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64205B1 -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205B1
KR102564205B1 KR1020220166231A KR20220166231A KR102564205B1 KR 102564205 B1 KR102564205 B1 KR 102564205B1 KR 1020220166231 A KR1020220166231 A KR 1020220166231A KR 20220166231 A KR20220166231 A KR 20220166231A KR 102564205 B1 KR102564205 B1 KR 102564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self
sliding
wear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진
윤성식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CN202380021721.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8695831A/zh
Priority to PCT/KR2023/001031 priority patent/WO202315812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cables, chains or rib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1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combining rotational and torsional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actu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61F2005/016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퇴부와 하퇴부를 연결하는 무릎 관절과 같이 인체의 관절 부분에 착용되어 그 관절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체 관절의 복잡한 자유도의 움직임에 자동으로 정렬하여 움직이면서 관절 움직임을 보조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단순하고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비교적 낮은 가격에 제작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의 관절의 움직임에 맞추어 매우 높은 자유도로 관절 작동을 보조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Self-Aligning Joint Assistance Device}
본 발명은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퇴부와 하퇴부를 연결하는 무릎 관절과 같이 인체의 관절 부분에 착용되어 그 관절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릎 관절과 같은 인체의 다양한 관절에 착용하여 그 관절의 움직임을 보조함으로써, 사용자의 재활을 돕거나 움직임을 편하게 해주는 착용형의 로봇 구성이 몇몇 개발되었으나,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하기에는 여전히 불편함 점이 많다.
무릎 관절을 예로 들면 대퇴골에 대해 경골이 무릎 관절을 중심으로 단순히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향과 각도로 상대 이동과 상대 회전을 하면서 무릎 관절이 작동하게 된다. 또한, 사람마다 다른 관절의 구조로 인해 각 관절이 작동하면서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각도와 방향 등의 세부적인 움직임이 각각 다르다.
그러나, 종래의 착용형 보조 장치의 경우 단순한 1 자유도 회전 운동을 보조하도록 구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착용형 보조 장치는 제한된 자유도로 인해 인체 관절의 복잡한 움직임을 모사하여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자유도의 한계로 인해, 사용자가 착용형 보조 장치를 실제 착용하고 움직이면 인체 관절의 움직임과 보조 장치의 움직임이 동기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통증이나 불편감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개인별로 각각 다른 관절의 구조를 측정하여 그에 맞는 움직임을 맞춤형으로 구현하는 보조 장치를 제작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보조 장치의 구조도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개인의 관절 구조를 측정하거나 그에 맞추어 제작하지 않아도 관절의 움직임에 적응하여 움직이면서 높은 자유도로 관절의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는 장치가 있다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03524호 (2022.01.10)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4012호 (2016.03.0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교적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사용자의 관절의 움직임에 적응하여 높은 자유도로 움직이면서 관절이 작동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여 관절의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는, 인체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을 연결하는 관절 부근에 착용되어 관절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에 있어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롤러와, 상기 제1몸체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부분에 착용되는 제1부재;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롤러와, 상기 제2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부분에 착용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제1슬라이딩부에 대해 접촉한 상태로 상호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상기 중간 부재에 형성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2부재의 제2슬라이딩부에 대해 접촉한 상태로 상호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상기 중간 부재에 형성되는 제2접촉부와 상기 중간 부재에 설치되는 복수의 중간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유닛; 및 상기 제1부재와 중간 유닛과 제2부재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1부재와 중간 유닛과 제2부재가 상호 슬라이딩하여 정렬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1롤러와 복수의 중간 롤러와 복수의 제2롤러의 적어도 일부를 경유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는, 인체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을 연결하는 관절 부근에 착용되어 무릎 관절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에 있어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롤러와, 상기 제1몸체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부분에 착용되는 제1부재;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롤러와, 상기 제2몸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의 제1슬라이딩부에 대해 접촉한 상태로 상호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되는 제2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부분에 착용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상호 슬라이딩하여 정렬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1롤러와 복수의 제2롤러의 적어도 일부를 경유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인체 관절의 복잡한 자유도의 움직임에 자동으로 정렬하여 움직이면서 관절 움직임을 보조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단순하고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비교적 낮은 가격에 제작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의 관절의 움직임에 맞추어 매우 높은 자유도로 관절 작동을 보조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를 다리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는 인체의 관절 부근에 착용하여 관절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장치이다. 인체의 인대에 의해 연결되어 접히거나 펴지는 동작이 가능한 관절에 본 발명의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가 착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관절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접히는 동작을 하는 인체의 부분을 각각 제1부분 및 제2부분이라고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관절의 예로서 인체의 무릎 관절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무릎 관절의 경우 대퇴부(넓적다리)가 제1부분이 되고 하퇴부(종아리)가 제2부분이 된다.
