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734B1 -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9734B1 KR102539734B1 KR1020220010160A KR20220010160A KR102539734B1 KR 102539734 B1 KR102539734 B1 KR 102539734B1 KR 1020220010160 A KR1020220010160 A KR 1020220010160A KR 20220010160 A KR20220010160 A KR 20220010160A KR 102539734 B1 KR102539734 B1 KR 1025397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d film
- lead
- battery cell
- battery
- battery cas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BQCIDUSAKPWEOX-UHFFFAOYSA-N 1,1-Difluoroethene Chemical compound FC(F)=C BQCIDUSAKPWEO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XUCNUKMRBVNAPB-UHFFFAOYSA-N fluoroethene Chemical compound FC=C XUCNUKMRBVNAP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BFKJFAAPBSQJPD-UHFFFAOYSA-N tetrafluoroethene Chemical group FC(F)=C(F)F BFKJFAAPBSQJP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22 ve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DINCKMPIJJUCX-UHFFFAOYSA-N Calcium oxide Chemical compound [Ca]=O ODINCKMPIJJUC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2 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4 Perfluoro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VQLCTNNEUAWMS-UHFFFAOYSA-N barium oxide Chemical compound [Ba]=O QVQLCTNNEUAWM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QQADJVZYDDRJT-UHFFFAOYSA-N ethene;prop-1-ene Chemical group C=C.CC=C HQQADJVZYDDR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KWGKDLIKAYFUFQ-UHFFFAOYSA-M lith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Li+].[Cl-] KWGKDLIKAYFUF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9441 perflouroethylene 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086 sid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0 vapo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4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internal coating on the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3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having a layere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94—Gas-pervious parts or elem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은, 전극조립체가 수납부에 장착되되, 외주변이 밀봉된 구조의 실링부를 포함하는 전지케이스; 상기 전극조립체에 포함된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실링부를 경유하여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극 리드; 및 상기 전극 리드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실링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리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리드 필름은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만입되고 상기 전지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개방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드 필름의 가스 배출 부분 상에 위치하고, 불소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지셀 내부에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차 전지는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동력 장치에 대한 에너지원으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여기서,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전극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구조로 이루어져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에 개재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으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도, 특히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가, 낮은 제조 비용, 작은 중량, 용이한 변형 형태 등을 이유로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전지셀의 에너지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지셀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량 또한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전지셀의 경우, 전지셀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부품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전지셀은 가스 발생으로 인해 벤팅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벤팅 현상에 의해 손상된 전지셀은 수분이 내부로 침투할 수 있어, 부반응이 발생될 수 있고, 전지 성능 저하 및 추가적인 가스 발생 또한 초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지셀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전지셀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고안되었으나, 가스가 전지셀 외부로 방출되면서 동시에 수분이 전지셀 내부로 침투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전지셀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면서도 수분이 전지셀 내부로 침투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전지셀을 개발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지셀 내부에 발생된 가스의 외부 배출량이 향상되면서 전지셀 내부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기 구현예의 전지셀이 제공된다.
제1 구현예는,
전극조립체가 수납부에 장착되되, 외주변이 밀봉된 구조의 실링부를 포함하는 전지케이스; 상기 전극조립체에 포함된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실링부를 경유하여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극 리드; 및 상기 전극 리드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실링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리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리드 필름은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만입되고 상기 전지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개방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드 필름의 가스 배출 부분 상에 위치하고, 불소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지셀에 관한 것이다.
제2 구현예는, 제1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리드 필름의 가스 배출 부분이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구현예는, 제1 구현예 또는 제2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가 제1 함몰부 및 제2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함몰부의 폭은 제1 함몰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4 구현예는, 제3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함몰부가 제1 함몰부보다 전극 조립체가 수납된 방향과 멀게 위치할 수 있다.
제5 구현예는, 제3 구현예 또는 제4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함몰부의 일부가 상기 실링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6 구현예는, 제3 구현예 내지 제5 구현예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함몰부의 일부가 실링부와 대응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7 구현예는, 제3 구현예 내지 제6 구현예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함몰부의 전지케이스 외측 방향의 단부는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8 구현예는, 제3 구현예 내지 제7 구현예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함몰부는 상기 실링부의 단부와 상기 리드 필름의 단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9 구현예는, 제3 구현예 내지 제8 구현예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이 상기 제2 함몰부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0 구현예는, 제3 구현예 내지 제9 구현예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함몰부는 상기 전극 리드의 돌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제2 함몰부는 상기 실링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11 구현예는, 제1 구현예 내지 제10 구현예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고분자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etrafluoroethylene), 플루오르화비닐(vinyl fluoride),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inylidene fluoride),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구현예는, 제1 구현예 내지 제11 구현예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0.1 ㎛ 내지 2 mm일 수 있다.
