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278B1 - 센서 플랫폼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플랫폼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2278B1 KR102572278B1 KR1020220078659A KR20220078659A KR102572278B1 KR 102572278 B1 KR102572278 B1 KR 102572278B1 KR 1020220078659 A KR1020220078659 A KR 1020220078659A KR 20220078659 A KR20220078659 A KR 20220078659A KR 102572278 B1 KR102572278 B1 KR 1025722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case body
- platform device
- control board
- dat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4 caus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67 cellular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872 defe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60—Healthcare; Welfare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eth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 종류의 센서들이 장착될 수 있는 센서 플랫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상기 센서 플랫폼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전선에 의해 상기 센서가 어드레스를 인식하여 통신주소를 할당받고, 상기 할당된 통신주소에 의해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로부터 획득한 센싱 데이터를 모든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서 관리함으로써 인공지능 중앙 관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센서 별 모듈을 대신하여 하나의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고, 데이터 수집이 필요한 센서의 선택이 가능하여 장치 운용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사물인터넷 기술(IoT)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으며, 고정형과 이동형으로 모두 사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실시예들은 센서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한 센서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고령화, 소득의 증가 및 웰니스(Wellness) 문화의 확산으로 인해, 의료 패러다임이 점차 치료 중심에서 예방 및 관리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헬스 케어(Health Care) 산업이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의료와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이 융합된 스마트 헬스 케어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스마트 헬스 케어 분야는 의료 서비스를 넘어 스포츠 분야, 일상 생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신뢰도가 높고 편리한 데이터 수집을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와 결합된 헬스 케어 시스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그런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종래의 센서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일지 기반 수기 관리를 위해서나 불량 발생의 원인 추적을 위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인적 관리나 고지서 기반 사후 관리에 있어서 불편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로부터 획득한 센싱 데이터를 모든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서 관리함으로써 인공지능 중앙 관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센서 플랫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센서 별 모듈을 대신하여 하나의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장치 운용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센서 플랫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술(IoT)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으며, 고정형과 이동형으로 모두 사용 가능한 센서 플랫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복수 개 종류의 센서들이 장착될 수 있는 센서 플랫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상기 센서 플랫폼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전선에 의해 상기 센서가 어드레스를 인식하여 통신주소를 할당받고, 상기 할당된 통신주소에 의해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플랫폼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단이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의 케이스 바디; 상기 케이스 바디의 상측 개구부를 덮고 설치되는 케이스 덮개; 상기 센서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바디의 전단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연결 블록;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상기 센서 연결 블록으로부터 전달받는 제어 보드; 사용자로부터 요청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 보드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바디의 상측에 설치되는 키패드; 상기 제어 보드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바디의 상측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어 보드에 의해 구동되어 부저음을 출력하는 액티브 부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연결 블록은, 상기 센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센서의 구동을 위해 상기 센서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센서에 설치되는 표준 설계를 통해 규격화된 포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바디의 전단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케이스 바디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블록 바디; 상기 케이스 바디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바디의 전단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덮고 설치되며, 상기 포트가 삽입되기 위한 포트 삽입홀을 형성하는 블록 커버;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커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포트 삽입홀의 미사용 시 상기 포트 삽입홀을 덮고 체결되는 방수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는, 전단 및 후단의 각 하측에 다른 사물에 체결되기 위한 “L” 형상의 체결 프레임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연결 블록 및 상기 제어 보드는, 상기 센서와 I2C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보드는, 제어기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전용 클라우드 서버로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업로드하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전용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바디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플랫폼의 구동을 위해 상기 제어 보드로 공급하기 위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환자의 낙상을 판독하기 위한 측정값을 측정하기 위한 레이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실내 공기 중의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복합 공기질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건조 중인 물품의 건조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빗물 센서 릴레이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환자의 배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공기질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플랫폼 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로부터 획득한 센싱 데이터를 모든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서 관리함으로써 인공지능 중앙 관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센서 플랫폼 장치에 의하면, 센서 별 모듈을 대신하여 하나의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고, 데이터 수집이 필요한 센서의 선택이 가능하여 장치 운용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플랫폼 장치에 의하면, 사물인터넷 기술(IoT)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으며, 고정형과 이동형으로 