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616B1 - Shoes insole - Google Patents
Shoes inso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4616B1 KR102514616B1 KR1020210061295A KR20210061295A KR102514616B1 KR 102514616 B1 KR102514616 B1 KR 102514616B1 KR 1020210061295 A KR1020210061295 A KR 1020210061295A KR 20210061295 A KR20210061295 A KR 20210061295A KR 102514616 B1 KR102514616 B1 KR 1025146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rusions
- insole body
- insole
- sector
- sho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5900 swe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BWMISRWJRUSYEX-SZKNIZGXSA-N terbinaf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1=CC=C2C(CN(C\C=C\C#CC(C)(C)C)C)=CC=CC2=C1 BWMISRWJRUSYEX-SZKNIZGXSA-N 0.000 description 2
- 201000004647 tinea ped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2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wedge-lik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4—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made of sponge, rubber, or plastic materi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 깔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깔창 바디(21); 상기 깔창 바디(21)의 상면에 구비된 돌기(30); 상기 깔창 바디(21)의 상면과 저면으로 연통된 통풍홀(23);을 포함하고, 상기 깔창 바디(21)의 둘레부 상면에 구비된 테두리 돌편(37);을 더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 돌편(37)의 안쪽 영역에 상기 돌기(3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insol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sole body 21; a protrusion 3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sole body 21; A ventilation hole 23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sole body 21, and a rim protrusion 37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insole body 21, further comprising, the rim protrus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30 is disposed in the inner region of (37).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 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 착용자가 신발을 신고 도보하는 것과 같은 활동 중에서 발 부분에 공기를 순환 공급하여 신발 착용자의 발에 땀이 많이 생기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고 공기의 순환 공급에 의해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신발 깔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insole, and more particularly, can prevent excessive sweating of the shoe wearer's feet by circulating and supplying air to the foot part during an activity such as walking wearing shoes, and It relates to a shoe insole of a new configuration that can feel comfortable while wearing shoes by circulation supply.
일반적으로 발은 신체중 가장 많이 움직이면서 체중을 지탱함과 함께 발바닥에는 신체의 장기와 연결되는 각종 신경이 집중되어 있으므로, 전신건강을 위해서는 발이 건강하고 피로하지 않아야 하며, 발만 잘 관리해도 혈액 순환이 촉진되고 노폐물배출이 원활해지는 등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In general, the feet move the most in the body and support the weight, and various nerves connected to the body's organs are concentrated on the soles of the feet. It is known that it can improve health by facilitating the discharge of waste products.
이러한 발의 건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적절한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건강에 도움을 주는 신발의 핵심적인 부분은 발바닥과 직접 접하는 신발깔창이라고 할 수 있다.For the health of these feet, it is important to wear appropriate shoes that are helpful to health above all else, and the key part of shoes that help health is the insole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foot.
이러한 신발깔창은 신발의 바닥면에 끼워져 신발 착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하도록 된 것으로서, 통상 신발 내부의 바닥면 모양에 따라 그 형상이 이루어지고 신발 착용자가 보행시 편안함을 느끼고 피로감을 덜 수 있도록 쿠션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통상적이다.These shoe insoles are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to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to the shoe wearer, and the shape is usually mad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inside the shoe, and the cushion material is used so that the shoe wearer feels comfortable and reduces fatigue while walking. It is customary to make
최근에는 충격 흡수 등의 기본적인 기능 외에 피로 회복, 건강 증진 기능, 특수 치료 기능, 냄새 제거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춘 기능성 깔창들이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특정 부위의 상면에 돌기 또는 자극부를 형성하여 발바닥을 지압할 수 있도록 하거나, 홀을 형성하여 통기성을 부여함으로써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 등이다.Recently, functional insoles hav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fatigue recovery, health promotion function, special treatment function, and odor removal in addition to basic functions such as shock absorption have been provided. For example, by forming a protrusion or stimulation part on the upper surface of a specific part so that the sole of the foot can be acupressure, or by forming a hole to provide air permeability, odor generation is reduced to a minimum.
특히 돌기를 형성하여 발바닥의 특정 부위를 지압하도록 한 깔창의 구조는 피로 회복, 건강 증진, 특수 치료 기능 등의 측면에서 크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In particular, the structure of an insole in which a protrusion is formed to acupressure a specific part of the sole of the foot is known to be highly effective in terms of fatigue recovery, health promotion, and special treatment functions.
