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304B1 -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9304B1 KR102589304B1 KR1020160078244A KR20160078244A KR102589304B1 KR 102589304 B1 KR102589304 B1 KR 102589304B1 KR 1020160078244 A KR1020160078244 A KR 1020160078244A KR 20160078244 A KR20160078244 A KR 20160078244A KR 102589304 B1 KR102589304 B1 KR 1025893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substrate portion
- substrate
- coupling
- seal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91—Housing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omponents
- H05K5/0095—Housing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omponents hermetically-seal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2—Screw-ring or screw-casing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89—Non-printed connector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93—Clamping a component by an element or a set of elemen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409—Screw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954—Other 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H05K2201/10977—Encapsulat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는, 제1기판부와, 상기 제1기판부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제1기판부의 일면에 배치되며, 제1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기판부와, 제2기판부의 일면에 구비되고, 제1커넥터와 맞물려 제2기판부를 제1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커넥터와, 제1기판부와 제2기판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부재 및 제1기판부와 제2기판부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제1기판부와 제2기판부 사이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커넥터 간 접속 시, 이들 사이를 실링할 수 있도록 구비된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에는 다양한 모듈들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의 모듈들이 실장되는 회로기판들이 전자 장치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은 주 회로기판과 주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브 회로기판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모듈이 실장되는 복수개의 회로기판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의 회로기판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는, 이에, 서로 다른 회로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 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 장치는 하나의 회로기판에 구비되는 커넥터('암형 커넥터' 또는 수형 커넥터'라고도 함.)와,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다른 회로기판에 구비되는 커넥터('수형 커넥터' 또는 '암형 커넥터'라고도 함.)가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는 별도로 방수나 이물질 유입을 위한 부재가 구비되지 않거나, 커넥터의 스티프너와 회로기판 사이에 스폰지를 부착하여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거나 침수를 지연시키도록 구비되기는 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에는 별도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부재가 구비되지 않거나, 스폰지와 같이 이물질 유입에 한계가 있는 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커넥터와 커넥터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거나 또는 소정 지연만 시킬 뿐 실링의 기능을 할 수 없으며, 더욱이 먼지나 수분의 유입에 따라 전기적 연결 상태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침수와 같은 조건에서 커넥터와 커넥터 사이로 수분이 유입됨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전기적으로 파손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커넥터와 커넥터 사이에 구비되는 스폰지와 같은 부재에 의해 커넥터와 커넥터 사이에 들뜸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체결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에 먼지나,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실링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전자 장치에서 침수가 발생하는 경우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 커넥터 장치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또는 방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방수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침수가 발생하는 경우 커넥터 장치로 2차 침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는, 제1기판부; 상기 제1기판부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기판부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기판부; 상기 제2기판부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맞물려 상기 제2기판부를 상기 제1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커넥터;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기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기판부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기판부 사이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기판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실장되고, 상기 제1기판부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기판부; 상기 제1기판부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2기판부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맞물려 상기 제2기판부를 상기 제1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기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부 주변을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기판부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기판부 사이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들을 사이에 실링부재 및 체결부재를 겸비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커넥터와 커넥터 사이를 실링할 수 있으며, 커넥터와 커넥터 사이의 들뜸을 방지하고, 전기적 결합의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장치에 상기의 실링 부재 및 체결부재와 더불어 커넥터 장치가 실장되는 회로기판의 주변둘레로 가이드 개구를 형성하여 전자 장치의 침수에 따라 수분이 커넥터 장치로 유입되기 전 가이드 개구로 먼저 유입되도록 하여, 전자 장치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커넥터 장치로 즉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전면 및 네 측면을 개략적인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적어도 일측면에 배치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모듈과 내부회로기판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모듈과 내부회로기판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조립 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실링부재가 제2기판부에 실장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2방향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서 실링부재의 조립 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조립 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2방향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서 실링부재의 조립 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조립 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2방향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 부재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4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4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 전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4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4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1기판부에 실링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 예의 평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에서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실링 부재의 실링면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 구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6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1기판부의 단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 구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6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8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8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실링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제1기판부 및 제2기판부의 분리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8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8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1기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8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1기판부의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9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9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실링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제1기판부 및 제2기판부의 분리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9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9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1기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9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1기판부의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0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0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1실시 예에 따른 제1기판부의 평면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1실시 예에 따른 제1기판부의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커넥터 장치의 주변부로 이물질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개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적어도 일측면에 배치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모듈과 내부회로기판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모듈과 내부회로기판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조립 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실링부재가 제2기판부에 실장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2방향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서 실링부재의 조립 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조립 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2방향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서 실링부재의 조립 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조립 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2방향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 부재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4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4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 전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4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4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1기판부에 실링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 예의 평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에서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실링 부재의 실링면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 구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6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1기판부의 단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 구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6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8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8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실링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제1기판부 및 제2기판부의 분리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8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8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1기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8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1기판부의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9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9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실링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제1기판부 및 제2기판부의 분리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9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9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1기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9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제1기판부의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0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0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1실시 예에 따른 제1기판부의 평면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1실시 예에 따른 제1기판부의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커넥터 장치의 주변부로 이물질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개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200)의 전면 및 네 측면(202c)을 개략적인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200)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200)의 사시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200)의 적어도 일측면(202c)에 배치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200)는 하우징(201), 디스플레이(210), 다양한 방식의 입력장치(203e, 203f, 203g, 203h, 203m), 채널부, 모듈, 안테나 모듈(270, 280), 적층부재부(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201)은 외부 하우징(201a, 201c)과 내부 하우징(201b)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1)은 경우에 따라 외부 하우징(201a, 201c)과 내부 하우징(201b)이 일체형으로 하나의 부재로만 구비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외부 하우징(201a, 201c)과 내부 하우징(201b)이 분리형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201c)(이하 '하우징'이라 함.)은 제1면(202a), 제2면(202b) 및 측면(202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 하우징(201b)은 외부 하우징(201c)의 내측에 실장되고,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기판이나 모듈 들을 지지하는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201a, 201c)의 제1면(202a)은 전자장치(200)에서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면(201a)이며, 제2면(202b)은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쪽인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면(201c)이며, 측면(202c)은 상기 제1면(202a) 및 제2면(202b)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른 외부 하우징(201c)의 제1면(202a) 또는 제2면(202b) 중 적어도 한 면 이상에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10)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210)는 외부 하우징(201a)의 일면, 예컨대 제1면에 배치될 수 있는데, 하우제1면 전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1면의 일부분으로만 배치될 수도 있다. , 또한, 외부 하우징(201a, 201c)에서 디스플레이가 실장된 면의 반대면에는 전자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실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201b)의 상단으로 배터리를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201c)의 제1면(202a), 제2면(202b) 또는 측면(202c)의 내부로, 구체적으로 내부 하우징(201b)의 내부로 다양한 모듈, 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203c), 스피커 장치(203l), 발광 장치(203d), 입력장치(203e, 203f, 203g, 203h, 203m) 등이 배치될 수 있고, 전자장치(200)와 외부 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고, 내부 하우징(201b)의 내부로 안테나 모듈(270, 280), 배터리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210)는 외부 하우징(201c)의 전면으로 실장될 수 있으며, 물체의 접촉이나 근접에 따른 입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사용자 환경에 따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는 윈도우 글래스를 최외측으로 하여, 터치패널 및 상기 터치패널의 일면으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등이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210)는 외부 하우징(201c)의 제1면(202a)에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외부 하우징(201c)의 제2면(202b)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와는 달리 외부 하우징(201c)의 제1면(202a) 및 제2면(202b)에 모두 구비될 수 있는 것과 같이 전자장치(200)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201a, 201c)의 제1면을 형성하거나, 제1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210)에는 터치패널, 표시부 등이 적층되는 구조로서, 손과 같이 전하를 가지는 물체나, 디지타이저 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모듈을 통해 입력과 입력에 따른 출력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210)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중에서 하나의 접촉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접촉'이란 디스플레이(210)나, 별도의 터치 방식의 입력을 구현하는 입력 장치에서, 사용자의 신체 또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모듈의 직접적인 접촉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접촉, 예를 들어 근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10)에서 검출 가능한 간격은 전자장치(2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20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20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200), 예컨대 내부 하우징(201b)의 내측에는 다양한 모듈들이 실장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210) 브라켓(230)도 실장될 수 있고, 회로기판(240)이 실장될 수 있다. 전자장치(200)의 송, 수신 등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 모듈(270, 280)이 적어도 하나 이상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스피커 장치(203l), 마이크 장치(203n), 물리적 버튼(203e, 203f, 203g, 203h), 서비스 광(203d), 이어 잭 장치(203k), 연결 장치(203j),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입력 부재(203m) 등과 같은 모듈은 하우징(201)의 내부에 실장되어 하우징(20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모듈들은 하우징(201)의 내부에 실장되며, 하우징(201)의 외측으로 노출되거나, 외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은 음향 통신을 위한 음향 장치(203b, 203n, 203l)(203b, 203n, 203l) 또는 카메라 장치(203c),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연결 장치(203j), 입력을 구현하는 버튼 장치(203e, 203f, 203g, 203h), 광을 발광하는 발광 장치(203d)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른 개구(103, 103a~103p)는 외부 하우징(201c)의 제1면(202a) 또는 제2면(202b) 또는 측면(202c) 등에 형성되어 내부 하우징(201b)의 내측이나. 내부 하우징(201b)과 외부 하우징(201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모듈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1a 내지 도 1d 함께 참조). 개구(103, 103a~103p)는 상기 모듈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외부 하우징(201c)의 제1면(202a), 제2면(202b) 또는 측면(202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구(103, 103a~103p)에는 개구(103, 103a~103p)를 커버하거나, 또는 개구(103, 103a~103p)를 통해 노출되는 모듈들을 커버하는 별도의 커버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하우징(201c)의 제1면(202a)으로 디스플레이(210)가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210)의 주변둘레로 전면 카메라 장치(203c), 서비스 광(203d), 스피커 장치(203l), 마이크 장치(203n), 메인 버튼 장치(203e) 등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외부 하우징(201c)의 제1면(202a)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210)에는 전면 카메라(카메라 장치(203c)에 해당됨)가 노출되는 부분(103, 103a~103p), 서비스 광(203d)(발광 장치(203d)에 해당됨)을 노출시킬 수 있는 부분(103, 103a~103p)이 구비될 수 있고, 스피커 장치(203l)(음향 장치(203b, 203n, 203l)(203b, 203n, 203l)에 해당됨.)를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103, 103a~103p), 마이크 장치(203n)(음향 장치(203b, 203n, 203l)(203b, 203n, 203l)에 해당됨)를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103, 103a~103p), 메인 버튼(입력 부재에 해당됨)을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103, 103a~103p) 등 다양한 개구(103, 103a~103p)들이 외부 하우징(201c)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하우징(201c)의 제2면(202b)에는 후면 카메라 장치(203n), 라이트 장치(203o), 추가 버튼부(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외부 하우징(201c)의 제2면(202b)에는 후면 카메라(카메라 장치(203c)에 해당됨)를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103o), 라이트(발광 장치(203d)에 해당됨)를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103p), 추가 버튼부(도시되지 않음.)를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 등이 외부 하우징(201c)의 제2면(202b)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하우징(201c)의 측면(202c)에는 전원 버튼 장치(203f), 업/다운 버튼 장치(203g, 203h), 외부 입력 단자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 장치(203i), 이어폰과 같은 잭과 연결되기 위한 이어 잭 장치(203k), 스타일러스 팬과 같은 입력부재(203m)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하우징(201c)의 측면(202c)에는 전원 버튼 장치(203f)이 구비되는 개구(103f)(입력장치(203e, 203f, 203g, 203h, 203m)에 해당됨), 업/다운 버튼 장치(203g, 203h)가 실장되는 개구(103g, 103h), 연결 장치(203j)를 위한 개구(103j), 이어 잭 장치(203k) 위한 개구(103k), 입력부재03m)의 탈, 부착을 위한 개구(103m) 등이 외부 하우징(201c)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결하기 위한 개구(103, 103a~103p)가 외부 하우징(201c)의 측면(202c)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전자 장치(200)에 구비되는 모듈과 내부회로기판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3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전자 장치(200)에 구비되는 모듈과 내부회로기판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 장치(200)에는 앞서 언급한 다양한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200)에 구비되는 다양한 모듈 중 하나의 모듈인 버튼(203d)이 회로기판(도 2 또는 도 3의 회로기판(240)에 대응될 수 있음.)과 연결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예를 들어 설명하는 버튼(203d)은 상기 회로기판과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장치(300)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구성 상의 예이며, 버튼(203d)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200)에 구비되어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모듈이라면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는 전자 장치의 내부에서, 서로 다른 두 개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구성물로서, 그 형상이나, 구조, 형태 등은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은 자명할 것이다.
