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55063B1 - 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063B1
KR102455063B1 KR1020180039202A KR20180039202A KR102455063B1 KR 102455063 B1 KR102455063 B1 KR 102455063B1 KR 1020180039202 A KR1020180039202 A KR 1020180039202A KR 20180039202 A KR20180039202 A KR 20180039202A KR 102455063 B1 KR102455063 B1 KR 102455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cooking
heat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5919A (ko
Inventor
정유진
심훈섭
양재경
이용수
임학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9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063B1/ko
Priority to EP18215006.0A priority patent/EP3550210B1/en
Priority to EP23195765.5A priority patent/EP4261463A3/en
Priority to US16/269,170 priority patent/US11083321B2/en
Publication of KR20190115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05Warming devices for warming food contained in vessels immersed in a water bath, e.g. chafers or steam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히터를 구비하는 스팀 발생기; 상기 저장실의 바닥벽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하부 히터; 및 상기 스팀 히터 및 상기 하부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스팀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스팀 발생기에서 스팀이 생성되도록 상기 스팀 히터를 작동시키고, 스팀 조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히터를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가열원의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조리기기는 조리실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조리기기는 복수의 가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열원은, 전기히터, 마그네트론, 스팀발생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가 스팀발생기를 포함하는 경우는, 스팀발생기에서 생성된 스팀이 조리실로 공급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24080호에는 가열조리장치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에 개시된 가열조리장치는,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조리실 내에 설치되는 증기발생히터와, 증기발생히터의 일부가 잠기도록 조리실 내에 설치되는 물받이와, 물받이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선행문헌에 의하면, 증기발생동작 후 물받이의 물이 증기발생히터의 잔열에 의해 증발되면서 물받이 내에 잔수가 남지 않는다.
그런데, 조리실 내부로 공급된 증기는 조리실 내에서 응축되어 조리실 바닥으로 낙하되는데, 조리실 바닥으로 낙하된 물(잔수)은 증기발생히터의 잔열에 의해서 증발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조리실 바닥에 히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조리 완료 후에 히터를 추가로 작동시켜 조리실 바닥의 잔수를 증발시키거나, 사용자가 걸레로 직접 조리실 바닥의 잔수를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팀을 이용한 조리 과정에서 조리실 바닥으로 낙하된 물을 조리를 위한 스팀으로 변화시켜 조리에 사용할 수 있는 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조리물의 조리에 사용되는 스팀량을 증가시켜, 신속한 조리가 가능한 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스팀을 이용한 조리 완료 후에 조리실 바닥에 잔수가 존재하지 않는 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히터를 구비하는 스팀 발생기; 상기 저장실의 바닥벽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하부 히터; 및 상기 스팀 히터 및 상기 하부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는, 스팀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스팀 발생기에서 스팀이 생성되도록 상기 스팀 히터를 작동시키고, 스팀 조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히터를 온시킬 수 있다.
