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983B1 - 지중 배전 스테이션용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 스테이션용 환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9983B1 KR102489983B1 KR1020200187835A KR20200187835A KR102489983B1 KR 102489983 B1 KR102489983 B1 KR 102489983B1 KR 1020200187835 A KR1020200187835 A KR 1020200187835A KR 20200187835 A KR20200187835 A KR 20200187835A KR 102489983 B1 KR102489983 B1 KR 1024899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coupled
- distribution station
- air supply
- circumferential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7/00—Enclosed substations, e.g. compact substations
- H02B7/06—Distribution substations, e.g. for urban network
- H02B7/08—Underground subst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 스테이션의 환기 장치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배전 스테이션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제1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된 외기가 상기 배전 스테이션으로 이동하는 제1 경로를 형성하는 급기구,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배전 스테이션에서 상기 중공으로 이동한 내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이동하는 제2 경로를 형성하는 배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예는 지중 배전 스테이션용 환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외기를 이용하여 지중 배전 스테이션의 내부를 환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력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상 기기의 설치 또한 증가하고 있다. 개폐기와 변압기를 비롯한 지상기기의 증가는, 도시 밀도의 증가, 그리고 도시 미관을 저해하는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개폐기와 변압기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컴팩트 배전 스테이션을 지중화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현재 진행중에 있다.
컴팩트 배전 스테이션을 지중화할 경우, 컴팩트 배전 스테이션 내부에 설치되는 장비의 침수, 결로, 과열 등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그 중 과열을 제어하기 위한 환기 기술은, 고 부하에 따른 장비의 과열 및 절연유 열화를 방지하고,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종래, 지중 배전 스테이션의 환기 기술과 관련하여, 거리의 바닥(즉, 지중 배전 스테이션의 상부)에 급기구를 설치하여 외기를 유입시키고, 급기구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된 배기구로부터 지중 배전 스테이션의 내기를 배출하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급기구 및 배기구 근처에 별도의 바람 유도 구조물이 설치되지 않았으므로, 급기구와 배기구 사이의 압력 차가 크게 발생하지 않아, 지중 배전 스테이션에서 요구되는 환기량을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 스테이션용 환기 장치는, 급기구와 배기구가 일체화된 구조물을 지중 배전 스테이션의 상부에 설치하여 지중 배전 스테이션의 내부를 환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지중 배전 스테이션의 환기 장치로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배전 스테이션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제1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된 외기가 상기 배전 스테이션으로 이동하는 제1 경로를 형성하는 급기구,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배전 스테이션에서 상기 중공으로 이동한 내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이동하는 제2 경로를 형성하는 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급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외기가 통과하는 제1 통공을 형성하는 제1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급기구는, 상기 제1 격벽의 일단과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평행하게 결합되는 제2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는,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이 결합되어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급기구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격벽의 타단과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경사지게 결합되는 제3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급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제1 격벽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통공과 결합되는 제1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급기구는, 일단이 상기 제1 덕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배전 스테이션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는, 상기 제1 통공, 상기 제1 덕트, 그리고 상기 제2 덕트가 결합되어 상기 제1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급기구는, 제1 홈과 제2 홈에 탈착되는 거름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1 격벽의 전면에서 상기 제1 통공의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1 홈과 수평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타단과 결합되고, 상기 중공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통공을 구비하며, 제1 방향으로 둘레가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단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배기구의 하단에서 상기 배기구의 상단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기구는,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가 결합된 상단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부재는, 상기 제2 통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둘레가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기구는, 상기 하단 커버와 상기 상단 커버를 이격시켜 상기 하단 커버와 상기 상단 커버 사이에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단 커버의 중심 축은 상기 상단 커버의 중심 축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하단 커버와 상기 하부 부재의 간격은 상기 일직선에서 