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44944B1 - Foaming and calming method of discharged slag and refining equipment used therefor - Google Patents

Foaming and calming method of discharged slag and refining equipment use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944B1
KR102444944B1 KR1020207023014A KR20207023014A KR102444944B1 KR 102444944 B1 KR102444944 B1 KR 102444944B1 KR 1020207023014 A KR1020207023014 A KR 1020207023014A KR 20207023014 A KR20207023014 A KR 20207023014A KR 102444944 B1 KR102444944 B1 KR 102444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foaming
discharged
viscosity reducing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30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05923A (en
Inventor
겐이치로 나이토
아키히로 마츠자와
다카오 나카기리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5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9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9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30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blowing
    • C21C5/32Blowing from abov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06Lances or inj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36Processes yielding slags of special composition
    • C21C2005/366Foam sl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정련 반응 용기로부터 슬래그 수용 용기로의 슬래그 배출 시에 배출 슬래그의 포밍을 진정하는 방법이며, 포밍 진정제로서 점도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을 상기 슬래그 수용 용기에 배출한 슬래그의 상면 표층부에 체류하도록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It is a method for calming the foaming of discharged slag when discharging slag from the refining reaction vessel to the slag receiving vessel, and adding a substance having a viscosity reducing effect as a foaming calming agent so as to stay in the upper surface layer of the slag discharged to the slag receiving vessel Foaming calming method of discharged slag, characterized.

Description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 및 이것에 이용되는 정련 설비Foaming and calming method of discharged slag and refining equipment used therefor

본 개시는,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 즉, 전로 등의 정련 반응 용기로부터 슬래그 수용 용기로의 슬래그 배출 시에 배출 슬래그의 포밍을 진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of calming the foaming of discharged slag, that is, a method of calming the foaming of discharged slag upon discharge of the slag from a refining reaction vessel such as a converter to a slag receiving vessel.

전로에서의 용선의 탈규 또는 탈인 처리 후에 전로를 틸팅시킴으로써 용철을 전로 내에 남긴 채 노구로부터 슬래그의 일부를 하방에 배치한 슬래그 배출 레이들에 유하시켜 슬래그 배출하고, 그 후 다시 전로를 직립시켜 생석회(주성분은 CaO) 등의 부원료를 첨가하여, 계속해서 정련을 행하는 방법이 있다.After desiliconization or dephosphorization of molten iron in the converter, by tilting the converter, a part of the slag from the furnace is discharged from the furnace while leaving the molten iron in the converter, and the slag is discharged by flowing into the slag discharge ladle arranged below. As the main component, there is a method of continuously refining by adding auxiliary materials such as CaO).

이 방법에서는, 전로 내에서 슬래그를 포밍(거품 발생)시켜 슬래그의 부피 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슬래그를 배출하기 쉽게 하여, 슬래그 배출량을 확보하고 있다. 여기서, 슬래그의 포밍은, 용철 중의 탄소(C)와 슬래그 중의 산화철(FeO)의 반응에 의해, 일산화탄소(CO) 가스가 생성되고, 그 CO 가스가 슬래그에 유지됨으로써 발생한다.In this method, the slag is easily discharged by forming (bubbling) the slag in the converter to increase the volumetric volume of the slag, thereby securing the slag discharge. Here, the foaming of the slag occurs when carbon (C) in molten iron and iron oxide (FeO) in the slag react to generate carbon monoxide (CO) gas, and the CO gas is held in the slag.

한편, 슬래그를 수용하는 측의 슬래그 배출 레이들에서는 포밍한 슬래그가 슬래그 배출 레이들의 용량을 초과해 넘쳐 버리는 경우가 있다. 슬래그가 넘치면, 설비 손상, 조업 장해 등의 트러블을 초래하기 때문에, 슬래그가 넘치지 않도록 슬래그 배출 레이들 내의 포밍 진정을 기다리게 되어, 전로의 틸팅 속도, 즉 슬래그 배출 속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포밍 진정이 문제가 되어 슬래그 배출 속도를 저하시킬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면, 슬래그 배출 시간의 장기화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그 동안에 전로 내의 슬래그의 포밍이 진정되어 벌크 체적이 감소하기 때문에, 슬래그 배출성이 악화되고, 그것에 의해, 후속 공정의 탈인 또는 탈탄 처리에 반입되는 슬래그량이 증가되어, 복린, 슬로핑(용철이나 슬래그의 액 덩어리가 전로의 노구로부터 노외로 튀어나오는 것)의 발생으로 이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slag discharge ladle of the side which accommodates slag, the formed slag may overflow exceeding the capacity|capacitance of a slag discharge ladle. When the slag overflows, it causes troubles such as equipment damage and operation failure, so that the foaming calm in the slag discharge ladle is waiting so that the slag does not overflow, and the tilting speed of the converter, that is, the slag discharge speed is reduced. If the foaming subsidence becomes a problem and there is no choice but to reduce the slag discharge rate, it causes a decrease in productivity due to the prolonged slag discharge time. In addition, since the forming of slag in the converter is calmed down in the meantime and the bulk volume is reduced, the slag discharge property is deteriorated,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slag carried in to the dephosphorization or decarburization treatment in the subsequent step, compound phosphorus, sloping (molten iron) or the liquid mass of the slag protrudes from the furnace furnace of the converter to the outside of the furnace).

그래서, 포밍한 슬래그의 슬래그 배출 레이들로부터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서, 슬래그 배출 레이들의 용량을 확대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전로 노 아래 스페이스나 슬래그 배출 레이들의 운반 등의 제약에 의해, 슬래그 배출 레이들의 용량 확대에 한계가 있음과 함께, 슬래그 배출 레이들의 기수가 많은 경우에는, 설비 투자가 막대해지는등의 과제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overflow of the foamed slag from the slag discharge ladle,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in the prior art. As the simplest method, there is a method of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slag discharge ladle.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capacity expansion of the slag discharging ladle due to restrictions such as the space under the converter furnace and the transport of the slag discharging ladle, and when the number of slag discharging ladles is large, there are problems such as a huge facility investment. have.

그래서, 포밍 진정제를 슬래그 배출 레이들 내에 투입하여, 포밍을 진정하는 방법이 특허문헌 1, 2, 3에 개시되어 있다. 포밍 진정재로서는, 열분해성 물질(펄프 찌꺼기, 플라스틱 등의 유기물, 엔진 오일 등의 유분, 수분 등)에, 비중 조정재(슬래그 등)를 첨가한 것이 사용되고, 각각에, 진정제를 구성하는 물질과 그 배합 비율, 진정제의 사이즈, 비중, 투입 방법 등이 규정되어 있다. 이들은, 포밍한 슬래그의 내부에 잠입됨으로써 급격하게 가스를 발생시키는 물질이기 때문에, 그 가스 발생의 충격이 파포, 즉 진정에 기여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슬래그의 내부에 잠입시키기 위해서, 용기에 수납되거나, 브리킷 형상으로 성형되거나 하여, 덩어리 형상으로 투입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반응 계면적이 감소하여, 진정 효과가 낮거나, 변동이 크거나 하는 경우가 있어, 반드시 안정적으로 충분한 효과가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Then, by injecting a foaming sedative into the slag discharge ladle, a method of calming the foaming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1, 2, and 3. As the foaming calming material, a substance in which a specific gravity adjusting material (slag, etc.) is added to a thermally decomposable material (pulp residue, organic matter such as plastic, oil such as engine oil, moisture, etc.) is used, and each of the substances constituting the soothing agent and its The mixing ratio, the size of the sedative, the specific gravity, the method of injection, etc. are prescribed. Since these are substances that rapidly generate gas by infiltrating the inside of the foamed slag, the impact of the gas generation is considered to contribute to breakage, ie, calming. However, in order to make it infiltrate into the inside of slag, it is accommodated in a container, or it shape|molds in a briquette shape, and it inject|throws-in in lump shape in many cases. Therefore, the reaction interface area decreases, the sedative effect may be low or the fluctuation|variation may be large, and it cannot necessarily be said that there exists a stable enough effect.

