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203B1 - Method for managing safty condition informa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aging safty condition inform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9203B1 KR102449203B1 KR1020220029686A KR20220029686A KR102449203B1 KR 102449203 B1 KR102449203 B1 KR 102449203B1 KR 1020220029686 A KR1020220029686 A KR 1020220029686A KR 20220029686 A KR20220029686 A KR 20220029686A KR 102449203 B1 KR102449203 B1 KR 1024492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building
- safety state
- state information
- safet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517 death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542 behaviou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35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56 hazardous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9 supple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79 visual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ethod for managing safety state information.
일반적으로 시설물의 안전점검은 정기점검, 정밀점검 및 긴급점검으로 구분하여 실시한다. 점검은 모니터링, 외관조사, 구조검토 등의 항목으로 이루어지며, 점검결과를 바탕으로 보수, 보강, 해체, 철거, 기능 회복여부를 판단하게 된다.In general, safety inspection of facilities is divided into regular inspection, detailed inspection and emergency inspection. Inspection consists of items such as monitoring, exterior inspection, and structural review, and based on the inspection results, it is decided whether repair, reinforcement, dismantling, demolition, or restoration of function.
따라서 시설물의 결함이나 내재되어 있는 위험요소를 빠르게 발견하고 조치를 취하여 붕괴나 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해야 하므로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점검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점검 기록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점검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수정 및 보완, 비교 분석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위험요소의 진행상황, 보수 및 보강의 적절성 등을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Therefore, safety diagnosis and maintenance inspection are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necessary to quickly find defects or inherent danger factors in the facility and take measures to prevent the risk of collapse or accidents. In particular, technology that facilitates the storage of inspection records and enables real-time correction, supplement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at the inspection site to easily, quickly and accurately judge the progress of risk factors and the appropriateness of repair and reinforcement. need.
종래에 시설물 유지관리에 필요한 관련 정보들은 해당하는 많은 관계자들을 거치는 인력에 의한 것이었고, 수집되어야 하는 정보가 방대하지만 아직까지 정보의 생성, 수집, 전달하는 프로세스가 효율적이지 않아 시설물의 안전상태에 대한 확인이 신속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현재 상태를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In the past, the related information required for facility maintenance was generated by personnel passing through many relevant parties, and although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needs to be collected is vast, the process of generating, collecting, and delivering information is not yet efficient. Not only was the confirmation not prompt, but it often did not reflect the current status.
종래에는 시설물의 안전관리는 관계자들의 정기적인 육안점검이 주요한 방법이었다. 이러한 외관조사에서는 시설물의 파손 및 외관상태 등의 확인이 주목적이고, 구조물의 전체적인 거동특성은 파악할 수 없으며, 시설물의 위험도를 판단하는데 점검자의 경험과 주관적인 견해에 의존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past, the main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of facilities was regular visual inspections of related persons. In such an exterior survey, the main focus was to check the damage and appearance of the facility, and the overall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could not be grasped.
더욱이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있어서 비과학적인 방법을 개선하고 효율적인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하여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Moreover, interest in the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is getting more attention in order to improve unscientific methods in facility maintenance and efficient facility maintenance.
또한, 시설물의 상태는 화재 또는 지진과 같은 재난이 발생함에 따라서 시시각각 변화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예측이 어려우면 재난 발생시 이를 대처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예측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state of the facility may change from moment to moment as a disaster such as a fire or earthquake occurs, and if it is difficult to predict it,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the disaster when it occurs,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edictive technology for thi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재와 같은 재난에 대비하여 건축물의 안전상태를 등급화하는 안전상태정보를 여러 방식으로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는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safety stat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capable of generating and managing safety state information for grading the safety state of a building in various ways in preparation for disasters such as fi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황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건축물의 안전상태 정보를 시변할 수 있는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safety stat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at can change the safety state information of a building that can change according to circumstanc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물에 대한 건축물 SHP 데이터를 통해 건축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건축물 정보로부터 안전상태정보 경량화 모델을 통해 경량화 안전상태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경량화 안전상태정보에 상기 건축물의 매뉴얼 조사 정보를 더하여 안전상태정보 컴팩트 모델을 통해 컴팩트 안전상태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경량화 안전상태정보에 상기 건축물의 구역별 정밀 조사 정보를 더하여 안전상태정보 정밀 모델을 통해 정밀 안전상태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물 정보는, 상기 건축물의 주소 입력을 통한 건축물 지정에 의해 획득하거나, 단말기 상 지도앱을 통한 건축물 지정에 의해 획득하거나,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건축물 촬영에 의한 GPS 정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자이로센서 정보 및 가속도 센서 정보를 통해 획득하는,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obtaining building information through the building SHP data for the building; deriving light weight safety condition information from the building information through a light weight safety condition information model; deriving compact safety state information through a compact safety state information compact model by adding manual survey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o the lightweight safety state information; and deriving precise safety state information through a safety state information precision model by adding detailed investigation information for each zone of the building to the lightweight safety state information; Safety state information management, acquired by designation, acquired by designation of a building through a map app on a terminal, or acquired through GPS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the building of a portable terminal, gyro sensor information and acceleration sensor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method is provided.
상기 건축물 SHP 정보는 국가공간정보 포털과 연계된 정보일 수 있다. The building SHP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linked to a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rtal.
상기 건축물 정보는, 상기 건축물의 업종, 건물구조, 층수, 및 건축년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1 하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ilding information may include first sub-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a business type of the building, a building structure, the number of floors, and a building year.
