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73554B1 -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554B1
KR102573554B1 KR1020210121255A KR20210121255A KR102573554B1 KR 102573554 B1 KR102573554 B1 KR 102573554B1 KR 1020210121255 A KR1020210121255 A KR 1020210121255A KR 20210121255 A KR20210121255 A KR 20210121255A KR 102573554 B1 KR102573554 B1 KR 102573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footrest
screen door
scaffold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8025A (ko
Inventor
송석재
송정철
송세린
송정복
Original Assignee
송석재
송정철
송세린
송정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석재, 송정철, 송세린, 송정복 filed Critical 송석재
Priority to KR1020210121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554B1/ko
Publication of KR20230038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는, 스크린 도어 하측에 위치하되, 전동차가 진입하는 승강장 일면에 결합 고정되고,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안전 발판; 및 상기 스크린 도어의 슬라이딩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미닫이 운동에 따라 연동되고, 상기 안전 발판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전 발판의 측단 저부와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경사 인상부를 갖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발판과 상기 구동부의 상기 경사 인상부가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안전 발판이 지면을 향해 회동하는 펼침 상태가 유도되고, 상기 구동부의 상기 경사 인상부가 상기 안전 발판의 상기 측단 저부와 접촉하면서, 상기 안전 발판을 상기 슬라이딩 도어 쪽으로 회동시켜 들어 올림으로써 접힘 상태가 유도된다.

Description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Safety footrest for subway screen door and screen door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하철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 시설물인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간격은 엄격한 규정에 따라 최소 5 cm 정도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운영되고 있다. 실제, 상기 승강장과 상기 전동차 사이의 간격은 승강장의 곡선 구간등 서로 다른 규격 상의 차이로 상기 승강장 마다 10 cm ~ 25 cm까지로 지하철교통공사등에서 규정하는 규격 상의 최소 제한 간격보다 더 넓게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승강장과 상기 전동차 사이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승객들은 상기 열차의 승차 및 하차 시 상기 승강장과 상기 전동차 사이의 빈틈으로, 승객의 발이 빠지거나, 유모차의 바퀴가 빠지거나, 휴대폰과 같은 소지품이 빠지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에 대한 대안으로서, 감지장치, 관리 인력 투입, 및 안전 발판 설치와 같은 다양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으나 상기 감지장치 및 상기 관리 인력 투입의 경우, 고비용 대책이며 전문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사고의 사전적 대책보다는 사고가 발생한 후에 이를 감지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점에서 사후적 대책에 가깝기 때문에 사고 발생률을 줄일 수는 없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상기 안전 발판의 경우, 고무 발판과 같은 발판이 승강장 측벽에 고정된 고정식 안전 발판, 스크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발판이 상기 전동차 방향으로의 돌출 및 상기 승강장 방향으로 후퇴하는 것과 같은 자동식 안전 발판이나 휴대용 안전 발판이 시범 설치 및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식 안전 발판의 경우 강도가 약하여 승객의 하중을 견디기 어렵고, 상기 전동차 파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식 안전 발판은 강도가 약해 안전성 검증 문제 뿐만 아니라, 높은 설치 비용의 문제가 따르고, 휴대용 안전 발판의 경우 항시 필요를 요구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918674호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 발판"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동력제공원이 불필요하며 무동력으로 구동이 가능하고, 승객의 발, 유모차 및 자전거 등의 바퀴가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비전문가에 의한 수리 및 작동이 용이하여 쉽게 설치 및 이용이 가능한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스크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안전 발판이 접힘 또는 펼침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전동차와 충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펼쳐진 안전 발판이 다수의 이용객의 하중으로 인해 하측으로 과도하게 회동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이용객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 도어 하측에 위치하며, 전동차가 진입하는 승강장 일면에 결합 고정되고,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안전 발판; 및 상기 스크린 도어의 슬라이딩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미닫이 운동에 따라 연동되고, 상기 안전 발판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전 발판의 측단 저부와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경사 인상부를 갖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전 발판과 상기 구동부의 상기 경사 인상부가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안전 발판이 지면을 향해 회동하는 펼침 상태가 유도되고, 상기 구동부의 상기 경사 인상부가 상기 안전 발판의 상기 측단 저부와 접촉하면서, 상기 안전 발판을 상기 슬라이딩 도어 쪽으로 회동시켜 들어 올림으로써 접힘 상태가 유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크린 도어의 하단 정면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승강장 정면에 고정되며, 상기 안전 발판은 상기 힌지 하측에 상기 힌지를 지지하는 고정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발판은 상기 안전 발판의 상면을 따라 정면측으로 이동 및 돌출할 수 있는 연장 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 발판의 전후방향의 너비 및 수평 너비는 상기 안전 발판의 전후방향의 너비 및 수평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발판의 측단에는 상측으로 굴곡 형성된 제 1 굴곡면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굴곡면은 상기 안전 발판의 정면측으로 갈수록 돌출 너비 및 굴곡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크린 도어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 인상부는 상기 결합부의 측단 중 상기 안전 발판과 대향하는 측단에 수직하여 정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면; 및 상기 돌출면의 정면에서 상기 안전 발판측으로 돌출되되, 상단과 하단이 하강하는 경사를 가지며 돌출하며, 