또한, 토피도 카 등의 정련 반응 용기 내의 포밍 진정제로서, 탄재(코크스 등)를 분사하거나 혹은 불어 넣어 진정하는 방법이 특허문헌 4, 5, 6에 개시되어 있다. 탄재는, 슬래그와의 습윤성이 나쁘기 때문에, 기포 간의 액막을 파괴하여, 기포를 응집 합체시키는 작용이 있어, 진정에 기여한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한편, 탄재와 슬래그 중의 산화철이 반응하고, 포밍의 원인이 되는 CO 가스를 생성하기 때문에, 조건에 따라서는 효과가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s 4, 5, and 6 disclose methods of calming by spraying or blowing carbon material (coke, etc.) as a foaming sedative in a refining reaction vessel such as toffee car. Since carbon material has poor wettability with slag, it has an effect|action which destroys the liquid film between bubbles, and it aggregates and coalesces bubbles, and it is thought that it contributes to sedation.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carbon material and iron oxide in the slag react to generate CO gas that causes foaming, so that the effect may not be seen depending on the conditions.

그 밖에, 포밍이나 슬로핑의 진정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7에는 전로에 있어서 점도 조정제(형석 등)를 첨가하여 슬래그의 점도를 규정의 범위 내로 조정하는 방법, 특허문헌 8에는 용광로로부터 출선된 용선을 받으면서 탈규할 때 알칼리 금속 및/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의 화합물을 투입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은, 슬래그의 점도를 조정함으로써, 파포나 기포의 부상을 쉽게 하여, 진정에 기여한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슬래그의 점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다량의 진정제(점도 조정제)가 필요한 점, 또한, 점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슬래그 중의 물질 이동이 촉진되어, CO 가스 생성 속도가 증가하고, 반대로 포밍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는 등의 과제가 있다.In addition, as a soothing method for foaming or sloping, Patent Document 7 includes a method of adjusting the viscosity of slag within a prescribed range by adding a viscosity modifier (fluorite, etc.) in a converter, and Patent Document 8 discloses molten iron tapped from a blast furnace. A method of adding a compound of an alkali metal and/or an alkaline earth metal when desiliconizing while receiving is disclosed. By adjusting the viscosity of slag, it is thought that these make it easy to flotation of a breakage and a bubble, and contribute to sedation. However, in order to change the viscosity of the slag, a large amount of sedative (viscosity modifier) is required, and by reducing the viscosity, the movement of substances in the slag is accelerated, the rate of CO gas generation increases, and conversely, there are cases where the foaming increases. There are tasks such as

또한, 특허문헌 4 내지 8에 개시된 방법은, 어느 방법도 정련 반응 용기 내에 진정제를 첨가하는 방법이다. 정련 반응 용기 내에서는 벌크의 용철과 슬래그가 공존하고 있으며, 또한 슬래그 수용 용기 내에 비하여 교반이 강하기 때문에, 슬래그 수용 용기 내와는 상황이 크게 달라, 슬래그 수용 용기 내의 포밍 진정 수단으로서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정련 반응 용기 내에서는 교반이 강하기 때문에, 첨가한 진정제의 분산이 빠르게 진행되어, 진정 속도는 빠르다. 한편, 벌크의 용철과 슬래그가 접촉한 상태에서 교반되어 있기 때문에, 일단 진정 되었다고 해도, 진정제의 첨가를 정지한 시점에서 용철 중의 탄소와 슬래그 중의 산화철이 반응하여 발생한 CO 가스에 의해 다시 포밍이 발생해버리는 등, 상황이 크게 다르다.In addition, any method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4 to 8 is a method of adding a sedative to the refining reaction vessel. Bulk molten iron and slag coexist in the refining reaction vessel, and since the agitation is stronger than in the slag receiving vessel, the situation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the slag receiving vessel. none. For example, since the stirring is strong in the refining reaction vessel, the dispersion of the added sedative agent proceeds quickly, and the sedation rate is fast. On the other hand, since bulk molten iron and slag are stirr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even if it has calmed down once, when the addition of the sedative is stopped, the carbon in the molten iron reacts with the iron oxide in the slag. Throwing it away, things are very different.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55446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8-255446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70178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9-270178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87050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9-287050 일본 특허 공개 평4-180507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4-1850507 일본 특허 공개 평5-287348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5-287348 일본 특허 공개 평9-87719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9-87719 일본 특허 공개 소62-278213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62-278213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47425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147425

본 개시는, 종래 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전로 등의 정련 반응 용기로부터 슬래그 수용 용기로의 슬래그 배출 시에, 배출 슬래그의 포밍을 신속하고도 안정적으로 진정하고, 슬래그 수용 용기로부터의 슬래그 넘침을 방지함으로써, 설비 손상이나 조업 장해 등의 트러블을 회피함과 함께, 슬래그 배출 속도의 저하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나 슬래그 배출성의 악화를 방지하여, 효율이 높은 슬래그 배출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disclosure quickly and stably calms the foaming of discharged slag when discharging slag from a refining reaction vessel such as a converter to a slag accommodating vessel, and prevents slag overflow from the slag accommodating vessel By preventing it, while avoiding troubles, such as equipment damage and an operation disturbance, the fall of productivity accompanying a fall of a slag discharge rate, and deterioration of slag discharge property are prevented, and it aims at realizing slag discharge with high efficiency.

본원의 발명자들은, 전로 등의 정련 반응 용기로부터 슬래그 수용 용기로의 슬래그 배출 시에, 배출된 슬래그의 포밍을 신속하고도 안정적으로 진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예의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포밍 진정제로서 점도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을 슬래그 수용 용기에 배출한 슬래그의 상면 표층부에 체류하도록 첨가함으로써, 신속하게 포밍을 진정하는 것이 가능한 점, 나아가, 그것을 실시하기 위해서 적정한 조건을 알아내어, 본 개시를 완성시켰다. 본 개시의 요지로 하는 부분은 이하와 같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earnestly studied a method for rapidly and stably calming the foaming of the discharged slag when discharging slag from a refining reaction vessel such as a converter to a slag accommodating vessel. As a result, by adding a substance having a viscosity reducing effect as a foaming calming agent so as to remain in the upper surface layer of the slag discharged to the slag container, it is possible to quickly calm the foaming, furthermore, to find out the appropriate conditions for carrying out it , completed the present disclosure. The parts made into the summary of this indication are as follows.

(1)(One)

정련 반응 용기로부터 슬래그 수용 용기로의 슬래그 배출 시에 배출 슬래그의 포밍을 진정하는 방법이며,A method of calming the foaming of discharged slag when discharging slag from the refining reaction vessel to the slag receiving vessel,

포밍 진정제로서 점도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을 상기 슬래그 수용 용기에 배출한 슬래그의 상면 표층부에 체류하도록 첨가하는Adding a substance having a viscosity reducing effect as a foaming sedative to stay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g discharged to the slag container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Foaming calming method of discharged slag, characterized in that.

(2)(2)

점도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로서, 알칼리 금속의 화합물 혹은 알칼리 토류 금속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As a substance having a viscosity reducing effect, an alkali metal compound, an alkaline earth metal compound, or a mixture thereof is us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The foaming calming method of the discharged slag according to the above (1), characterized in that.

(3)(3)

점도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의 첨가량을 배출 슬래그량 1t에 대하여, 2㎏ 이상으로 하는The addition amount of the substance having the effect of reducing the viscosity is 2 kg or more with respect to 1 t of discharged slag.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The foaming calming method of the discharged slag according to the above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4)(4)

점도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의 입도가 10㎜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의 비율을 70질량% 이상으로 하는The ratio of the material having a viscosity reducing effect having a particle size in the range of 10 mm or less to 70% by mass or more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The foaming and calming method of the discharged slag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5)(5)

점도 저감 물질을 첨가하는 높이는, 상기 슬래그 수용 용기의 상단으로부터 3m 이하의 높이인The height at which the viscosity reducing material is added is a height of 3 m or less from the top of the slag accommodating container.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The foaming calming method of the discharged slag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 (1) to (4), characterized in that.

(6)(6)

점도 저감 물질을 첨가하는 높이는, 상기 정련 반응 용기의 측방에 마련된 작업대의 상기 슬래그 수용 용기의 상단으로부터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60% 이하의 높이인The height at which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is added is a height of 60% or less based on the height from the upper end of the slag accommodating vessel of the worktabl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efining reaction vessel.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The foaming calming method of the discharged slag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 (1) to (4), characterized in that.

(7)(7)

점도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을 첨가할 때, 활주 경사면을 갖는 가이드를 사용하는When adding a substance having a viscosity reducing effect, a guide having a sliding slope is us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The foaming calming method of the discharged slag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 (1) to (4), characterized in that.

(8)(8)

점도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을 첨가할 때, 활주 경사면을 갖는 가이드를 사용하고,When adding a substance having a viscosity reducing effect, a guide having a sliding slope is used,

상기 가이드의 하단의 높이는, 상기 슬래그 수용 용기의 상단으로부터 3m 이하의 높이인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guide is a height of 3 m or less from the upper end of the slag container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The foaming calming method of the discharged slag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 (1) to (4), characterized in that.

