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946B1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wner Verification Of Avatar Information To Protect Avatar Information In The Metaverse Platform From False Avatar Information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wner Verification Of Avatar Information To Protect Avatar Information In The Metaverse Platform From False Avatar Inform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3946B1 KR102443946B1 KR1020220027138A KR20220027138A KR102443946B1 KR 102443946 B1 KR102443946 B1 KR 102443946B1 KR 1020220027138 A KR1020220027138 A KR 1020220027138A KR 20220027138 A KR20220027138 A KR 20220027138A KR 102443946 B1 KR102443946 B1 KR 1024439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avatar
- user
- unit
- ag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5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3930 cognitive abi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7081 physical acti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5485 pulse pressur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10200 validation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424 eye m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21 facial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709 eyebrow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4464 Peri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26 effect on cardiovascular syst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073 rheumatoid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Dentistry (AREA)
- Bioeth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허위 아바타 정보로부터 메타버스플랫폼 내 아바타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아바타의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VR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 활동정보, 및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속에서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NFT에 등록하고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메타버스플랫폼에 제공하여 상기 NFT에 등록되어 있는 소유자정보 및 아바타해시정보를 기준으로 메타버스플랫폼에서 수신한 소유자정보 검증 및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의 위변조를 검증하는, 아바타의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wner verification of avatar information for protecting avatar information in a metaverse platform from false avatar information, and a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ctivity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through a VR device. , and based on this, an avatar can be created in virtual reality,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is registered in the NFT, and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is provided to the metaverse platform to provide owner information and avatar registered in the NFT. A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owner information received from a metaverse platform based on hash information and verify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and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wner verification for avatar information.
메타버스 기술이란 가상 자아인 아바타를 통해 경제, 사회, 문화, 정치 활동 등을 이어가는 4차원 가상 시공간 할 수 있다. 상기 메타버스 기술은 가상현실, 증강현실, 거울세계 및 라이프로깅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메타버스 기술은 게임, 교육, 쇼핑, 의료 및 관광 등 다양한 기술분야와 접목되어 활용되고 있고, 구체적으로 메타버스에서 구현한 게임, 교육, 쇼핑, 의료 및 관광 등의 플랫폼을 아바타를 통해 체험할 수 있어, 아바타 생성은 필수적이다.Metaverse technology is a four-dimensional virtual space-time that connects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activities through an avatar, a virtual self. The metaverse technology is a concept including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mirror world, and lifelogging. These metaverse technologies are being used in conjunction with various technological fields such as games, education, shopping, medical care and tourism. Therefore, avatar creation is essential.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정보가 반영되어 있는 아바타의 활용도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아바타에 사용자의 의료데이터가 반영되어 있는 경우에는, 아바타를 활용하여 메타버스 내의 의료서비스, 원격진료를 수행할 수 있고, 보험심사에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의료데이터의 소유자가 바뀌어 자신의 의료데이터가 아닌 다른 사람의 의료데이터가 반영되거나, 위변조 될 경우에는 상기 아바타에 대한 신뢰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Accordingly, the utilization of the avatar reflecting the user's information is expected to be high. For example, when the user's medical data is reflected in the avatar, the avatar can be used to perform medical services and telemedicine in the metaverse, and can be used for insurance review. However, when the owner of such medical data is changed and other people's medical data is reflected or forged, there may be a problem of reliability of the avatar, so a system is needed to solve this problem. .
한편, NFT는 Non-Fungible Token의 약자로, 대체불가토큰을 말한다. NFT는 디지털 원본을 증명하고, 희소성의 가치를 부여해준다. NFT는 특정한 자산을 나타내는 디지털파일로 NFT 각각은 고유성을 지니고 있어 상호 대체가 불가능하고, 블록체인상에 존재한다. NFT는 한번 생성되면 삭제하거나 위조할 수 없기 때문에 NFT로 등록되어 있는 자산에 대한 원본을 인증하고,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다. 디지털 영역의 특성상 디지털 자산은 무제한 복사 및 배포가 가능한데, NFT를 활용하면 디지털 자산에 대해 희소성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변경불가능한 NFT의 특성을 활용하여 데이터에 대한 위변조 검증을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NFT stands for Non-Fungible Token and refers to non-fungible tokens. NFT proves the digital original and gives it a value of scarcity. An NFT is a digital file representing a specific asset, and each NFT has its own uniqueness, so it cannot be replaced with each other and exists on the blockchain. Since NFTs cannot be deleted or forged once created, they can authenticate the original and prove ownership of assets registered as NFTs. Due to the nature of the digital domain, unlimited copying and distribution of digital assets is possible, but by using NFT, scarcity value can be given to digital asset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verify the forgery of data by utilizing the immutable characteristics of the NFT.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상현실이란 사용자가 HMD(Head Mounted Display)장치 등의 입출력장치를 착용함으로써 컴퓨터 상에서 구현되는 가상의 공간을 체험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서, 사용자가 현실 세계와 유사하게 구현되는 가상의 공간에서 시간적, 공간적 제약없이 특정 상황에 대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가상현실 기술은 값비싼 장비 및 가상현실 콘텐츠의 부족으로 인해 빠른 시일 내에 대중화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기도 했으나, 최근에는 VR 및 AR장치의 보급과 비대면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가상현실 기술 또한 재조명 받고 있는 상황이다.Virtual reality, which is used to create an avatar, is a technology that allows a user to experience a virtual space implemented on a computer by wearing an input/output device such as a head mounted display (HMD) device. It is a technology that allows you to experience a specific situation without temporal or spatial constraints in the implemented virtual space. It was predicted that such virtual reality technology would be difficult to popularize in the near future due to the lack of expensive equipment and virtual reality content. It is also being re-examined.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위한 헬스케어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으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22776호에서는 사용자에 대한 4D아바타를 생성하고 특정 동작에 대한 수행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재활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사용자의 관절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정보를 추정하고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사용자 아바타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생체특성을 고려하여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와 유사한 아바타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몰입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하는 바가 없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생성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메타버스플랫폼에 제공할 때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해서 위변조 검증을 하는 방법을 개시하는 바가 없었다.As a method for building a health care environment for user's health promotio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20-0022776 creates a 4D avatar for the user and induces the user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without requiring the user to visit the hospital. A method for performing rehabilitation exercises has been suggested. However, the prior art simply estimates the user's move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joint information and generates a user avatar that can experience virtual reality. There is no disclosure on a method of generating and improving user immersion.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chniques as described above did not disclose a method of verifying forgery or falsification of the information on the avatar when the information on the created avatar is provided to the metaverse platform.
따라서, 사용자의 외형 및 신체특성과 유사한 아바타를 생성하고,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메타버스플랫폼에 제공하고,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의 소유자 및 위변조를 검증하여 아바타에 반영되어 있는 사용자의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Therefore, an avatar similar to the user's appearance and body characteristics is created,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is provided to the metaverse platform, and the owner and forgery of the information on the avatar are verified to protect the user's information reflected in the avatar. The need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do this is emerging.
본 발명은 허위 아바타 정보로부터 메타버스플랫폼 내 아바타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아바타의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VR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 활동정보, 및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속에서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NFT에 등록하고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메타버스플랫폼에 제공하여 상기 NFT에 등록되어 있는 소유자정보 및 아바타해시정보를 기준으로 메타버스플랫폼에서 수신한 소유자정보 검증 및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의 위변조를 검증하는, 아바타의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wner verification of avatar information for protecting avatar information in a metaverse platform from false avatar information, and a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ctivity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through a VR device. , and based on this, an avatar can be created in virtual reality,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is registered in the NFT, and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is provided to the metaverse platform to provide owner information and avatar registered in the NFT. A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owner information received from a metaverse platform based on hash information and verify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of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and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wner verification for avatar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허위 아바타 정보로부터 메타버스플랫폼 내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에게 장착되어 가상현실에 대한 영상 및 소리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목소리를 감지하는 HMD; 사용자의 외형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이미지정보를 도출하는 카메라장치; 상기 사용자의 두부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뇌파측정기; 상기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할 수 있는 맥박측정기;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동작센싱장치;를 포함하는 VR장치; VR장치를 통하여 수집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를 생성하고, 해당 아바타에 대한 NFT를 생성하는 아바타관리부; 및 상기 아바타관리부로부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메타버스플랫폼 내의 사용자의 활동에 적용하는 메타버스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아바타관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VR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VR장치로 가상현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복수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VR서비스부; 상기 아바타에 대한 고유의 속성과 관련된 객채정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관련된 입력정보 및 상기 아바타의 원본 상태에 관련된 원본정보를 포함하는 아바타해시정보를 외부의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전송하여 NFT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생성된 NFT를 제공하는 아바타NFT제공부; 및 메타버스플랫폼에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메타버스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상기 아바타를 이용하여 인터랙션한 인터랙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아바타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아바타업데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버스플랫폼은, 상기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소유자정보인 제1소유자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아바타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 중 소유자정보인 제2소유자정보를 비교검증하고, 상기 제2소유자정보가 검증된 경우에, 상기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아바타해시정보의 제1해시값을 기준으로, 상기 아바타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제2해시값을 비교검증하는 아바타정보검증부; 상기 제2해시값이 검증된 경우에, 상기 아바타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해당 메타버스플랫폼 내의 사용자의 활동에 적용하는 아바타정보적용부; 및 상기 메타버스플랫폼 내의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인터랙션정보를 생성하는 인터랙션정보생성부;를 포함하는,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 system that provides owner verification for avatar information to protect information about avatars in the metaverse platform from false avatar information, which is mounted on a user to provide video and sound for virtual reality. HMD for providing and detecting the user's voice; a camera device that captures the user's appearance and derives image information of the user; an EEG attached to the user's head to measure the user's EEG; a pulse meter attached to the user's wrist to measure the user's pulse; and a motion sensing device for measuring the user's movement; a VR device comprising; an avatar management unit that generates an avatar based on user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VR device and generates an NFT for the avatar; and a metaverse platform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from the avatar management unit and applies the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to the user's activities in the metaverse platform, wherein the avatar management unit comprises: a VR device worn by the user; a VR service unit performing communication, providing information about virtual reality to the VR device, and providing a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to the user by generating an avatar of the user; NFT is generated by transmitting avatar hash information including obje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unique properties of the avatar, in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origi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state of the avatar to an external blockchain network. an avatar NFT providing unit for requesting and providing the generated NFT to the user; and an avatar update unit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to the metaverse platform, receives interaction information that a user has interacted with using the avatar on the metaverse platform, and updates the avatar, The metaverse platform compares and verifies the second owner information, which is the owner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received from the avatar management unit, based on the first owner information, which is the owne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NFT of the avatar, and 2 When the owner information is verified, a second hash value of the avata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vatar management unit is compared and verified based on the first hash value of the avatar hash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NFT of the avatar. avatar information verification unit; an avatar information application unit for applying the avata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vatar management unit to the user's activities in the corresponding metaverse platform when the second hash value is verified; and an interac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intera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activity in the metaverse platfor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VR서비스부는, 상기 사용자만 이용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현실 콘텐츠가 제공되는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구현부; 상기 VR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주고받는 VR통신부; 상기 VR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활동정보 및 의료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정보입력부; 상기 가상현실구현부에 의해 구현된 가상현실 내에 상기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생성부; 및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R service unit, available only to the user, and implementing a virtual reality in which the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are provided, a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unit; a VR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VR device to exchange information;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R device; and a user inform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and activity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s smartphone; an avatar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avatar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in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ed by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ing unit; and
상기 가상현실에 생성된 아바타에게 상기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를 수행할 때마다 상기 아바타의 외형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VR콘텐츠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카메라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이미지정보; 상기 뇌파측정기로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뇌파정보; 및 상기 맥박측정기로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맥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VR content providing unit configured to provide the plurality of contents to the avatar generated in the virtual reality, and update the appearance of the avatar whenever the avatar is performed, wherein the biometric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camera device. received image information; EE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EG; and the user's puls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ulse me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바타정보검증부는, 상기 아바타관리부로부터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아바타정보수신단계; 상기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소유자정보인 제1소유자정보를 수신하는 아바타NFT소유자수신단계; 수신한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서 아바타의 소유자정보인 제2소유자정보를 추출하는 아바타정보소유자추출단계; 상기 제1소유자정보 및 상기 제2소유자정보를 비교하여 소유자를 검증하는 제1비교검증단계; 상기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아바타해시정보의 제1해시값을 수신하는 아바타NFT해시값수신단계; 수신한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해시함수를 적용하여 제2해시값을 도출하는 아바타정보해시값도출단계; 및 상기 제1해시값 및 상기 제2해시값을 비교하여 위변조를 검증하는 제2비교검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소유자정보 및 상기 제2소유자정보가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아바타NFT해시값수신단계 내지 상기 제2비교검증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atar information verification unit includes: an avatar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from the avatar management unit; an avatar NFT owner receiving step of receiving first owner information, which is owne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NFT of the avatar; an avatar information owner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second owner information, which is owner information of the avatar, from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avatar; a first comparison verification step of verifying an owner by comparing the first own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owner information; an avatar NFT hash value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first hash value of avatar hash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NFT of the avatar; an avatar information hash value deriving step of deriving a second hash value by applying a hash function to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avatar; and a second comparison verification step of verifying forgery by comparing the first hash value and the second hash value, wherein only when the first own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owner information are the same, the avatar NFT hash value The receiving step to the second comparison verification step may be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바타정보적용부는, 상기 아바타정보검증부에서 상기 제1해시값 및 상기 제2해시값이 동일하다고 검증한 경우에만,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의 소유자에게 승인을 요청하는 정보적용승인단계; 및 상기 소유자가 승인한 경우에만, 상기 아바타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해당 메타버스플랫폼 내의 사용자의 활동에 적용하는 아바타정보적용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atar information application unit requests approval from the owner of the information on the avatar only when the avatar information verification unit verifies that the first hash value and the second hash value are the same. information application approval step; and applying the avata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vatar management unit to the user's activities in the corresponding metaverse platform only when the owner approves the avatar information application ste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바타업데이트부는, 상기 메타버스플랫폼에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아바타정보제공단계; 상기 메타버스플랫폼에서 상기 아바타에 해당하는 인터랙션정보를 수신하는 인터랙션정보수신단계; 및 상기 인터랙션정보 중 아바타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아바타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를 업데이트하는 아바타업데이트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atar update unit includes an avatar information providing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avatar to the metaverse platform; an interac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intera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vatar from the metaverse platform; and extracting avatar-related information from the interaction information and updating the avatar based on the avatar-related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바타업데이트단계는, 상기 메타버스플랫폼에서 게임을 제공하는 경우에, 레벨업정보, 수집아이템개수 및 퀘스트클리어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노화정보를 조절하고, 상기 노화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피부상태정보, 모발상태정보, 골격의 휘어진 정도, 눈의 기울기 및 입모양에 대해 아바타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메타버스플랫폼에서 게임을 제공하는 경우에, 사용시간, 습득스킬개수 및 착용아이템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속도를 조절하고, 상기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아바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vatar update step, when the game is provided on the metaverse platform, the aging information is adjusted based on the level-up information, the number of collected items, and the number of cleared quests, and the aging information Based on the avatar's skin condition information, hair condition information, skeleton curvature, eye inclination, and mouth shape, the avatar is updated, and when the game is provided on the metaverse platform, the time used, the number of skills acquired and adjusting the moving speed based on the number of worn items, and updating the avatar based on the moving spe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바타생성부는, 복수의 상기 이미지정보로부터 각각의 외형특징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복수의 외형특징정보를 평균화하여 1차원 벡터의 형태의 캐릭터결정파라미터를 도출하고, 상기 캐릭터결정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기본외형을 결정하는 기본외형결정부; 상기 생체정보를 1 이상의 인공신경망 모델에 입력하여 아바타의 노화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기본외형에 상기 노화정보에 상응하는 제1그래픽효과를 추가하는 노화정보결정부;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도출되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이동거리 혹은 걸음수에 기초하여, 이동거리 혹은 걸음수가 클수록 이동속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아바타의 이동속도를 결정하는 이동속도결정부; 및 해당 사용자가 입력한 1 이상의 병력을 