앞서 도 1 내지 3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에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모듈들이 실장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앞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언급했던 표시패널이나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터, 배터리, 안테나 모듈(270, 280), 카메라 장치(203c), 스피커 장치(203l), 발광 장치(203d), 입력장치(203e, 203f, 203g, 203h, 203m), 전자장치(200)와 외부 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 등의 다양한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20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판부(310, 320, 도 2 및 도 3에서 회로기판(240)을 포함할 수 있음.)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의 모듈들은 기판부(310, 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부(310, 320)는 하우징(20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기판부(310)와, 상기 제1기판부(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기판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기판부(310)는 메인회로기판(도 2 및 도 3에서 회로기판(240)에 대응될 수 있음.)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제2기판부(320)는 앞서 언급한 모듈을 메인회로기판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기판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상기 모듈들은 하우징(201)의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모듈을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모듈이 메인회로기판과 연결되는 구성을 보면, 모듈이 메인회로기판에 직접 실장되는 구조를 가지거나, 연성회로기판과 같은 연결기판을 통해 모듈과 메인회로기판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상기 모듈을 실장한 회로기판(이하 '서브회로기판'이라고 함.)이 구비되고, 상기 서브회로기판과 상기 메인회로기판이 바로 연결되는 구조 또는 연성회로기판과 같은 연결기판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 등의 다양한 연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모듈, 즉 메인 버튼(203d)이 연결기판을 통해 메인회로기판과 연결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으며, 이는 기판부와 기판부의 전기적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일 뿐 기판부가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에는 메인회로기판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이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와는 달리 모듈과 이와 다른 모듈이 각각의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등, 기판부와 기판부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전자 장치(200)에 구비되는 서로 다른 두 기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부(330)는 '기판부 대 기판부'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하드한 기판부와 하드한 기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하드한 기판부와 플렉서블한 기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플렉서블한 기판부와 플렉서블한 기판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부(330)는 기판부와 기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나 구성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하드한 메인회로기판의 제1기판부(310)와, 모듈의 플렉서블한 연결기판의 제2기판부(32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커넥터부(330)는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커넥터(332)는 제1커넥터(331)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커넥터(331)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제1기판부(310)가 제2기판부(320)와 대면되는 면)에 구비될 수 있고, 제2커넥터(332)는 제1기판부(310)와 대향하는 면으로 제2기판부(32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커넥터(331)는 버튼(203d)과 인접한 위치로, 메인회로기판의 일면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제2커넥터(332)는 메인 버튼(203d)에서 메인회로기판 측으로 연장되는 플렉서블한 연결기판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전기적 접속되게 구비될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커넥터(331)가 암형 커넥터로 구비되는 경우, 제2커넥터(332)는 암형 커넥터에 결합되는 수형 커넥터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커넥터(331)가 수형 커넥터로 구비되는 경우, 제2커넥터(332)는 수형 커넥터와 결합되는 암형 커넥터로 구비될 수 있다.
암형 커넥터는 수형 커넥터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수형 커넥터에 형성되는 복수의 단자들이 암형 커넥터에 형성되는 복수의 단자들과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수형 커넥터는 암형 커넥터를 감싸면서 접속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수형 커넥터의 외주면은 암형 커넥터의 외주면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후술하는 실링부재는 수형 커넥터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커넥터부(330) 둘레를 따라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후술하나, 커넥터부(330)를 중심으로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 사이에는 상기 제1커넥터(331)와 상기 제2커넥터(332) 사이를 실링하며,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실링부재(340) 및 결합부재(35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기판부(320)가 제1기판부(310)의 소정 위치 상에 포개어져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가 맞물려 접속되는데, 실링부재(340)는 커넥터부(330) 사이를 실링하도록 커넥터부(330)를 중심으로 커넥터부(330)의 주변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340)에 의해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 사이의 결합에서 들뜸이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넥터부(330)의 접속에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데, 결합부재(350)는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 사이를 가압하여 결합시킴에 따라 제2기판부(320)를 제1기판부(310)에 밀착된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기판부(310) 또는 제2기판부(320) 중 적어도 하나가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구비되는 경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메인회로기판은 하드한 기판으로 구비되고, 메인 버튼(203d)을 메인회로기판과 연결하는 연결기판은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커넥터(331)는 하드한 메인회로기판에 실장되어 그 실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제2커넥터(332)가 구비되는 연결기판은 플렉서블한 기판부로서, 제2커넥터(332)가 제2기판부(320)에 실장된 상태를 지지하면서 유지할 수 있도록 강화부재(360, stiffener)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기판부(320)의 일면에는 제2커넥터(332)가 실장되고, 상기 제2기판부(320)의 다른 일면, 즉 상기 제2커넥터(332)가 실장된 반대면에는 스티프너가 실장되어, 연결기판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2기판부(320)가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함에 따라 제2기판부(320)의 다른면에는 강화부재(360)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기판부(320)가 하드한 재질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강화부재(36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가 모두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1기판부(310) 및 제2기판부(320)에 각각 강화부재(360)가 구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기판부와 제2기판부의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재의 구조나 구성은 후술하는 각각의 실시 예들의 설명 시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부재의 구조는, 두 가지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는데, 하나는 결합부재가 커넥터부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제1기판부와 제2기판부 사이를 결합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조이며, 다른 하나는 결합부재가 커넥터부와 한몸체로 구비되어 제1기판부와 제2기판부 사이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조이다. 다만, 결합부재는 이와 같은 구조로만 구비되는 것은 아니며, 제1기판부와 제2기판부 사이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실링부재의 주변으로 제1기판부와 제2기판부 사이의 공간의 두께를 가지며 이들을 결합시킬 수 있는 양면 테이프나, 실리콘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후술하나, 결합부재가 커넥터부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 결합부재는 결합 개구를 형성한 결합돌기, 결합 홀 및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는 제1기판부 또는 제2기판부 중 하나에 구비될 수 있고, 결합 홀은 제1기판부 또는 제2기판부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될 수 있고, 체결 부재는 결합 홀을 통해 결합 돌기로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결합 개구가 구비된 기판부에는 결합 개구와 연결되는 보조 체결 개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체결부재가 결합홀을 통해 결합 개구 및 보조 체결개구까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후술하나 결합부재가 커넥터부와 일몸체로 구비되는 경우, 결합 개구를 구비한 결합돌기는 커넥터부를 구비한 커넥터 몸체에 함께 구비될 수 있고, 결합홀은 결합돌기를 구비한 커넥터 몸체가 실장된 기판부의 대향한 기판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는 결합 홀을 통해 결합 돌기로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결합 개구를 구비한 커넥터 몸체가 실장되는 기판부에는 결합 개구와 연결되는 보조 체결 개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결합부재의 구성은 각 실시 예들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구성이며, 이하에서는 각 실시 예들을 설명하면서 상기 두 개의 구조 중 하나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전자 장치(200)의 내부에서 기판부와 기판부 사이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커넥터 장치(300)의 제1실시 예를 설명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조립 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실링부재(340)가 제2기판부(320)에 실장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제2방향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커넥터 장치(300)는 앞서 언급한 제1커넥터(331)를 구비한 제1기판부(310), 제2커넥터(332)를 구비한 제2기판부(320), 실링부재(340), 결합부재(350) 및 강화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는 암형 커넥터로 구비되는 제1커넥터(331)가 구비될 수 있고, 제1커넥터(331)의 양단부에서 소정 이격되어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 사이를 결합하는 결합부재(350)의 일부 구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결합부재의(350) 구성 결합돌기(351)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돌기(351)는 결합부재(350)의 구성 중 하나로서,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서 소정 돌출되며, 내측으로 결합부재(350) 중 체결부재(353)가 결합되어 걸릴 수 있는 결합 개구(351a)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커넥터(331)는 암형 커넥터로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제2기판부(320)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2커넥터(332)는 암형 커넥터로 구비되는 제1커넥터(331)와 한 쌍으로 맞물리도록 수형 커넥터로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기판부(320)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기판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기판부(320)의 다른 일면('제2커넥터(332)가 배치되는 면의 반대면'으로서, 이하 '다른 일면'으로 표기함.)에는 플렉서블한 제2기판부(320)를 지지하며, 제2커넥터(332)가 제1커넥터(331)에 접속된 상태를 1차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강화부재(360)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강화부재(360)가 구비된 제2기판부(32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결합 개구(351a)와 연결되도록 강화부재(360)에서 제2기판부(320)를 관통하는 결합 홀(352)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강화부재(360)는 제2커넥터(332)가 구비되는 위치에만 구비될 수 있고, 제2커넥터(332)의 크기보다 소정 크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실링부재(340)는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 사이로 커넥터 장치(30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는 수형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제2커넥터(332)가 암형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제1커넥터(331)에 안착되면서 접속되게 구비됨에 따라,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를 접속하도록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가 조립될 때, 실링부재(340)는 수형 커넥터로 구비된 제2커넥터(332)의 외측면에 실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340)는 커넥터부(330)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도록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340)에는 상기 제1기판부(310) 측 및 상기 제2기판부(320) 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압돌기는 제1기판부(310) 측으로 돌출된 제1가압돌기(341)와, 제2기판부(320) 측으로 돌출된 제2가압돌기(34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돌기의 형상은 반원형, 삼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압돌기는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부(330)의 결합 시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에 맞물리면 제1기판부(310)의 일면과 제2기판부(320)의 일면에 각각 밀착되면서 가압될 수 있다. 도 10의 (a)와 도 10의 (b)와 같이, 결합부재(350)는 앞서 언급한 결합돌기(351), 결합 홀(352) 및 체결부재(353)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 개구(351a)를 형성한 결합돌기(351)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으로 제1커넥터(331)의 양측 부분에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결합 홀(352)은 결합돌기(35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2기판부(320)의 일면과 일면의 반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재(353)는 제2기판부(320)의 결합 홀(352)을 관통하여 결합돌기(351)의 결합 개구(351a)로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의 (a)의 경우, 결합 돌기(351)에 결합 개구(351a)가 구비된 상태로서, 체결부재(353)는 체결 홀(352)을 통해 결합 개구(351a)에 안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도 10의 (b)의 경우, 제1기판부(310)에는 결합 돌기(351)의 결합 개구(351a)와 연결되는 보조 체결 개구(35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 10(b)의 결합 구조를 가지는 경우,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가 접속된 상태로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가 대면되면, 보조 체결 개구(354), 결합 개구(351a) 및 체결 홀(352)이 서로 연결되고, 체결부재(350)는 체결 홀(352)을 통해 결합 개구(351a) 및 보조 체결 개구(354) 측으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조 체결 개구(354)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서 제2기판부(320) 측으로 연장되도록 내측으로 개구가 형성되면서 돌출된 돌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조 체결 개구(354)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서 돌출되되, 제1기판부(310)에 일몸체 또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보조 체결 개구(354)는 제1기판부(310)에 형성된 개구의 주변으로 돌기가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보조 체결 개구(354)는 제1기판부(310)에 형성된 개구의 별도로 안착되도록 구비되되, 그 내측으로 개구를 형성하며 주변부가 및 제1기판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재(353)가 결합 홀(352)을 통해 결합 개구(351a)로 체결되면서 제2기판부(320)를 제1기판부(310) 측으로 소정 가압하면서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제 실링부재(340)의 탄성력으로 인해 제1기판부와 제2기판부 사이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데, 결합부재(350)에 의해 2기판부(320)는 제1기판부(3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는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결합부재(350)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실링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해 제2커넥터(332)가 제1커넥터(331)에서 들뜸이 발생할 수 있는데, 결합부재(350)의 체결에 따라 제2기판부(320)가 제1기판부(310)에 가압되면서 제2커넥터(332)와 제1커넥터(331)의 전기적 연결된 상태로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조립 순서를 살펴보면, 실링부재(340)는 수형 커넥터로 구비된 제2커넥터(332)의 외측면으로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실링부재(340)의 내측면은 