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910B1 - Ess 자동 소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Ess 자동 소화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2910B1 KR102432910B1 KR1020220080111A KR20220080111A KR102432910B1 KR 102432910 B1 KR102432910 B1 KR 102432910B1 KR 1020220080111 A KR1020220080111 A KR 1020220080111A KR 20220080111 A KR20220080111 A KR 20220080111A KR 102432910 B1 KR102432910 B1 KR 1024329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ess
- fire extinguishing
- cover
- fire cov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06010003497 Asphyx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MEXUFEQDCXZEON-UHFFFAOYSA-N bromochlorodifluoromethane Chemical compound FC(F)(Cl)Br MEXUFEQDCXZEO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RJCQBQGAPKAMLL-UHFFFAOYSA-N bromotrifluoromethane Chemical compound FC(F)(F)Br RJCQBQGAPKAML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5549 butyl rub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KRHYYFGTRYWZRS-UHFFFAOYSA-N Fluorane Chemical compound F KRHYYFGTRYWZR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4357 Electric shock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PMZURENOXWZQFD-UHFFFAOYSA-L Sod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Na+].[Na+].[O-]S([O-])(=O)=O PMZURENOXWZQF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65 commerci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12 desal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9 electrical w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40 hydrogen flu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38 sodium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52 sodium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7—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electric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9D1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9D1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의 자동 소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10)의 자동 소화 시스템을 수납하며, 상기 ESS에 화재발생 시 살포된 소화약제나 소화수를 담수하고 배출시키는 사각 박스(100)와; 상기 사각 박스(100)의 바닥 가장자리에 고정 연결되며, X자형 리프트유니트(Lift Unit of X-Type)와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를 장착하기 위한 사각 프레임(200)과; 상기 사각 프레임(200)에 장착되며, 상기 ESS에 화재발생 및 소화 후 4면 파이어 커버(Fire Cover)를 자동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리프트 암(310) 및 파이어 커버 지지대(320)를 갖는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와;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사각 프레임(20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의 리프트 아암(320)과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로드 엔드(410)를 갖는 실린더(400)와;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 및 실린더(400)에 의해 상기 사각 박스(100)의 바닥과 상기 프레임(200)의 외부 4면을 완전히 덮어 밀폐 가능한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와; 상기 ESS(10)에 화재발생 시 외부에서 공급되는 소화약제나 물을 상기 ESS에 자동으로 살포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와 상기 파이어 커버(500) 내부에 담수되는 소화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레벨센서(620)를 갖는 자동 소화 장치(600)와; 상기 ESS(10)에 화재발생 시 상기 ESS(10)에 내장된 SOG(Sate of Generation) 센서와 화재감지센서(710)에 의해 상기 실린더(400)와 상기 자동소화 장치(600)의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를 단속 제어하고, 화재진압 후에는 소화수를 배출하기 위해 제2 솔레노이드 밸브(111)의 구동을 단속 제어하고 설정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와 제2 솔레노이드 밸브(111)의 구동을 단속 제어하는 제어부(7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자동 소화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신속한 화재진압은 물론 연속적인 냉각 기능으로 ESS의 인접 모듈들 간의 열폭주를 방지하고 화재 진압된 소화수는 자동 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 소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 계통(Grid Energy Storage) 등에 사용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의 화재발생시 자동으로 소화수를 분사하여 소화시킨 후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 ESS 자동 소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이란 태양광이나 풍력 발전으로 생산된 전기를 전력 계통(Grid Energy Storage)에 저장했다가 일시적으로 전력이 부족할 때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배터리식 ESS는 리튬이온과 황산화나트륨 등을 사용하며, ESS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의 핵심으로서 대규모 정전 상태인 블랙아웃이 됐을 때, ESS로 미리 충전해 둔 에너지를 사용하면 일상생활에 큰 문제없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태양광이나 풍력 발전 등의 신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필수적인 미래 유망 사업으로 꼽힌다.
