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499B1 -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8499B1 KR102448499B1 KR1020170069261A KR20170069261A KR102448499B1 KR 102448499 B1 KR102448499 B1 KR 102448499B1 KR 1020170069261 A KR1020170069261 A KR 1020170069261A KR 20170069261 A KR20170069261 A KR 20170069261A KR 102448499 B1 KR102448499 B1 KR 1024484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sensing lever
- refrigerator
- lever
- sen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355 Hal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WPYVAWXEWQSOGY-UHFFFAOYSA-N indium antimonide Chemical compound [Sb]#[In] WPYVAWXEWQSOG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PQDHPTXJYYUPQ-UHFFFAOYSA-N indium arsenide Chemical compound [In]#[As] RPQDHPTXJYYUP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73 waff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1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the weight or other physical contact of a person or objec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자동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 개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도어 개방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일 때 상기 도어와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제1방향 및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감지레버; 상기 감지레버가 이동하는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제 1방향을 감지하면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고, 상기 감지센서가 제 2방향을 감지하면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일 때 상기 도어와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제1방향 및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감지레버; 상기 감지레버가 이동하는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제 1방향을 감지하면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고, 상기 감지센서가 제 2방향을 감지하면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등 가전제품이나 가구 등에는 본체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가 장착된다.
사용자는 도어를 개폐하여 저장실에 음식물을 넣거나 빼게 된다. 일단 도어를 열었다 닫으면 저장실 내에는 외기가 유입되는데, 유입된 외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냉각되어 비체적이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저장실 내부의 압력은 외부에 비하여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를 다시 열고자 할 때는 이러한 압력차를 극복할 수 있는 힘으로 도어를 열어야 하며, 때에 따라서는 도어를 열기 위해 상당히 큰 힘을 가하여야만 한다. 특히, 도어 자체의 무게가 무겁고 저장실의 용량이 큰 냉장고의 경우에는 도어의 개방을 위해 더욱 큰 힘이 필요하므로 도어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한편, 도어와 냉장고 본체 사이에는 도어를 닫았을 때 본체와 도어 사이를 밀폐하는 가스켓이 구비된다. 가스켓은 본체와 도어 양측에 밀착되어, 저장실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켓은 탄성 재질로 마련되어 있으며, 도어를 미는 힘 뿐만 아니라 본체나 다른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자동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도어에 가해지는 푸시 압력과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을 구분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함으로써 개방 동작의 정확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일 때 상기 도어와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제1방향 및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감지레버; 상기 감지레버가 이동하는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제 1방향을 감지하면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고, 상기 감지센서가 제 2방향을 감지하면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 사이의 틈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레버는, 상기 가스켓과 접촉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켓의 진동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상기 감지레버가 상기 제 2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도어의 폐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감지레버의 일 측에 마련되어 이동 가능한 마그넷; 및 상기 마그넷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변화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홀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 소자가 검출하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레버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레버가 상기 제 2방향으로 이동하여 검출되는 전압값의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레버가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감지레버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동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감지레버의 이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작부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도어를 상기 제 2방향으로 밀도록 마련되는 푸시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변위를 감소시키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증폭시키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푸시레버에 전달하는 감속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부는, 상기 감속기어의 회전 변위를 직선 변위로 전환시키고, 상기 감속기어와 맞물리게 마련되는 랙기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레버가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구동모터를 동작시키고, 상기 감지레버가 상기 제 2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구동모터를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감지레버 및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도어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는, 마그넷; 상기 감지레버의 일 측에 마련되어 이동하는 홀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 소자가 검출하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레버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은, 상기 도어에 마련할 수 있다.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닫힘 상태일 때 상기 도어와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제1방향 및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감지레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은 상기 감지레버가 움직이는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제 1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 2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유지하는 것은, 상기 감지레버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것은, 상기 감지레버의 이동에 기초하여 변화하는 자기장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시키는 것은, 상기 감지레버가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시키는 것은, 상기 도어를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푸시레버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은 자동으로 도어의 일 측을 누름으로써,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푸시 압력과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구별함으로써, 도어 개방 동작의 정확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도어 개방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 개방 장치가 포함된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서 도시된 도어 개방 장치의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b에서 도시된 도어 개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b에 도시된 도어 개방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일 실시예에 따라 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감지부의 검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레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 개방 장치가 포함된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서 도시된 도어 개방 장치의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b에서 도시된 도어 개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b에 도시된 도어 개방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일 실시예에 따라 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감지부의 검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레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도어 개방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시된 냉장고(1)에서 도어 개방 장치(100)는 사용자의 푸시 압력 및 도어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부(200), 도어를 개방시키는 동작부(300) 및 감지부(200)가 전달하는 측정값에 기초하여 동작부(30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200)는 도어(20, 도 2 참조)가 눌러지면, 도어(200)에 의해서 눌러지는 감지레버(210), 및 감지레버(210)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220)는 홀 센서(Hall Sensor) 또는 모드 스위치(Mode Switch) 등 다양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홀 센서를 일 예로 설명한다.