그런데, 기존에는 신발내의 더운 공기와 습기 및 냄새가 배출되기 위한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지압형 깔창의 경우에도 깔창의 가운데 부분을 돌출되게 딱딱한 재질로 만들었기에 신발 착용자의 발바닥을 지압하는 부분의 높이와 넓이 차이가 각각 다르므로 밀착이 용이 하지 않기 때문에 효과가 없거나 너무 강하여 통증을 느끼는 등의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past, the structure for discharging hot air, moisture, and odor in shoes is relatively complicated, and even in the case of acupressure-type insoles, the middle part of the insole is made of a hard material that protrudes, so the height and height of the part that acupressure the sole of the shoe wearer Since the width difference is different, it is not easy to adhere, so there are disadvantages such as ineffective or too strong to feel pain.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 착용자가 신발을 신고 도보하는 것과 같은 활동 중에서 발 부분에 공기를 순환 공급하여 신발 착용자의 발에 땀이 많이 생기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고 신발을 착용하여 활동하는 도중에 공기를 순환 공급함으로써 발 부분에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신발 깔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irculate and supply air to the feet during an activity such as wearing shoes and walking,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sweating on the feet of the shoe wearer, and circulating air during activity while wearing shoe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hoe insole of a new configuration that can feel comfortable on the foot by supplying.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깔창 바디; 상기 깔창 바디의 저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돌기; 상기 깔창 바디의 상면과 저면으로 연통된 통풍홀; 상기 깔창 바디의 저면에 부착되어 복수개의 상기 돌기들 사이에 통풍 챔버를 형성하는 바텀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insole body;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ole body; Ventilation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sole body; A shoe insole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ottom sheet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ole body to form a ventilation chamber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상기 깔창 바디의 둘레부 상면에 구비된 테두리 돌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깔창 바디는 프론트 섹터와 리어 섹터로 구분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프론트 섹터 상면에 돌출된 복수개의 프론트 섹터 돌기; 상기 리어 섹터의 상면에 돌출된 복수개의 리어 섹터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리어 섹터 돌기는 복수개의 행과 열로 배치되고, 열 방향의 복수개의 리어 섹터 돌기는 연결 돌기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테두리 돌편의 안쪽 영역에 복수개의 상기 프론트 섹터 돌기와 복수개의 상기 리어 섹터 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바텀 시트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프론트 섹터 돌기와 복수개의 상기 리어 섹터 돌기 사이에 상기 통풍 챔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im protrusion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insole body; wherein the insole body is divided into a front sector and a rear sector, and the protrusions include: a plurality of front sector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sector; a plurality of rear sector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rear sector, wherein the plurality of rear sector protrusion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and the plurality of rear sector protrusions in a column direc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protrusions. A plurality of front sector projections and a plurality of rear sector projections ar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rim protrusion, and the ventilation chamber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front sector projections and the plurality of rear sector projections by the bottom sheet. to be characterized
상기 깔창 바디와 복수개의 상기 프론트 섹터 돌기와 복수개의 상기 리어 섹터 돌기 및 상기 연결 돌기는 쿠션이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텀 시트는 유연성이 있는 시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sole body, the plurality of front sector protrusions, the plurality of rear sector protrusions,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 are configured to have cushions, and the bottom seat is configured of a flexible seat.
상기 상기 깔창 바디와 복수개의 상기 프론트 섹터 돌기와 복수개의 상기 리어 섹터 돌기 및 상기 연결 돌기는 쿠션이 있도록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바텀 시트는 유연성이 있도록 비닐 시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sole body, the plurality of front sector protrusions, the plurality of rear sector protrusions,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 are made of a polyurethane material to provide a cushion, and the bottom sheet is made of a vinyl sheet to have flexibility.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돌기가 저면에 구비된 깔창 바디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깔창 바디의 상면과 저면으로 연통된 통풍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깔창 바디의 저면에 바텀 시트를 부착하여 복수개의 상기 돌기들 사이에 통풍 챔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ole body; Forming a ventil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sole body; Attaching a bottom shee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sole body to form a ventilating chamber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there is provided a shoe insole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깔창 바디는 프론트 섹터와 리어 섹터로 구분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프론트 섹터 상면에 돌출된 복수개의 프론트 섹터 돌기와, 상기 리어 섹터의 상면에 돌출된 복수개의 리어 섹터 돌기;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며, 복수개의 상기 리어 섹터 돌기는 복수개의 행과 열로 배치되고, 열 방향의 복수개의 리어 섹터 돌기는 연결 돌기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sole body is divided into a front sector and a rear sector, and the protrusions include a plurality of front sector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front sector and a plurality of rear sector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rear sector; The plurality of rear sector protrusion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and the plurality of rear sector protrusions in a column direction are connected by connecting protrusions.