멀어지는 제2 방향으로 점차 커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우징은, 태양열을 흡수하여, 상기 내기를 상기 제2 공간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단 커버는, 상기 하부 부재의 하단에 조명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 스테이션용 환기 장치는, 급기구와 배기구가 일체화된 구조물을 지중 배전 스테이션의 상부에 설치하여 지중 배전 스테이션의 내부를 환기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수평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급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급기구의 수직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배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배기구에 형성되는 제2 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수평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급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급기구의 수직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배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배기구에 형성되는 제2 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및 도2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1000)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1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1000)의 수평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환기 장치(1000)는, 하우징(100), 급기구(200), 그리고 배기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일단이 배전 스테이션(2000)에 결합되며, 타단이 배기구(300)에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측면 및 내부에는 급기구(200)가 형성된다. 여기서, 배전 스테이션(2000)은, 다회로 개폐기, 변압기 등의 전력 설비가 구비된 컴팩트 배전 스테이션(Compact Distribution Station, CDS)으로서, 지중에 매설되어 계통을 구성한다. 실시예에서 배전 스테이션(2000)이 지중에 매설되는 형태, 그리고 구조는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내부에 중공(110)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공(110)은, 배전 스테이션(2000)의 내기가 이동하는 제2 경로(L2)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은 태양열을 흡수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의 외주면에는 태양열을 흡수할 수 있는 소정의 도료가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의 외주면에는 태양열 흡수율이 50% 이상, 그리고 방사율이 50% 이하인 도료가 코팅될 수 있다. 또는, 하우징(100)의 외주면에는 태양열 흡수율이 70% 이상인 도료가 코팅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에서 급기구(200)와 배기구(300)는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구(300)에서 배전 스테이션(2000)의 바닥까지의 거리는, 급기구(200)에서 배전 스테이션(2000)의 바닥까지의 거리의 두 배 이상일 수 있다.
급기구(200)는, 하우징(100)의 측면 및 내부에 형성되어, 외기를 배전 스테이션(200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급기구(200)는,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하우징(100)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제1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급기구(200)는, 하우징(100)의 외부에서 제1 공간(S1)으로 유입된 외기가 배전 스테이션(2000)으로 이동하는 제1 경로(L1)를 형성할 수 있다. 급기구(200)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배기구(300)는, 하우징(100)의 타단에 결합되어, 배전 스테이션(2000)에서 하우징(100)의 중공(110)으로 이동한 내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배기구(300)는, 하우징(100)과 함께, 배전 스테이션(2000)의 내기가 이동하는 제2 경로(L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배기구(300)는,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 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배기구(300)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 및 도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급기구(2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급기구(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급기구(200)의 수직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급기구(200)는, 제1 격벽(210), 제2 격벽(220), 그리고 제3 격벽(230), 제1 덕트(240), 제2 덕트(250), 그리고 거름망(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격벽(210)은,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외기가 통과하는 제1 통공(21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통공(211)은, 배전 스테이션(2000)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면에서 일정한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공(211)의 중심점과 지표면 사이의 거리는 30[cm] 이상일 수 있다.
제2 격벽(220)은, 제1 격벽(210)의 일단과 결합되며, 하우징(100)의 내주면과 평행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격벽(220)은, 제1 격벽(210) 그리고 하우징(100)의 내주면과 함께, 외기가 유입되는 제1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격벽(220)은, 제1 공간(S1)으로 유입되는 외기가 중공(110)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기를 제1 통공(211)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제1 공간(S1)을 2차원 도형으로 표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제1 공간(S1)은 3차원적인 공간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도 2에서 도시된 제1 공간(S1)도 마찬가지이다.
제3 격벽(230)은, 제1 격벽(210)의 타단과 결합되며,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격벽(230)은 오목한 형상으로부터, 제1 공간(S1)에 최대한 많은 양의 외기를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제3 격벽(230)은, 하우징(100)의 내주면과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격벽(230)은, 하우징(100)의 내주면 및 제1 격벽(210)과 각각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격벽(230)은, 하우징(100)의 내주면과 제1 격벽(210) 사이에서, 하우징(100)의 내주면과 경사지게 결합되어, 외기를 제1 통공(211)으로 유도할 수 있다.