동작부(300)는 감지부(20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를 개방시키는 물리적 힘을 제공한다.구체적으로 동작부(300)는 도어(20)를 전방으로 미는 푸시레버(310) 및 전기적 힘을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구동모터(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감지부(200)와 동작부(30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Processor)이다.
제어부(400)는 감지부(20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동작부(300)를 동작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 예로, 사용자는 도어를 후방으로 밀 수 있다.. 감지부(200)가 도어에 작용하는 사용자의 힘(이하 푸시 압력)을 감지하면, 제어부(400)는 감지 결과값에 기초하여 동작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감지부(200)의 감지 결과가 도어의 개방을 위한 푸시 압력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동작부(300)의 동작을 제어하지 않으며, 도어는 닫힘 상태를 유지한다.
제어부(400)는 도어 개방 장치(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라 도어 개방 장치(100)가 냉장고(1, 이하 도 2 참조)에 포함되면, 제어부(400)는 냉장고(1)의 메인 마이컴(미도시)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이 때, 제어부(400)는 메인 마이컴과 통신을 위한 통신부, 제어 명령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개시된 냉장고(1)는 도어 개방 장치(100)이외에도 다른 구성을 포함하며, 냉장고의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장치를 포함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 개방 장치가 포함된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냉장고(1)는 저장실(11)을 구비하는 본체(10)와, 저장실(11)의 전면에 마련되어 저장실(11)을 개폐하는 도어(20)와, 도어(20)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도어 개방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저장실(11)이 1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11)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온도가 가변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저장실 또는 도어의 개수는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장고는 2개의 저장실이 상하로 마련되며, 냉동실이 아래에 배치되는 BMF(BOTTOM MOUNTED FREEZER) 타입 또는 냉동실이 위에 배치되는 TMF(TOP MOUNTED FREEZER)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는 2개의 저장실이 좌우로 배치되는 SBS(SIDE BY SIDE)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어(2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도어(20)는 본체(10)에 대해 전진 또는 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서랍식 도어로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의 종류에도 그 제한이 없다.
도어 개방 장치(100)는 본체(1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 개방 장치(100)는 도어(20)의 전면 일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후방으로 눌려지면(이하 푸시 압력), 도어(20)를 전방으로 개방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도어 개방 장치(100)는 도어(20)가 외부 충격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푸시 압력과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시 압력은 사용자가 냉장고(1)의 도어(20)를 오픈하기 위해 도어(20)를 냉장고(1)의 후방으로 미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며, 외부 충격은 도어(20)를 미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이외에 본체(10) 또는 도어(20)에 가해지는 다양한 힘 또는 진동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예에 따른 냉장고(1)가 2개의 저장실과 2개의 도어를 포함하는 SBS타입인 경우, 외부 충격은 옆 도어에 가해지는 푸시 압력일 수 있다. 만약 냉장고(1)가 2개의 저장실이 상하로 마련되어 1개의 도어를 포함하는 BMF 또는 TMF타입인 경우, 외부 충격은 도어 이외의 본체에 가해지는 힘일 수 있다. 이외에도 외부 충격은 다양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도어 개방 장치(100)는 도어(20)를 닫힘 상태를 유지하며, 도어(20)를 개방시키지 않는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어 개방 장치(100)는 본체(10)의 하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 도어 개방 장치(10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 개방장치(100)는 도어의 개수만큼 마련될 수 있다. 즉, 도어 개방장치(100)의 개수 및 배치는 냉장고의 종류 및 도어의 개수, 설계 사양에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어(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 사용자는 도어(20)의 임의의 일 측을 밀어서 도어(20)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어(20)와 본체(10) 사이에는 가스켓(12)이 마련되고, 가스켓(12)은 도어(20)와 본체(10) 사이의 틈을 밀폐시키며, 도어(20)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스켓(12)은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푸시 압력 및 외부 충격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20)에 푸시 압력을 가하면, 가스켓(12) 및 도어(20)는 미소한 거리이지만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감지레버(210)는 가스켓(12)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도어(2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가스켓(12)과 함께 후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감지레버(210)가 도어 개방장치(100)의 내측으로 함께 이동하게 되면, 제어부(400)는 푸시레버(310)를 전방으로 이동하여 도어(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푸시레버(310)는 후술할 구동모터(3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도어(20)를 전방으로 밀 수 있다. 도어(20)는 푸시레버(310)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푸시레버(310)는 도어(20)를 개방한 후, 구동모터(320)에 의해 원래 위치로 인입될 수 있다. 즉, 푸시레버(310)는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해 전방으로 이동한 후, 다시 본래 위치로 돌아가도록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도어 개방 장치(100)는 본체(10) 또는 도어(20)에 별도의 스위치가 마련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어 개방 장치(100)는 도어(20)를 완전히 개방하는 것이 아니라 도어(20)를 본체(10)로부터 이격시켜 사용자가 도어(20)를 적은 힘으로도 쉽게 열도록 할 수 있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서 도시된 도어 개방 장치의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b에서 도시된 도어 개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b에 도시된 도어 개방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어 개방 장치(100)는 도어(20)가 눌려지면, 도어(20)의 이동량을 감지하여 도어(20)를 개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 개방 장치(100)는 도어(20)에 가해지는 힘이 도어(20)를 개방하라는 푸시 압력인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인지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스켓(12)은 탄성력을 가진 고무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만약 푸시 압력이 가해지면, 가스켓(12)은 도어(2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외부 충격은 특정한 방향을 가지지 않으며, 가스켓(12)은 외부 충격에 의해서 순간적으로 전방 및 후방으로 진동한다.