돌출된 말단의 상단과 하단이 맞닿아 상면에 경사가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면의 돌출 너비는 상기 안전 발판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의 상단에는 정면측으로 굴곡되는 제 2 굴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굴곡면은 상기 안전 발판측으로 향할수록 돌출 너비 및 굴곡 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안전 발판 장치는, 상기 안전 발판 하측에 직각 절곡 형상을 가지며, 상면에 하강하여 회동된 상기 안전 발판의 하면이 밀착되어 상기 안전 발판을 지면에 수평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안전 발판의 하측에 형성되며, 수직 절곡된 내측이 정면측을 향하게 설치되는 제 1 스토퍼; 또는 상기 안전 발판의 측단 외측에 형성되며, 측면이 상기 승강장 정면에 결합 고정되고, 상면에 회동된 상기 안전 발판의 하면이 밀착되어 거치되는 제 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스토퍼는, 상기 승강장 정면과 결합된 상면이 상기 스토퍼측으로 함몰된 힌지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 인입홈 내측으로 상기 힌지가 인입되는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발판의 정면측 말단의 하면에는 무게추가 제공되며, 상기 무게추는 상기 스크린 도어 개방시 상기 안전 발판이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안전 발판의 하면에 하중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 안전 발판의 하면 중앙에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 부재가 더 제공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안전 발판을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발판은 상기 안전 발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굴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크린 도어 시스템은 전술한 안전 발판 장치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동력제공원이 불필요하며 무동력으로 구동이 가능하고, 승객의 발, 유모차 및 자전거 등의 바퀴가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비전문가에 의한 수리 및 작동이 용이하여 쉽게 설치 및 이용이 가능한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안전 발판이 접힘 또는 펼침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전동차와 충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펼쳐진 안전 발판이 다수의 이용객의 하중으로 인해 하측으로 과도하게 회동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이용객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1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의 사시도들이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10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100)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안전 발판의 구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또는 제 2 스토퍼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스토퍼의 설치 예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스토퍼의 설치 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갖는 안전 발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갖는 안전 발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의 작동예를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부재들의 크기와 형상은 설명의 편의와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 구현시,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부재 또는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하기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면 저면, 후면, 하면, 정면과 같은 단어들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발판 장치(1)가 지면에 평행한 상태로 펼쳐지고, 스크린 도어(2)와 직교하는 상태에서 안전 발판 장치(1)의 정면을 정면으로서 기준으로 삼는다.
도 1a 및 1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1)의 사시도들이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 장치(1)는 안전 발판(100) 및 구동부(200)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에서, 안전 발판 장치(1)와 스크린 도어(1000)를 통칭하여 스크린 도어 시스템이라 한다. 스크린 도어(1000)는 전동차가 승강장에 진입하여 정차한 후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전동차의 출입구가 개방되기 전에 선행하여 슬라이딩 도어(1002)가 개방될 수 있고, 후행하여 폐쇄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1002)가 상기 전동차의 출입구보다 선행하여 열리고, 후행하여 닫힘으로써, 승객들의 승하차 시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다.
안전 발판(100)은 전동차와 마주하는 승강장(3) 일면 중 스크린 도어(1000)의 개폐 운동을 하는 슬라이딩 도어(1002)의 하측에 위치한다. 안전 발판(100)의 후면이 승강장(3) 일면과 결합 고정되어 힌지(101)를 중심으로 안전 발판(100)이 회동될 수 있다. 힌지(101)는 고정 부재(110)에 의해 승강장(3) 일면, 예를 들면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스크린 도어(1000)의 슬라이딩 도어(1002)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슬라이딩 도어(1002)의 미닫이 운동에 따라 연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200)는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200)는 도 1a 및 1b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1002) 중 하나의 슬라이딩 도어(1002)에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구동부(200)가 단일개로 구성되어도 안전 발판(100)과 밀착되어 회동시킬 수는 있다.
안전 발판(100)의 너비가 크거나 하중이 큰 경우, 단일 구동부(200)에 하중이나 외력이 과도하게 몰릴 경우 쉽게 접힘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되고, 구동부(200)가 결합 고정된 슬라이딩 도어(1002)에 과도한 부하가 인가되어, 슬라이딩 도어(1002)의 고장이 유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것과 같이 안전 발판(100)의 양측단에 각각 구동부(200)를 배치하여, 안전 발판(100)이 안정적으로 접힘 또는 펼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구동부(200)가 받는 외력을 각 슬라이딩 도어(1002)로 분산시킬 수 있다.
도 1a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1002)가 개방시 구동부(200)는 안전 발판(100)으로부터 이격되어 안전 발판(100)이 승강장(3)과 결합된 후단을 중심으로 지면에 수평하게, 즉 xy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전동차와 승강장(3) 사이의 틈새를 안전 발판(100)이 위치하여 승강장(3) 이용객이 안전 발판(100)을 밟으며 전동차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전 발판(100)의 주면이 승객이 밟으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지면에 수평하도록, 즉, XY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안전 발판의 '펼침 상태'라 한다.
