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048B1 - 천장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2048B1 KR102522048B1 KR1020180025972A KR20180025972A KR102522048B1 KR 102522048 B1 KR102522048 B1 KR 102522048B1 KR 1020180025972 A KR1020180025972 A KR 1020180025972A KR 20180025972 A KR20180025972 A KR 20180025972A KR 102522048 B1 KR102522048 B1 KR 1025220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conditioner
- axial direction
- ceiling type
- radius
- type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에는, 제어유닛으로 인한 공기의 유동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송풍팬으로 안내하는 공기유동통로가 형성된 오리피스가 포함되고, 상기 공기유동통로에는, 상기 흡입구와 인접한 상기 공기유동통로의 일 단을 형성하는 입구단, 상기 송풍팬과 인접한 상기 공기유동통로의 타 단을 형성하는 출구단 및 상기 입구단과 상기 출구단을 연결하는 유로가이드부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입구단에는, 제 1 반경을 갖는 제 1 곡면부 및 상기 제 1 곡면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가변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상기 소정공간은 상기 공기조화기는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조화기가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은 집 또는 건물의 실내 공간일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실내기에 구비되는 실내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설치위치에 따라, 직립형, 벽걸이형 또는 천장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직립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에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이며, 상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는 벽면에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로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에는, 천장의 내부에 매립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하측에 결합되며 흡입구 및 토출구를 형성하는 패널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다음과 같은 선행문헌을 출원하여 공개한 바 있다.
<선행문헌 1>
1. 공개번호 : 제10-2017-0143318호(공개일자 : 2017년 12월 29일)
2. 발명의 명칭 : 천장형 공기조화기
또한, 선행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에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으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오리피스 등 다양한 장치들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각종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은 그 형상 및 구성으로 상기 케이싱의 일 측에 설치되고, 공기의 유동에 방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어유닛으로 인해 간섭이 발생되고, 와류 및 소음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이 설치된 부분의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전체적인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는 상기 제어유닛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된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팬으로 안내하는 공기유동통로가 형성된 오리피스를 갖고, 상기 공기유동통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어유닛과 대응되는 직선으로 연장된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의 형상을 통해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여, 소음이 개선된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에는, 제어유닛으로 인한 공기의 유동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송풍팬으로 안내하는 공기유동통로가 형성된 오리피스가 포함되고, 상기 공기유동통로에는, 상기 흡입구와 인접한 상기 공기유동통로의 일 단을 형성하는 입구단, 상기 송풍팬과 인접한 상기 공기유동통로의 타 단을 형성하는 출구단 및 상기 입구단과 상기 출구단을 연결하는 유로가이드부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입구단에는, 제 1 반경을 갖는 제 1 곡면부 및 상기 제 1 곡면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가변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출구단은 제 2 반경을 갖는 제 2 곡면부로 형성된다. 즉, 상기 출구단은 완전한 원형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구단은 일부가 원형이 아닌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가변부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제어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가변부는 상기 제어유닛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오리피스의 형상을 통해 패널의 흡입구에서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어 송풍팬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유동의 간섭을 줄이고, 와류 및 소음이 저감되어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의 일 측에 배치된 제어유닛과 대응되는 상기 오리피스의 일부 형상만을 상기 제어유닛과 대응되도록 변경하여,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싱과 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오리피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싱과 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오리피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0, 이하 공기조화기라 칭함)에는, 케이싱(50) 및 패널(20)이 포함된다. 상기 케이싱(50)은 상기 천장의 내부공간에 매립된다.