(9)(9)

점도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을 첨가할 때, 활주 경사면을 갖는 가이드를 사용하고,When adding a substance having a viscosity reducing effect, a guide having a sliding slope is used,

상기 가이드의 하단의 높이는, 상기 정련 반응 용기의 측방에 마련된 작업대의 상기 슬래그 수용 용기의 상단으로부터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60% 이하의 높이인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guide is 60% or less based on the height from the upper end of the slag accommodating vessel of the worktabl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efining reaction vessel.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The foaming calming method of the discharged slag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 (1) to (4), characterized in that.

(10)(10)

점도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을 첨가할 때, 첨가하는 점도 저감 물질의 80질량% 이상이 슬래그 낙하 위치 근방 이외에 첨가되도록, 슬래그 낙하 위치 근방을 피해서 첨가하는When adding a substance having a viscosity reducing effect, it is added while avoiding the vicinity of the slag dropping position so that 80% by mass or more of the added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is added outside the vicinity of the slag falling position.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The foaming calming method of the discharged slag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 (1) to (9), characterized in that.

(11)(11)

점도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을 첨가할 때, 캐리어 가스로 점도 저감 물질을 상면 표층부를 따르는 방향으로 분사하는When a material having a viscosity reducing effect is added, the viscosity reducing material is injected as a carrier gas in a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layer portion.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The foaming calming method of the discharged slag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 (1) to (4), characterized in that.

(12) 정련 반응 용기와, 상기 정련 반응 용기로부터 슬래그를 배출하는 슬래그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정련 설비이며,(12) a refining facility comprising a refining reaction vessel and a slag receiving vessel for discharging slag from the refining reaction vessel,

상기 슬래그 수용 용기에 배출된 슬래그의 상면 표층부에 체류하도록 포밍 진정제를 첨가하기 위한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Further comprising a guide for adding a foaming sedative to stay in the upper surface layer of the slag discharged to the slag receiving container,

상기 가이드는, 활주 경사면을 갖는The guide has a sliding slope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련 설비.Refining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13)(13)

상기 가이드의 하단의 높이는, 상기 정련 반응 용기의 측방에 마련된 작업대의 상기 슬래그 수용 용기의 상단으로부터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60% 이하의 높이인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guide is 60% or less based on the height from the upper end of the slag accommodating vessel of the worktabl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efining reaction vessel.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2)에 기재된 정련 설비.The refining facility according to (12) above, characterized in that.

본 개시에 의해, 정련 반응 용기로부터 슬래그 수용 용기로의 슬래그 배출 시에, 배출 슬래그의 포밍을 신속하고도 안정적으로 진정하여, 슬래그 수용 용기로부터의 슬래그 넘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에 수반하여, 넘친 슬래그에 의한 설비 손상이나 조업 장해 등의 트러블을 회피할 수 있음과 함께, 슬래그 배출 속도의 저하를 방지하여, 고속에서의 슬래그 배출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슬래그 배출성도 향상되기 때문에, 후속 공정의 탈인 또는 탈탄 처리에 도입되는 슬래그량이 감소하여, 복린이나 슬로핑 방지용으로 첨가하고 있던 부원료 그리고 발생하는 슬래그량을 삭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t the time of discharging the slag from the refining reaction vessel to the slag accommodating vessel, it becomes possible to quickly and stably calm the foaming of the discharging slag to prevent overflow of the slag from the slag accommodating vessel. In connection with it, while being able to avoid troubles, such as equipment damage and an operation disturbance by overflowing slag, the fall of a slag discharge rate is prevented, and since slag discharge at high speed becomes possible, productivity improves. In addition, since the slag discharge property is also improved, the amount of slag introduced to the dephosphorization or decarburization treatment in the subsequent step is reduced,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compound phosphorus and auxiliary materials added for preventing sloping and the amount of generated slag.

이상의 효과에 의해, 생산성 향상, 비용 삭감(부원료 사용량의 삭감, 발생 슬래그의 삭감, 열손실의 억제, 철분 수율의 향상)이 가능해진다.By the above effect,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cost reduction (reduction of the usage-amount of auxiliary material, reduction of generated slag, suppression of heat loss, improvement of iron content yield) are attained.

도 1은 점도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을 슬래그의 상면 표층부에 체류하도록 첨가함으로써, 포밍이 진정되는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의 일례이며, 전로로부터 슬래그 배출 레이들에 슬래그 배출할 때의 포밍의 진정 방법 및 정련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건 및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1 is a view showing a mechanism in which foaming is calmed by adding a substance having a viscosity reducing effect to remain in the upper surface layer of slag.
It is an example of embodiment of this indication, and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alming method of foaming at the time of discharging slag from a converter to a slag discharge ladle, and a refining facility.
3 is a table showing conditions and result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포밍이 진정되는 기구〕[A mechanism to calm the foaming]

우선, 도 1을 이용하여, 본 개시에 있어서, 점도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이후, 「점도 저감 물질」이라고 칭함)을 슬래그 수용 용기에 배출한 슬래그의 상면 표층부에 체류하도록 첨가함으로써, 포밍이 진정되는 기구를 설명한다.First, using FIG. 1, in the present disclosure, a substance having a viscosity reducing eff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is added so as to stay in the upper surface surface layer of the slag discharged to the slag container. Describe the instrument used.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밍한 슬래그는 기상 분율이 높은 기포(1)의 집합체(포말층(2))로 되어 있다. 포말층(2) 내에 있어서, 기포(1) 사이의 액막이 배출되어 얇아짐으로써, 파포하여 포밍 진정이 진행되지만, 액막(슬래그)의 점도가 높은 경우, 액막의 배출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포밍 진정 속도가 저하된다. 그래서, 포밍 진정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슬래그의 점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유효해지지만, 슬래그 전체의 점도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다량의 점도 저감 물질을 첨가할 필요가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oamed slag becomes an aggregate|assembly (foam layer 2) of the bubble 1 with a high gaseous-phase fraction. In the foam layer 2, since the liquid film between the bubbles 1 is discharged and thinned, foaming and foaming calming proceeds. slows down Then, in order to improve a foaming calming rate, it becomes effective to reduce the viscosity of slag, but in order to reduce the viscosity of the whole slag, it is necessary to add a large amount of viscosity reducing substances.

본 개시의 방법에 의해, 점도 저감 물질(5)을 포밍한 슬래그의 상면 표층부에 체류하도록 첨가한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도 저감 물질의 농도가 높은 국소적인 극저점도 영역(6)이 생성된다. 그렇게 하면, 그 영역(6)에 있어서, 슬래그의 액막 배출(화살표(4) 참조)이 촉진되어, 파포가 급속하게 진행된다. 이어서, 배출된 액막의 슬래그는 그 바로 아래의 기포의 액막과 혼합되지만, 기상 분율이 높기(액상 분율이 낮기) 때문에, 점도 저감 물질은 거의 희석되지 않고, 극저점도 영역(6)은 유지된 채 하강해 간다. 이와 같이, 포밍한 슬래그의 상층측으로부터 순차, 극저점도 영역(6)이 하강함으로써, 연쇄적이고 신속한 파포가 진행된다. 즉, 소량의 점도 저감 물질의 첨가여도 충분한 포밍 진정 효과를 갖게 된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viscosity reducing material 5 is added to stay in the upper surface layer of the foamed slag, as shown in FIG. 1, a local extremely low viscosity region 6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the viscosity reducing material ) is created. Then, in the region 6, the liquid film discharge of the slag (refer to the arrow 4) is accelerated, and the breaking proceeds rapidly. Subsequently, the slag of the discharged liquid film is mixed with the liquid film of the bubbles immediately below it, but since the gaseous phase fraction is high (liquid phase fraction is low), the viscosity reducing material is hardly diluted, and the ultra-low viscosity region 6 is maintained going downhill In this way, by sequentially descending the ultra-low-viscosity region 6 from the upper layer side of the formed slag, chained and rapid seeding proceeds. That is, even if a small amount of the viscosity reducing material is added, a sufficient foaming soothing effect is obtained.