본 발명에 의한 신발 깔창은 깔창 바디에 복수개의 돌기들이 구비되고, 깔창 바디의 저면에 바텀 시트를 부착하여 깔창 바디의 저면에 통풍 챔버를 형성하고, 깔창 바디에는 통풍 챔버와 연통된 통풍홀을 형성하여, 신발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도보하는 것과 같은 활동 중에 깔창 바디가 눌릴 때에 통풍 챔버에 차 있던 공기가 통풍홀을 통해서 신발 착용자의 발 부분으로 순환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신발 착용자의 발에 땀이 많이 생기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고 공기의 순환 공급에 의해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쾌적함을 느낄 수 있고, 발에 땀이 많이 나서 무좀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발 건겅 증진 등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고, 깔창 바디에 통풍 챔버와 통풍홀이 구비되어, 통풍홀에 의해 발바닥과 신발 밑창 사이의 통풍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여 발냄새가 많이 나거나 땀이 많이 차는 경우를 최소화시키므로 신발 착용자가 발 부분에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In the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provided on the insole body, a bottom sheet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insole body to form a ventilation chamber on the bottom of the insole body, and a ventil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ventilation chamber is formed in the insole body. So, when the insole body is pressed during an activity such as walking while the shoe wearer wears shoes, the air filled in the ventilation chamber is circulated and supplied to the shoe wearer's foot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so that the shoe wearer's feet do not swe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ot of this from occurring, to feel comfortable while wearing shoes by circulating air, and to prevent athlete's foot from getting worse due to excessive sweating on the feet, which is helpful in promoting foot health. , and a ventilation chamber and a ventilation hole are provided in the insole body so that ventilation between the sole and the sole of the shoe is well ventilate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there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excessive foot odor or sweating. It has several useful effects, such as feeling comfortabl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 깔창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 깔창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 깔창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 깔창의 주요부인 바텀 시트를 보여주는 사진,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된 사진,
도 7은 도 1의 A-A선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발 깔창의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발 깔창의 저면도,
도 10은 도 9의 B-B선 종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외측 테두리 돌편을 절취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외측 테두리 돌편과 중간 테두리 돌편을 절취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외측 테두리 돌편과 중간 테두리 돌편 및 내측 테두리 돌편을 절취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 bottom view of the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showing a bottom sheet, which is a main part of a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enlarged photograph of FIG. 5;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AA of FIG. 1;
8 is a bottom view of a shoe in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ottom view of a shoe in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long line BB of FIG. 9;
1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rim protrusion shown in FIG. 9 is cut;
1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rim protrusion and the middle rim protrusion shown in FIG. 9 are cut;