이와 같이 무릎 관절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 무릎 관절을 펴는 동작을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보조하고, 와이어의 장력을 제거하면 하퇴부의 자중이나 근력에 의해 무릎 관절이 구부러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를 착용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는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와 중간 유닛(300)과 와이어(4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부재(100)는 제1착용 부재(610)에 의해 제1부분(10)(대퇴부, 넓적 다리)에 착용되어 고정되고, 제2부재(200)는 제2착용 부재(620)에 의해 사용자의 제2부분(20)(하퇴부, 종아리)에 착용되어 고정된다.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의 사이에는 중간 유닛(300)이 배치되어 상측으로는 제1부재(100)에 접하게 되고 하측으로는 제1부재(100)에 접하게 된다.
제1부재(100)는 제1몸체(110)와 복수의 제1롤러(130)와 제1슬라이딩부(120)를 구비한다. 제1부재(100)는 제1부분(10)의 측면에 면접촉할 수 있도록 판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제1롤러(130)는 제1몸체(110)에 설치된다. 제1슬라이딩부(120)는 제1몸체(110)의 하면에 형성된다. 즉, 중간 유닛(300)과 접촉하는 부분의 제1몸체(110)에 제1슬라이딩부(12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슬라이딩부(120)는 길이 방향(제1슬라이딩부(1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형성되어 연장된다. 또한, 제1슬라이딩부(120)는 관절(본 실시예의 경우 무릎 관절)이 접히는 방향(이하, 관절의 후방이라고 한다. 무릎 관절의 경우 무릎의 뒷 방향)으로 갈수록 중간 유닛(300)으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지도록 곡선형으로 휘어지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제1롤러(130)는 제1몸체(110)의 내부에 제1몸체(11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무릎의 전후방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다.
제2부재(200)는 제1부재(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1부재(100)에 대해 대략적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부재(200)는 제2몸체(210)와 복수의 제2롤러(230)와 제2슬라이딩부(220)를 구비한다. 제2부재(200)는 제2부분(20)의 측면에 면접촉할 수 있도록 판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제2롤러(230)는 제2몸체(210)에 설치된다. 제2슬라이딩부(220)는 제2몸체(210)의 상면에 형성된다. 즉, 중간 유닛(300)과 접촉하는 부분의 제2몸체(210)에 제2슬라이딩부(22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슬라이딩부(220)는 길이 방향(제2슬라이딩부(2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형성되어 연장된다. 또한, 제2슬라이딩부(220)는 관절이 접히는 방향으로 갈수록 중간 유닛(300)으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지도록 곡선형으로 휘어지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제2롤러(230)는 제2몸체(210)의 내부에 제2몸체(21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관절의 전후방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다.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유닛(300)은, 중간 부재(310)와 제1접촉부(321)와 제2접촉부(322)와 복수의 중간 롤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중간 부재(310)는 무릎 관절의 측면에 면접촉할 수 있도록 판상으로 형성된다.
제1접촉부(321)는 중간 부재(310)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1접촉부(321)는 제1부재(100)의 제1슬라이딩부(120)에 대해 접촉한 상태로 상호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접촉부(321)는 제1슬라이딩부(120)의 볼록한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슬라이딩부(120)와 제1접촉부(321)의 구조로 인해 제1부재(100)와 중간 부재(310)는 상호 접촉한 상태에서 상호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 상대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중간 유닛(300)의 제1접촉부(321)는 관절의 후방으로 갈수록 제1부재(100)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곡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제2접촉부(322)는 중간 부재(310)의 하면에 형성된다. 제2접촉부(322)는 제2부재(200)의 제2슬라이딩부(220)에 대해 접촉한 상태로 상호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접촉부(322)는 제2슬라이딩부(220)의 볼록한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슬라이딩부(220)와 제2접촉부(322)의 구조로 인해 제2부재(200)와 중간 부재(310)는 상호 접촉한 상태에서 상호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 상대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중간 유닛(300)의 제2접촉부(322)는 관절의 후방으로 갈수록 제2부재(200)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곡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중간 롤러(330)는 중간 부재(310)의 내부에 중간 부재(31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관절의 전후방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다.