제13 구현예는, 제1 구현예 내지 제12 구현예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 리드의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함몰부의 내면은 폐쇄되어 있을 수 있다.
제14 구현예는, 제13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리드 필름의 함몰부 내면 중 적어도 일면을 덮는 내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5 구현예는, 제14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을 이루는 소재는, 상기 리드 필름을 이루는 소재 대비하여 녹는점이 높고, 전해액에 반응하지 않을 수 있다.
제16 구현예는, 제1 구현예 내지 제15 구현예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리드 필름은 폴리올레핀 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7 구현예는, 제15 구현예 또는 제16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은 폴리올레핀 계열, 불소 계열, 및 다공성 세라믹 계열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8 구현예는, 제1 구현예 내지 제17 구현예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전극 리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9 구현예는, 제1 구현예 내지 제18 구현예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리드 필름의 길이는 상기 전극 리드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20 구현예는, 제19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전극 리드의 단부와 상기 리드 필름의 단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1 구현예는, 제1 구현예 내지 제20 구현예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전지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단부는 상기 전지케이스의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2 구현예는, 제1 구현예 내지 제21 구현예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 리드의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함몰부의 전면을 감싸는 리드 필름의 폭이 2 mm 이상일 수 있다.
제23 구현예는, 제1 구현예 내지 제22 구현예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상면을 감싸는 리드 필름의 두께가 100 내지 300 ㎛일 수 있다.
제24 구현예는, 제1 구현예 내지 제23 구현예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리드 필름의 가스 투과도(permeability)가 60℃에서 20 내지 60 barrer일 수 있다.
제25 구현예는, 제1 구현예 내지 제24 구현예 중 어느 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리드 필름의 수분 침투량이 25℃, 50 %RH에서 10년간 0.02 내지 0.2 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기 구현예의 전지 모듈이 제공된다.
제26 구현예는,
제1 구현예에 따른 전지셀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전지셀은 전지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만입되고 전지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개방된 함몰부가 형성된 리드 필름이 부착된 전극 리드를 포함하여, 전지셀 내부에 발생된 가스의 외부 배출량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전지셀은 리드 필름의 가스 배출 부분 상에 위치하고, 불소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여 가스의 외부 배출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지셀 내부로의 수분 침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전지셀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셀에 포함된 전극 리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b-b'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c-c'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지셀에서 전극 리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에서 실링부의 위치에 따른 전극 리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서 a-a'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전지셀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셀에 포함된 전극 리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b-b'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c-c'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지셀에서 전극 리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에서 실링부의 위치에 따른 전극 리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서 a-a'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전지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여기서 파우치 전지셀의 양측면 중 일측면을 기준으로 설명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측면인 경우에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지셀은, 전극조립체가 수납부에 장착되되, 외주변이 밀봉된 구조의 실링부를 포함하는 전지케이스, 상기 전극조립체에 포함된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실링부를 경유하여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극 리드, 및 상기 전극 리드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실링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리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리드 필름은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만입되고 상기 전지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개방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드 필름의 가스 배출 부분 상에 위치하고, 불소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전지셀의 상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100)은 전지케이스(200), 전극 리드(300), 및 리드 필름(400)을 포함한다.
