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74803B1 -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803B1
KR102574803B1 KR1020230058885A KR20230058885A KR102574803B1 KR 102574803 B1 KR102574803 B1 KR 102574803B1 KR 1020230058885 A KR1020230058885 A KR 1020230058885A KR 20230058885 A KR20230058885 A KR 20230058885A KR 102574803 B1 KR102574803 B1 KR 102574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ter
drainage
collecting well
fil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8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Priority to KR1020230058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77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72Installation or 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wherein the flow path through the stages can be changed, e.g. series-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8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specially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통이 구비되어, 물(오수) 여과통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된 후, 집수정으로 공급되어, 배수용 모터펌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은 집수정(10)의 상부면(11)에 수용통(20)의 상단이 결합되어, 수용통(20)이 집수정(10)의 상부면(11)에 매달린 상태로 집수정(10)의 내측 상단부에 배치되고, 수용통(20)에서 여과통(30)이 하부로 빠지지않도록, 수용통(20)에 여과통(30)이 끼워지고, 수용통(20)의 하단부에 개구부(23)가 형성되고, 수용통(20)의 상부 원통부(21)에 유입관(40)과 보조 배출관(45)이 각각 연결되어, 수용통(20)에 배치되는 유입관(40)의 유입구(41)와 보조 배출관(45)의 토출구(46)가 수용통(20)을 중심으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집수정(10)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집수정(10)의 측벽(12)에 제 1 내지 제 3 수위센서(51, 52, 53)가 각각 장착되고, 집수정(10)의 외부 받침부(13)에 배수용 모터펌프(60)가 배치되어, 집수정(10)의 외부에 배치된 배수용 모터펌프(60)에 의해 집수정(10)의 물이 배출되고, 보조 배출관(45)에 제 4 감지센서(54)가 장착되어, 제 4 감지센서(54)가 보조 배출관(45)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DRY PUMP PACKAGE SYSTEM FOR DRAINAGE}
본 발명은 여과통이 구비되어, 물(오수) 여과통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된 후, 집수정으로 공급되어, 배수용 모터펌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관을 통해 수용통으로 공급되는 물(오수)의 이물질이 수용통에 배치된 여과통에 의해 여과되고, 배수용 모터펌프가 집수정의 외부에 배치되고, 여과통의 막힘 상태를 보조 배출관에 장착된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로 판단할 수 있어, 여과통이 이물질에 의해 막혔을 때, 여과통의 이물질을 바로바로 비울 수 있는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574751호(2015년 11월 30일, 등록)에 "가압펌프를 이용한 집수정 물 자동배수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가압펌프를 이용한 집수정 물 자동배수장치는 상측에 토출관을 결합하며 내부에 흡입관이 결합되는 연결구가 설치된 상부보호관과; 상기 상부보호관에 설치된 연결구의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내부에서 다수의 전극봉이 수직으로 위치되게 설치된 전극봉홀더와; 상기 상부보호관의 하측에 내부로 결합되며 상부가 개구된 몸체 중간부분에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다수의 여과홀이 형성되고, 하단이 밀폐되게 형성된 하부보호관과; 상기 토출관과 일측이 연결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타측과 연결된 가압펌프와; 상기 가압펌프에 전원이 인가된 컨트롤러와 전극봉홀더를 연결하는 신호선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가압펌프를 이용한 집수정 물 자동배수장치에는 하부 보호관의 여과홀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확인하지 못하고, 하부 보호관의 여과홀이 이물질에 의해 막혔을 때 이를 해결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수정의 상부면에 수용통이 장착되고, 수용통에 여과통이 장착되고, 수용통에 유입관과 보조 배출관이 각각 연결되어, 유입관을 통해 수용통으로 공급되는 물(오수)의 이물질이 여과통에 의해 여과됨으로써, 이물질에 의해 배수용 모터펌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조 배출관에 감지센서가 장착되어, 감지센서가 보조 배출관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게 됨으로써, 여과통의 막힘 상태를 보조 배출관에 장착된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로 판단할 수 있어, 여과통이 이물질에 의해 막혔을 때, 여과통의 이물질을 바로바로 비울 수 있고, 집수정의 외부 받침부에 배수용 모터펌프가 배치됨으로써, 유지 관리가 편리한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입관이 수용통의 상부 원통부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되어, 유입관에서 수용통의 상부 원통부로 물이 공급될 때, 물이 상부 원통부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게 되고, 선회류의 물이 여과통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게 됨으로써, 여과통의 둘레에 이물질이 먼저 걸러지게 되어, 많은 양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은 집수정의 상부면에 수용통의 상단이 결합되어, 수용통이 