모두 사용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플랫폼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은 도 1의 케이스 바디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센서 연결 블록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플랫폼에 적용이 가능한 센서의 종류를 나열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값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케이스 바디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센서 연결 블록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플랫폼에 적용이 가능한 센서의 종류를 나열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값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는 디바이스와 시스템 및 디바이스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이 수행될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PC나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가전처럼 고정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바이스는 차량 내 클러스터 또는 IoT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 동작이 가능한 기기들을 지칭할 수 있으며, 특정 타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기기를 디바이스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각 구성요소간 연결이 동일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5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센서 플랫폼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플랫폼 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플랫폼 장치(10)는 센서(800)가 장착되는 경우 전선에 의해 센서(800)가 어드레스를 인식하여 통신주소를 할당받도록 하고, 할당된 통신주소에 의해 센서(80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그 일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플랫폼 장치(10)는 마스터 장치로서 센서(800)와 I2C 통신방식에 의해 연결되고, 0V 및 5V의 전원으로 구성된 N개의 전선을 이용하여 2N개의 조합으로 생성된 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를 슬레이브인 센서가 자동으로 인지하여 통신주소를 구성할 수 있다. 전선이 4개인 경우에는 16개의 슬레이브 주소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할당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 별 모듈을 대신하여 하나의 플랫폼 장치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고, 데이터 수집이 필요한 센서의 선택이 가능하여 장치 운용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플랫폼 장치(10)는, 케이스 바디(100)와, 케이스 덮개(200)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 연결 블록(300)과, 제어 보드(400)와, 키패드(500)와, 디스플레이(600)와, 액티브 부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바디(100)는, 상단이 개방 형성되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 덮개(200)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 연결 블록(300)과, 제어 보드(400)와, 키패드(500)와, 디스플레이(600) 및 액티브 부저(70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케이스 바디(100)는, 전단 및 후단의 각 하측에 다른 사물(예를 들어, 책상 또는 선반 등)에 체결되기 위한 “L” 형상의 체결 프레임(120-1, 120-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덮개(200)는, 케이스 바디(100)의 상측 개구부를 덮고 설치되며, 키패드(500)와 디스플레이(600)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210, 220)이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연결 블록(300)은, 센서(800)가 연결 될 수 있도록 케이스 바디(100)의 전단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 연결 블록(300) 및 제어 보드(400)는, 센서(800)와 I2C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 보드(400)는, 본 발명의 구동을 통합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로서 센서(80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센서 연결 블록(300)으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무선통신을 통해 전용 클라우드 서버로 업로드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보드(400)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전용 클라우드 서버로 센서(80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업로드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를 이용하여 전용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센서(80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인공지능 중앙 관제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네트워크는, 상술한 WiFi의 무선 네트워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용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센서(800)에서 측정된 측정값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채널 번호(CH)(1 byte)(D1) 2) 센서 아이디(SID)(2 Bytes)(D2) 3) 데이터 타입(ToD(Type of Data))(1 byte)(0: ascii, 1: binary)(D3) 4) 데이터 길이(LoD(Length of Data))(1 byte)(D4) 5) 측정값(D5) 6) 데이터 지속성 확인(CT(counter))(0~100)(D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500)는,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예를 들어, 현재 작동 중인 센서(800)의 선택 등)을 입력받아 제어 보드(400)로 전달하기 위해 케이스 바디(100)의 상측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키패드(500)는,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눌러 입력하는 버튼식 또는 터치만으로 요청을 입력받는 터치식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입력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600)는, LCD 또는 LED 등과 같은 화면 출력 장치로서, 제어 보드(400)에서 제공되는 정보(예를 들어, 현재 센서(800)의 작동 상태 또는 센서(800)로부터 수신되는 측정값 등)를 출력하기 위해 케이스 바디(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액티브 부저(700)는, 제어 보드(400)에 의해 구동되어 본 발명의 작동을 알리기 위한 부저음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800)는 환자의 낙상을 판독하기 위한 측정값을 측정하기 위한 레이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센서는 요양 병원과 같이 노약자를 간병하기 위한 시설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가 필요한 각종 시설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800)는 실내 공기 중의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복합 공기질 센서와, 건조 중인 물품의 건조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빗물 센서 릴레이 모듈과, 환자의 배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공기질 센서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플랫폼(10)에 적용이 가능한 센서(800)는, 상술한 센서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준 설계를 하여 규칙을 지키는 누구나 모듈을 설계(예를 들어, 식품 관리 센서류, 환경 관리 센서류, 위험 관리 센서류 등)하여 이용이 가능하며, 통제 가능한 센서 모듈은 시중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따라, 시중에서 판매 중인 모든 레거시(legacy) 센서를 IoT 센서로 변경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센서를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어 여러 산업에 파급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플랫폼(10)은, 케이스 바디(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플랫폼의 구동을 위해 제어 보드(400)로 공급하기 위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플랫폼 장치(10)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으며, 센서 모듈의 선택이 가능하여 저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정형과 이동형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센서 연결 블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연결 블록(300)은, 블록 바디(310), 블록 커버(320) 및 방수 덮개(330)를 포함한다.