전지케이스(200)는 전극조립체(110)가 수납부(210)에 장착되되, 외주변이 밀봉된 구조의 실링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실링부(250)는 열 또는 레이저 등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전지케이스(200)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지케이스(200)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되, 최외각을 이루는 외측 수지층, 물질의 관통을 방지하는 차단성 금속층, 및 밀봉을 위한 내측 수지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극조립체(110)는 젤리-롤형(권취형), 스택형(적층형), 또는 복합형(스택/폴딩형)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극조립체(110)는 양극, 음극,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양극, 음극, 및 분리막에 대해서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통용되는 구조 및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극 리드(300)는 전극조립체(110)에 포함된 전극 탭(미도시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실링부(250)를 경유하여 전지케이스(2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전지셀에 포함된 전극 리드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드 필름(400)은 전극 리드(300)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실링부(250)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리드 필름(400)은 밀봉 시 전극 리드(300)에서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실링부(250)와 전극 리드(300)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b-b'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c-c'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리드 필름(400)은 전지케이스(200)의 외측 방향으로 만입된 함몰부(45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함몰부(450)는 전지케이스(200)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다. 또한, 함몰부(450)는 전극 리드(300)의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함몰부(450)의 내면이 폐쇄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드 필름(400)에서, 전지케이스(200)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가 소정의 압력 이상이 되면 함몰부(450)로 배출될 수 있고, 함몰부(450)에 유입된 가스는 내외부의 압력 차이에 따라 전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리드 필름(400)은 함몰부(450)가 내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리드 필름(400)의 외측방향으로 만입된 함몰부의 내면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파우치의 기밀성 및 내구성 또한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리드 필름(400)은 함몰부(450)에 의해 기체의 투과 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어, 대량의 기체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리드 필름(400)은 함몰부(450)의 내면 중 적어도 일면을 덮는 내부층(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a) 및 도 4(a)를 참조하면, 함몰부(450) 내에서 내부층(410)은 리드 필름(400)의 표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즉, 함몰부(450)는 개방되어 있는 면을 제외한 내면 전체에 내부층(41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드 필름(400)은 전극 리드(300)의 상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한 상태에서 실링부(250)와 함께 밀봉되더라도, 내부층(410)에 의해 함몰부(450)가 밀봉되지 않은 상태로 보존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3(b) 및 도 4(b)를 참조하면, 내부층(410)은 함몰부(450)의 내면 중 상면 또는 하면을 덮을 수 있다. 즉, 함몰부(450)는 서로 대면하는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내부층(41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드 필름(400)은 함몰부(450) 내에 형성되는 내부층(410)을 최소화하면서도, 내부층(410)에 의해 함몰부(450)가 밀봉되지 않은 상태로 보존될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을 간이하게 하고, 비용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층(410)은 리드 필름(400)을 이루는 소재 대비하여 녹는점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부층(410)은 전지케이스(200) 내에 포함되는 전해액에 반응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층(410)은 상술한 소재로 이루어져, 전해액과 별도의 반응을 하지 않으면서, 밀봉 과정에서 열융착, 열변형 등이 발생되지 않아 함몰부(450)가 공란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내부층(410)의 두께는 100 ㎛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내부층(410)의 가스 투과도(permeability)가 40 barrer 이상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내부층(410)의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가 전지 외부로 배출되기 더욱 용이할 수 있다.
일 예로, 내부층(410)은 폴리올레핀 계열, 불소 계열, 및 다공성 세라믹 계열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내부층(410)은 전술한 가스 투과도 값을 만족하는 폴리올레핀 계열, 불소 계열, 및 다공성 세라믹 계열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계열 물질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및 폴리비닐디플로라이드(Polyvinyldifluoride, PVDF)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 계열 물질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및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층(410)은 게터(getter) 물질을 포함하여, 가스 투과도는 높이되 수분 침투량은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게터(getter) 물질은 산화칼슘(CaO), 산화바륨(BaO), 염화리튬(LiCl), 실리카(SiO2) 등일 수 있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H2O)과 반응하는 물질이라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내부층(410)은 상기 리드 필름(400)과 내부층(410) 사이에 접착소재를 구비하거나 리드 필름(400)과 함께 압출되어 리드 필름(400)과 접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소재는 아크릴 계열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내부층(410)이 리드 필름(400)과 함께 압출되는 경우, 내부층(410)의 가스 투과도가 40 barrer 이상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리드 필름(400)은 제1 리드 필름 및 제2 리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 필름은 전극 리드(30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리드 필름은 전극 리드(3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전극 리드(300)는 상기 제1 리드 필름과 상기 제2 리드 필름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실링부(250)와 함께 밀봉되어, 상기 제1 리드 필름과 상기 제2 리드 필름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드 필름(400)은 전극 