이 경우, 가스켓(12)에 접촉하고 있는 감지레버(210)는 가스켓(12)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한다. 감지부(200)는 외부 충격에 의해서 감지레버(21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감지하고, 푸시 압력과 구분할 수 있다.
즉, 감지레버(210)는 도어(20)에서 진동하는 가스켓(12)의 움직임에 따라 냉장고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실시예가 가스켓(12)의 진동에 의해서 이동하는 감지레버(210)를 감지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스켓(12)의 탄성재질은 외부 충격을 잘 흡수하여 감지부(200)의 감지결과를 우수하게 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감지레버(210)가 도어(20)에 접촉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설명은 도 15등을 통해서 후술한다.
감지부(200)는 감지레버(210)와 함께 마련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마그넷(22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감지레버(210)가 사용자의 푸시 압력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동하면, 마그넷(221)도 이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한다.
감지센서(220)는 마그넷(221)의 이동량을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일 예에 따른 감지센서(220)는 홀 소자(222)로 마련되어, 마그넷(221)의 이동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검출한다. 홀 소자(222)는 얇은 반도체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인 홀 소자(222)의 예는 InAs(Indium-Arsenide) 또는 InSb(Indium-Antimonide)이 일 수 있으며, 다양할 수 있다.
홀 소자(222)는 마그넷(221)에 의해서 변화하는 자기장을 전압값으로 검출한다. 홀 소자(222)에서 검출된 전압값은 잭(223)을 거쳐 인쇄회로기판(260)에 실장된 마이크로 칩(270)으로 전달된다.
마이크로 칩(270)은 제어부(400)를 구현하는 프로세서 등을 포함한다. 즉, 마이크로 칩(270)은 제어부(400)로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홀 소자(222)가 검출한 전압값에 기초하여 감지레버(210)의 이동 방향을 판단한다.
만약 감지레버(21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어부(400)는 동작부(300)를 구동시켜 도어(20)를 개방시킨다. 여기서 동작부(300)의 개방을 결정하는 기준은 감지레버(210)의 이동량이 된다.
한편, 제어부(400)는 검출한 전압값에서 감지레버(210)가 전방으로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레버(21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 뿐만 아니라 전방으로 이동한 후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어부(400)는 동작부(300)를 구동시키지 않는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9a 이하에서 후술한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부(30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20)와, 구동모터(3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도어(20)를 밀도록 마련되는 푸시레버(3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320)는 제어부(400)에 의해 동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20)를 밀었을 때, 감지부(200)는 감지레버의 움직임을 통해 이를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감지신호를 제어부(400)로 전달하면, 제어부(400)가 구동모터(3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320)는 구동샤프트(321)를 포함하고, 구동샤프트(321)에는 구동기어(322)가 결합될 수 있다.
구동모터(320)는 정회전하여 푸시레버(3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구동모터(320)는 역회전하여 푸시레버(3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푸시레버(310)는 직선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푸시레버(310)는 구동모터(320)와 연결되어 구동모터(3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도어(20)를 밀도록 마련될 수 있다. 푸시레버(20)는 전진 이동하여 도어(20)와 접촉한 후, 도어(20)가 열리는 방향으로 도어(20)를 본체(1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푸시레버(310)는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해 전방으로 이동한 후, 구동모터(320)에 의해 다시 본래 위치로 돌아가기 위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푸시레버(310)는 랙기어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랙기어부(311)는 구동모터(320)와 직접 연결되어 구동모터(320)의 회전 변위를 직선 변위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 때, 구동기어(322)는 피니언 기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기어부(311)는 감속기어(330)와 연결될 수 있다. 푸시레버(310)의 랙기어부(311)와 구동모터(320)의 구동기어(322) 사이에 감속기어(330)가 마련되면, 구동모터(320)의 구동력이 증폭될 수 있다.
동작부(300)는 구동모터(320)의 회전 변위를 감소시키도록 마련되는 감속기어(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속기어(330)는 구동모터(320)의 회전 변위를 감소시키는 대신 구동모터(320)의 구동력을 증폭시킬 수 있다. 감속기어(330)는 푸시레버(310)의 랙기어부(311)와 구동모터(320)의 구동기어(3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감속기어(330)는 회전축이 일치하는 대경부(미도시)와 소경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소경부는 대경부보다 지름이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소경부와 대경부는 그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기어 이빨의 간격이 서로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감속기어(330)의 대경부는 구동기어(322)와 맞물릴 수 있다. 감속기어(330)의 소경부는 푸시레버(310)의 랙기어부(311)와 맞물릴 수 있다. 감속기어(330)의 소경부는 피니언 기어로서 기능하여 구동기어(322)의 회전 변위를 푸시레버(310)의 직선 변위로 전환시킬 수 있다.