제2커넥터(332)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구비되고, 실링부재(340)의 일면, 예컨대 제2가압돌기(342)는 제2기판부(320)의 일면에 밀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링부재(340)가 제2커넥터(332)의 외측면에 구비되면, 상기 실링부재(340)의 제2가압돌기(342)는 상기 제2커넥터(332)의 주변을 따라 제2기판부(320)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340) 및 제2커넥터(332)가 실장된 제2기판부(320)를 상기 제1커넥터(331)가 실장된 제1기판부(310)에 포개면, 상기 제2커넥터(332)는 상기 제1커넥터(331)를 감싸면서 제1커넥터(331)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340)는 커넥터부(33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면서 상기 제1기판부(310)의 일면과 상기 제2기판부(320)의 일면 사이에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실링부재(340)의 제2가압돌기(342)는 제2기판부(320)의 일면과 밀착되고, 실링부재(340)의 제1가압돌기(341)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과 밀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체결부재(353)가 결합 홀(352)을 통해 결합 개구(351a)로 체결되면, 상기 제2기판부(320)는 상기 제1기판부(310)에 소정 가압이 발생되고, 실링부재(340)는 상기 제1기판부(310)와 상기 제2기판부(320) 사이에 더욱 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전자 장치(200)의 내부에서 기판부 사이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커넥터 장치(300)의 제2실시 예를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와 커넥터부(330)의 위치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에 따라 실링부재(340)의 실장 위치 등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에, 상술한 제1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 및 구조는 제1실시 예의 설명을 준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에서 실링부재(340)의 조립 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조립 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제2방향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커넥터 장치(300)는 앞서 언급한 제1커넥터(331)를 구비한 제1기판부(310), 제2커넥터(332)를 구비한 제2기판부(320), 실링부재(340), 결합부재(350) 및 강화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는 수형 커넥터로 구비되는 제1커넥터(331)가 구비될 수 있고, 제1커넥터(331)의 양단부에서 소정 이격되어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 사이를 결합하는 결합부재(350)의 일부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350)의 구성 중 결합 개구(351a)가 형성된 결합돌기(351)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재(350)의 구성은 앞선 제1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준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커넥터(331)는 수형 커넥터로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제2기판부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2커넥터(332)는 수형 커넥터로 구비되는 제1커넥터(331)와 한 쌍으로 맞물리도록 암형 커넥터로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기판부(320)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기판으로 구비될 수 있어, 제2기판부(320)의 다른 일면에는 플렉서블한 제2기판부(320)를 지지하며, 제2커넥터(332)가 제1커넥터(331)에 접속된 상태를 1차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강화부재(360)가 위치될 수 있고, 강화부재(360)가 구비된 제2기판부(320)의 양측 단부에는 강화부재(360)에서 제2기판부(320)를 관통하여 결합 개구(351a)와 연결되는 결합 홀(352)이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340)는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 사이로 커넥터 장치(30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는 수형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제1커넥터(331)가 암형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제2커넥터(332)를 안착하면서 접속되게 구비됨에 따라,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가 서로 접속되도록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가 조립될 , 실링부재(340)는 수형 커넥터로 구비된 제1커넥터(331)의 외측며에 실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340)는 커넥터부(330)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도록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340)는 앞선 제1실시 예의 실링부재와 조립 전 실장 위치만 차이점이 있을 뿐 앞선 제1실시 예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340)도 상기 제1기판부(310) 측 및 상기 제2기판부(320) 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가압돌기의 형상은 앞선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앞선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에도 결합부재(350)가 구비될 수 있고, 결합부재(350)의 구조는 앞서 언급한 제1실시 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351), 결합 홀(352) 및 체결부재(353)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350)는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는, 도 17의 (a)의 경우와 같이, 결합 돌기(351)에 결합 개구(351a)가 구비된 상태로서, 체결부재(353)는 체결 홀(352)을 통해 결합 개구(351a)에 안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도 17의 (b)와 같이, 제1기판부(310)에는 결합 돌기(351)의 결합 개구(351a)와 연결되는 보조 체결 개구(35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가 접속된 상태로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가 대면되면, 보조 체결 개구(354), 결합 개구(351a) 및 체결 홀(352)이 서로 연결되고, 체결부재(350)는 체결 홀(352)을 통해 결합 개구(351a) 및 보조 체결 개구(354) 측으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조립 순서를 살펴보면, 실링부재(340)는 수형 커넥터로 구비된 제1커넥터(331)의 외측면으로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실링부재(340)의 내측면은 제1커넥터(331)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구비되고, 실링부재(340)의 일면, 예컨대 제1가압돌기(341)는 상기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 밀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링부재(340)가 제1커넥터(331)의 외측면에 구비되면, 상기 실링부재(340)의 제1가압돌기(341)는 상기 제1커넥터(331)의 주변을 따라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340) 및 제1커넥터(331)가 실장된 제1기판부(310) 상에 제2커넥터(332)가 포개지면, 상기 제1커넥터(331)는 상기 제2커넥터(332)를 감싸면서 제2커넥터(332)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340)는 커넥터부(33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면서 상기 제1기판부(310)의 일면과 상기 제2기판부(320)의 일면 사이를 밀착할 수 있다. 이때, 실링부재(340)의 제1가압돌기(341)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과 밀착되고, 실링부재(340)의 제2가압돌기(342)는 제2기판부(320)의 일면과 밀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체결부재(353)가 결합 홀(352)을 통해 결합 개구(351a)로 체결되면, 상기 제2기판부(320)는 상기 제1기판부(310)에 소정 가압이 발생되고, 실링부재(340)는 상기 제1기판부(310)와 상기 제2기판부(320) 사이에 더욱 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18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200)의 내부에서 기판부 사이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커넥터 장치(300)의 제3실시 예를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는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에서, 커넥터부(330)에 일몸체(one piece) 형태로 결합부재(350)가 형성되는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실링부재(340)가 결합부재(350)를 일 몸체로 구비한 커넥터부(330)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 및 구조는 제1실시 예 또는 제2실시 예의 설명을 준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에서 실링부재(340)의 조립 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조립 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제2방향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 부재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의 커넥터 장치(300)는 앞서 언급한 제1커넥터 몸체(370)를 구비한 제1기판부(310), 제2커넥터 몸체(380)를 구비한 제2기판부(320), 실링부재(340) 및 강화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부(310)에 실장되는 구성으로, 제1커넥터 몸체(370)에는 상술한 제1커넥터(331)와 상기 결합부재(350)의 구성 중 하나, 예컨대 결합 개구(351a)를 구비한 결합돌기(351)가 일몸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커넥터 몸체(380)에는 상술한 제2커넥터(332)와 상기 결합부재(350)의 구성 중 하나, 예컨대 결합 개구(351a)와 연결되는 결합 홀(352)과 연결되는 연결 홀(355)이 일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제1커넥터 몸체(370)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 실장되는 구성이며, 제1커넥터 몸체(370)에는 제1커넥터 몸체(370)의 양측 부분으로 결합 개구(351a)가 구비될 수 있고, 결합 개구(351a) 사이로 제1커넥터(33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커넥터(331)와 결합 개구(351a)가 제1커넥터 몸체(370)에 함께 구비되어,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 실장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커넥터 몸체(380)는 제2기판부(320)의 일면에 실장되는 구성이며, 제2커넥터 몸체(380)에는 제2커넥터 몸체(380)의 양측 부분으로 결합 개구(351a) 및 제2기판부(320)의 결합 홀(352)과 연결되는 연결 홀(355)이 구비될 수 있고, 연결 홀(355) 사이로 상기 제1커넥터(331)와 맞물리는 제2커넥터(33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커넥터(332)와 연결 홀(355)이 제2커넥터 몸체(380)에 함께 구비되어, 제2기판부(320)의 일면에 실장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1커넥터(331)가 수형 커넥터로 형성되는 경우, 제2커넥터(332)는 수형 커넥터에 맞물리도록 암형 커넥터로 형성될 수 있고, 제1커넥터(331)가 암형 커넥터로 형성되는 경우, 제2커넥터(332)는 수형 커넥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제1커넥터 몸체(370)는 제2커넥터 몸체(380)의 내측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제2커넥터 몸체(380)가 제1커넥터 몸체(370)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서, 제1커넥터 몸체(370)가 상기 제2커넥터 몸체(380)에 삽입되는 구조를 구비함에 따라, 실링부재(340)는 상기 제2커넥터 몸체(38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커넥터 몸체(380)가 제1커넥터 몸체(370)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 실링부재(340)는 상기 제1커넥터 몸체(37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실링부재(340)는 커넥터 장치(300), 예컨대 제2커넥터 몸체(380)의 주변 둘레를 따라 구비되도록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기판부(310) 측 및 상기 제2기판부(320) 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커넥터(332)가 제1커넥터(331)부(330)에 끼워지면, 제1가압돌기(341)는 제1기판부(310)에 밀착되고, 제2가압돌기(342)는 제2기판부(320)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강화부재(360)가 구비된 제2기판부(320)가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 포개지면서 제1커넥터(331)가 제2커넥터(332)에 안착되면서 접속되면, 실링부재(340)는 상기 커넥터 장치(300)의 내, 외부를 실링하도록 구비되되, 제2커넥터 몸체(38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위치되고, 제1기판부(310)와 상기 제2기판부(320) 사이에서, 결합부재(350) 및 커넥터부(330)를 모두 실링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커넥터 몸체(370)가 제2커넥터 몸체(380)에 삽입되면, 상기 제1커넥터(331)와 상기 제2커넥터(332)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결합되고, 제1커넥터 몸체(370)의 결합 개구(351a)와 제2커넥터 몸체(380)의 연결 홀(355) 및 결합 홀(352)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체결부재(353)는 결합 홀(352)을 통해 연결 홀(355) 및결합 개구(351a)로 체결되면서 제2기판부(320)를 제1기판부(310) 측으로 소정 가압하면서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제2기판부(320)는 제1기판부(3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2커넥터(332)는 제1커넥터(331)에 안착된 상태로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결합부재(350)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실링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해 제2커넥터(332)가 제1커넥터(331)에서 들뜸이 발생할 수 있는데, 결합부재(350)의 체결에 따라 제2기판부(320)가 제1기판부(310)에 가압되면서 제2커넥터(332)와 제1커넥터(331)의 전기적 연결된 상태로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2의 (a)의 경우(도 24 의 (a)도 함께 참조), 제1커넥터 몸체(370)에 결합 개구(351a)가 구비된 상태로서, 체결부재(353)는 체결 홀(352)을 통해 결합 개구(351a)까지 안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도 22의 (b)의 경우(도 24의 (b)도 함께 참조), 제1기판부(310)에는 제1커넥터 몸체(370)의 결합 개구(351a)와 연결되는 보조 체결 개구(35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가 접속된 상태로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가 대면되면, 보조 체결 개구(354), 결합 개구(351a) 및 체결 홀(352)이 서로 연결되고, 체결부재(350)는 체결 홀(352)을 통해 연결 홀(355), 결합 개구(351a) 및 보조 체결 개구(354) 측으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조 체결 개구(354)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서 제2기판부(320) 측으로 연장되도록 내측으로 개구가 형성되면서 돌출된 돌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조 체결 개구(354)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서 돌출되되, 제1기판부(310)에 일몸체 또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보조 체결 개구(354)는 제1기판부(310)에 형성된 개구의 주변으로 돌기가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보조 체결 개구(354)는 제1기판부(310)에 형성된 개구의 별도로 안착되도록 구비되되, 그 내측으로 개구를 형성하며 주변부가 및 제1기판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조립 순서를 살펴보면, 실링부재(340)는 제2커넥터 몸체(380)의 주변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제2기판부(32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340)가 상기 제2기판부(320)에 실장되면, 상기 실링부재(340)의 제2가압돌기(342)는 상기 제2커넥터 몸체(380)의 주변을 따라 제2기판부(320)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340) 및 제2커넥터 몸체(380)가 실장된 제2기판부(320)를 상기 제1커넥터 몸체(370)를 구비한 제1커넥터 몸체(370)에 포개면, 상기 제2커넥터 몸체(380)는 상기 제1커넥터 몸체(370)를 감싸고,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는 접속되며, 상기 결합 개구(351a)는 연결 홀(355) 및 결합 홀(352)과 연결되고, 실링부재(340)는 제1커넥터 몸체(370)를 감싼 제2커넥터 몸체(380)의 외측 둘레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340)는 상기 제1기판부(310)의 일면과 상기 제2기판부(320)의 일면 사이를 밀착하는데, 실링부재(340)의 제1가압돌기(341)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과 밀착되고, 실링부재(340)의 제2가압돌기(342)는 제2기판부(320)의 일면과 밀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체결부재(353)가 결합 홀(352)을 통해 연결 홀(355) 및결합 개구(351a)로 체결되면, 상기 제2기판부(320)는 상기 제1기판부(310)에 소정 가압이 발생되고, 실링부재(340)는 상기 제1기판부(310)와 상기 제2기판부(320) 사이에 더욱 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전자 장치(200)의 내부에서 기판부 사이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커넥터 장치(300)의 제4실시 예를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는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에서, 제1커넥터 몸체(370)에 구비되는 제1커넥터(331), 결합 개구(351a)의 위치와, 제2커넥터 몸체(380)에 구비되는 제2커넥터(332)와 결합부재(350)의 위치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3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 및 구조는 제3실시 예의 설명을 준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4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4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 전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4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제4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의 커넥터 장치(300)는 앞서 언급한 제1커넥터 몸체(370)를 구비한 제1기판부(310), 제2커넥터 몸체(380)를 구비한 제2기판부(320), 실링부재(340) 및 강화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 몸체(370)는 상기 제1기판부(310)에 실장되는 구성이며, 상기 제1커넥터 몸체(370)에는 상술한 제1커넥터(331)와 결합 개구(351a)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 몸체(380)는 제2기판부(320)에 실장되는 구성이며, 상기 제2커넥터 몸체(380)는 상술한 제2커넥터(332)와 결합 홀(352)과 연결되는 