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14875B1 -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 - Google Patents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875B1
KR102514875B1 KR1020220056946A KR20220056946A KR102514875B1 KR 102514875 B1 KR102514875 B1 KR 102514875B1 KR 1020220056946 A KR1020220056946 A KR 1020220056946A KR 20220056946 A KR20220056946 A KR 20220056946A KR 102514875 B1 KR102514875 B1 KR 102514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foam
fire extinguishing
fire
contro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춘근
Original Assignee
시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춘근 filed Critical 시춘근
Priority to KR1020220056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65Physical fire-barriers having as the main closure device materials, whose characteristics undergo an irreversible change under high temperatures, e.g. intum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1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for delivering foam or atomised foam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5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for making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2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5Nitrog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케이블통로가 마련되어 있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캐비닛에 내장되고 화재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받아 동작하여, 소화용거품을 발생하는 거품발생기와; 다수의 분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 파이프를 연결 구성한 것으로서, 캐비닛의 내벽면에 접하고, 거품발생기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용거품을 받아 통과시키며 분출하여, 소화용거품이 캐비닛의 내부공간을 채우게 하는 다공구조체와; 케이블통로에 장착된 상태로 케이블을 통과시키며, 거품발생기에서 발생한 거품의 일부를 받아 팽창하여, 케이블통로를 통한 거품의 유출을 억제하는 팽창내열벌룬과; 캐비닛에 장착되고, 소화용거품이 캐비닛에 채워질 때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여, 캐비닛의 내압을 강하시키는 감압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은, 전력제어반 화재 시, 제어반의 캐비닛 내부공간을 다량의 소화(消火)용 거품으로 채워 연소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유독가스를 거품 내부에 일시 포집함으로써 유독가스의 유출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신속하고 효과적인 자체 화재 진압 능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Power control panel equipped with emergency fire extinguishing system}
본 발명은 전력제어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시 자동으로 동작하여 캐비닛 내부를 소화용 거품으로 채워 화재의 진행을 막음으로써 대형 사고를 방지하는,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부의 각종 설비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은,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총괄 제어하는 중앙관제장치, 개별 설비를 구성하는 현장기기, 현장기기들을 제어하며 작동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대응하는 한편 분석한 정보를 중앙관제장치로 전송하는 전력제어반으로 구성된다.
전력제어반은, 대개, 개폐 가능한 금속제 캐비닛과,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양한 형식의 차단기, 스위치, 퓨즈, 릴레이, 전력 및 신호 케이블 등을 포함한다.
그런데, 전력제어반은, 캐비닛의 도어를 닫은 상태로 작동되고, 또한 고압의 전압이 걸리므로, 과열되기 쉽고, 외부로부터 유입한 먼지나 각종 유해가스 등에 의한 영향을 받기 마련이다. 또한, 내외부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현상으로 인해 내부 습도가 높아져 케이블이 부식되고, 누전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위험성이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전력제어반은, 일반사람이 접근하지 못하는 장소, 가령, 지하실 등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고, 관리자가 지하실에 상주하는 것이 아니므로, 전력제어반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신속히 대처할 수 없다. 관리자가 감시카메라를 통해 화재 사실을 확인하고 현장으로 바로 출동한다 하더라도 얼마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화재가 주변으로 번지는 것을 막을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스프링클러를 운용한다 하더라도, 스프링클러에서 분출되는 소화용수는, 제어반의 캐비닛 외부만 식혀줄 뿐, 캐비닛 내부의 화염을 직접 소화할 수는 없다.