상기 매뉴얼 조사 정보 또는 상기 정밀 조사 정보는, 상기 층 내 또는 상기 구역 내의 소방설비 시설, 화재위험성 및 화재대응상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하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nual survey information or the detailed survey information may include second sub-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a firefighting equipment facility in the floor or in the area, a fire risk, and a fire response state.
상기 제 1 하위 정보 및 상기 제 2 하위 정보 각각에는 가중치가 존재할 수 있다.A weight may exist in each of the first sub-information and the second sub-information.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건축물 촬영에 의한 GPS 정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자이로센서 정보 및 가속도 센서 정보를 통해 상기 건축물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시의 GPS 정보를 통해 촬영 지점을 획득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자이로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가 향한 방향을 계산하고, 상기 촬영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고 상기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1~5°및 길이 30~70 m에 해당하는 부채꼴을 생성하고, 상기 부채꼴 내에 위치하는 건축물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건축물이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건축물을 지정하고, 상기 선정된 건축물이 복수인 경우 상기 촬영 지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건축물을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건축물의 상기 건축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quiring the building information through the GPS information of the building photographing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gyro sensor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acceleration sensor information includes acquiring a photographing point through GPS information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direction of the camera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alculated through the gyro sensor and the acceleration sensor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hooting point is taken as a vertex and corresponds to 1 to 5° left and right and 30 to 70 m in length based on the direction. to generate a sector, select a building located within the sector, designate the building when the selected building is one, and designate the building closest to the shooting point when there are multiple selected buildings, The building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building may be acquired.
특정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 시점에서의 풍향 및 풍속을 고려하여 상기 특정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지역내의 건축물에 대해서 상기 경량화 안전상태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When a fire occurs at a specific point, the light weight safety state information may be changed for a building within a predetermined area from the specific point in consideration of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t the time point.
상기 소정의 지역은 상기 풍향을 기준으로 좌우 45°의 각도 내의 지역 중에서 설정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area may be set from among areas within an angle of 45°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wind direction.
상기 소정의 지역 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기 특정 지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복수의 존(zone)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존 각각에 해당하는 건축물에 대해서 서로 다른 정도로 상기 경량화 안전상태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A plurality of zones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pecific point where a fire occurred within the predetermined area, and the light weight safety state information may be changed to different degrees for build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zones. .
상기 복수의 존(zone) 간의 범위는 상기 풍속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A range between the plurality of zone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ind speed.
소정의 건축물의 특정 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소정의 건축물의 층 별로 상기 컴팩트 안전상태정보 및 상기 정밀 안전상태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When a fire occurs on a specific floor of a predetermined building, the compact safety state information and the precise safety state information may be changed for each floor of the predetermined building.
상기 특정 층으로부터의 층수 차이에 따라서 상기 컴팩트 안전상태정보 및 상기 정밀 안전상태정보를 다르게 변경할 수 있다.The compact safety state information and the precise safety state information may be ch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floors from the specific floor.
소정의 건축물의 특정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소정의 건축물의 구역 별로 상기 정밀 안전상태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When a fire occurs in a specific area of a predetermined building, the precise safety state information may be changed for each area of the predetermined building.
상기 특정 구역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정밀 안전상태정보를 다르게 변경할 수 있다.The precise safety state information may be ch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a distance from the specific area.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화재와 같은 재난에 대비하여 건축물의 안전상태를 등급화하는 안전상태정보를 여러 방식으로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는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ty stat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capable of generating and managing safety state information for grading the safety state of a building in various ways in preparation for disasters such as fi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황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건축물의 안전상태 정보를 시변할 수 있는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ty stat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capable of time-varying safety state information of a building that can change according to circumstan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건축물에 대해서 건축물 SHP 데이터를 건축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의 세부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휴대용 단말기와 그 내부에 들어가는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을 통해 건축물을 지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안전상태정보 모델 별 적용되는 단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안전상태정보 모델 별 적용되는 정보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건축물의 업종별 업종 위험도를 나타내는 표
도 8은 건축물특성에 관한 요소 중 건물구조, 건물층수 및 노후도에 대한 위험도를 나타내는 표
도 9는 소방설비·시설에 대한 위험도를 나타내는 표
도 10은 화재위험성에 대한 위험도를 나타내는 표
도 11은 화재대응상태에 대한 위험도를 나타내는 표
도 12는 안전상태정보 정밀 모델에서 화재위험성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표
도 13은 안전상태정보 컴팩트 모델에서 제 1 하위 정보 및 제 2 하위 정보를 결정하는 매뉴얼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경량화 안전상태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15는 특정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영향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화재 영향 범위를 구성하는 복수의 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건축물의 특정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컴팩트 안전상태 정보 및 정밀 안전상태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 및 도 19는 특정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정밀 안전상태정보를 변경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safety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 chart showing the detailed steps of the step of acquiring the building information of the building SHP data for the building
3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and a sensor inserted therein;
4 is a view showing designation of a building through a camera photographing of a portable terminal
5 is a view showing units applied to each safety state information model;
6 is a view showing information elements applied to each safety state information model;
7 is a table showing the level of risk of each industry type of building
8 is a table showing the degree of risk for the building structure, the number of building floors, and the degree of deterioration among factor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9 is a table showing the degree of risk for firefighting equipment and facilities
10 is a table showing the degree of risk for fire hazard
11 is a table showing the degree of risk for a fire response state;
12 is a table showing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the fire risk evaluation score in the safety state information precision model
13 is a view showing a manual for determining the first sub-information and the second sub-information in the safety state information compact model;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light weight safety state information when a fire occu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the setting of the fire impact range when a fire occurs at a specific point;
16 is a view showing a plurality of zones constituting the fire impact range;
17 is a view showing the change of compact safety state information and precise safety state information when a fire occurs on a specific floor of a building;
18 and 19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changing the precise safety state information when a fire occurs in a specific area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apparatu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되는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disclosed embodiments,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only,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explicitly used otherwise,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the meaning of the plural.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some or a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other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or any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safety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은 건축물의 안전도를 안전상태정보를 인력을 최소화하여 시스템을 통해 생성하고 재난 위험의 발생에 의해 변화하는 안전상태를 변경하는 방법으로서, 재난 위험이 발생하면 건물 및 시설물 내부에서의 안전상태 변화를 적용하여 여러 재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afety stat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the safety state information of a building through a system by minimizing the manpower and changes the safety state that is changed by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risk. As a method, when a disaster risk occurs, it may be to apply a change in the safety state inside the building and facility so that it can be utilized in various disaster situations.