연결홀(355)이 일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결합 개구(351a)는 제1커넥터 몸체(370)의 중앙 부분에 구비될 수 있고, 결합 개구(351a)를 중심으로 결합 개구(351a)의 양측으로 제1커넥터(331)가 제1커넥터 몸체(37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커넥터(331)와 결합 개구(351a)는 제1커넥터 몸체(370)에 함께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커넥터 몸체(380)에는 제2커넥터 몸체(380)가 제2기판부(320)에 실장 시 결합 홀(352)과 연결되는 연결 홀(355)이 제2커넥터 몸체(380)의 중앙 부분에 구비될 수 있고, 연결 홀(355)을중심으로 연결 홀(355)의 양측으로 제2커넥터(3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결합 개구(351a)는 결합 홀(352)과 맞물리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는 결합부재(350)의 양측으로 서로 맞물리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커넥터 몸체(370)에 구비되는 제1커넥터(331)가 수형 커넥터로 형성되는 경우, 제2커넥터 몸체(380)에 구비되는 제2커넥터(332)는 수형 커넥터에 맞물리도록 암형 커넥터로 형성될 수 있고, 제1커넥터 몸체(370)에 구비되는 제1커넥터(331)가 암형 커넥터로 형성되는 경우, 제2커넥터 몸체(380)에 구비되는 제2커넥터(332)는 수형 커넥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제1커넥터 몸체(370)는 제2커넥터 몸체(380)의 내측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제2커넥터 몸체(380)가 제1커넥터 몸체(370)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서, 제1커넥터 몸체(370)가 상기 제2커넥터 몸체(380)에 삽입되는 구조를 구비함에 따라, 실링부재(340)는 상기 제2커넥터 몸체(38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커넥터 몸체(380)가 제1커넥터 몸체(370)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 실링부재(340)는 상기 제1커넥터 몸체(37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실링부재(340)는 커넥터 장치(300), 예컨대 제2커넥터 몸체(380)의 주변 둘레를 따라 구비되도록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기판부(310) 측 및 상기 제2기판부(320) 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커넥터(332)부(330)가 제1커넥터(331)부(330)에 끼워지면, 제1가압돌기(341)는 제1기판부(310)에 밀착되고, 제2가압돌기(342)는 제2기판부(320)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강화부재(360)가 구비된 제2기판부(320)가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 포개지면서 제1커넥터(331)가 제2커넥터(332)에 안착되면서 접속되면, 실링부재(340)는 상기 커넥터 장치(300)의 내, 외부를 실링하도록 구비되되, 제2커넥터 몸체(38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위치되고, 제1기판부(310)와 상기 제2기판부(320) 사이에서, 결합부재(350) 및 커넥터부(330)를 모두 실링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커넥터 몸체(370)가 제2커넥터 몸체(380)에 삽입되면, 상기 제1커넥터(331)와 상기 제2커넥터(332)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결합되고, 제1커넥터 몸체(370)의 결합 개구(351a)와 제2커넥터 몸체(380)의 결합홀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체결부재(353)는 결합 홀(352)을 통해 결합 개구(351a)로 체결되면서 제2기판부(320)를 제1기판부(310) 측으로 소정 가압하면서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제2기판부(320)는 제1기판부(3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2커넥터(332)는 제1커넥터(331)에 안착된 상태로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결합부재(350)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실링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해 제2커넥터(332)가 제1커넥터(331)에서 들뜸이 발생할 수 있는데, 결합부재(350)의 체결에 따라 제2기판부(320)가 제1기판부(310)에 가압되면서 제2커넥터(332)와 제1커넥터(331)의 전기적 연결된 상태로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조립 순서는 앞선 제3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조립순서와 유사하므로 앞선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8의 (a)의 경우, 제1커넥터 몸체(370)에 결합 개구(351a)가 구비된 상태로서, 체결부재(353)는 체결 홀(352)을 통해 결합 개구(351a)까지 안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도 28의 (b)의 경우 제1기판부(310)에는 제1커넥터 몸체(370)의 결합 개구(351a)와 연결되는 보조 체결 개구(35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가 접속된 상태로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가 대면되면, 보조 체결 개구(354), 결합 개구(351a) 및 체결 홀(352)이 서로 연결되고, 체결부재(350)는 체결 홀(352)을 통해 연결 홀(355), 결합 개구(351a) 및 보조 체결 개구(354) 측으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조 체결 개구(354)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서 제2기판부(320) 측으로 연장되도록 내측으로 개구가 형성되면서 돌출된 돌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조 체결 개구(354)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서 돌출되되, 제1기판부(310)에 일몸체 또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보조 체결 개구(354)는 제1기판부(310)에 형성된 개구의 주변으로 돌기가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보조 체결 개구(354)는 제1기판부(310)에 형성된 개구의 별도로 안착되도록 구비되되, 그 내측으로 개구를 형성하며 주변부가 및 제1기판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29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판부들 사이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커넥터 장치(300)의 제5실시 예를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는 앞선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에서 실링부재(34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390)의 유무에서 차이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실링부재(340)의 실장되는 위치나 결합 구조 등에서 차이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5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나 구성은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준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분리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제1기판부(310)에 실링부재(340)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 예의 평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에서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실링 부재의 실링면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9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는, 앞서 언급한 제1커넥터(331)를 구비한 제1기판부(310), 제2커넥터(332)를 구비한 제2기판부(320), 실링부재(340), 결합부재(350, 도 34 및 도 35 참조) 및 강화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기판부(310)는 하드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제2기판부(320)는 하드한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고,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2기판부(320)가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구비됨에 따라 제2기판부(320)의 일면, 구체적으로 제2커넥터(332)가 실장되는 면의 반대면으로 제2기판부(320)를 지지할 수 있는 강화부재(36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1기판부(310)에는 제1커넥터(331)가 구비되고, 제2기판부(320)에는 상기 제1기판부(310)의 제1커넥터(331)와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커넥터(33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커넥터(331)는 암형 커넥터로 구비될 수 있고, 제2커넥터(332)는 수형 커넥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커넥터(331)가 암형 커넥터이고, 제2커넥터(332)가 수형 커넥터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는 반대로 제1커넥터(331)가 수형 커넥터로 구비되고, 제2커넥터(332)가 암형 커넥터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340)는 제1기판부(310) 또는 제2기판부(320) 중 하나에 구비되는 고정부재(390)에 결합되어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가 조립될 때, 암형 커넥터가 안착되는 수형 커넥터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340)는 제1기판부(310)와 상기 제2기판부(320) 사이로 상기 커넥터 장치(30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는 수형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제2커넥터(332)가 암형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제1커넥터(331)를 안착하면서 접속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수형 커넥터의 외측으로 실링부재(340)가 위치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링부재(340)는 암형 커넥터가 실장되는 기판부에 구비되기 위해 고정부재(390)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암형 커넥터는 수형 커넥터의 내측에 배치되고, 실링부재(340)는 수형 커넥터의 외측에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고정부재(390)는 실링부재(340)가 암형 커넥터가 구비된 기판부에 실장되는 경우, 암형 커넥터를 감싸는 수형 커넥터의 외측 둘레에 배치될 수 있도록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390)는 제1기판부(310) 또는 제2기판부(320) 중 하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1커넥터(331)가 암형 커넥터로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함에 따라 제1커넥터(331)가 실장된 제1기판부(310)에 고정부재(390) 및 실링부재(340)가 실장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고정부재(390)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으로 제1커넥터(331)의 둘레면에 페루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390)는 제1커넥터(331)의 주변둘레로 배치되되, 제2커넥터(33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2커넥터(332)의 실장 공간만큼 이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340)는 고정부재(390)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제1커넥터(33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폐루프 형상의 고정부재(39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폐루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390)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기 실링부재(34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인입된 결합 홈(391)이 형성될 수 있고, 실링부재(340)의 일단은 결합 홈(391)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실링부재(340)의 일단이 고정부재(390)의 결합 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별도의 결합부재(350), 예컨대 실링 가능한 양면 테이프, 또는 수지 재 등을 통해 밀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실링부재(340)의 타일단은 제1커넥터(331) 측으로 돌출되어, 제2기판부(320)가 상기 제1기판부(310)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제2커넥터(332)가 제1커넥터(331)와 맞물릴 때 실링부재(340)의 타일단은 제2커넥터(332)의 외측 둘레면과 밀착될 수 있다. 실링부재(340)의 타일단의 일면, 구체적으로 제2기판부(320) 측과 대면되는 면은 경사진 실링면(34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 제1기판부(310)와 제2판부(320)가 서로 대면되면서 실장될 때, 실링부재(340)의 일면으로 실링면(341)이 구비됨에 따라 제2커넥터(332)가 실링부재(340)를 실장 방향으로 가압 시 실링부재(340)의 탄성에 의해, 실장 방향으로 눌리게 되는데, 제2커넥터(332)에 의해 실링부재(340)가 눌림에 따라 실링부재(340)와 제2커넥터(332) 사이가 맞물리지 않아 밀착되지 않은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제2기판부(320)가 접촉되는 실링부재(340)의 일면에 실링 면(371)을 구비하여, 제2커넥터(332)가 상기 제1커넥터(331)에 안착될 때 실링부재(340)가 제2커넥터(332)에 의해 눌리지 않고, 제2커넥터(332)는 실링면(34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실링부재(340)는 제2커넥터(332)의 외측 둘레면과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340)는, 제1커넥터(331)의 주변둘레로, 제2커넥터(331)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구성으로서, 앞선 제1실시 예의 실링부재와 같이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 사이를 모두 실링하는 구성과는 차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가 접속된 상태로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가 서로 대면된 상태에서 실링부재(340)는 고정부재의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제2커넥터이 외측면과 밀착되는 구성이므로, 제2기판부(320)와 상기 고정부재(390) 사이에 공간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제2기판부(320)와 상기 고정부재(390) 사이의 공간을 추가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밀착부재(345)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밀착부재(345)는 수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밀착부재(345)는 제2기판부(320)의 제2커넥터(332)의 주변을 따라 실장될 수 있고, 밀착부재(345)는 제2기판부(320)에 제2커넥터(332)가 실장된 상태에서 제2커넥터(332)의 주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커넥터(332)의 주변으로 밀착부재(345)가 구비된 상태의 제2기판부(320)는, 제1커넥터(331)의 주변으로 실링부재(340)가 결합된 고정부재(390)가 구비된 상태의 제1기판부(310)로 안착될 수 있다. 제2기판부(320)가 제1기판부(310)와 대면되면, 제1커넥터(331)는 제2커넥터(332)에 내측으로 안착되면서 접속되고, 제2커넥터(332)의 외측 둘레면은 실링부재(340)와 밀착되어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의 접속된 상태의 내측을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밀착부재(345)는 고정부재(390)와 제2기판부(320) 사이의 공간과 밀착되어 실링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가 서로 접속된 상태에서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 사이는 실링부재(340) 및 밀착부재(345)에 의해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 사이는 외부와 밀폐될 수 있을 수 있다.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가 접속된 상태에서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 사이에는 결합부재(35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 구조는 앞선 실시 예들 중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실시 예에서와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제3실시 예나 제4실시 예와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4 또는 도 35를 참조하여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 구조의 실시 예를 설명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 구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350)는 제1실시 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결합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판부(310)에 구비되는 결합개구(351)를 구비한 결합 돌기(351a), 제2기판부(320)에 구비되는 결합 홀(352) 및 결합 홀(352)을 통해 결합 개구(351a)로 체결되는 체결부재(35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돌기(351)는 제1커넥터(331)의 양측으로 제1기판부(310)에 배치될 수 있고, 제1기판부(310)의 양측에 배치된 결합 돌기(351) 사이로 실링부재(340)를 구비한 고정 부재(390)가 배치될 수 있다. 