상기 조리실 바닥벽에 낙하된 응축수가 효과적으로 스팀으로 변화되도록, 상기 조리실의 바닥벽에는 함몰된 형태의 집수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부 히터는, 스팀 조리 시작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온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의 일측벽에 구비되는 스팀 공급 포트;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기 위한 스팀의 생성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스팀 히터를 포함하는 스팀 발생기; 상기 물탱크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펌프; 상기 저장실의 바닥벽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하부 히터; 및 상기 스팀 히터 및 상기 하부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스팀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스팀 히터의 작동 전에 상기 급수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물탱크로 공급된 물이 상기 물탱크를 지나 상기 스팀 공급 포트를 통해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저장실로 물이 공급된 이후에 상기 스팀 히터와 상기 하부 히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조리실의 바닥벽에는 스팀의 생성을 위한 물이 모이기 위한 집수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히터는, 일정 시간 작동된 후에 오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에서 잔수가 존재하지 않도록, 상기 하부 히터가 오프된 이후에, 스팀 조리 종료 전까지 상기 하부 히터는 1회 이상 재차 온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스팀 조리가 시작되어, 조리실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한 스팀 히터가 작동되는 단계; 상기 스팀 조리 시작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조리실의 바닥벽 하측에 배치된 하부 히터가 온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저장실로 공급되기 위한 스팀의 생성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스팀 히터를 포함하는 스팀 발생기, 상기 물탱크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펌프; 및 상기 저장실의 바닥벽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실의 일측벽에는 상기 물탱크에서 생성된 스팀이 공급되기 위한 스팀 공급 포트가 구비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스팀 조리가 시작되어, 상기 물탱크를 지난 물이 상기 조리실로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급수 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급수 펌프 작동 후 상기 물탱크의 물의 일부를 배수하기 위하여 배수 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수 펌프의 정지 후, 상기 스팀 히터 및 하부 히터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스팀 조리 과정에서 하부 히터가 작동하여 조리실의 하측벽으로 열을 공급하므로, 조리실 하측벽에 존재하는 물이 스팀으로 변화되어 조리물의 조리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조리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조리실 바닥벽에 잔수가 존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스팀 발생기에서 스팀이 생성되기 전에 조리실 바닥의 집수부에 물을 공급하고, 집수부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추가로 생성하므로, 조리물의 조리에 사용되는 스팀량을 증가시켜, 신속한 조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조리실(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으나, 상기 조리기기(1)는 상기 본체(10)에 연결되어 상기 조리실(12)을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실(12)에 수용된 음식물의 조리를 위하여 상기 조리기기(1)는, 복수의 가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열원은 서로 다른 종류의 가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복수의 가열원은, 일 예로 상부 히터(21) 및 하부 히터(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21)는 상기 조리실(12) 내에서 상측부에 위치되며 상기 조리실의 상측으로 열을 가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부 히터(21)가 상기 조리실(12)의 외측에서 상기 조리실(12)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조리실(12)의 상측벽에는 열이 통과하기 위한 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부 히터가 복사 에너지를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리실(12)의 상측벽에는 투과부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부 히터(21)는, 상기 조리실(12)의 외측에서 상기 조리실(12)의 바닥(12a)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히터(21)는 상기 조리실(12)에 수용된 음식물의 하측으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조리실(12)의 바닥벽(12a)에는 물이 모일 수 있는 집수부(12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12b)는 일 예로 상기 바닥벽(12a)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12b)에 모인 물은 상기 하부 히터(21)에 의해서 가열되어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히터(21) 및 상기 하부 히터(22)는 일 예로 전기 히터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열원은, 컨벡션 장치(24)를 구성하는 컨벡션 히터(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벡션 장치(24)는 컨벡션 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컨벡션 팬에 의해서 조리실(12) 내의 공기가 상기 컨벡션 히터(25) 측으로 유동되어 가열된 후에 다시 상기 조리실(1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열원은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기(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 발생기(30)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물을 가열하는 스팀 히터(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 히터(31)에 의해서 물이 가열되면 물이 스팀으로 변화되어, 스팀이 상기 조리실(12)의 일측벽에 형성되는 스팀 공급 포트(33)를 통해 조리실(12)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1)는 상기 물탱크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펌프(34)와, 상기 물탱크에 존재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 펌프(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펌프(34)는, 스팀 조리 과정에서 상기 물탱크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수 펌프(34)는 간헐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물탱크로 물을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수 펌프(35)는 스팀 조리가 완료된 후에 상기 물탱크에 존재하는 잔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1)는, 조리 모드나, 복수의 가열원의 종류 등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41)와, 상기 조작부(41)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의해서 복수의 가열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가열원이 구비되므로, 본 실시 예의 조리기기(1)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다양한 조리 모드를 이용하여 조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조리 모드는 적어도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스팀 조리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 조리 모드에서는 복수의 가열원 중 적어도 상기 스팀 히터(31)가 작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팀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스팀 조리가 시작될 수 있다(S1).
스팀 조리를 위해서는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스팀 히터(31)를 작동시킨다(S2). 상기 물탱크에서는 물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나, 상기 물탱크 내의 예열을 위하여, 상기 스팀 히터(31)가 먼저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물탱크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펌프(34)를 작동시킬 수 있다(S3).
