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037B1 - Separator for kitchen furniture with divider adjustment structure - Google Patents
Separator for kitchen furniture with divider adjustment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5037B1 KR102475037B1 KR1020200135689A KR20200135689A KR102475037B1 KR 102475037 B1 KR102475037 B1 KR 102475037B1 KR 1020200135689 A KR1020200135689 A KR 1020200135689A KR 20200135689 A KR20200135689 A KR 20200135689A KR 102475037 B1 KR102475037 B1 KR 1024750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partition
- separator
- wing
- sid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adaptation of compartments or drawers for receiving or holding foodstuffs; by provision of rotatable or extensible containers f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75—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repositionable partition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칸막이 조절 구조를 갖춘 주방가구용 분리함에 관한 것이다.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과 양측 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과 양측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구로 이루어진 분리함 본체와 상기 분리함 본체를 구획하는 복수개의 격벽프레임 및 상기 격벽프레임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격벽프레임 사이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분리함의 칸막이를 조정하여 다양한 크기의 주방기구를 수납할 수 있으며 칸막이의 분리,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조 비용을 줄여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vider for kitchen furniture having a partition control structure.
Provided to be movable between a separation box body composed of a front frame, a rear frame, frames on both sides, and connectors connecting the front frame, rear frame, and frames on both sides,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partitioning the separation box body and the partition fram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artitions between the bulkhead frames.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kitchen utensils of various sizes by adjusting the partition of the separation box, an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separation and loss of the partition.
And,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칸막이 조절 구조를 갖춘 주방가구용 분리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가구의 서랍에 안착되어 칸막이를 이동하여 구획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수저 등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주방기구를 보관할 수 있는 칸막이 조절 구조를 갖춘 주방가구용 분리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vider for kitchen furniture having a partition control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djust a partition that can store kitchen utensil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such as cutlery,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partition by moving the partition while being seated in a drawer of the kitchen furniture. It relates to a divider for kitchen furniture having a structure.
일반적으로 주방가구에는 인출식 서랍이 구비되어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주방기구를 보관하게 된다In general, kitchen furniture is provided with pull-out drawers to store kitchen utensil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그러나 일반적인 주방가구의 서랍에 수저, 포크, 국자, 뒤집게 등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주방기구를 보관할 시 서랍을 열고 닫을 때 임의로 이동되어 깔끔한 정리가 안되었다.However, when storing kitchen utensil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such as spoons, forks, ladles, and flippers, in drawers of general kitchen furniture, they are randomly moved when the drawers are opened and closed, making it difficult to organize them neatly.
따라서 최근에는 서랍 내부공간을 분획할 수 있는 칸막이 구조가 개발되어 서랍에 안치하거나 서랍에 칸막이를 설치하여 주방기구의 종류에 따라 보관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Therefore, in recent years, a partition structure capable of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drawer has been developed and placed in the drawer, or a partition is installed in the drawer to store and use according to the type of kitchen utensil.
일예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005818호의 주방용기의 연결구조가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Patent Registration No. 10-1005818 discloses a connection structure of a kitchen utensil.
주방용기의 연결구조는 칼 또는 수저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육면체형의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물품 보관용 주방용기들 사이에 상기 주방용기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연결부재를 끼워 나란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kitchen utensils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nnecting member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kitchen utensil is inserted between the kitchen utensils for storing items made in the shape of a hexahedral box so as to accommodate knives or cutlery, etc., and are coupled side by side. .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은 연결부재의 구조상 조립강도가 취약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주방용 기구들이 수용 보관된 상태에서 들어 올릴 경우 손으로 잡은 하나의 주방용기로부터 연결부위가 점차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주방용기와 연결부재 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technolog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sign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assembly strength is weak due to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ng member, when the kitchen utensils are lifted from the stored state, the connection part gradually bends from one kitchen utensil held by hand. As this occu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stable coupling between the kitchen container and the connecting member is difficult.