이를 위하여, 건축물에 대한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 행해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safety stat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a building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우선, 안전상태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건축물에 대해서 건축물 SHP 데이터를 건축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 SHP 데이터는 국가공간정보 포털을 통해 제공되는 대한민국 내 공간 데이터일 수 있다. 해당 데이터는 오픈마켓등을 통해 공개되어 있어서 접근이 용이하며 국가에서 제공하는 것이어서 신뢰성이 담보될 수 있다. SHP 데이터를 통해 대한민국 내 모든 건축물에 대한 정보가 커버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SHP 데이터를 활용하여 건축물에 대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building information of the building SHP data for the building for generating the safety state information (S10). The SHP data may be spatial data in Korea provided through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rtal. The data is publicly available through open markets, so it is easy to access, and since it is provided by the state, reliability can be guaranteed. Since information on all buildings in Korea is covered through SHP data,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buildings can be secured by using SHP data.
확보된 건축물 정보로부터 안전상태정보 경량화 모델을 통해 경량화 안전상태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S20). 안전상태정보 경량화 모델은 건축물 정보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정보로부터 안전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모델일 수 있다. 안전상태정보 경량화 모델은 별도의 현장조사나 추가 정보 없이 광역 범위의 안전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안전상태정보 경량화 모델을 통해 생성된 안전상태정보(경량화 안전상태정보)는 건축물 단위의 안전상태정보일 수 있다. 건축물 정보는 해당 건축물의 업종, 건물구조, 층수 및 건축년도 등의 정보(제 1 하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Lightweight safety state information can be derived from the secured building information through the lightweight safety state information model (S20). The safety state information lightweight model may be a model for generating safety state information from information obtainable through building information. The safety status information lightweight model can generate wide-area safety status information without a separate on-site investigation or additional information. Safety status information The safety status information (lightweight safety status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lightweight model may be safety status information of a building unit. The build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first sub-information) such as the type of business, building structure, number of floors, and year of construction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경량화 안전상태정보가 생성되면 해당 건축물에 대한 경량화 안전상태정보에 해당 건축물의 매뉴얼 조사 정보를 더하여 안전상태정보 컴팩트 모델을 통해 컴팩트 안전상태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S30). 안전상태정보 컴팩트 모델에서는 앞선 건축물 정보에 더하여 해당 건축물 내의 층별의 소방설비 시설, 화재위험성 및 화재대응상태 등의 정보(제 2 하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lightweight safety state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compact safety state information can be derived through the compact safety state information compact model by adding the manual surve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to the lightweight safety state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building (S30). In the safety state information compact model, in addition to the previous building information, information (second sub-information) such as firefighting equipment facilities for each floor in the corresponding building, fire risk, and fire response status may be included.
안전상태정보 컴팩트 모델은 정해진 매뉴얼에 건축물 내에 대한 신속 현장조사를 통해 신속하게 추가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반영하여 컴팩트 안전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건축물의 안전상태에 대한 정밀조사는 아니고 미리 정해진 매뉴얼의 항목을 신속하게 조사하여 반영한 것이기 때문에 건축물의 층별 상태까지만 결정할 수 있고 층 내의 세부 구역 마다의 상태까지 확정할 수는 없고, 정밀도도 어느 정도 한계가 있을 수 있다.The safety status information compact model can generate compact safety status information by quickly acquiring additional information through a rapid on-site investigation within a building in a set manual and reflecting it. However, since this is not a detailed investigation of the safety status of the building, it is a quick investigation and reflection of the items in the manual set in advance. There may be some limitations.
경량화 안전상태정보에 해당 건축물의 구역별 정밀 조사 정보를 더하여 안전상태정보 정밀 모델을 통해 정밀 안전상태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S40). 정밀 안전상태정보는 컴팩트 안전상태정보에서의 한계(세부 구역별 상태를 나타내지 못하고, 정밀도가 떨어짐)를 극복하여 정밀 현장조사를 통해 세부 구역별 안전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Precise safety status information can be derived through the safety status information precision model by adding the detailed investigation information for each zone of the building to the lightweight safety status information (S40). Precise safety status information can generate safety status information for each specific zone through precise on-site investigation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compact safety status information (it cannot indicate the status of each detailed zone, and the precision is low).
도 2는 건축물에 대해서 건축물 SHP 데이터를 건축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의 세부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detailed steps of the step of acquiring building information from building SHP data for a building.