도 1b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1002)가 폐쇄되면 슬라이딩 도어(1002) 하단에 고정된 구동부(200)가 안전 발판(100)의 하면과 밀착되면서 안전 발판(100)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실질적으로 ZX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전 발판(100)이 폐쇄 상태의 슬라이딩 도어(1002)에 안전 발판(100)의 주면이 근접하여 실질적으로 지면에 수직하도록, 즉, ZX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안전 발판의 '접힘 상태'라 한다. 안전 발판(100)의 접힘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안전 발판(100)과 이동되는 전동차와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슬라이딩 도어(1002)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부(201) 및 안전 발판(100) 측으로 돌출되어, 안전 발판(100)의 저부를 향해 들어가면서 안전 발판(100)을 접힘 상태로 인상시킬 수 있는 경사면(210a)를 갖는 경사 인상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발판(100)의 펼침 상태에서는,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전 발판(100)과 구동부(200)가 완전히 이격된 상태에 있으며, 안전 발판(100)의 접힘 상태에서는,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경사 인상부(210)가 안전 발판(100)의 측단 저부와 접촉하면서, 안전 발판(100)을 슬라이딩 도어(1002)의 쪽으로 회동시켜 들어 올린다. 구동부(200)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10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안전 발판(100)은 패널 형상을 가지며, 승강장(3) 일면에 결합되는 안전 발판(100)의 후면에는 안전 발판(100)이 구동부(200)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힌지(101)가 제공된다. 따라서, 힌지(101)가 승강장(3) 일면에 결합 고정되며, 안전 발판(100)은 힌지(101)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어 구동부(200)에 의해 안전 발판(100)이 회동되어 펼침 또는 접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힌지(101)는 승강장(3)의 일면에 매립 고정된 앵커와 같은 결합 부재(1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110)는 예를 들면 힌지(101)에 습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결합부(110a)와 승강장(3)의 일면에 고정되는 지지부(110b)를 가질 수 있다. 지지부(110b)는, 예를 들면, 승강장(3)의 일면에 나사 결합되거나 리벳팅되거나 콘크리트 나사에 의해 삽입 결합되거나 용접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부(101)에 윤활유가 도포되거나 완충 부재를 개재할 수 있다. 상기 윤활유에 의해 힌지부(101)의 동작이 원활하게 될 수 있고, 상기 완충 부재에 의해, 안전 발판(100)의 펼침 상태에서 승객들의 하중이 안전 발판(100)에 가해질 경우, 힌지부(101) 및 안전 발판(100)에 가해질 하중을 완충시켜 내구성을 보완할 수 있다. 상기 윤활유 및 상기 완충부재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다양한 종류의 윤활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안전 발판(100)은 힌지(101)와 결합되며, 승강장(3)의 일면, 예를 들면 승강장(30)의 정면 측벽과 결합되는 고정 패널(102)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발판(100)은, 고정 패널(102)와 함께, 맞댐 경첩, 리프트 오프 경첩, 수평 경첩, 피아노 경첩, 감춰진 캐비닛 경첩, 실린더 경첩, 또는 소스 경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정 패널(102)은 힌지(101)의 하측에 위치하며, 승강장(3) 일면에 결합되어 힌지(101)의 앵커로서 안정적으로 안전 발판(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 패널(102)은 안전 발판(100)과 같이 승강장(3)의 일면과 면접할 수 있는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정 패널(102)는 승강장(3) 일면에 밀착되어 결합 고정되고, 고정 패널(102)의 상단에 힌지(101)가 결합 고정되어 안전 발판(100)이 받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안전 발판(100)과 승강장(3)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 패널(102)은 승강장(3)의 일면에 볼트나 과 같은 다양한 체결 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안전 발판(100)은 길이 방향, 즉 x 방향을 따라 연장된 굴절부(103)를 두어 Y 축을 기준으로 하는 안전 발판(100)의 휨 내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안전 발판(100)은 승객의 하중에 의해 유도되는 뒤틀림과 같은 변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굴절부(103)는 안전 발판(100)의 YZ 평면의 단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여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시된 것과 같이 아래, 즉 -Z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형태를 갖거나 반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굴절부(103)는 Y 방향을 따라 2 이상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100)의 사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안전 발판(100)에는 안전 발판(100)의 정면측으로 이동 및 돌출될 수 있는 연장 발판(120)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승강장(3)마다, 그 선로의 굴곡도 차이나 기타 시공 규격의 편차로 상기 승강장(3)으로 진입한 전동차간의 간격이 달라지는데 안전 발판(100)이 모든 승강장(3)과 전동차간의 간격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정면측으로 과도하게 돌출되는 경우 안전 발판(100) 정면측 말단이 전동차와 충돌될 수 있고, 정면측으로 갈수록 승강장(3)과의 결합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안전 발판(100)이 정면측 돌출연장너비가 적은 경우 승강장(3)과 전동차간의 간격이 넓은 승강장(3)의 경우 안전 발판(100)이 간격을 모두 폐쇄하기 어려워 여전히 승객의 발빠짐 문제가 해소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 발판(120)은 안전 발판(100)에 결합되어 y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어, 안전 발판(100)의 Y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를 가변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발판(100)의 수평 너비 및 정면측 돌출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되, 안전 발판(100)과 동일하게 패널 형상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발판(120)은 안전 발판(100) 상에 적층된 상태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안전 발판(100)과 연장 발판(120)의 중첩되는 부분에는 각각 연장 발판에 관통홀(121)이 형성되며, 걸림 볼트(122)가 관통홀(1210을 통해 관통되어 안전 발판(100)으로부터 연장 발판(120)의 습동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4a는 상기 관통홀이 안전 발판(100)과 연장 발판(120)에 각각 제 1 관통홀(104)과 제 2 관통홀(121)이 형성된 것으로서, 제 1 관통홀(104)과 제 2 관통홀(121)의 내측 공간은 서로 연통되고, 연통된 내측으로 걸림 볼트(122)가 관통되어 안전 발판(100)과 연장 발판(12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제 1 관통홀(104) 및 제 2 관통홀(121)은 단순히 걸림 볼트(122)가 관통될 수 있는 원통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아닌, 정면측으로 연장함몰되어 걸림 볼트(122)가 제 1 관통홀(104) 및 제 2 관통홀(121) 내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승강장(3)과 전동차 간의 간격이 좁은 경우 도 4a와 같이 연장 발판(120)을 후측으로 이동시키며, 걸림 볼트(122) 또한 함께 후측으로 이동하여 제 1 및 2 관통홀(104,121) 내측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승객이 밟는 발판의 너비를 승강장(3)과 전동차간의 간격에 맞게 좁힐 수 있다. 