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38503B1 -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503B1
KR102538503B1 KR1020160053882A KR20160053882A KR102538503B1 KR 102538503 B1 KR102538503 B1 KR 102538503B1 KR 1020160053882 A KR1020160053882 A KR 1020160053882A KR 20160053882 A KR20160053882 A KR 20160053882A KR 102538503 B1 KR102538503 B1 KR 102538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organic light
display devic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4238A (ko
Inventor
최봉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3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503B1/ko
Publication of KR20170124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백플레이트와, 백플레이트 상부에 접착층과, 접착층 상부에서 매트릭스 배열을 갖는 다수 개의 화소 영역들과 각 화소 영역에 할당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층과, 박막트랜지스터층 상부에서 화소 영역들에 구비된 유기발광 다이오드층을 포함하고, 접착층 및 백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검정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점등 시에도 얼룩이 관찰되지 않으며 광 특성 효율이 향상된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점등 시에도 얼룩이 관찰되지 않으며 광 특성 효율이 향상된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에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장치(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등이 있다.
전계발광장치는 발광층의 재료에 따라 무기 전계발광장치와 유기발광다이오드장치로 대별되며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 소자를 사용하여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가진다.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전계에 의해 발광하는 유기 전계발광 화합물층과, 유기 전계발광 화합물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캐소드 전극(Cathode) 및 애노드 전극(Anode)을 포함한다. 유기 전계발광 화합물층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을 포함한다. OLED는 캐소드전극과 음극에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EML)에서 재결합할 때의 여기 과정에서 여기자(excition)가 형성되고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로 인하여 발광한다.
전계발광소자인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특징을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D)에는 패시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Pass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MOLED)와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Act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MOLED)로 대별된다. 또한, 빛이 방출되는 방향에 따라 상부 발광(Top-Emission) 방식과 하부 발광(Bottom-Emission) 방식 등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기존의 유연성이 없는 유리 기판 대신에 플라스틱, 금속 포일(Metal Foil)과 같은 유연성이 있는 재료를 기판으로 채택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차세대 평판표시장치로 급부상하고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유기 박막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유기 박막의 특징인 유연성 및 탄성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표시장치로 응용할 수 있는 최적의 소재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 소자들은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보통이다.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의 특성상, 편평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강성 기판 위에서 공정을 수행하여야 미세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롤-라미네이션 공법으로 플렉서블 기판을 표시소자에 부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있어 비점등 시 얼룩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에 관한 사진이며, 도 3은 종래의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있어 점등 시 얼룩이 관찰되는 경우에 관한 사진이다. 이하,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리와 같은 강성(Rigid) 기판 위에서 표시 소자들을 형성한 후에, 강성 기판과 표시 소자를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강성 기판과 표시 소자를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강성 기판을 식각법으로 제거하는 방법과, 강성 기판과 표시 소자 사이에 희생층을 개입시키고 레이저로 희생층의 결합 구조를 바꾸어 박리하는 방법이 있다. 두 방법 모두 먼저 강성 기판에 표시소자를 형성한 후, 강성 기판을 제거하고 나서, 최종 표시 패널의 지지 기판으로 사용할 플렉서블 기판을 부착하는 것이 공통된 특징이며, 플렉서블 기판은 롤-라미네이션(Roll Lamination) 공법으로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도 1 참조).
플라스틱, 특히 고온의 폴리이미드(PolyImide)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기판을 롤-라미네이션 공법으로 부착하는 경우 플렉서블 기판과 폴리이미드 사이에 얼룩이 발생하게 된다.
폴리이미드가 노란색 계열의 옅은 색상을 가지므로 비 점등 시에는 상기 얼룩이 문제되지 않지만(도 2 참조), 점등 시에는 얼룩이 그대로 수요자에게 인식되는 바(도 3 참조) 시인성 및 미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얼룩으로 인해 표시장치의 광 효율이 저하되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점등 시에도 얼룩이 관찰되지 않으며 광 특성 효율이 향상된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백플레이트와, 백플레이트 상부에 접착층과, 접착층 상부에서 매트릭스 배열을 갖는 다수 개의 화소 영역들과 각 화소 영역에 할당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층과, 박막트랜지스터층 상부에서 화소 영역들에 구비된 유기발광 다이오드층을 포함하고, 접착층 및 백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검정 재질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백플레이트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재질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백플레이트의 두께는 접착층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플레이트의 두께는 100 내지 300 μm일 수 있으며, 접착층의 두께는 10 내지 100 μ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면, 유기발광 다이오드층 상부에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발광 다이오드층 상부에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폴리이미드(POLYIMIDE, PI)를 재질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점등 시에도 얼룩이 관찰되지 않으며 광 특성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얼룩이 관찰되지 않으므로 시인성 및 미감 저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롤-라미네이션(Roll Lamination) 공법으로 백플레이트를 부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있어, 비점등 시 얼룩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에 관한 사진이다.