결합 홀(352)은 제2기판부(320)에 구비되고, 결합 홀(352)은 상기 결합 개구(351a)에 대응되어 결합 돌기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커넥터(332)가 제1커넥터(331)와 접속되면, 제2기판부(320)의 결합 홀(352)은 제1기판부(310)의 결합 개구(351a)와 연결되고, 체결부재(353)는 결합 홀(352)을 통해 결합 개구(351a)로 체결되면서 제2기판부(320)는 제1기판부(310) 측으로 소정 가압하면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도 34의 (a)의 경우, 체결부재(353)는 체결 홀(352)을 통해 결합 개구(351a)까지 안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도 34의 (b)의 경우, 제1기판부(310)에는 제1커넥터 몸체(370)의 결합 개구(351a)와 연결되는 보조 체결 개구(35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가 접속된 상태로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가 대면되면, 보조 체결 개구(354), 결합 개구(351a) 및 체결 홀(352)이 서로 연결되고, 체결부재(350)는 체결 홀(352)을 통해 연결 홀(355), 결합 개구(351a) 및 보조 체결 개구(354) 측으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조 체결 개구(354)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서 제2기판부(320) 측으로 연장되도록 내측으로 개구가 형성되면서 돌출된 돌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조 체결 개구(354)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서 돌출되되, 제1기판부(310)에 일몸체 또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보조 체결 개구(354)는 제1기판부(310)에 형성된 개구의 주변으로 돌기가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보조 체결 개구(354)는 제1기판부(310)에 형성된 개구의 별도로 안착되도록 구비되되, 그 내측으로 개구를 형성하며 주변부가 및 제1기판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구조는 앞선 제3실시 예와 유사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결합부재(350)는 커넥터부(330)과 동일한 부재에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기판부(310)에는 제1커넥터(331) 및 결합돌기(351)를 함께 구비한 제1커넥터 몸체(370)가 구비되고, 제2기판부(320)에는 제2커넥터(332) 및 연결 홀(355)을 함께 구비한 제2커넥터 몸체(380)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제1커넥터 몸체(370)에는 제1커넥터 몸체(370)의 양측면으로 결합 개구(351a)를 구비한 결합 돌기(351)가 구비될 수 있고, 결합 개구(351a) 사이로 제1커넥터(33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커넥터(331)와 결합 개구(351a)가 제1커넥터 몸체(370)에 함께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커넥터 몸체(380)에는 제2커넥터 몸체(380)의 양측면으로 결합 개구(351a)에 연결되는 결합 홀(352)이 구비될 수 있고, 결합 홀(352) 사이로 상기 제1커넥터(331)와 맞물리는 제2커넥터(33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커넥터(331)가 수형 커넥터로 형성되는 경우, 제2커넥터(332)는 수형 커넥터에 맞물리도록 암형 커넥터로 형성될 수 있고, 제1커넥터(331)가 암형 커넥터로 형성되는 경우, 제2커넥터(332)는 수형 커넥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제1커넥터 몸체(370)는 제2커넥터 몸체(380)의 내측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제2커넥터 몸체(380)가 제1커넥터 몸체(370)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서, 제1커넥터 몸체(370)가 상기 제2커넥터 몸체(380)에 삽입되는 구조를 구비함에 따라, 고정부재(390) 및 고정부재(390)에 실장된 실링부재(340)는 상기 제1커넥터 몸체(38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제1기판부(31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커넥터 몸체(380)가 제1커넥터 몸체(370)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 실링부재(340)는 상기 제2커넥터 몸체(37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위치되도록 제2기판부(320)의 둘레에 구비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제1커넥터 몸체(370)가 제2커넥터 몸체(380)에 삽입되면, 상기 제1커넥터(331)와 상기 제2커넥터(332)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결합되고, 제1커넥터 몸체(370)의 결합 개구(351a)와 제2커넥터 몸체(380)의 연결 홀(355)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기판부(320)의 결합 홀(352)에서부터 연결 홀(355) 및 결합 개구(351a)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353)는 결합 홀(352)을 통해 결합 개구(351a)로 체결되면서 제2기판부(320)를 제1기판부(310) 측으로 소정 가압하면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도 35의 (a)의 경우, 체결부재(353)는 체결 홀(352)을 통해 결합 개구(351a)까지 안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도 35의 (b)의 경우, 제1기판부(310)에는 제1커넥터 몸체(370)의 결합 개구(351a)와 연결되는 보조 체결 개구(35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가 접속된 상태로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가 대면되면, 보조 체결 개구(354), 결합 개구(351a) 및 체결 홀(352)이 서로 연결되고, 체결부재(350)는 체결 홀(352)을 통해 연결 홀(355), 결합 개구(351a) 및 보조 체결 개구(354) 측으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조 체결 개구(354)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서 제2기판부(320) 측으로 연장되도록 내측으로 개구가 형성되면서 돌출된 돌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조 체결 개구(354)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서 돌출되되, 제1기판부(310)에 일몸체 또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보조 체결 개구(354)는 제1기판부(310)에 형성된 개구의 주변으로 돌기가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보조 체결 개구(354)는 제1기판부(310)에 형성된 개구의 별도로 안착되도록 구비되되, 그 내측으로 개구를 형성하며 주변부가 및 제1기판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조립 순서를 살펴보면, 앞서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제1기판부(310)에는 제1커넥터(331) 및 결합 개구(351)가 배치되고, 제1커넥터(331)의 주변으로 실링부재(340)가 안착된 고정부재(39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기판부(320)에는 제2커넥터(332)의 주변으로 밀착부재가 구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기판부(320)가 제1기판부(310)와 대면되면, 제1커넥터(331)는 제2커넥터(332)에 내측으로 안착되면서 접속되고, 제2커넥터(332)의 외측 둘레면은 실링부재(340)와 밀착되어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의 접속된 상태의 내측을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결합부재(350)는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 사이를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재(350)의 구조는 앞서 언급한 도 34 또는 35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장치(300)가 도 34와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지는 경우, 제1커넥터(331)가 제2커넥터(332)에 안착되면, 결합 개구(351a)는 결합 홀(352)과 연결되고, 결합 홀(352)을 통해 결합 개구(351a)로 체결부재(353)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제1기판부(310)와 상기 제2기판부(320) 사이에 소정 가압이 발생되고, 실링부재(340)와 밀착부재는 상기 제1기판부(310)와 상기 제2기판부(320) 사이에 더욱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커넥터 장치(300)가 도 35와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지는 경우의 조립 순서를 살펴보면, 실링부재(340)는 제1커넥터 몸체(380)의 주변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340)가 결합된 고정부재(390)는 상기 제1커넥터 몸체(370)의 주변으로 상기 제1기판부(310)에 실장되고, 상기 제1커넥터 몸체(370)와 소정 공간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소정 공간에는 상기 제2기판부(320)에 구비되는 제2커넥터 몸체(380)가 제1커넥터 몸체(370)를 커버하며 안착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제1기판부(310) 상에 제2기판부(320)를 포개면, 상기 제2커넥터 몸체(380)는 상기 제1커넥터 몸체(370)를 감싸게 되고,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는 접속되며, 상기 결합 개구(351a)는 결합 홀(352) 및 연결 홀(355)과 연결되고, 실링부재(340)는 제1커넥터 몸체(370)를 감싼 제2커넥터 몸체(380)의 외측 둘레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밀착 부재(345)는 고정부재(390)와 제2기판부(320) 일면 사이의 공간을 밀착할 수 있다.
이하 도 3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판부들 사이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커넥터 장치(300)의 제6실시 예를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는 앞선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고정부재(390)에 의해 실링부재가 밀착되는 부분이 앞선 제5실시 예와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6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앞선 실시 예들과 동일한 구조나 구성은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준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6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도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300)에서, 실링부재(340)는 고정부재(390)의 상부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인입홈(391)에 실장되고, 제1기판부(310) 또는 제2기판부(320) 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부재(390)가 제1기판부(310)에 배치되는 경우, 고정부재(390)는 제1커넥터(331)의 주변으로 제1기판부(310)에 폐루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제2기판부(320) 방향으로 오픈된 인입 홈(391)이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340)의 일단은 인입홈(391)에 밀착 고정되고, 실링부재(340)의 다른 일단은 제2기판부(320)의 일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제2기판부(320)의 일면과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340)와 일면으로 제2기판부(320) 측으로 돌출되어 제2기판부(320)의 일면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제2기판부(320)에 눌리는 가압돌기(343)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는 제1커넥터(331) 및 제1커넥터(331)의 주변으로 제1커넥터(331)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부재(390) 및 고정부재(390)에서 제2기판부(320) 측으로 실링부재(340)가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기판부(320)의 일면에는 제2커넥터(332)가 실장될 수 있다. 제2기판부(320)의 일면이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 대면되어, 제1커넥터(331)가 제2커넥터(332)와 접속되면, 제1기판부(310) 상에 구비된 고정부재(390)에서 제2기판부(320) 측으로 돌출된 실링부재(340)의 일단, 구체적으로 가압돌기(343)가 제2기판부(320)의 일면에 접촉 및 가압되면서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를 외부로부터 실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구성은 앞선 제1실시 예 내지 제5실시 예에 따른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어, 앞선 실시 예들의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이하 도 37 내지 도 4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판부들 사이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커넥터 장치(300)의 제7실시 예를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는 앞선 실시 예들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고정부재(385)와 실링부재(340)의 결합 위치에서 앞의 실시 예들과 차이점이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는 제5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제5실시 예에서는 실링부재(340)가 고정부재(395)에 고정된 상태로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가 대면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340)와 고정부재(395)는 서로 다른 기판부에 실장되는 구조를 가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실링부재(340)와 고정부재의 실장 위치, 고정부재의 형상 등에서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 예 및 상술한 제5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나 구성은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준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분리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제1기판부(310)의 단면도이다.
도 38 내지 도 3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는, 앞서 언급한 제1커넥터(331)를 구비한 제1기판부(310), 제2커넥터(332)를 구비한 제2기판부(320), 실링부재(340), 결합부재(350) 및 강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부(310)에는 제1커넥터(331)가 구비되고, 제2기판부(320)에는 상기 제1기판부(310)의 제1커넥터(331)와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커넥터(33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커넥터(331)는 수형 커넥터로 구비될 수 있고, 제2커넥터(332)는 암형 커넥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커넥터(331)가 수형 커넥터이고, 제2커넥터(332)가 암형 커넥터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는 반대로 제1커넥터(331)가 암형 커넥터로 구비되고, 제2커넥터(332)가 수형 커넥터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395)는 제1기판부(310) 또는 제2기판부(320) 중 하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실링부재(340)는 제1기판부(310) 또는 제2기판부(320)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고정부재(395)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으로 수형 커넥터로 구비되는 제1커넥터(331)의 둘레면에 페루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395)는 제1커넥터(331)의 주변둘레로 배치되되, 제2커넥터(332)와 고정부재(395) 사이로 실링부재(34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실링부재(340)의 밀착 공간만큼 이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340)는 제1기판부(310) 또는 제2기판부(320) 중 고정부재(395)가 실장된 기판부와 다른 기판부에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부재(395)는 제1커넥터(331)의 둘레로 제1기판부(310)에 실장되고, 실링부재(340)는 제2커넥터(332)의 둘레로 제2기판부(320)에 실장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링부재(340)는 암형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2커넥터(332)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제2기판부(320)에 결합되는 구성이며, 고정부재(395)는 수형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1커넥터(331)의 주변 둘레로 제1기판부(310) 상에 구비되어,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의 결합에 따라 실링부재(340)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340)는 제1기판부(310)와 상기 제2기판부(320) 사이로 상기 커넥터 장치(30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는 암형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제2커넥터(332)가 수형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제1커넥터(331)에 안착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수형 커넥터의 외측으로 실링부재(340)가 위치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링부재(340)는 제2커넥터(332)의 주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기판부(320)가 제1기판부(310)에 안착되면, 암형 커넥터가 실장된 제1기판부(310)의 주변둘레로 고정부재(395)와 밀착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기판부(310)에는 암형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1커넥터(331) 및 암형 커넥터의 주변으로 소정의 공간만큼 이격된 상태로 고정부재가 돌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기판부(320)에는 수형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2커넥터(332) 및 수형 커넥터의 주변으로 실링부재(340)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340)의 일면은 제2기판부(3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결합되고, 제2커넥터(332)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기판부(320)와 실링부재(340) 사이의 공간으로 제1커넥터(331)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340)의 외측면은 상기 고정부재(395) 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돌출된 부분(342)이 고정부재(395)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의 둘레를 실링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340)의 돌출된 부분(342) 중 고정부재(395)와 접촉되는 면에는 경사진 실링면(342a)이 구비될 수 있다. 실링면(342a)은 제2기판부(320)가 제1기판부(310) 상에 배치될 때, 실링부재(340)의 실링면이 고정부재의 내측에 인입되어 밀착되도록 하고, 실링부재(340)의 눌림에 따라 실링부재(340)가 밀리거나, 변형되어 실링부재(340)와 고정부재 사이가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거나 맞물리는 않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395)의 내측면은 실링면(342a)을 따라 실링부재(340)와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 구조는 앞선 실시 예들 중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0 및 도 41을 참조하여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 구조의 실시 예를 설명할 수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 구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350)는 앞서 실시 예들 예를 들어, 제1실시 예에서 언급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이하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서,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 구조는 앞선 도 10 및 도 17을 함께 참조할 수 있음.). 즉, 제1기판부(310)에 구비되는 결합 개구(351a)를 구비한 결합 돌기(351), 제2기판부 (320)에 구비되는 결합 홀(352) 및 결합 홀(352)을 통해 결합 개구(351a)로 체결되는 체결부재(35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돌기(351)는 제1커넥터(331)의 양측으로 제1기판부(310)에 배치될 수 있고, 제1기판부(310)의 양측에 배치된 결합 돌기(351) 사이로 실링부재(340)를 구비한 고정 부재(395)가 배치될 수 있다. 결합 홀(352)은 제2기판부(320)에 구비되고, 결합 홀(352)은 상기 결합 돌기(351)에 대응되어 결합 개구(351a)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커넥터(332)가 제1커넥터(331)와 접속된 상태에서 제2기판부(320)의 결합 홀(352)은 제1기판부(310)의 결합 개구(351a)와 연결되고, 체결부재(353)는 결합 홀(352)을 통해 결합 개구(351a)로 체결되면서 제2기판부(320)를 제1기판부(310) 측으로 소정 가압하면서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제2기판부(320)는 제1기판부(3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는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구조는 앞선 제3실시 예와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이하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합 구조는 앞선 도 22를 함께 참조할 수 있음). 