3가장자리(E3c) 및 제4가장자리(E4c)가 모두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평면 시점에서 제1편광소자(PLc)의 제1가장자리(E1c)와 실영역(SA) 또는 실런트(400) 간의 이격 간격(L1)은 5마이크로미터 이상일 수 있다. 유사하게 제2가장자리(E2c)와 실영역(SA) 간의 이격 간격(L2), 제3가장자리(E3c)와 실영역(SA) 간의 이격 간격(L3), 제4가장자리(E4c)와 실영역(SA) 간의 이격 간격(L4)은 5마이크로미터 이상일 수 있다. 제1편광소자(PLc)의 가장자리들과 실영역(SA)간의 이격 간격을 5마이크로미터 이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제1편광소자(PLc)의 가장자리에서 아웃개싱이 발생하더라도, 아웃개싱된 기체가 액정층(30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 도 56은 도 55에 도시된 표시 장치에서 제2편광소자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57은 도 55의 Y1e-Y1e'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8은 도 55의 Y2e-Y2e'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9는 도 55의 Y3e-Y3e'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0은 도 55의 Y4e-Y4e'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5 내지 도 6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j)는 제1표시기판(100c), 제1표시기판(100c)과 대향 배치된 제2표시기판(200d), 제1표시기판(100c)과 제2표시기판(200d)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300) 및 제1표시기판(100c)과 제2표시기판(200d) 사이에 배치되고 실영역(SA) 내에 위치하는 실런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j)는 제2표시기판(100d)이 제2편광소자(PLhc) 및 제2보호층(230)을 포함하는 점에서 도 50 내지 도 54의 설명에서 상술한 표시 장치(도 50 내지 도 54의 1i)와 가장 큰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이하 제2표시기판(200d)에 대해 설명한다.
제1표시기판(100c)을 향하는 제2베이스부(210)의 일면 상에는 제2편광소자(PLhc)가 위치할 수 있다.
제2편광소자(PLhc)는 제2방향(D2)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선형 패턴(221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제2선형 패턴(221c)은 제2갭(223c)을 사이에 두고 제2방향(D1)과 교차하는 제1방향(D1)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갭(223c) 내에는 공기 등의 기체가 존재할 수 있다.
제2편광소자(PLhc)는 제2방향(D2)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가장자리(E1hc) 및 제2가장자리(E2hc)와,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3가장자리(E3hc) 및 제4가장자리(E4h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베이스부(210)의 일면 및 제2편광소자(PLhc) 상에는 제2보호층(230)이 위치할 수 있다.
제2보호층(230)은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을 따라 제2편광소자(PLhc)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2선형 패턴(221c) 중 제2편광소자(PLhc)의 제1가장자리(E1hc)에 위치하는 제2선형 패턴의 측면(2211c) 및 복수의 제2선형 패턴(221c) 중 제2편광소자(PLhc)의 제2가장자리(E2hc)에 위치하는 제2선형 패턴의 측면(2212c)은 제2보호층(230)과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편광소자(PLhc)의 제1가장자리(E1hc)에 위치하는 제2갭의 일단(2231c)은 제2보호층(230)에 의해 밀봉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편광소자(PLhc)의 제2가장자리(E2hc)에 위치하는 제2갭의 타단(2232c)은 제2보호층(130)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선형 패턴(221c) 중 제2편광소자(PLhc)의 제3가장자리(E3hc)에 위치하는 제2선형 패턴의 측면(2213c) 및 제4가장자리(E4hc)에 위치하는 제2선형 패턴의 측면(2214c)은 제2보호층(230)과 접촉할 수 있다.