그러나 ESS는 화재 발생 시 상하좌우 인접한 리튬이온배터리 모듈들의 연쇄 발화 및 열 폭주 발생 우려가 높고, 직접 화염이나 복사열로 120℃ 이상의 열전이가 되면 리튬이온배터리는 오프 가스 배출 후 열 폭주가 발생한다. 특히 ESS를 갖는 무정전 전원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인 경우 전기차 수십 대에 버금갈 정도의 엄청난 화재가 우려된다. 즉 UPS 화재 시 소화약재를 공중 살포하더라도 USP 캐비닛 상부가 철재함으로 막혀있어 그 속에 설비된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에는 소화약재가 침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소화수의 경우 표면장력이 높아 철재함으로 침투하지 못하고 튕겨져 나가며, 공중 살포는 힘의 방향이 아래로 향하므로 개별 케이싱 되어 있는 리튬이온배터리 모듈과 그 속의 셀에 침투하여 냉각작용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감전 위험은 물론 냉각되지 못하는 리튬이온배터리의 연쇄적인 열 폭주로 수많은 전기배선 트레이를 타고 상부 층으로 화재 확산 시 데이터센터 건물 전체가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화재 확산 시 플루오린화수소가스(불산) 및 심각한 유독가스가 상부 층으로 유입될 시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화재 대응 솔루션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화재 감지 시 리튬이온배터리에 열전이 지연용 내화격벽을 설치한 후, 질식소화포를 자동으로 전개시켜 화원을 질식 소화시켜 유독가스를 차단하고 화재확산을 방지하는 천연소재 기반의 질식소화포 또는 질식소화덮개를 갖는 파이어 커버(Fire Cover)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 제10-2123684호(2020.06.16.)의 소화 기능을 갖춘 ESS 배터리 장치에 의하면, ESS 배터리 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소화약제와 냉각제 분출 장치 등을 통해 화재에 대응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파이어커버는 화재 발생 시 감지센서에 의해 질식소화포를 ESS 하우징 외부를 덮어서 화재를 진압하기 때문에 리튬이온배터리 모듈의 셀 내부까지 소화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유독가스를 완전히 차단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특허기술은 소화 기능을 갖춘 ESS 배터리 장치 내부에 각각의 파열막(24)과 파열핀(34)을 통하여 소화용액(26)과 소화분말(28)을 별도로 분출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ESS 배터리 장치 전체에 대한 소화 기능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보다 상세하게는, ESS와 소화수를 수납 및 담수시키는 사각 박스와, 상기 사각 박스와 연결되는 4면 프레임에 장착되는 파이어 커버(Fire Cover)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Lift) 장치를 통해 ESS에 화재감지나 화재발생시 자동으로 소화약제나 소화수를 살포(혹은 분사)하여 신속한 화재진압은 물론 연속적인 냉각 기능으로 ESS의 인접 모듈들 간의 열폭주를 방지하고 화재 진압된 소화수는 자동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 ESS 자동 소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의 자동 소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10)의 자동 소화 시스템을 수납하며, 상기 ESS에 화재발생 시 살포된 소화약제나 소화수를 담수하고 배출시키는 사각 박스(100)와; 상기 사각 박스(100)의 바닥 가장자리에 고정 연결되며, X자형 리프트유니트(Lift Unit of X-Type)와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를 장착하기 위한 사각 프레임(200)과; 상기 사각 프레임(200)에 장착되며, 상기 ESS에 화재발생 및 소화 후 4면 파이어 커버(Fire Cover)를 자동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리프트 암(310) 및 파이어 커버 지지대(320)를 갖는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와;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사각 프레임(20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의 리프트 아암(320)과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로드 엔드(410)를 갖는 실린더(400)와;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 및 실린더(400)에 의해 상기 사각 박스(100)의 바닥과 상기 프레임(200)의 외부 4면을 완전히 덮어 밀폐 가능한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와; 상기 ESS(10)에 화재발생 시 외부에서 공급되는 소화약제나 물을 상기 ESS에 자동으로 살포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와 상기 파이어 커버(500) 내부에 담수되는 소화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레벨센서(620)를 갖는 자동 소화 장치(600)와; 상기 ESS(10)에 화재발생 시 상기 ESS(10)에 내장된 SOG(Sate of Generation) 센서와 화재감지센서(710)에 의해 상기 실린더(400)와 상기 자동소화 장치(600)의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를 단속 제어하고, 화재진압 후에는 소화수를 배출하기 위해 제2 솔레노이드 밸브(111)의 구동을 단속 제어하고 