1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rim protrusion, the middle rim protrusion and the inner rim protrusion shown in FIG. 9 are cu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For example,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is a gap between each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 깔창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 깔창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 깔창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 깔창의 주요부인 바텀 시트를 보여주는 사진,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된 사진, 도 7은 도 1의 A-A선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발 깔창의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발 깔창의 저면도, 도 10은 도 9의 B-B선 종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외측 테두리 돌편을 절취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외측 테두리 돌편과 중간 테두리 돌편을 절취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외측 테두리 돌편과 중간 테두리 돌편 및 내측 테두리 돌편을 절취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FIG. 2, Figure 4 is a bottom view of the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icture showing a bottom sheet, which is a main part of a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picture of FIG. 5,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8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ttom view of a shoe insole, Figure 9 is a bottom view of a shoe in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long line B-B of FIG. 9, Figure 11 is a state in which the outer rim stone piece shown in FIG. FIG. 1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rim stone piece and the middle rim stone piece shown in FIG. 9 are cut, and FIG. 13 is a state in which the outer rim stone piece, the middle rim stone piece and the inner rim stone piece shown in FIG. 9 are cut It is a plan view showing the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신발 깔창은 깔창 바디(21)와, 상기 깔창 바디(21)의 저면에 구비된 돌기(30)와, 상기 깔창 바디(21)의 상면과 저면으로 연통된 통풍홀(23)과, 상기 깔창 바디(21)의 저면에 부착되어 복수개의 상기 돌기(30)들 사이에 통풍 챔버(42,44)를 형성하는 바텀 시트(4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ntila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상기 깔창 바디(21)는 신발 착용자의 발바닥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된 부재이다. 깔창 바디(21)는 발바닥에서 발생된 땀이나 열이 원활히 통기되고, 발바닥에 집중되는 인체의 하중을 견디기 위한 적절한 견고성을 가지며, 활동에 따른 지속적인 마찰에 대해서 강한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깔창 바디(21)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된다. 깔창 바디(21)는 폴리우레탄 이외에 쿠션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본 발명에서는 깔창 바디(21)의 둘레부 저면에 구비된 테두리 돌편(37)을 더 포함한다. 테두리 돌편(37)은 깔창 바디(21)의 둘레부를 따라 연장된 폐루프 돌편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테두리 돌편(37)의 안쪽 영역에 돌기(30)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돌기(30)는 프론트 섹터 돌기(32)와 리어 섹터 돌기(34)와 연결 돌기(36)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이때, 상기 깔창 바디(21)는 프론트 섹터(21FA)와 리어 섹터(21RA)로 구분된다.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발바닥의 앞쪽 부분의 아래에 배치되는 부분이 프론트 섹터(21FA)이고 발바닥의 뒷꿈치 근방 아래에 배치되는 부분이 리어 섹터(21RA)라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 돌기(30)는 프론트 섹터(21FA) 저면에 돌출된 복수개의 프론트 섹터 돌기(32)와 리어 섹터(21RA)의 저면에 돌출된 복수개의 리어 섹터 돌기(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복수개의 프론트 섹터 돌기(32)는 깔창 바디(21)의 저면에서 아래쪽으로 일정 높이 돌출된다. 복수개의 프론트 섹터 돌기(32)는 깔창 바디(21)의 저면에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프론트 섹터 돌기(32)는 깔창 바디(21)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된다. 프론트 섹터 돌기(32)는 깔창 바디(21)와 동일한 재질인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된다.The plurality of
복수개의 리어 섹터 돌기(34)는 깔창 바디(21)의 리어 섹터(21RA)의 저면에서 아래로 일정 높이 돌출된다. 이때, 리어 섹터 돌기(34)는 복수개의 행과 열로 배치되고, 열 방향의 복수개의 리어 섹터 돌기(34)는 연결 돌기(3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깔창 바디(21)를 아래에서 볼 때에 복수개의 리어 섹터 돌기(34)가 가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개의 행과 열로 복수개의 리어 섹터 돌기(34)가 배치되는데, 각 열의 복수개의 리어 섹터 돌기(34)가 연결 돌기(36)에 의해 연결된 구조가 된다. 연결 돌기(36)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다.The plurality of