제1부재(100)의 제1몸체(110)와 중간 유닛(300)의 중간 부재(310)는 제1연결 부재(510)에 의해 연결된다. 제1연결 부재(510)는 링크의 형태로 제1몸체(110)와 중간 부재(310)를 연결한다. 그에 따라 제1연결 부재(510)는 제1몸체(110)와 중간 부재(310)의 동일 편면상의 상호 슬라이딩 및 회전은 허용하면서 측방향 상대 이동은 방지하도록 제1부재(100)와 중간 유닛(300)을 연결한다.
제2부재(200)의 제2몸체(210)와 중간 유닛(300)의 중간 부재(310)는 제2연결 부재(520)에 의해 연결된다. 제2연결 부재(520)는 링크의 형태로 제2몸체(210)와 중간 부재(310)를 연결한다. 그에 따라 제2연결 부재(520)는 제2몸체(210)와 중간 부재(310)의 동일 편면상의 상호 슬라이딩 및 회전은 허용하면서 측방향 상대 이동은 방지하도록 제2부재(200)와 중간 유닛(300)을 연결한다.
제1부재(100)와 중간 부재(310) 사이의 측방향 상대 이동은 허용하지 않지만,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상호 기울어지는 것은 허용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연결 부재(510)는 적절하게 벤딩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된다. 제2연결 부재(520) 역시 제1연결 부재(510)와 마찬가지로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된다.
와이어(401)는 제1부재(100)와 중간 유닛(300)과 제2부재(200)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장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제1롤러(130)와 복수의 중간 롤러(330)와 복수의 제2롤러(230)들의 적어도 일부분을 경유하도록 설치된다. 즉, 와이어(401)를 당겨서 와이어(401)에 장력이 걸리면, 제1몸체(110)와 중간 부재(310)와 제2몸체(210)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하면서 와이어(401)의 경로가 가장 짧아지는 위치와 방향으로 서로 정렬되도록 와이어(401)는 각각 제1몸체(110)와 중간 부재(310)와 제2몸체(210)의 제1롤러(130)와 중간 롤러(330)와 제2롤러(230)를 다양한 경로로 경유하도록 배치된다. 그에 따라 제1롤러(130)들과 제2롤러(230)들 및 와이어(401)는 움직 도르래의 형태로 작동한다. 즉, 와이어(401)에 가해지는 비교적 작은 장력으로도 무릎 관절을 효과적으로 보조하여 무릎 관절이 펴질 수 있도록 보조하는 힘을 발생시키게 된다. 중간 롤러(330)들은 와이어(401)의 경로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와이어(401)의 한쪽 끝은 제2몸체(210)에 고정된다. 와이어(40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롤러(130)들과 제2롤러(230)들의 사이를 지그재그 형태로 교대로 경유하면서 동시에 중간 롤러(330)들에 의해 가이드되어 연장된다. 와이어(401)의 다른 쪽 끝은 구동 유닛(40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구동 유닛(400)은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어 와이어(401)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한다. 필요에 따라 구동 유닛(400)은 제1부분(10)과 같은 다른 부분에 착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구동 유닛(400)은 모터에 의해 와이어(401)를 당기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에 의해 와이어(401)에 장력을 전달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구동 유닛(400)은 와이어(401)에 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부재(100)를 제1부분(10)에 착용시키는 제1착용 부재(610)는 제1부재(100)를 제1부분(10)에 고정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떤 구조이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조의 제1착용 부재(610)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의 제1착용 부재(610)는 제1착용 지지부(611)와 제1밴드부(6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착용 지지부(611)는 제1부재(100)와 결합된다. 제1착용 지지부(611)는 합성 수지 재질의 얇은 판상 부재를 U자 형으로 구부려서 형성된다. 제1밴드부(613)는 탄성에 의해 신축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제1착용 지지부(611)의 양단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착용 지지부(611)는 제1부분(10)의 후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제1밴드부(613)는 제1부분(10)의 전면을 감싸도록 제1착용 지지부(611)의 양단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착용 부재(610)는 가볍고 단순한 구조로도 제1부분(10)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면서 제1부재(100)를 제1부분(10)에 착용시킬 수 있다. 또한, 무릎 관절이 작동하면서 제1부분(10)의 근육이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주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제1부재(100)를 제1부분(10)에 착용시킬 수 있다.