이때, 상기 패널(20)은 대략 천장의 높이에 위치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형태가 상기 천장에 노출된 공기조화기(10)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50)의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실내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위하여 구동하는 송풍팬(60)가 포함된다. 상기 송풍팬(60)에는 팬 모터(65)의 모터 축(66)이 결합되고, 상기 팬 모터(65)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송풍팬(60)은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송풍팬(60)에는, 원심팬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상하방향, 즉 팬 모터(65)의 모터 축(66)이 상기 송풍팬(60)을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을 "축 방향"이라 이름하고, 상기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반경방향이라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축(66)을 축 방향 중심(c)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상기 송풍팬(60)을 향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80)가 포함된다. 상기 오리피스(80)는 상기 송풍팬(60)의 흡입측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싱(50)으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팬(60) 측으로 안내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상기 케이싱(5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70)가 포함된다. 상기 열교환기(70)는, 상기 케이싱(50)의 내면을 따라 다수 회 절곡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송풍팬(60) 및 상기 오리피스(80)를 반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각종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유닛(90)이 포함된다.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송풍팬(60)을 구동시키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열교환기(70)와 상기 오리피스(8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상기 열교환기(70)의 하부에 배치되는 드레인 팬(40)이 포함된다. 상기 드레인 팬(40)은 열교환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팬(40)에 상기 오리피스(80) 및 상기 제어유닛(90)이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패널(20)은 상기 케이싱(50)의 하측에 결합되며, 하방에서 바라볼 때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20)은 상기 케이싱(50)의 하단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둘레부가 상기 천장의 하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20)에는, 패널 본체(21) 및 상기 케이싱(50)의 내부공간을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22)가 포함된다. 상기 토출구(22)는 상기 패널 본체(21)의 적어도 일부분이 천공하여 형성되며, 상기 패널 본체(21)의 4개의 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22)는 상기 패널(20)의 각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20)에 장착되는 토출베인(25)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20)의 중앙부에는 흡입 그릴(30)이 장착된다. 상기 흡입 그릴(30)은 상기 공기조화기(1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며, 대략 4각형 프레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 그릴(30)에는, 격자형을 이루며 흡입구(34)를 가지는 그릴 본체(32)가 포함된다.
상기 토출구(22)는 상기 흡입 그릴(30)의 외측 4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토출구(22)는 상기 흡입구(34)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하좌우 방향으로 모두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흡입구(34) 및 토출구(22)의 배치에 의하여, 실내공간의 공기는 상기 패널(20)의 중앙부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50)의 내부로 흡입되어 조화되고, 상기 조화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22)를 통하여 상기 패널(20)의 외측 4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에서의 공기 유동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팬모터(65)가 구동하여 상기 송풍팬(60)에 회전력이 발생하면, 실내공간의 공기는 상기 흡입구(34)를 통하여 흡입된다. 상기 흡입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80)를 통과하여 상기 송풍팬(60)으로 유동하며, 상기 송풍팬(60)을 거치면서 유동방향이 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60)을 통과하여 반경반경 외측으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7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 된다. 상기 열교환 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22)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즉, 공기는 상기 패널(20)의 중앙부에 위치한 상기 흡입구(34)을 통하여 축방향 상방으로 흡입되며, 상기 케이싱(50)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34)의 반경방향 외측 방향으로 유동하며, 상기 토출구(34)를 통하여 축방향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싱과 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상기 송풍팬(60) 등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고, 설치구조 및 결합구조 등을 생략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20)은 상기 케이싱(5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널(20)을 상기 케이싱(50)에서 분리하여, 상기 케이싱(50)의 내부에 배치된 구성 및 상기 패널(20)을 점검 및 교체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팬(40)은 상기 패널(20)의 토출 측과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 팬(40)에는 상기 토출구(22)로 유동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토출공기유동통로(42)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공기유동통로(42)는 상기 토출구(2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드레인 팬(40)은 상기 패널(20) 및 상기 케이싱(50)과 같이 대칭되는 구조로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송풍팬(60)을 중심으로 대략 사각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오리피스(80)는 상기 패널(20)의 흡입 측과 대응되도록, 상기 드레인 팬(40)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80)에는 상기 흡입구(34)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팬(65)으로 안내하는 흡입공기유동통로(10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공기유동통로(100)는 상기 흡입구(3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오리피스(80)의 일 측에 상기 제어유닛(90)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제어유닛(90)의 형상제한으로 일반적인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배치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상기 오리피스(80)는 상기 드레인 팬(40), 상기 패널(20) 및 상기 케이싱(50)와 다르게 대칭적인 구조로 형성될 수 없다.
