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730B1 - Application-linked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users with embedded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er - Google Patents
Application-linked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users with embedded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9730B1 KR102459730B1 KR1020210018255A KR20210018255A KR102459730B1 KR 102459730 B1 KR102459730 B1 KR 102459730B1 KR 1020210018255 A KR1020210018255 A KR 1020210018255A KR 20210018255 A KR20210018255 A KR 20210018255A KR 102459730 B1 KR102459730 B1 KR 1024597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nture
- management
- smart
- car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034 disappearanc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5180 public heal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13872 defe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6010006326 Breath odour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02925 dental carie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2797 qual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046 side d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200 mouth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3265 sto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7533 Fungal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720 Malnutri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1888 Mycos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300264 Spinaci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337 Spinacia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5865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3 autoimmu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178 buccal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343 nutrient deficienc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245 periodon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47 stew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97 ulcer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12 vir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oxic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착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노인들이 사용하는 틀니에 개인정보식별용NFC, ID칩 또는 블루투스칩을 매립하여 틀니사용자의 정보관리를 용이하게 구축함과 동시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틀니사용자의 틀니세척관리는 물론 구강관리, 식단관리, 요양관리,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 간병인 매칭 등 건강유지를 위한 관리를 틀니사용자 또는 보호자가 접근 용이하게 사용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스마트틀니의 세척 가능한 틀니세척기를 갖춘 기관찾기 기능이 부여된 틀니세척기관부(30); 상기 스마트틀니를 착용하는 틀니사용자의 구강관리(41), 식단관리(42), 요양관리(43),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44), 간병인 매칭(45)을 포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 상기 틀니세척기관부(30)로부터 틀니의 세척날짜, 세척시간, 틀니보존상태를 포함한 틀니세척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로부터 구강관리(41), 식단관리(42), 요양관리(43),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44), 간병인 매칭(45)의 맞춤형 요양서비스 정보를 수신받는 서버부(10); 상기 서버부(10)에서 수신받은 틀니세척 정보 및 맞춤형 요양서비스부 정보를 전달 받는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 상기 서버부(10)에서 수신받은 틀니세척 정보 및 맞춤형 요양서비스부 정보를 틀니사용자의 동의 요청에 의해 동의 받은 보호자에게 전달 받는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lication-linked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wearers with embedded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embedded in dentures used by a large number of elderly people. At the same time, through a smartphone application, denture users or their guardians can easily access management for health maintenance such as oral care, diet management, nursing care, rehabilitation management, medication management, and caregiver matching as well as denture cleaning management for denture users through smartphone application. In order to be able to use it, the denture cleaning pipe 30 provided with an organ search function equipped with a denture washer that can be washed with smart dentures; Customized care that provides services including oral care (41), diet management (42), care management (43), rehabilitation management, medication management (44), and caregiver matching (45) of denture users who wear the smart dentures service unit 40; Receives denture washing information including denture washing date, washing time, and denture preservation state from the denture cleaning unit 30, and oral care 41, diet management 42, and care from the customized care service unit 40 Management (43), rehabilitation management, medication management (44), the server unit 10 for receiving customized care service information of caregiver matching (45); Denture user smart phone terminal unit 20 that receives the denture washing information and customized care serv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unit 10; The denture wash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unit 10 and the customized care servic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denture user by the consent request of the denture user, the guardian smart phone terminal 120 receiving the transfer to the guardia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착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노인들이 사용하는 틀니에 개인정보식별용NFC, ID칩 또는 블루투스칩을 매립하여 틀니사용자의 정보관리를 용이하게 구축함과 동시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틀니사용자의 틀니세척관리는 물론 구강관리, 식단관리, 요양관리,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 간병인 매칭 등 건강유지를 위한 관리를 틀니사용자 또는 보호자가 접근 용이하게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lication-linked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wearers with embedded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ers, and more particularly, by embedding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NFC, ID chips or Bluetooth chips in dentures used by a large number of elderly people to denture users.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smartphone application, denture users can manage their denture cleaning, as well as oral care, diet management, nursing care, rehabilitation management, medication management, caregiver matching, etc. to maintain their health. Or it relates to an application-linked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users in which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ers are embedded so that guardians can easily access and use them.
국내 틀니 사용자는 2021년 2월 현재 약 600여만명으로 65세 이상 노인 2명 중 1명이 틀니를 사용하고 있으며, 1일동안 식사 후 3∼4 차례의 세척이 필요로 하고 있고, 세척이 없을 시 구내염 및 치주염 증가가 발생된다.The number of domestic denture users is about 6 million as of February 2021, and 1 in 2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use dentures. and increased periodontitis.
음식을 먹을 때 입안이 따갑고 아프며, 궤양이나 수포 형태로 혀, 입천장 및 볼점막 등에 나타나는 임상 증상인 구내염은 누구에게나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이다. 하지만 바이러스, 세균성, 진균 감염, 영양결핍, 자가면역 관련 등 발병원인이 다양하고 각각 치료법도 다르기 때문에 그 원인에 맞는 치료가 중요하다. 특히 노인의 경우 틀니 착용 시 구내염에 보다 유의해야 한다.Stomatitis, a clinical symptom that appears in the tongue, roof of the mouth, and buccal mucosa in the form of ulcers or blisters, is a common symptom that appears in everyone. However, since there are various causes, such as viral, bacterial, fungal infection, nutritional deficiency, and autoimmune-related, and treatment is different for each, it is important to treat the cause according to the cause. In particular, the elderly should be more careful about stomatitis when wearing dentures.
최근 발간된 신간 ‘구강점막질환 아틀라스’(대한나래출판사)에서 저자인 나카가와 요이치는 “구강케어가 보급되면서 구강점막을 볼 기회가 급증하고 있으며, 의료 관계자가 구강점막질환의 진단과 치료에서 담당하는 역할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라고 밝힌 바 있다.In the recently published 'Oral Mucosal Disease Atlas' (Korea Narae Publishing Company), author Yoichi Nakagawa said, “As oral care spreads, the number of opportunities to see the oral mucosa is rapidly increasing, and medical personnel are in charge of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oral mucosal diseases. The importance of the role is growing more and more.”