포함하는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질환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1그래픽효과가 추가된 상기 기본외형에 상기 질환정보에 상응하는 제2그래픽효과를 추가하는 질환정보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atar generating unit derives each appearance feature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the image information, and averages the derived plurality of appearance feature information to derive a character determination parameter in the form of a one-dimensional vector, , a basic appearanc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basic appearance of the avatar based on the character determination parameter; an aging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that inputs the biometric information into one or mor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to determine aging information of the avatar, and adds a first graphic effect corresponding to the aging information to the basic appearance; a movement speed determiner for determining the movement speed of the avatar in a manner that increases the movement speed as the movement distance or number of steps increases, based on the movement distance or the number of steps for a preset time derived from the user's smartphone; and determining disease information of the avatar based on medical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medical history input by the user, and adding a second graphic effect corresponding to the disease information to the basic appearance to which the first graphic effect is added. It may include; a disease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화정보결정부는, 상기 카메라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이미지정보를 입력 받아 제1노화정보를 출력하는 제1인공신경망; 상기 뇌파측정기로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뇌파정보를 입력 받아 제2노화정보를 출력하는 제2인공신경망; 상기 맥박측정기로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맥박정보를 입력 받아 제3노화정보를 출력하는 제3인공신경망; 및 상기 제1노화정보, 상기 제2노화정보, 및 상기 제3노화정보를 합산하여, 최종적인 노화정보를 도출하는 종합판단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ging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includes: a first artificial neural network that receives ima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amera device and outputs first aging information; a second artificial neural network that receives the user's EE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EEG and outputs second aging information; a third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receiving the user's puls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ulse meter and outputting third aging information; and a comprehensive determination module for deriving final aging information by summing the first aging information, the second aging information, and the third ag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VR콘텐츠제공부는, 해당 사용자의 상기 노화정보에 기초하여 난이도가 결정되고, 사용자의 인지능력 및 집중도 강화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콘텐츠제공부; 해당 사용자의 상기 활동정보에 기초하여 난이도가 결정되고, 사용자의 신체 활동 강화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2콘텐츠제공부; 해당 사용자의 상기 질환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종류가 결정되고 재활훈련이 필요한 신체부위 또는 인지능력에 대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3콘텐츠제공부; 상기 제1콘텐츠제공부, 상기 제2콘텐츠제공부, 및 상기 제3콘텐츠제공부에서 제공한 콘텐츠에 대한 수행에 따른 수행결과, 콘텐츠에 대한 수행기간 동안 상기 뇌파측정기에 의하여 측정된 뇌파정보, 및 상기 맥박측정기에 의하여 측정된 맥박정보에 기초하여, 1 이상의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1 이상의 스코어에 따라 상기 노화정보를 조절하는 노화정보조절부; 상기 노화정보조절부에 의하여, 조절된 노화정보에 따라 상기 제1그래픽효과를 조절하여 해당 사용자의 아바타의 외형을 업데이트하는 아바타외형업데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R content providing unit, the first content system, which provides content for which the difficulty is determined based on the aging information of the user and can perform the user's cognitive ability and concentration strengthening training study; a second cont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content for which difficulty is determined based on the activit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and for which the user's physical activity reinforcement training can be performed; a third cont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content for which a type of content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disease information and training for a body part or cognitive ability requiring rehabilitation train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first contents providing unit, the second contents providing unit, and the third contents providing unit, EE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EEG measuring device during the execution period for the contents, and Based on the puls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ulse meter, the aging information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one or more scores, and adjusting the ag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ne or more scores; and an avatar appearance update unit configured to update the appearance of the user's avatar by adjusting the first graphic effect according to the adjusted aging information by the aging information adjust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콘텐츠제공부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1콘텐츠는, 틀린그림찾기, 산수 및 퍼즐 맞추기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 및 집중도를 강화하기 위한 콘텐츠고, 상기 제2콘텐츠제공부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2콘텐츠는, 걷기, 스트레칭 및 스쿼트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활동 강화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고, 상기 제3콘텐츠제공부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3콘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부상을 입은 신체부위에 대한 집중적인 훈련을 수행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기억력, 판단력, 언어능력 및 시공간을 파악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강화에 대한 집중적인 훈련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가 취약한 분야를 훈련하기 위한 콘텐츠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ent provided to the user by the first content providing unit is content for strengthening the user's cognitive ability and concentration, including finding the wrong picture, arithmetic, and jigsaw puzzle; The second content provided to the user by the second content providing unit is content capable of performing the user's physical activity reinforcement training including walking, stretching and squats, and the third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es the user with a training The third content provided is that the user performs intensive training on an injured body part or performs intensive training on cognitive ability enhancement including the user's memory, judgment, language ability, and ability to grasp space and time. It may be content to train the user in a weak field by performing the progra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화정보조절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콘텐츠를 수행하는 동안 측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뇌파정보에 기초하여 집중도스코어를 산출하는 집중도스코어산출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콘텐츠를 수행하는 동안 측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맥박정보 및 근전도정보에 기초하여 활동량스코어를 산출하는 활동량스코어산출단계; 상기 제1콘텐츠의 수행결과, 상기 제2콘텐츠의 수행결과, 및 상기 제3콘텐츠의 수행결과에 기초하여 각각 제1스코어, 제2스코어, 제3스코어를 산출하는 수행결과스코어산출단계; 및 상기 제1스코어, 상기 제2스코어, 상기 제3스코어, 상기 집중도스코어, 및 상기 활동량스코어의 합산값에 기초하여, 노화정보를 감소시키는 노화정보감소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ging information control unit, concentration score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n intensity score based on the user's EEG information measured while the user performs the first content; an activity scor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n activity score based on the user's pulse information and EMG information measured while the user performs the second content; an execution result score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first score, a second score, and a third score, respectively, based o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first content, the execution result of the second content, and the execution result of the third content; and an aging information reduction step of reducing aging information based on the sum of the first score, the second score, the third score, the concentration score, and the activity scor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허위 아바타 정보로 메타버스플랫폼에서 아바타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아바타의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아바타의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장착되어 가상현실에 대한 영상 및 소리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목소리를 감지하는 HMD; 사용자의 외형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이미지정보를 도출하는 카메라장치; 상기 사용자의 두부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뇌파측정기; 상기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할 수 있는 맥박측정기;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동작센싱장치;를 포함하는 VR장치; VR장치를 통하여 수집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를 생성하고, 해당 아바타에 대한 NFT를 생성하는 아바타관리부; 및 상기 아바타관리부로부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메타버스플랫폼 내의 사용자의 활동에 적용하는 메타버스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아바타관리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VR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VR장치로 가상현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복수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VR서비스단계; 상기 아바타관리부에 의하여, 상기 아바타에 대한 고유의 속성과 관련된 객채정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관련된 입력정보 및 상기 아바타의 원본 상태에 관련된 원본정보를 포함하는 아바타해시정보를 외부의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전송하여 NFT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생성된 NFT를 제공하는 아바타NFT제공단계; 상기 아바타관리부에 의하여, 메타버스플랫폼에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메타버스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상기 아바타를 이용하여 인터랙션한 인터랙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아바타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아바타업데이트단계; 상기 메타버스플랫폼에 의하여, 상기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소유자정보인 제1소유자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아바타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 중 소유자정보인 제2소유자정보를 비교검증하고, 상기 제2소유자정보가 검증된 경우에, 상기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아바타해시정보의 제1해시값을 기준으로, 상기 아바타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제2해시값의 비교검증하는 아바타정보검증단계; 상기 메타버스플랫폼에 의하여, 상기 제2해시값이 검증된 경우에, 상기 아바타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해당 메타버스플랫폼 내의 사용자의 활동에 적용하는 아바타정보적용단계; 및 상기 메타버스플랫폼에 의하여, 상기 메타버스플랫폼 내의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인터랙션정보를 생성하는 인터랙션정보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아바타의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ethod of providing owner verification for avatar information implemented in a system that provides owner verification for avatar information to prevent avatar creation on a metaverse platform with false avatar information, The system may include: an HMD mounted to a user to provide images and sounds for virtual reality, and to sense the user's voice; a camera device that captures the user's appearance and derives image information of the user; an EEG attached to the user's head to measure the user's EEG; a pulse meter attached to the user's wrist to measure the user's pulse; and a motion sensing device for measuring the user's movement; a VR device comprising; an avatar management unit that generates an avatar based on user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VR device and generates an NFT for the avatar; and a metaverse platform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from the avatar management unit and applies the information on the avatar to the user's activities in the metaverse platform, wherein the method includes: by the avatar management unit, the user a VR service step of communicating with a VR device to be worn, providing information about virtual reality to the VR device, and providing a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to the user by generating an avatar of the user; The avatar management unit transmits, by the avatar management unit, avatar hash information including obje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unique properties of the avatar, in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origi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state of the avatar to an external block chain. an avatar NFT providing step of transmitting to a network, requesting NFT generation, and providing the generated NFT to the user; An avatar update step of providing, by the avatar management unit,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to the metaverse platform, receiving interaction information that the user has interacted with using the avatar on the metaverse platform, and updating the avatar ; The metaverse platform compares and verifies the second owner information, which is the owner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on the avatar received from the avatar management unit, based on the first owner information, which is the owne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NFT of the avatar, and When the second owner information is verified, the second hash value of the avata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vatar management unit is compared with the first hash value of the avatar hash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NFT of the avatar. Avatar information verification step to verify; an avatar information application step of applying, when the second hash value is verified by the metaverse platform, the avata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vatar management unit to the user's activities in the metaverse platform; and an interaction information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by the metaverse platform, intera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activity in the metaverse platfor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서 아바타를 생성하고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서비스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VR장치 및 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아바타 생성을 위한 복수의 외형특징정보를 도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생성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화정보결정부의 세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아바타 및 아바타의 능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콘텐츠제공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콘텐츠부에서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화정보감소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의 외형이 변경되는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콘텐츠의 실행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중도스코어 및 활동량스코어가 제1기준값 미만인 경우의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가상현실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업데이트부에서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정보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화정보에 기초한 아바타업데이트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속도에 기초한 아바타업데이트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정보검증부에서 수행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정보적용부에서 수행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1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generating an avatar and providing a plurality of contents in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VR servi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chematically shows a VR device and its configuration worn by a user using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rocess of deriving a plurality of external feature information for generating a user's avat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operation of an avatar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chematically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aging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chematically illustrates a user's avatar and ability values of the avat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VR content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chematically shows the steps performed in the VR cont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schematically shows a step of reducing ag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n appearance of an avatar is ch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ecution screen of first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schematically illustrates a virtual reality interface shown to a user when an intensity score and an activity score are less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schematically shows the steps performed by the avatar updat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schematically illustrates intera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avatar update step based on ag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avatar update step based on a moving spe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tep of providing owner verification for information about an avat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steps performed by the avatar information verif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steps performed by the avatar information appl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exemplarily illustrate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now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recogniz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These aspects are illustrative, however,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principles of various aspects may be employed, and the descriptions set forth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Further, various aspects and features will be presented by a system that may include a number of devices, components and/or modules, and the like. It is also noted that various systems may include additional apparatuses, components, and/or modules, etc. and/or may not include all of the apparatuses, components, modules, etc. discussed with respect to the drawings. must be understood and recogniz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As used herein, “embodiment”, “example”, “aspect”, “exemplary”, etc. may not be construed as an advantage or an advantage in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above over other aspects or designs. . The terms '~part', 'component', 'module', 'system', 'interface', etc. used below generally mean a computer-related entity, for example, hardware, hardware A combination of and software may mean software.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feature and/or element is present, but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should be understood as not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lso,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ve the same meaning a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s not interpreted as
본원 발명의 소셜서버에서 수행되는 가상현실 재활시스템은 사용자의 외형 및 상태를 모사한 아바타를 생성하고, 사용자는 아바타를 조종하여 복수의 콘텐츠를 수행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가상현실에서 아바타를 생성하고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The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ystem performed in the social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generating an avatar that mimics the appearance and state of a user, and the user manipulates the avatar to perform a plurality of contents. Hereinafter, a system for generating an avatar in virtual reality for this purpose and providing a plurality of contents will be described.
1. 가상현실에서 아바타를 생성하고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1. A system that creates an avatar in virtual reality and provides multiple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에서 아바타를 생성하고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1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generating an avatar and providing a plurality of contents in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현실에서 아바타를 생성하고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에게 장착되어 가상현실에 대한 영상 및 소리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목소리를 감지하는 HMD; 사용자의 외형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이미지정보를 도출하는 카메라장치; 상기 사용자의 두부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뇌파측정기; 상기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할 수 있는 맥박측정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동작센싱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감지하는 아이트래커;를 포함하는 VR장치(1000); 및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VR장치(10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VR장치(1000)로 가상현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복수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VR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VR서비스부는, 상기 사용자만 이용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현실 콘텐츠가 제공되는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구현부(2100); 상기 VR장치(10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주고받는 VR통신부(2200); 상기 VR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활동정보 및 의료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정보입력부(2300); 상기 가상현실구현부(2100)에 의해 구현된 가상현실 내에 상기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생성부(2400); 및 상기 가상현실에 생성된 아바타에게 상기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를 수행할 때마다 상기 아바타의 외형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VR콘텐츠제공부(2500);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카메라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이미지정보; 상기 뇌파측정기로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뇌파정보; 상기 맥박측정기로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맥박정보; 및 상기 아이트래커로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아이트래킹정보;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a system for generating an avatar in virtual reality and providing a plurality of contents, the system comprising: an HMD mounted to a user to provide images and sounds for virtual reality, and to sense the user's voice; a camera device that captures the user's appearance and derives image information of the user; an EEG attached to the user's head to measure the user's EEG; a pulse meter attached to the user's wrist to measure the user's pulse; a motion sensing device for measuring the user's movement; and an eye tracker for detecting the user's eye movement; a VR device 1000 including;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VR device 1000 worn by the use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virtual reality to the VR device 1000, and generating an avatar of the user to provide a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to the user and a VR service unit, wherein the VR service unit includes: a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unit 2100 that is available only to the user and implements virtual reality in which the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are provided; a VR communication unit 2200 that communicates with the VR device 1000 to exchange information;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R device 1000; and a user information input unit 2300 for receiv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and activity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s smartphone; an avatar generating unit 2400 for generating an avatar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in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ed by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ing unit 2100; and a VR content providing unit 2500 capable of providing the plurality of contents to the avatar created in the virtual reality, and updating the appearance of the avatar whenever the avatar is performed. imag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device; EE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EG; the user's puls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ulse meter; and eye trackin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with the eye tracker.
