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929B1 - Lower stiffener unit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Lower stiffener unit for automobi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9929B1 KR102449929B1 KR1020190150144A KR20190150144A KR102449929B1 KR 102449929 B1 KR102449929 B1 KR 102449929B1 KR 1020190150144 A KR1020190150144 A KR 1020190150144A KR 20190150144 A KR20190150144 A KR 20190150144A KR 102449929 B1 KR102449929 B1 KR 1024499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wer stiffener
- vehicle
- core
- hollow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3—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범퍼빔 또는 프론트 엔드 모듈(FEM)의 캐리어 하부에 설치되는 로워 스티프너 장치로서, 상기 로워 스티프너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중공부; 상기 중공부의 외측 주변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에 보강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er stiffener device for a vehicle, and is a lower stiffener device installed under a carrier of a bumper beam or a front end module (FEM) of a vehicle, the lower stiffener comprising: a hollow part elonga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least one or more core portion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low portion; and a reinforcing material in the core portion; provides a lower stiffener device for a vehic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워 스티프너와 차량의 범퍼빔 또는 프론트 엔드 모듈(FEM)의 캐리어 간의 결합 구조에서, 보행자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줄여 보행자 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er stiffener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in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lower stiffener and a bumper beam of a vehicle or a carrier of a front end module (FEM), it is possible to satisfy pedestrian laws by reducing the impact caused by a pedestrian collision. It relates to a lower stiffener device for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 운행 중 보행자와의 충돌 시 프론트 범퍼가 보행자의 무릎 부분이나 그 위쪽에 충격을 가하게 될 경우 보행자의 무릎 이하 부분이 꺾이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만약 보행자가 차량과의 충돌 사고시 다리의 무릎 이하 부분이 꺾이게 될 경우에는 다리가 부러지게 되는 치명적인 부상을 입게 된다.In general, when the front bumper impacts on or above the knee of the pedestrian during a collision with a pedestrian while driving a vehicle, the pedestrian's knee or lower part is bent. If the lower part is broken, it can cause fatal injuries that break the leg.
근래에는 차량 운행 중에 보행자와의 충돌 시 차량의 전방을 구성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FEM)의 전역에 걸쳐 충격을 고르게 전달하는 기능과 함께 보행자와의 충돌 시 변형되면서 그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보행자의 다리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로워 스티프너가 프론트 범퍼의 하부에 장착된다.In recent years, when a vehicle collides with a pedestrian, the front-end module (FEM) that constitutes the front of the vehicle has a function of evenly transmitting the impact across the entire area, and when a vehicle collides with a pedestrian, it deforms and absorbs the impact energy. A lower stiffener is mounted on the underside of the front bumper to minimize injuries.
종래 기술에 따른 로워 스티프너는 크게 3가지 타입으로 스틸 중공 파이프 제품과, 범용 플라스틱 사출성형 제품 그리고 복합 플라스틱 프레스성형 제품이 적용되고 있다. There are three types of lower stiffener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steel hollow pipe product, a general-purpose plastic injection-molded product, and a composite plastic press-molded product.
그런데, 스틸 중공 파이프 제품은 가격이 저렴하고 강도/강성이 좋으나, 중량이 무겁고, 범용 플라스틱 사출성형 제품은 가격은 저렴하나 중량이 무거우며 강도/강성이 부족하며, 그리고 복합 플라스틱 프레스성형 제품은 중량이 가볍고 강도/강성이 좋으나 가격이 비싼 문제점이 있다. By the way, steel hollow pipe products are inexpensive and have good strength/rigidity, but are heavy in weight. General-purpose plastic injection molded products are cheap but heavy in weight and lack strength/rigidity, and composite plastic press-molded products are heavy. This light and strength/rigidity is goo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ice is high.
따라서, 최근에는 저렴한 가격과 충분한 강도/강성 그리고 저중량을 고려하여 복합 플라스틱 프레스성형 제품과 LFT(Long glass Fiber Thermoplastic) 인발 압출성형 제품을 주로 양산 적용하고 있다.Therefore, recently, in consideration of low price, sufficient strength/rigidity, and low weight, composite plastic press-molded products and LFT (Long Glass Fiber Thermoplastic) pultrusion extrusion products have been mainly mass-produced.