블록 바디(310)는, 센서(8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시에 센서(800)의 구동을 위해 센서(80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센서(800)에 설치되는 표준 설계를 통해 규격화된 포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케이스 바디(100)의 전단에 형성되는 개구부(110)와 대향하면서 케이스 바디(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블록 커버(320)는, 케이스 바디(10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 바디(100)의 전단에 형성되는 개구부(110)를 덮고 설치되며, 포트가 삽입되기 위한 포트 삽입홀(321)을 형성한다.
방수 덮개(330)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블록 커버(320)에 연결 설치되며, 포트 삽입홀의 미사용 시 포트 삽입홀을 덮고 체결된다.
여기서, 블록 커버(320) 및 방수 덮개(330)는, 연질의 고무 재질로 제작되어 사용상 기밀 성능이 향상되고 손쉬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명세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포함하도록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센서 플랫폼 100 : 케이스 바디
200 : 케이스 덮개 300 : 센서 연결 블록
400 : 제어 보드 500 : 키패드
600 : 디스플레이 700 : 액티브 부저
800 : 센서
200 : 케이스 덮개 300 : 센서 연결 블록
400 : 제어 보드 500 : 키패드
600 : 디스플레이 700 : 액티브 부저
800 : 센서
Claims (11)
- 복수 개 종류의 센서들이 장착될 수 있는 센서 플랫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상기 센서 플랫폼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N개의 전선을 이용하여 2N개의 조합으로 생성된 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를 슬레이브인 센서가 자동으로 인지하여 통신주소를 할당받고,
상기 할당된 통신주소에 의해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저장하며,
상단이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의 케이스 바디;
상기 케이스 바디의 상측 개구부를 덮고 설치되는 케이스 덮개;
상기 센서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바디의 전단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연결 블록;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상기 센서 연결 블록으로부터 전달받으며, 제어기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전용 클라우드 서버로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업로드하는 제어 보드;
사용자로부터 요청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 보드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바디의 상측에 설치되는 키패드;
상기 제어 보드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바디의 상측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어 보드에 의해 구동되어 부저음을 출력하는 액티브 부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보드는,
제어기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전용 클라우드 서버로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업로드하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전용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수신하며,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은, 채널 번호와, 센서 아이디와, 데이터 타입과, 데이터 길이와, 측정값과, 데이터 지속성 확인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플랫폼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연결 블록은,
상기 센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센서의 구동을 위해 상기 센서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센서에 설치되는 표준 설계를 통해 규격화된 포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바디의 전단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케이스 바디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블록 바디;
상기 케이스 바디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바디의 전단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덮고 설치되며, 상기 포트가 삽입되기 위한 포트 삽입홀을 형성하는 블록 커버;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커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포트 삽입홀의 미사용 시 상기 포트 삽입홀을 덮고 체결되는 방수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플랫폼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는,
전단 및 후단의 각 하측에 다른 사물에 체결되기 위한 “L” 형상의 체결 프레임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플랫폼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연결 블록 및 상기 제어 보드는,
상기 센서와 I2C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플랫폼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플랫폼의 구동을 위해 상기 제어 보드로 공급하기 위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플랫폼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환자의 낙상을 판독하기 위한 측정값을 측정하기 위한 레이다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플랫폼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실내 공기 중의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복합 공기질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플랫폼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건조 중인 물품의 건조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빗물 센서 릴레이 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플랫폼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환자의 배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공기질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플랫폼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8659A KR102572278B1 (ko) | 2022-06-28 | 2022-06-28 | 센서 플랫폼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8659A KR102572278B1 (ko) | 2022-06-28 | 2022-06-28 | 센서 플랫폼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2278B1 true KR102572278B1 (ko) | 2023-08-29 |
