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226B1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1226B1 KR102461226B1 KR1020210038835A KR20210038835A KR102461226B1 KR 102461226 B1 KR102461226 B1 KR 102461226B1 KR 1020210038835 A KR1020210038835 A KR 1020210038835A KR 20210038835 A KR20210038835 A KR 20210038835A KR 102461226 B1 KR102461226 B1 KR 1024612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display
- mode
- display area
- speaker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766 Middlet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22 sleep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2017/006—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soun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영상 음향 시스템이 개시된다. 영상 음향 시스템은, 상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수납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 상단을 통해 노출 가능하도록 동작하는 영상 음향 장치 및, 영상 음향 장치를 하우징 상단을 통해 노출시키거나 하우징 내부에 수납시킬 수 있는 승강 장치를 포함한다. 이 경우 영상 음향 장치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 측에 구비된 스피커 및, 제1 이벤트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하우징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미디어아트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제2 이벤트에 따라 디스플레이 일부가 하우징 상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스피커를 통해 음향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고, 제3 이벤트에 따라 디스플레이 전체가 하우징 상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3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컨텐츠 출력 모드를 제공하는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기기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일반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가전 제품 중 하나인 TV와 같은 영상 장치 및 오디오와 같은 음향 장치는 최근 수년 간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영상 장치 및 음향 장치의 성능이 고급화되면서, 영상 컨텐츠 및 음향 컨텐츠의 특성에 따라 최적화된 상태로 출력하여 제공하고 있다.
다만, 가정에서는 최적화된 영상 시청 환경 및 음향 청취 환경을 제공받기 위하여 영상 장치 및 음향 장치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영상 장치 및 음향 장치는 가정에서 인테리어에 큰 비중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인테리어와 거리가 먼 단순한 전자 제품으로 인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 타입 별로 최적화된 출력 모드를 제공하면서 단순한 전자 제품이 아닌 인테리어에 도움을 주는 가구 역할을 하는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음향 시스템은, 상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수납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상단을 통해 노출 가능하도록 동작하는 영상 음향 장치 및, 상기 영상 음향 장치를 상기 하우징 상단을 통해 노출시키거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시킬 수 있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음향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 측에 구비된 스피커 및, 제1 이벤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미디어아트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제2 이벤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일부가 상기 하우징 상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향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고, 제3 이벤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전체가 상기 하우징 상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3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통해 돌출시킬 수 있는 승강유닛 및, 상기 승강유닛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이벤트에 따라 모드가 결정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결정된 모드에 대응되는 상태로 돌출 또는 수납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구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이벤트에 따라 모드가 결정되면, 결정된 모드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로컬 디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소스 디바이스와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이벤트에 따라 모드가 결정되면, 결정된 모드에서 출력 가능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와 자동으로 통신을 연결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이벤트에 따라 모드가 결정되면, 결정된 모드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사운드에 대응되는 이퀄라이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노출된 디스플레이 일부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재구성한 UI를, 상기 노출된 디스플레이 일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이벤트는 미디어아트 컨텐츠가 선택되는 이벤트, 상기 제2 이벤트는 음향 컨텐츠가 선택되는 이벤트, 상기 제3 이벤트는 영상 컨텐츠가 선택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는 복수의 홀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홀을 이용하여 설치된 액세서리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서리가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미디어아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수납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상단을 통해 노출 가능하도록 동작하는 영상 음향 장치 및, 상기 영상 음향 장치를 상기 하우징 상단을 통해 노출시키거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시킬 수 있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는 영상 음향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영상 음향 장치에서 발생된 이벤트의 타입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발생된 이벤트가 제1 이벤트인 경우, 상기 영상 음향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미디어아트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발생된 이벤트가 제2 이벤트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일부가 상기 하우징 상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 음향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음향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발생된 이벤트가 제3 이벤트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전체가 상기 하우징 상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3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통해 돌출시킬 수 있는 승강유닛 및, 상기 승강유닛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음향 장치는, 이벤트에 따라 모드가 결정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결정된 모드에 대응되는 상태로 노출 또는 수납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구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에 따라 모드가 결정되면, 결정된 모드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로컬 디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에 따라 모드가 결정되면, 결정된 모드에서 출력 가능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와 자동으로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에 따라 모드가 결정되면, 결정된 모드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사운드에 대응되는 이퀄라이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노출된 디스플레이 일부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재구성한 UI를, 상기 노출된 디스플레이 일부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이벤트는 미디어아트 컨텐츠가 선택되는 이벤트, 상기 제2 이벤트는 음향 컨텐츠가 선택되는 이벤트, 상기 제3 이벤트는 영상 컨텐츠가 선택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는 복수의 홀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홀을 이용하여 설치된 액세서리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서리가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미디어아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다양한 컨텐츠 타입 별로 최적화된 모드에 따라 시청/청취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수납이 가능한 가구 기능을 제공하면서 가정의 인테리어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심미적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음향 시스템의 일 구현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음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 