즉, 결합부재(350)와 커넥터부(330)가 함께 구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합 구조로 인해 실링부재(340)는 결합부재(350)를 구비한 커넥터부(330)의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 장치(300)는, 앞서 언급한 제3실시 예에서와 같이 제1기판부(310)에는 제1커넥터 몸체(370)가 구비되고, 제2기판부(320)에는 제2커넥터 몸체(380)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 몸체(370)에는 상술한 제1커넥터(331)와 상기 결합부재(350)가 함께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커넥터 몸체(380)에는 상술한 제2커넥터(332)와 상기 결합부재(350)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제1커넥터몸체(370)는 양측면으로 결합 개구(351a)를 구비한 결합 돌기(351)가 구비될 수 있고, 결합 개구(351a) 사이로 제1커넥터(33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커넥터몸체(380)는 양측면으로 결합 개구(351a)에 연결되며, 결합 홀(352)과 연결되는 연결 홀(355) 구비될 수 있고, 연결 홀(355) 사이로 상기 제1커넥터 (331)와 맞물리는 제2커넥터(33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커넥터(331)가 수형 커넥터로 형성되는 경우, 제2커넥터(332)는 수형 커넥터에 맞물리도록 암형 커넥터로 형성될 수 있고, 제1커넥터(331)가 암형 커넥터로 형성되는 경우, 제2커넥터(332)는 수형 커넥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제2커넥터(332) 몸체는 제1커넥터(331) 몸체의 내측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서, 고정부재(395)는 제1커넥터 몸체(370)의 주변으로 배치될 수 있고, 고정부재(395)와 제1커넥터 몸체(370)의 외측면 사이에는 소정 이격되어, 실링부재(340)가 안착 및 실링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340)는 상기 제1커넥터몸체(370)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제2커넥터 몸체(380)가 제1커넥터 몸체(370)에 삽입되면 제2기판부(320)와 고정부재(395) 사이를 실링하여 제1커넥터 몸체(370) 및 제2커넥터 몸체(380)를 외부로부터 실링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커넥터 몸체(370)가 제2커넥터 몸체(380)에 삽입되면, 상기 제1커넥터(331)와 상기 제2커넥터(332)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결합되고, 제1커넥터 몸체(370)의 결합 개구(351a)와 제2커넥터 몸체(380)의 연결 홀(355) 및 결합 홀(352)은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체결부재(353)는 결합 홀(352)을 통해 결합 개구(351a)로 체결되면서 제2기판부(320)를 제1기판부(310) 측으로 소정 가압하면서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제2기판부(320)는 제1기판부(3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2커넥터(332)는 제1커넥터(331)에 안착된 상태로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결합 구조에서도 제1기판부(310)에는 결합 개구(351a)와 연결되는 보조 체결개구(354)가 구비될 수 있고, 체결부재가 보조 결합개구(354)를 통해 보조 체결개구(354) 측까지 인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300)의 조립 순서를 살펴보면, 앞서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제1커넥터(331) 몸체가 실장된 주변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부재(395)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커넥터(332)의 주변으로 실링부재(340)가 결합된 제2기판부(320)는, 제1커넥터(331)의 주변으로 고정부재가 구비된 상태의 제1기판부(310)로 안착될 수 있다. 제2기판부(320)가 제1기판부(310)와 대면되면, 제2커넥터(332)는 제1커넥터(331)의 내측으로 안착되면서 접속될 수 있고, 실링부재(340)는 고정부재(395)의 내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결합부재(350)로 인해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의 결합력은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구조가 도 40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경우, 제1커넥터(331)가 제2커넥터(332)에 안착되면, 결합 개구(351a)는 결합 홀(352)과 연결되고, 결합 홀(352)을 통해 결합 개구(351a)로 체결부재(353)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제1기판부(310)와 상기 제2기판부(320) 사이에 소정 가압이 발생되고, 실링부재(340)와 밀착부재(345)는 상기 제1기판부(310)와 상기 제2기판부(320) 사이에 더욱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결합구조가 도 41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경우 결합부재(350)는 실링부재(340)와 고정부재(395)의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고정부재(395)의 내측으로 실링부재(340)가 밀착되면, 그 내측으로 제1커넥터 몸체(370) 및 제2커넥터 몸체(380)가 구비됨에 따라 결합부재(350)가 실링부재(340)의 내측으로 위치될 것이다. 이 상태에서, 체결부재(353)가 결합 홀(352)을 통해 결합 개구(351a)로 체결되어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 사이를 결합 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2 내지 도 4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판부들 사이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커넥터 장차(300)의 제8실시 예를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차(300)는 앞선 제1 내지 제7실시 예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앞선 실시 예들과 차이점은, 제1기판부(310) 또는 제2기판부(3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표면에서 내측으로 인입되는 안착개구(315)를 구비하고, 안착개구(315)에는 제1커넥터(331) 또는 제2커넥터(332) 중 하나가 실장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제8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한 구조나 구성은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준용할 수 있으며, 차이점이 있는 구성 만을 설명할 수 있다.
도 4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8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차(300)의 분리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8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차(300)의 실링부재(340)가 결합된 상태의 제1기판부(310) 및 제2기판부(320)의 분리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8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차(300)의 결합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8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차(300)의 제1기판부(3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8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차(300)의 제1기판부(310)의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42 내지 도 4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차(300)는, 앞서 언급한 제1커넥터(331)를 구비한 제1기판부(310), 제2커넥터(332)를 구비한 제2기판부(320), 실링부재(340), 결합부재(350) 및 강화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기판부(310) 또는 제2기판부(3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1기판부(310) 또는 제2기판부(320)에 실장되는 제1커넥터(331) 또는 제2커넥터(332)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개구(315)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안착개구(315)는 제1기판부(310)에 구비될 수 있고, 제2기판부(320)에는 강화부재(360)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장되는 구성은 아니다. 예컨대 안착개구(315)가 제1기판부(310)에 구비되며, 제2기판부(320)는 하드한 재질로 이루어져 별도의 강화부재(36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와는 달리 안착개구(315)는 제2기판부(320)에 형성되고, 제1기판부(310)는 플렉서블 또는 하드한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과 같이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제1기판부(310)에는 제1기판부(310)의 표면에서 내측으로 인입되는 안착개구(315)가 형성되고, 안착개구(315)로 제1커넥터(331)가 구비될 수 있다.
제2기판부(320)의 일면에는 상기 제1기판부(310)의 제1커넥터(331)와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커넥터(33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커넥터(331)는 수형 커넥터로 구비될 수 있고, 제2커넥터(332)는 암형 커넥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커넥터(331)가 수형 커넥터이고, 제2커넥터(332)가 암형 커넥터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는 반대로 제1커넥터(331)가 암형 커넥터로 구비되고, 제2커넥터(332)가 수형 커넥터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340)는 안착개구(315)의 내측면과 제2기판부(320)의 일면과 밀착되어,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실링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링부재(340)는 그 내측면(347c)이 수형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2커넥터(332)의 외측면에 밀착 결합되고, 그 외측면(347b)이 안착개구(315)의 내측면 둘레와 밀착되어 실링될 수 있도록 안착개구(315)의 내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340)의 돌출된 부분으로 안착개구(315)와 대면되는 면은 경사진 실링면(347b)을 형성할 수 있다.
실링부재(340)의 내측면(347c)은 수형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2커넥터(332)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실링부재(340)의 일면(347e, 도 44를 기준으로 상면)은 제2기판부(320)의 일면과 밀착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링부재(340)는 제2커넥터(332)의 둘레로 제2기판부(320)에 실장 결합된 상태로 제2기판부(320)가 제2기판부(320)에 결합됨에 따라 실링부재(340)dml 돌출된 외측면(347b)는 안착개구(315)의 내측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커넥터 장차(300)의 조립 과정을 보면, 실링부재(340)는 수형 커넥터가 실장된 기판부에 안착된 상태로 암형 커넥터가 구비된 기판부와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수형 커넥터인 제2커넥터(332)를 구비한 제2기판부(320)에 실링부재(3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암형 커넥터인 제1커넥터(331)를 구비한 제1기판부(310)와 대면되어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가 서로 접속되면서 실링부재(340)에 의해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가 외부와 차단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차(300)의 결합 구조는 앞선 실시 예들 중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선 실시 예 1과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실시 예 3과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제4실시 예와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결합 구조는 앞선 실시 예들의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7 내지 도 5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판부들 사이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커넥터 장치(300)의 제9실시 예를 설명할 수 있다.
도 4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9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분리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9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실링부재(340)가 결합된 상태의 제1기판부(310) 및 제2기판부(320)의 분리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9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9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제1기판부(3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9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제1기판부(310)의 제1방향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는 앞선 제1 내지 제8실시 예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앞선 실시 예들과 차이점은, 제1기판부(310) 또는 제2기판부(3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기판부(310) 또는 제2기판부(320)를 관통하는 개구(317)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개구 상으로 제1커넥터(331) 또는 제2커넥터(332)가 실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개구(317)는 제1기판부(310)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제2기판부(320)는 하드 또는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제2기판부(320)가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기판부(320)를 강화 및 지지하기 위한 강화부재(360)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앞서 언급한 구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구(317)는 제2기판부(320)에 구비되고, 제1기판부(310)가 하드 또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제1기판부(310) 및 제2기판부(320)에 각각 개구(317)가 구비되고, 개구(317)에 각각의 커넥터부(330)가 실장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7 내지 도 5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는, 앞서 언급한 제1커넥터(331)를 구비한 제1기판부(310), 제2커넥터(332)를 구비한 제2기판부(320), 실링부재(340), 결합부재(350) 및 강화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기판부(310) 또는 제2기판부(3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1기판부(310) 또는 제2기판부(320)에 실장되는 제1커넥터(331) 또는 제2커넥터(332)를 구비한 지지부재(397)가 안착될 수 있는 개구(이하 '관통 개구(317)'라 함.)가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관통 개구(317)는 제1기판부(310)에 구비될 수 있고, 제2기판부(320)는 플렉서블한 부재로서, 제2커넥터(332)가 구비되는 제2기판부(320)의 다른 면으로 강화부재(360)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제1기판부(310)에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과, 일면이 반대면인 타면을 관통하도록 관통 개구(317)가 형성되고, 관통 개구(317)에는 제1기판부(310)가 실장된 지지부재(397)가 실장될 수 있다.
제1기판부(310)의 일면으로 관통 개구(317) 측으로는 제1커넥터(331)의 밀림 에 따른 이동을 제한하고 지지하도록 지지부재(397)가 고정될 수 있다(만약 관통 개구(317)가 제2기판부(320)에 형성되는 경우, 지지부재(397)은 제2커넥터(332)의 밀림에 따른 이동을 제한하고 지지하도록 제2기판부(32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커넥터(331)가 관통 개구(317)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커넥터(332)가 제1커넥터(331)와 결합될 때, 제2커넥터(332)의 가압에 따라 제1커넥터(331)는 제2커넥터(332)의 체결방향에 의해 눌리게 되는데, 지지부재(397)는 제1커넥터(331)가 제1기판부(3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커넥터(331)가 체결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제한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1커넥터(331)의 일면 주변둘레는 관통 개구(317)가 형성된 제1기판부(310)의 배면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지지부재(397)는 관통 개구(317)에 배치되어, 제1기판부(310)의 배면에 결합된 제1커넥터(331)를 지지하도록 구비되어, 제1커넥터(331)가 제1기판부(31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가 결합될 때, 결합되는 힘에 의해 제1커넥터(331)가 결합 방향으로 밀려 관통 개구(317)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커넥터(331)를 지지하는 구성물이다.
지지부재(397)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지지부재(397)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 구체적으로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가 대면되는 면의 반대면(이하 '제1기판부(310)의 배면'이라고 함.)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커넥터(331)가 제1기판부(310)의 배면으로 관통 개구(317) 주변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부재(397)가 제1기판부(310)의 배면에 실장될 수 있다. 지지부재(397)의 일면 둘레는 제1기판부(310)의 후면으로 관통 개구(317)의 둘레에 결합되고, 제1커넥터(331)는 지지부재(397)의 관통 개구(317)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지지부재(397)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제1기판부(310)에 전기적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397)의 주변둘레에는 제1기판부(310)의 배면과 결합되도록 접착부재(397a)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기판부(320)의 일면에는 상기 제1기판부(310)의 제1커넥터(331)와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커넥터(332)를 구비할 수 있고, 제2기판부(320)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기판부(320)의 일면(도 47을 참조하면 제2기판부(320)의 상면에 해당됨)으로 강화부재(360)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커넥터(331)는 암형 커넥터로 구비될 수 있고, 제2커넥터(332)는 수형 커넥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커넥터(331)가 암형 커넥터이고, 제2커넥터(332)가 수형 커넥터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는 반대로 제1커넥터(331)가 수형 커넥터로 구비되고, 제2커넥터(332)가 암형 커넥터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340)는 관통 개구(317)의 내측면과 제2기판부(320)의 일면과 밀착되어,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실링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링부재(340)는 그 내측면(349c)이 수형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2커넥터(332)의 외측면에 밀착 결합되고, 그 외측면(349b)이 관통 개구(317)의 내측면 둘레와 밀착되어 실링될 수 있도록 관통 개구(317)의 내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340)의 돌출된 외측면(349b)으로 관통 개구(317)와 대면되는 면은 경사진 실링면(349d)을 형성할 수 있다.