설정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와 제2 솔레노이드 밸브(111)의 구동을 단속 제어하는 제어부(7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자동 소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각 박스(100)는, 상기 ESS(10)의 화재진압 후 소화수를 자동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사각 박스(100) 바닥 일측에 장착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111)를 갖는 배수밸브(11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소화약제는, 상기 ESS(10)의 화재는 전기화재에 해당하므로 질식 및 냉각소화를 위해서는 CO2소화기, 분말소화기, 할론1211, 할론1301, 물(H2O)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각 프레임(200)은, 하나 이상의 수직 프레임(210)과 하나의 이상의 수평 프레임(220)을 갖고 사각 박스 형태로 조립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210) 각각의 일측면에는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가 승·하강이 용이하도록 하는 리프트 암 가이드 홈(2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는,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가 상기 사각 프레임(200)의 수직 4면을 따라 승·하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고정 연결되는 다수개의 파이어 커버 지지대(32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파이어 커버 지지대(320)는,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의 리프트 아암(310)과 상기 파이어 커버 지지대(320)에 연결된 아이볼트(330)를 통해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실린더(400)는, 상기 사각 박스(100) 바닥에 4개가 장착되며, 상기 실린더(400)의 로드 엔드(410)가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의 하부 일측의 리프트 아암(310)과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사각 프레임(200)의 수직 프레임(210) 하부와 고정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 엔드 가이드 부재(420)에 형성된 가이드 홈(421)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는, 1000℃의 난연 원단에 부틸고무가 코팅된 소재로 방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는, 분사되는 소화수의 수압에 견딜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파이어 커버 지지대(320)의 안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는, 상기 ESS(10)의 설치 공간에 따라 상기 파이어 커버 지지대(320)의 내·외부에 모두 설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는, 상기 ESS에 화재발생 시 질식소화를 위해서는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로 상기 사각 프레임(200)을 완전히 덮어씌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SOG(Sate of Generation) 센서로부터 상기 ESS(10)의 상하좌우에 인접한 리튬이온배터리 모듈들의 연쇄 발화 및 열 폭주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실린더(400)를 구동시켜 파이어 커버(500)를 리프트 시킴과 동시에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를 단속 제어하여 소화약제나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화재감지센서(710)로부터 상기 ESS(10)에 화재 진압이 완료되었다고 감지되면, 제2 솔레노이드 밸브(111)를 단속 제어하여 소화수를 배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수위레벨센서(620)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를 단속 제어하여 소화수가 분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SOG(Sate of Generation) 센서로부터 상기 ESS(10)의 상하좌우에 인접한 리튬이온배터리 모듈들의 연쇄 발화 및 열 폭주 발생이 계속 감지되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와 제2 솔레노이드 밸브(111)를 동시에 단속 제어하여 상기 모듈들의 연쇄 발화 및 열 폭주 발생이 멈출 때까지 소화수의 살포 및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사전에 프로그램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SS 자동 소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ESS에 화재발생시 승·하강 기능을 갖는 파이어 커버를 통해 소화약제나 소화수를 직접 살포하여 화재를 진압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종래의 질식소화포 방식에 비해 ESS의 인접 모듈들의 셀 내부까지 소화가 가능하고 열폭주 차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다.
(2) 본 발명은, 종래의 파이어 커버만을 이용한 질식소화 방식에 비해 X자형 리프트 유니트에 의해 자동으로 펼치고 접을 수 있는 파이어 커버 내부에 소화약제나 소화수를 살포(혹은 분사)하기 때문에 신속하고 완벽한 화재 진압이 가능하다.
