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45090B1 -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090B1
KR102445090B1 KR1020170108432A KR20170108432A KR102445090B1 KR 102445090 B1 KR102445090 B1 KR 102445090B1 KR 1020170108432 A KR1020170108432 A KR 1020170108432A KR 20170108432 A KR20170108432 A KR 20170108432A KR 102445090 B1 KR102445090 B1 KR 102445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roof
vehicle
flush
body par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142A (ko
Inventor
김진혁
Original Assignee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8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090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는, 차량의 바디루프에 장착되는 선루프의 플러시를 조정하는 장치로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며, 상기 차량의 바디루프에 밀착되어 상기 바디루프와 상기 바디부간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며, 상기 선루프에 부착되어 상기 선루프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조절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며, 상기 조절부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상기 선루프를 스토핑하는 스토핑부;를 포함한다. 본 기술은 선루프 장착시 차량 바디의 좌우나 상하로 위치 변동이 수반되는 여러 상황에서도 선루프의 플러시 조절을 자동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플러시 조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차량에 장착된 선루프와 바디루프 사이의 갭을 최소화하여 차량 운행시 발생하는 풍절음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FLUSH OF SUNROOF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에 선루프를 장착할 때 선루프의 플러시를 자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루프에는 심미적, 활용성, 개방감 등의 목적으로 선루프가 장착되고 있다.
종래의 선루프 장착 설비의 경우, 대차 위에 차량의 바디를 안착할 때 발생하는 산포로 인해 각각의 차량마다 위치가 상이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루프 장착을 위해 작업대(일례로, 대차)(도 1b 참조, 도면부호 20) 위에 놓여진 차량(10)은, 그 진입 방향을 x방향, x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y방향 및 x방향과 y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z방향이라고 할 때, y방향으로 바디(12)의 좌우 위치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z방향으로도 바디(12)의 상하 위치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변동은 선루프 장착시 선루프의 플러시(flush)를 조절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플러시 조절이 어렵다는 것은 바디루프와 선루프 사이에 갭이 과다해지는 문제를 유발한다. 차량 운행시 발생하는 풍절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플러시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 선루프 장착시 차량의 바디루프 부위에 찍힘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선루프 장착시 발생할 수 있는 차량 바디의 위치 변동을 자동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선루프 플러시 조정 설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바디의 평행도가 일정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선루프의 플러시가 바디의 평행도에 맞게 설정되어 플러시가 조정되도록 할 수 있는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는, 차량의 바디루프에 장착되는 선루프의 플러시를 조정하는 장치로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며, 상기 차량의 바디루프에 밀착되어 상기 바디루프와 상기 바디부간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며, 상기 선루프에 부착되어 상기 선루프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조절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며, 상기 조절부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상기 선루프를 스토핑하는 스토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며, 상기 바디루프에 밀착되어 상기 차량에 대하여 상기 바디부를 정렬시키는 제2 가이드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에는 상기 바디루프의 양단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하는 한 쌍의 패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들은 상기 바디루프 및 상기 한 쌍의 패널에 밀착되어 상기 차량에 대하여 상기 바디부를 정렬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부들은 상기 바디루프와 상기 한 쌍의 패널이 이루는 양측 모서리에 밀착되어 상기 차량에 대하여 상기 바디부를 정렬시킬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힌지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해 기울어짐 운동 가능한 제2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볼스크루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 상기 조절부 및 상기 스토핑부는 상기 제2 바디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바디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부착 패드, 및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부착 패드가 상기 선루프의 글라스에 부착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압축 동작에 따라 상기 선루프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는 하단에 접촉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 패드가 상기 바디루프에 면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바디루프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선루프의 윗면이 상기 스토핑부의 하단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선루프를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본 기술은 차량 바디의 좌우나 상하로 위치 변동이 수반되는 상황에서도 선루프의 플러시가 바디의 평행도에 맞게 설정되어 플러시 조정이 자동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차량에 장착된 선루프와 바디루프 사이의 갭을 최소화하여 차량 운행시 발생하는 풍절음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a는 선루프 장착을 위해 작업대 위에 놓여진 차량의 y방향으로의 위치 변동이 발생하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선루프 장착을 위해 작업대 위에 놓여진 차량의 z방향으로의 위치 변동이 발생하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선루프의 장착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로 차량이 진입한 상태에 관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선루프의 장착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로 차량이 진입한 상태에 관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의 제2 가이드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의 제1 가이드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제1 가이드부가 바디루프로 안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 5b는 제1 가이드부가 바디루프로 안착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a의 B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의 조절부와 스토핑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선루프를 차량의 바디루프에 장착하는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선루프의 장착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100)로 차량이 진입한 상태에 관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선루프의 장착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100)로 차량이 진입한 상태에 관한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100)(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플러시 조정 장치'라 함)는 바디부(110), 제1 가이드부(120), 조절부(130), 스토핑부(140) 및 제2 가이드부(150)를 포함한다.