반대로, 점도 저감 물질을 포밍하지 않은 벌크의 슬래그(벌크 슬래그층(3))에 첨가한 경우에는, 점도 저감 물질이 희석되기 때문에, 극저점도 영역을 유지할 수 없어, 소량의 첨가에서는 거의 효과가 없다. 또한, 포밍한 슬래그(포말층(2))의 내부에 첨가한 경우에도, 극저점도 영역은 생성되지만, 진정 효과는 상방에는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면 표층부에 체류하도록 첨가한 경우에 비하여, 효과는 한정적이다. 즉, 점도 저감 물질을 첨가하는 데 있어서, 점도 저감 물질이 포밍하지 않은 벌크의 슬래그나 포밍 슬래그의 내부에 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면 표층부에 체류하도록 첨가하는 것이 중요해진다.Conversely, when the viscosity reducing material is added to unfoamed bulk slag (bulk slag layer 3), since the viscosity reducing material is diluted, the ultra-low viscosity region cannot be maintained, and the effect is almost ineffective with a small amount of addition. none. In addition, even when added to the inside of the foamed slag (foam layer 2), an extremely low-viscosity region is generated, but since the soothing effect does not act upward, it is more effective than when added so as to remain in the upper surface layer portion. is limited. That is, in adding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it becomes important to prevent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from infiltrating into the non-forming bulk slag or forming slag, and to be added so as to remain in the upper surface layer portion.

〔슬래그 수용 용기 내의 포밍 진정에 적합한 이유〕[Reason suitable for foaming calming in the slag container]

또한, 전로 등의 정련 반응 용기 내와 슬래그 배출 레이들 등의 슬래그 수용 용기 내의 포밍 상황의 차이로부터, 본 개시의 방법이 슬래그 수용 용기 내의 포밍 진정에 적합한 이유를 설명한다.Further, from the difference in the forming situation in the refining reaction vessel such as a converter and the slag accommodating vessel such as a slag discharging ladle, the reason why the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suitable for foaming calming in the slag accommodating vessel is explained.

우선, 정련 반응 용기 내에 비하여, 슬래그 수용 용기 내의 교반은 약하다. 정련 반응 용기의 경우, 교반이 강하기 때문에, 점도 저감 물질을 슬래그의 상면 표층부에 체류하도록 첨가하였다고 해도, 교반에 의해 점도 저감 물질이 희석되거나, 포밍 슬래그 내부에 잠입되거나 하여,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 한편, 슬래그 수용 용기의 경우에는, 교반이 약하기 때문에, 점도 저감 물질의 첨가 방법을 적절하게 조정하면, 점도 저감 물질이 슬래그의 상면 표층부에 체류하도록 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다.First, as compared to in the refining reaction vessel, the agitation in the slag receiving vessel is weak. In the case of the refining reaction vessel, since the stirring is strong, even if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is added to stay in the upper surface layer of the slag,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is diluted by stirring or infiltrated into the forming slag, so it is difficult to exert the effec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lag containing container, since the agitation is weak, it is relatively easy to cause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to remain in the upper surface layer of the slag if the method of adding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is appropriately adjusted.

다음으로, 정련 반응 용기 내에는 벌크의 용철이 다량으로 존재하는 데 비하여, 슬래그 수용 용기 내에는 슬래그 중에 혼입된 입철 등이 존재하는 것만이고, 벌크의 용철은 존재하지 않는다. 정련 반응 용기의 경우, 벌크의 용철과 슬래그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포밍이 일단 진정되었다고 해도, 용철 중의 탄소와 슬래그 중의 산화철이 반응하여 발생한 CO 가스에 의해, 다시 포밍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포밍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슬래그 전체의 점도를 포밍이 발생하지 않는 영역까지 저감할 필요가 있어, 다량의 점도 저감 물질이 필요해진다. 한편, 슬래그 수용 용기 내에서는, 일단 포밍이 진정되어 버리면, 다시 포밍이 발생하는 일도 없기 때문에, 소량의 점도 저감 물질을 슬래그의 상면 표층부에 체류하도록 첨가하는 것만으로 효과가 있다.Next, while a large amount of molten iron in bulk exists in the refining reaction vessel, only granular iron mixed in the slag exists in the slag accommodating vessel, and molten iron in bulk does not exist. In the case of a refining reaction vessel, since bulk molten iron and slag are in contact, even if foaming has calmed down once, foaming occurs again by CO gas generated by reacting carbon in molten iron with iron oxide in slag.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foaming,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viscosity of the entire slag to a region where foaming does not occur, and a large amount of a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is required. On the other hand, in the slag accommodating container, once the foaming subsides, foaming does not occur again, so it is effective only by adding a small amount of a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so as to remain in the upper surface layer of the slag.

[실시 형태][Embodiment]

상술한 기구에 기초하여, 도 2를 이용하여,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련 반응 용기로서는 전로(7)를, 슬래그 수용 용기로서는 전로(7)로부터 슬래그 배출할 때 사용하는 슬래그 배출 레이들(8)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Based on the mechanism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As shown in FIG. 2, the converter 7 is used as a refining reaction container, and the slag discharge ladle 8 used when slag is discharged|emitted from the converter 7 as a slag accommodation container is taken as an example.

(점도 저감 물질)(viscosity reducing substance)

우선, 진정제로서 사용하는 점도 저감 물질(12)로서는, 알칼리 금속의 화합물 혹은 알칼리 토류 금속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as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12 used as a sedative, it is preferable to use an alkali metal compound, an alkaline earth metal compound, or a mixture thereof.

포밍하기 쉬운 슬래그는 SiO2 등의 산성 산화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지만, 용융 슬래그에 있어서 산성 산화물은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고, 점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이에 반하여, 알칼리 금속의 화합물이나 알칼리 토류 금속의 화합물은 네트워크 구조를 절단하는 작용을 갖고, 점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이다.Although the slag which is easy to form contains a lot of acidic oxides, such as SiO2, in molten slag, the acidic oxide forms a network structure and has an effect|action which increases a viscosity. On the other hand, it is because the compound of an alkali metal or the compound of an alkaline-earth metal has an effect|action which cut|disconnects a network structure, and reduces a viscosity.

알칼리 금속의 화합물, 알칼리 토류 금속의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CaF2, CaCO3, CaO, Ca(OH)2, Na2CO3, K2CO3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alkali metal compound and the alkaline earth metal compound include CaF 2 , CaCO 3 , CaO, Ca(OH) 2 , Na 2 CO 3 , K 2 CO 3 , and the like.

또한, 진정제로서 사용하는 점도 저감 물질(12)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의 불화물 또는 산화물이면, 고온에서 가스를 발생하지 않으므로, 포밍을 진정하는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구체예 중, CaF2, CaO가 이에 해당된다.In addition, since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12 used as a sedative agent is a fluoride or oxide of an alkali metal or alkaline-earth metal, since it does not generate|occur|produce gas at high temperature, it is more preferable from a viewpoint of calming foaming. Among the above embodiments, CaF 2 , CaO corresponds to this.

또한, 진정제로서 사용하는 점도 저감 물질(12)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의 탄산염 또는 수산화물이면, 고온에서 가스를 발생한다. 상기 구체예 중, CaCO3, Ca(OH)2, Na2CO3, K2CO3이 이에 해당된다.In addition, if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12 used as a sedative is a carbonate or hydroxide of an alkali metal or an alkaline earth metal, it will generate|occur|produce gas at high temperature. Among the embodiments, CaCO 3 , Ca(OH) 2 , Na 2 CO 3 , and K 2 CO 3 correspond to them.

이후, 진정제로서 사용하는 점도 저감 물질의 첨가 방법, 첨가량, 성상의 조건에 대하여 상세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ail is demonstrated about the addition method of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used as a sedative agent, addition amount, and conditions of a property.

우선, 점도 저감 물질의 첨가 방법에 대해서는, 슬래그 상면 표층부에 체류하도록 하기 위해서, 슬래그 상층 표면부에 점도 저감 물질이 도달한 시점에서의 연직 방향의 속도를 작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First, with respect to the method of adding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veloc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time when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reaches the slag upper surface surface part in order to remain in the slag upper surface surface layer part.

(점도 저감 물질을 첨가하는 높이)(height to add viscosity reducing material)

그를 위해서는, 점도 저감 물질을 낮은 위치로부터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점도 저감 물질을 첨가하는 높이는, 슬래그 배출 레이들 상단으로부터 3m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m 이하이다.To that end, it is preferable to add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from a lower position. Specifically, the height at which the viscosity reducing material is added is preferably 3 m or less from the top of the slag discharge ladle, and more preferably 2 m or less.

