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741B1 -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1741B1 KR102451741B1 KR1020200054779A KR20200054779A KR102451741B1 KR 102451741 B1 KR102451741 B1 KR 102451741B1 KR 1020200054779 A KR1020200054779 A KR 1020200054779A KR 20200054779 A KR20200054779 A KR 20200054779A KR 102451741 B1 KR102451741 B1 KR 1024517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er
- needle
- cannula
- sleeve
- locking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61M2005/142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with needle insertion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5—Needle inser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having means for monitoring, controlling or visual inspection, e.g. for patency check, avoiding extrava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하며, 니들과, 상기 니들이 삽입되는 캐뉼러와, 상기 니들을 지지하는 제1 홀더와, 상기 제1 홀더의 일측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캐뉼러를 지지하는 제2 홀더와, 내부공간에 상기 제1 홀더가 삽입되며, 상기 제1 홀더에 대해서 회전하는 슬리브, 및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가 회전하면 상기 탄성 부재가 팽창하여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를 연장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슬리브가 더 회전하면 상기 탄성 부재가 수축하여 상기 제1 홀더만 원 위치로 되돌아 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치와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니들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슐린 주입장치와 같은 약물 주입 장치는 환자의 몸 안에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약물 주입 장치는 의사나 간호사와 같은 전문 의료진에 의해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환자 자신 또는 보호자와 같은 일반인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당뇨 환자 특히, 소아 당뇨 환자의 경우에는 인슐린과 같은 약물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인체에 주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정한 기간 동안 인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패치 형태의 약물 주입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약물 주입 장치는 환자의 복부 또는 허리 등의 인체에 일정한 기간 동안 패치 형태로 부착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약물 주입 장치는 인체에 부착될 경우 착용감이 우수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내구성이 뛰어나고 저전력으로 구동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약물 주입장치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사용되므로, 사용자가 간단하고 편리하게 니들이나 캐뉼러 등을 환자의 피부에 삽입시켜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간단하고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는 니들 어셈블리와 약물 전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니들과, 상기 니들이 삽입되는 캐뉼러와, 상기 니들을 지지하는 제1 홀더와, 상기 제1 홀더의 일측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캐뉼러를 지지하는 제2 홀더와, 내부공간에 상기 제1 홀더가 삽입되며, 상기 제1 홀더에 대해서 회전하는 슬리브, 및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가 회전하면 상기 탄성 부재가 팽창하여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를 연장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슬리브가 더 회전하면 상기 탄성 부재가 수축하여 상기 제1 홀더만 원 위치로 되돌아오는 니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홀더는 외측으로 연장되며 플렉서블한 락킹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가 팽창하면 상기 락킹 돌기는 상기 니들 어셈블리의 외측에 설치된 외부 구조물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 돌기의 측면에는 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락킹 돌기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락킹 돌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홀더는 외측면에 배치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캐뉼러와 상기 니들을 연장 위치에 이동시키고, 이후에 상기 슬리브가 상기 제1 방향 또는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니들을 상기 캐뉼러에서 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니들을 지지하고, 상기 제1 축을 따라 이동하는 제1 홀더와, 상기 제1 홀더의 일측에 배치되고 캐뉼러를 지지하는 제2 홀더, 및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가 회전하면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제1 축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슬리브가 더 회전하면 상기 제1 홀더만 상기 제1 축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홀더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렉서블한 락킹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락킹 돌기를 지지하는 렛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 돌기의 측면에는 축방향에 대해서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락킹 돌기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와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쉽게 간단하게 니들 어셈블리와 약물 전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슬리브를 회전시켜서 니들과 캐뉼러를 삽입하고, 더 회전시켜서 캐뉼러의 위치는 고정하고 니들만 캐뉼러에서 쉽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니들 어셈블리는 플렉서블한 락킹 돌기가 외부 구조물인 하우징의 렛지부에 고정되므로, 캐뉼러가 피부에 삽입된 이후 정확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렛지부가 제2 홀더를 지지하므로, 캐뉼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니들 어셈블리는 도전성을 가지는 센서를 구비하고, 센서의 접촉 여부로 캐뉼러가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약물 주입 장치의 내부 부품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니들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2 홀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니들 어셈블리의 구동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제2 홀더와 캐뉼러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홀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약물 주입 장치의 내부 부품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니들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2 홀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니들 어셈블리의 구동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제2 홀더와 캐뉼러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홀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1)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약물 주입 장치(1)의 내부 부품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약물 주입 장치(1)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원격 장치(2)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장치(2)를 조작하여 약물 주입 장치(1)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약물 주입 장치(1)의 사용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컨대, 약물 주입 장치(1)로부터 주입되는 약물의 양, 약물의 주입 횟수, 저장조(10)에 저장된 약물의 양, 사용자의 바이오 정보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약물 주입 장치(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약물 주입 장치(1)는 외측 상부를 감싸는 외부 커버(5)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부착부(6)를 구비할 수 있으며, 외부 커버(5)와 부착부(6) 사이의 공간에 복수개의 부품들이 장착된다.