바디부(110)는 플러시 조정 장치(100)의 몸체 또는 베이스가 되는 부분이다. 바디부(110)에 후술하는 제1 가이드부(120), 조절부(130), 스토핑부(140) 및 제2 가이드부(150)가 연결된다.
바디부(110)의 아래로 진입한 차량(10)의 루프에 선루프(30)를 장착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루프의 플러시가 조정된다.
바디부(110)는 차량(10)의 루프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로드들(101)을 통하여 공장 내 천장에 매달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부(110)는 공장 내 벽면으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뻗어나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어느 경우나, 바디부(110)가 차량(10)의 루프 위 공간에 배치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로드들(101)을 이용한 경우를 가정한다.
바디부(110)에 연결된 제1 가이드부(120), 조절부(130), 스토핑부(140) 및 제2 가이드부(150)가 차량(10) 위에서 하방으로 선루프(30)를 향해 진입하여 플러시를 자동적으로 조정한다.
바디부(110)는 제1 바디부(112), 제2 바디부(114) 및 힌지부(116)를 포함한다. 제1 바디부(112)에 제2 가이드부(150)가 연결되고, 제2 바디부(114)에 제1 가이드부(120), 조절부(130) 및 스토핑부(140)가 연결된다. 제1 바디부(112)는 제2 바디부(114)에 대해 고정형 구조를 갖는다. 제2 바디부(114)는 제1 바디부(112)에 대해 기울어짐 운동 가능하도록 제1 바디부(112)와 힌지부(116)를 통해 연결된다. 보다 상세한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선루프(30)는 차량의 바디루프(14)에 장착될 수 있다. 바디루프(14)는 차량(10)의 바디(12) 중에서 루프에 해당하는 부분일 수 있다. 한편, 루프에는 선루프의 장착을 위한 개구(도 1 참조, 도면부호 O로 표기됨)가 형성될 수 있다.
선루프(30)는 글라스(3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선루프(30)가 바디루프(14)에 장착되면 글라스(32)와 개구(O)를 통하여 차량 내부가 채광된다.
선루프(30)는 플러시 조정 전 차량의 바디루프(14)에 미리 놓여져 있을 수 있다. 즉, 선루프(30)는 차량의 바디루프에 장착되기 전의 대기 상태로서 플러시 조정을 위해 바디루프에 미리 놓여져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루프(14)에는 바디루프(14)로부터 개구(O) 내로 연장 형성된 테라스부(도 7 참조, 도면부호 16으로 표기됨)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루프(14)의 둘레를 따라 개구(O) 내로 돌출된 테라스부(16)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테라스부(16)에 선루프(30)가 미리 놓여져 있을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기 상태로서 테라스부에 놓여져 있는 선루프를 조절부(130)가 특정 위치로 들어올려줌으로써 플러시가 조정되고, 그후 작업자는 플러시 조정된 장착 위치에서 선루프를 바디루프에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루프는 플러시 조정 전 별도의 공간에 위치하다가 플러시 조정시에 바디루프로 직접 제공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루프는 바디루프의 테라스부에 미리 대기 상태로 놓여져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조절부(130)에 의해 선루프(30)가 들어올려지므로, 플러시 조정 장치(100)는 선루프(30)의 자중을 지지할 수 있는 견고한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디부, 제1 가이드부, 조절부, 스토핑부 및 제2 가이드부는 모두 견고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시 조정 장치는 스틸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시 조정 장치는 차량 바디의 위치 변동에 순응하여 함께 위치 변동되므로,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었을 때, 플러시 조정 장치가 자중에 의한 중력 방향으로 쳐지지 않고, 차량 바디와 함께 변위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선루프의 플러시 조정이 자동적으로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시 조정 장치(100)는, 선루프(30) 장착을 위해 작업대(일례로 대차, 도 1b의 도면부호 20)에 놓여지는 차량(10)의 위치 변동에 순응하는 선루프 플러시 조정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차(20) 위에 놓여진 차량(10)의 진입 방향을 x방향이라고 할 때, 차량 바디(12)의 y방향으로의 위치 변동과, z방향으로의 위치 변동이 발생하면, 플러시 조정 장치(100)는 이러한 위치 변동에 순응하여 함께 위치 변동될 수 있다. 