이와 같은 양산 제품들은 특히 차량에 장착하기 위해서 별도의 상관 부품에 고정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차량의 프론트 범퍼 빔이나 프론트 엔드 모듈(FEM)의 캐리어에 수직으로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에 고정된다.These mass-produced products, in particular, require fixing to a separate correlation part to be mounted on a vehicle, and are generally fixed to a mounting bracket vertically fixed to a front bumper beam of a vehicle or a carrier of a front end module (FEM).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로워 스티프너 장치는 최적화 설계라기보다는 단순히 보행자의 법규를 만족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개시되고 있을 뿐이어서, 로워 스티프너의 추가에 따른 중량 증대는 물론, 단순히 보행자의 무릎 이하 부분의 꺽임 정도를 낮추는 수준에 머물러 있어 강성과 유연성 측면에서 구조적인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차량의 원가 및 중량만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lower stiffener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merely disclosed as a part of satisfying pedestrian regulations rather than an optimized design, weight increase due to the addition of the lower stiffener, as well as simply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pedestrian's knee or lower part There was a problem of increasing only the cost and weight of the vehicle because the structural approach was not made in terms of rigidity and flexibility as it remained at the level of lowering the vehicl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워 스티프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를 형성하고, 중공부의 외측 주변부에 완충 기능을 가지는 보강재를 삽입함으로써, 경량화, 유연성 및 강성을 동시에 충족시켜 보행자 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는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hollow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stiffener, and insert a reinforcing material having a cushioning function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low portion, thereby reducing weight , to provide a lower stiffener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satisfy pedestrian regulations by simultaneously satisfying flexibility and rigidit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빔 또는 프론트 엔드 모듈(FEM)의 캐리어 하부에 설치되는 로워 스티프너 장치로서, 상기 로워 스티프너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중공부; 상기 중공부의 외측 주변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에 보강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wer stiffener device installed under a carrier of a bumper beam or a front end module (FEM) of a vehicle, the lower stiffener comprising: a hollow part elonga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least one or more core portion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low portion; and a reinforcing material in the core portion; provides a lower stiffener device for a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워 스티프너는, 상기 중공부를 기준으로 전방부에는 곡률 형상의 곡면부; 및 상기 중공부를 기준으로 후방부에는 평면부가 형성되되, 상기 곡면부와 상기 평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코어부가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tiffener may include a curved portion having a curvature shape at a front portion based on the hollow portion; and a flat portion is formed on the rear portion based on the hollow portion, and a core portion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curved portion and the flat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방부의 두께는 상기 후방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front part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ar p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워 스티프너의 상기 코어부는 단면이 환형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core part of the lower stiffener may be annular.
상기 보강재는 연속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및 스틸 와이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reinforcing material comprises any one or more of continuous fiber, carbon fiber, aramid and steel wi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로워 스티프너에는, 상기 중공부를 기준으로 상기 코어부와 상기 평면부를 연결하는 지지부가 형성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portion connecting the core portion and the fla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in the lower stiffener.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 장치에 의하면, 로워 스티프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를 형성하고, 중공부의 외측 주변부에 완충 기능을 가지는 보강재를 삽입함으로써, 경량화, 유연성 및 강성을 동시에 충족시켜 보행자 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lower stiffen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 hollow portion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stiffener and a reinforcing material having a cushioning function is inserted 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thereby reducing weight, flexibility and rigidity at the same time. It has the effect of satisfying pedestrian regul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 커버와 로워 스티프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stiffen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bumper cover for a vehicle and a lower stiff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ower stiffe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ower stiffe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ower stiffe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 커버와 로워 스티프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stiffe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bumper cover for a vehicle and a lower stiffe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lower stiffe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캐리어(100)에는 헤드램프, 라디에이터, 콘덴서, 범퍼 등과 차체 패널을 하나로 조립하여 현장에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조립 정도를 확보하기 위해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FEM)이 적용된다.In th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100)는 상부 양측에 형성된 헤드램프 장착부(101), 그 전방에 라디에이터 및 콘덴서와 같은 쿨링 모듈(미도시)을 장착하는 쿨링모듈 장착부(102), 쿨링모듈 장착부(102)의 상부 프레임(103)의 중간에서 아래로 연결되어 자동차의 혼 스피커 등을 장착하도록 하는 지지 프레임(미도시), 쿨링모듈 장착부(102)의 하부에 형성되어 범퍼 및 안개등 등을 장착하는 하부 프레임(104)으로 이루어져 있다. 1, the