제2부재(200)를 제2부분(20)에 착용시키는 제2착용 부재(620)는 제1착용 부재(610)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된다. 제2착용 부재(620)는 제2착용 지지부(621)와 제2밴드부(6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착용 지지부(621)는 제2부재(200)와 결합된다. 제2착용 지지부(621)는 합성 수지 재질의 얇은 판상 부재를 U자 형으로 구부려서 형성된다. 제2밴드부(623)는 탄성에 의해 신축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제2착용 지지부(621)의 양단에 결합된다. 제2착용 지지부(621)는 제2부분(20)의 후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제2밴드부(623)는 제2부분(20)의 전면을 감싸도록 제2착용 지지부(621)의 양단에 결합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착용 부재(610)를 제1부분(10)에 착용하고 제2착용 부재(620)를 제2부분(20)에 착용하여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와이어(401)에 장력을 제거하면 사용자는 자유롭게 무릎 관절을 구부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가 되거나 지면에 앉는 동작과 같이 무릎을 구부리는 동작을 취하면, 도 2에 도시한 것고 같이 제1부재(100)와 중간 유닛(300)과 제2부재(200)가 제각각 움직이면서 무릎 관절의 움직임에 맞추어 상대 이동 및 상대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마다 하체의 구조나 동작 특성이 다르더라도 제1부재(100)와 중간 유닛(300)과 제2부재(200)는 서로 독립적으로 무릎 관절 구조에 적응하여 높은 자유도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401)에 장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의 무릎 관절 움직임에 전혀 저항을 주지 않고, 사용자에게도 불편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는 제1슬라이딩부(120) 및 제2슬라이딩부(220)가 각각 무릎의 후방으로 갈수록 중간 유닛(300)으로부터 멀어지는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무릎 관절을 구부릴 때에 제1부재(100) 및 제2부재(200)가 무릎 관절의 각도에 맞추어 더 원활하게 회전하게 된다. 중간 유닛(300)의 제1접촉부(321) 및 제2접촉부(322) 역시 무릎의 후방으로 갈수록 각각 제1부재(100) 및 제2부재(200)로부터 멀어지는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위와 같은 작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제1부재(100), 중간 유닛(300) 및 제2부재(200)가 각각 상대 이동 및 상대 회전하는 것에 맞추어 와이어(401)는 제1롤러(130), 중간 롤러(330), 제2롤러(230)들을 경유하면서 움직이게 된다. 구동 유닛(400)에 의해 와이어(401)에 아주 작은 장력만 걸리면서 와어어가 풀리면, 제1부재(100), 중간 유닛(300) 및 제2부재(200)는 와이어(401)의 장력 및 제1연결 부재(510) 및 제2연결 부재(520)에 의해 서로 접촉한 상대를 유지하면서 상호 슬라이딩되어 위치와 방향이 조정된다.
다음으로 구동 유닛(400)이 작동하여 와이어(401)를 당기면,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와이어(401)에 장력에 의해 제1부재(100), 중간 유닛(300) 및 제2부재(200)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무릎이 펴지게 된다. 구동 유닛(400)에 의해 와이어(401)가 당겨지면, 와이어(401)는 제1롤러(130), 중간 롤러(330), 제2롤러(230)를 회전시키면서 움직여서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가 각각 중간 유닛(300)에 대해 근접하고 회전 각도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힘을 전달한다. 이때, 제1부재(100), 중간 유닛(300) 및 제2부재(200)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높은 자유도로 상호 슬라이딩 회전 운동하면서 서로 거리와 각도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무릎 관절이 도시한 것과 같이 펴지게 된다. 대퇴부와 하퇴부는 서로 하나의 회전축에 대해 연결되는 구조가 아니라 무릎 관절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사람마다의 체형에 맞추어 복잡한 상대 운동을 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는 각각의 세부 구성 요소가 사용자의 자세 및 체형에 맞추어 자동으로 정렬되면서 무릎 관절의 움직임을 보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용자에게 불편감이나 이물감을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으로 무릎 관절의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401)는 제1롤러(130)들과 제2롤러(230)들을 경유하여 움직이면서 움직 도르래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구동 유닛(400)이 와이어(401)를 당기는 힘이 강하지 않아도 무릎을 펴는 동작을 충분히 강한 힘으로 보조할 수 있다. 즉, 출력이 크지 않은 구동 유닛(400)을 사용하여도 와이어(401)를 충분한 작동 변위로 당길 수만 있으면, 구동 유닛(400)에 의해 무릎 관절 움직임을 쉽게 보조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유닛(400)을 소형화 경량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를 비교적 낮은 가격에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롤러(130)들과 제2롤러(230)들은 와이어(401)가 움직 도르래로 작동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중간 롤러(330)들은 와이어(401)가 중간 유닛(30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중간 유닛(300) 내부의 와이어(401) 경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착용 지지부(611)와 제2착용 지지부(6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얇은 판상의 합성 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가볍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얇은 판상 부재라 할지라도 U자 형으로 휘어지면 제1부분(10)이나 제2부분(20)의 길이 방향으로 충분한 강성을 가지게 된다. 그에 따라 제1착용 지지부(611)와 제2착용 지지부(621)는 각각 제1부분(10)과 제2부분(20)의 후면을 감싸 지지하면서, 와이어(401)가 당겨져서 각각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에 무릎을 펴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킬 때 제1착용 지지부(611)와 제2착용 지지부(621)는 각각 제1부분(10)과 제2부분(20)에 효과적으로 힘을 전달하게 된다.