리드(30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실링부(250)와 전극 리드(300)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리드 필름(400)에서, 함몰부(450)는 상기 제1 리드 필름과 상기 제2 리드 필름 중 적어도 하나에 함몰부(450)가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드 필름(400)에서, 함몰부(450)는 전극 리드(30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리드 필름 또는 상기 제2 리드 필름에 형성되어 있거나, 함몰부(450)는 전극 리드(30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리드 필름 및 상기 제2 리드 필름에 모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함몰부(450)의 개수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드 필름(400) 내에서 적절한 개수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드 필름(400)에 형성되어 있는 함몰부(450)의 개수를 조절하여, 리드 필름(400)의 내구성 및 기밀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함몰부(450)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제조 공정을 간이하게 하고, 비용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리드 필름(400)의 가스 투과도(permeability)가 60℃에서 20 내지 60 barrer, 또는 30 내지 40 barrer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리드 필름(400)의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리드 필름(400)의 두께 200 ㎛ 기준으로 가스 투과도가 60℃에서 전술한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리드 필름(400)의 가스 투과도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전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배출되기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스 투과도는 ASTM F2476-20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리드 필름(400)의 수분 침투량이 25℃, 50 %RH에서 10년간 0.02 내지 0.2 g, 또는 0.02 내지 0.04 g, 또는 0.06 g 또는 0.15 g일 수 있다. 상기 리드 필름(400)의 수분 침투량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리드 필름(400)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분 침투량(수분 투과도)은 ASTM F 1249 방식을 채택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MCOON사에서 공식인증된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리드 필름(400)이 가스 투과도(permeability)가 60℃에서 20 내지 60 barrer이면서 수분 침투량이 25℃, 50 %RH에서 10년간 0.02 내지 0.2 g일 수 있다. 상기 리드 필름(400)의 가스 투과도 및 수분 침투량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전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리드 필름(400)이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리드 필름(400)이 전술한 가스 투과도 및/또는 수분 침투량 값을 만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및 폴리비닐디플로라이드(Polyvinyldifluoride, PVDF)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드 필름(400)이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면서 상기 리드 필름(400)의 가스 투과도(permeability)가 60℃에서 20 내지 60 barrer일 수 있다. 또한, 수분 침투량이 0.06 g 내지 0.15 g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배출되기 더욱 효과적이면서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에도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리드 필름(400)은 상술한 소재로 이루어져, 전지셀(100)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고, 내부 전해액의 누액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전지셀에서 전극 리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리드 필름(400)의 가스 배출 부분 상에 코팅층(500)이 위치한다.
리드 필름(400)에 함몰부(450)가 형성되어 리드 필름(400)을 통해 전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가 전지 외부로 배출될 때에, 리드 필름(400)의 가스 투과도가 높은만큼 리드 필름(400)이 전지 외부의 물질, 예컨대 수분에 대한 투과도도 높아 전지 외부의 물질이 전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500)은 수분 투과도가 낮아 전지 외부로부터 전지 내부로 침투되는 수분 침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코팅층(500)은 리드 필름(400)의 가스 배출 부분 상에 위치하여 전지 내부의 가스가 전지 외부로 배출되는 것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전지 외부로부터 전지 내부로 침투되는 수분 침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코팅층(500)의 두께가 0.1 ㎛ 내지 2 mm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500)의 두께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전지 내부의 가스가 전지 외부로 배출되는 것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전지 외부로부터 전지 내부로 침투되는 수분 침투량을 감소시키기 더욱 용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코팅층(500)의 두께가 0.1 ㎛ 내지 200 ㎛인 경우, 전지 외부로부터 전지 내부로 침투되는 수분 침투량을 감소시키면서 가스 배출량이 1 cc/day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500)의 두께가 200 ㎛ 내지 2 mm인 경우, 전지 외부로부터 전지 내부로 침투되는 수분 침투량을 감소시키면서 가스 배출량이 1 cc/day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500)은 불소계 고분자를 포함한다. 상기 불소계 고분자는 가스 투과도는 높으면서 수분 투과도가 낮아 코팅층(500)의 소재로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불소계 고분자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etrafluoroethylene), 플루오르화비닐(vinyl fluoride),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inylidene fluoride),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불소계 고분자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퍼플루오로 알콕시(perfluoroalkoxy),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등의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500)은 리드 필름(400)의 가스 배출 부분 상에 스프레이 코팅 또는 기상 증착(vapor deposition)으로 불소계 고분자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리드 필름(400)의 가스 배출 부분 상에 코팅층(500)을 형성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함몰부(450)가 제1 함몰부(451) 및 제2 함몰부(45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함몰부(455)의 폭이 제1 함몰부(45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 함몰부(455)의 폭은 전극 리드(300)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제2 함몰부(455)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의 최대값을 지칭하고, 제1 함몰부(451)의 폭은 전극 리드(300)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제1 함몰부(451)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의 최대값을 지칭한다.