제1 덕트(240)는, 하우징(100)의 내주면과 제1 격벽(210)의 후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덕트(240)는 제1 통공(211)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덕트(24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외기가 이동하는 제1 경로(L1)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덕트(250)는, 일단이 제1 덕트(24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덕트(25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제1 통공(211) 그리고 제1 덕트(240)와 함께, 외기가 이동하는 제1 경로(L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덕트(250)는, 타단이 배전 스테이션(20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덕트(250)의 타단은 개방되어, 배전 스테이션(2000)의 내부에 외기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제2 덕트(250)는 지상과 비교하여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지중에 위치하므로, 제2 덕트(250) 내부를 이동하는 외기는 열손실이 발생하여 온도 하강이 일어나게 된다. 즉, 제2 덕트(250)는 온도 하강이 일어난 외기를 배전 스테이션(2000)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2 덕트(250)의 길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도 2에서 도시된 제2 덕트(250)도 마찬가지이다.
거름망(260)은, 망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거름망(260)은, 제1 공간(S1)에 외기를 유입시키되, 제1 공간(S1)에 쓰레기 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거름망(260)은 제1 홈(212)과 제2 홈(120)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제1 홈(212)은, 제1 격벽(210)의 전면에서 제1 통공(211)의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홈(120)은, 하우징(100)의 내주면에서 제1 홈(212)과 수평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거름망(260)은, 제1 홈(212)과 제2 홈(120)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먼지에 의한 막힘 등을 보수할 수 있다. 한편, 거름망(260)은 제1 홈(212)에 장착된 다음 제2 홈(120)에 장착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4는, 거름망(260), 제1 홈(212), 그리고 제2 홈(12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일부 구성이 생략되거나 간략하게 도시되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배기구(3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배기구(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배기구(300)에 형성되는 제2 공간(S2)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기구(300)는, 하단 커버(310), 상단 커버(320), 그리고 지지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 커버(310)는, 하우징(100)의 타단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단 커버(310)는, 하우징(100)의 중공(110)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통공(311)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통공(311)은 내기가 이동하는 제2 경로(L2)를 형성함과 동시에, 내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단 커버(320)는, 상부 부재(321)와 하부 부재(322)를 포함하고, 상부 부재(321)와 하부 부재(322)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부재(321)는, 제2 통공(311)의 직경(D1)보다 큰 직경(D2)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부재(321)의 직경(D2)이 제2 통공(311)의 직경(D1)보다 크므로, 상단 커버(320)는 제2 통공(311)에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부 부재(322)의 하단에는 조명 장치(323)가 구비되어, 환기 장치(1000)를 가로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 장치(323)에는 LED가 사용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대(330)는, 하단 커버(310)와 상단 커버(320)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대(330)는, 하단 커버(310)와 상단 커버(320)를 이격시킬 수 있다. 지지대(330)로부터 이격된 하단 커버(310)와 상단 커버(320) 사이에는 제2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하단 커버(310)의 중심 축과 상단 커버(320)의 중심 축은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하단 커버(310)는, 배기구(300)의 하단에서 배기구(300)의 상단을 향하는 제1 방향(P1)으로, 둘레가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단 커버(320)의 하부 부재(322)는, 제1 방향(P1)으로 둘레가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330)는, 상술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단 커버(310)와 하부 부재(322)(또는, 상단 커버(320))를 이격시켜, 하단 커버(310)와 하부 부재(322)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단 커버(310)와 하부 부재(322)의 간격은 일직선(하단 커버(310)의 중심축, 또는 상단 커버(320)의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제2 방향(P2)으로 점차 커질 수 있다. 