이때,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물탱크에 잔존할 수 있는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 펌프(34) 작동 전에 상기 배수 펌프(35)를 일정 시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물탱크에 물이 잔존한 시간이 오래되면, 상기 물탱크 내에서 스케일이 물과 섞인 상태가 되므로, 상기 물탱크 내의 스케일을 잔수와 함께 배수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 펌프(35)가 먼저 작동될 수 있다.
만약, 스케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물이 가열되면, 스팀과 함께 스케일이 조리실로 공급될 수 있고, 이 경우, 스케일이 조리물에 부착될 우려가 있으나, 상기 급수 펌프(34) 작동 전에 배수 펌프(35)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이러한 우려가 없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배수 펌프(35)가 먼저 작동한 이후에 상기 스팀 히터(31)가 작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스팀 조리 모드가 시작되면, 상기 급수 펌프(34)와 상기 스팀 히터(31)가 함께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펌프(34)가 먼저 작동되어 물의 공급이 시작된 후에 상기 스팀 히터(31)가 작동할 수 있다.
스팀 조리의 시작 초기에 상기 급수 펌프(34)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물탱크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1공급량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1공급량은 상기 물탱크의 최대 용량 보다 적은 용량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에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스팀 히터(31)가 작동하면, 상기 스팀 히터(31)의 열에 의해서 상기 물탱크의 물이 가열되어 스팀으로 변화되고, 상기 물탱크 내에서 생성된 스팀은 상기 스팀 공급 포트(33)를 통해 조리실(12)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스팀 히터(31)는 스팀 조리 전체 과정에서 온 및 오프를 반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팀 히터(31)는 상기 컨트롤러(40)에 의해서 간헐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펌프(34)도 스팀 조리 전체 과정에서 온 및 오프를 반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급수 펌프(34)는 상기 컨트롤러(40)에 의해서 간헐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조리실(12) 내부로 공급된 스팀은 조리물을 가열하게 된다. 상기 조리실(12) 내로 공급된 스팀 중 일부는 조리물과 접촉된 후에 응축되어 조리물을 따라 하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상기 조리실(12) 내로 공급된 스팀 중 다른 일부는 조리물과 접촉되지 않고, 상기 조리실(12) 내에서 응축되어 상기 조리실(12)의 바닥벽(12a)으로 낙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리실(12)의 바닥벽(12a)에는 함몰된 형태의 집수부(12b)가 구비되므로, 응축수가 상기 집수부(12b)에 모이게 된다.
이때, 스팀 조리 시간이 증가될 수록 상기 집수부(12b)에 모이는 응축수의 양은 증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집수부(12b)에 모인 응축수를 조리에 활용하기 위하여, 상기 컨트롤러(40)는, 스팀 조리 시작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
단계 S4에서 판단 결과, 스팀 조리 시작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하부 히터(22)를 온시킨다(S5).
상기 하부 히터(22)가 온되면, 상기 하부 히터(22)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서 상기 집수부(12b)에 모인 물이 가열되어 스팀이 생성된다.
이러한 스팀은 상기 조리물을 가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스팀 조리 과정에서 상기 스팀 발생기(30)에서 생성된 스팀 및 상기 집수부(12b)에 모인 물이 가열되어 생성된 스팀에 의해서 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스팀 발생기(30)의 물탱크의 용량이나 스팀 히터(31)의 출력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조리물의 가열에 사용되는 스팀의 양이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리물의 가열에 사용되는 스팀의 양이 증가되는 경우 조리물의 조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컨트롤러(40)는, 스팀 조리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S6), 스팀 조리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스팀 히터(31) 및 상기 하부 히터(22)를 오프시킬 수 있다(S7).