전력제어반 내부에서 발화하는 화재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자동 소화할 수 있는 긴급 소화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49310호 (배전반 화재감시제어기)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전력제어반 화재 시, 제어반의 캐비닛 내부공간을 다량의 소화(消火)용 거품으로 채워 연소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유독가스를 거품 내부에 일시 포집함으로써 유독가스의 유출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신속하고 효과적인 자체 화재 진압 능력을 제공하는,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은, 전력부품을 수용하며, 일측에는 전력부품과 연결된 케이블을 통과시키는 케이블통로가 마련되어 있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캐비닛에 내장되고 화재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받아 동작하여, 질소가스나 이산화탄소가스로 이루어진 소화용거품을 발생함으로써, 소화용거품이 캐비닛 내부공간의 공기를 캐비닛 외부로 몰아내고 화염을 소거하며 유독가스를 가두어 포집하게 하는 거품발생기와; 다수의 분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 파이프를 연결 구성한 것으로서, 캐비닛의 내벽면에 접하고, 거품발생기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용거품을 받아 통과시키며 분출하여, 소화용거품이 캐비닛의 내부공간을 채우게 하는 다공구조체와; 상기 케이블통로에 장착된 상태로 케이블을 통과시키는 팽창가능한 부재로서, 중공 링의 형상을 취하고, 내부에 압입공간을 갖는 팽창내열벌룬과; 상기 팽창내열벌룬과 다공구조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다공구조체를 흐르는 소화용거품의 일부를 팽창내열벌룬의 압입공간으로 유도하여 팽창내열벌룬을 팽창시킴으로써, 내열팽창벌룬이 케이블을 죄어, 케이블과 팽창내열벌룬의 틈새를 막게하여, 케이블통로를 통한 거품의 유출을 억제하는 유도튜브와; 상기 캐비닛에 장착되고, 소화용거품이 캐비닛에 채워질 때 캐비닛의 내압을 강하시켜, 다공구조체 내부의 소화용거품이, 압력의 작용을 받아, 분출구멍을 통해 빨려 나오게 하는 감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품발생기는; 단열케이스와, 단열케이스에 내장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와, 계면활성제를 수용하는 계면활성제탱크와, 상기 물탱크 및 계면활성제탱크와 연결되며, 물과 계면활성제의 혼합공간을 제공하는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내에 질소가스 또는 이산화탄소가스를 분출하여 거품을 생성하는 가스공급부와, 다공구조체에 연결되고, 혼합챔버에서 생성된 거품을 다공구조체에 압입하는 거품압송부와, 상기 화재감지센서와 접속되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은, 전력부품을 내장하며,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주입된 거품을 받아들이는 리시빙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다수의 경첩을 통해 캐비닛의 측부에 연결되며, 경첩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을 통해, 캐비닛에 밀착하거나 캐비닛으로부터 벌어지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화재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받아 동작하여 질소가스나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진 소화용거품을 발생하는 거품발생기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되, 단부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하우징을 캐비닛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단부가 리시빙통로에 맞추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거품발생기에서 발생한 소화용거품을 유도하여 캐비닛의 내부로 공급하여, 소화용거품이 캐비닛의 내부공간을 채우며 캐비닛 내부의 화염을 소거하고 유독가스를 포집하게 하는 거품공급덕트와;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며, 캐비닛 내부로 소화용거품이 유입할 때,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여, 캐비닛의 내압을 강하시킴으로써, 거품공급덕트를 통한 소화용거품의 공급을 가속화시키는 감압부와; 상기 리시빙통로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신축성섬유나 고무줄로 제작되고, 거품공급덕트에서 리시빙통로로 넘어가는 소화용거품을 통과시키며 쪼개어, 거품의 평균직경을 축소시킴으로써, 소화용거품의 지속시간이 연장되게 하는 탄력스크린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거품발생기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와, 계면활성제를 수용하는 계면활성제탱크와, 상기 물탱크 및 계면활성제탱크와 연결되며, 물과 계면활성제의 혼합공간을 제공하는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내에 질소가스 또는 이산화탄소가스를 분출하여 거품을 생성하는 가스공급부와, 혼합챔버에서 발생한 소화용거품을 거품공급덕트로 펌핑하는 거품압송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은, 전력제어반 화재 시, 제어반의 캐비닛 내부공간을 다량의 소화(消火)용 거품으로 채워 연소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유독가스를 거품 내부에 일시 포집함으로써 유독가스의 유출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신속하고 효과적인 자체 화재 진압 능력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팽창내열벌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긴급 소화장치에서의 다공구조체를 따로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거품발생기의 구성과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전력제어반을 개방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긴급 소화장치의 내부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1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팽창내열벌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긴급 소화장치에서의 다공구조체를 따로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거품발생기의 구성과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제어반(10)은, 캐비닛(11), 화재감지센서(25), 거품발생기(30), 다공구조체(21), 팽창내열벌룬(27), 감압부(51)를 포함한다.