도 3은 종래의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있어, 점등 시 얼룩이 관찰되는 경우에 관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절취선 A-A'로 자른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있어 접착층과 백플레이트가 검은 재질로 구비되지 않은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있어 접착층과 백플레이트가 모두 검은 재질로 구비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본 발명의 표시장치를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얼룩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에 관한 사진이다.
도 9는 실시예 3에 따른 본 발명의 표시장치를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얼룩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에 관한 사진이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 막, 전극, 판 또는 기판 등이 각 층, 막, 전극, 판 또는 기판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옆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절취선 A-A'로 자른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5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유연성과 소자를 보호할 수 있는 탄성을 갖는 백플레이트(BPL)를 포함한다. 또한, 제조상의 이유로 플렉서블 층(FL)이 백플레이트(BPL) 위에 형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층(FL) 위에는 스위칭 TFT(SWT), 스위칭 TFT와 연결된 구동 TFT(DRT), 구동 TFT(DRT)에 접속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하는 표시 소자들이 형성된다.
스위칭 TFT(SWT)는 스캔 라인(SL)과 데이터 라인(DL)이 교차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스위칭 TFT(SWT)는 화소를 선택하는 기능을 한다. 스위칭 TFT(SWT)는 스캔 라인(SL)에서 분기하는 게이트 전극(GSW)과, 반도체 층(ASW)과, 소스 전극(SSW)과, 드레인 전극(DSW)을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 TFT(DRT)는 스위칭 TFT(SWT)에 의해 선택된 화소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 TFT(DRT)는 스위칭 TFT(SWT)의 드레인 전극(DSW)과 연결된 게이트 전극(GDR), 반도체 층(ADR), 구동 전류 전송 배선(VDD)에 연결된 소스 전극(SDR), 드레인 전극(DDR)을 포함한다. 구동 TFT(DRT)의 드레인 전극(DDR)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캐소드 전극(CAT)과 연결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플렉서블 층(FL) 상에 스캔 라인(SL), 각 스캔 라인(SL)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게이트 패드(GP)가 형성된다. 스캔 라인(SL)에는 스위칭 TFT(SWT) 및 구동 TFT(DRT)의 게이트 전극(GSW, GDR)이 분기되어 있다. 게이트 패드(GP) 및 게이트 전극(GSW, GDR)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GI)이 덮고 있다. 게이트 전극(GSW, GDR)과 중첩되는 게이트 절연막(GI)의 일부에 반도체 층(ASW, ADR)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GI) 위에는 스캔 라인(SL)과 직교하도록 데이터 라인(DL) 및 구동 전류배선(VDD)을 형성한다. 그리고 각 데이터 라인(SL) 및 구동전류배선(VDD)의 일측 단부에는 외부 구동 IC와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패드(DP)가 형성된다. 반도체 층(ASW, ADR) 위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소스 전극(SSW, SDR)과 드레인 전극(DSW, DDR)이 마주보고 형성된다. 상기 구동 TFT(DRT)의 소스 전극(SDR)은 데이터 라인(DL)과 나란하게 진행하는 구동전류배선(VDD)의 일부가 되도록 형성한다. 스위칭 TFT(SWT)의 드레인 전극(DSW)은 게이트 절연막(GI)에 형성된 콘택 홀을 통해 구동 TFT(DRT)의 게이트 전극(GDR)과 접촉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스위칭 TFT(SWT) 및 구동 TFT(DRT)을 덮는 보호막(PAS)이 전면에 도포된다. 그리고 보호막(PAS) 위에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캐소드 전극(CAT)이 형성된다. 여기서, 캐소드 전극(CAT)은 보호막(PAS)에 형성된 콘택 홀을 통해 구동TFT(DRT)의 드레인 전극(DDR)과 연결된다.
캐소드 전극(CAT)이 형성된 플렉서블 층(FL) 위에, 화소 영역을 정의하기 위해 스위칭 TFT(SWT), 구동 TFT(DRT) 그리고 각종 배선들(DL, SL, VDD)이 형성된 비 발광영역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형성되는 발광 영역을 구분하는 뱅크패턴(BANK)을 형성한다. 뱅크 패턴(BANK은 TFT(SWT, DRT) 및 각종 배선들(DL, SL, VDD)이 형성되어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울퉁불퉁하게 단차가 형성된 표면 위에 유기막(EL)을 형성할 경우, 단차진 부분에서 유기물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스위칭 TFT(SWT) 및 구동 TFT(DRT), 각종 배선들(DL, SL, VDD)이 형성된 비 발광영역과, 평탄한 기판 위에 단순히 박막들만 적층되어 평탄한 발광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비 발광 영역 위에 뱅크 패턴(BANK)이 형성된다. 따라서, 뱅크 패턴(BANK)에 의해 화소 영역이 결정된다.
