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449B1 -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denture wearers - Google Patents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denture wear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5449B1 KR102525449B1 KR1020210022650A KR20210022650A KR102525449B1 KR 102525449 B1 KR102525449 B1 KR 102525449B1 KR 1020210022650 A KR1020210022650 A KR 1020210022650A KR 20210022650 A KR20210022650 A KR 20210022650A KR 102525449 B1 KR102525449 B1 KR 1025254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nture
- sterilization
- water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8
- QWPPOHNGKGFGJK-UHFFFAOYSA-N hypochlorous acid Chemical compound ClO QWPPOHNGKGFGJK-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SUKJFIGYRHOWBL-UHFFFAOYSA-N sodium hypochlorite Chemical compound [Na+].Cl[O-] SUKJFIGYRHOWBL-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5708 Sodium hypochlori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3020 steam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IXCSERBJSXMMFS-UHFFFAOYSA-N hydrogen chloride Substances Cl.Cl IXCSERBJSXMMF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10000041 hydrogen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claims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793 Steam injection (oil indust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34 disappear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KJTLSVCANCCWHF-UHFFFAOYSA-N Ruthenium Chemical compound [Ru] KJTLSVCANCCWH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1 iri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KOZUEZYRPOHIO-UHFFFAOYSA-N iridium atom Chemical compound [Ir] GKOZUEZYRPOHI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180 public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7 ruthe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36—Cleaning devices for dental prostheses removed from the oral cavit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2—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instru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25—Ultrason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2204/005—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chip tag or any electronic identification mean, e.g. RF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ntis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 틀니와 틀니 세척장치가 연동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통해 틀니에 대한 세척이 진행되고 틀니 세척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정보, 의료 정보 및 틀니 세척이력정보를 표시함으로써, 틀니 착용자의 틀니 세척 이력, 구강 관리 내역 및 병원 이력 관리 내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수개의 틀니를 동시에 살균세척하되 각각의 틀니를 수용하는 틀니포켓에 각각 급수라인과 배수라인을 연결하고, 틀니의 세척 사양에 따라 틀니포켓에 살균소독수인 차아염소산, 미산성 차아염소산 또는 차아염소나트륨을 선택적으로 공급 충진할 수 있으며, 틀니의 살균소독 후 알칼리수로 틀니포켓 내부를 소독하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사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전방측에 개폐문(15)이 구비되는 밀폐 구조의 케이스 형태를 갖는 본체(10); 틀니(2)에 매립된 정보식별체를 인식하기 위해 본체(10)의 전방측에 리더부(13)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틀니(2)의 세척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틀니 세척장치의 동작을 위해 사용자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11)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문(15)의 개방에 따른 내측공간부 내에서 틀니(2)의 세척을 위해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32)이 형성된 틀니포켓(31)이 다수개로 구비되는 틀니함부(30); 상기 틀니(2) 및 틀니포켓(31)을 살균소독하기 위해 틀니포켓(31)에 연결되는 급수라인(40) 상에 설치되어 살균소독수를 생성하는 전해장치(41); 상기 틀니포켓(31)을 진동시키기 위해 틀니포켓(31)의 하부 외측에 고정 구비되는 초음파진동부(95); 상기 틀니(2) 및 틀니포켓(31)에 대한 자외선 살균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본체(10) 내의 틀니포켓(31) 상부측에 이격 구비되는 자외선살균부(85); 상기 틀니(2) 및 틀니포켓(31)의 스팀세척을 위해 본체(10) 내의 틀니포켓(31) 상부측에 이격 구비되어 틀니포켓(31) 측으로 스팀을 하향 분사하는 스팀분사부(80); 상기 틀니(2)의 세척 후 건조를 위해 틀니포켓(31)의 상부측인 본체(10)의 내벽에 구비되는 건조부(86); 상기 개폐문(15), 초음파진동부(95), 자외선살균부(85), 스팀분사부(80), 건조부(86) 및 디스플레이부(11)를 작동 제어하는 컨트롤러(8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a denture wearer, in which a smart denture with an information identifier embedded therein and a denture cleaning device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o perform cleaning of the denture and a display provided in the denture cleaning device. By displaying the denture wearer's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nd denture cleaning history information on the part, it is easy to grasp the denture wearer's denture cleaning history, oral care history, and hospital history management history, as well as sterilizing multiple dentures at the same time To wash, connect the water supply line and drain line to each denture pocket that accommodates each denture, and selectively supply and fill the denture pocket with hypochlorous acid,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acid, or sodium hypochlorite, which is sterilized and disinfected, according to the denture cleaning specifications. In order to enable clean use by disinfecting the inside of the denture pocket with alkaline water afte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the denture, the main body 10 having a case shape of a closed structure equipp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door 15 on the front side; A reader unit 13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to recognize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embedded in the denture 2, and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to obtain cleaning information of the denture 2. A display unit 11 for displaying and interfacing with a user for the operation of the denture cleaning device is provided, and for accommodating the denture 2 for cleaning in the inner space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5 A denture compartment 3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enture pockets 31 in which a receiving space 32 is formed; an electrolytic device 41 installed on a water supply line 40 connected to the denture pocket 31 to sterilize the denture 2 and the denture pocket 31 and generating sterilization/disinfection water; An ultrasonic vibrator 95 fix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enture pocket 31 to vibrate the denture pocket 31;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85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denture pocket 31 in the main body 10 to perform ultraviolet sterilization treatment on the denture 2 and the denture pocket 31; A steam spraying unit 80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denture pocket 31 in the main body 10 to spray steam downward toward the denture pocket 31 for steam cleaning of the denture 2 and the denture pocket 31; a drying unit 86 provided on an inner wall of the main body 10, which is an upper side of the denture pocket 31, to dry the denture 2 after washing; A controller 89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door 15, the ultrasonic vibration unit 95,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85, the steam spraying unit 80, the drying unit 86, and the display unit 11; including characterized by being made.
Description
본 발명은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 틀니와 틀니 세척장치가 연동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통해 틀니에 대한 세척이 진행되고 틀니 세척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정보, 의료 정보 및 틀니 세척이력정보를 표시함으로써, 틀니 착용자의 틀니 세척 이력, 구강 관리 내역 및 병원 이력 관리 내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수개의 틀니를 동시에 살균세척하되 각각의 틀니를 수용하는 틀니포켓에 각각 급수라인과 배수라인을 연결하고, 틀니의 세척 사양에 따라 틀니포켓에 살균소독수인 차아염소산, 미산성 차아염소산 또는 차아염소나트륨을 선택적으로 공급 충진할 수 있으며, 틀니의 살균소독 후 알칼리수로 틀니포켓 내부를 소독하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a denture wearer, and more particularly, denture cleaning is performed and denture cleaning is performed through a process in which a smart denture embedded with an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and a denture cleaning device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By displaying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nd denture cleaning history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on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device,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denture wearer's denture cleaning history, oral care history, and hospital history management history. The dog's dentures are sterilized and washed at the same time, but the water supply line and the drainage line are connected to each denture pocket that accommodates each denture, and hypochlorous acid,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acid, or sodium hypochlorite, which is sterilized and disinfected, is applied to the denture pocket according to the denture cleaning specifications. It relates to a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a denture wearer, which can be selectively supplied and filled, and which enables clean use by disinfecting the inside of a denture pocket with alkaline water afte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the denture.
의료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의료 기구가 개발되고 있으며, 치과 의료 기술 중에는 인공치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공치아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틀니(Artificial tooth)가 있다.As medical technology develops, various medical instruments are being developed, and among dental medical technologies, artificial teeth are being developed and used.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artificial teeth is a denture (Artificial tooth).
틀니는 자연치아가 결손되었을 경우 대체물로서 인공적으로 제조한 금속과 합성수지(레진) 재질의 의치(義齒)로서 고령의 노인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틀니를 가정에서는 세정제 등으로 간단하게 관리가 가능하지만, 노인들이 대부분인 요양병원, 보건소 등의 공공기관(장소)에서 노인들의 복지를 위해 틀니를 관리해주는 시스템은 취약한 실정이다.Dentures are artificially manufactured dentures made of metal and synthetic resin (resin) as a substitute for missing natural teeth, and are mainly used by elderly people. Although these dentures can be easily managed at home with detergent, etc., systems for managing dentures for the welfare of the elderly in public institutions (places) such as nursing hospitals and public health centers, where most of the elderly are present, are weak.
근래 들어 요양병원을 포함한 공공기관 등에 틀니 세척기가 사용되고 있긴 하지만, 이러한 틀니 세척기는 식기세척기와 같은 단순 세척 기능만이 수행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틀니를 세척하는데 일정시간이 소요되고, 요양병원 등에는 치매환자를 포함하여 대부분이 고령의 노인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틀니 분실에 대한 우려가 발생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Recently, denture washers have been used in public institutions, including nursing hospitals, but these denture washers have a structure that allows only simple washing functions to be performed, such as dishwashers, and it takes a certain amount of time to clean dentures, had inconveniences, such as concerns over loss of dentures, because most of them were elderly, including dementia patients.
이 뿐만 아니라, 요양병원에서 틀니를 사용하는 노인들, 치매환자 등은 본인의 틀니를 최근에 언제 세척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본인, 요양보호사 또는 보호자에 의한 틀니세척관리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o this, elderly people who use dentures in nursing hospitals, dementia patients, etc. have difficulty cleaning management of dentures by themselves, caregivers, or guardians because they do not know when their dentures have been washed recently. .