음향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드에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모드에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모드에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음향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음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 음향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드에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모드에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모드에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음향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음향 시스템의 일 구현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a에 따르면, 영상 음향 시스템(1000)은 영상 음향 장치(100), 하우징(10) 및 승강 장치(미도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음향 장치(10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영상 장치와 음향을 출력하거나 녹음할 수 있는 음향 장치의 기능을 구비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음향 장치(100)는 TV, 모니터 등과 같은 영상 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식의 음원을 재생, 출력, 녹음할 수 있는 음향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음향 장치(10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인 LCD TV, OLED TV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일정 곡률로 굽은 곡면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10)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하우징(10)은 영상 음향 장치(1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상단에는 개구(11)가 마련된다. 따라서, 하우징(10)은 영상 음향 장치(1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11)를 통해 영상 음향 장치(100)가 하우징(10)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영상 음향 장치(100)를 구비한 영상 음향 시스템(1000)이 수납 및 실내 장식이 가능한 가구로서 기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의 외면은 다양한 장식 및 수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의 양 측면에는 하우징(10)을 바닥면에 대해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스탠드(13)가 마련된다. 한 쌍의 지지 스탠드(13)는 하우징(10)의 바닥이 바닥면에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바닥면은 하우징(10)이 설치되는 장소, 예를 들면, 방, 거실, 침실, 사무실, 공공 장소 등의 바닥 등이 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전면(15)에는 복수의 홀(15a)이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홀(15a)은 액세서리(31,32,33,34)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액세서리(31,32,33,34)는 하우징(10)의 전면(15)에 형성된 복수의 홀(15a)을 이용하여 고정되며, 하우징(10)에 대해 책과 같은 물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액세서리(31)는 복수의 홀(15a)의 일부 홀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액세서리(32,33)는 홀(15a)에 일단이 고정될 수 있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액세서리(34)는 대략 ㄷ자 형상이며, 양단이 홀(15a)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액세서리는 대략 L자 형상이며, 일단이 홀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b에 도시된 액세서리(31,32,33,34)는 일 예일 뿐이며, 액세서리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10)의 후면(16)에도 하우징(10)의 전면(15)과 동일하게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후면(16)에 형성된 복수의 홀에도 다양한 액세서리를 고정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의 바닥 부근에는 영상 음향 장치(1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0)의 내부에 영상 음향 장치(100)와 별도로 2개의 스피커가 설치될 수 있다. 2개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하우징(10)의 전면(15)에 형성된 복수의 홀(15a)을 통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10)을 통해 스피커 울림통 체적이 확장되어 음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10)의 전면(15)에 설치된 스피커에 대응하는 개구를 형성하여 스피커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는 하우징(10)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2개의 스피커를 영상 음향 장치(100)와 별도로 설치하면, 영상 음향 장치(100)에 스피커를 내장하는 것에 비해 큰 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음향 장치로 사용시에 좋은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영상 음향 장치(100)에도 스피커(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승강 장치(미도시)는 영상 음향 장치(100)를 하우징(10) 상단을 통해 노출시키거나, 하우징(10) 내부에 수납 시키도록 구현된다.
승강 장치(미도시)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영상 음향 장치(100) 하부에 설치되며, 영상 음향 장치(100)를 하우징(10)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승강 유닛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승강 장치(미도시)는 영상 음향 장치(100)를 하우징(10)의 상단의 개구(11)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시켜 디스플레이(110)가 노출되도록 하고, 돌출된 영상 음향 장치(100)를 하강시켜 하우징(10)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한다. 영상 음향 장치(100)가 하우징(10)의 내부에 수납되면, 영상 음향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10)가 하우징(10)에 의해 보호된다.
승강 장치(미도시)는 영상 음향 장치(100)가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승강 장치(미도시)은 영상 음향 장치(100)가 하우징(10)의 내부에 완전히 수납되어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제1 위치와 영상 음향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영상 음향 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위치는 영상 음향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10)가 완전히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 및, 영상 음향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10) 중 일부 만이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승강 장치(미도시)는 영상 음향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하부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를 하우징의 상단을 통해 돌출시킬 수 있는 승강유닛 및 승강유닛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모터의 회전에 위해 승강 유닛을 구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음향 장치(100)의 높이에 맞추어 모터의 회전 수를 조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음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영상 음향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스피커(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영상 음향 장치(100)는 스마트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FD(large format display), Digital Signage(디지털 간판),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비디오 월(video wall), 프로젝터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영상 음향 장치(100)를 통해 제공 가능한 다양한 컨텐츠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투명한 재질로 구현되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디스플레이(110)는 경우에 따라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110)은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0)는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 측에 구비된다. 