함몰부(450)가 상이한 폭을 가진 제1 함몰부(451) 및 제2 함몰부(455)를 포함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제1 함몰부(451)에서 가스가 유입되면서 압력에 의해 외부로 팽창되는 리드 필름(400)의 곡률이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제2 함몰부(455)에서 가스가 유입되면서 압력에 의해 팽창된 리드 필름(400)의 곡률보다 작아 리드 필름(400)과 전극 리드(300)의 계면 사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작아 리드 필름(400)의 내구성이 향상되기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함몰부(455)가 제1 함몰부(451)보다 전극조립체(110)가 수납된 방향과 멀게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2 함몰부(455)가 전지케이스(200)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전지케이스(200)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제2 함몰부(455)의 폭이 제1 함몰부(451)의 폭보다 넓어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면적이 더 증가하여 가스의 배출량이 증가하기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폭이 더 좁은 제1 함몰부(451)가 전지케이스(200)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가 함몰부(450)로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하고, 리드 필름(400)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함몰부(451)의 일부가 실링부(250)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함몰부(455)가 제1 함몰부(451)보다 전극조립체(110)가 수납된 방향과 멀게 위치하면서, 제1 함몰부(451)의 일부가 실링부(250)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함몰부(455)의 일부가 실링부(250)와 대응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함몰부(455)가 제1 함몰부(451)보다 전극조립체(110)가 수납된 방향과 멀게 위치하면서, 제2 함몰부(455)의 일부가 실링부(250)와 대응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함몰부(455)가 실링부(250)와 대응되지 않는 면적이 증가할수록, 전지케이스(200) 내부의 가스가 전지케이스(200) 외부로 배출되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리드 필름(400)의 폭은 실링부(250)의 폭보다 크되, 전극 리드(300)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리드 필름(400)의 폭은 전극 리드(300)의 돌출 방향에서의 리드 필름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실링부(250)의 폭은 전극 리드(300)의 돌출 방향에서의 실링부(25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전극 리드(300)의 길이란, 전극 리드(300)의 돌출 방향에서의 전극 리드(30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이 때, 제2 함몰부(455)는 실링부(250)의 단부와 리드 필름(400)의 단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함몰부(455)의 전체가 실링부(250)와 대응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리드 필름(400)에서, 함몰부(45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함몰부(451)는 전극 리드(300)의 돌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함몰부(455)는 실링부(2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실링부(250)의 길이 방향이란, 전극 리드(300)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다만, 함몰부(450)의 형상은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드 필름(400) 내에서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함몰부(451)의 일 단부는 전지케이스(200)의 외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되, 제1 함몰부(451)의 타 단부는 제2 함몰부(455)와 연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함몰부(451) 및 제2 함몰부(455)는 서로 일체화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2 함몰부(455)는 함몰부(450)로 유입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 배출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제1 함몰부(451)는 전지케이스(200) 내에서 발생된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 유입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코팅층(500)은 제2 함몰부(455)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코팅층(500)은 제1 함몰부(451)와 제2 함몰부(455)의 경계선 상에도 위치할 수 있다. 제2 함몰부(455)가 전지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 배출구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코팅층(500)이 제2 함몰부(455) 상에 위치하는 경우, 가스의 외부 배출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지셀 내부로의 수분 침투량을 감소시키기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팅층(500)은 제2 함몰부(45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함몰부(455)의 길이란, 전극 리드(300)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제2 함몰부(455)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또한, 코팅층(500)의 길이는 제2 함몰부(455)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코팅층(500)의 길이란, 전극 리드(300)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코팅층(50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또한, 코팅층(500)의 폭은 제2 함몰부(455)의 폭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함몰부(455)의 폭이란, 전극 리드(300)의 돌출 방향에서의 제2 함몰부(455)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코팅층(500)의 폭은 전극 리드(300)의 돌출 방향에서의 코팅층(50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다만, 코팅층(500)의 크기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드 필름(400) 내에서 적절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함몰부(450)는 전극 리드(300)를 기준으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도 5(a)와 같이, 리드 필름(400)에서, 함몰부(450)는 전극 리드(3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함몰부(450)는 전극 리드(300)의 중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5(b)와 같이, 리드 필름(400)의 길이는 전극 리드(300)의 폭보다 클 수 있고, 함몰부(450)는 전극 리드(300)의 단부와 리드 필름(400)의 단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리드 필름(400)의 길이는 전극 리드(300)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리드 필름(40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의 최대값을 의미하고, 전극 리드(300)의 폭은 전극 리드(300)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전극 리드(30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다르게 말하면, 리드 필름(400)에서, 함몰부(450)는 전극 리드(300)를 회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함몰부(450)의 위치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드 필름(400) 내에서 적절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드 필름(400)에 형성되어 있는 함몰부(450)의 위치를 조절하여, 리드 필름(400)의 내구성 및 기밀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함몰부(450)의 위치에 따라, 함몰부(450)의 크기를 조절하여, 제조 공정을 간이하게 하고, 비용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리드 필름(400)에서, 함몰부(450)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단부는 리드 필름(400)의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고, 외부를 향해 만입되어 있는 단부는 실링부(250)의 단부와 리드 필름(400)의 단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함몰부(450)에서 외부를 향해 만입되어 있는 단부는 실링부(250)의 단부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거나,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a)에서 실링부의 위치에 따른 전극 리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일 예로, 도 6 (a) 및 (b)를 비교하면, 리드 필름(400)과 접하는 실링부(250)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함몰부(450)에서 외부를 향해 만입되어 있는 단부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밀봉 공정 상에서 발생되는 리드 필름(400)과 실링부(250)의 위치에 따른 오차 범위 내에서, 함몰부(450)에서 외부를 향해 만입되어 있는 단부가 전지케이스(200)를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면적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전지케이스(200) 내의 가스가 함몰부(450) 내로 유입 및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면적 또한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함몰부(450)에 의한 기체 배출 효과도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도 1에서 a-a' 축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지셀(100)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는 리드 필름(400)의 함몰부(450)를 향해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함몰부(450)는 내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어, 함몰부(450) 내부의 압력은 전지케이스(200)의 내부의 압력과 동일할 수 있다.