한편, 병원이나 요양기관 등에서 환자의 틀니세척 시 틀니 소유자 확인의 어려움 및, 분실 시 소유주 확인의 어려움으로 병원이나 요양기관 등에서 틀니세척을 꺼려하며, 다수의 틀니를 세척, 살균하는 대형 세척기 개발의 부재로 세척기의 구비 또한 어려운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hospitals and nursing institutions are reluctant to wash dentures due to the difficulty of identifying the owner of the denture when washing the patient's dentures in hospitals or nursing homes and the difficulty of confirming the owner in case of loss. It is also difficult to provide a furnace washing machine.
첨단과학기술 시대에 ICT 및 통신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틀니정보(제작, 세척, 기관, 개인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를 지원해 주는 소프트웨어(SW)가 부재한 실정이며, 관리하기가 어려운 현실로 기관 및 보호자들에게도 정확한 데이터의 생성, 수정, 업데이트, 추출 등의 제공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In the era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despite the development of ICT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re is no software (SW) that supports data on denture information (manufacturing, cleaning, institutional, personal information, etc.) And even to parents, the creation, correction, update, and extraction of accurate data were not provided.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762497호(고려자 및 치매환자 실종방지를 위한 틀니용 패치), 등록특허 제10-1716091호(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 등록특허 제10-1812080호(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 등록특허 제10-1903961호(틀니 착용자의 위급상황 및 실종방지를 위한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 등록특허 제10-1903962호(틀니 착용자의 생체 특성 확인용 타액 측정체와 정보식별체의 틀니 매립방법)을 통해 정보식별체를 구비한 틀니에 대해 꾸준히 연구 개발하고 있고, 이에 본 출원에서는 정보식별체(개인정보식별용NFC, ID칩 또는 블루투스칩을)를 매립하여 틀니사용자의 정보관리를 용이하게 구축함과 아울러,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틀니사용자의 구강 및 건강관리를 종합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The present applicant has registered Patent No. 10-1762497 (Patch for dentures to prevent disappearance of patients and patients with dementia), Registered Patent No. 10-1716091 (Registration method of dentures of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for emergency situation and disappearance prevention of denture wearers) ), Registered Patent No. 10-1812080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for denture embedding method for preventing emergency situations and disappearance of denture wearers), Registration Patent No. 10-1903961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for preventing denture wearers' emergency and disappearance) of denture embedding method) and Registered Patent No. 10-1903962 (a method of embedding dentures with a saliva measuring body for checking the biometric characteristics of a denture wearer), Accordingly, in this application,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NFC for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ID chip or Bluetooth chip) is embedded to facilitate information management of denture users, and the oral and health management of denture users is integrated through smartphone application. We want to develop technology that makes it possible to do so.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다수의 노인들이 사용하는 틀니에 개인정보식별용NFC, ID칩 또는 블루투스칩을 매립하여 틀니사용자의 정보관리를 용이하게 구축함과 동시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틀니사용자의 틀니세척관리는 물론 구강관리, 식단관리, 요양관리,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 간병인 매칭 등 건강유지를 위한 관리를 틀니사용자 또는 보호자가 접근 용이하게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eliminat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t the same time easily constructing information management of denture users by embedding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NFC, ID chip or Bluetooth chip in dentures used by a large number of elderly people, and at the same time, smart Individuals who allow denture users or their guardians to easily access and use management for health maintenance such as oral care, diet management, nursing care, rehabilitation management, medication management, and caregiver matching as well as denture cleaning management of denture users through phone application It was completed as a technical task with an emphasis on the application linkage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users with embedded information identifiers.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인정보식별체(NFC, ID칩 또는 블루투스칩)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틀니의 세척 가능한 틀니세척기를 갖춘 기관찾기 기능이 부여된 틀니세척기관부(30); 상기 스마트틀니를 착용하는 틀니사용자의 구강관리(41), 식단관리(42), 요양관리(43),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44), 간병인 매칭(45)을 포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 상기 틀니세척기관부(30)로부터 틀니의 세척날짜, 세척시간, 틀니보존상태를 포함한 틀니세척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로부터 구강관리(41), 식단관리(42), 요양관리(43),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44), 간병인 매칭(45)의 맞춤형 요양서비스 정보를 수신받는 서버부(10); 상기 서버부(10)에서 수신받은 틀니세척 정보 및 맞춤형 요양서비스부 정보를 전달 받는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 상기 서버부(10)에서 수신받은 틀니세척 정보 및 맞춤형 요양서비스부 정보를 틀니사용자의 동의 요청에 의해 동의 받은 보호자에게 전달 받는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the application linkage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users in which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NFC, ID chip or Bluetooth chip) is embedded, an institution equipped with a denture cleaner that can be cleaned of the smart denture The