약물 주입 장치(1)의 내부공간에는 약물이 저장되는 저장조(10), 저장조(10)에 약물을 주입하거나 저장조(10)에서 약물을 토출하기 위해서 구동되는 구동축(20), 구동축(2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3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약물 주입 장치(1)는 부착부(6)의 상부에 배치된 베이스(40)와, 베이스(40)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우징(50)을 구비할 수 있으며, 니들 어셈블리(100)는 하우징(5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저장조(10)의 내부에는 플런저(미도시)가 구동축(20)에 연결되므로, 구동축(20)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플런저에 의해서 약물은 니들 어셈블리(100)로 토출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니들 어셈블리(100)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니들 어셈블리(100)는 슬리브(110), 탄성 부재(120), 제1 홀더(130), 제2 홀더(140), 니들(N), 캐뉼러(C) 및 패치(P)를 구비할 수 있다.
슬리브(110)는 니들 어셈블리(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길이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슬리브(110)는 노브(111), 회전 바디(112) 및 서포터링(113)을 구비할 수 있다.
노브(111)는 회전 바디(112)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면에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노브(111)의 홈을 조작하여 슬리브(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노브(111)의 하면에는 탄성 부재(120)가 배치되어, 탄성 부재(120)가 축 방향으로 팽창시에 팽창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회전 바디(112)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단의 개구는 노브(111)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회전 바디(112)의 외측 상단에는 서포터링(113)이 장착될 수 있다.
회전 바디(112)의 내부 공간에는 탄성 부재(120), 제1 홀더(130) 및 제2 홀더(140)가 배치될 수 있다. 회전 바디(112)의 내측면에는 이동 돌기(115)가 배치될 수 있다. 이동 돌기(115)는 제1 홀더(130)의 외주면에 배치된 가이드 홈(13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회전 바디(112)가 회전하면, 이동 돌기(115)는 가이드 홈(131)의 측벽들을 따라 이동하여, 제1 홀더(130)가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도 5a를 보면 이동 돌기(115)는 경사벽(115a)과 수직벽(115b)을 구비할 수 있다. 경사벽(115a)은 가이드 홈(131)을 따라 하강시에 안정적인 접촉을 유도하고, 수직벽(115b)은 이동 제한 홈(131e)과 접촉하여 이동 돌기(115)의 이동 경로를 한정할 수 있다.