반면에, 승강장(3)과 전동차 간의 간격이 넓을 시, 도 4b를 참조하면, 연장 발판(120)을 최대한 안전 발판(100) 정면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고, 이때 걸림 볼트(122)는 제 1 관통홀(104)의 정면측 내면과 밀착됨과 동시에 제 2 관통홀(121)의 후측 내면과 밀착됨으로써 연장 발판(120)이 최대한 전동차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발판(100) 및 연장 발판(120)을 통해 승강장(3)과 전동차간의 넓은 간격을 폐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셔, 연장 발판(120)의 정면 말단에는 하측, 즉 안전 발판(100)이 구비되는 측으로 굽어진 걸림 말단(123)이 형성되어 연장 발판(120)이 과도하게 후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걸림 말단(123)의 굴곡된 내측이 연장 발판(120) 정면에 걸려져 안전 발판(100)의 정면측 돌출 너비에 맞춰 연장 발판(120)을 후측으로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걸림 볼트(122)의 최상단과 최하단, 즉 안전 발판(100)과 연장 발판(120)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볼트(122)의 말단은 제 1 및 2 관통홀(104,121)의 내측너비보다 크게 형성하여 걸림 볼트(122)가 제 1 및 2 관통홀(104,121)의 내측을 완전히 관통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00)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00)의 정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구동부(200)는 스크린 도어(1002) 하단 중 입구와 반대측 방향의 하측 말단에 결합 고정되며, 스크린 도어(1002)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부(201) 및 안전 발판(100)측으로 돌출되며, 경사를 가지는 경사 인상부(210)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201)는 스크린 도어(1002)의 하단 정면에 후면이 밀착되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결합홀(202)을 통해 볼트와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를 통해 스크린 도어(1002) 하단에 구동부(200)가 견고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경사 인상부(210)는 결합부(201)의 측단 중 안전 발판(100)이 위치한 방향쪽 측단에 형성되며, 정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면(211)과 상기 돌출면(211)의 돌출된 정면에 수직하여 안전 발판(100)측으로 돌출된 경사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면(211)의 돌출 너비는 내측에 접혀진 안전 발판(100)이 충분히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면(211)의 돌출 너비는 안전 발판(10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경사면(212) 말단과 밀착되는 안전 발판(100)이 경사면(212)의 경사를 따라 경사면(212) 및 돌출면(211)간의 내측 공간으로 용이하게 인입 및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돌출면(211)과 경사면(212)의 내측으로 안전 발판(100)이 접혀진 상태로 인입되고, 외력에 의해 안전 발판(100)이 하측으로 회동되더라도 경사면(212)에 안전 발판(100)이 걸려 돌출면(211)의 돌출 너비 내측안으로 회동이 제한되어,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크린 도어(1002) 폐쇄시 스크린 도어(2)가 전동차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크린 도어(1002)가 개방되어 슬라이딩 도어(1002)에 연동되어 구동부(200)가 이동함으로써 부재되는 경우, 안전 발판(100)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안전 발판(100)의 펼침 상태가 유도되도록 한다.
경사면(212)은 안전 발판(100)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면(212)은 안전 발판(100)의 상방으로의 회동을 유도하기 위한 X 방향으로의 하향 경사 에지(210a)를 갖는다. 하향 경사 에지(beveled edge; 210a)는 ZX 평면 내에서 X 방향을 따라 선형의 하향 경사각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경사 에지(210a)는 z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가지면서, 즉, z 방향으로 경사의 음의 기울기가 더 증가하는 방향으로 하방 경사를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면(212)은 정면측에서 바라볼 때 z 방향의 단부가 뾰족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슬라이딩 도어(1002)가 폐쇄시에 경사 에지(210a)의 단부는 안전 발판(100)의 측단 저부를 향해 들어가고, 슬라이딩 도어(1002)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움직일수록, 안전 발판(100)의 측단 저부는 상대적으로 경사 에지(210a)를 타고 오른다. 그에 따라, 경사 에지(210a)는 안전 발판(100)을 점차 상측으로 회동되어, 안전 발판(100)의 닫힘 상태를 유도한다. 반대로, 슬라이딩 도어(1002)가 개방하면, 경사 에지(210a)의 경사각을 따라 안전 발판(100)은 하향 회동하면서, 안전 발판(100)의 펼침 상태가 유도된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 에지(210a)에는 안전 발판(100)의 측단 저부와 사선 방향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윤활 부재(미도시), 예를 들면 볼 베이링 또는 롤러가 부설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발판(100)의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7은 안전 발판(100)의 구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안전 발판(100)은, 슬라이딩 도어(1002)가 폐쇄되기 위해 슬라이딩 도어(1002)가 스크린 도어 장치(1000)의 중앙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안전 발판(100)의 일측단 또는 양측단이 슬라이딩 도어(1002)의 하단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도어(1002)와 함께 연동되는 구동부(200)의 경사 인상부(210)와 접촉 및 밀착되면서 경사 인상부(210)의 경사면(210a)을 따라 안전 발판(100)의 저부가 연속적으로 밀어 올려지면서, 안전 발판(100)이 전체적으로 상측으로 회동하여, 안전 발판(100)의 접힘 상태가 유도된다. 이때, 단순 각형 형상의 안전 발판(100)의 측단과 구동부(200)의 경사 인상부(210)의 경사면(210a)이 서로 마찰하면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고, 잦은 사용으로 인해 안전 발판(100)의 측단과 구동부(200)의 경사 인상부(210)가 마모 및 파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발판(100)은 전술한 안전 발판(100)과 구동부(200)의 경사 인상부(210) 사이의 마찰로 인한 소음과 파손을 완화 또는 제거하기 위하여,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측단에 제 1 굴곡면(1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2점 쇄선은 안전 발판(10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굴곡면(110)의 굴곡이 시작되는 부분을 표현하기 위한 굽힘선이다.