즉, 차량 바디의 변위에 상응하여 플러시 조정 장치도 함께 변위된다. 따라서, 차량 바디의 위치 변동에 순응하여 함께 위치 변동된 상태로서 선루프의 플러시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선루프는 바디루프의 정위치에 보다 견고하고 평탄하게 장착될 수 있고, 선루프와 바디루프간에 갭이 최소화되어 선루프 장착 후 풍절음도 예방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시 조정 장치(100)가 선루프의 플러시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제1 가이드부는 바디부를 차량의 위치 변동(특히, z방향으로의 변위)에 맞게 정렬시킬 수 있고, 제2 가이드부는 바디부를 차량의 위치 변동(특히, x방향 및 y방향으로의 변위)에 맞게 정렬시킬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가이드부보다 제2 가이드부를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시 조정 장치(100)의 제2 가이드부(150)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플러시 조정 장치에 대해 정면도가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시 조정 장치(100)는 제2 가이드부(150)를 포함한다.
제2 가이드부(150)는 플러시 조정 장치의 양측에 하나씩 마련된다. 좌측에 제2 가이드부(150a)가 마련되고, 우측에 제2 가이드부(150b)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바디부(112)의 좌측에 제2 가이드부(150a)가 마련되고, 제1 바디부(112)의 우측에 제2 가이드부(150b)가 마련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바디부(112)는 제2 바디부(114)에 비해 고정형이다. 제2 가이드부들(150a, 150b)은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두 개의 제2 가이드부들(150a, 150b)은 차량(10)의 바디(12)의 스케일에 맞도록 서로 일정 거리(d1) 이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이드부들(150a, 150b)은 차량의 바디루프(14) 양단의 거리에 상응하는 거리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루프(14)의 양단으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뻗어져 나오는 한 쌍의 패널(18)(일례로, A필러 패널들) 사이의 거리에 상응하는 거리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바디루프(14)의 양단과 한 쌍의 패널(18)이 이루는 양측 모서리(도 3 참조, 도면부호 C로 표기됨) 사이의 거리에 상응하는 거리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만약에 차량(10)이 소형인 경우에는 제2 가이드부들간 이격 거리도 작을 수 있고, 차량이 대형인 경우에는 제2 가이드부들간 이격 거리도 커질 수 있다. 선루프가 장착되는 차량에 맞는 설정값이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입력되고 그 설정값에 따라 제2 가이드부들간 이격 거리(d2)가 제어부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이드부들(150a, 150b)은 바디루프(14)와 한 쌍의 패널(18)이 이루는 양측 모서리(C)에 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2 가이드부들은 일정 거리(d1)로 서로 이격되어 있어서 양측 모서리(C)에 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가이드부들(150a, 150b)은 차량의 바디루프(14) 위에 배치되어 있다가, 플러시 조정 장치(100)의 하강에 따라 함께 하강하여 차량의 바디(12)를 일정 깊이까지 관통하고, 이에 따라, 제2 가이드부들(150a, 150b)은 양측 모서리(C)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들(150a, 150b)이 양측 모서리(C)에 밀착된다는 것은 제1 바디부(112)가 차량의 위치 변동에 맞게 정렬됨을 의미한다.