또한, 주방용기의 내부에 다수의 칸막이가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다양한 주방용 기구를 수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주방용 기구의 수납을 위해서 그에 맞는 수납 구조를 갖는 주방용기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partitions are fixed to the inside of the kitchen utensil, it is difficult to store various kitchen utensils, and it is inconvenient to replace the kitchen utensil with a kitchen utensil having a suitable storage structure for storing the utensils. .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주방가구용 분리함의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칸막이를 용이하게 이동하여 구획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주방기구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made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is to make it possible to store kitchen utensil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compartment by easily moving the partition while assembling the separator for kitchen furniture is simple. there is
본 발명에 의하면, 주방용 서랍에 안착되는 주방가구용 분리함에 있어서,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parator for kitchen furniture seated in the kitchen drawer,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과 양측 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과 양측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구로 이루어진 분리함 본체와 상기 분리함 본체를 구획하는 복수개의 격벽프레임 및 상기 격벽프레임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격벽프레임 사이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ovided to be movable between a separation box body composed of a front frame, a rear frame, frames on both sides, and connectors connecting the front frame, rear frame, and frames on both sides,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partitioning the separation box body and the partition fram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artitions between the bulkhead frames.
이때, 상기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은 상호 대칭으로 하부가 개방된 "" 형태로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는 일측벽의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양측벽 사이에는 일부가 개방된 원형의 고정결합구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결합구와 이격되어 지지판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are mutually symmetrically opened at the bottom " A locking jaw is formed at the end of one side wall facing each other, and a circular fixing coupler with a part ope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both sides of the wall,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coupler so that the support plate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그리고, 상기 양측 프레임은 상호 대칭으로 형성되며, 판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날개 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이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의 일측벽에는 고정턱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일부가 개방된 원형의 피스결합구가 양측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oth sides of the frame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a plate-shaped body and a wing coupling groove ar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a moving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part, a fixing jaw is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moving groove, and a fixing jaw is formed on the central part of the moving groove. A circular piece coupler with a part ope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both frames.
또한, 상기 양측 프레임의 상부 외측에 날개 프레임이 더 구비되며, 상기 날개 프레임은 상기 양측 프레임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판상의 날개본체와 상기 날개본체의 일단에서 상,하로 돌출되어 상기 날개 결합홈에 안착되는 날개돌기를 포함하여 형성된다.In addition, a wing frame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outer side of the frame on both sides, and the wing frame protrudes upward and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plate-shaped wing body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rame on both sides and the wing body, and is seated in the wing coupling groove. It is formed including wing projections that become.
이와 더불어, 상기 연결구는 사각박스체로 형성되는 연결구몸체의 일면에 제1끼움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제1끼움돌기의 인접한 일면에 제2끼움돌기가 돌출되며, 연결구몸체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 방향으로 제1피스공이 관통되고, 상기 제2끼움돌기 방향으로 제2피스공이 관통된다.In addition, in the connector, a first fitt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formed of a square box body, and a second fitt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one surface adjacent to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and the connector body has a direction of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The first piece hole passes through, and the second piece hole passe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한편, 상기 격벽프레임은 하부가 개방된 ""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벽 하부에는 삼각형태의 쐐기고정턱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원형의 피스고정구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프레임의 양측에는 프레임결착구가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bulkhead frame has a lower open " It is formed in the form of ", a triangular wedge fixing jaw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both side walls, and a circular piece fixture with one side open is formed in the central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rame fasteners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ulkhead frame.
이때, 상기 프레임결착구는 사각박스체의 결착구몸체와, 상기 결착구몸체의 일면에서 돌출된 고정돌기와, 타면의 하측에서 'ㄱ'형태로 돌출된 걸림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착구몸체에는 피스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결착구의 상부에 피스공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결착구의 상단을 연결하는 손잡이바가 더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frame fastener is composed of a fastener body of a square box body,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fastener body, and a protrusion protruding in an 'a' shape from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urface, and the fastener body has a piece through A ball is formed, a piece hole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fastener, and a handle bar connecting an upper end of the frame fastener is further provided.
그리고, 상기 칸막이는 사각판체의 칸막이몸체와 상기 칸막이몸체의 양측 하부에서 'ㄱ'형태로 돌출된 삽입돌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partition is composed of a partition body of a rectangular plate body and insertion protrusions protruding in an 'L' shape from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partition body.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분리함의 칸막이를 조정하여 다양한 크기의 주방기구를 수납할 수 있으며 칸막이의 분리,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kitchen utensils of various sizes can be accommodated by adjusting the partition of the separator, and separation and loss of the partition can be prevented.