개략적으로, 상기 가상현실에서 아바타를 생성하고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상기 VR장치(1000) 및 상기 VR서비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VR서비스부는 컴퓨팅시스템(10000)에 포함된다. Schematically, the system for generating an avatar in virtual reality and providing a plurality of contents includes the
구체적으로, 상기 VR장치(1000)는 사용자에게 장착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외형을 촬영함으로써, 상기 VR서비스부에서 생성되는 아바타의 외형 및 능력치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를 센싱하는 1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요소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HMD(Head Mounted Display), 상기 카메라장치, 상기 뇌파측정기, 상기 맥박측정기; 상기 동작센싱장치 및 상기 아이트래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VR장치(1000)는, 상기 VR장치(1000)의 각 구성을 통해 센싱한 상기 이미지정보, 상기 뇌파정보, 상기 맥박정보, 및 상기 아이트래킹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상기 VR서비스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VR장치(10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하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상기 VR장치(1000)를 통해 센싱된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컴퓨팅시스템(10000)으로 전송된다. 상기 컴퓨팅시스템(10000)의 상기 VR서비스부는, 가상현실을 구현하고, 상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현실 내에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아바타를 통해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한다.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컴퓨팅시스템(100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셜서버(3000)와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VR서비스부에서 생성한 아바타를 통해 상기 소셜서버(3000) 내에서 1 이상의 다른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컴퓨팅시스템(10000)은 VR서비스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외에 다른 콘텐츠를 제공하는 추가콘텐츠부(40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현실에서 아바타를 생성하고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상기 소셜서버(3000) 및 상기 추가콘텐츠부(4000)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서비스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2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VR servi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VR서비스부는, 상기 사용자만 이용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현실 콘텐츠가 제공되는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구현부(2100); 상기 VR장치(10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주고받는 VR통신부(2200); 상기 VR장치(10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활동정보 및 의료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정보입력부(2300); 상기 가상현실구현부(2100)에 의해 구현된 가상현실 내에 상기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생성부(2400); 및 상기 가상현실에 생성된 아바타에게 상기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를 수행할 때마다 상기 아바타의 외형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VR콘텐츠제공부(25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 the VR service unit includes: a virtual
구체적으로, 상기 가상현실구현부(2100)는, 상기 컴퓨팅시스템(10000) 내에 가상현실을 구현하고, 상기 가상현실에 대한 정보를 상기 VR통신부(2200)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에 대한 정보는 가상현실의 인터페이스 및 디스플레이와 같은 시각적인 요소; 및 효과음 등의 청각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시청각적 요소는 상기 VR장치(1000)의 HMD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virtual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VR통신부(2200)는 상기 가상현실구현부(2100)에서 구현한 가상현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VR장치(1000)에서 센싱된 동작정보 및 상기 생체정보를 상기 컴퓨팅시스템(10000)으로 전달받는다. 상기 동작정보 및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가상현실 내에서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를 생성하거나, 복수의 콘텐츠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VR장치(1000)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사용자정보입력부(2300)의 생체정보수신부(2310)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정보입력부(2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체정보수신부(2310) 외에 활동정보수신부(2320) 및 의료정보수신부(2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활동정보수신부(2320) 및 상기 의료정보수신부(2330) 각각은,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활동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각각 수신한다.The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상기 활동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기록되는 기설정된 주기로 기록되는 운동기록, 기설정된 주기로 기록되는 생활정보 등에 해당되며, 예를 들어, 하루 동안의 걸음 수, 하루 동안의 걸음걸이, 하루 동안 마신 물의 양 및 횟수, 취침시간 및 기상시간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활동정보는 상기 활동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웨어러블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정보는, 해당 사용자가 입력한 1 이상의 병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의료기록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The activity information corresponds to an exercise record recorded in a preset cycle recorded on the user's smartphone, life information recorded in a preset cycle, etc. Include the amount and frequency of water, bedtime and wake-up time, et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ivity information may be received through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recording the activity information. In addition, the medica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one or more medical history input by the user, an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generated using a medical record provided by a medical institution.
상기 VR장치(1000)의 카메라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미지 및 체형이미지를 촬영하여 생성한 복수의 이미지정보는 상기 VR통신부(2200)를 통해 상기 생체정보수신부(2310)로 수신되고, 상기 아바타생성부(2400)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를 상기 가상현실 내에 생성한다. A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face image and body image of the user through the camera device of the
상기 아바타생성부(2400)는, 상기 아바타의 기본외형을 결정하는 기본외형결정부(2410), 복수의 이미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노화정보를 결정하고 아바타의 외형 일부를 변경하는 노화정보결정부(2420); 상기 사용자의 활동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이동속도를 결정하는 이동속도결정부(2430); 및 상기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외형 일부를 변경하는 질환정보결정부(244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아바타생성부(2400)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활동정보, 및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외형 및 능력치를 설정하고, 상기 가상현실 내에 상기 아바타를 구현한다.The
상기 VR콘텐츠제공부(2500)는, 상기 가상현실 내에서 상기 아바타에게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콘텐츠는, 해당 사용자의 인지능력 및 집중도 강화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 해당 사용자의 신체 활동 강화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 및 해당 사용자에게 재활훈련이 필요한 신체부위 또는 인지능력에 대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를 포함한다. 상기 VR콘텐츠제공부(25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The V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VR장치(1000) 및 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3 schematically shows a
개략적으로, 도 3의 (a)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VR장치(1000)를 착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3의 (b)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부분에 장착되는 상기 HMD(1100) 및 상기 뇌파측정기(1300)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3의 (c)는 상기 VR장치(1000)의 구성을 도시한다.Schematically, Fig. 3(a)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user wears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VR장치(1000)는, 사용자에게 장착되어 가상현실에 대한 영상 및 소리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목소리를 감지하는 HMD(1100); 사용자의 외형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이미지정보를 도출하는 카메라장치(1200); 상기 사용자의 두부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뇌파측정기(1300); 상기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할 수 있는 맥박측정기(1400);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동작센싱장치(1500); 및 상기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감지하는 아이트래커(16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 the
구체적으로, 도 3의 (a)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VR장치(1000)를 착용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며, 상기 카메라장치(1200)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는다. 상기 사용자는, 도 3의 (a)에 도시된 VR장치(1000)를 상기 사용자가 장착하기 전에, 상기 카메라장치(120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미지 및 체형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카메라장치(1200)는 상기 생체정보수신부(2310)로 상기 얼굴이미지 및 상기 체형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다.Specifically, (a) of FIG. 3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user wears the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맥박측정기(1400)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맥박측정기(1400)는 상기 생체정보 중 하나인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맥박은 상기 VR서비스부에 입력되어,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심리를 파악하여 상기 사용자가 콘텐츠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가상현실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맥박측정기(1400)는 근전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의 맥박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근전도정보를 센싱하여 상기 VR서비스로 전달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3 , the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작센싱장치(1500)는 기설정된 공간에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기설정된 공간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동작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동작정보는 상기 VR서비스부에 입력되어, 상기 VR서비스부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콘텐츠를 결정하는데 기초가 되거나,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콘텐츠를 체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A , the
상기 동작센싱장치(150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양 손에 각각 소지하여 상기 기설정된 공간에서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적외선 센서 혹은 캠코더 등과 같이 상기 사용자의 상기 기설정된 공간 내에서의 움직임을 영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작센싱장치(1500)는, 가속도센서, 혹은 자이로센서 등과 같이 사용자의 몸에 부착되는 형태로서, 상기 기설정된 공간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설정된 공간은, 상기 동작센싱장치(1500)의 좌표를 측정하는 위치센서모듈이 구비된 공간에 해당한다.The
도 3의 (b)는 상기 HMD(1100)의 세부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MD(1100)는 상기 뇌파측정기(13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뇌파측정기(1300)는 상기 생체정보 중의 하나인 사용자의 뇌파를 특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뇌파는 상기 VR서비스부에 입력되어,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심리를 파악하여 상기 사용자가 콘텐츠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가상현실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3B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상기 HMD(1100)는, 상기 사용자에게 가상현실에 대한 시각적인 요소를 제공하는 시각제공부(1110);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현실에 대한 청각적인 요소를 제공하는 청각제공부(1120); 및 상기 사용자의 목소리를 감지하는 마이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장치(1000)는 상기 시각제공부(1110) 및 상기 청각제공부(1120)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현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의 가상공간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음성입력부 및 상기 동작센싱장치(150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목소리 및 행동을 입력 받아 상기 가상현실에 구현된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가 움직이거나 말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상기 시각제공부(111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양 쪽 안구에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각각 시각 정보를 제공하고,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감지하는 아이트래커(1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단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트래커(1600)는 상기 시각제공부(1110)가 상기 사용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시각제공부(1110)의 가장자리 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b) of FIG. 3 , the visual providing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VR장치(10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HMD(1100), 상기 카메라장치(1200), 상기 뇌파측정기(1300), 상기 맥박측정기(1400), 상기 동작센싱장치(1500), 및 상기 아이트래커(16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c) of Figure 3,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외형결정부(241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4 schematically shows the operation of the basic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본외형결정부(2410)는, 복수의 상기 이미지정보로부터 각각의 외형특징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복수의 외형특징정보를 평균화하여 1차원 벡터의 형태의 캐릭터결정파라미터를 도출하고, 상기 캐릭터결정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기본외형을 결정한다.As shown in FIG. 4 , the basic
구체적으로, 상기 VR장치(1000)와 통신하는 상기 VR서비스부는, 상기 아바타생성부(2400)를 포함하고, 상기 아바타생성부(2400)는,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본외형결정부(2410), 상기 노화정보결정부(2420), 상기 이동속도결정부(2430), 및 상기 질환정보결정부(244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본외형결정부(2410)는, 상기 VR장치(1000)의 카메라장치(1200)를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정보에 기초하여 얼굴이미지 및 체형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얼굴이미지 및 상기 체형이미지로부터 각각의 복수의 외형특징정보를 도출한다. Specifically, the VR service unit communicating with the
상기 이미지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감정을 인식할 수 있는 안면의 표정변화를 포함하는 사용자에 대한 동적영상 혹은 일정한 주기로 연속되어 기록한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정적영상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미지정보는 2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기본외형결정부(2410)는, 수신한 상기 이미지정보를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프레임에서 얼굴이미지 및 체형이미지를 추출한다. 이후, 추출된 얼굴이미지에 기초하여 외형특징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외형특징정보는 눈의 기울기, 눈썹의 기울기, 입 모양 및 입의 기울기 등과 같이 얼굴의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고유특성에 대한 특징정보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정보, 모발상태정보, 및 골격의 휘어진 정도를 더 포함한다. The image information may be a dynamic image of the user including a change in facial expression capable of recognizing the user's emotion, or a plurality of static images of the user continuously recorded at a predetermined period. In particular, the image informa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its broadest sense including having two or more image frames. Accordingly, the basic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얼굴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만을 도시하고, 상기 기본외형결정부(241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체형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VR서비스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다양한 자세를 요구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골격의 상태를 엄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IG. 4 shows only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face image from the plurality of frames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asic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생성부(24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5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바타생성부(2400)는, 복수의 상기 이미지정보로부터 각각의 외형특징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복수의 외형특징정보를 평균화하여 1차원 벡터 형태의 캐릭터결정파라미터를 도출하고, 상기 캐릭터결정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기본외형을 결정하는 기본외형결정부(2410); 상기 생체정보를 1 이상의 인공신경망 모델에 입력하여 상기 아바타의 노화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기본외형에 상기 노화정보에 상응하는 제1그래픽효과를 추가하는 노화정보결정부(2420);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도출되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이동거리 혹은 걸음수에 기초하여, 이동거리 혹은 걸음수가 클수록 이동속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상기 아바타의 이동속도를 결정하는 이동속도결정부(2430); 및 해당 사용자가 입력한 1 이상의 병력을 포함하는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질환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1그래픽효과가 추가된 상기 기본외형에 상기 질환정보에 상응하는 제2그래픽효과를 추가하는 질환정보결정부(2440);를 포함하고,As shown in FIG. 5 , the
상기 외형특징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정보, 모발상태정보, 및 골격의 휘어진 정도를 포함한다.The appearance feature information includes skin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hair condition information, and a degree of curvature of the skeleton.