제1편광소자(PLc)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편광소자(PLhc)도 가장자리 측에서 아웃개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의 경우 아웃개싱 발생 가능성이 높은 제2편광소자(PLhc)의 가장자리를 표시영역(DA)이 아닌 주변영역(PHA)에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아웃개싱이 발생하여 제2보호층(230) 외부로 제2갭(223c) 내부의 기체가 유출되더라도 표시영역(DA)의 액정층(300)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2보호층(230)이 제2편광소자(PLhc)를 완전히 커버함에 따라 제2편광소자(PLhc)에 부식이 발생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편광소자(PLhc)의 제1가장자리(E1hc), 제2가장자리(E2hc), 제3가장자리(E3hc) 및 제4가장자리(E4hc)가 모두 주변영역(PHA) 내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평면 시점에서 제2편광소자(PLhc)의 제1가장자리(E1hc)와 실영역(SA) 또는 실런트(400) 간의 이격 간격(L1h)은 5마이크로미터 이상일 수 있다. 유사하게 제2가장자리(E2hc)와 실영역(SA) 간의 이격 간격(L2h), 제3가장자리(E3hc)와 실영역(SA) 간의 이격 간격(L3h), 제4가장자리(E4hc)와 실영역(SA) 간의 이격 간격(L4h)은 5마이크로미터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웃개싱된 기체가 액정층(30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 이외에도 표시 장치는 앞서 설명한 제1표시기판들(100, 100a, 100b, 100c) 중 어느 하나와 제2표시기판들(200, 200a, 200b, 200c, 200d)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실시예들 이외에도 표시 장치는 별도의 편광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제1표시기판과, 앞서 설명한 제2표시기판들(200, 200a, 200b, 200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구조 이외에도 제1표시기판과 제2표시기판의 조합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5)

  1.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실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베이스부와, 제1갭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선형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이스부 상에 위치하는 제1편광소자와, 상기 제1편광소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실영역 내에 상기 제1갭을 노출하는 제1개구가 형성된 제1보호층을 포함하는 제1표시기판;
    상기 제1표시기판과 대향 배치된 제2표시기판; 및
    상기 제1표시기판과 상기 제2표시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실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개구를 커버하는 실런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갭의 내부는 진공 상태인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는,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상기 제1선형 패턴 및 상기 제1베이스부와 접촉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서브개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소자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가장자리 및 제2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선형 패턴 중 상기 제1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과 상기 제2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은 상기 제1보호층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소자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3가장자리 및 제4가장자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선형 패턴 중 상기 제3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 및 상기 제4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은 상기 제1보호층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기판은,
    상기 표시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보호층 상에 위치하는 화소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기판은,
    제2베이스부와, 제2갭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제2선형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표시기판과 대향하는 상기 제2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제2편광소자와, 상기 제2편광소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편광소자를 커버하는 제2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보호층에는 상기 실영역 내에서 상기 제2갭을 노출하는 제2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실런트는 상기 제2개구를 커버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서브개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표시영역, 상기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실영역 및 상기 실영역을 둘러싸는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베이스부와, 제1갭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선형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이스부 상에 위치하는 제1편광소자와, 상기 제1편광소자 상에 위치하는 제1보호층을 포함하는 제1표시기판;
    상기 제1표시기판과 대향 배치된 제2표시기판; 및
    상기 제1표시기판과 상기 제2표시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실영역 내에만 위치하는 실런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편광소자의 가장자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주변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보호층에는 상기 주변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갭을 노출하는 제1개구가 형성된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갭의 내부에는 공기가 있는 표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소자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가장자리 및 제2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장자리는 상기 주변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1선형 패턴 중 상기 제1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은 상기 제1보호층과 비접촉하고,
    상기 제1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갭의 일단은 상기 제1보호층의 외측으로 개방된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장자리는 상기 주변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1선형 패턴 중 상기 제2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은 상기 제1보호층과 비접촉하고,
    상기 제2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갭의 타단은 상기 제1보호층의 외측으로 개방된 표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소자는 상기 주변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3가장자리 및 제4가장자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선형 패턴 중 상기 제3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 및 상기 제4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은 상기 제1보호층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갭의 일단을 밀봉하는 보조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삭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표시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소자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가장자리 및 제2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장자리는 상기 주변영역 내에 위치하고,
    평면 시점에서 상기 제1개구는 상기 제1가장자리와 상기 실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선형 패턴 중 상기 제1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은 상기 제1보호층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소자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1가장자리 및 제2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장자리 및 상기 제2가장자리는 상기 주변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1선형 패턴 중 상기 제1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 및 상기 제2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은 상기 제1보호층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소자는 상기 주변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3가장자리 및 제4가장자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선형 패턴 중 상기 제3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 및 상기 제4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선형 패턴의 측면은 상기 제1보호층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2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기판은,