(3) 본 발명은, ESS에 내장된 SOG 센서와 제어부가 연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ESS내부에서 발생되는 초기고열에도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사전에 대형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4) 본 발명은, 파이어 커버 내부로 분사되는 소화수의 수위레벨을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연속적인 냉각수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ESS의 인접 모듈들 간의 발생되는 열폭주를 조기에 차단할 수 있는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가)는 시중제품, 도 1의 (나)는 종래의 기술을 각각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SS 자동 소화 시스템에 대한 전체 기술적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SS 자동 소화 시스템에 대한 X자형 리프트 유니트와 파이어 커버의 승·하강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SS 자동 소화 시스템에 대한 X자형 리프트 유니트와 실린더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SS 자동 소화 시스템에 대한 X자형 리프트 유니트의 리프트 아암에 아이볼트를 통해 파이어 커버 지지대가 체결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SS 자동 소화 시스템에 대한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SS 자동 소화 시스템에 대한 X자형 리프트 유니트와 파이어 커버의 승·하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SS 자동 소화 시스템에 대한 전체 기술적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SS 자동 소화 시스템에 대한 X자형 리프트 유니트와 파이어 커버의 승·하강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SS 자동 소화 시스템에 대한 X자형 리프트 유니트와 실린더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SS 자동 소화 시스템에 대한 X자형 리프트 유니트의 리프트 아암에 아이볼트를 통해 파이어 커버 지지대가 체결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SS 자동 소화 시스템에 대한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SS 자동 소화 시스템에 대한 X자형 리프트 유니트와 파이어 커버의 승·하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SS 자동 소화 시스템의 핵심 기술적 구성 수단은 크게 사각 박스(100)와, 사각 프레임(200),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 실린더(400),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 자동 소화 장치(600), 제어부(700)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사각 박스(100)는,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의 자동 소화 시스템을 수납하며, 상기 ESS(10)에 화재가 발생하면 살포된 소화약재나 소화수를 담수하고 배출시키는 수단이다.
여기서 상기 사각 박스(100)의 바닥에는, 후술되는 사각 프레임(200)과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 실린더(400),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등을 장착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각 박스(100)는, 상기 ESS(10)의 화재진압 후 소화수를 자동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사각 박스(100)의 바닥 일측에 장착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111)를 갖는 배수밸브(11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111)를 갖는 배수밸브(110)는 후술되는 제어부(700)의 기능에 의해 사각 박스(100)와 밀봉된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 내부의 소화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ESS(10)의 모듈들에서 열폭주의 연속성으로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에서 계속하여 소화수가 살포될 경우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 내부의 소화수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소화약제는, 상기 ESS(10)의 화재는 전기화재에 해당하므로 질식 및 냉각소화를 위해서는 CO2소화기, 분말소화기, 할론1211, 할론1301, 물(H2O)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ESS화재는 전기화재에 해당하므로 산소 공급을 차단하여 연소에 필요한 산소농도 이하가 되도록 하는 질식소화 및 물과 같은 액체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가연물을 인화점 및 발화점 이하로 낮추어 소화하는 냉각소화가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사각 프레임(200)은, 상기 사각 박스(100)의 바닥 가장자리에 고정 연결되며, X자형 리프트유니트(Lift Unit of X-Type)와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용 수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사각 프레임(200)은, 하나 이상의 수직 프레임(210)과 하나의 이상의 수평 프레임(220)을 갖고 사각 박스 형태로 조립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210) 각각의 일측면에는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가 승·하강이 용이하도록 하는 리프트 암 가이드 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프트 암 가이드 홈(211)을 형성시킨 것은, 상기 수직 프레임(210) 4곳에 리프트 암 가이드 홈(211)을 통해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가 용이하게 