상기 하부 히터(22)에 의해서 상기 집수부(12b)에 저장된 물이 가열되면 상기 스팀 조리 완료 후에 상기 집수부(12b)에 잔수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스팀 조리 완료 후에 상기 집수부(12b)의 잔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불필요하게 히터가 작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스팀 조리 완료 후에 상기 집수부(12b)의 잔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집수부(12b)를 직접 청소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번거로움이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팀 조리가 시작된 초기에는 상기 집수부(12b)에 집수된 물의 양이 적기 때문에, 상기 하부 히터(22)를 작동시켜도 발생되는 스팀의 양이 거의 적고, 상기 하부 히터(22) 자체의 열에 의해서 상기 조리물이 과도하게 가열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스팀 조리 시작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하부 히터(22)를 온시킨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하부 히터(22)가 스팀 조리가 완료된 후에 오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스팀 조리 완료 전에 상기 하부 히터(22)가 오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하부 히터(22)의 오프 시간과 스팀 조리 완료 시점 간의 시간 차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 하부 히터(22)를 스팀 조리 완료 전에 먼저 오프시킨 상태에서 상기 집수부(12b)에 물이 일부 존재하더라도, 상기 집수부(12b)에 존재하는 잔수는 상기 하부 히터(22)의 잔열에 의해서 가열되어 증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하부 히터(22)는 스팀 조리의 종료 전까지 간헐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른 조리기기의 구성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하부 히터에 의해서 추가적인 스팀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팀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스팀 조리가 시작될 수 있다(S11).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스팀 히터(31)의 작동 전에 상기 집수부(12b)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 펌프(34)를 작동시킬 수 있다(S12).
상기 급수 펌프(34)에 의해서 상기 물탱크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2공급량이라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물탱크를 지난 물이 상기 조리실 내로 공급되어 상기 집수부(12b)에 모일 수 있도록, 상기 제2공급량은 상기 제1공급량 보다 클 뿐만 아니라 상기 물탱크의 최대 용량 보다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공급량은 상기 물탱크의 최대 용량, 상기 물탱크에서 상기 스팀 공급 포트(33)를 연결하는 스팀 유로 내의 최대 용량 보다 큰 용량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로 공급된 물이 상기 물탱크에서 넘쳐 상기 스팀 공급 포트(33)를 통해 상기 조리실(12)로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물탱크로 공급된 물이 상기 조리실(12)로 공급되므로, 설령 물탱크에 스케일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스케일이 상기 물탱크에서 배출되어 상기 조리실(12)의 바닥벽(12a)으로 물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리실(12)의 집수부(12b)에 스케일이 쌓이게 되므로, 상기 집수부(12b)의 물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케일이 상기 조리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12b)에 스케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조리 완료 후에 사용자가 쉽게 상기 집수부(12b)에 존재하는 스케일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공급량 만큼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급수 펌프(34)가 작동된 후에는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급수 펌프(34)를 정지시키고, 상기 배수 펌프(35)를 작동시킨다(S13).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급수 펌프(34)의 작동이 정지되면, 상기 물탱크에 물이 가득찬 상태가 될 뿐만 아니라 상기 물탱크와 상기 스팀 공급 포트(33)를 연결하는 유로에도 물이 잔존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스팀 히터(31)가 작동하게 되면, 스팀이 발생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이 길어지고, 물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물이 상기 조리실(12)의 바닥벽(12a)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 펌프(34)가 정지된 후에는 상기 물탱크의 물의 양의 일부를 배수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 펌프(35)가 작동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스팀 히터(31)가 간헐적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스팀 히터(31)의 작동을 제어한다(S14).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집수부(12b)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이 생성되도록 상기 하부 히터(22)를 일정 시간 작동 시킨 후 오프시킨다(S15).
이때, 상기 스팀 히터(31)와 상기 하부 히터(22)는 동시에 작동 시작하거나 어느 하나가 작동된 후에 다른 하나가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급수 펌프(34)가 간헐적으로 작동하도록 상기 급수 펌프(34)를 제어한다(S16).
스팀 조리 전체 과정 중 일부 구간에서는 상기 하부 히터(22)와 상기 스팀 히터(31)가 동시에 작동할 수 있고, 다른 일부 구간에서는 상기 스팀 히터(31) 만이 작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팀 조리 과정에서, 상기 스팀 발생기(30)에 의해서 생성되어 상기 조리실(12)로 공급된 스팀의 일부는 응축되어 상기 집수부(12b)에 모일 수 있다.