또한, 전로의 측방에는, 통상 작업대(14)가 존재하고, 작업대(14)(의 상면)의 높이는, 슬래그 배출 레이들 상단으로부터 약 5m이다. 점도 저감 물질을 첨가하는 높이는, 작업대(14)를 기준으로 설정해도 되고, 작업대(14)의 슬래그 배출 레이들 상단으로부터의 높이를 100%로 하여, 60% 이하의 높이(슬래그 배출 레이들상단으로부터의 높이)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다.In addition, on the side of the converter, the work table 14 is normally present, and the height of the work table 14 (upper surface) is about 5 m from the upper end of the slag discharge ladle. The height at which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is added may be set based on the work table 14, and the height of the work table 14 from the top of the slag discharge ladle is 100%, and the height of 60% or less (from the top of the slag discharge ladle) height) is preferable, and more preferably 40% or less.

(첨가에 사용하는 설비)(equipment used for addition)

첨가에 사용하는 설비로서, 홈통(gutter)이나 파이프(pipe) 등의 활주 경사면을 갖는 가이드(즉, 물체를 미끄러 떨어뜨리는 기능을 갖는 부재, chute)를 사용해도 된다. 가이드를 통하여 자연 낙하에 의해 첨가한다. 점도 저감 물질이 활주 경사면을 활주함으로써, 가이드의 하단(점도 저감 물질을 첨가하는 높이)에 있어서의 점도 저감 물질의 연직 방향의 속도를 작게 할 수 있다. 점도 저감 물질의 연직 방향의 속도를 작게 한다는 관점에서, 가이드의 하단에 있어서의 가이드의 각도 (즉 가이드의 하단에 있어서의 점도 저감 물질의 속도 방향을 규정하는 각도이며, 수평 방향에 대한 각도)는, 30° 이하가 바람직하다.As the equipment used for the addition, a guide having a sliding slope such as a gutter or a pipe (ie, a member having a function of sliding an object, a chute) may be used. Add by natural fall through the guide. When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slides on the sliding slope, the spe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the height at which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is added) can be reduced.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veloc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iscosity reducing material, the angle of the guide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that is, the angle defining the velocity direction of the viscosity reducing material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and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s , 30° or less is preferable.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11)에 대하여, 도 2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11)는, 작업대(14)의 하방에 마련되어 있으며, 가이드(11)의 하단 및 상단은, 모두 작업대(14)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11)의 기울기(점도 저감 물질이 활주하는 경사면의 평균 기울기)는, 수평 방향에 대해서 45도 미만이고, 구체적으로는, 30도 미만으로 되어 있다. 가이드(11)의 하단의 높이(점도 저감 물질을 첨가하는 높이)는, 슬래그 배출 레이들(8)의 상단으로부터 3m 이내의 높이이며, 구체적으로는 2m 이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작업대(14)를 기준으로 하면, 가이드(11)의 하단의 높이는, 작업대(14)의 슬래그 배출 레이들 상단으로부터의 높이(이 예에서는 5m)를 100%로 하여, 60% 이하의 높이이며, 구체적으로는 40%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The guide 11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FIG. The guide 11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below the work table 14, and the lower end and upper end of the guide 11 are both located below the work table 14. In addition, the inclination of the guide 11 (averag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rface on which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slides) is less than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specifically, it is less than 30 degrees.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guide 11 (the height at which the viscosity reducing material is added) is within 3 m from the upper end of the slag discharge ladle 8 , and specifically is set within 2 m. In addition, when the work table 14 is taken as a reference,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guide 11 is 60% or less with the height from the upper end of the slag discharge ladle of the work table 14 (5 m in this example) being 100%. and specifically set to 40% or less.

또한, 슬래그 상면 표층부에 균일하게 첨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가이드를 가동식이나 선회식으로 하거나, 복수의 가이드를 사용하거나, 캐리어 가스로 점도 저감 물질의 분립을 반송하여 상면 표층부에 분사하거나 해도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be uniformly added to the slag upper surface surface layer portion, the guide may be movable or swiveling, a plurality of guides may be used, or the granular or granular material of the viscosity reducing material may be conveyed with a carrier gas and sprayed onto the upper surface surface layer portion.

캐리어 가스로 상면 표층부에 분사하는 방법이란, 호스 등을 사용하여 점도 저감 물질을 상면 표층부를 따르는 방향(수평 방향에 가까운 방향)으로 분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슬래그 상층 표면부에 점도 저감 물질이 도달한 시점에서의 연직 방향의 속도를 작게 하는 것이 용이하며, 점도 저감 물질을 효과적으로 슬래그 상면 표층부에 체류시킬 수 있다.The method of spraying the upper surface layer part with a carrier gas is a method of spraying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in a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surface layer part (a direction close to the horizontal direction) using a hose or the like. According to this method, it is easy to reduce the veloc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reaches the slag upper surface part, and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can be effectively retained in the slag upper surface surface part.

(슬래그 낙하 위치 근방과의 관계)(Relationship with the vicinity of the slag falling position)

또한, 슬래그 수용 용기 내에 있어서, 슬래그 낙하 위치 근방은 슬래그 낙하의 위치 에너지에 의해 국소적으로 교반이 강해지고 있다. 따라서, 슬래그 낙하 위치 근방에 점도 저감 물질을 첨가한 경우, 그 슬래그 낙하 위치 근방에 첨가된 점도 저감 물질이 슬래그 상층 표면부에 체류하도록 하는 것은 곤란하다.Moreover, in the slag accommodating container, in the vicinity of the slag fall position, stirring is becoming strong locally by the potential energy of a slag fall. Therefore, when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is added in the vicinity of the slag falling position, it is difficult to make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added in the vicinity of the slag falling position remain in the slag upper layer surface portion.

따라서, 슬래그 낙하 위치 근방을 피해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첨가하는 점도 저감 물질 중 일부가 슬래그 낙하 위치 근방에 첨가되어버리는 것을 제외한다는 취지는 아니다. 즉, 슬래그 낙하 위치 근방을 피해 첨가함으로써, 첨가하는 점도 저감 물질의 80질량% 이상이 슬래그 낙하 위치 이외에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상이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void and add the slag drop position vicinity. However, it is not intended to exclude that some of the added viscosity reducing substances are added to the vicinity of the slag falling position.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80 mass % or more of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added is added other than the slag fall position by avoiding the slag fall position vicinity and adding, More preferably, it is 95 mass % or more.

여기서, 슬래그 낙하 위치 근방이란, 슬래그 수용 용기 내의 슬래그 상층 표면과 슬래그 낙하류가 충돌하는 부분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한 슬래그 상층 표면 위의 가상원의 내부이다. 그 가상원의 직경은, 슬래그 낙하의 위치 에너지에 의해 변동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는 정의할 수 없지만, 틸팅된 전로(도 2 참조)의 노구 하단으로부터 슬래그 배출 레이들 상단까지가 5 내지 10m의 설비인 경우, 목표로서 1 내지 2m의 범위이다.Here, the slag drop position vicinity is the inside of the virtual circle on the slag upper layer surface centering on the center of the part where the slag upper layer surface in a slag accommodating container and a slag falling flow collide. Since the diameter of the virtual circle fluctuates with the potential energy of slag fall, it cannot be defined uniformly, but the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furnace hole of the tilted converter (refer to Fig. 2) to the upper end of the slag discharge ladle is 5 to 10 m equipment If , the target is in the range of 1 to 2 m.

또한, 점도 저감 물질의 첨가 타이밍으로서는, 예를 들어 슬래그 수용 용기 내에 점도 저감 물질의 첨가를 개시하는 슬래그면 높이와 정지하는 슬래그면 높이를 미리 목표로서 규정해 두고, 슬래그 수용 용기 내의 슬래그면을 감시하면서, 각각의 규정 높이에 슬래그면이 도달된 경우에, 점도 저감 물질의 첨가를 개시 혹은 정지하는 것을 단속적으로 반복하면 된다.Further, as the timing of adding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for example, the slag plane height at which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is added to the slag accommodating container and the slag plane height at which it stops are prescribed as targets in advance, and the slag plane in the slag accommodating container is monitor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repeat the addition of a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intermittently and intermittently, when a slag surface has reached|attained each prescribed height while doing this.

(첨가량)(addition amount)

다음으로, 점도 저감 물질의 첨가량으로서는, 배출 슬래그량 1t에 대하여, 2㎏ 미만에서는 충분한 진정 효과를 얻지 못하고, 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Next, as the addition amount of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it was found that, with respect to 1 t of discharged slag, a sufficient calming effect could not be obtained when the amount was less than 2 kg,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preferable to set it as 2 kg or more.

