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272B1 - 혼합물 투입기 - Google Patents
혼합물 투입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4272B1 KR102504272B1 KR1020220000232A KR20220000232A KR102504272B1 KR 102504272 B1 KR102504272 B1 KR 102504272B1 KR 1020220000232 A KR1020220000232 A KR 1020220000232A KR 20220000232 A KR20220000232 A KR 20220000232A KR 102504272 B1 KR102504272 B1 KR 1025042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mixture
- cap
- air pressure
- hing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41000544066 Stevia Species 0.000 description 9
- HELXLJCILKEWJH-NCGAPWICSA-N rebaudioside A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H]([C@@H]1O[C@H]1[C@@H]([C@@H](O)[C@H](O)[C@@H](CO)O1)O)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HELXLJCILKEWJH-NCGAPWICSA-N 0.000 description 9
- 241000227653 Lycopersicon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07688 Lycopersicon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4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neumatic pressure, overpressure, gas or air pressure in a closed receptacle or circuit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5—Closure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receptacles; Operating mechanisms therefor
- B01F35/451—Closure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receptacles; Operating mechanisms therefor by rotating them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ope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0—Mixing recepta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물 투입기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에 혼합물을 침투시키기 위한 혼합물 투입기에 있어서, 밀폐를 위한 캡부의 개폐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하우징부 내부의 공기압의 유입 및 배출의 용이성을 향상하여 생산 원가를 절감하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혼합물 투입기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에 혼합물을 침투시키기 위한 혼합물 투입기에 있어서, 밀폐를 위한 캡부의 개폐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하우징부 내부의 공기압의 유입 및 배출의 용이성을 향상하여 생산 원가를 절감하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급 식재료를 찾는 소비자의 니즈에 부응하여, 야채, 과일 등에 당도를 증진하기 위한 혼합물을 투입하는 기술이 최근 다수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 토마토에 스테비아를 투입시켜 당도를 증진시키는 기술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4176호(발명의 명칭 : 토마토에 스테비아를 주입하는 주입장치)는 토마토에 스테비아를 투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종래 기술로, 도 6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4176호의 대표 도면이다.
종래의 토마토(대상물)에 스테비아(혼합물)를 투입하는 기술은, 압력탱크 내에 토마토 및 스테비아를 적입하고, 뚜껑을 덮어, 압력 탱크 내에 컴프레샤를 이용하여 공기압을 가압하여 토마토에 스테비아를 투입시켰다. 또한, 스테비아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컴프레샤를 통해 음압을 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혼합물 투입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컴프레샤를 통해 공기압을 가압하게 되면, 컴프레샤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 소모 등이 다수 발생하여 생산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거운 뚜껑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종래 기술은 공압을 활용하게 되는데, 이는 초기 생산 설비에 대한 투자 비용이 다수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잦은 고장의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컴프레샤를 통한 공기압 가압 및 음압 부여만으로는 혼합물의 투입 효율이 그리 높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혼합물 투입기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에 혼합물을 침투시키기 위한 혼합물 투입기에 있어서, 밀폐를 위한 캡부의 개폐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하우징부 내부의 공기압의 유입 및 배출의 용이성을 향상하여 생산 원가를 절감하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투입기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결합 가능한 캡부; 상기 하우징부 및 상기 캡부를 잇되, 상기 캡부가 틸팅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 및 상기 하우징부 내부와 연동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는 혼합물 및 대상물이 적입되고, 상기 가압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공기압이 투입되거나 배출되어 상기 대상물에 상기 혼합물을 침투 가능하도록 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투입기의 상기 가압부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잇는 튜브부; 및 상기 케이싱부와 연동되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는 밀폐된 피스톤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가 하강할 경우,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공기압을 가하고, 상기 누름부가 승강할 경우, 상기 하우징부 내부로부터 공기압이 배출되어 음압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투입기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위치되는 보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 내에는 상기 대상물이 위치되되, 상기 혼합물이 상기 보관부 내부로 유입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투입기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혼합물 내에서 부유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의해 상기 혼합물의 상기 대상물로의 침투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투입기의 상기 하우징부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레그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부를 시소의 균형성을 통해 개폐하여 종래의 공압을 이용한 개폐 방식을 대체하고, 이를 통해 생산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부 내부에 공기압을 유입하거나 배출하는 것을 피스톤 구조와 연계된 누름부의 하강 및 승강을 통해 수행하여 종래의 컴프레샤를 이용한 공기압 유입 및 배출을 대체하고, 이를 통해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투입기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투입기의 캡부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투입기의 캡부의 폐쇄 및 개방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c)는 가압부의 공기압 가압 및 배출 과정을 순차적으로 요약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투입기의 내부를 확대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4176호의 대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투입기의 캡부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투입기의 캡부의 폐쇄 및 개방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c)는 가압부의 공기압 가압 및 배출 과정을 순차적으로 요약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투입기의 내부를 확대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4176호의 대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투입기는 하우징부(100), 캡부(200), 연결부(300) 및 가압부(40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투입기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투입기의 캡부(200)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투입기의 캡부(200)의 폐쇄 및 개방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투입기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하우징부(100)는 하우징(110) 및 보관부(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중공부가 형성된 케이스(case)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대상물(1)에 균일한 압력을 가하기 위해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110) 내에는 혼합물(2)이 투입되어 적입될 수 있다.