이때, 상기 틀니세척기관부(30)는 장기요양시설,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행정복지센터를 포함하며, 상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 상에서 장기요양시설,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행정복지센터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지도앱에 연동되어 틀니사용자를 중심으로 가까운 거리의 기관이 검색됨과 아울러, 네비게이션앱에 연동되어 길안내 및 노선안내가 동시에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틀니사용자가 스마트틀니 사용자인 치매노인 또는 독거노인이 등록된 주거지에서 일정반경 이상 이탈했을 때, 보호자 혹은 경찰서, 소방서를 포함한 기관의 협조 아래 스마트폰 GPS를 통한 위치확인을 통해 어플(app)에 가입된 이탈지역의 스마트틀니 사용자에게 실종자 알림기능을 제공토록 함과 아울러, 상기 이탈지역의 일정반경 내에 거주하거나 이동중인 일반시민들에게 실종자 정보(실종자 사진, 이름, 성별, 실종시간, 신장, 나이, 복장을 포함한 신상정보)를 SMS를 통해 알려 주변 발견자가 경찰서나 소방서를 포함한 기관에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를 통한 서버부(10)에 회원가입 시, 틀니사용자의 개인정보제공 동의 한 다음, 보호자 동의 요청이 SMS로 전송되고 난 후,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120)를 통한 개인정보 동의 승인이 완료되면 로그인이 이루어지고, 상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 상에서 로그인이 이루어지는 로그인창(21)의 측부에 관리자와 채팅 가능한 챗봇창(25)이 마련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signing up for membership in the
또한,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는 구강관리(41), 식단관리(42), 요양관리(43),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44), 간병인 매칭(45)을 포함하되, 틀니사용자의 운동관리, 배변관리, 목욕관리, 자금(은행)관리를 더 포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ustomized
또한,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에서 구강관리(41) 기능이 선택되면 구강관리사와 치과로 구분되어지되, 상기 구강관리사는 구강세척관리와 구강상태진단으로 구분되며, 상기 구강세척관리는 스마트폰 단말부(20)의 개인정보식별체(NFC, ID칩 또는 블루투스칩) 활성화를 통해 틀니사용자의 스마트틀니 사용에 의한 일, 주, 월, 분기, 년의 스마트틀니 세척주기통계를 데이터화하고, 상기 구강상태진단은 구강관리사가 기간을 정해두고 장기요양시설,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행정복지센터를 다니며 틀니사용자의 충치, 잇몸건강상태, 구취상태, 치아상태, 틀니상태 등의 구강상태를 기록 및 촬영하여 데이터화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에서 구강관리(41) 기능이 선택되면 구강관리사와 치과로 구분되어지되, 상기 치과는 틀니의 제작연도, 틀니수리이력, 제작 또는 수리한 병원이름, 잇못상태, 구강엑스레이 사진, 치과병력조회를 포함한 병원기록조회, 담담의사를 포함한 치과관련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구강엑스레이 사진은 치과의사, 위생사 또는 치과기공사가 촬영하여 서버부(10)에 올리면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를 통해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에서 식단관리(42) 기능이 선택되면, 오늘의 식단으로 양식, 중식, 일식, 한식을 포함한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고, 각 메뉴에 맞는 음식종류, 열량, 영양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입력된 식단의 메뉴, 음식종류, 열량, 영양정보는 일, 주, 월, 분기, 년으로 식단데이터화되어 서버부(10)를 통해 저장되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 또는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120)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에서 요양관리(43) 기능이 선택되면, 의무적으로 담당 요양관리사를 등록하도록 하고, 그런 다음 담당 간병인을 선택하도록 하되, 스마트틀니 사용자가 담당 간병인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간병인의 개인정보 동의 하에 간병인의 이름, 사진, 나이, 학력, 경력, 자격증을 포함한 개인정보를 스마트틀니 사용자, 보호자 또는 제3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에서 복용약물관리(44) 기능이 선택되면, 틀니사용자에게 맞도록 설정된 약물이 체크되고, 상기 약물에 맞는 알약이 나열되어 선택가능토록 하되, 상기 알약의 성분이 중복선택되지 않게 설정됨과 아울러, 상기 틀니사용자 본인의 처방전을 촬영하면 자동으로 데이터를 추출하여 약물 또는 알약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그리고,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에서 간병인매칭(45) 기능이 선택되면, 스마트틀니 사용자가 본인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인근지역 간병인의 위치를 확인토록 하고, 그 간병인의 이름, 사진, 나이, 학력, 경력, 자격증 등을 확인토록 하며, 그 후 스마트틀니 사용자가 간병인을 선택하고, 그 해당 간병인이 개인정보 제공에 대해 동의하게 되면 스마트틀니 사용자와 간병인이 매칭되도록 하고, 상기 매칭이 이루어지면 간병시간 일정, 장소, 시간 및 기타요구사항을 요청토록 하고, 그 요청에 해당되는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And, when the caregiver matching (45) function is selected in the customized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노인들이 사용하는 틀니에 개인정보식별용NFC, ID칩 또는 블루투스칩을 매립하여 틀니사용자의 정보관리를 용이하게 구축함과 동시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틀니사용자의 틀니세척관리는 물론 구강관리, 식단관리, 요양관리,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 간병인 매칭 등 건강유지를 위한 관리를 틀니사용자 또는 보호자가 접근 용이하게 사용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NFC, ID chip or Bluetooth chip is embedded in the dentures used by a large number of elderly people to facilitate information management of denture users, and at the same time, cleaning the dentures of denture users through a smartphone application. As well as management, there are effects such as making it possible for denture users or guardians to easily access and use management for health maintenance such as oral care, diet management, nursing care management, rehabilitation management, medication management, and caregiver matching.