또한, 상기 범위에서의 최적 첨가량에 대해서는, 슬래그 수용 용기의 용량, 슬래그 조성, 온도, 포밍의 상황 등에 따라 변화하지만, 일반적인 조업 조건 범위에 있어서의 적정한 첨가량을 사전의 시험에 의해 조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timum addition amount in the above range varies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slag container, slag composition, temperature, the condition of foaming, etc., but it is preferable to investigate an appropriate amount of addition in the general operating condition range by prior testing. .

(성상: 입도)(Appearance: particle size)

또한, 점도 저감 물질의 입도에 대해서는, 입도가 크면, 점도 저감 물질이 포밍 슬래그의 상면 표층부에 머무르지 않고 내부에 잠입되기 쉬우며, 나아가, 용융에 시간을 요하여, 극저점도 영역의 형성이 지연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검토를 행한 결과, 10㎜ 이하의 범위에 있지만 진정 효과가 높다는 것, 또한, 반드시 모든 입도가 상기 범위일 필요는 없으며, 상기 범위의 입도의 비율이 70질량% 이상 포함되어 있으면 충분한 효과가 얻어진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또한, 입도의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정하지 않지만, 입도가 너무 작으면, 슬래그 수용 용기 내의 슬래그로부터 발생하는 상승 기류나 가스 등에 의해, 슬래그 수용 용기 외로의 비산이 증가하기 때문에, 그러한 것을 감안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particle size of the viscosity reducing material, if the particle size is large, the viscosity reducing material does not stay in the upper surface layer of the forming slag and is easily infiltrated, furthermore, it takes time to melt, and the formation of an extremely low viscosity region is difficult. There is the problem of delay. Therefore, as a result of examination, although it is in the range of 10 mm or less, the sedative effect is high, and it is not necessary that all particle sizes are in the above range. was found to be obtained. In addition, the lower limit of the particle size is not particularly set, but if the particle size is too small, scattering to the outside of the slag container due to an updraft or gas generated from the slag in the slag container increases. it is preferable

또한, 입도는, 입자를 통과할 수 있는 체의 그물눈으로 정의하고, 입도가 10㎜ 이하이면, 10㎜의 체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article size is defined as the mesh of a sieve that can pass through particles, and if the particle size is 10 mm or less, it is made to pass through a sieve of 10 mm.

이상,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정련 반응 용기로서는 전로를, 슬래그 수용 용기로서 전로로부터 슬래그 배출할 때 사용하는 슬래그 배출 레이들을 상정하여 설명해 왔다. 단, 본 개시의 적용 대상은 이들 용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정련 반응 용기(예를 들어, 토피도 카)로부터 다른 슬래그 수용 용기(예를 들어, 슬래그 배출 피트 등)로 슬래그 배출할 때에도, 본 개시의 적용은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with respect to embodiment of this indication, a slag discharge ladle used when discharging slag from a converter as a slag accommodating vessel and a converter as a refining reaction container was assumed and demonstrated. However, the su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se vessels, and when discharging slag from another refining reaction vessel (eg, topido car) to another slag receiving vessel (eg, slag discharge pit, etc.), Applica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ossible.

또한, 설비나 조업의 제약에 따라 필요한 진정제의 전량을 본 개시의 방법으로 첨가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일부의 진정제를 본 개시의 방법으로 첨가하고, 나머지 진정제를 종래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첨가해도, 상응하는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when the entire amount of the sedative agent required cannot be add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due to facility or operational restrictions, a part of the sedative is add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rest of the sedative is add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ior art, A corresponding effect is obtained.

또한, 상기에서는 도 2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가이드(11)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가이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가이드의 상단이 작업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되고, 굴절된 파이프 등으로 각도가 단계적 혹은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가이드로 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specific guide 11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guid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upper end of the guide may be located above the work table, or a guide whose angle is changed stepwise or continuously with a refracted pipe or the like.

실시예Example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이하, 단순히 '실시예'라고 함) 및 비교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xamples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또한, 실시예의 조건은, 본 개시의 실시 가능성 및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채용한 조건의 일례이며, 본 개시는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는 한, 다양한 조건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ditions of an Example are an example of the conditions employ|adopted in order to confirm the practicability and effect of this indication, and this indica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Various conditions can be employ|adopted without deviating from the summary of this indication, as long as the objective of this indication is achieved.

(공통 조건)(Common conditions)

시험은 350t 규모의 상저취 전로에 있어서, 탈인 처리 후의 슬래그 배출 중에 실시하였다. 또한, 조건의 변동에 따른 평가에 대한 영향을 대체로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조건을 갖추도록 하고 있으며, 탈인 처리 후의 노내 슬래그량은 약 20t이었다.The test was conducted during slag discharge after dephosphorization treatment in a 350t scale top-bottom odor converter. In addition, the conditions were set to such a degree that the influence on the evaluation due to the change of conditions was generally negligible, and the amount of slag in the furnace after the dephosphorization treatment was about 20 tons.

(비공통 조건)(Non-Common Conditions)

탈인 처리 후에 전로를 틸팅시켜 슬래그 배출할 때, 진정제의 첨가 방법(첨가 조건 및 첨가 위치를 포함함), 슬래그 상면 표층부에서의 진정제의 체류, 진정제의 종류, 첨가량, 입도를 변경하고, 슬래그 배출량, 슬래그 배출 시간, 전로의 최종 틸팅 각도를 평가하였다.When discharging slag by tilting the converter after dephosphorization treatment, the method of adding the sedative (including the addition conditions and the position of addition), the residence of the sedative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g, the type, amount, and particle size of the sedative are changed, the slag discharge, The slag discharge time and the final tilting angle of the converter were evaluated.

여기서, 슬래그 배출량은, 슬래그 배출 레이들 대차에 설치한 칭량기로 실제 측정하였다. 또한, 슬래그 배출 종료는, 시간 제약으로부터 슬래그 배출 시간이 3.0min(슬래그 배출에 걸릴 수 있는 최장의 시간)에 도달한 시점 혹은 용철이 노구로부터 유출되기 시작한 시점 중 어느 빠른 시점으로 하였다. 전로의 최종 틸팅 각도는, 전로가 수직인 상태를 0°로 했을 때의 슬래그 배출 종료 시점에서의 틸팅 각도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공통 조건에서는, 틸팅 각도가 83°근방에서 노내의 잔류 용적과 용철의 용적이 거의 동등해져서, 용철이 노구로부터 유출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최종 틸팅 각도는 83°가 거의 상한으로 된다. 이 경우에는, 용철이 노구로부터 유출되기 시작한 시점(틸팅 각도 83°)에서 슬래그 배출을 완료한다.Here, the slag discharge amount was actually measured with a weighing machine installed on the slag discharge ladle bogie. In addition, the slag discharge completion|finish was made into the earlier of the time point when the slag discharge time reached 3.0 min (the longest time that can take slag discharge) from time restriction, or the time when molten iron started flowing out from the furnace. The final tilting angle of the converter is the tilting angle at the end of slag discharge when the vertical state of the converter is 0°. Under the common cond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hen the tilting angle is around 83°, the residual volume in the furnace and the volume of molten iron become almost equal, and the molten iron begins to flow out of the furnace, so that the final tilting angle is almost the upper limit of 83° . In this case, slag discharge is completed at the point when molten iron starts to flow out from the furnace (tilting angle 83°).

(비공통 조건 및 결과)(Non-Common Conditions and Results)

각 수준의 조건 및 결과를 도 3의 표에 나타낸다.The conditions and results of each level are shown in the table of FIG. 3 .

여기서, 진정제의 첨가 조건으로서, 「진정제를 슬래그 배출 레이들 상단으로부터 5m 상방에서, 비닐 봉지에 10㎏ 단위로 수납하여 투입하는 방법」과「슬래그 배출 레이들 상단으로부터 2m 상방에서, 파이프를 통하여 입상으로 첨가하는 방법」을 비교하고 있다. 전자는 후자에 비해, 진정제가 포밍한 슬래그의 내부에 잠입되기 쉽다.Here, as the conditions for adding the sedative, "a method of storing the sedative in a plastic bag in units of 10 kg at 5 m above the top of the slag discharging ladle" and "2 m above the top of the slag discharging ladle, granular through a pipe" How to add" is compared. Compared to the latter, the former is easier to infiltrate into the slag formed by the sedative.

또한, 진정제의 첨가 위치로서, 「슬래그 낙하 위치 근방」과 「슬래그 낙하 위치 근방 외」를 비교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전자는 후자에 비해, 진정제가 포밍한 슬래그의 내부에 잠입되기 쉽다.Moreover, as an addition position of a sedative agent, "the vicinity of a slag fall position" and "outside the vicinity of a slag fall position" are compared. Similarly, the former is more likely to infiltrate the inside of the slag formed by the sedative, compared to the latter.