또한, 제1밴드부(613)와 제2밴드부(623)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제1착용 부재(610)와 제2착용 부재(620)가 각각 제1부분(10)과 제2부분(20)의 외경 크기에 맞추어 밀착되면서 착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내경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는 종래의 다른 착용 부재와 달리 제1착용 부재(610)와 제2착용 부재(620)는 제1부분(10)과 제2부분(20)의 근육의 수축 팽창에 변하는 외경 사이즈에 맞추어 수축 팽창하면서 착용 상태를 유지하므로 무릎 관절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보조하면서도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예를 들어, 앞에서 와이어(401)의 한쪽 끝은 제1부재(100)에 고정되고 다른 쪽 끝은 구동 유닛(400)에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와이어의 양쪽 끝이 모두 구동 유닛에 연결되어 동시에 당겨지거나 풀리도록 본 발명의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와이어의 한쪽 끝이 제2부재가 아니라 제1부재나 중간 유닛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 끝은 구동 유닛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와이어(401)의 경로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와이어(40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형태 이외에 다른 다양한 경로로 제1부재(100)와 중간 유닛(300)과 제2부재(200)를 경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는 제1롤러, 중간 롤러, 제2롤러를 적어도 한번 경유하도록 배치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롤러(130), 중간 롤러(330), 제2롤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지 않아도, 와이어(401)가 제1부재(100), 중간 유닛(300), 제2부재(200)를 각각 적어도 1회 경유하도록 연결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과 그에 따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구동 유닛(400)과 와이어(401)의 수는 1개로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와이어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와이어를 하나의 구동 유닛에 연결하여 당겨지거나 풀리도록 할 수도 있고, 와이어 마다 각각 별도의 구동 유닛을 연결하여 각각 당겨지거나 풀리도록 본 발명의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구동 유닛(400)은 사용자의 허리와 같은 인체 부분에 고정될 수도 있고, 제1착용 부재(610)나 제2착용 부재(6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구동 유닛(400)을 구비하지 않는 형태로 본 발명의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구동 유닛(400)을 구비하지 않는 형태로 생산, 판매되고, 사용자는 미리 준비된 구동 유닛(400)에 와이어(401)를 연결하여 본 발명의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부재(100), 중간 유닛(300), 제2부재(200), 제1착용 부재(610) 및 제2착용 부재(620)의 형상도 도면에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제1부재, 중간 유닛, 제2부재는 각각 다양한 다각형이나 곡면을 구비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부재, 중간 유닛, 제2부재의 형상에 따라 제1슬라이딩부, 제2슬라이딩부, 제1접촉부, 제2접촉부의 형상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히, 제1슬라이딩부와 제1접촉부가 전체적으로 면접촉하지 않고 일부 지점에서만 접촉하는 형태로 재1부재 및 중간 유닛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슬라이딩부와 제2접촉부 사이의 관계와 관계와 형상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1슬라이딩부(120), 제2슬라이딩부(220), 제1접촉부(321), 제2접촉부(322)의 요철 형상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요철을 구비하지 않는 형태로 각각 제1슬라이딩부, 제2슬라이딩부, 제1접촉부, 제2접촉부의 형상을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호 접촉면을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홈과 그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의 형태로 제1슬라이딩부, 제2슬라이딩부, 제1접촉부, 제2접촉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슬라이딩부(120), 제2슬라이딩부, 제1접촉부, 제2접촉부에 상술한 바와 같은 곡면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로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부재(100), 