탄성 부재(120)는 슬리브(110)와 제1 홀더(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0)가 팽창하면, 제1 홀더(130)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탄성 부재(120)는 특정 부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길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는 다양한 부재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탄성 부재(120)는 스프링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홀더(130)는 니들(N)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홀더(130)의 일측에는 니들(N)이 삽입 및 고정되므로, 제1 홀더(13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니들(N)도 함께 이동한다. 제1 홀더(130)는 슬리브(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부에는 탄성 부재(120)가 배치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홀더(130)는 외측면에 가이드 홈(131)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홈(131)은 이동 돌기(115)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슬리브(110)가 회전하면 이동 돌기(115)는 가이드 홈(131)이 형성하는 기 설정된 경로로 이동하여, 제1 홀더(130)가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
가이드 홈(131)은 제1 멈춤 홈(131a), 승강 홈(131b), 경사 홈(131c), 제2 멈춤 홈(131d) 및 이동 제한 홈(131e)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멈춤 홈(131a)은 이동 돌기(115)가 처음에 위치하는 홈으로, 여기에서 탄성 부재(120)는 수축상태를 유지한다. 승강 홈(131b)은 제1 홀더(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탄성 부재(120)가 팽창하면 제1 홀더(130)는 하강하고 이동 돌기(115)는 승강 홈(131b)을 따라 이동한다. 경사 홈(131c)은 기 설정된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된다. 이동 돌기(115)가 경사 홈(131c)을 따라 이동하면 탄성 부재(120)는 다시 수축하면서 제1 홀더(130)는 다시 상승한다. 제2 멈춤 홈(131d)은 이동 돌기(115)가 다시 처음 위치에 되돌아 오는 홈으로, 이때 탄성 부재(120)는 다시 수축 상태를 유지한다.
도 4는 도 3의 제2 홀더(14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홀더(140)는 제1 홀더(130)의 일측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캐뉼러(C)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홀더(140)는 중앙 바디(141), 락킹 돌기(142), 센서(143)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홀더(140)는 플렉서블한 재료로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순간적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다만, 그 후에 다시 원래 형상으로 회복된다. 제2 홀더(140)는 처음 위치에서는 제1 홀더(130)와 접촉을 유지하나, 탄성 부재(120)가 팽창하면 제1 홀더(130)에서 분리되어 하우징(50)에 고정된다.
중앙 바디(141)의 중심에는 캐뉼러(C)가 삽입되고, 니들(N)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중앙 바디(141)는 제1 홀더(130)의 하단과 접촉할 수 있다.
락킹 돌기(142)는 중앙 바디(14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플렉세블하게 형성될 수 있다. 락킹 돌기(142)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락킹 돌기(142)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돌기(142a)와 제2 돌기(142b)를 구비할 수 있다.
락킹 돌기(142)는 제2 홀더(140)의 이동에 따라 하우징(50)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0)가 팽창하면 락킹 돌기(142)는 니들 어셈블리(100)의 외측에 배치된 외부 구조물, 즉 하우징(50)에 고정될 수 있다.
락킹 돌기(142)는 측면에 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돌기(142a)는 제1 경사면(142’a)을 가지고, 제2 돌기(142b)는 제2 경사면(142’b)을 가진다. 경사면에 의해서 락킹 돌기(142)가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므로, 락킹 돌기(142)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에 하우징(50)의 렛지부(51)를 쉽게 넘어서 렛지부(5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 하기로 한다.
센서(143)는 락킹 돌기(14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 되지 않으며, 중앙 바디(141)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도 있다. 센서(143)는 캐뉼러(C)가 정확하게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143)는 제2 홀더(140)와 베이스(40)의 접촉을 센싱할 수 있다. 상세히, 제2 홀더(14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에 렛지부(51)를 넘어 이동하여, 베이스(40)의 상부에 배치된 접촉부(45)와 접촉되는지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143)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어 접촉부(45)와 접촉되면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미도시)는 제2 홀더(140)의 삽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니들(N)은 제1 홀더(130)에 고정되므로, 제1 홀더(130)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서 캐뉼러(C)에 삽입 또는 삽입 해제될 수 있다. 니들(N)의 일단은 저장조(10)에 연결되어 약물이 전달될 수 있으며, 타단은 캐뉼러(C)에 삽입되어 캐뉼러(C)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캐뉼러(C)는 제2 홀더(140)에 고정되므로, 제2 홀더(140)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서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될 수 있다. 캐뉼러(C)는 니들(N)을 수용할 수 있는 도관 형상을 가지므로, 니들(N)에서 토출된 약물이 사용자로 주입될 수 있다.