그리고, 제조 비용을 줄여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 조절 구조를 갖춘 주방가구용 분리함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는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 조절 구조를 갖춘 주방가구용 분리함의 분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 조절 구조를 갖춘 주방가구용 분리함의 요부 단면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 조절 구조를 갖춘 주방가구용 분리함의 다른 실시예.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분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parator for kitchen furniture having a partition contro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exploded views and enlarged views of main parts of a separator for kitchen furniture equipped with a partition contro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separator for kitchen furniture having a partition contro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other embodiment of a separator for kitchen furniture having a partition contro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exploded views of FIG. 6;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 조절 구조를 갖춘 주방가구용 분리함(이하 '분리함)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paration box for kitchen furniture having a partition contro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paration') will be understood by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분리함(1)은 주방가구의 서랍에 안착되어 수저, 포크, 국자 등 다양한 주방기구를 보관할 수 있도록 구획된 것이다.The
이러한 본 발명은 주방용 서랍에 안착되는 주방가구용 분리함에 있어서,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과 양측프레임(130)과, 상기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과 양측프레임(130)을 연결하는 연결구(140)로 이루어진 분리함 본체(100)와 상기 분리함 본체(100)를 구획하는 복수개의 격벽프레임(200) 및 상기 격벽프레임(200)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격벽프레임(200)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300)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parator for kitchen furniture seated in a kitchen drawer, the
따라서 분리함 본체(100)는 주방가구의 서랍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격벽프레임(200)의 개수와 칸막이(300)의 개수 역시 서랍의 크기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또한, 격벽프레임(200)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이에 따라 칸막이(300)의 크기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조립할 수 있고, 칸막이(300)를 자유롭게 이동하여 격벽프레임(200) 사이 공간을 길이를 다양한 길이로 구획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따라서, 길이와 크기가 다양한 주방기구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store kitchen utensils having various lengths and sizes.
이하 본 발명의 분리함(1)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은 상호 대칭으로 하부가 개방된 "" 형태로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는 일측벽의 단부에는 걸림턱(111,121)이 형성되고, 양측벽 사이에는 일부가 개방된 원형의 고정결합구(112,12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결합구(112,122)와 이격되어 지지판(113,12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S. 1 to 5, the
따라서, 상기 전방프레임(110)과 후방프레임(120)의 하부에 상기 격벽프레임(200)의 양단이 하부가 끼움 결합된다.Accordingly, both ends of the
그리고, 상기 걸림턱(111,121)은 도 2와 같이 사면이 형성된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격벽프레임(200)의 양단에 결합되는 프레임결착구(210)가 원활하고 견고하게 결합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고정결합구(112,122)는 상기 연결구(140)를 관통하는 피스 등 고정수단이 결합되도록 상기 전방프레임(110)과 후방프레임(120)의 양측벽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자체 탄성력을 갖도록 일부가 개방된 원형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양측프레임(130)은 상호 대칭으로 형성되며, 판상의 몸체(131)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날개 결합홈(132)이 형성되고, 하부에 이동홈(133)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133)의 일측벽에는 고정턱(134)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일부가 개방된 원형의 피스결합구(135)가 양측프레임(1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oth sides of the
이와 같은 양측프레임(130)은 연결구(140)를 통해 상기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과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테두리의 분리함 본체(100)를 형성하게 된다.Both sides of the
한편, 상기 날개 결합홈(132)은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3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면의 끝단이 하부로 절곡되고 하부면의 끝단이 상,하로 연장되어 'T'형태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상부면의 하부 중간부에서 보강대(136)가 일체로 돌출된다.In addition, the