보관부(120)는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보관부(120) 내부에는 대상물(1)이 적입될 수 있다. 여기서 대상물(1)은 일 예로 토마토와 같은 투입 대상물이며, 혼합물(2)은 스테비아와 같은 혼합액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혼합물(2)이 하우징부(100) 내부에 전체적으로 적입되어 있다. 즉, 보관부(120)에는 복수 개의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혼합물(2)에 보관부(120) 내, 외부로 유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대상물(1)의 위치를 고정하여 혼합물(2)의 대상물(1)로의 침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하우징(110)의 상부를 둘러싸는 상부씰(1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응하여, 후술하겠지만, 캡부(200)의 하부에는 캡부(200)의 하부를 둘러싸는 하부씰(220)이 형성되며, 상부씰(130)과 하부씰(220)은 상호 치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부씰(130)에는 외주면을 따라 함몰된 복수 개의 상부홈(131)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하부씰(220)에는 외주면을 따라 함몰된 복수 개의 하부홈(211)이 형성되어 상부홈(131) 및 하부홈(211)은 상호 치합된다. 이를 통해 연결된 홈을 형성하게 되는데, 미도시되었지만 체결구를 통해 상부홈(131) 및 하부홈(211)을 동시에 체결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캡부(200)는 하우징부(1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캡부(200)는 캡(210) 및 하부씰(220)을 포함한다. 하부씰(220)은 전술한 바, 상세한 생략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캡(210)은 하우징(110)을 기준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틸팅되는데, 이러한 틸팅은 연결부(300)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300)는 힌지(310), 연장바(320) 및 균형추(330)를 포함한다.
힌지(310)는 하우징(110)의 외주면 상부에 돌출 결합되며, 일 지점에서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향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바(320)는 캡(210)의 외주면 하부에 돌출 결합되며, 연장되어 힌지(310)와 링크 결합되도록(일 예로 볼트를 통해 링크 결합될 수 있다)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장바(320)는 힌지(310)와 링크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시소(seesaw) 운동을 하게 된다.
연장바(320)의 단부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추결합홈(321)이 형성된다. 또한, 추결합홈(321)에는 균형추(33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균형추(330)는 균형추블록(331) 및 블록연결부(332)를 포함한다. 블록연결부(332)는 추결합홈(321)에 걸림 결합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 3(a)와 같이, 캡부(200)가 하우징부(100)와 맞닿아 폐쇄 상태(밀폐 상태)일 때, 균형추(330)와 캡부(200)의 무게가 균형을 이루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는, 균형추(330)와 캡부(200)가 균형을 이뤄 연장바(320)가 플랫한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균형추(330)와 캡부(200)가 균형을 이룬 상태에서, 도 3(b)와 같이, 균형추(330)에 하방으로 일부 힘만을 가하게 되면, 손쉽게 캡부(200)를 승강시켜 개방 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는, 다른 방식에 의하면, 기존 결합되어 있는 균형추(330)를 제거하고, 보다 무거운 무게를 지닌 새로운 균형추를 추결합홈(321)에 체결하는 경우, 손쉽게 캡부(200)를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종래 기술의 경우, 캡부에 대응되는 뚜껑을 개폐하기 위해 공압을 활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공압 방식의 개폐의 경우 초기 생산 설비에 대한 투자 비용이 다수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잦은 고장의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균형추(330)의 하방 이동 또는 균형추(330)의 무게 변경을 통해 캡부(200)를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으며, 힘을 가하지 않는 경우 별도의 외력 없이도 최초의 균형 상태가 유지되므로 캡부(200)의 폐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초기 설비 투자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고장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거의 없어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도 4(a) 내지 (c)는 가압부(400)의 공기압 가압 및 배출 과정을 순차적으로 요약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4(a) 내지 (c)를 참조하여 가압부(400)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가압부(400)는 하우징부(100) 내부에 공기압을 투입하거나 하우징부(100) 내부에 형성된 공기압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가압부(400)는 케이싱부(411), 튜브부(420), 누름부(412) 및 스프링부(413)를 포함한다.