    상기 표시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보호층 상에 위치하는 화소부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기판은,
    제2베이스부와,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2갭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2선형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표시기판과 대향하는 상기 제2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제2편광소자와, 상기 제2편광소자 상에 위치하는 제2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편광소자의 가장자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주변영역 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KR1020160104787A 2016-08-18 2016-08-18 표시 장치 KR102581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787A KR102581143B1 (ko) 2016-08-18 2016-08-18 표시 장치
US15/659,983 US10180593B2 (en) 2016-08-18 2017-07-26 Display device
CN201710694963.XA CN107765470B (zh) 2016-08-18 2017-08-15 显示装置
EP17186677.5A EP3285111A1 (en) 2016-08-18 2017-08-17 Display device
TW106128168A TWI755420B (zh) 2016-08-18 2017-08-18 顯示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787A KR102581143B1 (ko) 2016-08-18 2016-08-18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274A KR20180021274A (ko) 2018-03-02
KR102581143B1 true KR102581143B1 (ko) 2023-09-21

Family

ID=59649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787A KR102581143B1 (ko) 2016-08-18 2016-08-1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80593B2 (ko)
EP (1) EP3285111A1 (ko)
KR (1) KR102581143B1 (ko)
CN (1) CN107765470B (ko)
TW (1) TWI7554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27377A1 (en) * 2018-01-22 2019-07-25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1231A (ja) * 2009-10-08 2011-04-21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用基板および液晶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装置、電子機器
JP2013200339A (ja) * 2012-03-23 2013-10-03 Seiko Epson Corp 偏光素子、および偏光素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8476A1 (ja) * 2005-03-18 2006-09-21 Sharp Kabushiki Kaisha 液晶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21557B2 (ja) * 2006-07-06 2009-08-26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5008986B2 (ja) * 2007-01-10 2012-08-22 ソニー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用パネル
JP4380714B2 (ja) * 2007-03-07 2009-12-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偏光素子の製造方法
JP5045327B2 (ja) 2007-09-18 2012-10-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偏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液層装置、電子機器
KR20100035783A (ko) 2008-09-29 201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기, 이의 제조 방법, 이 편광기를 갖는 표시기판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
JP5521305B2 (ja) * 2008-10-08 2014-06-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装置
KR100975876B1 (ko) * 2008-11-11 2010-08-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JP2010197448A (ja) * 2009-02-23 2010-09-09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KR20120040870A (ko) * 2010-10-20 2012-04-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TWI483035B (zh) * 2012-10-01 2015-05-01 Au Optronics Corp 顯示面板
KR20140075228A (ko) * 2012-12-11 2014-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56902B1 (ko) 2013-05-29 2019-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패널 및 액정 표시장치
KR102069179B1 (ko) * 2013-06-26 2020-0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소자,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79163B1 (ko) * 2013-10-02 2020-0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9470925B2 (en) 2014-09-30 2016-10-18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250491B1 (ko) * 2014-11-11 2021-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편광 소자의 제조 방법
KR20160060860A (ko) * 2014-11-20 2016-05-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5200B1 (ko) * 2014-12-05 2021-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503152A (zh) * 2014-12-31 2015-04-0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面板和用于固化框胶的方法
US9897854B2 (en) * 2015-01-05 2018-02-20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improved color reproduction
KR102422109B1 (ko) * 2015-01-08 2022-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332948B1 (ko) * 2015-01-13 2021-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389618B1 (ko) * 2015-03-10 2022-04-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CN104849906B (zh) * 2015-06-11 2018-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偏光片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05785665A (zh) * 2016-05-09 2016-07-2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Lcd显示器
CN105807493A (zh) * 2016-05-25 2016-07-27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液晶显示屏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1231A (ja) * 2009-10-08 2011-04-21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用基板および液晶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装置、電子機器
JP2013200339A (ja) * 2012-03-23 2013-10-03 Seiko Epson Corp 偏光素子、および偏光素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274A (ko) 2018-03-02
CN107765470B (zh) 2022-03-29
CN107765470A (zh) 2018-03-06
US10180593B2 (en) 2019-01-15
TW201809831A (zh) 2018-03-16
US20180052361A1 (en) 2018-02-22
EP3285111A1 (en) 2018-02-21
TWI755420B (zh) 202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179B1 (ko) 편광 소자,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47266B1 (ko) 액정 표시장치
JP5724559B2 (ja) 液晶表示装置
JP5436193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54979B1 (ko) 컬러필터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컬러필터 기판 제조 방법
WO2014203418A1 (ja) 表示装置用基板および表示装置
JP5302345B2 (ja) 表示装置
JP6779709B2 (ja) 表示装置
KR102636877B1 (ko) 편광소자, 편광소자 제조방법 및 표시 장치
JP5013369B2 (ja) 液晶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102633265B1 (ko) 표시 장치
KR102526936B1 (ko)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용 모기판
US20180180922A1 (en) Display device
JP2017191276A (ja) 液晶表示装置
JP5109520B2 (ja) 光学素子、液晶装置、液晶装置用マザー基板、及び電子機器、並びにワイヤグリッド偏光素子
KR102581143B1 (ko) 표시 장치
TWI665494B (zh) Display device
WO2012098975A1 (ja) 表示パネ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KR101997090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
KR102113504B1 (ko) 액정표시패널, 그 제조방법 및 액정표시장치
JP5544645B2 (ja) 液晶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2009036979A (ja) 液晶表示装置
JP5615962B2 (ja) 表示装置
JP2017116658A (ja) 液晶表示装置
JP4617982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