또한, 슬래그 상면 표층부에서의 진정제의 체류에 대해서는, 눈으로 봄으로써 판정하였다. 「없음」이란 슬래그 내에 순시에 혼입되는 상황, 「있음」이란 슬래그 상층 표면에 잠시동안(수초 정도) 체류하는 상황을 가리킨다. 또한, 「슬래그 배출 레이들 상단으로부터 2m 상방에서, 파이프를 통하여 입상으로 첨가하는 방법」으로 「슬래그 낙하 위치 근방 외」에 첨가한 경우에는, 목시 판정이 곤란한 경우를 제외하고, 슬래그 상면 표층부에서의 진정제의 체류는 눈으로 봄으로써 확인할 수 있었다.In addition, about the retention of the sedative agent in the slag upper surface surface layer part, it judged visually. "None" refers to a situation in which instantaneous mixing in the slag, and "Presence" refers to a situation in which it stays on the slag upper surface for a short time (about several seconds). In addition, when adding "outside the slag drop position vicinity" by "a method of adding granularly through a pipe at 2 m above the upper end of the slag discharge ladle", except for cases where visual determination is difficult,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g Retention of the sedative was confirmed by visual inspection.

포밍 진정의 평가 지표로서는, 소량의 진정제로 포밍을 신속하게 진정하고, 단시간에 대량으로 슬래그 배출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진정제의 첨가량, 평균 슬래그 배출 속도(슬래그 배출량/슬래그 배출 시간)로 평가를 행하였다.As an evaluation index for foaming calming, it is important to quickly calm foaming with a small amount of sedative and discharge a large amount of slag in a short time. did.

우선, 수준 1 내지 4는 비교예이며, 진정제 첨가 방법 또는 진정제 종류의 적어도 한쪽이 본 개시의 방법과 다르다.First, levels 1 to 4 are comparative examples, and at least one of the sedative addition method or the sedative type differs from the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또한, 수준 2에 비하여, 수준 1이 우위인 이유는, 진정제로서 사용한 「펄프 찌꺼기와 슬래그의 성형물」이, 애당초 포밍한 슬래그의 내부에 잠입됨으로써 급격하게 가스를 발생시켜 진정하는 것을 기도한 것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In addition, the reason that level 1 is superior to level 2 is that "a molded product of pulp residues and slag" used as a sedative is infiltrated into the slag formed in the first place to rapidly generate gas and calm down. It is thought that

또한, 수준 3, 4에서는 진정제로서 점도 저감 물질을 사용하였지만, 슬래그 상면 표층부에서의 진정제의 체류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진정제가 슬래그 내부에 잠입되었기 때문에, 효과가 발현되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수준 1, 2에 비하여, 수준 3, 4에서는 적은 진정제의 양으로 동등 이상의 효과가 얻어지고는 있지만, 진정제의 비용면에서는 적당하지 않다.In addition, in Levels 3 and 4, although a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was used as a sedative, retention of the sedative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g was not confirmed. In addition, compared with levels 1 and 2, in levels 3 and 4, although the same or more effective effect is obtained with a small amount of the sedative, it is not suitable in terms of the cost of the sedative.

다음으로, 수준 5 내지 12는 실시예이며, 어느 수준에서도 비교예에 비하여 높은 포밍 진정 효과가 확인되었다.Next, levels 5 to 12 are examples, and a high foaming sedative effect was confirmed at any level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수준 5는, 비교예인 수준 4에 대해서, 진정제의 첨가 방법을 본 개시의 방법으로 변경하고 있지만, 동등한 평균 슬래그 배출 속도를 얻으면서, 진정제 첨가량이 크게 저감되었다.In level 5, the addition method of the sedative agent was changed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with respect to the level 4 which is a comparative example, but the amount of the sedative agent added was greatly reduced while obtaining an equivalent average slag discharge rate.

수준 6은, 수준 5에 대해서, 진정제(점도 저감 물질)의 종류를 변경하고 있지만, 수준 5와 효과는 거의 동등하였다.Level 6 changed the type of sedativ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with respect to level 5, but the effect was almost equal to that of level 5.

수준 7 내지 9는, 수준 5에 대해서, 진정제(점도 저감 물질)의 첨가량(진정제 첨가량 원단위)을 변경하고 있다. 점도 저감 물질의 첨가량을 배출 슬래그량 1t에 대하여, 2㎏ 이상으로 함으로써 평균 슬래그 배출 속도가 향상되었다. 한편, 수준 9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진정제 첨가량을 증가시켜도 효과가 포화되는 영역이 있었다.Levels 7-9 are changing the addition amount (sedative agent addition amount basic unit) of a sedativ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with respect to level 5. By setting the addition amount of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to 2 kg or more with respect to 1 t of the discharged slag, the average slag discharge rate was improved. On the other hand, as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of level 9, there was a region where the effect was saturated even when the amount of the sedative added was increased.

수준 10 내지 12는, 수준 8에 대해서, 진정제(점도 저감 물질)의 입도(10㎜ 이하 입도의 비율)를 변경하고 있다. 점도 저감 물질의 입도가 10㎜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의 비율을 70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평균 슬래그 배출 속도가 향상되었다. 한편, 수준 1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0㎜ 이하의 입도의 비율을 증가시켜도 효과가 포화되는 영역이 있었다.Levels 10 to 12 are changing the particle size (ratio of particle size of 10 mm or less) of the sedative agent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with respect to level 8. The average slag discharge rate improved by making the ratio of what exists in the range of 10 mm or less of the particle size of a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into 70 mass % or more. On the other hand, as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of level 12, there was a region where the effect was saturated even when the ratio of the particle size of 10 mm or less was increased.

이상,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교예에 비하여 진정제의 첨가량, 평균 슬래그 배출 속도가 우위에 있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비교예에 비하여 포밍 진정이 양호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진정제의 첨가량, 입도를 적정한 조건으로 함으로써, 한층 더 효율적으로 포밍 진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in the Example of this indication, the addition amount of a sedative agent and the average slag discharge rate were superior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n Examp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foaming soothing is better than in Comparative Example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by setting the amount and particle size of the sedative agent to appropriate conditions, foaming and soothing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1: 기포
2: 포말층
3: 벌크 슬래그층
4: 액막 배출
5: 점도 저감 물질(포밍 진정제)
6: 극저점도 영역
7: 전로(정련 반응 용기)
8: 슬래그 배출 레이들(슬래그 수용 용기)
9: 용철
10: 슬래그
11: 가이드
12: 점도 저감 물질(포밍 진정제)
13: 극저점도 영역
14: 작업대
1: Bubble
2: Foam layer
3: bulk slag layer
4: liquid film discharge
5: Viscosity reducing substances (foaming sedatives)
6: Extremely low viscosity region
7: Converter (refining reaction vessel)
8: slag discharge ladle (slag receiving vessel)
9: molten iron
10: slag
11: Guide
12: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foaming sedative)
13: extremely low viscosity region
14: workbench

Claims (13)