구체적으로, 상기 기본외형결정부(2410)에서는,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복수의 외형특징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복수의 외형특징정보를 평균화하여 1차원 벡터 형태의 캐릭터결정파라미터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결정파라미터는, 상기 아바타의 기본외형에 대하여 1 이상의 아바타의 외형정보를 설정하는 파라미터로, 예를 들어, 아바타의 키, 골격 혹은 골격의 휘어진 정도, 피부색, 피부상태, 모발의 색깔, 및 모발의 상태 등을 포함하는 파라미터이며, 추가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눈의 기울기, 눈썹의 기울기, 입 모양 및 입의 기울기 등과 같이 얼굴의 표정을 인식할 수 있는 고유특성에 대한 특징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외형결정부(24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캐릭터결정파라미터를 통해 실제 사용자의 얼굴 및 체형과 유사한 아바타의 기본외형을 가상현실 내에 구현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basic
상기 기본외형결정부(2410)에서 상기 아바타의 기본외형이 결정되면, 상기 아바타생성부(2400)의 상기 노화정보결정부(2420)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노화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아바타의 외형그래픽에 반영한다. 상기 노화정보결정부(2420)는 1 이상의 인공신경망을 포함하며, 각각의 인공신경망 모델에 상기 생체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노화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노화정보가 결정되면, 상기 노화정보결정부(2420)는, 상기 노화정보에 상응하는 제1그래픽효과를 도출하고, 상기 아바타의 기본외형에 상기 제1그래픽효과를 추가한다. 상기 노화정보결정부(242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When the basic appearance of the avatar is determined by the basic
상기 질환정보결정부(2440)는, 상기 제1그래픽효과가 추가된 기본외형에 상기 질환정보에 상응하는 제2그래픽효과를 추가한다. 상기 질환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상기 질환정보결정부(2440)는 상기 의료정보수신부(2330)를 통해 상기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질환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질환정보에 상응하는 제2그래픽효과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왼쪽어깨에 유착성 관절낭염이 있는 사용자의 아바타에는 왼쪽 어깨가 붉게 처리되는 그래픽효과가 추가될 수 있으며, 혹은 오른쪽 무릎에 류마티스 관절염을 앓고 있는 사용자의 아바타에는 오른쪽 무릎이 붉게 처리되는 그래픽효과가 추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질환정보를 통해 상기 아바타의 외형뿐만 아니라 상기 아바타의 능력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아바타생성부(2400)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질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를 가상현실 내에 구현한다.The diseas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화정보결정부(2420)의 세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6 schematically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gin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화정보결정부(2420)는, 상기 카메라장치(1200)를 통해 입력 받은 이미지정보를 입력 받아 제1노화정보를 출력하는 제1인공신경망(2421); 상기 뇌파측정기(1300)로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뇌파정보를 입력 받아 제2노화정보를 출력하는 제2인공신경망(2422); 상기 맥박측정기(1400)로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맥박정보를 입력 받아 제3노화정보를 출력하는 제3인공신경망(2423); 및 상기 제1노화정보, 상기 제2노화정보, 및 상기 제3노화정보를 합산하여, 최종적인 노화정보를 도출하는 종합판단모듈(2424);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6 , the aging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노화정보결정부(2420)는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정보, 뇌파정보, 및 맥박정보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노화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노화정보결정부(2420)는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정보, 뇌파정보, 및 맥박정보를 1 이상의 인공신경망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노화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aging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인공신경망(2421) 내지 제3인공신경망(2423)은 각각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정보, 뇌파정보 및 맥박정보를 입력 받아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종합진단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종합진단모듈은 상기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노화정보를 결정하여 출력한다. 이과 같이 출력된 상기 노화정보에 기초하여, 도 5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여, 상기 노화정보결정부(2420)는 상기 노화정보에 상응하는 제1그래픽효과를 도출하고, 상기 아바타의 기본외형에 상기 제1그래픽효과를 추가한다.As shown in FIG. 6 , the first artificial
상기 제1인공신경망(2421)에서는 상기 기본외형결정부(2410)로부터 도출된 복수의 외형특징정보 중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정보, 모발상태정보, 및 골격의 휘어진 정도를 분석하여 제1노화정보를 도출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VR서비스부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요구한 다양한 자세에 대한 수행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외형측면의 노화정보를 분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1노화정보를 도출한다. The first artificial
상기 제2인공신경망(2422)에서는 상기 VR장치(1000)의 뇌파측정기(1300)로부터 도출된 뇌파정보를 분석하여 제2노화정보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뇌파의 안정성, 및 상기 사용자의 집중도를 상기 뇌파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제2노화정보를 도출한다.The second artificial
상기 제3인공신경망(2423)에서는 상기 VR장치(1000)의 맥박측정기(1400)로부터 도출된 맥박정보를 분석하여 제3노화정보를 도출한다. 상기 맥박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분당 맥박수, 맥박의 규칙성, 맥압을 포함한다. 상기 제3인공신경망(2423)은 상기 맥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예상 나이 및 심혈관나이를 산출할 수 있다.The third artificial
상기 종합판단모듈(2424)은 상기 제1노화정보, 상기 제2노화정보, 및 상기 제3노화정보를 합산하여, 최종적인 노화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화정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의 노화정도가 가장 낮을 때의 노화정보를 1로하고, 사용자의 노화정도가 가장 높은 때의 노화정보를 10으로 하는 것과 같이 점수 혹은 레벨로 도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합진단모듈은, 상기 이미지정보, 뇌파정보, 및 맥박정보에 대해 어느 정도의 가중치로 노화정보를 도출할 것인지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가중치에 대해서도 학습할 수 있도록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The
이로서, 상기 노화정보결정부(2420)는 상기 최종적인 노화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컴퓨팅시스템(10000)에 기저장된 복수의 제1그래픽효과 중에서 상기 노화정보에 상응하는 제1그래픽효과를 상기 아바타의 기본외형에 추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agin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아바타 및 아바타의 능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7 schematically illustrates a user's avatar and ability values of the avat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바타생성부(2400)는,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도출되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이동거리 혹은 걸음수에 기초하여, 이동거리 혹은 걸음수가 클수록 이동속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아바타의 이동속도를 결정하는 이동속도결정부(2430);를 포함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상기 아바타의 능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실제 본 발명의 아바타의 능력치는 도 7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7 , the
구체적으로, 상기 아바타생성부(2400)는,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활동정보 및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능력치가 설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바타의 능력치는, 아바타의 이동속도, 근육량 및 인지능력을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상기 아바타의 이동속도는 상기 사용자의 활동정보 및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하루 평균 3km를 2시간 동안 걸은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기록되었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컴퓨팅시스템(10000)으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이동속도결정부(2430)는,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이동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만약, 상술한 예에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운동기록이 상기 스마트폰에 규칙적으로 입력되지 않거나, 짧은 거리를 긴 시간동안 걸은 데이터가 상기 스마트폰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이동속도결정부(2430)는 상기 데이터를 통해, 상기 아바타의 이동속도를 낮게 설정할 수 있고, 이와 반대의 예로서, 규칙적인 운동기록이 상기 스마트폰에 입력되거나, 많은 운동량이 상기 스마트폰에 기록된 경우, 상기 이동속도결정부(2430)는 해당 아바타의 이동속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The moving speed of the avatar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user's activity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For example, data that the user walks an average of 3 km per day for 2 hours for a preset time is recorded in the user's smartphone, and th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또한, 상기 사용자의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질환정보를 참고하여, 상기 아바타의 이동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하체부위에 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 상기 아바타의 이동속도는 낮게 설정되며, 질환의 경중에 따라 낮게 설정되는 이동속도의 정도가 결정된다.Also, the moving speed of the avatar may be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diseas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user's medical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has a disease in the lower body, the movement speed of the avatar is set low, and the degree of the movement speed set low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disease is determined.
상기 아바타생성부(2400)에 의하여, 상기 아바타의 근육량은 해당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토대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의 의료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실제 체성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근육량이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의 (a)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여, 상기 맥박측정기(1400)에 포함된 근전도센서를 통해 상기 아바타의 근육량을 설정할 수 있다. The
상기 아바타생성부(2400)에 의하여, 상기 아바타의 인지능력은, 상기 사용자에게 장착된 뇌파측정기(1300)에 의해 센싱된 상기 사용자의 뇌파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더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후술하는 복수의 콘텐츠를 수행할 때 측정되는 뇌파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아바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콘텐츠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뇌파정보; 및 상기 복수의 콘텐츠의 수행과정 및 결과;를 참고하여 산출될 수 있다.By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콘텐츠제공부(25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8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VR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VR콘텐츠제공부(2500)는, 해당 사용자의 상기 노화정보에 기초하여 난이도가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 및 집중도 강화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콘텐츠제공부(2510); 해당 사용자의 상기 활동정보에 기초하여 난이도가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 활동 강화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2콘텐츠제공부(2520); 해당 사용자의 상기 질환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종류가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재활훈련이 필요한 신체부위 또는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에 대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3콘텐츠제공부(2530); 상기 제1콘텐츠제공부(2510), 상기 제2콘텐츠제공부(2520), 및 상기 제3콘텐츠제공부(2530)에서 제공한 콘텐츠에 대해 콘텐츠 수행에 따른 수행결과, 콘텐츠에 대한 수행기간 동안 상기 뇌파측정기(1300)에 의하여 측정된 뇌파정보, 및 상기 맥박측정기(1400)에 의하여 측정된 맥박정보에 기초하여, 1 이상의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1 이상의 스코어에 따라 상기 노화정보를 조절하는 노화정보조절부(2540); 상기 노화정보조절부(2540)에 의하여, 조절된 노화정보에 따라 상기 제1그래픽효과를 조절하여 해당 사용자의 아바타의 외형을 업데이트하는 아바타외형업데이트부(2550);를 포함하고,As shown in FIG. 8, the VR
상기 제1콘텐츠제공부(2510)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1콘텐츠는, 틀린그림찾기, 산수 및 퍼즐 맞추기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 및 집중도를 강화하기 위한 콘텐츠고, 상기 제2콘텐츠제공부(2520)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2콘텐츠는, 걷기, 스트레칭 및 스쿼트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활동 강화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고, 상기 제3콘텐츠제공부(2530)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3콘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부상을 입은 신체부위에 대한 집중적인 훈련을 수행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기억력, 판단력, 언어능력 및 시공간을 파악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강화에 대한 집중적인 훈련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가 취약한 분야를 훈련하기 위한 콘텐츠인에 해당한다.The first content provided to the user by the first
구체적으로, 상기 제1콘텐츠제공부(2510)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1콘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가상현실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콘텐츠로서, 상기 사용자가 본 발명을 통해 가상현실 내에서 복수의 콘텐츠를 수행하기 위한 연습용 콘텐츠로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콘텐츠를 통해, 상기 가상현실 내에서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를 조작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content provided to the user by the first
또한, 상기 VR콘텐츠제공부(2500)는, 상기 사용자에게 이와 같은 제1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기본적인 인지능력 및 상기 사용자의 집중도를 평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콘텐츠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 및 집중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뇌파측정기(1300)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뇌파정보를 상기 가상현실 내의 별도의 인터페이스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VR
상기 제2콘텐츠제공부(2520)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2콘텐츠는, 상기 사용자의 부족한 신체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제공되는 콘텐츠로서, 상기 제1콘텐츠를 통해 상기 VR장치(1000)의 조작법을 익힌 사용자가 소정의 신체활동을 통해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에 해당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가상현실 내에서 상기 제2콘텐츠를 수행하기 위하여, 실제로 사용자의 신체를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질병치료 혹은 재활훈련 등을 위한 신체활동을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The second content provided to the user by the second
상기 VR콘텐츠제공부(2500)는, 상기 사용자에게 이와 같은 제2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기본적인 신체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이 때 평가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능력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다음에 제공되는 제2콘텐츠의 난이도 및 종류를 결정하는데 참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R
상기 제3콘텐츠제공부(2530)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3콘텐츠는, 상기 사용자에게 재활훈련이 필요한 신체부위 혹은 인지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제공되는 콘텐츠로서, 허리, 다리 및 팔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부상을 입거나 특정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에게 해당 신체부위를 강화시킬 수 있는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 혹은 기억력, 판단력, 언어능력 및 시공간을 파악하는 능력이 부족한 사용자에게 해당 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에 해당한다. The third content provided to the user by the third
한편, 상술한 제1 내지 제3콘텐츠는 각각 1 이상의 콘텐츠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매일매일 상기 사용자에게 다른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first to third contents described above each include one or more contents, an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different contents to the user every day.
상기 노화정보조절부(254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콘텐츠, 상기 제2콘텐츠, 및 상기 제3콘텐츠를 수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노화정보를 조절하며, 상기 아바타외형업데이트부(2550)는, 상기 노화정보조절부(2540)에 의하여 조절된 노화정보에 따라 상기 제1그래픽효과를 조절하여 아바타의 외형을 업데이트한다. 상기 노화정보조절부(2540) 및 상기 아바타외형업데이트부(2550)의 동작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aging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콘텐츠부에서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화정보감소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9 schematically shows the steps performed in the VR cont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schematically shows the aging information reduction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화정보조절부(254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콘텐츠를 수행하는 동안 측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뇌파정보에 기초하여 집중도스코어를 산출하는 집중도스코어산출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콘텐츠를 수행하는 동안 측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맥박정보 및 근전도정보에 기초하여 활동량스코어를 산출하는 활동량스코어산출단계; 상기 제1콘텐츠의 수행결과, 상기 제2콘텐츠의 수행결과, 및 상기 제3콘텐츠의 수행결과에 기초하여 각각 제1스코어, 제2스코어, 제3스코어를 산출하는 수행결과스코어산출단계; 및 상기 제1스코어, 상기 제2스코어, 상기 제3스코어, 상기 집중도스코어, 및 상기 활동량스코어의 합산값에 기초하여, 노화정보를 감소시키는 노화정보감소단계;를 수행하고,As shown in FIGS. 9 to 10 , the aging
상기 집중도스코어산출단계는, 상기 뇌파측정기(13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뇌파가 베타파, 세타파, 미드알파파, 및 SMR파 중 어느 파형에 포함하는지 판별하여 스코어를 산출하되, 상기 사용자의 뇌파의 주파수가 12 내지 13 Hz인 SMR파에 해당하거나 10 내지 12Hz인 미드알파파에 해당할 때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집중도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활동량스코어산출단계는, 상기 맥박측정기(14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맥박의 편차값 또는 근전도센서로부터 수신한 근전도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활동량을 판별하여 상기 활동량스코어를 산출하되, 상기 맥박의 편차값이 기설정된 기준 이상이거나, 상기 근전도 변화량이 216 내지 450 Hz일 때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활동량스코어를 산출한다.The concentration score calculation step calculates a score by determining which waveform of the user's EEG received from the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여, 상기 제1콘텐츠제공부(2510)는 상기 사용자에게 인지능력 및 집중도 강화훈련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제2콘텐츠제공부(2520)는 상기 사용자에게 신체활동 강화훈련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제3콘텐츠제공부(2530)는 상기 사용자에게 재활훈련이 필요한 신체부위 혹은 인지능력에 대한 훈련콘텐츠를 제공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FIG. 8 , the first
상기 노화정보조절부(254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콘텐츠를 수행한 수행결과에 기초하여 제1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콘텐츠를 수행한 수행결과에 기초하여 제2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3콘텐츠를 수행한 수행결과에 기초하여 제3스코어를 산출하는 수행결과스코어산출단계를 수행한다. The aging
상기 노화정보조절부(2540)는 상기 사용자가 제1콘텐츠를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뇌파측정기(1300)를 통해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뇌파정보에 기초하여 집중도스코어를 산출하는 집중도스코어산출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2콘텐츠를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맥박측정기(1400)를 통해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맥박정보 및 근전도정보에 기초하여 활동량스코어를 산출하는 활동량스코어산출단계를 수행한다. The ag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집중도스코어산출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뇌파가 베타파, 세타파, 미드-알파파(mid-alpha wave), 및 SMR파 중 어느 파형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베타파 및 세타파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상기 미드 알파파 및 상기 SMR파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집중도산출식에 기초하여 집중도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s brain wave is included in any of beta wave, theta wave, mid-alpha wave, and SMR wave in the concentration score calculation step, A concentration score may be calculated based on an intensity calculation formula that decreases as the beta wave and theta wave increase, and increases as the mid alpha wave and the SMR wave increase.
또한, 상기 노화정보조절부(2540)는, 상기 사용자가 제2콘텐츠를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맥박측정기(1400)를 통해 측정되는 해당 사용자의 맥박정보 및 상기 맥박측정기(1400)에 포함되는 근전도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해당 사용자의 근전도정보에 기초하여 활동량스코어를 산출하는 상기 활동량스코어산출단계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동량스코어산출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맥박의 편차값이 기설정된 기준 이상이거나, 상기 사용자의 근전도 변화량이 216 내지 450 Hz일 때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활동량스코어를 산출한다.In addition, the aging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화정보조절부(2540)는, 상기 집중도스코어산출단계, 상기 활동량스코어산출단계, 및 상기 수행결과스코어산출단계를 통해 산출된 상기 집중도스코어, 상기 활동량스코어, 상기 제1스코어, 상기 제2스코어, 및 상기 제3스코어의 합산값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노화정보를 감소시키는 노화정보감소단계를 수행한다.As shown in FIG. 10 , the aging
상기 노화정보감소단계를 통해 감소된 노화정보는 상기 아바타외형업데이트부(2550)로 전달되고, 도 8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여, 상기 아바타외형업데이트부(2550)에 의하여, 상기 아바타의 상기 제1그래픽효과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아바타의 외형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The aging information reduced through the aging information reduction step is transmitted to the avatar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의 외형이 변경되는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1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n appearance of an avatar is ch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개략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노화정보감소단계 및 상기 노화정보감소단계를 통해 조절된 노화정보에 따라 상기 아바타의 외형을 변경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과정은 설명을 위해, 상기 수행결과스코어산출단계 중 상기 제1스코어를 산출하는 과정만 도시하였으며, 상기 수행결과스코어산출단계 및 상기 노화정보감소단계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코어, 상기 제2스코어, 상기 제3스코어, 상기 집중도스코어, 및 상기 활동량스코어를 모두 산출한다.Schematically, as shown in FIG. 11, the process of changing the appearance of the avatar according to the aging information adjusted through the aging information reduction step and the aging information reduction step shown in FIG. 10 is shown.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shown in FIG. 11 is only illustrated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first score among the performing result score calculation step for explanation, and in the performing result score calculating step and the aging information reduction step, as described above, , the first score, the second score, the third score, the concentration score, and the activity score are all calculated.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가상현실 내에 아바타를 생성한 이후, 상기 VR콘텐츠제공부(2500)의 제1콘텐츠제공부(2510)는 상기 아바타에게 제1콘텐츠를 제공(S100)한다. 상기 제1콘텐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 및 집중도를 강화하기 위한 콘텐츠에 해당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가상현실 내에서 상기 아바타를 통해 상기 제1콘텐츠를 수행(S200)한다.Specifically, after the user creates an avatar in virtual reality, the first
상기 아바타가 상기 제1콘텐츠를 수행한 수행결과를 상기 노화정도조절부가 수신(S300)하면, 상기 노화정도조절부는 상기 수행결과에 기초하여 제1스코어를 산출(S400)하는 상기 수행결과스코어산출단계를 수행한다.When the aging degree control unit receives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content by the avatar (S300), the aging level control unit calculates a first score based on the execution result (S400). carry out
상시 노화정도조절부는, 상기 제1스코어를 참고하여 상기 사용자의 노화정보를 조절(S500)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S5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코어뿐만 아니라, 상기 제1스코어, 상기 제2스코어, 상기 제3스코어, 상기 집중도스코어, 및 상기 활동량스코어를 모두 합한 합산값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노화정보를 조절한다.The normal aging degree adjusting unit adjusts the aging information of the user with reference to the first score (S500). Preferably, in step S500,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first score, the first score, the second score, the third score, the concentration score, and the activity score Based on the user's aging information is adjusted.