한편, 상기 리어 섹터 돌기(34)와 연결 돌기(36)도 깔창 바디(21)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된다. 즉, 깔창 바디(21)가 폴리우레탄 재질이어서 리어 섹터 돌기(34)와 연결 돌기(36)도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된다.Meanwhile, the
즉, 상기 깔창 바디(21)와 복수개의 프론트 섹터 돌기(32)와 복수개의 리어 섹터 돌기(34) 및 연결 돌기(36)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되어, 신발 착용자가 신발 밑창에 본 발명의 신발 깔창의 깔아서 신발을 신었을 때에 발에서 푹신한 느낌을 갖도록 한다.That is, the
한편, 상기 테두리 돌편(37)도 깔창 바디(21)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된다. 즉, 테두리 돌편(37)도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된다.Meanwhile, the
결국, 깔창 바디(21)와 프론트 섹터 돌기(32)와 리어 섹터 돌기(34)와 테두리 돌편(37)은 폴리우레탄과 같은 쿠션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As a result,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깔창 바디(21)의 저면에 바텀 시트(40)가 부착된다. 바텀 시트(40)의 상면이 프론트 섹터 돌기(32)와 리어 섹터 돌기(34)와 연결 돌기(36) 및 테두리 돌편(37)의 저면에 부착된다. 상기 바텀 시트(40)에 의해 복수개의 프론트 섹터 돌기(32)와 복수개의 리어 섹터 돌기(34) 사이에 통풍 챔버(42,44)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통풍 챔버(42,44)는 깔창 바디(21)의 프론트 섹터(21FA)에 형성된 프론트 통풍 챔버(42)와 깔창 바디(21)의 리어 섹터(21RA)에 형성된 리어 통풍 챔버(44)로 구성된다. 상기 통풍 챔버(42,44)는 복수개의 프론트 섹터 돌기(32)와 복수개의 리어 섹터 돌기(34)와 연결 돌기(36)와 테두리 돌편(37) 사이에 연속되도록 이어진 챔버로 구성되어, 상기 깔창 바디(21)의 아래에서 상기 통풍 챔버(42,44)로 공기가 순환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통풍홀(23)은 깔창 바디(21)의 상면과 저면으로 연통된다. 상기 바텀 시트(40)에 의해 깔창 바디(21)의 저면에 통풍 챔버(42,44)가 확보되고, 상기 통풍홀(23)은 통풍 챔버(42,44)와 연통된다. 깔창 바디(21)에 복수개의 통풍홀(23)이 구비된다.The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신발 깔창을 신발의 밑창에 깔고 신발 착용자가 신발을 신고 활동하게 되는데, 상기 깔창 바디(21)는 쿠션이 있도록 구성되고, 깔창 바디(21)에는 통풍홀(23)이 구비되고, 상기 통풍홀(23)은 바텀 시트(40)에 의해 깔창 바디(21)의 저면에 형성된 통풍 챔버(42,44)에 연통되어 있어서, 신발 착용자가 도보하는 등의 활동 중에 신발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발로 깔창 바디(21)를 누르는 힘이 작용하여 상기 깔창 바디(21)가 눌리면서 상기 통풍 챔버(42,44)에 차있던 공기가 상기 통풍홀(23)을 통해서 깔창 바디(21)의 위로 올라와서 신발 착용자의 발 부분(특히, 발바닥 부분)에 공기가 공급되어 순환되도록 한다. 신발 착용자가 발로 깔창 바디(21)를 눌러주기만 하면 통풍홀(23)을 통해서 통풍 챔버(42,44)에 차있던 공기가 올라와서 발 부분에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The shoe in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laid on the sole of the shoe and the shoe wearer wears the shoe and is active. The
한편, 신발 착용자가 도보하는 것과 같은 활동 중에 지면에서 발을 떼는 것과 같이 발로 깔창 바디(21)를 누르는 힘이 해제되면, 깔창 바디(21)가 눌려 있던 상태에서 원래 위치로 올라오면서 상기 통풍홀(23)을 통해서 공기가 깔창 바디(21) 저면의 통풍 챔버(42,44)로 들어가서 깔창 바디(21) 아래의 통풍 챔버(42,44)에 공기가 채워져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orce of pressing the
이처럼, 신발 착용자가 발로 깔창 바디(21)를 누를 때에는 깔창 바디(21) 아래의 통풍 챔버(42,44)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통풍홀(23)을 통해서 신발 착용자의 발 부분으로 공급되고, 신발 착용자가 발로 깔창 바디(21)를 누르지 않을 때에는 상기 통풍홀(23)을 통해서 깔창 바디(21)의 위에서 깔창 바디(21)의 아래에 있는 통풍 챔버(42,44)에 공기가 채워지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신발 착용자가 도보와 같은 활동 중에 계속해서 발 부분에 공기를 순환시켜 공급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shoe wearer presses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신발 착용자가 신발을 신고 활동하면서 깔창 바디(21)를 발로 누르는 힘이 작용하기만 하면 통풍 챔버(42,44)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통풍홀(23)을 통해서 신발 착용자의 발 부분으로 공급되면서 신발 착용자의 발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므로, 신발을 신고 활동하다가 발에 땀이 많이 차서 생기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발에 공기 순환이 제대로 안되어서 발냄새가 많이 나거나 무좀 등의 발질환이 악화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깔창 바디(21)에 복수개의 돌기(30)들이 구비되고, 깔창 바디(21)에 통풍홀(23)이 구비되어, 통풍홀(23)에 의해 발바닥과 신발 밑창 사이의 통풍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여 발냄새가 많이 나거나 땀이 많이 차는 경우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filled in the ventilating
이때, 본 발명에서 깔창 바디(21)에서 뒷부분인 리어 섹터(21RA)에는 복수개의 리어 섹터 돌기(34)들에 복수개의 연결 돌기(36)들이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ector 21RA, which is the rear part of the