패치(P)는 베이스(40)에 지지되며, 캐뉼러(C)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캐뉼러(C)의 단부가 패치(P)에 지지되므로, 보관 중이나 이동 중에 캐뉼러(C)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니들 어셈블리(100)의 구동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제2 홀더(140)와 캐뉼러(C)의 결합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6a를 참조하면, 니들 어셈블리(100)의 구동은 아래와 같이 실행된다. 니들 어셈블리(100)는 슬리브(110)가 회전하면 탄성 부재(120)가 팽창하여 제1 홀더(130) 및 제2 홀더(140)를 연장 위치로 이동시키고, 슬리브(110)가 같은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탄성 부재(120)가 수축하여 제1 홀더만 원 위치로 되돌아온다. 그리하여, 니들(N)과 캐뉼러(C)는 함께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되고, 이후에 니들(N)은 캐뉼러(C)에서 인출된다. 동작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도 5a 내지 도 5c에서 회전 바디(112)를 제거하여 도시하였다.
먼저 도 5a와 도 6a는 니들 어셈블리(100)가 원 위치, 즉 사용자가 니들 어셈블리(100)를 사용하기 전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이다. 슬리브(110)의 이동 돌기(115)는 제1 멈춤 홈(131a)에 지지되고, 탄성 부재(120)는 노브(111)와 제1 홀더(130)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1 홀더(130)와 제2 홀더(140)는 니들 어셈블리(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니들(N)과 캐뉼러(C)는 약물 주입 장치(1)의 내부에 유지된다.
사용자가 노브(111)를 일 방향(i 방향)으로 회전하여, 슬리브(110)가 제1 홀더(130)에 대해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 돌기(115)는 제1 멈춤 홈(131a)을 넘어 이동한다. 그러하면, 탄성 부재(120)의 축 방향으로의 팽창에 의해서 도 5b와 같이, 이동 돌기(115)의 수직벽(115b)은 승강 홈(131b)을 따라 이동하고(j 방향), 동시에 제1 홀더(130) 및 제2 홀더(140)는 하우징(50)의 가이드 개구(52)를 따라 아래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이동 제한 홈(131e)은 이동 돌기(115)의 반경 방향으로 과도하게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제1 홀더(130)와 제2 홀더(14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 니들(N)과 캐뉼러(C)가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된다. 제1 홀더(130)는 제2 홀더(140)를 가력하므로, 제2 홀더(140)는 하우징(50)의 렛지부(51)를 통과할 수 있다. 제2 홀더(140)는 플렉서블한 재료로 형성되므로, 제1 홀더(130)가 제2 홀더(140)를 가력하면 락킹 돌기(142)가 순간적으로 변형되면서 렛지부(51)를 통과한다. 특히, 제1 돌기(142a)의 제1 경사면(142’a)과 제2 돌기(142b)의 제2 경사면(142’b)은 렛지부(51)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므로, 부드럽게 락킹 돌기(142)가 렛지부(51)를 통과할 수 있다. 이후, 렛지부(51)의 플랫한 하면은 락킹 돌기(142)의 플랫한 상면과 접촉을 유지한다.
락킹 돌기(142)가 렛지부(51)를 통과하면, 센서(143)는 접촉부(45)와 접촉하게 된다. 센서(143)는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므로, 접촉부(45)와 접촉하면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한다. 센서(143)가 접촉부(45)에 접촉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 받고, 캐뉼러(C)가 정상적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 뒤 도 5c 및 도6b와 같이 사용자가 노브(111)를 일 방향으로 더 회전 하여, 슬리브(110)가 제1 홀더(130)에 대해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 돌기(115)는 가이드 홈(131)을 따라 이동한다(k 방향). 이동 돌기(115)의 경사벽(115a)이 경사 홈(131c)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 제1 홀더(130)는 다시 상승하고, 탄성 부재(120)는 다시 압축된다.
락킹 돌기(142)의 플랫한 상면은 렛지부(51)의 플랫한 하면과 접촉되어, 렛지부(51)는 제2 홀더(140)의 상승을 제한한다. 제2 홀더(140)는 제1 홀더(130)에서 분리되어 승강하지 않으나, 제1 홀더(130)는 이동 돌기(115)에 의해서 다시 상승하여 니들(N)은 캐뉼러(C)에서 인출된다.