먼저, 케이싱부(411) 및 누름부(412)를 설명하도록 한다. 편의상 케이싱부(411) 및 누름부(412)를 가압체(410)로 지칭하도록 한다.
케이싱부(411)는 튜브부(420)와 연동되어, 튜브부(420)를 통해 공기압을 하우징부(100) 내부로 유입시킨다. 케이싱부(411)의 내부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피스톤 구조가 형성되어 밀폐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피스톤막(4111)이 형성되어 승하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피스톤막(4111)의 승하강을 통해 공기압을 유입 또는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누름부(412)는 케이싱부(411)와 연동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누름부(412)의 일부는 케이싱부(411)의 상부에 위치되어 케이싱부(411) 외부에 돌출되어 있으며, 다른 일부는 피스톤막(4111)과 결합된다. 따라서, 누름부(412)의 승강 및 하강이 이루어지게 되면, 피스톤막(4111)의 승강 및 하강이 이루어지게 되머, 누름부(412)의 가압에 따라 공기압을 하우징부(100) 내부로 유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구조가 형성된다.
이때, 피스톤막(4111)의 하부에는 스프링부(413)가 결합되어 있고, 스프링부(413)의 하부는 케이싱부(411)의 하부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부(413)는 케이싱부(411)의 하부를 기준으로 수축 및 이완하게 된다. 누름부(412)가 하강되면, 피스톤막(4111)이 하강되고, 이로 인해 스프링부(413)가 수축된다.
도 4(a)는 누름부(412)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며, 도 4(b)는 누름부(412)에 하방으로 압력이 가해진 상태이며, 도 4(c)는 원복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와 같이, 무게추(600)를 이용하여 누름부(412)를 가압하게 되면(이때, 무게추(600)의 중력만으로 누름부(412)를 가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피스톤막(4111)이 하강하여 공기압을 튜브부(420)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공기압이 튜브부(420)를 통해 하우징부(100) 내부로 이동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부(413)는 수축된다.
이때, 작업자가 누름부(412)를 가압하고 있는 무게추(600)를 제거하게 되면, 별도의 외력 없이도 도 4(c)와 같이 피스톤막(4111)이 승강하게 된다. 이는 스프링부(413)의 탄성회복력에 의한 것이다. 스프링부(413)가 탄성회복력으로 인해 상방으로 이완되고, 이로 인해 스프링부(413)와 결합된 피스톤막(4111)이 상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도 4(a) 상태와 같이 원복되게 된다.
정리하자면, 하우징부(100) 내부에 공기압을 유입 또는 배출시키기 위하여, 누름부(412)에 무게추(600)를 로딩하거나 제거하는 동작만으로 공기압을 유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다.
종래의 경우, 공기압을 유입 또는 배출(음압을 형성하기 위해)시키기 위해 컴프레샤를 활용하였다. 그러나, 컴프레샤를 통해 공기압을 가압하게 되면, 컴프레샤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 소모 등이 다수 발생하여 생산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 구조 및 무게추(600)를 로딩 또는 제거하는 동작만으로 하우징부(100) 내부에 공기압을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어 작동이 간편하고 전력 소모 등이 발생하지 않아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혼합물을 대상물에 침투시킬 수 있으며, 배출 과정에서 형성되는 음압을 통해 혼합물이 대상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음압을 통한 배출 방지 원리는 종래 기술에 기재된 부분인 바,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튜브부(420)는 가압체(410)와 하우징부(100)를 연결하는 유로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투입기의 내부를 확대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것으로,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진동발생부(700)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진동발생부(700)는 하우징(110)과 보관부(120) 사이의 공간에서 혼합물(2)에서 부유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발생부(700)는 미도시된 외부 전원공급장치와 연동되어,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때, 진동발생부(700)로부터 발생된 진동은 혼합물(2)을 매개체로 하여 대상물(1)에 전달된다. 이를 통해, 혼합물(2)의 대상물(1)로의 침투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진동발생부(700)를 특정 위치에 고정하는 것이 아닌, 혼합물(2) 내에 부유하도록 하여 위치 제한을 형성하지 않게 되면, 하우징부(10) 내부의 특정 지점에서 한정되어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진동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레그부(500)는 하우징부(100)의 하우징(110) 하부에 결합된다. 레그부(500)는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기둥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하우징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면으로 인해 발생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혼합물(2)을 대상물(1)에 투입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우징부(100)의 하우징(110) 하부에는 배출구(1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구(111)는 미도시된 커버를 통해 개폐가 가능하다. 혼합물(2)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추후에는 침투 효율이 떨어져 혼합물(2)을 교체해야 한다. 이때, 배출구(111)를 개방하기만 하면, 혼합물(2)을 하우징(110)으로부터 손쉽게 배출시킬 수 있어 작업 속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투입기를 통해, 대상물(1)에 혼합물(2)을 투입하는 공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대상물(1) 및 혼합물(2)을 준비한다. 대상물(1)은 일 예로 토마토, 혼합물(2)은 일 예로 스테비아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특정 대상물 및 혼합물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다음으로, 캡부(200)를 개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균형추(330)를 하방으로 가압하거나, 균형추(330)의 무게를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캡부(210)는 틸팅하여 개방된다.