상기 노화정도조절부는 조절된 노화정보를 상기 아바타외형업데이트부(2550)에 송신(S600)하고, 상기 아바타외형업데이트부(2550)는, 수신한 상기 조절된 노화정보에 따라 상기 아바타의 기본외형에 적용된 제1그래픽효과를 조절(S700)한다. 상기 제1그래픽효과는, 도 6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여, 상기 노화정보결정부(2420)에서 산출한 노화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컴퓨팅시스템(10000)에 기저장된 복수의 제1그래픽효과 중 상기 노화정보결정부(2420)에서 산출한 노화정보에 상응하는 제1그래픽효과에 해당되며, 상기 아바타외형업데이트부(2550)가 상기 조절된 노화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아바타외형업데이트부(2550)는 상기 컴퓨팅시스템(10000)에 기저장된 복수의 제1그래픽효과 중에서 상기 조절된 노화정보에 상응하는 그래픽효과로 상기 아바타의 외형을 변경(S800)할 수 있다.The aging degree adjusting unit transmits the adjusted aging information to the avatar appearance update unit 2550 (S600), and the avatar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콘텐츠의 실행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12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ecution screen of first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개략적으로, 도 12의 (a)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1콘텐츠가 제공될 때의 상기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실행화면을 도시하고, 도 12의 (b)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콘텐츠를 수행한 이후, 그 수행결과가 상기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실행화면을 도시한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상기 제1콘텐츠의 실행화면을 도시하나, 상기 제2콘텐츠, 상기 제3콘텐츠 혹은 후술하는 돌발콘텐츠의 실행화면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행화면이 상기 HMD(1100)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Schematically, (a) of FIG. 12 shows an execution screen shown to the user when the first content is provided to the user, and (b) of FIG. 12 is after the user performs the first content , shows an execution screen in which the execution result is shown to the user. Meanwhile, FIG. 12 shows an execution screen of the first content shown to the user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the execution screen of the second content, the third content, or a sudden content to be described later in FIG. An execution screen as shown i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VR서비스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플로팅인터페이스(floating-interface)를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상기 제1콘텐츠제공부(2510)에 의하여 상기 제1콘텐츠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때, 상기 사용자가 장착한 HMD(1100)를 통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VR장치(1000)를 조작함으로써 도 12의 (a)에 도시된 상기 플로팅인터페이스에서 “예” 혹은 “아니오”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가 “예”를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에게 장착된 상기 VR장치(1000)를 조작하여 상기 제1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2 , the VR service unit may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a floating-interface. 12A illustrates an interface provided through the
상기 사용자가 제1콘텐츠를 수행하면, 그 수행결과를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로팅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명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2의 (b)에 도시된 수행결과 항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수행결과 항목은 콘텐츠에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된 콘텐츠가 제2콘텐츠의 걷기 콘텐츠일 경우, 걷는 시간, 거리, 및 이동 속도가 수행결과 항목으로서 플로팅인터페이스에 명시될 수 있다.When the user performs the first content, the execution result may be indicated to the user through a floating interface as shown in FIG. 12(b). Meanwhile, the execution result item shown in FIG. 12(b)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ecution result item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provided to the user is the walking content of the second content, walking time, distance, and moving speed may be specified in the floating interface as the execution result items.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중도스코어 및 활동량스코어가 제1기준값 미만인 경우의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가상현실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13 schematically illustrates a virtual reality interface shown to a user when an intensity score and an activity score are less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개략적으로, 도 12의 (a)는 상기 가상현실 내에 존재하는 객체의 선명도 또는 상기 아바타의 시야가 조절되는 것을 도시하고, 도 12의 (b)는 상기 사용자에게 돌발콘텐츠가 제공될 때의 실행화면을 도시한다.Schematically, FIG. 12(a) shows that the sharpness of an object existing in the virtual reality or the field of view of the avatar is adjusted, and FIG. 12(b) is an execution screen when unexpected content is provided to the user shows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VR콘텐츠제공부(2500)는, 기설정된 구간 동안의 상기 집중도스코어 및 상기 활동량스코어의 세부합산값이 기설정된 제1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가상현실 내에 존재하는 객체의 선명도 또는 아바타의 시야를 조절하고, 기설정된 구간 동안의 상기 집중도스코어 및 상기 활동량스코어의 세부합산값이 상기 제1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콘텐츠제공부(2510), 상기 제2콘텐츠제공부(2520) 혹은 상기 제3콘텐츠제공부(2530)에 의하여 콘텐츠가 제공되는 중간에 돌발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돌발콘텐츠를 수행하였을 때 상기 가상현실 내에 존재하는 객체의 선명도 또는 아바타의 시야를 기본값으로 되돌린다.As shown in FIG. 13 , the VR
구체적으로, 상기 VR콘텐츠제공부(2500)는, 기설정된 구간 동안의 상기 집중도스코어 및 상기 활동량스코어의 세부합산값이 기설정된 제1기준값 미만으로 산출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집중도가 떨어졌다고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알릴 수 있다. 도 13의 (a)의 좌측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장착한 HMD(1100)를 통해 제공되는 가상현실 내에 존재하는 객체의 선명도를 낮추거나, 도 13의 (a)의 우측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바타의 시야를 불투명한 플로팅인터페이스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VR
상기 VR콘텐츠제공부(2500)는, 상기 세부합산값이 상기 제1기준값 미만으로 산출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돌발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돌발콘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VR콘텐츠에 대한 집중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로, 바람직하게는, 제1콘텐츠와 같이, 비교적 쉬운 난이도의 콘텐츠를 제공한다. The VR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발콘텐츠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때는, 도 12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콘텐츠와 같이, 가상현실에 플로팅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돌발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돌발콘텐츠를 수행할 때 산출되는 집중도스코어 및 활동량스코어의 세부합산값이 기설정된 제1기준값 이상으로 산출되면, 상기 가상현실 내에 존재하는 객체의 선명도가 기본값으로 복구되고, 상기 불투명한 플로팅인터페이스가 사라지게 된다.As shown in (b) of FIG. 13, when the unexpected content is provided to the user, referring to the description of FIG. 12, like the first to third content, by providing a floating interface to virtual realit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nexpected content to the user. When the detailed sum of the concentration score and the activity score calculated when the user performs the unexpected content is calculat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the sharpness of the object existing in the virtual reality is restored to the default value, and the opaque floating The interface disappea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돌발콘텐츠를 수행할 때의 집중도스코어 및 활동량스코어의 세부합산값이 상기 제1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VR콘텐츠제공부(2500)는 휴식을 권유하는 플로팅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tailed sum of the concentration score and the activity score when performing the unexpected content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VR
2. 아바타를 생성하여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에 제공하고 아바타를 업데이트하는 시스템2. A system that creates an avatar, provides it to an external metaverse platform, and updates the avata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바타를 생성하여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에 제공하고 아바타를 업데이트하는 시스템은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를 생성하고, 콘텐츠 수행에 따른 수행결과, 집중도 및 활동량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외형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바타를 업데이트하는 시스템은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에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써, 이하에서는,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에 제공하여 인터랙션정보를 수신하고 아바타를 업데이트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for generating the avata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viding it to the
메타버스플랫폼(5000)에서 사용자에게 아바타를 제공하기 위해서 특정 캐릭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하곤 한다. 허나, 사용자의 정보가 반영된 아바타로 메타버스플랫폼(5000)을 이용할 경우 메타버스플랫폼(5000) 속에 있는 느낌에 더 많은 흥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플랫폼(5000) 내에서 아바타와 사용자가 일체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 생성한 아바타를 기초로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에 적합한 아바타로 업데이트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한다.In order to provide an avatar to a user in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업데이트부에서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14 schematically shows the steps performed by the avatar updat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에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에서 사용자가 상기 아바타를 이용하여 인터랙션한 인터랙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아바타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아바타업데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아바타업데이트부는,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에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에서 사용자가 상기 아바타를 이용하여 인터랙션한 인터랙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아바타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에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아바타정보제공단계(S900);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에서 상기 아바타에 해당하는 인터랙션정보를 수신하는 인터랙션정보수신단계(S920); 및 상기 인터랙션정보 중 아바타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아바타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를 업데이트하는 아바타업데이트단계(S9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is provided to an
구체적으로, 아바타정보제공단계는 본 발명에서 생성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아바타는 상술한 바와 같이 VR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 활동정보, 및 의료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바탕으로 생성하고,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 중 일부 혹은 전체를 외부 메타버스플랫폼(50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아바타에 반영된 상기 사용자 의료정보의 경우에는 보안성에 따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ep of providing the avatar information is a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avatar cre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the avatar receive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ctivity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through the VR device and is generated based on it, and some or all of the information on the avatar is provided to the
이어서, 상기 아바타정보를 제공받은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에서, 사용자는 아바타를 이용하고, 사용자의 아바타 이용에 따른 인터랙션정보가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인터랙션정보는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 이용 상황에 맞게 아바타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와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이 게임을 제공하는 경우의 인터랙션정보는 다를 수 있다.Then, i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에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아바타는, 본 발명에서 생성한 아바타 혹은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이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가 반영된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에서 제공하는 아바타에 해당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atar used by the user in the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에서 인터랙션정보를 수신한 컴퓨팅시스템은 상기 인터랙션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업데이트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터랙션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 내에서 아바타 이용하며 생성된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인터랙션정보에서 아바타와 관련된 정보만을 추출하여 사용한다. 추출한 상기 아바타와 관련된 인터랙션정보를 기초로 상기 아바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터랙션정보에서 아바타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 특색에 맞게 아바타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e computing system that has received the interaction information from the
이하에서는,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이 게임을 제공하는 경우에 대해서 서술한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정보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다.15 schematically illustrates intera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랙션정보는,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에서 게임을 제공하는 경우에, 사용시간, 레벨업정보, 수집아이템개수, 착용아이템개수, 습득스킬개수 및 퀘스트클리어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 the interaction information is, when the game is provided on the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 내에서 사용자가 아바타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면서 생성된 모든 정보가 인터랙션정보로 저장되고,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이 게임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아바타를 이용한 사용시간, 사용자가 아바타를 이용하여 게임의 레벨에 대해 레벨업정보, 사용자가 아바타를 이용하여 수집한 아이템의 수집아이템개수, 사용자가 아바타에 착용한 착용아이템개수, 사용자가 아바타에 대해서 습득한 습득스킬개수 및 사용자가 아바타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 내의 퀘스트를 클리어한 퀘스트클리어개수 등이 인터랙션정보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인터랙션정보에서 아바타와 관련된 정보로 사용시간, 레벨업정보, 수집아이템개수, 착용아이템개수, 습득스킬개수 및 퀘스트클리어개수가 추출될 수 있다.Specifically, all information generated while a user plays a game using an avatar in the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화정보에 기초한 아바타업데이트단계(S93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16 schematically shows an avatar update step (S930) based on ag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바타업데이트단계(S930)는,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에서 게임을 제공하는 경우에, 레벨업정보, 수집아이템개수 및 퀘스트클리어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노화정보를 조절하고, 상기 노화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피부상태정보, 모발상태정보, 골격의 휘어진 정도, 눈의 기울기 및 입모양에 대해 아바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 in the avatar update step S930, when the game is provided on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복수의 이미지정보, 사용자의 뇌파정보 및 사용자의 맥박정보 중 일부 혹은 전체 기초하여 노화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이 제공하는 게임에 적합한 아바타 업데이트를 위해, 상기 노화정보는 상기 인터랙션정보 중 일부에 기초하여 조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화정보를 조절하는 인터랙션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는 상기 레벨업정보, 상기 수집아이템개수 및 상기 퀘스트클리어개수일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aging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some or all of the user's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the user's brain wave information, and the user's pulse information. In order to update the avatar suitable for the game provided by the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이 제공하는 게임에 적합하게 조절된 노화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를 업데이트한다. 상기 아바타의 노화에 표현할 수 있는 모든 요소들에 대해 업데이트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바타의 피부상태정보, 모발상태정보, 골격의 휘어진 정도, 눈의 기울기 및 입모양에 대해 업데이트 할 수 있다.The avatar is updated based on the aging information adjusted to fit the game provided by the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속도에 기초한 아바타업데이트단계(S93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17 schematically shows an avatar update step (S930) based on a moving spe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바타업데이트단계(S930)는,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에서 게임을 제공하는 경우에, 사용시간, 습득스킬개수 및 착용아이템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속도를 조절하고, 상기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아바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7 , in the avatar update step ( S930 ), when the game is provided on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도출되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이동거리 혹은 걸음수에 기초하여, 이동거리 혹은 걸음수가 클수록 이동속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아바타의 이동속도를 결정한다. 상기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5000)이 제공하는 게임에 적합한 아바타 업데이트를 위해, 상기 이동속도는 상기 인터랙션정보 중 일부에 기초하여 조절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시간, 습득스킬개수 및 착용아이템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를 업데이트한다.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speed of the avatar is determined in such a way that the movement speed increases as the movement distance or number of steps increases based on the movement distance or the number of steps for a preset time derived from the user's smartphone. In order to update the avatar suitable for the game provided by the
한편, 인터랙션정보에 기초하여 조절된 이동속도는 상기 사용시간 늘어날수록, 습득스킬개수가 많을수록 이동속도를 높힐 수 있고, 착용아이템개수가 많을수록 이동속도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속도는 이전보다 ‘3’이 증가했고, 이는 이전보다 사용시간이 늘어났거나, 습득스킬개수가 많아졌거나, 착용아이템개수가 줄어들었거나 중 일부 혹은 전체를 의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vement speed adjusted based on the interaction information may increase the movement speed as the usage time increases and the number of acquired skills increases, and may decrease the movement speed as the number of worn items increases. Therefore, as shown in FIG. 17, the movement speed is increased by '3' than before, which is part or all of the use time increased, the number of acquired skills increased, or the number of worn items decreased. can mean
도 17에 도시된 상기 아바타의 능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실제 본 발명의 아바타의 능력치는 도 17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ability value of the avatar shown in FIG. 17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tual ability value of the avat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17 .