Family
ID=8780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8659A KR102572278B1 (ko) | 2022-06-28 | 2022-06-28 | 센서 플랫폼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2278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6113B1 (ko) * | 2013-07-29 | 2014-05-27 | 주식회사 에스원 | 혼합링 구조의 센서 네트워크 구현 방법 및 장치 |
KR20150067047A (ko) | 2013-12-09 | 2015-06-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모듈러 센서 플랫폼 |
KR20150120658A (ko) * | 2014-04-18 | 2015-10-28 | 주식회사 맥스포 | 센서 자동 인식형 무선 측정기 |
KR20170022819A (ko) * | 2015-08-21 | 2017-03-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홈 네트워크 시스템 |
KR20200039314A (ko) * | 2018-10-05 | 2020-04-16 | 주식회사 대양기술 |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 |
KR20200059532A (ko) * | 2018-11-21 | 2020-05-29 | 주식회사 대양기술 |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 |
KR102258011B1 (ko) * | 2020-09-23 | 2021-06-21 | 주식회사 내프터 | 낙상 예측 시스템 및 낙상 예측 방법 |
KR20210154608A (ko) | 2020-06-12 | 2021-12-21 | 주식회사 에버닌 |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
-
2022
- 2022-06-28 KR KR1020220078659A patent/KR10257227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6113B1 (ko) * | 2013-07-29 | 2014-05-27 | 주식회사 에스원 | 혼합링 구조의 센서 네트워크 구현 방법 및 장치 |
KR20150067047A (ko) | 2013-12-09 | 2015-06-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모듈러 센서 플랫폼 |
KR20150120658A (ko) * | 2014-04-18 | 2015-10-28 | 주식회사 맥스포 | 센서 자동 인식형 무선 측정기 |
KR20170022819A (ko) * | 2015-08-21 | 2017-03-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홈 네트워크 시스템 |
KR20200039314A (ko) * | 2018-10-05 | 2020-04-16 | 주식회사 대양기술 |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 |
KR20200059532A (ko) * | 2018-11-21 | 2020-05-29 | 주식회사 대양기술 |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장치 |
KR20210154608A (ko) | 2020-06-12 | 2021-12-21 | 주식회사 에버닌 |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
KR102258011B1 (ko) * | 2020-09-23 | 2021-06-21 | 주식회사 내프터 | 낙상 예측 시스템 및 낙상 예측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36721B1 (en) | Wearable access point | |
US10070292B2 (en) | Providing multiple virtual bluetooth low energy devices | |
CN107148787B (zh) | 一种发现方法及其电子设备 | |
Jiménez-Fernández et al. | Usability and interoperabilit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patient telemonitoring in chronic disease management | |
WO2012026752A2 (en) | Terminal and server for integratedly managing phd standard and phd non-standard data | |
AU2012205516A1 (en) | Medical device wireless network architectures | |
CN111565410B (zh) | 一种无线信号质量评估方法、电子设备及系统 | |
MX2014008678A (es) | Sistemas y metodos de monitorizacion remota para dispositivos medicos. | |
CN102647369A (zh) | 用于实现远程医疗的网关设备和远程医疗的实现方法 | |
CN103598884A (zh) | 一种基于移动平台的便携式远程心电检测系统 | |
Yuce et al. | Monitoring of physiological parameters from multiple patients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 |
WO2016091096A1 (zh) | 光感应音箱、光感应音箱控制方法及装置 | |
US20220353665A1 (en) | Device capability discovery method and p2p device | |
KR102572278B1 (ko) | 센서 플랫폼 장치 | |
Arnil et al. | Wireless sensor network-based smart room system for healthcare monitoring | |
CN111585817B (zh) | 一种省电模式的切换方法及装置 | |
WO2019015378A1 (zh) | 一种数据传输的方法及设备 | |
Mehdi et al. | Towards automated smart mobile crowdsensing for tinnitus research | |
JP7279119B2 (ja) | 重要業績評価指標の階層的計算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
Rehunathan et al. | vNurse: Using virtualisation on mobile phones for remote health monitoring | |
KR101635109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US10701746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pairing of devices | |
CN113572886A (zh) | 路由器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 |
US10687280B2 (en) | Low battery indication in Wi-Fi enabled device or sensor | |
CN115885256A (zh) | 用于更新iot装置的软件的软件更新网关和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