스피커(120)는 전기 펄스를 음파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하며, 전기신호를 음파로 변환시키는 원리와 방법에 따라 구분되는 다이내믹 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전형(靜電型), 유전체형(誘電體型), 자기왜형(磁氣歪型)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20)는 재생 대역을 저음·중음·고음 등으로 음역을 나누고, 각각에 알맞은 스피커에 분담시키는 멀티웨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영상 음향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제1 이벤트에 따라 디스플레이(110)가 하우징(10)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미디어아트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제2 이벤트에 따라 디스플레이(110) 일부가 하우징(10) 상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스피커(120)를 통해 음향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고, 제3 이벤트에 따라 디스플레이(110) 전체가 하우징(10) 상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3 모드로 동작하도록 영상 음향 시스템(10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이벤트에 따라 모드가 결정되면, 디스플레이가 결정된 모드에 대응되는 상태로 돌출 또는 수납되도록 승강 장치(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 장치(미도시)가 영상 음향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하부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를 하우징의 상단을 통해 돌출시킬 수 있는 승강유닛 및 모터를 통해 승강유닛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결정된 모드에 따라 모터의 회전 수가 조정되도록 승강 장치(미도시)의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모드를 개시하는 제1 내지 제3 이벤트는 사용자 명령에 의해 각 모드가 선택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과 같은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모드가 선택되는 이벤트, 사용자 제스처 또는 음성 명령에 의해 모드가 선택되는 이벤트, 영상 음향 장치(100)에 구비된 버튼에 의해 모드가 선택되는 이벤트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음향 장치(100)의 상단 베젤 영역에는 영상 음향 장치(100)의 돌출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선택 스위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선택 스위치(미도시)는 영상 음향 장치(100)가 위치할 수 있는 복수의 높이 각각에 대응한다. 따라서, 복수의 스위치(미도시) 중 하나가 누름 조작되면 프로세서(130)는 영상 음향 장치(100)는 선택된 선택 스위치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시키고, 해당 높이에 대응되는 모드가 자동으로 실행되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타입의 컨텐츠가 선택되는 이벤트, 기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는 이벤트, 영상 음향 장치(100)의 노출 정도가 수동으로 조정되는 이벤트, 사용자가 인식되는 이벤트 등도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미디어아트 컨텐츠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자동으로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음향 컨텐츠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자동으로 제2 모드로 동작하고, 영상 컨텐츠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자동으로 제3 모드로 동작하도록 영상 음향 시스템(10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 음향 장치(100)가 LFD, DID와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전면에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는 동안에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동작하고, 전면에 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 광고 컨텐츠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제3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밤 12시부터 새벽 7시의 취침 시간)에는 수면에 적합한 조명을 제공하는 미디어아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가 원격 제어 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폰이 영상 음향 시스템(1000)과 접촉, 근접 통신 등을 통해 영상 음향 시스템(1000)에 대한 원격 제어 기능을 구비하도록 트리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휴대폰이 사용자 위치, 시간, 컨텐츠 사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영상 음향 시스템(1000)에 대한 원격 제어 기능을 구비하도록 자동으로 트리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모드가 전환되면, 휴대폰에서 사용가능한 버튼(예를 들어, 터치 가능한 버튼)이 전환된 모드에 대응되도록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이벤트에 따라 모드가 결정(또는 개시)되면, 결정된 모드에서 출력 가능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와 자동으로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모드에서 자동으로 미디어아트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와 연결하고, 제2 모드에서 자동으로 음향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와 연결하고, 제3 모드에서 지동으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와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을 연결한다 함은 영상 음향 장치(100)와 소스 디바이스 간에 통신이 초기화되는 동작,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동작, 기기 페어링이 수행되는 동작 등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모든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음향 장치(100)의 기기 식별 정보가 소스 디바이스로 제공되고, 그에 따라 양 기기 간의 페어링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음향 장치(100)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술을 통해 주변 기기를 탐색하고 결정된 모드에 대응되는 소스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여 연동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연결된 소스 디바이스에서 제공 가능한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셋탑 박스가 연결되면 EPG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휴대폰(또는 외부 서버)이 연결되면 휴대폰(또는 외부 서버)에서 제공가능한 음향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기저장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각 모드에 대응되는 기저장된 컨텐츠 리스트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로세서(130)는 이벤트에 따라 모드가 결정되면, 결정된 모드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의 영상 사이즈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로컬 디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모드에서 재생되는 음향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된 화면 일부 영역에만 제공하는 경우, 해당 화면 영역 외의 나머지 영역 즉, 하우징(10) 내부에 위치된 화면 영역은 로컬 디밍하여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이벤트에 따라 모드가 결정되면, 결정된 모드에서 제공되는 켄텐츠 속성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를 시청/청취할 수 있는 최적의 출력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이벤트에 따라 모드가 결정되면, 결정된 모드에서 출력되는 음향 컨텐츠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자동으로 음향 출력 볼륨을 결정된 모드에 대응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모드에 따라 적합한 스피커 및 음향 출력 볼륨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이벤트에 따라 모드가 결정되면, 자동으로 결정된 모드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에 대응되는 사운드 이퀄라이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모드에서 음향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해당 음향 컨텐츠 장르(예를 들어, rock 장르)에 대응되는 사운드 이퀄라이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이벤트에 따라 모드가 결정되면, 결정된 모드의 속성에 기초하여 픽셀의 출력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는 픽셀 휘도를 감소시키고, 제3 모드에서는 픽셀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모드에서는 자동으로 픽셀 휘도가 감소되는 저전력 모드로 출력 모드 자체를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130)는 각 모드에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컨텐츠 표시 위치, 컨텐츠 휘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 사용자의 제스처 명령에 따라 미디어아트 컨텐츠 표시 위치를 변경하거나, 미디어아트 컨텐츠의 휘도를 변경함으로써 주변 조도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모드 전환시 기설정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영상을 제공하는 시각적 피드백 및 기설정된 음향을 제공하는 청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환되는 모드의 특성과 관련된 상이한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고, 특정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제1 모드에서 자동으로 미디어아트 컨텐츠를 제공하는 외부 소스(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서버 등)에 통신 연결하여 미디어아트 컨텐츠를 입력받거나 영상 음향 장치(100)에 기 저장된 미디어아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11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소스로부터 미디어아트 컨텐츠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함은, 외부 소스에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프로세서(130)가 재생하는 구성은 물론, 외부 소스(예를 들어 휴대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된 미디어아트 컨텐츠의 해상도가 디스플레이(110)의 해상도와 상이한 경우, 이를 적절한 해상도로 포맷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공되는 미디어아트 컨텐츠는 모드 선택시 사용자의 의해 선택된 컨텐츠가 될 수도 있지만, 모드 선택시 자동으로 제공되도록 디폴트로 설정된 컨텐츠 등도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수면 시간이 도래하면 자동으로 제1 모드를 실행하고, 사용자 수면에 도움이 되는 미디어아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여 수면 도움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아트 컨텐츠는 비디오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될 수 있지만, 제1 모드에서의 설정 내용에 따라 컨텐츠의 일부 