다음으로, 대상물(1)은 보관부(120) 내부에 적입하고, 하우징(110) 내부에 혼합물(2)을 적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관부(120)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 바, 혼합물(2)은 보관부(120) 내부로 흘러 들어가 대상물(1)과 맞닿게 된다.
다음으로, 캡부(200)를 폐쇄하여 밀폐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균형추(330)에 하방으로 별다른 가압을 하지 않게 되면, 원복되어 캡부(200)는 하우징부(100)와 맞닿게 되어 하우징부(100) 내부가 폐쇄된다.
다음으로, 무게추(600)를 누름부(412)의 상부에 로딩하여 공기압을 가하게 된다. 공기압을 하우징부(100) 내부에 가해져 '가압' 효과를 발생시킨다. 이를 통해 혼합물(2)이 대상물(1)에 침투된다.
다음으로, 진동발생부(700)에 전원을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발생부(700)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의해 혼합물(2)의 대상물(1)로의 침투 효율이 극대화된다.
다음으로, 무게추(600)를 누름부(412)로부터 제거하여 공기압을 배출시키게 된다. 하우징부(100) 내부의 공기압이 다시 가압체(410) 방향으로 배출되어 '감압' 효과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음압 또는 감압 효과는 대상물(1)에 침투된 혼합물(2)의 배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다음으로, 캡부(200)를 개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균형추(330)를 하방으로 가압하거나, 균형추(330)의 무게를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캡부(210)는 틸팅하여 개방된다. 이를 통해 완성된 작업물을 하우징부(100)로부터 추출하게 된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하우징부,
200 : 캡부,
300 : 연결부,
400 : 가압부.
200 : 캡부,
300 : 연결부,
400 : 가압부.
Claims (5)
- 중공부가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결합 가능한 캡부;
상기 하우징부 및 상기 캡부를 잇되, 상기 캡부가 틸팅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 및
상기 하우징부 내부와 연동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는 혼합물 및 대상물이 적입되고,
상기 가압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공기압이 투입되거나 배출되어 상기 대상물에 상기 혼합물을 침투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가압부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잇는 튜브부; 및
상기 케이싱부와 연동되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는 밀폐된 피스톤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가 하강할 경우,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공기압을 가하고, 상기 누름부가 승강할 경우, 상기 하우징부 내부로부터 공기압이 배출되어 음압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힌지, 연장바 및 균형추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의 상부에 돌출 결합되며,
상기 힌지는 상기 캡부의 외주면 하부에 돌출 결합되는 상기 연장바와 링크 결합되고,
상기 연장바는 상기 힌지와 링크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시소 운동을 하고,
상기 연장바의 단부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추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추결합홈에는 상기 균형추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캡부와 상기 하우징부가 맞닿는 상태일 때, 상기 힌지와 상기 연장바의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균형추와 상기 캡부의 무게가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투입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위치되는 보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 내에는 상기 대상물이 위치되되, 상기 혼합물이 상기 보관부 내부로 유입 가능한 것인
혼합물 투입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혼합물 내에서 부유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의해 상기 혼합물의 상기 대상물로의 침투 효율이 향상되는 것인
혼합물 투입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레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혼합물 투입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0232A KR102504272B1 (ko) | 2022-01-03 | 2022-01-03 | 혼합물 투입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0232A KR102504272B1 (ko) | 2022-01-03 | 2022-01-03 | 혼합물 투입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04272B1 true KR102504272B1 (ko) | 2023-02-27 |