3. 허위 아바타 정보로부터 메타버스플랫폼 내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시스템3. A system that provides owner verification of avatar information to protect avatar information in the Metaverse platform from false avatar information
이하에서 언급되는 "블록체인네트워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하나의 기관에서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블록체인인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기술; 혹은 여러 기관들이 컨소시엄(consortium)을 이뤄 구성되며 허가된 기관만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는 컨소시엄 블록체인(consortium blockchain) 기술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는 상술한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술 혹은 컨소시엄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한 블록체인 전체를 의미하거나, 또는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술 혹은 컨소시엄 블록체인 기반의 블록체인에 속한 복수의 노드를 의미한다.The "blockchain network" referred to below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ivate blockchain technology, which is a blockchain independently used by one institution; Alternatively, it is desirable to apply consortium blockchain technology, in which several institutions form a consortium and only authorized institutions can participate in the network. In this case, the "blockchain network" means the entire block chain using the above-mentioned private block chain technology or consortium block chain technology, or a plurality of nodes belonging to the block chain based on the private block chain technology or consortium block chain technology. mean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블록체인네트워크"는 누구나 네트워크에 참여가능한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기술이 적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이하에서 언급되는 "블록체인네트워크"는 상기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블록체인에 속한 복수의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chain network" can be a public blockchain technology that anyone can participate in the network, and in this case, the "blockchain network" referred to below is the public block It can mean multiple nodes belonging to a blockchain based on chain technolog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허위 아바타 정보로부터 메타버스플랫폼(5000) 내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를 생성하고, 콘텐츠 수행에 따른 수행결과, 집중도 및 활동량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외형을 업데이트할 수 있고,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에 상기 아바타를 제공하여, 인터랙션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아바타를 업데이트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that provides owner verification for avatar information to protect the avatar information in the
한편,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NFT에 등록되어 있는 소유자정보 및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아바타관리부(1100)에서 제공하는 소유자정보 및 아바타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이하에서는, 외부의 블록체인네트워크(6000)에 생성되어 있는 NFT에 등록되어 있는 소유자정보 및 아바타에 대한 정보와 아바타관리부(1100)에서 메타버스플랫폼(5000)에 제공하는 소유자정보 및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위변조 검증을 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ystem for providing owner verification for the avatar information compares the owne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NFT and the avatar information with the owner information and the avatar information provided by the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에서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해서,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경우, 외부에서 해킹을 시도하여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수정하거나, 비인증된 정보가 수신되어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반영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정보를 반영한 아바타의 신뢰성을 해칠 수 있다.In order to generate an avatar from the
예를 들어, 아바타에 사용자의 의료데이터가 반영되어 있는 경우에는, 아바타를 활용하여 메타버스 내의 의료서비스, 원격진료를 수행할 수 있고, 보험심사에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의료데이터에 대한 소유자가 인정되지 않고, 위변조 될 경우에는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신뢰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For example, when the user's medical data is reflected in the avatar, the avatar can be used to perform medical services and telemedicine in the metaverse, and can be used for insurance review. However, if the owner of such medical data is not recognized and forged, there may be a problem of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on the avatar, so a system for solving this problem is needed.
따라서, 메타버스플랫폼(5000)에서 아바타 생성을 위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의 소유자정보와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의 위변조 검증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Accordingly, a method of providing owner information of information about an avatar for generating an avatar in the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18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tep of providing owner verification for information about an avat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VR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VR장치로 가상현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복수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VR서비스부; 상기 아바타에 대한 고유의 속성과 관련된 객채정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관련된 입력정보 및 상기 아바타의 원본 상태에 관련된 원본정보를 포함하는 아바타해시정보를 외부의 블록체인네트워크(6000)에 전송하여 NFT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생성된 NFT를 제공하는 아바타NFT제공부; 및 메타버스플랫폼(5000)에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에서 사용자가 상기 아바타를 이용하여 인터랙션한 인터랙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아바타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아바타업데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은, 상기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소유자정보인 제1소유자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로부터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 중 소유자정보인 제2소유자정보를 비교검증하고, 상기 제2소유자정보가 검증된 경우에, 상기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아바타해시정보의 제1해시값을 기준으로,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로부터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제2해시값을 비교검증하는 아바타정보검증부; 상기 제2해시값이 검증된 경우에,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로부터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해당 메타버스플랫폼(5000) 내의 사용자의 활동에 적용하는 아바타정보적용부; 및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 내의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인터랙션정보를 생성하는 인터랙션정보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아바타NFT제공부는,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해 해시함수를 적용하여 아바타해시정보를 생성하는 아바타해시정보생성단계; 상기 아바타해시정보를 상기 외부의 블록체인네트워크로 전송하여 상기 아바타에 대한 NFT 생성을 요청하는 아바타NFT생성요청단계; 및 상기 외부의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의하여 발행된 NFT를 수신하는 아바타NFT수신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 the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에 의하여,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수신(S1000)하고,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에 의하여, 해당 아바타에 대한 정보 소유자정보 및 위변조 검증(S1010),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에 의하여, 해당 아바타에 대한 정보의 소유자에게 승인 요청(S1020),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에 의하여, 해당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메타버스플랫폼(5000) 내의 사용자의 활동에 적용하여, 인터랙션정보 생성(S1030), 아바타관리부(1100)에 의하여, 인터랙션 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를 업데이트(S1040)를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 information on the avatar is received by the metaverse platform 5000 (S1000), and owner information and forgery verification of the avatar by the metaverse platform 5000 ( S1010), by the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로부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수신(S1000)한다.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은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로부터 수신한 해당 아바타에 대한 정보의 소유자정보 및 해당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해서 위변조 검증을 수행(S1010)한다. 자세한 상기 소유자정보 및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 위변조 검증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Specifically, in order to generate an avatar that can be used to perform content provided by the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해서 소유자정보 및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위변조 검증에서 위변조가 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해당 메타버스플랫폼(5000) 내의 사용자의 활동에 적용하기 위하여, 소유자정보와 일치하는 소유자에게 승인을 요청한다. 자세한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 적용 승인 요청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vatar information has not been forged in the verification of the owner information and the avatar information, in order to apply the avatar information to the user's activities in the
소유자에 의해 승인된 정보에 대해서, 해당 메타버스플랫폼(5000) 내의 컨텐츠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아바타의 외형 혹은/및 아바타의 능력치 등 사용자의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항에 대해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 내의 컨텐츠가 원격진료일 경우에는, 아바타의 외형은 사용자의 정보가 반영되어 있는 상기 원본 아바타에 대한 정보 중 질병정보가 반영될 수 있다.Regarding the information approved by the owner,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is provided for matters that may affect the user's activities, such as the appearance of the user's avatar performing the contents in the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적용하여 해당 메타버스플랫폼(5000) 내의 활동을 하면서 인터랙션한 인터랙션정보를 생성(S1030)한다. 상기 인터랙션정보는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 이용 상황에 맞게 아바타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이 제공하는 서비스 혹은 컨텐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이 의료플랫폼인 경우와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이 게임을 제공하는 경우의 인터랙션정보는 다를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avatar is applied to generate interaction information that has been interacted with while performing an activity in the corresponding metaverse platform 5000 ( S1030 ). The interaction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for updating an avatar according to the usage situation of the
상기 인터랙션정보는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에서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로 전달되고,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에 의하여, 상기 인터랙션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를 업데이트(S1040)한다. 상기 업데이트된 아바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원본 아바타에 대한 정보보다 해당 메타버스플랫폼(5000)이 제공하는 서비스 혹은 컨텐츠를 수행함에 있어서 더욱 최적화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The intera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당 아바타는 원본 아바타 혹은 업데이트된 아바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원본 아바타는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에서 사용자 정보로 생성하여 인터랙션정보에 의해 업데이트되지 않은 아바타를 의미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esponding avatar may mean an original avatar or an updated avatar. The original avatar may refer to an avatar that is generated as user information by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아바타의 소유자는 아바타에 대한 정보의 소유자와 같은 소유자를 의미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wner of the avatar may mean the same owner as the owner of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도 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정보검증부에서 수행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19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steps performed by the avatar information verif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바타정보검증부는,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로부터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아바타정보수신단계; 상기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소유자정보인 제1소유자정보를 수신하는 아바타NFT소유자수신단계; 수신한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서 아바타의 소유자정보인 제2소유자정보를 추출하는 아바타정보소유자추출단계; 상기 제1소유자정보 및 상기 제2소유자정보를 비교하여 소유자를 검증하는 제1비교검증단계; 상기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아바타해시정보의 제1해시값을 수신하는 아바타NFT해시값수신단계; 수신한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해시함수를 적용하여 제2해시값을 도출하는 아바타정보해시값도출단계; 및 상기 제1해시값 및 상기 제2해시값을 비교하여 위변조를 검증하는 제2비교검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소유자정보 및 상기 제2소유자정보가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아바타NFT해시값수신단계 내지 상기 제2비교검증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19 , the avatar information verification unit includes an avatar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avatar from the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은 아바타정보검증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은 아바타관리부(1100)로부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아바타정보수신단계(S1100)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는 아바타의 소유자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외부의 블록체인네트워크(6000)에 생성되어 있는 아바타의 NFT에는 아바타해시정보가 등록되어 있고, 상기 아바타해시정보는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해시함수를 적용하여 변형한 해시값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아바타해시정보는 NFT의 특성상 위변조가 불가능하여 본원 발명의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위변조를 검증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될 수 있다.Avatar hash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NFT of the avatar created in the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은 상기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소유자정보인 제1소유자정보를 수신하는 아바타NFT소유자수신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제1소유자정보는 상기 아바타 및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소유한 소유자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상기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소유자정보와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소유자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해야한다. 따라서, 수신한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서 소유자정보인 제2소유자정보를 추출하는 아바타정보소유자추출단계(S1120)를 수행한다. 상기 제2소유자정보는 상기 아바타 및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소유한 소유자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verify the information on the avatar received from the
상기 아바타의 NFT에 등록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는 같은 정보이기 때문에, 상기 제1소유자정보 및 상기 제2소유자정보는 같아야한다. 상기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제1소유자정보는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2소유자정보를 NFT에 등록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1소유자정보는 위변조가 불가능하다.Since the information on the avatar registered in the NFT of the avatar and the information on the avatar received from the
따라서,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에서 저장되어 있는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소유자정보가 위변조 되거나, 외부 혹은 시스템 상 다른 소유자의 정보가 수신되는 등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에 수신되는 소유자정보가 다르지 않다면, 상기 제1소유자정보 및 상기 제2소유자정보를 비교하여 소유자를 검증하는 제1비교검증단계(S1130)는 상기 제1소유자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2소유자정보를 검증하여 상기 제2소유자정보가 제1소유자정보와 일치한다고 검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wner received by the
상기 제1소유자정보 및 상기 제2소유자정보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이 아바타관리부(1100)로부터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 및 NFT에 등록되어 있는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해 위변조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first own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owner information are the same, the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은 상기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아바타해시정보의 제1해시값을 수신하는 아바타NFT해시값수신단계(S1140)를 수행한다. 상기 제1해시값은 상기 아바타해시정보 전체를 의미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원본 아바타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1해시값과 비교하기 위해서는,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해시값 형태로 변형해야한다. 따라서, 수신한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해시함수를 적용하여 제2해시값을 도출하는 아바타정보해시값도출단계(S1150)를 수행한다. Meanwhile, in order to compare the information on the original avatar received from the
상기 제1해시값 및 상기 제2해시값은 같은 정보를 해시값 형태로 변형하였기 때문에, 상기 제1해시값 및 상기 제2해시값은 같은 해시값을 가져야한다. 즉, 상기 원본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아바타해시정보는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해시값 형태로 변형하여 NFT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NFT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아바타해시정보는 위변조가 불가능하다.Since the first hash value and the second hash value transform the same information into a hash value form, the first hash value and the second hash value must have the same hash value. That is, the avatar hash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NFT of the original avatar is registered in the NFT by transform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received from the
따라서,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가 위변조 되거나, 수신하는 과정에서 위변조되는 등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에 수신되는 아바타에 대한 정보가 위변조되지 않았다면, 상기 제1해시값 및 상기 제2해시값을 비교하여 위변조를 검증하는 제2비교검증단계(S1160)는 상기 제1해시값을 기준으로 상기 제2해시값의 위변조를 검증하여 상기 제2해시값이 위변조 되지 않았다고 검증할 수 있다.Accordingly, if the information on the avatar stored in the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이 제공하는 서비스 혹은 컨텐츠는 게임, 교육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중 의료와 관련된 분야를 제공하는 경우에서는,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사용자의 의료정보가 포함될 수 있어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위변조 검증을 하여 아바타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e service or content provided by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는 원본 아바타에 대한 정보 및 업데이트된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on the avatar may mean information on the original avatar and information on the updated avata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검증할 수 있어, 외부로부터의 해킹이나 잘못 수신된 정보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verify the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thus it is possible to exhibit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information from hacking or erroneously received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아바타에 대해 원하는 정보만 검증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원본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는 복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이를 각각에 대하여 해시값을 도출한 뒤, 각각의 해시값을 외부의 블록체인네트워크(6000)에 등록하여 NFT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NFT에 등록되어 있는 원본 아바타에 대한 정보 중 검증하고자 하는 해당 정보의 해시값만 수신하고,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에서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에서 수신한 원본 아바타에 대한 정보 중 검증하고자 하는 해당 정보만 해시함수를 이용하여 해시값으로 변형하여, 상기 두 해시값을 비교하여 위변조를 검증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desired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may be verified. The information on the original avatar includes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and after deriving a hash value for each, the NFT can be generated by registering each hash value in the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바타정보적용부에서 수행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20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steps performed by the avatar information appl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바타정보적용부는, 상기 아바타정보검증부에서 상기 제1해시값 및 상기 제2해시값이 동일하다고 검증한 경우에만,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로부터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해당 메타버스플랫폼(5000) 내의 사용자의 활동에 적용하기 위해,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의 소유자에게 승인을 요청하는 정보적용승인단계; 및 상기 소유자가 승인한 경우에만,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해당 메타버스플랫폼(5000) 내의 사용자의 활동에 적용하는 아바타정보적용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0 , the avatar information application unit applies to the avatar received from the
제1해시값 및 제2해시값이 동일한 경우, 즉, 메타버스플랫폼(5000)에서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가 위변조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해당 메타버스플랫폼(5000) 내의 사용자 활동에 적용할 수 있다.When the first hash value and the second hash value are the same, that is, when the information on the avatar received from the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버스플랫폼(5000)이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로부터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해서, 소유자가 검증되고,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의 위변조가 검증된 경우에는,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가 메타버스플랫폼(5000)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소유자정보 및 제2소유자정보와 일치하는 소유자에게 승인을 요청하는 정보적용승인단계(S1200)을 수행한다. Specifically, when the owner is verified for the information on the avatar received by the
이후에, 상기 소유자가 상기 승인한 경우에만, 상기 아바타관리부(1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해당 메타버스플랫폼(5000) 내의 사용자의 활동에 적용하는 아바타정보적용단계(S1210)를 수행한다.Thereafter, only when the owner approves, the avatar information application step (S1210) of apply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received from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해서 소유자를 검증하고,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의 위변조를 검증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소유자에게 승인을 요청함으로, 소유자에 대한 권한을 강화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ority of the owner is strengthened by verifying the owner of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avatar and requesting permission from the owner to utilize the information verified for forgery or falsification of the information on the avatar. can have the effect of