만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미디어아트 컨텐츠가 비디오 및 오디오를 모두 포함하는 컨텐츠라 할지라도, 프로세서(130)는 제1 모드에서의 설정 내용에 따라 디멀티플렉싱 작업을 통해 오디오를 제외한 비디오만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와 같은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미디어아트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편집 UI를 통해 편집된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편집 UI를 통해 수면에 도움이 되는 패턴을 갖는 미디어아트 컨텐츠를 편집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영상 음향 장치(10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해상도 등)를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에는 수신된 정보에 기반한 편집 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세 가지 모드를 제공하는 영상 음향 장치(100)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영상 음향 장치(100)의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하우징(10) 전면의 액세서리 설치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범위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근접 센서 등에 의해 액세서리 설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액세서리에 의해 시야가 가려지지 않는 화면 영역에 미디어아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음향 장치(100)가 하우징(10) 내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서미디어아트 컨텐츠를 출력하면, 하우징(10) 전면에 마련된 복수의 홀을 통해 나오는 빛을 통해 미디어 오브제/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제1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10) 일부를 하우징(10) 외부로 노출시켜 미디어아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조명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화면 전체에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노출된 영역에만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지만, 노출된 디스플레이 영역과 노출되지 않은 영역에 상이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130)는 제2 모드에서 자동으로 음향 컨텐츠를 제공하는 외부 소스(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서버 등)에 통신 연결하여 음향 컨텐츠(예를 들어,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 등을 포함하는 오디오 파일)를 입력받거나 영상 음향 장치(100)에 기 저장된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소스로부터 음향 컨텐츠를 입력받아 재생한다 함은, 외부 소스에서 음향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프로세서(130)가 재생하는 구성은 물론, 외부 소스(예를 들어 휴대폰)에서 재생되는 음향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받아 출력하는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재생 중인 음향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앨범, 가수, 가사, 장르, 타이틀, 트랙 정보 등)를 노출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형태로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해당 정보를 노출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비율의 UI(예를 들어, 32" 기준 80mm)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비트 이퀄라이저와 재생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가 오버랩되어 보이는 UI를 해당 영역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와 같은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컨텐츠에 대응되는 UI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편집 UI를 통해 편집된 UI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술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음향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인포 대쉬보드(Info Dashboard))를 편집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고, 해당 UI를 통해 편집된 정보가 영상 음향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해당 음향 컨텐츠와 관련된 기 설정된 정보(예를 들어, 앨범, 가수 등)가 자동으로 영상 음향 장치(100)로 전송되면,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정보를 적절한 형태의 UI로 재구성하여 노출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공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제2 모드에서 화면을 영역 분할하여 상이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외부로 노출된 제1 화면 영역에는 음향 컨텐츠에 대응되는 UI를 제공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제2 화면 영역에 미디어 아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1 및 제2 화면 영역의 휘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각 영역의 휘도를 상이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명령에 따라 각 영역의 휘도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프로세서(130)는 제2 모드가 개시되면, 자동으로 출력되는 음향 컨텐츠 장르에 대응되는 사운드 이퀄라이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되는 음향 컨텐츠가 클래식, 락, 힙합, 일렉트로니카, 발라드 등인지 여부에 따라 대응되는 사운드 이퀄라이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출력되는 음향 컨텐츠의 장르에 대응되도록 출력 볼륨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3 모드에서 자동으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외부 소스(예를 들어, 셋탑 박스 등)에 통신 연결하여 영상 컨텐츠(예를 들어,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 등을 포함하는 비디오 파일)를 입력받거나 영상 음향 장치(100)에 기 저장된 영상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소스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입력받아 재생한다 함은, 외부 소스에서 영상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프로세서(130)가 재생하는 구성은 물론, 외부 소스(예를 들어 휴대폰)에서 재생되는 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받아 출력하는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외부 소스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영상 음향 장치(100)에서 처리가능한 영상 컨텐츠의 해상도, 영상 음향 장치(100)에 설치된 디코더 성능 및 코덱 종류 등의 정보를 외부 소스로 전송하고, 외부 소스로부터 그에 대응되도록 포맷 변환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영상 음향 장치(100)에서 출력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3 모드에서 출력될 영상 컨텐츠의 비율(예를 들어, 16:9, 21:9, 4:3, 1:1 등)에 따라 적절한 사이즈의 화면 영역이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제3 모드에서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10) 화면 전체가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어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화면 일부 만이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출력될 영상 컨텐츠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블랙 스크린 영역(또는 컨텐츠 비재생 영역)(예를 들어 21:9 화면의 위 아래 black bar 영역)이 안 보이도록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의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 음향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영상 음향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스피커(120), 프로세서(130), 통신부(140), 입/출력부(150), 스토리지(160), 오디오 처리부(170), 비디오 처리부(180), 마이크(191), 카메라(192), 광수신부(193)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30)는 CPU(131), 영상 음향 장치(100)를 포함하는 영상 음향 시스템(10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 132) 및 영상 음향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영상 음향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또는 휘발성 메모리, 13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영상 음향 장치(100)를 포함하는 영상 음향 시스템(10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영상 음향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110 내지 193)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영상 음향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1 프로세서와 승강 장치(미도시)을 제어하는 제2 프로세서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2 프로세서는, 제1 프로세서로부터 승강 장치(미도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부(미도시)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는 모터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모터 컨트롤러는 프로세서(130)와 일체로 구현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30)는 전원 공급부(290)에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110 내지 