감속기어(330)가 마련됨으로써, 구동모터(320)의 변위가 감소하는 대신 구동모터(320)의 출력이 증폭될 수 있다. 한편, 감속기어(33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동작부(300)는 푸시레버(310)의 이동량을 감지하는 마그넷(미도시)과 마그넷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홀 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도 있으며, 제어부(400)는 홀 소자가 전달하는 푸시레버(310)의 이동량에 기초하여 도어(20)의 개방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장치(100)는 도어 개방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감지부(200)와 동작부(300)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110)는 그 내측에 감속기어(330) 및 구동모터(320)의 적어도 일부분이 배치되며, 구동모터(320)로 인한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마련되는 소음저감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소음저감부(111)는 와플 형상을 가지는 리브를 포함하여 구동모터(320)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하부케이스(120)는 구동모터(320)가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구동모터 장착부(121)와, 구동모터(320)가 구동모터 장착부(121)에 고정되도록 구동모터(320)의 하측에 배치되는 구동모터 고정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 장착부(121)에 구동모터(320)를 삽입한 후, 구동모터 고정부재(122)를 구동모터(320) 및 구동모터 장착부(121)에 결합시킴으로써 구동모터(320)를 하부케이스(120)에 장착할 수 있다. 이 때, 구동모터 고정부재(122)에 마련되는 결합부(122a)와 결합돌기(122b)를 이용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120)는 제1탄성부재(240)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고정핀(123)과, 제2탄성부재(250)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2고정핀(1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 등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9a 내지 도 9b는 일 실시예에 따라 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이하 함께 설명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도어(20)가 폐쇄 상태일 때, 감지레버(210)는 도어(20)에 마련된 가스켓(12)에 닿아있다. 감지레버(210)의 일 측에 마련된 마그넷(221)은 홀 소자(222)와 미리 설정된 이격된 거리(D1)에 배치되어 있다.
만약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한 푸시 입력(F1)을 입력하면, 도어(20)와 가스켓(12)은 감지레버(210)을 제 1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 제 1방향은 도 2 등에서 설명한 후방향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마그넷(221)은 감지레버(210)와 함께 마련되어 제 1방향으로 이동한다. 마그넷(221)이 이동하면서, 홀 소자(222)와의 거리(D2)는 폐쇄된 상태의 거리(D1)보다 짧아진다.
짧아진 거리(D2)만큼 자기장은 변화게 되고, 홀 소자(222)는 변화하는 전압을 검출하여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한편, 사용자의 푸시 입력(F1)이외에 도어(20)는 다양한 외부 충격(F2)을 받을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외부 충격은 본체(10)에서 전달되는 진동이나, 복수의 도어가 마련된 냉장고(1)에서 다른 도어로부터 전달되는 푸시 입력과 같은 힘일 수도 있다.
도 9c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 충격(F2)이 가해지면, 도어(20)는 진동하게 되고, 가스켓(12)은 탄성력에 의해서 미소하게 진동한다. 감지레버(210)는 가스켓(12)의 움직임에 의해서 순간적으로 제 2방향으로 움직인다. 여기서 제 2방향은 도 2의 경우, 전방을 의미한다.
감지레버(210)가 제 2방향으로 움직이면, 마그넷(221)도 함께 제 2방향으로 움직이고, 홀 소자(222)와의 거리(D3)는 증가한다. 홀 소자(222)는 증가된 거리(D3)에 따라 변화하는 자기장을 검출하고,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제어부(400)는 변화한 전압값에 기초하여 도어(20)의 동작부(300)를 동작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제어부(400)의 판단 기준은 이하의 도면에서 후술한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c는 가스켓(12) 접촉한 감지레버(210)가 이동하면서 감지레버(210)의 일 측에 마련된 마그넷(221)이 함께 이동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마그넷(221)는 감지레버(210)와 분리되어 도어 개방 장치(100)의 내측에 따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레버(210)의 일 측에는 홀 소자(222)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가스켓(12)의 진동의 진동에 의해서 감지레버(210)가 이동하면서 홀 소자(222)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홀 소자(222)가 감지레버(210)와 함께 이동하고, 홀 소자(222)와 고정된 마그넷(221)과의 거리는 외부 충격 및 푸시 압력에 따라 변화한다. 거리가 변화함에 따라 자기장은 함께 변화하고, 홀 소자(222)는 변화하는 자기장의 세기에 기초하여 감지레버(210)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감지부의 검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0a 및 도 10b의 그래프에서 x축은 시간을 의미하고, y축은 홀 센서의 검출된 결과, 즉 전압값을 의미한다.
도 10a는 사용자의 푸시 입력(F1)에 의해서 홀 소자(222)가 검출하는 결과이고, 도 10b는 도어(2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F2)에 의해서 검출되는 결과이다.