더하여, 종래의 천정형 공기조화기에서는 상기 제어유닛(90)이 상기 흡입공기유동통로(100)의 일부를 가로막게 배치되었다. 즉, 상기 흡입공기유동통로(100)로 유동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제어유닛(90)에 의해 유동간섭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와류가 형성되고, 소음이 증대되며 효율이 저감되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흡입공기유동통로(100)의 일부가 비대칭형상을 갖는다. 이하, 상기 흡입공기유동통로를 공기유동통로(100)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상기 패널(20)이 분리 또는 생략된 천정형 공기조화기(10)를 도시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 축(66)을 축 방향 중심(c)이라 한다. 또한, 도 4를 기준으로 종이로 수직하게 들어가는 방향을 축 방향 상방이라 하고, 종이에서 수직하게 나오는 방향을 축 방향 하방이라 한다.
또한, 상기 축 방향 중심(c)에서 종이면을 따라 멀어지는 방향을 반경방향 외측이라 하고, 상기 축 방향 중심(c)으로 종이면을 따라 가까워지는 방향을 반경방향 내측이라 한다.
이때,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10)로 흡입되는 공기는 전체적으로 축 방향 상방으로 유동되고, 토출되는 공기는 전체적으로 축 방향 하방으로 유동된다. 즉, 상기 공기유동통로(100)로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은 축 방향 상방에 해당된다.
상기 공기유동통로(100)에는, 상기 흡입구(34)와 인접한 상기 공기유동통로(100)의 일 단을 형성하는 입구단(110), 상기 송풍팬(65)과 인접한 상기 공기유동통로(100)의 타 단을 형성하는 출구단(120)이 포함된다. 즉, 상기 입구단(110)과 상기 출구단(120)는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출구단(120)은 상기 입구단(110)보다 축방향 상방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공기유동통로(100)에는 상기 입구단(110)과 상기 출구단(120)을 연결하는 유로가이드부(160)가 포함된다. 즉, 상기 유로가이드부(160)는 축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입구단(110)과 상기 출구단(120)을 연결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입구단(110)에는, 제 1 반경(R1)을 갖는 제 1 곡면부(112) 및 상기 제 1 반경(R1)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가변부(114)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제 1 반경(R1)은 상기 중심(c)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입구단(110)은 상기 제 1 곡면부(112)와 상기 가변부(114)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변부(114)는 상기 제 1 곡면부(112)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곡면부(112)는 제 1 반경(R1)으로 연장된 호(arc) 형상으로 이해되고, 상기 가변부(114)는 상기 호의 양 단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부(114)는 상기 제 1 곡면부(112)의 양 단을 연결하는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가변부(114)는 상기 제 1 반경(R1)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점들의 집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소정의 곡률을 갖는 호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1 곡면부(112)는 상기 제 1 반경(R1)으로 270도 이상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면부(112)가 형성하는 호의 중심각(360-x)은 270도 이상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 1 곡면부(112)의 양 단과 상기 중심(c)을 연결한 선이 이루는 각도(x)는 90도 미만일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제 1 곡면부(112)는 상기 가변부(114)의 3배 이상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호의 길이는 반경과 중심각을 곱한 값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곡면부(112)의 반경이 상기 가변부(114)보다 크며 중심각이 3배 이상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형상은 상기 공기유동통로(100)의 일 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어유닛(90)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가변부(114)는 상기 제어유닛(90)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형성된 부분이다. 그에 따라, 상기 가변부(114)는 상기 제어유닛(90)의 일 면(90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드레인 팬(40) 및 상기 케이싱(50)이 형상한 4면 중 일 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가변부(114)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이하, 상기 가변부(114)와 인접한 상기 제어유닛(90)의 일 면을 접촉면(90a)이라 한다.
도 4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상기 접촉면(90a)과 상기 가변부(114)를 완전히 겹쳐지는 하나의 선으로 도시하였으나, 소정의 이격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접촉면(90a) 및 상기 가변부(114)를 완전한 직선으로 도시하였으나, 소정의 곡률을 갖는 선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구단(120)은 제 2 반경(R2)을 갖는 제 2 곡면부(122)로 형성된다. 즉, 상기 출구단(120)은 상기 중심(c)에서 상기 제 2 반경(R2)으로 형성된 원에 해당된다. 도 4에서는 상기 제 2 곡면부(122)의 일 측과 상기 가변부(114)가 접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수치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제 1 반경(R1)은 상기 제 2 반경(R2)보다 크게 마련된다. 이는 상기 공기유동통로(100)를 통과하는 공기를 모아주기 위함이다.