캐비닛(11)은 각종 전력부품(16)을 수용하는 금속제 함체로서 전면에 도어(13)를 갖는다. 도어(13)를 개방하면 전력부품(16)이 전방으로 개방된다.
또한 캐비닛(11)의 측벽(11c)에는 케이블통로(11d)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통로(11d)는 케이블(17)이 통과하는 관통구멍이다. 케이블(17)은 전력부품(16)과 접속된 전선으로서, 가령 외부 전력을 전력부품(16)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블통로의 개수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25)는 캐비닛 내부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이다. 이를테면, 캐비닛(11) 내부의 온도나 가스농도를 센싱하는 것이다. 화재감지센서(25)의 감지 정보는, 거품발생기(30) 내부의 컨트롤러(36)와, 건물의 중앙관제실(미도시)로 전송된다.
한편, 거품발생기(30)는, 캐비닛(11)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화재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받아 동작하여 소화(消火)용거품을 발생한다. 거품발생기(30)에서 만들어진 소화용거품은, 다공구조체(21)를 통해 분출하여 캐비닛(11)의 내부공간을 채운다. 캐비닛(11)이 소화용거품으로 가득차는 것이다. 소화용거품은, 질소가스나 이산화탄소가스로 만들어진 거품으로서, 캐비닛(11)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동안 캐비닛(1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몰아내고 화염을 소거하며, 유독가스를 포집하여 거품 내에 일시적으로 가둔다. 거품발생기(30)와 다공구조체(21)는 긴급소화장치(20)를 구성한다.
거품발생기(30)는, 단열케이스(30a), 물탱크(31), 계면활성제탱크(32), 혼합챔버(33), 가스공급부(34), 거품압송부로서의 펌프(35), 컨트롤러(36)를 구비한다.
단열케이스(30a)는 단열구조를 갖는 밀폐형 상자로서, 캐비닛(11)의 바닥(11e)에 배치된다. 도어(13)를 개방하면 단열케이스(30a)가 전방으로 노출된다.
컨트롤러(36)는, 화재감지센서(25)와 무선 접속되며, 소화용거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가령 밸브(38)를 개폐하거나, 가스공급부(34)와 펌프(35)를 구동하는 것이다. 컨트롤러(36)는 단열케이스(30a)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물탱크(31)는, 단열케이스(30a)에 내장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밀폐용기로서, 물공급파이프(31a)에 연결된다. 물공급파이프(31a)는 상수도관이다. 물공급파이프(31a)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38)를 개방하면 물탱크(31)에 상수가 채워진다. 물탱크(31)의 내부에는 컨트롤러(36)와 접속된 수위센서(미도시)가 내장된다. 물탱크(31)에 저장되어 있는 물은 다른 밸브(38)가 개방될 때 혼합챔버(33)로 이동한다.
계면활성제탱크(32)는 액상의 계면활성제가 수용되는 용기이다. 계면활성제는 물 및 가스와 혼합되어 (마치 비누거품과 같은) 거품을 만드는 작용을 한다. 계면활성제는 또 다른 밸브(38)를 개방할 때 혼합챔버(33)로 이동하여 물 및 가스와 혼합된다.
혼합챔버(33)는, 물탱크(31) 및 계면활성제탱크(32)와 연결되며, 물과 계면활성제와 가스의 혼합공간을 제공한다.