제 1 굴곡면(110)은 경사 인장부(210)의 경사면(210a)이 안전 발판(100)의 측단과 밀착시 쉽고 안정적으로 안전 발판(100)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접혀질 수 있도록 안전 발판(100) 측단에 마련된 제 1 굴곡면(110)의 저부가 경사 인장부(210)의 경사면(210a)과 선접촉이 아닌 면접촉에 의해 서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여, 마찰과 소음을 감소 또는 제거시킴으로써 안전 발판(100)이 상측으로 쉽게 회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마모로 인한 안전 발판(100)의 수명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제 1 굴곡면(110)은 구동부(200)와 밀착하게 되는 안전 발판(100)의 측단에 형성되며 구동부(200)의 위치에 따라 안전 발판(100)의 일측단에만 형성되거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굴곡면(110)은 안전 발판(100)의 측단을 따라 상측 방향, 즉 Z 방향으로 굴곡 형성되고, 정면측으로, 즉 - Y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상측으로 굴곡되는 정도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도어(1002)의 폐쇄 동작이 수행되는 것에 연동하여, 구동부(200)가 이동하면서 구동부(200)의 경사면(210a)이 최초로 접촉하는 안전 발판(100)의 제 1 굴곡면(110)의 정면측, 즉 - Y 방향측(전철에 가까운 쪽)은 가장 상측으로 연장 및 굴곡됨으로써 구동부(200)가 용이하게 제 1 굴곡면(110)의 저면과 접촉 및 마찰하면서, 안전 발판(100)을 위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굴곡면(110)은 안전 발판(100)의 측단에서 측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게 되는데 후면에서 정면측으로 갈수록, 즉 -Y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측면 연장 너비가 점차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즉, 제 1 굴곡면(110)은 연장된 측면 말단이 후면에서 정면측으로 갈수록 점차 측면으로의 연장 너비가 확장되고, 상측으로 굴곡된 굴곡 정도가 점차 증가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선택적으로는,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200)의 경사 인상부(210)에서, 경사면(212)의 경사 에지(210a)는 제 2 굴곡면(213)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1002)가 폐쇄되도록 이동하면서 구동부(200)가 이에 연동하여 이동하면서, 구동부(200)의 경사 에지(210a)는 안전 발판(100)의 저면에 접촉하게 되고, 이때, 경사 에지(210a)의 제 2 굴곡면(213)은 안전 발판(100)의 제 1 굴곡면(110)에 선접촉이 아닌 면접촉을 하게 되고, 이로써, 제 1 굴곡면(110)과 제 2 굴곡면(213) 사이의 접촉과 습동은 낮은 마찰 상태와 소음을 억제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찰에 따른 안전 발판 장치의 수명 열화가 방지되고, 플랫폼 내에서 안전 발판 장치(1)의 정숙한 운영을 도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굴곡면(213)은 경사면(212)의 상단이 정면측으로 굽어지는 형상을 가지며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 2 굴곡면(213)은 경사면(212)의 돌출방향에 따라 점차 상측으로 굴곡되어 확장되는 너비가 점차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굴곡면(213)은 최초로 안전 발판(100)과 맞닿는 측단이 가장 굴곡되고, 굴곡되어 정면측으로 연장된 면적 또한 크게 형성되어 내측으로 안전 발판(100)의 측단이 쉽게 경사면(212)과 돌출면(211) 내측으로 인입되어 경사면(212) 내측면과 안전 발판(100) 하면이 쉽고 면접촉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제 2 굴곡면(213)은 상술된 제 1 굴곡면(110)과 밀착되면서 더욱 용이하게 구동부(200)가 안전 발판(100)이 상측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굴곡면(213)은 원호 단면을 가질 수도 있으며, 안전 발판(100)의 측단 하지와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마찰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여하의 곡면 또는 롤러의 표면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롤러의 경우, 마찰이 일어나는 표면이 안전 발판의 닫힘 상태를 유도할 때마다 달라져서, 구동부(200)의 경사 에지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경사 에지에 제공되는 롤러의 회전축은 경사 에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거나 경사 에지에 수직 또는 수직이 아닌 경사 방향을 가질 수도 있으며, 상기 롤러는 단일 또는 복수 개의 배열된 롤러일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한 쌍의 스크린 도어(1002)가 서로 측면이 붙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때, 즉, 전철이 아직 선로에 진입하지 않은 경우, 스크린 도어(1002)의 하단 가장자리와 결합된 구동부(200)를 통해 안전 발판(100)은 상측으로 회동되어 승강장(3)의 일면측으로 접혀져 구동부(200) 내측으로 수용 및 보관될 수 있다. 이후, 전철이 선로에 진입하여 정차하고, 승객이 승하차를 하기 위해 스크린 도어(1002)가 개방되면 구동부(200)가 안전 발판(100)의 측단측으로 스크린 도어(1002)에 연동되어 스크린 도어(1002)와 함께 이동하면서 안전 발판(100)의 측단에 형성된 제 1 굴곡면(110)과 구동부(200)의 경사면(212)상의 제 2 굴곡면(213)이 접촉하면서 안전 발판(100)이 경사 인상부(210)가 가지는 경사를 따라 하강될 수 있다.