실링부재(340)의 내측면(349c)은 수형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2커넥터(332)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실링부재(340)의 일면(349e, 도 47을 기준으로 상면)은 제2기판부(320)의 일면과 밀착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링부재(340)는 제2커넥터(332)의 둘레로 제2기판부(320)에 실장 결합된 상태로 제2기판부(320)가 제2기판부(320)에 결합됨에 따라 관통 개구(317)의 내측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커넥터 장치(300)의 조립 과정을 보면, 실링부재(340)는 수형 커넥터가 실장된 기판부에 안착된 상태로 암형 커넥터가 구비된 기판부와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수형 커넥터인 제2커넥터(332)를 구비한 제2기판부(320)에 실링부재(3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암형 커넥터인 제1커넥터(331)를 구비한 제1기판부(310)와 대면되어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가 서로 접속되면서 실링부재(340)에 의해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가 외부와 차단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 구조는 앞선 실시 예들 중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선 실시 예 1과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실시 예 3과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제4실시 예와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결합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선 실시 예들의 설명을 준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2 및 도 5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판부들 사이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커넥터 장치(300)의 제10실시 예를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는 앞선 제1 내지 제8실시 예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앞선 제9실시 예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차이점은, 제1커넥터(331)가 제1기판부(310)에 결합되는 구조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앞선 제1실시 예 내지 제9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나 형상 결합 관계 등은 앞선 실시 예를 준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0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분리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0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도이다.
도 52 및 도 5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도 개구(317, 이하 '관통 개구'라 함.)는 제1기판부(310) 또는 제2기판부(32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으며, 관통 개구(317) 상으로 제1커넥터(331) 또는 제2커넥터(332)가 실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관통 개구(317)는 제1기판부(310)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제2기판부(320)는 하드 또는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제2기판부(320)가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기판부(320)를 강화 및 지지하기 위한 강화부재(360)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앞서 언급한 구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통 개구(317)는 제2기판부(320)에 구비되고, 제1기판부(310)가 하드 또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제1기판부(310) 및 제2기판부(320)에 각각 관통 개구(317)가 구비되고, 관통 개구(317)에 각각의 커넥터가 실장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0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는, 앞서 언급한 제1커넥터(331)를 구비한 제1기판부(310), 제2커넥터(332)를 구비한 제2기판부(320), 실링부재(340), 결합부재(350) 및 강화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기판부(310) 또는 제2기판부(3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관통 개구(317)가 구비될 수 있고, 관통 개구(317)가 구비된 상기 제1기판부(310) 또는 제2기판부(3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관통 개구(317) 측으로 실장되는 제1커넥터(331) 또는 제2커넥터(332)를 지지하며, 제1커넥터(331) 또는 제2커넥터(332)가 관통 개구(317)의 후면으로 밀리는 것을 제한하는 지지부재(399)가 실장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관통 개구(317)는 제1기판부(310)에 구비될 수 있고, 제2기판부(320)는 플렉서블한 부재로서, 제2커넥터(332)가 구비되는 제2기판부(320)의 다른 면으로 강화부재(360)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제1기판부(310)에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과, 일면이 반대면인 타면을 관통하도록 관통 개구(317)가 형성되고, 관통 개구(317)에는 지지부재(399)가 실장될 수 있다.
앞서 제9실시 예의 제1커넥터(33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커넥터(331)의 일면 주변이 제1기판부(310)의 배면으로 관통 개구(317)의 주변에 결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제1커넥터(331)는 양단으로 관통 개구(317)의 주변에 걸리는 걸림부(331a)를 구비하고, 제1커넥터(331)는 관통 개구(317)의 내측으로 배치되도록 걸림부(331a)에서 절곡된'U'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커넥터(331)는 주변으로 제1기판부(310)의 일면, 구체적으로 제1기판부(310)가 제2기판부(320)와 대면되는 일면에 결합되는 걸림부(331a)를 구비하고, 제1커넥터(331)는 걸림부(331a)에서 절곡되어 관통 개구(317)의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331a)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 결합됨에 따라, 제1커넥터(331)가 제1기판부(310)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재(397)는 관통 개구(317)가 구비된 제1기판부(310)의 배면에 결합되어, 관통 개구(317)에 위치된 제1커넥터(331)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가 결합될 때, 결합되는 힘에 의해 제1커넥터(331)가 결합 방향으로 밀려 관통 개구(317)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커넥터(331)의 밀림을 제한하고 지지하는 구성물이다.
지지부재(397)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지지부재(397)는 제1기판부(310)의 일면 구체적으로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가 대면되는 면의 반대면(이하 '제1기판부(310)의 배면'이라고 함.)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넥터(331)의 걸림부(331a)가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제1커넥터(331)는 관통 개구(317) 내측으로 위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397)가 제1기판부(310)의 배면으로 관통 개구(317)를 커버하도록 실장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397)의 주변둘레에는 제1기판부(310)의 배면과 결합되도록 접착부재(397a)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기판부(320)의 일면에는 상기 제1기판부(310)의 제1커넥터(331)와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커넥터(332)를 구비할 수 있고, 제2기판부(320)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기판부(320)의 일면(도 52를 참조하면 제2기판부(320)의 상면에 해당됨)으로 강화부재(360)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커넥터(331)는 암형 커넥터로 구비될 수 있고, 제2커넥터(332)는 수형 커넥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커넥터(331)가 암형 커넥터이고, 제2커넥터(332)가 수형 커넥터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는 반대로 제1커넥터(331)가 수형 커넥터로 구비되고, 제2커넥터(332)가 암형 커넥터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340)는 관통 개구(317)의 내측면에 안착된 단턱부(399b)의 내측면과 제2기판부(320)의 일면에 각각 밀착되어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실링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부재(340)의 내측면(349c)은 수형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2커넥터(332)의 외측면에 밀착 결합되고, 실링부재(340)의 일면(349e)은 제2커넥터(332)의 둘레로 제2기판부(320)의 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실링부재(340)의 외측면(349b)은 관통 개구(317)에 인입된 단턱부(399b)의 내측면 둘레와 밀착되어 실링될 수 있도록 단턱부(399b)의 내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340)의 돌출된 외측면(349b)이 단턱부(399b)의 내측면에 맞물려 밀착되는 면은 경사진 실링면(349d)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링부재(340)는 제2커넥터(332)의 둘레로 제2기판부(320)에 실장 결합된 상태에서, 제1커넥터(331)가 실장된 단턱부(399b)측으로 인입되면서 단턱부(399b)의 내측면과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실링부재(340)는 관통 개구(317)의 주변둘레로 제1기판부(310)와 제2기판부(320) 사이를 실링하도록 구비되어 커넥터부의 주변을 실링하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커넥터 장치(300)의 조립 과정을 보면, 실링부재(340)는 수형 커넥터가 실장된 기판부에 안착된 상태로 암형 커넥터가 구비된 기판부와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수형 커넥터인 제2커넥터(332)를 구비한 제2기판부(320)에 실링부재(3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암형 커넥터인 제1커넥터(331)를 구비한 제1기판부(310)와 대면되어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가 서로 접속되면서 실링부재(340)에 의해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가 외부와 차단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 구조는 앞선 실시 예들 중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선 실시 예 1과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실시 예 3과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제4실시 예와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결합 구조는 앞선 설명들을 준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4 내지 도 5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판부들 사이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커넥터 장치(300)의 제11실시 예를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는 앞선 제1 내지 제10실시 예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앞선 제5실시 예 또는 제6실시 예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잇다. 다만, 본 발명의 제11실시 예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차이점은, 실링부재(340)의 형상 및 이에 따른 구조나 형태 또는 실링 형상 등에서 차이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구조나 구성 등이 앞선 제1실시 예 내지 제10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나 형상 결합 관계 등은 앞선 실시 예들을 준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분리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의 결합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1실시 예에 따른 제1기판부(310)의 평면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1실시 예에 따른 제1기판부(310)의 제1방향 단면도이다.
도 54 및 도 5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300)는, 앞서 언급한 제1커넥터(331)를 구비한 제1기판부(310), 제2커넥터(332)를 구비한 제2기판부(320), 실링부재(340), 결합부재(350) 및 강화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부(310)의 일면에는 제1커넥터(331)가 구비될 수 있고, 제2기판부(320)의 일면에는 상기 제1기판부(310)의 제1커넥터(331)와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커넥터(332)를 구비할 수 있고, 제2기판부(320)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기판부(320)의 일면(도 54를 참조하면 제2기판부(320)의 상면에 해당됨)으로 강화부재(360)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커넥터(331)는 암형 커넥터로 구비될 수 있고, 제2커넥터(332)는 수형 커넥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커넥터(331)가 암형 커넥터이고, 제2커넥터(332)가 수형 커넥터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는 반대로 제1커넥터(331)가 수형 커넥터로 구비되고, 제2커넥터(332)가 암형 커넥터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340)는 제1부재(344) 및 제2부재(3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재(344)는 제1커넥터(331)의 주변으로 상기 제1커넥터(33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1기판부(31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제1부재(344)는 후술하는 제2부재(346)와 맞물려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제1부재(344)는 제1기판부(310)에서 제2기판부(320) 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부재(344)가 제2기판부(320) 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단부는 후술하는 제2부재(346)의 일면과 밀착 결합 될 수 있는 형상, 예를 들어 돌기부 또는 인입부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제2부재(346)는 제2커넥터(332)의 주변으로 상기 제2커넥터(332)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기판부(32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제2부재(346)는 제2기판부(320)에서 제1기판부(310) 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제2부재(346)가 제1기판부(310) 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단부는 제1부재(344)의 단부에 밀착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부재(344)의 단부에 돌기부(344a)가 구비되는 경우, 제2부재(346)의 단부에는 돌기부(344a)와 한 쌍의 인입부(346a)가 구비될 수 있고, 제1부재(344)의 단부에 인입부가 구비되는 경우 제2부재(346)의 단부에는 인입부와 한 쌍의 돌기부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부재(344)의 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소정 인입된 인입부(344a)가 구비될 수 있고, 제2부재(346)의 단부에는 인입부(344a)의 내측에 맞물려 밀착 결합되는 돌기부(346a)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제1기판부(310) 상에 구비되는 제1부재(344)와 제2기판부(320) 상에 구비되는 제2부재(346)가 결합됨에 따라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의 주변 둘레는 외부와 차단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커넥터(331)는 암형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제2커넥터(332)는 암형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1커넥터(331)와 맞물리는 수형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기판부(310)의 일면(제2기판부(320)와 대응되는 면)에는 제1커넥터(331) 및 제1커넥터(331)의 주변으로 인입부(344a)를 구비한 제1부재(34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기판부(320)의 일면(제1기판부(310)와 대응되는 면)에는 수형 커넥터로 이루어진 제2커넥터(332) 및 제2커넥터(332)의 주변으로 돌기부(346a)를 구비한 제2부재(34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상태에서 상기 제1기판부(310)의 일면과 제2기판부(320)의 일면이 서로 대면되게 맞물리면, 제1커넥터(331)는 제2커넥터(332)에 맞물려 접속되고, 제2부재(346)의 돌기부()는 제1부재(344)의 인입부에 삽입되면서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제1부재(344)와 제2부재(346)가 서로 밀착 결합됨에 따라 접속된 제1커넥터(331)와 제2커넥터(332)는 실링부재(340)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340)의 구조는 앞선 제1 실시 예 내지 제10실시 예의 커넥터 장치(300)의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실시 에에 따른 결합 구조는 앞선 실시 예들 중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선 실시 예 1과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실시 예 3과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제4실시 예와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결합 구조는 앞선 실시 예들의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도 5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커넥터 장치(300)의 주변부로 침수방지 가이드(301)가 구비되는 것을 개시한 도면이다.