Family
ID=8532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0232A KR102504272B1 (ko) | 2022-01-03 | 2022-01-03 | 혼합물 투입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4272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55704A (ja) * | 2004-08-18 | 2006-03-02 | Abe Tekkosho:Kk | 傾動式振動混合機及び傾動式振動乾燥機 |
JP2010042394A (ja) * | 2008-07-14 | 2010-02-25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微細気泡発生方法及び携帯型の気体溶解水供給装置 |
JP2013132565A (ja) * | 2011-12-24 | 2013-07-08 | Sugihara Craft:Kk | 加圧式攪拌機 |
JP2017012740A (ja) * | 2015-06-03 | 2017-01-19 | ヘレウス メディカル ゲーエムベーハー | ポリメチルメタクリレート骨セメントを混合および収納する装置 |
KR20170059254A (ko) * | 2015-11-20 | 2017-05-30 | 박한용 |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 |
JP2020182914A (ja) * | 2019-05-09 | 2020-11-12 | 学校法人東京電機大学 | 浮遊する移動体、この移動体を備えた撹拌装置。 |
KR102244176B1 (ko) | 2020-07-02 | 2021-04-26 | 정한길 | 토마토에 스테비아를 주입하는 주입장치 |
KR102336028B1 (ko) * | 2021-06-23 | 2021-12-07 | 고태훈 |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천연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식품 제조 방법 |
-
2022
- 2022-01-03 KR KR1020220000232A patent/KR102504272B1/ko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55704A (ja) * | 2004-08-18 | 2006-03-02 | Abe Tekkosho:Kk | 傾動式振動混合機及び傾動式振動乾燥機 |
JP2010042394A (ja) * | 2008-07-14 | 2010-02-25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微細気泡発生方法及び携帯型の気体溶解水供給装置 |
JP2013132565A (ja) * | 2011-12-24 | 2013-07-08 | Sugihara Craft:Kk | 加圧式攪拌機 |
JP2017012740A (ja) * | 2015-06-03 | 2017-01-19 | ヘレウス メディカル ゲーエムベーハー | ポリメチルメタクリレート骨セメントを混合および収納する装置 |
KR20170059254A (ko) * | 2015-11-20 | 2017-05-30 | 박한용 |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 |
JP2020182914A (ja) * | 2019-05-09 | 2020-11-12 | 学校法人東京電機大学 | 浮遊する移動体、この移動体を備えた撹拌装置。 |
KR102244176B1 (ko) | 2020-07-02 | 2021-04-26 | 정한길 | 토마토에 스테비아를 주입하는 주입장치 |
KR102336028B1 (ko) * | 2021-06-23 | 2021-12-07 | 고태훈 |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천연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식품 제조 장치 및 식품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8369B1 (ko) | 펌핑식 화장품용기 | |
CN103765017B (zh) | 致动器 | |
CN103010595B (zh) | 容纳液体或含液体物质的衬、容器及方法 | |
CN109058563B (zh) | 一种气动式水下高压气泡源 | |
EP2481688A1 (en) | Dispensing aerosol valve for pressurized container | |
EP1938903A2 (en) | Pump Dispenser | |
KR102504272B1 (ko) | 혼합물 투입기 | |
CN108603498B (zh) | 从下方吸尘的隔膜泵 | |
KR101069544B1 (ko) | 역압 대응 게이트 밸브 | |
CN215485945U (zh) | 一种环保型采油油井井口密封装置 | |
KR101893404B1 (ko) | 이중체크판 구조의 펌프 용기 | |
CN111943114B (zh) | 一种含气液体灌装阀 | |
KR102021064B1 (ko) | 복수의 토출부를 구비한 용기 | |
US789699A (en) | Jar-sealing apparatus. | |
KR20180023648A (ko) | 액상의 내용물 충진용 주입기 노즐 조립체 | |
KR20070092380A (ko) | 고속 전해액 주입 장치 | |
KR102151172B1 (ko) | 팬듈럼 게이트 밸브 | |
CN112390210B (zh) | 一种阻燃胶用压料机及其使用方法 | |
KR101516959B1 (ko) | 이동식 액상 원료 공급장치 | |
CN212960014U (zh) | 压阀式回吸泵 | |
KR101725249B1 (ko) | 진공밸브 | |
CN104690791B (zh) | 木材内部微爆破装置 | |
KR101222324B1 (ko) | 고속 전해액 주입 장치의 주액 헤드 | |
CN220245550U (zh) | 带液位校正功能的气动液体灌装阀 | |
KR100484214B1 (ko) | 수동식 분사펌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