도 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21 exemplarily illustrate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장치(11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장치(11000)의 내부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컴퓨팅시스템이 포함할 수 있고, 혹은 컴퓨팅장치(11000)은 도 1에 도시된 컴퓨팅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에 의하여 상기 VR서비스부(2000) 및 상기 추가콘텐츠부(40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100)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전술한 제1프로세서모듈 및 제2프로세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21, the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 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access to the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input/output subsystem may couple various input/output peripherals to the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if necessary, the
이러한 도 21의 실시예는, 컴퓨팅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장치(11000)는 도 21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21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장치는 도 21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of FIG. 21 is only an example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컴퓨팅장치(1100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컴퓨팅장치(110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ing device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particular,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a PC-based program or an application dedicated to a mobile terminal. An applic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installed in the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the hardware component and the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ing device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2)
사용자에게 장착되어 가상현실에 대한 영상 및 소리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목소리를 감지하는 HMD; 사용자의 외형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이미지정보를 도출하는 카메라장치; 상기 사용자의 두부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뇌파측정기; 상기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할 수 있는 맥박측정기;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동작센싱장치;를 포함하는 VR장치;
VR장치를 통하여 수집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를 생성하고, 해당 아바타에 대한 NFT를 생성하는 아바타관리부; 및
상기 아바타관리부로부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메타버스플랫폼 내의 사용자의 활동에 적용하는 메타버스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아바타관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VR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VR장치로 가상현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복수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VR서비스부;
상기 아바타에 대한 고유의 속성과 관련된 객채정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관련된 입력정보 및 상기 아바타의 원본 상태에 관련된 원본정보를 포함하는 아바타해시정보를 외부의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전송하여 NFT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생성된 NFT를 제공하는 아바타NFT제공부; 및
메타버스플랫폼에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메타버스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상기 아바타를 이용하여 인터랙션한 인터랙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아바타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아바타업데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버스플랫폼은,
상기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소유자정보인 제1소유자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아바타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 중 소유자정보인 제2소유자정보를 비교검증하고, 상기 제2소유자정보가 검증된 경우에, 상기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아바타해시정보의 제1해시값을 기준으로, 상기 아바타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제2해시값을 비교검증하는 아바타정보검증부;
상기 제2해시값이 검증된 경우에, 상기 아바타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해당 메타버스플랫폼 내의 사용자의 활동에 적용하는 아바타정보적용부; 및
상기 메타버스플랫폼 내의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인터랙션정보를 생성하는 인터랙션정보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VR서비스부는,
상기 사용자만 이용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현실 콘텐츠가 제공되는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구현부;
상기 VR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주고받는 VR통신부;
상기 VR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활동정보 및 의료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정보입력부;
상기 가상현실구현부에 의해 구현된 가상현실 내에 상기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생성부; 및
상기 가상현실에 생성된 아바타에게 상기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를 수행할 때마다 상기 아바타의 외형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VR콘텐츠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카메라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이미지정보; 상기 뇌파측정기로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뇌파정보; 및 상기 맥박측정기로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맥박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아바타생성부는,
복수의 상기 이미지정보로부터 각각의 외형특징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복수의 외형특징정보를 평균화하여 1차원 벡터의 형태의 캐릭터결정파라미터를 도출하고, 상기 캐릭터결정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기본외형을 결정하는 기본외형결정부;
상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노화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기본외형에 상기 노화정보에 상응하는 제1그래픽효과를 추가하는 노화정보결정부;
해당 사용자가 입력한 1 이상의 병력을 포함하는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질환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1그래픽효과가 추가된 상기 기본외형에 상기 질환정보에 상응하는 제2그래픽효과를 추가하는 질환정보결정부; 및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도출되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이동거리 혹은 걸음수에 기초하여, 이동거리 혹은 걸음수가 클수록 이동속도를 높이고, 상기 질환정보가 하체부위에 대한 질환인 경우에 이동속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아바타의 이동속도를 결정하는 이동속도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화정보결정부는,
상기 카메라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이미지정보에서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정보, 모발상태정보, 및 골격이 휘어진 정도를 포함하는 제1노화정보를 도출하는 제1노화정보부;
상기 뇌파측정기로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뇌파정보에서 뇌파의 안정성 및 상기 사용자의 집중도를 포함하는 제2노화정보를 도출하는 제2노화정보부;
상기 맥박측정기로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맥박정보에서 상기 사용자의 분당 맥박수, 맥박의 규칙성, 맥압을 포함하는 제3노화정보를 도출하는 제3노화정보부; 및
상기 제1노화정보, 상기 제2노화정보, 및 상기 제3노화정보 각각에 대해 1 내지 10 중 하나의 점수를 부여하고, 각각의 점수 및 각각의 점수를 합산한 합산점수를 포함하는 노화정보를 도출하는 종합판단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VR콘텐츠제공부는,
해당 사용자의 상기 노화정보에 기초하여 난이도가 결정되고, 사용자의 인지능력 및 집중도 강화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콘텐츠제공부;
해당 사용자의 상기 활동정보에 기초하여 난이도가 결정되고, 사용자의 신체 활동 강화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2콘텐츠제공부;
해당 사용자의 상기 질환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종류가 결정되고 재활훈련이 필요한 신체부위 또는 인지능력에 대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3콘텐츠제공부;
상기 제1콘텐츠제공부, 상기 제2콘텐츠제공부, 및 상기 제3콘텐츠제공부에서 제공한 콘텐츠에 대한 수행에 따른 수행결과, 콘텐츠에 대한 수행기간 동안 상기 뇌파측정기에 의하여 측정된 뇌파정보, 및 상기 맥박측정기에 의하여 측정된 맥박정보에 기초하여, 1 이상의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1 이상의 스코어에 따라 상기 노화정보를 조절하는 노화정보조절부; 및
상기 노화정보조절부에 의하여, 조절된 노화정보에 따라 상기 제1그래픽효과를 조절하여 해당 사용자의 아바타의 외형을 업데이트하는 아바타외형업데이트부;를 포함하는, 아바타의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시스템.
A system that provides owner verification of avatar information to protect avatar information in the Metaverse platform from false avatar information,
an HMD mounted to a user to provide images and sounds for virtual reality, and to sense the user's voice; a camera device that captures the user's appearance and derives image information of the user; an EEG attached to the user's head to measure the user's EEG; a pulse meter attached to the user's wrist to measure the user's pulse; and a motion sensing device for measuring the user's movement; a VR device comprising;
an avatar management unit that generates an avatar based on user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VR device and generates an NFT for the avatar; and
a metaverse platform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the avatar from the avatar management unit and applies the information on the avatar to the user's activities in the metaverse platform;
The avatar management unit,
a VR service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VR device worn by the user, provides information about virtual reality to the VR device, generates an avatar of the user, and provides a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to the user;
NFT is generated by transmitting avatar hash information including obje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unique properties of the avatar, in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origi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state of the avatar to an external blockchain network. an avatar NFT providing unit for requesting and providing the generated NFT to the user; and
an avatar update unit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avatar to the metaverse platform, receives interaction information that a user has interacted with using the avatar on the metaverse platform, and updates the avatar;
The metaverse platform is
Based on the first owner information, which is the owne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NFT of the avatar, the second owner information, which is the owner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received from the avatar management unit, is compared and verified, and the second owner information is verified. an avatar information verification unit that compares and verifies a second hash value of the avata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vatar management unit based on a first hash value of the avatar hash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NFT of the avatar;
an avatar information application unit for applying the avata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vatar management unit to the user's activities in the corresponding metaverse platform when the second hash value is verified; and
and an interac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intera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activity in the metaverse platform;
The VR service unit,
a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unit that is available only to the user and implements virtual reality in which the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are provided;
a VR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VR device to exchange information;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R device; and a user inform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and activity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s smartphone;
an avatar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avatar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in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ed by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ing unit; and
and a VR content providing unit capable of providing the plurality of contents to the avatar generated in the virtual reality and updating the appearance of the avatar whenever the avatar is performed;
The biometric information is
ima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amera device; EE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EG; and the user's puls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ulse meter.
The avatar generating unit,
Each of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derived from a plurality of the image information, and a character determination parameter in the form of a one-dimensional vector is derived by averaging the plurality of appearanc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character determination parameter, the basic appearance of the avatar Basic appearance determining unit to determine;
an aging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ging information of the avatar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adding a first graphic effect corresponding to the aging information to the basic appearance;
A disease in which disease information of an avatar is determined based on medical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medical history input by the user, and a second graphic effect corresponding to the disease information is added to the basic appearance to which the first graphic effect is added information decision unit; and
A method of increasing the movement speed as the movement distance or number of steps increases based on the movement distance or number of steps for a preset time derived from the user's smartphone, and lowering the movement speed when the disease information is a disease of the lower body and a movement speed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the movement speed of the avatar.
The aging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a first aging information unit for deriving first ag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skin condition information, hair condition information, and a degree of skeletal curvature from the imag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camera device;
a second aging information unit for deriving second ag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tability of the EEG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user from the EE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with the EEG;
a third aging information unit for deriving third ag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pulse rate per minute, pulse regularity, and pulse pressure from the user's puls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ulse meter; and
Aging information including a summation score by assigning a score of 1 to 10 for each of the first aging information, the second aging information, and the third aging information, and adding each score and each score Including; a comprehensive judgment module to derive
The VR content providing unit,
A first content providing unit, the difficulty is determined based on the aging information of the user, and provides content that can perform the user's cognitive ability and concentration reinforcement training;
a second cont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content for which difficulty is determined based on the activit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and for which the user's physical activity reinforcement training can be performed;
a third cont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content for which a type of content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disease information and training for a body part or cognitive ability requiring rehabilitation train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first contents providing unit, the second contents providing unit, and the third contents providing unit, EE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EEG measuring device during the execution period for the contents, and Based on the puls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ulse meter, the aging information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one or more scores, and adjusting the ag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ne or more scores; and
An avatar appearance update unit that updates the appearance of the user's avatar by adjusting the first graphic effect according to the aging information adjusted by the aging information adjusting unit; system.
상기 아바타정보검증부는,
상기 아바타관리부로부터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아바타정보수신단계;
상기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소유자정보인 제1소유자정보를 수신하는 아바타NFT소유자수신단계;
수신한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서 아바타의 소유자정보인 제2소유자정보를 추출하는 아바타정보소유자추출단계;
상기 제1소유자정보 및 상기 제2소유자정보를 비교하여 소유자를 검증하는 제1비교검증단계;
상기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아바타해시정보의 제1해시값을 수신하는 아바타NFT해시값수신단계;
수신한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해시함수를 적용하여 제2해시값을 도출하는 아바타정보해시값도출단계; 및
상기 제1해시값 및 상기 제2해시값을 비교하여 위변조를 검증하는 제2비교검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소유자정보 및 상기 제2소유자정보가 동일한 경우에만, 상기 아바타NFT해시값수신단계 내지 상기 제2비교검증단계를 수행하는, 아바타의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vatar information verification unit,
an avatar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avatar from the avatar management unit;
an avatar NFT owner receiving step of receiving first owner information, which is owne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NFT of the avatar;
an avatar information owner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second owner information, which is owner information of the avatar, from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avatar;
a first comparison verification step of verifying an owner by comparing the first own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owner information;
an avatar NFT hash value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first hash value of avatar hash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NFT of the avatar;
an avatar information hash value deriving step of deriving a second hash value by applying a hash function to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avatar; and
a second comparison verification step of verifying forgery by comparing the first hash value and the second hash value;
and performing the avatar NFT hash value receiving step to the second comparison verification step only when the first own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owner information are the same.
상기 아바타정보적용부는,
상기 아바타정보검증부에서 상기 제1해시값 및 상기 제2해시값이 동일하다고 검증한 경우에만,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의 소유자에게 승인을 요청하는 정보적용승인단계; 및
상기 소유자가 승인한 경우에만, 상기 아바타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해당 메타버스플랫폼 내의 사용자의 활동에 적용하는 아바타정보적용단계;를 수행하는, 아바타의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vatar information application unit,
Only when the avatar information verification unit verifies that the first hash value and the second hash value are the same,
an information application approval step of requesting approval from the owner of the information on the avatar; and
An avatar information application step of applying the avata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vatar management unit to the user's activities in the corresponding metaverse platform only when the owner approves; providing owner verification of the avatar information system.
상기 아바타업데이트부는,
상기 메타버스플랫폼에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아바타정보제공단계;
상기 메타버스플랫폼에서 상기 아바타에 해당하는 인터랙션정보를 수신하는 인터랙션정보수신단계; 및
상기 인터랙션정보 중 아바타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아바타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를 업데이트하는 아바타업데이트단계;를 포함하는, 아바타의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vatar update unit,
an avatar information providing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avatar to the metaverse platform;
an interac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intera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vatar from the metaverse platform; and
and an avatar update step of extracting avatar-related information from the interaction information and updating the avatar based on the avatar-related information.
상기 아바타업데이트단계는,
상기 메타버스플랫폼에서 게임을 제공하는 경우에, 레벨업정보, 수집아이템개수 및 퀘스트클리어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노화정보를 조절하고,
상기 노화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의 피부상태정보, 모발상태정보, 골격의 휘어진 정도, 눈의 기울기 및 입모양에 대해 아바타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메타버스플랫폼에서 게임을 제공하는 경우에, 사용시간, 습득스킬개수 및 착용아이템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속도를 조절하고, 상기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아바타를 업데이트하는, 아바타의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avatar update step,
When the game is provided on the metaverse platform, the aging information is adjusted based on the level-up information, the number of collected items, and the number of quest cleared,
updating the avatar with respect to the skin condition information, the hair condition information,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skeleton, the inclination of the eyes, and the mouth shape of the avatar based on the aging information;
When the metaverse platform provides a game, the owner verification of the avatar information, which adjusts the movement speed based on the usage time, the number of acquired skills and the number of worn items, and updates the avatar based on the movement speed system that provides
상기 제1콘텐츠제공부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1콘텐츠는,
틀린그림찾기, 산수 및 퍼즐 맞추기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 및 집중도를 강화하기 위한 콘텐츠고,
상기 제2콘텐츠제공부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2콘텐츠는,
걷기, 스트레칭 및 스쿼트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활동 강화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고,
상기 제3콘텐츠제공부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3콘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부상을 입은 신체부위에 대한 집중적인 훈련을 수행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기억력, 판단력, 언어능력 및 시공간을 파악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강화에 대한 집중적인 훈련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가 취약한 분야를 훈련하기 위한 콘텐츠인, 아바타의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tent provided to the user by the first content providing unit,
Content for enhancing the user's cognitive ability and concentration, including finding the wrong picture, arithmetic, and jigsaw puzzles,
The second content provided to the user by the second content providing unit,
Content that can perform the user's physical activity reinforcement training, including walking, stretching and squats,
The third content provided to the user by the third content providing unit,
A field in which the user is vulnerable by performing intensive training on the body part where the user is injured or performing intensive training on strengthening cognitive ability including the user's memory, judgment, language ability, and ability to understand time and space A system that provides owner verification of the avatar's information, which is content for training avatars.