도 2를 참조하면, 건축물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으로는 (1) 건축물의 주소 입력을 통해 건축물이 지정되는 방법, (2)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 지도앱(google 지도 등)을 통해 건축물이 지정되는 방법, (3) 휴대용 단말기로 건축물을 촬영하면서 얻을 수 있는 GPS 정보, 자이로센서 정보 및 가속도 센서 정보를 통해 건축물이 지정되는 방법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as a method of acquiring building information, (1) a method in which a building is designated through input of an address of the building, (2) a method in which a building is designated through a map app (google map, etc.) for a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 (3) A method of designating a building through GPS information, gyro sensor information, and acceleration sensor information that can be obtained while photographing a building with a portable terminal can be selected.
첫번째, 건축물의 주소 입력을 통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우선 휴대폰 등을 통해 주소 입력을 할 수 있다(S11). 주소 입력은 도로명 주소로 결정됨을 원칙으로 하되(S12), 구 주소인 지번 주소를 통하는 경우(S11-1) 도로명 주소로 변경되게 할 수 있다. 도로명 주소가 결정되면 이에 해당하는 건축물 SHP 데이터를 연계하고(S18), 국가공간정보 포털을 통해 건축물 SHP 데이터를 연계할 수 있다.First, in the case of the method of entering the address of the building, first, the address may be input through a mobile phone or the like (S11). In principle, the address input is determined by the street name address (S12), but when the old address is the lot number address (S11-1), the street name address may be changed. When the street name address is determined, the corresponding building SHP data can be linked (S18), and the building SHP data can be linked through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rtal.
두번째, 단말기 지도앱을 통하는 경우에는, 우선 휴대폰 등의 지도앱(google 지도 등)을 통해 지도상에서 사용자가 건축물을 지정하게 되면(S13), 해당 지도화면의 x, y좌표를 통해(S13-1) 건축물의 경위도 좌표를 매핑할 수 있다(S17). 경위도 좌표를 통해 도로명 주소가 결정되고 이를 통해 건축물 SHP 데이터를 연계할 수 있다(S18, S19). 도로명 주소를 통해 국가공간정보 포털에서 건축물 SHP 데이터를 연계하는 것은 앞선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Second, in the case of using the terminal map app, first, when the user designates a building on the map through a map app (google map, etc.) on a mobile phone (S13), through the x, y coordinates of the map screen (S13-1) ) can be mapped to the longitude and latitude coordinates of the building (S17). The street name address is determined through the longitude and latitude coordinates, and the building SHP data can be linked through this (S18, S19). Linking the building SHP data in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rtal through the street name address may be the same as the previous method.
세번째, 건축물 촬영에 의하는 경우는 도 2와 함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3은 휴대용 단말기와 그 내부에 들어가는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을 통해 건축물을 지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GPS,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를 내장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건축물을 촬영할 수 있다(S14). 예를 들어, 촬영을 하는 휴대용 단말기 내에는 GPS,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10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휴대용 단말기(200)의 촬영 위치 및 xyz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S15). 여기에서 카메라의 촬영 방향은 도 3(b)에서 +z 방향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의 촬영 방향이 결정되고, GPS를 통해 카메라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가 결정되면, 도 4에서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 내의 카메라(10)의 위치와 촬영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면, 카메라(10)의 촬영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고, 사진 촬영시의 방향의 좌우 약 1~5°의 각도 및 반경 30~70 m에 해당하는 부채꼴(20)을 생성할 수 있다. 국가공간정보 포털의 건축물 SHP 데이터로부터 부채꼴(20) 내에 위치하는 건축물을 선정할 수 있다. 선정된 건축물이 하나인 경우에는 해당 건축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선정된 건축물이 복수인 경우에는 촬영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건축물(50a)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6). 이로부터 위치 정보가 획득된 건축물(50a)가 지정되면 건축물의 경위도 좌표가 매핑되고(S17), 해당 건축물의 건축물 SHP 데이터가 연계될 수 있다(S18, S19).Third, the case of photographing a build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ogether with FIG. 2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nd a sensor inserted therein,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designation of a building through a camera photographing of the portable terminal. First, a building can be photographed through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built-in GPS, a gyro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S14). For example, a GP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도 5는 안전상태정보 모델 별 적용되는 단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units applied to each safety state information model.
도 5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전상태정보 경량화 모델의 경우에는 건축물 단위까지만 안전상태정보가 생성, 적용되며, 안전상태정보 컴팩트 모델의 경우에는 건축물의 층 단위까지 안전상태정보가 생성, 적용될 수 있다. 안전상태정보 정밀 모델의 경우에는 가장 세부적으로 건축물의 구역 단위까지 안전상태정보가 생성,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lightweight model of the safety state information, the safety stat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applied only to the building unit, and in the case of the safety state information compact model, the safety stat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applied up to the floor unit of the building. can In the case of the safety status information precision model, safety status information can be created and applied to the most detailed building area unit.
도 6은 안전상태정보 모델 별 적용되는 정보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information elements applied to each safety state information model.
도 6을 참조하면, 총 13가지 정보 요소 중 1번에서 4번까지는 모든 안전상태정보 모델에 적용될 수 있다. 해당 정보를 제 1 하위 정보라고 할 수 있다. 5번에서 13번까지는 안전상태정보 경량화 모델에서는 적용되지 않고, 안전상태정보 컴팩트 모델 및 안전상태정보 정밀 모델에서는 적용될 수 있다. 해당 정보를 제 2 하위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즉, 안전상태정보 경량화 모델에서는 제 1 하위 정보(건축물에 관한 SHP 데이터에서 획득할 수 있는 정보)만을 가지고 안전상태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에 인력이 거의 필요 없이 가장 신속하게 안전상태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보다 세부적인 영역과 정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안전상태정보 컴팩트 모델 및 안전상태정보 정밀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도 7은 건축물의 업종별 업종 위험도를 나타내는 표이다.7 is a table showing the level of risk of each industry type of building.