이때, 플러시 조정 장치(100)의 하강을 위해, 제1 바디부(112)의 상부에는 별도의 액추에이터(102)가 구비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02)가 하강 운동함에 따라 제1 바디부(112)가 하강하여 제2 가이드부들은 차량의 바디를 일정 깊이까지 관통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들(150a, 150b)이 양측 모서리(C)에 더욱 밀착될 수 있도록, 제2 가이드부들(150a, 150b)은 제1 바디부(112)의 xy평면을 따른 회전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차량의 바디가 y방향으로 틀어진 만큼 제2 가이드부들도 y방향으로 틀어질 수 있도록 제1 바디부와 함께 xy평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바디부에 제2 가이드부들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바디부의 회전이 가능하면 제2 가이드부들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 바디부(112)에는 별도의 회전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재(미도시)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부들(150a, 150b)이 양측 모서리(C)에 더욱 밀착될 수 있도록, 제2 가이드부들(150a, 150b)은 제1 바디부(112)의 x방향으로 전진/후진 이동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차량의 바디가 x방향으로 덜 진입하거나 더 진입한 경우, 제1 바디부와 함께 x방향으로 전진/후진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바디부에 제2 가이드부들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바디부의 전진/후진 이동이 가능하면 제2 가이드부들도 함께 전진/후진 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 바디부(112)에는 별도의 슬라이딩 이동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딩 이동 부재(미도시)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가이드부들(150a, 150b)이 양측 모서리(C)에 밀착되도록 양측 모서리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제1 바디부(112)가 차량(10)의 위치 변동에 맞게 정렬된다. 제2 가이드부들(150a, 150b)이 양측 모서리(C)를 찾아가는 과정은 제1 바디부(112)의 하강, 회전 및 전진/후진 이동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가이드부들에 의해 제1 바디부가 차량의 위치 변동에 맞게 동기화된다. 제1 바디부가 동기화되면 결국 플러시 조정 장치가 동기화된다.
따라서, 차량(10)이 대차(20)에 올려질 때 위치 변동이 발생하더라도 플러시 조정 장치(100)는 제2 가이드부들(150a, 150b)의 가이드에 따라 차량(10)의 위치 변동에 맞게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대차의 진행 방향(x방향)을 축으로 y방향으로 +5° 기울어진 상태로 놓여진 경우, 플러시 조정 장치의 하강에 따라 바디를 관통하면서 양측 모서리(C)에 밀착되는 제2 가이드부들(150a, 150b)의 가이드에 따라 플러시 조정 장치(100)도 x방향을 축으로 y방향으로 +5° 기울어질 수 있다. 결국, 차량의 y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대응하여 플러시 조정 장치도 y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이에 차량의 y방향으로의 위치 변동이 보정된다.
한편, 제2 가이드부들(150a, 150b)은 설정된 값에 따른 이격 거리(d1)로 미리 고정된 상태로 존재할 수도 있고, 좁혀져 있다가 플러시 조정 장치와 함께 하강할 때 또는 하강 직후 설정값에 따른 이격 거리(d1)로 벌어질 수도 있다. 제2 가이드부들이 좁혀지고 벌어질 수 있도록 제2 가이드부들(150a, 150b)은 액추에이터들(154a, 154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들은 피스톤과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액추에이터들(154a, 154b)의 압축시 제2 가이드부들은 좁혀지고, 액추에이터들(154a, 154b)의 팽창시 제2 가이드부들은 벌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가이드부들(150a, 150b)은 롤 부재(152a, 152b)를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제2 가이드부들(150a, 150b)이 양측 모서리(C)에 밀착된다는 것은 롤 부재들(152a, 152b) 각각의 외주면들이 양측 모서리(C)에 접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시 조정 장치(100)의 제1 가이드부(120)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플러시 조정 장치에 대해 정면도가 도시된다. 후술하는 힌지구조가 보여지도록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5a는 제1 가이드부가 바디루프로 안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 5b는 제1 가이드부가 바디루프로 안착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시 조정 장치(100)는 제1 가이드부(120)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부(120)는 플러시 조정 장치(100)의 양측에 하나씩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부(120)는 바디부(110)에 구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바디부(114)의 좌측에 제1 가이드부(120a)가 구비되고, 제2 바디부(114)의 우측에 제1 가이드부(120b)가 구비된다. 제1 가이드부들(120a, 120b)은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부들(120a, 120b)은 제2 바디부(114)에 연결되어 있다. 제1 가이드부들(120a, 120b)은 제2 바디부(11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바디부(114)의 기울어짐에 순응하여 제1 가이드부들(120a, 120b)도 기울어져야 하므로, 제1 가이드부들(120a, 120b)은 견고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들(120a, 120b)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바, 하나의 제1 가이드부(120a)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제1 가이드부(120a)는 제2 바디부(11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기둥부(122) 및 기둥부(122)의 하단에 형성되는 안착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24)의 하단에는 안착부와 바디루프간 안정적인 접촉을 지원하는 접촉 패드(126)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 패드(126)는 바디루프(14)에 면접촉할 수 있고, 따라서, 제1 가이드부(120a)는 바디루프(14)에 안착될 수 있다. 반대쪽의 제1 가이드부(120b) 또한 이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바디루프(14)에 안착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제1 가이드부들(120a, 120b)이 차량(10)의 바디루프(14)에 안착된다. 제1 가이드부들의 바디루프로의 안착에 따라, 플러시 조정 장치는 차량의 기울어짐에 맞게 정렬될 수 있다.