신발 착용자가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활동할 때에 체중에 의한 하중이 발뒤꿈치 앞쪽 부분보다는 발뒤꿈치 부분에 더 많이 작용하는데, 상기 연결 돌기(36)들이 리어 섹터 돌기(34)들을 지지하고 있어서 신발 착용자의 발 뒤꿈치 근방을 더 안정적으로 받쳐주므로, 신발 착용자가 더 편안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When a shoe wearer is active while wearing shoes, the load caused by body weight acts on the heel portion more than the front portion of the heel. Since it provides more stable support around the heel, the shoe wearer can feel more comfortable.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발 깔창을 보여준다. 도 8에 도시된 신발 깔창의 경우 깔창 바디(21)의 리어 섹터(21RA)의 뒤쪽 끝단과 인접한 상면에 고리홀(51)이 더 구비된다. 고리홀(51)은 깔창 바디(21)의 후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깔창 바디(21)의 상면과 저면으로 연통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8 shows a shoe in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shoe insole shown in FIG. 8 , a
따라서, 상기 깔창 바디(21)에 형성된 고리홀(51)에 신발 착용자가 손가락을 집어넣어서 걸어준 상태에서 신발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당겨주면 본 발명의 신발 깔창을 신발 안에서 손쉽게 꺼낼 수 있으므로, 신발 깔창을 새로 교체하는 등의 경우에 보다 편리하다.Therefore, the shoe in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taken out of the shoe by pulling it from the inside of the shoe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shoe wearer puts his or her finger into the
또한,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깔창 바디(21)의 둘레부에 복수개의 테두리 돌편(37)이 배치되고, 복수개의 테두리 돌편(37)은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상면과 저면 사이의 두께가 더 얇은 절취 가이드선(3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테두리 돌편(37)들에는 파단 가이드선(38)이 더 구비된다. 파단 가이드선(38)은 각각의 테두리 돌편(37)의 상면과 저면 사이의 두께보다 더 얇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세 개의 테두리 돌편(37)이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복수개의 테두리 돌편(37) 중에서 가장 바깥쪽의 테두리 돌편(37)은 외측 테두리 돌편(37PS)이라 칭하고 가장 안쪽의 테두리 돌편(37)은 내측 테두리 돌편(37IS)이라 칭하고 외측 테두리 돌편(37PS)과 내측 테두리 돌편(37IS) 사이에 있는 테두리 돌편(37)은 중간 테두리 돌편(37MS)이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9, a plurality of
따라서, 상기 깔창 바디(21)에 복수개의 테두리 돌편(37)이 그대로 붙어 있는 상태(다시 말해, 외측 테두리 돌편(37PS)과 내측 테두리 돌편(37IS)과 중간 테두리 돌편(37MS)이 그대로 깔창 바디(21)에 붙어 있는 상태)에서 신발 안에 본 발명의 신발 깔창을 투입하여 신발 밑창에 깔아서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깔창 바디(21)에 구비된 복수개의 테두리 돌편(37) 중에서 가장 바깥쪽에 있는 외측 테두리 돌편(37PS)의 파단 가이드선(38)을 뜯어준 상태에서 상기 절취 가이드선(39)을 따라 상기 외측 테두리 돌편(37PS)을 제거하면, 본 발명의 신발 깔창의 사이즈가 더 작아지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깔창 바디(21)에 복수개의 테두리 돌편(37)이 그대로 붙어 있는 신발 깔창을 깔아주는 신발의 사이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더 작은 신발에 본 발명의 신발 깔창을 깔아서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1, in the state in which the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깔창 바디(21)에 구비된 복수개의 테두리 돌편(37) 중에서 가장 바깥쪽에 있는 파단 가이드선(38)을 뜯어주고 더 안쪽에 있는 상기 중간 테두리 돌편(37MS) 부분의 파단 가이드선(38)을 뜯어준 상태에서 상기 절취 가이드선(39)을 따라 가장 바깥쪽의 테두리 돌편(37)과 상기 중간 테두리 돌편(37MS) 부분을 제거하면, 본 발명의 신발 깔창의 사이즈가 더욱더 작아지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깔창 바디(21)에 복수개의 테두리 돌편(37) 중에서 가장 안쪽의 내측 테두리 돌편(37IS)과 중간 테두리 돌편(37MS)이 붙어 있는 신발 깔창을 깔아줄 수 있는 신발의 사이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더욱더 작은 신발에 본 발명의 신발 깔창을 깔아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the outermost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깔창 바디(21)에서 외측 테두리 돌편(37PS)과 내측 테두리 돌편(37IS)과 중간 테두리 돌편(37MS)을 다 뜯어주면 신발 깔창의 사이즈가 가장 작아지므로, 가장 작은 사이즈의 신발에 본 발명의 신발 깔창을 깔아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if the outer rim protrusion 37PS, the inner rim protrusion 37IS, and the middle rim protrusion 37MS are all removed from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신발의 사이즈가 어떤 것이냐에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테두리 돌편(37) 중에서 선택하여 적당한 위치의 테두리 돌편(37)을 뜯어서 제거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신발에 호환성 있게 깔아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신발 깔창을 깔아서 사용하는 신발 사이즈를 채용하는데 있어서 선택의 폭이 더 넓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hoe, selecting from among the plurality of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erefore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쪽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in all respects,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21. 깔창 바디 21FA. 프론트 섹터