혼합챔버(33)에는, 가스공급부(34)가 연결된다. 가스공급부(34)는 혼합챔버(33)의 내부로 비활성가스, 이를테면, 질소가스나 이산화탄소가스를 분출한다. 밸브(38)를 개방하면 가스가 혼합챔버(33)의 내부로 고속 주입되며 거품이 만들어진다.
생성되는 거품은, 질소가스나 이산화탄소가스에 의해 만들어진 무수한 미세 방울 집합체로서, 화재가 발생한 캐비닛(11)의 내부공간을 완전히 채운다. 소화용거품이 공기를 밀어내고 캐비닛(11)을 차지함으로써 캐비닛(11) 내부에는 공기가 남아있지 않아 화염이 자동적으로 소거된다. 화재 발생 시, 전력제어반(10)의 안전 차단기는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수분에 의한 합선의 염려는 없다.
상기 혼합챔버(33)에서 생산되는 소화용거품은 거품압송부인 펌프(35)에 의해 다공구조체(21)로 압입된 후 캐비닛(11)의 내부공간(11a)을 채운다.
다공구조체(21)는 도 3에 도시한 구조를 갖는다. 다공구조체(21)는, 다수의 분출구멍(21a)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의 중공 파이프를 연결 구성한 것으로서, 소화용거품을 내부로 통과시킨다. 소화용거품은 다공구조체의 파이프를 통과하며 분출구멍(21a)을 통해 분출된다. 이러한 작동을 할 수 있는 한 다공구조체의 구조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아울러 다공구조체(21)의 하부에는 주입구(22)가 연결되어 있다. 주입구(22)는 펌프(35)가 연결되는 통로이다. 주입구(22)를 통해 유입하는 소화용거품은 펌프의 압력에 의해 이송되면서 내부공간(11a)으로 분출된다.
한편, 팽창내열벌룬(27)은, 케이블통로(11d)에 장착되는 팽창성 부재이다. 마치 풍선과 같이 공기를 불어 넣으면 팽창하는 것이다. 팽창내열벌룬(27)은 링의 형상을 취하며 케이블(17)을 그 중앙부로 통과시킨다.
팽창내열벌룬(27)의 내부에는 압입공간(27a)이 마련되어 있고, 압입공간(27a)은 유도튜브(27c)를 통해 다공구조체(21)에 연결된다. 다공구조체(21)를 흐르는 소화용거품의 일부가 유도튜브(27c)를 통해 압입공간(27a)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압입공간(27a)으로 이동하는 소화용거품은 팽창내열벌룬(27)을 팽창시킨다. 팽창내열벌룬(27)이 팽창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내열벌룬(27)이 케이블(17)을 죄어, 케이블(17)과 팽창내열벌룬(27)의 사이 틈새가 막힌다. 케이블통로를 통한 거품의 유출이 억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거품이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가 막히므로, 소화용거품이 내부공간(11a)에 보다 신속히 채워진다.
캐비닛(11)의 내부로 쏟아져 나오는 거품은, 질소나 이산화탄소가스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화염을 소거함과 동시에 유독가스를 포집한다. 즉, 유독가스를 거품의 내부에 가두는 것이다. 한 개의 거품이 터진다 하더라도 터진 공간은 이웃 거품에 의해 다시 막히므로, 소화용거품이 캐비닛을 채우고 있는 한 유독가스가 캐비닛 외부로 빠지는 것은 최대한 억제된다. 관리자나 소방관이 캐비닛(11)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다.
감압부(51)는, 캐비닛(11)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소화용거품이 캐비닛에 채워질 때,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여, 캐비닛의 내압을 강하시킨다. 캐비닛(11)의 내압을 대기압보다 낮게 유지시켜, 말하자면, 거품이 다공구조체(21)로부터 빨려 나오게 하는 것이다. 감압부(51)로서 진공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1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전력제어반을 개방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도 5의 긴급 소화장치의 내부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제어반(10)은, 캐비닛(11), 화재감지센서(25), 하우징(41), 거품공급덕트(44), 거품발생기(30), 감압부(51)를 포함한다.