193)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스토리지(160)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영상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코어(core, 미도시)와 GPU(미도시)를 포함하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31)는 스토리지(160)에 액세스하여, 스토리지(16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토리지(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31)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스토리지(160)에 저장된 O/S를 RAM(133)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131)는 스토리지(16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33)에 복사하고, RAM(133)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CPU(131), ROM(132) 및 RAM(13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음향 장치(100)는 통신부(140) 또는 입/출력부(150)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미도시)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영상 음향 장치(10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은 통신부(140)을 통해 외부에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이벤트에 따라 모드가 결정되면, 결정된 모드에서 출력 가능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와 자동으로 통신을 연결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영상 음향 장치(2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유선 이더넷(Ethernet, 141), 무선랜 통신부(142) 및 근거리 통신부(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5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외부 소스로부터 다양한 콘텐츠를 수신한다. 콘텐츠는 예를 들어, 비디오, 이미지, 텍스트,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50)은 HDMI 입력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51), 컴포넌트 입력 잭(152), PC 입력 포트(153), 및 USB 입력 잭(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60)는 영상 음향 장치(10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60)는 영상 음향 장치(100) 및 프로세서(13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이하에서는 "GUI"라고 칭한다),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60)는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스토리지(16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영상 음향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토리지(160)는 영상 음향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등), 입/출력부(150)의 USB(154) 포트에 연결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71)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72)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프로세서(130)는 마이크(17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스토리지(160)에 저장할 수 있다. 마이크(171) 및 카메라(172)가 마련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마이크(17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카메라(172)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모드 선택과 같은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광 수신부(173)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에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제어 정보를 포함)를 광창(미도시)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173)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에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된 광 신호에서 추출된 제어 정보는 프로세서(130)로 전송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영상 음향 장치(100) 내부의 구성 요소들(110 내지 180)에게 외부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튜너(10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영상 음향 장치(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 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05)는 제3 모드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른 방송 채널을 튜닝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에 영상 음향 장치(100)는 하우징(10) 전면에 액세서리 부착 여부 및 부착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디스플레이(110)가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된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드에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벤트에 따라 제1 모드가 개시되면, 디스플레이(110)가 하우징(10)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미디어아트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하트 형상의 컨텐츠가 출력되면, 하우징(10) 전면의 복수의 홀을 통해 하트 형상이 보여지므로써 미디어아트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이벤트는 사용자가 제1 모드를 선택하는 이벤트 또는,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밤 10시)이 도래하는 이벤트, 제3 모드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사용자 입력이 없는 이벤트 등 다양한 이벤트가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모드에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벤트에 따라 제2 모드가 개시되면, 디스플레이(110) 일부가 하우징(10) 상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스피커(120)를 통해 음향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영역(510)에는 출력되는 음향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앨범, 가수, 가사, 장르, 타이틀, 트랙 정보 등)를 포함하는 UI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는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음향 장치(100)의 상측 부근(610)에 영상 음향 장치(1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의 바닥 부근(620)에는 영상 음향 장치(1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의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 내부 좌우측(631, 632)에 영상 음향 장치(100)와 별도로 2개의 스피커가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10)의 전면에 설치된 스피커에 대응하는 개구를 형성하여 스피커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는 하우징(10)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스피커를 설치하는 것이 별개의 실시 예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적어도 두 개의 실시 예가 조합된 형태로 스피커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모드에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제3 이벤트에 따라 제3 모드가 개시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 전체가 하우징(10) 상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영상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컨텐츠는 비디오 및 오디오를 모두 포함하는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일부는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블랙 스크린 영역(또는 컨텐츠 비재생 영역)이 안 보이도록 디스플레이(110)의 일부가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컨텐츠가 화면비 21:9를 갖는 영상인 경우, 화면비 21:9가 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돌출시키면, 블랙 스크린 없이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 전면(15)에 마련된 액세서리(31,32,33,34)를 이용하여 간단한 수납이 가능한 가구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전면(15)에 마련된 복수의 홀은 액세서리(31,32,33,34)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액세서리(31,32,33,34)는 홀에 고정 가능한 다양한 형태 즉, 평판 형태, 봉 형상, 대략 ㄷ자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액세서리(31,32,33,34)에는 다양한 소품이 수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음향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상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수납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 상단을 통해 노출 가능하도록 동작하는 영상 음향 장치 및, 영상 음향 장치를 하우징 상단을 통해 노출시키거나 하우징 내부에 수납시킬 수 있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는 영상 음향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영상 음향 장치에서 발생된 이벤트가 제1 이벤트인 경우(S910:Y), 영상 음향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가 하우징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미디어아트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한다(S920).