도 1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스마트틀니 매립 및 제작 순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주용 기능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정보식별용NFC, ID칩 또는 블루투스칩을 이용한 틀니사용자의 정보 저장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틀니 사용자의 개인정보, 세척이력, 의료기록 외에도 응급상황시 활용 가능한 신분확인, 위치전송, 긴급전화의 기능이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정보의 검색, 등록, 변경, 수정이 운영서버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어플리케이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틀니 시스템의 웹 및 어플리케이션의 운영관리시스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틀니 플랫폼의 정보 흐름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서버, 회원가입, 로그인 및 챗봇 실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틀니세척 및 맞춤형 요양서비스 실시 예시도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요양서비스의 구체적인 실시 예시도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mart denture embedding and manufacturing sequence fo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ample of the main function of the application for a smart denture user embedded with a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ample of storing information of a denture user using NFC, ID chip or Bluetooth chip for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equipped with functions of identification, location transmission, and emergency call that can be used in emergency situations in addition to personal information, washing history, and medical records of smart denture u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in which search, registration, change, and correction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reflected in real time through an operation server;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of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web and application of the smart dentu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of the information flow of the smart dentur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exemplary views of the server, member registration, login and chat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of denture washing and customized car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5 is a detailed exemplary embodiment of a customized car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수의 노인들이 사용하는 틀니에 개인정보식별용NFC, ID칩 또는 블루투스칩을 매립하여 틀니사용자의 정보관리를 용이하게 구축함과 동시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틀니사용자의 틀니세척관리는 물론 구강관리, 식단관리, 요양관리,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 간병인 매칭 등 건강유지를 위한 관리를 틀니사용자 또는 보호자가 접근 용이하게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보면 틀니세척기관부(30),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 서버부(10),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 및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easily builds information management of denture users by embedding NFC, ID chip or Bluetooth chip for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 dentures used by a large number of elderly people, and at the same time, denture cleaning management of denture users through a smartphone application as well as Interlocking applications for smart denture users with embedded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ers that enable denture users or guardians to easily access and use management for health maintenance such as oral care, diet management, nursing care management, rehabilitation management, medication management, and caregiver matching As relates to the management system, referring to FIGS. 1 to 15 , the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스마트틀니는 도 1에서와 같이 기존 또는 신규 틀니 모두에 적용 가능한 전용 NFC, ID칩 또는 블루투스칩을 직매립하여 적용토록 한 것이며, 그 사용방법은 틀니사용자(또는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20,120)에 어플리케이션(이하 ‘어플’이라 함) 설치 후 스마트폰 단말부(20,120)를 태그하여 정보를 식별하거나 웹에서 로그인 후 정복확인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Smart dentur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applied by directly embedding a dedicated NFC, ID chip or Bluetooth chip applicable to both existing or new dentures as shown in FIG. After installing the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plication') on the phone terminal unit 20,120, the smart phone terminal unit 20,120 is tagged to identify information or is provided to enable confirmation of conquest after logging in on the web.
좀 더 구체적으로는 틀니 표면을 부분절삭하고(1단계), 그 절삭부에 NFC, ID칩 또는 블루투스칩을 삽입하며(2단계), NFC, ID칩 또는 블루투스칩의 표면에 교정용 레진을 도포하고(3단계), 레진의 표면을 연마하며(4단계), NFC, ID칩 또는 블루투스칩에 정보를 입력하여 완성된다.(5단계)More specifically, the surface of the denture is partially cut (Step 1), NFC, ID chip or Bluetooth chip is inserted into the cut (Step 2), and orthodontic resin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NFC, ID chip or Bluetooth chip. (Step 3), polish the surface of the resin (Step 4), and input information into NFC, ID chip or Bluetooth chip to complete. (Step 5)
상기 스마트틀니에 적용되는 어플(app)은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스마트틀니 사용자의 개인정보, 세척이력, 의료기록 외에도 노인실종이나 사고와 같은 응급상황시 활용 가능한 신분확인, 위치전송, 긴급전화의 기능도 구비되도록 하며, 더 나아가 ICT, IOT시스템 기반의 실시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확보를 통해 해당기관에 제공되도록 한다.The application (app) applied to the smart denture is, as in FIGS. 2 to 4, in addition to the personal information, washing history, and medical record of the smart denture user, identification, location transmission, emergency that can be used in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missing the elderly or an accident The telephone function is also provided, and furthermore, it is provided to the relevant institution by establishing and securing a database for providing real-time services based on ICT and IOT systems.
그 중 세척이력 제공의 실시예로서, 도 5에서와 같이 스마트틀니 사용자가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로 스마트틀니에 직매립된 NFC, ID칩 또는 블루투스칩을 태그하면(1단계), 스마트틀니의 세척을 실시할 수 있고(2단계), 그 세척이력은 후술되는 서버부(10)에 전송되어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반영되고(3단계), 상기 세척이력 및 틀니사용자 정보를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120)를 통해 보호자에게 전달(SMS)한다(4단계).Among them, as an embodiment of providing a cleaning history, when the smart denture user tags the NFC, ID chip or Bluetooth chip directly embedded in the smart denture with the denture user
한편, 도 6은 스마트틀니 시스템의 웹 및 어플리케이션의 운영관리시스템 예시도로서 서버부(10)의 확보를 통해 스마트틀니 사용자의 세척이력, 의료기록 등의 다양한 정보데이터를 저장토록 하고, 의치상 3차원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의지의 재 제작, 수리 시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web and application of the smart denture system, and through the securing of the
그리고, 도 7은 스마트틀니 플랫폼의 정보 흐름 예시도로서, 스마트틀니의 설계 및 제작공급, 소유자 및 기관정보를 확보하고, 스마트틀니 운영플랫폼(웹, 어플, 세척기)을 구현하며, 구강관련 데이터를 필요한 기관 및 보호자에게 정보 제공하고, 응급상황 발생 시 골든타임의 확보 및 사회적 비용절감을 기대하며, 구강보건에 대한 사회적 인식제고 기회를 제공한다.And, Figure 7 is an exemplary information flow diagram of the smart denture platform, secures the design and production supply of smart dentures, owner and institution information, implements a smart denture operating platform (web, application, washing machine), and oral-related data It provides information to necessary institutions and guardians, expects to secure golden time and reduce social costs in case of emergency, and provides opportunities to raise social awareness about oral health.