함몰부(450) 내부의 압력은 전지셀(100) 외부의 압력보다 높고, 이에 따른 압력 차이가 가스의 추진력(driving force)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함몰부(450)에 유입된 가스는 외부를 향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전지셀(100)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의 외부 배출량 또한 증가될 수 있다. 이 때, 전지케이스(200)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함몰부(450) 및 함몰부의 상면을 감싸는 리드 필름(400)을 거쳐 Z축 방향을 따라 배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리드 필름(400)의 가스 배출 부분이 전지케이스(200)의 외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지케이스(200)의 외측면이란, 전지케이스(200)의 실링부(250)의 전지 외측 단부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함몰부(450)의 전지케이스(200)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단부는 전지케이스(200)의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지케이스(200)의 내측면이란, 전지케이스(200)의 실링부(250)의 전지 내측 단부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리드 필름(400)은 함몰부(450)의 면적을 최대화하여, 전지케이스(200)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의 투과 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어, 대량의 기체를 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함몰부(450)의 만입된 단부가 전지케이스(200)의 외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 함몰부(450)에서 함몰부(450)의 만입된 단부와 전지케이스(200)의 외측면 사이의 리드 필름(400)을 거쳐 Z축 방향을 따라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리드 필름(400)의 가스 투과도(permeability)가 60℃에서 20 내지 60 barrer, 또는 30 내지 40 barrer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리드 필름(400)의 이산화탄소 투과도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리드 필름(400)의 두께 200 ㎛ 기준으로 가스 투과도가 60℃에서 전술한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리드 필름(400)의 가스 투과도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전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배출되기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스 투과도는 ASTM F2476-20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리드 필름(400)의 수분 침투량이 25℃, 50 %RH에서 10년간 0.02 내지 0.2 g, 또는 0.02 내지 0.04 g, 또는 0.06 g 또는 0.15 g일 수 있다. 상기 리드 필름(400)의 수분 침투량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리드 필름(400)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리드 필름(400)이 가스 투과도(permeability)가 60℃에서 20 내지 60 barrer이면서 수분 침투량이 25℃, 50 %RH에서 10년간 0.02 내지 0.2 g일 수 있다. 상기 리드 필름(400)의 가스 투과도 및 수분 침투량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전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리드 필름(400)의 수분 침투량은 ASTM F 1249 방식을 채택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MCOON사에서 공식인증된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리드 필름(400)이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리드 필름(400)이 전술한 가스 투과도 및/또는 수분 침투량 값을 만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및 폴리비닐디플로라이드(Polyvinyldifluoride, PVDF)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드 필름(400)이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면서 상기 리드 필름(400)의 가스 투과도(permeability)가 60℃에서 20 내지 60 barrer일 수 있다. 또한, 수분 침투량이 0.06 g 내지 0.15 g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배출되기 더욱 효과적이면서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에도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리드 필름(400)은 상술한 소재로 이루어져, 전지셀(100)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고, 내부 전해액의 누액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코팅층(500)은 리드 필름(400)의 가스 배출 부분 상에 위치한다. 상기 코팅층(500)은 리드 필름(400)의 가스 배출 부분 상에 위치하여 전지 내부의 가스가 전지 외부로 배출되는 것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전지 외부로부터 전지 내부로 침투되는 수분 침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함몰부(450)의 상면을 감싸는 리드 필름(400)의 두께(H)가 100 내지 300 ㎛, 또는 100 내지 200 ㎛일 수 있다. 함몰부(450)의 상면을 감싸는 리드 필름(400)의 두께(H)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전지케이스(200)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기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함몰부(450)의 상면이란, 함몰부(450)와 전극 리드(300) 사이의 리드 필름(400)을 지칭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극 리드(300)의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함몰부(450)의 전면을 감싸는 리드 필름(400)의 폭(W)이 2 mm 이상, 또는 2 mm 내지 3 mm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함몰부(450)의 전면을 감싸는 리드 필름(400)의 폭은 함몰부(450)의 만입된 단부와 리드 필름(400)의 전지케이스(200)의 외측 단부 사이 거리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상기 함몰부(450)의 전면을 감싸는 리드 필름(400)의 폭(W)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전지케이스(200)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리드 필름(400)이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상기에서 설명한 전지셀을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팩 케이스 내에 패키징되어 전지팩을 형성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은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에는,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운송 수단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을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전지셀
110: 전극조립체
200: 전지케이스
210: 수납부
250: 실링부
300: 전극 리드
400: 리드 필름
410: 내부층
450: 함몰부
451: 제1 함몰부
455: 제2 함몰부
500: 코팅층
110: 전극조립체
200: 전지케이스
210: 수납부
250: 실링부
300: 전극 리드
400: 리드 필름
410: 내부층
450: 함몰부
451: 제1 함몰부
455: 제2 함몰부
500: 코팅층
Claims (26)
- 전극조립체가 수납부에 장착되되, 외주변이 밀봉된 구조의 실링부를 포함하는 전지케이스;