제2부재(200), 중간 유닛(30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무릎이 펴진 상태에서 제1부재, 중간 유닛, 제2부재 사이의 간격이 가장 작아서 서로 밀착한 상태가 되면, 와이어(401)의 장력에 의해 제1부재(100), 중간 유닛(300), 제2부재(200)는 서로 자동 정렬되어 위치와 방향을 찾으면서 무릎 관절을 보조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무릎이 완전히 펴진 상태가 아니라 소정 각도로 구부려진 상태가 제1부재, 중간 유닛, 제2부재가 서로 밀착되어 정렬된 위치가 되도록 제1부재, 중간 유닛, 제2부재의 형상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연결 부재(510) 및 제2연결 부재(520)를 구비하지 않는 형태로 본 발명의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것과 다른 형태와 구조를 가지는 제1연결 부재 및 제2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는 중간 유닛의 구조가 제1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와 차이가 있다고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그에 따라 중간 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와 동일한 부재 번호를 부여하여 도시하고, 해당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의 중간 부재(310)는 복수의 중간 몸체(3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의 중간 부재(310)는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었으나,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의 중간 부재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3개의 중간 몸체(311)로 구성된다. 중간 몸체(311)들은 인접하는 중간 몸체(311)들에 대해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중간 접촉부(3111)를 구비한다. 중간 몸체(311)들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은 중간 접촉부(3111)로 형성되어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중간 몸체(311)들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중간 롤러(33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중간 유닛(300)의 중간 부재(310)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제1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작동 관계도 제1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는 와이어(401)가 당겨지거나 풀리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부재(100)와 중간 유닛(300) 및 제2부재(200)가 서로 슬라이딩하면서 무릎 관절의 움직임에 맞추어 위치와 방향이 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중간 유닛(300)의 중간 부재(310)들도 상호 슬라이딩하면서 위치와 각도가 와이어(401)의 장력에 의해 조절된다. 중간 부재(310)들은 와이어(40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장력에 따라 서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위치와 방향이 관절의 움직임에 맞추어 조절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역시 앞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와 마찬가지로 다양하게 그 구성들이 변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 번호를 부여하여 도시하고 설명한다.
제3실시예의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는 중간 유닛(300)을 구비하지 않는 점에 특징이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 번호를 부여하여 도시하고, 해당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의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는 중간 유닛(300)이 없고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가 직접 서로 접촉한 상태로 서로 슬라이딩하면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제1부재(100)의 제1슬라이딩부(121)와 제2부재(200)의 제2슬라이딩부(221)가 서로 접촉하여 상호 슬라이딩하여 움직이게 된다.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는 와이어(401)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와이어(401)는 제1부재(100)의 제1롤러(130)들과 제2부재(200)의 제2롤러(230)들을 경유하여 움직이면서 제1부재(100) 및 제2부재(200)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장력을 전달한다.