이와 더불어, 상기 이동홈(133)은 상기 몸체(13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의 하부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일측벽에 고정턱(134)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11,121)의 형태와 같이 사면이 형성된 삼각형태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movable groove 133 is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그리고, 상기 피스결합구(135)는 상기 고정결합구(112,122)와 같이 일부가 개방된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131)의 일측에 돌출된 연결바(135a)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한편, 도 2 및 도 5와 같이 상기 양측프레임(130)의 상부 외측에 날개프레임(150)이 더 구비되며, 상기 날개프레임(150)은 상기 양측프레임(130)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판상의 날개본체(151)와 상기 날개본체(151)의 일단에서 상,하로 돌출되어 상기 날개 결합홈(132)에 안착되는 날개돌기(15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2 and 5, a
상기 날개프레임(150)은 서랍의 측벽에 밀착되어 분리함(1)이 임의로 이동되지 않고 서랍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The
이와 같은 날개프레임(150)의 날개돌기(152)는 상술한 날개 결합홈(132)에 결합되도록 단부가 'T'형태로 형성되고, 끝단에서 이격되어 날개본체(151)의 하부에서 2개의 지지돌기(153)가 형성된다.The
따라서, 상기 날개돌기(152)가 상기 날개 결합홈(132)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131)의 상부면 끝단과 보강대(136)가 날개본체(151)의 상부면과 맞닿고, 하부면의 단부가 상기 지지돌기(153)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날개프레임(150)이 날개 결합홈(132)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이와 더불어, 상기 연결구(1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박스체로 형성되는 연결구몸체(141)의 일면에 제1끼움돌기(142)가 돌출되고, 상기 제1끼움돌기(142)의 인접한 일면에 제2끼움돌기(143)가 돌출되며, 연결구몸체(141)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142) 방향으로 제1피스공(144)이 관통되고, 상기 제2끼움돌기(143) 방향으로 제2피스공(145)이 관통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in the
즉, 상기 연결구(140)는 분리함 본체(100)의 모서리에 구비되어 일면과 인접한 면이 각각 전방프레임(110) 또는 후방프레임(120)과 양측프레임(130)의 단부에 밀착되어 4개가 모두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That is, the
따라서, 상기 제1끼움돌기(142)가 양측프레임(130)의 일단에 결합되고 제2끼움돌기(143)가 전방프레임(110) 또는 후방프레임(120)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반대로 제1끼움돌기(142)가 전방프레임(110) 또는 후방프레임(120)의 일단에 결합되고, 제2끼움돌기(143)가 양측프레임(130)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이와 같은 형태의 연결구(140)의 결합을 제1끼움돌기(142)가 양측프레임(130)의 일단에 결합되고 제2끼움돌기(143)가 전방프레임(110)의 일단에 결합되 것을 일예로 설명한다.The coupling of the
상기 제1끼움돌기(142)는 2개가 이격되어 대략 사각돌기로 형성되며, 상부 제1끼움돌기(142)는 양측프레임(130)의 날개 결합홈(132)의 하부면과 피스결합구(135) 사이에 끼움결합되고, 하부 제1끼움돌기(142)는 이동홈(133)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제1피스공(144)은 상기 피스결합구(135)와 대응되어 피스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The first
또한, 상기 제2끼움돌기(143) 역시 2개가 이격되어 대략 사각돌기로 형성되며, 상부 제2끼움돌기(143)는 전방프레임(110)의 양측벽 사이에 끼워지고, 하부 제2끼움돌기(143)는 상기 전방프레임(110)의 고정결합구(112,122)와 지지판(113,123) 사이에 형성된 결합홀(114)에 끼워지며, 상기 제2피스공(145)은 고정결합구(112,122)와 대응되어 피스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In addition, the second
이때, 상기 제1피스공(144)과 제2피스공(145)이 형성되는 연결구몸체(141)는 홈가공하여 제1피스공(144)과 제2피스공(145)의 홀가공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격벽프레임(200)은 하부가 개방된 ""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벽 하부에는 삼각형태의 쐐기고정턱(201)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원형의 피스고정구(20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프레임(200)의 양측에는 프레임결착구(210)가 결합된다.And, as shown in FIG. 3, the
이때, 상기 쐐기고정턱(201)은 상술한 걸림턱(111,121)과 고정턱(134)과 같이 사면을 형성된 삼각형태로 사면이 상호 마주보도록 양측벽 내측에서 돌출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상기 프레임결착구(210)는 사각박스체의 결착구몸체(211)와, 상기 결착구몸체(211)의 일면에서 돌출된 고정돌기(212)와, 타면의 하측에서 'ㄱ'형태로 돌출된 걸림돌기(213)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착구몸체(211)에는 피스관통공(214)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고정돌기(212)는 2개가 이격되어 돌출되어 상기 격벽프레임(200)의 내측에 삽입되며 피스고정구(202)의 상,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사각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fixing
따라서, 상기 결착구몸체(211)는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의 내측벽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Therefore, the
이때, 상기 걸림돌기(213)는 상기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의 하부에 삽입되어 걸림턱(111,121)에 고정되도록 끝단이 걸림턱(111,121)과 반대방향의 사면을 갖는 삼각돌기(213a)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11,121)의 사면을 타고 이동하여 삼각돌기(213a)의 턱이 걸림턱(111,121)에 걸려 고정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물론, 상기 피스관통공(214)은 상기 피스고정구(202)와 대응되어 피스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결착구(210)는 상기 격벽프레임(200)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the piece through
이와 더불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결착구(210)의 상부에 피스공(215)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결착구(210)의 상단을 연결하는 손잡이바(220)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6 to 8, a