23. 통풍홀 21RA. 리어 섹터
30. 돌기 32. 프론트 섹터 돌기
34. 리어 섹터 돌기 36. 연결 돌기
37. 테두리 돌편 37PS. 외측 테두리 돌편
37MS. 중간 테두리 돌편 37IS. 내측 테두리 돌편
38. 파단 가이드선 39. 절취 가이드선
41. 통풍 스페이스 42. 프론트 통풍 스페이스
44. 리어 통풍 스페이스 52. 고리부재21. Insole body 21FA. front sector
23. Ventilation hole 21RA. rear sector
30.
34.
37. Border stone 37PS. outer border stone
37MS. Middle border stone piece 37IS. inner border stone
38.
41.
44. Rear ventilation space 52. Ring member
Claims (4)
상기 깔창 바디(21)의 저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돌기(30);
상기 깔창 바디(21)의 상면과 저면으로 연통된 통풍홀(23);
상기 깔창 바디(21)의 저면에 부착되어 복수개의 상기 돌기(30)들 사이에 통풍 챔버(42,44)를 형성하는 바텀 시트(40);를 포함하며,
상기 깔창 바디(21) 저면에 구비되되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는 폐루프 타입의 테두리 돌편(37)을 더 포함하되,
상기 테두리 돌편(37)은 소정 폭으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각각은 상기 테두리 돌편(37)보다 두께가 얇은 절취 가이드선(39)들에 의해 구분되고, 상기 테두리 돌편(37)에는 상기 테두리 돌편(37)보다 두께가 얇은 파단 가이드선(38)이 형성되며,
상기 깔창 바디(21)는 프론트 섹터(21FA)와 리어 섹터(21RA)로 구분되고,
상기 돌기(30)는,
상기 프론트 섹터(21FA) 상면에 돌출된 복수 개의 프론트 섹터 돌기(32);
상기 리어 섹터(21RA)의 상면에 돌출된 복수 개의 리어 섹터 돌기(3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리어 섹터 돌기(34)는 복수개의 행과 열로 배치되고, 열 방향의 복수개의 리어 섹터 돌기(34)는 연결 돌기(36)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테두리 돌편(37)의 안쪽 영역에 복수 개의 상기 프론트 섹터 돌기(32)와 복수개의 상기 리어 섹터 돌기(34)가 배치되고,
상기 바텀 시트(40)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프론트 섹터 돌기(32)와 복수 개의 상기 리어 섹터 돌기(34) 사이에 상기 통풍 챔버(42,4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
insole body 21;
A plurality of protrusions 30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ole body 21;
Ventilation holes 23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sole body 21;
A bottom sheet 40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ole body 21 to form ventilation chambers 42 and 44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0;
Further comprising a closed loop type rim protrusion 37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ole body 21 and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A plurality of the edge protrusions 37 ar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each is divided by cutting guide lines 39 that are thinner than the edge protrusions 37, and the edge protrusions 37 have the edge protrusions ( A fracture guide line 38 having a thinner thickness than 37) is formed,
The insole body 21 is divided into a front sector 21FA and a rear sector 21RA,
The protrusion 30,
a plurality of front sector protrusions 32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sector 21FA;
and a plurality of rear sector protrusions 34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ector 21RA,
The plurality of rear sector protrusions 34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and the plurality of rear sector protrusions 34 in the column direc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protrusions 36,
A plurality of front sector protrusions 32 and a plurality of rear sector protrusions 34 ar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edge protrusion 37,
The shoe ins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ntilation chambers (42, 44) ar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front sector projections (32) and the plurality of rear sector projections (34) by the bottom sheet (40).