승·하강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는, 상기 사각 프레임(200)에 장착되며, 상기 ESS에 화재발생 및 소화 후 4면 파이어 커버(Fire Cover)를 자동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리프트 암(310) 및 파이어 커버 지지대(320)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는,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가 상기 사각 프레임(200)의 수직 4면을 따라 승·하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고정 연결되는 다수개의 파이어 커버 지지대(32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파이어 커버 지지대(320)는,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를 상기 파이어 커버 지지대(320)의 안쪽에 설치할 경우 소화수가 분사되더라도 수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는 상기 ESS(10)의 설치 공간에 따라 상기 파이어 커버 지지대(320)의 내·외부에 모두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파이어 커버 지지대(320)는,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의 리프트 아암(310)과 상기 파이어 커버 지지대(320)에 연결된 아이볼트(330)를 통해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실린더(400)는,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사각 프레임(20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의 리프트 아암(310)과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로드 엔드(410)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실린더(400)는, 상기 사각 박스(100) 바닥에 4개가 장착되며, 상기 실린더(400)의 로드 엔드(410)가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의 하부 일측의 리프트 아암(310)과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사각 프레임(200)의 수직 프레임(210) 하부와 고정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 엔드 가이드 부재(420)에 형성된 가이드 홈(421)에 장착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실린더(400)의 로드 엔드(410)를 리프트 아암(310)과 연결됨과 동시에 실린더 로드 엔드 가이드 부재(420)에 형성된 가이드 홈(421)에 장착시키도록 한 것은, 상기 ESS(10)에 화재발생 시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를 펼치고 접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의 승·하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는,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 및 실린더(400)에 의해 상기 사각 박스(100)의 바닥과 상기 사각 프레임(200)의 외부 4면을 완전히 덮어 밀폐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는, 소화수를 과다 분사할 경우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내부에서 충분한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파이어 커버 지지대(320)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는, 1000℃의 난연 원단에 부틸고무가 코팅된 소재로 방수 기능을 갖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는, 상기 ESS에 화재발생 시 질식소화를 위해서는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로 상기 사각 프레임(200)을 완전히 덮어씌우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자동 소화 장치(600), 상기 ESS(10)에 화재발생 시 외부에서 공급되는 소화약제나 물을 상기 ESS(10)에 자동으로 살포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와 상기 파이어 커버(500) 내부에 담수되는 소화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레벨센서(62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수위레벨센서(620)는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를 통해 상기 파이어 커버(500) 내부에 계속적으로 분사될 경우 누전사고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위레벨센서(620)와 제어부(700)를 통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를 단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수위레벨센서(620) 정보에 따라 후술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111)를 단속 제어하여 수위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도 2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ESS(10)에 화재발생시 상기 ESS(10)에 내장된 SOG(Sate of Generation) 센서와 화재감지센서(710)에 의해 상기 실린더(400)와 상기 자동 소화 장치(600)의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를 단속 제어하고, 화재진압 후에는 소화수를 배출하기 위해 제2 솔레노이드 밸브(111)의 구동을 단속 제어하고 설정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와 제2 솔레노이드 밸브(111)의 구동을 단속 제어하는 수단이다.