도 7을 참조하면, 건축물의 업종별 업종 위험도는 제 1 하위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업종별 위험도는 다음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industry risk level for each type of building may b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sub-information. The risk level for each industry can be created as follows.
우선 업종별 인명 위험지수를 산정할 수 있다. 아래의 식 1에서 연평균 사망자 수 및 연평균 부상자수는 건축물의 업종별로 실제 연평균 발생하는 사망자수 및 부상자수를 나타낼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life risk index for each industry. In
[식 1][Equation 1]
그리고, 위험에는 인명 위험 뿐만 아니라 재산에 대한 위험도 있는데 재산위험 대비 인명위험의 비율을 10:3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7에서와 같은 업종별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risk to property as well as a risk to human life, and the ratio of human risk to property risk can be applied as 10:3.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degree of risk for each industry as shown in FIG. 7 .
도 8은 건축물특성에 관한 요소 중 건물구조, 건물층수 및 노후도에 대한 위험도를 나타내는 표이다.8 is a table showing the degree of risk for the building structure, the number of building floors, and the degree of deterioration among elements related to the building characteristics.
도 8을 참조하면, 건축물특성은 제 1 하위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건축물특성에는 건물구조, 건물층수 및 노후도에 대한 위험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building characteristic may b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sub-information. Building characteristics may include risk information on the building structure, the number of building floors, and the degree of deterioration.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건물구조는 건물의 주요구조부에 들어가는 재료에 따라서 위험도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건물 층수는 건물의 층수 및 높이에 따라서 위험도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노후도에 따라서도 위험도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특이한 점은, 건물층수의 경우 높을수록 위험도 레벨이 올라가지만 지하시설의 경우에는 상당한 위험도를 가진다는 점이며, 노후도의 경우 노후될수록 위험도 레벨이 올라가지만 초기 1년 미만의 경우에는 안정화되지 않은 상태임을 감안하여 오히려 위험도 레벨이 다소 올라간다는 점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the building structure may determine the level of risk according to the material entering the main structural part of the building. And the number of building floors may determine the risk level according to the number and height of the building. In addition, the level of risk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ge of the building. The peculiarity is that the higher the number of floors, the higher the risk level, but the higher the level of the underground facility, the greater the risk. Considering this, it may be that the level of risk rises somewhat.
도 9는 소방설비·시설에 대한 위험도를 나타내는 표이다.9 is a table showing the degree of risk for firefighting equipment and facilities.
도 9를 참조하면, 소방설비·시설에 대한 위험도는 자동소화설비 설치, 자동화재탐지설비 설치, 제연설비 설치에 대한 위험도를 포함할 수 있다. 소방설비·시설에 대한 위험도는 제 2 하위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degree of risk for fire-fighting equipment and facilities may include a degree of risk for automatic fire-fighting equipment installation,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installation, and smoke control equipment installation. The level of risk for firefighting equipment and facilities may b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sub-information.
도 10은 화재위험성에 대한 위험도를 나타내는 표이다.10 is a table showing the degree of risk for fire hazard.
도 10을 참조하면, 화재위험성에 대한 위험도는 가연물 보관·관리상태, 위험물 관리 상태, 인접건축물 이격거리 및 외벽구조에 대한 위험도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위험도에 대한 위험도는 제 2 하위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degree of risk for fire risk may include a degree of risk for inflammables storage/management status, hazardous material management status, separation distance from adjacent buildings, and external wall structure. The level of risk for fire risk may b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sub-information.
도 11은 화재대응상태에 대한 위험도를 나타내는 표이다.11 is a table showing the degree of risk for the fire response state.
도 11을 참조하면, 화재대응상태에 대한 위험도는 피난구 개수, 상시관리자 및 화재속보기 설치, 공공소방대 접근을 위한 접근도로 및 상태에 대한 위험도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대응상태에 대한 위험도는 제 2 하위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level of risk for the fire response state may include the number of evacuation exits, installation of a regular manager and fire alarm, and an access road for access to the public fire brigade and risk level for the state. The level of risk for the fire response state may b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sub-information.
도 12는 안전상태정보 정밀 모델에서 화재위험성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표이다.12 is a table showing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the fire risk evaluation score in the safety state information precision model.
도 12를 참조하면, 화재위험성 평가점수는 각 요소별 level 점수에 대해서 가중치를 두어서 최종 점수를 산출할 수는 방식으로 얻을 수 있다. 해당 식은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2 , the fire risk evaluation score can be obtained in a way that a final score can be calculated by weighting the level score for each element. The expression is as follows.
[식 2][Equation 2]
그리고, 컴팩트 안전상태정보 또는 정밀 안전상태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최종안전평가점수는 100에서 화재위험성 평가 점수를 뺀 것일 수 있다. 즉, 화재위험성 평가점수가 낮을수록 최종안전평가점수가 높게 나타날 수 있다.And, the final safety evaluation score for determining the compact safety state information or the precise safety state information may be 100 minus the fire risk evaluation score. That is, the lower the fire risk evaluation score, the higher the final safety evaluation score may appear.