정리하자면, 상기 공기유동통로(100)의 일 단인 상기 입구단(110)은 일 측이 내측으로 찌그러진 원형으로 마련되고, 타 단인 상기 출구단(120)은 완전한 원형으로 마련된다. 이하, 상기 입구단(120) 및 상기 출구단(130)을 연결하는 상기 유로가이드부(160)의 형상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오리피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가이드부(160)에는 상기 제 1 곡면부(112)와 상기 제 2 곡면부(122)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140)와 상기 가변부(114)와 상기 제 2 곡면부(122)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15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입구단(110)은 상기 제 1 연결부(140) 및 상기 제 2 연결부(150)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상 점선으로 상기 제 1 연결부(140) 및 상기 제 2 연결부(150)를 구분하였다. 또한, 기재의 편의상 앞서 설명한 상기 가변부(114)보다 상기 제 2 연결부(150)를 넓게 표시하였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연결부(140) 및 상기 제 2 연결부(150)를 축방향으로 3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연결부(140)에는, 상기 제 1 곡면부(112)에서 축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하단부(142), 상기 제 1 하단부(142)에서 축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중단부(144) 및 상기 제 1 중단부(144)에서 상기 제 2 곡면부(122)로 축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상단부(146)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부(150)에는, 상기 가변부(114)에서 축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하단부(152), 상기 제 2 하단부(152)에서 축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중단부(154) 및 상기 제 2 중단부(154)에서 축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상단부(156)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제 1, 2 연결부(140, 150)의 제 1, 2 하단부(142, 152), 제 1, 2 중단부(144, 154) 및 상기 제 1, 2 상단부(146, 156)를 구분하는 기준은 반경방향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즉, 대응되는 각 부분의 축방향 수직거리는 동일하다.
이때, 상기 제 2 하단부(152) 및 상기 제 2 중단부(154)는 상기 제어유닛(90)의 접촉면(90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으로 형성된 상기 접촉면(90a)과 대응되어 상기 제 2 하단부(152) 및 상기 제 2 중단부(154)는 축방향 전방으로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하단부(152) 및 상기 제 2 중단부(154)의 반경방향 외측에 상기 제어유닛(90)이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상단부(156)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상기 제어유닛(90)이 배치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제 2 상단부(156)보다 축방향 하방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하단부(142)는 상기 제 2 하단부(152)보다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져 축방향 전방으로 연장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곡면부(112)는 상기 가변부(114)보다 더 큰 반경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 1 상단부(146) 및 상기 제 2 상단부(156)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져 축방향 전방으로 연장된다. 이는 출구단에서 반경이 증대되는 오리피스의 일반적인 형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 2 연결부(150)는 상기 출구단에서 가장 큰 반경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상기 제 1 연결부(140)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지고 다시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2 연결부(150)는 직선으로 연장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에 따라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 1 연결부(140)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A)는 반경방향 내측방향으로 유입되어 반경방향 외측방향으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부(150)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B)는 직선으로 유입되어 반경방향 외측방향으로 토출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제어유닛(90)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공기가 상기 제 1, 2 연결부(140, 150)를 따라 원활하게 유동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유닛(90)에 의해 공기의 유동이 방해받지 않으며,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10 : 천장형 공기조화기 20 : 패널
50 : 케이싱 80 : 오리피스
90 : 제어유닛 100 : 공기유동통로
110 : 입구단 112 : 제 1 곡면부
114 : 가변부 120 : 출구단
122 : 제 2 곡면부 160 : 유로가이드부
50 : 케이싱 80 : 오리피스
90 : 제어유닛 100 : 공기유동통로
110 : 입구단 112 : 제 1 곡면부
114 : 가변부 120 : 출구단
122 : 제 2 곡면부 160 : 유로가이드부
Claims (15)
- 송풍팬이 설치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하측에 결합되고, 토출구 및 흡입구가 형성되는 패널; 및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팬으로 안내하는 공기유동통로가 형성된 오리피스;가 포함되고,
상기 공기유동통로에는,
상기 흡입구와 인접한 상기 공기유동통로의 일 단을 형성하는 입구단;
상기 송풍팬과 인접한 상기 공기유동통로의 타 단을 형성하며 원형으로 이루어진 출구단; 및
상기 입구단과 상기 출구단을 연결하는 유로가이드부;가 포함되고,
상기 입구단에는,
제 1 반경을 갖는 제 1 곡면부; 및
상기 제 1 곡면부의 사이에 일부가 절개된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가변부;가 포함되고,
상기 가변부는,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로가이드부와 마주하는 면이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어유닛에 대해, 상기 공기유동통로의 상기 입구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유닛과 간섭되지 않도록 이격 배치되며, 절개된 양단이 상기 제어유닛의 일면과 대응하는 직선으로 연결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단은 제 2 반경을 갖는 제 2 곡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부에는,