기둥부(122)와 안착부(124)는 제2 바디부가 기울어졌을 때 그에 따라 기울어질 수 있도록 스틸,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견고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패드부(126)는 안착부와 바디루프간 밀착을 위해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10)는 제1 바디부(112), 제2 바디부(114) 및 힌지부(116)를 포함한다.
제1 바디부(112)는 후술하는 제2 바디부(114)에 대해 고정형 구조를 갖는다.
제1 바디부(112)는 그 상부로 로드들(도 2 참조, 도면부호 101) 및 액추에이터(도 2 참조, 도면부호 102)가 연결될 수 있다. 로드들(101)은 바디부(110)를 공장 내 천장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액추에이터(102)는 플러시 조정 장치(100)의 승강 및 하강을 담당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제2 바디부(114)는 제1 바디부(112)에 대해 기울어짐 운동 가능하도록 제1 바디부(112)와 연결된다. 기울어짐 방향은 y방향을 축으로 ±z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바디부(114)는 힌지부(116)를 통해 제1 바디부(112)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힌지부(116)는 제1 바디부에 대해 제2 바디부의 기울어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볼스크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에 볼스크루 구조가 도시된다.
도 6은 도 5의 B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부(112)에 홈(h1)이 형성되고, 제1 바디부와 마주하는 제2 바디부(114)에도 홈(h2)이 형성되며, 홈들(h1, h2) 사이에 볼 부재(B)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볼 부재(B)와 홈들(h1, h2)을 통하여 제2 바디부는 제1 바디부에 대해 y방향을 축으로 ±z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힌지부(116)는 기울어진 제2 바디부(144)를 지지하는 하부 받침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부 받침대 구조는 도 5에 도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바디부(112)의 하단에는 xy평면 방향으로 놓여지는 지지대(S)가 형성된다. 지지대(S)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부(114)의 바닥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부가 기울어질 때 일정 각도 이상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지지 않도록 제2 바디부의 바닥면을 지지한다.
상술한 힌지부(116)의 볼스크루 구조와 하부 받침대 구조를 통하여, 제2 바디부(114)는 제1 바디부(112)에 대해 기울어짐 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10)이 대차(20)에 올려질 때 위치 변동(일례로, z방향으로의 위치 변동)이 발생하더라도 플러시 조정 장치(100)는 제1 가이드부(120a, 120b)의 가이드에 따라 차량(10)의 위치 변동에 맞게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대차에 y방향을 축으로 z방향으로 +3° 기울어진 상태로 놓여진 경우, 바디부(110)의 하강에 따라 차량의 바디루프(14)에 밀착되는 제1 가이드부들(120a, 120b)의 가이드에 따라 플러시 조정 장치(100)도 y방향을 축으로 z방향으로 +3° 기울어질 수 있다. 결국, z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대응하여 플러시 조정 장치도 z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이에 차량의 z방향으로의 위치 변동이 보정된다.