상기 노화정보조절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콘텐츠를 수행하는 동안 측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뇌파정보에 기초하여 집중도스코어를 산출하는 집중도스코어산출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콘텐츠를 수행하는 동안 측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맥박정보 및 근전도정보에 기초하여 활동량스코어를 산출하는 활동량스코어산출단계;
상기 제1콘텐츠의 수행결과, 상기 제2콘텐츠의 수행결과, 및 상기 제3콘텐츠의 수행결과에 기초하여 각각 제1스코어, 제2스코어, 제3스코어를 산출하는 수행결과스코어산출단계; 및
상기 제1스코어, 상기 제2스코어, 상기 제3스코어, 상기 집중도스코어, 및 상기 활동량스코어의 합산값에 기초하여, 노화정보를 감소시키는 노화정보감소단계;를 수행하는, 아바타의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ging information control unit,
an intensity score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n intensity score based on the user's brain wave information measured while the user performs the first content;
an activity scor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n activity score based on the user's pulse information and EMG information measured while the user performs the second content;
an execution result score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first score, a second score, and a third score, respectively, based o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first content, the execution result of the second content, and the execution result of the third content; and
Based on the sum of the first score, the second score, the third score, the concentration score, and the activity score, an aging information reduction step of reducing aging information; the owner of the avatar information A system that provides validation.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장착되어 가상현실에 대한 영상 및 소리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목소리를 감지하는 HMD; 사용자의 외형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이미지정보를 도출하는 카메라장치; 상기 사용자의 두부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뇌파측정기; 상기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할 수 있는 맥박측정기;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동작센싱장치;를 포함하는 VR장치;
VR장치를 통하여 수집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를 생성하고, 해당 아바타에 대한 NFT를 생성하는 아바타관리부; 및
상기 아바타관리부로부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메타버스플랫폼 내의 사용자의 활동에 적용하는 메타버스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아바타관리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가 착용하는 VR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VR장치로 가상현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복수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VR서비스단계;
상기 아바타관리부에 의하여, 상기 아바타에 대한 고유의 속성과 관련된 객채정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관련된 입력정보 및 상기 아바타의 원본 상태에 관련된 원본정보를 포함하는 아바타해시정보를 외부의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전송하여 NFT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생성된 NFT를 제공하는 아바타NFT제공단계;
상기 아바타관리부에 의하여, 메타버스플랫폼에 상기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메타버스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상기 아바타를 이용하여 인터랙션한 인터랙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아바타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아바타업데이트단계;
상기 메타버스플랫폼에 의하여, 상기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소유자정보인 제1소유자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아바타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 중 소유자정보인 제2소유자정보를 비교검증하고, 상기 제2소유자정보가 검증된 경우에, 상기 아바타의 NFT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아바타해시정보의 제1해시값을 기준으로, 상기 아바타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제2해시값의 비교검증하는 아바타정보검증단계;
상기 메타버스플랫폼에 의하여, 상기 제2해시값이 검증된 경우에, 상기 아바타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해당 메타버스플랫폼 내의 사용자의 활동에 적용하는 아바타정보적용단계; 및
상기 메타버스플랫폼에 의하여, 상기 메타버스플랫폼 내의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인터랙션정보를 생성하는 인터랙션정보생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VR서비스단계는,
상기 사용자만 이용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현실 콘텐츠가 제공되는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가상현실구현단계;
상기 VR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주고받는 VR통신단계;
상기 VR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활동정보 및 의료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정보입력단계;
상기 가상현실구현단계에 의해 구현된 가상현실 내에 상기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생성단계; 및
상기 가상현실에 생성된 아바타에게 상기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를 수행할 때마다 상기 아바타의 외형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VR콘텐츠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카메라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이미지정보; 상기 뇌파측정기로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뇌파정보; 및 상기 맥박측정기로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맥박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아바타생성단계는,
복수의 상기 이미지정보로부터 각각의 외형특징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복수의 외형특징정보를 평균화하여 1차원 벡터의 형태의 캐릭터결정파라미터를 도출하고, 상기 캐릭터결정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기본외형을 결정하는 기본외형결정단계;
상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노화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기본외형에 상기 노화정보에 상응하는 제1그래픽효과를 추가하는 노화정보결정단계;
해당 사용자가 입력한 1 이상의 병력을 포함하는 의료정보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질환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1그래픽효과가 추가된 상기 기본외형에 상기 질환정보에 상응하는 제2그래픽효과를 추가하는 질환정보결정단계; 및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도출되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이동거리 혹은 걸음수에 기초하여, 이동거리 혹은 걸음수가 클수록 이동속도를 높이고, 상기 질환정보가 하체부위에 대한 질환인 경우에 이동속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아바타의 이동속도를 결정하는 이동속도결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화정보결정단계는,
상기 카메라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이미지정보에서 상기 사용자의 피부상태정보, 모발상태정보, 및 골격이 휘어진 정도를 포함하는 제1노화정보를 도출하는 제1노화정보단계;
상기 뇌파측정기로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뇌파정보에서 뇌파의 안정성 및 상기 사용자의 집중도를 포함하는 제2노화정보를 도출하는 제2노화정보단계;
상기 맥박측정기로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맥박정보에서 상기 사용자의 분당 맥박수, 맥박의 규칙성, 맥압을 포함하는 제3노화정보를 도출하는 제3노화정보단계; 및
상기 제1노화정보, 상기 제2노화정보, 및 상기 제3노화정보 각각에 대해 1 내지 10 중 하나의 점수를 부여하고, 각각의 점수 및 각각의 점수를 합산한 합산점수를 포함하는 노화정보를 도출하는 종합판단모듈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VR콘텐츠제공단계는,
해당 사용자의 상기 노화정보에 기초하여 난이도가 결정되고, 사용자의 인지능력 및 집중도 강화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1콘텐츠제공단계;
해당 사용자의 상기 활동정보에 기초하여 난이도가 결정되고, 사용자의 신체 활동 강화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2콘텐츠제공단계;
해당 사용자의 상기 질환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종류가 결정되고 재활훈련이 필요한 신체부위 또는 인지능력에 대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제3콘텐츠제공단계;
상기 제1콘텐츠제공단계, 상기 제2콘텐츠제공단계, 및 상기 제3콘텐츠제공단계에서 제공한 콘텐츠에 대한 수행에 따른 수행결과, 콘텐츠에 대한 수행기간 동안 상기 뇌파측정기에 의하여 측정된 뇌파정보, 및 상기 맥박측정기에 의하여 측정된 맥박정보에 기초하여, 1 이상의 스코어를 산출하고, 상기 1 이상의 스코어에 따라 상기 노화정보를 조절하는 노화정보조절단계; 및
상기 노화정보조절단계에 의하여, 조절된 노화정보에 따라 상기 제1그래픽효과를 조절하여 해당 사용자의 아바타의 외형을 업데이트하는 아바타외형업데이트단계;를 포함하는, 아바타의 정보에 대한 소유자 검증을 제공하는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owner verification for avatar information implemented in a system that provides owner verification for avatar information to prevent avatar creation on a metaverse platform with false avatar information, comprising:
The system is
an HMD mounted to a user to provide images and sounds for virtual reality, and to sense the user's voice; a camera device that captures the user's appearance and derives image information of the user; an EEG attached to the user's head to measure the user's EEG; a pulse meter attached to the user's wrist to measure the user's pulse; and a motion sensing device for measuring the user's movement; a VR device comprising;
an avatar management unit that generates an avatar based on user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VR device and generates an NFT for the avatar; and
a metaverse platform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the avatar from the avatar management unit and applies the information on the avatar to the user's activities in the metaverse platform;
The method is
The avatar management unit communicates with the VR device worn by the user, provides information about virtual reality to the VR device, generates the user's avatar, and provides a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to the user. VR service stage;
The avatar management unit transmits, by the avatar management unit, avatar hash information including obje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unique properties of the avatar, in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origi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state of the avatar to an external block chain. an avatar NFT providing step of transmitting to a network, requesting NFT generation, and providing the generated NFT to the user;
An avatar update step of providing, by the avatar management unit, information about the avatar to the metaverse platform, receiving interaction information that the user has interacted with using the avatar on the metaverse platform, and updating the avatar ;
The metaverse platform compares and verifies the second owner information, which is the owner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on the avatar received from the avatar management unit, based on the first owner information, which is the owne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NFT of the avatar, and When the second owner information is verified, the second hash value of the avata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vatar management unit is compared with the first hash value of the avatar hash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NFT of the avatar. Avatar information verification step to verify;
an avatar information application step of applying, when the second hash value is verified by the metaverse platform, the avata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vatar management unit to the user's activities in the metaverse platform; and
an interaction information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by the metaverse platform, intera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activity in the metaverse platform;
The VR service step is
A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step of implementing virtual reality that is available only to the user and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s;
a VR communication step of exchanging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VR device;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R device; and a user information input step of receiv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and activity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s smartphone;
an avatar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n avatar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in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ed by the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step; and
a VR content providing step of providing the plurality of contents to the avatar created in the virtual reality, and updating the appearance of the avatar every time the avatar is performed;
The biometric information is
ima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amera device; EE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by the EEG; and the user's puls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ulse meter.
The avatar creation step includes:
Each of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derived from a plurality of the image information, and a character determination parameter in the form of a one-dimensional vector is derived by averaging the plurality of appearanc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character determination parameter, the basic appearance of the avatar Basic appearance determining step to determine;
an aging information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aging information of the avatar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adding a first graphic effect corresponding to the aging information to the basic appearance;
A disease in which disease information of an avatar is determined based on medical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medical history input by the user, and a second graphic effect corresponding to the disease information is added to the basic appearance to which the first graphic effect is added information determination step; and
A method of increasing the movement speed as the movement distance or number of steps increases based on the movement distance or number of steps for a preset time derived from the user's smartphone, and lowering the movement speed when the disease information is a disease of the lower body a moving speed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the moving speed of the avatar with
The aging information determination step,
a first aging information step of deriving first ag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skin condition information, hair condition information, and a degree of skeletal curvature from the imag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camera device;
a second aging information step of deriving second ag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tability of the EEG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user from the EEG information of the user measured with the EEG;
a third aging information step of deriving third ag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pulse rate per minute, pulse regularity, and pulse pressure from the user's puls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ulse meter; and
Aging information including a summation score by assigning a score of 1 to 10 for each of the first aging information, the second aging information, and the third aging information, and adding each score and each score Including; a comprehensive judgment module step to derive
The VR content providing step includes:
A first content providing step, wherein the level of difficulty is determined based on the aging information of the user, and providing content that can perform cognitive ability and concentration reinforcement training of the user;
a second content providing step of determining a difficulty level based on the activit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and providing content capable of performing the user's physical activity reinforcement training;
a third content providing step of providing content in which a type of content is determined based on the diseas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raining for a body part or cognitive ability requiring rehabilitation training is performed;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contents provided in the first contents providing step, the second contents providing step, and the third contents providing step, EE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EEG measuring device during the execution period for the contents, and An aging information control step of calculating one or more scores based on the puls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ulse meter, and adjusting the ag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ne or more scores; and
An avatar appearance update step of updating the appearance of the user's avatar by adjusting the first graphic effect according to the adjusted aging information by the aging information adjustment step; Wa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7138A KR102443946B1 (en) | 2022-03-03 | 2022-03-03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wner Verification Of Avatar Information To Protect Avatar Information In The Metaverse Platform From False Avatar Inform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7138A KR102443946B1 (en) | 2022-03-03 | 2022-03-03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wner Verification Of Avatar Information To Protect Avatar Information In The Metaverse Platform From False Avatar Inform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43946B1 true KR102443946B1 (en) | 2022-09-16 |
KR102443946B9 KR102443946B9 (en) | 2022-12-27 |
Family
ID=8344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7138A KR102443946B1 (en) | 2022-03-03 | 2022-03-03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wner Verification Of Avatar Information To Protect Avatar Information In The Metaverse Platform From False Avatar Inform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394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62452A (en) * | 2022-11-01 | 2024-05-09 | 강민지 |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managing virtual reality identification IDs based on real-world personal information |
KR102693091B1 (en) | 2023-12-04 | 2024-08-08 | 엘에스웨어(주) | System and method of verificating avatar owner between metavers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2409A (en) * | 2004-10-12 | 2006-04-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avata for representing state of health |
KR20120011772A (en) * | 2010-07-20 | 2012-02-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virtual world using vital information |
KR101943585B1 (en) | 2016-12-23 | 2019-01-30 | 이광순 | System for Psychological Diagnosis using Virtual Reality Environment Configuration |
KR102130750B1 (en) | 2020-03-23 | 2020-07-06 | 이병관 | Method for providing big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service using bidirectional virtual reality contents |
KR20210022944A (en) * | 2019-08-21 | 2021-03-04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Biosignal-based avatar control system and method |
KR20210101275A (en) * | 2018-12-07 | 2021-08-18 |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ryptographically protected digital assets |
-
2022
- 2022-03-03 KR KR1020220027138A patent/KR10244394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32409A (en) * | 2004-10-12 | 2006-04-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avata for representing state of health |
KR20120011772A (en) * | 2010-07-20 | 2012-02-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virtual world using vital information |
KR101943585B1 (en) | 2016-12-23 | 2019-01-30 | 이광순 | System for Psychological Diagnosis using Virtual Reality Environment Configuration |
KR20210101275A (en) * | 2018-12-07 | 2021-08-18 |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ryptographically protected digital assets |
KR20210022944A (en) * | 2019-08-21 | 2021-03-04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Biosignal-based avatar control system and method |
KR102130750B1 (en) | 2020-03-23 | 2020-07-06 | 이병관 | Method for providing big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service using bidirectional virtual reality content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62452A (en) * | 2022-11-01 | 2024-05-09 | 강민지 |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managing virtual reality identification IDs based on real-world personal information |
KR102678168B1 (en) * | 2022-11-01 | 2024-06-26 | 강민지 |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managing virtual reality identification IDs based on real-world personal information |
KR102693091B1 (en) | 2023-12-04 | 2024-08-08 | 엘에스웨어(주) | System and method of verificating avatar owner between metaver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43946B9 (en) | 2022-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32248B1 (en)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vatar And Provides It To An External Metaverse Platform To Update The Avatar And Provide NFT For The Updated Avatar | |
KR102425479B1 (en)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vatar With User Information, Providing It To An External Metaverse Platform, And Recommending A User-Customized DTx(Digital Therapeutics) | |
US1117008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world biometric analytics through the use of a multimodal biometric analytic wallet | |
Heller | Watching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 Immersive technology, biometric psychography, and the law | |
KR102453304B1 (en) | A system that provides virtual reality content for dementia prevention and self-diagnosis | |
KR102443946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wner Verification Of Avatar Information To Protect Avatar Information In The Metaverse Platform From False Avatar Information | |
KR10244513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rgery And Falsification Verification Of Avatar Information For Avatar Generation On The Metaverse Platform | |
CN106462743A (en) |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eye signals with secure mobile communications | |
US20220188833A1 (en) | Facilitating payments in an extended reality system based on behavioral biometrics | |
KR102445133B1 (en) | System That Creates An Avatar, Provides It To An External Metaverse Platforms, And Updates The Avatar, And Method Thereof | |
Garrido et al. | Sok: Data privacy in virtual reality | |
Colantonio et al. | Computer vision for ambient assisted living: Monitoring systems for personalized healthcare and wellness that are robust in the real world and accepted by users, carers, and society | |
KR102425481B1 (en) | Virtual reality communication system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 |
CN113196410A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ain treatment | |
KR102429630B1 (en) | A system that creates communication NPC avatars for healthcare | |
JP2024503619A (en) | Animal data compliance systems and methods | |
Nair et al. | Inferring private personal attributes of virtual reality users from head and hand motion data | |
KR102445134B1 (en)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vatar Based On A User's Information And Providing An NFT For Avatar | |
KR102429627B1 (en) | The System that Generates Avatars in Virtual Reality and Provides Multiple Contents | |
KR102437583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Color Content For Preferred Colors Using Biosignals | |
CN112116971A (en) |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US20230360329A1 (en) | Metaverse Experiences | |
KR102432251B1 (en) |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ystem performed on social servers | |
Alharbi et al. | Design and evaluation of an authentication framework for wearable devices | |
KR102617431B1 (en) | A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The Optimum Temperature For A User-Customized Immersive Content Test Bed Performing Content By Creating An Avat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