그런데, 스팀 조리 과정에서, 상기 집수부(12b)에 모이는 물의 양은 상기 스팀 조리 시작 시에 상기 집수부(12b)로 공급되는 물이 양 보다 적다.
따라서, 상기 하부 히터(22)가 동작되어 상기 집수부(12b)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되, 상기 집수부(12b)에 물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 상태에서 상기 하부 히터(22)가 작동하는 시간이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부 히터(22)는 일정 시간 작동 후에 정지된다.
상기 하부 히터(22)가 정지된 이후에도 상기 집수부(12b)에는 응축수가 모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하부 히터(22)가 한번 작동하고 정지된 이후, 스팀 조리 종료 전까지 상기 하부 히터(22)가 1회 이상 온된 후 오프되도록 상기 하부 히터(2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40)는, 스팀 조리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S18), 스팀 조리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스팀 히터(31)를 오프시킬 수 있다(S19).
다른 예로서, 상기 하부 히터(22)가 한번 작동하고 정지된 이후, 상기 하부 히터(22)는 재차 온되고, 스팀 조리 종료 전에 오프되거나, 스팀 조리 종료 시 스팀 히터와 함께 오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집수부(12b)로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히터(22)가 작동하므로, 스팀 조리 과정에서 조리물의 가열에 사용되는 스팀의 양이 한층 더 증가될 수 있어 조리물의 조리 시간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조리기기 10: 본체
12: 조리실 22: 하부 히터
30: 스팀 발생기 31: 스팀 히터
34: 급수 펌프 35: 배수 펌프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의 일측벽에 구비되는 스팀 공급 포트;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기 위한 스팀의 생성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스팀 히터를 포함하는 스팀 발생기;
    상기 물탱크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펌프;
    상기 저장실의 바닥벽의 하측에 위치되며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하부 히터; 및
    상기 스팀 히터 및 상기 하부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스팀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스팀 히터의 작동 전에
    상기 급수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물탱크로 공급된 물이 상기 물탱크를 지나 상기 스팀 공급 포트를 통해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저장실로 물이 공급된 이후에 상기 스팀 히터와 상기 하부 히터를 작동시키는 조리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 펌프 작동 후, 상기 스팀 히터의 작동 전에 상기 물탱크의 물의 일부를 배수하기 위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수 펌프를 작동시키는 조리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하부 히터가 일정 시간 작동 후에는 상기 하부 히터를 오프시키는 조리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하부 히터의 오프 이후에, 스팀 조리 종료 전까지 상기 하부 히터를 1회 이상 온시키는 조리기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바닥벽에는, 물이 모이기 위한 함몰된 형태의 집수부가 구비되는 조리기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저장실로 공급되기 위한 스팀의 생성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스팀 히터를 포함하는 스팀 발생기, 상기 물탱크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펌프; 및 상기 저장실의 바닥벽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실의 일측벽에는 상기 물탱크에서 생성된 스팀이 공급되기 위한 스팀 공급 포트가 구비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스팀 조리가 시작되어, 상기 물탱크를 지난 물이 상기 스팀 공급 포트를 통해 상기 저장실로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급수 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급수 펌프 작동 후 상기 물탱크의 물의 일부를 배수하기 위하여 배수 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수 펌프의 정지 후, 상기 스팀 히터 및 하부 히터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히터는 일정 시간 작동 후 정지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히터가 일정 시간 작동 후 정지된 이후에는, 스팀 조리 종료 전까지 1회 이상 온된 후 오프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히터가 일정 시간 작동 후 정지된 이후에는, 상기 하부 히터가 재차 온되고, 스팀 조리 종료 전에 오프되거나 스팀 조리 종료 시 상기 스팀 히터와 함께 오프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20180039202A 2018-04-04 2018-04-04 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455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202A KR102455063B1 (ko) 2018-04-04 2018-04-04 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EP18215006.0A EP3550210B1 (en) 2018-04-04 2018-12-21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steam gen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cooking appliance
EP23195765.5A EP4261463A3 (en) 2018-04-04 2018-12-21 Cooking appliance