하부 프레임(104)의 양단에 결합되어 캐리어(100)의 하단부로 연장되는 마운팅 브라켓(120)이 구비되며, 마운팅 브라켓(1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차량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캐리어(100)의 하부 공간을 차단하는 로워 스티프너(lower stiffener, 200)가 구비된다.A
본 발명에 따른 로워 스티프너(200)는 차량의 전방 충돌 시 탑승자의 보호를 위해 발생하는 충격을 프론트 엔드 모듈의 전역에 걸쳐 균일하게 전달함과 동시에, 보행자의 다리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보행자와의 충돌 시 변형되면서 그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보강수단으로서,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중간 부분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호 형상의 곡선의 프로 파일을 가지며, 속이 비어 있는 중공부(201)를 가진 폐단면 구조로 형성된다. The
이와 같은 로워 스티프너(200)는 열가소성 복합 플라스틱 인발 또는 압출 공정으로 제조되면서 내부에 중공부(201)를 가지는 인발 또는 압출 관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워 스티프너(200)가 인발 또는 압출 관재로 적용 가능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열가소성 복합 플라스틱 주조 생산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로워 스티프너(200)에 중공부(201)가 형성되는 경우 완전한 폐단면 구조에 비해 경량화가 가능하여 연비 상승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When the
이와 같은 로워 스티프너(200)의 강성과 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인발 또는 압출 성형 시에 중공부(201,201',210")의 외측 주변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어부(212,212',212")를 형성하고, 코어부(212,212',212")에 보강재(250,250',250")를 연속적으로 삽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재(250,250',250")는 연속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및 스틸 와이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it is necessary to further increase the rigidity and strength of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보강재(250,250',250")에 차체의 강성 및 경량화 측면에서 특히 연속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며, 연속섬유에 배합되는 필라멘트의 혼합비를 달리함으로써 충분한 강성 및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ost appropriate to use continuous fibers for the reinforcing
로워 스티프너(2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단면은 차량을 기준으로 전방부(210,210',210")와 후방부(220,220',220")로 구별될 수 있다.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워 스티프너(200)는 일반적으로 범퍼 커버(300)의 후방에 인접 가능하게 구비되어 차량과 보행자와 충돌시 보행자의 다리의 상해를 최소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한정된 공간에서 로워 스티프너(200)의 최적의 강성 및 강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공부(201)를 가진 파이프 형상이면서 외측 주변부의 코어부(212)에 보강재(250)가 삽입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As shown in FIG. 2 , the
또한, 중공부(201)의 특성상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 흡수량이 증대되므로 보행자 법규를 만족시키기에 충분하다.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of the
로워 스티프너(200)의 단면 형상의 경우 전방부(210)에는 보행자의 다리가 접촉되는 면으로 범퍼 커버(300)의 형상과 매칭하기 위해 곡률 형상의 곡면부(211)가 형성된다. In the cas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로워 스티프너(200)의 후방부(220)에는 로워 스티프너(200)가 마운팅 브라켓(12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운팅 브라켓(120)에 대응되는 수직 형상의 평면부(22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마운팅 브라켓(120)과 로워 스티프너(200)의 결합 부위가 서로 밀착되는 경우 충돌에 따른 충격에도 불구하고 마운팅 브라켓(120)으로부터 로워 스티프너(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A vertical
또한,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시 충격은 전방으로부터 전달되어 오게 되므로 충분한 충격의 흡수를 위해 로워 스티프너(200)의 후방부(220)에 비해 전방부(210)의 두께가 더 굵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mpact is transmitted from the front when a vehicle and a pedestrian collide, the thickness of the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부(212)에 삽입되는 보강재(250)는 로워 스티프너(200)의 전방부(210) 및 후방부(220) 둘 모두에 배치되는 것이 강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하지만, 로워 스티프너(200)의 전방부(210) 또는 후방부(220)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도 있다. 특히 자동차의 전방 충돌 시에 충격면인 전방부(210)에 배치하는 것이 응력집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반복적인 구성을 피하기 위하여 이들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in describ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ower stiffen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 numbers are used for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order to avoid repetitive configurations, these components a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ower stiffe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ower stiffe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워 스티프너(200')에는 중공부(201')를 기준으로 전방부(210')에 곡면부(211')가 형성되고, 후방부(220')에 평면부(221')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ure 4, the lower stiffen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urved portion 211' formed on the front portion 210' with respect to the hollow portion 201', A flat portion 221' is formed on the rear portion 220'.