도어(20)가 눌러지면, 감지레버(210)의 이동에 의해서 후방으로 짧아진 거리에 따라 홀 소자(222)가 검출하는 전압값은 도 10a와 같이 일정한 방향으로 상승한다. 상승된 전압의 크기는 반드시 일정할 필요가 없다. 그래프에서 점선 부분은 전압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일정한 방향으로 전압값이 상승하고, 상승된 전압이 미리 설정된 크기, 즉 설정값을 넘으면,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푸시 입력(F1)으로 판단하고, 동작부(300)를 동작시킨다.
일 예에 따라 도어 개방을 위한 적정 전압은 1V 이상의 변화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외부 충격(F2)이 가해지면, 홀 소자(222)가 검출하는 전압값은 소정의 도 10b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검출될 수 있다. 즉, 도 10a와 달리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홀 소자(222)는 닫힘 상태에서 검출되는 기준 전압값과 푸시 압력(F1)에 의해 검출되는 전압값과 다른 전압값이 검출된다.
이렇게 반대방향으로 변화하는 구간(A)은 가스켓(12)이 미소하게 제 2방향으로 감지레버(210)을 이동시킨 결과이다. A 구간이 검출되면,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푸시 압력(F1)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동작부(300)를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
한편, A 구간은 도10b과 같이, 외부 충격에 의해서 여러 번 검출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감지레버(210)가 제 2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감지되는 검출값을 종합하여 동작부(300)의 제어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일 측면에 따른 개시된 도어 개방 장치(100)는 제 1방향 및 제 2방향으로 이동하는 감지레버(210)의 이동량에 기초하여 도어(20)의 개방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도어 개방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홀 효과를 이용하여 감지부(200)를 구성하면, 외부 충격으로 가스켓(12)의 진동에 따라 변화하는 감지레버(210)가 0.6mm의 이동량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도어 개방 동작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레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일 예에 따른 감지레버(210)는 전진 또는 후진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다만, 도어(20)가 개방된 후 다시 도어(20)가 폐쇄되면, 감지레버(210)는 다시 도어(20)에 기준이 되는 위치로 이동되어야 한다.
도 7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20)는 제1고정핀(123)과 제2고정핀(124)을 포함할 수 있고, 감지모듈(200)는 제1탄성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240)는 감지레버(210)를 도어 쪽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240)의 일단(241)과 타단(242)은 각각 감지레버(210)의 일측과 제2고정핀(124)에 걸림될 수 있다. 이 때, 제1탄성부재(240)는 제1고정핀(123)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감지레버(210)는 후방으로 이동할 때, 제1탄성부재(240)는 탄성력을 축적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도어(20)가 푸시 입력에 의해서 감지레버(21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1탄성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레버(210)는 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다만, 도 13과 같이, 도어(20)가 외부 충격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 1탄성부재(240)는 감지레버(210)의 동작에 영향이 없다. 즉, 제 1탄성부재(240)는 감지레버(210)가 후방으로 이동된 후, 다시 도 11의 기준 위치로 감지레버(210)를 이동시킨다.
한편, 전술한 바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부(200)는 감지레버(210)를 전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기 위해 기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제한은 없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어 개방 장치(100)는 냉장고(2)의 본체(10)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와 비교하면, 도어 개방 장치(100)는 본체(10)의 내측, 즉 저장실(11)의 상면 및 본체(10)의 외관 사이에 마련되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2)는 도어 개방 장치(10)가 본체(10) 외관 상면에 마련된다.
이 경우, 도어 개방 장치(100)에 포함된 감지레버(210)는 본체(10)보다 높게 형성된 도어(20)의 일 측면과 접촉한다. 사용자의 푸시 압력에 의해서 도어(20)가 도어(20)에서 본체(10)방향(제 1방향)으로 이동하면, 감지레버(210)도 함께 제 1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푸시레버(310)를 본체(10)에서 도어(20)방향(제 2방향)으로 동작시켜 도어(20)를 개방시킨다.
또한, 푸시 압력이 아닌 외부 충격에 의해서 도어(20)가 진동하면, 감지레버(20)는 제 2방향으로 미소하게 움직일 수 있다. 도어 개방 장치(100)에 포함된 감지센서(220)는 감지레버(210)가 제 2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한다. 제어부(400)는 감지결과에 따라 현재 입력되는 힘이 푸시 압력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푸시레버(310)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한편, 도 14에서 도시된 도어 개방 장치(100)의 감지부(200)는 홀 소자(222) 및 마그넷(2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마그넷(221)은 도어 개방 장치(1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그넷(221)은 도어(20)의 일 측에 마련되면서 홀 소자(222)는 도어 개방 장치(100)의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15를 통해서 후술한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3)는 마그넷(221)을 도어(20)의 일 측에 마련하고, 감지레버(210) 및 홀 소자(222)를 도어 개방 장치(100) 내부에 마련토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그넷(221)은 도어(20)의 내면에 마련되고, 가스켓(12) 또는 도어(20)에 접촉하고 있는 감지레버(210)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 만약 외부 충격에 의해서 도어(20) 또는 가스켓(12)이 진동하여 감지레버(210)가 본체(10)에서 도어(20)방향(제 2방향)으로 이동하면, 감지레버(210)와 연결된 홀 소자(222)도 함께 이동한다. 결국, 홀 소자(222)와 마그넷(221)의 거리는 변화하고, 제어부(4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감지레버(210)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15에서는 마그넷(221)이 도어(20)의 내측에 마련되어 도어(20)의 일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어(20)가 닫힘 상태일 때, 감지레버(210), 가스켓(12) 및 마그넷(221)는 순서대로 배치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그넷(221)은 홀 소자(222)와 소정의 이격된 거리를 가지고, 도어(20)에 마련되면 충분하다.