여기서 상기 SOG(Sate of Generation) 센서(120)는 상기 ESS(10)의 모듈각각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배터리 셀의 이상상태 발생 시 셀 혹은 모듈 단위로 처리 및 교환을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일종의 배터리정보수집(Battery Data Logging, BDL)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SOG 센서와 제어부(700)가 연동 가능하도록 사전에 프로그램화되어 메모리(720)에 설정 저장된다. 이러한 구성은 ESS에 내장된 SOG 센서와 제어부(700)가 연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ESS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열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사전에 ESS의 대형화재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SOG(Sate of Generation) 센서로부터 상기 ESS(10)의 상하좌우에 인접한 리튬이온배터리 모듈들의 연쇄 발화 및 열 폭주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실린더(400)를 구동시켜 파이어 커버(500)를 리프트 시킴과 동시에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를 단속 제어하여 소화약제나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화재감지센서(710)로부터 상기 ESS(10)에 화재 진압이 완료되었다고 감지되면, 제2 솔레노이드 밸브(111)를 단속 제어하여 소화수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수위레벨센서(620)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를 단속 제어하여 소화수가 분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SOG(Sate of Generation) 센서로부터 상기 ESS(10)의 상하좌우에 인접한 리튬이온배터리 모듈들의 연쇄 발화 및 열 폭주 발생이 계속 감지되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와 제2 솔레노이드 밸브(111)를 동시에 단속 제어하여 상기 모듈들의 연쇄 발화 및 열 폭주 발생이 멈출 때까지 소화수의 살포 및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사전에 프로그램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와 제2 솔레노이드 밸브(111)를 동시에 단속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이어 커버(500) 내부의 소화수 수위레벨을 자동적으로 조절함은 물론, 상기 ESS(10)의 인접 모듈들 간의 열폭주를 막아 대형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ESS 자동 소화 시스템에 대한 X자형 리프트 유니트의 승·하강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에너지 저장 장치(ESS) 100 : 사각 박스
110 : 배수밸브 200 : 사각 프레임
210 : 수직 프레임 220 : 수평 프레임
211 : X자형 리프트 암 가이드 홈 300 : X자형 리프트 유니트
310 : 리프트 아암 320 : 파이어 커버 지지대
400 : 실린더 410 : 로드 엔드
420 : 실린더 로드 엔드 가이드 부재
421 : 실린더 로드 엔드 가이드 홈 500 : 파이어 커버
600 : 자동 소화 장치 610 : 제1 솔레노이드 밸브
620 : 수위레벨센서 700 : 제어부
710 : 화재감지센서 720 : 메모리
110 : 배수밸브 200 : 사각 프레임
210 : 수직 프레임 220 : 수평 프레임
211 : X자형 리프트 암 가이드 홈 300 : X자형 리프트 유니트
310 : 리프트 아암 320 : 파이어 커버 지지대
400 : 실린더 410 : 로드 엔드
420 : 실린더 로드 엔드 가이드 부재
421 : 실린더 로드 엔드 가이드 홈 500 : 파이어 커버
600 : 자동 소화 장치 610 : 제1 솔레노이드 밸브
620 : 수위레벨센서 700 : 제어부
710 : 화재감지센서 720 : 메모리
Claims (15)
-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의 자동 소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10)의 자동 소화 시스템을 수납하며, 상기 ESS에 화재발생 시 살포된 소화약제나 소화수를 담수하고 배출시키는 사각 박스(100)와;
상기 사각 박스(100)의 바닥 가장자리에 고정 연결되며, X자형 리프트유니트(Lift Unit of X-Type)와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를 장착하기 위한 사각 프레임(200)과;
상기 사각 프레임(200)에 장착되며, 상기 ESS에 화재발생 및 소화 후 4면 파이어 커버(Fire Cover)를 자동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리프트 암(310) 및 파이어 커버 지지대(320)를 갖는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와;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사각 프레임(20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의 리프트 아암(320)과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로드 엔드(410)를 갖는 실린더(400)와;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 및 실린더(400)에 의해 상기 사각 박스(100)의 바닥과 상기 프레임(200)의 외부 4면을 완전히 덮어 밀폐 가능한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와;
상기 ESS(10)에 화재발생 시 외부에서 공급되는 소화약제나 물을 상기 ESS에 자동으로 살포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와 상기 파이어 커버(500) 내부에 담수되는 소화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레벨센서(620)를 갖는 자동 소화 장치(600)와;