구체적으로, 로워 스티프너(200')의 전방부(210')에 보강재(250')가 삽입되는 코어부(212')가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core part 212' into which the reinforcing material 25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front part 210' of the lower stiffener 200'.
로워 스티프너(200')의 전방부(210')에는 중공부(201')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돌출된 곡률 형상의 곡면부(211')와 함께 폐쇄 구조로 이루어진 환형의 코어부(212')가 형성된다. The front part 210' of the lower stiffener 200' has an annular core part 212' having a closed structure together with a curved part 211' having a curvature shape protruding forward with respect to the
코어부(212')는 원형의 보강재(250')가 삽입 가능하도록 환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강재(250')는 코어부(212')의 중심을 공유한 상태로 정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The core part 212' may have an annular shape so that a circular reinforcement member 250' can be inserted, and the reinforcement member 250' may be inserted into the original position while sharing the center of the core part 212'. .
하지만 보강재(250')가 코어부(212')의 중심을 공유하여 정 위치에 삽입되는 것은 성형 및 환경 조건에 따라 위치 품질 편차가 발생하므로 쉽지 않다. 즉, 코어부(212')에 삽입되는 보강재(250')는 로워 스티프너(200')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치우쳐 쏠리는 쏠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코어부(212')의 정 위치에 보강재(250')가 삽입되는 것이 유리하다.However, it is not easy for the reinforcing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로워 스티프너(200")에는 중공부(201")를 기준으로 전방부(210")에 곡면부(211")가 형성되고, 후방부(220")에 평면부(221")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ure 5, the
구체적으로, 로워 스티프너(200")의 전방부(210")에는 중공부(201")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돌출된 곡률 형상의 곡면부(211")와 함께 환형의 코어부(212")가 형성된다. Specifically, in the
코어부(212")는 원형의 보강재(250")가 삽입 가능하도록 폐쇄 구조의 환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강재(250")는 코어부(212")의 중심을 공유한 상태로 정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코어부(212")의 정 위치에 보강재(250")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성형 및 환경 조건에 따라 위치 품질 편차가 발생하여, 코어부(212")에 삽입되는 보강재(250")가 로워 스티프너(200")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치우쳐 쏠리는 쏠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중공부(201")를 기준으로 양단의 코어부(212")와 평면부(221")를 연결하는 지지부(230")가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이와 같이 보강재(250")가 로워 스티프너(200")의 후방측으로 치우쳐 쏠리는 쏠림 성형시에 보강재(250")를 지지하는 지지부(230")가 구비되므로 로워 스티프너(200")의 강성 및 강도의 저하를 줄일 수 있고, 보강재(250")가 후방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충돌 시에 중공부(201") 방향으로 터짐과 같은 파손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지지부(230")가 연결되는 코어부(212")에는 보강재(250")의 후방측 쏠림 현상에 대한 방지 효과를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보강부(240")가 보강된다. The reinforcing
보강부(240")는 지지부(230")로부터 코어부(212") 방향으로 폭이 확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보강재(250")가 후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따라서, 본 발명은 로워 스티프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201,201',201")를 형성하고, 중공부(201,201',201")의 외측 주변부에 완충 기능을 가지는 보강재(250,250',250")를 삽입함으로써, 경량화, 유연성 및 강성을 동시에 충족시켜 보행자 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캐리어 110 : 범퍼빔
120 : 마운팅 브라켓 200,200',200" : 로워 스티프너
201,201',201" : 중공부 210,210',210" : 전방부
211,211',211" : 곡면부 212',212" : 코어부
220,220',220" : 후방부 221,221',221" : 평면부
230" : 지지부 240" : 보강부
250,250',250" : 보강재100: carrier 110: bumper beam
120: mounting bracket 200,200',200": lower stiffener
201,201',201": hollow part 210,210',210": front part
211,211',211":
220,220',220": rear part 221,221',221": flat part
230":
250,250',250" : Stiffener
Claims (6)
상기 로워 스티프너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중공부;
상기 중공부의 외측 주변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에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를 기준으로 전방부에는 곡률 형상의 곡면부; 및
상기 중공부를 기준으로 후방부에는 평면부가 형성되되,
상기 곡면부와 상기 평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코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를 기준으로 양단의 코어부와 평면부를 연결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가 연결되는 코어부에는 보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 장치.