한편,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716091호, 제10-1812080호, 제10-1903961호 및 제10-1903962호를 통해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을 개시한 바 있다. 위 기술에서는 틀니 내에 틀니 착용자의 성명, 혈액형, 연락처, 주민등록번호, 병원이력, 치과 정보이력을 포함하는 개인신상정보가 저장된 정보식별체를 매립하는 방법을 다양한 실시예로 개시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applicant has registered patents No. 10-1716091, No. 10-1812080, No. 10-1903961 and No. 10-1903962 “Method of embedding dentures of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to prevent emergency and disappearance of denture wearers ” has been initiated. In the above technology, a method of embedding an information identifier in which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a denture wearer's name, blood type, contact information,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hospital history, and dental information history is stored in dentures has been disclosed in various embodiments.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 틀니와 틀니 세척장치가 연동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통해 틀니에 대한 세척이 진행되고 틀니 세척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정보, 의료 정보 및 틀니 세척이력정보를 표시함으로써, 틀니 착용자의 틀니 세척 이력, 구강 관리 내역 및 병원 이력 관리 내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수개의 틀니를 동시에 살균세척하되 각각의 틀니를 수용하는 틀니포켓에 각각 급수라인과 배수라인을 연결하고, 틀니의 세척 사양에 따라 틀니포켓에 살균소독수인 차아염소산, 미산성 차아염소산 또는 차아염소나트륨을 선택적으로 공급 충진할 수 있으며, 틀니의 살균소독 후 알칼리수로 틀니포켓 내부를 소독하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eliminate the above problems, and the cleaning of the denture proceeds through a process in which the smart denture embedded with the information identifier and the denture cleaning device operate in conjunction, and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denture cleaning device By displaying the denture wearer's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nd denture cleaning history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denture wearer's denture cleaning history, oral care history, and hospital history management history, as well as sterilizing and washing multiple dentures at the same time A water supply line and a drain line are connected to each denture pocket accommodating each denture, and hypochlorous acid,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acid or sodium hypochlorite can be selectively supplied and filled into the denture pocket according to the cleaning specifications of the denture. Afte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dentures, the inside of the denture pocket is sterilized with alkaline water, so that clean use is possible.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방측에 개폐문(15)이 구비되는 밀폐 구조의 케이스 형태를 갖는 본체(10); 틀니(2)에 매립된 정보식별체를 인식하기 위해 본체(10)의 전방측에 리더부(13)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틀니(2)의 세척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틀니 세척장치의 동작을 위해 사용자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11)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문(15)의 개방에 따른 내측공간부 내에서 틀니(2)의 세척을 위해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32)이 형성된 틀니포켓(31)이 다수개로 구비되는 틀니함부(30); 상기 틀니(2) 및 틀니포켓(31)을 살균소독하기 위해 틀니포켓(31)에 연결되는 급수라인(40) 상에 설치되어 살균소독수를 생성하는 전해장치(41); 상기 틀니포켓(31)을 진동시키기 위해 틀니포켓(31)의 하부 외측에 고정 구비되는 초음파진동부(95); 상기 틀니(2) 및 틀니포켓(31)에 대한 자외선 살균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본체(10) 내의 틀니포켓(31) 상부측에 이격 구비되는 자외선살균부(85); 상기 틀니(2) 및 틀니포켓(31)의 스팀세척을 위해 본체(10) 내의 틀니포켓(31) 상부측에 이격 구비되어 틀니포켓(31) 측으로 스팀을 하향 분사하는 스팀분사부(80); 상기 틀니(2)의 세척 후 건조를 위해 틀니포켓(31)의 상부측인 본체(10)의 내벽에 구비되는 건조부(86); 상기 개폐문(15), 초음파진동부(95), 자외선살균부(85), 스팀분사부(80), 건조부(86) 및 디스플레이부(11)를 작동 제어하는 컨트롤러(8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틀니함부(30)는 수용공간(32)이 형성된 틀니포켓(31)과, 상기 틀니포켓(31)의 상단부에 외향 확장되는 외향테두리부(33)로 구성되고, 상기 틀니포켓(31)의 상부측 외벽에 관통된 급수공(35)에 수돗물공급부(43)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전해장치(41)를 거쳐 생성되는 살균소독수의 급수라인(40)이 연통 체결되고, 상기 틀니포켓(31)의 바닥측에 관통된 배수공(59) 상에 상기 틀니포켓(31)에 수용되는 틀니(2)의 살균소독에 사용된 폐살균소독수의 배수라인(50)이 연통 체결되며, 상기 개폐문(15)의 개방에 따른 내측공간부 내에 수평 고정된 설치대(91) 상에 형성된 통공(92) 내측으로 틀니포켓(31)이 하향삽입되면서 통공(92)의 테두리부 외측 설치대(91) 상에 틀니포켓(31)의 외향테두리부(33)가 걸림안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살균소독수는 차아염소산(HCLO),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나트륨(NaClO)에 해당하는 제1살균소독수와, 알칼리수에 해당하는 제2살균소독수를 포함하고, 상기 틀니포켓(31) 내에 수용된 틀니(2)에 대한 살균소독과정은, 상기 제1살균소독수를 이용하는 제1살균소독과정과, 상기 제1살균소독과정에서 틀니(2) 내면에 남아 있는 제1살균소독수를 제거하기 위해 제2살균소독수를 이용하는 제2살균소독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수돗물공급부(43)로부터 연결되어 다수개의 각 틀니포켓(31) 내로 수돗물이 공급되는 급수라인(40) 상에 각각 전해장치(41,Electrolyzer), 정량밸브, 침전필터(6,Sediment Filter) 및 카본필터(7,Carbon Filter)가 구비된 전해조(400)가 구비되고, 상기 정량밸브는 각 틀니포켓(31) 내로 수돗물 정량공급을 유도하고, 상기 전해장치(41)는 틀니포켓(31) 측으로 이동되는 수돗물에 스파크를 발생시킴으로써 전기분해하여 틀니함부(30) 내에 차아염소산(HCLO)이 공급되게 하고, 상기 침전필터(Sediment Filter)는 수돗물에 포함된 불순물이나 미세찌꺼기를 걸러내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돗물공급부(43)에 연결된 제1공급라인(44)에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나트륨(NaClO)을 생성하기 위한 혼합조(60)가 연결라인(66)을 통해 연결되어지되, 상기 연결라인(66)이 혼합조(60)의 측벽 일측상부에 연결 구비되고, 상기 혼합조(60)에는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의 생성을 위한 액상염화수소공급부(61)와, 차아염소나트륨(NaClO) 생성을 위한 액상염화나트륨공급부(63)가 각각 연결라인(62,64)을 통해 연결되어지되, 상기 연결라인(62,64)이 혼합조(60)의 측벽 타측상부에 연결 구비되며, 상기 혼합조(60) 내에 액상염화수소 또는 액상염화나트륨 중 어느 하나와, 수돗물을 설정된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조(60)의 바닥측에 연결된 제2공급라인(67)을 통해 침전필터(6)를 거쳐 급수라인(40)과 연통되게 하여 상기 전해장치(41)의 전기분해 작용을 통해 틀니함부(30) 내에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나트륨(NaClO)이 공급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constructing a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a denture wearer,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수돗물공급부(43)에 연결된 제1공급라인(44)에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나트륨(NaClO)을 생성하기 위한 혼합조(60)가 연결라인(66)을 통해 연결되어지되, 상기 연결라인(66)이 혼합조(60)의 측벽 일측상부에 연결 구비되고, 상기 혼합조(60)의 상부에는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의 생성을 위한 고상염화수소공급부(161)와, 차아염소나트륨(NaClO) 생성을 위한 고상염화나트륨공급부(163)가 각각 이격 구비되며, 상기 혼합조(60) 내에 고상염화수소(알약 형태) 또는 고상염화나트륨(알약 형태) 중 어느 하나와, 수돗물을 설정된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조(60)의 바닥측에 연결된 제2공급라인(67)을 통해 침전필터(6)를 거쳐 급수라인(40)과 연통되게 하여 상기 전해장치(41)의 전기분해 작용을 통해 틀니함부(30) 내에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나트륨(NaClO)이 공급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수돗물공급부(43)에 연결된 제2공급라인(49) 상에 알칼리수를 생성하기 위한 카본필터(7)가 설치되어 급수라인(40)에 연결되어지되, 상기 급수라인(40)에 연결되는 제2공급라인(49)과 제1공급라인(44)을 투웨이밸브(5)로 연결하여 알칼리수를 공급하는 제2공급라인(49) 또는 살균소독수를 공급하는 제1공급라인(44)을 선택적으로 개방 사용토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arbon filter (7) for generating alkaline water is installed on the second supply line (49) connected to the tap water supply unit (43)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line (40). The
또한, 상기 틀니포켓(31)에 충진되는 살균소독수의 수질 및 수위를 각각 측정하기 위해 틀니포켓(31) 내측에 수질측정센서 및 수위측정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틀니포켓(31)과 급수라인(40) 사이 연결부에 솔레노이드밸브(39)가 각각 구비되어 틀니포켓(31) 내로 살균소독수의 공급 on 및 off를 제어토록 하며, 상기 컨트롤러(89)는 수질측정센서 및 수위측정센서를 통해 각각 검출된 살균소독수의 수질 및 수위와, 솔레노이드밸브(39)의 on 및 off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1)를 통해 표시하며, 상기 수위측정센서를 통해 검출된 살균소독수의 수위를 기반으로 정량밸브를 통해 틀니포켓(31)에 정량의 살균소독수가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water quality measuring sensor and a water level measuring sensor ar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또한, 상기 개폐문(15) 개방에 따른 내측공간부와 연통되도록 본체(10)의 일측벽에 통공(19)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9)의 외측에 히터(211) 또는 송풍팬(213) 중 하나 이상의 건조부를 내부에 갖춘 외부건조기(2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그리고, 상기 설치대(91)의 상부측 본체(10) 내벽 상에 각각의 다른 3가지 색상으로 색상표시등(251,252,253)을 구비하여, 상기 급수라인(40)을 통해 틀니포켓(31) 내에 살균소독수가 투입되는 시간 동안 제1색상표시등(251)이 점등되고, 상기 배수라인(50)을 통해 틀니포켓(31) 내에서 틀니(2)의 살균소독에 사용된 폐살균소독수가 배출되는 시간 동안 제2색상표시등(252)이 점등되며, 상기 배출이 완료된 후 자외선살균부(85), 스팀분사부(80) 및 건조부(86)의 작동시간 동안 제3색상표시등(253)이 점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color indicators (251, 252, 253) in three different colors are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10)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table (91) to sterilize and disinfect the denture pocket (31)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40). During the time when the water is supplied, the first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 틀니와 틀니 세척장치가 연동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통해 틀니에 대한 세척이 진행되고 틀니 세척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정보, 의료 정보 및 틀니 세척이력정보를 표시함으로써, 틀니 착용자의 틀니 세척 이력, 구강 관리 내역 및 병원 이력 관리 내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cleaning of the dentures proceeds through a process in which the smart dentu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dentifier is embedded and the denture cleaning device operate in conjunction, and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provided in the denture cleaning device. And by displaying the denture cleaning history information, there is an effect of easily grasping the denture wearer's denture cleaning history, oral care history, and hospital history management history.