이와 같은 구성으로 스마트틀니와, 어플(app)이 마련되며, 이를 기본구성으로 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먼저 도 8에서와 같이 서버부(10)에 연결되는 틀니세척기관부(30)가 구비된다.In this configuration, a smart denture and an application are provided, an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is basic configuration, the
상기 틀니세척기관부(30)는 스마트틀니의 세척 가능한 틀니세척기를 갖춘 기관찾기 기능이 부여된 것으로 도 10에서와 같이 장기요양시설,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행정복지센터를 포함하며, 상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 상에서 장기요양시설,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행정복지센터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지도앱에 연동되어 틀니사용자를 중심으로 가까운 거리의 기관이 검색됨과 아울러, 네비게이션앱에 연동되어 길안내 및 노선안내가 동시에 실행되도록 한다.The
이때, 서버부(10)를 통해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로 전달되는 모든 정보는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120)에도 연동 제공되도록 하며, 이는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를 통한 서버부(10)에 회원가입 시, 틀니사용자의 개인정보제공 동의 한 다음, 보호자 동의 요청이 SMS로 전송되고 난 후,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120)를 통한 개인정보 동의 승인이 완료되면 로그인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연동이 구현되게 한다.At this time, all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denture user
또한 이때, 상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 상에서 로그인이 이루어지는 로그인창(21)의 측부에 관리자와 채팅 가능한 챗봇창(25)이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틀니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사용방법에 대한 습득 등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t this time, by providing a
그리고, 상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 상의 메인화면 상단에 고령자 또는 영유아 실종자 찾기 알림창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알림창에는 실종자의 사진, 이름, 현재나이, 실종장소, 실종복장, 신상특징 등이 표시되게 한다.In addition, the denture user
한편, 도 8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스마트틀니를 착용하는 틀니사용자의 구강관리(41), 식단관리(42), 요양관리(43),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44), 간병인 매칭(45)을 포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s in FIGS. 8 and 10,
이때,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는 틀니사용자의 운동관리, 배변관리, 목욕관리, 자금(은행)관리를 더 포함하며, 이 외에도 틀니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ustomized
일실시예로서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에서 구강관리(41) 기능이 선택되면 구강관리사와 치과로 구분되어지되, 상기 구강관리사는 구강세척관리와 구강상태진단으로 구분되며, 상기 구강세척관리는 스마트폰 단말부(20)의 개인정보식별체(NFC, ID칩 또는 블루투스칩) 활성화를 통해 틀니사용자의 스마트틀니 사용에 의한 일, 주, 월, 분기, 년의 스마트틀니 세척주기통계를 데이터화하고, 상기 구강상태진단은 구강관리사가 기간을 정해두고 장기요양시설,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행정복지센터를 다니며 틀니사용자의 충치, 잇몸건강상태, 구취상태, 치아상태, 틀니상태 등의 구강상태를 기록 및 촬영하여 데이터화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when the
이때, 스마트틀니 사용자가 담당 구강관리사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구강관리사의 개인정보 동의 하에 구강관리사의 이름, 사진, 나이, 학력, 경력, 자격증 등의 개인정보를 스마트틀니 사용자, 보호자 또는 제3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smart denture user selects the oral care provider in charge, the smart denture user, guardian, or a third party send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photo, age, academic background, career, and certificate of the oral care manager under the consent of the selected oral care manager. can be verified.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에서 구강관리(41) 기능이 선택되면 구강관리사와 치과로 구분되어지되, 상기 치과는 틀니의 제작연도, 틀니수리이력, 제작 또는 수리한 병원이름, 잇못상태, 구강엑스레이 사진, 치과병력조회를 포함한 병원기록조회, 담담의사를 포함한 치과관련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구강엑스레이 사진은 치과의사, 위생사 또는 치과기공사가 촬영하여 서버부(10)에 올리면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를 통해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When the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에서 식단관리(42) 기능이 선택되면, 오늘의 식단으로 양식, 중식, 일식, 한식을 포함한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고, 각 메뉴에 맞는 음식종류, 열량, 영양정보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한식을 선택하는 경우 밥, 국, 찌게, 반찬 등의 음식종류가 표시되며, 그 중에서 반찬을 선택하는 경우 시금치, 멸치, 김치 등이 표시됨과 아울러 해당되는 반찬의 열량 및 영양정보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틀니 사용자가 기호 및 영양에 맞는 음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menu management (42) function is selected in the customized
그리고, 상기 입력된 식단의 메뉴, 음식종류, 열량, 영양정보는 일, 주, 월, 분기, 년으로 식단데이터화되어 서버부(10)를 통해 저장되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 또는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120)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nu, food type, calorie, and nutritional information of the input diet are converted into diet data by day, week, month, quarter, and year and stored through the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에서 요양관리(43) 기능이 선택되면, 우선 의무적으로 담당 요양관리사를 등록하도록 하고, 그런 다음 담당 간병인을 선택하도록 한다.When the function of
이때, 스마트틀니 사용자가 담당 간병인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간병인의 개인정보 동의 하에 간병인의 이름, 사진, 나이, 학력, 경력, 자격증 등의 개인정보를 스마트틀니 사용자, 보호자 또는 제3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smart denture user selects a caregiver in charge, the smart denture user, guardian, or a third party can check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aregiver, such as name, photo, age, academic background, career, and certification, under the consent of the selected caregiver. do.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에서 복용약물관리(44) 기능이 선택되면, 틀니사용자에게 맞도록 설정된 약물이 체크되고, 그 약물에 맞는 알약이 나열되어 선택가능토록 하되, 상기 알약의 성분이 중복선택되지 않게 설정됨과 아울러, 상기 틀니사용자 본인의 처방전을 촬영하면 자동으로 데이터를 추출하여 약물 또는 알약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When the
그리고,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에서 간병인매칭(45) 기능이 선택되면, 스마트틀니 사용자가 본인 위치(S)를 중심으로 하여 가까운 위치부터(P1∼P5) 하여 인근지역 간병인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고, 그 간병인의 이름, 사진, 나이, 학력, 경력, 자격증 등을 확인 할 수 있으며, 그 후 스마트틀니 사용자가 간병인을 선택하고, 그 해당 간병인이 개인정보 제공에 대해 동의하게 되면 스마트틀니 사용자와 간병인이 매칭되도록 한다.And, when the caregiver matching (45) function is selected in the customized
이렇게 간병인이 매칭되면 간병시간 일정, 장소, 시간 및 기타요구사항 등을 요청할 수 있고, 그 요청에 해당되는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된다.When the caregiver is matched in this way, the caregiver time schedule, location, time, and other requirements can be requested, and a cos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s additionally incurred.