이후, 저장조(10)에서 약물이 니들(N)로 토출되어, 캐뉼러(C)를 통해서 약물이 사용자로 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어셈블리(100)와 이를 구비하는 약물 주입 장치(1)는 사용자가 쉽게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슬리브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니들과 캐뉼러를 삽입하고, 다시 일 방향으로 더 회전시켜서 캐뉼러의 위치는 고정하고 니들만 캐뉼러에서 쉽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니들 어셈블리(100)는 플렉서블한 락킹 돌기(142)가 외부 구조물인 하우징(50)의 렛지부(51)에 고정되므로, 캐뉼러(C)가 피부에 삽입된 이후 정확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렛지부(51)가 제2 홀더(140)를 지지하므로, 캐뉼러(C)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니들 어셈블리(100)는 도전성을 가지는 센서(143)를 구비하고, 센서(143)의 접촉 여부로 캐뉼러(C)가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홀더(23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홀더(230)는 가이드 홈의 형상이 전술한 일 실시예의 가이드 홈(131)과 차이가 있다.
가이드 홈(231)은 제1 멈춤 홈(231a), 승강 홈(231b), 경사 홈(231c), 제2 멈춤 홈(231d)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멈춤 홈(231a)은 이동 돌기(115)가 처음에 위치하는 홈으로, 여기에서 탄성 부재(120)는 수축상태를 유지한다. 승강 홈(231b)은 제1 홀더(2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탄성 부재(120)가 팽창하면 제1 홀더(230)는 하강하고 이동 돌기(115)는 승강 홈(231b)을 따라 이동한다. 경사 홈(231c)은 기 설정된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된다. 이동 돌기(115)가 경사 홈(231c)을 따라 이동하면 탄성 부재(120)는 다시 수축하면서 제1 홀더(230)는 다시 상승한다. 제2 멈춤 홈(231d)은 이동 돌기(115)가 다시 처음 위치에 되돌아 오는 홈으로, 이때 탄성 부재(120)는 다시 수축 상태를 유지한다.
슬리브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 돌기(115)는 제1 멈춤 홈(231a)을 넘어서 승강 홈(231b)에 접촉한다. 승강 홈(231b)은 이동 돌기(115)의 회전 거리를 제한하며 이동 돌기(115)는 승강 홈(231b)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홀더(230)와 제2 홀더는 아래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므로, 니들과 캐뉼러는 사용자의 피부에 삽입된다.
이후, 슬리브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 돌기(115)는 경사 홈(231c)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때, 탄성 부재는 다시 압축되고 제1 홀더(230)만 슬리브로 이동하므로, 니들은 캐뉼러에서 인출될 수 있다. 이후 이동 돌기(115)는 제2 멈춤 홈(231d)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제1 홀더(130)는 회전 방향을 다르게 하여 니들과 캐뉼러의 삽입과 니들의 분리 동작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홀더(130)는 승강 홈(231b)이 이동 돌기(115)의 회전 거리를 제한할 수 있어, 사용자가 과도하게 슬리브를 회전하여 캐뉼러가 불완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약물 주입 장치
100: 니들 어셈블리
110: 슬리브
115: 이동 돌기
120: 탄성 부재
130: 제1 홀더
140: 제2 홀더
142: 락킹 돌기
143: 센서
100: 니들 어셈블리
110: 슬리브
115: 이동 돌기
120: 탄성 부재
130: 제1 홀더
140: 제2 홀더
142: 락킹 돌기
143: 센서
Claims (7)
- 니들;
상기 니들이 삽입되는 캐뉼러;
상기 니들을 지지하는 제1 홀더;
상기 제1 홀더의 일측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캐뉼러를 지지하는 제2 홀더;
내부공간에 상기 제1 홀더가 삽입되며, 상기 제1 홀더에 대해서 회전하는 슬리브; 및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제2 홀더는 외측으로 연장되며 플렉서블한 락킹 돌기; 및
상기 락킹 돌기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락킹 돌기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니들 어셈블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돌기는
상기 탄성 부재가 팽창하면 상기 락킹 돌기는 상기 니들 어셈블리의 외측에 설치된 외부 구조물에 지지되는, 니들 어셈블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는, 니들 어셈블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상기 니들 어셈블리의 외부 구조물에 지지되면, 전기적 신호를 생성되는, 니들 어셈블리. -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니들을 지지하고, 상기 제1 축을 따라 이동하는 제1 홀더;
상기 제1 홀더의 일측에 배치되고 캐뉼러를 지지하는 제2 홀더; 및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제2 홀더는 외측으로 연장되며 플렉서블한 락킹 돌기; 및
상기 락킹 돌기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락킹 돌기와 상기 베이스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약물 주입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돌기는