US16/269,170 US11083321B2 (en) 2018-04-04 2019-02-06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202A KR102455063B1 (ko) 2018-04-04 2018-04-04 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919A KR20190115919A (ko) 2019-10-14
KR102455063B1 true KR102455063B1 (ko) 2022-10-14

Family

ID=6475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202A KR102455063B1 (ko) 2018-04-04 2018-04-04 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83321B2 (ko)
EP (2) EP4261463A3 (ko)
KR (1) KR1024550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356B1 (ko) * 2018-04-12 2019-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N113951741B (zh) * 2021-12-02 2023-03-14 深圳市晨北科技有限公司 一种烹饪设备及其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3684A1 (en) 2007-11-26 2009-05-2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Cooking Vegetables Using Steam
US20100178395A1 (en) * 2007-11-26 2010-07-1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baking a casserole using steam
US20170343221A1 (en) * 2016-05-26 2017-11-30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team cooking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3032B1 (en) * 2002-11-05 2004-12-21 Blodgett Holdings, Inc. Automatic deliming process
KR20050027460A (ko) * 2003-09-15 2005-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열증기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24080B1 (ko) 2003-12-09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KR101132331B1 (ko) * 2004-07-14 2012-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06472A (ko) * 2004-07-16 2006-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JP4311688B2 (ja) * 2006-11-02 2009-08-12 シャープ株式会社 排気蒸気希釈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加熱調理器
WO2016034240A1 (en) * 2014-09-04 2016-03-1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oven with an integrated water evaporator
JP6579301B2 (ja) * 2014-10-10 2019-09-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A2973550C (en) * 2015-01-23 2023-09-26 Balmuda Inc. Heating cooker
CN109642732B (zh) * 2016-08-29 2020-08-25 夏普株式会社 加热烹调器
DE102016121306B3 (de) 2016-11-08 2017-11-30 Miele & Cie. Kg Haushaltgerät und Elektrisches Heizelement zur Verwendung in einem Haushaltgerät
KR102357903B1 (ko) * 2017-05-19 2022-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3684A1 (en) 2007-11-26 2009-05-2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Cooking Vegetables Using Steam
US20100178395A1 (en) * 2007-11-26 2010-07-1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baking a casserole using steam
US20170343221A1 (en) * 2016-05-26 2017-11-30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team cook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07281A1 (en) 2019-10-10
EP4261463A2 (en) 2023-10-18
KR20190115919A (ko) 2019-10-14
US11083321B2 (en) 2021-08-10
EP4261463A3 (en) 2023-10-25
EP3550210A1 (en) 2019-10-09
EP3550210B1 (en) 202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9612B1 (ja) 加熱調理器
CN107105939B (zh) 加热烹调装置
JP5530676B2 (ja) 加熱調理器
WO2016035592A1 (ja) 蒸気発生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KR102455063B1 (ko) 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30013181A (ko) 취반기능을 갖는 전자렌지 및 그 제어방법
JP2008185293A (ja) 加熱調理器
JP2007303816A (ja) 加熱調理器
JP2014159951A (ja) 加熱調理器
JP5542525B2 (ja) 加熱調理器
KR101388895B1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JP6267309B2 (ja) 蒸気調理器
JP2005241188A (ja) 蒸気調理器および蒸気発生装置
JP4194642B2 (ja) 加熱調理器
JP2007232320A (ja) 加熱調理装置
KR101388874B1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JP6043414B2 (ja) 蒸気調理器
JP4432524B2 (ja) 加熱装置
JP5797729B2 (ja) 蒸気調理器
JP6869574B2 (ja) 加熱調理装置
JP5743660B2 (ja) 蒸気発生装置
JP4987635B2 (ja) 蒸気調理器
JP2006159085A (ja) 生ごみ処理機
WO2015194440A1 (ja) 加熱調理器
JP6411140B2 (ja) 蒸気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