또한, 다수개의 틀니를 동시에 살균세척하되 각각의 틀니를 수용하는 틀니포켓에 각각 급수라인과 배수라인을 연결하고, 틀니의 세척 사양에 따라 틀니포켓에 살균소독수인 차아염소산, 미산성 차아염소산 또는 차아염소나트륨을 선택적으로 공급 충진할 수 있으며, 틀니의 살균소독 후 알칼리수로 틀니포켓 내부를 소독하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사용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dentures are sterilized and washed at the same time, but a water supply line and a drain line are connected to each denture pocket accommodating each denture, and hypochlorous acid,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acid, or hypochlorous acid, Sodium chlorine can be selectively supplied and filled, and afte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dentures, the inside of the denture pocket is sterilized with alkaline water, so that it can be used cleanl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의 사시 실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틀니함의 배치상태 실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급수라인을 통해 살균소독수인 차아염소산을 공급하는 상태 실시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급수라인을 통해 살균소독수인 미산성 차아염소산 또는 차아염소나트륨을 공급하는 상태 실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급수라인을 통해 알칼리수를 공급하는 상태 실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라인을 통해 사용된 살균소독수를 배출하는 상태 실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틀니함부의 변형 실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외부건조기의 추가 실시 예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부의 사용 실시 예시도1 is a perspective embodiment of a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a denture wear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dentur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of a state in which hypochlorous acid, which is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is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exemplary diagrams of a state in which acidic hypochlorous acid or sodium hypochlorite, which is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of a state in which alkaline water is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used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is discharged through a drain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denture com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of an additional embodiment of an external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examples of use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틀니 세척장치는 틀니의 불투명레진부의 내부에 정보식별체가 매립되는 틀니(스마트 틀니로 표기될 수 있다)뿐만 아니라, 정보식별체가 매립되지 않은 일반 틀니의 세척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정보식별체가 틀니의 불투명레진부에 매립된 구조는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10-1716091호, 제10-1812080호, 제10-1903961호 및 제10-1903962호, "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에 제시되어 있다)The denture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for cleaning not only dentures (which can be marked as smart dentures) in which an information identifier is embedded in the opaque resin part of the denture, but also general dentures in which an information identifier is not embedded (informati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is embedded in the opaque resin part of the denture is described in Korean Registered Patent Nos. 10-1716091, 10-1812080, 10-1903961 and 10-1903962 of the present applicant, "Emergencies and disappearance of denture wearers. It is presented in "Method of embedding dentures of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for prevention")
본 실시예에서 표기하는 세척이라 함은 살균, 소독 및 세정을 포괄하거나, 어느 하나 이상의 과정을 의미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정의한다.The cleaning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s defined as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encompasses sterilization, disinfection, and cleaning, or any one or more processes.
한편, 정보식별체에는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 의료 정보 및 틀니 세척이력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는 틀니 착용자의 성명, 혈액형,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그리고 보호자의 성명 및 전화번호 등 틀니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의료 정보는 치과 등 병원 기관에서의 진단 및 치료 등과 같은 병원 이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틀니 세척이력정보는 틀니 세척장치에 의한 최근 세척일자, 세척시각, 미리 설정된 세척주기와 같은, 틀니 세척에 대한 이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틀니 세척이력정보는 틀니 세척장치에 의한 틀니의 세척이 수행되어 완료될 때마다 틀니 세척장치,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서버와의 통신을 기반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Meanwhil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medical information, and denture washing history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may include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denture wearer, such as the denture wearer's name, blood type, phone number,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nd guardian's name and phone number. It may include hospital history information such as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denture, and the denture cleaning history information may include history information about denture cleaning, such as the latest cleaning date by the denture cleaning device, cleaning time, and preset cleaning cycle. . The denture cleaning history information may be updated based on communication with the denture cleaning device, the user terminal, or the management server whenever cleaning of the denture by the denture cleaning device is performed and completed.
상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식별체는 소정의 통신칩(예: NFC Chip 또는 아이비콘(iBeacon))으로 구현되어 후술하는 리더부에 의해 인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storing the above informa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chip (eg, NFC chip or iBeacon) and recognized by a reader unit to be described later.
이상의 설명을 바탕으로, 이하에서는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의 구조에 대한 실시예와,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가 제공하는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of the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and functions provided by the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은 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 틀니와 틀니 세척장치가 연동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통해 틀니에 대한 세척이 진행되고 틀니 세척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정보, 의료 정보 및 틀니 세척이력정보를 표시함으로써, 틀니 착용자의 틀니 세척 이력, 구강 관리 내역 및 병원 이력 관리 내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수개의 틀니를 동시에 살균세척하되 각각의 틀니를 수용하는 틀니포켓에 각각 급수라인과 배수라인을 연결하고, 틀니의 세척 사양에 따라 틀니포켓에 살균소독수인 차아염소산, 미산성 차아염소산 또는 차아염소나트륨을 선택적으로 공급 충진할 수 있으며, 틀니의 살균소독 후 알칼리수로 틀니포켓 내부를 소독하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보면 본체(10), 틀니함부(30), 전해장치(41), 초음파진동부(95), 자외선살균부(85), 스팀분사부(80), 건조부(86) 및 컨트롤러(8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denture cleaning is performed through a process in which a smart denture embedded with an information identifier and a denture cleaning device operate in conjunction, and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medical information, and denture cleaning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provided in the denture cleaning device. By displaying the history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denture wearer's denture cleaning history, oral care history, and hospital history management history, and simultaneously sterilize and wash a plurality of dentures, but each water supply line in the denture pocket accommodating each denture Hypochlorous acid,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acid, or sodium hypochlorite can be selectively supplied and filled into the denture pocket according to the cleaning specifications of the denture, and afte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the denture, the inside of the denture pocket is cleaned with alkaline water. As it relates to a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a denture wearer that enables clean use by disinfecting, referring to FIGS. 1 to 11, the