하우징(41)은 다수의 경첩(41c)을 통해 캐비닛(11)의 측부에 연결되며, 경첩(41c)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한다. 하우징(41)을 경첩을 회전중심으로 삼아 회전운동하여, 캐비닛(11)의 측부에 밀착하거나 캐비닛으로부터 벌어진다. 도 5는 하우징(41)이 캐비닛(11)에 밀착하고 있는 모습을, 도 6은 벌어진 모습을 보여준다.
하우징(41)의, 캐비닛(11)을 향하는 면에는 거품공급덕트(44)가 위치한다. 거품공급덕트(44)는 거품발생기(30)와 함께 긴급소화장치(40)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거품발생기(30)에서 생산된 거품을 캐비닛(11)으로 공급한다. 거품공급덕트(44)의 단부는 하우징(41)으로부터 돌출되며, 하우징을 캐비닛에 밀착한 상태에서 리시빙통로에 맞추어진다.
거품공급덕트(44)의 둘레에는 수용홈(41m)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41m)은, 캐비닛(11)과 하우징(41)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스크린홀더(11m)을 수용한다. 수용홈(41m)을 적용함으로써, 캐비닛(11)과 하우징(41)이 긴밀하게 면접 가능하다.
또한 거품공급덕트(44)의 하부에는 점검도어(41g)가 위치한다. 점검도어(41g)는 하우징(41)에 내장된 거품발생기(30)를 유지 보수하기 위한 개폐 도어이다.
그리고 하우징(41)의 하부에는 다수의 바퀴(41e)와 스토퍼(42)가 구비된다. 바퀴(41e)는 하우징(41)을 바치며 하우징이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스토퍼(42)는 원하는 지점에 위치한 하우징(41)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다. 가령, 하우징(41)을 캐비닛(11)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스토퍼를 내려 하우징(41)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이다. 스토퍼(42)는, 하우징(41) 바닥에 고정되고 고정너트(42e)를 갖는 브라켓(42a), 고정너트(42e)에 나사 결합하는 수직의 수나사봉(42c), 수나사봉(42c)의 하단에 구비되는 접지판(42f)을 구비한다. 수나사봉(42c)을 축회전 시킴에 따라 접지판(42f)이 승강함은 물론이다. 접지판(42f)을 하강시키면 지면으로부터의 반작용력에 의해 하우징(41)이 고정된다. 도면부호 41a는 손잡이이다.
한편, 캐비닛(11)의, 하우징(41)과 접하는 측면에는 리시빙통로(11k)가 마련되어 있다. 리시빙통로(11k)는 후술하는 거품공급덕트(44)에 대응하는 구멍으로서, 캐비닛(11)에 하우징(41)을 밀착시킬 때, 거품공급덕트(44)에 맞추어진다. 거품공급덕트(44)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용거품이, 리시빙통로(11k)를 통해 캐비닛(11) 내부로 쏟아져 들어온다.