도 16은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감지부(200)는 감지레버(210)의 이동 방향을 감지한다(500).
감지부(200)가 감지레버(210)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앞선 도면에서는 감지부(200)가 마그넷(221)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홀 전압을 검출하는 방법을 실시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감지부(200)는 모드 스위치(mode switch)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감지레버(210)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는 장치면 충분하다.
감지부(200)는 감지레버(210)의 이동 방향에 대한 검출값을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제어부(400)는 감지레버(210)의 이동 방향이 제 1방향인지 제 2방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510, 520)
일 예에 따라 제 1방향은 사용자가 도어(20)를 미는 힘, 즉 푸시 압력에 따라 감지레버(210)가 이동하는 방향이다. 제 2방향은 도어(20)가 푸시 압력이 아닌 외부의 다른 힘에 의해서 감지레버(210)가 순간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이다.
만약 감지레버(210)가 제 1방향으로 이동하면, 제어부(400)는 감지레버(210)의 이동량을 판단한다(520).
이동량을 판단하는 방법은 감지 센서(220)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감지 센서(220)가 홀 센서인 경우, 감지부(200)가 검출하는 검출값은 홀 전압의 시간 및 크기를 포함한다.
감지부(200)의 결과에 따라 제어부(400)는 감지레버(200)가 제 1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동하였다고 판단하면, 동작부(300)를 제어한다(530).
동작부(3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서 푸시레버(310)를 동작시키고, 도어(20)를 개방시킨다. 동작부(300)가 도어(20)를 개방시키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반드시 도 7에서 설명한 구성이 모두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감지레버(210)의 이동 방향이 제 2방향이면, 제어부(200)는 감지레버(210)의 제 2방향의 횟수를 판단한다(521).
도 10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홀 전압값이 반대 방향으로 검출되면, 제어부(400)는 도어(20)가 외부 충격을 받은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도 10b의 A 부분이 검출되는 외부 충격이라고 판단하는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즉, 가스켓(12)의 진동에 따라 감지레버(210)가 제 2방향으로 이동하면, 푸시 압력과 다른 검출값을 가진 구간 내 홀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검출된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도어(20)의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531). 즉, 제어부(400)는 동작부(300)를 제어하지 않고, 도어(20)를 개방시키지 않는다.
한편, 미리 설정된 횟수는 다양할 수 있으며,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400)의 동작과 관련된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 냉장고 10 : 본체
11 : 저장실 12 : 가스켓
20 : 도어 100 : 도어 개방 장치
110 : 상부케이스 111 : 소음저감부
120 : 하부케이스 121 : 구동모터 장착부
122 : 구동모터 고정부재 123 : 제1고정핀
124 : 제2고정핀 125 : 제3고정핀
200 : 감지부 210 : 감지레버
220 : 감지센서 221 : 마그넷
222 : 홀 소자 240 : 제1탄성부재
270 : 마이크로 칩 260 : 인쇄회로기판
300 : 푸시모듈 310 : 푸시레버
320 : 구동모터 321 : 구동샤프트
322 : 구동기어 330 : 감속기어
400: 제어부
11 : 저장실 12 : 가스켓
20 : 도어 100 : 도어 개방 장치
110 : 상부케이스 111 : 소음저감부
120 : 하부케이스 121 : 구동모터 장착부
122 : 구동모터 고정부재 123 : 제1고정핀
124 : 제2고정핀 125 : 제3고정핀
200 : 감지부 210 : 감지레버
220 : 감지센서 221 : 마그넷
222 : 홀 소자 240 : 제1탄성부재
270 : 마이크로 칩 260 : 인쇄회로기판
300 : 푸시모듈 310 : 푸시레버
320 : 구동모터 321 : 구동샤프트
322 : 구동기어 330 : 감속기어
400: 제어부
Claims (20)
-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일 때 상기 도어와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제1방향 및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감지레버;
상기 감지레버가 이동하는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제 1방향을 감지하면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고, 상기 감지센서가 제 2방향을 감지하면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 사이의 틈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레버는,
상기 가스켓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켓의 진동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상기 감지레버가 상기 제 2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도어의 폐쇄를 유지하는 냉장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감지레버의 일 측에 마련되어 이동 가능한 마그넷; 및
상기 마그넷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변화하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홀 소자;를 포함하는 냉장고.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 소자가 검출하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레버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냉장고.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레버가 상기 제 2방향으로 이동하여 검출되는 전압값의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냉장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레버가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감지레버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동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감지레버의 이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부를 제어하는 냉장고 -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도어를 상기 제 2방향으로 밀도록 마련되는 푸시레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변위를 감소시키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증폭시키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푸시레버에 전달하는 감속기어;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감속기어의 회전 변위를 직선 변위로 전환시키고, 상기 감속기어와 맞물리게 마련되는 랙기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레버가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구동모터를 동작시키고, 상기 감지레버가 상기 제 2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구동모터를 동작시키지 않는 냉장고. -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레버 및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도어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는 냉장고. -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마그넷;