이후,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크린 도어(1002)가 완전 개방되어 구동부(200)가 안전 발판(100)과 완전히 분리되면 안전 발판(100)은 승강장(3)의 일면과 수직하여 펼침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안전 발판(100)이 승강장(3)과 전동차간의 간격을 마감함으로써 승객의 발 등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또는 제 2 스토퍼들(310, 320; 300)을 나타낸 것이며,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스토퍼(310)의 설치 예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스토퍼(320)의 설치 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안전 발판(100)의 하측에는 승강장(3) 일면측에 구비되는 스토퍼(3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300)는 안전 발판(100)이 힌지(101)에 의해 회동될 때 지면에 평행한 상태, 즉 승객이 안정감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 발판(100)의 펼침 상태를 지지하거나 회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300)는 안전 발판(100)의 펼침 상태에서, 승강장(3) 일면에 위치하여 상측에 위치한 안전 발판(100)을 지지하고, 안전 발판(100)이 받는 하중을 안전 발판(100)의 전면적으로 분산시켜 견고하게 안전 발판(100)이 승객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스토퍼(300)가 안전 발판(100)을 지지함으로써 안전 발판(100)의 지지력이 향상되어 승객은 안전 발판(100)을 밟더라도 불안감을 느끼지 않아 승객에게 더 우수한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스토퍼(300)는 설치 위치 및 형상에 따라 승강장(3) 또는 고정 패널(102)에 결합되는 제 1 스토퍼(3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토퍼(300)는 안전 발판(100)의 측단에 위치하는 제 2 스토퍼(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토퍼(300)는 제 1 스토퍼(310)와 제 2 스토퍼(320)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 1 스토퍼(310)는 예시적으로 직각 절곡 형상(또는 'ㄱ'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펼침 상태의 안전 발판(100')의 회동을 제한하여, 펼침 상태의 안전 발판(100')의 상면과 승강장(30)의 표면이 서로 동일한 수평 레벨을 갖도록 유지할 수 있는 여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안전 발판(100)이 회동하면 제 1 스토퍼(310)의 상면은 펼침 상태에 있는 안전 발판(100')의 저면에 접촉하여, 안전 발판(100')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펼침 상태에 있는 안전 발판(100')의 상면과 승강장(3)의 표면은 동일한 수평 레벨을 가질 수 있으며, 제 1 스토퍼(310)는 승강장(3)의 표면에 대하여 펼침 상태의 안전 발판(100')의 상면이 동일한 수평 레벨을 안정적으로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 1 스토퍼(310)의 후면은 안전 발판(100) 하측에 위치한 승강장(3) 측면에 밀착되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패널(102)이 제공된 경우, 고정 패널(102)의 정면에 제 1 스토퍼(310)의 후면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제 1 스토퍼(310)는 결합된 후면의 상단에 수직하여 정면측으로 연장된 상면이 돌출되고, 이러한 상면으로 회동된 안전 발판(100)의 하면이 밀착되어 제 1 스토퍼(310)가 안전 발판(100)을 지지하고, 하측으로 더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9b를 참조하면 제 1 스토퍼(310')의 상면은 안전 발판(100)의 저면에 직접 결합 고정되며, 안전 발판(100)이 구동부(200)에 의해 접힘 상태일 때 제 1 스토파(310')의 다른 부분은 전동차가 진입하는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추후 스크린 도어(1002)가 개방되어 안전 발판(100)이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하측으로 회동하면, 안전 발판(100)의 저면에 직접 고정된 제 1 스토퍼(310)도 함께 회동되어. 제 1 스토퍼(310)의 후면(310s)이 승강장(3) 일면 또는 고정 패널(102)의 정면과 밀착하여 펼침 상태의 안전 발판(100')이 하측으로 더 이상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펼침 상태의 안전 발판(10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스토퍼(320)도 직각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스토퍼(320)의 수직 절곡되는 내측이 안전 발판(100)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 2 스토퍼(320)의 상면 중 안전 발판(100)의 힌지(101)가 위치한 후측 일부는 내측으로 힌지(101)가 인입될 수 있는 힌지 인입홈(321)이 형성되고, 힌지 인입홈(321) 내측으로 힌지(101)가 위치한 상태로 안전 발판(100)은 회동되어 상기 안전 발판(100) 하강시 제 2 스토퍼(320)의 상면에 밀착되어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구성을 갖는 스토퍼(300)를 통해 안전 발판(100)이 과도하게 하강 회동되어 승객이 안전 발판(100)을 밟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 발판(100)을 스토퍼(300)가 지지해줌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안전 발판(100)이 펼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스토퍼(300)는 돌출 너비가 안전 발판(100)의 돌출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어 스토퍼(300)와 전동차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400)를 갖는 안전 발판(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안전 발판(100)과 구동부(200)가 이격되면 안전 발판(100)은 중력에 의한 자중으로 자동적으로 펼침 상태로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자중에 의한 펼침 동작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 발판(100)에 인위적으로 무게를 증가시키기 위한 무게추(400)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무게추(400)는 안전 발판(100) 하면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구동부(200)가 개방되는 슬라이딩 도어(1002)에 연동되어, 구동부(200)가 안전 발판(100)으로부터 분리될 때, 안전 발판(100)이 자동으로 하강 회동될 수 있도록 무게추(400)가 안전 발판(100)의 정면측으로 무게를 더하게 되고, 이를 통해 안전 발판(100)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정면측이 빠르게 하강하여 안전 발판(100)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빠르게 하강하여 회동함으로써 펼침 상태를 유도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500)를 갖는 안전 발판(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안전 발판(100)의 하면과 승강장(3)의 일면 또는 고정 패널(102)의 정면을 연결하는 탄성 부재(500)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탄성 부재(500)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안전 발판(100)이 구동부(200)에 의해 상측으로 회동되어 접힘 상태를 유지하면 탄성 부재(500)는 신장된다. 