따라서, 상기 손잡이바(220)를 파지하여 분리함(1)을 서랍에서 넣고 빼기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Therefore, it is very easy to insert and remove the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의 프레임결착구(210)는 비교적 길게 형성되어 프레임결착구(210)의 하부에 격벽프레임(200)이 결합된다.The
이때, 상기 프레임결착구(210)의 결착구몸체(211) 상단에는 피스공(215)이 관통되고 상기 손잡이바(220)는 대략 사각바로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형의 홈(2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피스공(215)을 관통하는 피스가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바(220)가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도 4와 같이 상기 칸막이(300)는 사각판체의 칸막이몸체(310)와 상기 칸막이몸체(310)의 양측 하부에서 'ㄱ'형태로 돌출된 삽입돌기(320)로 이루어진다.And, as shown in FIG. 4, the
이때, 상기 삽입돌기(320)는 칸막이몸체(310)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격벽프레임(200) 또는 양측프레임(130)의 하부에 삽입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 삽입돌기(320)의 단부도 상기 프레임결착구(210)와 같이 끝단이 삼각돌기(321)로 형성되어 프레임결착구(210)의 삽입 고정과 같은 형태로 상기 격벽프레임(200) 또는 양측프레임(130)에 결합된다.Therefore, the end of the
이와 같은 결합으로 상기 칸막이(300)는 격벽프레임(2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격벽프레임(200)의 하부에서 상부로 결합되고 서랍의 바닥면에 안착되어 칸막이(300)가 임의로 이탈되거나 파손,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With this combination, the
이와 더불어, 도 1,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격벽프레임(200) 사이 또는 양측프레임(130)과 격벽프레임(200) 사이에 칼꽂이 수납구(40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칼꽂이 수납구(400)는 주방용 칼의 칼날이 삽입되도록 날삽입홈(411)이 형성된 제1수납구(410)와 칼손잡이가 거치되는 제2수납구(420)가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제1수납구(410) 및 제2수납구(420)의 하부 양측에도 상기 칸막이(300)의 삽입돌기(320)와 같은 형태의 돌기가 형성되어 칸막이(300)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 4 and 5 , the
이와 같은 분리함(1)의 전방프레임(110), 후방프레임(120), 양측프레임(130), 격벽프레임(200), 칸막이(300)는 ABS 수지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날개프레임(150)은 강도가 높은 알루미늄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따라서, 본 발명의 분리함(1)은 조립이 간편하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칸막이(300)를 자유롭게 이동하여 주방기구의 크기에 따라 분리함(1)을 구획하여 다양한 주방기구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for the most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is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1: 분리함 100: 분리함 본체
110: 전방프레임 111: 걸림턱
112: 고정결합구 113: 지지판
114: 결합홀 120: 후방프레임
121: 걸림턱 122: 고정결합구
123: 지지판 130: 양측프레임
131: 몸체 132: 날개 결합홈
133: 이동홈 134: 고정턱
135: 피스결합구 136: 보강대
140: 연결구 141: 연결구몸체
142: 제1끼움돌기 143: 제2끼움돌기
144: 제1피스공 145: 제2피스공
150: 날개프레임 151: 날개본체
152: 날개돌기 153: 지지돌기
200: 격벽프레임 210: 프레임결착구
211: 결착구몸체 212: 고정돌기
213: 걸림돌기 214: 피스관통공
220: 손잡이바1: separation box 100: separation box body
110: front frame 111: locking jaw
112: fixed coupling 113: support plate
114: coupling hole 120: rear frame
121: locking jaw 122: fixed joint
123: support plate 130: both sides of the frame
131: body 132: wing coupling groove
133: moving groove 134: fixed jaw
135: piece coupler 136: reinforcement
140: connector 141: connector body
142: first fitting protrusion 143: second fitting protrusion
144: first piece ball 145: second piece ball
150: wing frame 151: wing body
152: wing protrusion 153: support protrusion
200: bulkhead frame 210: frame fastening
211: fastener body 212: fixing protrusion
213: stumbling block 214: piece through hole
220: handle bar
Claims (9)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과 양측프레임(130)과, 상기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과 양측프레임(130)을 연결하는 연결구(140)로 이루어진 분리함 본체(100)와 상기 분리함 본체(100)를 구획하는 복수개의 격벽프레임(200) 및 상기 격벽프레임(200)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격벽프레임(200)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300)을 포함하며, 상기 양측프레임(130)은 상호 대칭으로 형성되며, 판상의 몸체(131)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날개 결합홈(132)이 형성되고, 하부에 이동홈(133)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133)의 일측벽에는 고정턱(134)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일부가 개방된 원형의 피스결합구(135)가 양측프레임(1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측프레임(130)의 상부 외측에 날개프레임(150)이 더 구비되며, 상기 날개프레임(150)은 상기 양측프레임(130)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판상의 날개본체(151)와 상기 날개본체(151)의 일단에서 상,하로 돌출되어 상기 날개 결합홈(132)에 안착되는 날개돌기(15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조절 구조를 갖춘 주방가구용 분리함.