와이어(401)의 장력이 감소하여 와이어(401)가 풀리면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호 각도로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구동 유닛(400)에 의해 와이어(401)가 당겨지면 와이어(401)의 장력에 의해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호 각도도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부재(100) 및 제2부재(200) 사이의 움직임을 더욱 원활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1슬라이딩부(121)와 제2슬라이딩부(221)에 관절이 접히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대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슬라이딩부(121)와 제2슬라이딩부(221)가 상호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도록 한쪽은 오목하고 한쪽은 볼록하게 형성하거나, 한쪽은 홈으로 형성하고 다른 한쪽은 그 홈에 삽입되어 움직이는 돌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실시예의 제1연결 부재(510) 및 제2연결 부재(520)와 유사하게,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부재의 구성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앞에서 주로 무릎 관절에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무릎 관절뿐만 아니라 인체의 다른 다양한 관절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100: 제1부재 110: 제1몸체
120, 121: 제1슬라이딩부 130: 제1롤러
200: 제2부재 210: 제2몸체
220, 221: 제2슬라이딩부 230: 제2롤러
300: 중간 유닛 310: 중간 부재
311: 중간 몸체 3111: 중간 접촉부
321: 제1접촉부 322: 제2접촉부
330: 중간 롤러 401: 와이어
400: 구동 유닛 510: 제1연결 부재
520: 제2연결 부재 610: 제1 착용 부재
611: 제1착용 지지부 613: 제1밴드부
620: 제2착용 부재 621: 제2착용 지지부
623: 제2밴드부 10: 제1부분
20: 제2부분

Claims (22)

  1. 인체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을 연결하는 관절 부근에 착용되어 관절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에 있어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롤러와, 상기 제1몸체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부분에 착용되는 제1부재;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롤러와, 상기 제2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부분에 착용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제1슬라이딩부에 대해 접촉한 상태로 상호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상기 중간 부재에 형성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2부재의 제2슬라이딩부에 대해 접촉한 상태로 상호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상기 중간 부재에 형성되는 제2접촉부와 상기 중간 부재에 설치되는 복수의 중간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유닛; 및
    상기 제1부재와 중간 유닛과 제2부재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1부재와 중간 유닛과 제2부재가 상호 슬라이딩하여 정렬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1롤러와 복수의 중간 롤러와 복수의 제2롤러의 적어도 일부를 경유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부와 제1접촉부는 상호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슬라이딩부 및 제1접촉부가 각각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한쪽은 오목하고 다른 한쪽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슬라이딩부와 제2접촉부는 상호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2슬라이딩부 및 제2접촉부가 각각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한쪽은 오목하고 다른 한쪽은 볼록하게 형성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제1슬라이딩부는 상기 관절이 접히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중간 유닛으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의 제2슬라이딩부는 상기 관절이 접히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중간 유닛으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곡면을 포함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유닛의 제1접촉부는 상기 관절이 접히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부재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유닛의 제2접촉부는 상기 관절이 접히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2부재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곡면을 포함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유닛의 제1접촉부는 상기 관절이 접히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부재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유닛의 제2접촉부는 상기 관절이 접히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2부재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곡면을 포함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제1몸체와 상기 중간 유닛의 중간 부재의 동일 평면상의 상호 슬라이딩 및 회전은 허용하면서 측방향 상대 이동은 방지하도록 상기 제1몸체와 중간 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 부재; 및
    상기 제2부재의 제2몸체와 상기 중간 유닛의 중간 부재의 동일 평면상의 상호 슬라이딩 및 회전은 허용하면서 측방향 상대 이동은 방지하도록 상기 제2몸체와 중간 부재를 연결하는 제2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 부재 및 제2연결 부재는 벤딩을 허용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유닛의 중간 부재는,
    서로 인접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중간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중간 몸체는 각각 인접하는 다른 중간 몸체에 대해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중간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유닛의 복수의 중간 롤러는 상기 복수의 중간 몸체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를 상기 제1부분에 착용시키는 제1착용 부재; 및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2부분에 착용시키는 제2착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용 부재는, 판상 부재를 U자 형으로 구부려서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와 결합되는 제1착용 지지부와, 상기 제1착용 지지부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부분을 탄성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제1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착용 부재는, 판상 부재를 U자 형으로 구부려서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와 결합되는 제2착용 지지부와, 상기 제1착용 지지부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부분을 탄성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제2밴드부를 포함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의 한 쪽 끝은 상기 구동 유닛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상기 제1몸체와 중간 부재와 제2몸체 중의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의 양쪽 끝은 상기 구동 유닛에 연결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13. 