상기 감지레버의 일 측에 마련되어 이동하는 홀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 소자가 검출하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레버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냉장고. -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냉장고. - 도어가 닫힘 상태일 때 상기 도어와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제1방향 및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감지레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지레버가 움직이는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제 1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 2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하는 것은,
상기 감지레버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 -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것은,
상기 감지레버의 이동에 기초하여 변화하는 자기장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 -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시키는 것은,
상기 감지레버가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 -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시키는 것은,
상기 도어를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푸시레버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9261A KR102448499B1 (ko) | 2017-06-02 | 2017-06-02 |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 |
EP18175379.9A EP3410048B1 (en) | 2017-06-02 | 2018-05-31 | Refrigerator |
US15/995,684 US11073327B2 (en) | 2017-06-02 | 2018-06-0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door |
CN201810564192.7A CN108981275B (zh) | 2017-06-02 | 2018-06-04 | 冰箱和冰箱门的控制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9261A KR102448499B1 (ko) | 2017-06-02 | 2017-06-02 |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2390A KR20180132390A (ko) | 2018-12-12 |
KR102448499B1 true KR102448499B1 (ko) | 2022-09-29 |
Family
ID=6249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9261A KR102448499B1 (ko) | 2017-06-02 | 2017-06-02 |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073327B2 (ko) |
EP (1) | EP3410048B1 (ko) |
KR (1) | KR102448499B1 (ko) |
CN (1) | CN10898127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0433B1 (ko) * | 2017-04-24 | 2023-0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102530693B1 (ko) * | 2017-11-27 | 2023-05-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
US11143451B2 (en) * | 2018-10-12 | 2021-10-12 | Bsh Hausgeraete Gmbh |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part being releasably attached |
US10677512B1 (en) * | 2019-01-31 | 2020-06-09 | Whirlpool Corporation | Appliance push-to-open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push-to-open system |
TR201902445A2 (tr) * | 2019-02-19 | 2020-09-21 |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 Otomatik kapı açma sistemi ve ilgili yöntem. |
DE102019109650A1 (de) * | 2019-04-11 | 2020-10-15 | Hettich-Oni Gmbh & Co. Kg | Öffnungsvorrichtung für ein Kühlgerät |
US10648218B1 (en) * | 2019-05-31 | 2020-05-12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Refrigerator with push-to-open door opener |
KR102364088B1 (ko) * | 2020-06-01 | 2022-02-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가전기기 |
CN111631511A (zh) * | 2020-06-20 | 2020-09-08 | 商丘师范学院 | 一种英语朗读辅助装置 |
KR102479694B1 (ko) * | 2020-08-20 | 2022-12-21 | 동우정밀(주) | 도어 개방장치 |
KR20220027547A (ko) * | 2020-08-27 | 2022-03-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식기 세척기 |
KR20220028534A (ko) * | 2020-08-28 | 2022-03-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식기 세척기 |
US11668130B2 (en) * | 2020-12-08 | 2023-06-06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Refrigerator with push-to-open door opener |
KR102492945B1 (ko) * | 2021-01-06 | 2023-01-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도어 자동 개폐 장치 |
KR20220114871A (ko) * | 2021-02-09 | 2022-08-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자동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의 자동 도어 제어방법 |
KR20220114869A (ko) * | 2021-02-09 | 2022-08-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자동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의 자동 도어 제어방법 |
KR20220114867A (ko) * | 2021-02-09 | 2022-08-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자동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의 자동 도어 제어방법 |
KR20220114866A (ko) * | 2021-02-09 | 2022-08-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자동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의 자동 도어 제어방법 |
KR20220114870A (ko) * | 2021-02-09 | 2022-08-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자동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의 자동 도어 제어방법 |
KR20220114868A (ko) * | 2021-02-09 | 2022-08-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자동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
CN112797718B (zh) * | 2021-02-26 | 2022-07-22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开门顶出装置、开门组件及冰箱 |
KR20220141140A (ko) | 2021-04-12 | 2022-10-19 | 최용환 |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냉장고 |