상기 간병인매칭(45)은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 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 상에서 중요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서 회원 로그인 후 표시되는 메인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regiver matching 45 can be selected from the customized
한편, 본 발명의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은 장기요양시설에 입원중인 스마트틀니 사용자 뿐 아니라, 자가에서 삶을 사시는 치매노인, 독거노인에게도 적용이 되어지는데, 이때 스마트틀니 사용자인 치매노인 또는 독거노인이 등록된 주거지에서 일정반경 이상 이탈했을 때, 보호자 혹은 경찰서, 소방서 등 기관의 협조 아래 스마트폰 GPS를 통한 위치확인을 통해 어플(app)에 가입된 이탈지역의 스마트틀니 사용자에게 실종자 알림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linkage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users in which the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s applied not only to smart denture users who are hospitalized in long-term care facilities, but also to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 elderly living alone, at this time When a smart denture user,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or an elderly living alone, deviates from the registered residence by more than a certain radius, the location of the deviated area registered in the app through the smartphone GPS under the cooperation of guardians, police stations, fire stations, etc. To provide a missing person notification function to smart denture users.
이뿐 아니라, 상기 이탈지역의 일정반경 내에 거주하거나 이동중인 일반시민들에게 실종자 정보(실종자 사진, 이름, 성별, 실종시간, 신장, 나이, 복장 등)를 SMS를 통해 알려 주변 발견자가 경찰서나 소방서 등에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missing person (photo, name, gender, time of disappearance, height, age, clothing, etc.) is notified via SMS to ordinary citizens residing or moving within a certain radius of the escaped area, so that nearby discoverers contact the police or fire departments, etc. to be able to take
상기와 같은 틀니세척기관부(30) 및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가 마련되어 서버부(10)에 연결되며, 상기 서버부(10)는 상기 틀니세척기관부(30)로부터 틀니의 세척날짜, 세척시간, 틀니보존상태를 포함한 틀니세척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로부터 구강관리(41), 식단관리(42), 요양관리(43),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44), 간병인 매칭(45)의 맞춤형 요양서비스 정보를 수신받아,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 및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120)에 전달토록 하며, 이와 반대로 상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 및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120)에서 정보를 수신받아 틀니세척기관부(30) 및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 전달하는 양방향 전달서비스가 구현된다.The
상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는 서버부(10)에서 수신받은 틀니세척 정보 및 맞춤형 요양서비스부 정보를 전달 받도록 구현되며, 또한 상기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120)는 서버부(10)에서 수신받은 틀니세척 정보 및 맞춤형 요양서비스부 정보를 틀니사용자의 동의 요청에 의해 동의 받은 보호자에게 전달 받도록 구현된다.The denture user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 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다수의 노인들이 사용하는 틀니에 개인정보식별용NFC, ID칩 또는 블루투스칩을 매립하여 틀니사용자의 정보관리를 용이하게 구축함과 동시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틀니사용자의 틀니세척관리는 물론 구강관리, 식단관리, 요양관리,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 간병인 매칭 등 건강유지를 위한 관리를 틀니사용자 또는 보호자가 접근 용이하게 사용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pplication interlocking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users in which the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as described above, the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NFC, ID chip or Bluetooth chip is embedded in the dentures used by a large number of elderly people. At the same time, information management is easily established, and management for health maintenance such as oral care, diet management, care management, rehabilitation management, medication management, and caregiver matching, as well as denture washing management of denture users through smartphone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make it accessible and usable by the guardia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be made clear.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서버부 20 :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
30 : 틀니세척기관부 40 : 맞춤형 요양서비스부
120 :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10: server unit 20: denture user smartphone terminal unit
30: denture cleaning unit 40: customized care service unit
120: guardian smartphone terminal unit
Claims (10)
상기 스마트틀니의 세척 가능한 틀니세척기를 갖춘 기관찾기 기능이 부여된 틀니세척기관부(30);
상기 스마트틀니를 착용하는 틀니사용자의 구강관리(41), 식단관리(42), 요양관리(43),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44), 간병인 매칭(45)을 포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
상기 틀니세척기관부(30)로부터 틀니의 세척날짜, 세척시간, 틀니보존상태를 포함한 틀니세척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로부터 구강관리(41), 식단관리(42), 요양관리(43),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44), 간병인 매칭(45)의 맞춤형 요양서비스 정보를 수신받는 서버부(10);
상기 서버부(10)에서 수신받은 틀니세척 정보 및 맞춤형 요양서비스부 정보를 전달 받는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
상기 서버부(10)에서 수신받은 틀니세척 정보 및 맞춤형 요양서비스부 정보를 틀니사용자의 동의 요청에 의해 동의 받은 보호자에게 전달 받는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
In the application linkage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users with embedded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NFC, ID chip or Bluetooth chip),
A denture cleaning tube 30 with a function to find an organ equipped with a denture washer that can be cleaned of the smart denture;
Customized care that provides services including oral care (41), diet management (42), care management (43), rehabilitation management, medication management (44), and caregiver matching (45) of denture users who wear the smart dentures service unit 40;
Receives denture washing information including denture washing date, washing time, and denture preservation state from the denture cleaning unit 30, and oral care 41, diet management 42, and care from the customized care service unit 40 Management (43), rehabilitation management, medication management (44), the server unit 10 for receiving customized care service information of caregiver matching (45);
Denture user smart phone terminal unit 20 that receives the denture wash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unit 10 and the customized care service unit information;
The denture wash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unit 10 and the customized care service unit information received by the denture user's consent request by the guardian smart phone terminal unit 120 receiving the consent; Application linkage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users with embedd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상기 틀니세척기관부(30)는 장기요양시설,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행정복지센터를 포함하며, 상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 상에서 장기요양시설,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행정복지센터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지도앱에 연동되어 틀니사용자를 중심으로 가까운 거리의 기관이 검색됨과 아울러, 네비게이션앱에 연동되어 길안내 및 노선안내가 동시에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틀니사용자가 스마트틀니 사용자인 치매노인 또는 독거노인이 등록된 주거지에서 일정반경 이상 이탈했을 때, 보호자 혹은 경찰서, 소방서를 포함한 기관의 협조 아래 스마트폰 GPS를 통한 위치확인을 통해 어플(app)에 가입된 이탈지역의 스마트틀니 사용자에게 실종자 알림기능을 제공토록 함과 아울러, 상기 이탈지역의 일정반경 내에 거주하거나 이동중인 일반시민들에게 실종자 정보(실종자 사진, 이름, 성별, 실종시간, 신장, 나이, 복장을 포함한 신상정보)를 SMS를 통해 알려 주변 발견자가 경찰서나 소방서를 포함한 기관에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enture cleaning unit 30 includes a long-term care facility, a public health center, a dementia safety center, and an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and among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public health centers, dementia safety centers, and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s on the denture user smartphone terminal unit 20 When any one is selected, it is linked to the map app to search for institutions in a short distance centered on the denture user, and it is linked to the navigation app so that directions and route guidance are executed at the same time,
When the denture user is a smart denture user,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or an elderly living alone deviates from the registered residence by more than a certain radius, the denture user is located in the app through smartphone GPS under the cooperation of a guardian or an organization including a police station and a fire station. In addition to providing a missing person notification function to the registered smart denture users in the escape area, information on the missing person (photo, name, gender, disappearance time, height, age,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clothes) through SMS, so that nearby discoverers can contact organizations including police and fire stations.