상기 탄성 부재가 팽창하면 상기 락킹 돌기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약물 주입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는, 약물 주입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4779A KR102451741B1 (ko) | 2018-08-14 | 2020-05-07 |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
KR1020220125565A KR102582935B1 (ko) | 2020-05-07 | 2022-09-30 |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5161A KR102111732B1 (ko) | 2018-08-14 | 2018-08-14 |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
KR1020200054779A KR102451741B1 (ko) | 2018-08-14 | 2020-05-07 |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5161A Division KR102111732B1 (ko) | 2018-08-14 | 2018-08-14 |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5565A Division KR102582935B1 (ko) | 2020-05-07 | 2022-09-30 |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1568A KR20200051568A (ko) | 2020-05-13 |
KR102451741B1 true KR102451741B1 (ko) | 2022-10-11 |
Family
ID=8359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4779A KR102451741B1 (ko) | 2018-08-14 | 2020-05-07 |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174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113455A (zh) * | 2020-09-16 | 2023-05-12 | 欧弗洛有限公司 | 针组件及包括其的药液注入装置 |
KR102608069B1 (ko) * | 2020-09-16 | 2023-12-01 | 이오플로우(주) |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021508A1 (en) * | 2015-02-10 | 2018-01-25 | Mark A. DeStefano | Rotationally biased insertion mechanism for a drug delivery pump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PL2046419T3 (pl) * | 2006-08-02 | 2011-10-31 | Unomedical As | Kaniula i urządzenie dostarczające |
-
2020
- 2020-05-07 KR KR1020200054779A patent/KR1024517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021508A1 (en) * | 2015-02-10 | 2018-01-25 | Mark A. DeStefano | Rotationally biased insertion mechanism for a drug delivery pum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1568A (ko) | 2020-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11732B1 (ko) |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 |
JP2023101821A (ja) | 輸液注入システムの改善 | |
KR102451741B1 (ko) |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 |
US10369345B2 (en) | Medical access port,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 |
US20150094688A1 (en) | Disposable Inserter for Use With a Medical Device | |
KR102601291B1 (ko) | 약액 주입 장치 및 약액 주입 장치의 활성화 방법 | |
KR20210003226A (ko) | 니들 작동 기구를 갖는 약물 전달 장치 | |
WO2017070959A1 (zh) | 一种控制穿刺深度和隐针的装置及其使用方法 | |
KR102582935B1 (ko) |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 |
JP2023543702A (ja) | ニードル組立体及びそれを含む薬液注入装置 | |
KR102463878B1 (ko) |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 |
CN212679781U (zh) | 一种用于精密仪器的安全触发器 | |
KR20220010570A (ko) | 약액 주입 장치의 구동 방법 | |
US20240350744A1 (en) | Needle assembly and liquid medicine injection apparatus comprising same | |
EP4431129A1 (en) | Medicinal solution discharge assembly and medicinal solution injection device including same | |
US20240038379A1 (en) | Techniques for processing wirelessly broadcast packets from a medical device with dose-related data | |
KR102608069B1 (ko) |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 |
KR20240058506A (ko) | 약액 주입 장치 | |
KR20230106049A (ko) |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 |
KR20240043601A (ko) |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 |
US20240042128A1 (en) | Liquid medicine injection device | |
KR20240162885A (ko) | 약액 주입 장치 | |
KR20240156726A (ko) | 약액 주입 장치 | |
KR20240097296A (ko) | 약액 주입 장치 | |
KR20230092284A (ko) | 약액 토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