도 13은 안전상태정보 컴팩트 모델에서 제 1 하위 정보 및 제 2 하위 정보를 결정하는 매뉴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nual for determining first sub-information and second sub-information in the safety state information compact model.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경량화 안전상태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light weight safety state information when a fire occu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특정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경량화 안전상태정보를 변경하기 위하여 안전상태정보 경량화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S50). 화재가 감지되면(S51), 해당 시점에서의 해당 지점의 풍향 및 풍속을 고려하여 화재 영향 범위를 계산하고 이를 시변 안전상태정보에 적용할 수 있다(S52). 풍향 및 풍속을 알기 위하여 기상청의 실시간 예보 데이터를 연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 when a fire occurs at a specific point, a lightweight safety state information model may be applied to change the weight reduction safety state information (S50). When a fire is detected (S51), the fire impact range may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of the corresponding point at the time point, and this may be applied to the time-varying safety state information (S52). In order to know the wind direction and speed, it is possible to link real-time forecast data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도 15는 특정 지점(300)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영향 범위(350)를 설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화재 영향 범위를 구성하는 복수의 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setting the
도 15를 참조하면, 특정 지점(300)의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시점 및 해당 지점에서의 풍향 및 풍속을 고려하여 화재 영향 범위(350)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6(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재 영향 범위(350)는 화재가 발생한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고 풍향을 기준으로 좌우 45°의 각도 내의 지역 내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풍속이 10m/s인 경우, 화재영향 범위(350)를 전체 100m 로 하고 그 안에서 I zone(350a), II zone(350b), III zone(350c) 및 III zone 외부(350d)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리 별로 존을 설정하는 것은 해당 존 각각에 해당하는 건축물에 대해서 서로 다르게 안전상태정보를 변경하기 위함일 수 있다. 풍속이 달라지는 경우 화재 영향 범위(350) 전체 거리를 달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풍속이 10m/s미만인 경우에는 화재 영향 범위(350)를 80m 로 하고, I zone은 20m, II zone은 40m, III zone은 60m, III zone 외부는 80m까지로 될 수 있다. 그리고, 풍속이 10m/s이상 20m/s 미만일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재 영향 범위(350)를 100m로 하고, 풍속이 20m/s이상 30m/s미만일 경우에는 125m, 풍속이 30m/s이상일 경우에는 150m로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at a
I zone(350a)의 경우에는 그 내에 있는 건축물에 대해서 경량화 안전상태정보를 E 등급(최고 위험 등급)으로 하고, II zone(350b)의 경우에는 2개 등급 하향, III zone(350c)의 경우에는 1개 등급 하향, III zone 외부(350d)의 경우에는 등급은 하향하지 않고 주의 지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In the case of I zone (350a), the light weight safety status information for the buildings within it is set to E (highest risk grade), and in the case of II zone (350b), it is downgraded by two grades, and in the case of III zone (350c), In the case of one grade downgrade, outside the III zone (350d), the grade may not be downgraded and it can be marked as a caution area.
도 17은 건축물(400)의 특정 층(410)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컴팩트 안전상태 정보 및 정밀 안전상태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changing compact safety state information and precise safety state information when a fire occurs on a
도 17을 참조하면, 건축물(400)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도 17(a))에는 전체 층에 대해서 A등급인 경우일지라도, 건축물(400)의 특정 층(410)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도 17(b)) 화재발생 층(410)은 컴팩트 안전상태 정보 및 정밀 안전상태정보가 E등급(최고 위험 등급)으로 하향하고, 화재발생 층(410)의 주변 층(420)은 D등급으로 하향될 수 있다. 화재발생 층(410) 및 주변 층(420) 이외의 층(430)은 C등급으로 하향될 수 있다. 그리고, 화재가 확산되어 화재발생 층(410)의 주변 층(420)까지 화재가 번지게 되면(도 17(c)) 도면부호 420은 화재발생층이 되어 E등급이 되고 도면부호 430이 주변 층이 되어서 D등급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in the case where a fire does not occur in the building 400 ( FIG. 17 ( a )), a fire occurs on a
도 18 및 도 19는 특정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정밀 안전상태정보를 변경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8 and 19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changing precise safety state information when a fire occurs in a specific area.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건축물을 학교로 예시하고, 그 내부에는 방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구역이 존재하고 각각의 구역에 대하여 안전상태 등급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구역에는 안전상태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여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8 and 19 , the building is exemplified as a school, and there may be a plurality of zones composed of rooms therein, and a safety state grade may be set for each zone. Each zone may contain several sensors necessary to confirm a change in the safety state.
복수의 구역 중 과학 준비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를 상정하였다. 과학 준비실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그 내부에 존재하는 위험물질 또는 가연물질에 의해서 안전상태 등급이 급격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화재의 경우에는 다른 구역으로 번질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구역의 안전상태 등급에도 변화가 있을 수 있다. 과학 준비실에서의 화재가 발생한 사실은 과학 준비실 내부에 존재하는 여러 센서인 무선화재감지센서, 복합센서(온습도, 미세먼지 등), 동작감지센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센서를 통해 다른 구역으로의 확산 정도를 추론할 수 있다. It was assumed that a fire occurred in the science preparation room among multiple areas. When a fire occurs in the science preparation room, the safety status level can be changed rapidly due to the dangerous or flammable substances present therein. And, in the case of a fire, since it can spread to other areas, there may be a change in the safety status rating of other areas. The fact that a fire occurred in the science preparation room can be confirmed through various sensors that exist inside the science preparation room, such as a wireless fire detection sensor, a complex sensor (temperature and humidity, fine dust, etc.), and a motion sensor. And, the degree of diffusion to other areas can be inferred through the opening/closing sensor.