집수정의 상부면에 매달린 상태로 집수정의 내측 상단부에 배치되고, 수용통에서 여과통이 하부로 빠지지않도록, 수용통에 여과통이 끼워지고, 수용통의 하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수용통의 상부 원통부에 유입관과 보조 배출관이 각각 연결되어, 수용통에 배치되는 유입관의 유입구와 보조 배출관의 토출구가 수용통을 중심으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집수정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집수정의 측벽에 제 1 내지 제 3 수위센서가 각각 장착되고, 집수정의 외부 받침부에 배수용 모터펌프가 배치되어, 집수정의 외부에 배치된 배수용 모터펌프에 의해 집수정의 물이 배출되고, 보조 배출관에 제 4 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제 4 감지센서가 보조 배출관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통은 상부 원통부와 하부 테이퍼부로 구분되고, 상부 원통부에 유입관과 보조 배출관이 각각 연결되고, 하부 테이퍼부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 테이퍼부의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보조 배출관에 제 4 감지센서가 장착됨으로써, 하부 테이퍼부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여과통이 수용통의 하부 테이퍼부에 배치되어, 하부 테이퍼부에 배치되는 여과통이 하부 테이퍼부에 걸려 하부로 빠지지않게 되며, 유입관에서 수용통으로 물이 공급되면,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통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여과통에 의해 여과된 물이 개구부를 통해 집수정의 내부로 낙하되고, 여과통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되면, 물이 보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고, 제 4 감지센서가 보조 배출관을 통과하는 물을 감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통은 유입관이 상부 원통부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유입관에서 수용통의 상부 원통부로 물이 공급될 때, 물이 상부 원통부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게 되고, 선회류의 물이 하부 테이퍼부에 배치된 여과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여과통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게 되어, 여과통의 둘레에 이물질이 먼저 걸러지게 되고, 물이 여과통의 하부면에 의해 여과된 후, 하부 테이퍼부의 개구부를 통해 집수정의 내부로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통은 상단이 뚜껑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통은 금속망 또는 타공망으로 형성되고, 수용통의 하부 테이퍼부에 대응되게 상광하협의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하부 원판에도 외주면의 구멍과 같은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은 보조 배출관의 제 4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제어부로 입력되면, 제어부는 여과통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거나 만수위 상태로 판단하여 경고를 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4 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될 때, 제 3 수위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만수위가 아닌 상태에서 여과통이 이물질에 의해 막힌 것으로 판단하여, 유입관을 차단하고, 경고를 계속해서 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달리, 제 4 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될 때, 제 3 수위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1차적으로 만수위 상태로 판단하여, 유입관을 통해 집수정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량을 줄이고, 배수용 모터펌프의 구동을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은 유입관을 통해 집수정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량을 줄이고, 배수용 모터펌프의 구동을 유지한 후, 제 4 감지센서와 제 3 수위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여과통이 막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종료하고, 제 1 수위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까지 배수용 모터펌프의 구동을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달리, 유입관을 통해 집수정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량을 줄이고, 배수용 모터펌프의 구동을 유지한 후, 제 3 수위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 4 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계속 입력되면, 여과통이 막힌 것으로 판단하여 유입관을 차단하고, 경고를 계속해서 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은 유입관을 통해 수용통으로 공급되는 물(오수)의 이물질이 여과통에 의해 여과됨으로써, 이물질에 의해 배수용 모터펌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여과통의 막힘 상태를 보조 배출관에 장착된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로 판단할 수 있어, 여과통이 이물질에 의해 막혔을 때, 여과통의 이물질을 바로바로 비울 수 있고, 집수정의 외부 받침부에 배수용 모터펌프가 배치됨으로써, 유지 관리가 편리하고, 선회류의 물이 여과통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게 됨으로써, 여과통의 둘레에 이물질이 먼저 걸러지게 되어, 많은 양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로, 수용통에서 여과통이 분리된 상태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로, 도 2는 수용통에서 여과통이 분리된 상태이고, 도 3은 여과통이 수용통 내에 배치된 상태이다.