구동부(200)가 개방되는 슬라이딩 도어(1002)에 연동되어, 구동부(200)가 안전 발판(100)으로부터 분리될 때, 안전 발판(100)이 자동으로 하강 회동될 수 있도록 탄성 부재(50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빠르게 수축되어 구동부(200) 분리와 동시에 안전 발판(100)이 빠르게 하강하여 펼침 상태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게추(400) 또는 탄성 부재(500)에 의해 구동부(200)가 안전 발판(100)으로부터 분리된 때에 안전 발판(100)이 펼침 상태로 변환하지 못하는 위험을 방지하고, 더욱 빠르게 펼쳐질 수 있도록 유도하여 승객이 미처 펼쳐지지 못한 안전 발판(100)을 밟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의 작동예를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스크린 도어(도 1의 1002 참조)가 외부 제어수단을 통해 개방신호를 수신하는 개방신호 수신 단계(S10)가 수행되고, 상기 개방신호 수신 단계(S10)를 통해 폐쇄된 스크린 도어(1002)가 개방되는 스크린 도어 개방 단계(S20)가 수행된다.
개방 단계(S20)에 연동하여, 스크린 도어(1002)에 결합된 구동부(200)가 내측에 접혀진 상태로 위치한 안전 발판(100)의 측단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되는 구동부 분리 단계(S30)가 수행된다.
구동부 분리 단계에 연동하여 닫힘 생태의 안전 발판(100)은 기계적으로 및 자동으로 하강 회동되는 하강유도 단계(S40)가 수행된다. 이후, 하강유도 단계(S40)를 통해 안전 발판(100)은 하측으로 하강하여 회동되고, 예를 들면, 이를 통해 스토퍼(300) 상면에 밀착 및 지지되어 펼쳐지는 안전 발판(100)의 펼침 단계(S50)를 수행하여 승객은 펼침 상태가 된 안전 발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단계들을 통해 펼침 및 닫침 동작을 수행하는 안전 발판(100)은 별도의 전원 없이도 스크린 도어(1002)의 개폐에 따라 이에 기계적으로 연동되어 자동으로 펼침 동작 및 접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고장 염려가 적고, 고장이 나더라도 그 구성이 간단하여 보수가 쉬운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안전 발판 장치 2: 스크린 도어
3: 승강장
100: 안전 발판 101: 힌지
102: 고정 패널 103: 절개홈
104: 제 1 관통홀 110: 제 1 굴곡면
120: 연장 발판 121: 제 2 관통홀
122: 걸림 볼트 123: 걸림 말단
200: 구동부 201: 결합부
202: 결합홀 210: 경사 인상부
211: 돌출면 212: 경사면
213: 제 2 굴곡면 300: 스토퍼
310: 제 1 스토퍼 320: 제 2 스토퍼
321: 힌지 인입홈 400: 무게추
500: 탄성 부재

Claims (17)

  1. 스크린 도어 하측에 위치하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안전 발판; 및
    상기 스크린 도어의 슬라이딩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미닫이 운동에 따라 연동되고, 상기 안전 발판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전 발판의 측단 저부와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경사 인상부를 갖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발판과 상기 구동부의 상기 경사 인상부가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안전 발판이 지면을 향해 회동하는 펼침 상태가 유도되고,
    상기 구동부의 상기 경사 인상부가 상기 안전 발판의 상기 측단 저부와 접촉하면서, 상기 안전 발판을 상기 슬라이딩 도어 쪽으로 회동시켜 들어 올림으로써 접힘 상태가 유도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크린 도어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 인상부는 상기 결합부의 측단 중 상기 안전 발판과 대향하는 측단에 수직하여 정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면; 및
    상기 돌출면의 정면에서 상기 안전 발판측으로 돌출되되, 상단과 하단이 하강하는 경사를 가지며 돌출하며, 돌출된 말단의 상단과 하단이 맞닿아 상면에 경사가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발판의 단부가 상기 돌출면과 상기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내측 공간에 인입되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크린 도어의 하단에 고정되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승강장 정면에 고정되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발판은 상기 안전 발판의 상면을 따라 정면측으로 이동 및 돌출할 수 있는 연장 발판을 포함하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발판의 너비는 상기 안전 발판의 너비보다 작은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6. 스크린 도어 하측에 위치하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안전 발판; 및
    상기 스크린 도어의 슬라이딩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미닫이 운동에 따라 연동되고, 상기 안전 발판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전 발판의 측단 저부와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경사 인상부를 갖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발판과 상기 구동부의 상기 경사 인상부가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안전 발판이 지면을 향해 회동하는 펼침 상태가 유도되고,
    상기 구동부의 상기 경사 인상부가 상기 안전 발판의 상기 측단 저부와 접촉하면서, 상기 안전 발판을 상기 슬라이딩 도어 쪽으로 회동시켜 들어 올림으로써 접힘 상태가 유도되고,
    상기 안전 발판의 측단에는 상측으로 굴곡 형성된 제 1 굴곡면이 제공되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굴곡면은 상기 안전 발판의 정면측으로 갈수록 굴곡도가 증가하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면의 돌출 너비는 상기 안전 발판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10. 스크린 도어 하측에 위치하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안전 발판; 및
    상기 스크린 도어의 슬라이딩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미닫이 운동에 따라 연동되고, 상기 안전 발판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전 발판의 측단 저부와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경사 인상부를 갖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발판과 상기 구동부의 상기 경사 인상부가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안전 발판이 지면을 향해 회동하는 펼침 상태가 유도되고,