상기 ESS(10)에 화재발생 시 상기 ESS(10)에 내장된 SOG(Sate of Generation) 센서와 화재감지센서(710)에 의해 상기 실린더(400)와 상기 자동소화 장치(600)의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를 단속 제어하고, 화재진압 후에는 소화수를 배출하기 위해 제2 솔레노이드 밸브(111)의 구동을 단속 제어하고 설정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와 제2 솔레노이드 밸브(111)의 구동을 단속 제어하는 제어부(7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자동 소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박스(100)는, 상기 ESS(10)의 화재진압 후 소화수를 자동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사각 박스(100) 바닥 일측에 장착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111)를 갖는 배수밸브(11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자동 소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약제는, 상기 ESS(10)의 화재는 전기화재에 해당하므로 질식 및 냉각소화를 위해서는 CO2소화기, 분말소화기, 할론1211, 할론1301, 물(H2O)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자동 소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프레임(200)은, 하나 이상의 수직 프레임(210)과 하나의 이상의 수평 프레임(220)을 갖고 사각 박스 형태로 조립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210) 각각의 일측면에는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가 승·하강이 용이하도록 하는 리프트 암 가이드 홈(2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자동 소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는,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가 상기 사각 프레임(200)의 수직 4면을 따라 승·하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고정 연결되는 다수개의 파이어 커버 지지대(32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자동 소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어 커버 지지대(320)는,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의 리프트 아암(310)과 상기 파이어 커버 지지대(320)에 연결된 아이볼트(330)를 통해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자동 소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400)는, 상기 사각 박스(100) 바닥에 4개가 장착되며, 상기 실린더(400)의 로드 엔드(410)가 상기 X자형 리프트 유니트(300)의 하부 일측의 리프트 아암(310)과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사각 프레임(200)의 수직 프레임(210) 하부와 고정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 엔드 가이드 부재(420)에 형성된 가이드 홈(421)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자동 소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는, 1000℃의 난연 원단에 부틸고무가 코팅된 소재로 방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자동 소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는, 분사되는 소화수의 수압에 견딜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파이어 커버 지지대(320)의 안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자동 소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는, 상기 ESS(10)의 설치 공간에 따라 상기 파이어 커버 지지대(320)의 내·외부에 모두 설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자동 소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는, 상기 ESS에 화재발생 시 질식소화를 위해서는 상기 파이어 커버(Fire Cover, 500)로 상기 사각 프레임(200)을 완전히 덮어씌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자동 소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SOG(Sate of Generation) 센서로부터 상기 ESS(10)의 상하좌우에 인접한 리튬이온배터리 모듈들의 연쇄 발화 및 열 폭주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실린더(400)를 구동시켜 파이어 커버(500)를 리프트 시킴과 동시에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를 단속 제어하여 소화약제나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자동 소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화재감지센서(710)로부터 상기 ESS(10)에 화재 진압이 완료되었다고 감지되면, 제2 솔레노이드 밸브(111)를 단속 제어하여 소화수를 배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자동 소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수위레벨센서(620)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를 단속 제어하여 소화수가 분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자동 소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SOG(Sate of Generation) 센서로부터 상기 ESS(10)의 상하좌우에 인접한 리튬이온배터리 모듈들의 연쇄 발화 및 열 폭주 발생이 계속 감지되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610)와 제2 솔레노이드 밸브(111)를 동시에 단속 제어하여 상기 모듈들의 연쇄 발화 및 열 폭주 발생이 멈출 때까지 소화수의 살포 및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사전에 프로그램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S 자동 소화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0111A KR102432910B1 (ko) | 2022-06-30 | 2022-06-30 | Ess 자동 소화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0111A KR102432910B1 (ko) | 2022-06-30 | 2022-06-30 | Ess 자동 소화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2910B1 true KR102432910B1 (ko) | 2022-08-18 |
Family