도 4는 수용통에 여과통이 배치된 상태에서, 유입관을 통해 수용통으로 공급되는 물이 수용통의 내부로 선회하는 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은 집수정(10)의 상부면(11)에 수용통(20)의 상단이 결합되어, 수용통(20)이 집수정(10)의 상부면(11)에 매달린 상태로 집수정(10)의 내측 상단부에 배치되고, 수용통(20)에서 여과통(30)이 하부로 빠지지않도록, 수용통(20)에 여과통(30)이 끼워지고, 수용통(20)의 하단부에 개구부(23)가 형성되고, 수용통(20)의 상부 원통부(21)에 유입관(40)과 보조 배출관(45)이 각각 연결되어, 수용통(20)에 배치되는 유입관(40)의 유입구(41)와 보조 배출관(45)의 토출구(46)가 수용통(20)을 중심으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집수정(10)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집수정(10)의 측벽(12)에 제 1 내지 제 3 수위센서(51, 52, 53)가 각각 장착되고, 집수정(10)의 외부 받침부(13)에 배수용 모터펌프(60)가 배치되어, 집수정(10)의 외부에 배치된 배수용 모터펌프(60)에 의해 집수정(10)의 물이 배출되고, 보조 배출관(45)에 제 4 감지센서(54)가 장착되어, 제 4 감지센서(54)가 보조 배출관(45)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집수정(10)은 이미 잘 알려져 있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통(20)은 상부 원통부(21)와 하부 테이퍼부(22)로 구분되고, 상부 원통부(21)에 유입관(40)과 보조 배출관(45)이 각각 연결되고, 하부 테이퍼부(22)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 테이퍼부(22)의 하단에 개구부(23)가 형성되고, 보조 배출관(45)에 제 4 감지센서(54)가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하부 테이퍼부(22)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여과통(30)이 수용통(20)의 하부 테이퍼부(22)에 배치되어, 하부 테이퍼부(22)에 배치되는 여과통(30)이 하부 테이퍼부(22)에 걸려 하부로 빠지지않게 되며, 유입관(40)에서 수용통(20)으로 물(오수)이 공급되면, 물(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통(30)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여과통(30)에 의해 여과된 물이 개구부(33)를 통해 집수정의 내부로 낙하되고, 여과통(30)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되면, 물(오수)이 보조 배출관(45)을 통해 배출되고, 제 4 감지센서(54)가 보조 배출관(45)을 통과하는 물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수용통(20)은 유입관(40)이 상부 원통부(21)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유입관(40)에서 수용통(20)의 상부 원통부(21)로 물이 공급될 때, 물이 상부 원통부(21)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게 되고, 선회류의 물이 하부 테이퍼부(22)에 배치된 여과통(3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여과통(30)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게 되어, 여과통(30)의 둘레에 이물질이 먼저 걸러지게 되고, 물이 여과통(30)의 하부면에 의해 여과된 후, 하부 테이퍼부(22)의 개구부(23)를 통해 집수정(10)의 내부로 낙하된다.