또한, 영상 음향 장치에서 발생된 이벤트가 제2 이벤트인 경우(S930:Y), 디스플레이 일부가 하우징 상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영상 음향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음향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한다(S940).
또한, 영상 음향 장치에서 발생된 이벤트가 제3 이벤트인 경우(S950:Y), 디스플레이 전체가 하우징 상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3 모드로 동작한다(S960).
여기서, 승강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를 하우징의 상단을 통해 돌출시킬 수 있는 승강유닛 및, 승강유닛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음향 장치는, 이벤트에 따라 모드가 결정되면, 디스플레이가 결정된 모드에 대응되는 상태로 노출 또는 수납되도록 구동부의 구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은, 이벤트에 따라 모드가 결정되면, 결정된 모드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로컬 디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은, 이벤트에 따라 모드가 결정되면, 결정된 모드에서 출력 가능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디바이스와 자동으로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에 따라 모드가 결정되면, 결정된 모드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활성화시키고 사운드에 대응되는 이퀄라이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드에서 노출된 디스플레이 일부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음향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재구성한 UI를, 노출된 디스플레이 일부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의 전면에는 복수의 홀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제어 방법은, 복수의 홀을 이용하여 설치된 액세서리를 감지하는 단계 및, 제1 모드에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액세서리가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미디어아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영상 음향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영상 음향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영상 음향 장치 외부의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디스플레이 120: 스피커
130: 프로세서
130: 프로세서
Claims (20)
- 영상 음향 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하우징;
상기 스피커 하우징 내에 배치된 스피커;
상기 스피커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단을 통해 노출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를 노출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하도록 구성된 승강 장치; 및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노출시키지 않는 모드,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1 부분을 노출시키는 모드 및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노출시키는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이 노출되도록 상기 승강 장치를 제어하고,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고,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영상 음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노출시키는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노출되도록 상기 승강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상에 비디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영상 음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는,
모터; 및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를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승강 유닛;을 포함하는, 영상 음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을 노출시키는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오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오디오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소스 장치와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영상 음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영상 음향 장치 - 스피커 하우징, 상기 스피커 하우징 내에 배치된 스피커, 상기 스피커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단을 통해 노출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노출시키고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하도록 구성된 승강 장치를 포함하는 영상 음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노출시키지 않는 모드,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1 부분을 노출시키는 모드 및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노출시키는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이 노출되도록 상기 승강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노출시키는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노출되도록 상기 승강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상에 비디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는,
모터 및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를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승강 유닛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을 노출시키는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오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오디오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소스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제어 방법. - 영상 음향 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하우징;
상기 스피커 하우징 내에 배치된 스피커;
상기 스피커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단을 통해 노출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노출시키고,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하도록 구성된 승강 장치; 및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노출되지 않는 동안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모드,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1 부분이 노출되는 동안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모드 및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노출되는 동안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노출되는 동안 상기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모드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을 노출하도록 상기 승강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노출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 상에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영상 음향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모드가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노출되는 동안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모드이면,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노출되도록 상기 승강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상에 비디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영상 음향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는,
모터; 및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를 노출시키도록 구성된 승강 유닛;을 포함하는, 영상 음향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모드가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상기 상단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을 노출시키는 모드이면,