    상기 구동부의 상기 경사 인상부가 상기 안전 발판의 상기 측단 저부와 접촉하면서, 상기 안전 발판을 상기 슬라이딩 도어 쪽으로 회동시켜 들어 올림으로써 접힘 상태가 유도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크린 도어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 인상부는 상기 결합부의 측단 중 상기 안전 발판과 대향하는 측단에 수직하여 정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면; 및
    상기 돌출면의 정면에서 상기 안전 발판측으로 돌출되되, 상단과 하단이 하강하는 경사를 가지며 돌출하며, 돌출된 말단의 상단과 하단이 맞닿아 상면에 경사가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의 상단에는 제 2 굴곡면이 형성된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발판 장치는,
    상기 안전 발판 하측에 직각 절곡 형상을 가지며, 상면에 하강하여 회동된 상기 안전 발판의 하면이 밀착되어 상기 안전 발판을 지면에 수평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안전 발판의 하측에 형성되며, 수직 절곡된 내측이 정면측을 향하게 설치되는 제 1 스토퍼; 또는
    상기 안전 발판의 측단 외측에 형성되며, 측면이 승강장 정면에 결합 고정되고, 상면에 회동된 상기 안전 발판의 하면이 밀착되어 거치되는 제 2 스토퍼를 포함하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토퍼는,
    상기 힌지가 인입되는 힌지 인입홈을 포함하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발판의 정면측 말단의 하면에는 무게추가 제공되며,
    상기 무게추는 상기 스크린 도어 개방시 상기 안전 발판이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안전 발판의 하면에 하중을 부가하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발판의 하면 중앙에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 부재가 더 제공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안전 발판을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시키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발판은 상기 안전 발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굴절부를 더 포함하는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17. 제 1 항 기재의 안전 발판 장치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KR1020210121255A 2021-09-10 2021-09-10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KR102573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255A KR102573554B1 (ko) 2021-09-10 2021-09-10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255A KR102573554B1 (ko) 2021-09-10 2021-09-10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025A KR20230038025A (ko) 2023-03-17
KR102573554B1 true KR102573554B1 (ko) 2023-09-07

Family

ID=85872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255A KR102573554B1 (ko) 2021-09-10 2021-09-10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5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2322B1 (ko) * 2023-10-24 2024-09-02 김현정 상하방향 회동가능한 승강장 유실물 방지판
KR102689218B1 (ko) * 2023-11-08 2024-07-26 김현정 승강장 연단 비접촉 가변식 안전발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0657A (zh) * 2017-05-21 2017-09-22 苏州亮磊知识产权运营有限公司 一种用于铁路交通站台的智能防跌落安全装置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761Y1 (ko) * 1994-08-10 1996-05-07 김재수 차량 출입구 안전장치
KR100918674B1 (ko) 2008-09-08 2009-09-22 이갑규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KR20130051158A (ko) * 2011-11-09 2013-05-20 ㈜스트롱플러스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KR101776092B1 (ko) * 2015-11-05 2017-09-07 송달영 철도 차량용 연결 발판
KR101940269B1 (ko) * 2017-06-14 2019-01-1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차용 안전 발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0657A (zh) * 2017-05-21 2017-09-22 苏州亮磊知识产权运营有限公司 一种用于铁路交通站台的智能防跌落安全装置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025A (ko) 202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3554B1 (ko) 지하철 스크린 도어용 안전 발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RU2380311C2 (ru)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лифта
EP1507734B1 (en) A crane assembly
US11091352B2 (en) Elevator car frame
US10005645B2 (en) Toe guard assembly for an elevator system
US20030213653A1 (en) Wheelchair lift for a stage
CN108394799B (zh) 一种加固的护脚板装置
JP2016183008A (ja) 乗客コンベア
EP2177469B1 (en) Transverse longitudinal joint
JP5611997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0924212B1 (ko) 탑승교의 터널부 이동장치
KR101058879B1 (ko)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
KR102497920B1 (ko) 비상도어 기능을 갖는 광고판 설치 승강장 스크린 도어
JP4437725B2 (ja) エレベーター乗場の仮設障壁体装置
KR102630862B1 (ko) 엘리베이터 점검용 사다리
KR101144942B1 (ko) 철도차량의 비상도어용 핸드레일
JP4351110B2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の可動乗場装置
JP6837567B2 (ja) エレベータ用ピット梯子装置、及びエレベータ用乗場ドア装置
KR102351808B1 (ko) 레일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
CN210798237U (zh) 一种房建搭载架
KR102501194B1 (ko) 스크린도어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입식 발빠짐방치패드
CN114531871B (zh) 电梯设备
KR102425329B1 (ko)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
JP4425689B2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605541B1 (ko) 3단 슬라이딩 레일을 이용한 지하철 피난계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