뱅크 패턴(BANK)에 의해 캐소드 전극(CAT)이 노출된다. 뱅크 패턴(BANK)과 캐소드 전극(CAT) 위에 유기층(EL)과 애노드 전극(ANO)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표시 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배리어 필름(BF)이 최상층 전면에 부착되는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구성하는 유기 물질들이 수분과 공기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하여 외부 전기 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패드 단자(GP, DP) 영역을 제외한 표시 영역 전면을 덮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배리어 필름(BF) 상부에 편광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종래의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있어 접착층과 백플레이트가 검은 재질로 구비되지 않은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있어 접착층과 백플레이트가 모두 검은 재질로 구비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시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백플레이트(BPL)를 고온의 폴리이미드(PI)에 롤-라미네이션 공법으로 부착하는 경우 백플레이트(BPL)와 폴리이미드(PI) 사이에 얼룩이 발생하며, 이는 백플레이트에 비하여 접착층의 두께가 얇아 라미네이션에 의한 압력이 일정하지 않는 데서 비롯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상기 얼룩은 표시장치의 비 점등 시에는 문제되지 않으나, 표시장치의 점등 시(특히 저계조(그레이, Gray) 스케일의 경우)에는 얼룩이 그대로 인식되는 바(도 2 및 3 참조) 시인성이 저하되고 외관 상 미감이 저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얼룩으로 인해 표시장치의 광 효율이 저하된다.
접착층의 두께를 높이는 경우에는 얼룩이 시인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거나 또는 시인 정도를 저감시킬 수 있을 것이나,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특성 상 두께를 얇게 구현할 필요가 있으므로 접착층 두께 향상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착안하여,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백플레이트(BPL)와, 백플레이트(BPL) 상부에 접착층(ADH)과, 접착층(ADH) 상부에서 매트릭스 배열을 갖는 다수 개의 화소 영역들과 각 화소 영역에 할당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층(TFTL)과, 박막트랜지스터층(TFTL) 상부에서 화소 영역들에 구비된 유기발광 다이오드층(OLEDL)을 포함하고, 접착층(ADH) 및 백플레이트(BPL) 중 적어도 하나는 검정 재질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백플레이트(BPL)를 포함한다.
상기 백플레이트(BPL)는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특성상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재질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플레이트(BPL)의 두께는 당 분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특성상 그 두께가 얇은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기 백플레이트(BPL)의 두께는 100 내지 300 μ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ADH)은 상기 백플레이트(BPL) 상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층(ADH)의 두께는 당 분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특성상 그 두께가 얇은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기 접착층(ADH)의 두께는 10 내지 100 μ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백플레이트(BPL)의 두께는 접착층(ADH)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접착층(ADH) 및 백플레이트(BPL) 중 적어도 하나는 빛의 반사를 막아 표시장치 제조 시에 발생되는 얼룩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검정 재질로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백플레이트(BPL)는 검정 재질이며 접착층(ADH)은 투명 재질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백플레이트(BPL)는 투명 재질이며 접착층(ADH)은 검정 재질일 수 있다. 그러나 얼룩 시인 방지 측면에서 상기 접착층(ADH) 및 백플레이트(BPL) 모두 검정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박막트랜지스터층(TFTL)은 접착층(ADH) 상부에서 매트릭스 배열을 갖는 다수 개의 화소 영역들과 각 화소 영역에 할당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다이오드층(OLEDL)은 박막트랜지스터층(TFTL) 상부에서 화소 영역들에 구비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층(TFTL)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층(OLEDL)은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다이오드에 관하여 전술한 내용이 적용되는바, 그와 중복되는 범위 내에서는 기재를 생략하며, 당 분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라면 다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면, 유기발광 다이오드층(OLEDL) 상부에 터치 센서(T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터치 기능을 더 구비하게 된다. 표시층과 상기 터치 센서(TS)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도전체가 표시층과 상기 터치 센서(TS)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그 재질은 도전성을 갖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및 배리어 필름(BF) 상부에 편광판이 더 구비되는 경우 상기 편광판의 상부에 터치 센서(TS)가 배치될 수 있다(Add-on typ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리어 필름(BF) 상에 터치 센서(TS)가 형성될 수 있다(On-Cell typ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발광 다이오드층(OLEDL) 상부에 터치 센서(TS)가 배치될 수 있다(In-Cell type).