상기 오디오 컨텐츠 또는 상기 오디오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소스 장치와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영상 음향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오디오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영상 음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하우징은 내부에 수납 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 공간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동안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스피커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포함하는, 영상 음향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하우징은 내부에 수납 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 공간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동안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스피커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하우징은 내부에 수납 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 공간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동안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스피커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포함하는, 영상 음향 장치. - 영상 음향 장치에 있어서,
스피커(speaker);
내부의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 및 외부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 및 외부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되는 동안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모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1 부분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되는 동안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1 부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부분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되는 동안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1 부분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되는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1 부분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2 부분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1 부분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되는 동안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모드에서, 상기 오디오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제1 부분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영상 음향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UI는,
재생 중인 오디오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재생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상태 정보는,
상기 오디오 컨텐츠에 대한 정보와 함께 표시되는, 영상 음향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9336A KR102601058B1 (ko) | 2015-12-18 | 2022-10-26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562269352P | 2015-12-18 | 2015-12-18 | |
US62/269,352 | 2015-12-18 | ||
KR1020190146930A KR102234390B1 (ko) | 2015-12-18 | 2019-11-15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6930A Division KR102234390B1 (ko) | 2015-12-18 | 2019-11-15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9336A Division KR102601058B1 (ko) | 2015-12-18 | 2022-10-26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6896A KR20210036896A (ko) | 2021-04-05 |
KR102461226B1 true KR102461226B1 (ko) | 2022-11-01 |
Family
ID=59280909
Famil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2824A KR102384744B1 (ko) | 2015-12-18 | 2016-03-18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190143994A KR102103300B1 (ko) | 2015-12-18 | 2019-11-12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190143996A KR102103293B1 (ko) | 2015-12-18 | 2019-11-12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190144000A KR102109047B1 (ko) | 2015-12-18 | 2019-11-12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190144008A KR102103289B1 (ko) | 2015-12-18 | 2019-11-12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190146930A KR102234390B1 (ko) | 2015-12-18 | 2019-11-15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190146791A KR102220509B1 (ko) | 2015-12-18 | 2019-11-15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190146851A KR102176503B1 (ko) | 2015-12-18 | 2019-11-15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190146898A KR102220500B1 (ko) | 2015-12-18 | 2019-11-15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190146783A KR102220522B1 (ko) | 2015-12-18 | 2019-11-15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210038835A KR102461226B1 (ko) | 2015-12-18 | 2021-03-25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220139336A KR102601058B1 (ko) | 2015-12-18 | 2022-10-26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230152718A KR20230157915A (ko) | 2015-12-18 | 2023-11-07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0)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2824A KR102384744B1 (ko) | 2015-12-18 | 2016-03-18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190143994A KR102103300B1 (ko) | 2015-12-18 | 2019-11-12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190143996A KR102103293B1 (ko) | 2015-12-18 | 2019-11-12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190144000A KR102109047B1 (ko) | 2015-12-18 | 2019-11-12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190144008A KR102103289B1 (ko) | 2015-12-18 | 2019-11-12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190146930A KR102234390B1 (ko) | 2015-12-18 | 2019-11-15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190146791A KR102220509B1 (ko) | 2015-12-18 | 2019-11-15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190146851A KR102176503B1 (ko) | 2015-12-18 | 2019-11-15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190146898A KR102220500B1 (ko) | 2015-12-18 | 2019-11-15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190146783A KR102220522B1 (ko) | 2015-12-18 | 2019-11-15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9336A KR102601058B1 (ko) | 2015-12-18 | 2022-10-26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230152718A KR20230157915A (ko) | 2015-12-18 | 2023-11-07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0) | US10506197B2 (ko) |
KR (13) | KR10238474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4744B1 (ko) | 2015-12-18 | 2022-04-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USD900762S1 (en) * | 2018-04-27 | 2020-11-03 | Lg Electronics Inc. | Television receiver |
DK3716614T3 (da) * | 2019-03-26 | 2022-05-09 | Bang & Olufsen As | Multimedieinstallation |
USD933044S1 (en) * | 2019-06-06 | 2021-10-12 | Aleo Electronics Limited | Speaker |
EP4075258A4 (en) * | 2019-12-13 | 2023-08-23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DEVICE |