또한, 상기 수용통(20)은 상단이 뚜껑(70)에 의해 커버됨으로써, 악취가 집수정(1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여과통(30)은 금속망 또는 타공망으로 형성되고, 수용통(20)의 하부 테이퍼부(22)에 대응되게 상광하협의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하부 원판(31)에도 외주면의 구멍과 같은 크기의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제 4 감지센서(54)는 물(오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워터센서, 포토커플러, 접전센서 등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건식 펌프 패키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일반적으로, 유입관(40)을 통해 집수정(10)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오수)은 여과통(30)에서 여과된 후, 집수정(10)에 저장되고, 집수정(10)에 저장되는 물은 배수용 모터펌프(6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는 제 1 내지 제 3 수위센서(51, 52, 53)의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저수위 상태로 판단하여 배수용 모터펌프(60)의 구동을 정지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수위센서(51, 52)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설정 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배수용 모터펌프(60)를 구동한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수위센서(51, 52, 53)의 감지신호가 모두 입력되면, 집수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량이 배수용 모터펌프(60)에 의해 토출되는 유량보다 많은 것으로 판단하여, 배수용 모터펌프(60)의 구동을 유지하고, 유입관(40)을 통해 집수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량을 줄이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는 보조 배출관(45)의 제 4 감지센서(54)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여과통(30)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거나 만수위 상태로 판단하여 경고를 발하게 된다.
이때, 제 4 감지센서(54)의 감지신호가 입력될 때, 제 3 수위센서(53)의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만수위가 아닌 상태에서 여과통(30)이 이물질에 의해 막힌 것으로 판단하여, 유입관(40)을 차단하고, 경고를 계속해서 발하게 된다.
그리고, 제 4 감지센서(54)의 감지신호가 입력될 때, 제 3 수위센서(53)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1차적으로 만수위 상태로 판단하여, 유입관(40)을 통해 집수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량을 줄이고, 배수용 모터펌프(60)의 구동을 유지하게 된다.
이후, 제 4 감지센서(54)와 제 3 수위센서(53)의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여과통(30)이 막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종료하고, 제 1 수위센서(51)의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까지 배수용 모터펌프(60)의 구동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달리, 유입관(40)을 통해 집수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량을 줄이고, 배수용 모터펌프(60)의 구동을 유지한 이후에, 제 3 수위센서(53)의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 4 감지센서(54)의 감지신호가 계속 입력되면, 여과통(30)이 막힌 것으로 판단하여 유입관(40)을 차단하고, 경고를 계속해서 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건식 펌프 패키지 시스템은 여과통(30)에 의해 물(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됨으로써, 배수용 모터펌프(60)가 이물질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수용 모터펌프(60)가 집수정(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유지 관리가 편리하고, 여과통(30)의 막힘 상태를 보조 배출관(45)의 제 4 감지센서(54)가 감지신호로 제어부가 판단할 수 있어, 여과통(30)이 이물질에 의해 막혔을 때, 여과통(30)의 이물질을 바로바로 비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입관(40)이 수용통(20)의 상부 원통부(21)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유입관(40)에서 수용통(20)의 상부 원통부(21)로 물이 공급될 때, 물이 상부 원통부(21)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게 되고, 선회류의 물이 여과통(30)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게 됨으로써, 여과통(30)의 둘레에 이물질이 먼저 걸러지게 되어, 많은 양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집수정 20 : 수용통
30 : 여과통 40 : 유입관
45 : 보조 배출관 51,52,53 : 제 1 내지 제 3 수위센서
60 : 배수용 모터펌프 70 : 뚜껑

Claims (10)