상기 본체(10)는 도 1에서와 같이 전방측에 개폐문(15)이 구비되는 밀폐 구조의 케이스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개폐문(20)은 개폐 가능한 다양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폐문(20) 상에는 돌출 또는 함몰 형태의 손잡이(1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개폐문(20)은 힌지를 통한 수평방향의 개방구조 또는 수직방향의 개방구조로 구비될 수 있고, 좌우 또는 상하 슬라이딩도어 구조로도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틀니(2)에 매립된 정보식별체를 인식하기 위해 본체(10)의 전방측에 리더부(1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리더부(13)는 도 9에서와 같이 틀니사용자가 틀니(2)를 리더부(13)에 태깅하면 리더부(13)의 각 모서리 마다 구비된 LED등이 간헐적으로 점등되면서 태깅 인식상태를 틀니사용자에게 알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본체(10)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틀니(2)의 세척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틀니 세척장치의 동작을 위해 사용자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11)가 구비된다.A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일실시예로서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광고부(11a,11b), 일반틀니 로그인부(11c) 및 틀니정보표시부(11d)등 다양한 정보 및 광고 등이 표시되며, 통상의 터치패드 구조 또는 LCD패널 등으로 구성하여 설계에 적합한 구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에 사용 편리성이 증대되도록 구현하였다.As an embodiment, the
상기 개폐문(15)의 개방에 따른 내측공간부 내에서 틀니(2)의 세척을 위해 틀니함부(30)가 구비된다. 상기 틀니함부(3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살균세척을 필요로 하는 틀니(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32)이 형성된 틀니포켓(31)이 다수개로 구비되어, 다수개의 틀니(2)를 동시에 또는 필요에 따른 선택적으로 살균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A
상기 틀니함부(30)의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 보면, 틀니함부(30)는 수용공간(32)이 형성된 틀니포켓(31)과, 상기 틀니포켓(31)의 상단부에 외향 확장되는 외향테두리부(33)로 구성되어, 도 1의 (b)에서와 같이 개폐문(15)의 개방에 따른 내측공간부 내에 수평 고정된 설치대(91) 상에 형성된 통공(92) 내측으로 틀니포켓(31)이 하향삽입되면서 통공(92)의 테두리부 외측 설치대(91) 상에 틀니포켓(31)의 외향테두리부(33)가 걸림안착되도록 구성한다.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상기 틀니함부(30)는 다수개의 틀니포켓(31)이 구비되는 구조로 구현되며, 상기 틀니포켓(31)은 각각 1개의 틀니(2)를 수용하여 살균소독수가 충진됨에 따라 틀니(2)를 살균, 소독 및 세척하기 위한 단위 틀니함부(30a,30b,30c,30d) 유닛으로서 가능하며, 상기 틀니포켓(31)이 다수개 연결되는 틀니포켓(31)의 집합 구조로 형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틀니포켓(31)의 상부측 외벽에 관통된 급수공(35)에 수돗물공급부(43)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전해장치(41)를 거쳐 생성되는 살균소독수의 급수라인(40)이 연통 체결되고, 상기 틀니포켓(31)의 바닥측에 관통된 배수공(59) 상에 상기 틀니포켓(31)에 수용되는 틀니(2)의 살균소독에 사용된 폐살균소독수의 배수라인(50)이 연통 체결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상기 각 틀니포켓(31)의 내벽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충진되는 살균소독수의 수질 및 수위를 각각 측정하기 위해 틀니포켓(31) 내측에 수질측정센서 및 수위측정센서가 더 구비되게 구현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on the inner wall of each
상기 수질측정센서는 틀니포켓(31)에 충진되는 살균소독수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기능하며, 상기 수위측정센서는 틀니포켓(31)에 충진되는 살균소독수의 수위를 측정하여 정량의 살균소독수를 통해 틀니(2)가 살균소독되도록 하는 센서로서 기능한다. 이때, 상기 수질측정센서 및 수위측정센서는 급수라인(40)에 마련된 정량밸브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살균소독수의 수질 및 양을 검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그 설치 위치가 특정 위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각 센서에 의해 검출된 살균소독수의 수질 및 수위는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통해 표시(디스플레이)된다.The water quality measuring sensor functions as a sensor for measuring the water quality of the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water filled in the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틀니포켓(31)과 급수라인(40) 사이 연결부에 솔레노이드밸브(39)가 각각 구비되어 틀니포켓(31) 내로 살균소독수의 공급 on 및 off를 제어토록 함으로써 틀니포켓(31) 내로의 살균소독수 공급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89)는 수질측정센서 및 수위측정센서를 통해 각각 검출된 살균소독수의 수질 및 수위와, 솔레노이드밸브(39)의 on 및 off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1)를 통해 표시하며, 상기 수위측정센서를 통해 검출된 살균소독수의 수위를 기반으로 정량밸브를 통해 틀니포켓(31)에 정량의 살균소독수가 공급되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the
나아가, 상기 틀니포켓(31)의 내벽에는 해당 틀니포켓(31)에 틀니(2)가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틀니검출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틀니검출센서는 소정 물체를 검출하기 위한 통상의 센서(예: 초음파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틀니검출센서는 틀니(2)가 위치한 틀니포켓(31)대하여만 살균, 소독 및 세척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Furthermore, a denture detection senso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도 3에서와 같이 틀니(2) 및 틀니포켓(31)을 살균소독하기 위해 틀니포켓(31)에 연결되는 급수라인(40) 상에 살균소독수를 생성하는 전해장치(41)가 설치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살균소독수는 제1살균소독수 및 제2살균소독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틀니(2) 및 틀니포켓(31)에 대한 살균소독과정은 제1살균소독수를 이용하는 제1살균소독과정과 제2살균소독수를 이용하는 제2살균수독과정의 2중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Inside the
이때, 상기 제1살균소독수로는 틀니(2) 및 틀니포켓(31)의 살균소독을 위한 차아염소산(HCLO),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나트륨(NaClO)이 채용될 수 있으며, 틀니(2) 및 틀니포켓(31)의 세척을 위한 제2살균소독수로는 알칼리수가 채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hypochlorous acid (HCLO),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acid (HOCl) or sodium hypochlorite (NaClO) fo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the
상기 전해장치(41)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수돗물공급부(43)로부터 연결되어 다수개의 각 틀니포켓(31)으로 수돗물이 공급되는 급수라인(40) 상에 각각 전해장치(41,Electrolyzer), 정량밸브, 침전필터(6,Sediment Filter) 및 카본필터(7,Carbon Filter)가 구비된 전해조(400)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 3, the
이때, 상기 정량밸브는 각 틀니포켓(31) 내로 수돗물 정량공급을 유도하고, 상기 전해장치(41)는 틀니포켓(31) 측으로 이동되는 수돗물에 스파크를 발생시킴으로써 전기분해하여 틀니함부(30) 내에 차아염소산(HCLO)이 공급되게 하고, 상기 침전필터(Sediment Filter)는 수돗물에 포함된 불순물이나 미세찌꺼기를 걸러내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metering valve induces a metered supply of tap water into each
상기 전해장치(41)는 소정의 촉매재료(이리듐, 루테늄 또는 백금 등)가 적용되어 차아염소산(HCLO),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나트륨(NaClO)을 생성하도록 동작하고, 또한 카본필터(7)는 수돗물 내의 염소를 제거하여 알칼리수를 생성토록 한다.The
상기 제1살균소독수는 틀니(2)의 1차 살균소독을 위한 제1살균소독과정에서 이용된다. 이때, 제1살균소독과정에서 틀니포켓(31) 내면도 살균소독하게 됨으로써 늘 청결한 틀니포켓(31)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is used in the firs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process for primary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the denture (2).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그리고, 제2살균소독수는 틀니(2) 및 틀니포켓(31)의 2차살균소독을 위한 제2살균소독과정에서 이용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살균소독과정이 차아염소산(HCLO)을 이용하는 제1살균소독과정과,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나트륨(NaClO)을 이용하는 제2살균소독과정과, 알칼리수를 이용하는 제3살균소독과정의 3중 구조로도 구현될 수 있다.And, the second sterilization disinfection water is used in the second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process for secondary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the
상기 전해장치(41) 및 전해조(400)를 통해 차아염소산(HCLO),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나트륨(NaClO)을 생성하는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급수라인(40)을 통해 차아염소산(HCLO)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수돗물공급부(43)에 연결된 제1공급라인(44)을 통해 수돗물(H2O)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수돗물(H2O)에는 염소(CL)가 포함되어 있으며, 급수라인(40)을 통해 수돗물(H2O)이 이동되는 상태에서 급수라인(40) 상에 설치된 전해장치()41)에서 스파크를 발생시켜 전기분해하게 되면 수돗물(H2O)이 차아염소산(HCLO)으로 변환된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generating hypochlorous acid (HCLO),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acid (HOCl) or sodium hypochlorite (NaClO) through the
이때, 상기 급수라인(40) 상에 설치된 침전필터(Sediment Filter)에 의해 수돗물에 포함된 불순물이나 미세찌꺼기가 걸러지도록 하며, 또한, 급수라인(40) 상에는 감압밸브(45)가 설치된다.At this time, impurities or fine debris contained in tap water are filtered out by a sediment filter installed on the
상기 차아염소산(HCLO)으로 틀니(2)를 살균소독하면 되나, 본 발명에서는 차아염소산(HCLO) 보다 살균소독력이 높은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나트륨(NaClO)을 수돗물공급부(43)의 제1공급라인(44)에 공급하여 선택적으로 공급 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The