인체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을 연결하는 관절 부근에 착용되어 무릎 관절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에 있어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롤러와, 상기 제1몸체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1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부분에 착용되는 제1부재;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롤러와, 상기 제2몸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의 제1슬라이딩부에 대해 접촉한 상태로 상호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되는 제2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부분에 착용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상호 슬라이딩하여 정렬되도록 상기 복수의 제1롤러와 복수의 제2롤러의 적어도 일부를 경유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부와 제2슬라이딩부는 상호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슬라이딩부 및 제2슬라이딩부가 각각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한쪽은 오목하고 다른 한쪽은 볼록하게 형성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제1슬라이딩부는 상기 관절이 접히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2부재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곡면을 포함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의 제2슬라이딩부는 상기 관절이 접히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부재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곡면을 포함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제1몸체와 상기 제2부재의 제2몸체의 동일 평면상의 상호 슬라이딩 및 회전은 허용하면서 측방향 상대 이동은 방지하도록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벤딩을 허용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를 상기 제1부분에 착용시키는 제1착용 부재; 및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2부분에 착용시키는 제2착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용 부재는, 판상 부재를 U자 형으로 구부려서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와 결합되는 제1착용 지지부와, 상기 제1착용 지지부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부분을 탄성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제1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착용 부재는, 판상 부재를 U자 형으로 구부려서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와 결합되는 제2착용 지지부와, 상기 제1착용 지지부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부분을 탄성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제2밴드부를 포함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21.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의 한 쪽 끝은 상기 구동 유닛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중의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22.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의 양쪽 끝은 상기 구동 유닛에 연결되는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KR1020220166231A 2022-02-15 2022-12-02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KR102564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380021721.8A CN118695831A (zh) 2022-02-15 2023-01-20 自对准关节辅助装置
PCT/KR2023/001031 WO2023158124A1 (ko) 2022-02-15 2023-01-20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508 2022-02-15
KR20220019508 2022-0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205B1 true KR102564205B1 (ko) 2023-08-07

Family

ID=8756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6231A KR102564205B1 (ko) 2022-02-15 2022-12-02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64205B1 (ko)
CN (1) CN118695831A (ko)
WO (1) WO2023158124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7370A (ja) * 2000-08-18 2004-03-11 オリヴァー クリスペン ロバティックス リミテッド 加工工具またはセンサーのロボット位置決めにおける及び関する改良
KR101521784B1 (ko) * 2014-03-24 2015-05-20 이성종 허리 보호대
KR20160024012A (ko) 2014-08-22 2016-03-04 김순왕 무릎관절 보조기구
KR20170061583A (ko) * 2015-11-26 2017-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20180066715A (ko) * 2016-12-09 201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조인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20210049525A (ko) * 2019-10-25 2021-05-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착용이 가능한 상지 재활 장치
KR20220003524A (ko) 2019-04-26 2022-01-10 마이오스위스 아게 웨어러블 보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76151T3 (es) * 2011-02-25 2020-07-29 Corin Ltd Un método implementado por ordenador para proporcionar datos de información de alineación para la alineación de un implante ortopédico para una articulación de un paciente
US20210378853A1 (en) * 2020-06-09 2021-12-09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Wearable interface for intelligent health promotion service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7370A (ja) * 2000-08-18 2004-03-11 オリヴァー クリスペン ロバティックス リミテッド 加工工具またはセンサーのロボット位置決めにおける及び関する改良
KR101521784B1 (ko) * 2014-03-24 2015-05-20 이성종 허리 보호대
KR20160024012A (ko) 2014-08-22 2016-03-04 김순왕 무릎관절 보조기구
KR20170061583A (ko) * 2015-11-26 2017-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20180066715A (ko) * 2016-12-09 201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조인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20220003524A (ko) 2019-04-26 2022-01-10 마이오스위스 아게 웨어러블 보조 장치
KR20210049525A (ko) * 2019-10-25 2021-05-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착용이 가능한 상지 재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695831A (zh) 2024-09-24
WO2023158124A1 (ko)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549845B2 (ja) 運動補助装置
KR102250260B1 (ko)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102696482B1 (ko) 운동 보조 장치
KR102443794B1 (ko) 운동 보조 장치
KR100834074B1 (ko) 무릎관절 정형용 보조기구
KR20180060853A (ko) 운동 보조 장치
KR102541908B1 (ko) 프레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102586197B1 (ko) 운동 보조 장치
JP6390991B2 (ja) 関節補助器具
KR102710749B1 (ko) 운동 보조 장치
KR102432862B1 (ko) 조인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JP2007275482A (ja) 膝関節補助装置
KR102679333B1 (ko) 운동 보조 장치
KR20190033963A (ko) 운동 보조 장치
KR20150134888A (ko)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102564205B1 (ko) 자기 정렬이 가능한 관절 보조 장치
KR20210055032A (ko)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JP2017121472A (ja) フレーム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含む運動補助装置
KR102017518B1 (ko) 관절 보조장치
KR102657960B1 (ko) 힘 전달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102062598B1 (ko) 관절 보조장치
WO2019198269A1 (ja) 歩行補助装置
JP7578353B1 (ja) 補助具
JP6831873B2 (ja) 筋力補助装置
US20240009058A1 (en) Exercise assistance device including slider in which balls are accomoda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