특히, In-Cell type의 터치 스크린 표시장치는 그 두께가 다른 종류의 터치 스크린 표시장치에 비해 얇아 얼룩이 시인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In-Cell type에 적용되는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발광 다이오드층(OLEDL) 상부에 커버 윈도우(CW)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CW)는 그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박막트랜지스터층(TFTL)과 유기발광 다이오드층(OLEDL)에 구비된 구성들을 보호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CW)는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특성상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를 그 재질로 포함할 수 있으나, 당 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탑 에미션(Top-Emission)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백플레이트(BPL)가 구비된 면의 반대 면(상면)으로 영상 데이터가 표시된다.
실험예
하기 표 1에 기재된 백플레이트(종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사용) 및 접착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상부 발광(Top-Emission)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제조 후, 1분, 10분, 30분, 60분 경과 후에 백플레이트(BPL)가 구비된 면의 반대 면(상면) 방향으로 얼룩 발생 여부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구분 백플레이트 접착층
색상 두께(㎛) 색상 두께(㎛)
실시예 1 투명 188 검정 12
실시예 2 투명 125 검정 25
실시예 3 검정 188 투명 12
구분 1분 10분 30분 60분
실시예 1 얼룩 미발생 얼룩 미발생 얼룩 미발생 얼룩 미발생
실시예 2 얼룩 미발생 얼룩 미발생 얼룩 미발생 얼룩 미발생
실시예 3 얼룩 미발생 얼룩 미발생 얼룩 미발생 얼룩 미발생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본 발명의 표시장치를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얼룩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에 관한 사진이고, 도 9는 실시예 3에 따른 본 발명의 표시장치를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얼룩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에 관한 사진이다.
상기 표 2와 같이,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백플레이트를 롤-라미네이션 공법으로 부착한 후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얼룩이 관찰되지 않았다(도 8 및 9 참조).
또한, 본 발명의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접착층의 두께가 백플레이트에 비해 현저히 얇은 경우에도 얼룩 시인 현상을 방지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BPL: 백플레이트 ADH: 접착층
TFTL: 박막트랜지스터층 OLEDL: 유기발광 다이오드층
TS: 터치 센서 CW: 커버 윈도우

Claims (10)

  1. 폴리이미드(PolyImide) 층;
    상기 폴리이미드 층의 하부에서 상기 폴리이미드 층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
    상기 폴리이미드 층과 상기 백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된 접착층;
    상기 폴리이미드 층 상부에서 매트릭스 배열을 갖는 다수 개의 화소 영역들과 상기 각 화소 영역에 할당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층; 및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층 상부에서 상기 화소 영역들에 구비된 유기발광 다이오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 및 백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검정 재질로 구비되는,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는,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재질로 포함하는,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의 두께는 100 내지 300 ㎛인,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10 내지 100 ㎛인,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의 두께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보다 두꺼운,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층 상부에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층 상부에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는,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I)를 재질로 포함하는,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0160053882A 2016-05-02 2016-05-02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538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882A KR102538503B1 (ko) 2016-05-02 2016-05-02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882A KR102538503B1 (ko) 2016-05-02 2016-05-02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238A KR20170124238A (ko) 2017-11-10
KR102538503B1 true KR102538503B1 (ko) 2023-05-30

Family

ID=60386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882A KR102538503B1 (ko) 2016-05-02 2016-05-02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5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4873A (ja) * 2004-12-03 2006-07-13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JP2009115995A (ja) * 2007-11-06 2009-05-28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199B1 (ko) * 2011-12-15 2018-03-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4873A (ja) * 2004-12-03 2006-07-13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JP2009115995A (ja) * 2007-11-06 2009-05-28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238A (ko) 201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5960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141233B2 (en) Touch controlled display device
US20180138255A1 (en) Electrolumin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093804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a novel concept for luminous efficiency
KR2016008900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8424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40319483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20150357593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20110063263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module
KR102037871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30047971A (ko)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제조 방법
US800885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20130068561A (ko)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79984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KR101587822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600186B1 (ko)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곡면 표시장치
JP2016197580A (ja) 有機el表示装置
KR20180070115A (ko) 전계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573442B1 (ko) 공냉 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200026231A (ko)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01350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358393B1 (ko) 애드-온 방식으로 터치 패널을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38503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446338B1 (ko)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8049983A (ja) 有機el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