A lower stiffener device installed under a carrier of a bumper beam or a front end module (FEM) of a vehicle,
The lower stiffener is
A hollow part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least one or more core portion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low portion; and
Including; reinforcing material in the core part;
A curved portion having a curvature shape on the front portion based on the hollow portion; and
A flat part is formed on the rear part based on the hollow part,
A core portion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curved portion and the flat portion,
A support portion connecting the core portion and the flat portion at both ends based on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A lower stiffener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reinforcing part is provided in the core part to which the support part is connected.
상기 전방부의 두께는 상기 후방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stiffener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front part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ar part.
상기 로워 스티프너의 상기 코어부는 단면이 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stiffener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e portion of the lower stiffener has an annular cross-section.
상기 보강재는 연속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및 스틸 와이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inforcing material is a lower stiffener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y one or more of continuous fiber, carbon fiber, aramid and steel wir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0144A KR102449929B1 (en) | 2019-11-21 | 2019-11-21 | Lower stiffener unit for automobile |
PCT/KR2020/016403 WO2021101282A1 (en) | 2019-11-21 | 2020-11-19 | Lower stiffener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0144A KR102449929B1 (en) | 2019-11-21 | 2019-11-21 | Lower stiffener unit for automobi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2214A KR20210062214A (en) | 2021-05-31 |
KR102449929B1 true KR102449929B1 (en) | 2022-09-30 |
Family
ID=75981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0144A KR102449929B1 (en) | 2019-11-21 | 2019-11-21 | Lower stiffener unit for automobil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9929B1 (en) |
WO (1) | WO2021101282A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97795A (en) * | 2014-11-21 | 2016-05-30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Bumper device for vehicle |
KR101694062B1 (en) * | 2015-10-01 | 2017-01-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ront structure of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54209B2 (en) * | 2003-03-04 | 2009-10-28 |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 Bumper structure |
KR100681048B1 (en) | 2005-11-17 | 2007-02-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 front bumper structure in vehicle |
KR101896807B1 (en) * | 2016-12-15 | 2018-09-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Bumper reinforcing structure for protecting pedestrian |
KR101932637B1 (en) * | 2016-12-23 | 2018-12-27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Lower stiffener unit for vehicle |
KR102518187B1 (en) * | 2017-11-07 | 2023-04-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Lower stiffener for bumper of vehicle |
-
2019
- 2019-11-21 KR KR1020190150144A patent/KR102449929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11-19 WO PCT/KR2020/016403 patent/WO202110128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97795A (en) * | 2014-11-21 | 2016-05-30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Bumper device for vehicle |
KR101694062B1 (en) * | 2015-10-01 | 2017-01-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ront structure of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101282A1 (en) | 2021-05-27 |
KR20210062214A (en) | 2021-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241080B1 (en) |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 |
CN104276114B (en) | For the hybrid pilot beam of vehicle, its manufacture method and its buffering beam element | |
US11623694B2 (en) | Cowl cross bar assembly | |
EP2703230B1 (en) | Bumper beam assembly system | |
CN107995903B (en) | Support structure for a front end module of a motor vehicle and front end module | |
KR20160090154A (en) | Stiffener for Motor Vehicle | |
KR101693846B1 (en) | Bumper back-beam for vehicle | |
KR102009795B1 (en) | Front bumper integrated stiffner | |
KR20170073137A (en) |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
KR102449929B1 (en) | Lower stiffener unit for automobile | |
KR101615165B1 (en) | Stiffener one body type bumper beam | |
US20210354762A1 (en) | Cowl cross ba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ipe thereof | |
KR102451872B1 (en) | Hybrid bumper beam for vehicles | |
KR20210062215A (en) | Lower stiffener unit for automobile | |
KR102429065B1 (en) | Roof panel assembly of vehicle | |
KR102009809B1 (en) | Rear bumper integrated back beam | |
US10279763B2 (en) | Beam for bumper | |
CN109747577B (en) | Lower reinforcement for vehicle bumper | |
KR101215113B1 (en) | Back beam of bumper for vehicles | |
KR102136535B1 (en) | Lower stiffener unit for vehicle | |
KR102559112B1 (en) | Bumper apparatus for vehicle | |
US12083975B2 (en) | Bumper beam for a motor vehicle | |
KR102504703B1 (en) | Bumper beam for vehicles | |
KR101836515B1 (en) | Cowl assembly of vehicles | |
KR20100032774A (en) | Front end module carr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