In the separator for kitchen furniture seated in the kitchen drawer,
Separation box main body composed of the front frame 110 and the rear frame 120, the side frames 130, and the connector 140 connecting the front frame 110 and the rear frame 120 and the both side frames 130 ( 100)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200 partitioning the separator body 100, and a partition 300 provided movably between the partition walls 200 to partition between the partition frames 200, , The both sides of the frame 130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the plate-shaped body 131 and the wing coupling groove 132 ar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the moving groove 133 is formed on the lower part, and the moving groove A fixing jaw 134 is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133, and a circular piece coupler 135 partially opened in the center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30 on both sides, and the upper part of the frame 130 on both sides A wing frame 150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side, and the wing frame 150 extends upward and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plate-shaped wing body 151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both sides of the frame 130 and the wing body 151. Separator for kitchen furniture with a partition contro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including a wing protrusion 152 protruding and seated in the wing coupling groove 132.
상기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은 상호 대칭으로 하부가 개방된 "" 형태로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는 일측벽의 단부에는 걸림턱(111,121)이 형성되고, 양측벽 사이에는 일부가 개방된 원형의 고정결합구(112,12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결합구(112,122)와 이격되어 지지판(113,12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조절 구조를 갖춘 주방가구용 분리함.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frame 110 and the rear frame 120 are mutually symmetrically open at the bottom " It is formed in the form of ", and locking jaws 111 and 121 are formed at the end of one side wall facing each other, and circular fixing couplers 112 and 122 with a part open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both side walls, and the fixing coupler ( 112,122) and the support plate (113,123)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ivider for kitchen furniture with a partition adjustment structure.
상기 연결구(140)는 사각박스체로 형성되는 연결구몸체(141)의 일면에 제1끼움돌기(142)가 돌출되고, 상기 제1끼움돌기(142)의 인접한 일면에 제2끼움돌기(143)가 돌출되며, 연결구몸체(141)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142) 방향으로 제1피스공(144)이 관통되고, 상기 제2끼움돌기(143) 방향으로 제2피스공(145)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조절 구조를 갖춘 주방가구용 분리함.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nnector 140, a first fitting protrusion 142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a connector body 141 formed in a square box body, and a second fitting protrusion 143 is formed on one surface adjacent to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142. protrudes, and the first piece hole 144 passes through the connector body 141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142, and the second piece hole 145 penetrate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143. Separator for kitchen furniture with a partition adjust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격벽프레임(200)은 하부가 개방된 ""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벽 하부에는 삼각형태의 쐐기고정턱(201)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원형의 피스고정구(20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프레임(200)의 양측에는 프레임결착구(21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조절 구조를 갖춘 주방가구용 분리함.
According to claim 1,
The bulkhead frame 200 has an open bottom " It is formed in the form of ", and a wedge fixing jaw 201 in a triangular shape is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side wall, and a circular piece fixture 202 with one side open is formed in the central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sides of the bulkhead frame 200 Separator for kitchen furniture with a partition contro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fastener 210 is coupled to.
상기 프레임결착구(210)는 사각박스체의 결착구몸체(211)와, 상기 결착구몸체(211)의 일면에서 돌출된 고정돌기(212)와, 타면의 하측에서 'ㄱ'형태로 돌출된 걸림돌기(213)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착구몸체(211)에는 피스관통공(2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조절 구조를 갖춘 주방가구용 분리함.
According to claim 6,
The frame fastener 210 includes a fastener body 211 of a square box body, a fixing protrusion 212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fastener body 211, and a protruding 'L' shape from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urface. Separator for kitchen furniture with a partition contro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locking protrusion (213) and a piece through hole (214) is formed in the fastener body (211).