도 58을 참조하면, 제1커넥터(331)가 실장된 상기 제1기판부(310)의 둘레 또는 상기 제2커넥터가 실장된 상기 제2기판부(320)의 둘레 중 하나에는 상기 제1기판부(310) 또는 상기 제2기판부(320)의 표면에서 상기 제1기판부(310) 또는 상기 제2기판부(320)의 테두리 단부로 연결되어 수분을 적층하거나 이동을 가이드 하여 기판부 외부로 빠질 수 있도록 하는 침수방지 가이드(301)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수방지 가이드(301)는 제1기판부(310)의 표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즉, 제1기판부(310)의 표면으로 커넥터부(300)의 둘레를 따라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폐루프 형상은 제1기판부(310)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를 가지는 홈 형태일 수 있다. 일단은 제1기판부(310)의 테두리 단부까지 연결되어, 커넥터부(330)의 외부에서 커넥터부(300) 측으로 수분이 유입될 때, 수분은 먼저 침수방지 가이드(301)로 적층되거나 침수방지 가이드(301)로 인입되어 침수방지 가이드(301)의 단부로 이동되어 제1기판부(310)의 테두리 단부로 이동되면서 제1기판부(310)에서 1차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수방지 가이드(301)는 제1기판부(310)의 표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즉, 제1기판부(310)의 표면으로 커넥터부(300)의 둘레를 따라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폐루프 형상은 제1기판부(310) 표면에 친수 또는 발수 코팅층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침수 방지 가이드(301)의 일단은 제1기판부(310)의 테두리 단부까지 연결될 수 있다.
침수 방지 가이드(301)가 친수 코팅으로 구비되는 경우, 커넥터부(330)의 외부에서 커넥터부(300) 측으로 수분이 유입될 때, 외부에서 유입된 수분은 먼저 침수방지 가이드(301)로 응집되어 침수방지 가이드(301)의 단부로 이동되어 제1기판부(310)의 테두리 단부로 이동되면서 제1기판부(310)에서 1차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침수 방지 가이드(301)가 발수 코팅으로 구비되는 경우, 커넥터부(330)의 외부에서 커넥터부 측으로 수분이 유입될 때, 외부에서 유입된 수분은 폐루프 형상을 가진 침수방지 가이드(301)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침수방지 가이드(301)의 단부로 이동되어 제1기판부(310)의 테두리 단부로 이동되면서 제1기판부(310)에서 1차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침수방지 가이드(301)의 구조는 앞선 제1실시 예 내지 제1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 모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200: 전자 장치 300: 커넥터 장치
310: 제1기판부 320: 제2기판부
330: 실링부재 340: 결합부재
310: 제1기판부 320: 제2기판부
330: 실링부재 340: 결합부재
Claims (34)
-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1기판부;
상기 제1기판부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기판부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기판부;
상기 제2기판부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맞물려 상기 제2기판부를 상기 제1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커넥터;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기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기판부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기판부 사이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판부 또는 상기 제2기판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커넥터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1기판부 또는 상기 제2기판부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제1커넥터 몸체를 안착하거나 상기 제1커넥터 몸체에 안착되는 제2커넥터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 몸체는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와 이웃한 상기 결합부재 중 결합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 몸체는 상기 제2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와 이웃한 상기 결합부재 중 결합 홀을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부 또는 상기 제2기판부 중 적어도 하나는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구비된 상기 제1기판부 또는 상기 제2기판부에는 상기 플렉서블한 기판을 지지하는 강화부재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1커넥터의 외측을 감싸면서 접속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2커넥터의 주변둘레에 배치되게 구비되는 커넥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2커넥터의 외측을 감싸면서 접속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커넥터의 주변둘레에 배치되게 구비되는 커넥터 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에는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기판부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제2기판부 및 상기 제2기판부와 밀착 결합되는 돌기부가 구비되는 가압돌기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소정 간격 떨어져 상기 제1기판부의 일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
상기 제2기판부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돌기와 연결되게 상기 제2기판부를 관통하는 결합 홀; 및
상기 결합 홀을 통해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커넥터 몸체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커넥터 몸체의 외주면 중 하나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커넥터 장치.
-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개구는 상기 제1커넥터의 양측으로 상기 제1커넥터 몸체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 홀은 상기 제2커넥터의 양측으로 상기 제2커넥터 몸체에 배치되는 커넥터 장치.
-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결합개구의 양측으로 상기 제1커넥터 몸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결합홀의 양측으로 상기 제2커넥터 몸체에 배치되는 커넥터 장치.
-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부 또는 상기 제2기판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실링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커넥터 장치.
-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기판부의 상기 제1커넥터 또는 상기 제2기판부의 상기 제2커넥터의 주변둘레를 따라 폐루프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결합되고, 상기 제1커넥터 또는 상기 제2커넥터 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커넥터 장치.
-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돌출된 부분에는 경사진 실링면이 형성되는 커넥터 장치.
-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제1기판부 또는 상기 제2기판부 중 나머지 하나 사이로 밀착 부재가 더 포함되는 커넥터 장치.
-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기판부의 상기 제1커넥터 또는 상기 제2기판부의 상기 제2커넥터의 주변둘레를 따라 폐루프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 둘레면을 따라 결합되어 상기 제1기판부 또는 상기 제2기판부 중 하나의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커넥터 장치.
-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제1기판부 또는 상기 제2기판부에 눌리는 가압돌기를 형성하는 커넥터 장치.
-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1기판부;
상기 제1기판부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기판부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기판부;
상기 제2기판부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맞물려 상기 제2기판부를 상기 제1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커넥터;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기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기판부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기판부 사이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 주변의 상기 제1기판부 또는 상기 제2커넥터 주변의 상기 제2기판부 중 하나에는 폐루프 형상으로 돌출되는 고정부재 구비되며,
상기 제1커넥터 주변의 상기 제1기판부 또는 상기 제2커넥터 주변의 상기 제2기판부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기판부 또는 상기 제2기판부 중 하나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를 실링하는 커넥터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와 상기 고정부재가 접촉되는 일면은 경사진 실링면으로 형성되는 커넥터 장치.
-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1기판부;
상기 제1기판부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기판부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기판부;
상기 제2기판부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맞물려 상기 제2기판부를 상기 제1기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커넥터;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기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 사이의 공간을 실링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기판부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기판부와 상기 제2기판부 사이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판부 또는 상기 제2기판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표면에서 내측으로 인입되는 안착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개구에는 상기 제1커넥터 또는 상기 제2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가 실장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안착개구와 상기 제1기판부 또는 상기 제2기판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실링부재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제1기판부 또는 상기 제2기판부와 밀착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적어도 다른 일면은 상기 안착개구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커넥터 장치.
- 삭제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부 또는 상기 제2기판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1기판부 또는 상기 제2기판부를 관통하는 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 또는 상기 제2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개구에 위치되어 상기 제1기판부 또는 상기 제2기판부에 결합되고,
상기 개구에는 상기 개구에 위치된 상기 제1커넥터 또는 상기 제2커넥터의 밀림에 따른 이동을 제한하고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결합되는 커넥터 장치.
-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개구 내측으로 안착되는 상기 제1커넥터 또는 상기 제2커넥터가 실장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 둘레는 상기 제1기판부의 배면 또는 상기 제2기판부의 배면과 결합되는 커넥터 장치.
-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 또는 제2커넥터의 주변에는 상기 제1기판부 또는 상기 제2기판부에 걸려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1커넥터의 주변으로 상기 제1기판부 상에 구비되는 제1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밀착결합되고, 상기 제2커넥터의 주변으로 상기 제2기판부상에 구비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 중 하나에는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가 밀착 결합되는 인입부가 구비되는 커넥터 장치.
-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가 실장된 상기 제1기판부의 둘레 또는 상기 제2커넥터가 실장된 상기 제2기판부의 둘레 중 하나에는 상기 제1기판부 또는 상기 제2기판부의 표면에서 상기 제1기판부 또는 상기 제2기판부의 테두리 단부로 연결되어 수분을 적층하거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침수방지 가이드를 더 형성하는 커넥터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8244A KR102589304B1 (ko) | 2016-06-22 | 2016-06-22 |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
US15/608,044 US10109946B2 (en) | 2016-06-22 | 2017-05-30 | Sealed circuit board connector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8244A KR102589304B1 (ko) | 2016-06-22 | 2016-06-22 |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0249A KR20180000249A (ko) | 2018-01-02 |
KR102589304B1 true KR102589304B1 (ko) | 2023-10-16 |
Family
ID=6067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8244A KR102589304B1 (ko) | 2016-06-22 | 2016-06-22 |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109946B2 (ko) |
KR (1) | KR10258930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9400B1 (ko) * | 2016-11-10 | 2023-10-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이드 스피커 홀을 구비한 전자 장치 |
CN107086384B (zh) * | 2017-05-12 | 2019-12-06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连接器组件、电源组件及移动终端 |
CN108155530B (zh) * | 2017-12-24 | 2019-12-03 | 乐清市驰林电气有限公司 | 一种可拆卸配置的墙体电气座 |
KR102520168B1 (ko) * | 2018-01-16 | 2023-04-07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aoc 커넥터 어셈블리 |
CN109724944B (zh) * | 2019-01-02 | 2022-02-01 |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移动终端的进水检测方法和移动终端 |
KR102613138B1 (ko) * | 2019-02-18 | 2023-12-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센서 키 조립체의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TWI700976B (zh) * | 2019-05-17 | 2020-08-01 |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 電子裝置及其殼體結構 |
CN114207949A (zh) * | 2019-07-31 | 2022-03-18 |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 板对板连接器 |
JP7608260B2 (ja) | 2021-04-28 | 2025-01-0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電子機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312213A1 (en) | 2010-06-18 | 2011-12-22 | Akifumi Arai | Flat Cable Wiring Structure |
US20140094067A1 (en) * | 2012-07-30 | 2014-04-03 |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 Connector mechanism |
US20150044887A1 (en) * | 2013-08-08 | 2015-02-12 | Dai-Ichi Seiko Co., Ltd. | Circuit-terminal connect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07841A (en) * | 1983-05-31 | 1991-04-16 | Trw Inc. | Integrated-circuit chip interconnection system |
US5806181A (en) * | 1993-11-16 | 1998-09-15 | Formfactor, Inc. | Contact carriers (tiles) for populating larger substrates with spring contacts |
US6280202B1 (en) * | 1999-09-01 | 2001-08-28 |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 Board-to-board alignment and securement device |
US6431879B2 (en) * | 2000-02-10 | 2002-08-13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
US6570776B2 (en) * | 2001-06-20 | 2003-05-27 | Ericsson, Inc. | Shielded electronics package structure with enhanced mechanical reliability |
TW547805U (en) * | 2002-10-22 | 2003-08-11 | Benq Corp | Connector |
US7101196B1 (en) * | 2005-05-18 | 2006-09-05 | Molex Incorporated |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CN101453067B (zh) * | 2007-12-03 | 2012-01-11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卡缘连接器 |
TWM334477U (en) * | 2007-12-28 | 2008-06-11 | Advanced Connectek Inc | Battery connector |
TWM357746U (en) * | 2008-12-09 | 2009-05-21 | Htc Corp |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
US8597033B2 (en) * | 2012-02-10 | 2013-12-03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Receptacle connector |
JP5573928B2 (ja) | 2012-11-29 | 2014-08-20 | Smk株式会社 | モジュール機器と外部との電気接続構造 |
JP5779624B2 (ja) * | 2013-09-05 | 2015-09-16 | 株式会社フジクラ | プリント配線板及び該配線板を接続するコネクタ |
US20150194753A1 (en) | 2014-03-21 | 2015-07-09 | Apple Inc. | Mid-plane board-to-board connectors |
JP6342190B2 (ja) * | 2014-03-24 | 2018-06-13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コネクタ組立体 |
US9991640B2 (en) * | 2014-04-14 | 2018-06-05 | Apple Inc. | Durable connector receptacles |
CN105449422B (zh) * | 2014-08-28 | 2019-02-22 | 春源科技(深圳)有限公司 | 多件式fpc连接器 |
-
2016
- 2016-06-22 KR KR1020160078244A patent/KR10258930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5-30 US US15/608,044 patent/US10109946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312213A1 (en) | 2010-06-18 | 2011-12-22 | Akifumi Arai | Flat Cable Wiring Structure |
US20140094067A1 (en) * | 2012-07-30 | 2014-04-03 |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 Connector mechanism |
US20150044887A1 (en) * | 2013-08-08 | 2015-02-12 | Dai-Ichi Seiko Co., Ltd. | Circuit-terminal connect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0249A (ko) | 2018-01-02 |
US10109946B2 (en) | 2018-10-23 |
US20170373431A1 (en) | 2017-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89304B1 (ko) |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 |
US11098959B2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heat collection/diffusion structure | |
KR102497472B1 (ko) |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20119569A (ko) |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CN110049649B (zh) | 包括防水结构在内的电子设备 | |
KR102308940B1 (ko) |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102514733B1 (ko) | 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102256049B1 (ko) | 전자 장치의 버튼 장치 | |
KR102207162B1 (ko) | 카메라 장치 및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 |
KR20170025985A (ko) | 방수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 |
KR102251317B1 (ko) | 하우징 조립 구조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 |
KR102332701B1 (ko) |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