상기 전극조립체에 포함된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실링부를 경유하여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극 리드; 및
상기 전극 리드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실링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리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리드 필름은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만입되고 상기 전지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개방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드 필름은 상기 전극 리드의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함몰부의 전면과 상기 함몰부의 상면을 감싸며,
상기 전지케이스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상기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의 상면을 감싸는 리드 필름을 거쳐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리드 필름의 가스 배출 부분 상에 위치하고, 불소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지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필름의 가스 배출 부분이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전지셀. - 전극조립체가 수납부에 장착되되, 외주변이 밀봉된 구조의 실링부를 포함하는 전지케이스;
상기 전극조립체에 포함된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실링부를 경유하여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극 리드; 및
상기 전극 리드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실링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리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리드 필름은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만입되고 상기 전지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개방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드 필름의 가스 배출 부분 상에 위치하고, 불소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가 제1 함몰부 및 제2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함몰부의 폭은 제1 함몰부의 폭보다 큰 전지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함몰부가 제1 함몰부보다 전극 조립체가 수납된 방향과 멀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함몰부의 일부가 상기 실링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전지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함몰부의 일부가 실링부와 대응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하는 전지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함몰부의 전지케이스 외측 방향의 단부는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전지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함몰부는 상기 실링부의 단부와 상기 리드 필름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전지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이 상기 제2 함몰부 상에 위치하는 전지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함몰부는 상기 전극 리드의 돌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2 함몰부는 상기 실링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전지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고분자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etrafluoroethylene), 플루오르화비닐(vinyl fluoride),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inylidene fluoride),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전지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0.1 ㎛ 내지 2 mm인 전지셀. - 전극조립체가 수납부에 장착되되, 외주변이 밀봉된 구조의 실링부를 포함하는 전지케이스;
상기 전극조립체에 포함된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실링부를 경유하여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극 리드; 및
상기 전극 리드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실링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리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리드 필름은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만입되고 상기 전지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개방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드 필름의 가스 배출 부분 상에 위치하고, 불소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 리드의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함몰부의 내면은 폐쇄되어 있는 전지셀.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필름의 함몰부 내면 중 적어도 일면을 덮는 내부층을 더 포함하는 전지셀.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을 이루는 소재는, 상기 리드 필름을 이루는 소재 대비하여 녹는점이 높고, 전해액에 반응하지 않는 전지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필름은 폴리올레핀 계열의 물질을 포함하는 전지셀.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은 폴리올레핀 계열, 불소 계열, 및 다공성 세라믹 계열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전지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전극 리드 상에 위치하는 전지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필름의 길이는 상기 전극 리드의 폭보다 큰 전지셀.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전극 리드의 단부와 상기 리드 필름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전지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전지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단부는 상기 전지케이스의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전지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리드의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함몰부의 전면을 감싸는 리드 필름의 폭이 2 mm 내지 3 mm인 전지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상면을 감싸는 리드 필름의 두께가 100 내지 300 ㎛인 전지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필름의 가스 투과도(permeability)가 60℃에서 20 내지 60 barrer인 전지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필름의 수분 침투량이 25℃, 50 %RH에서 10년간 0.02 내지 0.2 g인 전지셀. -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지셀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0160A KR102539734B1 (ko) | 2022-01-24 | 2022-01-24 |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CN202380010704.4A CN117044016B (zh) | 2022-01-24 | 2023-01-20 | 电池单体以及包括该电池单体的电池模块 |