아울러 리시빙통로(11k)에는 탄력스크린(12)이 설치된다. 탄력스크린(12)은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제작된 망체로서, 캐비닛으로 유입하는 거품을 통과시키며, 거품의 평균 직경을 축소시킨다. 즉, 거품발생기(30)에서 생산된 소화용거품을 통과시키며 거품을 잘게 쪼개는 것이다. 거품의 평균 직경이 작아질수록, 전체적인 거품의 지속 시간이 연장된다. 탄력스크린(12)은 신축성 섬유나 고무줄로 제작 가능하다. 또한 탄력스크린(12)의 사각 테두리는 금속이나 내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도면부호 11m은 스크린홀더이다. 스크린홀더(11m)는 탄력스크린(12)을 수용 지지하는 받침의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41) 내부의 거품발생기(30)는, 물탱크(31), 계면활성제탱크(32), 혼합챔버(33), 가스공급부(34), 거품압송부로서의 펌프(35)를 갖는다. 펌프는 혼합챔버(33) 내부의 소화용거품을 펌핑하여 거품공급덕트(44)로 올려 보낸다. 소화용거품은 거품공급덕트(44)를 통과한 후 탄력스크린(12)을 거쳐 캐비닛(11)의 내부로 쏟아져 들어가, 화염을 소거하고 유독가스를 포집한다. 긴급소화의 원리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전력제어반 11:캐비닛 11a:내부공간
11c:측벽 11d:케이블통로 11e:바닥
11k:리시빙통로 11m:스크린홀더 12:탄력스크린
13:도어 16:전력부품 17:케이블
20:긴급소화장치 21:다공구조체 21a:분출구멍
22:주입구 25:화재감지센서 27:팽창내열벌룬
27a:압입공간 27c:유도튜브 30:거품발생기
30a:단열케이스 31:물탱크 31a:물공급파이프
32:계면활성제탱크 33:혼합챔버 34:가스공급부
35:펌프 36:컨트롤러 38:밸브
40:긴급소화장치 41:하우징 41a:손잡이
41c:경첩 41e:바퀴 41g:점검도어
41m:수용홈 42:스토퍼 42a:브라켓
42c:수나사봉 42e:고정너트 42f:접지판
44:거품공급덕트 51:감압부

Claims (4)

  1. 전력부품을 수용하며, 일측에는 전력부품과 연결된 케이블을 통과시키는 케이블통로가 마련되어 있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캐비닛에 내장되고 화재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받아 동작하여, 질소가스나 이산화탄소가스로 이루어진 소화용거품을 발생함으로써, 소화용거품이 캐비닛 내부공간의 공기를 캐비닛 외부로 몰아내고 화염을 소거하며 유독가스를 가두어 포집하게 하는 거품발생기와;
    다수의 분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 파이프를 연결 구성한 것으로서, 캐비닛의 내벽면에 접하고, 거품발생기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용거품을 받아 통과시키며 분출하여, 소화용거품이 캐비닛의 내부공간을 채우게 하는 다공구조체와;
    상기 케이블통로에 장착된 상태로 케이블을 통과시키는 팽창가능한 부재로서, 중공 링의 형상을 취하고, 내부에 압입공간을 갖는 팽창내열벌룬과;
    상기 팽창내열벌룬과 다공구조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다공구조체를 흐르는 소화용거품의 일부를 팽창내열벌룬의 압입공간으로 유도하여 팽창내열벌룬을 팽창시킴으로써, 내열팽창벌룬이 케이블을 죄어, 케이블과 팽창내열벌룬의 틈새를 막게하여, 케이블통로를 통한 거품의 유출을 억제하는 유도튜브와;
    상기 캐비닛에 장착되고, 소화용거품이 캐비닛에 채워질 때 캐비닛의 내압을 강하시켜, 다공구조체 내부의 소화용거품이, 압력의 작용을 받아, 분출구멍을 통해 빨려 나오게 하는 감압부를 포함하는,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발생기는;
    단열케이스와,
    단열케이스에 내장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와,
    계면활성제를 수용하는 계면활성제탱크와,
    상기 물탱크 및 계면활성제탱크와 연결되며, 물과 계면활성제의 혼합공간을 제공하는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내에 질소가스 또는 이산화탄소가스를 분출하여 거품을 생성하는 가스공급부와,
    다공구조체에 연결되고, 혼합챔버에서 생성된 거품을 다공구조체에 압입하는 거품압송부와,
    상기 화재감지센서와 접속되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
  3. 전력부품을 내장하며,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주입된 거품을 받아들이는 리시빙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다수의 경첩을 통해 캐비닛의 측부에 연결되며, 경첩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을 통해, 캐비닛에 밀착하거나 캐비닛으로부터 벌어지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화재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받아 동작하여 질소가스나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진 소화용거품을 발생하는 거품발생기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되, 단부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하우징을 캐비닛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단부가 리시빙통로에 맞추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거품발생기에서 발생한 소화용거품을 유도하여 캐비닛의 내부로 공급하여, 소화용거품이 캐비닛의 내부공간을 채우며 캐비닛 내부의 화염을 소거하고 유독가스를 포집하게 하는 거품공급덕트와;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며, 캐비닛 내부로 소화용거품이 유입할 때, 캐비닛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여, 캐비닛의 내압을 강하시킴으로써, 거품공급덕트를 통한 소화용거품의 공급을 가속화시키는 감압부와;