KR102156638B1 (ko) * | 2020-06-15 | 2020-09-16 |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의 통신 네트워크 관리시스템 |
CN111901565B (zh) * | 2020-07-28 | 2022-04-05 | 河南工业职业技术学院 | 一种智能数字化思政教学监测系统 |
WO2023038166A1 (ko) * | 2021-09-08 | 2023-03-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20240044444A (ko) * | 2021-09-17 | 2024-04-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EP4429227A1 (en) * | 2021-11-05 | 2024-09-11 | LG Electronics Inc. | Tv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WO2023090467A1 (ko) * | 2021-11-16 | 2023-05-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DE112021008479T5 (de) * | 2021-12-30 | 2024-10-17 | Lg Electronics Inc. | Anzeigevorrichtung und Steuerverfahren dafür |
US20230339394A1 (en) | 2022-04-22 | 2023-10-26 | Velo.Ai, Inc | Artificially intelligent mobility safety system |
WO2024034715A1 (ko) * | 2022-08-12 | 2024-0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가능한 tv 및 이동 가능한 tv의 제어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46211A (ja) | 2006-08-11 | 2008-02-28 | Pioneer Electronic Corp | ディスプレイ収納システム |
US20130271940A1 (en) | 2008-01-04 | 2013-10-17 | Nanolumens Acquisition, Inc. | Retractable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use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370983B2 (en) * | 2000-03-02 | 2008-05-13 | Donnelly Corporation | Interior mirror assembly with display |
AR024489A1 (es) * | 2000-06-26 | 2002-10-02 | Cinese Antonio Enrique | Mesa transportable apta para la rapida identificacion de suturas y accesorios quirurgicos |
US20140224685A1 (en) * | 2013-02-10 | 2014-08-14 | Jeffrey D. Carnevali | Protective enclosure for touch screen device |
WO2006137543A1 (ja) | 2005-06-24 | 2006-12-28 | Sony Corporation | オーディオ・ディスプレイ装置 |
JP2007036192A (ja) * | 2005-06-24 | 2007-02-08 | Sony Corp | 昇降装置 |
JP2007006280A (ja) | 2005-06-24 | 2007-01-11 | Sony Corp | マルチチャンネル音響再生システム |
JP2007281734A (ja) * | 2006-04-05 | 2007-10-25 | Sony Corp | 移動体駆動機構、駆動モータ制御方法およびオーディオ・ディスプレイ装置 |
US7804399B2 (en) | 2007-03-01 | 2010-09-28 | Denso Corporation | Display apparatus |
JP2010199672A (ja) | 2009-02-23 | 2010-09-09 | Funai Electric Co Ltd | 薄型tv用スタンド |
DE102009020627A1 (de) | 2009-05-09 | 2010-11-11 | Hettich Holding Gmbh & Co. Ohg | Möbel |
US9927839B2 (en) | 2011-05-03 | 2018-03-27 | DISH Technologies L.L.C. |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
JP5319825B1 (ja) * | 2012-05-22 | 2013-10-16 | 株式会社東芝 | 電子機器 |
KR101415471B1 (ko) * | 2012-08-03 | 2014-08-06 | 유국일 |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
KR101621524B1 (ko) | 2012-11-02 | 2016-05-3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2047692B1 (ko) | 2013-02-05 | 2019-11-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
US20140236726A1 (en) | 2013-02-18 | 2014-08-21 | Disney Enterprises, Inc. | Transference of data associated with a product and/or product package |
KR102091602B1 (ko) | 2013-06-10 | 2020-03-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66716B1 (ko) | 2013-06-20 | 2020-01-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KR20150030433A (ko) | 2013-09-12 | 2015-03-20 | 유니로드(주) | 무선 제어형 미디어 파사드 |
KR20150041451A (ko) | 2013-10-08 | 2015-04-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KR20150081394A (ko) | 2014-01-03 | 2015-07-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KR102561200B1 (ko) | 2014-02-10 | 2023-07-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
KR102277260B1 (ko) * | 2014-12-29 | 2021-07-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
US10393872B2 (en) * | 2015-12-08 | 2019-08-27 | Garmin Switzerland Gmbh | Camera augmented bicycle radar sensor system |
US10015435B2 (en) * | 2015-12-18 | 2018-07-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2384744B1 (ko) * | 2015-12-18 | 2022-04-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2016
- 2016-03-18 KR KR1020160032824A patent/KR10238474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5-31 US US16/428,501 patent/US10506197B2/en active Active
- 2019-10-31 US US16/670,867 patent/US10778935B2/en active Active
- 2019-11-12 KR KR1020190143994A patent/KR10210330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11-12 KR KR1020190143996A patent/KR10210329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11-12 KR KR1020190144000A patent/KR10210904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11-12 KR KR1020190144008A patent/KR10210328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11-15 KR KR1020190146930A patent/KR10223439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11-15 KR KR1020190146791A patent/KR10222050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11-15 KR KR1020190146851A patent/KR10217650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11-15 KR KR1020190146898A patent/KR10222050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11-15 KR KR1020190146783A patent/KR10222052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6-10 US US16/898,169 patent/US10805573B1/en active Active
- 2020-06-22 US US16/908,223 patent/US10917606B2/en active Active
- 2020-07-01 US US16/918,793 patent/US10880512B2/en active Active
- 2020-11-30 US US17/107,417 patent/US11089258B2/en active Active
-
2021
- 2021-03-25 KR KR1020210038835A patent/KR10246122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3-31 US US17/219,387 patent/US11223793B2/en active Active
- 2021-12-10 US US17/548,129 patent/US11588997B2/en active Active
-
2022
- 2022-10-26 KR KR1020220139336A patent/KR10260105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01-20 US US18/099,367 patent/US11956566B2/en active Active
- 2023-11-07 KR KR1020230152718A patent/KR20230157915A/ko active IP Right Grant
-
2024
- 2024-03-11 US US18/601,513 patent/US20240214515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46211A (ja) | 2006-08-11 | 2008-02-28 | Pioneer Electronic Corp | ディスプレイ収納システム |
US20130271940A1 (en) | 2008-01-04 | 2013-10-17 | Nanolumens Acquisition, Inc. | Retractable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use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61226B1 (ko) |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US10432889B2 (en) |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