이를 위해 일실시예로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수돗물공급부(43)에 연결된 제1공급라인(44)에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나트륨(NaClO)을 생성하기 위한 혼합조(60)가 연결라인(66)을 통해 연결되어지되, 상기 연결라인(66)이 혼합조(60)의 측벽 일측상부에 연결 구비되고, 상기 혼합조(60)에는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의 생성을 위한 액상염화수소공급부(61)와, 차아염소나트륨(NaClO) 생성을 위한 액상염화나트륨공급부(63)가 각각 연결라인(62,64)을 통해 연결되어지되, 상기 연결라인(62,64)이 혼합조(60)의 측벽 타측상부에 연결 구비되며, 상기 혼합조(60) 내에 액상염화수소 또는 액상염화나트륨 중 어느 하나와, 수돗물을 설정된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조(60)의 바닥측에 연결된 제2공급라인(67)을 통해 침전필터(6)를 거쳐 급수라인(40)과 연통되게 하여 상기 전해장치(41)의 전기분해 작용을 통해 틀니함부(30) 내에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나트륨(NaClO)이 공급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To this end, as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a mixing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수돗물공급부(43)에 연결된 제1공급라인(44)에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나트륨(NaClO)을 생성하기 위한 혼합조(60)가 연결라인(66)을 통해 연결되어지되, 상기 연결라인(66)이 혼합조(60)의 측벽 일측상부에 연결 구비되고, 상기 혼합조(60)의 상부에는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의 생성을 위한 고상염화수소공급부(161)와, 차아염소나트륨(NaClO) 생성을 위한 고상염화나트륨공급부(163)가 각각 이격 구비되며, 상기 혼합조(60) 내에 고상염화수소(알약 형태) 또는 고상염화나트륨(알약 형태) 중 어느 하나와, 수돗물을 설정된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조(60)의 바닥측에 연결된 제2공급라인(67)을 통해 침전필터(6)를 거쳐 급수라인(40)과 연통되게 하여 상기 전해장치(41)의 전기분해 작용을 통해 틀니함부(30) 내에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나트륨(NaClO)이 공급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a mixing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수돗물공급부(43)에 연결된 제2공급라인(49) 상에 알칼리수를 생성하기 위한 카본필터(7)가 설치되어 급수라인(40)에 연결되어지되, 상기 급수라인(40)에 연결되는 제2공급라인(49)과 제1공급라인(44)을 투웨이밸브(5)로 연결하여 알칼리수를 공급하는 제2공급라인(49) 또는 살균소독수를 공급하는 제1공급라인(44)을 선택적으로 개방 사용토록 구성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6, a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틀니포켓(31) 내에서 틀니(2)의 살균소독에 사용된 폐살균소독수는 배수라인(50)을 통해 배출되며, 이때 배수라인(50) 상에는 배수밸브(51)가 구비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wast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used fo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the
한편, 상기 틀니포켓(31)을 진동시키기 위해 틀니포켓(31)의 하부 외측에 고정 구비되는 초음파진동부(95)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각각의 틀니포켓(31) 또는 틀니함부(30)를 진동시켜 틀니포켓(31) 내에 위치한 틀니(2)가 살균소독수에 의해 살균소독되도록 하는 초음파 진동자로서 기능한다. 이때, 초음파진동부(95)에 의한 초음파 진동 시(예: 40KHz) 틀니포켓(31)에 충진된 살균소독수가 틀니포켓(31) 외부로 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틀니포켓(31)의 높이는 틀니(2)보다 크도록 제작되게 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vibrate the
여기서, 상기 틀니함부(30) 및 초음파진동부(95)의 구조를 좀 더 자세히 살펴 보면, 도 3 및 도 4에서는 틀니함부(30)를 구성하는 각 틀니포켓(31)과 초음파진동부(95)의 형성 예시를 급수라인(40) 및 배수라인(50)과 함께 도시하고 있다.Here,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상기 틀니포켓(31)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 본체(10)의 수용공간 내 설치대(91) 상에 포켓 구조로 형성되고, 살균소독수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급수라인(40) 및 배수라인(50)이 각 틀니포켓(31)에 연결되며, 상기 급수라인(40) 및 배수라인(50)에는 라인의 유량을 단속하기 위한 정량밸브 및 배수밸브(51)가 각각 구비된다.The
상기 초음파진동부(95)는 각 틀니포켓(31)을 초음파 진동시킴으로써 틀니포켓(31)에 위치한 틀니(2)가 살균소독수에 의해 살균소독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초음파진동부(95)는 틀니포켓(31)에 대응되는 수로 각각의 틀니포켓(31)에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도 3에서는 각 틀니포켓(31)의 하부 외측에 초음파진동부(95)가 구비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틀니포켓(31)진동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초음파진동부(95)의 설치 위치는 특정 위치로 제한되지 않는다.The
본 발명에 의한 틀니함부(3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서와 같이 틀니포켓(31)은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구조로 형성되고, 그에 따라 틀니함부(30)가 틀니포켓(31) 간 분리를 위한 칸막이 구조가 틀니포켓(31)을 격자로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 도 8에서는 30개의 틀니포켓(31)이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구조로 마련된 예시를 보이고 있으며, 틀니포켓(31)의 개수 및 구조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수 및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이때, 상기 각 틀니포켓(31)에 살균소독수를 공급하고 배출하기 위한 급수라인(40) 및 배수라인(50)이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초음파진동부(95)는 틀니포켓(31)을 진동시키기 위해 틀니포켓(31)의 외벽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틀니함부(30) 및 틀니포켓(31)을 진동시킴으로써 틀니포켓(31)에 위치한 틀니(2)가 살균소독수에 의해 살균소독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초음파진동부(95)는 틀니포켓(31)을 각 틀니포켓(31)을 별로 진동시키는 것이 아닌, 틀니함부(30) 자체를 진동시켜 전체의 틀니포켓(31)을 진동시키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a
그리고, 상기 초음파진동부(95)는 틀니함부(30)의 외벽에 구비되고, 상기 틀니함부(30)를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초음파진동부(95)에 의한 초음파 진동 시 틀니함부(30)의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챔버(97)를 틀니함부(30)의 각 모서리부에 구비하되, 상기 완충챔버(97)의 하단부가 틀니함부(30)의 하단부 보다 하부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완충챔버(97)의 하단부를 본체(10) 내의 고정홈에 삽입 고정토록 구성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틀니(2) 및 틀니함부(30)에 대한 자외선 살균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본체(10) 내의 틀니함부(30) 상부측에 이격 구비되는 자외선살균부(85)가 구비되고, 상기 틀니(2) 및 틀니함부(30)의 스팀세척을 위해 본체(10) 내의 틀니함부(30) 상부측에 이격 구비되어 틀니함부(30) 측으로 스팀을 하향 분사하는 스팀분사부(80)가 구비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an
상기 스팀분사부(80)는 스팀의 유동 유로가 되는 파이프가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틀니함부(30)의 상부측에 이격 구비됨으로써 틀니포켓(31) 측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스팀분사부(80)의 구조는 도 8에서‘王’형상을 예시로서 도시하였으나, 틀니함부(30)의 각 틀니포켓(31)에 스팀을 분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스팀분사부(80)의 형상은 특정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스팀분사부(80)를 구성하는 파이프에는 스팀을 틀니포켓(31) 측으로 분사시키기 위한 다수의 분사노즐(81)이 일정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분사노즐(81)은 필요에 따른 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파이프에 설치된 브라켓 상의 힌지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tructure of the
상기 자외선살균부(85)는 도 8에서와 같이 본체(10)의 수용공간 내부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틀니포켓(31)의 내벽에도 마련될 수 있다. 즉, 틀니포켓(31)에 위치한 틀니(2)와 틀니포켓(31)에 대한 자외선 살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자외선살균부(85)는 본체(10)의 수용공간 내부 및 틀니함부(30)의 특정 위치에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the
자외선살균부(85)는 UV(Ultra Violet) LED 램프로 구현될 수 있고, UV-A, UV-B, UV-C 등의 다양한 자외선 파장대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UV-C가 적용된 LED 램프를 사용토록 한다.The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자외선살균부(85)는‘王’형상으로 된 스팀분사부(80) 사이 마다에 구비되게 하면,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틀니포켓(31)과의 간격을 스팀분사부(80)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살균 및 스팀분사의 높은 효과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if the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틀니(2)의 세척 후 건조를 위해 틀니함부(30)의 상부측인 본체(10)의 내벽에 구비되는 건조부(86)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문(15), 초음파진동부(95), 자외선살균부(85), 스팀분사부(80), 건조부(86) 및 디스플레이부(11)를 작동 제어하는 컨트롤러(89)가 구비된다.And, as shown in FIG. 1, a drying
상기 건조부(86)는 발열히터 및 송풍팬(환기용 프로펠러)을 구비하며, 발열히터 및 송풍휀을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틀니(2) 및 틀니함부(30)의 틀니포켓(31) 내부의 건조 동작을 수행토록 한다.The drying
이때, 상기 건조부(86)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문(15) 개방에 따른 내측공간부와 연통되도록 본체(10)의 일측벽에 틀니(2)의 배출이동이 가능한 통공(19)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9)의 외측에 히터(211) 또는 송풍팬(213) 중 하나 이상의 건조부를 내부에 갖춘 외부건조기(210)를 구비토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drying
상기 본체(10) 내에서 살균세척된 틀니(2)를 작업자에 의한 수동방식 또는 미도시된 자동방식으로 외부건조기(210) 내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별도의 건조과정을 거치도록 구현하였다. 이때, 미도시되었으나 외부건조기(210) 상에는 미세먼지 유입을 막기 위한 개폐문이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부건조기(210)는 본체(10) 외벽 또는 본체(10)의 측부에 별도 구비된 수평거치대(23) 상에 안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컨트롤러(89)는 전술한 개폐문(15), 초음파진동부(95), 자외선살균부(85), 스팀분사부(80), 건조부(86) 및 디스플레이부(11)를 작동 제어하는 장치로서 기능하는데, 이때 컨트롤러(89)는 디스플레이부(11)의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에 구성되는 전자회로(예: 마이크로프로세서 등)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와 함께 패키징되어 구현될 수 있다.The
한편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도 1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설치대(91)의 상부측 본체(10) 내벽 상에 각각의 다른 3가지 색상으로 색상표시등(251,252,253)을 구비하여, 상기 급수라인(40)을 통해 틀니포켓(31) 내에 살균소독수가 투입되는 시간 동안 제1색상표시등(251)이 점등되게 하고, 상기 배수라인(50)을 통해 틀니포켓(31) 내에서 틀니(2)의 살균소독에 사용된 폐살균소독수가 배출되는 시간 동안 제2색상표시등(252)이 점등되게 하며, 상기 배출이 완료된 후 자외선살균부(85), 스팀분사부(80) 및 건조부(86)의 작동시간 동안 제3색상표시등(253)이 점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현재 작업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modified embodiment, as shown in (b) of FIG. 1,
일예로서, 상기 제1색상표시등(251)은 파랑색, 제2색상표시등(252)은 녹색, 제3색상표시등(253)은 빨강색으로 표현되게 할 수 있고, 그 색상은 한정되지 않는다.As an example, the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도 9에서와 같이 틀니사용자가 틀니(2)를 리더부(13)에 태깅하면 리더부(13)의 각 모서리 마다 구비된 LED등이 간헐적으로 점등되면서 태깅 인식상태를 틀니사용자에게 알리도록 구현하였다.As another modifi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when the denture user tags the