즉, 차량이 z방향으로 틀어져 있는 경우, 제1 가이드부들(120a, 120b)의 가이드에 의해 제2 바디부(114)도 같이 틀어지고, 제2 바디부(114)에는 선루프(30)를 흡착하여 특정 위치로 들어올리는 조절부(130)와 스토핑부(140)가 고정 부착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틀어진 방향에 맞추어 틀어진 상태에서 선루프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위치 변동을 상쇄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바디부의 하강에는 상술한 액추에이터(도 2 참조, 도면부호 102)가 관여할 수 있다.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부의 가이드를 통하여 차량의 위치 변동(예를 들어, x방향 및 y방향으로의 변위)에 순응하여 제1 바디부가 정렬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의 가이드를 통하여 차량의 위치 변동(예를 들어, z방향으로의 변위)에 순응하여 제2 바디부가 정렬된다. 결과적으로, 바디부가 차량의 위치 변동에 맞게 동기화된다.
그리고 동기화된 제2 바디부에는 선루프를 흡착하여 장착 위치로 들어올리는 조절부와 스토핑부가 고정 부착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위치 변동에 동기화된 상태로서 선루프의 플러시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시 조정 장치의 조절부(130)와 스토핑부(140)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플러시 조정 장치에 대해 측면도가 도시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시 조정 장치(100)는 조절부(130) 및 스토핑부(140)를 포함한다.
조절부(130)는 제2 바디부(11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한다.
조절부(130)는 선루프(30)의 글라스(32)에 부착되어 선루프(30)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조절부에 부착되기 전, 선루프는 대기 상태로 차량의 바디루프로부터 연장 형성된 테라스부(16)에 미리 놓여져 있을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조절부(130)에 의해 선루프(30)가 들어올려지므로, 조절부(130)는 선루프의 자중을 지지할 수 있는 견고한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10)의 위치 변동에 순응하여 제2 바디부(114)가 정렬되었을 때, 제2 바디부에 연결된 조절부(130)도 함께 위치 정렬되어야 하므로, 자중에 의해 쳐지지 않고 변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부(130)는 견고한 구조물로 형성됨으로써 제2 바디부에 고정 부착될 수 있다.
조절부(130)는 기둥부(132), 기둥부의 일단에 형성된 부착부(134), 기둥부의 타단에 형성된 액추에이터(136) 및 부착부(134)의 단부에 형성된 부착 패드(138)를 포함한다.
대기 상태로 테라스부(16)에 놓여져 있는 선루프(30)의 글라스(32)에 부착 패드(138)가 부착된다. 부착 패드(138)는 진공 흡착 패드일 수 있다. 따라서, 부착 패드(138)에 선루프 글라스(32)가 진공 흡착될 수 있다.
한편, 부착부(134)에 선루프를 부착하기 위하여 플러시 조정 장치(100)가 하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바디부(112)는 그 상부로 로드들(도 2 참조, 도면부호 101) 및 액추에이터(도 2 참조, 도면부호 102)가 연결될 수 있으므로, 플러시 조정 장치(100)는 차량의 루프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부착 패드(138)를 통해 부착부(134)에 선루프(30)가 부착된 후, 액추에이터(136)의 압축 동작에 따라 선루프(30)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이때, 제1 가이드부(120) 및 제2 가이드부(150)에 의한 동기화는 계속 유지되어야 하므로, 선루프(30)의 상승은 액추에이터(136)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즉, 선루프(30)의 상승에 바디부(110)는 관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선루프(30)는 차량 바디(12)의 변위(상하 좌우 위치 변동)에 동기화된 상태에서 상부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선루프(30)의 상승 높이는 스토핑부(140)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스토핑부(140)는 제2 바디부(11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한다.
스토핑부(140)는 조절부(130)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선루프(30)를 스토핑한다.
선루프 스토핑 위치는 바디루프에 대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루프의 최상부면이 바디루프의 최상부면보다 수십~수백 밀리미터 범위 내에서 높거나 낮게 위치하도록 선루프 스토핑 위치가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이드부(120)의 총 연장거리가 d2인 경우, 스토핑부(140)의 총 연장거리 d3은 d2에 대해 수십~수백 밀리미터 작거나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d3>d2인 경우가 도시되며, 따라서 선루프(30)는 바디루프(14)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서 스토핑될 수 있다.