상술한, 하단 커버(310)와 하부 부재(322)의 형상, 그리고 지지대(330)의 배치로부터, 하단 커버(310)와 상단 커버(320) 사이에, 양 단면이 오목한 제2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제2 공간(S2)을 2차원 도형으로 표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제2 공간(S2)은 3차원적인 공간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도 2에서 도시된 제2 공간(S2)도 마찬가지이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1000)가 배전 스테이션(2000)을 환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 장치(1000)는, 굴뚝 효과(Stack-effect)를 이용하여 배전 스테이션(2000)의 내기를 환기 장치(1000)로 상승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은, 태양열을 흡수하여,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 상승에 의하여, 하우징(100) 외부와 하우징(100) 내부 사이에 압력 차가 발생함으로써, 외기는 급기구(200)로부터 배전 스테이션(20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배전 스테이션(2000)의 내기는, 급기구(200)를 통과하며 온도가 하강된 외기와 혼합되어, 자연 대류하여 하우징(100)의 중공(1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은 태양열을 흡수하여 배전 스테이션(2000)의 내기를 배기구(300)의 제2 공간(S2)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환기 장치(1000)는 상술한 굴뚝 효과를 이용하여 배전 스테이션(2000)의 내기를 환기 장치(1000)로 상승시키되, 배전 스테이션(2000)의 환기량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배기팬(미도시)을 이용하여 강제 환기를 병행할 수 있다. 여기서, 배기팬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환기 장치(1000)는, 베르누이 효과를 이용하여 배전 스테이션(2000)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단 커버(310)와 하부 부재(322)의 형상, 그리고 지지대(330)의 배치로부터, 하단 커버(310)와 상단 커버(320) 사이에는 양 단면이 오목한 제2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외기는 양 단면이 오목한 제2 공간(S2)을 통과하면서 풍속이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제2 공간(S2)까지 상승한 내기는, 제2 공간(S2)을 통과하는 외기에 의하여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외기는, 전술한, 급기구(200)로부터 배전 스테이션(2000)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와는 구분되는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실시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예시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실시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실시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0: 환기 장치 2000: 배전 스테이션
100: 하우징 110: 중공
120: 제1 홈 200: 급기구
210: 제1 격벽 211: 제1 통공
212: 제2 홈 220: 제2 격벽
230: 제3 격벽 240: 제1 덕트
250: 제2 덕트 260: 거름망
300: 배기구 310: 하단 커버
320: 상단 커버 321: 상부 부재
322: 하부 부재 323: 조명 장치
330: 지지대
100: 하우징 110: 중공
120: 제1 홈 200: 급기구
210: 제1 격벽 211: 제1 통공
212: 제2 홈 220: 제2 격벽
230: 제3 격벽 240: 제1 덕트
250: 제2 덕트 260: 거름망
300: 배기구 310: 하단 커버
320: 상단 커버 321: 상부 부재
322: 하부 부재 323: 조명 장치
330: 지지대
Claims (15)
- 지중 배전 스테이션의 환기 장치로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배전 스테이션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제1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된 외기가 상기 배전 스테이션으로 이동하는 제1 경로를 형성하는 급기구,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배전 스테이션에서 상기 중공으로 이동한 내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이동하는 제2 경로를 형성하는 배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급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외기가 통과하는 제1 통공을 형성하는 제1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급기구는,
상기 제1 격벽의 일단과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평행하게 결합되는 제2 격벽을 더 포함하는 환기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이 결합되어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환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격벽의 타단과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경사지게 결합되는 제3 격벽
을 더 포함하는, 환기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제1 격벽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통공과 결합되는 제1 덕트
를 더 포함하는, 환기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는,
일단이 상기 제1 덕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배전 스테이션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덕트