상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를 통한 서버부(10)에 회원가입 시, 틀니사용자의 개인정보제공 동의 한 다음, 보호자 동의 요청이 SMS로 전송되고 난 후,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120)를 통한 개인정보 동의 승인이 완료되면 로그인이 이루어지고, 상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 상에서 로그인이 이루어지는 로그인창(21)의 측부에 관리자와 채팅 가능한 챗봇창(25)이 마련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registering as a member to the server unit 10 through the denture user smartphone terminal unit 20, after consenting to the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of the denture user, after the parental consent request is sent by SMS, the guardian smartphone terminal unit 120 ), when the approval of personal information consent is completed, login is made, and a chatbot window 25 that can chat with an administrator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login window 21 where login is made on the denture user smartphone terminal 20 An application linkage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users with embedded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ers.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는 구강관리(41), 식단관리(42), 요양관리(43), 재활관리, 복용약물관리(44), 간병인 매칭(45)을 포함하되, 틀니사용자의 운동관리, 배변관리, 목욕관리, 자금(은행)관리를 더 포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ustomized care service unit 40 includes oral care 41, diet management 42, care management 43, rehabilitation management, medication management 44, and caregiver matching 45, but the movement of denture users Application interlocking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users with embedded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management, defecation management, bath management, and fund (bank) management.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에서 구강관리(41) 기능이 선택되면 구강관리사와 치과로 구분되어지되, 상기 구강관리사는 구강세척관리와 구강상태진단으로 구분되며,
상기 구강세척관리는 스마트폰 단말부(20)의 개인정보식별체(NFC, ID칩 또는 블루투스칩) 활성화를 통해 틀니사용자의 스마트틀니 사용에 의한 일, 주, 월, 분기, 년의 스마트틀니 세척주기통계를 데이터화하고,
상기 구강상태진단은 구강관리사가 기간을 정해두고 장기요양시설, 보건소, 치매안심센터, 행정복지센터를 다니며 틀니사용자의 충치, 잇몸건강상태, 구취상태, 치아상태, 틀니상태 등의 구강상태를 기록 및 촬영하여 데이터화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oral care 41 function is selected in the customized care service unit 40, it is divided into an oral manager and a dentist, and the oral manager is divided into oral washing management and oral condition diagnosis,
The oral washing management is smart denture cleaning for days, weeks, months, quarters and years by the use of smart dentures by denture users through the activ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NFC, ID chip or Bluetooth chip) of the smartphone terminal unit 20 Data cycle statistics,
For the oral condition diagnosis, the oral care professional records the oral conditions such as tooth decay, gum health, bad breath, teeth condition, denture condition, etc. and an application interlocking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users with embedded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er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photographed and converted into data.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에서 구강관리(41) 기능이 선택되면 구강관리사와 치과로 구분되어지되, 상기 치과는 틀니의 제작연도, 틀니수리이력, 제작 또는 수리한 병원이름, 잇못상태, 구강엑스레이 사진, 치과병력조회를 포함한 병원기록조회, 담담의사를 포함한 치과관련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구강엑스레이 사진은 치과의사, 위생사 또는 치과기공사가 촬영하여 서버부(10)에 올리면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를 통해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oral care 41 function is selected in the customized care service unit 40, it is divided into oral care and dentistry. If you input dental-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x-ray photos, dental history inquiry, hospital record inquiry, and doctor, and the oral x-ray image is taken by a dentist, hygienist or dental technician and uploaded to the server unit 10, denture user smartphone terminal Application linkage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users with embedded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enables real-time confirmation through the unit 20.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에서 식단관리(42) 기능이 선택되면, 오늘의 식단으로 양식, 중식, 일식, 한식을 포함한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고, 각 메뉴에 맞는 음식종류, 열량, 영양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입력된 식단의 메뉴, 음식종류, 열량, 영양정보는 일, 주, 월, 분기, 년으로 식단데이터화되어 서버부(10)를 통해 저장되며, 틀니사용자 스마트폰 단말부(20) 또는 보호자 스마트폰 단말부(120)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menu management (42) function is selected in the customized nursing service unit 40, a menu including Western food, Chinese food, Japanese food, and Korean food is selected as today's menu, and food types, calories, and nutritional information suitable for each menu are displayed. is input, the menu, food type, calorie, and nutritional information of the entered diet is converted into diet data by day, week, month, quarter, and year and stored through the server unit 10, and the denture user smartphone terminal unit 20 Or an application linkage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users embedded with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er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hecked in real time through the guardian smart phone terminal unit 120 .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에서 요양관리(43) 기능이 선택되면, 의무적으로 담당 요양관리사를 등록하도록 하고, 그런 다음 담당 간병인을 선택하도록 하되, 스마트틀니 사용자가 담당 간병인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간병인의 개인정보 동의 하에 간병인의 이름, 사진, 나이, 학력, 경력, 자격증을 포함한 개인정보를 스마트틀니 사용자, 보호자 또는 제3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care management 43 function is selected in the customized care service unit 40, it is mandatory to register the care manager in charge, and then select the caregiver in charge, but when the smart denture user selects the caregiver in charge, Smart denture users with embedded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ers, characterized in that smart denture users, guardians, or third parties can check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name, photo, age, academic background, career, and qualifications of the caregiver with the consent of the caregiver Application linkage management system for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에서 복용약물관리(44) 기능이 선택되면, 틀니사용자에게 맞도록 설정된 약물이 체크되고, 상기 약물에 맞는 알약이 나열되어 선택가능토록 하되, 상기 알약의 성분이 중복선택되지 않게 설정됨과 아울러, 상기 틀니사용자 본인의 처방전을 촬영하면 자동으로 데이터를 추출하여 약물 또는 알약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medication administration 44 function is selected in the customized care service unit 40, the medication set to fit the denture user is checked, and the pills suitable for the medication are listed so that they can be selected, but the components of the pill are overlapping In addition to being set not to be selected, when the denture user's own prescription is taken, data is automatically extracted to enable the selection of drugs or pills. Application linkage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users with embedded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ers .