조절부(130)에 의한 선루프(30) 상승은 선루프(30)의 최상부면이 스토핑부(140)의 하단에 닿을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핑부(140)는 상승하는 선루프(30)를 스토핑할 수 있도록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10)의 위치 변동에 순응하여 제2 바디부(114)가 정렬되었을 때, 제2 바디부(114)에 연결된 스토핑부(140)도 함께 정렬되어야 하므로, 가중에 의해 쳐지지 않고 변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토핑부(140)는 견고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제2 바디부에 고정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핑부(140)는 기둥부(142) 및 스토퍼(144)를 포함한다. 기둥부(142)가 제2 바디부(11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며, 스토퍼(144)가 기둥부(142)의 일단에 형성된다.
기둥부(142)는 스틸,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등의 재질일 수 있다. 선루프에 직접 닿는 스토퍼(144)의 일부분은 선루프에 손상을 유발하지 않도록 고무 등의 재질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절부(130)에 흡착된 선루프(30)는 스토핑부(140)에 의해 닿을 때까지 상승됨으로써 플러시 조정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위치 변동에 순응하여 바디부(110)가 정렬되어 있으므로, 선루프(30)는 차량의 위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플러시 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120)와 제2 가이드부(150)가 차량의 위치 변동에 맞게 바디부(110)를 정렬하고, 이러한 정렬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조절부(130)와 스토핑부(140)가 선루프(30)를 특정 위치까지 상부로 들어올리므로, 차량 바디의 좌우 상하 위치 변동이 수반되는 여러 상황에서도 선루프의 플러시 조정이 자동적으로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시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선루프를 차량의 바디루프에 장착하는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다.
먼저, 차량(10)이 작업대(일례로, 대차(20))에 놓여져 선루프(30) 장착을 위해 x방향으로 진입한다. 플러시 조정 장치(100)가 차량의 루프 위에 배치된다.
선루프의 플러시 조정을 위해 플러시 조정 장치(100)가 하강한다(1차 하강).
1차 하강을 위해, 제1 바디부(112)의 상부로 연결된 로드들(101) 및 액추에이터(102)가 관여할 수 있다.
1차 하강시, 제2 가이드부(150)에 의해 제1 바디부(112)는 차량의 위치 변동에 맞게 정렬된다. 제2 가이드부(150)에 의해 제1 바디부(112)는 차량의 위치 변동에 동기화된다. 이때 차량의 위치 변동은 차량의 x방향 및/또는 y방향으로의 위치 변동일 수 있다.
선루프의 플러시 조정을 위해 플러시 조정 장치(100)가 다시 하강한다(2차 하강).
2차 하강을 위해, 1차 하강시와 동일하게 제1 바디부(112)의 상부로 연결된 로드들(101) 및 액추에이터(102)가 관여할 수 있다.
2차 하강시, 제1 가이드부(120)에 의해 제2 바디부(114)가 차량의 위치 변동에 맞게 정렬된다. 제1 가이드부(120)에 의해 제2 바디부(114)는 차량의 위치 변동에 동기화된다. 이때 차량의 위치 변동은 차량의 z방향으로의 위치 변동일 수 있다.
2차 하강은 제1 가이드부들(120)이 차량의 바디루프(14)에 밀착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제1 가이드부들은 자중에 의한 처짐 없이 제2 바디부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제1 가이드부들에 의해 바디루프와 바디부간 일정 거리가 유지된다.
다음으로, 조절부(130)가 하강하여, 선루프(30)를 흡착 후 상승한다.
이때,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에 의한 동기화는 계속 유지되어야 하므로, 조절부의 액추에이터만이 선루프의 상승에 관여한다.
조절부에 의한 선루프 상승은 선루프가 스토핑부(140)에 의해 스토핑될 때까지 수행된다.
이로써, 차량의 위치 변동이 수반되는 상황에서도 선루프의 플러시 조정이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선루프의 플러시가 조정되었으므로, 해당 위치에서(일례로, 스토핑부에 의해 선루프 상승이 멈춰진 위치에서) 작업자는 선루프(30)를 바디루프(14) 정위치에 장착한다.