과학 준비실 뿐만 아니라 해당 학교 내의 다른 구역인 과학실, 음악실 및 컴퓨터실 등에 대한 안전상태 등급의 변경을 추론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구역에 대한 안전상태 등급 변경의 정도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안전한 구역을 확인할 수 있고, 구역 사이에 위치하는 복도와 같은 통로를 통해 안전한 구역 쪽으로 대피할 수 있는 피난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학교 내에 위치하는 인원은 피난로를 통해 외부 또는 안전한 곳으로 대피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o the science preparation room, it is possible to infer the change of the safety status level for other areas within the school, such as the science room, music room, and computer room. In addition, a relatively safe area can b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hange in the safety status level for each area, and an evacuation route can be set for evacuation toward the safe area through a passage such as a corridor located between the areas. That is, the personnel located in the school can evacuate to the outside or a safe place through the evacuation route.
이와 같이 구역 각각의 정밀 안전상태 등급 변경 및 피난로는 시각화되어 모니터, 단말기 액정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시각화가 된 정보에 의해서, 사용자는 보다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현재의 복수의 구역의 안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미래의 정밀 안전상태 변경 상황 및 그에 따른 대응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cise safety status level change and evacuation route of each zone can be visualized and displayed through a monitor, a terminal liquid crystal, and the like. With the visualized information, the user can more intuitively and easily check the current safety status of a plurality of zones, and through this, the future precise safety status change situation and corresponding countermeasures can be establish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 : 카메라
20 : 부채꼴
50a, 50b : 건축물
100 :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200 : 휴대용 단말기
300 : 특정 지점
350 : 화재 영향 범위
400 : 건축물
410 : 화재발생 층
420 : 주변 층
430 : 그 외 층10 : camera
20: fan
50a, 50b: architecture
100: accelerometer and gyro sensor
200: portable terminal
300: specific point
350: fire area of influence
400: building
410: fire floor
420: surrounding layer
430: other floors
Claims (14)
상기 건축물 정보로부터 안전상태정보 경량화 모델을 통해 경량화 안전상태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경량화 안전상태정보에 상기 건축물의 매뉴얼 조사 정보를 더하여 안전상태정보 컴팩트 모델을 통해 컴팩트 안전상태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경량화 안전상태정보에 상기 건축물의 구역별 정밀 조사 정보를 더하여 안전상태정보 정밀 모델을 통해 정밀 안전상태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물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건축물 촬영에 의한 GPS 정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자이로센서 정보 및 가속도 센서 정보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건축물 촬영에 의한 GPS 정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자이로센서 정보 및 가속도 센서 정보를 통해 상기 건축물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시의 GPS 정보를 통해 촬영 지점을 획득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자이로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가 향한 방향을 계산하고,
상기 촬영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고 상기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1~5°및 길이 30~70 m에 해당하는 부채꼴을 생성하고,
상기 부채꼴 내에 위치하는 건축물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건축물이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건축물을 지정하고, 상기 선정된 건축물이 복수인 경우 상기 촬영 지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건축물을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건축물의 상기 건축물 정보를 획득하는,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
acquiring building information through the building SHP data for the building;
deriving light weight safety condition information from the building information through a light weight safety condition information model;
deriving compact safety state information through a compact safety state information compact model by adding manual survey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o the lightweight safety state information; and
Including; and deriving precise safety state information through the safety state information precision model by adding detailed investigation information for each zone of the building to the light weight safety state information,
The building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GPS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the building of the portable terminal, gyro sensor information and acceleration sensor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quiring the building information through the GPS information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building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gyro sensor information and the acceleration sensor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omprises:
Acquiring a shooting point through GPS information during shooting of the portable terminal,
calculating the direction the camera of the portable terminal faces through the gyro sensor and the acceleration sensor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hooting point as a vertex and creating a sector corresponding to 1 to 5 ° left and right and 30 to 70 m in length based on the direction,
Selecting a building located within the fan shape,
If there is one selected building, designate the building, and if there are multiple selected buildings, designate the building closest to the shooting point,
A safety stat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acquiring the building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building.
상기 건축물 정보는 국가공간정보 포털과 연계된 정보인,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ild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linked to a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rtal, a method of managing safety status information.
상기 건축물 정보는,
상기 건축물의 업종, 건물구조, 층수, 및 건축년도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1 하위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ilding information is
The safety stat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including the first sub-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industry type of the building, the building structure, the number of floors, and the year of construction.
상기 매뉴얼 조사 정보 또는 상기 정밀 조사 정보는,
상기 층 내 또는 상기 구역 내의 소방설비 시설, 화재위험성 및 화재대응상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하위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manual investigation information or the detailed investigation information is,
A method for managing safety state information, including second sub-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firefighting equipment in the floor or in the zone, fire risk, and fire response state.
상기 제 1 하위 정보 및 상기 제 2 하위 정보 각각에는 가중치가 존재하는,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 weight is present in each of the first sub-information and the second sub-information, the safety stat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특정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 시점에서의 풍향 및 풍속을 고려하여 상기 특정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지역내의 건축물에 대해서 상기 경량화 안전상태정보를 변경하는,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a fire occurs at a specific point, the safety status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changing the light weight safety status information for a building within a predetermined area from the specific point in consideration of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t the time point.