상기 맞춤형 요양서비스부(40)에서 간병인매칭(45) 기능이 선택되면, 스마트틀니 사용자가 본인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인근지역 간병인의 위치를 확인토록 하고, 그 간병인의 이름, 사진, 나이, 학력, 경력, 자격증 등을 확인토록 하며, 그 후 스마트틀니 사용자가 간병인을 선택하고, 그 해당 간병인이 개인정보 제공에 대해 동의하게 되면 스마트틀니 사용자와 간병인이 매칭되도록 하고, 상기 매칭이 이루어지면 간병시간 일정, 장소, 시간 및 기타요구사항을 요청토록 하고, 그 요청에 해당되는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식별체가 매립된 스마트틀니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연동 관리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caregiver matching (45) function is selected in the customized care service unit 40, the smart denture user can check the location of a caregiver in the vicinity centering on his or her location, and the caregiver's name, photo, age, academic background, After that, the smart denture user selects a caregiver, and if the caregiver agrees to the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smart denture user and the caregiver are matched. An application interlocking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users with embedded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quest is made for , place, time and other requirements, and the cos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s additionally genera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8255A KR102459730B1 (en) | 2021-02-09 | 2021-02-09 | Application-linked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users with embedded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8255A KR102459730B1 (en) | 2021-02-09 | 2021-02-09 | Application-linked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users with embedded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5131A KR20220115131A (en) | 2022-08-17 |
KR102459730B1 true KR102459730B1 (en) | 2022-10-28 |
Family
ID=8311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8255A KR102459730B1 (en) | 2021-02-09 | 2021-02-09 | Application-linked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users with embedded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973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3885B1 (en) * | 2023-05-09 | 2023-09-04 | (주)덴티로드 | Method for embedding information identification for smart denture use and its information identification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27187A (en) | 2015-01-22 | 2015-03-11 | 한훈섭 | Denture patch for missing protection of the aged and dementia patients |
KR101716091B1 (en) | 2016-06-01 | 2017-03-13 | 한훈섭 | Denture filling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and missing protection |
KR101812080B1 (en) | 2016-11-04 | 2017-12-27 | 한훈섭 | Denture filling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and missing protection |
KR101903961B1 (en) | 2017-02-20 | 2018-10-04 | 한훈섭 | Denture filling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and missing protection |
KR101903962B1 (en) | 2017-02-20 | 2018-10-04 | 한훈섭 | Denture filling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and missing protection |
KR102249107B1 (en) * | 2019-07-22 | 2021-05-07 | (주)덴티로드 | Application mash-up service of identification for emergency situation and oral care |
-
2021
- 2021-02-09 KR KR1020210018255A patent/KR102459730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5131A (en) | 2022-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65896B2 (en) | Compliance data for health-related procedures | |
Harrison et al. | An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an urban minority population of preschool children | |
JP7373101B2 (en) | Patient profile information system, control method for patient profile information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Sreenivas et al. | A study on patient satisfaction in hospitals | |
Oredugba et al. | Assessment of mothers' oral health knowledge: Towards oral health promotion for infants and children | |
Corsello et al. | The child health care system in Italy | |
Chen et al. | Patterns of tooth loss in older adults with and without dementia: a retrospective study based on a Minnesota cohort | |
US20150205922A1 (en) |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an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health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 |
KR102459730B1 (en) | Application-linked management system for smart denture users with embedded personal information identifier | |
Barone et al. | Our life at home: Photos from families inform discharge planning for medically complex children | |
Villarosa et al. | Promoting oral health care among people living in residential aged care facilities: Perceptions of care staff | |
CN109359756A (en) | A kind of net about medical service system and method | |
Rajabiun et al. | A typology of models for expanding access to oral health care for people living with HIV/AIDS | |
Dogac et al. | Healthcare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s in Turkey | |
Szilagyi et al. | Evaluation of behavioral economic strategies to raise influenza vaccination rates across a health system: results from a randomized clinical trial | |
KR20200066794A (en) | System for providing healthcare relay service and method thereof | |
KR102503067B1 (en) | Tooth embedding method of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for emergency situation and disappearance prevention of denture wearer and application linkage service method of tooth embedded typ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 |
Mertz | mHealth to the rescue: growing use of wireless and mobile technologies improves community health, even in rural areas | |
Ram et al. | Impact of diabetic retinopathy awareness training on community health workers’ knowledge and referral practices in Fiji: a qualitative study | |
Heffernan | The ‘new normal’: delivering childhood immunisatio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
Inquimbert et al. | Teledentistry in France: Example of the e-DENT Project | |
CN113571204A (en) | Information intera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 |
Lipman et al. | Pharmaceutical care of terminally ill patients | |
Michaeli et al. | Denture loss: an 8‐month study in a community dental setting | |
Care | Lifting Spiri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