ID=8311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0111A KR102432910B1 (ko) | 2022-06-30 | 2022-06-30 | Ess 자동 소화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2910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96906B1 (ko) * | 2022-08-29 | 2023-11-07 | 대한시스텍주식회사 |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 |
KR102624529B1 (ko) * | 2023-03-14 | 2024-01-12 | 주식회사 퍼스트씨앤디 | 배터리 화재의 선별적 진화 시스템 |
WO2024049016A1 (ko) * | 2022-08-30 | 2024-03-07 | 대한시스텍주식회사 | 화재 제어 장치 |
KR20240078163A (ko) | 2022-11-25 | 2024-06-03 | 송광석 | 이동식 전기자동차 충전 장치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8280A (ko) * | 2019-04-04 | 2020-10-15 | 주식회사 케이엔 | Ess 소화 시스템 |
US20210083344A1 (en) * | 2019-03-25 | 2021-03-18 | Lg Chem, Ltd. | Battery module, and battery r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
US20210180357A1 (en) * | 2019-01-21 | 2021-06-17 | Eric John Borden | Storm Avoiding Buildings and Structures |
JP2021520039A (ja) * | 2019-02-21 | 2021-08-12 |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 バッテリーラック及びそれを含む電力貯蔵装置 |
CN113885291A (zh) * | 2021-10-23 | 2022-01-04 | 江苏舜合物联网科技有限公司 | 一种弹簧实现幕布升降收集机构 |
KR102403758B1 (ko) * | 2021-12-30 | 2022-05-30 |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 에너지 저장 시스템 |
-
2022
- 2022-06-30 KR KR1020220080111A patent/KR1024329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180357A1 (en) * | 2019-01-21 | 2021-06-17 | Eric John Borden | Storm Avoiding Buildings and Structures |
JP2021520039A (ja) * | 2019-02-21 | 2021-08-12 |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 バッテリーラック及びそれを含む電力貯蔵装置 |
US20210083344A1 (en) * | 2019-03-25 | 2021-03-18 | Lg Chem, Ltd. | Battery module, and battery r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
KR20200118280A (ko) * | 2019-04-04 | 2020-10-15 | 주식회사 케이엔 | Ess 소화 시스템 |
CN113885291A (zh) * | 2021-10-23 | 2022-01-04 | 江苏舜合物联网科技有限公司 | 一种弹簧实现幕布升降收集机构 |
KR102403758B1 (ko) * | 2021-12-30 | 2022-05-30 |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 에너지 저장 시스템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96906B1 (ko) * | 2022-08-29 | 2023-11-07 | 대한시스텍주식회사 |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 |
WO2024049044A1 (ko) * | 2022-08-29 | 2024-03-07 | 대한시스텍주식회사 | 화재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제어 방법 |
WO2024049016A1 (ko) * | 2022-08-30 | 2024-03-07 | 대한시스텍주식회사 | 화재 제어 장치 |
KR20240078163A (ko) | 2022-11-25 | 2024-06-03 | 송광석 | 이동식 전기자동차 충전 장치 |
KR102624529B1 (ko) * | 2023-03-14 | 2024-01-12 | 주식회사 퍼스트씨앤디 | 배터리 화재의 선별적 진화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32910B1 (ko) | Ess 자동 소화 시스템 | |
CN109939390B (zh) | 一种基于气体灭火与机械通风散热的电化学储能站预制舱内灭火系统及方法 | |
KR102154314B1 (ko) | 압축공기포를 이용한 ess 화재 예방 시스템 | |
CN210052822U (zh) | 一种用于储能电池的封闭式液体消防装置 | |
KR102178601B1 (ko) | 압축공기포를 이용한 ess 화재 예방 시스템 | |
CN110634262A (zh) | 一种磷酸铁锂储能电站电池预制舱火灾预警方法 | |
KR102390597B1 (ko) | Ess 전용 자동소화장치 | |
CN210149180U (zh) | 一种充电桩自动防火断电报警装置 | |
CN114171826A (zh) | 一种用于船舶载运锂电池电动汽车的灭火装置及其应用方法 | |
CN216121277U (zh) | 一种光伏发电式变电站智能控制装置 | |
CN214357908U (zh) | 一种锂电池存储柜 | |
CN217642806U (zh) | 一种防火防爆叉车电池充电柜 | |
CN112003366B (zh) | 一种消防联动电源的快速维修系统 | |
US20220336882A1 (en) | Method for avoiding the propagation of a thermal event in an enclosure comprising several modules of electrochemical cells | |
CN113611936A (zh) | 储能锂电池热失控管理装置及其安装控制方法 | |
CN114497810A (zh) | 一种电化学储能站消防安全储能装置 | |
CN117559053B (zh) | 一种基坑式储能系统 | |
CN114887261A (zh) | 一种光伏储能式充电站的火灾自动预警与灭火系统 | |
KR102654468B1 (ko) | 전기차 화재 진압 및 확산 방지 시스템 | |
KR102676776B1 (ko) | 전기 자동차의 화재 진압시스템 | |
CN214255360U (zh) | 一种抗震防火的自动调温电控柜 | |
CN218200149U (zh) | 一种无空调型锂电储能特种集装箱 | |
KR102726651B1 (ko) | 살수장치가 구비된 전기차 충전소 | |
CN219630488U (zh) | 一种户外储能柜 | |
KR102301431B1 (ko) | 소화 기능을 가진 방재시트가 부착된 방화벽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