JP2024504853A JP2024529961A (ja) | 2022-01-24 | 2023-01-20 | 電池セル及び電池セルを含む電池モジュール |
US18/565,942 US20240266644A1 (en) | 2022-01-24 | 2023-01-20 |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
CA3230894A CA3230894A1 (en) | 2022-01-24 | 2023-01-20 |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
EP23743550.8A EP4379918A1 (en) | 2022-01-24 | 2023-01-20 |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
PCT/KR2023/001067 WO2023140707A1 (ko) | 2022-01-24 | 2023-01-20 |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0160A KR102539734B1 (ko) | 2022-01-24 | 2022-01-24 |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39734B1 true KR102539734B1 (ko) | 2023-06-01 |
Family
ID=86770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0160A KR102539734B1 (ko) | 2022-01-24 | 2022-01-24 |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266644A1 (ko) |
EP (1) | EP4379918A1 (ko) |
JP (1) | JP2024529961A (ko) |
KR (1) | KR102539734B1 (ko) |
CN (1) | CN117044016B (ko) |
CA (1) | CA3230894A1 (ko) |
WO (1) | WO2023140707A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69177A (ko) * | 2014-12-08 | 2016-06-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변형된 형태의 리드 필름을 포함하는 전지셀 |
KR20160126157A (ko) * | 2015-04-22 | 2016-11-02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KR20170025872A (ko) * | 2015-08-31 | 2017-03-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안전성이 개선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
KR20170027150A (ko) * | 2015-09-01 | 2017-03-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190135349A (ko) * | 2018-05-28 | 2019-12-06 | (주)에스엘씨 | 배터리 전극 리드탭 코팅 조성물 |
KR20200016638A (ko) * | 2018-08-07 | 2020-02-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
KR20210064505A (ko) * | 2019-11-25 | 2021-06-03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지셀 및 그 제조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2411B1 (ko) * | 2017-08-25 | 2021-07-2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KR102393987B1 (ko) | 2020-07-17 | 2022-05-02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모형선의 선미 유동 재현을 위한 더미 바디의 대형 캐비테이션 터널 내 설치 방법 |
-
2022
- 2022-01-24 KR KR1020220010160A patent/KR10253973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01-20 CA CA3230894A patent/CA3230894A1/en active Pending
- 2023-01-20 US US18/565,942 patent/US20240266644A1/en active Pending
- 2023-01-20 WO PCT/KR2023/001067 patent/WO202314070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3-01-20 EP EP23743550.8A patent/EP4379918A1/en active Pending
- 2023-01-20 CN CN202380010704.4A patent/CN117044016B/zh active Active
- 2023-01-20 JP JP2024504853A patent/JP2024529961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69177A (ko) * | 2014-12-08 | 2016-06-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변형된 형태의 리드 필름을 포함하는 전지셀 |
KR20160126157A (ko) * | 2015-04-22 | 2016-11-02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KR20170025872A (ko) * | 2015-08-31 | 2017-03-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안전성이 개선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
KR20170027150A (ko) * | 2015-09-01 | 2017-03-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190135349A (ko) * | 2018-05-28 | 2019-12-06 | (주)에스엘씨 | 배터리 전극 리드탭 코팅 조성물 |
KR20200016638A (ko) * | 2018-08-07 | 2020-02-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
KR20210064505A (ko) * | 2019-11-25 | 2021-06-03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지셀 및 그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140707A1 (ko) | 2023-07-27 |
EP4379918A1 (en) | 2024-06-05 |
CN117044016B (zh) | 2024-09-10 |
CN117044016A (zh) | 2023-11-10 |
CA3230894A1 (en) | 2023-07-27 |
US20240266644A1 (en) | 2024-08-08 |
JP2024529961A (ja) | 2024-08-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81885B1 (ko) |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
KR20220121748A (ko) | 전지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
KR102616196B1 (ko) |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
JP7498302B2 (ja) | 電池セル及びそれを含む電池モジュール | |
KR102645005B1 (ko) |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
KR20240032786A (ko) |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
KR102703617B1 (ko) | 전지셀 및 전지셀 제조 장치 | |
KR102539734B1 (ko) |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
JP2024501512A (ja) | 電池セル及びそれを含む電池モジュール | |
JP2023551270A (ja) | 電池セル及びそれを製造する電池セル製造装置 | |
KR20220158642A (ko) | 전지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
KR20220147048A (ko) | 전지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
KR102561810B1 (ko) |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
KR102657917B1 (ko) | 전지셀 및 이를 제조하는 전지셀 제조 장치 | |
KR102498916B1 (ko) |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
KR102647342B1 (ko) |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
KR20230007954A (ko) |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