  1. 집수정(10)의 상부면(11)에 수용통(20)의 상단이 결합되어, 수용통(20)이 집수정(10)의 상부면(11)에 매달린 상태로 집수정(10)의 내측 상단부에 배치되고, 수용통(20)에서 여과통(30)이 하부로 빠지지않도록, 수용통(20)에 여과통(30)이 끼워지고, 수용통(20)의 하단부에 개구부(23)가 형성되고, 수용통(20)의 상부 원통부(21)에 유입관(40)과 보조 배출관(45)이 각각 연결되어, 수용통(20)에 배치되는 유입관(40)의 유입구(41)와 보조 배출관(45)의 토출구(46)가 수용통(20)을 중심으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집수정(10)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집수정(10)의 측벽(12)에 제 1 내지 제 3 수위센서(51, 52, 53)가 각각 장착되고, 집수정(10)의 외부 받침부(13)에 배수용 모터펌프(60)가 배치되어, 집수정(10)의 외부에 배치된 배수용 모터펌프(60)에 의해 집수정(10)의 물이 배출되고, 보조 배출관(45)에 제 4 감지센서(54)가 장착되어, 제 4 감지센서(54)가 보조 배출관(45)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통(20)은 상부 원통부(21)와 하부 테이퍼부(22)로 구분되고, 상부 원통부(21)에 유입관(40)과 보조 배출관(45)이 각각 연결되고, 하부 테이퍼부(22)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 테이퍼부(22)의 하단에 개구부(23)가 형성되고, 보조 배출관(45)에 제 4 감지센서(54)가 장착됨으로써, 하부 테이퍼부(22)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여과통(30)이 수용통(20)의 하부 테이퍼부(22)에 배치되어, 하부 테이퍼부(22)에 배치되는 여과통(30)이 하부 테이퍼부(22)에 걸려 하부로 빠지지않게 되며, 유입관(40)에서 수용통(20)으로 물이 공급되면,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통(30)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여과통(30)에 의해 여과된 물이 개구부(33)를 통해 집수정의 내부로 낙하되고, 여과통(30)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되면, 물이 보조 배출관(45)을 통해 배출되고, 제 4 감지센서(54)가 보조 배출관(45)을 통과하는 물을 감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통(20)은 유입관(40)이 상부 원통부(21)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유입관(40)에서 수용통(20)의 상부 원통부(21)로 물이 공급될 때, 물이 상부 원통부(21)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게 되고, 선회류의 물이 하부 테이퍼부(22)에 배치된 여과통(3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여과통(30)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게 되어, 여과통(30)의 둘레에 이물질이 먼저 걸러지게 되고, 물이 여과통(30)의 하부면에 의해 여과된 후, 하부 테이퍼부(22)의 개구부(23)를 통해 집수정(10)의 내부로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통(20)은 상단이 뚜껑(70)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통(30)은 금속망 또는 타공망으로 형성되고, 수용통(20)의 하부 테이퍼부(22)에 대응되게 상광하협의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하부 원판(31)에도 외주면의 구멍과 같은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출관(45)의 제 4 감지센서(54)로부터 감지신호가 제어부로 입력되면, 제어부는 여과통(30)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거나 만수위 상태로 판단하여 경고를 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감지센서(54)의 감지신호가 입력될 때, 제 3 수위센서(53)의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만수위가 아닌 상태에서 여과통(30)이 이물질에 의해 막힌 것으로 판단하여, 유입관(40)을 차단하고, 경고를 계속해서 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제 4 감지센서(54)의 감지신호가 입력될 때, 제 3 수위센서(53)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1차적으로 만수위 상태로 판단하여, 유입관(40)을 통해 집수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량을 줄이고, 배수용 모터펌프(60)의 구동을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유입관(40)을 통해 집수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량을 줄이고, 배수용 모터펌프(60)의 구동을 유지한 후, 제 4 감지센서(54)와 제 3 수위센서(53)의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여과통(30)이 막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종료하고, 제 1 수위센서(51)의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까지 배수용 모터펌프(60)의 구동을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유입관(40)을 통해 집수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량을 줄이고, 배수용 모터펌프(60)의 구동을 유지한 후, 제 3 수위센서(53)의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 4 감지센서(54)의 감지신호가 계속 입력되면, 여과통(30)이 막힌 것으로 판단하여 유입관(40)을 차단하고, 경고를 계속해서 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