상기 깔창 바디(21)와 복수개의 상기 프론트 섹터 돌기(32)와 복수개의 상기 리어 섹터 돌기(34) 및 상기 연결 돌기(36)는 쿠션이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텀 시트(40)는 유연성이 있는 시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깔창.According to claim 1,
The insole body 21, the plurality of front sector projections 32, the plurality of rear sector projections 34, and the connection projection 36 are configured to have a cushion,
The bottom sheet 40 is a shoe insol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flexible she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1295A KR102514616B1 (en) | 2021-05-12 | 2021-05-12 | Shoes inso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1295A KR102514616B1 (en) | 2021-05-12 | 2021-05-12 | Shoes inso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3831A KR20220153831A (en) | 2022-11-21 |
KR102514616B1 true KR102514616B1 (en) | 2023-03-29 |
Family
ID=8423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1295A KR102514616B1 (en) | 2021-05-12 | 2021-05-12 | Shoes inso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4616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9081B1 (en) * | 2008-10-04 | 2009-07-23 | 김영석 | Stabbing Boots |
KR101089139B1 (en) * | 2011-06-24 | 2011-12-05 | 배효용 | Sol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5534B1 (en) * | 2008-06-23 | 2011-01-04 | (주)핼릭스케어 | Insole with excellent shock absorption |
KR101130975B1 (en) | 2011-12-26 | 2012-03-28 | 고종택 | A footwear slipsole |
KR101380298B1 (en) | 2012-06-18 | 2014-04-01 | 임성용 | Shoes insole with arch support pad |
-
2021
- 2021-05-12 KR KR1020210061295A patent/KR10251461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9081B1 (en) * | 2008-10-04 | 2009-07-23 | 김영석 | Stabbing Boots |
KR101089139B1 (en) * | 2011-06-24 | 2011-12-05 | 배효용 | So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3831A (en) | 2022-1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76319B2 (en) | Footwear construction | |
TWI531326B (en) | Interchangeable midsole system | |
US5675914A (en) | Air circulating footbed | |
US8567098B2 (en) | Article of footwear with detachable upper and lower designs | |
JP5601593B2 (en) | Insole of footwear with impact dispersion function and rolling walking function | |
US9107472B2 (en) | Orthotic foot device with removable support compon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 |
TW201715979A (en) | Sandal with cushioning and contoured suppor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JP2009101139A (en) | Functional sockliner for high-heeled shoe | |
US11219272B1 (en) | Insole for ergonomic shoes | |
KR200481847Y1 (en) | Improved fit and joint protection shoe insole | |
TWM536866U (en) | Cushion and cushioning insole | |
WO2021024341A1 (en) | Shoe insole | |
US20130318817A1 (en) | Footwear with integrated energy wave sockliner | |
KR102514616B1 (en) | Shoes insole | |
US20070022628A1 (en) | Ventilated shoe sole | |
KR101979998B1 (en) | The sole of sho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 |
JP2005185675A (en) | Footwear | |
JP5458257B2 (en) | Insole and method for producing insole | |
US20120060394A1 (en) | Human body-balancing footwear capable of preventing knock-knees and providing cushioning suitable for the weight of wearer | |
KR101130975B1 (en) | A footwear slipsole | |
KR20220040811A (en) | Shoes insole having acupressure function | |
KR100218224B1 (en) | Insole | |
KR101509233B1 (en) | Safety shoes | |
KR200203793Y1 (en) | A underlay of shoes | |
KR102523453B1 (en) | Hybrid type sho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