상기 소정의 지역은 상기 풍향을 기준으로 좌우 45°의 각도 내의 지역 중에서 설정되는,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redetermined area is set from among areas within an angle of 45°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wind direction.
상기 소정의 지역 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기 특정 지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복수의 존(zone)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존 각각에 해당하는 건축물에 대해서 서로 다른 정도로 상기 경량화 안전상태정보를 변경하는,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forming a plurality of zones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pecific point where the fire occurred in the predetermined area;
A safety stat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changing the lightweight safety state information to different degrees for build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zones.
상기 복수의 존(zone) 간의 범위는 상기 풍속에 따라서 결정되는,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ange between the plurality of zone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ind speed.
소정의 건축물의 특정 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소정의 건축물의 층 별로 상기 컴팩트 안전상태정보 및 상기 정밀 안전상태정보를 변경하는,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a fire occurs on a specific floor of a predetermined building, the safety stat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of changing the compact safety state information and the precise safety state information for each floor of the predetermined building.
상기 특정 층으로부터의 층수 차이에 따라서 상기 컴팩트 안전상태정보 및 상기 정밀 안전상태정보를 다르게 변경하는,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afety stat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differently changing the compact safety state information and the precise safety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floors from the specific floor.
소정의 건축물의 특정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소정의 건축물의 구역 별로 상기 정밀 안전상태정보를 변경하는,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a fire occurs in a specific area of a given building, the safety status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changing the precise safety status information for each section of the given building.
상기 특정 구역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정밀 안전상태정보를 다르게 변경하는,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A safety stat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differently changing the precise safety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a distance from the specific are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9686A KR102449203B1 (en) | 2022-03-08 | 2022-03-08 | Method for managing safty condition inform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9686A KR102449203B1 (en) | 2022-03-08 | 2022-03-08 | Method for managing safty condition inform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49203B1 true KR102449203B1 (en) | 2022-09-29 |
Family
ID=8346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9686A KR102449203B1 (en) | 2022-03-08 | 2022-03-08 | Method for managing safty condition inform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920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06599A1 (en) * | 2022-11-15 | 2024-05-23 | 주식회사정평이앤씨 | Method for providing fire fighting equipment management service of building, and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sam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60602B1 (en) | 1988-11-11 | 1999-10-01 |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 Data processor |
KR102004903B1 (en) * | 2018-11-20 | 2019-07-29 |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analyzing fire dangerousness of old building |
KR20200116660A (en) * | 2019-04-02 | 2020-10-13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fire safety performance of buildings using reverse engineering |
KR102215992B1 (en) * | 2020-09-15 | 2021-02-15 | 심현주 | Apparatus for fire control and method therefor |
KR102323026B1 (en) * | 2021-04-21 | 2021-11-1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System for providing evacuation routes based on location of fire fighting equipments and method thereof |
-
2022
- 2022-03-08 KR KR1020220029686A patent/KR10244920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60602B1 (en) | 1988-11-11 | 1999-10-01 |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 Data processor |
KR102004903B1 (en) * | 2018-11-20 | 2019-07-29 |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analyzing fire dangerousness of old building |
KR20200116660A (en) * | 2019-04-02 | 2020-10-13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fire safety performance of buildings using reverse engineering |
KR102215992B1 (en) * | 2020-09-15 | 2021-02-15 | 심현주 | Apparatus for fire control and method therefor |
KR102323026B1 (en) * | 2021-04-21 | 2021-11-1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System for providing evacuation routes based on location of fire fighting equipments and method thereof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06599A1 (en) * | 2022-11-15 | 2024-05-23 | 주식회사정평이앤씨 | Method for providing fire fighting equipment management service of building, and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ang et al. | Apply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o support fire safety management | |
JP6321134B2 (en) | Locat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KR102209384B1 (en) |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3D BIM object model and disaster management Method | |
US8050521B2 (en) |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viewing, coordinating, manipulating and interpreting thre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digital images of structures for providing true scale measurements and permitting rapid emergency information distribution | |
US20080062167A1 (en) | Computer-bas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ituational awareness for a structure using three-dimensional modeling | |
AU2009354765B2 (en) | System and method employing thre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digital images | |
KR101409964B1 (en) | Mobile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for fire extinguish equipment inspection | |
KR102011342B1 (en) | Fire Safety Inspecting Method and System | |
US20170178013A1 (en) | Augmented reality recommendations in emergency situations | |
US20070024468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safe havens for hazardous transports | |
WO2003001468A2 (en) |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planning and management of a facility | |
KR101917215B1 (en) | Disaster preparedness guid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 |
WO2008033127A1 (en) | Computer-bas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ituational awareness for a structure using three-dimensional modeling | |
JP2009009233A (en) |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emergency information communication | |
KR20160099931A (en) | Disaster preventing and managing method for the disaster harzard and interest area | |
KR102449203B1 (en) | Method for managing safty condition information | |
US2014034400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bnormal event response planning | |
CN112288320A (en) | Subway operation risk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 |
CN114444386A (en) | Fire early warning and post-disaster floor damage predi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BIM and deep learning | |
KR20220071880A (en) | Digital twin disaster management system customized for underground public areas | |
KR20240015201A (en) | Construction safety monitering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construction for construction safety monitering integrated control centor structured the same | |
TWI567697B (en) | Intelligent evacuation system and intelligent evacu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WO2008060308A2 (en) | Data model for risk assessments | |
JP5844845B2 (en) | System and method using 3D and 2D digital images | |
CN114067065A (en) | Escape route visualization system and escape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