KR1020230058885A 2023-05-08 2023-05-08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 KR102574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8885A KR102574803B1 (ko) 2023-05-08 2023-05-08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8885A KR102574803B1 (ko) 2023-05-08 2023-05-08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803B1 true KR102574803B1 (ko) 2023-09-06

Family

ID=87973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8885A KR102574803B1 (ko) 2023-05-08 2023-05-08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8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64096A (zh) * 2024-03-28 2024-05-03 上海天枢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曝气系统冷凝水和泄漏水排放报警装置
KR102676938B1 (ko) * 2023-10-24 2024-06-21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비상전원용 배터리가 구비된 배수용 건식 펌프 패키지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4168A1 (en) * 2005-11-01 2007-05-24 Fred Hazlehurst Pump
KR101721439B1 (ko) * 2014-12-09 2017-03-30 주식회사 해동 하수여과스크린
KR102011379B1 (ko) * 2019-03-29 2019-08-16 주식회사 이피코 오배수펌프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10001678A (ko) *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에너리트 버켓 타입 스트레이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4168A1 (en) * 2005-11-01 2007-05-24 Fred Hazlehurst Pump
KR101721439B1 (ko) * 2014-12-09 2017-03-30 주식회사 해동 하수여과스크린
KR102011379B1 (ko) * 2019-03-29 2019-08-16 주식회사 이피코 오배수펌프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10001678A (ko) *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에너리트 버켓 타입 스트레이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6938B1 (ko) * 2023-10-24 2024-06-21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비상전원용 배터리가 구비된 배수용 건식 펌프 패키지 시스템
CN117964096A (zh) * 2024-03-28 2024-05-03 上海天枢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曝气系统冷凝水和泄漏水排放报警装置
CN117964096B (zh) * 2024-03-28 2024-06-04 上海天枢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曝气系统冷凝水和泄漏水排放报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4803B1 (ko)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
KR20160069652A (ko) 하수여과스크린
FI79654C (fi) Roterande skivfilter.
KR101731949B1 (ko) 자연 유하식 역세 기능이 구비된 정수여과장치 및 역세방법
KR100676119B1 (ko) 여과장치
NZ211423A (en) Continuous filtration of suspension of solids using pressure filter:supply of feed slurry to filters maintained during backwash step
US20200108332A1 (en) Combination Of An Integrated Skimmer With A Deep Bed Media Filter
FI113456B (fi) Menetelmä ja laite vedenpoiston tarkkailemiseksi suspensiosta
CN105641994A (zh) 自动清洗过滤装置
KR100314211B1 (ko) 절삭유의 칩 여과장치 및 그 방법
JP2000288304A (ja) 目詰まり報知式フイルタ装置
WO2024232482A1 (ko) 배수용 건식 펌프패키지 시스템
CN105771365A (zh) 智能清洗过滤装置
US5049263A (en) Fluid strainer with blockage detection
EP0480881A1 (en) A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for liquids and solid particles, in particular for fluid suction equipment such as is used in dentistry
CN212228642U (zh) 用于钛白粉吸水量测定的装置
KR20090028134A (ko) 회전드럼식 고액분리기
JP2011011266A (ja) クーラント液浄化装置
JP3769561B2 (ja) 上向ろ過装置
CN218670050U (zh) 液压油除水装置
KR102677940B1 (ko) 부상슬러지와 침전슬러지의 연속 분리 배출 장치
CN218028535U (zh) 一种房屋建筑排水系统
CN215985343U (zh) 一种水质监控用自动采样器
JPH0761404B2 (ja) 液中の軽比重の浮遊物の除去装置
CN106673236A (zh) 报警式油水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