KR20230027665A (ko) * | 2021-08-19 | 2023-0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US12037831B2 (en) * | 2022-02-16 | 2024-07-16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Refrigerator with self-reversing door opener |
KR20230128827A (ko) * | 2022-02-28 | 2023-09-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20240010141A (ko) * | 2022-07-15 | 2024-0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US12000645B2 (en) | 2022-11-08 | 2024-06-04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Refrigerator with an assisted door opener |
CN115930543A (zh) * | 2023-01-17 | 2023-04-07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冰箱门体的控制方法及控制设备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338156A1 (en) | 2014-05-26 | 2015-11-26 | Miele & Cie. Kg | Refrigeration appliance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73323A (en) * | 1993-11-30 | 1996-11-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frigerator having a pressure equilbrium apparatus |
TR200504095A2 (tr) * | 2005-10-13 | 2007-10-22 | Bsh Ev Aletler� Sanay� Ve T�Caret Anon�M ��Rket�@ | Kapı açma yardımcı düzeneği. |
DE102006061083A1 (de) * | 2006-12-22 | 2008-06-26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Kältegerät mit Türöffnungshilfe |
KR20090012693A (ko) | 2007-07-31 | 2009-02-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자동열림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
KR101450659B1 (ko) | 2008-01-03 | 2014-10-14 |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 자동 도어 닫힘 장치를 갖는 냉장고 및 도어 자동 닫힘방법 |
KR101480459B1 (ko) | 2008-06-11 | 2015-01-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의 도어 자동 개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20110022849A (ko) * | 2009-08-28 | 2011-03-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KR101639435B1 (ko) * | 2009-10-13 | 2016-07-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CN102278033A (zh) * | 2010-06-08 | 2011-12-14 |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 一种自动开门装置及使用该装置的对开门冰箱 |
KR101151618B1 (ko) * | 2010-07-05 | 2012-06-08 | 주식회사 에스 씨디 | 냉장고 도어 열림 장치 및 방법 |
CN102706066A (zh) * | 2012-06-26 | 2012-10-03 |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 制冷设备 |
JP2014234985A (ja) | 2013-06-05 | 2014-12-15 | 株式会社東芝 | 冷蔵庫 |
DE102014210693A1 (de) * | 2014-06-05 | 2015-12-17 | BSH Hausgeräte GmbH | Haushaltskältegerät |
CN104329884B (zh) * | 2014-08-18 | 2017-02-15 |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 自动开门装置及具有该装置的冰箱 |
DE102015207311A1 (de) * | 2015-04-22 | 2016-10-27 | BSH Hausgeräte GmbH |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Überlast-Schutzeinrichtung einer Öffnungs-Hilfsvorrichtung und zugehöriges Verfahren |
CN104833163B (zh) * | 2015-05-12 | 2017-02-22 | 南京理工大学 | 自动开门装置及具有该装置的冰箱 |
CN111426124A (zh) * | 2015-06-11 | 2020-07-17 | Lg 电子株式会社 | 冰箱 |
US10995536B2 (en) * | 2017-01-03 | 2021-05-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frigerator |
KR102368377B1 (ko) * | 2017-03-29 | 2022-03-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
2017
- 2017-06-02 KR KR1020170069261A patent/KR10244849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5-31 EP EP18175379.9A patent/EP3410048B1/en active Active
- 2018-06-01 US US15/995,684 patent/US11073327B2/en active Active
- 2018-06-04 CN CN201810564192.7A patent/CN108981275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338156A1 (en) | 2014-05-26 | 2015-11-26 | Miele & Cie. Kg | Refrigeration applian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80347892A1 (en) | 2018-12-06 |
KR20180132390A (ko) | 2018-12-12 |
EP3410048B1 (en) | 2021-05-05 |
EP3410048A1 (en) | 2018-12-05 |
CN108981275A (zh) | 2018-12-11 |
CN108981275B (zh) | 2021-04-06 |
US11073327B2 (en) | 2021-07-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48499B1 (ko) |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 | |
JP6771609B2 (ja) | 冷蔵庫 | |
US10995536B2 (en) | Refrigerator | |
KR102342576B1 (ko) | 냉장고 | |
KR102616258B1 (ko) |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 |
KR102530915B1 (ko) |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 |
US20100141107A1 (en) |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US8476858B2 (en)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KR102630165B1 (ko) |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 |
CN107076503A (zh) | 冰箱 | |
US20130113357A1 (en) | Refrigerator | |
KR102530693B1 (ko) |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 |
KR20210157160A (ko) |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70014565A (ko) |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 |
JP5782093B2 (ja) | 冷蔵庫 | |
JP2007093038A (ja) | 自動扉開閉装置における操作検知装置および冷蔵庫 | |
KR102442380B1 (ko) | 냉장고 | |
KR101446350B1 (ko) | 냉장고 및 냉장고의 홈바 도어 개폐 시스템 | |
KR101745124B1 (ko) | 냉장고 | |
JP7122434B2 (ja) | 冷蔵庫 | |
KR20100085257A (ko) | 서랍이 구비된 냉장고 및 그 서랍의 닫힘 제어방법 | |
JP2016090173A (ja) | 冷却庫 | |
KR20230128827A (ko) | 냉장고 | |
KR200322367Y1 (ko) | 비접촉식센서를 이용한 광디스크 장치 | |
EP1437740A3 (en) | Movement control device, movement control method, movement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