상기 프레임결착구(210)의 상부에 피스공(215)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결착구(210)의 상단을 연결하는 손잡이바(2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조절 구조를 갖춘 주방가구용 분리함.
According to claim 6,
A piece hole 215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fastener 210, and a handle bar 220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frame fastener 210 is further provided Kitchen equipped with a partition control structure Separator for furniture.
상기 칸막이(300)는 사각판체의 칸막이몸체(310)와 상기 칸막이몸체(310)의 양측 하부에서 'ㄱ'형태로 돌출된 삽입돌기(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조절 구조를 갖춘 주방가구용 분리함.
According to claim 1,
The partition 300 is for kitchen furniture with a partition contro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artition body 310 of a rectangular plate body and insertion protrusions 320 protruding in an 'L' shape from the low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partition body 310 separ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5689A KR102475037B1 (en) | 2020-10-20 | 2020-10-20 | Separator for kitchen furniture with divider adjustment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5689A KR102475037B1 (en) | 2020-10-20 | 2020-10-20 | Separator for kitchen furniture with divider adjustment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1953A KR20220051953A (en) | 2022-04-27 |
KR102475037B1 true KR102475037B1 (en) | 2022-12-07 |
Family
ID=81391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5689A KR102475037B1 (en) | 2020-10-20 | 2020-10-20 | Separator for kitchen furniture with divider adjustment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5037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82667A (en) | 1935-12-02 | 1937-06-01 | Grand Rapids Store Equip Co | Drawer partitioning |
JP2004068494A (en) * | 2002-08-08 | 2004-03-04 | Kokuyo Co Ltd | Panel |
US8833881B2 (en) | 2011-06-15 | 2014-09-16 | Forte USA | Parts storage drawer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6925B1 (en) * | 2006-07-19 | 2008-07-17 | 이제선 | Sliding Partition |
KR200455852Y1 (en) * | 2008-11-20 | 2011-09-29 | 주식회사 동남 | Kitchen Dividing Frame |
KR101199975B1 (en) * | 2010-11-15 | 2012-11-12 | (주)세고스 | storage space divisional apparatus |
KR200493288Y1 (en) * | 2019-03-14 | 2021-03-04 | 남인우 | Kitchen storage box |
-
2020
- 2020-10-20 KR KR1020200135689A patent/KR10247503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82667A (en) | 1935-12-02 | 1937-06-01 | Grand Rapids Store Equip Co | Drawer partitioning |
JP2004068494A (en) * | 2002-08-08 | 2004-03-04 | Kokuyo Co Ltd | Panel |
US8833881B2 (en) | 2011-06-15 | 2014-09-16 | Forte USA | Parts storage drawer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1953A (en) | 2022-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32916A (en) | Demountable and stackable multipurpose container | |
EP0927531B1 (en) | Drawer Cabinet | |
US20040145287A1 (en) | Divider assembly for a drawer | |
US10172454B2 (en) | Collecting clothes apparatus | |
US3107131A (en) | Sectional drawer cabinet | |
EP0536785B1 (en) | Multi-stage storage case for cassettes or cassette blocks | |
US4909398A (en) | Magazine file system | |
KR102475037B1 (en) | Separator for kitchen furniture with divider adjustment structure | |
US10400430B2 (en) | Hanging structure for detachably hanging a hand-held shower head | |
JP4916135B2 (en) | Partition plate and storage furniture | |
TWI859045B (en) | Article storage structure | |
KR102043567B1 (en) | Multipurpose storage available for connection | |
WO2015072641A1 (en) | Modular storage equipment | |
KR20170000301U (en) | Prefabricated drawer of furnature | |
JP7048959B2 (en) | Storage case | |
KR102355448B1 (en) | Receiving device | |
KR20210041891A (en) | Partition For Drawer | |
KR101378105B1 (en) | A chopping board having knife receipt part | |
KR200481114Y1 (en) | Vertically ssembled toolbox | |
CN212354718U (en) | Storage rack convenient for storing and taking materials | |
CN107954058B (en) | Inner box combined structure with storage partition plate | |
EP4360501A1 (en) | Improved dividing system for furniture | |
KR20160005564A (en) | Connectable to each other parts deposit boxes | |
EP4248811A2 (en) | Frying basket assembly having separated handle, and air fryer | |
CN218737977U (en) | Multifunctional storage fr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