상술된 본 발명에 의한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리더부(13)에 틀니사용자의 틀니(2)를 각 틀니사용자 별로 태그하고, 개폐문(15)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방되어 틀니사용자가 틀니(2)를 각 틀니포켓(31)에 투입한 후 디스플레이부(11)에 대한 조작을 통해 세척을 개시하면, 전해장치(41)에서 선택적으로 생성된 차아염소산(HCLO),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나트륨(NaClO)이 틀니함부(30)의 각 틀니포켓(31)에에 급수라인(40)을 통해 공급되며, 이때 컨트롤러(89)는 수위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을 기반으로 정량밸브를 제어하여 각 틀니포켓(31)에 제1살균소독수가 정량으로 채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컨트롤러(89)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초음파진동부(95)를 동작시켜 각 틀니포켓(31) 또는 틀니함부(30)를 초음파 진동시킴과 동시에 자외선살균부(85)를 동작시켜 틀니(2)에 대한 자외선 살균소독과정을 진행한다(즉 초음파 진동에 의한 제1살균소독수를 통한 틀니(2)의 살균소독과정과 자외선살균부(85)를 통한 자외선 살균소독과정이 동시에 진행되며, 상기 과정이 제1살균소독과정으로 정의된다). 상기와 같은 제1살균소독과정이 완료된 후 제1살균소독수는 배수라인(50)을 통해 배출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the denture wear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first, the user tags the
상기 제1살균소독과정이 완료된 후, 전해장치(41)에서 생성된 제2살균소독수독수(즉, 알칼리수)가 각 틀니포켓(31)에 공급되며, 컨트롤러(89)는 수위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을 기반으로 정량밸브를 제어하여 각 틀니포켓(31)에 제2살균소독수가 정량으로 채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컨트롤러(89)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초음파진동부(95)를 동작시켜 각 틀니포켓(31) 또는 틀니함부(30)를 초음파 진동시킴과 동시에 자외선살균부(85)를 동작시켜 틀니(2)에 대한 자외선 살균소독과정을 진행한다(즉 초음파 진동에 의한 제2살균소독수를 통한 틀니의 살균소독과정과 자외선살균부(85)를 통한 자외선 살균소독과정이 동시에 진행되며, 상기 과정이 제2 살균소독과정으로 정의된다). 상기와 같은 제2살균소독과정이 완료된 후 제2살균소독수는 배수라인(50)을 통해 배출된다. 알칼리수를 활용한 제2살균소독과정은 제1살균소독과정 이후 틀니(2)에 남아있는 제1살균소독수를 제거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기능한다.After the firs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second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ie, alkaline water) generated in the
상기 제2살균소독과정이 완료된 후, 컨트롤러(89)는 스팀분사부(80)를 동작시켜 틀니(2) 및 틀니함부(30)를 스팀 세척한다.After the second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이후 상기 컨트롤러(89)는 건조부(86)를 동작시켜 틀니(2)에 남아있는 물기를 제거한 후, 물기가 제거된 틀니(2)에 대하여 자외선살균부(85)를 통해 최종적으로 살균 처리를 진행한다.Thereafter, the
틀니사용자가 세척이 완료된 틀니(2)를 틀니함부(30)에서 빼내면, 틀니함부(30)를 구성하는 틀니포켓(31)의 세척을 위해 전해장치(41)에서 생성된 제2살균소독수(알칼리수)가 틀니포켓(31)에 다시 한 번 더 충진되며, 컨트롤러(89)는 초음파진동부(95)를 동작시켜 제2살균소독수에 의한 틀니함부(30)의 살균소독 및 세척을 진행한 후 배수라인(50)을 통해 제2 살균소독수를 배출한다.When the denture user removes the cleaned
이후 컨트롤러(89)는 스팀분사부(80)를 동작시켜 틀니함부(30)에 대한 세척을 진행하고 건조부(86)를 통해 틀니함부(30)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자외선살균부(85)를 통해 틀니함부(30)애 대한 자외선 살균 처리를 진행한다. 위 과정을 통해 틀니(2) 및 틀니함부(30)에 대한 살균, 소독 및 세척과정이 완료된다.Thereafter, the
한편, 위와 같은 살균, 소독 및 세척 과정은 틀니검출센서를 통해 틀니(2)가 검출된 틀니포켓(31)에 대하여만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컨트롤러(89)는 틀니검출센서를 통해 틀니(2)가 검출된 틀니포켓(31)을 특정한 후, 특정된 틀니포켓(31)에 대하여만 제1 및 제2 살균소독수를 충진하는 방식으로, 틀니(2)가 검출된 틀니포켓(31)에 대하여만 살균, 소독 및 세척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above sterilization, disinfection, and cleaning processes may be performed only for the
나아가, 이상에서는 틀니포켓(31)에 틀니(2)가 수용되어 틀니(2)에 대한 살균, 소독 및 세척 과정이 이루어지는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틀니(2)의 보호 및 틀니 착용자의 위생을 고려하여, 틀니(2)가 틀니 케이스(미도시)에 보관된 상태로 살균, 소독 및 세척 과정이 이루어지는 실시예가 마련될 수도 있다. 즉, 틀니(2)가 보관된 틀니 케이스를 틀니포켓(31)에 수용시킨 후 전술한 살균, 소독 및 세척 과정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틀니(2)의 소손 방지를 보장하는 범위 내에서 살균, 소독 및 세척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활한 틀니(2) 세척을 위해 틀니 케이스에는 살균소독수 및 스팀이 그 내부로 침투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정보식별체가 틀니 케이스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Furthermor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를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연동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이 가능한데, 이는 상기 스마트틀니의 세척 가능한 틀니세척기를 갖춘 기관찾기 기능이 부여된 틀니세척기관부(30)와, 상기 스마트틀니를 착용하는 틀니사용자의 구강관리(41), 식단관리(42), 요양관리(43),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44), 간병인 매칭(45)을 포함한 틀니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와, 상기 틀니세척기관부(30)로부터 틀니의 세척날짜, 세척시간, 틀니보존상태를 포함한 틀니세척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로부터 구강관리(41), 식단관리(42), 요양관리(43),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44), 간병인 매칭(45)의 맞춤형 요양서비스 정보를 수신받는 서버부(10)와, 상기 서버부(10)에서 수신받은 틀니세척 정보 및 맞춤형 요양서비스부 정보를 전달 받는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와, 상기 서버부(10)에서 수신받은 틀니세척 정보 및 맞춤형 요양서비스부 정보를 틀니사용자의 동의 요청에 의해 동의 받은 보호자에게 전달 받는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수의 노인들이 사용하는 틀니에 개인정보식별용NFC, ID칩 또는 블루투스칩을 매립하여 틀니사용자의 정보관리를 용이하게 구축함과 동시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틀니사용자의 틀니세척관리는 물론 구강관리, 식단관리, 요양관리,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 간병인 매칭 등 건강유지를 위한 관리를 틀니사용자 또는 보호자가 접근 용이하게 사용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a denture wear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managed in conjunction with an application for a smart denture user in which a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er is embedded, which is a denture washer capable of washing the smart denture. A denture washing organ unit 30 endowed with a function to find an organ equipped with, and oral management 41, diet management 42, recuperation management 43, rehabilitation management, medication management of the denture user wearing the smart dentures ( 44), customized care service unit 40 that provides services optimized for denture users including caregiver matching 45, and dentures including cleaning date, cleaning time, and denture preservation state of dentures from the denture washing institution unit 30 Receiving washing information, customized oral management (41), diet management (42), nursing management (43), rehabilitation management, medication management (44), and caregiver matching (45) from the customized nursing service unit (40) A server unit 10 that receives nursing service information, a denture user smartphone terminal unit 20 that receives denture washing information and customized nursing serv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unit 10, and the server unit 10 ) to include the guardian smartphone terminal 120 that receives the denture washing information and the customized nursing serv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nture user's consent request to the consenting guardian, so that a number of elderly individuals use dentures Information identification NFC, ID chip, or Bluetooth chip are embedded to facilitate information management of denture users, and at the same time, smart phone applications can be used to manage denture cleaning, oral care, diet management, recuperation management, rehabilitation management, Management for maintaining health, such as medication management and caregiver matching, can be implemented so that denture users or guardians can easily access them.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will have to be clarifie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 : 틀니 10 : 본체
11 : 디스플레이부 13 : 리더부
15 : 개폐문 30 : 틀니함부
31 : 틀니포켓 32 : 수용공간
41 : 전해장치 80 : 스팀분사부
85 : 자외선살균부 86 : 건조부
89 : 컨트롤러 95 : 초음파진동부2: denture 10: body
11: display unit 13: reader unit
15: opening and closing door 30: dentures
31: denture pocket 32: receiving space
41: electrolysis device 80: steam injection unit
85: UV sterilization unit 86: drying unit
89: controller 95: ultrasonic vibration unit
Claims (10)
전방측에 개폐문(15)이 구비되는 밀폐 구조의 케이스 형태를 갖는 본체(10); 틀니(2)에 매립된 정보식별체를 인식하기 위해 본체(10)의 전방측에 리더부(13)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틀니(2)의 세척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틀니 세척장치의 동작을 위해 사용자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11)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문(15)의 개방에 따른 내측공간부 내에서 틀니(2)의 세척을 위해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32)이 형성된 틀니포켓(31)이 다수개로 구비되는 틀니함부(30);
상기 틀니(2) 및 틀니포켓(31)을 살균소독하기 위해 틀니포켓(31)에 연결되는 급수라인(40) 상에 설치되어 살균소독수를 생성하는 전해장치(41);
상기 틀니포켓(31)을 진동시키기 위해 틀니포켓(31)의 하부 외측에 고정 구비되는 초음파진동부(95);
상기 틀니(2) 및 틀니포켓(31)에 대한 자외선 살균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본체(10) 내의 틀니포켓(31) 상부측에 이격 구비되는 자외선살균부(85);
상기 틀니(2) 및 틀니포켓(31)의 스팀세척을 위해 본체(10) 내의 틀니포켓(31) 상부측에 이격 구비되어 틀니포켓(31) 측으로 스팀을 하향 분사하는 스팀분사부(80);
상기 틀니(2)의 세척 후 건조를 위해 틀니포켓(31)의 상부측인 본체(10)의 내벽에 구비되는 건조부(86);