    상기 리시빙통로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신축성섬유나 고무줄로 제작되고, 거품공급덕트에서 리시빙통로로 넘어가는 소화용거품을 통과시키며 쪼개어, 거품의 평균직경을 축소시킴으로써, 소화용거품의 지속시간이 연장되게 하는 탄력스크린을 포함하는,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발생기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와,
    계면활성제를 수용하는 계면활성제탱크와,
    상기 물탱크 및 계면활성제탱크와 연결되며, 물과 계면활성제의 혼합공간을 제공하는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내에 질소가스 또는 이산화탄소가스를 분출하여 거품을 생성하는 가스공급부와,
    혼합챔버에서 발생한 소화용거품을 거품공급덕트로 펌핑하는 거품압송부를 포함하는,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
KR1020220056946A 2022-05-10 2022-05-10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 KR102514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946A KR102514875B1 (ko) 2022-05-10 2022-05-10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946A KR102514875B1 (ko) 2022-05-10 2022-05-10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875B1 true KR102514875B1 (ko) 2023-03-27

Family

ID=8579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946A KR102514875B1 (ko) 2022-05-10 2022-05-10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67131A (zh) * 2023-11-13 2024-03-26 江苏诺金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检修的高低压配电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310B1 (ko) 2012-11-15 2013-04-02 손석환 배전반 화재감시제어기
KR102071184B1 (ko) * 2019-06-12 2020-01-29 장봉현 배전반의 열화방지 및 화재 진압 시스템
KR102204121B1 (ko) * 2020-07-31 2021-01-19 시춘근 소화시스템이 구비된 지중전력설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310B1 (ko) 2012-11-15 2013-04-02 손석환 배전반 화재감시제어기
KR102071184B1 (ko) * 2019-06-12 2020-01-29 장봉현 배전반의 열화방지 및 화재 진압 시스템
KR102204121B1 (ko) * 2020-07-31 2021-01-19 시춘근 소화시스템이 구비된 지중전력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67131A (zh) * 2023-11-13 2024-03-26 江苏诺金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检修的高低压配电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1184B1 (ko) 배전반의 열화방지 및 화재 진압 시스템
KR102050028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2514875B1 (ko) 긴급 소화장치가 구비된 전력제어반
US20090188682A1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 casing
KR102316190B1 (ko) 이상감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20190130862A (ko)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KR102320242B1 (ko)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US3981317A (en) Flame-arresting or smoke-clearing valve device operating by closure and opening respectively
KR102476215B1 (ko)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KR20170107728A (ko) 천장용 소화기시스템
KR101685522B1 (ko) 건축물의 스프링클러 연결형 소방방재장치
KR101776218B1 (ko) 철도차량용 화재 수신기 및 소화시스템
KR102226529B1 (ko)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장치
KR102253400B1 (ko) 자동 소화 장치
KR102050030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20220118651A (ko)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KR101685524B1 (ko) 건축물의 제연이 가능한 소방방재장치
JP4290914B2 (ja) 消火装置
WO19970398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ire and smoke
KR102134693B1 (ko) 건축물의 전기시설물을 이용하는 누수경보 기능을 갖는 소방펌프가 구비된 소방설비장치
KR101433929B1 (ko) 자동소화설비의 부취제 방출장치
KR20070020266A (ko) 화재 보호
KR100679675B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200185266Y1 (ko) 소화설비용 수동 조작함
KR200421466Y1 (ko) 유조탱크의 소화용 소화 챔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