를 더 포함하는, 환기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공, 상기 제1 덕트, 그리고 상기 제2 덕트가 결합되어 상기 제1 경로를 형성하는, 환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는, 제1 홈과 제2 홈에 탈착되는 거름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1 격벽의 전면에서 상기 제1 통공의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1 홈과 수평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환기 장치 - 지중 배전 스테이션의 환기 장치로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배전 스테이션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향해 개방된 제1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된 외기가 상기 배전 스테이션으로 이동하는 제1 경로를 형성하는 급기구,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배전 스테이션에서 상기 중공으로 이동한 내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이동하는 제2 경로를 형성하는 배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타단과 결합되고, 상기 중공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통공을 구비하며, 제1 방향으로 둘레가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단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배기구의 하단에서 상기 배기구의 상단을 향하는 방향인, 환기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가 결합된 상단 커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부재는, 상기 제2 통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둘레가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환기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하단 커버와 상기 상단 커버를 이격시켜 상기 하단 커버와 상기 상단 커버 사이에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
를 더 포함하는, 환기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커버의 중심 축은 상기 상단 커버의 중심 축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하단 커버와 상기 하부 부재의 간격은 상기 일직선에서 멀어지는 제2 방향으로 점차 커지는, 환기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태양열을 흡수하여, 상기 내기를 상기 제2 공간까지 상승시키는, 환기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커버는, 상기 하부 부재의 하단에 조명 장치를 구비하는, 환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7835A KR102489983B1 (ko) | 2020-12-30 | 2020-12-30 | 지중 배전 스테이션용 환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7835A KR102489983B1 (ko) | 2020-12-30 | 2020-12-30 | 지중 배전 스테이션용 환기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5873A KR20220095873A (ko) | 2022-07-07 |
KR102489983B1 true KR102489983B1 (ko) | 2023-01-18 |
Family
ID=82398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7835A KR102489983B1 (ko) | 2020-12-30 | 2020-12-30 | 지중 배전 스테이션용 환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9983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91122A (ja) | 2001-03-29 | 2002-10-04 | Nissin Electric Co Ltd | スイッチギヤ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1252940B (it) * | 1991-02-14 | 1995-07-05 | Cosmo Seri | Cabina elettrica di trasformazione interrata, costituita da due celle contenute l'una entro l'altra. |
KR101525985B1 (ko) * | 2013-09-04 | 2015-06-11 | (주)한진전력 | 승하강 방식의 지중 매립형 배전반의 시공구조 |
KR20190078091A (ko) * | 2017-12-26 | 2019-07-04 | 한국전력공사 | 풍력을 이용한 지상기기의 환기장치 |
-
2020
- 2020-12-30 KR KR1020200187835A patent/KR1024899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91122A (ja) | 2001-03-29 | 2002-10-04 | Nissin Electric Co Ltd | スイッチギ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5873A (ko) | 2022-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3839767U (zh) | 一种散热型配电箱 | |
CN203839768U (zh) | 一种强力散热配电箱 | |
CN203839763U (zh) | 一种调节散热型配电箱 | |
CN102797343B (zh) | 竖井式进排气方法及其构造 | |
JP2017526894A (ja) | 空調ユニット | |
CN105674360A (zh) | 油烟机 | |
KR101596813B1 (ko) | 지중배전선로의 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 | |
CN110350424B (zh) | 一种箱式变电站进风结构 | |
KR102489983B1 (ko) | 지중 배전 스테이션용 환기 장치 | |
WO2015087035A1 (en) | Passive cooling system for wind tower | |
CN204407838U (zh) | 一种变电站室外电缆沟导气装置 | |
CN202282561U (zh) | 半埋式箱式变电站开关柜室的通风散热系统 | |
CN203759323U (zh) | 一种光缆分纤箱 | |
CN210111444U (zh) | 箱式变电所 | |
CN203839764U (zh) | 一种高效散热型配电箱 | |
CN205016886U (zh) | 便于通风散热的欧式箱变 | |
CN205355605U (zh) | 一种集成电气设备柜的集装箱的通风散热结构 | |
CN214626027U (zh) | 箱式变电站的空气循环装置 | |
CN206626682U (zh) | 壁挂式空调一体机 | |
CN212339438U (zh) | 天井机 | |
CN111868391B (zh) | 风扇和包括该风扇的空调单元 | |
CN209298712U (zh) | 预制式集装箱 | |
CN113047483A (zh) | 小型建筑装饰的具备降温功能的生态水幕墙结构 | |
CN210619945U (zh) | 一种民用电梯轿厢 | |
CN2845252Y (zh) | 地埋式变电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