상기 개폐문(15), 초음파진동부(95), 자외선살균부(85), 스팀분사부(80), 건조부(86) 및 디스플레이부(11)를 작동 제어하는 컨트롤러(8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틀니함부(30)는 수용공간(32)이 형성된 틀니포켓(31)과, 상기 틀니포켓(31)의 상단부에 외향 확장되는 외향테두리부(33)로 구성되고, 상기 틀니포켓(31)의 상부측 외벽에 관통된 급수공(35)에 수돗물공급부(43)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전해장치(41)를 거쳐 생성되는 살균소독수의 급수라인(40)이 연통 체결되고, 상기 틀니포켓(31)의 바닥측에 관통된 배수공(59) 상에 상기 틀니포켓(31)에 수용되는 틀니(2)의 살균소독에 사용된 폐살균소독수의 배수라인(50)이 연통 체결되며, 상기 개폐문(15)의 개방에 따른 내측공간부 내에 수평 고정된 설치대(91) 상에 형성된 통공(92) 내측으로 틀니포켓(31)이 하향삽입되면서 통공(92)의 테두리부 외측 설치대(91) 상에 틀니포켓(31)의 외향테두리부(33)가 걸림안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살균소독수는 차아염소산(HCLO),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나트륨(NaClO)에 해당하는 제1살균소독수와, 알칼리수에 해당하는 제2살균소독수를 포함하고, 상기 틀니포켓(31) 내에 수용된 틀니(2)에 대한 살균소독과정은, 상기 제1살균소독수를 이용하는 제1살균소독과정과, 상기 제1살균소독과정에서 틀니(2) 내면에 남아 있는 제1살균소독수를 제거하기 위해 제2살균소독수를 이용하는 제2살균소독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수돗물공급부(43)로부터 연결되어 다수개의 각 틀니포켓(31) 내로 수돗물이 공급되는 급수라인(40) 상에 각각 전해장치(41,Electrolyzer), 정량밸브, 침전필터(6,Sediment Filter) 및 카본필터(7,Carbon Filter)가 구비된 전해조(400)가 구비되고, 상기 정량밸브는 각 틀니포켓(31) 내로 수돗물 정량공급을 유도하고, 상기 전해장치(41)는 틀니포켓(31) 측으로 이동되는 수돗물에 스파크를 발생시킴으로써 전기분해하여 틀니함부(30) 내에 차아염소산(HCLO)이 공급되게 하고, 상기 침전필터(Sediment Filter)는 수돗물에 포함된 불순물이나 미세찌꺼기를 걸러내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돗물공급부(43)에 연결된 제1공급라인(44)에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나트륨(NaClO)을 생성하기 위한 혼합조(60)가 연결라인(66)을 통해 연결되어지되, 상기 연결라인(66)이 혼합조(60)의 측벽 일측상부에 연결 구비되고, 상기 혼합조(60)에는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의 생성을 위한 액상염화수소공급부(61)와, 차아염소나트륨(NaClO) 생성을 위한 액상염화나트륨공급부(63)가 각각 연결라인(62,64)을 통해 연결되어지되, 상기 연결라인(62,64)이 혼합조(60)의 측벽 타측상부에 연결 구비되며, 상기 혼합조(60) 내에 액상염화수소 또는 액상염화나트륨 중 어느 하나와, 수돗물을 설정된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조(60)의 바닥측에 연결된 제2공급라인(67)을 통해 침전필터(6)를 거쳐 급수라인(40)과 연통되게 하여 상기 전해장치(41)의 전기분해 작용을 통해 틀니함부(30) 내에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나트륨(NaClO)이 공급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
In constructing a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denture wearers,
A main body 10 having a case shape of a closed structure in which an opening and closing door 15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A reader unit 13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to recognize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embedded in the denture 2, and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to obtain cleaning information of the denture 2. A display unit 11 for displaying and interfacing with a user for the operation of the denture cleaning device is provided,
A denture box 30 having a plurality of denture pockets 31 having a receiving space 32 for washing the dentures 2 in the inner space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5;
an electrolytic device 41 installed on a water supply line 40 connected to the denture pocket 31 to sterilize the denture 2 and the denture pocket 31 and generating sterilization/disinfection water;
An ultrasonic vibrator 95 fix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enture pocket 31 to vibrate the denture pocket 31;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85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denture pocket 31 in the main body 10 to perform ultraviolet sterilization treatment on the denture 2 and the denture pocket 31;
A steam spraying unit 80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denture pocket 31 in the main body 10 to spray steam downward toward the denture pocket 31 for steam cleaning of the denture 2 and the denture pocket 31;
a drying unit 86 provided on an inner wall of the main body 10, which is an upper side of the denture pocket 31, to dry the denture 2 after washing;
A controller 89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door 15, the ultrasonic vibration unit 95,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85, the steam spraying unit 80, the drying unit 86, and the display unit 11; including is done,
The denture compartment 30 is composed of a denture pocket 31 having a receiving space 32 and an outward rim 33 extending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denture pocket 31, The water supply line 40 of th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generated through the electrolysis device 41 is connected from the tap water supply unit 43 to the water supply hole 35 penetrating the outer wall of the upper side, and the denture pocket 31 The drainage line 50 of the wast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used fo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the dentures 2 accommodated in the denture pocket 31 is communicated and fastened on the drain hole 59 penetrated on the bottom sid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5 As the denture pocket 31 is inserted downward into the through hole 92 formed on the mounting table 91 fixed horizontally in the inner space according to the opening, the denture pocket 31 is placed on the mounting table 91 outside the rim of the through hole 92. ) is configured so that the outward edge portion 33 is hooked and seated,
The sterilization disinfection water includes first sterilization disinfection water corresponding to hypochlorous acid (HCLO),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acid (HOCl) or sodium hypochlorite (NaClO), and second sterilization disinfection water corresponding to alkaline water, and the denture pocket (31 ) Th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process for the denture 2 accommodated in the firs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process using the firs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and the firs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process to remove the firs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remain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nture (2) in the firs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process Including a second sterilization disinfection process using the second sterilization disinfection water for
On the water supply line 40 connected from the tap water supply unit 43 and supplied with tap water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denture pockets 31, an electrolyzer 41, a metering valve, a sediment filter 6, An electrolysis tank 400 equipped with a carbon filter (7, Carbon Filter) is provided, and the metering valve induces a metered supply of tap water into each denture pocket 31, and the electrolytic device 41 is directed toward the denture pocket 31. By generating sparks in the moving tap water, electrolysis is performed so that hypochlorous acid (HCLO) is supplied into the denture compartment 30, and the sediment filter is configured to filter out impurities or fine debris contained in the tap water,
A mixing tank 60 for generating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acid (HOCl) or sodium hypochlorite (NaClO)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ly line 44 connected to the tap water supply unit 43 through a connection line 66. , The connection line 66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mixing tank 60, and the mixing tank 60 has a liquid hydrogen chloride supply unit 61 for generating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acid (HOCl), hypochlorous acid The liquid sodium chloride supply unit 63 for generating sodium (NaClO) is connected through connection lines 62 and 64,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on lines 62 and 64 ar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mixing tank 60. In the mixing tank 60, any one of liquid hydrogen chloride or liquid sodium chloride and tap water are mixed at a set ratio, and the sediment filter 6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supply line 67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mixing tank 60. It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line 40 through the electrolytic action of the electrolysis device 41 so that acidic hypochlorous acid (HOCl) or sodium hypochlorite (NaClO) is supplied into the denture compartment 30. A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denture wearers.