상기 제 1 곡면부와 상기 제 2 곡면부를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가변부와 상기 제 2 곡면부를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2 연결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에는,
상기 제 1 곡면부에서 축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하단부;
상기 제 1 하단부에서 축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중단부; 및
상기 제 1 중단부에서 상기 제 2 곡면부로 축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상단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에는,
상기 가변부에서 축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하단부;
상기 제 2 하단부에서 축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중단부; 및
상기 제 2 중단부에서 상기 제 2 곡면부로 축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상단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단부 및 상기 제 2 중단부는 축방향 상방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단부는 상기 제 2 하단부보다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져 축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단부 및 상기 제 2 상단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져 축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 2 연결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단부 및 상기 제 2 중단부는 상기 제 2 연결부와 인접한 상기 제어유닛의 일 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경은 상기 제 2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오리피스를 반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오리피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어유닛;이 더 포함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곡면부는 상기 제 1 반경으로 270도 이상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5972A KR102522048B1 (ko) | 2018-03-05 | 2018-03-05 | 천장형 공기조화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5972A KR102522048B1 (ko) | 2018-03-05 | 2018-03-05 | 천장형 공기조화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5430A KR20190105430A (ko) | 2019-09-17 |
KR102522048B1 true KR102522048B1 (ko) | 2023-04-14 |
Family
ID=6807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5972A KR102522048B1 (ko) | 2018-03-05 | 2018-03-05 | 천장형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204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09463B (zh) * | 2020-05-29 | 2022-01-07 | 佛山市万物互联科技有限公司 | 空调的控制方法、系统、空调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21455A (ja) * | 2000-02-10 | 2001-08-17 | Toshiba Kyaria Kk |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
JP2017044133A (ja) * | 2015-08-26 | 2017-03-02 | 三菱電機株式会社 | 遠心送風機及び換気扇 |
JP2017048979A (ja) * | 2015-09-03 | 2017-03-09 |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
-
2018
- 2018-03-05 KR KR1020180025972A patent/KR1025220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21455A (ja) * | 2000-02-10 | 2001-08-17 | Toshiba Kyaria Kk |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
JP2017044133A (ja) * | 2015-08-26 | 2017-03-02 | 三菱電機株式会社 | 遠心送風機及び換気扇 |
JP2017048979A (ja) * | 2015-09-03 | 2017-03-09 |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5430A (ko) | 2019-09-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09784B1 (ko) | 횡류팬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 |
KR102379031B1 (ko) |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
US10107507B2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190139054A (ko)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
WO2016063397A1 (ja) | 空気調和機 | |
WO2015145740A1 (ja) | 空気調和機 | |
KR101734722B1 (ko) | 공기 조화기의 오리피스 | |
KR102522048B1 (ko) | 천장형 공기조화기 | |
KR100702323B1 (ko) | 천장형 공기조화장치 | |
JP2008157530A (ja) | 空調機の室内ユニット | |
CN108386905B (zh) | 空调 | |
KR100728674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1419941B1 (ko) | 천장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
KR20190141479A (ko)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
JP2018025357A (ja) |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 | |
KR102451312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2392958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JPWO2019123743A1 (ja) | 空気調和機の室内機 | |
KR100829191B1 (ko) |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 |
JP2016132991A (ja) | 送風装置 | |
EP4365497A1 (en) | Air conditioner | |
WO2023152802A1 (ja) | 室内機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 |
KR100335082B1 (ko) | 창문형 에어컨의 실외기 | |
KR101419944B1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653785B1 (ko) | 공기조화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