정련 반응 용기로부터 슬래그 수용 용기로의 슬래그 배출 시에 배출 슬래그의 포밍을 진정하는 방법이며,
포밍 진정제로서 점도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을 상기 슬래그 수용 용기에 배출한 슬래그의 상면 표층부에 체류하도록 첨가하고,
슬래그 낙하 위치 근방을 피해서 첨가함으로써, 첨가하는 점도 저감 물질의 80질량% 이상을 슬래그 낙하 위치 이외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
A method of calming the foaming of discharged slag when discharging slag from the refining reaction vessel to the slag receiving vessel,
A substance having a viscosity reducing effect as a foaming sedative is added to stay in the upper surface layer of the slag discharged to the slag container,
By adding avoiding the vicinity of the slag dropping position, 80% by mass or more of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to be added is added outside the slag dropping position
Foaming calming method of discharged slag,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점도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로서, 알칼리 금속의 화합물 혹은 알칼리 토류 금속의 화합물, 또는 이들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s a substance having a viscosity reducing effect, an alkali metal compound, an alkaline earth metal compound, or a mixture thereof is used.
Foaming calming method of discharged slag,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점도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의 첨가량을 배출 슬래그량 1t에 대하여, 2㎏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addition amount of the substance having the effect of reducing the viscosity is 2 kg or more with respect to 1 t of discharged slag.
Foaming calming method of discharged slag,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점도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의 입도가 10㎜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의 비율을 70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ratio of the material having a viscosity reducing effect having a particle size in the range of 10 mm or less to 70% by mass or more
Foaming calming method of discharged slag,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점도 저감 물질을 첨가하는 높이는, 상기 슬래그 수용 용기의 상단으로부터 3m 이하의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height at which the viscosity reducing material is added is a height of 3 m or less from the top of the slag accommodating container.
Foaming calming method of discharged slag,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점도 저감 물질을 첨가하는 높이는, 상기 정련 반응 용기의 측방에 마련된 작업대의 상기 슬래그 수용 용기의 상단으로부터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60% 이하의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height at which the viscosity reducing substance is added is a height of 60% or less based on the height from the upper end of the slag accommodating vessel of the worktabl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efining reaction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the foaming calming method of the discharged sla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점도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을 첨가할 때, 활주 경사면을 갖는 가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n adding a substance having a viscosity reducing effect, a guide having a sliding slope is used.
Foaming calming method of discharged slag,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점도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을 첨가할 때, 활주 경사면을 갖는 가이드를 사용하고,
상기 가이드의 하단의 높이는, 상기 슬래그 수용 용기의 상단으로부터 3m 이하의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n adding a substance having a viscosity reducing effect, a guide having a sliding slope is used,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guide is a height of 3 m or less from the upper end of the slag container
Foaming calming method of discharged slag,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점도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을 첨가할 때, 활주 경사면을 갖는 가이드를 사용하고,
상기 가이드의 하단의 높이는, 상기 정련 반응 용기의 측방에 마련된 작업대의 상기 슬래그 수용 용기의 상단으로부터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60% 이하의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n adding a substance having a viscosity reducing effect, a guide having a sliding slope is used,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guide is 60% or less based on the height from the upper end of the slag accommodating vessel of the worktabl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efining reaction vessel.
Foaming calming method of discharged slag,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점도 저감 효과를 갖는 물질을 첨가할 때, 캐리어 가스로 점도 저감 물질을 상면 표층부를 따르는 방향으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슬래그의 포밍 진정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n a material having a viscosity reducing effect is added, the viscosity reducing material is injected as a carrier gas in a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layer portion.
Foaming calming method of discharged slag,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정련 반응 용기와, 상기 정련 반응 용기로부터 슬래그를 배출하는 슬래그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정련 설비이며,
상기 슬래그 수용 용기에 배출된 슬래그의 상면 표층부에 체류하도록 포밍 진정제를 첨가하기 위한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는, 활주 경사면을 갖고,
상기 활주 경사면의 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포밍 진정제의 배출 위치가 슬래그 낙하 위치 근방을 피하도록 상기 가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의 하단의 높이는, 상기 정련 반응 용기의 측방에 마련된 작업대의 상기 슬래그 수용 용기의 상단으로부터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60% 이하의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련 설비.
A refining facility comprising a refining reaction vessel and a slag receiving vessel for discharging slag from the refining reaction vessel,
Further comprising a guide for adding a foaming sedative to stay in the upper surface layer of the slag discharged to the slag receiving container,
The guide has a sliding slope,
The guide is arranged so that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foaming sedative discharged from the lower end of the sliding slope avoids the vicinity of the slag falling position,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guide is 60% or less based on the height from the upper end of the slag accommodating vessel of the worktabl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efining reaction vessel.
삭제delete
KR1020207023014A 2018-04-24 2019-04-15 Foaming and calming method of discharged slag and refining equipment used therefor KR10244494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83208 2018-04-24
JPJP-P-2018-083208 2018-04-24
PCT/JP2019/016140 WO2019208303A1 (en) 2018-04-24 2019-04-15 Method for killing foaming of discharged slag, and refining facility using sai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923A KR20200105923A (en) 2020-09-09
KR102444944B1 true KR102444944B1 (en) 2022-09-20

Family

ID=68294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014A KR102444944B1 (en) 2018-04-24 2019-04-15 Foaming and calming method of discharged slag and refining equipment used therefo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35845B2 (en)
KR (1) KR102444944B1 (en)
CN (1) CN111712585B (en)
TW (1) TW201945550A (en)
WO (1) WO201920830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93634B2 (en) * 2019-12-13 2023-12-07 日本製鉄株式会社 Slag forming sedation method
WO2022163156A1 (en) * 2021-02-01 2022-08-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Refining method of molten ir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lten steel using same
JP2023066147A (en) * 2021-10-28 2023-05-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In-furnace slag amount estimation device, in-furnace slag amount estimation method, and molten steel produc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220A (en) * 1998-11-24 2000-06-13 Kawasaki Steel Corp Method for restraining slag foaming
US20030010060A1 (en) * 2000-01-21 2003-01-16 Jean-Luc Roth Method for treating steel plant sla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8213A (en) 1986-05-23 1987-12-03 Nippon Kokan Kk <Nkk> Method for preventing slopping in converter
JP2596470B2 (en) 1990-11-14 1997-04-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Sloping suppression method
JP2654587B2 (en) 1992-04-10 1997-09-1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Carbon material injection method to control slag forming
JPH0849004A (en) * 1994-08-03 1996-02-20 Nippon Steel Corp Pre-treatment of molten iron
JP3242300B2 (en) 1995-09-26 2001-12-25 川崎製鉄株式会社 Slag forming suppression method in hot metal processing
JPH1150121A (en) * 1997-07-29 1999-02-23 Kawasaki Steel Corp Restraining of slag foaming
JP2000034511A (en) * 1998-07-15 2000-02-02 Kawasaki Steel Corp Pretreatment of molten pig iron
JP3750588B2 (en) 2001-11-12 2006-03-01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Hot metal desiliconization method
JP4907411B2 (en) 2007-04-06 2012-03-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Slag sedation method
JP4580434B2 (en) 2008-05-09 2010-11-1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Slag forming sedative material and method
JP4580435B2 (en) * 2008-05-27 2010-11-1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Forming sedative material for slag pan and sedation method
JP5888445B1 (en) * 2015-02-10 2016-03-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Method for calming molten slag and method for producing slag product
JP6260559B2 (en) * 2015-03-16 2018-01-1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Method and device for charging slag forming sedative
JP6477333B2 (en) * 2015-07-29 2019-03-0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Slag forming suppression method
CN107849626B (en) * 2016-01-28 2020-02-21 日本制铁株式会社 Slag discharging method, method for manufacturing slag, and energy attenuation structure of flowing-down sla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220A (en) * 1998-11-24 2000-06-13 Kawasaki Steel Corp Method for restraining slag foaming
US20030010060A1 (en) * 2000-01-21 2003-01-16 Jean-Luc Roth Method for treating steel plant sl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208303A1 (en) 2020-12-10
JP6935845B2 (en) 2021-09-15
WO2019208303A1 (en) 2019-10-31
CN111712585B (en) 2022-07-26
TW201945550A (en) 2019-12-01
CN111712585A (en) 2020-09-25
KR20200105923A (en)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4944B1 (en) Foaming and calming method of discharged slag and refining equipment used therefor
KR101234483B1 (en) Slag foaming killing material, and slag foaming killing method
JP5888445B1 (en) Method for calming molten slag and method for producing slag product
TWI656219B (en) Slag foaming and calming material, slag foaming and calming method, and converter blowing method
JP6477333B2 (en) Slag forming suppression method
US4600434A (en) Process for desulfurization of ferrous metal melts
US2741556A (en) Method of desulfurizing molten ferrous metal
CN107849626B (en) Slag discharging method, method for manufacturing slag, and energy attenuation structure of flowing-down slag
JP2019163175A (en) Manufacturing method of slag material
JP20145218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phosphorizing liquid hot metal such as liquid blast furnace
KR102142198B1 (en) Desulfurizing agent, method for desulfurizing molten iron and method for producing molten iron
TWI638895B (en) Method for suppressing slag foaming
JPWO2019039326A1 (en) Slag forming suppression method and converter refining method
JP5790230B2 (en) Hot metal desulfurization method
JP2017071854A (en) Desulfurization agent, mechanical agitation type molten iron desulfurization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esulfurized molten iron
JP20181092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ulfurizing molten steel
JP2018172719A (en) Desulfurization method of molten pig iron
JP2003147425A (en) Method for desiliconizing molten iron
CN104379772A (en) Refining method and molten steel production method
JP2022040739A (en) Foaming depressant
JP6052436B2 (en) Method for preventing hot metal after desulphurization
WO201814675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lag foaming
JP2001131626A (en) Desiliconizing treatment method of molten iron
JP2002173707A (en) Method for dephosphorizing molten iron
CS231211B1 (en) Method of steel making in metallurgical unit by blasting of gas and powdered matter mixture inte m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