선루프 장착이 완료되면, 조절부의 선루프 흡착 해제 및 조절부의 액추에이터 상승이 이루어지고, 그후 플러시 조정 장치는 상승하여 원상태로 복귀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루프 장착시 차량 바디의 좌우나 상하로 위치 변동이 수반되는 여러 상황에서도 선루프의 플러시 조절을 자동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또한 차량에 장착된 선루프와 바디루프 사이의 갭을 최소화하여 차량 운행시 발생하는 풍절음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12 : 차량, 바디
14 : 바디루프
16 : 테라스부
18 : 한 쌍의 패널
20 : 대차
30, 32 : 선루프, 글라스
100 :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
101 : 로드들
102 : 액추에이터
110 : 바디부
112 : 제1 바디부
114 : 제2 바디부
116 : 힌지부
120 : 제1 가이드부
122 : 기둥부
124 : 안착부
126 : 패드부
130 : 조절부
132 : 기둥부
134 : 부착부
136 : 액추에이터
138 : 부착 패드
140 : 스토핑부
142 : 기둥부
144 : 스토퍼
150 : 제2 가이드부
152 : 롤 부재
154 : 액추에이터

Claims (4)

  1. 차량의 바디루프에 장착되는 선루프의 플러시를 조정하는 장치로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며, 상기 차량의 바디루프에 밀착되어 상기 바디루프와 상기 바디부간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며, 상기 선루프에 부착되어 상기 선루프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조절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며, 상기 조절부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상기 선루프를 스토핑하는 스토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며, 상기 바디루프에 밀착되어 상기 차량에 대하여 상기 바디부를 정렬시키는 제2 가이드부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차량에는 상기 바디루프의 양단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하는 한 쌍의 패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들은 상기 바디루프와 상기 한 쌍의 패널이 이루는 양측 모서리에 밀착되어 상기 차량에 대하여 상기 바디부를 정렬시키며,
    상기 바디부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힌지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 바디부에 대해 기울어짐 운동 가능한 제2 바디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이드부, 상기 조절부 및 상기 스토핑부는 상기 제2 바디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바디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08432A 2017-08-28 2017-08-28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 KR102445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432A KR102445090B1 (ko) 2017-08-28 2017-08-28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432A KR102445090B1 (ko) 2017-08-28 2017-08-28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142A KR20190023142A (ko) 2019-03-08
KR102445090B1 true KR102445090B1 (ko) 2022-09-19

Family

ID=6580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432A KR102445090B1 (ko) 2017-08-28 2017-08-28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0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919B1 (ko) * 2013-06-14 2014-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글라스 장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174B1 (ko) * 2007-12-12 2013-09-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선루프 위치 조절장치
KR101382462B1 (ko) * 2008-05-07 2014-04-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파노라마 선루프 장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919B1 (ko) * 2013-06-14 2014-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글라스 장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142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140B1 (ko) 곡면 필름 롤 라미네이팅 장치
KR101241178B1 (ko) 자동 프레스 가공시스템용 센터링 적재장치
KR101807497B1 (ko) 글래스 패널용 흡착장치
KR100839503B1 (ko) 인라인 버퍼장치
KR102445090B1 (ko) 차량의 선루프 플러시 조정 장치
CN213170314U (zh) 一种吸盘摆动机构
KR101684360B1 (ko) 열진공챔버의 시편 반입리프트용 처짐보정 치구
KR20140018405A (ko) 승강 장치
CN213398658U (zh) 用于面板的对准装置
CN110850702A (zh) 手表镜片检测机
JP2009206315A (ja) テーブルへの基板搭載装置
TWI729819B (zh) 貼合裝置及貼合方法
KR20110054282A (ko) 섀시 자동 마킹장치
CN211319004U (zh) 手表镜片检测机
CN211812257U (zh) 一种检测设备可调节吸取装置
US20200290823A1 (en) Wall panel inverter and prefabrication method
WO2021101678A1 (en) Devices, assemblie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sheets of brittle material
KR20150051584A (ko) 수평 유지 장치
CN215112221U (zh) 一种可调节led灯位置的固定架
CN106166051A (zh) 一种智能直线行走机器人
KR100358704B1 (ko) 액정디스플레이패널 검사장치의 패널공급장치
CN217059762U (zh) 一种建筑板材强度检测用的落锤检测设备
CN216082057U (zh) 一种移动组件
CN218918832U (zh) 承载装置及检测设备
KR20210084098A (ko) 반송 리프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