상기 수돗물공급부(43)에 연결된 제1공급라인(44)에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나트륨(NaClO)을 생성하기 위한 혼합조(60)가 연결라인(66)을 통해 연결되어지되, 상기 연결라인(66)이 혼합조(60)의 측벽 일측상부에 연결 구비되고,
상기 혼합조(60)의 상부에는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의 생성을 위한 고상염화수소공급부(161)와, 차아염소나트륨(NaClO) 생성을 위한 고상염화나트륨공급부(163)가 각각 이격 구비되며,
상기 혼합조(60) 내에 고상염화수소(알약 형태) 또는 고상염화나트륨(알약 형태) 중 어느 하나와, 수돗물을 설정된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조(60)의 바닥측에 연결된 제2공급라인(67)을 통해 침전필터(6)를 거쳐 급수라인(40)과 연통되게 하여 상기 전해장치(41)의 전기분해 작용을 통해 틀니함부(30) 내에 미산성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나트륨(NaClO)이 공급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mixing tank 60 for generating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acid (HOCl) or sodium hypochlorite (NaClO)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ly line 44 connected to the tap water supply unit 43 through a connection line 66. , The connection line 66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mixing tank 60,
At the top of the mixing tank 60, a solid hydrogen chloride supply unit 161 for generating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acid (HOCl) and a solid sodium chloride supply unit 163 for generating sodium hypochlorite (NaClO)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econd supply line 67 connected to the bottom side of the mixing tank 60 by mixing either solid hydrogen chloride (pill form) or solid sodium chloride (pill form) with tap water in a set ratio in the mixing tank 60 Through the precipitate filter (6)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line (40), through the electrolytic action of the electrolysis device (41), slight acidic hypochlorous acid (HOCl) or sodium hypochlorite (NaClO) in the denture compartment (30)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denture wearer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supplied.
상기 수돗물공급부(43)에 연결된 제2공급라인(49) 상에 알칼리수를 생성하기 위한 카본필터(7)가 설치되어 급수라인(40)에 연결되어지되,
상기 급수라인(40)에 연결되는 제2공급라인(49)과 제1공급라인(44)을 투웨이밸브(5)로 연결하여 알칼리수를 공급하는 제2공급라인(49) 또는 살균소독수를 공급하는 제1공급라인(44)을 선택적으로 개방 사용토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6,
A carbon filter 7 for generating alkaline water is installed on the second supply line 49 connected to the tap water supply unit 43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line 40,
The second supply line 49 and the first supply line 44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line 40 are connected to the two-way valve 5 to supply alkaline water or sterilization disinfection water A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a denture wear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pply line 44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open and used.
상기 틀니포켓(31)에 충진되는 살균소독수의 수질 및 수위를 각각 측정하기 위해 틀니포켓(31) 내측에 수질측정센서 및 수위측정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틀니포켓(31)과 급수라인(40) 사이 연결부에 솔레노이드밸브(39)가 각각 구비되어 틀니포켓(31) 내로 살균소독수의 공급 on 및 off를 제어토록 하며,
상기 컨트롤러(89)는 수질측정센서 및 수위측정센서를 통해 각각 검출된 살균소독수의 수질 및 수위와, 솔레노이드밸브(39)의 on 및 off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1)를 통해 표시하며, 상기 수위측정센서를 통해 검출된 살균소독수의 수위를 기반으로 정량밸브를 통해 틀니포켓(31)에 정량의 살균소독수가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
According to claim 7,
A water quality measurement sensor and a water level measurement sensor ar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denture pocket 31 to measure the water quality and level of the disinfectant water filled in the denture pocket 31, respectively.
Solenoid valves 39 are provided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nture pocket 31 and the water supply line 40, respectively, to control the supply of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into the denture pocket 31 and on and off,
The controller 89 displays the water quality and level of th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detected through the water quality measurement sensor and the water level measurement sensor, and the on and off states of the solenoid valve 39 through the display unit 11, and the water level A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a denture wear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so that a fixed amount of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is supplied to the denture pocket (31) through a quantitative valve based on the level of th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detected through the measurement sensor.
상기 개폐문(15) 개방에 따른 내측공간부와 연통되도록 본체(10)의 일측벽에 통공(19)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9)의 외측에 히터(211) 또는 송풍팬(213) 중 하나 이상의 건조부를 내부에 갖춘 외부건조기(2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
According to claim 8,
A through hole 19 is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body 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door 15, and one of the heater 211 or the blowing fan 213 is outside the through hole 19. A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a denture wear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external dryer 210 equipped with the above drying unit inside.
상기 설치대(91)의 상부측 본체(10) 내벽 상에 각각의 다른 3가지 색상으로 색상표시등(251,252,253)을 구비하여,
상기 급수라인(40)을 통해 틀니포켓(31) 내에 살균소독수가 투입되는 시간 동안 제1색상표시등(251)이 점등되고,
상기 배수라인(50)을 통해 틀니포켓(31) 내에서 틀니(2)의 살균소독에 사용된 폐살균소독수가 배출되는 시간 동안 제2색상표시등(252)이 점등되며,
상기 배출이 완료된 후 자외선살균부(85), 스팀분사부(80) 및 건조부(86)의 작동시간 동안 제3색상표시등(253)이 점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According to claim 9,
Color indicator lamps 251, 252, and 253 in three different colors are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10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table 91,
The first color indicator light 251 is turned on while th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water is injected into the denture pocket 31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40,
The second color indicator light 252 is turned on while the waste sterilization disinfectant water used fo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of the denture 2 is discharged from the denture pocket 31 through the drain line 50,
After the discharge is completed, the third color indicator light 253 is turned on dur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unit 85, the steam spraying unit 80 and the drying unit 86, characterized in that the oral care of the denture wearer A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2650A KR102525449B1 (en) | 2021-02-19 | 2021-02-19 |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denture wear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2650A KR102525449B1 (en) | 2021-02-19 | 2021-02-19 |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denture wearer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8784A KR20220118784A (en) | 2022-08-26 |
KR102525449B1 true KR102525449B1 (en) | 2023-04-25 |
Family
ID=8311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2650A KR102525449B1 (en) | 2021-02-19 | 2021-02-19 |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denture wear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544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0404B1 (en) * | 2023-05-05 | 2023-08-28 | (주)덴티로드 | Smart denture and toothbrush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denture wearer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9689B1 (en) * | 2015-06-09 | 2016-01-28 | 원동춘 | Individual identifiable auto hand sterilized device and sanitation managing method using thereof |
KR101652474B1 (en) * | 2015-10-01 | 2016-08-31 | 김영수 | sterilizing and cleaning device for artificial tooth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6998B1 (en) * | 2001-03-16 | 2003-12-01 | 차진명 | Clean water supply system of unit chair for dental surgery |
KR101716091B1 (en) | 2016-06-01 | 2017-03-13 | 한훈섭 | Denture filling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and missing protection |
KR101812080B1 (en) | 2016-11-04 | 2017-12-27 | 한훈섭 | Denture filling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and missing protection |
KR101903961B1 (en) | 2017-02-20 | 2018-10-04 | 한훈섭 | Denture filling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and missing protection |
KR101903962B1 (en) | 2017-02-20 | 2018-10-04 | 한훈섭 | Denture filling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and missing protection |
KR102249107B1 (en) * | 2019-07-22 | 2021-05-07 | (주)덴티로드 | Application mash-up service of identification for emergency situation and oral care |
-
2021
- 2021-02-19 KR KR1020210022650A patent/KR10252544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9689B1 (en) * | 2015-06-09 | 2016-01-28 | 원동춘 | Individual identifiable auto hand sterilized device and sanitation managing method using thereof |
KR101652474B1 (en) * | 2015-10-01 | 2016-08-31 | 김영수 | sterilizing and cleaning device for artificial toot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8784A (en) | 2022-08-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27564B1 (en) | Multifunctional self-driving washing robot and application linkage management system with built-in smart denture cleaning function and drug management function | |
CN115093008B (en) | Fluid delivery system including a sterilizing device | |
KR101776029B1 (en) | Apparatus for sterilizing toilet water and the method thereof | |
CN103924648A (en) | Intelligent toilet capable of dynamically monitoring human body health status | |
KR20090123297A (en) | Disinfector for hands | |
CA2679276C (en) | Manufacturing method of medical sterilized saline solution having low-concentratedly controlled free chlorine including hypochlorous acid therein | |
KR102525449B1 (en) |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denture wearers | |
CN107700620B (en) | Intelligent squatting toilet | |
JP2011106175A (en) | Warm water washing toilet seat | |
KR102570448B1 (en) |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denture wearers with vibrator | |
KR102570404B1 (en) | Smart denture and toothbrush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denture wearers | |
KR102327581B1 (en) |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with disposable cleaning cup supply function | |
KR20100060411A (en) | Urinal having a disinfection function | |
KR102333676B1 (en) |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oral care of denture wearers, operating method of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 |
KR100737990B1 (en) | Hand treatment stand for disinfection, wash, and dry | |
KR20220062172A (en) | Portable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and smart denture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284804B1 (en) | Portable cup with ion generator | |
KR100845617B1 (en) | Apparatus for feeding electrolytic water with mass Ag 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0452461Y1 (en) | humidifier | |
KR101194058B1 (en) | Nano silver water device for toilet seat | |
CN216148673U (en) | Sterilizing machine | |
KR200208586Y1 (en) | Contact lense cleansing and disinfecting device | |
CN213741429U (en) | Degerming system and toilet bowl thereof | |
CN216456510U (en) | Sterilizing machine | |
CN215926175U (en) | Medical information-based hand washing devic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